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002A - 타겟 콘텐트를 위한 비디오 프레임 선택 - Google Patents

타겟 콘텐트를 위한 비디오 프레임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002A
KR20210059002A KR1020217014253A KR20217014253A KR20210059002A KR 20210059002 A KR20210059002 A KR 20210059002A KR 1020217014253 A KR1020217014253 A KR 1020217014253A KR 20217014253 A KR20217014253 A KR 20217014253A KR 20210059002 A KR20210059002 A KR 20210059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ontent
video frames
target content
specific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510B1 (ko
Inventor
잡지트 에스. 툴시
프랍하카르 고얄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05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04N21/23892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involving embedding information at multiplex stream level, e.g. embedding a watermark at packet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4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comprising emergency warn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광고와 같은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와 타겟 콘텐트가 수신된다.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이 검출되면 타겟 콘텐트가 표시된다.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이 검출된다.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의 검출에 응답하여 타겟 콘텐트가 표시를 위해 통신된다.

Description

타겟 콘텐트를 위한 비디오 프레임 선택{VIDEO FRAME SELECTION FOR TARGETED CONTENT}
타겟 광고는 최근, 사용자의 온라인 검색 세션, 사용자가 본 이미지, e-mail의 콘텐트 등에 기초하여 광고가 제공되도록 발전하였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비디오 콘텐트에 기초하는 사용자를 목표로 하는 광고는, 비디오 콘텐트가 나타나는 웹 페이지의 타입(예컨대, 뉴스 페이지, 연예 페이지)에 기초하거나 광고가 관련있을 것으로 광고주가 믿는 비디오 스트림 내의 타임 마커(time marker)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그러나, 비디오가 짜깁기되고, 여러 세그먼트로 분할되는 등의 경우에, 타임 마커는 효과적이지 않다. 비디오 콘텐트 내의 객체 인식(object recognition)이 타겟 광고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객체 인식은 계산이 복잡하고 시간 집약적이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더 개시되는 간략한 형태의 컨셉의 선택을 소개하기 위해 본 요약(Summary)이 제공된다. 본 요약은 청구되는 주제(subject matter)의 본질적 특징이나 주요 특징(key feature)의 확인을 의도하지 않고, 청구되는 대상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의도하지도 않는다.
여러 실시형태에서, 비디오 콘텐트 내의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에 기초하여 타킷 콘텐트를 타겟팅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예컨대, 타겟 콘텐트 제공자는, 타겟 콘텐트 제공자가 타겟팅에 관심이 있는 비디오 프레임의 시퀀스(예컨대, 비디오의 세그먼트)를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프레임의 시퀀스에 관련된 타겟 콘텐트는 제공된 타겟 콘텐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비디오를 보고 있을 때, 타겟 콘텐트가 트리거될 수 있도록 타겟 비디오 세그먼트가 검출될 수 있다. 이어서, 타겟 콘텐트는,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한 표시(presentation)를 위해 통신될 수 있고, 비디오에 대한 오버레이(overlay)로서 표시될 수 있고, 비디오 스트림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일 비디오 세그먼트는 예약 기초으로 판매되거나 상이한 호가(bid)를 갖는 다수의 광고주들에게 판매될 수 있다. 몇가지 사례에서, 다수의 광고주들은 최고 응찰자가 타겟 비디오 세그먼트에 기초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동일한 세그먼트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타겟 비디오 세그먼트의 재생이 비디오 콘텐트 내에서 발생하는 때와 무관하게 정밀한 비디오 콘텐트 타겟팅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특정 프레임의 재생이 검출되고, 이에 따라 가능한 모든 비디오 콘텐트의 사전 프로세싱이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유사한 참조번호가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에서, 한정이 아닌 예시의 방식으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구현하는데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 컴퓨팅 환경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채택될 수 있는 예시적 컴퓨팅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예시적 컴포넌트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여기에서 명세서 법정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특이성으로 개시된다. 그러나, 개시 자체는 본 발명의 범위의 한정을 의도하지 않는다. 대신, 발명자들은, 다른 현재의 기술 또는 미래의 기술들과의 결합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들과 유사한 스텝들의 조합 또는 상이한 스텝을 포함하기 위해 다른 방식으로 청구된 주제가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채택된 방법의 상이한 엘리먼트를 내포하기(connote) 위해 "스텝" 및/또는 "블록"의 용어가 여기에 사용될 수 있지만, 개별 스텝의 순서가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으면, 그리고 명확하게 설명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여기에 개시된 여러 스텝들 중에서 또는 스텝을 사이에서의 임의의 특정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여기에 설명된 기술의 여러가지 양태는 일반적으로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지향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타겟 콘텐트는, 광고, 유기적 정보, 홍보 콘텐트, 또는 원하는 정보가 사용자에게 디렉팅되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타겟 콘텐트는 예컨대 광고 제공자, 정보 제공자 등의 타겟 콘텐트 제공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사용된 방법이 객체 인식인 경우, 비디오 콘텐트의 타겟 광고는 계산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사용하면, 객체 인식은 필요하지 않다. 대신, 타겟 콘텐트 제공자는, 특정 타겟 콘텐트로 타겟팅하고자 하는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는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비디오 콘텐트에서 검출될 수 있다. 검출되면, 컴퓨팅 디바이스로의 표시를 위해 타겟 콘텐트가 통신될 수 있다. 타겟 콘텐트는 인-라인 타겟 콘텐트(예컨대, 15-, 30-, 또는 45-초 비디오 타겟 콘텐트), 사용자가 보는 비디오 콘텐트 상의 오버레이, 또는 제2 컴패니언 디바이스(secondary companion device) 상의 타겟 콘텐트 경험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랩탑(laptop) 및 게이밍 머신과 연관되는 경우, 사용자가 랩탑 상에서 비디오 콘텐트를 보는 동안, 타겟 콘텐트는 게이밍 머신과 연관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비디오 클립과 같은 비디오 콘텐트에서의 시간을 특정하는 타겟 콘텐트 제공자 대신,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가 임의의 타입의 비디오 콘텐트로 발생하는 때와 무관하게 타겟 콘텐트의 표시가 트리거될 수 있도록, 타겟 콘텐트가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 될 때, 여기서 비디오 프레임의 특정 세트가 타겟 콘텐트 제공자에 의해 선택된다. 예컨대,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는, 뉴스 비디오 다수 비디오의 짜깁기, 입력된 검색 질의에 기초한 검색 결과로서 표시되는 비디오 등의 상이한 콘텍스트로 보여질 수 있다. 