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040A - Multi-access control method and booth apparatus, and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Multi-access control method and booth apparatus, and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040A
KR20210058040A KR1020190144983A KR20190144983A KR20210058040A KR 20210058040 A KR20210058040 A KR 20210058040A KR 1020190144983 A KR1020190144983 A KR 1020190144983A KR 20190144983 A KR20190144983 A KR 20190144983A KR 20210058040 A KR20210058040 A KR 20210058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ccess control
door lock
booth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9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9772B1 (en
Inventor
박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빈플랫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빈플랫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빈플랫
Priority to KR102019014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772B1/en
Publication of KR2021005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0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10Movable barriers with registering means
    • G07C9/15Movable barriers with registering means with arrangements to prevent the passage of more than one individual at a ti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 a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nd an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oth device which comprises a booth body, a first door lock module, and a second door lock. Therefore, entry of abnormal entrants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2차 출입 통제 방법,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Multi-access control method and booth apparatus, and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with the same}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nd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2차 출입 통제 방법,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단순한 1차의 지문 인식 방식의 경우 정상적인 출입 허가를 받은 한 명으로 인해 출입 허가를 받지 않는 다수의 인원의 통제가 어려운 한계점을 극복하도록 하기 위한 2차 출입 통제 방법,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 a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nd an unattended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existing simple primary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normal access permission is required. It relates to a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 for overcoming the difficult limit of control of a large number of personnel who are not granted access due to one received, a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nd an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무인 출입통제시스템과 관련된 종래 기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15182호(실시간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은 특정 공간에서 발생하는 실시간 이벤트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출입 패턴 정보를 분석하고 이러한 출입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공간에 대한 재실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정된 영역 내에서 분할된 복수 공간에 각각 구비되며, 해당 공간에 대하여 기등록 사용자의 출입을 허가하며 사용자의 출입에 따른 실시간 이벤트 로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출입통제장비; 상기 출입통제장비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이벤트 로그 데이터와 기등록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출입 권한을 부여하도록 상기 사용자 정보를 등록 또는 삭제하여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시간 이벤트 로그 데이터를 추출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출입 패턴 정보를 파악하며 상기 출입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각 공간에 대한 재실 관리를 수행하는 운용소프트웨어; 및 상기 출입통제장비와 데이터베이스 및 운용소프트웨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First,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15182 (access control system using real-time log data) analyzes the user's access pattern information using real-time event log data generated in a specific space and analyzes the access pattern information. Based on the access control system using log data that can perform occupancy management for the specific space, in detail, i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divided spaces within a designated area, and the access of a registered user to the corresponding space. At least one access control device that allows access and generates real-time event log data according to the user's access; A database in which real-time event log data transmitted from the access control device and information of pre-registered users are stored; Register or delete the user information to grant the user's access authority and store it in the database, extract and analyze real-time event lo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to identify the user's access pattern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access pattern information Operating software that performs occupancy management for each space; And a communication ser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access control device and the database and operating software.

다음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0-0012628호(패턴인식을 통한 출입통제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화상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화상데이터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하는 전처리부; 상기 전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객체 인식에 필요한 특징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 상기 특징 추출부에서 추출한 특징을 이용하여 패턴을 학습하는 패턴 학습부; 상기 패턴 학습부에서 학습된 패턴을 저장하는 패턴 데이터베이스; 상기 패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특징 추출부에서 추출한 특징에 대해 패턴을 인식하는 패턴 인식부; 및 상기 패턴 인식부에서 인식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객체의 출입여부를 판단하는 객체 판별부를 포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Next,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12628 (Access control system through pattern recognition) includes an input unit receiving image data including one or more objects; A pre-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pre-processing on the image data input from the input unit; A feature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features necessary for object recognition from the data processed by the preprocessor; A pattern learning unit that learns a pattern using the features extracted from the feature extraction unit; A pattern database storing the pattern learned by the pattern learning unit; A pattern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a pattern with respect to the feature extracted by the feature extraction unit by using the pattern stored in the pattern database; And an objec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enter the object based on a result recognized by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146824호(출입관리시스템 및 출입관리방법)은 관리서버는 액세스 포인트에 미리 지정된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여 저장해 둘 수 있고, 이동단말은,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정보를 읽고 그 고유정보를 통해 미리 특정된 액세스 포인트인 것을 확인하면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그 활성화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미리 지정된 블루투스 신호를 보내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지정된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면 액세스 포인트가 출입문의 개방을 허용하는 신호를 출입문에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146824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allows the management server to transmit and store a preset Bluetooth signal to the access point, and the mobile terminal can store it through Wi-Fi communication. Whe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is read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access point is specified in advance through the unique informatio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is activated, and a Bluetooth signal specified in advance is sent to the access point through the activated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access point is When receiving a designated Bluetooth signal, the access point transmits a signal allowing the door to be opened to the door.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4-0069107호(전광게시판 및 조명 겸용 차량출입관리시스템)은 차량의 번호판을 LPR(Licence Plate Recognition) 카메라로 촬영할 경우 필요한 조명을 상시적으로 발광되어 있는 전광게시판을 통해서 제공하고, 촬영 후 전광게시판에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으로 파악된 정보를 게시하여 운전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69107 (Vehicle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Combined Electric Light Board and Lighting) is an electric light that constantly illuminates the necessary lighting when photographing the license plate of a vehicle with an LPR (Licence Plate Recognition) camera. It is provided through a bulletin board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driver to safely and conveniently enter by posting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vehicle's license plate recognition on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after shooting.

