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594A - Device for enlarging an exit pupil area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vice for enlarging an exit pupil area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594A
KR20210059594A KR1020200067855A KR20200067855A KR20210059594A KR 20210059594 A KR20210059594 A KR 20210059594A KR 1020200067855 A KR1020200067855 A KR 1020200067855A KR 20200067855 A KR20200067855 A KR 20200067855A KR 20210059594 A KR20210059594 A KR 20210059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it pupil
waveguide
diffraction grating
diffrac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드레이 니콜래비치 퓨티린
알렉산드르 빅토로비치 모로조브
블라디스라브 블라디미로비치 드루진
세르기 에브지니비치 두비닌
크시니아 이고리브나 르보바
폴리나 이고르비나 말리니나
세르지 세르지비치 코핀킨
유리 페트로비치 보로딘
아나스타샤 세르지브나 페르보즈니코바
신봉수
김선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7/090,99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703689B2/en
Priority to CN202011268619.2A priority patent/CN112817148A/en
Priority to EP20207618.8A priority patent/EP3822692A1/en
Publication of KR20210059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5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8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altering, e.g. enlarging, the entrance or exit pupi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02B27/003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with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6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enhancing image performance, like resolution, pixel numbers, dual magnifications or dynamic range, by tiling, slicing or overlapping fields of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27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plural diffractive elements positioned sequentially along the optical pa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14Diffraction gratin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ne or more further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prisms or other diffraction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Lens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exit pupil expander and a display including the same. The exit pupil expander includes: a diffraction grating configured to output a plurality of diffracted light beams of a plurality of diffraction orders by diffracting an incident light beam; and a waveguide provided on the diffraction grating and configured to form the exit pupil expander and exit pupil orders the plurality of diffracted light beams output from the diffraction grat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act, universal exit pupil expander with low energy loss from light.

Description

사출동 확장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DEVICE FOR ENLARGING AN EXIT PUPIL AREA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An exit door expander and a display including the same {DEVICE FOR ENLARGING AN EXIT PUPIL AREA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개시된 실시예들은 시각적 광학 장치의 아이 박스를 확장시킬 수 있는 광학 장치 및 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Disclosed embodiments relate to an optical device capable of expanding an eye box of a visual optical device and a display including the same.

증강 현실 장치, 접안경 및 광학 장치의 렌즈(현미경, 망원경, 사이츠(sights) 등)와 같은 시각적 광학 장치가 활발히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시각적 광학 장치의 가장 중요한 특성 파라미터는 시야(field of view: FoV)의 크기 및 아이 박스의 크기이다. 종래 기술의 분석에 따르면, 요구되는 이미지의 품질 또는 해상도(예를 들어, 눈의 해상도의 제한 각도보다 크지 않은, 1 아크 분과 동일한)를 형성하면서, 시각 광학 장치에서 넓은 시야(예를 들어, 60도 이상)과 큰 아이 박스(예를 들어, 3mm 이상)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아이 박스를 확장하기 위해 알려진 일반적인 장치는 복잡한 요소가 사용되기 때문에 보편적이지 않다. 반대로, 각각의 시각적 광학 장치에 대해 아이 박스를 확장하기 위한 장치를 별도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Visual optical devices such as augmented reality devices, eyepieces, and lenses of optical devices (microscopes, telescopes, sights, etc.) are being actively improve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parameters of such visual optics are the size of the field of view (FoV) and the size of the eye box. According to prior art analysis, a wide field of view (e.g., 60 minutes) is formed in a visual optics device, forming the required image quality or resolution (e.g., not greater than the limiting angle of the resolution of the eye, equal to 1 arc minute). It is very difficult to provide both a degree or more) and a large eye box (eg, 3 mm or more) at the same time. The common device known to extend the eye box is not universal because complex elements are used. Conversely,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design a device for extending the eye box for each visual optical device.

US 8508848 B2(2013 년 8 월 15 일 공개)에 개시된 넓은 시야를 갖는 사출동 확장기(exit pupil expander)는 종래 기술로 알려져 있다. 사출동 확장기는 도파관을 포함하고, 광(radiation)은 회절 요소를 통해 도파관에 입사되고, 도파관 내부로 진행하며 회절 요소를 통해 출사될 수 있다. 상기한 사출동 확장기는 높은 굴절률을 갖는 물질 없이 시야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시야의 폭이 작고(시야의 수평 크기의 제한된 값), 전체 치수가 큰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사출동 확장기는 광이 도파관에서 먼 거리를 따라 전파되기 때문에 상당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여러 회절 요소가 광을 입사 및 출사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결과 이미지의 회절 효율, 균일성 및 밝기가 제한적일 수 있다. The exit pupil expander with a wide field of view disclosed in US 8508848 B2 (published August 15, 2013) is known in the prior art. The exit pupil expander includes a waveguide, and radiation enters the waveguide through a diffractive element, travels inside the waveguide, and may be emitted through the diffractive element. The above-described exit pupil expander can increase the field of view without a material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However, it has a complex structure where the width of the field of view is small (limited value of the horizontal size of the field of view), and the overall dimension is large. In addition, this type of exit pupil expander can cause significant energy losses because light propagates along long distances in the waveguide. In such a device, the diffraction efficiency, uniformity, and brightness of the resulting image may be limited because several diffractive elements are used to enter and emit light.

US 6829095 B2(2001 년 5 월 16 일 공개)에 개시된 기판-가이드 광 확장기(substrate-guided optical beam expander)는 종래 기술로 알려져 있으며, 확장기는 도파관 장치로서, 광은 반투명 거울을 사용하여 시야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출동의 크기는 확장기의 기하학적 파라미터, 특히 도파관의 두께 및 미러 요소의 수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장치의 단점은 도파관의 두께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확장기가 전체적으로 큰 치수를 가지면서 설계가 복합하다. 또한, 이러한 장치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충분한 시야를 얻을 수 없다.The substrate-guided optical beam expander disclosed in US 6829095 B2 (published May 16, 2001) is known in the prior art, and the expander is a waveguide device, and the light is displayed in the field of view using a translucent mirror. Can be. The size of the exit pupil is related to the geometrical parameters of the dilator, in particular the thickness of the waveguide and the number of mirror elements. The disadvantage of such a device is that the waveguide has a fairly large thickness, so that the expander has a large overall dimension and the design is complex. In addition, even if such a device is used, a sufficient field of view cannot be obtained.

시각적 광학 장치의 넓은 시야, 높은 회절 효율, 이미지의 균일성 및 밝기를 유지하면서 사출동의 넓은 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아이 박스를 확장시킬 수 있는 사출동 확장기를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it pupil expander capable of expanding an eye box capable of providing a large area of an exit pupil while maintaining a wide field of view, high diffraction efficiency, image uniformity and brightness of a visual optical device.

입사되는 광으로부터 에너지 손실이 적고, 소형이며, 보편적인 사출동 확장기를 제공할 수 있다. Energy loss from incident light is small,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act, universal exit pupil expander.

또한, 임의의 시각적 광학 장치에 용이하게 통합될 수 있는 사출동 확장기를 제공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exit pupil expander that can be easily integrated into any visual optics device.

일 유형에 따르면, 시각적 광학 장치의 사출동을 확장시키기 위한 사출동 확장기는 입사된 광을 회절시켜 회절 차수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회절광을 출력하는 회절 격자; 및 상기 회절 격자상에 배치되며, 상기 회절 격자에서 출력된 상기 복수 개의 회절광 중 제1 회절광을 이용하여 사출동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절광 중 제2 회절광을 이용하여 사출동 차수를 형성하는 도파관;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type, the exit pupil expander for expanding the exit pupil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comprises: a diffraction grating for diffracting incident light to output a plurality of diffracted lights having different diffraction orders; And an exit pupil arranged on the diffraction grating, using a first diffracted light of the plurality of diffracted lights output from the diffraction grating, and an exit pupil order using a second diffracted light of the plurality of diffracted lights. It includes; waveguide forming a.

그리고, 상기 도파관은, 상기 회절 격자에서 출력된 제1 회절광을 전반사 없이 출력시켜 상기 사출동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veguide may form the exit pupil by outputting the first diffracted light output from the diffraction grating without total reflection.

또한, 상기 도파관은, 상기 회절 격자에서 출력된 제2 회절광을 적어도 1회 내부 전반사시킨 후 출력시켜 하나 이상의 사출동 차수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veguide may form at least one exit pupil order by totally internally reflecting the second diffracted light output from the diffraction grating at least once and then outputting it.

그리고, 상기 도파관은 상기 제2 회절광을 내부 전반사시켜 상기 회절 격자에 재입사시키고, 상기 회절 격자는 상기 제2 회절광을 회절시켜 복수 개의 회절광으로 출력하며, 상기 도파관은 제2 회절광의 회절에 따른 복수 개의 회절광 중 일부 회절광을 출력시켜 사출동 차수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회절광 중 나머지 회절광을 전반사시켜 상기 회절 격자에 재입사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veguide reflects the second diffracted light internally and re-enters the diffraction grating, the diffraction grating diffracts the second diffracted light and outputs a plurality of diffracted light, and the waveguide diffracts the second diffracted light The exit pupil order is formed by outputting some of the diffracted light of the plurality of diffracted light according to the result, and the remaining diffracted light of the plurality of diffracted light may be totally reflected and re-incident to the diffraction grating.

그리고, 상기 도파관은, 상기 회절 격자와 마주하는 제1 표면과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1 회절광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제2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veguide may include a first surface facing the diffraction grating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to output the first diffracted light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도파관은, 상기 제2 면에 입사된 회절광 모두를 전반사시킬 때까지 상기 사출동 차수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veguide may additionally form the exit pupil order until all of the diffracted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surface is totally reflected.

그리고, 상기 사출동 차수의 개수는, 상기 도파관의 제2 면에 입사된 회절광 중 일부의 회절광이 투과되는 횟수에 비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exit pupil orders may b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imes that some of the diffracted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waveguide are transmitted.

또한, 상기 사출동 차수들 간의 간격은, 상기 도판관의 두께에 비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ing between the exit pupil orders may be proportional to the thickness of the guiding tube.

그리고, 상기 사출동 차수들 간의 간격은, 상기 도판관의 굴절률에 반비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cing between the exit pupil orders may b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guiding tube.

또한, 상기 제1 회절광은 "0"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광이고, 상기 제1 회절광은 "+1"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광 및 "-1"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iffracted light is diffracted light having a diffraction order of "0", and the first diffracted light includes at least one of diffracted light having a diffraction order of "+1" and diffraction light having a diffraction order of "-1". Can include.

그리고, 상기 도파관은 상기 "+1"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이용하여 제1 사출동 차수를 형성하고, 상기 "-1"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이용하여 제2 사출동 차수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veguide may form a first exit pupil order using diffracted light having the "+1" diffraction order, and form a second exit pupil order using diffracted light having the "-1" diffraction order. I can.

또한, 상기 도파관은 상기 제1 사출동 차수와 상기 제2 사출동 차수를 상기 사출동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방향에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veguide may have the first exit pupil order and the second exit pupil order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the exit pupil interposed therebetween.

그리고, 상기 회절 격자는, 개구각 이하로 입사된 광을 회절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raction grating may diffract light incident below the aperture angle.

또한, 상기 개구각은, 상기 시각적 광학 장치의 시야각이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ning angle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iewing angle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그리고, 상기 회절 격자상에 배치되며, 상기 회절 격자로부터 출력된 광을 전반사시키는 제2 도파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 second waveguide disposed on the diffraction grating and totally reflecting the light output from the diffraction grating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회절 격자는, 상기 제1 도파관과 상기 제2 도파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raction grating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waveguide and the second waveguide.

그리고, 상기 회절 격자는, 제1 개구각 이하로 입사된 광을 회절시키는 제1 회절 영역과 상기 제1 개구각 초과 제2 개구 각 이하로 입사된 광을 회절시키는 제2 회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도판관은 상기 제1 회절 영역에 출력된 회절광을 이용하여 사출동 차수를 형성하는 제1 도파관; 및 상기 제2 회절 영역에서 출력된 회절광을 이용하여 사출동 차수를 형성하는 제 2 도파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raction grating includes a first diffraction region for diffracting light incident below a first aperture angle and a second diffraction region for diffracting light incident at a second aperture angl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aperture angle, The waveguide may include: a first waveguide forming an exit pupil order by using the diffracted light output to the first diffraction region; And a second waveguide for forming an exit pupil order by using the diffracted light output from the second diffraction region.

