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491A -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491A
KR20210059491A KR1020190146997A KR20190146997A KR20210059491A KR 20210059491 A KR20210059491 A KR 20210059491A KR 1020190146997 A KR1020190146997 A KR 1020190146997A KR 20190146997 A KR20190146997 A KR 20190146997A KR 20210059491 A KR20210059491 A KR 20210059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sensor
cover
refrigerator
salin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진영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6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9491A/en
Publication of KR20210059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4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salinity sensor. The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bucket in which a storage space for kimchi is formed; a lower bucket provided under the upper bucket and forming a lower exterior; a salinity sensor provided in the upper bucket and measuring the salinity of kimchi; and a sensor cover provided on the salinity sensor and blocking kimchi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alinity sensor.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lower than the front and rear ends or the left and right e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iquid component of kimchi easily accesses the salinity sensor to facilitate salinity measurement.

Description

냉장고용 김치통{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김치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도센서가 장착되는 냉장고용 김치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salinity sens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In general, refrigerators are home appliances that allow low-temperature storage of food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that is shielded by a door.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store the stored food in an optimal state by coo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이러한 냉장고는 김치를 보관할 수 있고, 김치의 신선한 맛을 보존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온도에서 오래 저장할 수 있도록 운전될 수 있다.Such a refrigerator can store kimchi and can be operated to store for a long time at the most suitable temperature to preserve the fresh taste of kimchi.

김치를 담는 김치통은 냉장고에 형성된 저장실에 투입되어 보관되고, 사용자는 필요시 김치통을 냉장고의 저장실에서 외부로 꺼내어 사용한다.The kimchi container containing kimchi is put into and stored in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in the refrigerator, and the user takes out the kimchi container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nd uses it when necessary.

냉장고는 김치통 내부의 김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맛을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김치가 쉽게 시어지지 않고 맛을 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냉장고는 저장성을 향상하기 위해 적절한 온도로 김치통 내부의 김치를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efrigerator, it is preferable that the kimchi inside the kimchi container preserves the taste evenly,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kimchi does not sour easily and preserves the taste. In this way, it is preferable to store kimchi inside the kimchi container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in order to improve the storage performance of the refrigerator.

한편, 김치는 환경, 기후 또는 지역 특성 등에 따라 염도가 다를 수 있고, 염도에 따라 김치의 발효 속도는 상이할 수 있다.Meanwhile, kimchi may have different salinit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climate, o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fermentation rate of kimchi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alinity.

따라서,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9-0098645호에서와 같이 김치통희 하단에 염도센서가 구비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as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98645, a technique in which a salinity sensor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Kimchi Tonghee is disclosed.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전극이 하측에 구비되어 김치의 액상성분에 잘 닿게 되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이점은 있으나, 김치 고형물이 하측으로 가라앉아 전극에 닿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ode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so that it can easily contact the liquid component of the kimchi, so that accurate measurement is possibl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kimchi solid material sinks to the lower side and touches the electrode.

구체적으로는, 김치통에 김치를 넣게되면 액상의 김치국물이 중력으로 인해 바닥에 고이게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액상의 국물 속 고형물이 바닥으로 가라앉게 되며, 이러한 김치의 고형물이 염도센서의 전극부위에 닿을 때는 센싱(염도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Specifically, when kimchi is put in a kimchi container, the liquid kimchi broth accumulates on the floor due to gravity, and the solids in the liquid broth sink to the floor over time, and the solids of the kimchi are the electrodes of the salinity sensor. When it touches the are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of sensing (salinity measurement) is poor.

또한, 염도센서의 상측에 위치된 센서커버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센서커버 상측의 김치 국물이 센서커버 하측의 염도센서로 모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nsor cover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alinity sensor is installed to be horizont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kimchi soup on the upper side of the sensor cover cannot be collected by the salinity sensor on the lower side of the sensor cover.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9-009864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9864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김치의 염도를 정확하게 센싱 가능한 냉장고용 김치통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capable of accurately sensing the salinity of kimchi.

