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155A -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155A
KR20210058155A KR1020190145278A KR20190145278A KR20210058155A KR 20210058155 A KR20210058155 A KR 20210058155A KR 1020190145278 A KR1020190145278 A KR 1020190145278A KR 20190145278 A KR20190145278 A KR 20190145278A KR 20210058155 A KR20210058155 A KR 20210058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thium secondary
secondary battery
discharge
energ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Priority to KR1020190145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8155A/ko
Publication of KR20210058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1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6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 H01M10/663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the system being an air-conditioner or an eng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은 모듈별 또는 랙별로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 부근에 설치하게 되며, 중앙 관제부에서 가스 감지 신호 및 특이 사항 등을 수신 받기 위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연동하여 표준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하는 가스 감지기, 상기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의해 가스가 발생하면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 장치 및 환기 장치, 그리고, 상기 가스 감지기로부터 가스 배출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누적량이 줄어 들었을 경우 제어 신호를 한번 더 전송하여 상기 가스 배출 장치와 상기 환기 장치 또는 릴레이 작동을 중지하여 가스 자동 소화 장치의 가동에 이상이 없도록 전체 시스템을 밀폐 하도록 연동 제어 하는 중앙 관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Combustible Gas Detection and Discharge System due to Thermal Runaway i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of Energy Storage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저장 장치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에 사용되는 리튬 이차 전지의 외부 충격 또는 전기적 이상 현상 등에 의한 열 폭주 현상이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상황에 의하여 가연성 가스가 방출될 경우 가스 탐지기를 활용하여 해당 가스를 사전에 탐지하고 동시에 가스 배출장치를 작동하여 가연성 가스를 배출하게 되며, 추후 화재 발생시 가스 자동 소화 장치의 소화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배출 장치 정지 및 환기 장치 밀폐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 전지가 사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시스템의 종래 구성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소화를 위해 대부분 가스 자동 소화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해당 소화 장치의 소화 기능의 극대화와 더불어 분진 방지 및 온도 및 습도 유지 등을 위해 밀폐 형태로 구축하거나 배기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리튬 이차 전지의 가연성 가스 발생에 따른 폭발 현상을 방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가연성 가스의 검출 및 배출과 더불어 가스 자동 소화 장치의 효율적 기능 수행을 위한 배기 장치 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근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원인 모를 화재가 자주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정부 차원의 안정성 강화의 방안 및 제도가 재정 및 연구되고 있으며 NFPA 등 홰외 표준 제정 기관 또한 여러 원인을 분석하는 등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는 실정으로 리튬 이차 전지를 활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안정성의 강화에 대한 연구 및 관련 발명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리튬 이차 전지를 활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시점에서 여러 가지의 화재 가능성을 고려하여 안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그 중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된 현상 중 하나인 외부 충격 및 전기적 이상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배출 현상에 대하여 대비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현재 가연성 가스 배출에 대한 사전 감시 및 배출을 통해 폭발 현상을 막고 추후 발화시 가스 자동 소화 장치의 정상적 작동을 위한 배출 장비 정지 및 밀폐의 수행을 위한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이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KR 10-1489837 B1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리튬 이차 전지의 외부 또는 전기적 충격에 따른 가연성 가스의 발생 감지와 이에 따른 가스 방출 후 가스 자동 소화 장치의 정상 작동을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가스 감지기의 실시간 가연성가스의 발생 정보 체크를 통해 이상 신호를 수신 받아 원격으로 가스 배출 장치 및 환기 시스템을 제어하고 가연성 가스 배출 후 가스 자동 소화 장치의 정상 작동을 위한 환기 시스템 밀폐의 작업을 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은 모듈별 또는 랙별로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 부근에 설치하게 되며, 중앙 관제부에서 가스 감지 신호 및 특이 사항 등을 수신 받기 위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연동하여 표준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하는 가스 감지기, 상기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의해 가스가 발생하면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 장치 및 환기 장치, 그리고, 상기 가스 감지기로부터 가스 배출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누적량이 줄어 들었을 경우 제어 신호를 한번 더 전송하여 상기 가스 배출 장치와 상기 환기 장치 또는 릴레이 작동을 중지하여 가스 자동 소화 장치의 가동에 이상이 없도록 전체 시스템을 밀폐 하도록 연동 제어 하는 중앙 관제부를 포함한다.
