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322A -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322A
KR20210058322A KR1020190145634A KR20190145634A KR20210058322A KR 20210058322 A KR20210058322 A KR 20210058322A KR 1020190145634 A KR1020190145634 A KR 1020190145634A KR 20190145634 A KR20190145634 A KR 20190145634A KR 20210058322 A KR20210058322 A KR 20210058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unit
light
mouthpiece
irradia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두원
Priority to KR1020190145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8322A/ko
Publication of KR2021005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2Determining colour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6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에 조사되는 조사광의 세기를 치아 착색 정도에 따라 조절하는 치아 미백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당 장치는 치아를 촬영하여 치아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치아 이미지로부터 변색 등급을 판단하여, 상기 변색 등급에 대응하는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작동 신호에 대응하도록 전원부의 전원이 변조된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 전원을 입력 받아 치아에 조사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시스템 및 그 방법{TOOTH WHITENING SYSTEM ADJUSTABLE AMPLITUDE OF LIGHT RAY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치아에 조사되는 조사광의 세기를 치아 착색 정도에 따라 조절하는 치아 미백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미백용 LED 광조사기는 400∼500nm의 가시광선 및 자외선 빛을 이용하며 치아표면에 도포한 광촉매제(이하:미백제)에 조사하여 미백제 속에 포함된 과산화수소의 분해과정을 촉진시켜 미백 시간을 단축시킨다. 광원에서부터 치아 표면까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치아 변색의 상태에 따라 하루 약 10∼15분 정도, 1주일 이상 조사하여, 치아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이다.
치아 미백은 사용자(피시술자)의 치아색에 따라 미백 횟수, 시간, 강도를 조절해야 하는데, 이를 자동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치아 미백 장치는 단일 광 세기의 출력만을 제공하여, 치아의 변색 정도에 따라 조사광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KR 10-1396086 B1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치아 미백은 장시간 사용될 수 없는데, 일정한 시간에 미백 효과를 늘이기 위해 조사광의 출력을 조절하여, 치아 변색 정도에 따라 출력을 조절하여 집중적인 치아 미백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장치는, 치아를 촬영하여 치아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치아 이미지로부터 변색 등급을 판단하여, 상기 변색 등급에 대응하는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작동 신호에 대응하도록 전원부의 전원이 변조된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 전원을 입력 받아 치아에 조사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치아 이미지를 분석하는 영상 처리 모듈; 상기 분석된 이미지로부터 치아 색상을 판정하는 치아 색상 판정 모듈; 상기 분석된 이미지로부터 치아의 반사율을 판정하는 반사율 판정 모듈; 상기 치아 색상 및 상기 반사율로부터 치아의 상기 변색 등급을 판단하는 변색 등급 판단 모듈; 및 상기 변색 등급을 기초로 상기 조사광의 출력과 조사 시간을 구비하는 상기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 신호 생성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조사부는, 사용자의 치아에 물리는 마우스 피스; 상기 마우스 피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전원에 따라 조사광을 출력하는 LED 어레이 모듈; 사용자의 상기 마우스 피스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 상기 마우스 피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상기 마우스 피스의 온도가 일정하도록 열을 방출하는 온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 감지부는, 상기 마우스 피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악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모듈; 및 상기 마우스 피스에 상기 사용자의 치아가 근접하는지 검출하여, 근접하면 근접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근접 센서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감지부는 상기 악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이거나, 상기 근접 검출 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장착 여부 중 장착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 판단시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방법은, 치아를 촬영하여 치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치아 이미지로부터 변색 등급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변색 등급에 대응하는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동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전원에 따라 사용자의 치아에 조사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 변색 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조사광의 제시를 조절하여, 시간 단축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어 안전에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치아 광 미백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의 광조사부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조사부를 도시하는 도면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는 것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되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형상, 구조, 기능, 및 특성의 일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고, 도 2는 도 1의 치아 광 미백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의 광조사부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조사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시스템은 치아 광 미백 장치(10), 단말기(20), 및 서버(30)을 포함할 수 있다.