본 발명은 센서커버 상측의 김치 국물과 같은 액상 물질이 센서커버 하측으로 쉽게 흘러내려 염도 측정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measurement of salinity because liquid substances such as kimchi broth on the upper side of the sensor cover easily flow down to the lower side of the sensor cov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김치통은,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김치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에서는 염도센서의 상측에 구비되는 센서커버는 중앙부가 전후단 또는 좌우측단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센서커버의 상측에 김치가 놓이면 센서커버의 상면 중앙부에는 소정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므로 센서커버의 중앙에 김치의 액상성분이 쉽게 고이는 장점이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cover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alinity sensor has a central portion lower than the front and rear ends or the left and right ends. Therefore, when kimchi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nsor cover, a gap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quid component of the kimchi is easily collected in the center of the sensor cov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센서커버의 중앙부에 전후단부다 낮은 골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골부는 좌우 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진다. 따라서, 센서커버의 중앙에 고인 액상의 김치 국물이 골부를 따라 센서커버의 좌우로 흘러내려 염도센서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valleys lower than the front and rear ends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nsor cover, and the height of these valleys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quid kimchi broth accumulated in the center of the sensor cover flows down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sensor cover along the valley,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to the salinity sensor.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김치통의 바닥면에 김치의 고형물이 가라않아 수용되는 수용홈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김치의 고형물이 수용홈에 가라않게 되므로 염도센서의 염도 측정이 방해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solids of kimchi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kimchi container.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alinity measurement of the salinity sensor is not disturbed because the solid matter of kimchi does not sink into the receiving groov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염도센서의 상커버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염도센서의 상측으로 가라않는 김치 찌꺼기나 고형물이 염도센서의 상커버에서 미끄러져 전극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므로, 정확한 염도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of the salinity sensor is formed to be inclined. Therefore, since kimchi remnants or solids that do not sink to the upper side of the salinity sensor slide on the top cover of the salinity sensor and move away from the electrod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ccurate salinity measurement is possibl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김치의 액상 성분이 김치통의 하측에 쉽게 고여 염도센서로 접근할 수 있게 되며, 염도센서에는 맑은 액상 성분이 접촉되므로 김치의 염도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omponent of kimchi is easily collected in the lower side of the kimchi container and can be accessed by the salinity sensor, and since the clear liquid component is in contact with the salinity senso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alinity of kimchi is accurately measu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워를 외부로 인출하여 제거산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저장실에 출납되는 드로워 및 드로워에 수용되는 김치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김치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통커버 제거)의 내부구성을 보인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통커버 제거)의 내부구성을 보인 절개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서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서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서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김치 고형물의 이동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센서커버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상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센서커버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하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센서커버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센서커버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센서커버의 다른 실시예가 어퍼버킷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센서커버의 다른 실시예가 어퍼버킷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drawer shown in FIG. 1 in a removed acid state by drawing it to the outsid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wer in and out of a refrigerator storage compartment and a kimchi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dra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kimchi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ing the barrel cover).
6 is a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ing the barrel cover).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nsor assembl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nsor assembl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a sensor assembl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ing state of kimchi solid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top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cove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sensor cove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cove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sensor cove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a sensor cove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upper bucket.
Figure 1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cover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upper bucke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김치통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김치통이 구비되는 냉장고와 드로워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워를 외부로 인출하였을 때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저장실에 출납되는 드로워 및 드로워에 수용되는 김치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1 to 3 illustrate the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and a drawer provided with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when the drawer shown in FIG. 1 is taken out, and FIG. 3 is a It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awer in and out of a refrigerator storage compartment according to this, and a kimchi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drawer.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김치통이 구비되는 냉장고는 복수개의 저장실(U)(C)(L)이 형성된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개구된 하나 이상의 저장실(U)(C)(L)이 구비되는 캐비닛(10)이 구비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kimchi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10 in which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U, C, and L are formed. That is, as shown, a cabinet 10 including one or more storage chambers U, C, and L with an open front is provided.

상기 복수개의 저장실(U)(C)(L)은 캐비닛(10)에 형성된 베리어(20)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torage chambers U, C, and L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y a barrier 20 formed in the cabinet 10.

복수개의 저장실(U)(C)(L)은 어퍼저장실(U)과 센터저장실(C)과 로어저장실(L)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torage rooms U, C, and L may include an upper storage room U, a center storage room C, and a lower storage room L.

상기 캐비닛(10)은 내부에 어퍼저장실(U)이 형성된 어퍼 이너 케이스(12)와, 내부에 센터저장실(C)이 형성된 센터 이너 케이스(14)와 내부에 로어저장실(L)이 형성된 로어 이너 케이스(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binet 10 includes an upper inner case 12 having an upper storage compartment U formed therein, a center inner case 14 having a center storage compartment C formed therein, and a lower inner case 14 having a lower storage compartment L formed therein. It may include a case 16.

냉장고는 복수개의 저장실(U)(C)(L)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거나 인출 가능하게 배치된 드로워(30,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may include drawers 30 and 32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U, C, and L, or disposed to be withdrawn.

상기 드로워(30,32)는 저장실 내부를 향해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저장실로 삽입될 수 있고,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캐비닛(1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The drawers 30 and 32 may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while being slid in a rearward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may be pulled out to the front of the cabinet 10 while being slid forward.

냉장고는 어퍼저장실(U), 센터저장실(C) 및 로어저장실(L) 중 드로워(30,32)가 배치되지 않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t least one door 40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the drawers 30 and 32 are not disposed among the upper storage compartment U, the center storage compartment C, and the lower storage compartment L.

상기 도어(40)는 캐비닛(10)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회전 동작되면서 드로워(30,32)가 배치되지 않는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The door 4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binet 10 by a hinge, and may open and close a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the drawers 30 and 32 are not disposed while being rotated.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40)는 어퍼저장실(U)을 개폐하게 연결될 수 있고, 센터저장실(C)과 로어저장실(L) 각각에는 드로워(30,32)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door 40 may be connect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torage compartment U, and drawers 30 and 32 may be disposed in each of the center storage compartment C and the lower storage compartment L.

상기 센터저장실(C)과 로어저장실(L) 각각에 배치되는 드로워(30,32)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서로 상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drawers 30 and 32 disposed in each of the center storage chamber (C) and the lower storage chamber (L)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nd may have different structure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30,32)에는 보관공간(R)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storage space R may be formed in the drawers 30 and 32.

상기 드로워(30,32)는 전, 후, 좌, 우 총 4개의 벽체를 갖는 사각 통상의 바스켓(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바스켓(50)은 상부가 개구된 사각 형상의 박스로 구성될 수 있다.The drawers 30 and 32 may include a square common basket 50 having a total of four walls before, after, left and right. That is, the basket 50 may be configured as a box having a square shape with an open top.

따라서, 상기 보관공간(R)은 상기 바스켓(50)의 내부에 형성된다.Accordingly, the storage space R is formed inside the basket 50.

이와 같은 보관공간(R)을 갖는 드로워(30,32)는, 바스켓(50)의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도어(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awers 30 and 32 having such a storage space R may further include a front door 42 disposed in front of the basket 50.

상기 프론트 도어(42)는 드로워(30,32)가 삽입되는 저장실(C)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저장실(C)의 전방에서 저장실(C)을 개폐할 수 있다.The front door 42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storage compartment C into which the drawers 30 and 32 are inserted, and the storage compartment C may be opened and closed in front of the storage compartment C.

상기 드로워(30,32)의 보관공간(R)에는 하나 이상의 김치통(100)이 보관될 수 있고, 드로워(30,32)는 저장실에 출납될 수 있다.One or more kimchi containers 10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R of the drawers 30 and 32, and the drawers 30 and 32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김치통(100)은 내부에 김치를 저장하는 것으로, 커버를 포함한 다수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진다.The kimchi container 100 is to store kimchi therein,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ing a cover.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는 냉각팬에서 송풍된 공기를 저장실로 토출하는 냉기토출구(62)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덕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discharge duct 60 having a cool air discharge port 62 for discharging the air blown from the cooling fan to the storage chamber.

