KR20210059767A - 파라미터 구성 방법, 단말 장치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파라미터 구성 방법, 단말 장치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767A
KR20210059767A KR1020217011602A KR20217011602A KR20210059767A KR 20210059767 A KR20210059767 A KR 20210059767A KR 1020217011602 A KR1020217011602 A KR 1020217011602A KR 20217011602 A KR20217011602 A KR 20217011602A KR 20210059767 A KR20210059767 A KR 20210059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parameter
parameter combination
message
configure parame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엔씨 루
쩐샨 자오
훼이-밍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8/117315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077739A1/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9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을 공개하는 바,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거나, 또는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과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모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단말 장치 및 저장 매체를 공개한다.

Description

파라미터 구성 방법, 단말 장치 및 저장 매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라미터 구성 방법, 단말 장치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제5세대(5th Generation, 5G)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의 차량사물통신(Vehicle to Everything, V2X)에서, 단말 장치(User Equipment) 대 UE의 제어를 도입하였으며; 하지만 어떻게 UE-UE의 제어를 구현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재 아직 효과적인 솔루션이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단말 장치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단말 장치 대 단말 장치의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방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바,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바,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2 단말 장치에는,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유닛이 포함된다.
제4 방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1 단말 장치에는,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신 유닛이 포함된다.
제5 방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장치가 포함되며, 그 중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파라미터 구성 방법의 단계를 실행한다.
제6 방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파라미터 구성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은, 제2 단말 장치를 통하여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거나, 또는 제1 단말 장치를 통하여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과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모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며; 이로써, 제1 단말 장치와 제2 단말 장치가 모두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취득하여 알 수 있어, 단말 장치 대 단말 장치의 제어를 구현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드 3에 대한 데이터 전송의 처리 흐름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드 4에 대한 데이터 전송의 처리 흐름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 구조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파라미터 구성 방법의 일 선택 가능한 처리 흐름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파라미터 구성 방법의 다른 일 선택 가능한 처리 흐름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단말 장치의 구성 구조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단말 장치의 구성 구조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구조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및 기술적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하는 바, 첨부된 도면은 설명을 위하여 참조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기 전, 우선 차량 인터넷 시스템에 대하여 간략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차량 인터넷 시스템은 단말 대 단말(Device to Device, D2D) 통신의 사이드 링크(Side Link, SL) 전송 기술을 기반으로, 전통적인 LTE 시스템 중에서 통신 데이터는 기지국을 통하여 수신되거나 송신되는 방식과 달리, 차량 인터넷 시스템 중에서 통신 데이터는 단말 대 단말 직접 통신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스펙트럼 효율 및 더욱 낮은 전송 딜레이를 갖는다.
3GPPRel-14에서는 V2X에 대하여 표준화를 진행하였는 바, 두 가지 전송 모드, 즉 모드 3과 모드 4를 정의하였다.
모드 3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의 과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 차량용 단말의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은 기지국이 할당한 것이고, 차량용 단말은 기지국이 할당한 자원에 의하여 사이드 링크 상에서 데이터의 송신을 진행하며; 기지국은 단말을 위하여 단일 전송의 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고, 또한 단말을 위하여 반영속성 전송의 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다.
모드 4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의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 차량용 단말이 센싱(sensing)과 예약(reservation)의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차량용 단말이 자원 풀 중에서 모니터링의 방식을 통하여 사용가능한 전송 자원 세트를 취득하고, 단말이 해당 세트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의 자원을 선택하여 사이드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한다. 차량 인터넷 시스템 중의 서비스가 주기적인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단말은 일반적으로 반영속성 전송의 방식을 사용하는 바, 즉 단말은 하나의 전송 자원을 선택한 후, 다수의 전송 주기 중에서 지속적으로 해당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원 재선택 및 자원 충돌의 확률을 낮춘다. 단말은 본 회 전송의 제어 정보 중에 다음번 전송 자원을 예약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기타 단말은 해당 사용자의 제어 정보를 탐지하는 것을 통하여 이 자원이 해당 사용자에 의하여 유보 및 사용되었는지 판단하도록 하여, 자원 충돌을 낮추는 목적을 이룬다.