가연성 가스의 감지를 위한 상기 가스 감지기와 가스 감지 신호를 상기 중앙관제부가 수신 받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가스 감지기의 제공 통신 라인에 따라 RS-485/232 또는 TCP/IP의 물리적 수신 모듈이 될 수 있으며, 제공 프로토콜에 따라 Modbus와 같은 프로토콜에 대응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리튬 이차 전지의 인근에 마련된 가스 감지기로부터 가스 발생 신호가 감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단계를 통해 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가스 감지기로부터 생성된 가스 발생 신호는 중앙 관제부로 송신이 되어 상기 중앙 관제부에서는 이를 인지 및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지 및 판단 단계를 통해 상기 중앙 관제부가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면, 발화성 가스 배출을 위하여 환기 장치 및 가스 배출 장치에게 작동 신호를 보내어 가스 배출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가스 감지기로부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가스 배출 현황을 파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배출 현황 파악 단계를 통해 상기 중앙 관제부는 장시간 동안 가스 농도에 차이가 없을 경우 발화 단계 돌입 전 가스 자동 소화 장치의 정상 작동을 위하여 상기 가스 배출 장치 및 환기 장치의 동작 정지 명령을 수행하게 단계를 포함한다.
가스 배출 및 배출 현황 파악 단계 이후 발화성 가스의 농도가 낮아지거나 또는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 상기 가스 배출 장치 및 환기 장치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에 의하면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외부 충격 또는 전기적 이상 현상 등에 의한 열폭주 현상에 따른 비정상적인 상황에 의하여 가연성 가스가 방출될 경우 해당 가스를 사전에 탐지하고 배출하여 해당 가스의 점화에 의한 폭발 현상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 장장치 시스템에 구축되어 있는 가스 자동 소화 장치의 효율적 작동을 통해 리튬 이차 전지 기반의 에너지 저장 장치 시스템에 대한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에 의하면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가연성 가스 감지를 위한 중앙관제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시스템 사전 차단 및 현장 소방 대응 등 시스템의 추가 기능 구현 및 안전 관리 시스템 추가 구축 등을 통해 발화 및 폭발 전 화재확산을 미연에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및 구성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구성도, 블록도 및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에 대해 그 구성을 중심으로 도 1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및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은 가스 감지기(10), 중앙 관제부(20), 가스 배출 장치(30), 릴레이(40), 환기 장치(50) 및 통신 모듈(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은 상기 구성을 통해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1)의 부근에 설치된 가스 감지기(10)를 통하여 가연성 가스의 발생 여부를 체크 하고 가스 발생시 가스 배출 장치(30) 및 환기 장치(50)를 작동시키고 가스 배기 상태에 따라 가스 자동 소화 장치(5)의 정상 작동을 위한 환기 장치 작동 정지(밀폐)를 수행한다.
가스 감지기(10)는 현장 상황 및 여건 등에 따라 모듈별 또는 랙별로 리튬 이차 전지(1) 부근에 설치하게 되며, 중앙 관제부(20)에서 감지 신호 및 특이 사항 등을 수신 받기 위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연동하여 표준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 한다. 가스 감지기(10)는 통상의 가연성 기체 상태의 가스나 연기 등을 감지하는 공지의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중앙 관제부(20)는 가스 배출 장치(30) 및 환기 장치(5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신호를 전달한다. 이를 위한 제어 방법은 장치 운전 프로토콜이 있으면 프로토콜 제어를 진행하고 장치 운전 프로토콜이 없는 경우에는 인입 전원 측에 릴레이(40)를 설치하여 On/Off 제어를 통해 각 장비를 제어한다.