그러나 상기 소개된 종래의 기술들은 기존의 단순한 1차의 인식 방식의 경우 정상적인 출입 허가를 받은 하나의 객체의 출입 허가에 의해 출입 허가를 받지 않는 다수의 객체를 통제가 어려운 한계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각자의 방식으로 1번의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복사되거나 위조된 거짓 인증 정보에 무방비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s introduced above have limitations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a number of objects that do not receive access permission due to the access permission of one object that has received normal access permission in the case of the existing simple primary recognition method.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authentication is performed once in the manner of being unprotected against fals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at has been copied or forged.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15182호 "실시간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The access control system using real time-log data)"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15182 "The access control system using real time-log data"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0-0012628호 "패턴인식을 통한 출입통제시스템(ACCESS CONTROL SYSTEM THROUGH PATTERN RECOGNITION)"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12628 "ACCESS CONTROL SYSTEM THROUGH PATTERN RECOGNITION"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146824호 "출입관리시스템 및 출입관리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NTRANCE AND EXIT)"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146824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NTRANCE AND EXIT)"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4-0069107호 "전광게시판 및 조명 겸용 차량출입관리시스템(Car in-and-out management system with electric sign functioning as a light)"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69107 "Car in-and-out management system with electric sign functioning as a light"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단순한 1차의 지문 인식 방식의 경우 정상적인 출입 허가를 받은 한 명으로 인해 출입 허가를 받지 않는 다수의 인원의 통제가 어려운 한계점을 극복하도록 하기 위한 2차 출입 통제 방법,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in the case of the existing simple primary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it is to overcome a limit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ontrol a large number of persons who do not receive access permission due to one person who has been granted normal access permission. It is to provide a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 a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nd an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입실뿐만 아니라 퇴실의 경우도 2차로 출입 통제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출입자의 출입을 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2차 출입 통제 방법,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 to prevent the entrance of abnormal visitors, a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nd unattended access control including the same by controlling access in the case of entering as well as exiting. It is to provide a system.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출입문 도어를 활용하되, 기존의 출입문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부스에 설치됨으로써, 출입 통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신속성이 보장되고, 연구소, 사무실, 대중 시설, 가정 등과 같이 장소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2차 출입 통제 방법,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existing entrance door, but is installed in a booth fixed in a way that is connected to the existing entrance door, so that the speed for building an access control system is guaranteed, and places such as research institutes, offices, public facilities, homes, etc. It is to provide a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 for convenient installation regardless of the situation, a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nd an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는,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제작되기 위해 재질은 각 파이프 프레임에 각 파이프 프레임 내부를 구성하는 패널은 미리 설정된 두께의 강화 유리 재질로 형성되며, 기존의 출입문에 형성된 제 1 도어와 맞닿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 1 도어를 통한 입실의 진행 방향에 제 2 도어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부스 몸체; 상기 제 1 도어 상의 손잡이 영역에 형성되며, 1차 인증을 위해 상기 제 1 도어를 통해 입실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 1 도어 인증기와, 상기 제 1 도어를 통해 퇴실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 1 도어 출구버튼,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에 대해서 도어락 온(On), 도어락 오프(Off) 상태를 제공하는 도어락으로 구성되는 제 1 도어락 모듈; 및 상기 제 2 도어 상의 손잡이 영역에 형성되며, 2차 인증을 위해 상기 제 2 도어를 통해 입실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 2 도어 인증기와, 상기 제 2 도어를 통해 퇴실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 2 도어 출구버튼, 상기 제 2 도어에 대해서 도어락 온(On), 도어락 오프(Off) 상태를 제공하는 도어락으로 구성되는 제 2 도어락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a preset size, so that the material is in each pipe frame and the panel constituting the inside of each pipe frame has a preset thickness. A booth body formed of a tempered glass material, positioned to contact a first door formed on an existing entrance door, and formed in a structure connected to a second door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entrance through the first door; A first door authenticator formed in a handle area on the first door and installed in a direction entering through the first door for primary authentication, and a first door exit installed in a direction exiting through the first door A first door lock module comprising a button and a door lock providing door lock on and door lock off s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authenticator formed in a handle area on the second door and installed in a direction entering through the second door for secondary authentication, and a second door installed in a direction leaving through the second door. A second door lock module comprising an exit button and a door lock providing door lock on and door lock off states for the second do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부스 몸체에서 상기 제 1 도어 및 상기 제 2 도어와 맞닿는 수직의 4각 프레임 중 하단 프레임에는 양철 프레임을 활용하여 턱을 낮게 양측 및 상측 프레임의 직경에 비해 1/2 내지 1/3의 크기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ower frame of the vertical quadrangular frame in contact with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in the booth body, a tin frame is used to lower the jaws from 1/2 to the diameter of the upper and upper frame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designed in a size of 1/3.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 방법은,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의 제어부가 1차 지문인증에 따라 제 1 도어의 제 1 도어락 모듈에 대한 도어락 오프(Off)를 수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시 센서 모듈을 구성하는 인원수 카운팅 센서에 대한 작동을 통해 1명 이상이 입장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도어의 부스 몸체에 닫히는 것을 제 1 압력센서에 의해 인식하고, 상기 인원수 카운팅 센서에 의해 1명이 인식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도어에 형성된 제 2 도어락 모듈의 제 2 도어 인증기에 의해 2차 지문 인증과 상기 1차 지문 인증에서의 인식된 출입 허가자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 2 도어의 상기 제 2 도어락 모듈에 대한 도어락 오프(Off)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second acces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f the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turns off the door lock for the first door lock module of the firs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fingerprint authentication. A first step of performing (Off); A second step of detecting, by the control unit, that at least one person enters through an operation of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sensor constituting the sensor module at all times; And a first pressure sensor recognizes that the control unit is closed to the booth body of the first door, and one person is recognized by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sensor, and the second door of the second door lock module formed on the second door A third step of performing a door lock off for the second door lock module of the second door when the seco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and the recognized access permission in the first fingerprint authentication are the same by an authenticato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때,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도어의 상기 부스 몸체에 닫히는 것을 제 1 압력센서에 의해 인식하는 경우, 제 1 도어의 제 1 도어락 모듈에 대한 도어락 온(On)을 통해 제 1 도어가 부스 몸체로 클로즈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in the third step, whe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at the booth body of the first door is closed by the first pressure sensor, the first door locks the first door lock module of the first door. 1 controlling the door to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by the booth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2 도어의 상기 부스 몸체에 닫히는 것을 제 2 압력센서에 의해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 2 도어의 상기 제 2 도어락 모듈에 대한 도어락 온(On)을 통해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부스 몸체로 클로즈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hird step, whe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at the second door is closed on the booth body, the door lock is turned on for the second door lock module of the second door. A fourth step of controlling the second door to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by the booth body through (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 방법,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은, 기존의 단순한 1차의 지문 인식 방식의 경우 정상적인 출입 허가를 받은 한 명으로 인해 출입 허가를 받지 않는 다수의 인원의 통제가 어려운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nd the unattended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in the case of the existing simple primary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one person who has received normal access permission.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a large number of personnel who do not receive access permiss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 방법,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은, 입실뿐만 아니라 퇴실의 경우도 2차로 출입 통제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출입자의 출입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 the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nd the unattended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access not only in the case of entering but also in the case of leaving, abnormal accessor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lock the entry of peopl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 방법,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은, 기존의 출입문의 도어를 활용하되, 기존의 출입문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부스에 설치됨으로써, 출입 통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신속성이 보장되고, 연구소, 사무실, 대중 시설, 가정 등과 같이 장소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 a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nd an unattended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door of the existing door, but connects to the existing door. By being installed in a booth fixed in such a manner as to ensure the rapidity for building an access control system,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regardless of the location such as research centers, offices, public facilities, and hom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 중 제어부(18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 중 제어부(180)에 의한 2차 출입 통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 방법 중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를 활용한 입실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 방법 중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를 활용한 퇴실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controller 180 of the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econdary access control process by the controller 180 of the booth apparatus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unattended access control system 1 including a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trance process using a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mong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it process using a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mong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transmits' data or a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can directl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the other compon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는 제 1 도어(110), 제 1 도어락 모듈(120), 부스 몸체(130), 제 2 도어(140), 제 2 도어락 모듈(150), 도어 클로저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제어부(180), 통신부(190a) 및 저장부(190b)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includes a first door 110, a first door lock module 120, a booth body 130, a second door 140, and 2 It may include a door lock module 150, a door closer module 160, a sensor module 170, a control unit 180, a communication unit 190a, and a storage unit 190b.

