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081A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rmful material monitoring service using IoT based environmental sensor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rmful material monitoring service using IoT based environmental sens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081A
KR20210058081A KR1020190145078A KR20190145078A KR20210058081A KR 20210058081 A KR20210058081 A KR 20210058081A KR 1020190145078 A KR1020190145078 A KR 1020190145078A KR 20190145078 A KR20190145078 A KR 20190145078A KR 20210058081 A KR20210058081 A KR 20210058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azardous
hazardous substance
substances
harmfu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흥범
김성혁
안영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나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나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나인스
Priority to KR1020190145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8081A/en
Publication of KR2021005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0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harmful material detection service using an internet-of-things-based environmental sensor, which support to quickly establish a response strategy in accordance with a harmful material accident state by using accumulated big data when a harmful material leakage accident occurs. The system for providing a harmful material detection service using an internet-of-things-based environmental sensor comprises: one or more internet-of-things-based environmental sensors transmitting harmful material st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leakage status of a harmful material stored in a storage place storing the harmful material or a vehicle transporting the harmful material; a big data storage device storing harmful material-related accident information; and a harmful material management device generating harmful material management information by searching for the big data storage device based on the harmful material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harmful material management information to a response network including one or more servers and one or more terminals for a response to a harmful material accident. The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transmit the harmful material state information to the harmful material management device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The harmful material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leakage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of the harmful material, leakage accident aspect information of the harmful material, and harmful material property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torage state of the harmful material and the type of the harmful material.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rmful material monitoring service using IoT based environmental sensor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rmful material monitoring service using IoT based environmental sensors}

본 발명은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echnical field of a hazardous material leak detection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roviding a hazardous material leak detection service using an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 in real time.

경제 성장을 위해 화학물 제조 공장, 제철 공장 등을 포함하는 산업단지 및 대형 플랜트 산업에서 유독물, 폐기물, 기름, 가스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관리 및 유통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해물질 관리 및 유통 과정에서 유해물질 누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뿐만 아니라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For economic growth,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hazardous substances such as toxic substances, wastes, oil and gas are essential in industrial complexes and large-scale plant industries including chemicals manufacturing plants and steel mills. However, if a hazardous substance leakage accident occurs in the process of managing and distributing such hazardous substances, not only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but also human damage may occur.

따라서 유해물질 관리 및 유통 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있어야 하며 유해물질 관련 사고 발생시 조속한 감지에 따른 초동 대응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위험물 관리가 부실한 상태에서 고속도로나 도심에서 운행되거나 주차되고 있는 탱크로리에 저장된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가 빈번한 상황에서 유해물질의 누출 감지 기술은 고도화되고 세분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management and distribution process of toxic substances in general, and in the event of an accident related to toxic substances, an initial response according to the prompt detection is required. In particular, in a situation in which hazardous substances leaking accidents stored in tank lorries operated or parked on highways or city centers in a state of poor management of dangerous substances are frequent, the leakage detection technology of hazardous substances needs to be advanced and subdivided.

등록번호 제10-1179996호, 유해 가스 감지 시스템 및 방법, 2012년 9월 5일 공고Registration No. 10-1179996, Hazardous Gas Detection System and Method, announced on September 5, 2012

본 발명은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시에 누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해물질 사고 상태에 따른 대응전략을 신속하게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hazardous material leak detection service using an Internet of Things-based environmental sensor that supports quickly establishing a response strategy according to the state of a hazardous material accident using big data accumulated in the event of a hazardous material leakage accident. Provides.

일 측면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유해물질을 운반하는 차량 또는 유해물질을 보관하는 저장소에 보관된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와, 유해물질 관련 사고 정보를 저장하는 빅데이터 저장 장치와,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로부터 수신된 유해물질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빅데이터 저장 장치를 검색하여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유해물질 사고의 대응을 위한 하나 이상의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는 대응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유해물질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 각각의 위치 정보와 함께 유해물질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유해물질 관리 정보는 유해물질의 종류 및 유해물질의 보관 상태에 따른 유해물질 특성 정보,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 양태 정보 및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 대응 정보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the system for providing a hazardous substance leakage detection service using an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hazardous substances, including whether or not a hazardous substance leaked from a vehicle carrying a hazardous substance or a storage storing the hazardous substance. One or more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s that are transmitted, a big data storage device that stores accident information related to hazardous substances, and a big data storage device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received from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to manage hazardous substances A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that generates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to a response network including one or more terminals and one or more servers for responding to a hazardous substance accident, and at least one environmental sensor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along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and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substa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the storage status of the hazardous substances, information on the leakage accident pattern Includes information on response to accidental leakage of hazardous substances.

빅데이터 저장 장치는 유해물질 관련 사고 정보를 각 사고별 및 각 유해물질별로 유해물질 누출 사고 일시 정보, 유해물질 누출 사고 장소 정보, 유해물질 누출에 따른 초동 대응 시간 정보, 유해물질의 누출 확산 상태 정보, 유해물질 누출에 따른 초동 대응 방법 정보가 검색되도록 정형화 정보 및 비정형화 정보 중에서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저장할 수 있다. The big data storage device provides information on accidents related to hazardous substances for each accident and for each hazardous substance, information on the date and time of the accident, location information on the accident location, information on the initial response time according to the leakag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information on the spread status of the leakage of hazardous substances. In addition, valuabl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nd stored among standardized and non-standardized information so that information on how to respond to initial response to hazardous substance leakage can be retrieved.