NR-V2X에서 UE-UE의 제어를 도입하기는 하였지만, UE-UE의 제어에 대한 구현, 예를 들면 어떻게 UE-UE의 능력 상호작용과 상호 제어를 처리할 것인지, 어떤 입도로 상호 제어를 진행할 것인지, 어떻게 제어단과 피제어단을 결정할 것인지 및 어떻게 이상 상황을 처리할 것인지 등은 아직 효과적이 솔루션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전송 정지를 지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송 정지를 지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시스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월드와이드 상호운영성 마이크로파 접속(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5G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해당 통신 시스템(100)에는 네트워크 장치(110)가 포함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110)는 단말 장치(120)(또는 통신 장치, 단말이라 칭함)와 통신을 진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10)는 특정된 지리 구역을 위하여 통신 커버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커버 구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장치(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또한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의 무선 제어기일 수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이동 교환국, 중계국,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집선기, 교환기, 브리지, 라우터,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다.
해당 통신 시스템(100)에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110)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1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단말 장치”에는 예를 들면 공공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라인(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등 유선 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는 장치; 및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 및 예를 들면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예를 들면 DVB-H 네트워크 등 디지털 TV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방송 송신기 등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장치; 및 다른 단말 장치의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및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 단말”, “무선 단말” 또는 “이동 단말”이라 불린다. 이동 단말의 예시에는 위성 또는 셀룰러 전화; 셀룰러 무선 전기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통합시킨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 무선 전기 전화, 무선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Web 브라우저, 메모, 달력 및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PDA; 및 일반적인 태블릿 및 핸드핼드 중의 적어도 하나인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전기 통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기타 전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장치는 접속 단말,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PLMN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120) 사이에서는 단말 직접 연결(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5G 네트워크는 또한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라 칭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와 두 개의 단말 장치를 보여주고 있으나,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시스템(100)에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또한 각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리지 내에는 또한 기타 수량의 단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시스템(100)에는 또한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 관리 실체 등 기타 네트워크 실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시스템에서 통신 기능이 구비된 장치를 통신 장치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을 예로 들면, 통신 장치에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네트워크 장치(110)와 단말 장치(120)가 포함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110)와 단말 장치(120)는 상기 구체적인 장치일 수 있고,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통신 장치에는 또한 통신 시스템(100) 중의 기타 장치, 예를 들면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 관리 실체 등 기타 네트워크 실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의 일 선택가능한 처리 과정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고,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S201 단계: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를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를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와 수신 파라미터를 지시하며; 상기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서로 다른 단말 장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 장치는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 또는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SCH) 또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 또는 물리 사이드링크 발견 채널(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PSDCH) 등 방식을 통하여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바, 즉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컨테이너의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바, 즉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RRC 신호를 통하여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실시할 때,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 정보가 트리거시킬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제1 메시지가 트리거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상위 계층 정보가 RRC 신호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송신되며, 또한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에는,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DIRECT_COMMUNICATION_REQUEST),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DIRECT_SECURITY_MODE_COMMAND),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메시지(DIRECT_SECURITY_MODE_COMPLETE),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DIRECT_COMMUNICATION_ACCEPT)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실시할 때,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접속 계층이 트리거시킬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능력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능력 중의 적어도 하나가 변화할 때,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를 트리거시켜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한다.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 정보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를 트리거시켜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송신한 제1 메시지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를 트리거시켜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 정보가 트리거시켰든지, 아니면 제1 단말 장치의 제1 메시지가 트리거시켜 제1 파라미터 조합의 송신을 구현하였는지를 막론하고, 모두 주기적인 트리거일 수 있다. 즉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 정보가 주기적으로 제2 단말 장치를 트리거시켜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며; 또는 제1 단말 장치가 주기적으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2 단말 장치를 트리거시켜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여야 하는 제1 파라미터 조합 중의 제1 파라미터의 유형을 지시하며; 예를 들면,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 중의 제1 파라미터에는 서로 다른 차원이 포함되는 바, 예를 들면, 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아이디(PSID) 및 지능 교통 시스템-응용 아이디(ITS-AID), 무선 접속 유형(RAT)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상기 제1 파라미터의 유형은 바로 제1 파라미터의 서로 다른 차원이다. 그 중에서, 상기 전파 방식에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가 포함되며; 상기 RAT에는 NR 시스템에 접속되는 것과 LTE 시스템에서 접속되는 것이 포함된다.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메시지는 지시하는 제2 단말이 송신하여야 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단말의 수신 파라미터와 호환되는 송신 파라미터이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지시하는 제2 단말이 송신하여야 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는 상기 제1 단말의 송신 파라미터와 호환되는 수신 파라미터이다.