상기 토출덕트(60)는 도어(40)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91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duct 60 may be disposed inside the inner case 913 in which a storage chamber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40 is form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보관공간(R)을 가열하는 히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70 for heating the storage space R.

상기 히터(70)는 드로워(30,32)나 캐비닛(10)에 장착될 수 있다.The heater 70 may be mounted on the drawers 30 and 32 or the cabinet 10.

상기 히터(70)는 드로워(30,32)에 장착되어 보관공간(R)이 형성된 부분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heater 70 is mounted on the drawers 30 and 32 to heat the portion where the storage space R is formed.

이 경우, 상기 히터(70)는 드로워(30,32)의 하판에 장착될 수 있고, 드로워(30,32)와 조립된 상태에서 드로워(30,3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ater 7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late of the drawers 30 and 32 and may be moved together with the drawers 30 and 32 in a state assembled with the drawers 30 and 32.

도 4에는 상기 김치통(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김치통(100)에서 통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내부구성을 보인 절개사시도와 절개된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센서어셈블리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김치 고형물의 이동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kimchi container 100, and FIGS. 5 and 6 are a cutaway perspective view and a cutaway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kimchi container 100 in a state in which the barrel cover is removed Each is shown i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Figs. 7 to 9 show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 sensor assembl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FIG.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ing state of a kimchi solid materi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김치통(100)은, 김치가 보관되는 수납공간(112)이 형성되는 어퍼버킷(110)과, 어퍼버킷(110)의 하부를 감싸는 로어버킷(120)과, 수납공간(112)에 수용된 김치의 염도를 감지하는 염도센서(200)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kimchi container 100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bucket 110 in which a storage space 112 for storing kimchi is form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ucket 110. It consists of a lower bucket 120 that wraps, and a salinity sensor 200 that detects the salinity of kimchi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12.

상기 어퍼버킷(11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김치가 보관되는 수납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bucket 110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surface, and a storage space 112 for storing kimchi may be formed therein.

상기 어퍼버킷(110)은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The upper bucket 11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top surface.

상기 어퍼버킷(110)의 상면은 통커버(1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may be covered by the barrel cover 130.

상기 통커버(130)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상면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 평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arrel cover 13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and has a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 어퍼버킷(110)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112)에는 김치와 같은 음식물이 보관될 수 있다.Food such as kimchi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2 formed inside the upper bucket 110.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바닥면)에는 센서홈(114)이 형성될 수 있고, 센서홈(114)에는 염도센서(200)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버킷(110)의 바닥면에는 김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200)가 구비된다.A sensor groove 114 may be formed on a bottom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and a salinity sensor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nsor groove 114. That is, a salinity sensor 200 for measuring the salinity of kimchi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상기 센서홈(114)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바닥면에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센서홈(114)에는 염도센서(200)가 안착된다.The sensor groove 114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In addition, the salinity sensor 200 is seated in the sensor groove 114.

상기 센서홈(114)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중앙부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The sensor groove 114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and is preferably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bucket 110.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홈(114)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the sensor groove 114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상기 센서홈(114)는 후술하는 센서커버(150)와 로어버킷(12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센서커버(150) 및 로어버킷(120)에 의해 차폐 및 보호될 수 있다. The sensor groove 114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nsor cover 150 and the lower bucket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shielded and protected by the sensor cover 150 and the lower bucket 120.

상기 센서홈(114)는 냉장고용 김치통의 위에서 볼 때는 센서커버(150)에 의해 가려질 수 있고, 냉장고용 김치통의 옆이나 아래에서 볼 때에는 로어버킷(12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The sensor groove 114 may be covered by the sensor cover 150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and may be covered by the lower bucket 120 when viewed from the side or below the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상기 센서홈(114)의 좌우에는 수용홈(140)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nsor groove 114, the receiving groove 140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상기 수용홈(140)도 상기 센서홈(114)과 같이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보다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The receiving groove 140 is also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like the sensor groove 114.

상기 수용홈(140)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바닥면으로 가라않는 김치의 찌꺼기와 같은 고형물이 고이도록 하는 부분이다.The receiving groove 140 is a portion for collecting solid matter such as kimchi residue that does not sink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이와 같이, 상기 어퍼버킷(1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염도센서(200)가 안착되는 센서홈(114)과, 고형물이 수용되는 수용홈(140)이 각각 형성된다.In this wa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a sensor groove 114 in which the salinity sensor 200 is seated and a receiving groove 140 in which a solid material is accommodated are respectively formed.

상기 수용홈(140)은 상기 센서홈(114)의 좌우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좌우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용홈(140)에는 경상면이 형성되어 좌우 양측 방향이나 수용홈(140)의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receiving groove 140 is preferably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nsor groove 114, and is preferably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depth as it goes to the left and right.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groove 140 is formed with a mirror-shaped surface so that the depth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toward the center of the receiving groove 140.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수용홈(140)은 상대적으로 상기 어퍼버킷(1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내측경사면(142)과, 상기 어퍼버킷(110)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는 외측경사면(144) 등으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receiving groove 140 has an inner inclined surface 14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bucket 110, and an outer inclined surface 144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bucket 110. It consists of.

상기 내측경사면(142)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중앙부로부터 좌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측경사면(144)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중앙부로부터 좌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다.The inner inclined surface 142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height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bucket 110 to both left and right ends, and the outer inclined surface 144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bucket 110 to both left and right ends. Is formed to be high.

따라서, 상기 외측경사면(144)과 내측경사면(142)이 만나는 지점이 상기 수용홈(140)의 가장 낮은 위치가 된다. 즉, 상기 수용홈(140)의 깊이가 제일 깊은 곳이 된다.Accordingly, a point where the outer inclined surface 144 and the inner inclined surface 142 meet is the lowest position of the receiving groove 140. That is, the depth of the receiving groove 140 is the deepest.

