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207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207A
KR20210058207A KR1020190145403A KR20190145403A KR20210058207A KR 20210058207 A KR20210058207 A KR 20210058207A KR 1020190145403 A KR1020190145403 A KR 1020190145403A KR 20190145403 A KR20190145403 A KR 20190145403A KR 20210058207 A KR20210058207 A KR 20210058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frequency selectivity
ues
information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희
최수용
공규열
한성배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5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8207A/ko
Priority to US17/776,785 priority patent/US20220400043A1/en
Priority to EP20887412.3A priority patent/EP4020912A4/en
Priority to PCT/KR2020/095138 priority patent/WO2021096334A1/ko
Publication of KR20210058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81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constraints
    • H04L27/2686Range of frequencies or delays tes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2Avoidance of ingress interference, e.g. ham radio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를 고려하여 복수의 UE를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UE(user equipment) 후보군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선택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 정보를 기초로, 상기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 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offset)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오프셋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수의 UE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USER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기지국과 UE(user equipment)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이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을 고려하여 복수의 UE를 스케줄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3GPP에서 정한 5G 통신 시스템은 New Radio (NR) 시스템이라고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었고, NR 시스템에 적용되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5G 통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과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기지국이 UE(user equipment)에게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유저 스케줄링 방법으로 GUS(Greedy user selection) 기법, SUS(Semi-orthogonal user selection) 기법, RBF(Random orthogonal beamforming) 기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다만, 해당 기법들은 주파수 플랫 페이딩(frequency flat fading)을 가정한 협대역(narrowband) 또는 단일 반송파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제안된 기법으로,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이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이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에서도 기지국이 UE에게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유저 스케줄링 방법이 연구 대상이 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UE(user equipment)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UE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UE(user equipment) 후보군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선택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 정보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 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offset)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오프셋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수의 UE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PAPR 정보 및 correla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주파수 선택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주파수 선택도과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선택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오프셋을 제1 오프셋으로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선택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오프셋을 제2 오프셋으로 결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오프셋을 상기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에 더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선택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UE의 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주파수 선택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UE의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감소 또는 증가된 UE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오프셋 각각을 이용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조정한 경우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분포의 차이를 기초로, 복수의 오프셋을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두 개 이상의 그룹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분포의 차이가 가장 큰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BWP(bandwidth part) 중 활성화되는 BWP(bandwidth part)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되는 BWP에 대응되는 상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는, 상기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차이에 대한 root mean square error(RMSE), 차이에 대한 분산, 내적 값의 평균, 내적 값의 분산, PAPR 및 corre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UE(user equipment)의 동작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서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선택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스케줄링된 복수의 UE에 상기 UE가 포함됨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UE(user equipment)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 결과, 상기 UE가 상기 스케줄링된 복수의 UE에 포함됨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UE(user equipment)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임계값은, 복수의 BWP(bandwidth part) 중 활성화된 BWP에 대응되는 임계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UE(user equipment)의 동작 방법에서, 상기 주파수 선택도 정보는, 상기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차이에 대한 root mean square error(RMSE), 차이에 대한 분산, 내적 값의 평균, 내적 값의 분산, PAPR 및 corre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슨 통신 시스템에서 UE(user equipment)에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은, 복수의 UE로부터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선택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 정보를 기초로, 상기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 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offset)을 결정하고, 상기 오프셋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를 결정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결정된 복수의 UE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슨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UE(user equipment)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결정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선택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스케줄링된 복수의 UE에 상기 UE가 포함됨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를 고려하여 다중 사용자를 스케줄링함으로써 다중 사용자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유저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UE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유저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복수의 UE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를 고려하여 복수의 UE를 선택하는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주파수 선택도를 임계값과 비교하여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를 조정하는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복수의 UE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에 포함되는 UE를 조정하여 복수의 UE 중 일부의 UE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오프셋 각각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누적 분포 함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누적 분포 함수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User Equipment)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숫자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로서, 기재된 숫자들에 의해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와 같은 표현은, 구성요소들의 리스트 전체를 수식하고, 그 리스트의 구성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수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A와 B 모두, B와 C 모두, A와 C 모두, A와 B와 C 전체, 또는 그 조합을 가리킨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에서는 