또한, 상기 회절 격자, 상기 제1 도파관 및 상기 제2 도파관은 상기 광의 진행 경로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raction grating, the first waveguide, and the second waveguide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based on a path of the light.

그리고, 상기 도파관은 만곡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veguide may have a curved shape.

또한, 상기 회절 격자는, 브래그 회절 격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raction grating may include a Bragg diffraction grating.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특정 시야각으로 을 방출하는 시각적 광학 장치 및 상기 시각적 광학 장치의 사출동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한 앞서 기술한 동 확장기;를 포함한다. Th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visual optical device that emits a λ at a specific viewing angle, and the above-described dynamic expander for expanding an exit pupil area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근안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may be a near-eye display.

개시된 사출동 확장기는 보편적이며, 컴팩트한 슬림 디자인을 가지면 높은 회절 효율을 가질 수 있다.The disclosed exit pupil expander is universal and can have high diffraction efficiency if it has a compact and slim design.

시각적 광학 장치의 시야를 유지하면서 아이 박스를 확장할 수 있다. The eye box can be extended while maintaining the field of view of the visual optics.

사출동에 형성된 이미지는 균일성과 밝기를 보장할 수 있다. The image formed in the exit pupil can ensure uniformity and brightness.

다중 스펙트럼광을 이용한 이미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It can also be applied to images using multispectral light.

도 1은 객체 공간에서 텔레센트릭 광선 경로(telecentric ray path)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 박스를 확장시키는 사출동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 박스를 확장하는 사출동 확장기에서 광의 전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광학 장치에 사출동 확장기를 사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드로 동작하는 사출동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공간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 모드로 동작하는 결합기와 사출동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드로 동작하는 결합기와 사출동 확장기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1차원 회절 격자를 포함하는 사출동 확장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회절 격자를 포함하는 사출동 확장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이산적으로 분포된 복수 개의 사출동 차수를 포함하는 아이 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에 의해 형성된 사출동 차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팟을 형성하는 평면형 사출동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곡선형 사출동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도파관을 포함하는 사출동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lecentric ray path in an object space.
2A is a view showing an exit expander for expanding an ey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2B is a view showing the propagation of light in an exit pupil expander extending an eye box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n exit pupil expander in a visual optica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D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it pupil expander operating in a reflection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shows a space diagram of a display using an exit pupil expa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A is a view showing a coupler and an exit pupil expander operating in a transmiss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upler operating in a reflection mode and an exit pupil expand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exit pupil expander including a one-dimensional diffraction gr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it pupil expander including a two-dimensional diffraction grat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an exit pupil expan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ye box including a plurality of discretely distributed exit orders.
8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it pupil order formed by an exit pupil expand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 is a view showing a planar exit exit expander forming a s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view showing a curved exit exit expa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it pupil expander including a plurality of waveguide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what is described as "top" or "top" may include not only those directly above by contact, but also those that are above non-contact.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구성 요소들의 물질 또는 구조가 다름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These terms are not intended to limit differences in materials or structures of component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similar reference terms may correspond to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은 설명된 순서대로 행하여야 한다는 명백한 언급이 없다면,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모든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이러한 용어로 인해 권리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may be performed in any suitable order unless there is a clear statement that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should be performed in the order described. In addition, the use of all exemplary terms (eg, etc.) is merely for describing technical ideas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rights is not limited by these terms unless limited by claims.

앞서 기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기술적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광 입사 또는 출사에 이용되는 회절 광학 소자(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또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HOE)인 하나의 회절 격자와 도파관에 기초하여 아이 박스(또는 사출동 영역이라고도 칭한다.)를 확장시키는 소형 장치가 제안될 수 있다. One diffraction grating, which is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or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HOE) used for incidence or emission of light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achieve technical results. A miniature device may be proposed that expands the eye box (also referred to as the exit pupil region) on the basis of the and waveguide.

제안된 장치는, 예를 들어, 광학 기기의 접안경과 같은 시각적 광학 장치의 아이 박스를 확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광학 장치의 접안경은 시청자의 눈을 향한 광학 장치의 요소이고, 접안경은 장치의 렌즈 또는 주거울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설계된 광학 장치(뷰 파인더, 거리 측정기, 쌍안경, 현미경, 망원경 등)의 일부일 수 있다. The proposed device can be used to expand the eye box of a visual optical device, for example the eyepiece of an optical instrument. As is known, the eyepiece of an optical device is an element of the optical device facing the viewer's eye, and the eyepiece is an optical device designed to view the image formed by the device's lens or housing (viewfinder, range finder, binoculars, microscope, Telescope, etc.).

아이 박스를 확장하기 위해 제안된 장치는 시각적 광학 장치 또는 HOE/DOE를 사용하여 환경 이미지와 내부 디스플레이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 등을 결합하는 이미지 결합기가 있는 증강 현실 장치(AR)에 적용될 수 있다. The proposed device for expanding the eye box can be applied to an augmented reality device (AR) with an image combiner that combines an environment image and an image formed by an internal display using a visual optical device or HOE/DOE.

아이 박스를 확장하기 위해 제안된 장치(이하 '사출동 확장기'라고 칭한다)는 콤팩트하고 보편적일 수 있다. 여기서 컴팩트함과 보편성은 광의 입사 및 출사하기 위해 하나의 요소인 회절 격자만을 사용하여 결정되며, 제안된 장치에 사용되는 도파관은 고품질일 필요는 없다. The device proposed to expand the eye box (hereinafter referred to as'injection-dong expander') can be compact and universal. Here, compactness and universality are determined by using only a diffraction grating, which is one element, for the incidence and emission of light, and the waveguide used in the proposed device does not have to be of high quality.

제안된 사출동 확장기는 전체 치수(dimension)가 작을 수 있다. 즉, 제안된 장치는 시각적 광학 장치의 전체 치수를 변경하지 않으며, 다양한 광학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proposed exit dilator may have a small overall dimension. That is, the proposed device does not change the overall dimensions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and can be used in a variety of optical devices.

시각적 광학 장치의 사출동(exit pupil)은 시청자가 이미지를 보는 영역이다. 다시 말해서, 사출동은 이미지 공간에서 개구 다이어그램의 근축 이미지(a paraxial image of the aperture diaphragm)이고, 이러한 이미지는 광선의 직접적인 경로(direct course)에서 시각적 광학 장치의 다음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용어는 광학 분야에서 잘 확립되어 있다. 시각적 광학 장치의 사출동의 주요 특성은 전체 이미지 필드가 광학 장치의 임의의 지점에 있다는 것이다. The exit pupil of the visual optics is the area in which the viewer sees the image. In other words, the exit pupil is a paraxial image of the aperture diaphragm in image space, and this image can be formed by the next part of the visual optics in the direct course of the light beam. This term is well established in the field of optic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exit pupil of the visual optics is that the entire image field is at any point in the optics.

사출동을 증가(확장)시킨다는 것은 시각적 광학 장치의 종 방향 치수(the longitudinal dimensions)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사출동의 디멘젼(dimension)(또는 갯수)가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전 광학계는 사출동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시각적 광학 장치의 종 방향 크기도 동시에 증가해야 했다. 도파관 광학계의 사용은, 도파관 내부의 광(radiation beams)의 다중 반사로 인해, 시각적 광학 장치의 크기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사출동의 디멘젼을 증가시킬 수 있다.Increasing (expanding) the exit pupil means that the dimension (or number) of the exit pupil is increased without increasing the longitudinal dimensions of the visual optics. Classical optics can increase the size of the exit pupil, but the longitudinal size of the visual optics must also increase at the same time. The use of the waveguide optics can increase the dimension of the exit pupil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size of the visual optics, due to multiple reflections of radiation beams inside the waveguide.

아이 박스(eye box)은 눈 동공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눈 동공이 변위될 때) 사람 눈의 동공이 접근 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사출동을 포함하는 사출동 영역이라고도 한다. The eye box is an area that the pupil of the human eye can access from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eye pupil (when the eye pupil is displaced), and is also referred to as an exit pupil region including the exit pupil.

시야(field of view)의 크기는 동공과 고정식 헤드의 고정된 위치에서 눈에 보이는 각도 공간이다. 시야의 크기가 클 때, 눈은 대부분의 객체 공간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눈의 동공이, 예를 들어, 측면으로 수 밀리미터만큼 변위되면, 시야가 차단되고, 시야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시각적 광학 장치의 아이 박스가 작고, 눈의 동공이 변위될 때, 아이 박스가 눈의 동공과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거나 전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The size of the field of view is the angular space visible from the pupil and the fixed position of the fixed head. When the size of the field of view is large, the eye can see most of the object space. However, if the pupil of the eye is displaced by, for example, a few millimeters laterally, the field of view may be blocked and the size of the field of view may be reduced. This is because the eye box of the visual optics device is small, and when the pupil of the eye is displaced, the eye box does not perfectly coincide with the pupil of the eye or does not coincide at all.

회절 효율은 회절 격자의 특성이고, 단위는 퍼센트 또는 십진 분수로 측정되며, 회절 격자에 입사되는 에너지에 대한 회절 차수 중 하나에 포함된 에너지의 비율이다.Diffraction efficiency is a characteristic of a diffraction grating, and its unit is measured in percent or decimal fraction, and is the ratio of the energy contained in one of the diffraction orders to the energy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도 1은 객체 공간에서 텔레센트릭 광선 경로(telecentric ray path)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시각적 광학 장치에서 출사된 광이 사출동을 형성할 수 있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lecentric ray path in an object space. As shown in FIG. 1, light emitted from a general visual optical device may form an exit pupil.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시야(field of view FoV) 크기는 하기와 같은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size of the field of view FoV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S는 대상체의 크기(단위: mm), F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포함된 렌즈의 초점 거리(단위:mm)이고, FoV는 시야의 크기(단위:도(degree))이다. Here, S is the size of the object (unit: mm), F is the focal length (unit: mm) of the lens included in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and FoV is the size of the field of view (unit: degree).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사출동의 크기(E)는 하기와 같은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e size E of the exit pupil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may be determined by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E는 사출동의 크기(mm)이고, Le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서 눈(1)의 동공(1a)까지의 접안 거리(eye-relief distance)(mm)이며, D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포함된 클리어 렌즈의 구경(mm)이다. Here, E is the size of the exit pupil (mm), Le is the eye-relief distance (mm) from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to the pupil 1a of the eye 1, and D is the visual optical device. It is the aperture (mm) of the clear lens included in (100).

수학식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 아이 박스의 크기(E)는 시야(FoV)에 의해 제한되고, 시야(FoV)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초점 거리(F) 및 객체의 크기(S)등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객체의 공간(즉, 객체) 영역이 클수록 시야의 크기(FoV)는 커야 한다. 반면에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포함된 렌즈의 초점 거리(F)는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안경와 같은 장치가 소형화될수록 소형이여야 한다. As shown in Equations 1 and 2, when the exit pupil expa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not applied to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the size E of the eye box is limited by the field of view FoV, The field of view (FoV) may be limited by the focal length (F)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and the size (S) of the object. The larger the space (ie, object) area of the object that the user wants to see, the larger the field of view (FoV) should be. On the other hand, the focal length F of the lenses included in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should be smaller as devices such as augmented reality glasses become smaller.

수학식 1 및 2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시야의 크기(FOV)와 아이 박스의 크기(E) 사이에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통상적인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서, 추가 요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시야의 크기(FOV) 및 아이 박스의 크기(E) 모두 크게 하는 것은 어렵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 박스를 확장하기 위한 장치는 보편적이고 컴팩트하다. According to Equations 1 and 2, in general, there is an inversely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the field of view (FOV) and the size of the eye box (E). In a typical visual optics device 100, it is difficult to increase both the size of the field of view (FOV) and the size of the eye box (E) without using additional elements. The device for expanding the eye box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universal and compact.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 박스를 확장시키는 사출동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동 확장기(200)는 도파관(230) 및 회절 격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출동 확장기(200)가 회절 격자(210)를 사용할 때, 회절 차수는 도파관(230)에만 존재하며, 자유 공간에서는 회절 차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2A is a view showing an exit expander for expanding an ey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2A,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include a waveguide 230 and a diffraction grating 210. Whe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uses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he diffraction order exists only in the waveguide 230, and the diffraction order does not exist in free space.