타겟 콘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트리거가 시간에 기초하면, 타겟 콘텐트는 다수의 인스턴스 내의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비디오의 부분에 관련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표시되고 있는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에 기초하는 타겟 콘텐트의 표시를 트리거링함으로써, 타겟 콘텐트는 더욱 타겟팅되기 쉽고 사용자에게 유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때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이용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로 디렉팅된다. 상기 방법은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의 검출시에 표시될 타겟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타겟 콘텐트의 표시를 위해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와 연관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콘텐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광고에 관하여 제3자 광고 제공자에 의해 비디오 콘텐트 내의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가 타겟팅되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광고를 저장 매체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광고를 표시하기 위해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복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타겟 콘텐트와 비디오 프레임 세트의 선택을 제3자 타겟 콘텐트 제공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인테이크 컴포넌트(intake component)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또한, 비디오 콘텐트 내에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가 포함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있는 비디오 콘텐트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 컴포넌트; 및 비디오 콘텐트가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결정하고, 비디오 프레임 세트와 연관된 타겟 콘텐트의 표시를 위해 통신하기 위한 타겟 콘텐트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개관을 간략하게 설명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 오퍼레이팅 환경이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를 위한 일반적인 콘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그리고 처음으로 도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 오퍼레이팅 환경이 도시되어 있고 개괄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100)으로서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적합한 컴퓨팅 환경의 일례이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사용의 범위 또는 기능에 대한 어떠한 한정으로서의 제안을 의도하지 않는다. 컴퓨팅 디바이스(100)가 도시된 임의의 하나의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들의 임의의 조합과 관련되는 어떠한 의존성이나 요구사항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ata assistant) 또는 다른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와 같은 컴퓨터 또는 다른 머신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사용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코드 또는 머신 사용가능 명령어의 일반적인 콘텍스트로 설명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루틴(routine), 프로그램, 오브젝트(object),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타입을 실현하는(implement) 코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사용자 전자기기, 범용 컴퓨터, 더 특수한 컴퓨팅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또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되는 원격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의해 작업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으로 실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이하의 디바이스들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버스(110)를 포함한다: 메모리(112),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4), 하나 이상의 표시 컴포넌트(116),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I/O) 포트(118), 하나 이상의 I/O 컴포넌트(120), 및 예시적 파워 서플라이(112). 버스(110)는 하나 이상의 버스들[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명확함을 위해 도 1의 여러 블록이 선(line)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현실적으로 이들 블록은, 반드시 실제적이지 않은 논리적인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같은 표시 컴포넌트가 I/O 컴포넌트가 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것이 기술 분야의 특성이라는 것을 인식하며, 도 1의 다이어그램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 컴퓨팅 디바이스의 예시일 뿐이라는 것을 다시 언급한다. "워크스테이션", "서버", "랩탑", "핸드헬드 디바이스" 등과 같은 이러한 카테고리는 모두 도 1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컴퓨팅 디바이스"를 나타내기 때문에, 워크스테이션", "서버", "랩탑", "핸드헬드 디바이스" 등의 사이에 구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미디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미디어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 미디어가 될 수 있고, 휘발성 미디어 및 비휘발성 미디어, 착탈식 미디어 및 비착탈식 미디어 모두를 포함한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미디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미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미디어, 착탈식 미디어 및 비착탈식 미디어를 모두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DVD 또는 다른 옵티컬 디스크 스토리지, 마그네틱 카세트, 마그네틱 테이프, 마그네틱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마그네틱 스토리지 디바이스, 또는 소망하는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다른 모든 미디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신호 자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통신 미디어는 통상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나 다른 전송 메카니즘 등의 변조된 데이터 신호 내의 다른 데이터를 구현(embody)하고, 임의의 정보 전달 미디어를 포함한다. 용어 "변조된 데이터 신호"는 신호 내의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식에 있어서 설정되거나 변경된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갖는 신호를 의미한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통신 미디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연결 접속(direct-wired connection) 등의 유선 미디어 및 어쿠스틱(acoustic), RF, 적외선, 및 다른 무선 미디어 등의 무선 미디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임의의 조합도 컴퓨터 판독가능 미디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메모리(112)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형태로,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착탈식, 비착탈식, 또는 착탈식과 비착탈식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예시적 하드웨어 디바이스는 고체상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한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메모리(112) 또는 I/O 컴포넌트(120)와 같은 다양한 엔티티(entity)로부터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표시 컴포넌트(들)(116)는 사용자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데이터 인디케이션(data indication)을 표시한다. 예시적 표시 컴포넌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스피커, 프린팅 컴포넌트, 진동 컴포넌트(vibrating component) 등을 포함한다.