유해물질 관리 장치는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생성할 때, 외부의 기상 서버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유해물질 확산 예측 모델링을 수행하고, 확산 예측 모델링 결과를 대응 네트워크로 전달하고, 유해물질 확산 예측 모델링 결과는 현재 실시간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 기상 예측 정보를 반영한 시간대별 유해물질의 확산 영역 및 농도 변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generating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performs predictive modeling of the spread of hazardous substances using real-time meteorolog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meteorological server, delivers the diffusion prediction modeling results to the response network, and spreads the hazardous substances. The predictive modeling resul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diffusion region and concentration change of hazardous substances by time period reflecting real-tim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real-tim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유해물질 관리 장치는 기상 정보와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결합하여 유해물질의 확산 및 분포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도록 국지적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국지적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를 기초로 시설물 설치 지형 정보를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누출된 유해물질의 확산 및 분포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도록 광역적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combines meteorological information and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to create localized hazardous substance diffusion image map information to show the diffusion and distribution process of hazardous substances in time series, and based on the local hazardous substance diffusion image map information By additionally reflecting the installation topographic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global map information on the diffusion of hazardous substances in a time-series manner to indicate the diffusion and distribution process of the leaked hazardous substances.

유해물질 관리 장치는 유해물질 확산 예측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을 각각 구동하고, 각각의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의 구동 결과의 비교 정보를 대응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각각의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의 구동 결과의 비교 정보를 대응 네트워크로 전송할 때, 각각의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의 구동 결과가 생성되는 순서대로 대응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최종적으로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의 구동 결과의 비교 정보를 대응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drives a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respectively, to perform a hazardous substance diffusion prediction modeling, transmits comparis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resul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to a corresponding network, and transmits each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When the comparis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results of the models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the driving resul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ar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generated, and finally, the comparis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results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is corresponded. Can be transmitted over the network.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수집된 유해물질을 보관하는 수집 용기를 포함하여 유해물질을 수집 용기에 수집하는 유해물질 수집 장치를 더 포함하고, 유해물질 관리 장치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감지값과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고, 유해물질의 감지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오염물질 수집 장치가 동작하여 오염물질을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t is located close to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and further includes a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hazardous substances in the collection container, including a collection container for storing the collected hazardous substances, and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is included in the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The detected value of the harmful substance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detected value of the harmful subst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pollutant collection device may be operated to collect the pollutant.

유해물질 수집 장치는 수집이 완료된 경우 수집 용기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유해물질 관리 장치로 수집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When collection is complete, th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may notify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that collection is complete so that the collection container can be replaced.

다른 측면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는 유해물질을 운반하는 차량 또는 유해물질을 보관하는 저장소에 보관된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로부터 수신된 유해물질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유해물질 관련 사고 정보를 저장하는 빅데이터 저장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와, 유해물질 관리 장치는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대응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 각각의 위치 정보와 함께 유해물질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유해물질 관리 정보는 유해물질의 종류 및 유해물질의 보관 상태에 따른 유해물질 특성 정보,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 양태 정보 및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 대응 정보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ethod of providing a hazardous substance leak detection service using an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 is, wherein one or more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s leak hazardous substances stored in a vehicle carrying hazardous substances or a storage storing hazardous substances.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including whether or not, searching for a big dat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ccident information related to hazardous substances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received from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and a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Includes the step of generating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 result and transmitting it to a corresponding network, wherein the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transmit the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to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and ,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substances according to types of hazardous substances and storage conditions of hazardous substances, information on accident patterns of hazardous substances leakage, and information on response to accidents involving leakage of hazardous substances.

본 발명에 따르면,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시에 누적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유해물질 사고 상태에 따른 대응전략을 신속하게 수립할 수 있으므로 사고의 초동 대응을 빠르게 하여 유해물질 누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quickly establish a response strategy according to the state of a hazardous material accident by using the big data accumulated in the event of a leakage of a hazardous materi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leakage of hazardous materials by speeding up the initial response to the accident.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해물질의 누출에 따른 오염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해물질 누출시 유해물질을 수집하여 오염의 증거를 수집하여, 오염에 대한 자료를 남겨 추후 오염원 발생 주체에 대한 법적인 제재 근거를 마련하고 정책반영을 통한 행복한 국민의 삶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only possible to monitor the pollution state caused by the leakage of harmful substances in real time, but also by collecting evidence of pollution by collecting harmful substances when a hazardous substance is leaked, leaving data on pollution to cause future pollu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ives of happy citizens by preparing the basis for legal sanctions against the subject and reflecting polici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환경 센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유해물질 관리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leak detection service for hazardous substances using an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the first environmental sensor of FIG.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for managing hazardous substances of FIG. 1.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hazardous substance leak detection service using an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leak detection service for hazardous substances using an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하,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라 함)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하여 각종 유해물질을 운반하는 차량 또는 유해물질을 보관하는 저장소에 보관된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유해물질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유해물질을 운반하는 차량은 예를 들어 탱크로리일 수 있고, 유해물질을 보관하는 저장소는 고정형 및/또는 이동형 저장소로서 공장 설비, 플랜트 설비 등에 설치된 유해물질 저장공간일 수 있다. The system 100 for detecting a hazardous substance leakage using an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stem for detecting a hazardous substance leakage) is a vehicle or hazardous substance that transports various harmful substances using an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 It detects whether or not a hazardous substance stored in a storage for storing substances is leaked, and generates, stores and manages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he vehicle carrying the toxic substances may be, for example, a tank lorry, and the storage for storing the toxic substances may be a toxic substance storage space installed in a factory facility or a plant facility as a fixed and/or mobile storage.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유해물질 누출시 대응하는 각종 정부기관 서버(30) 및 단말들(20, 40)을 포함하는 대응 네트워크(1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정부기관 서버(30)가 도시되어 있으나, 정부기관 서버(30)는 기상 서버, 환경 담당 정부 기관 서버, 소방 서버, 경찰 서버 등 유해물질 관리 및 처리를 담당하는 여러 기관의 서버로 복수 개 포함될 수 있다. The hazardous substance leakage det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be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network 10 including various government agency servers 30 and terminals 20 and 40 corresponding to a hazardous substance leakag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FIG. 1, one government agency server 30 is shown for convenience. However, the government agency server 30 includes a meteorological server, a government agency server in charge of environment, a firefighting server, and a police server. Multiple servers can be included.