상기 제1 메시지가 PC5-signaling 메시지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메시지가 RRC 메시지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메시지가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메시지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메시지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이거나, 상기 제1 메시지가 연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가 트리거시킬 때,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제3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송신하여야 하는 제3 파라미터 조합 중의 제3 파라미터의 유형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상기 제3 메시지와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동일한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하여, 제1 파라미터에 대하여 구성을 진행하며; 상기 제1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1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와 수신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상기 상황에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아이디(Provider Service Identifier, PSID) 및 지능 교통 시스템-응용 아이디(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Application-Identifier, ITS-AID), 무선 접속 유형(Radio Access Type, RAT)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에 QoS 속성이 포함될 때,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QoS 속성이 구비된 서비스를 개시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는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에 서비스 품질(QoS) 속성이 포함될 때,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QoS 속성이 구비된 서비스를 해제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PSID와 ITS-AID 중의 어느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구성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에는 또한, 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PSID, ITS-AID, 무선 접속 유형(Radio Access Type, RAT)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상기 전파 방식에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가 포함되며; 상기 RAT에는 NR 시스템에 접속되는 것과 LTE 시스템에서 접속되는 것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ing Quality, RSRQ);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수신한 신호 강도 지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와 제3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3 단말 장치가 다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기존의 서비스에 의하여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새로 발생한 서비스에 의하여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의 다른 일 선택가능한 처리 과정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고,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S301 단계: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를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를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와 수신 파라미터를 지시하며; 상기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서로 다른 단말 장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PSCCH 또는 PSSCH 또는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 또는 PSDCH 등 방식을 통하여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바, 즉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이 컨테이너의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RRC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바, 즉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RRC 신호를 통하여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실시할 때,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 정보가 트리거시킬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제2 메시지가 트리거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가 RRC 신호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과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송신된다. 그 중에서,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에는,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메시지와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접속 계층이 트리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할 때,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5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에 대하여 구성을 진행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을 구성하는데 성공할 때, 상기 제1 단말 장치를 트리거시켜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한다. 제1 단말 장치가 제5 파라미터 조합을 구성하는데 성공하는 것은, 제1 단말 장치의 접속 계층은 상기 제1 단말 장치를 트리커시켜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 정보가 상기 제1단말 장치를 트리거시켜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제2 메시지가 상기 제1 단말 장치를 트리거시켜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 정보가 트리거시켰든지, 아니면 제2 단말 장치의 제2 메시지가 트리거시켜 제2 파라미터 조합의 송신을 구현하였는지를 막론하고, 모두 주기적인 트리거일 수 있다. 즉 제1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 정보가 주기적으로 제1 단말 장치를 트리거시켜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며; 또는 제2 단말 장치가 주기적으로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제2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제1 단말 장치를 트리거시켜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메시지가 PC5-signaling 메시지이거나, 또는 상기 제2 메시지가 RRC 메시지이거나, 또는 상기 제2 메시지가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이거나, 또는 상기 제2 메시지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이거나, 또는 상기 제2 메시지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이거나, 상기 제2 메시지가 연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이다.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하여, 제2 파라미터에 대하여 구성을 진행하며; 상기 제2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가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제2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와 수신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상기 상황에는 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PSID 및 ITS-AID, RAT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 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PSID와 ITS-AID 중의 어느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구성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설명이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과 같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에 대한 설명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술 언급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와 같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의 또 다른 일 선택가능한 처리 과정은, 상기 S301 단계의 기초 상에, S302 단계를 추가한다.
