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111A - Wireless electric impact wrench control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same tightness - Google Patents

Wireless electric impact wrench control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same tightn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111A
KR20210059111A KR1020190145822A KR20190145822A KR20210059111A KR 20210059111 A KR20210059111 A KR 20210059111A KR 1020190145822 A KR1020190145822 A KR 1020190145822A KR 20190145822 A KR20190145822 A KR 20190145822A KR 20210059111 A KR20210059111 A KR 20210059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ignal
electrically connected
filter circuit
impact power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51280B1 (en
Inventor
테-후앙 왕
Original Assignee
테-후앙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후앙 왕 filed Critical 테-후앙 왕
Priority to KR1020190145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280B1/en
Publication of KR20210059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1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2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7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75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for impact wrenches or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2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with means for imparting impact to screwdriver blade or nut socke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of a cord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degree of tightness comprising: a current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a current load signal; a first filter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to filter the current load signal; an amplifier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circuit to amplify the current load signal; a second filter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mplifier circuit to filter the current load signal; a central process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circuit to set a fixed current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hit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utputs a stable torque and the same number of hits, so that a locking element such as a screw is locked with the same degree of tightness, and wirelessly feedback the torque and the number of hits during use to a monitoring device.

Description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WIRELESS ELECTRIC IMPACT WRENCH CONTROL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SAME TIGHTNESS}Control system of wireless impact power tools that can maintain the same tightening degree {WIRELESS ELECTRIC IMPACT WRENCH CONTROL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SAME TIGHTNESS}

본 발명은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system for a wireless impact power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system for a wire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degree of tightening.

건축공사 현장에서 작업자들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종종 나사, 무두볼트, 너트, 볼트와 같은 크고 작은 고정용 부속품들을 사용한다. 일반 가정에서 가구를 분해할 경우에도 모두 나사를 풀어야 한다. 대형 부품이든 소형 공구, 장치든 분리 및 장착 과정이 더욱 편리하도록 일반적으로 수동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나사를 잠그거나 푼다. On construction sites, workers often use large and small fastening accessories such as screws, headless bolts, nuts, and bolts to fix parts. When disassembling furniture in an ordinary home, all screws must be unscrewed. Whether it is a large part or a small tool or device, a manual screwdriver is usually used to lock or loosen the screws to make the removal and installation process more convenient.

종래의 전동/공압 공구의 경우, 예를 들면 전동 드라이버는 수동 드라이버에 비해 편리하며, 사용자는 전동 드라이버를 잡고 드라이버의 헤드를 나사 홈에 넣고 전동 드라이버의 시작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전동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나사를 회전시켜 잠그거나 풀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드라이버를 회전시킬 필요 없어,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In the case of conventional electric/pneumatic tools, for example, an electric screwdriver is more convenient than a manual screwdriver, and the user only needs to hold the electric screwdriver, insert the head of the screwdriver into the screw groove, and press the start button of the electric screwdriver, the electric screwdriver will automatically Since the screw can be locked or unlocked by rotating the screw, the user does not need to rotate the driver by hand, so it is very convenient for use.

그러나 종래의 전동/공압 공구는 나사를 잠글 때, 상기 나사가 잘 잠겼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없으므로, 작업자는 반드시 감각으로 나사를 잠가야 하고, 나사가 더 이상 잠기지 않으면 스스로 잠겼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착각하여, 잠기지 않은 것을 잠겼다고 판단하면, 구조의 연결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이후 사고, 또는 예기치 못한 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However, since conventional electric/pneumatic tools cannot verify whether the screw is well locked when locking the screw, the operator must lock the screw by sense, and if the screw is no longer locked, it is determined that the screw is locked by itself. Therefore, if the operator is mistaken and judges that the unlocked thing is locked,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structure is not sufficient,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n accident or unexpected event may occur later.

그밖에, 작업자가 나사가 충분히 잠기지 않을까 걱정하여 반복하여 잠그면, 타격 횟수가 증가하면서, 나사가 하중을 초과하는 힘을 받게 되므로, 나사가 손상되어 강도가 떨어져, 마찬가지로 구조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operator is concerned that the screw may be sufficiently locked and repeatedly locks it, the number of hits increases and the screw receives a force exceeding the load, so the screw is damaged and the strength decreases, which may affect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as well. .

스크류, 너트 등 잠금용 부속품들이 확실히 잠기도록 확보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타격 횟수를 통일시키고 안정적으로 잠그는 토크를 출력시킴으로써, 각각의 잠금용 부속품의 조임 정도가 일치하도록 유지시켜, 구조 강도 및 부속품의 완전성을 유지한다.In order to ensure that locking accessories such as screws and nuts are securely lock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system for a wire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degree of tightening, and the control system unifies the number of hits by a central processing unit. By stably outputting the locking torque, the tightening degree of each locking accessory is kept consistent, maintaining structural strength and integrity of the accessory.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은,In order to reach the above object, the control system of a wire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degree of tight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임팩트 전동 공구가 비트 슬리브를 회전시키는 부하전류신호를 검출하는 전류검출회로;A current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a load current signal for rotating the bit sleeve by the impact power tool;