부스 몸체(130)는 길이 80 cm, 넓이 80 cm, 높이 200cm의 크기로 재질은 각 파이프 프레임에 각 파이프 프레임 내부를 구성하는 패널은 5T 두께의 강화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존의 출입문에 형성된 제 1 도어(110)와 맞닿도록 위치하며, 제 1 도어(110)를 통한 입실의 진행 방향에 제 2 도어(140)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oth body 130 is 80 cm long, 80 cm wide, and 200 cm high, and the material is each pipe frame, and the panels constituting the interior of each pipe frame may be formed of a 5T-thick tempered glass material. The second door 140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ormed first door 110 and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ntrance through the first door 110 proceeds.

한편, 부스 몸체(130)에서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40)와 맞닿는 수직의 4각 프레임 중 하단 프레임에는 양철 프레임을 활용하여 턱을 낮게 양측 및 상측 프레임의 직경에 비해 1/2 내지 1/3의 크기로 설계함으로써, 입실 및 퇴실시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vertical quadrangular frames in contact with the first door 110 and the second door 140 in the booth body 130, the lower frame utilizes a tin frame to lower the jaws 1/ By designing it in a size of 2 to 1/3, it is possible to make it convenient for entering and leaving.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도어(110)는 부스 형태로 형성되는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가 설치되기 위한 기존의 출입문에 구비된 출입문으로서, 이용한 1차 인증을 위해 제 1 도어락 모듈(120)이 설치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door 110 is an entrance door provided in an existing entrance door for installing the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formed in the form of a booth, and a first door lock module for primary authentication used 120 can be installed.

제 1 도어락 모듈(120)은 제 1 도어(110)를 통해 입실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 1 도어 인증기(121)와, 제 1 도어(110)를 통해 퇴실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 1 도어 출구버튼(1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includes a first door authenticator 121 installed in a direction entering through the first door 110 and a first door exit installed in a direction exiting through the first door 110 It may include a button 122.

제 2 도어(140)는 부스 형태로 형성되는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에서 기존의 출입문의 내측에 형성되는 출입문으로서, 이용한 2차 인증을 위해 제 2 도어락 모듈(120)이 설치될 수 있다. The second door 140 is an entrance door formed inside the existing entrance door in the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formed in the form of a booth, and a second door lock module 120 is installed for secondary authentication used. Can be.

제 2 도어락 모듈(150)은 제 2 도어(140)를 통해 입실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 2 도어 인증기(151)와, 제 2 도어(140)를 통해 퇴실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 2 도어 출구버튼(15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includes a second door authenticator 151 installed in a direction entering through the second door 140 and a second door exit installed in a direction exiting through the second door 140 It may include a button 152.

또한, 도어 클로저 모듈(160)은 제 1 도어(110)와 부스 몸체(130) 사이에 형성되어 제 1 도어(110)의 오픈(Open) 및 클로즈(Close) 시의 완충역할을 수행하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제 1 도어 클로저(161), 그리고 제 2 도어(140)와 부스 몸체(130) 사이에 형성되어 제 2 도어(140)의 오픈 및 클로즈 시의 완충역할을 수행하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자동 제어가 가능한 제 2 도어 클로저(16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closer module 16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door 110 and the booth body 130 to perform a buffering role when the first door 110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control unit The first door closer 161 that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180, and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door 140 and the booth body 130 to act as a buffer when the second door 140 is opened and closed. And a second door closer 162 capable of automatic contro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여기서, 제 1 도어 클로저(161) 및 제 2 도어 클로저(162)는 구동부가 별도로 구비됨으로써, 제어부(180)의 제어를 받으며 구동부는 유압 실리던 및 피스톤에 1자의 연장바 형태의 다른 한 단이 연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door closer 161 and the second door closer 162 are separately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so that the driving un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80, and the driving unit has a hydraulic cylinder and the other end in the form of a single extension bar on the piston. It can be formed in a connected structure.

이러한 구성을 통해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는 제 1 도어(110)에 형성된 제 1 도어락 모듈(120)의 제 1 도어 인증기(121)에 의한 1차 지문 인식과 센서 모듈(170)을 구성하는 인원수 카운팅 센서를 이용한 인원수 카운팅에 따른 인원수 체크 이후의 제 2 도어(140)에 형성된 제 2 도어락 모듈(150)의 제 2 도어 인증기(151)에 의한 2차 지문 인식이 모두 통과된 경우 입실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출입통제 시스템 상에서 1차 및 2차 인증시에 동일한 1명만이 기존의 일반 도어에 해당하는 제 1 도어(110)를 이용하여 설치된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를 통해 입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first fingerprint by the first door authenticator 121 of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formed on the first door 110 and a sensor module ( All of the secondary fingerprint recognition by the second door authenticator 151 of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formed in the second door 140 after the number of people is check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using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sensor constituting 170).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installed using the first door 110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general door only by the same person dur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authentication on the access control system by allowing entry if passed. You can enter the room through (100).