5G 또는 NR, LTE 시스템에 대한 규격에서 정의하는 용어와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이러한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가 규격을 정한 통신 규격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개시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 단말이라 함은 UE(User Equipment)를 의미하며 송신 기능이 없는 무선 신호 수신기만을 가지는 무선 신호 수신기 장치, 및 양방향 통신 링크를 통해 양방향 통신을 하기 위한 수신 및 송신 하드웨어 기능을 가지는 송수신 하드웨어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UE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휴대폰(Cellular Phone), 스마트 폰, TV, 타블렛,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블랙박스, 자동차에 탑재된 디바이스, 자동차에 탑재된 디바이스 내의 모듈, 자동차 그 자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지국이라 함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네트워크 상의 노드, Access Point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MU-MIMO(multi-user MIMO) 시스템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IMO(multiple input and multiple output)의 일종으로,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를 통해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 내의 복수의 UE(user equipment)에게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주파수 효율(spectral efficiency)을 높일 수 있다. MU-MIMO 시스템에서는 매 전송 단위마다 공간 다중화를 통해 기지국의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 모든 UE 중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UE을 선택하는 유저 스케줄링이 필요하다. 즉, 기지국은 복수의 UE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통신 영역 내에 존재하는 모든 UE 중 어떤 UE(들)에게 데이터를 송수신할지 매 전송 단위마다 결정할 수 있다. 공간 다중화를 이용하는 MU-MIMO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전송되는 복수의 UE의 채널 간의 상관도가 각 UE의 수신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각 UE가 높은 수신 성능을 획득할 수 있도록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diversity)를 이용하여 기지국이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송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저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완전 탐색(Exhaustive search) 알고리즘, GUS(Greedy user selection) 알고리즘, SUS(Semi-orthogonal user selection) 알고리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완전 탐색 알고리즘은, 전체 UE 집합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최대로 하는 최적의 UE 집합을 선택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하고 비교함으로써, UE 수가 증가함에 따라 경우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계산의 복잡도에 의해 구현이 불가능할 수 있다. GUS 알고리즘은 가장 큰 채널 용량을 가지는 UE를 선택하고,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UE 중에 기존의 UE 집합에 해당 UE를 추가했을 때, sum rate가 가장 많이 증가하는 UE를 UE 집합에 추가하고, 기존 UE 집합의 sum rate와 비교하여 sum rate가 증가하지 않으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UE 집합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SUS 알고리즘은 채널의 norm 값이 가장 큰 UE를 선택하고, 선택되지 않은 UE(들) 중 선택된 UE와 직교성(orthogonality)이 큰 UE(들)을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UE 집합에 추가하되, 추가된 UE의 수가 일정 값에 도달하거나, 직교성이 일정 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UE 집합을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GUS 알고리즘, SUS 알고리즘 등과 같은 UE 선택 기법들은 주파수 플랫 페이딩(frequency flat fading)을 가정한 협대역(Narrowband) 또는 단일 반송파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성능이 좋을 수 있다. 다만,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이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의 경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기지국이 OFDM과 같은 다중 반송파 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복수의 반송파에 걸쳐 전송하는 경우, 각 반송파는 서로 다른 MIMO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반송파마다 복수의 UE들을 스케줄링하지 않고, 복수의 반송파에 걸쳐서 복수의 UE들을 스케줄링하기 때문에, 복수의 UE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은 데이터를 전송할 전체 주파수 대역의 각 반송파별 MIMO 채널을 대표하는 하나의 MIMO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대표 채널로 결정된 MIMO 채널을 기준으로, SUS, GUS 등의 유저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복수의 UE들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가 존재하는 경우, 대표 채널과 각 반송파별 MIMO 채널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 스케줄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지국은 GUS 알고리즘, SUS 알고리즘 등과 같은 다중 사용자 선택 기법이 반영하지 못한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 정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기지국(120)은 제1 기지국의 통신 영역(110) 내에 위치한 제1 UE(131), 제2 UE(132), 제3 UE(133), 제4 UE(134), 제5 UE(135) 및 제6 UE(136)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지국(150)은 제2 기지국의 통신 영역(140) 내에 위치한 제11 UE(161), 제12 UE(162), 제13 UE(163), 제14 UE(164), 제15 UE(165) 및 제16 UE(166)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기지국(180)은 제3 기지국의 통신 영역(170) 내에 위치한 제21 UE(191), 제22 UE(192), 제23 UE(193), 제24 UE(194), 제25 UE(195) 및 제26 UE(196)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지국(120)은 제1 기지국의 통신 영역(110) 내에 위치한 제1 UE(131) 내지 제6 UE(136)에게 파일럿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UE(131) 내지 제6 UE(136)은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각 반송파의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결정하고, 채널 상태 정보를 제1 기지국(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20)은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로부터 전체 대역을 대표하는 대표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대표 채널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120)은 완전 탐색(exhaustive search) 기법, GUS(Greedy user selection) 기법, SUS(Semi-orthogonal user selection) 기법 등을 이용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할 수 있으나,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하는 기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지국(120)은 제1 기지국의 통신 영역(110) 내에 위치한 제1 UE(131) 내지 제6 UE(136) 중에서 제4 UE(134), 제5 UE(135) 및 제6 UE(136)를 UE 후보군 집합 내 UE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지국(120)은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 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지국(120)은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가 임계값에 대응된다고 결정함에 따라, 오프셋을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오프셋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에 포함되는 UE를 조정한 결과, 스케줄링 된 복수의 UE에는 제4 UE(134), 제5 UE(135) 및 제6 UE(136)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20)은 최종적으로 제4 UE(134), 제5 UE(135) 및 제6 UE(136)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기지국(150)은 제2 기지국의 통신 영역(140) 내에 위치한 제11 UE(161) 내지 제16 UE(166)에게 파일럿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1 UE(161) 내지 제16 UE(166)은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각 반송파의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결정하고, 채널 상태 정보를 제2 기지국(1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50)은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로부터 전체 대역을 대표하는 대표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대표 채널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50)은 완전 탐색(exhaustive search) 기법, GUS(Greedy user selection) 기법, SUS(Semi-orthogonal user selection) 기법 등을 이용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할 수 있으나,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하는 기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기지국(150)은 제2 기지국의 통신 영역(140) 내에 위치한 제11 UE(161) 내지 제16 UE(166) 중에서 제14 UE(164) 및 제15 UE(165)를 UE 후보군 집합 내 UE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지국(150)은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 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50)은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가 작다, 임계값보다 작다 또는 플랫(flat)하다고 결정함에 따라, 오프셋을 (+1)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지국(150)은 (+1)로 결정한 오프셋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에 포함되지 않은 UE를 스케줄링 된 복수의 UE에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셋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에 포함되는 UE를 조정한 결과, 스케줄링 된 복수의 UE에는 제14 UE(164), 제15 UE(165) 및 제16 UE(166)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2 기지국(150)은 주파수 선택도가 작다, 임계값보다 작다 또는 플랫(flat)하다고 결정함에 따라, 제16 UE(166)를 스케줄링 된 복수의 UE에 추가한 결과 제14 UE(164), 제15 UE(165) 및 제16 UE(166)를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로 결정하고, 제14 UE(164), 