상기 전류검출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부하전류신호를 필터링하여, 제1 안정전류신호를 얻는 제1 필터회로;A first filter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to filter the load current signal to obtain a first stable current signal;

제1 필터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안정전류신호를 증폭시켜 증폭전류신호를 생성하는 증폭회로;An amplifying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circuit to amplify the first stable current signal to generate an amplified current signal;

상기 증폭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증폭전류신호를 다시 필터링하여, 제2 안정전류신호를 얻는 제2 필터회로;A second filter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circuit to filter the amplified current signal again to obtain a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상기 제2 필터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증폭전류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출력전류신호를 생성하는 대역통과 필터회로;A band-pass filter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circuit to generate an output current signal by removing noise from the amplified current signal;

상기 대역통과 필터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출력전류신호를 실제 타격 횟수를 나타내는 구형파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파형변환회로;A waveform conversion circu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ndpass filter circuit and converts the output current signal into a square wave current signal representing an actual number of hits;

상기 제2 필터회로, 상기 파형변환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고정전류신호 및 소정의 타격 횟수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안정전류신호가 상기 고정전류신호와 동일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비트 슬리브가 안정된 토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제 타격 횟수가 상기 소정의 타격 횟수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비트 슬리브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중앙처리장치;The second filter circuit and the waveform conversion circuit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fixed current signal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strikes are set, and the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is adjusted to be the same as the fixed current signal, and the bit sleeve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controls to output a stable torque, and stops rotation of the bit slee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number of hits has reache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hits;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모니터링 장치를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wirelessly connects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상기 제2 필터회로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전류검출기를 이용하여 토크 출력을 고정시키고, 상기 파형변환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전류신호를 상기 구형파 전류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실제 타격 횟수가 소정의 타격 횟수에 부합되도록 제어하여, 한편으론 특정 부속품이 힘을 너무 많이 받음으로 인해 구조가 손상되면서 강도가 낮아지지 않도록 부속품이 받는 힘을 동일하게 유지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부속품이 잠겨지지 않음으로 인해 마찬가로 구조의 결합 강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감각으로 부속품을 잠금으로 인해 조임 정도에 오차가 생겨 구조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torque output using the second filter circuit and the current detector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onverts the output current signal into the square wave current signal using the waveform conversion circuit, and provide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By controlling the actual number of hits to match the predetermined number of hits, on the one hand, the force received by the accessory is kept the same so that the strength is not lowered due to damage to the structure due to the specific accessory receiving too much force, on the other hand. Likewise, it prevents the bond strength of the structure from lowering due to the non-locking of the accessory, and prevents an error in the degree of tightening due to the operator's sense of locking the accessory, which affects the strength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 및 리모컨에 연결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무선의 방식으로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의 잠금 정보를 교환하도록 하고, 백엔드 관리자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의 사용 시의 회전속도, 단수(段數), 토크 변화, 잠금 성공(OK) 횟수, 잠금 실패(NG) 횟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백엔드 관리자가 각 스크류가 정확히 잠겼는지 상세히 파악하여, 이전 공정이 규정에 따라 정확하게 마무리되었는지 소급하여, 잠기지 않은 스크류를 추가적으로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백엔드 관리자는 잠금 횟수 및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가 사용된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의 유지보수기간이 만료했는지 알아보고, 유지보수기간에 부합하는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를 공자에 보내 수리하여,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의 사용 품질을 유지하고, 사용 횟수, 연도를 연장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o the monitoring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o that the monitoring devic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xchange lock information of the impact power tool in a wireless manner, and the backend manager is the monitoring devic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rotation speed, number of steps, torque change, lock success (OK), and lock failure (NG) times when using the impact power tool, so that the backend manager can check whether each screw is correctly locked. Understand in detail, retrospectively to ensure that the previous process was completed correctly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ions, so that the unlocked screws can be additionally reinforced. At the same time, the backend manager checks whether the maintenance period of the impact power tool has expired based on the number of locks and the time the impact power tool has been used, sends the impact power tool corresponding to the maintenance period to Confucius for repair, and the The quality of use of the impact power tool can be maintained, and the number and year of use can be extended.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무선의 방식을 통해 동시에 하나 이상의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한대씩 설정할 필요가 없어, 설정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현장마다 작업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스크류, 부품을 사용하게 되고, 백엔드 관리자는 해당 현장에서 사용되는 스크류, 부품에 적용되는 잠금 파라미터를 무선으로 각 임팩트 전동 공구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역시 설정 시간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onitoring device can set one or more of the impact power tools at the same time through a wireless method, there is no need for an operator to set one by one, thereby reducing the setting time. In addition, because the work is different for each site, different screws and parts are used, and the backend manager can wirelessly transmit the locking parameters applied to the screws and parts used in the site to each impact power tool.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회로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모니터링 장치, 리모콘과 무선으로 연결된 개략도이다.
도 4a~도 4f는 본 발명의 전류 파형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작 인터페이스의 평면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ircuit structur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ly connected to a monitoring device and a remote controller.
4A to 4F are schematic diagrams of current wavefor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operation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임팩트 전동 공구(80)에 응용되고, 비트 슬리브를 사용하여 스크류, 너트 등 부속품을 잠글 때 회전 토크 및 타격 횟수가 일치하도록 제어하여, 부속품을 잠그는 조임 정도를 통일시킨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system for a wire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degree of tightening, and the control system is applied to the impact power tool 80 shown in FIG. 1, and uses a bit sleeve. Therefore, when locking the accessories such as screws and nuts, the rotation torque and the number of hits are controlled to match, and the degree of tightening for locking the accessories is unifi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은 전류검출회로(10), 제1 필터회로(20), 증폭회로(30) 및 제2 필터회로(40), 대역통과 필터회로(50), 파형변환회로(60) 및 무선통신모듈(9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필터회로(20)는 상기 전류검출회로(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증폭회로(30)는 상기 제1 필터회로(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필터회로(40)는 상기 증폭회로(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대역통과 필터회로(50)는 상기 제2 필터회로(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파형변환회로(60)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회로(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2, the control system of the wire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tightening degre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rent detection circuit 10, a first filter circuit 20, an amplification circuit 30, and a second filter circuit ( 40), a band pass filter circuit 50, a waveform conversion circuit 6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2. The first filter circuit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10, the amplification circuit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circuit 20, and the second filter circuit 40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mplifying circuit 30, the bandpass filter circuit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circuit 40, and the waveform conversion circuit 60 is the bandpass filter circui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50.