즉,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제 1 도어(110)에 형성된 제 1 도어락 모듈(120)의 제 1 도어 인증기(121)에 의한 1차 지문 인식에 따라 출입 허가자의 지문인 경우 제 1 도어(110)에 설치된 제 1 도어락 모듈(120)의 도어락(door lock)을 오프(off) 상태, 즉 제 1 도어(110)에 대한 오픈(Open)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부스 몸체(130)의 상부면 또는 부스 몸체(130)가 설치된 영역의 천정면에 형성된 센서 모듈(170)의 인원수 카운팅 센서(171)에 의해 제 1 도어(110)를 통해 들어온 인원수를 카운팅 한 뒤, 정상적인 1인 출입인지 비정상적인 2인 이상의 출입인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80 of the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is applied to the first fingerprint recognition by the first door authenticator 121 of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formed in the first door 110.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fingerprint of the person authorized to enter, the door lock of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installed in the first door 110 is turned off, that is, in an open s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door 110. Can be set. 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first door 110 by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sensor 171 of the sensor module 17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oth body 130 or the ceiling surface of the area where the booth body 130 is installed. After counting the number of people who entered through it, it is possible to analyze whether it is a normal one-person entry or an abnormal two-person entry.

본 발명에서 인원수 카운팅 센서(171)는 CCTV(174)와 함께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가 설치된 천정에 적외선 감지 센서와 이미지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감지된 적외선 신호를 이미지 프로세서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인식된 인원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원수 카운팅 센서(171)는 적외선 감지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레이저 인식 방식 등을 통해 인원수를 획득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sensor 171 may be formed to include an infrared detection sensor and an image processor on the ceiling in which the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long with the CCTV 174 is installed, and transmits the detected infrared sig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number of people recognized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of the image processor.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sensor 171 is not limited to an infrared sensor, and the number of people may be obtained through a laser recognition method or the like.

제어부(180)는 정상적인 1인 출입의 경우, 부스 몸체(130)에 클로즈 상태의 제 2 도어(140)에 형성된 제 2 도어락 모듈(150) 중 제 2 도어(140)의 내측에 위치하여 형성된 제 2 도어 인증기(151)에 의한 2차 지문 인식에 따라 1차 지문 인식시의 출입 허가자와 동일한 지문인 경우 제 2 도어(140)에 설치된 제 2 도어락 모듈(150)의 도어락(door lock)을 오프(Off) 상태, 즉 제 2 도어(140)의 오픈(Open)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In the case of normal single-person access, the control unit 180 is a second door lock module 150 formed on the second door 140 in a closed state on the booth body 130, and is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door 140. 2 According to the secondary fingerprint recognition by the door authenticator 151, in the case of the same fingerprint as the access permit at the time of the primary fingerprint recognition, the door lock of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installed in the second door 140 is closed. It can be set to an off state, that is, to an open state of the second door 14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 중 제어부(18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 중 제어부(180)에 의한 2차 출입 통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controller 180 of the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econdary access control process by the controller 180 of the booth apparatus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unattended access control system 1 including a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정보 수집 모듈(181), 도 4의 단계(S1)의 1차 지문 인증을 처리하는 1차 인증 처리 모듈(182), 도 4의 단계(S2)의 인원수 카운팅을 통해 1명씩 출입이 통제되도록 하는 인원수 카운팅 모듈(183), 도 4의 단계(S3)의 2차 지문 인증을 처리하는 2차 인증 처리 모듈(184), 그리고 통지 모듈(18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1)은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 네트워크(200), 출입 관리 서버(300),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180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81, a primary authentication processing module 182 processing the primary fingerprint authentication of step S1 of FIG. 4, and a step S2 of FIG. 4. A number of people counting module 183 that controls access by one person through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of ), a second authentication processing module 184 that processes the seco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of step S3 of FIG. 4, and a notification module 185 It may include. And referring to FIG. 5, the unattended access control system 1 including a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is a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 network 200, an access management server 300, It may include a manager terminal 400.

정보 수집 모듈(181)은 출입 허가자에 대한 지문 정보를 제 1 도어락 모듈(120)의 제 1 도어 인증기(121) 및 제 2 도어락 모듈(150)의 제 2 도어 인증기(151)를 통해 각각 제 1 도어 출입 허가자 정보 및 제 2 도어 출입 허가자 정보로 수집하여 저장부(190b)에 저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collection module 181 transmits fingerprint information on the access permission person through the first door authenticator 121 of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and the second door authenticator 151 of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respectively. The first door access permission pers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door access permission person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90b.

여기서 제 1 도어 출입 허가자 정보 및 제 2 도어 출입 허가자 정보로 별도로 수집 저장하는 이유는 제 1 도어락 모듈(120)의 제 1 도어 인증기(121)와 제 2 도어락 모듈(150)의 제 2 도어 인증기(151)가 모두 지문 인식기로 형성되는 경우, 지문 인식의 식별 능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며, 2번의 저장을 통해 제 1 도어 인증기(121) 및 제 2 도어 인증기(151)에 의한 지문 인식 오류시 2개의 저장된 출입 허가자의 지문 정보의 대조를 통해 지문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Here, the reason for separately collecting and storing the first door access permission pers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door access permission person information is the second door authentication of the first door authenticator 121 and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of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This is because when the devices 151 are all formed by a fingerprint reader, the identification ability of fingerprint recognition may be different, and fingerprint recognition by the first door authenticator 121 and the second door authenticator 151 through two storage times. This is to increase the fingerprint recognition rate by matching the fingerprint information of two stored access permitrs in case of an error.

1차 인증 처리 모듈(182)은 제 1 도어(110)에 형성된 제 1 도어락 모듈(120)의 제 1 도어 인증기(121)에 의한 1차 지문 인식에 따라 출입 허가자의 지문인 경우 제 1 도어(110)에 설치된 제 1 도어락 모듈(120)의 도어락(door lock)을 오프(Off)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The primary authentication processing module 182 is the first door in the case of a fingerprint of an access permit according to the primary fingerprint recognition by the first door authenticator 121 of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formed in the first door 110. A door lock of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installed in 110 may be set to an off state.