중앙 관제부(20)는 가스 감지기(10)로부터 에너지 저장 장치 내의 가스 배출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누적량이 줄어 들었을 경우 제어 신호를 한번 더 전송하여 가스 배출 장치(30)와 환기 장치(50) 또는 릴레이(40) 작동을 중지하여 가스 자동 소화 장치(5)의 가동에 이상이 없도록 전체 시스템을 밀폐 하도록 연동 제어 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성 블록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은 다시 한번 살펴 보면, 가연성 가스의 감지를 위한 가스 감지기(10)와 가스 감시 신호를 수신 받기 위한 통신 모듈(70), 전체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중앙 관제부(20), 가스 배출을 위한 가스 배출 장치(30) 및 환기 장치(50)와 통신 장비의 구성 가능 여부에 따라 릴레이(40)장비가 추가되어 구성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가스 배출 장치(30) 및 환기 장치(50)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공지의 일반 가스나 연기 등을 배출하거나 환기시키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통신 모듈(70)은 가스 감지기(10)의 제공 통신 라인에 따라 RS-485/232 또는 TCP/IP 등의 물리적 수신 모듈이 될 수 있으며, 제공 프로토콜에 따라 Modbus 등 다양한 프로토콜에 대응 가능하도록 중앙 관제부(80)의 소프트 웨어 개발 및 연동 작업이 함께 필요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의 가스 배출 장치(30) 및 환기 장치(50)는 제어 가능한 장비로써 중앙 관제부(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On/Off 제어가 가능 해야 한다. 단, 일반적으로 현재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환기 장치(50) 및 가스 배출 장치(30)는 제어 시스템이 내장 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입 전원 측에 릴레이(40)를 설치하여 강제적으로 전원을 On/Off 함으로써 해당 장치를 제어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의 운영 방법 먼저 리튬 이차 전지(10)의 인근에 마련된 가스 감지기(10)로부터 가스 발생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
즉 가스 감지기(10)는 리튬 이차 전지(1)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스 발생여부를 감지하게 되는데 가스 감지의 방법 및 범위는 제조사의 기준에 맞추어 하드웨어적으로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가스가 감지되면 가스 감지기(10)는 가스 발생과 관련된 감지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가스 발생 감지 신호는 통신 모듈(70)을 통하여 표준 신호로 중앙 관제부(20)로 송신이 되며, 이에 따라 중앙 관제부(20)에서는 가스 발생 여부에 대해 인지 및 판단한다(S20).
즉 중앙 관제부(20)는 가스 감기기(10)로부터 수신되는 가스 발생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이상 가스의 종류와 발생량이 기 설정애 둔 기준치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위험 상황으로 인지 및 판단한다.
중앙 관제부(20)가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면, 중앙 관제부(20)는 발화성 또는 가연성 가스 배출을 위하여 환기 장치(50) 및 가스 배출 장치(30)에게 작동 신호를 보내어 가스 배출 절차를 수행하게 되며, 이때 가스 감지기(10)로부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가스 배출 현황을 파악하게 된다(S30).
중앙 관제부(20)는 가스 배출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가스 배출 단계 지속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이때 장시간 동안 가스 농도에 차이가 없을 경우 발화 단계 돌입 전 가스 자동 소화 장치(5)의 정상 작동을 위하여 다음 단계인 가스 배출 장치 및 환기 장치의 동작 정지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S40).
가스 배출 단계 이후에는 발화성 가스의 농도가 낮아지거나 또는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 가스 배출 장치(30) 및 환기 장치(40)의 작동을 정지하는 명령을 수행하게 되며 이는 상기에 언급한 사항과 같이 가스 자동 소화 장치(5)의 정상 작동을 위한 시스템 밀폐의 단계와 같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에 의하면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1)의 외부 충격 또는 전기적 이상 현상 등에 의한 열폭주 현상에 따른 비정상적인 상황에 의하여 가연성 가스가 방출될 경우 해당 가스를 사전에 탐지하고 배출하여 해당 가스의 점화에 의한 폭발 현상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 시스템에 구축되어 있는 가스 자동 소화 장치(5)의 효율적 작동을 통해 리튬 이차 전지 기반의 에너지 저장 장치 시스템에 대한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에 의하면 가스 감지를 위한 중앙 관제부(20)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시스템 사전 차단 및 현장 소방 대응 등 시스템의 추가 기능 구현 및 안전 관리 시스템 추가 구축 등을 통해 발화 및 폭발 전 화재 확산을 미연에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의 공정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리튬 이차 전지 5: 가스 자동 소화 장치
10: 가스 감지기 20: 중앙 관제부
30: 가스 배출 장치 40: 릴레이
50: 환기 장치 70: 통신 모듈

Claims (4)

  1. 모듈별 또는 랙별로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 부근에 설치하게 되며, 중앙 관제부에서 가스 감지 신호 및 특이 사항 등을 수신 받기 위하여 통신 프로토콜을 연동하여 표준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하는 가스 감지기,
    상기 리튬 이차 전지의 열폭주 현상에 의해 가스가 발생하면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 장치 및 환기 장치, 그리고,