이하, 순서에 따라 각 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nd operation method of each circuit will be described in order.

도 2 및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전류검출회로(10)는 부하전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부하전류신호를 검출하며, 상기 부하전류신호는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가 작동하면서 부딪치는 저항력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면 스크류를 잠그면 잠글수록,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의 비트 슬리브가 회전하기 어려워지고, 이때의 상기 부하전류신호는 크며, 스크류를 풀수록,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의 비트 슬리브가 회전하기 쉬워지고, 이때의 상기 부하전류신호는 작다. 도 4a는 부하전류신호의 파형도이며,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하전류신호는 파동이 비교적 크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류검출회로(10)는 서로 병렬 연결된 2개의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은 저항 값이 비교적 작은 저항을 이용할 수 있다. 2 and 4A,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10 receives a load current signal and detects the load current signal, and the load current signal is generated by a resistance force hitting the impact power tool while operating. . For example, the more the screw is locked, the harder the bit sleeve of the impact power tool rotates, the greater the load current signal at this time, and the more the screw is loosened, the easier the bit sleeve of the impact power tool rotates. The load current signal of is small. Fig. 4A is a waveform diagram of a load current signal, and as shown in Fig. 4A, the load current signal has a relatively large wav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10 includes two first resistors R1 and second resistors R2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can use a resistor having a relatively small resistance value.

도 2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필터회로(20)는 상기 부하전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부하전류신호를 필터링하여, 비교적 안정된 제1 안정전류신호를 얻는다. 도 4b는 상기 제1 안정전류신호의 파형도이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안정전류신호의 파형은 비교적 안정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필터회로(20)는 저항 및 서로 병렬 연결된 2개의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한다.2 and 4B, the first filter circuit 20 receives the load current signal and filters the load current signal to obtain a relatively stable first stable current signal. 4B is a waveform diagram of the first stable current signal, and as shown in FIG. 4B, the waveform of the first stable current signal is relatively stabl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lter circuit 20 includes a resistor and two first and second capacitors C1 and C2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도 2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증폭회로(30)는 상기 제1 안정전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안정전류신호를 증폭시켜, 증폭전류신호를 생성한다. 도 4c는 상기 증폭전류신호의 파형도이며, 도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증폭전류신호는 상기 안정전류신호보다 확실히 크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증폭회로(30)는 제1 증폭기(31), 제3 커패시터(C3), 제3 저항(R3) 및 제 4저항(R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증폭기(31)의 비반전 입력단자는 상기 제1 필터회로(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증폭기(31)의 반전 입력단자는 상기 제4 저항(R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접지되며, 상기 제3 커패시터(C3)는 상기 제1 증폭기(31)의 반전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저항(R3)은 상기 제2 커패시터(C3)에 병렬 연결된다. 상술한 증폭기 및 커패시터, 저항의 결합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안정전류신호를 0~5V 회로에 적용 가능한 상기 증폭전류신호로 증폭시킬 수 있다. 2 and 4C, the amplifying circuit 30 receives the first stable current signal and amplifies the first stable current signal to generate an amplified current signal. Fig. 4C is a waveform diagram of the amplified current signal, and as shown in Fig. 4C, the amplified current signal is certainly larger than the stable current signal.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plification circuit 30 includes a first amplifier 31, a third capacitor C3, a third resistor R3 and a fourth resistor R4.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3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circuit 20,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3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resistor R4. Ground, and the third capacitor (C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31), and the third resistor (R3)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 capacitor (C3). do. By using the comb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amplifier, capacitor, and resistor, the first stable current signal may be amplified into the amplified current signal applicable to a 0-5V circuit.