회절 격자(210)는 회절 격자(210)에 입사되는 광의 특정 입사각에 맞게 설계될 수 있다. 입사각은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개구각(aperture angle) 즉, 시야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광은 광축에 대한 특정 각도로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서 출사되고, 특정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회절 격자(210)에 입사될 수 있다.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designed for a specific angle of incidence of light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he angle of incidence may be determined by an aperture angle, that is, a viewing angle of the optical optical device 100. In other words, the light may be emitted from the optical optical device 100 at a specific angl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nd may be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t the same angle as the specific angle.

사출동 확장기(200)의 회절 격자(210)는 입사된 광이 "0", "+1" 및 "-1"의 세 가지 회절 차수로 회절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절 차수는 도파관(230)내로 전파될 수 있다The diffraction grating 210 of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be designed so that incident light is diffracted by three diffraction orders of “0”, “+1” and “-1”. And this diffraction order may propagate into the waveguide 230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는 회절 격자(210)의 주기는 하기 수학식 3과 같다. The period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hat satisfies the above conditions is shown in Equation 3 below.

[수학식 3][Equation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 n1 은 사출동 확장기(200) 앞에 있는 매질의 굴절률, 예를 들어 공기의 굴절률이고, n2는 도파관(230)의 굴절률이며, M은 회절 차수의 수이고, d는 격자의 주기이다. Here, n1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medium in front of the exit pupil expander 200, for example, the refractive index of air, n2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waveguide 230, M is the number of diffraction orders, and d is the period of the grating.

는 광의 입사각으로서, 1는 공기에서 회절 격자(210)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이고, 2는 회절각, 즉, 회절 차수가 M인 광이 회절 격자(210)에서 도파관(230)내로 진행하는 광의 각이다. Is the incident angle of light, 1 is the incident angle of light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from the air, and 2 is a diffraction angle, that is, the angle of light traveling from the diffraction grating 210 into the waveguide 230 of the diffraction order M to be.

Figure pat00004
는 회절 격자(210)에 입사하는 광의 파장이며;
Figure pat00004
Is the wavelength of light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는 회절 격자(210)의 주파수로서, 주기의 역수 즉, T = 1/d로 표시될 수 있다. d가 mm로 표현되면, T는 dash/mm로 표현될 수 있다. .T is the frequency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nd may be expressed as an reciprocal of a period, that is, T = 1/d. If d is expressed in mm, T can be expressed in dash/mm. .

회절 격자(210)는 수학식 3에 따라 아이 박스를 확장하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 회절 격자(210)의 파라미터에 대한 결정은 회절 격자(210)가 수행하여야 하는 특정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회절 격자(210)의 파라미터는 회절 격자(210)의 주기(일정 또는 가변), 릴리프 깊이(relief depth), 프로파일의 유형(스트로크), 스트로크의 방향 등일 수 있다. 여기서, 회절 격자(210)가 수행해야 할 특정 기능은 아이 박스를 확장하는 것이다.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designed to expand the eye box according to Equation 3. Determination of the parameters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vary depending on a specific function that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ust perform. The parameters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a period (constant or variable)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 relief depth, a type of profile (stroke), a direction of a stroke, and the like. Here, the specific function to be performed by the diffraction grating 210 is to expand the eye box.

회절 격자(210)의 파라미터는 다음에 따라 변할 수 있다. The parameters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vary depending on the following.

- 시각적 광학 장치(100)로부터 회절 격자(210)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Incident angle of light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from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 회절 격자(210)가 위치한 도파관(230)의 물질,-The material of the waveguide 230 where the diffraction grating 210 is located,

- 확장시키고자 하는 아이 박스의 크기 -The size of the eye box to be expanded

회절 격자(210)의 기능은 다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e function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can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회절 격자(210)가 홀로그램 기록 모드인 경우, 기록 소스들의 서로에 대한 공간적 배열 및 기록 소스들의 방사 전력의 비에 의해 회절 격자(210)의 기능이 결정될 수 있다. Whe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is in the hologram recording mode, the function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determined by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recording sourc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ratio of the radiated power of the recording sources.

회절 격자(210)가 리소그래피 기록 모드의 경우, 모델링 및 계산으로 결정된 회절 격자(210)의 구조에 의해 회절 격자(210)의 기능이 결정될 수 있다. Whe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is in the lithographic recording mode, the function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determined by the structure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determined by modeling and calculation.

예비 이론 및 컴퓨터 모델링에 따르면, 회절 격자(210) 및 도파관(230)의 파라미터들이 일치하여 이들 요소의 조합이 아이 박스를 확장하도록 작용할 수 있음이 입증될 수 있다. According to preliminary theory and computer modeling, it can be demonstrated that the parameters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nd waveguide 230 match so that a combination of these elements can act to expand the eye box.

즉, 사출동 확장기(200)에 있어서, 회절 격자(210)의 파라미터는 "0", "+1" 및 "-1"이라는 단지 3개의 회절 차수가 존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들 회절 차수 중 "0" 회절 차수를 제외한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내부 전반사 (total internal reflection: TIR)의 조건 하에서, 도파관(230) 표면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반사하여 도파관(230)의 내로 진행할 수 있다. 0 차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도파관(230)과 공기의 경계에서 굴절하여 내부 전반사 없이 사출동 확장기(200)로부터 출사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the parameters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designed such that there are only three diffraction orders of “0”, “+1” and “-1”. Among these diffraction orders, diffracted light having a diffraction order excluding the "0" diffraction order may be reflected at least once or more from the surface of the waveguide 230 under conditions of total internal reflection (TIR) to proceed into the waveguide 230. . The diffracted light of the 0th diffraction order may be refrac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waveguide 230 and the air and may be emitted from the exit pupil expander 200 without total internal reflection.

사출동 확장기(200)의 핵심 요소는 도파관(230)이며, 상기한 도파관(230)은 입사된 광이 도파관(230)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여 준다. 도파관(230) 모드라 함은,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이 도파관(230)과 공기의 경계면에 입사되면 전반사가 될 수 있도록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에 대한 입사각이 전반사 각도 이상이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파관(230)의 파라미터와 도파관(230)의 기능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있다. The core element of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s the waveguide 230, and the waveguide 230 allows the incident light to operate in the waveguide 230 mode. The waveguide 230 mode refers to "+1" and "-1" diffraction so that when diffracted light of "+1" and "-1" diffraction orders is incident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waveguide 230 and air, total reflection can be obtained. It may mean that the angle of incidence for the order of diffracted ligh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otal reflection angle. There is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the parameters of the waveguide 230 and the function of the waveguide 230.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파관(230)에서 출사되는 광이 균일하도록 도파관(230)의 두께는 얇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면 사출동의 확장된 영역인 아이 박스에서도 광은 균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파관(230)의 두께는 약 3mm이하일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waveguide 230 is preferably thin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waveguide 230 is uniform, and then the light may be uniform even in the eye box, which is an extended area of the exit pupil.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waveguide 230 may be about 3 mm or less.

따라서, 아이 박스를 확장시키는 특성을 획득하기 위해, 도파관(230) 및 회절 격자(210)의 파라미터들은 사출동의 범위를 확장시키는 새로운 특성을 얻기 위해 일치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obtain the characteristic of expanding the eye box, the parameters of the waveguide 230 and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ust be matched to obtain a new characteristic that expands the range of the exit pupil.

회절 격자(210)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릴리프 회절 격자(210)(relief diffraction gratings)는 마스크 또는 나노 임프린팅을 통해 에칭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홀로그래픽 회절 격자(210)는 간섭 패턴 등에 의해 기록될 수 있다.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re well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 relief diffraction gratings 210 may be manufactured by etching through mask or nano-imprinting, and the holographic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recorded by an interference pattern or the like.

제조 또는 기록된 회절 격자(210)는 평면 도파관(230) 또는 비평면 도파관(230)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회절 격자(210)는 일반적으로 사출동 확장기(200)를 제조할 때 도파관(230)상에서 적용될 수 있다. 광선의 특성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사출동 확장기(200)에 입사되는 광선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으려면, 제조 과정에서 회절 격자(210) 및 도파관(230)의 파라미터들이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abricated or recorded diffraction grating 210 can be applied to both the planar waveguide 230 or the non-planar waveguide 230. The diffraction grating 210 can generally be applied on the waveguide 230 when manufacturing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n order to obtai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light rays incident o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without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rays,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ameters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nd the waveguide 230 match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회절 격자(210)를 도파관(230)에 형성하는 것은 감광성 물질이 도포된 기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은 본질적으로 도파관(2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회절 격자(210)는 아이 박스를 확장할 수 있는 물질 및 두께로 기판상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의 파라미터는 회절 격자(210)의 파라미터와 일치할 수 있다. Forming the diffraction grating 210 on the waveguide 230 may be performed on a substrate coated with a photosensi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substrate may essentiall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waveguide 230, and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with a material and thickness capable of expanding the eye box. The parameters of the substrate may match those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또는 포토 레지스트 물질 상에 회절 격자(210)를 형성한 후 회절 격자(210)를 카피하여 광중합체에 전사함으로서 박막 타입의 회절 격자(2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박막 타입의 회절 격자(210)는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도파관(230)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파관(230)의 파라미터 및 회절 격자(210)의 파라미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치해야 하며, 이는 아이 박스를 확장시킬 수있다 Alternatively, after forming the diffraction grating 210 on the photoresist material, the diffraction grating 210 is copied and transferred to the photopolymer to form the thin film type diffraction grating 210. Further, the thin film type diffraction grating 210 can be applied to the waveguide 230 in any known manner. In this case, the parameters of the waveguide 230 and the parameters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ust match as described above, which can expand the eye box.

제조시, 사출동 확장기(200)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개구 각도(aperture angle)에 의해 결정된 특정 입사각에 대응하여 설계될 수 있다.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개구 각도가 사출동 확장기(200)의 개구 각도와 동일하지 않더라도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개구 각도가 사출동 확장기(200)의 개구 각도이하이면, 사출동 확장기(200)는 상기한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통합되어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이는 아이 박스를 확장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200)의 보편성을 의미한다. 즉, 사출동 확장기(200)는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한 범위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출사 개구 각도의 크기가 될 수 있다. During manufacture,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be designed to correspond to a specific incident angle determined by an aperture angle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Even if the opening angle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is not the same as the opening angle of the exit dilator 200, if the opening angle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is less than the opening angle of the exit dilator 200, the exit dilator 200 ) Can be integrated into the above-described visual optical device 100 to operate accurately. This means the universality of the exit pupil expand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expanding the eye box. That is, it means that the exit pupil expander 200 has an angular range capable of accurately operating, and the above-described range may be the size of the exit opening angle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예를 들어, 사출동 확장기(200)는 60°의 개구각(즉, 시야각)를 가진 시각적 광학 장치(100)를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사출동 확장기(200)는 60°(예를 들어, 40°) 미만의 개구각(시야각)를 갖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시각적 광학 장치(100)가 60°보다 큰 개구각(시야각)를 갖는 경우, 60°의 개구각을 가진 사출동 확장기(200)는, 잘못 동작하기 때문에, 이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는 사용될 수 없다.For example, the exit pupil dilator 200 may be designed for a visual optics device 100 having an opening angle (ie, viewing angle) of 60°.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also be used for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having an opening angle (viewing angle) of less than 60° (eg, 40°). However, when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has an opening angle (viewing angle) greater than 60°, the exit pupil expander 200 having an opening angle of 60° malfunctions, so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Cannot be used.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 박스(B)를 확장하는 사출동 확장기(200)에서 광의 전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사출동 확장기(200)를 사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2B is a view showing the propagation of light i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extending the eye box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C is an exit pupil expander ( 20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it is used.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시각적 광학 장치(100)으로부터의 광은 회절 격자(210)에 입사되어 3 개의 방향, 3 개의 회절 차수의 회절광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0", "+1" 및 "-1"의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도파관(230) 중 회절 격자(210)가 형성된 제1 표면(232)에 대향하는 제2 표면(234)으로 진행할 수 있다(명확성을 위해, 도 2b 및 도 2c에는 얇은 평행 광(a) 및 얇은 평행 광(b)이 도시되어 있다).2B and 2C, light from the optical optical device 100 may be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nd proceed to diffracted light in three directions and three diffraction orders. That is, the diffracted light of the diffraction orders of "0", "+1" and "-1"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surface 234 of the waveguide 230 facing the first surface 232 on which the diffraction grating 210 is formed. Can proceed (for clarity, thin collimated light (a) and thin collimated light (b) are shown in Figs. 2b and 2c).