치아 광 미백 장치(10)는 사용자의 치아에 조사광을 조사하여 미백제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단말기(20)는 AP(Acess Point),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단말기(20)는 치아 광 미백 장치(10)와 통신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치아 광 미백 장치(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는 치아 광 미백 장치(10)를 직접 조작할 수도 있다.
서버(30)는 단말기(20)와 통신하여, 조사광의 출력 및 조사 시간 결정의 기초가 되는 사용자 치아의 착색 등급을 사용자의 치아 이미지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기(20) 또는 치아 광 미백 장치(10)에서 직접 사용자의 치아 착색 등급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30)는 제외될 수 있다.
단말기(20)에서 사용자의 치아 이미지가 촬영되고, 단말기(20) 또는 서버(30)에서 촬영된 치아 이미지로부터 치아 착색 등급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치아 광 미백 장치(10)에서 모든 기능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광 미백 장치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치아 광 미백 장치(10)는 제어부(110), 무선 통신부(120), 촬영부(130), 조작부(140), 출력부(150), 구동부(160), 저장부(170), 인터페이스부(180), 전원부(190), 및 광조사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는 발명의 실시상 불필요하여 제외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구성요소의 기능이 단말기(20) 또는 서버(30)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제외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 모듈(121), 및/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123)을 구비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21)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2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23)은 치아 광 미백 장치(1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촬영부(130)는 사용자의 치아를 촬영하여 치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구성요소는 제외될 수 있다. 치아 이미지는 단말기(20)의 촬영부에서 생성될 수 있다.
조작부(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가 치아 광 미백 장치(10)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4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4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구성요소는 제외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단말기(20)를 통해 입력한 입력 신호는 치아 광 미백 장치(10)의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3), 및 알람 출력 모듈(155)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구성요소는 제외될 수 있으며, 그 기능은 단말기(2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치아 광 미백 장치(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거나, UI,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5)은 치아 광 미백 장치(1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벤트의 예로는 장치 작동 시작, 작동 중, 작동 종료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람 출력 모듈(155)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치아 광 미백 장치(1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치아 광 미백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치아 이미지로부터 변색 등급을 판단하여, 상기 변색 등급에 대응하는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영상 처리 모듈(310), 치아 색상 판정 모듈(320), 반사율 판정 모듈(330), 변색 등급 판단 모듈(340), 및 작동 신호 생성 모듈(350)을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310)는 촬영부(130)에서 촬영된 치아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분석할 수 있다.
치아 색상 판정 모듈(320)은 영상 처리 모듈(310)에서 분석된 치아 이미지로부터 치아 색상을 판정할 수 있다.
반사율 판정 모듈(330)은 상기 분석된 이미지로부터 치아의 반사율을 판정할 수 있다.
변색 등급 판단 모듈(340)은 상기 치아 색상 및 상기 반사율로부터 치아의 변색 등급을 판단할 수 있다.
치아의 변색은 흡연, 커피 등의 기호식품에 의해 변색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변색은 치아 색이 변하는 것 보다는 다른 물질의 착색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착색 후의 반사율은 착색 전의 반사율 보다 낮을 수 밖에 없다. 착색 전의 반사율은 비슷한 체질의 평균 반사율 또는 스케이링 및/또는 미백 이후의 본인 치아의 반사율일 수 있다.
변색 등급 판단 모듈(340)은 판정된 치아 색상을 기준 치아 색상표와 비교하여 1차로 착색 정도를 판단하고, 판정된 치아 반사율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치아의 변색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전적으로 또는 노화나 치아 질환 등에 의해 착색 정도가 높더라도, 반사율이 기준치 보다 높은 경우 최종적을로 변색 등급은 하향 조정될 수 있다. 반대로, 치아 색상에 착색 정도가 낮더라도 반사율이 기준치 보다 낮은 경우, 최종적으로 변색 등급은 1차의 착색 정도 보다 상향 조정될 수 있다.