상기 제2 필터회로(40)는 상기 증폭전류신호를 다시 필터링하여, 제2 안정전류신호를 얻는다. 상기 제2 필터회로(40)는 추가적으로 중앙처리장치(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안정전류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장치(91)에 전송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91)의 전류신호검출기에 의해 상기 제2 안정전류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필터회로(40)는 서로 병렬 연결된 2개의 제4 커패시터(C4) 및 제5 커패시터(C5)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커패시터(C4)의 일단은 저항에 직렬 연결된 후 상기 증폭회로(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되며, 상기 제2 커패시터(C5)의 일단은 추가적으로 상기 중앙처리장치(91)에 연결된다. The second filter circuit 40 filters the amplified current signal again to obtain a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The second filter circuit 40 is additional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and transmits the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so that the current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The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may be detected by a detecto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ilter circuit 40 includes two fourth capacitors C4 and a fifth capacitor C5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fourth capacitor C4 is a resistance After being connected in series to the amplifier circuit 30, the other end is grounded, and one end of the second capacitor C5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추가적으로, 타격 시 토크 출력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중앙처리장치(91)는 고정전류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안정전류신호가 상기 고정전류보다 작으면, 상기 중앙처리장치(91)는 상기 제2 안정전류신호가 상기 고정전류까지 증가하도록 제어하여,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이 타격 시 토크 출력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매회 타격 강도가 일치하도록 한다. 상기 타격 강도는 사용자가 스스로 조절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타격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rder to fix the torque output when hitt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is set with a fixed current, and when the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is less than the fixed curren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2 By controlling the stable current signal to increase to the fixed current, the control system of the wireless impact power tool, which can maintain the same tightening degree, can fix the torque output when striking, so that the striking strength matches each time. The hitting strength can be adjusted by the user himself, and the size of the hitting force can be adjusted as needed.

도 2 및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대역통과 필터회로(50)는 상기 제2 안정전류신호에서 주파수가 너무 높거나 낮은 신호를 제거하여, 출력전류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전류신호의 파봉, 파곡의 값은 모두 동일한 레벨이다. 도 4e는 상기 제2 안정전류신호의 파형도이며,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안정전류신호는 주파수가 너무 높거나 낮은 신호를 제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대역통과 필터회로(50)는 제7 커패시터(C7), 제8 커패시터(C8) 및 제6 저항(R6)을 포함한다. 상기 제7 커패시터(C7)의 일단은 상기 증폭회로(30) 및 상기 필터회로(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6 저항(R6)은 상기 제8 커패시터(C8)와 먼저 병렬 연결된 후 다시 제7 커패시터(C7)의 타단에 직렬 연결된다. 2 and 4E, the band-pass filter circuit 50 removes a signal having an excessively high or low frequency from the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to generate an output current signal, and a peak of the output current signal, All the values of the wave grain are at the same level. 4E is a waveform diagram of the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and as shown in FIG. 4E, the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is obtained by removing a signal having a frequency too high or low.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pass filter circuit 50 includes a seventh capacitor C7, an eighth capacitor C8, and a sixth resistor R6. One end of the seventh capacitor C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circuit 30 and the filter circuit 40, and the sixth resistor R6 is firs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eighth capacitor C8 and then again. It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other end of the seventh capacitor C7.

도 2 및 도 4d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3 필터회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필터회로(70)는 상기 증폭회로(30), 상기 대역통과 필터회로(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d는 상기 증폭전류신호가 다시 필터링된 파형도이며, 상기 제3 필터회로(70)는 제5 저항(R5) 및 제6 커패시터(C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5 저항(R5)의 일단은 상기 제1 증폭기(31)의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6 커패시터(C6)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6 커패시터의 타단은 접지된다. 상기 제3 필터회로(70)를 통해 상기 증폭전류신호를 다시 필터링하여, 더욱 안정되고 노이즈가 없는 상기 제2 안정전류신호를 얻을 수 있다. 도 4d에 위아래로 2개의 크기가 다른 상기 증폭전류신호가 다시 필터링된 파형도를 열거하였고, 고전류신호든 저전류신호든 상기 대역통과 필터회로(50)를 통해 필터링한 후 모두 동일한 레벨로 다시 필터링하여 후속 판단을 진행함을 의미하며, 필터링 후의 결과는 도 4e에 도시했다.2 and 4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filter circuit 7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third filter circuit 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circuit 30 and the band pass filter circuit 50. 4D is a waveform diagram in which the amplified current signal is filtered again, and the third filter circuit 70 may include a fifth resistor R5 and a sixth capacitor C6, and the fifth resistor R5 One end of the first amplifier 3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31,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ixth capacitor C6, and the other end of the sixth capacitor is grounded. By filtering the amplified current signal again through the third filter circuit 70, the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which is more stable and free from noise may be obtained. The waveform diagram in which the amplified current signals having two different sizes up and down are filtered again is listed in FIG. 4D. After filtering through the band-pass filter circuit 50, both high-current signals and low-current signals are filtered again to the same level. This means that the subsequent determination is performed, and the result after filtering is shown in FIG. 4E.