"0" 회절 차수의 회절광이 도파관(230)의 제2 표면(234)으로 입사되면, 내부 전반사(TIR)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기 때문에, 제2 표면(234)으로부터의 전반사없이, 제2 표면(234)를 통해 도파관(230)을 완전히 출사할 수 있다. 각각의 평행광(a, b)으로부터 모든 "0"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눈(1)의 동공 영역(1a)에서 수집되고(도 2b), 아이 박스(B)의 전체 영역 중에서 사출동(7)을 형성할 수 있다(도 2b). When the diffracted light of "0" diffraction order is incident on the second surface 234 of the waveguide 230, since the condition of total internal reflection (TIR) is not satisfied, without total reflection from the second surface 234, the second The waveguide 230 may be completely emitted through the surface 234. All diffracted lights of "0" diffraction order from each parallel light (a, b) are collected in the pupil region 1a of the eye 1 (Fig. 2b), and the exit pupil ( 7) can be formed (Fig. 2b).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이 도파관(230)의 제2 표면(234)으로 입사되면, 내부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기 때문에 제2 표면(234)에서 내부 전반사되어, 도파관(230) 내부를 통해 회절 격자(210)로 되돌아갈 수 있다.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회절 격자(210)에서 회절시 및/또는 제2 표면(234)에서 전반사시 일정 각도 편향되어 진행할 수 있다.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편향된 각도로 회절 격자(210)에 다시 입사될 수 있다.When diffracted light of "+1" and "-1" diffraction orders is incident on the second surface 234 of the waveguide 230, it is totally internally reflected at the second surface 234 because the total internal reflection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waveguide ( 230) can be returned to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hrough the inside. The diffracted light of "+1" and "-1" diffraction orders may proceed with a certain angle deflection during diffraction i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nd/or during total reflection in the second surface 234. The diffracted light of "+1" and "-1" diffraction orders may be re-incident to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t a deflected angle.

"+1" 및 "-1" 의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회절 격자(210)에서 다시 여러 개의 회절 차수의 회절광으로 분할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절 격자(210)는 입사된 광을 3 개의 회절 차수의 회절광으로 분해하는 바, "+1" 및 "-1" 의 회절 차수의 회절광 각각은 회절 격자(210)에서 다시 회절되어 "0", "+1" 및 "-1"의 회절 차수의 회절광이 될 수 있다. The diffracted light of diffraction orders of "+1" and "-1" As mentioned above, the diffraction grating 210 decomposes the incident light into diffracted light of three diffraction orders, and each of the diffracted light of diffraction orders of "+1" and "-1" is the diffraction grating 210 It can be diffracted again at "0", "+1" and "-1"

2차 회절된 광 중 "0"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도파관(230)으로부터 출사되고,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도파관(230) 내부에서 일정 각도 편향되어 진행할 수 있다, Among the second-order diffracted light, diffracted light of "0" diffraction order is emitted from the waveguide 230, and diffracted light of "+1" and "-1" diffraction order is deflected by a certain angle inside the waveguide 230 to proceed. have,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편향된 각도로 회절 격자(210)에 다시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회절 격자(210)의 특성에 따라, 회절 격자(210)는 입사된 광을 회절할 수 있다. 회절 격자(210)는 광이 특정 각도 이상으로 입사될 때까지 입사된 광을 반복적으로 회절시키고 도파관(230)은 특정 각도 미만으로 입사된 광은 출사시키고 특정 각도이상으로 입사된 광은 전반사시킬 수 있다.The diffracted light of "+1" and "-1" diffraction orders may be re-incident to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t a deflected angle. The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diffract the incident light. The diffraction grating 210 repeatedly diffracts the incident light until the light is incident at a specific angle or more, and the waveguide 230 emits light incident below a specific angle and allows total reflection of the light incident above a specific angle. have.

구체적으로 회절 격자(210)에서 회절된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도파관(230)의 제2 표면(234)에서 전반사되어 회절 격자(210)으로 다시 입사된다.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회절 격자(210)에 회절되면서 "0",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으로 출력되고 "0"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도파관(230)의 제2 표면(234)에서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바, 도파관(230)의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도파관(230)의 외부로 출사된 광은 제1 사출동 차수(8a) 이 될 수 있다. 사출동 차수(8)는 회절 격자(210)에 의해 2번 이상 회절되고 난 후 도파관(230)의 외부로 출사되어 형성된 사출동(7)을 의미한다. Specifically, the diffracted light of "+1" diffraction order diffracted by the diffraction grating 210 is totally reflected on the second surface 234 of the waveguide 230 and is incident again to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he diffracted light of "+1" diffraction order is diffracted by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nd is output as diffracted light of "0", "+1" and "-1" diffraction order, and the diffracted light of "0" diffraction order is waveguide ( The second surface 234 of 230 does not satisfy the total reflection condition, and thus may be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waveguide 230. The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waveguide 230 may be the first exit pupil order 8a. The exit pupil order 8 refers to the exit pupil 7 formed by diffracting more than two times by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nd then radiating to the outside of the waveguide 230.

도파관(230)의 제2 표면(234)에서 반사된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다시 회절 격자(210)로 입사되어 3차 회절이 발생되고, 3차 회절된 광 중 "0"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도파관(230)의 제2 표면(234)을 통과하면서 추가적인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인 사출동 차수(8)는 사출동(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사출동 차수(8a)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The diffracted light of "+1" and "-1" diffraction orders reflected from the second surface 234 of the waveguide 230 is again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o generate third-order diffraction, and the third-order diffracted light The diffracted light of the "0" diffraction order may form an additional exit pupil order 8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surface 234 of the waveguide 230. An additional exit pupil order 8 may be form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first exit pupil order 8a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xit pupil 7.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의 일부도, "+1" 회절 차수의 회절광과 마찬가지로, 전반사, 회절, 굴절 및 투과 등을 반복하여 제2 사출동 차수(8b)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사출동 차수(8b)는 사출동(7)을 기준으로 제1 사출동 차수(8a)와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exit pupil order 8b can be formed by repeating total reflection, diffraction, refraction and transmission, and the like, similarly to the diffracted light of the "+1" diffraction order, for a part of the diffracted light of the "-1" diffraction order. The second exit pupil order 8b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exit pupil order 8a with respect to the exit pupil 7.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의 나머지는 전반사, 회절, 굴절 및 투과 등을 반복하면서 추가적인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할 수 있다.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에 따른 추가적인 사출동 차수(8)는 사출동(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사출동 차수(8b)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출동 차수(8)가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사출동 차수(8)가 증가한다고 칭할 수 있다. The remainder of the diffracted light of the "-1" diffraction order can form an additional exit pupil order 8 by repeating total reflection, diffraction, refraction and transmission, and the like. The additional exit pupil order (8) according to the diffracted light of the "-1" diffraction order is It may be form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second exit pupil order 8b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xit pupil 7. In this way, that the exit pupil order 8 is additionally formed can be referred to as an increase in the exit pupil order 8.

한편, 도파관(230)의 전파 모드의 특성상, 회절 격자(210)와 광간의 상호 작용이 발생하며, 이 상호 작용에서의 출사광은 입사광에 정확히 대응될 수 있다. 즉, 사출동 확장기(200)의 출사단에서의 광의 파형은 사출동 확장기(200)의 입사단에서의 광의 파형과 동일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agation mode of the waveguide 230, an interaction betwee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nd light occurs, and the emitted light in this interaction can accurately correspond to the incident light. That is, the waveform of light at the exit end of the exit dilator 200 may be the same as the waveform of light at the entrance end of the exit dilator 200.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 박스(B)(명확성을 위해 동그라미로 표시됨)은 사출동(7) 및 복수 개의 사출동 차수(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출동 차수(8)의 개수는 사용된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2B, the eye box B (circled for clarity) may include an exit pupil 7 and a plurality of exit pupil orders 8. The number of exit pupil orders 8 may vary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used.

사출동 차수(exit pupil orders)(8)의 갯수는 사출동 확장기(200) 없이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의해 획득된 사출동(7)의 개수와 시각적 광학 장치(100)가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사출동(7)의 크기에 의존하여 선택될 수 있다. The number of exit pupil orders (8)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exit pupils (7) obtained by the visual optics (100) without the exit pupil expander (200) and the visual optics (100) for proper operation. It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xit pupil 7 required.

아이 박스(B)를 확장하기 위해 필요한 사출동 차수(8)의 개수는 회절 격자(210)의 파라미터 및 도파관(230)의 파라미터, 즉, 아이 박스(B)를 확장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변경함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The number of exit pupil orders 8 required to expand the eye box B will be determined by changing a parameter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nd a parameter of the waveguide 230, that is, a parameter for expanding the eye box B. I can.

사출동 차수(8)의 갯수(증가의 정도)는 도파관(230)의 두께와 회절 각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동 차수(8)의 갯수는 도파관(230)의 두께가 얇을수록 많으며, 회절 각도가 작을수록 많을 수 있다. 사출동 차수(8)들 간의 거리는 도파관(230)의 두께 및 물질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동 차수(8)들간의 거리는 도파관(230)의 두께가 얇을수록 작아질 수 있으며, 도파관(230)의 굴절률이 클수록 커질 수 있다. 아이 박스(B)를 확장시키는 각 사출동 차수(8)의 방사 강도는 회절 격자(210)의 회절 강도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사출동 차수(8)의 방사 강도는 회절 강도에 비례할 수 있다. 아이 박스(B)를 확장하기 위해 올바르게 설계된 사출동 확장기(200)는 사출동 차수(8)의 기정의된 개수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동 확장기(200)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확장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The number of exit pupil orders 8 (the degree of increase) can be controlled by the thickness of the waveguide 230 and the diffraction angle. For example, the number of exit pupil orders 8 may increase as the thickness of the waveguide 230 decreases, and may increase as the diffraction angle de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exit pupil orders 8 may be determined by the thickness and material of the waveguide 230.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exit pupil orders 8 may decrease as the thickness of the waveguide 230 decreases, and may increase a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waveguide 230 increases. The radiation intensity of each exit pupil order 8 extending the eye box B may depend on the diffraction intensity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For example, the radiation intensity of each exit pupil order 8 may be proportional to the diffraction intensity. A correctly designed exit pupil expander 200 for expanding the eye box B can obtain a predefined number of exit pupil orders 8. Accordingly, the degree of expansion can be controlled 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exit dilator 200.

사출동 확장기(200)에 포함된 도파관(230)의 물질은, 예를 들어, 광학 무색 유리일 수 있고, 굴절률은 얼마나 많은 사출동 차수(8)의 갯수가 필요한가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파관(230)의 굴절률(유리의 플레인 등급)이 높을수록 내부 전반사의 각도가 커지는 바, 사출동 차수(8)들의 간격은 더 멀어지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파관(230)의 굴절률(크라운 등급의 유리)이 낮을수록, 내부 전반사의 각도는 작아지는 바, 사출동 차수(8)들은 서로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waveguide 230 included i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be, for example, an optical colorless glass, and the refractive index may be selected depending on how many exit pupil orders 8 are required. For example, as the refractive index (plane grade of glass) of the waveguide 230 increases, the angle of total internal reflection increas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xit orders 8 may be located further. In addition, as the refractive index (crown grade glass) of the waveguide 230 decreases, the angle of total internal reflection decreases, and the exit orders 8 may be located closer to each other.

기술된 광의 전파 원리는 사출동 확장기(200)에 입사하는 각각의 개별적인 얇은 평행 광(도 2b 및 2c의 광(a, b))에서 관찰될 수 있다. The described principle of propagation of light can be observed in each individual thin parallel light (lights (a, b) in FIGS. 2b and 2c) incident on exit pupil dilator 200.

