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710A - 핸드 오버 처리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핸드 오버 처리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710A
KR20210059710A KR1020217006664A KR20217006664A KR20210059710A KR 20210059710 A KR20210059710 A KR 20210059710A KR 1020217006664 A KR1020217006664 A KR 1020217006664A KR 20217006664 A KR20217006664 A KR 20217006664A KR 20210059710 A KR20210059710 A KR 20210059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vice
target network
connection
terminal device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 요우
치엔시 루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9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hand-off failure or re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04W36/0038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of security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4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 오버 처리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칩,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하고,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가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핸드 오버 처리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본 발명은 정보 처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 오버 처리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칩,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과정에 있어서, 핸드 오버 과정에서 핸드 오버 실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핸드 오버 실패의 원인은 T304 타임아웃, T307 타임아웃, T312 타임아웃 등이며, 핸드 오버 실패 후 핸드 오버를 재시작하려면 LTE가 무선 링크 실패(RLF) 처리 과정을 시작할 필요가 있고, 이때,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기지국에 머물거나 다른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 오버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지만, 이 과정은 일정한 시간이 소요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처리를 신속하게 완료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핸드 오버 처리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칩,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가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단계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제 4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5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제 1 통신 유닛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가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다.
제 6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2 통신 유닛과 제 2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제 2 통신 유닛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고,
제 2 처리 유닛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통신 유닛을 통해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다.
제 7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3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제 3 통신 유닛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여기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제 8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4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제 4 통신 유닛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제 9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해당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제 1 양태 또는 그 다양한 실시 방식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 10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해당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상기 제 2 양태 또는 그 다양한 실시 방식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 11 양태로서,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하나 또는 그 다양한 양태의 방법을 구현하는 칩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칩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호출하고 실행하여, 칩이 탑재된 디바이스에 제 1 양태에서 제 2 양태 중 하나 또는 그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제 12 양태로서,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하나 또는 그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 13 양태로서,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하나 또는 그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제 14 양태로서, 컴퓨터에서 실행되면,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2 양태 중 하나 또는 그 다양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실행하는 단계에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연결 핸드 오버에 실패하면, 여전히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간 후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을 시작하거나, 또는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따라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는 핸드 오버가 실패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신속하게 재확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의 모식도 1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핸드 오버 처리 시나리오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구성도 1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구성도 2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칩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의 모식도 2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동을 하지 않고 얻을 수 있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은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또는 글로벌 상호 연결 마이크로 웨이브 액세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및 5G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예시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해당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단말기 디바이스(120)(또는 통신 단말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대해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커버리지 영역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또는 WCDMA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NodeB, NB), 또는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네트워크 디바이스(Evolutional Node Base, EB 또는 eNodeB)일 수 있다.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이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바일 교환 센터,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허브, 교환기, 브리지(bridge), 라우터,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의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해당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말기 디바이스"로서, 공중 전화 통신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케이블 직접 연결 등의 유선 회선을 통한 연결; 및 다른 데이터 연결 및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 및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VB-H 네트워크 등의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방송 송신기 등의 무선 인터페이스; 및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장치;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예는 위성 또는 셀룰러 전화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셀룰러 무선 전화를 데이터 처리, 팩시밀리 및 데이터 통신 능력과 결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기와 조합할 수 있고, 무선 전화,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웹 브라우저, 메모장, 달력 및/또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PDA; 기존의 랩탑 및 팜탑형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디바이스(User Equipment, 단말기 디바이스),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르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핸드 헬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유닛, 차내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진화형 PLMN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 사이에서 디바이스투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 통신이 진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5G 네트워크는 또한 엔알(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두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다른 수량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성 관리 엔티티 등의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시스템의 통신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를 통신 디바이스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100)을 예로 들면, 통신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 및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110) 및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상술한 구체적인 디바이스일 수 있고,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통신 디바이스는 통신 시스템(100) 내의 다른 디바이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성 관리 엔티티 등의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는 용어이며, 3 가지 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하는 것,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B만 존재하는 것의 3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문자 "/"는 일반적으로 전후의 관련 대상은 "또는"의 관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 및 기술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첨부 도면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201: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단계 202: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가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핸드 오버가 타임아웃된 것, SCG(secondary cell group) 재구성이 타임아웃된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핸드 오버 실패의 원인은 주로, T304 타임아웃, T307 타임아웃, T312 타임아웃을 포함한다.
여기서 T304이 핸드 오버(handover)의 타임아웃이며, T307가 세컨더리 셀 그룹(SCG, secondary cell group) 재구성의 타임아웃을 나타낸다. T304 및 T307의 타이머는 모두 단말기 디바이스가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재구성 메시지에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 Control Info)가 포함된 경우 타이머를 시작하며,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링크 연결 실패로 간주된다.
T312는 랜덤 액세스 실패, 즉 랜덤 액세스 타임아웃을 나타내고, 그 타이머는 측정 보고에 의해 트리거되어 시작되고, 해당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로 돌아가거나 또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처리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핸드 오버의 실행 단계에서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에 의해 측정을 실행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결과를 보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기 디바이스를 위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한 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요청을 시작한 경우, 동시에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제 1 프로토콜 스택 및 제 1 관련 키를 저장하고,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제 2 프로토콜 스택 및 제 2 관련 키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관련 키와 제 2 관련 키가 상이하다. 제 2 관련 키는 제 1 관련 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로토콜 스택과 제 2 프로토콜 스택은 같을 수 있고, 또는 다를 수도 있고, 또는 적어도 일부가 다를 수 있고, 예를 들면, 5G 시스템인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는 상이한 서비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SDAP,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상이한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이한 무선 링크 계층 제어 프로토콜(RLC, Radio Link Control), 상이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엔티티, 상이한 하위 계층(Low layer) 엔티티를 유지하고, 4G 시스템인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는 상이한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이한 무선 링크 계층 제어 프로토콜(RLC, Radio Link Control), 상이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엔티티, 상이한 하위 계층(Low layer) 엔티티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후,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확립하는 처리는, 구체적으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선정된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따라,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준비 과정을 재시작하고,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측정 보고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하도록 요청한다. 즉,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보고는 소스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가 핸드 오버 측정 및 측정 결과 보고 등의 처리 등을 실행하도록 다시 트리거될 수 있고, 이전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보고한 측정 보고에 따라 제 2 타겟 기지국을 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기 전에,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후, 상기 방법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의 실패를 통지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즉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하기 전에,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후,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실패를 통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후속 처리를 진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또한 다른 처리 방식을 제공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할 수 있는 경우, 핸드 오버 준비로부터 핸드 오버 처리까지의 단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그중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핸드 오버 지시에 복수의 선택 가능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재구성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재구성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일 수 있고,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핸드 오버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요청을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의하는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기 디바이스가 단계 201을 실행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한 다음,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한다.