물론, 상기 내측경사면(142)과 외측경사면(144) 사이에 평면 형상의 바닥면이 더 형성되도록 하여 김치 찌꺼기나 고형물이 고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it may be possible to configure a bottom surface of a planar shape to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inner inclined surface 142 and the outer inclined surface 144 so that kimchi debris or solids are collected.

상기 어퍼버킷(110)의 하측에는 로어버킷(120)이 구비될 수 있다.A lower bucket 120 may be provided under the upper bucket 110.

상기 로어버킷(120)은 냉장고용 김치통(100)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일 수 있다.The lower bucket 120 may be a base forming the bottom exterior of the kimchi container 100 for a refrigerator.

이와 같이, 상기 어퍼버킷(110)의 하측에는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버킷(120)이 구비된다.In this way, a lower bucket 120 forming a lower exterior is provided under the upper bucket 110.

상기 로어버킷(120)은 어퍼버킷(110)과 열융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버킷(110)의 하단과 상기 로어버킷(120)의 상단 테두리가 서로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bucket 1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bucket 110 by thermal fusion or the like.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upper bucket 110 and the upper edge of the lower bucket 1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 method such as thermal fusion.

상기 로어버킷(120)은 판체 형상인 것이 가능하고, 입체 형상인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lower bucket 120 may have a plate shape or a three-dimensional shape.

상기 로어버킷(120)이 입체 형상일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로어버킷(120)은 상방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테두리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어퍼버킷(110)의 하단에 결합된다.When the lower bucket 120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bucket 120 is formed so that the rim protrudes upward to form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rein as shown. That is, the lower bucket 1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box with an upper opening, and the rim protrudes upward a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ucket 110.

따라서, 상기 로어버킷(1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센서홈(114)과 수용홈(140)이 위치된다.Accordingly, the sensor groove 114 and the receiving groove 140 are located in a spac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bucket 120.

상기 어퍼버킷(110)에 형성된 센서홈(114)에는 염도센서(200)가 수용될 수 있다.The salinity sensor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nsor groove 114 formed in the upper bucket 110.

상기 염도센서(200)는 상기 수납공간(112)에 수용된 김치의 염도를 감지할 수 있다.The salinity sensor 200 may detect the salinity of kimchi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12.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40)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센서홈(114)의 옆에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groove 140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and is formed next to the sensor groove 114.

구체적으로는, 상기 센서홈(114)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 중앙부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40)은 상기 센서홈(114)의 측방에 하나 이상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sensor groove 114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upper bucket 110, the receiving groove 140 is preferably formed at least one side of the sensor groove 114 Do.

상기 수용홈(140)은, 상기 센서홈(114)의 좌우에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The receiving groove 140 is formed in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sensor groove 114.

그리고, 상기 수용홈(140)에는, 고형물이 점차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groove 140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for guiding the solid material to gradually move downwar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40)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경사면(142)과, 상기 어퍼버킷(110)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는 외측경사면(144) 등으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groove 140 includes an inner inclined surface 142 formed inside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and an outer inclined surface 142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bucket 110. It consists of an inclined surface 144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내측경사면(142)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중앙부로부터 좌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ner inclined surface 142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height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bucket 110 toward both left and right ends.

상기 외측경사면(144)은, 상기 어퍼버킷(110)의 중앙부로부터 좌우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된다.The outer inclined surface 144 is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height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bucket 110 toward both left and right ends.

한편, 상기 염도센서(200)는, 피시비(PCB)기판(210)과, 상기 피시비(PCB)기판(210)의 상하를 감싸는 상커버(220) 및 하커버(230)와, 상기 피시비(PCB)기판(210)에 체결되는 한 쌍의 전극(240) 등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salinity sensor 200, a PCB substrate 210, an upper cover 220 and a lower cover 230 surround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CB substrate 210, and the PCB ) It consists of a pair of electrodes 240, etc. fastened to the substrate 210.

그리고, 상기 전극(240)은, 상단이 상기 상커버(2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전극(240)의 상단은 상기 상커버(220)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납공간(112) 내부의 김치 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electrode 240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end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over 220.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240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220 so as to measure the kimchi salinity inside the storage space 112.

상기 상커버(220)와 하커버(230)는 상기 피시비(PCB)기판(210)을 감싸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된다.The upper cover 220 and the lower cover 230 are to surround and protect the PCB substrate 210 and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상기 상커버(220)는, 상기 하커버(230)에 결합되는 결합부(222)와, 상기 결합부(222)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극(240)이 노출되는 전극홀(224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전극판(224) 등으로 구성된다.The upper cover 22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222 coupled to the lower cover 230 and an electrode hole 224a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222 to expose the electrode 240. It is composed of an electrode plate 224 and the like formed through the furnace.

상기 결합부(222)는 상기 하커버(230)와 대응되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222)는 상기 하커버(230)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하커버(230)의 측면 내측이나 외측에 서로 겹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part 222 has a square column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cover 230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vertically. That is, the coupling part 222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lower cover 230 so as to overlap each other on the inside or outside the side of the lower cover 230.

상기 전극판(224)은, 주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극판(224)의 외측에는, 전극판(224)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de plate 224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periphery.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an inclined surface whose height gradually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electrode plate 224 increases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plate 224.

이와 같이, 상기 전극판(224)은 아래에서 설명할 전방판(226a)이나 전면테(228a) 등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전방판(226a)이나 후방판(226d) 등은 상기 전극판(224)으로부터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way, the electrode plate 224 is preferably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ront plate 226a or the front frame 228a,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front plate 226a or the rear plate 226d, etc.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obliquely from the plate 224.