사출동 확장기(200)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대한 변위(도 2c에서 변위의 오프셋은 "var"로 표시됨)에 민감하지 않다. 왜냐하면, 변위의 오프셋 "var"은 아이 박스(B)를 확장하기 위해 시각적 광학 장치(100)로부터 사출동 확장기(200)로의 광의 입사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사출동 확장기(200)로 입사된 광은 앞서 언급한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출사각에 의존할 수 있다. 사출동 확장기(200)와 통합된(integrated) 시각적 광학 장치(100)는 최상의 시야 거리로부터 무한대에 이르는 이미지도 형성할 수 있다. The exit pupil dilator 200 is not sensitive to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visual optics 100 (the offset of the displacement in FIG. 2C is indicated by “var”). This is because the offset "var" of the displacement does not affect the angle of incidence of light from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to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n order to expand the eye box B, that is, the exit pupil expander 200 The light incident to may depend on the emission angle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described above. The visual optics device 100 integrated with the exit pupil dilator 200 can also form images ranging from the best viewing distance to infinity.

광축(9)에 대한 회전도 회전도 회절 격자(210)로의 입사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다. 사출동 확장기(200)의 파라미터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의해 결정되는 입사각에 따라 설계되며, 사출동 확장기(200)로의 입사각은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개구각(aperture angle) 즉, 시야각의 범위내로 설계되면 무방하다. Neither rotation nor rotation about the optical axis 9 affects the angle of incidence to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he parameters of the exit pupil expander 200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angle of incidence determined by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and the angle of incidence to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s the aperture angle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that is, the viewing angle. It is fine if it is designed within the range of.

아이 박스(B)의 확장(증가 또는 반복)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발생한다(그림 2c 참조). 객체의 의미지는,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장치 또는 현미경의 접안경, 망원경, 사이트 등과 같은, 시각적 광학 장치(100)을 사용하여 형성되고, 객체의 이미지가 눈(1)에 전송되어 이 객체의 이미지가 눈(1)의 망막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객체로부터 반사된 광은 시각적 광학 장치(100)을 통과하고 동공(1a)에 입사하여 망막(1)에 초점을 맞춘다. The expansion (increase or repeat) of the eye box (B) usually occurs as follows (see Figure 2c). The meaning of the object is formed using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such as, for example, an augmented reality device or the eyepiece of a microscope, a telescope, a site, etc., and an image of the object is transmitted to the eye 1 and the image of the object May form on the retina of the eye (1). That is,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object passes through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and enters the pupil 1a to focus on the retina 1.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아이 박스(B)를 확장하기 위해, 사출동 확장기(200)는 광을 따라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출구쪽에 배치되고, 사출동 확장기(200)는 광을 적어도 2 개의 광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광 각각은 개별적인 사출동(7) 및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서 출력된 사출동(7)은 증가(확장)되어 확장된 아이 박스(B)가 될 수 있다. In order to expand the eye box B output from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s disposed at the exit side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along the light, and the exit pupil expander 200 transmits light. Divided into at least two lights, each of which is capable of forming a separate exit pupil 7 and exit pupil order 8. Thus, the exit pupil 7 output from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may be increased (expanded) to become an expanded eye box (B).

사출동 확장기(200)는 최상의 시야 거리로부터 무한대에 이르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광학 장치(시각적 광학 장치(1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The exit pupil dilator 200 may be used with an optical device (visual optical device 100) that forms images from the best viewing distance to infinity.

도파관 모드의 장점은 도파관(230)에서 전파되는 광의 손실이 매우 작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200)는 광의 입사 및 출사 모두에 사용되는 회절 격자(210)와 도판관 모드가 적용되는 도판관을 포함하기 때문에 광 손실은 거의 없다. 즉, 시각적 광학 장치(100)로부터의 모든 광은 아이 박스(B)를 구성하는 사출동 차수(8)의 형태에 포함될 수 있다. The advantage of the waveguide mode is that the loss of light propagating in the waveguide 230 is very small. Accordingly, since the exit pupil expander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diffraction grating 210 used for both incidence and emission of light and a conduit tube to which a conduit mode is applied, there is little light loss. That is, all the light from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may be included in the shape of the exit pupil order 8 constituting the eye box B.

또한, 눈(1)은 광 수신기이기 때문에,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서 출사되는 광은 평행 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행 광이 눈(1)에 들어오며, 평행 광은 망막상의 렌즈(본질적으로 집광 렌즈)에 의해 초점이 맞춰지고 사람은 객체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비평행 광이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서 출사되면, 눈(1)의 망막에 결상된 이미지는 흐려질 수 있다. 즉, 이미지는 망막이 아니라 망막 앞 또는 망막 뒤에 형성될 수 있다. 시각적 광학 장치(100)로부터의 평행 광 형태의 광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200)를 통해 전파된 후에도 광은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eye 1 is an optical recei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is parallel light. Parallel light enters the eye 1, and the parallel light is focused by a lens on the retina (essentially a condensing lens), and a person can see the object clearly. When non-parallel light is emitted from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an image formed on the retina of the eye 1 may be blurred. That is, the image may be formed in front of or behind the retina, not in the retina. Even after the light in the form of parallel light from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propagates through the exit pupil expander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ight may be kept parallel.

사출동 확장기(200)는 단일 스펙트럼 광 및 컬러 이미지를 형성하는 다중 스펙트럼 광을 사용하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단일한 회절 격자(210)는 도파관(230)에 광을 입사시키고 도파관(230)으로부터 광을 출사하기 위해 사용되고, 도파관(230)은 도파관(230) 모드를 만족시키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사출동 확장기(200)에 입사된 광은 광 특성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복수 개의 광으로 증가하여 출사되고, 사출동(7) 및 복수 개의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할 수 있다. The exit pupil expander 200 can be applied to the visual optics device 100 using single spectrum light and multispectral light to form a color image. This is because a single diffraction grating 210 is used to enter light into the waveguide 230 and emit light from the waveguide 230, and the waveguide 230 satisfies the waveguide 230 mode. Thus, the light incident o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ncreases and exits into a plurality of lights without chang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nd the exit pupil 7 and a plurality of exit pupil orders 8 can be formed.

사출동 확장기(200)는, 도 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출동 확장기(200)는 반사 모드로도 동작할 수 있다.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operate in a transmissive mode, as shown in FIG. 2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also operate in a reflective mode.

도 2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드로 동작하는 사출동 확장기(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2D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it pupil expander 200 operating in a reflection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 광학 장치(100)로부터의 입사광(예를 들어, 평행 광)은 회절 격자(210)가 형성된 도파관(230)의 제1 표면(232)과 대응하는 도파관(230)의 제2 표면(234)에 입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D, incident light (eg, parallel light) from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is a waveguide 230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rface 232 of the waveguide 230 on which the diffraction grating 210 is formed. ) May be incident on the second surface 234.

도파관(230)에서 굴절된 평행 광은 반사 타입의 회절 격자(210)상에 경사지게 입사될 수 있다.The parallel light refracted by the waveguide 230 may be obliquely incident on the reflection type diffraction grating 210.

반사형 회절 격자(210)에서, 광은 3 개의 회절 차수, 즉 "0",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으로 회절되어 3 방향으로 도판관내에 전파될 수 있다. In the reflective diffraction grating 210, light can be diffracted into diffracted light of three diffraction orders, that is, "0", "+1" and "-1" diffraction orders, and propagate in the guiding tube in three directions.

도파관(230)을 통과하여 제2 표면(234)에 입사된 "0" 회절 차수의 회절광, 즉 1회 회절된 광의 일부는, 전체 내부 반사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기 때문에, 표면(6)에서 전반사되지 않고, 제2 표면(234)을 통해 도파관(230)으로부터 완전히 출사될 수 있다.Since the diffracted light of "0" diffraction order, that is, part of the light diffracted once, passing through the waveguide 230 and incident on the second surface 234,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of total internal reflection, the surface 6 Without total reflection, it may be completely emitted from the waveguide 230 through the second surface 234.

"0"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눈(1a)의 동공 영역의 일부 영역에 수집되고, 아이 박스(B)에 사출동(7)을 형성할 수 있다(투과 모드의 동작과 유사함).The diffracted light of the "0" diffraction order is collected in a partial area of the pupil region of the eye 1a, and an exit pupil 7 can be formed in the eye box B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mode).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제2 표면(234)에서 전반사 조건을 중촉하는 바, (투과 모드에서 동작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듯이) 제2 표면(234)에서 전반사되어 도파관(230)내로 진행할 수 있다.The diffracted light of the "+1" and "-1" diffraction orders catalyzes the total reflection condition at the second surface 234, and is totally reflected at the second surface 234 (as described for the device operating in the transmission mode). It may proceed into the waveguide 230.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다시 회절 격자(210)에 입사되고, 회절 격가는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 각각을 이용하여 "0",+1", 및 "-1"회절 차수의 회절광을 출력한다. 2차 회절에 따른 "0" 회절 차수의 회절광 각각은 도파관(230)의 제2 표면(234)으로 출사되어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하고, 나머지 회절광은 다시 도파관(230)을 진행한다. The diffracted light of "+1" and "-1" diffraction order is again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nd the diffraction cost is "0" using each of the diffracted light of "+1" and "-1" diffraction order, The diffracted light of the diffraction order of +1" and "-1" is output. Each of the diffracted light of the diffraction order of "0" according to the second diffraction is emitted to the second surface 234 of the waveguide 230 and exits the exit pupil order. (8) is formed, and the remaining diffracted light passes through the waveguide 230 again.

도판관을 진행하는 광은 회절 격자(210)에 입사되는 입사각이 회절할 수 없는 각도가 될때까지 반복적으로 회절, 투과, 전반사 및 굴절 등을 통해 사출동 차수(8)(orders of the exit pupil)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guide tube is repeatedly diffraction, transmission, total reflection, and refraction until the incident angle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reaches an angle that cannot be diffracted. Can be additionally formed.

투과 모드에서 사출동 확장기(200)의 동작과 유사하게, 반사 모드에서 사출동 확장기(200)에 의해 형성된 아이 박스(B)는 사출동(7) 및 사출동 차수(8)들의 집합(a set of orders of the exit pupil)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출동(7)의 차수의 갯수는 임의적일 수 있다. 즉, 사출동 확장기(200)가 적용되는 시각적 광학 시스템에 필요한 수 있으며, 사출동 차수(8)의 증가 정도는 사출동 확장기(200)의 파라미터, 즉, 회절 격자(210)와 도파관(230)의 파라미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Similar to the operation of the exit dilator 200 in the transmissive mode, the eye box B formed by the exit dilator 200 in the reflective mode is a set of exit pupil 7 and exit pupil orders (8). of orders of the exit pupil).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orders of the exit pupil 7 may be arbitrary. That is, it may be necessary for a visual optical system to which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s applied, and the degree of increase of the exit pupil order 8 is a parameter of the exit pupil expander 200, that is,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nd the waveguide 230 Can be adjusted by the parameters of.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아이 박스(B)를 확장하기 위한 반사형 회절 격자(210)가 사용된 사출동 확장기(200)에서 광의 전파 원리는, 투과형 회절 격자(210)가 사용되는 사출동 확장기(200)의 전파 원리와 유사하다. 유일한 차이점은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광축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200)의 배향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n which the reflective diffraction grating 210 for expanding the eye box B is used, the propagation principle of light is the exit pupil expander in which the transmission diffraction grating 210 is used ( 200). The only difference is the orientation of the exit pupil dilator 200 along the optical axis of the visual optics device 100.

투과 모드로 동작하는 사출동 확장기(200)의 경우, 광은 먼저 투과형 회절 격자(210)를 통해 전파되고, 아이 박스(B)는 사출동 확장기(200) 뒤에 형성될 수 있다(도 2c 참조). 반사 모드로 동작하는 사출동 확장기(200)의 경우, 광은 먼저 도파관(230)을 통해 입사 및 굴절되어 반사형 회절 격자(210)에 입사될 수 있다. 아이 박스(B)는 사출동 확장기(20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도. 2d).In the case of the exit pupil expander 200 operating in the transmission mode, light is first propagated through the transmission type diffraction grating 210, and the eye box B may be formed behind the exit pupil expander 200 (see FIG. 2C). . In the case of the exit pupil expander 200 operating in the reflection mode, light may be first incident and refracted through the waveguide 230 to be incident on the reflective diffraction grating 210. The eye box (B)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exit dilator 200 (Fig. 2d).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사출동 확장기(200)를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는 경우 시각적 광학 시스템의 시야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사출동 확장기(200)를 적용하는 시각적 광학 시스템은 사출동 확장기(200)를 적용하지 않는 시각적 광학 시스템에 비해 시야가 5배 이상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visual field of the visual optical system was measured when the exit dilator 200 was applied to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and when the exit dilator 200 was not applied.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visual optical system to which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s applied has a field of view that is extended by 5 times or more compared to the visual optical system to which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s not applied.