도 2 및 도 4f를 참조하면, 상기 파형변환회로(60)는 상기 출력전류신호를 구형파 전류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전류신호가 사인파 형태에서 구형파 형태로 변환되게 한다. 상기 파형변환회로(60)는 상기 구형파 전류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장치(91)에 입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91)의 타격 횟수 검출기를 통해 상기 구형파 전류신호에서 파봉이 나타나는 횟수를 검출한다. 도 4f는 상기 출력전류신호가 상기 구형파 전류신호로 변환되는 것을 샘플링한 파형 개략도이며,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전류신호의 피크 값은 구형파 전류신호의 피크(63)로 샘플링된다. 상기 파형변환회로(60)는 타격 임계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전류신호가 상기 타격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파형변환회로(60)는 상기 출력전류신호를 하이 레벨로 샘플링하고, 상기 출력전류신호가 상기 타격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파형변환회로(60)는 상기 출력전류신호를 로우 레벨로 샘플링하며, 상기 하이 레벨 및 로우 레벨로 상기 구형파 전류신호를 형성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91)에 입력한다. 2 and 4F, the waveform conversion circuit 60 converts the output current signal into a square wave current signal so that the output current signal is converted from a sine wave form to a square wave form. The waveform conversion circuit 60 inputs the square wave current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and detects the number of times the wave peak appears in the square wave current signal through the hitting count detector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Fig. 4F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aveform obtained by sampling the conversion of the output current signal into the square wave current signal. As shown in Fig. 4F, the peak value of the output current signal is sampled as a peak 63 of the square wave current signal. The waveform conversion circuit 60 has a hitting threshold value set, and when the output current signal is greater than the hitting threshold value, the waveform conversion circuit 60 samples the output current signal at a high level, and the output current When the signal is less than the strike threshold, the waveform conversion circuit 60 samples the output current signal at a low level, and forms the square wave current signal at the high level and the low level,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Enter in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파형변환회로(60)는 슈미트트리거회로이며, 제2 증폭기(61), 제9 커패시터(C9), 제1 커패시터(C10), 제7 저항(R7), 제8 저항(R8) 및 제9 저항(R9)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증폭기(61)의 반전 입력단자는 상기 대역통과 필터회로(50)에 연결되고, 비반전 입력단자는 상기 제9 저항(R9)에 연결된 후 접지되며, 상기 제9 커패시터(C9)는 상기 제2 증폭기(61)의 전원 입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8 저항(R8)은 상기 제2 증폭기(61)의 출력단자 및 상기 제9 저항(R9)에 연결되며, 상기 제7 저항(R7)은 상기 제2 증폭기(61)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추가적으로 상기 중앙처리장치(91)에 연결되며, 상기 제10 커패시터(C10)의 일단은 상기 제7 저항(R7)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9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veform conversion circuit 60 is a Schmitt trigger circuit, the second amplifier 61, the ninth capacitor (C9), the first capacitor (C10), the seventh resistor (R7), 8 resistors R8 and ninth resistors R9 are include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61 is connected to the bandpass filter circuit 50,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ninth resistor R9 and then grounded, and the ninth capacitor C9 is It is connected between the power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61 and the ground, the eighth resistor R8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61 and the ninth resistor R9, 7 The resistor R7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amplifier 61 and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and one end of the tenth capacitor C10 is the seventh resistor R7 and the I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and the other end is grounded.

상기 중앙처리장치(91)의 상기 타격 횟수 검출기는 상기 구형파 전류신호 중 상기 하이 레벨의 수량에 따라 실제 타격 횟수를 판단하고, 상기 하이 레벨의 수량은 실제 타격 횟수와 같다.The number of hits detector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determines the actual number of hits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the high level among the square wave current signals, and the quantity of the high level is equal to the number of actual hits.

상기 중앙처리장치(91)은 동시에 소정의 타격 횟수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타격 횟수 검출기가 현재의 타격 횟수와 상기 소정의 타격 횟수가 동일하다고 판단하면, 본 발명의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은 상기 비트 슬리브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소정의 타격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is simultaneously set a predetermined number of hits, and if the hitting number detector determines that the current number of hits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hits are the same, a wireless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tightening degre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ystem of the impact power tool controls to stop the rotation of the bit sleeve. The predetermined number of hits can be controlled by the user.