I/O 포트(118)는, 일부가 빌트 인(built in)될 수 있는 I/O 컴포넌트(120)를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에 컴퓨팅 디바이스(100)가 논리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예시적 I/O 컴포넌트는 마이크로폰, 조이스틱, 게임 패드, 위성 접시, 스캐너, 프린터, 무선 디바이스, 컨트롤러, 스타일러스, 키보드, 마우스, NUI(natural user interface) 등을 포함한다. NUI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에어 제스쳐, 음성, 또는 다른 물리적 입력을 프로세싱한다. 이러한 입력들은,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의해 표시되는, 검색 요청 등의 입력에 응답하여 검색을 위해 이용가능한 앱에서 나타나는 검색 요청, 워드(word), 또는 심볼로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청들은 추가 프로세싱을 위해 적절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로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주제의 양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의 일반적인 콘텍스트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루틴(routine), 프로그램, 오브젝트(object),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하고, 이들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타입을 실현한다(implement). 또한, 여기서 설명한 주제의 양태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되는 원격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의해 작업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과 로컬 컴퓨터 저장 매체의 양자(both)에 위치될 수 있다. 컴퓨터 사용가능 명령어는 컴퓨터가 입력의 소스에 따라 반응하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명령어들은 수신된 데이터의 소스와 함께 수신되는 데이터에 응답하여 다양한 작업을 개시하기 위해 다른 코드 세그먼트와 협조한다(cooperate with).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광고, 다른 홍보 콘텐트, 유기적 정보, 또는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디렉팅되는 다른 정보와 같은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채택될 수 있는 예시적 컴퓨팅 시스템(200)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컴퓨팅 시스템(200)은, 제3자 타겟 콘텐트 제공자 컴퓨팅 디바이스(202)[콘텐트 제공자 컴퓨팅 디바이스(202)라고도 함]가 타겟팅하기 위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를 볼 때, 콘텐트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타겟 콘텐트가 사용자에 대한 표시를 위해 통신되는 환경을 예시한다. 따라서, 타겟팅되거나 디렉팅된 타겟 콘텐트는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비디오 콘텐트 내의 프레임의 세트의 검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들 중에서, 컴퓨팅 시스템(200)은 일반적으로 제3차 타겟 콘텐트 제공자 컴퓨팅 디바이스(202),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204), 타겟 콘텐트 엔진(208), 및 비디오 프레임 매칭 엔진(218)을 포함하고, 이들은 모두 네트워크(206)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네트워크(206)는 하나 이상의 LAN(local area network) 및/또는 WAN(wide area network)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네트워킹 환경은 오피스(office), 전사적(enterprise-wide) 컴퓨터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 인터넷에서 아주 흔하다. 따라서, 네트워크(206)는 여기서 더 설명되지 않는다.