S302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3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구성을 완성하였다는 것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을 구성하는 것을 거절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구성에 실패하였다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구성에 실패하였다는 것을 지시할 때,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선택한 제3 파라미터 조합을 지시하거나,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사용 중인 제4 파라미터 조합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단말 장치와의 사이드링크 연결을 재구성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하기 전,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전의 구성을 사용한다. 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제3 정보를 송신하기 전,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정지시킨다.
그 중에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선택한 제3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제공한 제3 파라미터 조합 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권장하는 제3 파라미터 조합을 가리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6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과 상기 제3 정보가 동일한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파라미터 조합과 제4 파라미터 조합에 포함된 정보가 전술한 제1 파라미터 조합에 포함된 정보와 같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제2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2 단말 장치(400)의 구성 구조 도면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유닛(401)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컨테이너의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된다. 또는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RRC 신호를 통하여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이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 정보가 트리거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제1 메시지가 트리거시킨다. 그 중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이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주기적 트리거를 통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메시지가 PC5-signaling 메시지이거나, 또는 RRC 메시지이거나, 또는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이거나, 또는 보안 파라미터 구성 진행 메시지이거나, 또는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이거나, 또는 연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상기 상황에는,
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PSID, ITS-AID, RAT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 유닛(401)은,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제3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송신하여야 하는 제3 파라미터 조합 중의 제3 파라미터의 유형을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그 중에서, 상기 제3 메시지와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동일한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관련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술 언급된 제1 파라미터 조합과 같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에 대한 설명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술 언급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와 같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며; 상위 계층 메시지, 제1 메시지에 대한 관련 설명이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중의 관련 설명과 같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제1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1 단말 장치(500)의 구성 구조 도면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신 유닛(501)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이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이 컨테이너의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이 RRC 신호를 통하여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송신 유닛(501)이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 정보가 트리거시키고,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가 RRC 신호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과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에는,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메시지와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송신 유닛(501)이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제2 메시지가 트리거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송신 유닛(501)이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주기적 트리거를 통하여 구현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메시지가 PC5-signaling 메시지이거나, 또는 상기 제2 메시지가 RRC 메시지이거나, 또는 상기 제2 메시지가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이거나, 또는 상기 제2 메시지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이거나, 또는 상기 제2 메시지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이거나, 상기 제2 메시지가 연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이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하여, 제2 파라미터에 대하여 구성을 진행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상황에는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PSID 및 ITS-AID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송신 유닛(501)이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접속 계층이 트리거시킨다.
상기 제2 송신 유닛(501)이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접속 계층이 트리거시킬 때, 상기 제2 송신 유닛(501)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5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을 구성하는데 성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장치에는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3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 유닛(502)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구성을 완성하였다는 것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을 구성하는 것을 거절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구성에 실패하였다는 것을 지시한다.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구성에 실패하였다는 것을 지시할 때,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선택한 제3 파라미터 조합을 지시하거나,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사용 중인 제4 파라미터 조합을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단말 장치에는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6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 유닛(503)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그 중에서,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과 상기 제3 메시지가 동일한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상기 제3 파라미터 조합과 상기 제4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관련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술 언급된 제2 파라미터 조합, 제3 파라미터 조합과 제4 파라미터 조합과 같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에 대한 설명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술 언급된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와 같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장치가 포함되며, 그 중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파라미터 구성 방법의 단계를 실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제1 단말 장치와 제2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구조 도면으로서, 단말 장치(700)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701), 기억장치(702)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04)가 포함된다. 단말 장치(700) 중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705)을 통하여 한데 연결된다. 버스 시스템(705)은 이러한 컴포넌트 사이의 연결 통신을 구현한다. 버스 시스템(705)에는 데이터 버스가 포함되는 외, 또한 전원 버스, 제어 버스와 상태 신호 버스가 포함된다. 하지만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도 8에서는 여러가지 버스를 모두 버스 시스템(705)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기억장치(702)는 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과 비휘발성 기억장치 두 가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 중에서, 비휘발성 기억장치는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읽기전용 메모리(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전기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무작위 접속 메모리(FRAM, ferro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자기 표면 기억장치, 광디스크 또는 시디 롬(CD-ROM, Compact Disc Read-Only Memory)일 수 있으며; 자기 표면 기억장치는 자기 디스크 기억장치 또는 자기 테이프 기억장치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이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된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을 통하여, 많은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정적 램(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동기화 정적 램(SSRAM, Synchronous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동적 램(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동기화 동적 램(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이중 데이터 속도 동기화 동적 램(DDRSDRAM,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SDRAM, Enhanced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동기화 링크 동적 램(SLDRAM, SyncLink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직접 램버스 램(DRRAM, Direct Rambus Random Access Memory)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702)는 이러한 것과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기억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702)는 여러 가지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단말 장치(700)의 조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에는 단말 장치(700) 상에서 조작하는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22)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의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7022)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방법은 프로세서(701)에 적용 가능하거나, 또는 