상기 전극판(224)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전방판(226a)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전극판(224)의 전방에는 앞으로 갈수록 점차 표면 높이가 낮아지는 전방판(226a)이 경사지게 형성된다.In front of the electrode plate 224, a front plate 226a whose heigh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front is provided. That is, in front of the electrode plate 224, a front plate 226a whose surface height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forward is formed to be inclined.

상기 전극판(224)의 좌우 측방에는, 좌우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좌측판(226b) 및 우측판(226c)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전극판(224)의 좌우에도 경사면이 형성되는데, 좌우로 갈수록 점차 표면 높이가 낮아지는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이 각각 형성된다.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ctrode plate 224 are provided with a left plate 226b and a right plate 226c gradually lowering in height toward the left and right. That is, an inclined surface is also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ctrode plate 224, and a left plate 226b and a right plate 226c are formed, respectively, whose surface heigh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eft and right.

상기 전극판(224)의 후측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후방판(226d)이 구비된다.On the rear side of the electrode plate 224, a rear plate 226d whose heigh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rear is provided.

또한, 상기 상커버(220)에는 테두리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전극판(224)의 전후좌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판(226a)과 후방판(226d) 그리고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이 각각 구비되어 전극판(224)을 감싼다.In addition, the upper cover 220 is further formed with a rim. That is, as described above, a front plate 226a and a rear plate 226d, and a left plate 226b and a right plate 226c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electrode plate 224, respectively, so that the electrode plate 224 Wraps up.

그리고, 상기 전방판(226a)과 후방판(226d) 그리고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의 외측에는 사각형상의 테두리가 형성된다. 즉, 전면테(228a)와 후면테(228d) 그리고 좌측테(228b)와 우측테(228c)가 각각 구비되어 상커버(220)의 사각 테두리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a rectangular frame is formed outside the front plate 226a and the rear plate 226d, and the left plate 226b and the right plate 226c. That is, the front frame 228a and the rear frame 228d, and the left frame 228b and the right frame 228c are each provided to form a square border of the upper cover 22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된 좌측테(228b)와 우측테(228c)가 각각 형성된다.Specifically, a left frame 228b and a right frame 228c extending to the left or right are formed on the left plate 226b and the right plate 226c, respectively.

상기 좌측테(228b)와 우측테(228c)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이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좌측테(228b)는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이 낮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우측테(228c)는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left frame 228b and the right frame 228c are formed to gradually lower their upper surface toward one sid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frame 228b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eft, and the right frame 228c is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right.

이와 같이 상기 상커버(220)가 구성되면, 상기 전극판(224)에 노츨되는 전극(240)의 상단이 상커버(220)의 최고 높은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When the upper cover 220 is configured in this way,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240 exposed to the electrode plate 224 is placed at the highest position of the upper cover 220.

따라서, 상기 전극판(224)의 전후 좌우에는 김치 찌꺼기나 고형물 등이 고이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전극판(224) 주위의 전방판(226a)과 후방판(226d) 그리고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은 모두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전방판(226a)과 후방판(226d) 그리고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 상면에 가라않는 고형물은 외측으로 미끄러지게 되어 상기 전극판(224)으로부터 멀어진다.Therefore, kimchi debris or solid matter does not accumulat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ctrode plate 224. That is, since the front plate 226a and the rear plate 226d, the left plate 226b and the right plate 226c around the electrode plate 224 are all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side, such a front plate 226a and The rear plate 226d, the left plate 226b, and the solid material that does not sink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plate 226c slides outward and away from the electrode plate 224.

또한, 상기 좌측테(228b)와 우측테(228c)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을 통해 미끄러지는 고형물이 상기 좌측테(228b)와 우측테(228c)의 상면도 슬라이딩하여 상기 수용홈(140)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left frame 228b and the right frame 228c are also formed so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left or right, the solids sliding through the left plate 226b and the right plate 226c are The upper surfaces of the left frame 228b and the right frame 228c will also slide to move to the receiving groove 140.

상기 하커버(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하커버(230)의 측면은 상기 상커버(220)의 결합부(222)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져 서로 겹쳐져 결합된다.The lower cover 230 has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an upper opening as shown, and the side of the lower cover 230 has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222 of the upper cover 220. They are overlapped and joined together.

상기 염도센서(200)의 상측에는, 김치가 염도센서(200)에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센서커버(15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에는 센서커버(15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염도센서(200)의 상측을 차폐한다. A sensor cover 15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alinity sensor 200 to block kimchi from contacting the salinity sensor 200. That is, a sensor cover 150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to shield the upper side of the salinity sensor 200.

상기 센서커버(150)는 상기 염도센서(200)의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염도센서(200)로 김치 건더기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한다. 즉, 상기 염도센서(200)로는 김치국물과 같은 액상 물질만 접근되도록 하여 김치의 염도 측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sensor cover 15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alinity sensor 200, and prevents the kimchi ingredients from approaching the salinity sensor 200. That is, the salinity sensor 200 allows only liquid substances such as kimchi soup to be accessed, so that the salinity of kimchi can be measured smoothly.

상기 센서커버(150)는, 상기 센서홈(114)과 수용홈(140)의 상측을 차폐하는 커버판(152)과, 상기 커버판(152)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판(152)이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단(154)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sensor cover 15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ver plate 152 to shield the upper side of the sensor groove 114 and the receiving groove 140, and the cover plate 152 It consists of a support end 154 and the like that are suppor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커버판(152)의 길이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판(152)의 좌우 길이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내면 좌우 길이와 어느 정도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김치 건더기는 상기 커버판(152)의 좌우 양단과 어퍼버킷(1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지 못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cover plate 152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upper bucket 110. That is,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cover plate 152 are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to some exten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so as not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gap between (11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버판(152)의 길이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길이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판(152)의 좌우 길이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내면 좌우 길이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판(152)의 좌우 양단과 어퍼버킷(110)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 김치 국물과 같은 액상의 물질이 상기 센서커버(150)의 하측으로 유입된다.More precisely, the length of the cover plate 152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bucket 110. That is, as show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cover plate 152 are formed small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so th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cover plate 152 and the upper bucket 110 A gap of the size is formed, and a liquid substance such as kimchi broth flows into the lower side of the sensor cover 150 through the gap.