작동 신호 생성 모듈(350)은 상기 변색 등급을 기초로 상기 조사광의 출력과 조사 시간을 구비하는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변색 등급이 높을 수록 조사광의 출력 및 조사 시간은 더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부(19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배터리 또는 건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160)는 광조사부(200)를 구동 전원을 공급하여, 광조사부(200)를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160)는 제어부(110)의 작동 신호에 대응하도록 전원부(190)의 전원이 변조된 구동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에를 들어, 구동부(160)는 전원부(190)의 전원을 PWM 제어 방식 등으로 변조하여 광조사부(20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제어부(1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아 광 미백 장치(1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저장부(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cloud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치아 광 미백 장치(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치아 광 미백 장치(1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치아 광 미백 장치(1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치아 광 미백 장치(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무선 통신부(120)로 대체될 수 있다.
광조사부(200)는 구동부(160)의 구동 전원을 입력 받아 치아에 조사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조사부(200)는 입력 전원, 즉, 구동 전원에 따라 조사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광조사부(200)는 마우스 피스(210), LED 어레이 모듈(220), 장착 감지부(230), 온도 감지부(240), 및 온열부(250)을 구비할 수 있다.
마우스 피스(210)는 사용자의 치아에 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우스 피스(210)는 사용자의 입안 치아에 물리는 물림판과 입을 막아주는 본체를 구비할 수 있다.
LED 어레이 모듈(220)은 마우스 피스(210) 내부에 배치되어, 구동부(160)의 구동 전원에 따라 조사광을 출력할 수 있다.
장착 감지부(230)는 사용자가 마우스 피스(210)를 장착 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장착 감지부(230)은 압력 센서 모듈(231), 및 근접 센서 모듈(233)을 구비할 수 있다.
압력 센서 모듈(231)은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 센서 모듈(231)은 마우스 피스(210)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악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근접 센서 모듈(233)은 치아 광 미백 장치(10)로 접근하는 물체나, 치아 광 미백 장치(1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 센서 모듈(233)은,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 센서 모듈(233)은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근접 센서 모듈(233)은 마우스 피스(210)에 사용자의 치아가 근접한 경우 검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장착 감지부(230)는, 압력 센서 모듈(231)에서 측정된 악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이거나, 상기 검출 신호가 생성된 경우, 사용자가 마우스 피스(210)를 장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10)는 마우스 피스(210) 장착 판단시 구동부(16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마우스 피스(210) 미장착 판단시 전원부(190)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구동부(16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240)은 상기 마우스 피스(2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열부(250)는 온도 감지부(240)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마우스 피스(210)의 온도가 일정하도록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설정 온도는 체온보다 약 10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치아 광 미백 장치(10)는 치아를 촬영하여 치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410). 치아 광 미백 장치(10)는 상기 치아 이미지로부터 변색 등급을 판단 수 있다(S420). 치아 광 미백 장치(10)는 상기 변색 등급에 대응하는 작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30). 치아 광 미백 장치(10)는 상기 작동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S440). 치아 광 미백 장치(10)는 상기 구동 전원에 따라 사용자의 치아에 조사광을 조사할 수 있다(S450).