제15 UE(165) 및 제16 UE(166)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3 기지국(180)은 제3 기지국의 통신 영역(170) 내에 위치한 제21 UE(191) 내지 제26 UE(196)에게 파일럿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1 UE(191) 내지 제26 UE(196)은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각 반송파의 채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결정하고, 채널 상태 정보를 제3 기지국(18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80)은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로부터 전체 대역을 대표하는 대표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대표 채널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기지국(180)은 완전 탐색(exhaustive search) 기법, GUS(Greedy user selection) 기법, SUS(Semi-orthogonal user selection) 기법 등을 이용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할 수 있으나,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하는 기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기지국(180)은 제3 기지국의 통신 영역(170) 내에 위치한 제21 UE(191) 내지 제26 UE(196) 중에서 제21 UE(191), 제22 UE(192), 제23 UE(193) 및 제26 UE(196)를 UE 후보군 집합 내 UE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기지국(180)은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 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기지국(180)은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가 크다, 임계값보다 크다 또는 심하다고 결정함에 따라, 오프셋을 (-1)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기지국(180)은 (-1)로 결정한 오프셋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에 포함된 제26 UE(196)를 스케줄링 된 복수의 UE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즉, 오프셋에 기초하여, 스케줄링 된 복수의 UE에 포함되는 UE를 조정한 결과,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에는 제21 UE(191), 제22 UE(192) 및 제23 UE(193)만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기지국(180)은 주파수 선택도가 크다, 임계값보다 크다 또는 심하다고 결정함에 따라, 제26 UE(196)를 스케줄링된 복수의 UE에서 제외한 결과 제21 UE(191), 제22 UE(192) 및 제23 UE(193)를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로 결정하고, 제21 UE(191), 제22 UE(192) 및 제23 UE(193)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통신 시스템 구조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통신 시스템 구조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통신 시스템 구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제1 기지국의 통신 영역(110) 내에 제1 UE(131) 내지 제6 UE(136)만을 도시하였으나, 제1 기지국의 통신 영역(110) 내에 제1 UE(131) 내지 제6 UE(136)보다 많은 UE가 포함될 수 있고, 제1 UE(131) 내지 제6 UE(136)보다 적은 UE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 오프셋을 -1, 0, 또는 1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오프셋은 -1, 0, 1보다 더 작거나, 더 큰 값일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유저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10 단계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반송파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로부터 스케줄링 하고자 하는 대역 전체를 대표하는 대표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대표 채널 및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스케줄링(user scheduling)을 수행함으로써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MU-MIMO 시스템에서는 AP(Access Point)나 기지국이 적절한 유저 스케줄링 기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UE들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sub-optimality를 보장하는 낮은 복잡도의 GUS(Greedy user selection) 기법, SUS(Semi-orthogonal user selection) 기법 등을 이용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할 수 있으나,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하는 기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기지국은 대표 채널에 기초하여 유저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때문에 대표 채널과 다른 반송파별 실제 채널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SUS 기법을 이용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한 경우에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가 존재한다면, 대표 채널과 높은 공간적 직교성을 갖도록 선택된 UE(들)이 실제의 반송파별 채널에서는 공간적 직교성이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간 다중화 시 선택된 UE(들)의 수신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230 단계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반송파들 채널 중 선택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the number of UEs) 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대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한 후에,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선택도 정보는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root mean square error(RMSE),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차이에 대한 분산,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내적 값의 평균, 내적 값의 분산, PAPR, correlation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실제 채널의 PAPR, correlation 값 등을 이용하여 UE의 수 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선택도가 임계값보다 크면 오프셋을 음수로 결정하여 UE의 수를 감소시키고, 주파수 선택도가 임계값보다 작으면 오프셋을 0 또는 양수로 결정하여 UE의 수를 유지하거나 UE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이 대표 채널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한 경우, 주파수 선택도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부가적으로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스케줄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50 단계에서, 기지국은 오프셋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도가 크다고 판단하는 경우 UE의 수를 감소시키고, 주파수 선택도가 작다고 판단하는 경우 UE의 수를 유지하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UE의 수를 조정함에 따라,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UE가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이 대표 채널에 기초하여 선택한 UE의 수를 주파수 선택도의 정도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실제 채널에서 발생할 수 있는 UE 간의 간섭이 감소되고, 각 UE의 수신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270 단계에서, 기지국은 결정된 복수의 UE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오프셋을 고려하여 스케줄링 된 복수의 UE를 결정하고 결정된 UE에게 다중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선택도가 큰 경우 기지국은 UE의 수를 적게 조정하여, UE 간 간섭이 감소될 수 있고, 주파수 선택도가 작은 경우 기지국은 UE의 수를 유지하거나 더 많게 조정하여, 복수의 UE의 수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PAPR 정보 및 correla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획득하고,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주파수 선택도를 결정하고, 주파수 선택도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도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주파수 선택도가 임계값보다 크면 오프셋을 제1 오프셋으로 결정하고 주파수 선택도가 임계값보다 작으면 오프셋을 제2 오프셋으로 결정하며, 제1 오프셋 또는 제2 오프셋을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에 더함으로써 주파수 선택도가 임계값보다 크면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를 증가시키고, 주파수 선택도가 임계값보다 작으면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감소 또는 증가된 UE의 수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오프셋 각각을 이용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조정한 경우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분포의 차이를 기초로, 복수의 오프셋을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두 개 이상의 그룹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분포의 차이가 가장 큰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BWP(bandwidth part) 중 활성화되는 BWP(bandwidth part)을 결정하고, 활성화되는 BWP에 대응되는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UE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10 단계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UE(user equipment)는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pilot)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통신 시스템 또는 NR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은 하향링크에 대하여 미드엠블(midamble)과 같은 기준신호를 통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빔폭을 가지는 기본 단위 빔에 매핑되는 파일럿 신호를 UE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E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좁은 빔폭의 각 단위 빔에 매핑되는 파일럿 신호로부터 특정 한 개의 빔 또는 이들의 한 개 이상의 중첩으로 생기는 빔에 대한 채널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330 단계에서, UE는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E는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를 추정하고, 기지국에게 피드백 (feedback)하기 위한 채널 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350 단계에서, UE는 채널 상태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E는 채널 상태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함으로써, 하향 링크의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에 피드백할 수 있다.