도어 클로저 모듈(160)을 구성하며 제 1 도어(110)와 부스 몸체(130) 사이에 형성된 제 1 도어 클로저(161)가 제 1 도어(110)의 상부 내측에 한 단이 부착되고, 다른 한 단이 부스 몸체(130)의 상부를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 중 제 1 도어(110)가 닫아진 상태에서 제 1 도어(110)의 상부에 위치한 프레임과 90°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프레임 중 제 1 도어 클로저(161)의 한 단과 인접한 위치에 있는 프레임에 부착되는 경우, 1차 인증 처리 모듈(182)은 제 1 도어 클로저(161)의 한 단에 한 단과 다른 한 단과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동부에 대한 제어를 통해 제 1 도어(110)에 설치된 제 1 도어락 모듈(120)의 도어락(door lock)을 오프(off) 상태로 설정시 제 1 도어(110)를 자동으로 부스 몸체(130)로부터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A first door closer 161 formed between the first door 110 and the booth body 130, which constitutes the door closer module 160, has one end attached to the upper inner side of the first door 110, and the other One of the four frames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oth body 130, the frame located above the first door 110 with the first door 110 closed, and the second frame located in the 90° direction. 1 When attached to a frame in a position adjacent to one end of the door closer 161, the primary authentication processing module 182 is a driving unit that adjusts the length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door closer 161 When the door lock of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installed in the first door 110 is set to an off state through the control of the first door 110, the first door 110 is automatically removed from the booth body 130. It can be controlled to open.

인원수 카운팅 모듈(183)은 부스 몸체(130)의 상부면 또는 부스 몸체(130)가 설치된 영역의 천정면에 형성된 센서 모듈(170)의 인원수 카운팅 센서(171)에 의해 제 1 도어(110)를 통해 들어온 인원수를 카운팅 한 뒤, 정상적인 1인 출입인지 비정상적인 2인 이상의 출입인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module 183 controls the first door 110 by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sensor 171 of the sensor module 17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oth body 130 or the ceiling surface of the area where the booth body 130 is installed. After counting the number of people who entered through it, it is possible to analyze whether it is a normal one-person entry or an abnormal two-person entry.

여기서, 인원수 카운팅 모듈(183)은 정상적인 1인 출입의 경우이며, 부스 몸체(140) 중 제 1 도어(110)가 부스 몸체(130)에 클로즈(Close)시 제 1 도어(110)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된 부스 몸체(140)의 프레임 상에 형성된 제 1 압력 센서(172)에 의해 제 1 도어(110)의 부스 몸체(130)으로 클로즈 상태로 전환된 것을 인식하는 경우, 제 1 도어(110)에 형성된 제 1 도어락 모듈(120)을 도어락 온(On) 상태, 즉 제 1 도어(110)의 클로즈(Close) 상태로 제어할 뿐만 아니라 2차 인증 처리 모듈(184)로 2차 인증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Here,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module 183 is a case of normal one-person access, and a position where the first door 110 abuts when the first door 110 of the booth body 140 is closed to the booth body 130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first pressure sensor 172 formed on the frame of the booth body 140 formed in the first door 110 has been switched to the closed state, the first door 110 In addition to controlling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formed in the door lock on state, that is, to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door 110, a second authentication process is requested to the second authentication processing module 184. I can.

반대로, 인원수 카운팅 모듈(183)은 비정상적인 2인 이상의 출입인 경우, 제 1 압력 센서(172)에 의한 제 1 도어(110)의 클로즈 상태에 상관없이 제 1 도어락 모듈(120)에 대한 도어락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고 제 2 도어락 모듈(150)에 대해서 도어락 온(ON) 홀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인원수 카운팅 센서(171)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정상적인 1인 출입이 될 때까지 제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1인 출입이 인식되는 경우 상술한 정상적인 1인 출입시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number of persons counting module 183 is abnormally entering or exiting by two or more persons, the door lock is turned off for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regardless of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door 110 by the first pressure sensor 172 ( Off) state and control to maintain the door lock ON hold st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and at the same time control state until normal single person access for a preset time from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sensor 171 Can be maintained, and when normal single-person access is recognized, the above-described normal single-person access control can be performed.

2차 인증 처리 모듈(184)은 인원수 카운팅 모듈(183)에 의한 정상적인 1인 출입으로 분석된 경우, 부스 몸체(130)에 클로즈 상태의 제 2 도어(140)에 형성된 제 2 도어락 모듈(150) 중 제 2 도어(140)의 내측에 위치하여 형성된 제 2 도어 인증기(151)에 의한 2차 지문 인식에 따라 1차 지문 인식시의 출입 허가자와 동일한 지문인 경우 제 2 도어(140)에 설치된 제 2 도어락 모듈(150)의 도어락(door lock)을 오프(Off) 상태, 즉 제 2 도어(140)의 오픈(Open)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The second authentication processing module 184 is a second door lock module 150 formed on the second door 140 in a closed state on the booth body 130 when analyzed as a normal one-person access by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module 183 In the case of the same fingerprint as the access permit at the time of the primary fingerprint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secondary fingerprint recognition by the second door authenticator 151 formed to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door 140, it is installed in the second door 140. The door lock of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may be set to an off state, that is, to an open state of the second door 140.

도어 클로저 모듈(160)을 구성하며 제 2 도어(110)와 부스 몸체(130) 사이에 형성된 제 2 도어 클로저(162)가 제 2 도어(140)의 상부 내측에 한 단이 부착되고, 다른 한 단이 부스 몸체(130)의 상부를 구성하는 4개의 프레임 중 제 2 도어(140)가 닫아진 상태에서 제 2 도어(140)의 상부에 위치한 프레임과 90°방향에 위치하는 2개의 프레임 중 제 2 도어 클로저(162)의 한 단과 인접한 위치에 있는 프레임에 부착되는 경우, 2차 인증 처리 모듈(184)은 제 2 도어 클로저(162)의 한 단에 한 단과 다른 한 단과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동부에 대한 제어를 통해 제 2 도어(140)에 설치된 제 2 도어락 모듈(150)의 도어락(door lock)을 오프(off) 상태로 설정시 제 2 도어(140)를 자동으로 부스 몸체(130)로부터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door closer 162 constituting the door closer module 160 and formed between the second door 110 and the booth body 130 has one end attached to the upper inner side of the second door 140, and the other One of the four frames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oth body 130, the frame located above the second door 140 when the second door 140 is closed, and the second frame located in the 90° direction. 2 When attached to a frame in a position adjacent to one end of the door closer 162, the secondary authentication processing module 184 is a driving unit that adjusts the length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oor closer 162 When the door lock of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installed in the second door 140 is set to an off state through the control of the second door 140, the second door 140 is automatically removed from the booth body 130. It can be controlled to open.