또한,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처리를 재확립하고,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할 수 있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간 후,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재선정할 필요가 없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이전에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따라,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정보는 또한 이동성 제어 정보, 새로운 C-RNTI,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큐리티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핸드 오버의 처리 프로세스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고,
핸드 오버 준비 단계는 도 3의 단계 1-6를 포함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측정 제어를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셀에 대해 측정을 실행한 후,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보고를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측정 보고(또는 RRM 정보를 참조함)에 따라 핸드 오버를 결정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준비하도록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요청에 따라 핸드 오버 허용 제어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실행하도록 결정할 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핸드 오버 요청 확인을 송신한다. 다음, 핸드 오버 실행 단계를 실행하고, 도 3의 단계 7-11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RC 정보를 생성하고, RRC 정보를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연결 재구성 정보에 따라 핸드 오버 처리를 실행하고, 다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SN 상태 전송을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기화되고, 다음,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수신하여 UL 할당을 진행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마지막으로 핸드 오버 완료 단계에 진입하고, 도 3의 12-18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MME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셀 변경을 MME에 통지하고, MME가 서빙 게이트웨이에 베어러 조정 요청을 송신하고, MME가 하향 경로 핸드 오버 처리를 진행하고, 서빙 게이트웨이가 처리를 완료한 후, MME에 베어러 조정 완료 처리를 송신하고, MME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의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 컨텍스트 해제를 통지하여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리소스를 해제한다.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기 전에,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후, 단말기 디바이스가 또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실패를 통지하고, 이를 통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후속 처리를 진행할 수 있고, 물론, 해당 시나리오에서 또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 실패를 통지하지 않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직접 선정하면 된다.
또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할 때, 상기 방법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의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처리 과정에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후, 상기 방법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의 확립이 성공한 경우,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선정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에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선정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시작하는 연결에 따라 핸드 오버 후속 동작을 실행하고, 예를 들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기화된 후,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수신하여 UL 할당을 진행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 정보를 송신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MME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셀 변경을 MME에 통지하고, MME가 서빙 게이트웨이에 베어러 조정 요청을 송신하고, MME에 의해 하향 경로의 핸드 오버 처리를 진행하고, 서빙 게이트웨이가 처리를 완료한 후, MME에 베어러 조정 완료 처리를 송신하고, MME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의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해제를 통지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리소스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는 단지 LTE 시나리오에서의 핸드 오버 처리 방식의 예이며, LTE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MME이며, 본 실시예는 LTE 시나리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엔알(New Radio, NR) 시나리오에도 적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MME(Mobile Management Entity)에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UPF(User Plane Function)로 변경되고, 본 실시예는 상이한 시나리오를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할 것을 기대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중 하나의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여 랜덤 액세스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하는 경우, T304가 타임아웃되거나 또는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가 실패한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기초상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명령어 HO command의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구성된 다른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두 번째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랜덤 액세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고,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핸드 오버가 실패할 때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직접 선정하여 핸드 오버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핸드 오버 처리의 0 지연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일 수 있고, 물론, 다른 디바이스일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시나리오는, 단말기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 단말기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성공한 것, 세컨더리 셀 그룹(SCG) 연결이 실패하고, SCG 연결 변경이 실패한 것이다. 물론, 복수의 SCG가 구성된 시나리오에서, 하나의 SCG 연결이 실패한 것, 복수의 타겟 셀이 구성된 시나리오에서, 하나의 타겟 셀 연결이 실패한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도 존재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상기의 기술적 해결책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진행하는 단계에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핸드 오버에 실패한 경우, 여전히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가고,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하고, 이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가 실패한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여,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신속하게 재확립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401: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고,
단계 402: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핸드 오버가 타임아웃된 것, SCG 재구성이 타임아웃된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핸드 오버 실패의 원인은 주로, T304 타임아웃, T307 타임아웃, T312 타임아웃을 포함한다.
여기서, T304는 핸드 오버(handover)의 타임아웃이며, T307는 세컨더리 셀 그룹(SCG) 재구성의 타임아웃을 나타낸다. T304 및 T307의 타이머는 모두 단말기 디바이스가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재구성 메시지에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 Control Info)가 포함될 때 타이머를 시작하며,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링크 연결 실패로 간주된다.