프로세서(701)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701)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갖는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701)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701)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분리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분리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70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공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럭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로 실행하여 완성한 것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저장 매체에 위치하고,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702)에 위치하며, 프로세서(701)가 기억장치(702)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전술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7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복합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C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 범용 프로세서, 제어기, MCU, MPU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하여 구현되어, 전술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 장치(시스템)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 블럭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기재된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흐름도 및/또는 블럭도 중의 각 흐름 및/또는 블럭, 및 흐름도 및/또는 블럭도 중의 흐름 및/또는 블럭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삽입형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하여 하나의 기계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실행되는 명령이 흐름도의 한 흐름 또는 복수개의 흐름 및/또는 블럭도의 하나의 블럭 또는 복수개의 블럭 중의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게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유도하여 특정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이 명령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성하도록 하고, 해당 명령 장치는 흐름도의 한 흐름 또는 복수개의 흐름 및/또는 블럭도의 하나의 블럭 또는 복수개의 블럭 중의 지정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베어링되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 상에서 일련의 조작 단계를 실행하여 컴퓨터 구현가능한 처리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명령이 흐름도의 한 흐름 또는 복수개의 흐름 및/또는 블럭도의 하나의 블럭 또는 복수개의 블럭 중의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2)

  1. 파라미터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컨테이너의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트리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트리거시키는 것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메시지;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 중의 적어도 한 상위 계층 메시지가 트리거시키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가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접속 계층이 트리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접속 계층이 트리거시키는 것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능력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능력 중의 적어도 하나가 변화할 때,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를 트리거시켜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제1 메시지가 트리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여야 하는 제1 파라미터 조합 중 제1 파라미터의 유형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주기적 트리거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PC5-signaling 신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진행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19.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연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20. 제10항, 제11항,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제3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송신하여야 하는 제3 파라미터 조합 중의 제3 파라미터의 유형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와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동일한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22.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하여, 제1 파라미터에 대하여 구성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에는,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아이디(PSID) 및 지능 교통 시스템-응용 아이디(ITS-AID), 무선 접속 유형(RAT)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에는,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아이디(PSID), 지능 교통 시스템-응용 아이디(ITS-AID), 무선 접속 유형(RAT)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에 서비스 품질(QoS) 속성이 포함될 때,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QoS 속성이 구비된 서비스를 개시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에 서비스 품질(QoS) 속성이 포함될 때,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QoS 속성이 구비된 서비스를 해제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수신한 신호 강도 지시(RSSI)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와 제3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3 단말 장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기존의 서비스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31.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새로 발생한 서비스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32. 파라미터 구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이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이 컨테이너의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이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36.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트리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트리거시키는 것에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메시지;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 중의 적어도 하나가 트리거시키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가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과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39.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접속 계층이 트리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접속 계층은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을 트리거시키는 것에는,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5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을 구성하는 것에 성공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41.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제2 메시지가 트리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42.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주기적 트리거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가 PC5-signaling 신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가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47.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가 연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49. 제32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하여, 제2 파라미터에 대하여 구성을 진행하며;
    상기 제2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에는,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아이디(PSID) 및 지능 교통 시스템-응용 아이디(ITS-AID), 무선 접속 유형(RAT)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51. 제32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3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구성을 완성하였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53. 제32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6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54. 제51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6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과 상기 제3 정보가 동일한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56. 제51항 또는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을 구성하는 것을 거절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구성에 실패하였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선택한 제3 파라미터 조합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사용 중인 제4 파라미터 조합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단말 장치와의 사이드링크 연결을 재구성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60.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하기 전,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전의 구성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61.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제3 정보를 송신하기 전,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62. 제32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63. 제32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는,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아이디(PSID), 지능 교통 시스템-응용 아이디(ITS-AID), 무선 접속 유형(RAT) 정보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64.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라미터 조합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65. 제57항 또는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라미터 조합에는,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아이디(PSID), 지능 교통 시스템-응용 아이디(ITS-AID), 무선 접속 유형(RAT) 정보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66.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파라미터 조합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67. 제58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파라미터 조합에는,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아이디(PSID), 지능 교통 시스템-응용 아이디(ITS-AID), 무선 접속 유형(RAT) 정보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68. 제32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수신한 신호 강도 지시(RSSI)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69. 제32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에는,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와 제3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3 단말 장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 구성 방법.