2차 인증 처리 모듈(184)은 제 2 도어(140)의 제 2 도어락 모듈(150)에 대한 도어락 오프(Off) 상태 및 제 2 도어 클로저(162)에 대한 자동 오픈(Open) 상태로 제어된 상태에서 제 2 도어(140)가 부스 몸체(130)로부터 닫히는 것을 제 2 압력센서(173)를 통해 인식하는 경우, 인원수 카운팅 센서(171)에 의해 부스 몸체(130) 내부에 인원이 0명으로 인식됨을 대기하고, 제 2 도어(140)의 제 2 도어락 모듈(150)에 대한 도어락 온(On), 즉 제 2 도어(140)에 대한 클로즈(Close) 상태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 상에서 입실과정을 완료하고, 다른 사람의 입실 또는 다른 사람의 퇴실을 대기할 수 있다. The secondary authentication processing module 184 is controlled in a door lock off state for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of the second door 140 and an automatic open state for the second door closer 162. In the case of recognizing through the second pressure sensor 173 that the second door 140 is closed from the booth body 130 in the state, the number of people inside the booth body 130 is reduced to 0 by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sensor 171. 2nd access control by waiting for recognition and controlling the door lock on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of the second door 140, that is, to be in a closed state for the second door 140 The entrance process is completed on the booth device 100 for, and the entrance of another person or the exit of another person can be waited.

통지 모듈(185)은 1차 지문 인증 또는 2차 지문 인증에 대한 결과에 해당하는 지문 인식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출입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90a)를 제어할 수 있다. The notification module 185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90a to transmit finger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result of the first fingerprint authentication or the seco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to the access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또한, 통지 모듈(185)은 1차 지문 인증 결과, 인원수 센싱 결과, 2차 지문 인증 결과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90a)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1차 지문 인증을 통과하고 2차 지문 인증 사이에 블랙리스트로 설정된 출입 요청자가 제 1 도어(110)와 제 2 도어(140) 사이에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40)가 클로즈(Close) 상태, 즉 제 1 도어락 모듈(120) 및 제 2 도어락 모듈(150)에 대한 도어락 온(On) 상태로 제어된 경우, 센서 모듈(170)을 구성하는 CCTV(174)에 의해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90a)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module 185 not only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90a to transmit the first fingerprint authentication result, the number of people sensing result, and the seco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but also The first door 110 and the second door 140 are closed between the first door 110 and the second door 140 by the access requester who has passed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and is set as a blacklist between the seco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 State, that is, when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and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is controlled to be in the door lock-on state, the image image captured by the CCTV 174 constituting the sensor module 17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90a to transmit to the manager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 방법 중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를 활용한 입실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출입 통제 방법 중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100)를 활용한 퇴실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Meanwhile, FIG. 6 is a view showing an entrance process using the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mong the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econd acces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exit process using the booth device 100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among car access control methods.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1차 지문인증에 따라 제 1 도어(110)의 제 1 도어락 모듈(120)에 대한 도어락 오프(Off)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제 1 도어(110)가 부스 몸체(130)로부터 열리는 것을 제 1 압력센서(172)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6A, the controller 180 not only performs a door lock off for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of the first door 110 according to the first fingerprint authentication, but also performs the first door ( It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first pressure sensor 172 that 110) is opened from the booth body 130.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센서 모듈(170)을 구성하는 인원수 카운팅 센서(171)에 대한 작동을 통해 1명 이상이 입장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6B,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that more than one person enters through an operation on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sensor 171 constituting the sensor module 170.

마지막으로, 도 6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 1 도어(110)의 부스 몸체(130)에 닫히는 것을 제 1 압력센서(172)에 의해 인식하고, 인원수 카운팅 센서(171)에 의해 1명이 인식될 뿐만 아니라, 제 2 도어락 모듈(150)의 제 2 도어 인증기(151)에 의해 1차 지문 인증에 따라 2차 지문 인증에서 인식된 동일한 출입 허가자인 경우, 제 2 도어(140)의 제 2 도어락 모듈(150)에 대한 도어락 오프(Off)를 수행하며, 제 2 도어(140)가 부스 몸체(130)로부터 열리는 것을 제 2 압력센서(173)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Finally, referring to FIG. 6C,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that the first door 110 is closed on the booth body 130 by the first pressure sensor 172. In addition to the name being recognized, in the case of the same access permission person recognized in the seco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first fingerprint authentication by the second door authenticator 151 of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the second door 140 Door lock off is performed for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173 may recognize that the second door 140 is opened from the booth body 130.

이후, 제어부(180)는 제 2 도어(140)의 부스 몸체(130)에 닫히는 것을 제 2 압력센서(173)에 의해 인식하는 경우, 제 2 도어(140)의 제 2 도어락 모듈(150)에 대한 도어락 온(On)을 통해 제 2 도어(140)가 부스 몸체(130)로 클로즈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that the second door 140 is clos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173,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of the second door 140 The second door 140 may be controlled to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with the booth body 130 through the door lock On.

다음으로, 도 7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 2 도어 출구버튼(152)의 1차 푸쉬 버튼에 따른 제 1 도어(100)에 형성된 제 1 도어락 모듈(120)의 도어락을 오프(Off) 상태로 제어한다.Next, referring to FIG. 7A, the controller 180 turns off the door lock of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formed in the first door 100 according to the primary push button of the second door exit button 152. ) State.

이후, 도 7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부스 몸체(130)로 입장을 제 2 압력센서(173)에 의해 인식하는 경우 제 1 도어락 모듈(120)의 도어락을 온(On) 상태로 제어하고, 센서 모듈(170)을 구성하는 인원수 카운팅 센서(171)에 대한 작동을 통해 1명 이상이 입장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Thereafter, referring to FIG. 7B, when the entrance to the booth body 130 is recogniz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173,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door lock of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to an ON state. An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sensor 171 constituting the sensor module 170,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more than one person enters.