T312는 랜덤 액세스 실패, 즉 랜덤 액세스 타임아웃을 나타내고, 그 타이머는 측정 보고에 의해 트리거되어 시작되고, 해당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로 돌아가거나 또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처리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핸드 오버 실행 단계에서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에 의해 측정을 실행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결과를 보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한 후 실행한다.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본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본 실시예는 또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포함된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재구성 메시지가 RRC 연결 재구성 정보일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 정보의 취득 방식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할 수 있는 경우, 핸드 오버 준비로부터 핸드 오버 처리까지의 단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그중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핸드 오버가 필요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요청을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의하는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따라,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한 후,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정보는 또한, 이동성 제어 정보, 새로운 C-RNTI,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큐리티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핸드 오버의 처리 과정은 도 3과 같이 다음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핸드 오버 준비 단계는 도 3의 단계 1-6을 포함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측정 제어를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셀에 대한 측정을 진행한 후,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보고를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측정 보고(또는 RRM 정보를 참조)에 따라 핸드 오버 결정을 진행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준비하도록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요청에 따라 핸드 오버 허용 제어를 진행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실행한다고 결정할 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핸드 오버 요청 확인을 송신한다. 다음, 진행하는 핸드 오버 실행 단계는 도 3의 단계 7-11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RC 정보를 생성하고, RRC 정보를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연결 재구성 정보에 따라 핸드 오버 처리를 진행하고, 다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SN 상태 전송을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기화한 후,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수신하여 UL 할당을 진행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마지막으로 진입한 핸드 오버 완료 단계는, 도 3의 단계 12-18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MME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셀 변경을 MME에 통지하고, MME가 서빙 게이트웨이에 베어러 조정 요청을 송신하고, MME가 핸드 오버 하향 경로 처리를 진행하고, 서빙 게이트웨이가 처리를 완료한 후, MME에 베어러 조정 완료 처리를 송신하고, MME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의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해제를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리소스를 해제한다.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시작하는 연결에 따라 핸드 오버 이후의 동작을 진행하고, 예를 들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기화된 후,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수신하여 UL 할당을 진행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 정보를 송신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MME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셀 변경을 MME에 통지하고, MME가 서빙 게이트웨이에 베어러 조정 요청을 송신하고, MME가 핸드 오버 하향 경로 처리를 진행하고, 서빙 게이트웨이가 처리를 완료한 후, MME에 베어러 조정 완료 처리를 송신하고, MME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해제를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리소스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의 예는 단지 LTE의 시나리오의 핸드 오버 처리 방식이며, LTE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MME이며, 본 실시예는 LTE 시나리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엔알(New Radio, NR) 시나리오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 경우,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MME에서 AMF, UPF로 변경되고, 본 실시예는 상이한 시나리오를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할 때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며, 또는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슬레이브 노드(SN, secondary node)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마스터 노드(MN, master node)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시나리오는, 복수의 SCG가 구성된 시나리오에서, 하나의 SCG의 연결이 실패한 것, 복수의 타겟 셀이 구성된 시나리오에서, 하나의 타겟 셀의 연결이 실패한 것에 적용될 수 있고. 다른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도 존재할 수 있고, 본 실시예는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듀얼 연결(DC) 또는 다중 연결 시나리오에서, 마스터 노드(MN)가 측정 결과에 따라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SN)를 선정하여 슬레이브 노드 추가 요청(SN addition request) 또는 슬레이브 노드 조정 요청(SN Modification request)을 시작하고, 이때, 단말기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타겟 SN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제 1 타겟 SN, 즉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추가 또는 변경이 실패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SN, 즉,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변경하여 랜드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기술적 해결책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실행하는 단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핸드 오버 연결이 실패한 경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재선정하여 연결을 시작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가 실패할 때 연결을 신속하게 재시작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여기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핸드 오버가 타임아웃된 것, SCG 재구성이 타임아웃된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핸드 오버 실패의 원인은 주로, T304 타임아웃, T307 타임아웃, T312 타임아웃을 포함한다.
여기서, T304가 핸드 오버(handover)의 타임아웃이며, T307가 세컨더리 셀 그룹(SCG) 재구성의 타임아웃을 나타낸다. T304 및 T307의 타이머는 모두 단말기 디바이스가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재구성 메시지에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 Control Info)가 포함될 때 타이머를 시작하며,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링크 연결 실패로 간주된다.
T312는 랜덤 액세스 실패, 즉 랜덤 액세스 타임아웃을 나타내고, 그 타이머는 측정 보고에 의해 트리거되어 시작되고, 해당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로 돌아가거나 또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처리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핸드 오버 실행 단계에서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에 의해 측정을 완료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결과를 보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한 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 요청을 시작한 경우, 동시에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제 1 프로토콜 스택 및 제 1 관련 키를 저장하고,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제 2 프로토콜 스택 및 제 2 관련 키를 유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관련 키와 제 2 관련 키가 상이하다. 제 2 관련 키는 제 1 관련 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로토콜 스택과 제 2 프로토콜 스택은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고, 또는 적어도 일부가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면, 5G 시스템인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는 상이한 서비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SDAP,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상이한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이한 무선 링크 계층 제어 프로토콜(RLC, Radio Link Control), 상이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엔티티, 상이한 하위 계층(Low layer) 엔티티를 유지할 수 있고, 4G 시스템인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는 상이한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이한 무선 링크 계층 제어 프로토콜(RLC, Radio Link Control), 상이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엔티티, 상이한 하위 계층(Low layer) 엔티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연결이 실패한 후,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 처리를 재확립할 수 있다.
이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준비 프로세스를 재시작하고,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측정 보고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 하도록 요청한다. 즉,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보고는 소스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가 핸드 오버 측정 및 측정 결과 보고 등의 처리 등을 실행하도록 다시 트리거할 수 있거나, 이전에 단말기 디바이스가 보고한 측정 보고에 따라 제 2 타겟 기지국을 선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선정 방식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측정 보고에 따라,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랜덤으로 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핸드 오버 처리를 시작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측정 보고를 취득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연결을 재시작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전에 취득된 측정 보고 중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 요청을 시작할 수 있으며,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할 필요가 있는 경우, 네트워크 측이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랜덤으로 선정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전에,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후, 상기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연결이 실패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즉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하기 전에,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후,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실패를 통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이후의 처리를 진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다른 처리 방식을 더 제공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할 수 있는 경우, 핸드 오버 준비로부터 핸드 오버 처리까지의 단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그중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핸드 오버 지시에 복수의 선택 가능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재구성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재구성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일 수 있고,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핸드 오버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요청을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의하는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연결의 확립이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 또는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선정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간 후,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다시 선정할 필요가 없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이전에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따라,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한 후,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정보는 이동성 제어 정보, 새로운 C-RNTI,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큐리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핸드 오버 처리 프로세스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을 수 있고,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고,
핸드 오버 준비 단계는 도 3의 단계 1-6을 포함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측정 제어를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셀에 대한 측정을 실행한 후,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보고를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측정 보고(또는 RRM 정보를 참조)에 따라 핸드 오버 결정을 진행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준비하도록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요청에 따라 핸드 오버 허용 제어를 진행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실행한다고 결정할 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핸드 오버 요청 확인을 송신한다. 다음, 핸드 오버 실행 단계는 도 3의 단계 7-11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RC 정보를 생성하고, RRC 정보를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연결 재구성 정보에 따라 핸드 오버 처리를 진행하고, 다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SN 상태 전송을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기화하고, 다음,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수신하여 UL 할당을 진행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 정보를 송신하고, 마지막으로 진입하는 핸드 오버 완료 단계는, 도 3의 단계 12-18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MME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셀 변경을 MME에 통지하고, MME가 서빙 게이트웨이에 베어러 조정 요청을 송신하고, MME가 하향 경로 핸드 오버 처리를 진행하고, 서빙 게이트웨이가 처리를 완료한 후, MME에 베어러 조정 완료 처리를 송신하고, MME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해제를 통지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리소스를 해제한다.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기 전에,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후, 단말기 디바이스가 또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실패를 통지하고, 이를 통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이후의 처리를 진행할 수 있고, 물론, 해당 시나리오에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 실패를 통지하지 않을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직접 선정하면 된다.