상기 지지단(154)은, 상기 커버판(152)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커버판(152)의 선단과 후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The support ends 154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ver plate 152, respectively, and are vertically bent downward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ver plate 152 to extend.

상기 지지단(154)은 상기 커버판(152)이 상기 염도센서(20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판(152)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end 154 supports the cover plate 152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alinity sensor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ver plate 152, respectively.

물론, 상기 지지단(154)은 상기 커버판(152)이 상기 염도센서(200)의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한, 상기 커버판(152)의 다른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지지단(154)이 상기 커버판(152)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형성되거나 전후단 및 좌우측단에 각각 동시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f course, the support end 154 may be formed on another portion of the cover plate 152 as long as the cover plate 152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the salinity sensor 200. That is, the support end 154 may be formed at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cover plate 152 or may b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and the left and right ends at the same tim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김치통(100)에서는 김치 고형물이나 작은 찌꺼기가 상기 센서커버(150)의 하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염도센서(200)의 상측에 머무르지 못하고, 상기 수용홈(140)으로 가라앉아 쌓이게 된다. In the kimchi container 1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if kimchi solids or small debris move to the lower side of the sensor cover 150, it does not stay on the upper side of the salinity sensor 200, and go to the receiving groove 140. It sits and piles up.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염도센서(200)가 상기 센서홈(114)에 설치되면, 상기 염도센서(200)의 상면으로 노출된 전극(240) 상단의 위치는 염도센서(200)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 when the salinity sensor 200 is installed in the sensor groove 114, the position of the top of the electrode 240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alinity sensor 200 is the salinity sensor ( 200).

따라서, 김치 찌꺼기나 고형물은 상기 염도센서(200)의 상면에 적층되지 못하고,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좌측판(226b)과 우측판(226c) 등의 상면을 미끄러져 내려와 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용홈(140)에 쌓이게 된다.Therefore, kimchi residues or solids cannot be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alinity sensor 200, and slides down the upper surfaces of the left plate 226b and the right plate 226c formed to be inclined an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It is accumul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40.

이와 같이 김치 찌꺼기나 고형물이 별도의 홈인 수용홈(140)에 고이게 되므로, 상기 염도센서(200)의 전극(240)에는 액상의 김치국물만 접촉하게 되므로, 김치의 염도 측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way, since kimchi debris or solids are collected in the receiving groove 140, which is a separate groove, only the liquid kimchi broth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240 of the salinity sensor 200, so that the salinity of kimchi is accurately measured.

한편, 상기 센서커버(150)는 상기 수납공간(112)의 김치 국물이 상기 염도센서(200)에 충분히 공급되어 염도 측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sensor cover 150 may have various shapes so that the kimchi broth in the storage space 112 is sufficiently supplied to the salinity sensor 200 so that the salinity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smoothly.

이하에서는 상기 센서커버(15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cover 150 will be described.

도 11 내지 도 16에는 상기 센서커버(150)의 다른 실시예와 설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다.11 to 16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and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sensor cover 150.

먼저 도 11 내지 도 14에는 상기 센서커버(15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1 및 도 12에는 상기 센서커버(150)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와 하부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 및 도 14에는 상기 센서커버(150)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와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First,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cover 150 are shown in FIGS. 11 to 14, respectively. That is, Figs. 11 and 12 are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cover 150, respectively, and Figs. 13 and 14 are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cover 150, respectively.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커버(150)는, 상면이 각 부위마다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센서커버(150)의 상면은, 중앙부가 전후단 또는 좌우측단보다 낮게 형성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sensor cover 150 has a different height for each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150 is formed with a central portion lower than the front and rear ends or left and right ends.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커버(150)의 상면 중앙부가 선단과 후단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 외에 상기 센서커버(150)의 상면 중앙부가 좌측단과 우측단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150 is formed to have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front and rear ends is illustrated. However, in addition to this configuration, it may be possible to form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150 to have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left and right ends.

상기 센서커버(150)는, 상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어퍼버킷(110) 내부의 김치를 지지하는 커버판(152)과, 상기 커버판(152)이 상기 어퍼버킷(11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단(154) 등으로 이루어진다.As in the above, the sensor cover 150 includes a cover plate 152 supporting kimchi in the upper bucket 110, and the cover plate 152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It consists of a support end 154 and the like to support it as possible.

상기 커버판(152)은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어퍼버킷(110)의 수납공간(112)에 저장되는 김치가 상기 염도센서(200)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김치를 지지하게 된다.The cover plate 15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kimchi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2 of the upper bucket 110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salinity sensor 200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kimchi. .

그리고, 상기 커버판(152)의 좌우 길이는, 상기 어퍼버킷(110)의 좌우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판(152)의 좌우 측단과 상기 어퍼버킷(110)의 좌우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 상기 커버판(152) 상측의 김치 국물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염도센서(200)에 접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cover plate 152 are form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upper bucket 110,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plate 152 and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upper bucket 110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therebetween, and through this gap, the kimchi broth o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plate 152 moves downwar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alinity sensor 200.

이와 같이, 상기 센서커버(150)는 김치를 지지하는 역할 외에, 상기 수납공간(112)에 수용된 김치 중 액상 성분만이 아래로 이동되도록 필터링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nsor cover 150 may filter so that only liquid components of kimchi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12 are moved downward, in addition to supporting the kimchi.

상기 지지단(154)은, 상기 커버판(152)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커버판(152)의 선단과 후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The support ends 154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ver plate 152, respectively, and are vertically bent downward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ver plate 152 to extend.