상기 무선통신모듈(92)은 상기 중앙처리장치(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리모콘(93) 또는 모니터링 장치(94)를 무선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94)는 관리 컴퓨터 또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94)는 무선의 방식으로 1대 이상의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에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의 토크 값, 타격 횟수 등 파라미터를 설정하며, 생산 시 1대 이상의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의 각 파라미터를 동시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의 사용 중 또는 사용 후,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92)을 통해 사용 시의 관련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94)로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관련 데이터는 사용 시 각 시간대의 회전속도, 단수, 토크 변화, 잠금 성공 횟수, 잠금 실패 횟수이며, 백엔드 관리자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94)를 통해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의 사용 상황을 관리 및 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통신모듈(92)은 블루투스 통신 유닛을 포함하며,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상기 모니터링 장치(94)와 데이터, 자료를 교환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to wirelessly connect an external remote control 93 or a monitoring device 94, and the monitoring device 94 is a management computer or a cloud server. Can be The monitoring device 94 may set parameters to one or more of the impact power tools 80 in a wireless manner. For example, parameters such as a torque value and number of hits of the impact power tool 80 may be set, and each parameter of one or more impact power tools 80 may be set at the same time during production. In addition, during or after the impact power tool 80 is in use, the impact power tool 80 may feed back related data during use to the monitoring device 94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2. For example, the related data is the rotational speed, the number of steps, the torque change, the number of successful locks, and the number of lock failures at each time of use, and the backend manager uses the impact power tool 80 through the monitoring device 94. You can manage and control the situa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2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and can exchange data and data with the monitoring device 94 through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는 추가적으로 상기 무선통신모듈(92)과 상기 모니터링장치(94)를 통해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가 각 스크류를 잠글 때의 잠금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는 각 스크류를 잠글 때, 각 스크류의 잠금 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모듈(92)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장치(94)로 피드백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94)가 각 스크류를 잠그는 타격 횟수, 토크 등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가 스크류를 잠글 때의 현재 타격 횟수와 상기 소정의 타격 횟수가 동일하고, 상기 스크류가 받는 토크와 설정된 소정의 토크가 동일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91)은 완료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92)을 통해 상기 완료신호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49)에 전송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94)가 어떤 스크류들이 정확한 방식으로 잠겼는지 관리 및 통제하고, 추가적으로 어떤 스크류들의 타격 횟수, 토크 값이 설정된 표준에 도달하지 않았는지 소급하여, 정확한 방식으로 잠기지 않은 스크류들에 대해 보강할 수 있다. The impact power tool 80 may additionally manage lock data when the impact power tool 80 locks each screw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2 and the monitoring device 94. Specifically, when locking each screw, the impact power tool 80 feeds back the locking data of each screw to the monitoring device 94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2, so that the monitoring device 94 Data such as the number of hits and torque to lock the screw should be acquired. Additionally, if the current number of hits when the impact power tool 80 locks the screw an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hits are the same, and the torque received by the screw is the same as the set predetermined torqu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A comple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he comple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device 49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2, so that the monitoring device 94 manages and controls which screws are locked in an accurate manner, and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retroactively reinforce which screws have been hit, and which torque values have not reached the established standards, and to unlocked screws in a precise manner.

상기 무선통신모듈(92)은 추가적으로 상기 리모콘(93)과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모니터링 장치(94)와 유사하게 상기 리모콘(93)도 무선의 방식으로 상기 무선통신모듈(92)의 관련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리모콘(93)은 추가적으로 권한관리를 제공하여, 상기 리모콘(93)을 통해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의 파라미터가 설정하고자 할 경우,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기타 방식을 통해 잠금을 해제해야만 파라미더 설정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여, 권한을 가진 관리자만이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의 파라미터 설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의 파라미터를 마음대로 또는 실수로 변경하여,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가 규정된 데이터에 따라 스크류를 잠금으로 인해 부품의 연결 강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통신모듈(92)은 적외선 통신 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리모콘이 적외선으로 상기 적외선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와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2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 93 by wireless. Similar to the monitoring device 94, the remote control 93 can also set related parameter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2 in a wireless manner. However, the remote control 93 additionally provides authority management, so that when the parameters of the impact power tool 80 are to be set through the remote control 93, the parameter must be unlocked by entering a password or other methods. By allowing the user to enter the mode setting mode, ensuring that only the authorized administrator can manage the parameter settings of the impact power tool 80, the operator can freely or accidentally change the parameters of the impact power tool 80. In this way, the impact power tool 80 is prevented from affecting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parts due to locking the screw according to the prescribed data.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2 includes an infrared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remote control can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impact power tool through the infrared communication unit in infrared.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전류보상모드를 구비한다. 상기 임팩트 전동 공구(80)의 배터리 전력이 부족하여 전압이 낮아지면, 고정된 출력파워를 유지하여 고정된 토크출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중앙처리장치(91)은 상기 전류보상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부하전류신호가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전압이 낮아진 상태에서는 출력전류를 증가시켜 동일한 파워를 유지시키면, 토크출력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전력이 부족할 때에도 스크류 등 부속품을 동일한 조임 정도로 잠글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91)는 펄스폭변조기술(PWM)을 이용하여 상기 부하전류신호를 증가시킨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rrent compensation mode. When the voltage of the impact power tool 80 is low due to insufficient battery pow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executes the current compensation mode so that a fixed torque output is provided by maintaining a fixed output power. If the load current signal is controlled to increase and the output current is increased to maintain the same power when the voltage is lowered, the torque output can be fixed, and even when the battery power is insufficient, accessories such as screws can be locked with the same tightening degre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increases the load current signal using a pulse width modulation technique (PWM).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외관상으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81)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81)는 제1 버튼(82), 제2 버튼(83), 제3 버튼(84), 복수의 표시등(85) 및 복수의 7세그먼트 표시장치(8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버튼(82), 제2 버튼(83), 제3 버튼(84), 상기 복수의 표시등(85) 및 상기 복수의 7세그먼트 표시장치(86)는 모두 상기 중앙처리장치(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버튼(82)은 상기 복수의 7세그먼트 표시장치(86)를 통해 각 설정 값을 표시하도록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제2 버튼(83)은 예를 들면 타격 강도 설정, 타격 횟수 설정, 불완전 잠금 회전수(浮鎖圈數) 설정과 같은 서로 다른 기능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버튼(84)은 입력된 설정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등(85)은 상기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의 현재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컬러, 개수로 각각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interface 81 may be installed externally, and the display interface 81 includes a first button 82, a second button 83, a third button 84, and a plurality of It includes an indicator 85 and a plurality of 7-segment display devices 86. The first button 82, the second button 83, the third button 84, the plurality of indicator lights 85, and the plurality of seven-segment display units 86 are all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the first button 82 can be switched to display each set value through the plurality of 7-segment display devices 86, and the second button 83 is, for example, a hitting strength It can be switched to different functions such as setting, setting the number of hits, and setting the number of incomplete locking rotations, and the third button 84 can check the input setting value. The plurality of indicator lights 85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and numbers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wire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tightening degree.