또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할 때, 상기 방법은 또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의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처리 과정에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후, 상기 방법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의 확립이 성공한 경우,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선정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에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선정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가 시작하는 연결에 따라 핸드 오버 후속 동작을 실행하고, 예를 들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기화한 후,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수신하여 UL 할당을 진행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 정보를 송신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MME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셀 변경을 MME에 통지하고, MME가 서빙 게이트웨이에 베어러 조정 요청을 송신하고, MME가 하향 경로 핸드 오버 처리를 진행하고, 서빙 게이트웨이가 처리를 완료한 후, MME에 베어러 조정 완료 처리를 송신하고, MME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의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해제를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리소스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는 단지 LTE 시나리오에서의 핸드 오버 처리 방식의 예이고, LTE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MME이며, 본 실시예는 LTE 시나리오에 한정되지 않으며, NR(New Radio) 시나리오에도 적용될 수 있고, 이때,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MME에서 AMF, UPF로 변경되고, 본 실시예가 상이한 시나리오를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할 것을 기대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중 하나의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여 랜덤 액세스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하는 경우, T304이 타임아웃되거나 또는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가 실패한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기초상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명령어 HO command의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구성된 다른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두 번째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던 액세스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시나리오는, 단말기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 단말기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성공한 것, 세컨더리 셀 그룹(SCG) 연결이 실패하고, SCG 연결 변경이 실패한 것일 수 있다. 물론, 복수의 SCG 시나리오가 구성되어 있고, 하나의 SCG 연결이 실패한 것, 복수의 타겟 셀이 구성되어 있는 시나리오에서, 하나의 타겟 셀의 연결에 실패한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도 존재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상기의 기술적 해결책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실행하는 단계에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연결 핸드 오버에 실패한 경우, 여전히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가고,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하고, 이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가 실패할 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신속하게 재확립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핸드 오버가 타임아웃된 것, SCG 재구성이 타임아웃된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핸드 오버 실패의 원인은 주로, T304 타임아웃, T307 타임아웃, T312 타임아웃을 포함한다.
여기서, T304이 핸드 오버(handover)의 타임아웃이며, T307가 세컨더리 셀 그룹(SCG) 재구성의 타임아웃을 나타낸다. T304 및 T307 타이머는 모두 단말기 디바이스가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재구성 메시지에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 Control Info)가 포함될 때 타이머를 시작하며,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링크 연결 실패로 간주된다.
T312는 랜덤 액세스 실패, 즉 랜덤 액세스 타임아웃을 나타내고, 그 타이머는 측정 보고에 의해 트리거되어 시작되고,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로 돌아가거나 또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처리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핸드 오버 실행 단계에서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에 의해 측정을 완료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결과를 보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한 후 실행한다.
본 실시예와 실시예 3의 차이점은, 본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진행할 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포함된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재구성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 정보일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방식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할 수 있는 경우, 핸드 오버 준비로부터 핸드 오버 처리까지의 단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그중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핸드 오버가 필요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요청을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의하는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따라,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한 후,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정보는, 이동성 제어 정보, 새로운 C-RNTI,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큐리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핸드 오버 처리 과정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고,
핸드 오버 준비 단계가 도 3의 단계 1-6를 포함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측정 제어를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셀에 대해 측정을 실행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보고를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측정 보고(또는 RRM 정보를 참조)에 따라 핸드 오버를 결정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준비하도록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요청에 따라 핸드 오버 허용 제어를 진행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실행한다고 결정할 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핸드 오버 요청 확인을 송신한다. 다음, 핸드 오버 실행 단계는, 도 3의 단계 7-11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RC 정보를 생성하고, RRC 정보를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수신한 후, 연결 재구성 정보에 따라 핸드 오버 처리를 진행하고, 다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SN 상태 전송을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기화하고, 다음,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수신하여 UL 할당을 진행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 정보를 송신한다. 마지막으로 진입하는 핸드 오버 완료 단계는, 도 3의 단계 12-18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MME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셀 변경을 MME에 통지하고, MME가 서빙 게이트웨이에 베어러 조정 요청을 송신하고, MME가 하향 경로 핸드 오버 처리를 진행하고, 서빙 게이트웨이가 처리를 완료한 후, MME에 베어러 조정 완료 처리를 송신하고, MME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의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해제를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리소스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의 예는 단지 LTE의 시나리오에서의 핸드 오버 처리 방식이며, LTE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MME이며, 본 실시예는 LTE의 시나리오에 한정되지 않으며, NR(New Radio) 시나리오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 경우,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MME에서 AMF, UPF로 변경되고, 본 실시예가 다른 시나리오를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시나리오는, 복수의 SCG 시나리오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SCG 연결이 실패한 것, 복수의 타겟 셀이 배치되어 있는 시나리오에서, 하나의 타겟 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도 존재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듀얼 연결(DC) 또는 다중 연결 시나리오에서, 마스터 노드(MN)가 측정 결과에 따라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SN)를 선정하여 슬레이브 노드 추가 요청(SN addition request) 또는 슬레이브 노드 조정 요청(SN Modification request)를 시작하고, 이때, 단말기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타겟 SN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제 1 타겟 SN, 즉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추가 또는 변경이 실패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SN로 변경, 즉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기술적 해결책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핸드 오버 연결이 실패한 경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재선정하여 연결을 시작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가 실패한 경우에 연결을 신속하게 재시작할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통신 유닛(51)을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통신 유닛(51)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하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가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핸드 오버가 타임아웃된 것, SCG 재구성이 타임아웃된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핸드 오버 실패의 원인은 주로, T304 타임아웃, T307 타임아웃, T312 타임아웃을 포함한다.