콘텐트 제공자 컴퓨팅 디바이스(202), 타겟 콘텐트 엔진(208) 및 비디오 프레임 매칭 엔진(218)의 임의의 수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범위 내에서 컴퓨팅 시스템(200)에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각각은 단일 디바이스/인터페이스 또는 분산된 환경에서 협력하는 다수의 디바이스/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타겟 콘텐트 엔진(208)은 여기에 설명된 타겟 콘텐트 엔진(208)의 기능을 집합적으로 제공하는 분산된 환경에서 배열되는 다수의 디바이스 및/또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 또는 모듈도 컴퓨팅 시스템(2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시된 컴포넌트/모듈은 독립형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예시된 컴포넌트/모듈은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204), 타겟 콘텐트 엔진(208), 비디오 프레임 매칭 엔진(218), 또는 인터넷 기반 서비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컴포넌트/모듈은 특징(nature) 및 수(number)에 있어서의 예시라는 것과 한정으로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실시형태의 범위 내에서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임의의 수의 컴포넌트/모듈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모듈은 임의의 수의 타겟 콘텐트 엔진, 비디오 프레임 매칭 엔진, 및/또는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이러한 배열(arrangement) 및 다른 배열은 예시로서만 제시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배열 및 엘리먼트(예컨대, 머신, 인터페이스, 기능, 순서, 및 기능의 그룹핑 등)는 도시되고 및/또는 설명된 것들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고, 일부 엘리먼트는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설명된 다수의 엘리먼트는 별개의 또는 분산된 컴포넌트로서, 또는 다른 컴포넌트와 결합으로, 그리고 임의의 적합한 조합과 위치로 구현될 수 있는 기능적 엔티티(entity)이다. 하나 이상의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행될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기능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세서 실행 명령어에 의해 이행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204)는 예컨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컴퓨팅 디바이스(100)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204)는 브라우저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다른 것들 중 브라우저는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204)의 디스플레이와 연관하여 비디오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트리밍(streaming)하도록 구성된다. 브라우저는 또한 네트워크(206)로부터 타겟 콘텐트, 특히 비디오 프레임의 타겟팅된 세트에 기초하여 제3자 타겟 콘텐트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타겟 콘텐트의 형태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브라우저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여기에 설명된 기능은 웹 콘텐트를 렌더링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및 제스쳐, 터치 및/또는 음성 입력을 받아들이는 디바이스들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임의의 그리고 모든 이러한 수정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3자 타겟 콘텐트 제공자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광고주, 마케터(marketer), 유기 정보 제공자 등이 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타겟 콘텐트는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사용자에 대하여 프리젠팅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정보를 의미한다. 일실시형태에서, 타겟 콘텐트는 광고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이것은 단지 엔티티(entity)가 공유하고자 하는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콘텐트 제공자 컴퓨팅 디바이스(202)는 UI(user interface)에 액세스하고, 콘텐트 제공자가 타겟팅하고자 하는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타겟 콘텐트가 표시될 특정 비디오 콘텐트에서의 시간을 입력하는 대신, 콘텐트 제공자는 실제로 관심있는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를 업로드할 수 있다.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에 추가로, 타겟팅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가 사용자 컴퓨팅 디바이스(20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검출되면 사용자에게 표시될 타겟 콘텐트를 콘텐트 제공자가 업로드한다. 또한, 콘텐트 제공자는 UI를 통해 타겟 콘텐트에 대한 호가 정보(bid information)와 같은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타겟 콘텐트 엔진(208)은 콘텐트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비디오 프레임, 타겟 콘텐트, 및 다른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기 위해 이용되는 다양한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는 캠페인 매니지먼트 UI(210), 타겟 콘텐트 서버(212), 및 타겟 콘텐트 모듈(214)을 포함한다. 광고 캠페인 목표를 규정하는 것과 타겟 콘텐트로 타겟팅하기 위한 쇼트 비디오 클립(short video clip)과 같은 비디오 프레임을 업로드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타겟 콘텐트 제공자를 위해 인테이크 컴포넌트(intake component)라고 불리기도 하는 캠페인 매니지먼트 UI(210)가 제공된다. 타겟 콘텐트 서버(212)는 캠페인 매니지먼트 UI(210)로부터 캠페인 정보를 수신하는 캠페인 데이터베이스(216)로부터 캠페인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타겟 콘텐트 서버(212)는,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타겟 콘텐트가 제공되도록 타겟팅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가 검출될 때 저장된 타겟 콘텐트를 다른 컴포넌트에 제공한다. 타겟팅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와 연관된 핑커프린트와 사용자가 보고 있는 비디오 콘텐트 사이에 매치(match)가 발생할 때, 타겟 콘텐트 모듈(214)은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타겟 콘텐트를 통신한다. 호가 정보(bidding information), 타겟 콘텐트, 타겟팅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와 연관된 핑거프린트 등과 같은 타겟 콘텐트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캠페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캠페인 데이터베이스(216)에 타겟 콘텐트 엔진(208)이 연결된다.
실시형태에서, 타겟 콘텐트 제공자는 광고 제공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광고 제공자는 제휴 비용을 갖는 광고 캠페인을 생성할 수 있고, 그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기존의 응찰 또는 수용 가격(bid or accept existing pricing)을 연관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고 제공자가 타겟팅하기 원하는 비디오의 세그먼트가 캠페인 매니지먼트 UI에 업로드된다. 비디오 프레임 인식 엔진(220)과 같은 시스템 컴포넌트는 비디오 세그먼트를 핑거프린팅하고(fingerprint), 비디오 세그먼트의 핑거프린트를 캠페인에 연관시킨다. 이어서, 타겟 콘텐트가 생성되어 시스템에 업로드된다. 비디오 세그먼트의 핑거프린트 정보, 타겟 콘텐트, 및 제휴 비용과 가격을 포함하는 캠페인 정보가 타겟 콘텐트 엔진(208)에 푸시된다(pushed).