또한, 사출동 확장기(200)에서, 광이 도파관(230)에서 매우 짧은 거리에 걸쳐 전파되기 때문에, 광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Further, i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since light propagates over a very short distance in the waveguide 230, light energy loss can be reduced.

사출동 확장기(200)의 높은 회절 효율은 광이 아이 박스(B)에 균일하게 채워지게 한다. The high diffraction efficiency of the exit pupil expander 200 allows the light to be uniformly filled in the eye box (B).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공간도를 도시한다. 도 3의 디스플레이는 근안 디스플레이로서 증강 현실 장치일 수 있다. 3 shows a space diagram of a display using an exit pupil expa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of FIG. 3 is a near-eye display and may be an augmented reality device.

이미지 소스(F)로부터의 광은 환경의 이미지와 이미지 소스(F)(예를 들어, 내부 디스플레이)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를 결합하는 결합기(300)에 입사될 수 있다. 결합기(300)는 도 1, 도 2b 등에서 기술한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대응할 수 있다. 결합기(300)는 증강 현실 장치의 시야의 크기를 형성하고 아이 박스(B)을 확장시키기 위해 광을 사출동 확장기(200) 로 재지향시킬 수 있다. Light from the image source F may be incident on the combiner 300 that combines an image of the environment with an image formed by the image source F (eg, an internal display). The coupler 300 may correspond to the optical optical device 100 described in FIGS. 1 and 2B. The combiner 300 may redirect light to the exit pupil expander 200 to form the size of the field of view of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expand the eye box B.

사출동 확장기(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장치의 아이 박스(B)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사출동 확장기(200)의 다양한 구역(도 3의 a, b, c, d)에서 출사된 광는 다양한 각도로 눈(1)으로 재지향될 수 있다. 사출동 확장기(200)에서 출사된 광은 사출동(7) 및 사출동 차수(8)를 포함하는 아이 박스(B)을 완전히 및 균일하게 채울 수 있다. 이는 사출동 확장기(200)를 통해 증강 현실 장치로부터 광이 전파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증강 현실 장치를 위한 사출동 확장기(200)는, 2 차원 회절 격자(210)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차원적일 수 있다. 즉, 아이 박스(B)는 동일한 평면으로 2 개의 상호 수직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increase the eye box B of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as described above. Light emitted from various areas (a, b, c, and d of FIG. 3) of the exit dilator 200 may be redirected to the eye 1 at various angl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completely and uniformly fill the eye box B including the exit pupil 7 and the exit pupil order 8. This is because light propagates from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through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n this case, the exit pupil expander 200 for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may be two-dimensional because the two-dimensional diffraction grating 210 is used. That is, the eye box B may extend in two mutually perpendicular directions on the same plane.

결합기(300)가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에 기초한 경우, 결합기(300)는 작은 아이 박스(B)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결합기(300)의 아이 박스(B)를 확장하기 위해, 제안된 사출동 확장기(200)를 사용하면 아이 박스(B)를 확장하는 바, 유용할 수 있다. When the combiner 300 is based on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it is known that the combiner 300 has a small eye box (B). In order to expand the eye box (B) of the coupler 300, if the proposed exit pupil expander 200 is used to expand the eye box (B), it may be useful.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 모드로 동작하는 결합기와 사출동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의 결합기(300)와 사출동 확장기(200)는 디스플레이로서 증강 현실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증강 현실 장치는 안경형일 수 있다. 결합기(300)는 홀로그램 광학 소자일 수 있다. 이미지는 결합기(300) 뒤에, 즉 결합기(300)가 하이라이트된(highlighted)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사출동 확장기(200)는 눈(1)에 더 가까운 결합기(300) 뒤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출동 확장기(200)와 눈(1) 사이에 결합기(300)가 배치될 수 있다. 4A is a view showing a coupler and an exit pupil expander operating in a transmiss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biner 300 and exit pupil expander 200 of FIG. 4A may be integrated into an augmented reality device as a display.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may be a glasses type. The coupler 300 may be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The image may be formed behind the coupler 300, ie opposite the coupler 300 being highlighted. The exit dilator 200 may be disposed behind the combiner 300 closer to the eye 1. That is, the coupler 3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xit dilator 200 and the eye 1.

이미지 소스(F)로부터의 광은 결합기(300)에 입사되고, 결합기(300)의 시야각은 경사진 평행 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기(300)에서 출사된 광은 사출동 확장기(200)에 입사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사출동(7) 및 복수 개의 사출동 차수(8)가 형성될 수 있다. 사출동 확장기(200)에서 출사된 광은, 결합기(300)와 상호 작용하지 않고, 결합기(300)를 통과하여 전파될 수 있다. 즉, 결합기(300)는 사출동 확장기(200)에서 출력되는 사출동(7) 및 사출동 차수(8)에 대응하는 광의 전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Light from the image source F is incident on the coupler 300,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coupler 300 may be formed by inclined parallel light. The light emitted from the coupler 300 is incident o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and as described above, the exit pupil 7 and a plurality of exit pupil orders 8 may be form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exit dilator 200 may be propagated through the coupler 300 without interacting with the coupler 300. That is, the coupler 300 does not affect the propagation of light corresponding to the exit pupil 7 and the exit pupil order 8 output from the exit pupil expander 200.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 모드로 동작하는 결합기(300)와 사출동 확장기(200)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결합기(300)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는 이미지 소스(F)와 동일한 측에서 결합기(30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출동 확장기(200)도 결합기(3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출동 확장기(200)는 결합기(300)보다 눈(1)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기(300)는 시야각을 형성하고, 사출동 확장기(200)는 추가적인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하여 아이 박스(B)를 확장할 수 있다.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upler 300 operating in a reflection mode and an exit dilator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at is, the image formed by the coupler 300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coupler 300 on the same side as the image source F. In this case,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also be disposed in front of the combiner 300, and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eye 1 than the combiner 300. In addition, the coupler 300 forms a viewing angle, and the exit pupil expander 200 forms an additional exit pupil order 8 to expand the eye box B.

사출동 확장기(200)는 컴팩트하기 때문에, 증강 현실 장치의 전체 치수 및 중량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도 증강 현실 장치에 용이하게 통합될 수 있다.Since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s compact, it can be easily integrated into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without substantially changing the overall dimensions and weight of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1차원 회절 격자를 포함하는 사출동 확장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동 확장기(200)가 1 차원 회절 격자(210)를 포함하는 경우, 시각적 광학 장치(100)로부터의 광은 사출동 확장기(200)에서 입사 및 회절될 수 있다.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서 전파되는 광과 사출동 확장기(200)에서 회절된 광은 동일한 평면상이 있을 수 있다. 5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exit pupil expander including a one-dimensional diffraction gr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whe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ncludes a one-dimensional diffraction grating 210, light from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may be incident and diffracted by the exit pupil expander 200. . The light propagating from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and the light diffracted from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have the same plane image.

전술한 바와 같이, "0"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사출동 확장기(200)를 통과하고,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도파관(230)에서 전반사에 의해 도파관(230)을 통해 Y 축을 따라 전파되고, 다시 회절 격자(210)상에 입사되어 "0",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으로 회절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ffracted light of "0" diffraction order passes through the exit pupil expander 200, and the diffracted light of "+1" and "-1" diffraction order is transmitted to the waveguide 230 by total reflection in the waveguide 230. ) Propagates along the Y axis, and is again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o be diffracted into diffracted light having diffraction orders of "0", "+1" and "-1".

2번 회절된 광 중 "0"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전반사 조건을 만족하지 않아 도파관(230)을 투과하여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광은 사출동 확장기(200)에서 회절, 전반사 및 굴절 등을 하면서 사출동 확장기(200)를 출사하고, 하나의 축(Y)을 따라 추가적인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출동(7)의 영역(7)은 오직 한 방향으로만 확장될 수 있다.Among the light diffracted twice, diffracted light having a diffraction order of "0"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 for total reflection, and thus may pass through the waveguide 230 to form the exit pupil order 8.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exits the exit pupil expander 200 while diffraction, total reflection, and refraction i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and forms an additional exit pupil order 8 along one axis (Y). can do. That is, the area 7 of the exit pupil 7 can only be extended in one direction.

2차원 회절 격자(210)는, 1 차원 회절 격자(210)와 달리, 2 개의 직교 방향으로 사출동 차수(8)를 플로팅(plot)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회절 격자를 포함하는 사출동 확장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동 확장기(200)가 2 차원 회절 격자(210)를 포함하는 경우, 시각적 광학 장치(100)으로부터의 광은 2 차원 회절 격자(210)에 입사하고 2 방향(X 및 Y 축을 따라)으로 회절할 수 있다. 동작 원리는 1 차원 회절 격자(210)와 동일하지만 아이 박스(B)의 확장은 두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즉, 아이 박스(B)은 2 개의 좌표로 확장될 수 있다.Unlike the 1D diffraction grating 210, the 2D diffraction grating 210 may plot the exit pupil order 8 in two orthogonal directions.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it pupil expander including a two-dimensional diffraction grat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whe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ncludes a two-dimensional diffraction grating 210, light from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enters the two-dimensional diffraction grating 210 and is in two directions ( Diffracted along the X and Y axes). The operating principle is the same as the one-dimensional diffraction grating 210, but the expansion of the eye box B can occur in two directions. That is, the eye box B may be extended to two coordinates.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절 격자(210)는 도파관(23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동 확장기(200)는 제1 도파관(230a), 제2 도파관(230b), 제1 도파관(230a)과 제2 도파관(230b) 사이에 배치되는 회절 격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절 격자(210)의 양단 각각은 제1 및 제2 도파관(230a, 230b)에 접할 수 있다. 제1 도파관(230a)를 통해 회절 격자(210)에 입사된 광은 두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7 is a view showing an exit pupil expan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7,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located inside the waveguide 230. For example,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include a first waveguide 230a, a second waveguide 230b, and a diffraction grating 210 disposed between the first waveguide 230a and the second waveguide 230b. I can. Each of both ends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waveguides 230a and 230b. Light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hrough the first waveguide 230a may be divided into two parts.

회절 격자(210)에 입사된 광 중 일부는 회절 격자(210)를 회절하면서 회절 격자(210)를 투과하여 제1 도파관(230a)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1 도파관(230a)을 진행하는 광은 "0",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이며, "0"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제1 도파관(230a)을 투과하여 사출동(7)을 형성한다. "+1" 및 "-1" 회절 차수의 회절광은 전반사, 굴절, 회절, 및 투과 등을 반복하면서 추가적인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할 수 있다. Som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pass through the diffraction grating 210 while diffracting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o proceed to the first waveguide 230a. Light traveling through the first waveguide 230a is diffracted light of "0", "+1" and "-1" diffraction order, and the diffracted light of "0" diffraction order passes through the first waveguide 230a Form the movement (7). The diffracted light of "+1" and "-1" diffraction orders can form an additional exit pupil order 8 by repeating total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and transmission, and the like.

한편, 회절 격자(210)에 입사된 광 중 다른 일부는 회절 격자(210)를 회절하면서 회절 격자(210)에서 반사되어 제2 도파관(230b)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2 도파관(230b)을 진행한 회절광은 제2 도파관(230b)에 내부 전반사되어 다시 회절 격자(210)로 입사될 수 있다. 그 중 일부는 회절 격자(210)를 투과하고 나머지는 회절 격자(210)에서 반사될 수 있다. Meanwhile, som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reflected by the diffraction grating 210 while diffracting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o proceed to the second waveguide 230b. The diffracted light that has traveled through the second waveguide 230b may be totally internally reflected by the second waveguide 230b and may be incident again to the diffraction grating 210. Some of them may pass through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nd others may be reflected from the diffraction grating 210.

투과된 광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도파관(230a)을 진행하면서 추가적인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도파관(230b)으로 반사된 회절광은 전반사, 회절 등을 반복하면서 제1 도파관(230a)으로 투과될 수 있다. . 제1 도파관(230a)으로 인해 광은 사출동 차수(8)들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ed light may form an additional exit pupil order 8 while traveling through the first waveguide 230a. The diffracted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waveguide 230b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waveguide 230a while repeating total reflection and diffraction. . Due to the first waveguide 230a, light may be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exit pupil orders 8.