  70. 제2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에는,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컨테이너의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73.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74. 제70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트리거시켜,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메시지;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 중의 적어도 한 상위 계층 메시지가 트리거시켜,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가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77. 제70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이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접속 계층이 트리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78. 제77항에 있어서,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능력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능력 중의 적어도 하나가 변화할 때,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송신 유닛을 트리거시켜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79. 제70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이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1 메시지가 트리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여야 하는 제1 파라미터 조합 중 제1 파라미터의 유형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81. 제79항 또는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82. 제70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이 제1 단말 장치로 제1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주기적 트리거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83. 제79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PC5-signaling 신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84. 제79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85. 제79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86. 제79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진행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87. 제79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88. 제79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연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89. 제79항, 제80항, 제82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제3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3 메시지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송신하여야 하는 제3 파라미터 조합 중의 제3 파라미터의 유형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시지와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이 동일한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91. 제70항 내지 제8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하여, 제1 파라미터에 대하여 구성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에는,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아이디(PSID) 및 지능 교통 시스템-응용 아이디(ITS-AID), 무선 접속 유형(RAT)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93. 제70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94. 제70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에는,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아이디(PSID), 지능 교통 시스템-응용 아이디(ITS-AID) 및 무선 접속 유형(RAT) 정보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 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에 서비스 품질(QoS) 속성이 포함될 때,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QoS 속성이 구비된 서비스를 개시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96.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에 서비스 품질(QoS) 속성이 포함될 때,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QoS 속성이 구비된 서비스를 해제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97. 제70항 내지 제9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수신한 신호 강도 지시(RSSI)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98. 제70항 내지 제9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와 제3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3 단말 장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99. 제70항 내지 제9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기존의 서비스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100. 제70항 내지 제9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새로 발생한 서비스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장치.
  101. 제1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에는,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신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02.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이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이 컨테이너의 방식으로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04.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이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05. 제101항 내지 제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트리거시켜,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06.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유닛은,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메시지;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 중의 적어도 한 상위 계층 메시지가 트리거시켜,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07.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계층 메시지가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내에 포함되고,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과 동시에 상기 제2 단말 장치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08. 제101항 내지 제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유닛이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접속 계층이 트리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09.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유닛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5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는 바,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5 파라미터 조합을 구성하는 것에 성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10. 제101항 내지 제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유닛이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메시지가 트리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11. 제101항 내지 제1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유닛이 제2 단말 장치로 제2 파라미터 조합을 송신하는 것은, 주기적 트리거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12.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가 PC5-signaling 신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13.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14.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가 연결 구성 요청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15.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가 보안 파라미터 구성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16.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가 보안 파라미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17. 제1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가 연결 구성 완성 확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18. 제101항 내지 제1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은 서로 다른 상황에 대하여, 제2 파라미터에 대하여 구성을 진행하며;