비디오 프레임 매칭 엔진(218)은, 비디오 프레임을 프로세싱하고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비디오 콘텐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는 비디오 프레임 인식 엔진(220), 핑거프린트 검색 컴포넌트(222), 및 비디오 콘텐트 인식 엔진(224)을 포함한다. 비디오 프레임 인식 엔진(220)은 캠페인 매니지먼트 UI(210)로부터 타겟 비디오 프레임 또는 비디오 세그먼트를 수신하고, 콘텐트 제공자가 타겟팅하기 원하는 각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를 위한 핑거프린트를 생성한다.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핑거프린트는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를 고유하게(uniquely) 식별하는 서명(signature)이다. 비디오 세그먼트는 사이즈가 커서 저장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핑거프린트는 비디오 세그먼트의 더 작은 버전을 제공하고, 저장하기에 전체 비디오 세그먼트보다 더 용이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서, 핑거프린트 검색 컴포넌트(222)는 서버로서 작동하고,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226) 내에 저장된 핑거프린트를 검색한다.
모니터링 컴포넌트라고도 불리는 비디오 콘텐트 인식 엔진(224)은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통해 프로세싱되고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콘텐트를 모니터링한다. 비디오 콘텐트 인식 엔진(224)은 매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를 통해 런닝(running)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위한 핑거프린트를 생성한다. 일실시형태에서, 비디오 콘텐트 인식 엔진(224)은, 타겟팅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와 연관된 핑거프린트가 로컬 저장되기(stored locally) 위한 핑거프린트 캐시(fingerprint cache)를 포함한다. 그러나, 대체 실시형태에서,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226)로부터 핑거프린트를 검색하는 핑거프린트 검색 컴포넌트(222)를 통해 핑거프린트가 문의되도록, 핑거프린트는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226)에만 저장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로컬 스토리지와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226) 내의 스토리지의 조합이 사용된다. 비디오 프레임 매칭 엔진(218)은 비디오 프레임 인식 엔진(220)에 의해 생성되는 핑거프린트를 저장하는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226)에 연결된다.
예시만의 목적을 위해,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을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 사용되고 비디오 재생의 경로에 통합된다. 이것은, 비디오 콘텐트가 재생되고 있는 디바이스와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에서 이루어지거나 백엔드 비디오 매니지먼트(backend video management) 또는 딜리버리 서비스(delivery service)에 통합될 수 있다. 이 기술은 매치가 존재하는 때를 찾을 수 있는 타겟 비디오 세그먼트 핑거프린트의 캐시를 관리한다(manage). 이어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무엇인지의 핑거프린트를 생성함으로서 비디오 재생이 프로세싱된다. 이어서, 핑거프린트의 매치가 검출될 수 있다. 매치가 발견되면, 대응하는 타겟 콘텐트가 검색되어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표시를 위해 제공된다.
타겟 콘텐트 서버(212)와 같은 시스템 컴포넌트는 타겟 비디오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타겟 콘텐트를 리턴(return)한다. 하나 이상의 타겟 콘텐트 제공자는 동일한 비디오 세그먼트를 타겟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타겟 콘텐트 서버(212)는 서버 내의 사용자 경험 최적화 로직과 수율(yield)을 기초로 비디오 세그먼트와 가장 잘 매치되는 타겟 콘텐트를 선택할 수 있다. 리턴된 타겟 콘텐트는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타겟 콘텐트는 타겟 비디오 세그먼트 이전 도중 또는 이후의 콘텐트 스트림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타겟 콘텐트는 타겟 비디오 세그먼트가 검출되는 비디오의 탑(top)에 오버레이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타겟 콘텐트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제2 컴패니언 디바이스(second companion device)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타겟 콘텐트와의 상호작용과 인상(impression)이 기록될(recorded) 수 있다. 타겟 콘텐트 제공자는 캠페인과 연관된 가격에 기초하여 청구될(billed) 수 있다. 타겟 콘텐트는 비디오, 이미지, 웹 페이지 링크, 아이콘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제 도 3으로 돌아가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예시적 컴포넌트의 블록 다이어그램이 제공된다. 도 3의 다이어그램은 일반적으로 숫자 300으로 나타내고,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비디오 콘텐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우선, 제3자 타겟 콘텐트 제공자(302)는 캠페인 매니지먼트 UI(304)에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와 다른 정보를 제공한다. 제공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는 콘텐트 제공자(302)가 광고 캠페인에 타겟팅하고자 하는 비디오 클립과 같은 콘텐트 제공자에게 흥미가 있는 비디오 클립이다. 또한, 캠페인 매니지먼트 UI(304)를 통해 콘텐트 제공자에 의해 통화의 호가 정보(monetary bidding information) 및 타겟 콘텐트가 제공될 수 있다. 타겟팅하기 위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가 수신되면,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비디오 프레임 인식 엔진(306)에 송신된다. 핑거프린트는 비디오 프레임 자체의 스토리지를 필요로하지 않는 방식으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를 고유하게 식별한다. 핑거프린트가 생성되면, 캠페인 매니지먼트 UI(304)에 다시 송신되고, 결국 타겟 콘텐트를 포함하며 콘텐트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캠페인 데이터와 함께 저장을 위해 캠페인 데이터베이스(310)로 송신된다. 추가적으로, 핑거프린트에 의해 표시되는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를 사용자가 보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미래의 검색을 위해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에 핑거프린트가 송신될 수 있다. 이어서, 캠페인 데이터는 사용자가 보는 비디오 콘텐트와 타겟팅된 프레임의 세트 사이에서 매치가 검출될 때 광고를 검색하는 타겟 콘텐트 서버(312)로 송신된다.