이후, 도 7c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2 도어(140)의 부스 몸체(130)에 닫히는 것을 제 2 압력센서(173)에 의해 인식하고, 인원수 카운팅 센서(171)에 의해 1명이 인식될 뿐만 아니라, 제 2 도어락 모듈(150)에 형성된 푸쉬 버튼인 제 2 도어 출구버튼(152)으로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 1 도어(110)의 제 1 도어락 모듈(120)에 대한 도어락 오프(Off)를 통해 제 1 도어(110)가 부스 몸체(130)로부터 열리는 것을 제 1 압력센서(172)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7C, the control unit 180 recognizes the closing of the booth body 130 of the second door 140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173, and one person is recognized by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sensor 171 In addition, when an inpu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second door exit button 152, which is a push button formed on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50, the door lock is turned off for the first door lock module 120 of the first door 110. It may be recognized through the first pressure sensor 172 that the first door 110 is opened from the booth body 130 through (Off).

이후, 제어부(180)는 제 1 도어(110)의 부스 몸체(130)에 닫히는 것을 제 1 압력센서(172)에 의해 인식하는 경우, 제 1 도어(110)의 제 2 도어락 모듈(120)에 대한 도어락 온(On)을 통해 제 1 도어(140)가 부스 몸체(130)로 클로즈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control unit 180 recognizes that the first door 110 is closed by the first pressure sensor 172, the second door lock module 120 of the first door 110 The first door 140 may be controlled to be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with the booth body 130 through the door lock 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 1 도어 인증기(121) 및 제 2 도어 인증기(151)는 지문 인식을 통한 본인 인증 외에 전자서명 방식으로 본인 인증을 수행하거나 지문 인식에 의한 본인 인증과 함께 전자서명 방식의 본인 인증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oor authenticator 121 and the second door authenticator 151 perform identity authentication using an electronic signature method in addition to identity authentication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or together with identity authentication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erform personal authentication using an electronic signature method.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도어 인증기(121) 및 제 2 도어 인증기(151)는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40) 각각에 하나의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고 추가로 마이크로 형성가능한 음성인식모듈이 형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으로의 터치 입력 대기에 따라 제 1 도어 출입 허가자 및 제 2 도어 출입 허가자의 전자서명에 해당하는 전자서명 정보를 수신한 뒤, 전자서명 정보에 포함된 "타임라인 정보", 타임라인 정보의 시간 흐름의 순서에 따른 "전자서명 쓰기 정보", 그리고 음성인식모듈을 통해 수신한 타임라인 정보의 시간 흐름의 순서에 따른 "음성 정보"를 추출한 뒤, 저장부(190b)에 저장된 각 종사자의 전자서명 정보에 포함된 타임라인 정보의 시간 흐름의 순서에 따른 "전자서명 쓰기 정보", 타임라인 정보의 시간 흐름의 순서에 따른 "음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동일한 경우, 동일한 제 1 도어 출입 허가자 정보 및 제 2 도어 출입 허가자 정보의 ID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1차 인증 및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door authenticator 121 and the second door authenticator 151 are formed as a single touch screen on each of the first door 110 and the second door 140, and additionally formed into a microphone. When the recognition module is formed, after receiving the electronic signatu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signature of the first door access permission person and the second door access permission person in response to waiting for a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the "timeline" included in the electronic signature information Information", "digital signature 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 flow of timeline information, and "speec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 flow of timelin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are extracted, and then the storage unit 190b ) When at least one or more of "digital signature wri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 sequence of timelin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lectronic signature information of each worker stored in the electronic signature information, and "voi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 course of timeline information are the same , Primary authentication and secondary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by extracting the ID of the same first door access permission person information and second door access permission pers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for example,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Includes things.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is is only used in a general meaning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1 :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출입 통제 시스템
100 :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110 : 제 1 도어 120 : 제 1 도어락 모듈
121 : 제 1 도어 인증기 122 : 제 1 도어 출구버튼
130 : 부스 몸체 140 : 제 2 도어
150 : 제 2 도어락 모듈 151 : 제 2 도어 인증기
152 : 제 2 도어 출구버튼 160 : 도어 클로저 모듈
161 : 제 1 도어 클로저 162 : 제 2 도어 클로저
170 : 센서 모듈 180 : 제어부
190a : 통신부 190b : 저장부
200 : 네트워크 300 : 출입 관리 서버
400 : 관리자 단말
1: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booth devices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100: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110: first door 120: first door lock module
121: first door authenticator 122: first door exit button
130: booth body 140: second door
150: second door lock module 151: second door authenticator
152: second door exit button 160: door closer module
161: first door closer 162: second door closer
170: sensor module 180: control unit
190a: communication unit 190b: storage unit
200: network 300: access control server
400: administrator terminal