    상기 제2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19.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에는,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아이디(PSID) 및 지능 교통 시스템-응용 아이디(ITS-AID), 무선 접속 유형(RAT)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20. 제102항 내지 제1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에는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3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21. 제1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구성을 완성하였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22. 제101항 내지 제1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에는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6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 유닛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23. 제120항 또는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에는 또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제6 파라미터 조합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 유닛이 포함되는 바,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송신 파라미터;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24. 제123항에 있어서,
    상기 제6 파라미터 조합과 상기 제3 정보가 동일한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25. 제120항 또는 제12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을 구성하는 것을 거절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구성에 실패하였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26.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선택한 제3 파라미터 조합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27.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사용 중인 제4 파라미터 조합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28.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단말 장치와의 사이드링크 연결을 재구성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29.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3 정보를 송신하기 전,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 전의 구성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30.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제3 정보를 송신하기 전, 상기 제2 단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31. 제101항 내지 제1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32. 제101항 내지 제1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 조합에는,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아이디(PSID), 지능 교통 시스템-응용 아이디(ITS-AID), 무선 접속 유형(RAT) 정보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33. 제12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라미터 조합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34. 제126항 또는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라미터 조합에는,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아이디(PSID), 지능 교통 시스템-응용 아이디(ITS-AID), 무선 접속 유형(RAT) 정보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35.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파라미터 조합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 자원 풀의 관련 정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송신 전력 관련 정보 중의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36. 제127항 또는 제13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파라미터 조합에는,
    서비스 품질(QoS) 속성, 전파 방식, 제2 단말 장치 식별 아이디, 목표 주소, 소스 주소, 제공자 서비스 아이디(PSID), 지능 교통 시스템-응용 아이디(ITS-AID), 무선 접속 유형(RAT) 정보 및 제2 단말 장치의 상위 계층이 송신하는 파라미터 구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37. 제101항 내지 제1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데이터 수신 파라미터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SRP);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참조 신호 수신 품질(RSRQ);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의 수신한 신호 강도 지시(RSSI)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38. 제101항 내지 제1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에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와 제3 단말 장치의 사이드링크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3 단말 장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장치.
  139. 단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파라미터 구성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140. 단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32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파라미터 구성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141. 저장 매체에 있어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파라미터 구성 방법을 구현하는,
    저장 매체.
  142. 저장 매체에 있어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32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파라미터 구성 방법을 구현하는,
    저장 매체.
KR1020217011602A 2018-10-19 2019-04-16 파라미터 구성 방법, 단말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2100597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8/111106 2018-10-19
PCT/CN2018/111106 WO2020077645A1 (zh) 2018-10-19 2018-10-19 一种参数配置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PCT/CN2018/112509 WO2020077669A1 (zh) 2018-10-19 2018-10-29 一种参数配置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PCT/CN2018/112509 2018-10-29
PCT/CN2018/117315 WO2020077739A1 (zh) 2018-10-19 2018-11-23 一种参数配置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PCT/CN2018/117315 2018-11-23
PCT/CN2019/082939 WO2020077966A1 (zh) 2018-10-19 2019-04-16 一种参数配置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767A true KR20210059767A (ko) 2021-05-25

Family

ID=7028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602A KR20210059767A (ko) 2018-10-19 2019-04-16 파라미터 구성 방법, 단말 장치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43097B2 (ko)