여기서, T304은 핸드 오버(handover)의 타임아웃이며, T307은 세컨더리 셀 그룹(SCG) 재구성의 타임아웃을 나타낸다. T304 및 T307의 타이머는 모두 단말기 디바이스가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재구성 메시지에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 Control Info)가 포함된 경우 타이머를 시작하며,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링크 연결 실패로 간주된다.
T312는 랜덤 액세스 실패, 즉 랜덤 액세스 타임아웃을 나타내고, 그 타이머는 측정 보고에 의해 트리거되어 시작되고, 해당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로 돌아가거나 또는 연결 재설정 과정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처리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핸드 오버 실행 단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에 의해 측정을 완료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결과를 보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한 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 요청을 시작할 경우, 동시에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제 1 처리 유닛(52)을 더 포함하고,
제 1 처리 유닛(52)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제 1 프로토콜 스택 및 제 1 관련 키를 저장하고,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제 2 프로토콜 스택 및 제 2 관련 키를 유지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관련 키와 제 2 관련 키가 상이하다. 제 2 관련 키는 제 1 관련 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로토콜 스택 및 제 2 프로토콜 스택은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고, 또는 적어도 일부가 상이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5G 시스템인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는 상이한 서비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SDAP,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상이한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이한 무선 링크 계층 제어 프로토콜(RLC, Radio Link Control), 상이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엔티티, 상이한 하위 계층(Low layer) 엔티티를 유지할 수 있고, 4G 시스템인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는 상이한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이한 무선 링크 계층 제어 프로토콜(RLC, Radio Link Control), 상이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엔티티, 상이한 하위 계층(Low layer) 엔티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후,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처리를 재확립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선정된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따라,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확립하는 처리는, 제 1 처리 유닛(52)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선정된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따라,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을 재시작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준비 프로세스를 재시작하고,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측정 보고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 하도록 요청한다. 즉,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재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보고는 소스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가 핸드 오버 측정 및 측정 결과 보고 등의 처리 등을 실행하도록 다시 트리거할 수 있고, 이전에 단말기 디바이스가 보고한 측정 보고에 따라 제 2 타겟 기지국을 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기 전에,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후, 상기 제 1 처리 유닛(52)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즉,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즉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하기 전에,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후,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실패를 통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이후의 처리를 진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다른 처리 방식을 더 제공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할 수 있는 경우, 핸드 오버 준비로부터 핸드 오버 처리까지의 단계에서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그중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핸드 오버 지시에 복수의 선택 가능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재구성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재구성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일 수 있고,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핸드 오버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요청을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의하는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확립하는 처리는, 제 1 처리 유닛(52)이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1 통신 유닛(51)을 통해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하는 것이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간 후,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재선정할 필요가 없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이전에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따라,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정보는, 이동성 제어 정보, 새로운 C-RNTI,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큐리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 할 때, 상기 제 1 통신 유닛(51)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한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처리 과정에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후, 상기 제 1 통신 유닛(51)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의 확립이 성공한 경우,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선정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에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선정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가 시작하는 연결에 따라 핸드 오버 후속 동작을 실행하고, 예를 들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기화한 후,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수신하여 UL 할당을 실시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 정보를 송신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MME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셀 변경을 MME에 통지하고, MME가 서빙 게이트웨이에 베어러 조정 요청을 송신하고, MME가 하향 경로 핸드 오버 처리를 진행하고, 서빙 게이트웨이가 처리를 완료한 후, MME에 베어러 조정 완료 처리를 송신하고, MME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의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해제를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리소스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는 LTE 시나리오에서의 핸드 오버 처리 방식을 예로 들고, LTE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MME이며, 본 실시예는 LTE 시나리오에 한정되지 않으며, NR(New Radio) 시나리오에도 적용 가능하고, 이 경우,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MME에서 AMF, UPF로 변경되고, 본 실시예는 상이한 시나리오를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시나리오는, 단말기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 단말기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을 해제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성공한 것, 세컨더리 셀 그룹(SCG) 연결이 실패하고, SCG 연결 변경이 실패한 것일 수 있다. 물론, 복수의 SCG 시나리오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SCG 연결이 실패한 것, 복수의 타겟 셀이 배치되어 있는 시나리오에서 하나의 타겟 셀이 연결에 실패한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도 존재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상기의 기술적 해결책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실행하는 단계에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때문에,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연결 핸드 오버에 실패한 경우, 여전히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가고, 이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가 실패한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신속하게 재확립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2 통신 유닛(61) 및 제 2 처리 유닛(62)을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통신 유닛(61)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고
제 2 처리 유닛(62)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통신 유닛을 통해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을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핸드 오버가 타임아웃된 것, SCG 재구성이 타임아웃된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핸드 오버 실패의 원인은 주로, T304 타임아웃, T307 타임아웃, T312 타임아웃을 포함한다.
여기서, T304은 핸드 오버(handover)의 타임아웃이며, T307는 세컨더리 셀 그룹(SCG) 재구성의 타임아웃을 나타낸다. T304 및 T307 타이머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재구성 메시지에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 Control Info)가 포함된 경우 타이머를 시작하며,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링크 연결 실패로 간주된다.
T312는 랜덤 액세스 실패, 즉 랜덤 액세스 타임아웃을 나타내고, 그 타이머는 측정 보고에 의해 트리거되어 시작되고, 해당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로 돌아가거나 또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처리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핸드 오버를 실행하는 단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에 의해 측정을 완료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결과를 보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한 후 실행한다.