제1 사용자 단말(20)은 유해물질을 직접 운반하는 관리자(예를 들어, 탱크로리 운전자)의 모바일 단말일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40)은 유해물질 관리 업무와 관련된 담당자의 모바일 단말일 수 있으며,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를 통해 유해물질 누출 여부를 직접 통보받을 수 있는 한 그 개수 및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rst user terminal 20 may be a mobile terminal of a manager (eg, a tank lorry driver) that directly transports hazardous substances,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40 may be a mobile terminal of a person in charge related to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tasks. In addition, the number and type are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directly notified whether or not a hazardous substance has been leaked through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은, 환경 센서 네트워크(110),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 및 유해물질 수집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유해물질 수집 장치(1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110)에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환경 센서 네트워크(110),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 및 유해물질 수집 장치(140)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he hazardous substance leakage det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10 may include an environmental sensor network 110, a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a big data storage device 130, and a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140. The hazardous material collection device 140 may be selectively included in the hazardous material leak det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10 as described later. The environmental sensor network 110,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the big data storage device 130, and th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140 may be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환경 센서 네트워크(110),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 및 유해물질 수집 장치(140)는 설치 위치, 전송되는 데이터 용량 및 목적에 따라 예를 들어, 지그비, 와이파이, 애드혹(Adhoc) 네트워크, CDMA, LTE(Long Term Evolution),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근거리에 설치되며 소용량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에는 저렴하고 신뢰성 있는 지그비 통신 방식이 채택될 수 있고, 영상 데이터와 같은 비교적 대용량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에는 와이파이 등의 통신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The environmental sensor network 110,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the big data storage device 130, and th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140 are, for example, ZigBee, Wi-Fi, and It can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n ad hoc network, CDMA, Long Term Evolution (LTE), or a wired or wireless LAN (Local Area Network). For example, if it is installed in a relatively short distance and transmits small amount of data, an inexpensive and reliabl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dopted, and if relatively large amount of data such as image data is transmitted,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may be adopted. have.

환경 센서 네트워크(110)는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112, 114, 11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환경 센서(112), 제2 환경 센서(114) 및 제3 환경 센서(116)가 도시되어 있으나, 환경 센서 네트워크(110)에 포함된 환경 센서의 개수 및 종류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112, 114, 116)는 가스 센서, 온도 센서, 카메라, 충격 센서, 자이로 센서 등 다양할 수 있다. 가스 센서는, 염소, 사이안화수소, 암모니아 등 각종 독성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environmental sensor network 110 includes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112, 114, 116. Here, although the first environmental sensor 112, the second environmental sensor 114, and the third environmental sensor 116 are shown, the number and types of environmental sensors included in the environmental sensor network 110 are not limited.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For example, the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112, 114, 116 may be various, such as a gas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camera, an impact sensor, and a gyro sensor. The gas sensor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types of various toxic substances such as chlorine, hydrogen cyanide, and ammonia.

또한, 도 1에는 하나의 환경 센서 네트워크(110)가 도시되어 있으나, 설치 장소 및 목적에 따라 복수 개의 환경 센서들이 그룹화되어 복수의 환경 센서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관리될 수 있다. 환경 센서 네트워크(110)는 산업 단지 등의 특정한 지리적 영역 내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정 지역의 전반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one environmental sensor network 110 i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sensors may be grouped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location and purpose to be configured and managed as a plurality of environmental sensor networks. The environmental sensor network 110 may be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within a specific geographic area such as an industrial complex to be configured as a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and may be configured to enable overall management of a specific area. .

여기에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란 어느 곳에서 부착된 태그와 센서 노드들로부터 사물 및 환경정보를 감지, 저장, 가공 및 통합하며, 상황인식 정보 및 지식컨텐츠 생성을 통한 맞춤형 서비스를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첨단 지능형 사회의 기반 인프라를 의미한다. Here,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is a state-of-the-art intelligent that detects, stores, processes, and integrates object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ags and sensor nodes attached anywhere, and freely uses customized services through context-aware information and knowledge content creation. It means the infrastructure of society.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112, 114, 116)는 각각 유해물질을 운반하는 차량 또는 유해물질을 보관하는 저장소에 보관된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도록 유해물질을 운반하는 차량 또는 유해물질을 보관하는 저장소 또는 해당 장소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환경 센서(112, 114, 116)는 유해물질을 운반하는 차량 또는 유해물질을 보관하는 저장소에 보관된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로 전송한다. At least one environmental sensor (112, 114, 116) is a vehicle transporting hazardous substances or a storage storing hazardous substances so as to detect the leakage of the hazardous substances stored in a vehicle transporting hazardous substances or a storage storing the hazardous substances. Or it can be installed near the site. The environmental sensors 112, 114, and 116 transmit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a hazardous substance stored in a vehicle carrying a hazardous substance or a storage storing the hazardous substance has leaked to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환경 센서(112, 114, 116)는 각각 다양한 유해물질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서브 센서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센서들은 변위 센서, 압력 센서, 영상 센서 등 다양한 목적의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유해물질 상태 정보는, 유해물질의 농도를 나타내는 감지값 및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외에도, 감지값의 감지 시간 정보, 유해물질의 온도 정보, 압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environmental sensors 112, 114, and 116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sensors (not shown) to detect states of various harmful substances. The plurality of sub-sensors may be composed of sensor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displacement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n image sensor. In addition to the detection value indic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 and th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hazardous substance is leaked, the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detection time information of the detected valu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 pressure information, and the like.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112, 114, 116)는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 각각의 위치 정보와 함께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GPS 위치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112, 114, 116)가 탱크로리와 같은 이동형 유해물질 저장소에 저장된 경우에는, 이동형 유해물질 저장소의 구조를 각각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위치 식별 정보일 수 있다. The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112, 114, and 116 transmit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to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apparatus 120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GPS location inform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112, 114, and 116 are stored in a mobile hazardous substance storage such as a tank lorry, it may be separat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the mobile hazardous substance storage.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는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로 수신된 유해물질 상태 정보 및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에서 생성된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The big data storage device 130 may store and manage the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by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and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또한,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는 각종 유해물질 관련 사고 정보를 저장한다.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는 유해물질 관련 사고 이력을 나타내는 사고 히스토리 정보로서, 유해물질 관련 사고 정보를 각 사고별 및 각 유해물질별로 유해물질 누출 사고 일시 정보, 유해물질 누출 사고 장소 정보, 유해물질 누출에 따른 초동 대응 시간 정보, 유해물질의 누출 확산 상태 정보, 유해물질 누출에 따른 초동 대응 방법 정보가 검색되도록 저장하고 제공할 수 있다. 초동 대응 방법 정보는 정형화 정보 및 비정형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정보는 정형화 정보 및 비정형화 정보 중 가치있는 정보로 선정된 정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big data storage device 130 stores accident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hazardous substances. The big data storage device 130 is accident history information indicating the history of accidents related to hazardous substances, and contains information on accidents related to hazardous substances for each accident and for each hazardous substance. Initial response time information according to leakage, information on the spreading state of leakage of harmful substances, and information on initial response methods according to leakage of harmful substances can be stored and provided to be retrieved. The initial response method information may include formalized information and unstructured information, and the provid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selected as valuable information among the formalized information and the unstructured information.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는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가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유해물질 시설물 위치 및 구조 정보, 시설물 설치 지형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는 대응 네트워크(10)로부터 각종 유해물질 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는 각종 정보의 종류에 따라 각 정보를 독립적으로 관리하거나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다.The big data storage device 130 may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to generat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structure of a hazardous substance facility, and information on the terrain of a facility installation. In addition, the big data storage device 130 may receive,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related to management of various hazardous substances from the corresponding network 10. The big data storage device 130 may independently manage or link and manage each information according to types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112, 114, 116)로부터 수신된 유해물질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를 검색하여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대응 네트워크(10)로 전송한다.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searches the big data storage device 130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 received from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112, 114, and 116 to generat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10.