    상기 가스 감지기로부터 가스 배출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누적량이 줄어 들었을 경우 제어 신호를 한번 더 전송하여 상기 가스 배출 장치와 상기 환기 장치 또는 릴레이 작동을 중지하여 가스 자동 소화 장치의 가동에 이상이 없도록 전체 시스템을 밀폐 하도록 연동 제어 하는 중앙 관제부
    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
  2. 제1항에서,
    가연성 가스의 감지를 위한 상기 가스 감지기와 가스 감지 신호를 상기 중앙관제부가 수신 받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가스 감지기의 제공 통신 라인에 따라 RS-485/232 또는 TCP/IP의 물리적 수신 모듈이 될 수 있으며, 제공 프로토콜에 따라 Modbus와 같은 프로토콜에 대응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
  3. 리튬 이차 전지의 인근에 마련된 가스 감지기로부터 가스 발생 신호가 감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단계를 통해 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가스 감지기로부터 생성된 가스 발생 신호는 중앙 관제부로 송신이 되어 상기 중앙 관제부에서는 이를 인지 및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지 및 판단 단계를 통해 상기 중앙 관제부가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면, 발화성 가스 배출을 위하여 환기 장치 및 가스 배출 장치에게 작동 신호를 보내어 가스 배출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가스 감지기로부터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가스 배출 현황을 파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배출 현황 파악 단계를 통해 상기 중앙 관제부는 장시간 동안 가스 농도에 차이가 없을 경우 발화 단계 돌입 전 가스 자동 소화 장치의 정상 작동을 위하여 상기 가스 배출 장치 및 환기 장치의 동작 정지 명령을 수행하게 단계
    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의 운영 방법.
  4. 가스 배출 및 배출 현황 파악 단계 이후 발화성 가스의 농도가 낮아지거나 또는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 상기 가스 배출 장치 및 환기 장치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0190145278A 2019-11-13 2019-11-13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 KR20210058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278A KR20210058155A (ko) 2019-11-13 2019-11-13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278A KR20210058155A (ko) 2019-11-13 2019-11-13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155A true KR20210058155A (ko) 2021-05-24

Family

ID=76152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278A KR20210058155A (ko) 2019-11-13 2019-11-13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81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481A (ko) 2021-07-26 2023-02-02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유피에스용 브이알엘에이 전지에 적용할 수 있는 열폭주 감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37B1 (ko) 2012-11-19 2015-02-04 자동차부품연구원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37B1 (ko) 2012-11-19 2015-02-04 자동차부품연구원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481A (ko) 2021-07-26 2023-02-02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유피에스용 브이알엘에이 전지에 적용할 수 있는 열폭주 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43834B (zh) 一种集装箱储能系统消防装置及其控制方法
EP3621142B1 (en) Power battery pack safety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CN109591025A (zh) 机房巡检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696624A (zh) 基于电池储能的安全监测预警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210058155A (ko) 에너지 저장 장치의 리튬 이차 전지의 열 폭주 현상에 따른 가연성 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
CN110812740A (zh) 一种隧道中灭火弹的控制方法及相关装置
CN114522363A (zh) 一种适用于变电站磷酸铁锂电池直流系统的三级防火策略
KR102212765B1 (ko) 음성인식 양방향 인공지능 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및 태양광 발전용 접속함
CN102117529A (zh) 一种智能可视探测火灾信息的火灾自动报警系统
KR20050064510A (ko) 원격제어 소방시스템
KR100979485B1 (ko) 소화기 작동 완료메세지를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에 통보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및 소화기 동작 확인 방법
CN110843564A (zh) 一种电动车智能充换电系统
CN113856124A (zh) 一种集装箱储能系统的消防装置及其消防方法
CN212901929U (zh) 一种空调室内机
JP2022150911A (ja) 蓄電池設備室の消火システムおよび消火方法
CN210250929U (zh) 一种无人值守变电站蓄电池室防火防爆装置
US2021004390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ventilation in hazardous locations
CN203242132U (zh) 设有无线通信模块的燃气报警装置
CN113230562A (zh) 一种充电控制柜消防系统
CN114699676B (zh) 储能及火灾探测系统及其控制方法
CN114067518A (zh) 天然气长输管道智能防火报警系统
CN113012382A (zh) 一种古建筑防火预警装置及系统
KR20120113378A (ko) 선박용 유무선 방재 시스템
CN216497209U (zh) 一种集装箱储能系统的消防装置
CN218356996U (zh) 一种集装箱储能系统的消防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