본 실시예와 실시예 1의 차이점은, 본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할 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본 실시예는 제 2 통신 유닛(61)을 더 포함하고, 제 2 통신 유닛(61)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포함된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재구성 메시지가 RRC 연결 재구성 정보일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 정보 취득 방식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할 수 있는 경우, 핸드 오버 준비로부터 핸드 오버 처리까지의 단계에서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그중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핸드 오버가 필요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요청을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의하는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따라,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정보는 이동성 제어 정보, 새로운 C-RNTI,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큐리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시작하는 연결에 따라 핸드 오버의 후속 동작을 실행하고, 예를 들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기화한 후,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수신하고 UL 할당을 실시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 정보를 송신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MME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셀 변경을 MME에 통지하고, MME가 서빙 게이트웨이에 베어러 조정 요청을 송신하고, MME가 하향 경로 핸드 오버 처리를 진행하고, 서빙 게이트웨이가 처리를 완료한 후, MME에 베어러 조정 완료 처리를 송신하고, MME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경료 핸드 오버 요청의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해제를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리소스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의 예는 LTE의 시나리오에서의 핸드 오버 처리 방식이며, LTE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MME이며, 본 실시예는 LTE 시나리오에 한정되지 않으며, NR(New Radio) 시나리오에도 적용 가응하며, 이 경우,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MME에서 AMF, UPF로 변경되고, 본 실시예가 상이한 시나리오를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할 때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며, 또는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슬레이브 노드(SN)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마스터 노드(MN)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시나리오는, 복수의 SCG 시나리오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SCG 연결이 실패한 것, 복수의 타겟 셀이 배치되어 있는 시나리오에서 하나의 타겟 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도 존재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듀얼 연결(DC) 또는 다중 연결 시나리오에서, 마스터 노드(MN)가 측정 결과에 따라 복수의 슬레이브 노드(SN)를 선정하여 슬레이브 노드 추가 요청(SN addition request) 또는 슬레이브 노드 조정 요청(SN Modification request)을 시작하고, 이때 단말기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타겟 SN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제 1 타겟 SN, 즉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추가 또는 변경이 실패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SN로 변경하고, 즉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기술적 해결책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실행하는 단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핸드 오버 연결이 실패한 경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재선정하여 연결을 시작하기 때문에,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실패한 경우에 연결을 신속하게 재시작할 수 있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3 통신 유닛(71)을 포함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통신 유닛(71)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에 실패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여기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핸드 오버가 타임아웃된 것, SCG 재구성이 타임아웃된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핸드 오버의 실패의 원인은 주로, T304 타임아웃, T307 타임아웃, T312 타임아웃을 포함한다.
여기서, T304은 핸드 오버(handover)의 타임아웃이며, T307은 세컨더리 셀 그룹(SCG) 재구성의 타임아웃을 나타낸다. T304 및 T307 타이머는 모두 단말기 디바이스가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재구성 메시지에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 Control Info)가 포함된 경우, 타이머를 시작하며,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링크 연결 실패로 간주된다.
T312는 랜덤 액세스 실패, 즉 랜덤 액세스 타임아웃을 나타내고, 그 타이머는 측정 보고에 의해 트리거되어 시작되고, 해당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로 돌아가거나 또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처리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핸드 오버를 실행하는 단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에 의해 측정을 완료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결과를 보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한 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 요청을 시작한 경우, 동시에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 3 처리 유닛(72)을 더 포함하고,
제 3 처리 유닛(72)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제 1 프로토콜 스택 및 제 1 관련 키를 저장하고,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제 2 프로토콜 스택 및 제 2 관련 키를 유지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관련 키와 제 2 관련 키가 상이하다. 제 2 관련 키는 제 1 관련 키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프로토콜 스택과 제 2 프로토콜 스택은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고, 또는 적어도 일부가 상이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5G 시스템인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는 상이한 서비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SDAP, 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상이한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이한 무선 링크 계층 제어 프로토콜(RLC, Radio Link Control), 상이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엔티티, 상이한 하위 계층(Low layer) 엔티티를 유지할 수 있고, 4G 시스템인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는 상이한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상이한 무선 링크 계층 제어 프로토콜(RLC, Radio Link Control), 상이한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엔티티, 상이한 하위 계층(Low layer) 엔티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후,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확립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확립하는 처리는, 제 3 통신 유닛(71)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선정된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따라,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을 재시작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준비 프로세스를 재시작하고,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측정 보고에 따라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 하도록 요청한다. 즉,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보고는 소스 기지국에 의해 단말기가 핸드 오버 측정 및 측정 결과 보고 등의 처리 등을 실행하도록 다시 트리거할 수 있거나, 이전에 단말기 디바이스가 보고한 측정 보고에 따라 제 2 타겟 기지국을 선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선정 방식은, 제 3 통신 유닛(71)이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측정 보고에 따라,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랜덤으로 선정하는 것 중 하나이다.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핸드 오버 처리를 시작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의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측정 보고를 취득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연결을 재시작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전에 취득한 측정 보고의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하여,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연결 요청을 시작할 수 있으며,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경우, 네트워크 측이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랜덤으로 선정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전에,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후, 제 3 통신 유닛(71)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연결이 실패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즉,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즉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하기 전에,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실패를 통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이후의 처리를 진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다른 처리 방식을 더 제공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할 수 있는 경우, 핸드 오버 준비로부터 핸드 오버 처리까지의 단계에서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그중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핸드 오버 지시에 복수의 선택 가능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재구성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재구성 메시지가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일 수 있고,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핸드 오버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요청을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의하는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연결의 확립이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 또는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선정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간 후,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할 필요가 없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이전에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따라,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정보는 이동성 제어 정보, 새로운 C-RNTI,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큐리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기 전에,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후, 상기 제 3 통신 유닛(71)은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연결이 실패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새로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즉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하기 전에,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 실패를 통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이후의 처리를 진행한다.