여기에서, 유해물질 관리 정보는 유해물질의 종류 및 유해물질의 보관 상태에 따른 유해물질 특성 정보,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 양태 정보 및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 대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출된 유해물질이 염산인 경우, 유해물질 특성 정보로서 염산의 특성 정보, 유해물질 누출 사고 양태 정보로서 염산이 액상증발되었는지, 분사되었는지, 순간 누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 대응정보로서, 염산의 누출 사고 양태 정보에 따른 대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hazardous substan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hazardous substance and the storage state of the hazardous substance, information on the leakage accident mode of the hazardous substance, and information on the response to the accidental leakage of the hazardous substance. For example, if the leaked hazardous substance is hydrochloric acid, the hazardous substan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hydrochloric acid, the hazardous substance leakage accident mode information is the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hydrochloric acid was evaporated in liquid phase, sprayed, or leaked instantly, and the leakage of hazardous substances. As the incident response information,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on the type of accidental leakage of hydrochloric acid may be included.

따라서, 대응 네트워크(10)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 근처의 관리자 또는 운반자의 단말(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20))에 유해물질 관리 정보가 즉각적으로 통보되어, 유해물질의 누출을 인식하기 못한 관리자 또는 운반자를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고, 유해물질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초동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Therefore,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is immediately notified to the terminal of the manager or carrier (for example, the first user terminal 20) near the hazardous substance included in the response network 10, and the leakage of the hazardous substance is recognized. It is possible to quickly evacuate the unsuccessful managers or carriers, and support to quickly perform the initial response to prevent the spread of harmful substances.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생성된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에 유해물질 관련 사고 정보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may store and manage the generated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big data storage device 130 as a separate database from the accid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hazardous substance.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생성할 때,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에 저장된 정보 외에도, 정부기관 서버(30)를 포함한 각종 외부의 서버, 예를 들어 기상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유해물질 확산 예측 모델링을 수행하고, 확산 예측 모델링 결과를 유해물질 관리 정보와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확산 예측 모델링 결과를 대응 네트워크로 전달하고,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generating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big data storage device 130, includes various external servers including the government agency server 30, for example, a meteorological server (not shown). Do not use the real-time meteorolog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o perform the prediction modeling of the diffusion of harmful substances, and the diffusion prediction modeling result together with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or sequentially deliver the diffusion prediction modeling result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and a big data storage device ( 130).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유해물질 확산 예측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을 각각 구동하고, 각각의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의 구동 결과의 비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의 구동 결과가 도출되는 시간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각각의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의 구동 결과의 비교 정보를 대응 네트워크로 전송할 때에, 확산평가의 구동결과가 생성되는 순서대로 대응 네트워크(10)로 전송하고, 최종적으로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의 구동 결과의 비교 정보를 대응 네트워크(1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apparatus 120 may drive a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respectively, to perform a hazardous substance diffusion prediction modeling, and provide comparison information of driving resul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Since the time at which the driving results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are derived may be different,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drives the diffusion evaluation when transmitting comparis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resul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The results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10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generated, and finally comparison information of driving results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10.

예를 들어,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초기확산평가모델(SLAB 모델) 및 상세확산평가모델(DANTAD 모델)을 각각 구동하여 확산 예측 모델링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apparatus 120 may generate a diffusion prediction modeling result by driving an initial diffusion evaluation model (SLAB model) and a detailed diffusion evaluation model (DANTAD model), respectively.

초기확산평가모델(SLAB 모델)은 유해물질 누출시 대기중 확산을 모사하는 모델로, 지면에서의 액상증발, 수평수직분사, 순간 누출을 취급할 수 있는 모델이다. 초기확산평가모델(SLAB 모델)은 사고발생시 신속하게 피해영향범위를 생성, 전달함을 목적으로 한다. 초기확산평가모델(SLAB 모델)은 가우시안 모델을 이용하여 사고발생시 피해영향범위를 물질별 농도기준 및 반경을 고려하여 부채꼴모양으로 나타낸다. 초기확산평가모델(SLAB 모델)의 경우, 최악의 경우(worst-case)의 피해범위를 제공하며, 누출 형태와 사고지점의 기상변수(풍속, 기온, 습도 등)값을 이용하며, 계산식이 단순하여 짧은 시간에 유해물질 확산범위 영향 예측을 제공할 수 있다. The initial diffusion evaluation model (SLAB model) is a model that simulates the diffusion of hazardous substances into the atmosphere when leaking harmful substances, and is a model that can handle liquid evaporation, horizontal and vertical injection from the ground, and instantaneous leakage. The initial diffusion evaluation model (SLAB model) aims to quickly generate and deliver the damage impact rang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initial diffusion evaluation model (SLAB model) uses a Gaussian model to represent the extent of damag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n a sector shape taking into account the concentration criteria and radius of each substance. In the case of the initial diffusion evaluation model (SLAB model), the worst-case damage range is provided, and the leak type and the weather variables (wind speed, temperature, humidity, etc.) of the accident site are used, and the calculation formula is simple.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ediction of the effect of the spread of harmful substances in a short time.