상기 커버판(152)의 상면에는, 선단부와 후단부보다 높이가 낮은 골부(152a)가 좌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판(152)의 상면 중앙부는 전후단보다 낮은 위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골부(152a)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골부(152a)는 상기 센서커버(150)이 길이방향과 대응되게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52, valleys 152a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front and rear ends are formed to the left and right. That is,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52 is formed to have a lower position than the front and rear ends to form the valleys 152a, and the valleys 152a are left and right so that the sensor cover 150 correspond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formed to be long.

그리고, 상기 골부(152a)는, 중앙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골부(152a)는 중앙으로부터 좌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며, 또한 중앙으로부터 우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valley portion 152a is preferably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height from the center toward the left or right. That is, the height of the valley part 152a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left end, and the height of the top surfac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right end.

따라서, 상기 커버판(152)의 상면에 김치가 놓이게 되면, 김치의 액상 성분은 상기 골부(152a)로 모이게 되고, 골부(152a)로 모인 액상의 김치 국물은 다시 상기 골부(152a)를 따라 상기 커버판(152)의 좌측단이나 우측단으로 흘러내려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kimchi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52, the liquid components of kimchi are collected in the bone part 152a, and the liquid kimchi broth collected in the bone part 152a is again added to the bone part 152a. It flows down to the left or right end of the cover plate 152 and moves downward.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커버판(152)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의 높이가 낮아지는 전면경사부(152')와,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의 높이가 낮아지는 후면경사부(152") 등으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cover plate 152 includes a front inclined portion 152' whose heigh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rear, and a rear inclined portion 152' whose height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front. It consists of.

상기 전면경사부(152')는 상기 커버판(152)의 전반부 외관을 형성하며, 커버판(152)의 선단으로부터 후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The front inclined portion 152 ′ forms the exterior of the front portion of the cover plate 152 and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height from the front end of the cover plate 152 to the rear side.

상기 후면경사부(152")는 상기 커버판(152)의 후반부 외관을 형성하며, 커버판(152)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The rear inclined portion 152" forms the appearan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cover plate 152 and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height from the rear end of the cover plate 152 to the front.

그리고, 상기 전면경사부(152')와 후면경사부(152")가 만나는 부분에는 골부(152a)가 형성되며, 상기 골부(152a)의 상면은 중앙부가 좌우 양단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valley portion 152a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ront slope portion 152' and the rear slope portion 152" mee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valley portion 152a preferably has a central portion higher than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

즉, 상기 골부(152a)는 상기 전면경사부(152')의 후단과 후면경사부(152")의 선단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전면경사부(152')와 후면경사부(152")의 제일 낮은 위치가 된다.That is, the valley portion 152a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rear end of the front inclined portion 152 ′ and the front end of the rear inclined portion 152 ″ contact, and thus, the front inclined portion 152 ′ and the rear inclined portion ( 152").

그리고, 상기 골부(152a)는 좌우로 갈수록 점차 상면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골부(152a)는 중앙부에서 좌측단이나 우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진다.In addition, the valleys 152a are formed to gradually lower the height of the top surface as it goes to the left and right. That is, the height of the valley part 152a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left end or the right end.

따라서, 상기 커버판(152)의 상면에 김치가 놓이게 되면, 김치와 상기 커버판(152)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생긴다. 즉, 상기 센서커버(150) 상면에 놓이는 김치는 큰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김치가 상기 전면경사부(152')와 후면경사부(152")에 접하게 되면, 상기 골부(152a)와 김치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골부(152a) 상측의 틈새로 김치의 액상 성분이 모이게 된다.(도 13 참조)Accordingly, when kimchi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152, a predetermined gap is created between the kimchi and the cover plate 152. That is, since the kimchi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150 is made of a large lump, when the kimchi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ont inclined portion 152' and the rear inclined portion 152", there is a gap between the bone portion 152a and the kimchi. Sinc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 liquid components of kimchi are collected through the gap on the upper side of the valley part 152a (see FIG. 13).

상기 골부(152a)로 모인 김치의 액상성분은 골부(152a)를 따라 좌우로 흘러내리게 되어(도 14 참조), 상기 커버판(152)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용홈(140) 등에 점차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커버(150) 하측으로 김치의 액상 성분이 점차 흘러내려 고이게 되면, 상기 염도센서(200)와 김치 국물이 접촉이 원활하게 되므로 염도 측정이 정확히 이루어진다.The liquid components of kimchi collected in the bone portion 152a flow down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bone portion 152a (see FIG. 14), and move to the lower side of the cover plate 152 and gradually collect in the receiving groove 140, etc. . In this way, when the liquid component of kimchi gradually flows down to the lower side of the sensor cover 150 and collects, the salinity sensor 200 and the kimchi broth make contact smoothly, so that the salinity measurement is accurately performed.

도 15 및 도 16에는 상기 센서커버(150)의 다른 실시예가 어퍼버킷(110)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와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15 and 16 are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s and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respective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cover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bucket 110.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버킷(110)의 바닥면에는 염도센서(200)가 설치되고, 이러한 염도센서(200)의 상측에 센서커버(150)가 구비되어, 김치를 지지하면서 액상의 김치 성분만 상기 센서커버(150)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염도센서(200)에 접하도록 하고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a salinity sensor 20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110, and a sensor cover 15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alinity sensor 200 to support kimchi and liquid Only the kimchi component of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nsor cover 150 to contact the salinity sensor 200.