EP (1) EP3852410B1 (ko)
JP (1) JP7301961B2 (ko)
KR (1) KR20210059767A (ko)
CN (2) CN112586011A (ko)
AU (1) AU2019362939B2 (ko)
WO (2) WO2020077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3600B (zh) * 2021-11-22 2024-05-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侧行链路的切换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及程序产品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1211B (zh) * 2014-09-25 2019-1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方法及装置
WO2016144574A1 (en) * 2015-03-06 2016-09-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link adaptation for device-to-device (d2d) unicast communications
CN117222049A (zh) * 2015-04-08 2023-12-12 苹果公司 用于增强的设备到设备(d2d)的控制信令机制
US9942917B2 (en) * 2015-05-14 2018-04-10 Blackberry Limited Allocating resources for a device-to-device transmission
US10499272B2 (en) * 2015-08-11 2019-12-03 Intel Corporation Measurement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CN108029115B (zh) * 2015-09-15 2021-10-08 Lg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在终端之间的直接通信方法及其设备
CN108605213B (zh) 2016-02-05 2021-09-0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侧链路通信的允许
EP3206452B1 (en) * 2016-02-10 2019-10-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Priority-optimized sidelink data transfer in the case of autonomous resource allocation in lte prose communication
JP6911832B2 (ja) * 2016-03-23 2021-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通信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3437339B1 (en) * 2016-03-30 2022-05-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wireless unit for v2x communication
CN108605250B (zh) * 2016-04-05 2021-05-04 华为技术有限公司 QoS生成方法、设备以及系统
CN107370561A (zh) 2016-05-13 2017-11-2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车联网通信中pscch的发送方法及设备
EP3934320B1 (en) * 2016-06-03 2024-03-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V2x messag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925018B2 (en) * 2016-06-22 2021-0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CN107580340B (zh) 2016-07-05 2020-01-17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v2x网络中的资源调度方法
KR20180036476A (ko) * 2016-09-30 2018-04-09 주식회사 아이티엘 V2x를 위한 자원 풀 결정 방법 및 장치
WO2018086582A1 (en) * 2016-11-11 2018-05-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user equipment and application managing function node for managing transfer of message over radio interface
WO2018128209A1 (ko) * 2017-01-09 2018-07-12 엘지전자(주) V2x 통신 장치 및 그의 데이터 통신 방법
CN108401246A (zh) * 2017-02-08 2018-08-14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移动装置群组的连线管理方法
US10484517B2 (en) * 2017-02-10 2019-11-19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of service support for layer 2 based device-to-device relay
US10880938B2 (en) * 2017-02-20 2020-12-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idelink transmission control
CN108632919A (zh) * 2017-03-23 2018-10-09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的电子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CN108923894B (zh) * 2017-03-23 2023-04-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的方法、用户设备、基站、存储介质和系统
KR101982247B1 (ko) * 2017-03-31 2019-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단말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US11140663B2 (en) * 2017-04-03 2021-10-05 Lg Electronics Inc. D2D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method
EP3622765A1 (en) * 2017-05-10 2020-03-18 BlackBerry Limited Resource configurations and scheduling of direct transmissions in multi-network environments
US10659936B2 (en) * 2017-06-23 2020-05-19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vehicle-to-everything radio access technology migration
US11025374B2 (en) * 2017-08-04 2021-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and feedback in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US10785013B2 (en) * 2017-08-11 2020-09-22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y-based carrier selection in distributed wireless networks
CN110169160B (zh) * 2017-09-14 2022-07-29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v2x通信的方法及其设备
US11818568B2 (en) * 2018-08-03 2023-1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ference signal management for sidelink radio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01961B2 (ja) 2023-07-03
AU2019362939B2 (en) 2022-06-02
AU2019362939A1 (en) 2021-05-20
EP3852410A1 (en) 2021-07-21
US11943097B2 (en) 2024-03-26
CN112586011A (zh) 2021-03-30
US20210203548A1 (en) 2021-07-01
WO2020077669A1 (zh) 2020-04-23
WO2020077645A1 (zh) 2020-04-23
CN113132954B (zh) 2022-12-09
EP3852410B1 (en) 2023-12-06
JP2022502979A (ja) 2022-01-11
CN113132954A (zh) 2021-07-16
EP3852410A4 (en)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1552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US11991559B2 (en) Conges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118566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obility of terminal, and terminal
US202200535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first and second terminal devices
US11706623B2 (en) Communication method in vehicle to everything,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EP3930418B1 (en) Link re-establishment method and terminal devices
KR20220129577A (ko) 비연속 수신 파라미터의 처리 방법, 저장 매체 및 처리
CN112789891B (zh) 无线通信方法、装置和终端设备
WO2021088007A1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1943097B2 (en)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20329985A1 (en) Method for switching transmission mode and core network element
WO2020077966A1 (zh) 一种参数配置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7199540B2 (ja) データ処理の方法、機器および記憶媒体
KR20210076926A (ko) 연결 구성 방법,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WO2020223898A1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网络设备
TW202015482A (zh) 通訊方法和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