반면 상세확산평가모델(DANTAD 모델)은 사고지역에서의 3차원 기상자료를 초기자료로 라그랑지안 입자모델인 DENTAD를 구동하여 사고지역의 시각적 농도변화를 계산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tailed diffusion evaluation model (DANTAD model) calculates the visual density change of the accident area by driving the Lagrangian particle model, DENTAD, as initial data from the 3D meteorological data at the accident area.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초기확산평가모델(SLAB 모델) 및 상세확산평가모델(DANTAD 모델) 외에도 다른 확산평가 모델이 추가적으로 구동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각 확산평가모델의 비교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복수 개의 확산평가모델을 동시에 구동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대응 네트워크(10)에서 각 확산평가모델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초동 대응 방법 및 초동 대응 이후의 추후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initial diffusion evaluation model (SLAB model) and the detailed diffusion evaluation model (DANTAD model),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can operate to additionally drive other diffusion evaluation models, and can provide a comparison result of each diffusion evaluation model. have.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apparatus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not shown) for simultaneously driving a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help the response network 10 to establish an initial response method and a follow-up management plan after the initial respons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each diffusion evaluation model.

유해물질 확산 예측 모델링 결과는 현재 실시간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 기상 예측 정보를 반영한 시간대별 유해물질의 확산 영역 및 농도 변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유해물질 관리 정보 및 확산 예측 모델링 결과를 대응 네트워크(10)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 40) 및 정부기관 서버(30)에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으므로, 유해물질 누출 사고시 신속하게 초동 대응을 할 수 있다. The modeling result for predicting the diffusion of hazardous substances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diffusion region and concentration change of hazardous substances by time period reflecting real-tim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real-tim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In this way, since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can immediately notify the user terminals 20 and 40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network 10 and the government agency server 30 of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diffusion prediction modeling result, In the event of a hazardous substance leakage accident,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the initial response.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확산 예측 모델링 결과를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환경 센서 네트워크(110)로부터 GSP와 같은 위치 정보와 함께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각 환경 센서(112, 114, 116)의 위치 및 각 환경 센서(112, 114, 116)로부터 수신되는 유해물질의 농도, 유해물질이 저장된 저장소의 압력, 온도 등의 정보를 환경 센서 네트워크(110)가 설치된 지역 또는 설치 구조물 등의 지도 정보와 결합하여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toxic substance management apparatus 120 may generate toxic substance diffusion image map information in order to visually deliver the diffusion prediction modeling result. Since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can receive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GSP from the environmental sensor network 110, the location of each environmental sensor 112, 114, 116 and each environmental sensor 112 , 114, 116) by combining information such as concentr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pressure of storage where hazardous substances are stored, temperature, etc. with map information such as an area where the environmental sensor network 110 is installed or an installed structure to map the diffusion of hazardous substances Can generate information.

확산 영상 지도 정보는 유해물질의 국지적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 및 광역적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ffusion image map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map information of a local diffusion image of a hazardous substance and information on a map information of a global diffusion image of a hazardous substance.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기상 정보와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결합하여 유해물질의 확산 및 분포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도록 국지적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국지적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를 기초로 시설물 설치 지형 정보를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누출된 유해물질의 확산 및 분포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도록 광역적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toxic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can generate local toxic substance diffusion image map information to indicate the diffusion and distribution process of toxic substances in time series by combining weather information and toxic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and map information on local toxic substance diffusion. Based on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reflect the installation topographic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o create a map information of a wide-area harmful substance diffusion image to show the diffusion and distribution process of the leaked harmful substance in a time series.

유해물질 수집 장치(140)는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112, 114, 116)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수집된 유해물질을 보관하는 수집 용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유해물질을 수집 용기에 수집할 수 있다. The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140 is located in proximity to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112, 114, 116, and includes a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for storing the collected hazardous substances. I can.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감지값과 소정의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유해물질의 감지값이 소정의 제1 임계값 이상인 경우, 오염물질 수집 장치(140)가 동작하여 오염물질을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compares the detection value of the hazardous substance included in the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with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hazardous subst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value, the pollutant collec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control 140 to operate and collect contaminants.

유해물질 수집 장치(140)는 수집이 완료된 경우 수집 용기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로 수집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When the collection is complete, the hazardous material collection device 140 may notify the hazardous material management device 120 that the collection is complete so that the collection container can be replaced.

도 2는 도 1의 제1 환경 센서(112)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the first environmental sensor 112 of FIG. 1.

제1 환경 센서(112)는 감지부(210), 중계통신부(220) 및 GPS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nvironmental sensor 112 may include a sensing unit 210, a relay communication unit 220 and a GPS unit 230.

감지부(210)는 각종 유해물질 관련 정보를 감지하여 하나 이상의 감지값을 생성한다. 감지부(210)는 유해물질의 종류 및 유해물질의 특성에 따라 복수 개의 서브 센서 유닛(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브 센서 유닛은, 가스 센서, 온도 센서,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etection unit 210 detects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harmful substances and generates one or more detection values. The sensing unit 210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sub-sensor units (not show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hazardous subst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zardous substance. The plurality of sub-sensor units may include a gas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camera, or the like.

중계통신부(220)는 감지된 하나 이상의 감지값을 포함하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 및 GPS부(23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로 전송한다. 유해물질 상태 정보는 감지값 이외에 감지값 생성 시간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220 transmits the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detected value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unit 230 to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The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generation time of the detection value in addition to the detection value.