370 단계에서, UE는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선택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스케줄링 된 복수의 UE에 해당 UE가 포함됨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이 UE를 스케줄링함에 있어서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를 추가로 고려함으로써 주파수 선택도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대표 채널과 다른 반송파별 채널의 차이로 인해 대표 채널에 기초하여 선택된 복수의 UE들이 실제 반송파별 MIMO 채널에서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보완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서, UE는 기지국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주파수 선택도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 결과, 스케줄링 된 복수의 UE에 포함됨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서, 임계값은, 복수의 BWP(bandwidth part) 중 활성화된 BWP에 대응되는 임계값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선택도 정보는, 상기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차이에 대한 root mean square error(RMSE), 차이에 대한 분산, 내적 값의 평균, 내적 값의 분산, PAPR, correl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유저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복수의 UE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UE 선택 블록(410)에서, 기지국(400)은 각 UE로부터 피드백 받은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UE 선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스케줄링 된 복수의 UE 집합 S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400)은, UE 선택 블록(410)에서, 대표 채널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01
을 결정한 후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frequency selectivity)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02
의 UE의 수
Figure pat00003
를 조정할 수 있다. 기지국(400)은 복수의 UE로부터 피드백 받은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표 채널을 선택하고, MU-MIMO 시스템이 공간 다중화로 지원할 수 있는 최대 UE의 수에 대응하는 최대 UE 집합
Figure pat00004
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400)은 최대 UE 집합
Figure pat00005
의 UE 중 몇 개의 UE를 선택할 것인지, 즉,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06
을 구성하는 UE의 수
Figure pat00007
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400)은 대표 채널 및 UE의 수
Figure pat00008
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09
을 선택하고, 최대 UE 집합
Figure pat00010
의 복수의 UE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기지국(400)은 주파수 선택도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11
을 구성하는 UE의 수
Figure pat00012
를 조정한 결과 L개의 UE로 구성된 스케줄링된 복수의 UE 집합 S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E 선택 블록(410)은 도 5에서 후술할 UE 선택 블록(500)과 대응되는바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MCS 전력 할당 프리코딩 블록(430)에서, 기지국(400)은 복수의 UE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MCS 전력 할당 프리코딩(Modulation and Coding Scheme Power allocation Pr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최적의 채널용량을 얻기 위해서 기지국(400)은 전송 가능한 각 레이어마다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및 전송 전력 할당(transmission power allocation)을 다르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400)은 복수의 UE로부터 피드백 받은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안테나의 성능을 파악한 후, 성능이 좋은 안테나 또는 채널 상태가 좋은 안테나에 가중치를 부가하는 MCS 전력 할당 프리코딩(Modulation and Coding Scheme Power allocation Pr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다중화(multiplexing) 블록(450)에서, 기지국(400)은 스케줄링 된 복수의 UE S와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packet)들을 이용하여, 전송 용량 증대 효과를 얻기 위한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기지국(400)은 공간적으로 분리된 다수의 채널을 통해 스케줄링 된 복수의 UE S에게 여러 독립된 데이터 스트림들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400)은 공간 다중화를 수행함으로써, 단일 주파수 상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를 복수 개의 안테나로 전송함으로써 안테나 수 만큼 전송 가능 용량을 증가시켜 주파수 효율(spectral efficiency)를 증가시킬 수 있다.