소비자(314)는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비디오 콘텐트를 볼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서, 비디오 콘텐트는,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트의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비디오 콘텐트 인식 엔진(318)에 의해 연속적으로 모니터링된다. 이어서, 핑거프린트는 타겟팅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핑거프린트 데이터베이스(308) 내의 핑거프린트에 비교된다. 핑거프린트 검색 컴포넌트(320)는 타겟팅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저장된 핑거프린트를 검색한다. 매치가 검출되면, 타겟 콘텐트 모듈(316)은, 타겟 콘텐트 서버(312)로부터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와 연관된 타겟 콘텐트를 검색하고, 표시를 위해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로 타겟 콘텐트를 통신한다. 일실시형태에서, 비디오 콘텐트 인식 엔진(318)은 콘텐트 제공자에 의해 타겟팅되는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핑거프린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핑거프린트 캐시를 포함한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400)을 도시한다. 우선 스텝 402에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선택이 수신된다. 타겟 콘텐트는 스텝 404에서 수신된다. 일실시형태에서,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는 수신된 타겟 콘텐트와 연관되어 저장된다.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이 검출되면 타겟 콘텐트가 표시된다. 실시형태에서, 타겟 콘텐트는 콘텐트 제공자가 타겟팅하기 원하는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에 관련되거나 상응하게 된다. 따라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가 쿠킹 쇼에서 사용되는 특정 재료(ingredient)에 관련되면, 콘텐트 제공자는 그 재료에 대한 광고와 같은 특정 재료에 관련된 타겟 콘텐트를 사용자가 보는 것을 원할 수 있다. 스텝 406에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이 검출된다. 타겟팅된 프레임의 세트를 포함하는 비디오 콘텐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모니터링은 연속적이다.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의 검출에 응답하여 표시를 위해 타겟 콘텐트가 통신된다. 일실시형태에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일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비디오 콘텐트가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의 검출은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핑거프린트 - 핑거프린트는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를 고유하게 식별함 - 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이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와 매치된다고 결정하기 위한 미래의 참조를 위해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핑거프린트가 저장된다. 비디오 콘텐트의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가 생성된다.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핑거프린트가 비디오 콘텐트의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 중 하나와 매치된다는 결정에 의해 타겟팅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이 검출된다.
타겟 콘텐트는 임의의 수의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만의 목적으로, 타겟 콘텐트는 타겟 비디오 세그먼트의 이전, 도중, 또는 이후의 비디오 콘텐트 스트림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타겟 콘텐트는 타겟 비디오 세그먼트가 검출되는 비디오의 탑(top)에서의 오버레이가 될 수 있다. 또한, 타겟 콘텐트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제2 컴패니언 디바이스(second companion device)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동안 게이밍 머신 상의 비디오 콘텐트를 보고있으면, 게이밍 머신 상의 비디오 경험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되면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타겟 콘텐트가 재생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사용자가 타겟 콘텐트와 갖는 임의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타겟 콘텐트 인상이 기록된다. 타겟 콘텐트 제공자는 캠페인과 연관된 가격에 기초하여 청구될(billed)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서, 타겟 콘텐트는 제3자 광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광고이다. 실시형태에서, 제공되는 타겟 콘텐트의 타입과 무관하게, 타겟팅될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 및 대응하는 타겟 콘텐트의 양자(both)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UI에 의해 제3자 타겟 콘텐트 제공자에 의해 제공된다.
도 5는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500)을 도시한다. 우선, 스텝 502에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비디오 콘텐트가 모니터링된다. 비디오 콘텐트는 사용자와 연관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일실시형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컴퓨터, 랩탑, 또는 태블릿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게이밍 머신이다. 스텝 504에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가 제3자 광고 제공자에 의해 타겟팅되는 것이 결정된다.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는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재생되는 비디오 콘텐트 내에서 발견된다. 스텝 506에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광고가 스토리지로부터 검색된다. 스텝 508에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하나 이상의 광고가 표시를 위해 통신된다. 일실시형태에서, 광고는 비디오 콘텐트의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컴퓨팅 디바이스로 통신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광고는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로 통신된다.