Claims (5)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제작되기 위해 재질은 각 파이프 프레임에 각 파이프 프레임 내부를 구성하는 패널은 미리 설정된 두께의 강화 유리 재질로 형성되며, 기존의 출입문에 형성된 제 1 도어와 맞닿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 1 도어를 통한 입실의 진행 방향에 제 2 도어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는 부스 몸체;
상기 제 1 도어 상의 손잡이 영역에 형성되며, 1차 인증을 위해 상기 제 1 도어를 통해 입실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 1 도어 인증기와, 상기 제 1 도어를 통해 퇴실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 1 도어 출구버튼,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에 대해서 도어락 온(On), 도어락 오프(Off) 상태를 제공하는 도어락으로 구성되는 제 1 도어락 모듈; 및
상기 제 2 도어 상의 손잡이 영역에 형성되며, 2차 인증을 위해 상기 제 2 도어를 통해 입실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 2 도어 인증기와, 상기 제 2 도어를 통해 퇴실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 2 도어 출구버튼, 상기 제 2 도어에 대해서 도어락 온(On), 도어락 오프(Off) 상태를 제공하는 도어락으로 구성되는 제 2 도어락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In order to be manufactured in a preset size, the panel constituting the inside of each pipe frame in each pipe frame is formed of a tempered glass material having a preset thickness, and is positioned so as to contact the first door formed in the existing entrance door, and the first A booth body formed in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second door in the direction of the entrance through the door;
A first door authenticator formed in a handle area on the first door and installed in a direction entering through the first door for primary authentication, and a first door exit installed in a direction exiting through the first door A first door lock module comprising a button and a door lock providing door lock on and door lock off s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authenticator formed in the handle area on the second door and installed in a direction entering through the second door for secondary authentication, and a second door exit installed in a direction exiting through the second door A second door lock module comprising a button and a door lock providing door lock on and door lock off states for the second door;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 몸체에서 상기 제 1 도어 및 상기 제 2 도어와 맞닿는 수직의 4각 프레임 중 하단 프레임에는 양철 프레임을 활용하여 턱을 낮게 양측 및 상측 프레임의 직경에 비해 1/2 내지 1/3의 크기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ooth body, the lower frame of the vertical quadrangular frames in contact with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uses a tin frame to lower the chin to a size of 1/2 to 1/3 of the diameter of both sides and the upper frame. Booth device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signed.
2차 출입 통제를 위한 부스 장치의 제어부가 1차 지문인증에 따라 제 1 도어의 제 1 도어락 모듈에 대한 도어락 오프(Off)를 수행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시 센서 모듈을 구성하는 인원수 카운팅 센서에 대한 작동을 통해 1명 이상이 입장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도어의 부스 몸체에 닫히는 것을 제 1 압력센서에 의해 인식하고, 상기 인원수 카운팅 센서에 의해 1명이 인식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도어에 형성된 제 2 도어락 모듈의 제 2 도어 인증기에 의해 2차 지문 인증과 상기 1차 지문 인증에서의 인식된 출입 허가자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 2 도어의 상기 제 2 도어락 모듈에 대한 도어락 오프(Off)를 수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출입 통제 방법.
A first step of performing, by a control unit of the booth apparatus for secondary access control, performing a door lock off for the first door lock module of the first door according to the first fingerprint authentication;
A second step of detecting, by the control unit, that at least one person enters through an operation of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sensor constituting the sensor module; And
A first pressure sensor recognizes that the control unit is closed to the booth body of the first door, and one person is recognized by the number of people counting sensor, and the second door authentication of the second door lock module formed in the second door A third step of performing a door lock off for the second door lock module of the second door when the seco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and the recognized access permission in the first fingerprint authentication are the same;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도어의 상기 부스 몸체에 닫히는 것을 제 1 압력센서에 의해 인식하는 경우, 제 1 도어의 제 1 도어락 모듈에 대한 도어락 온(On)을 통해 제 1 도어가 부스 몸체로 클로즈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출입 통제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hird step,
Whe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at the first door is closed to the booth body by the first pressure sensor, the first door is closed to the booth body through the door lock on of the first door lock module of the first door. Controlling to be maintained as;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2 도어의 상기 부스 몸체에 닫히는 것을 제 2 압력센서에 의해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 2 도어의 상기 제 2 도어락 모듈에 대한 도어락 온(On)을 통해 상기 제 2 도어가 상기 부스 몸체로 클로즈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출입 통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fter the third step,
Whe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at the second door is closed on the booth body by the second pressure sensor, the second door is turned on through the door lock on of the second door lock module of the second door. A fourth step of controlling the body to remain in a closed state; Secondary access control method comprising a further.
KR1020190144983A 2019-11-13 2019-11-13 Multi-access control method and booth apparatus, and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with the same KR102289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83A KR102289772B1 (en) 2019-11-13 2019-11-13 Multi-access control method and booth apparatus, and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83A KR102289772B1 (en) 2019-11-13 2019-11-13 Multi-access control method and booth apparatus, and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40A true KR20210058040A (en) 2021-05-24
KR102289772B1 KR102289772B1 (en) 2021-08-13

Family

ID=7615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983A KR102289772B1 (en) 2019-11-13 2019-11-13 Multi-access control method and booth apparatus, and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77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874B1 (en) 2022-03-14 2024-04-08 양건화 Access control system using differen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102611113B1 (en) 2023-08-03 2023-12-07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System and method for interlocking doors in a double door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650A (en) * 1997-03-19 1998-10-06 Katsuhiko Okada Security gate system
JP2006144384A (en) * 2004-11-19 2006-06-08 Networks:Kk Security enhanced room entry management system
JP2010128938A (en) * 2008-11-28 2010-06-10 Fujitsu Ltd Authentication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US20180091782A1 (en) * 2016-09-26 2018-03-29 3 Strike, Llc Storage container with inventory contr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650A (en) * 1997-03-19 1998-10-06 Katsuhiko Okada Security gate system
JP2006144384A (en) * 2004-11-19 2006-06-08 Networks:Kk Security enhanced room entry management system
JP2010128938A (en) * 2008-11-28 2010-06-10 Fujitsu Ltd Authentication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US20180091782A1 (en) * 2016-09-26 2018-03-29 3 Strike, Llc Storage container with inventory control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4-0069107호 "전광게시판 및 조명 겸용 차량출입관리시스템(Car in-and-out management system with electric sign functioning as a light)"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0-0012628호 "패턴인식을 통한 출입통제시스템(ACCESS CONTROL SYSTEM THROUGH PATTERN RECOGNITION)"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15182호 "실시간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The access control system using real time-log data)"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146824호 "출입관리시스템 및 출입관리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NTRANCE AND EX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772B1 (en)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4590B1 (en) Access control reader with audio spatial filtering
EP13463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lution of entry/exit conflicts for security monitoring systems
US7898385B2 (en) Personnel and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using three factors of authentication
US20070268145A1 (en) Automated tailgating detection via fusion of video and access control
US200602253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ass-through control and/or singling-out of persons
JP2004352502A (en) System for checking security or transporting person by lift facility and operation method for system
KR101962753B1 (en) Digital Door System for preventing Crime and Robbery Preventing Method by Using thereof
KR20010019345A (en) An entrance control method by a living body recognition and apparatus of it
US20190392691A1 (en) Entry security system and method
CN101847276A (en) Manpower authorization system and method
KR102289772B1 (en) Multi-access control method and booth apparatus, and unmanned access control system with the same
KR20120119724A (en) Management system for entrance and method thereof
JP7075702B2 (en) Entry / exit authentication system and entry / exit authentication method
JP2013109779A (en) Monito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ailgating intrusion
CN201142096Y (en) Access registration controller
JP2008158678A (en) Person authentication device, person authentication method and access control system
CN107301696B (en) Dynamic access control system and dynamic access control method
US10837216B2 (en) Garage entry system and method
RU2676884C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 of access to territory
KR100774029B1 (en) Security area's exit and entrance control device
WO2021066252A1 (en) Biometrics-based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ing same
JPH11185087A (en) Entering/leaving person control system
KR101262363B1 (en) Entrance control system
KR20040095382A (en) Access Control And Customer Verification System through Real Time Recognition of Customer Face
GB2459327A (en) Anti-tailgating system for a restricted access entr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