중계통신부(220)는 하나 이상의 감지값을 소정의 제2 임계값과 비교하여, 유해물질이 누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소정의 제2 임계값은 전술한 제1 임계값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220 compares one or more detection values with a predetermined second threshold, determines whether or not a hazardous substance has been leaked, and generates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data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hazardous substance has been leaked.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The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may be set equal to the above-described first threshold value, or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embodiments.

GPS부(230)는 제1 환경 센서(112)의 위치 정보를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하고, 중계통신부(220)에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환경 센서(112)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고, 해당 위치를 식별하는 별도의 위치식별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중계통신부(220)로 유해물질 상태 정보 및 상기의 별도의 위치식별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The GPS unit 23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environment sensor 112 from a GPS satellite and provide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220. When the first environmental sensor 112 is installed at a fixed location and there is separat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the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and the separat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relay communication unit 220. have.

도 3은 도 1의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apparatus 120 of FIG. 1.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정보 분석부(310), 제어부(320), 유해물질 관리 정보 생성부(330) 및 통신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apparatus 120 may include an information analysis unit 310, a control unit 320, a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0, and a communication unit 340.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분석부(310)는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112, 114, 116)로부터 유해물질을 운반하는 차량 또는 유해물질을 보관하는 저장소에 보관된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3,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31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hazardous substance stored in a vehicle carrying a hazardous substance or a storage storing a hazardous substance is leaked from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112, 114, 116. Receive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hazardous substances, including.

정보 분석부(310)는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112, 114, 116)로부터 수신된 유해물질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를 검색한다.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310 searches for the big data storage device 130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 received from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112, 114, and 116.

제어부(320)는 정보 분석부(310)의 검색이 완료되면, 유해물질 관리 정보 생성부(330)가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search of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31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320 may control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0 to generate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유해물질 관리 정보 생성부(330)가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면, 제어부(320)는 생성된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대응 네트워크(1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0 generates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the controller 32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340 to transmit the generated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10.

유해물질 관리 정보 생성부(330)는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생성할 때,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에 저장된 정보 외에도, 정부기관 서버(30)를 포함한 각종 외부의 서버, 예를 들어 기상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유해물질 확산 예측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유해물질 관리 정보와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확산 예측 모델링 결과를 대응 네트워크(10)로 전달하고, 빅데이터 저장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generating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0,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big data storage device 130, includes various external servers including the government agency server 30, for example, a meteorological server ( (Not shown) can perform prediction modeling for the diffusion of harmful substances using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320 may transmit the diffusion prediction modeling result together with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or sequentially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10 and transmit it to the big data storage device 130.

유해물질 확산 예측 모델링 결과는 현재 실시간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 기상 예측 정보를 반영한 시간대별 유해물질의 확산 영역 및 농도 변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유해물질 관리 정보 및 확산 예측 모델링 결과가 대응 네트워크(10)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20, 40) 및 정부기관 서버(30)에 즉각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유해물질 누출 사고시 신속하게 초동 대응을 할 수 있다. The modeling result for predicting the diffusion of hazardous substances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diffusion region and concentration change of hazardous substances by time period reflecting real-tim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real-tim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20,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diffusion prediction modeling result can b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s 20 and 40 and the government agency server 30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network 10. In the event of a hazardous substance leakage accident,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the initial response.

유해물질 관리 정보 생성부(330)는 확산 예측 모델링 결과를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유해물질 관리 정보 생성부(330)는 환경 센서 네트워크(110)로부터 GSP와 같은 위치 정보와 함께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각 환경 센서(112, 114, 116)의 위치 및 각 환경 센서(112, 114, 116)로부터 수신되는 유해물질의 농도, 유해물질이 저장된 저장소의 압력, 온도 등의 정보를 환경 센서 네트워크(110)가 설치된 지역 또는 설치 구조물 등의 지도 정보와 결합하여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0 may generate the toxic substance diffusion image map information in order to visually deliver the diffusion prediction modeling result. Since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30 can receiv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together with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GSP from the environmental sensor network 110, the location of each environmental sensor 112, 114, 116 and each environmental sensor Diffusion of hazardous substances by combining information such as concentr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received from (112, 114, 116), pressure of storage where hazardous substances are stored, and temperature, with map information such as the area where the environmental sensor network 110 is installed or the installed structure. Video map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hazardous substance leak detection service using an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물인터넷 기반의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112, 114, 116)는 유해물질을 운반하는 차량 또는 유해물질을 보관하는 저장소에 보관된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410).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112, 114, 116)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 각각의 위치 정보와 함께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유해물질 상태 정보는, 유해물질의 감지값 및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외에도, 감지값의 감지 시간 정보, 유해물질의 온도 정보, 압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4, one or more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s 112, 114, and 116 are configured to carry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whether or not hazardous substances stored in a vehicle carrying hazardous substances or a storage for storing hazardous substances leak. The material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410). The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112, 114, 116 may transmit the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to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apparatus 120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In addition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hazardous substance and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hazardous substance is leaked, the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detection time information of the detection valu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 pressure information, and the like.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112, 114, 116)로부터 수신된 유해물질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유해물질 관련 사고 정보를 저장하는 빅데이터 저장 장치를 검색한다(420).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searches for a big data storage device that stores accident information related to hazardous substances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 received from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112, 114, and 116 (420).

유해물질 관리 장치(120)는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대응 네트워크(10)(즉, 사용자 단말(20, 40) 및 정부기관 서버(30))로 전송한다(430). 유해물질 관리 정보는 유해물질의 종류 및 유해물질의 보관 상태에 따른 유해물질 특성 정보,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 양태 정보 및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 대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20 generates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 resul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10 (that is, the user terminals 20 and 40 and the government agency server 30). ) To transmit (430).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substances according to types of hazardous substances and storage conditions of hazardous substances, information on accident patterns of hazardous substances leakage, and information on response to accidents involving leakage of hazardous substances.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des and code segments implementing the above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isk, and the like.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by a network, and stored and execu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ose described in the claims.