또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재시작 할 때, 상기 방법은 또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처리 과정에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후, 상기 제 3 통신 유닛(71)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의 확립이 성공한 경우,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선정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통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에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선정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가 시작하는 연결에 따라 핸드 오버 후속 동작을 실행하고, 예를 들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기화한 후,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수신하고 UL 할당을 실시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완료 정보를 송신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MME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셀 변경을 MME에 통지하고, MME가 서빙 게이트웨이에 베어러 조정 요청을 송신하고, MME가 하향 경로 핸드 오버 처리를 실시하고, 서빙 게이트웨이가 처리를 완료한 후, MME에 베어러 조정 완료 처리를 송신하고, MME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경로 핸드 오버 요청의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단말기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해제를 송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리소스를 해제한다.
또한, 상기는 LTE의 시나리오에서의 핸드 오버 처리 방식을 예로 들고, LTE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MME이며, 본 실시예는 LTE 시나리오에 한정되지 않으며, NR(New Radio) 시나리오에도 적용 가능하고, 이때,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MME에서 AMF, UPF로 변경되고, 본 실시예는 상이한 시나리오를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할 것을 기대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핸드 오버 요청을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중 하나의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여 랜드 액세스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 오버하는 경우, T304가 타임아웃되거나 또는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가 실패한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기초상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명령어 HO command의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구성된 다른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중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랜덤 액세스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시나리오는, 단말기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 단말기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을 해제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성공한 것, 세컨더리 셀 그룹(SCG) 연결이 실패하고, SCG 연결 변경이 실패한 것일 수 있다. 물론, 복수의 SCG 시나리오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SCG 연결이 실패한 것, 복수의 타겟 셀이 구성되어 있는 시나리오에서, 하나의 타겟 셀이 연결에 실패한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도 존재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상기의 기술적 해결책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실행하는 단계에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 디바이스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의 연결 핸드 오버가 실패하면, 여전히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가고, 이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가 실패할 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신속하게 재확립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4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제 4 통신 유닛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핸드 오버가 타임아웃된 것, SCG 재구성이 타임아웃된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핸드 오버 실패의 원인은 주로, T304 타임아웃, T307 타임아웃, T312 타임아웃을 포함한다.
여기서, T304은 핸드 오버(handover)의 타임아웃이며, T307는 세컨더리 셀 그룹(SCG) 재구성의 타임아웃을 나타낸다. T304 및 T307 타이머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또한 재구성 메시지에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 Control Info)가 포함된 경우 타이머를 시작하며,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링크 연결 실패로 간주된다.
T312는 랜덤 액세스 실패, 즉 랜덤 액세스 타임아웃을 나타내고, 그 타이머는 측정 보고에 의해 트리거되어 시작되고, 해당 타이머가 타임아웃되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유휴 상태로 돌아가거나 또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처리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핸드 오버 실행 단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에 의해 측정을 완료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측정 결과를 보고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한 후 실행한다.
본 실시예와 실시예 3의 차이점은, 본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연결할 때,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본 실시예는 제 4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제 4 통신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포함된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여기서, 재구성 메시지는 RRC 연결 재구성 정보일 수 있다. RRC 연결 재구성 정보의 취득 방식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할 수 있는 경우, 핸드 오버 준비로부터 핸드 오버 처리까지의 단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그중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은 도 3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핸드 오버가 필요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측정을 실행하도록 트리거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요청을 송신하고,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의하는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기 디바이스에 RRC 연결 재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따라, RRC 연결 재구성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RRC 연결 재구성 정보는 이동성 제어 정보, 새로운 C-RNTI,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큐리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시나리오는, 복수의 SCG 시나리오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SCG 연결이 실패한 것, 복수의 타겟 셀이 배치되어 있는 시나리오에서 하나의 타겟 셀이 연결에 실패한 것일 수 있고. 다른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도 존재할 수 있고, 본 실시예는 망라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의 기술적 해결책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를 실행하는 단계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핸드 오버 연결이 실패한 경우, 복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재선정하여 연결을 시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 실패한 경우에 연결을 신속하게 재시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디바이스(800)의 구성도이다. 통신 디바이스는 본 실시예의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도 8에 나타낸 통신 디바이스(800)는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프로세서(81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800)는 메모리(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별도의 디바이스일 수 있고, 프로세서(8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800)는 프로세서(810)에 의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기(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8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8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수의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디바이스(800)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해당 통신 디바이스(800)는 간결성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이 생략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디바이스(800)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통신 디바이스(8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칩의 구성도이다. 도 9에 나타낸 칩(900)은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91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칩(900)은 메모리(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920)는 프로세서(910)와 독립적인 별도의 부품일 수 있고, 프로세서(9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900)은 입력 인터페이스(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930)를 제어하여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900)은 출력 인터페이스(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해당 출력 인터페이스(940)를 제어하여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1000)의 블록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시스템(1000)은 단말기 디바이스(101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10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1010)는 상기 방법 중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며,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1020)는 상기 방법 중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되는 해당 기능을 실현하는데 사용되고, 간결을 위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의 실시예의 각각의 단계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어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각각의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는 구현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어 완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저장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하드웨어와 함께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RAM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램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강화형 동기식 동적 램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Direct Rambus RAM: DR RAM) 등 다양한 형식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상기 메모리는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은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확장형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 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이들과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키지만, 간결을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키지만, 간결을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키지만, 간결을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키지만, 간결을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키지만, 간결을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방법 중 이동 단말기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행시키지만, 간결을 위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책의 구체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개시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 구분이고, 실제 구현에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퍼넌트를 결합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거나 또는 설명한 서로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형식, 기계적 형식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내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은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각의 처리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책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저장 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어가 포함된 해당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51)

  1.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가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할 때, 상기 방법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제 1 프로토콜 스택 및 제 1 관련 키를 저장하고,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제 2 프로토콜 스택 및 제 2 관련 키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관련 키와 제 2 관련 키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핸드 오버가 타임아웃된 것,
    세컨더리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 재구성이 타임아웃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후, 상기 방법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의 확립이 성공한 경우,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선정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방법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상기 방법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9.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단계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포함된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핸드 오버가 타임아웃된 것,
    SCG 재구성이 타임아웃된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할 때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며,
    또는,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슬레이브 노드(secondary node, SN)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13.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의 제 1 프로토콜 스택 및 제 1 관련 키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측정 보고에 따라,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랜덤으로 선정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연결의 확립이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 또는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선정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포함된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19.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연결이 실패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21.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포함된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오버 처리 방법.