채널 코딩, 모듈레이션 및 프리코딩 블록(470)에서, 기지국(400)은 채널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 중에 수신 측이 오류를 검출 또는/및 정정할 수 있도록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모듈레이션(modulation), 프리코딩(precoding)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기지국(400)은 블록 부호화 또는 길쌈 부호화를 적용한 후, 데이터 열에 대응하는 파형으로 변조하고, 복수의 UE들의 채널 환경을 반영하여 각각의 UE에게 향하는 데이터의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거나 서로에게 간섭으로 작용하는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ZF(Zero-Forcing) 기법 등의 프리코딩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MCS 전력 할당 프리코딩 블록(430), 다중화 블록(450) 및 채널 코딩, 모듈레이션 및 프리코딩 블록(470)의 동작은 본 개시에서 설명한 방법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를 고려하여 복수의 UE를 선택하는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UE 선택 블록(500)에서 복수의 UE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에 기초하여 스케줄링 된 복수의 UE S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UE 선택 블록(500)은 대표 채널 정보 계산 블록(520), 대표 채널 기반 UE 선택 블록(540),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 정보 계산 블록(560) 및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 기반 UE 선택 블록(580)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 채널 정보 계산 블록(520)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UE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에 기초하여 대표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줄링하고자 하는 대역 전체를 대표하는 하나의 대표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 채널은 주파수 대역의 중심에 놓이는 반송파의 채널이거나,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크기가 가장 큰 채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표 채널 기반 UE 선택 블록(540)에서, 기지국은 대표 채널 정보 계산 블록(520)에서 계산된 대표 채널을 이용하여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13
및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14
을 구성하는 UE 수
Figure pat00015
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MU-MIMO 시스템이 공간 다중화로 지원할 수 있는 최대 UE의 수의 최대 UE 집합
Figure pat00016
을 선택하고, 최대 UE 집합
Figure pat00017
중에서 몇 개의 UE를 선택할 지에 대한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18
을 구성하는 UE의 수
Figure pat00019
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UE의 수
Figure pat00020
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21
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 채널을 고려하여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22
을 선택하는 기법으로는 GUS(Greedy User Selection) 기법, SUS(Semi-orthogonal User Selection 기법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 정보 계산 블록(560)에서 기지국은 최대 UE 집합
Figure pat00023
의 복수의 UE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 대표 채널,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24
를 기초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이용하여 주파수 선택도(ε)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최대 UE 수의 최대 UE 집합
Figure pat00025
에 대하여 계산된 대표 채널 정보 및 최대 UE 집합
Figure pat00026
의 각 채널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도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선택도(ε)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선택도 정보는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root mean square error(RMSE),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 간의 차이에 대한 분산,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 간의 내적 값의 평균, 내적 값의 분산, PAPR, correlation, spatial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을 나타내는 다양한 값의 확률 분포를 이용하여, 적절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주파수 선택도 기반 UE 선택 블록(580)에서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도(ε)에 기초하여, 대표 채널을 고려하여 결정된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27
을 구성하는 UE의 수
Figure pat00028
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29
의 UE의 수
Figure pat00030
에 오프셋을 추가로 고려하여 최종 UE의 수 L 및 그에 따른 스케줄링 된 복수의 UE 집합 S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도(ε)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오프셋을 제1 오프셋으로 결정하고, 주파수 선택도(ε)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오프셋을 제2 오프셋으로 결정하며 최종 UE의 수 L를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31
의 UE의 수
Figure pat00032
에 오프셋을 고려하여 연산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최종 UE의 수 L를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33
의 UE의 수
Figure pat00034
에 오프셋을 더하여 연산한 값 (L=
Figure pat00035
+offset)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도(ε)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오프셋을 음수 값으로 결정하고, 주파수 선택도(ε)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오프셋을 양수 값 또는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 UE의 수 L는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36
의 UE의 수
Figure pat00037
에 오프셋을 더한 값이 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도(ε)가 큰 경우에는 UE의 수를 줄이고, 주파수 선택도(ε)가 작은 경우 UE의 수를 늘리거나 유지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복수의 UE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주파수 선택도를 임계값과 비교하여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를 조정하는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10 단계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UE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CSI)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UE에게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고, 각 UE는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각 UE는 자신이 추정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620 단계에서, 기지국은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38
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로부터 스케줄링 하고자 하는 대역 전체를 대표하는 대표 채널을 선택하고, 유저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39
및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40
을 구성하는 UE의 수
Figure pat00041
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MU-MIMO 시스템이 공간 다중화로 지원할 수 있는 최대 UE의 수의 최대 UE 집합
Figure pat00042
을 선택하고, 최대 UE 집합
Figure pat00043
중에서 몇 개의 UE를 선택할 지에 대한 UE의 수
Figure pat00044
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sub-optimality를 보장하는 낮은 복잡도의 GUS(Greedy user selection) 기법, SUS(Semi-orthogonal user selection) 기법, RBF(Random orthogonal beamforming) 기법 등을 이용하여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45
을 결정할 수 있으나,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46
을 결정하는 기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630 단계에서, 기지국은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계산하고, 계산된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이용하여 주파수 선택도(ε)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최대 UE 집합
Figure pat00047
의 복수의 UE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CSI), 대표 채널, 대표 채널을 고려하여 선택된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48
등을 고려하여 주파수 선택도(ε)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선택도 정보는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root mean square error(RMSE),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 간의 차이에 대한 분산,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 간의 내적 값의 평균, 내적 값의 분산, PAPR, correlation, spatial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을 나타내는 다양한 값의 확률 분포를 이용하여, 적절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640 단계에서,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도(ε)가 임계값(
Figure pat00049
)을 초과하는 지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선택도(ε)가 임계값(
Figure pat00050
)을 초과하는 경우, 즉, ε>
Figure pat00051
인 경우, 650 단계에서 오프셋을 제1 오프셋으로 결정하고, 주파수 선택도 정보(ε)가 임계값(
Figure pat00052
)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즉
Figure pat00053
인 경우, 660 단계에서 오프셋을 제2 오프셋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도(ε)에 대한 임계값(
Figure pat00054
)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오프셋 각각을 이용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조정한 경우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분포의 차이를 기초로, 복수의 오프셋을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두 개 이상의 그룹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분포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임계값(
Figure pat00055
)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복수의 오프셋 각각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누적 분포 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를 이용하여 임계값(
Figure pat00056
)을 결정할 수 있다. 확률 누적 분포 함수를 이용하여 임계값(
Figure pat00057
)을 결정하는 방법은 도 8b를 참조하여 후술할 설명에서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BWP(bandwidth part) 중 활성화되는 BWP을 결정하고, 활성화되는 BWP에 대응되는 임계값(
Figure pat00058
)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예를 들어, 활성화되는 BWP의 특성을 고려하여 임계값(
Figure pat00059
)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오프셋 각각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누적 분포 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 및 활성화되는 대역폭의 특성 모두를 고려하여 임계값(
Figure pat00060
)을 설정할 수도 있다.