상기 본 발명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은 상기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 등 정보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서 구현된 모든 저장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휘발성/비휘발성/하이브리드형 메모리 여부, 분리형/비분리형 여부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저장 매체 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또는 전송 메커니즘,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치아 광 미백 장치 20: 단말기
110: 제어부 120: 무선 통신부
121: 근거리 통신 모듈 123: 무선 인터넷 모듈
130: 촬영부 140: 조작부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 모듈
153: 음향 출력 모듈 155: 알람 출력 모듈
157: 햅틱 모듈 160: 구동부
160: 장착 감지부 161: 압력 센서 모듈
163: 근접 센서 모듈 170: 저장부
180: 인터페이스부 190: 전원부
200: 광조사부 210: 마우스 피스
220: LED 어레이 모듈 230: 장착 감지부
231: 압력 센서 모듈 233: 근접 센서 모듈
240: 온도 감지부 250: 온열부
310: 영상 처리 모듈 320: 치아 색상 판정 모듈
330: 반사율 판정 모듈 340: 변색 등급 판단 모듈
350: 작동 신호 생성 모듈

Claims (5)

  1. 치아를 촬영하여 치아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치아 이미지로부터 변색 등급을 판단하여, 상기 변색 등급에 대응하는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작동 신호에 대응하도록 전원부의 전원이 변조된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 전원을 입력 받아 치아에 조사광을 조사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는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치아 이미지를 분석하는 영상 처리 모듈;
    상기 분석된 이미지로부터 치아 색상을 판정하는 치아 색상 판정 모듈;
    상기 분석된 이미지로부터 치아의 반사율을 판정하는 반사율 판정 모듈;
    상기 치아 색상 및 상기 반사율로부터 치아의 상기 변색 등급을 판단하는 변색 등급 판단 모듈; 및
    상기 변색 등급을 기초로 상기 조사광의 출력과 조사 시간을 구비하는 상기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 신호 생성 모듈을 구비하는,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부는,
    사용자의 치아에 물리는 마우스 피스;
    상기 마우스 피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전원에 따라 조사광을 출력하는 LED 어레이 모듈;
    사용자의 상기 마우스 피스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
    상기 마우스 피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상기 마우스 피스의 온도가 일정하도록 열을 방출하는 온열부;를 구비하는,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감지부는,
    상기 마우스 피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악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모듈; 및
    상기 마우스 피스에 상기 사용자의 치아가 근접하는지 검출하여, 근접하면 근접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근접 센서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감지부는 상기 악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이거나, 상기 근접 검출 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장착 여부 중 장착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 판단시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장치.
  5. 치아를 촬영하여 치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치아 이미지로부터 변색 등급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변색 등급에 대응하는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동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전원에 따라 사용자의 치아에 조사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방법.
KR1020190145634A 2019-11-14 2019-11-14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58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634A KR20210058322A (ko) 2019-11-14 2019-11-14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634A KR20210058322A (ko) 2019-11-14 2019-11-14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322A true KR20210058322A (ko) 2021-05-24

Family

ID=7615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634A KR20210058322A (ko) 2019-11-14 2019-11-14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83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3907A (zh) * 2022-01-18 2022-04-15 赫比(上海)家用电器产品有限公司 一种牙齿美白仪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086B1 (ko) 2012-09-24 2014-05-15 이지은 치아색 진단이 가능한 치아 미백 및 치주염 치료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086B1 (ko) 2012-09-24 2014-05-15 이지은 치아색 진단이 가능한 치아 미백 및 치주염 치료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3907A (zh) * 2022-01-18 2022-04-15 赫比(上海)家用电器产品有限公司 一种牙齿美白仪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58369B1 (en) Monitoring device, monitoring base station, and monitoring system
US10431075B2 (en) Remote control with enhanced modularity
CN107548337B (zh) 修整器具
US9648703B2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042537A1 (en) Wireless Wearable Brain Blood-Oxygen Monitoring System
US9474131B2 (en) Lighting device, lighting system and wearable device having image processor
WO2016119702A1 (zh) 一种光通信发射装置及接收装置
EP3637227A1 (en) Method for performing operation on intelligent wearing device by using gesture, and intelligent wearing device
JP2017531288A (ja) 活動に適した照明を決定する方法
KR20140029736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
WO2017165084A1 (en) Tracking contact quality to vital signs measurement sensors
KR20210058322A (ko) 조사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미백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219010A1 (en) Optical mas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50319827A1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42839B1 (ko)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팜스 기술기반의 피부접착식 저출력광선조사기 시스템
CN103906463A (zh) 具有监测功能的照明系统
CN110850735A (zh) 智能人居控制系统
KR102403012B1 (ko) 개인 맞춤형 뷰티솔루션 제공을 위한 뷰티미러 및 그 미러의 구동방법
CN116564495A (zh) 一种医疗器械匹配装置、系统以及计算机设备
KR101826510B1 (ko) 스마트 단말기와 광원을 이용한 치료기
TW201504938A (zh) 音樂播放系統
WO2017114433A1 (zh) 智能生发装置及系统
KR20190078707A (ko) Led 마스크
JP2012247975A (ja) 信号生成装置、電子機器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449020A (zh) 一种离子导入美容仪的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