110: 환경 센서 네트워크 112: 제1 환경 센서
114: 제2 환경 센서 116: 제3 환경 센서
120: 유해물질 관리 장치 130: 빅데이터 저장 장치
140: 유해물질 수집 장치 310: 정보 분석부
320: 제어부 330: 유해물질 관리 정보 생성부
340: 통신부
110: environmental sensor network 112: first environmental sensor
114: second environmental sensor 116: third environmental sensor
120: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130: big data storage device
140: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310: information analysis unit
320: control unit 330: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40: Ministry of Communications

Claims (7)

유해물질을 운반하는 차량 또는 유해물질을 보관하는 저장소에 보관된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
유해물질 관련 사고 정보를 저장하는 빅데이터 저장 장치; 및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로부터 유해물질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빅데이터 저장 장치를 검색하여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유해물질 사고의 대응을 위한 하나 이상의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하는 대응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유해물질 관리 장치; 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 각각의 위치 정보와 함께 유해물질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유해물질 관리 정보는 유해물질의 종류 및 유해물질의 보관 상태에 따른 유해물질 특성 정보,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 양태 정보 및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 대응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At least one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 tha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tate of hazardous substances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hazardous substances stored in a vehicle carrying hazardous substances or a storage storing the hazardous substances leaked;
Big dat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ccident information related to hazardous substances; And
Generates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by searching a big data storage device based on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and includes one or more terminals and one or more servers for responding to hazardous substance accidents using the generated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A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that transmits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Including,
The at least one environmental sensor transmits the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environmental sensor to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substances according to types of hazardous substances and storage conditions of hazardous substances, information on accident patterns of leakag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information on response to accidents involving leakage of hazardous substances. Hazardous substance leakage detec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제1항에 있어서,
빅데이터 저장 장치는 유해물질 관련 사고 정보를 각 사고별 및 각 유해물질별로 유해물질 누출 사고 일시 정보, 유해물질 누출 사고 장소 정보, 유해물질 누출에 따른 초동 대응 시간 정보, 유해물질의 누출 확산 상태 정보, 유해물질 누출에 따른 초동 대응 방법 정보가 검색되도록 저장하고 제공하고,
초동 대응 방법 정보는 정형화 정보 및 비정형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정보는 정형화 정보 및 비정형화 정보 중 가치있는 정보로 선정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ig data storage device provides information on accidents related to hazardous substances for each accident and for each hazardous substance, information on the date and time of the accident, location information on the accident location, information on the initial response time according to the leakag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information on the spread status of the leakage of hazardous substances. , Store and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respond to the leakage of hazardous substances so that initial response method information can be retrieved,
Hazardous substances using an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itial response method information may include standardized information and unstructured information, and the provided information is information selected as valuable information among standardized information and non-standardized information. Leak detection service deliver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유해물질 관리 장치는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생성할 때, 외부의 기상 서버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유해물질 확산 예측 모델링을 수행하고, 확산 예측 모델링 결과를 대응 네트워크로 전달하고,
유해물질 확산 예측 모델링 결과는 현재 실시간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기초로 실시간 기상 예측 정보를 반영한 시간대별 유해물질의 확산 영역 및 농도 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generating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performs prediction modeling for the diffusion of hazardous substances using real-time meteorolog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meteorological server, and delivers the diffusion prediction modeling result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Hazardous substances using an Internet of Things-based environmenta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ult of the modeling for prediction of the diffusion of hazardous substances includes information on the diffusion area and concentration change of hazardous substances by time period reflecting real-tim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based on the current real-tim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Leak detection service deliver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유해물질 관리 장치는 기상 정보와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결합하여 유해물질의 확산 및 분포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도록 국지적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를 생성하고, 국지적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를 기초로 시설물 설치 지형 정보를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누출된 유해물질의 확산 및 분포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도록 광역적 유해물질 확산 영상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combines meteorological information and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to create localized hazardous substance diffusion image map information to show the diffusion and distribution process of hazardous substances in a time series, and based on the local hazardous substance diffusion image map information, facilities A hazardous material leak detection service using an IoT-based environment sensor, characterized by generating global map information of a wide-area hazardous material diffusion image to indicate the spreading and distribution process of the leaked hazardous material in time series by additionally reflecting the installation topographic information. Delivery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유해물질 관리 장치는 유해물질 확산 예측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을 각각 구동하고, 각각의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의 구동 결과의 비교 정보를 대응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각각의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의 구동 결과의 비교 정보를 대응 네트워크로 전송할 때, 각각의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의 구동 결과가 생성되는 순서대로 대응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최종적으로 복수의 확산평가모델의 구동 결과의 비교 정보를 대응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drives a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respectively, to perform a hazardous substance diffusion prediction modeling, transmits comparis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resul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to a corresponding network, and transmits each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When the comparis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results of the models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the driving resul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ar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network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generated, and finally, the comparis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results of the plurality of diffusion evaluation models is corresponded. A system for providing a leak detection service for hazardous substances using an Internet of Things-based environmental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ssion through a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수집된 유해물질을 보관하는 수집 용기를 포함하여 유해물질을 수집 용기에 수집하는 유해물질 수집 장치를 더 포함하고,
유해물질 관리 장치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농도를 나타내는 유해물질 감지값과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고, 유해물질의 감지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오염물질 수집 장치가 동작하여 오염물질을 수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해물질 수집 장치는 수집이 완료된 경우 수집 용기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유해물질 관리 장치로 수집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Located in proximity to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further comprising a hazardous substance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hazardous substances in the collection container, including a collection container for storing the collected hazardous substances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compares the hazardous substance detection value indica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substance included in the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hazardous substanc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pollutant collection device operates. Control to collect pollutants,
When the collection is complete, the hazardous material collection device notifies the hazardous material management device that the collection has been completed so that the collection container can be replaced.
사물인터넷 기반의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는 유해물질을 운반하는 차량 또는 유해물질을 보관하는 저장소에 보관된 유해물질의 누출 여부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로부터 유해물질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유해물질 관련 사고 정보를 저장하는 빅데이터 저장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및
유해물질 관리 장치는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유해물질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대응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는 유해물질 상태 정보를 하나 이상의 환경 센서 각각의 위치 정보와 함께 유해물질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유해물질 관리 정보는 유해물질의 종류 및 유해물질의 보관 상태에 따른 유해물질 특성 정보,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 양태 정보 및 유해물질의 누출 사고 대응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환경 센서를 이용한 유해물질 누출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At least one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 is configured to transmit status information of a hazardous substance including whether or not a hazardous substance stored in a vehicle carrying a hazardous substance or a storage storing the hazardous substance is leaked;
Searching a big dat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ccident information related to hazardous substances based on status information of hazardous substances from one or more environmental sensors; And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apparatus generates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search resul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to a corresponding network; Including,
The at least one environmental sensor transmits the hazardous substance status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environmental sensor to th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device,
Hazardous substanc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substances according to types of hazardous substances and storage conditions of hazardous substances, information on accident patterns of leakage of hazardous substances, and information on response to accidents involving leakage of hazardous substances. A method of providing a hazardous substance leak detection service using an IoT-based environmental sensor using
KR1020190145078A 2019-11-13 2019-11-1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rmful material monitoring service using IoT based environmental sensors KR202100580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078A KR20210058081A (en) 2019-11-13 2019-11-1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rmful material monitoring service using IoT based environmental sens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078A KR20210058081A (en) 2019-11-13 2019-11-1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rmful material monitoring service using IoT based environmental sens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81A true KR20210058081A (en) 2021-05-24