670 단계에서, 기지국은 오프셋을 반영하여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61
에 포함되는 UE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62
의 UE의 수(
Figure pat00063
)에 650 단계 또는 660 단계에서 결정한 오프셋(offset)을 더함으로써 최종 UE의 수(L)를 결정할 수 있다. 즉, L=
Figure pat00064
+offset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선택도(ε)가 임계값(
Figure pat00065
)을 초과하여 기지국이 주파수 선택도(ε)가 크다고 결정하는 경우, 기지국은 제1 오프셋을 고려하여,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66
의 UE의 수
Figure pat00067
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선택도(ε)가 임계값(
Figure pat00068
)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기지국이 주파수 선택도(ε)가 작거나 적정하고 결정하는 경우, 기지국은 제2 오프셋을 고려하여,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69
의 UE의 수
Figure pat00070
를 증가시키거나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도의 정도를 반영하지 못한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71
을 기초로, 주파수 선택도(ε)를 추가적으로 고려함으로써 복수의 UE에게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선택도(ε)가 임계값(
Figure pat00072
)을 초과하는 경우, 기지국은 오프셋을 제1 오프셋인 (-2)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제1 오프셋을 고려하여, UE 후보군 집합
Figure pat00073
의 UE의 수
Figure pat00074
를 2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프셋을 -2로 설명하였으나, 오프셋 값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 더 작은 음수, 더 큰 음수, 0 또는 양수일 수도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복수의 UE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에 포함되는 UE를 조정하여 복수의 UE 중 일부의 UE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10 단계에서, 기지국(702)은 복수의 UE가 기지국과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기 위해 제1 UE(704), 제2 UE(706) 및 제3 UE(708)를 포함하는 복수의 UE에게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710 단계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310 단계와 대응될 수 있다.
720 단계에서, 제1 UE(704), 제2 UE(706) 및 제3 UE(708)는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를 추정하고, 기지국(702)에게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720 단계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330 단계 및 350 단계와 대응될 수 있다.
730 단계에서, 기지국(702)은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702)은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표 채널을 선택하고, 대표 채널에 기초하여 유저 스케줄링(user scheduling)을 수행함으로써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702)은 유저 스케줄링 기법으로서 GUS(Greedy user selection) 기법, SUS(Semi-orthogonal user selection) 기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702)은 제1 UE(704), 제2 UE(706) 및 제3 UE(708)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1 UE(704)과의 채널을 대표 채널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702)은 대표 채널을 기초로, 제1 UE(704) 및 제2 UE(706)을 UE 후보군 집합에 포함시킬 수 있다.
740 단계에서, 기지국(702)은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선택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 정보를 기초로, UE의 수 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702)이 대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한 후에,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 내의 UE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선택도 정보는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root mean square error(RMSE),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차이에 대한 분산,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내적 값의 평균, 내적 값의 분산, PAPR, correlation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실제 채널의 PAPR, correlation 값 등을 이용하여 UE의 수 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702)이 대표 채널에 기초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한 경우, 주파수 선택도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부가적으로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스케줄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기지국(702)은 주파수 선택도가 크다, 임계값보다 크다 또는 심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702)은 오프셋을 음수로 결정할 수 있다.
750 단계에서, 기지국(702)은 UE 후보군 집합에 포함되는 UE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702)은 주파수 선택도가 크면 오프셋을 음수로 결정하여 UE의 수를 감소시키고, 주파수 선택도가 작으면 오프셋을 0 또는 양수로 결정하여 UE의 수를 유지하거나 UE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702)은 730 단계에서 결정한 제1 UE(704) 및 제2 UE(706)로 구성된 UE 후보군 집합을 해당 오프셋을 고려하여 UE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기지국(702)은 대표 채널인 제1 UE(704)와의 채널과 제1 UE(704), 제2 UE(706) 및 제3 UE(708)와의 채널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주파수 선택도가 크다 또는 심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702)은 오프셋을 음수로 결정하고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를 조정한 결과, 제1 UE(704)만이 최종 UE로 결정될 수 있다.