따라서, 도 16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판(152)의 골부(152a)에 모인 김치의 액상성분은 골부(152a)의 좌우 측단으로 흘러내려 상기 수용홈(140)에 고이게 되며, 상기 수용홈(140)에 고인 김치의 액상 성분 중 고형물은 수용홈(140)의 바닥면에 쌓이게 되므로, 맑은 액상 성분은 위로 올라와 상기 염도센서(200)에 접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16, the liquid component of kimchi collected in the bone portion 152a of the cover plate 152 flows dow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ne portion 152a and accumulates in the receiving groove 140, Solids among the liquid components of kimchi accumul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40 are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140, so that the clear liquid componen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alinity sensor 200.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지지단(154)이 상기 커버판(152)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골부(152a)가 커버판(152)의 좌우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since the support ends 154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ver plate 152, respectively, the case where the valleys 152a are form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over plate 152 is illustrated.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예를 들어, 상기 지지단(154)이 상기 커버판(152)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판(152)의 상면이 좌측단과 우측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져 상기 골부(152a)가 커버판(152)의 중앙에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end 154 is formed at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cover plate 152, respectively, the height of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plate 152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from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to the center. The valleys 152a may be elongated in front and rear in the center of the cover plate 152.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골부(152a)는 상기 커버판(152)의 중앙으로부터 선단과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valley portion 152a will be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top surface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cover plate 152 to the front and rear ends.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above,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10. 캐비닛 12. 어퍼 이너 케이스
14. 센터 이너 케이스 16. 로어 이너 케이스
20. 베리어 30,32. 드로워
40. 도어 42. 프론트 도어
50. 바스켓 60. 토출덕트
100. 김치통 110. 어퍼버킷
112. 보관공간 114. 센서홈
120. 로어버킷 130. 통커버
140. 수용홈 150. 센서커버
152. 커버판 152'. 전면경사부
152". 후면경사부 152a. 골부
200. 염도센서 210. 피시비기판
220. 상커버 230. 하커버
240. 전극 U,C,L. 저장실
10. Cabinet 12. Upper Inner Case
14. Center inner case 16. Lower inner case
20. Barrier 30,32. Drawer
40. Door 42. Front door
50. Basket 60. Discharge Duct
100. Kimchi container 110. Upper bucket
112. Storage space 114. Sensor groove
120. Lower bucket 130. Full cover
140. Receiving groove 150. Sensor cover
152. Cover plate 152'. Front slope
152". Rear slope 152a. Bone
200. Salinity sensor 210. PCB board
220. Top cover 230. Bottom cover
240. Electrodes U,C,L. storeroom

Claims (12)

김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어퍼버킷과;
상기 어퍼버킷의 하측에 구비되며,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버킷과;
상기 어퍼버킷에 구비되며, 김치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와;
상기 염도센서의 상측에 구비되어, 김치가 염도센서에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센서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센서커버의 상면은,
중앙부가 전후단 또는 좌우측단보다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An upper bucket in which a storage space for kimchi is formed;
A lower bucket provided under the upper bucket and forming a lower exterior;
A salinity sensor provided in the upper bucket and measuring the salinity of kimchi;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alinity sensor, an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ensor cover that blocks the kimchi from contacting the salinity sensor;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lower than the front and rear ends or the left and right en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커버는,
상기 어퍼버킷 내부의 김치를 지지하는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이 상기 어퍼버킷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cover,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over plate for supporting the kimchi inside the upper bucket, and a support end for supporting the cover plate to be spaced apart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의 길이는, 상기 어퍼버킷의 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The kimchi container of claim 2, wherein the length of the cover plate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bucke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은,
상기 커버판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커버판의 선단과 후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end,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which is formed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ver plate, and is vertically bent downward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ver plate to exten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의 높이가 낮아지는 전면경사부와,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의 높이가 낮아지는 후면경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ver plate,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comprising: a front inclined portion whos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rear, and a rear inclined portion whos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fron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의 상면에는,
선단부와 후단부보다 높이가 낮은 골부가 좌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 kimchi container for refrigerators, characterized in that a valley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front and rear ends is formed to the left and righ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골부는,
중앙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valley part,
Kimchi container for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left or righ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경사부와 후면경사부가 만나는 부분에는 골부가 형성되며, 상기 골부의 상면은 중앙부가 좌우 양단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The kimchi container of claim 5, wherein a valley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ront slope and the rear slope mee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valley has a central portion higher than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버킷의 바닥면에는,
상기 염도센서가 안착되는 센서홈과, 고형물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 sensor groove in which the salinity sensor is seated and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solid material is accommodated are form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홈은, 상기 어퍼버킷의 저면 중앙부에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센서홈의 측방에 하나 이상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nsor groove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ucket;
The receiving groove is a kimchi container for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nsor groov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센서홈의 좌우에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to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sensor groov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고형물이 점차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A kimchi container for refrigerators,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surface guiding solids to gradually move downward is formed.
KR1020190146997A 2019-11-15 2019-11-15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KR202100594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997A KR20210059491A (en) 2019-11-15 2019-11-15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997A KR20210059491A (en) 2019-11-15 2019-11-15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491A true KR20210059491A (en) 2021-05-25

Family

ID=7614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997A KR20210059491A (en) 2019-11-15 2019-11-15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949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645A (en) 2018-02-14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645A (en) 2018-02-14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7008B2 (en) Defrost water draining unit for a refrigerator
US9157674B2 (en) Cabinet refrigerating system
US8336320B2 (en) Refrigerator and drawer for refrigerator
KR102629953B1 (en) Refrigrator
KR20190107486A (en) Refrigerator
KR102421447B1 (en)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CN110375488B (en) Refrigerator with improved air duct structure
CN110375479B (en) Refrigerator with deflector
KR20210059491A (en)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KR20210059490A (en)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CN110375504B (en) Refrigerator with drainage mechanism
KR100651307B1 (en) A refrigerator
KR20210059492A (en) A 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TW201730491A (en) Refrigerator
CN110375485B (en) Refrigerator with cooling chamber at bottom of refrigerator body
CN110375486B (en) Refrigerator and heat dissip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38791B1 (en) Refrigerator and drawer cover for refrigerator
JP2019134902A (en) Locker device
EP3786554A1 (en) Under counter type refrigerator
JP2001248952A (en) Cooling storage chamber
KR101132434B1 (en) Refrigerator and drawer cover for refrigerator
CN208688067U (en) Refrigerator
JPH0894237A (en) High humidity low temperature storage warehouse
CN110375484B (en) Refrigera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4208280B2 (en)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