Family

ID=7615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078A KR20210058081A (en) 2019-11-13 2019-11-1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rmful material monitoring service using IoT based environmental sens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8081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8582B1 (en) 2021-07-07 2022-05-10 T-Mobile Usa, Inc. Enhanced hazard detection device configured with security and communications capabilities
KR102428455B1 (en) * 2021-11-29 2022-08-03 대한민국 Communication network-based hazardous chemical accident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KR20230042857A (en) * 2021-09-23 2023-03-30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viding a decision support service for hazardous chemical spill situation management
KR102540986B1 (en) * 2022-07-06 2023-06-13 대한민국 System for providing alarm of leakage of chemical material and method for providing alarm of leakage of chemical material
KR102574441B1 (en) * 2022-12-23 2023-09-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Hydrogen facility real-time risk prediction system, method and application using the same
KR102639210B1 (en) * 2023-08-17 2024-02-21 주식회사 테크에버 Ammonia leakag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nd the method of thereof
KR102639886B1 (en) * 2023-09-18 2024-02-23 주식회사 에스아이웨어 Method and system for ammonia tank module monitor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996B1 (en) 2011-06-24 2012-09-05 주식회사 맥스포 System for monitoring harmful gases and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996B1 (en) 2011-06-24 2012-09-05 주식회사 맥스포 System for monitoring harmful gases and method of the s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8582B1 (en) 2021-07-07 2022-05-10 T-Mobile Usa, Inc. Enhanced hazard detection device configured with security and communications capabilities
KR20230042857A (en) * 2021-09-23 2023-03-30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roviding a decision support service for hazardous chemical spill situation management
KR102428455B1 (en) * 2021-11-29 2022-08-03 대한민국 Communication network-based hazardous chemical accident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KR102540986B1 (en) * 2022-07-06 2023-06-13 대한민국 System for providing alarm of leakage of chemical material and method for providing alarm of leakage of chemical material
WO2024010391A1 (en) * 2022-07-06 2024-01-11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Chemical material leakage alarm-providing system and chemical material leakage alarm-providing method
KR102574441B1 (en) * 2022-12-23 2023-09-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Hydrogen facility real-time risk prediction system, method and application using the same
KR102639210B1 (en) * 2023-08-17 2024-02-21 주식회사 테크에버 Ammonia leakage accident prevention system and the method of thereof
KR102639886B1 (en) * 2023-09-18 2024-02-23 주식회사 에스아이웨어 Method and system for ammonia tank module monito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8081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rmful material monitoring service using IoT based environmental sensors
Smys A survey on internet of things (IoT) based smart systems
KR101692926B1 (en) System And Method For Hazardous Chemicals Release Detection And Response
US20080258880A1 (en) Information Collecting and Decision Making Via Tiered Information Network Systems
CN108805368A (en) A kind of atmospheric environment intellectualiz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space-air-ground integration
Sosunova et al. IoT-enabled smart waste management systems for smart cities: A systematic review
CN111445369B (en) Urban large-scale aggregation activity information early warn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LBS big data
JP2006133121A (en) Base section, air pollu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ir pollution prediction method, and ventilation device
Khot et al. Survey on air pollution monitoring systems
KR2021009798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rmful material monitoring service using IoT based smart environmental sensors
CN104331833A (en) Early warning method for environment risk source
Abd El-Mawla et al. IoT for the failure of climate-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and IIoT as a future solution
Attia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future applications of IoT technology
Park et al. A study on worker’s positional management and security reinforcement scheme in smart factory using industry 4.0-based bluetooth beacons
Dobrilovic et al. A model of UAV-based waste monitoring system for urban areas
Anjum et al. Smart waste management paradigm in perspective of IoT and forecasting models
Pešić et al. GEMAT-Internet of things solution for indoor security geofencing
CN116957495A (en) Urban public safet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g data
CN114792463B (en) Intelligent virtual label safety war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ree-dimensional GIS
Dzemydiene et al. Development of architecture of embedded decision support systems for risk evaluation of transportation of dangerous goods
Kim et al. Signal processing and alert logic evaluation for IoT–based work zone proximity safety system
Karaman et al. Internet of things: Success stores and challenges in manufacturing
Muhic et al. Internet of things: Current technological review
Sissodia et al. Challenges in Various Applications Using IoT
Dzemydiene et al. Multi-Layered Architecture of Decision Support System for Monitoring of Dangerous Good Transpor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