760 단계에서, 기지국(702)은 최종 UE로 결정된 제1 UE(704)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프셋을 고려하지 않으면 기지국(702)은 제1 UE(704) 및 제2 UE(706)에게 데이터를 전송했어야 하나, 기지국(702)은 주파수 선택도가 크다고 판단한 결과, 스케줄링 된 UE의 수를 감소시켜 제1 기지국(702)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선택도에 따라 UE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스케줄링 된 UE 간의 간섭의 정도가 완화될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오프셋 각각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누적 분포 함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복수의 오프셋 각각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누적 분포 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를 이용하여 적절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가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오프셋이 변함에 따라 각 오프셋에 따른 확률 누적 분포 함수 사이의 차이가 나타나게 하는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오프셋 값을 결정하기 위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오프셋(offset)이 (-3), (-2), (-1), (0), (+1) 등일 때 오프셋에 따른 채널의 PAPR 값의 누적 분포 함수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누적 분포 함수에 기초하여, 오프셋의 특성이 두 개의 묶음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오프셋의 특성은 오프셋이 (-3), (-2), (-1)인 경우의 제1 특성과, 오프셋이 (0), (+1)인 경우의 제2 특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제1 특성과 제2 특성 간 차이를 분명하게 나타내는 주파수 선택도 정보로서 UE 후보군 집합 내의 각 UE의 PAPR 값 중 최댓값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누적 분포 함수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여, 오프셋의 특성은 오프셋이 (-3), (-2), (-1)인 경우의 제1 특성과, 오프셋이 (0), (+1)인 경우의 제2 특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제1 특성에 따른 PAPR의 누적 분포 함수와 제2 특성에 따른 PAPR의 누적 분포 함수에 기초하여, 주파수 선택도의 임계값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제1 특성에 따른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누적 분포 함수와 제2 특성에 따른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누적 분포 함수의 차이가 가장 큰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값을 임계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도 8b에서 제1 특성에 따른 PAPR의 누적 분포 함수와 제2 특성에 따른 PAPR의 누적 분포 함수의 차이가 가장 큰 PAPR 값인 1.413을 임계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선택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PAPR의 값이 1.413보다 크면 기지국은 오프셋을 -1, -2 또는 -3으로 결정하고, 1.413보다 작으면 오프셋을 0 또는 1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도가 크다고 결정한 경우 UE 후보군 집합 내 UE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주파수 선택도가 작다고 결정한 경우 UE 후보군 집합 내 UE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900)은 송수신부(920), 프로세서(940) 및 메모리(9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기지국(9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기지국(9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기지국(9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920), 프로세서(940), 메모리(96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920)는 기지국(9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UE(user equipment)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수신부(920)는 복수의 UE(user equipment)에게 파일럿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복수의 UE(user equipment)로부터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920)는 주파수 선택도를 고려하여 스케줄링된 UE에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940)는 기지국(9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G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40)는 기지국(900)을 작동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기지국(9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40)는 메모리(9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940)는 메모리(9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900)을 작동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940)는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하고,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선택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 정보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 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offset)을 결정하고, 오프셋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960)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940)는 메모리(96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96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960)는 오프셋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값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User Equipment)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UE(1000)는 송수신부(1020), 프로세서(1040) 및 메모리(10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UE(10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0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UE(1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UE(10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1020), 프로세서(1040), 메모리(106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1020)는 UE(10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기지국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104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10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수신부(1020)는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파일럿 신호를 프로세서(1040)가 처리함으로써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부(1020)는 기지국에게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020)는 기지국에서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스케줄링된 복수의 UE에 UE(1000)가 포함됨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40)는 UE(10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G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UE(1000)를 작동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UE(10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0)는 메모리(10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040)는 메모리(10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UE(1000)를 작동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4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060)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040)는 메모리(106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06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즉, 메모리(1060)는 UE(10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UE(1000)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S/W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디바이스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S/W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 다운로더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S/W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SW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 및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버의 저장매체 또는 디바이스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또는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는 제 3 장치(예, 스마트폰)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 3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로부터 디바이스 또는 제 3 장치로 전송되거나, 제 3 장치로부터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S/W 프로그램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디바이스 및 제 3 장치 중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디바이스 및 제 3 장치 중 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분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인공 지능 서버 등)가 서버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서버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제 3 장치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는 경우, 제 3 장치는 서버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제 3 장치는 프리로드 된 상태로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UE가 운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UE(user equipment) 후보군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선택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 정보를 기초로, 상기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 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offset)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오프셋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복수의 UE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PAPR 정보 및 correla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주파수 선택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주파수 선택도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선택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오프셋을 제1 오프셋으로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선택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오프셋을 제2 오프셋으로 결정하는 단계하고,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오프셋을 상기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에 더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선택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UE의 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주파수 선택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UE의 수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감소 또는 증가된 UE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오프셋 각각을 이용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조정한 경우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분포의 차이를 기초로, 복수의 오프셋을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두 개 이상의 그룹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분포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BWP(bandwidth part) 중 활성화되는 BWP(bandwidth part)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되는 BWP에 대응되는 상기 임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는,