본 발명은 상기 제2 필터회로(40)를 이용하여 정리된 상기 제2 안정전류신호를 상기 전류검출기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91)에 의해 상기 제2 안정전류신호가 상기 고정전류 값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토크 출력이 일치하도록 보장한다. 동시에, 상기 파형변환회로(60)에 의해 상기 출력전류신호를 상기 구형파 전류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타격 횟수 검출기에 의해 실제 타격 횟수를 판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9)에 의해 실제 타격 횟수가 소정의 타격 횟수와 동일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타격 횟수 및 전류 출력을 제어하는 기술수단에 의해, 스크류 등 부속품들이 동일한 조임 정도로 잠기도록 보장하여, 부품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arranged using the second filter circuit 40 to the current detector, and the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is converted to the fixed current value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91 It is controlled to remain the same as to ensure that the torque output is matched. At the same time, the output current signal is converted into the square wave current signal by the waveform conversion circuit 60, the actual number of hits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hits detector, and the actual number of hits is determin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9. It is controlled to be equal to the predetermined number of hits. By means of the tech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number of hits and the current outpu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parts by ensuring that the accessories such as screws are locked to the same degree of tightening.

10: 전류검출회로
20: 제1 필터회로
30: 증폭회로
31: 제1 증폭기
40: 제2 필터회로
50: 대역통과 필터회로
60: 파형변환회로
61: 제2 증폭기
63: 구형파 전류신호의 피크
70: 제3 필터회로
80: 임팩트 전동 공구
8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82: 제1 버튼
83: 제2 버튼
84: 제3 버튼
85: 표시등
86: 7세그먼트 표시장치
91: 중앙처리장치
92: 무선통신모듈
93: 리모콘
94: 모니터링 장치
R1~R9: 제1 저항~제9 저항
C1~C10: 제1 커패시터~제10 커패시터
10: current detection circuit
20: first filter circuit
30: amplification circuit
31: first amplifier
40: second filter circuit
50: bandpass filter circuit
60: waveform conversion circuit
61: second amplifier
63: Peak of the square wave current signal
70: third filter circuit
80: impact power tool
81: display interface
82: first button
83: second button
84: third button
85: indicator
86: 7 segment display device
91: central processing unit
92: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93: remote control
94: monitoring device
R1 to R9: first resistance to ninth resistance
C1 to C10: first capacitor to tenth capacitor

Claims (10)