여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타겟팅된 비디오 프레임을 발견하기 위한 비디오 콘텐트의 모니터링은 비디오 콘텐트 내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의 타이밍에 기초하지 않는다. 예컨대, 콘텐트 제공자는 사용자에게 광고가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의 시간을 제공하지 않는다. 대신, 콘텐트 제공자는 타겟팅될 실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를 제공한다. 비디오 짜깁기, 뉴스 피드(news feed), 비디오 재생 웹사이트 등과 같은 상이한 비디오 콘텐트에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가 발견될 수 있음에 따라 상이한 시간에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가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트 제공자에 의해 타겟팅되는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는 비디오 콘텐트 내의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의 재생 시간에 기초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디오 콘텐트에서 타겟팅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가 발생될 때와 관계없이, 비디오 콘텐트 내의 타겟팅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가 타겟팅되는 것으로 결정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현재 보고있는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타겟트 콘텐트를 더 잘 디렉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콘텐트 제공자에게 유익하다.
일실시형태에서, 모니터링되는 비디오 콘텐트의 일부의 핑거프린트가 생성된다. 예컨대, 콘텐트 제공자에 의해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가 타겟팅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이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가 핑거프린팅될 수 있다. 이어서, 비디오 콘텐트의 핑거프린트 중 하나가 타겟팅된 비디오 프레임의 세트로부터 생성되는 핑거프린트에 대응하거나 매치되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매치가 발견되면, 대응하는 타겟 콘텐트는 표시를 위해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로 통신될 수 있다. 타겟 콘텐트의 표시는, 비디오 상의 오버레이, 비디오의 인-스트림(in-stream), 또는
사용자와 연관된 상이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사항이 제한이 아니라 예시가 되는 것을 의도하는 특정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대체 실시형태는 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관련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수정 및 대체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소정의 예시된 실시형태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위에서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고, 역으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수정, 대체 구성, 및 등가물을 본 발명이 커버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에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선택된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target content)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이용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에 대한 모니터링 전에,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의 검출시에 표시(present)될 상기 타겟 콘텐트를 수신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콘텐트 내에서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콘텐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모니터링되는 비디오 콘텐트 내에서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콘텐트를 표시를 위해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을 상기 수신된 타겟 콘텐트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콘텐트는 표시를 위해 제2 컴퓨팅 디바이스로 통신되는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콘텐트는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와 동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핑거프린트 - 상기 핑거프린트는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을 고유하게 식별함 - 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이 선택된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미래의 참조를 위해,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상기 핑거프린트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콘텐트의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핑거프린트가 상기 비디오 콘텐트의 하나 이상의 핑거프린트 중 하나와 매칭되는 것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콘텐트는 상기 비디오 콘텐트 상의 오버레이(overlay)로서 표시되는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콘텐트는 상기 비디오 콘텐트의 스트림에 삽입되는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콘텐트는 제3자 광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광고인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 및 상기 타겟 콘텐트는 제3자 타겟 콘텐트 제공자에 의해 제출되는(submitted)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콘텐트는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에 관련되는 것인, 하나 이상의 컴퓨터 저장 매체.
  12.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타겟 콘텐트와 연관된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식별(an identification)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식별을 수신한 다음에,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콘텐트 내에서 식별된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콘텐트를 스토리지로부터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콘텐트를 표시를 위해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콘텐트는 상기 비디오 콘텐트의 디스플레이와 연관된 컴퓨팅 디바이스로 통신되는 것인,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콘텐트는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컴퓨팅 디바이스로 통신되는 것인,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을 검출하는 것은 상기 비디오 콘텐트 내의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의 타이밍에 기초하지 않는 것인,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콘텐트의 부분들의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콘텐트의 부분들 중 하나의 핑거프린트들 중 하나가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생성된 핑거프린터에 대응된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콘텐트는 상기 비디오 콘텐트의 오버레이로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표시되는 것인,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콘텐트 내의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은 상기 비디오 콘텐트에서 상기 특정 세트의 비디오 프레임의 재생이 언제 발생하는지에 관계없이 타겟팅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것인, 비디오 프레임에 기초하여 타겟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19.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 스토리지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특정 비디오 세그먼트의 식별(an identification)을 수신하고;
    후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콘텐트 내에서의 상기 특정 비디오 세그먼트의 재생의 검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될 타겟 콘텐트를 수신하고;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 표시되는 상기 후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콘텐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후속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콘텐트의 표시 중에 식별된 특정 비디오 세그먼트가 발생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콘텐트를 표시를 위해 통신하게
    하는 것인,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콘텐트 내의 상기 특정 비디오 세그먼트는 상기 비디오 콘텐트에서 상기 특정 비디오 세그먼트의 재생이 언제 발생하는지에 관계없이 타겟팅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것인, 시스템.