  23.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고,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로 돌아가고,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제 1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4. 제 23 항에 있어서,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제 1 프로토콜 스택 및 제 1 관련 키를 저장하고,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제 2 프로토콜 스택 및 제 2 관련 키를 유지하는 제 1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관련 키와 제 2 관련 키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핸드 오버가 타임아웃된 것,
    SCG 재구성이 타임아웃된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6. 제 2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1 통신 유닛을 통해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제 1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처리 유닛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의 확립이 성공한 경우, 제 1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선정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유닛은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한 후,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29. 제 23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유닛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유닛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기 전에,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1.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제 2 통신 유닛과,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고, 제 2 통신 유닛을 통해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하는 제 2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유닛은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포함된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이 실패한 것은,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핸드 오버가 타임아웃된 것,
    SCG 재구성이 타임아웃된 것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4.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핸드 오버할 때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며,
    또는,
    상기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슬레이브 노드(SN)이고, 상기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마스터 노드(M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35.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에 실패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제 3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제 1 프로토콜 스택 및 제 1 관련 키를 저장하는 제 3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처리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측정 보고에 따라,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선정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랜덤으로 선정하는 것 중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신 유닛은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연결의 확립이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 또는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선정된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신 유닛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신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포함된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41. 제 35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신 유닛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신 유닛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2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전에,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연결이 실패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제 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43.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 1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시작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제 4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통신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타겟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포함된 재구성 메시지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45.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을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6.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여, 제 13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7.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호출하고 실행하여, 칩이 탑재된 디바이스에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48. 컴퓨터 프로그램을 메모리에서 호출하고 실행하여, 칩이 탑재된 디바이스에 제 13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49. 컴퓨터에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50. 컴퓨터에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51. 컴퓨터에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06664A 2018-09-18 2018-09-18 핸드 오버 처리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202100597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106203 WO2020056587A1 (zh) 2018-09-18 2018-09-18 一种切换处理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710A true KR20210059710A (ko) 2021-05-25

Family

ID=6988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664A KR20210059710A (ko) 2018-09-18 2018-09-18 핸드 오버 처리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611925B2 (ko)
EP (1) EP3855802A4 (ko)
JP (1) JP2022511277A (ko)
KR (1) KR20210059710A (ko)
CN (2) CN112470520A (ko)
AU (1) AU2018442251A1 (ko)
TW (1) TW202031085A (ko)
WO (1) WO2020056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5802A4 (en) 2018-09-18 2021-11-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WITCH PROCESSING METHODS,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0061931A1 (zh) * 2018-09-27 2020-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切换上报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07925B (zh) * 2007-12-13 2010-12-08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方法、交换设备及终端设备
CN101494884B (zh) * 2008-01-21 2012-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切换异常处理方法
US9036599B2 (en) * 2008-05-11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handoff
CN102804850B (zh) 2009-06-26 2015-06-10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在切换失败时记录测量结果的方法
CN104919735B (zh) 2013-01-16 2018-07-2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指示的方法和设备
PL2802185T3 (pl) 2013-04-01 2020-05-18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Sposób i urządzenie do dodawania komórek obsługujących w systemie komunikacji bezprzewodowej
WO2015020321A1 (en) 2013-08-08 2015-02-1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operation related to radio link failure in a heterogeneous network
KR102189790B1 (ko) 2013-08-12 2020-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 기지국 연결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링크 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14039324A (ja) * 2013-10-22 2014-02-27 Kyocera Corp 基地局装置、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9301218B1 (en) * 2014-01-10 2016-03-2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Overcoming handover failure due to out-of-date neighbor list
CN106304220B (zh) * 2015-06-12 2019-10-18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lte系统中终端在基站间切换的方法、装置、核心网及系统
US9860852B2 (en) * 2015-07-25 2018-01-0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small cell uplink power control in a network environment
US10959138B2 (en) * 2016-03-30 2021-03-23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ntrol method
KR101954515B1 (ko) * 2016-04-01 2019-03-07 주식회사 케이티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945168B2 (en) * 2016-04-20 2021-03-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andover method
US10292081B2 (en) * 2017-02-03 2019-05-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artial handover for continuous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093448B (zh) * 2017-12-21 2020-08-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小区切换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1567093B (zh) * 2018-01-12 2022-05-17 鸿颖创新有限公司 条件式交递程序的方法和设备
US10757618B2 (en) * 2018-02-07 2020-08-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US10687263B2 (en) * 2018-02-15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make-before-break handover
US11641605B2 (en) * 2018-04-03 2023-05-0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for enhanced mobility in wireless systems
US11032750B2 (en) * 2018-07-10 2021-06-08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make-before-break (MBB) handover failure
EP3855802A4 (en) 2018-09-18 2021-11-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WITCH PROCESSING METHODS,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11925B2 (en) 2023-03-21
EP3855802A1 (en) 2021-07-28
WO2020056587A1 (zh) 2020-03-26
TW202031085A (zh) 2020-08-16
AU2018442251A1 (en) 2021-03-11
CN113115386B (zh) 2022-12-20
CN113115386A (zh) 2021-07-13
JP2022511277A (ja) 2022-01-31
US20210160752A1 (en) 2021-05-27
CN112470520A (zh) 2021-03-09
EP3855802A4 (en)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15387B (zh) 一种切换上报的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CN116018875A (zh) 用于rat间切换程序的mro机制的方法及设备
US11611925B2 (en) Switching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2789891A (zh) 无线通信方法、装置和终端设备
US1151672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401216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and reestablish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106403B (zh) 一种切换定时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KR20210068403A (ko) 정보 전송 방법, 장치, 단말기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JP7250913B2 (ja) タイマーに基づく処理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EP4087207A1 (en) Switching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