임팩트 전동 공구가 비트 슬리브를 회전시키는 부하전류신호를 검출하는 전류검출회로;
상기 전류검출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부하전류신호를 필터링하여, 제1 안정전류신호를 얻는 제1 필터회로;
상기 제1 필터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안정전류신호를 증폭시켜 증폭전류신호를 생성하는, 증폭회로;
상기 증폭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증폭전류신호를 다시 필터링하여, 제2 안정전류신호를 얻는 제2 필터회로;
상기 제2 필터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증폭전류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출력전류신호를 생성하는 대역통과 필터회로;
상기 대역통과 필터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출력전류신호를 실제 타격 횟수를 나타내는 구형파 전류신호로 변환하는 파형변환회로;
상기 제2 필터회로, 상기 파형변환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고정전류신호 및 소정의 타격 횟수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안정전류신호가 상기 고정전류신호와 동일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비트 슬리브가 안정된 토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제 타격 횟수가 상기 소정의 타격 횟수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비트 슬리브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모니터링 장치를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무선통신모듈;
을 포함하는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
A current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a load current signal for rotating the bit sleeve by the impact power tool;
A first filter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to filter the load current signal to obtain a first stable current signal;
An amplifying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circuit to amplify the first stable current signal to generate an amplified current signal;
A second filter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circuit to filter the amplified current signal again to obtain a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A band-pass filter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filter circuit to generate an output current signal by removing noise from the amplified current signal;
A waveform conversion circu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ndpass filter circuit and converts the output current signal into a square wave current signal representing an actual number of hits;
The second filter circuit and the waveform conversion circuit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fixed current signal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strikes are set, and the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is adjusted to be the same as the fixed current signal, and the bit sleeve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controls to output a stable torque, and stops rotation of the bit slee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tual number of hits has reached the predetermined number of hits;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wirelessly connect an external monitoring device;
A control system of a wireless impact power tool that can maintain the same degree of tightening,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유닛은 상기 모니터링 장치를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nnects the monitoring device to a control system for a wire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degree of tight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적외선 통신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 통신 유닛은 리모콘을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n infrared communication unit, and the infrared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nnects a remote controller to a control system for a wire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degree of tighte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제2 안정전류신호를 검출하는 전류신호검출기; 및
상기 구형파 전류신호에서 파봉이 나타나는 횟수를 검출하고, 상기 구형파 전류신호에서 파봉이 나타나는 횟수는 실제 타격 횟수를 의미하는 타격 횟수 검출기를 포함하는,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 current signal detector for detecting the second stable current signal; And
A control system for a wire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degree of tightening, including a hitting count detector, which detects the number of times a wave appears in the square wave current signal, and the number of times that wave appears in the square wave current signal means the actual number of strikes .
제4항에 있어서,
제3 필터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필터회로는 상기 증폭회로, 상기 대역통과 필터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증폭전류신호를 추가로 필터링하는,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third filter circuit,
The third filter circu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mplification circuit and the band-pass filter circuit to further filter the amplified current signal, and a control system for a wire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degree of tightening.
제5항에 있어서,
전류보상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의 배터리 전력이 부족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전류보상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부하전류신호를 증가시키는,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It further includes a current compensation mode,
When the battery power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wire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tightening degree is insufficien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executes the current compensation mode to increase the load current signal, thereby maintaining the same tightening degree. Control system for cordless impact power too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펄스폭변조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부하전류신호를 증가시키는,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a control system for a wire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degree of tightening by increasing the load current signal using a pulse width modulation technolog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검출회로는 서로 병렬 연결된 2개의 제1 저항 및 제2 저항을 포함하는,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includes two first resistors and a second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control system for a wire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degree of tighten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회로는 저항 및 서로 병렬 연결된 2개의 제1 커패시터 및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filter circuit comprises a resistor and two first and second capacitors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control system for a wireless impact power tool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degree of tighten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회로는 제1 증폭기, 제3 커패시터, 제3 저항 및 제4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자는 상기 제1 필터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자는 상기 제4 저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접지되며, 상기 제3 커패시터는 상기 제1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저항은 상기 제3 커패시터에 병렬 연결되는, 동일한 조임 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무선 임팩트 전동 공구의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The amplification circuit includes a first amplifier, a third capacitor, a third resistor, and a fourth resistor, and a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filter circuit, and an inversion of the first amplifier The input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th resistor and then grounded, the third capaci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amplifier, and the third resistor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third capacitor. , Control system of cordless impact power tools that can maintain the same tightening degree.
KR1020190145822A 2019-11-14 2019-11-14 Wireless electric impact wrench control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same tightness KR1024512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822A KR102451280B1 (en) 2019-11-14 2019-11-14 Wireless electric impact wrench control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same tightn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822A KR102451280B1 (en) 2019-11-14 2019-11-14 Wireless electric impact wrench control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same tightn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111A true KR20210059111A (en) 2021-05-25
KR102451280B1 KR102451280B1 (en) 2022-10-05

Family

ID=7614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822A KR102451280B1 (en) 2019-11-14 2019-11-14 Wireless electric impact wrench control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same tightn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28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4662A (en) * 2009-02-24 2010-09-0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Radio communication system for tool
JP2013226626A (en) * 2012-04-26 2013-11-07 Makita Corp Electric tool
JP6304533B2 (en) * 2014-03-04 2018-04-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Impact rotary tool
JP2019176728A (en) * 2011-07-24 2019-10-10 株式会社マキタ Power tool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4662A (en) * 2009-02-24 2010-09-0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Radio communication system for tool
JP2019176728A (en) * 2011-07-24 2019-10-10 株式会社マキタ Power tool system
JP2013226626A (en) * 2012-04-26 2013-11-07 Makita Corp Electric tool
JP6304533B2 (en) * 2014-03-04 2018-04-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Impact rotary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280B1 (en)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92143A1 (en) Position sensing electronic torque wrench
WO20051080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screw connections
CN206952512U (en) Engine tightens fail-safe system
US6810335B2 (en) Qualifier
CN107738216B (en) A kind of intelligence torque operation supervisory systems and its control method
CN105573251A (en) Disc-type tool magazine and automatic tool-changing system comprehensive performance detection platform
KR102451280B1 (en) Wireless electric impact wrench control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same tightness
CN108916019A (en) Remote monitoring system of air compressor
US5898598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 torque transducer with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CN110228033B (en) Electric fixed-torque wrench control device, wrench and control method
CN210270541U (en) Wireless electric impact tool control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same tightness
TWM587095U (en) Wireless electric impact tool control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tightness
TWI709464B (en) Wireless electric impact tool control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tightness
JP3225045U (en) Wireless electric shock tool control system that can maintain the same tightening condition
US4247848A (en) Fire detector with a monitor circuit
CN210256014U (en) Electric impact tool control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same tightness
CN209761068U (en) Intelligent door lock remote early warning system
TWM587406U (en) Electric impact tool control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equal tightness
EP2656977A2 (en) Electric tool and method for operation of the same
TW201440964A (en) A method of programmable toque controlling for sensing bolt
CN211639687U (en) Electricity is criticized and is counted leak protection and prevent slow-witted system
CN205779499U (en) A kind of clamp device for wind power generating set
CN211681804U (en) Automatic fastening equipment of bolt and nut with adjustable specification
CN214793611U (en) Pin shaft sensor calibration instrument
US7171313B2 (en) Protection apparatus for reciproca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