KR1020217014253A 2013-10-28 2014-10-22 타겟 콘텐트를 위한 비디오 프레임 선택 KR102370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64,876 2013-10-28
US14/064,876 US9654814B2 (en) 2013-10-28 2013-10-28 Video frame selection for targeted content
KR1020167013562A KR102258422B1 (ko) 2013-10-28 2014-10-22 타겟 콘텐트를 위한 비디오 프레임 선택
PCT/US2014/061661 WO2015065779A1 (en) 2013-10-28 2014-10-22 Video frame selection for targeted cont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562A Division KR102258422B1 (ko) 2013-10-28 2014-10-22 타겟 콘텐트를 위한 비디오 프레임 선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002A true KR20210059002A (ko) 2021-05-24
KR102370510B1 KR102370510B1 (ko) 2022-03-03

Family

ID=518455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253A KR102370510B1 (ko) 2013-10-28 2014-10-22 타겟 콘텐트를 위한 비디오 프레임 선택
KR1020167013562A KR102258422B1 (ko) 2013-10-28 2014-10-22 타겟 콘텐트를 위한 비디오 프레임 선택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562A KR102258422B1 (ko) 2013-10-28 2014-10-22 타겟 콘텐트를 위한 비디오 프레임 선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654814B2 (ko)
EP (1) EP3063947A1 (ko)
KR (2) KR102370510B1 (ko)
CN (2) CN105684457A (ko)
WO (1) WO2015065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9752B2 (en) 2016-09-21 2021-02-23 GumGum, Inc. Automated control of display devices
WO2018117619A1 (en) 2016-12-21 2018-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ontent recognizing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468258B1 (ko) * 2016-12-21 2022-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컨텐츠 인식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63896B1 (ko) * 2017-03-29 2021-06-15 더 닐슨 컴퍼니 (유에스) 엘엘씨 오버레이를 이용하는 타겟 콘텐츠 배치
CN107277577A (zh) * 2017-07-14 2017-10-2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广告的推送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915337B (zh) * 2019-05-07 2023-09-0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信息投放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11418856B2 (en) * 2020-04-27 2022-08-16 Synamedia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content secur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8873A1 (en) * 2001-08-02 2003-02-06 Thomas Lemmons Post production visual alterations
WO2009100093A1 (en) * 2008-02-05 2009-08-1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ssociating information with media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1330B1 (en) 2005-02-25 2009-12-08 Lightningcast Llc Inserting branding elements
US8667532B2 (en) 2007-04-18 2014-03-04 Google Inc. Content recognition for targeting video advertisements
US8661464B2 (en) * 2007-06-27 2014-02-25 Google Inc. Targeting in-video advertising
US8209223B2 (en) 2007-11-30 2012-06-26 Google Inc. Video object tag creation and processing
US20090213270A1 (en) 2008-02-22 2009-08-27 Ryan Ismert Video indexing and fingerprinting for video enhancement
US8380564B2 (en) 2008-07-30 2013-02-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product placement data
US9355554B2 (en) 2008-11-21 2016-05-31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media and providing additional media content
US9111287B2 (en) 2009-09-30 2015-08-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deo content-aware advertisement placement
US20120136701A1 (en) 2010-11-26 2012-05-31 Rohan Rela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ating interactive commercials in real time
US9351037B2 (en) 2012-02-07 2016-05-24 Turner Broadcasting System,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ual advertisement replacement utilizing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8873A1 (en) * 2001-08-02 2003-02-06 Thomas Lemmons Post production visual alterations
WO2009100093A1 (en) * 2008-02-05 2009-08-1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ssociating information with media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3947A1 (en) 2016-09-07
KR20160079008A (ko) 2016-07-05
US20170223426A1 (en) 2017-08-03
US9654814B2 (en) 2017-05-16
US10397661B2 (en) 2019-08-27
KR102258422B1 (ko) 2021-06-01
CN105684457A (zh) 2016-06-15
WO2015065779A1 (en) 2015-05-07
KR102370510B1 (ko) 2022-03-03
CN111988662A (zh) 2020-11-24
US20150121421A1 (en)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7497B2 (ja) 広告タグを介したウェブベースのメディアにおけるコンテンツシンジケーション
US11902633B2 (en) Dynamic overlay video advertisement insertion
KR102258422B1 (ko) 타겟 콘텐트를 위한 비디오 프레임 선택
US9420319B1 (en) Recommendation and purchase options for recommemded products based on associations between a user and consumed digital content
US8843394B2 (en) Mapping identifiers
US11188603B2 (en) Annotation of videos using aggregated user session data
US20080077952A1 (en) Dynamic Association of Advertisements and Digital Video Content, and Overlay of Advertisements on Content
US20100076841A1 (en) Advertisement repository and advertisement search
JP2017506389A (ja) コンテンツ配信情報及び検証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298779B1 (en) Combining content with a search result
US10257546B1 (en) Identifying transitions within media content items
US10089635B1 (en) Presenting video view data
US20150100920A1 (en) Companion content presented along with invitational content item
JP2023519608A (ja) ユーザデバイスからデータを収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