도 8a는 이산적으로 분포된 복수 개의 사출동 차수를 포함하는 아이 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서 출사된 광은 그 자체로 복수 개의 사출동(7)을 형성할 수 있다.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의해 형성된 복수 개의 사출동(7)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 박스(B)에 불균일하게(이산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그리하여, 아이 박스(B)에는 블라인드 영역(10)이 형성될 수 있다, 블라인드 영역(10)에는 사출동 차수(8)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1)이 불라인드 영역(10)에 위치하는 경우, 이미지를 볼 수 없다. 8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ye box including a plurality of discretely distributed exit orders. The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optical device 100 may itself form a plurality of exit pupils 7. The plurality of exit pupils 7 formed by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may be distributed unevenly (discretely) in the eye box B, as shown in Fig. 8A. Thus, the blind area 10 may be formed in the eye box B. Since the exit pupil order 8 does not exist in the blind area 10, the user's eyes 1 can be changed to the blind area 10 If located in, you cannot see the image.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200)는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하고 증가시킬 수 있다. 아이 박스(B)의 해상도, 즉, 사출동 확장기(200)에 의해 증가된 사출동 차수(8)의 개수는 다음 두 가지 파라미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exit pupil expand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orm and increase the exit pupil order 8. The resolution of the eye box B, that is, the number of the exit pupil orders 8 increased by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vary according to the following two parameters.

-회절 격자(210)의 회절 각도(즉, 도파관(230)으로의 광 입사 각도) 및 -The diffraction angle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hat is, the angle of incidence of light into the waveguide 230) and

-도파관(230)의 두께와 물질 (즉, 내부 전반사 각도) -Thickness and material of the waveguide 230 (ie, total internal reflection angle)

이들 2 개의 파라미터를 조합함으로써, 도파관(230)의 전반사 회수 및 사출동 차수(8)의 불연속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 격자(210)의 회절 각도가 작을수록, 또는 도파관(230)의 내부 전반사 각도가 작을수록 아이 박스(B)의 해상도는 커질 수 있다. By combining these two parameters, the number of total reflections of the waveguide 230 and the degree of discontinuity of the exit pupil order 8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as the diffraction angle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decreases or the total internal reflection angle of the waveguide 230 decreases, the resolution of the eye box B may increase.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에 의해 형성된 사출동 차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200)는 회절, 투과, 굴절 및 전반사 등을 통해 사출동 차수(8)를 증가시킬 수 있다. 사출동 차수(8)들은 서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동 차수(8)가 많을수록, 즉 아이 박스(B)는 사출동 차수(8)들로 채워지면서 이산성이 사라지고, 아이 박스(B)가 균일해질 수 있다. 8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it pupil order formed by an exit pupil expand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xit pupil expand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rease the exit pupil order 8 through diffraction, transmission, refraction, and total reflection. The exit pupil orders 8 may be formed so that at least some regions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8B, as the exit pupil order 8 increases, that is, as the eye box B is filled with the exit pupil orders 8, discreteness disappears, and the eye box B may become uniform.

또한, 이미지가 균질해지려면, 각각의 사출동(7) 및 사출동 차수(8)에서 광 에너지가 같아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한 위치에서 눈(1)은 매우 밝은 이미지를 보게 되고 다른 위치에서 눈(1)은 매우 희미한 이미지를 보게 될 수 있다. Also, in order for the image to be homogeneous, the light energy in each exit pupil 7 and exit pupil order 8 would have to be the same. Otherwise, the eye 1 may see a very bright image in one position and the eye 1 in another position may see a very faint image.

사출동(7) 및 사출동 차수(8) 각각에서 광 에너지의 균일성은 회절 격자(210)의 파라미터를 최적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조시, 사출동 확장기(200)의 입사 지점과 출사 지점에서의 광이 매칭되도록 회절 격자(210)의 주기가 선택될 수 있고, 사출동(7) 및 사출동 차수(8) 각각이 균일하게 밝고 동일한 치수가 되도록 회절 격자(210)의 릴리프 높이가 선택될 수 있다. 사출동 확장기(200)는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 범위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시야각 즉,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개구각의 크기이상일 수 있다. The uniformity of light energy in each of the exit pupil 7 and exit pupil order 8 can be achieved by optimizing the parameters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o this end, during manufacture, the period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selected so that the light at the point of incidence and the point of exit of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s matched, and the exit pupil 7 and the exit pupil order 8 respectively The relief height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selected so that it is uniformly bright and has the same dimensions. The exit dilator 200 may have an angular range capable of accurately operating. This range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ize of the viewing angle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that is, the aperture angle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200)가 60°도 개구각 범위내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된 경우, 이 사출동 확장기(200)는 또한 60° 미만 (예를 들어, 40°)의 시야각을 갖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시야각이 60°보다 큰 경우, 사출동 확장기(200)는 더 이상 이러한 장치에 적용될 수 없다. 이 경우 사출동 확장기(200)는 바르게 동작하지 않기 때문이다. For example, whe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esigned to operate within a 60° opening angle range, the exit cast expander 200 may also be less than 60° (eg, 40°). It can also be used for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having a viewing angle. However, when the viewing angle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is greater than 60°, the exit pupil expander 200 can no longer be applied to such a device. In this case, this is because the exit exit expander 200 does not operate properly.

사출동 확장기(200)가 평면 도파관을 포함하는 경우, 회절 격자(210)는 임의의 유형의 회절 격자(210)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평면형 사출동 확장기(200)는 일반적으로 작은 시야를 갖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유용하다. Whe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ncludes a planar waveguide, any type of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applied to the diffraction grating 210. However, the planar exit pupil dilator 200 is generally useful for a visual optics device 100 having a small field of view.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팟을 형성하는 평면형 사출동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9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anar exit exit expander forming a sp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동 확장기(200)에는 서로 다른 시야각의 광 입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야각(Θ1)으로 입사되는, 이미지와 같은 유용한 제1 광 및 제2 시야각(Θ2)으로 입사되는, 플레이어(flare)와 같은 제2 광이 사출동 확장기(200)에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사출동 확장기(200)의 개구 각 크기는 제1 시야각(Θ1)과 같을 수 있다. 사출동 확장기(200)에 제1 광이 입사되면, 사출동 확장기(200)는 제1 광을 이용하여 아이 박스(B)에 사출동(7)과 복수 개의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A, light having different viewing angles may be incident o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For example, a useful first light, such as an image, incident at a first viewing angle Θ 1 , and a second light, such as a player, incident at a second viewing angle Θ 2, are exit pupil expander 200 Can be incident on. In addition, the size of the opening angle of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be equal to the first viewing angle Θ 1. When the first light is incident o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the exit pupil expander 200 uses the first light to form the exit pupil 7 and a plurality of exit pupil orders 8 in the eye box (B). I can.

한편, 사출동 확장기(200)에 사출동 확장기(200)의 제1 개구각(Θ1) 보다 큰 입사각(Θ2)으로 제2 광이 입사되면, 사출동 확장기(200)는 제2 광으로부터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하지 못한다. 그리하여 사출동 확장기(20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 박스(B)에 "무지개" 스팟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광은 추가 광원, 예를 들어, 가로등, 가로등, 자동차 헤드 라이트 등)이 시각적 광학 장치(100)를 통해 보여질 수 있으나, 제2 광은 회절 격자(210)에서 회절은 하지만, 도파관(230)에 의해 다중화되지 않아 스펙트럼 형태(예: "무지개")로 나타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작은 아이 박스(B)를 갖는 증강 현실 안경에서 사출동 확장기(200)를 사용할 때 관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light is incident on the exit dilator 200 at an incidence angle Θ 2 greater than the first opening angle Θ 1 of the exit dilator 200, the exit dilator 200 is The exit pupil order (8) cannot be formed. Thus,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form a "rainbow" spot on the eye box B, as shown in FIG. 9A. As for the second light, an additional light source, for example, a street light, a street light, a car headlight, etc., can be seen through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but the second light is diffracted by the diffraction grating 210, but the waveguide ( 230) and thus appear as a spectral form (eg "rainbow"). This phenomenon can be observed when using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n the augmented reality glasses having a small eye box (B).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곡선형 사출동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a curved exit exit expa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사출동 확장기(200)의 형상의 변화로 인해, 사출동 확장기(200)은 특정 개구 각에서만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출동 확장기(200)의 곡률은 개구각의 선택성이 실현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Due to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exit pupil expander 200,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be implemented to operate only at a specific opening angle. That is, the curvature of the exit pupil expander 200 may be designed to realize the selectivity of the opening angle.

곡선형 사출동 확장기(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 회절 격자(210) 및 곡선형 도파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각(Θ1)내로 입사하는 제1 광은 사출동 확장기(200)에 수직한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이는 사출동 확장기(200)의 추가 파라미터, 즉 개구각의 원하는 범위(입사각의 범위는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의해 설정될 수 있음)내에서 변하거나 조절될 수 있는 곡률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The curved exit pupil expander 200 may include a curved diffraction grating 210 and a curved waveguide 230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light incident into the first opening angle Θ 1 may be dir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it pupil expander 200. It has a curvature that can be varied or adjusted within the desired range of the exit angle dilator 200, i.e., the desired range of the angle of incidence (the range of the angle of incidence can be set by the visual optics device 100 designed for use). Because there is.

제1 개구각(Θ1)내에서 입사된 제1 광은 회절 격자(210)에 의해 회절되고, 도파관(230)은 회절광을 이용하여 사출동(7) 및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하여 아이 박스(B)를 확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 개구각(Θ1)보다 큰 제2 개구각(Θ2)으로 입사된 제2 광은 아이 박스(B)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절 격자(210)가 제2 개구각(Θ2)으로 입사된 제2 광을 회절시킨다 하더라도, 회절광은 도파관(230)에서 내부 전반사되어 외부로 출사되지 않기 때문이다 The first light incident within the first opening angle Θ 1 is diffracted by the diffraction grating 210, and the waveguide 230 forms the exit pupil 7 and the exit pupil order 8 using the diffracted light. Thus, the eye box (B) can be expanded. However, the second light incident at the second opening angle Θ2 greater than the first opening angle Θ1 may not form the eye box B. This is because even though the diffraction grating 210 diffracts the second light incident at the second opening angle Θ 2 , the diffracted light is totally internally reflected by the waveguide 230 and is not emitted to the outside.

사출동 확장기(200)가 곡선형 도파관(230)을 사용하는 경우, 회절 격자(210)는 브래그 회절 격자를 사용할 수 있다. 브래그 회절 격자는 회절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브래그 회절 격자는 광의 입사각 및 광의 파장에 대해 선택적일 수 있다. When the exit pupil expander 200 uses the curved waveguide 230,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use a Bragg diffraction grating. Bragg diffraction gratings have the advantage of high diffraction efficiency. Also, the Bragg diffraction grating may be selective for the incident angle of light and the wavelength of light.

브래그 회절 격자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시야각 범위에서 특정 각도로 입사되는 광의 효율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평면 도파관 또는 평면형 사출동 확장기에도 이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회절 격자(210)에 수직하게 입사된 광은 최소한의 에너지 손실로 출력시키고, 회절 격자(210)에 경사지게 입사된 광은 에너지 손실을 크게 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 Bragg diffraction grating may also be used in a planar waveguide or a planar exit pupil expander whe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light incident at a specific angle in the viewing angle range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Thus, light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output with minimal energy loss, and light incident on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increase energy loss.

회절 격자(210)로 체적 브래그 격자가 사용되면, 시각적 광학 장치(100)로부터 특정 각도로 입사된 광의 효율은 더 증가될 수 있다. When a volume Bragg grating is used as the diffraction grating 210, the efficiency of light incident from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at a specific angle may be further increased.

곡선 도파관을 사용하는 주된 장점은 매우 큰 시야각을 갖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도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200)가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평면형 사출동 확장기는 아이 박스(B)를 확장시키기 위한 광의 입사각에 한계가 있다. 그리하여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시야각이 사출동 확장기(200)의 개구각의 한계를 초과하면 사출동 확장기(200)는 올바르게 아이 박스(B)를 확장시킬 수 없다. 그러나, 곡선형 사출동 확장기는 곡률에 의해 개구각을 확장 또는 조정할 수 있는 바, 시야각이 큰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main advantage of using the curved waveguide is that the exit pupil expand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be incorporated even in the visual optics device 100 having a very large viewing angle. The planar exit exit expander has a limit in the incident angle of light for expanding the eye box (B). Thus, when the viewing angle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exceeds the limit of the opening angle of the exit pupil expander 200, the exit pupil expander 200 cannot correctly expand the eye box B. However, since the curved exit pupil expander can expand or adjust the opening angle by curvature,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visual optical device 100 having a large viewing angle.