    상기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차이에 대한 root mean square error(RMSE), 차이에 대한 분산, 내적 값의 평균, 내적 값의 분산, PAPR 및 corre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UE(user equipment)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에서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선택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스케줄링된 복수의 UE에 상기 UE가 포함됨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 결과, 상기 UE가 상기 스케줄링된 복수의 UE에 포함됨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복수의 BWP(bandwidth part) 중 활성화된 BWP에 대응되는 임계값인,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선택도 정보는,
    상기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차이에 대한 root mean square error(RMSE), 차이에 대한 분산, 내적 값의 평균, 내적 값의 분산, PAPR 및 corre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user equipment)에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복수의 UE로부터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UE 후보군 집합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선택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 정보를 기초로, 상기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 조정에 이용되는 오프셋(offset)을 결정하고,
    상기 오프셋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를 결정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결정된 복수의 UE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PAPR 정보 및 correla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주파수 선택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주파수 선택도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프셋을 결정하는, 기지국.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선택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오프셋을 제1 오프셋으로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선택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오프셋을 제2 오프셋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오프셋을 상기 UE 후보군 집합의 UE의 수에 더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선택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UE의 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주파수 선택도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UE의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감소 또는 증가된 UE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복수의 UE를 결정하는, 기지국.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오프셋 각각을 이용하여 UE 후보군 집합을 조정한 경우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분포의 차이를 기초로, 복수의 오프셋을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두 개 이상의 그룹에 대한 주파수 선택도 정보의 확률 분포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임계값을 결정하는, 기지국.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BWP(bandwidth part) 중 활성화되는 BWP(bandwidth part)을 결정하고,
    상기 활성화되는 BWP에 대응되는 상기 임계값을 결정하는, 기지국.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는,
    상기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차이에 대한 root mean square error(RMSE), 차이에 대한 분산, 내적 값의 평균, 내적 값의 분산, PAPR 및 corre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UE(user equipment)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결정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복수의 반송파의 채널들 중 선택된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주파수 선택도 정보를 기초로 스케줄링된 복수의 UE에 상기 UE가 포함됨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UE.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주파수 선택도(frequency selectivity)와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 결과, 상기 UE가 상기 스케줄링된 복수의 UE에 포함됨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UE.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복수의 BWP(bandwidth part) 중 활성화된 BWP에 대응되는 임계값인, UE.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선택도 정보는,
    상기 대표 채널과 다른 채널들 간의 차이에 대한 root mean square error(RMSE), 차이에 대한 분산, 내적 값의 평균, 내적 값의 분산, PAPR 및 corre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E.
KR1020190145403A 2019-11-13 2019-11-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58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03A KR20210058207A (ko) 2019-11-13 2019-11-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7/776,785 US20220400043A1 (en) 2019-11-13 2020-11-11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user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887412.3A EP4020912A4 (en) 2019-11-13 2020-11-11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USER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20/095138 WO2021096334A1 (ko) 2019-11-13 2020-11-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03A KR20210058207A (ko) 2019-11-13 2019-11-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207A true KR20210058207A (ko) 2021-05-24

Family

ID=7591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403A KR20210058207A (ko) 2019-11-13 2019-11-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400043A1 (ko)
EP (1) EP4020912A4 (ko)
KR (1) KR20210058207A (ko)
WO (1) WO2021096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7003B (zh) * 2021-08-10 2022-05-31 上海移远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643B1 (ko) * 2003-06-20 2011-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영역에 숨겨진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신호처리하는 tds-ofdm 수신 시스템 및 그의 신호처리 방법
KR100664600B1 (ko) * 2004-07-31 2007-01-04 오성근 Ofdm 시스템의 곡선접합 채널추정 방법
US8787469B2 (en) * 2007-04-04 2014-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debook design and beamforming vector selection in per-user unitary rate control (PU2RC) system
KR101329335B1 (ko) * 2009-12-15 2013-1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파수 영역의 채널 추정 장치 및 방법
US20130051321A1 (en) * 2011-08-24 2013-02-28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description coding (mdc)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csi-rs)
WO2017034238A1 (ko) * 2015-08-21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8117274A (ja) * 2017-01-19 2018-07-2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端末
KR102403763B1 (ko) * 2017-06-27 2022-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명시적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을 위한 피드백 정보 설정하기 위한 방법
US20200366407A1 (en) * 2019-05-15 2020-11-19 Qualcomm Incorporated Capability-based bandwidth part switc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20912A1 (en) 2022-06-29
WO2021096334A1 (ko) 2021-05-20
EP4020912A4 (en) 2022-11-16
US20220400043A1 (en)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73620B (zh) 用于复用信道状态信息的方法和装置
CN115133968B (zh) 可变相干自适应天线阵列
CN108111280B (zh) 参考信号配置、信息的发送、信息的接收方法及装置
KR10239172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직교 다중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9820290B2 (en) Virtual antenna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back of virtual antenna mapping information in MIMO system
KR102306800B1 (ko) 무선 통신시스템의 피드백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02001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cell full-dimension MIMO system
WO2018202215A1 (zh) 配置上行信号的方法及装置、确定上行信号的方法及装置
EP3297180B1 (en) Coordinated beamforming method and device
CN116137947A (zh) 在无线通信系统中使用分层波束操作时缓解码本不准确的方法和设备
US11576177B2 (en) Method and terminal device for determining priorities of multiple BWPS
US20180092092A1 (en) Subband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aggregation
CN111727645A (zh) 电信系统中的参考信号功率提升相关申请的交叉引用
CN103516410A (zh) 一种利用有源天线系统实现下行数据发射方法及装置
KR102323130B1 (ko) 하이브리드 빔포밍 기반 오픈-루프 mimo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00005542A (ko)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663234B (zh) 控制设备、网络节点及其方法
CN114391232B (zh) 频谱效率(spef)至信道质量指示符(cqi)映射适配
US20230328568A1 (en) Quantization scheme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s
KR10235086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21005820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537547B1 (en) User equipment SRS selection with network node intelligence for beamforming performance improvement
WO2022036684A1 (en) Beam indications for facilitating multicast access by reduced capability user equipment
EP3535859B1 (en) Mechanism for switching between uplink and downlink training in hybrid beamforming systems
CN109787666B (zh) 一种频域调度方法、装置及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