한편, 평면형 사출동 확장기라 하더라도 복수 개의 도판관을 이용하여 개구 각를 넓힐 수도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도파관을 포함하는 사출동 확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절 격자(210)의 일부 영역은 제1 개구각(Θ1) 내로 입사되는 제1 광을 회절시키고, 회절 격자(210)의 나머지 영역은 제1 개구각(Θ1)보다 큰 제2 개구각(Θ2) 내로 입사되는 광을 회절시키록 설계될 수 있다. 회절 격자(210)의 파라미터를 개구각에 대응되게 설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the flat-type exit pupil expander, the opening angle may be widened by using a plurality of guiding tubes.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it pupil expander including a plurality of waveguide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a partial region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diffracts the first light incident into the first opening angle Θ 1 , and the remaining region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is the first opening angle Θ It may be designed to diffract light incident into the second opening angle Θ 2 greater than 1 ). The parameters of the diffraction grating 210 may be designed to correspond to the aperture angle.

제1 도판관은 제1 개구각(Θ1) 내로 입사되는 제1 광을 이용하여 사출동(7) 및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하고, 제2 도파관(230b)은 제1 개구각(Θ1)을 초과하고 제2 개구각(Θ2) 내로 입사되는 제2 광을 이용하여 사출동(7) 및 사출동 차수(8)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시야각을 넓히기 위해 복수 개의 도파관(230)을 사용할 수도 있다. The first waveguide pipe forms the exit pupil 7 and the exit pupil order 8 by using the first light incident into the first opening angle Θ 1, and the second waveguide 230b forms the first opening angle ( The exit pupil 7 and the exit pupil order 8 may be formed by using the second light exceeding Θ1 and incident into the second opening angle Θ 2. Accordingly, a plurality of waveguides 230 may be used to widen the viewing angle.

지금까지 설명한 사출동 확장기(200)는 시각적 광학 장치(100)의 아이 박스(B)를 확장시키는 소형의 편리한 추가 요소로서 시각적 광학 장치(100)에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다. The exit pupil expander 200 described so far can be widely applied to the visual optics device 100 as a compact and convenient additional element for expanding the eye box B of the visual optics device 100.

상술한 사출동 확장기 및 디스플레이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The above-described exit dilator and display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I will understand. Although many items are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y should be construed as examples of specific embodiments rather than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100: 시각적 광학 장치
200: 사출동 확장기
210: 회절 격자
230: 도파관
B: 아이 박스
7: 사출동
8: 사출동 차수
100: visual optics
200: exit dilator
210: diffraction grating
230: waveguide
B: Eye box
7: exit building
8: exit pupil order

Claims (22)

시각적 광학 장치의 사출동을 확장시키기 위한 사출동 확장기에 있어서,
입사된 광을 회절시켜 회절 차수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회절광을 출력하는 회절 격자; 및
상기 회절 격자상에 배치되며, 상기 회절 격자에서 출력된 상기 복수 개의 회절광 중 제1 회절광을 이용하여 사출동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절광 중 제2 회절광을 이용하여 사출동 차수를 형성하는 도파관;을 포함하는 사출동 확장기.
In the exit pupil expander for expanding the exit pupil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A diffraction grating for diffracting the incident light to output a plurality of diffracted lights having different diffraction orders; And
Arranged on the diffraction grating, an exit pupil is formed using a first diffracted light among the plurality of diffracted lights output from the diffraction grating, and an exit pupil order is determined by using a second diffracted light among the plurality of diffracted lights. An exit pupil dilator comprising a; waveguide to for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회절 격자에서 출력된 제1 회절광을 전반사 없이 출력시켜 상기 사출동을 형성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veguide,
An exit pupil expander configured to form the exit pupil by outputting the first diffracted light output from the diffraction grating without total refl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회절 격자에서 출력된 제2 회절광을 적어도 1회 내부 전반사시킨 후 출력시켜 하나 이상의 사출동 차수를 형성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veguide,
An exit pupil expander configured to form at least one exit pupil order by totally internally reflecting the second diffracted light output from the diffraction grating at least once and then outputting i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제2 회절광을 내부 전반사시켜 상기 회절 격자에 재입사시키고,
상기 회절 격자는 상기 제2 회절광을 회절시켜 복수 개의 회절광으로 출력하며,
상기 도파관은 제2 회절광의 회절에 따른 복수 개의 회절광 중 일부 회절광을 출력시켜 사출동 차수를 형성하고, 복수 개의 회절광 중 나머지 회절광을 전반사시켜 상기 회절 격자에 재입사시키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waveguide reflects the second diffracted light in total internally to re-enter the diffraction grating,
The diffraction grating diffracts the second diffracted light and outputs it as a plurality of diffracted light,
The waveguide forms an exit pupil order by outputting some of the diffracted light according to the diffraction of the second diffracted light, and re-enters the diffraction grating by totally reflecting the remaining diffracted light of the plurality of diffracted ligh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회절 격자와 마주하는 제1 표면과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1 회절광을 외부로 출력시키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veguide,
And a first surface facing the diffraction grating
An exit pupil expander comprising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and outputting the first diffracted light to the outsid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제2 면에 입사된 회절광 모두를 전반사시킬 때까지 상기 사출동 차수를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waveguide,
An exit pupil expander that additionally forms the exit pupil order until all of the diffracted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surface is totally reflect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동 차수의 개수는,
상기 도파관의 제2 면에 입사된 회절광 중 일부의 회절광이 투과되는 횟수에 비례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number of exit pupil orders is,
An exit pupil expander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a portion of the diffracted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waveguide is transmitt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동 차수들 간의 간격은,
상기 도판관의 두께에 비례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spacing between the exit pupil orders is,
An exit dilator proportional to the thickness of the conduit tub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동 차수들 간의 간격은,
상기 도판관의 굴절률에 반비례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spacing between the exit pupil orders is,
An exit dilator tha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nduit tub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절광은 "0"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광이고,
상기 제1 회절광은 "+1"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광 및 "-1"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diffracted light is diffracted light having a diffraction order of "0",
The first diffracted light includes at least one of diffracted light having a diffraction order of "+1" and diffraction light having a diffraction order of "-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1"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이용하여 제1 사출동 차수를 형성하고,
상기 "-1" 회절 차수를 갖는 회절광을 이용하여 제2 사출동 차수를 형성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waveguide is
The first exit pupil order is formed using diffracted light having the "+1" diffraction order,
An exit pupil expander for forming a second exit pupil order by using diffracted light having the "-1" diffraction ord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제1 사출동 차수와 상기 제2 사출동 차수를 상기 사출동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방향에 형성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waveguide is
An exit pupil expander configured to form the first exit pupil order and the second exit pupil order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the exit pupil interposed therebetwee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격자는,
특정 개구각 이하로 입사된 광을 회절시키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ffraction grating,
An exit pupil expander that diffracts incident light below a specific aperture ang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각은,
상기 시각적 광학 장치의 시야각보다 큰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gle is,
The exit pupil dilator larger than the viewing angle of the visual optics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격자상에 배치되며, 상기 회절 격자로부터 출력된 광을 전반사시키는 제2 도파관;을 더 포함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exit pupil expand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waveguide disposed on the diffraction grating and totally reflecting the light output from the diffraction grating.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격자는,
상기 제1 도파관과 상기 제2 도파관 사이에 배치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diffraction grating,
An exit pupil expand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waveguide and the second wavegu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격자는,
제1 개구각 이하로 입사된 광을 회절시키는 제1 회절 영역과 상기 제1 개구각 초과 제2 개구 각 이하로 입사된 광을 회절시키는 제2 회절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도판관은
상기 제1 회절 영역에 출력된 회절광을 이용하여 사출동 차수를 형성하는 제1 도파관; 및
상기 제2 회절 영역에서 출력된 회절광을 이용하여 사출동 차수를 형성하는 제 2 도파관;을 포함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ffraction grating,
A first diffraction region for diffracting light incident below a first aperture angle and a second diffraction region for diffracting light incident at a second aperture angl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aperture angle,
The conduit is
A first waveguide forming an exit pupil order by using the diffracted light output to the first diffraction region; And
And a second waveguide for forming an exit pupil order by using the diffracted light output from the second diffraction reg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격자, 상기 제1 도파관 및 상기 제2 도파관은 상기 광의 진행 경로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ffraction grating, the first waveguide, and the second waveguide are sequentially arranged based on a path of the ligh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만곡형을 포함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veguide is an exit dilator comprising a curved ty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절 격자는,
브래그 회절 격자를 포함하는 사출동 확장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ffraction grating,
Exit pupil expander with Bragg diffraction grating.
특정 시야각으로 광을 방출하는 시각적 광학기; 및
상기 시각적 광학 장치의 사출동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한 제1 항에 따른 사출동 확장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Visual optics that emit light at a specific viewing angle; And
Display comprising; the exit pupil expander according to claim 1 for expanding the exit pupil region of the visual optical device.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근안 디스플레이인 디스플레이.
The method of claim 21,
The display is a near-eye display.
KR1020200067855A 2019-11-15 2020-06-04 Device for enlarging an exit pupil area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20210059594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90,999 US11703689B2 (en) 2019-11-15 2020-11-06 Device for enlarging exit pupil area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CN202011268619.2A CN112817148A (en) 2019-11-15 2020-11-13 Device for enlarging exit pupil area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EP20207618.8A EP3822692A1 (en) 2019-11-15 2020-11-13 Device for enlarging exit pupil area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9136751A RU2721670C1 (en) 2019-11-15 2019-11-15 System for expanding the area of the exit pupil of the visual optical system
RU2019136751 2019-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594A true KR20210059594A (en) 2021-05-25

Family

ID=7080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855A KR20210059594A (en) 2019-11-15 2020-06-04 Device for enlarging an exit pupil area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59594A (en)
RU (1) RU2721670C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032A1 (en) * 2022-08-19 2024-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53266B1 (en) * 2007-06-04 2020-03-11 Magic Leap, Inc. A diffractive beam expander and a virtual display based on a diffractive beam expander
US11320571B2 (en) * 2012-11-16 2022-05-03 Rockwell Collins, Inc. Transparent waveguide display providing upper and lower fields of view with uniform light extraction
DE102016115938A1 (en) * 2016-08-26 2018-03-01 Carl Zeiss Jena Gmbh Waveguides and devices for data inpu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032A1 (en) * 2022-08-19 2024-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21670C1 (en)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5676B2 (en) Head mounted imaging apparatus with optical coupling
TWI769210B (en) Optical system for near-eye displays
JP6867999B2 (en) Imaging light guide with reflective conversion array
CN111201476B (en) Two-dimensional light homogenization
CN108885347B (en) Pupil expansion
US10866419B2 (en) Optical combiner and applications thereof
JP7149350B2 (en) Designing a Rotating Grating of Waveguides for Optimal Efficiency
JP5060704B2 (en) Flat projection display
US11703689B2 (en) Device for enlarging exit pupil area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2021512357A (en) Diffractive display element with lattice mirror
FI128407B (en) Projection objective and waveguide display device
CN111512189A (en) Resonant waveguide grating and application thereof
KR20160062030A (en) Spectacle lens for a display device which can be placed on the head of a user and which generates an image, and display device with such a spectacle lens
JP2019507370A (en) Imaging light guide with reflective conversion array
US10877280B1 (en) Waveguide display with holographic Bragg grating
CN113325505A (en) Optical waveguide lens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CN116507851A (en) Slab waveguide and projector with intermode coupling
KR20210059594A (en) Device for enlarging an exit pupil area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CN211928226U (en) Optical waveguide lens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CN218567743U (en) Optical device and near-to-eye display apparatus
US11604352B2 (en) Waveguide-based projector
CN116520582B (en) Diffraction optical waveguide and design method thereof
JP2021518924A (en) Diffraction exit pupil enlargement element device for display device application exa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