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732A - 수신 구성 및 제어 방법, 장치, 단말, 기지국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수신 구성 및 제어 방법, 장치, 단말, 기지국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732A
KR20210057732A KR1020217007328A KR20217007328A KR20210057732A KR 20210057732 A KR20210057732 A KR 20210057732A KR 1020217007328 A KR1020217007328 A KR 1020217007328A KR 20217007328 A KR20217007328 A KR 20217007328A KR 20210057732 A KR20210057732 A KR 20210057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x
indication information
length
perio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292B1 (ko
Inventor
찡 쉬
펑 하오
야차오 리앙
씽광 웨이
씨앙후이 한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57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수신 구성 및 제어 방법, 장치, 단말, 기지국 및 저장매체를 제공하고, 수신 구성 방법은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여기서, DRX 주기는 활성 구간 및 비활성 구간을 포함함-; 검출 결과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신 구성 방법 및 장치, 수신 제어 방법 및 장치, 단말, 기지국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2018년 08월 10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1810912159.9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해당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신 구성 및 제어 방법, 장치, 단말, 기지국 및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4 세대 모바일 통신 기술(4G, the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고급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Advance, LTE-Advance/LTE-A) 및 5 세대 모바일 통신 기술(5G, 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은 점점 더 많은 수요에 직면하게 된다. 발전 추세로 보아, 4G 및 5G 시스템 모두에 대한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 초고신뢰성, 초저지연 전송 및 대규모 연결의 특성을 지원하는 것을 연구한다.
그러나, 단말이 이러한 특성을 지원하는 동시에 단말 에너지 소모도 부단히 증가하게 되는데, 에너지 소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의 에너지절약 문제를 보다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5G 시스템의 기존 단말 에너지절약 메커니즘으로는 비연속적 수신 구성(Discontinuous Reception, DRX)이 있으나, DRX의 경우 단말은 여전히 설정된 주기시각에 PDCCH 블라인드 검출을 일정 시간동안 수행하도록 웨이크업 되어야 하기에 소모되는 에너지가 발생하고, 아울러, 슬립 기간의 공개 메시지(PUBLIC MESSAGE) 수신에 대하여도 명확한 제한이 없으므로, DRX 메커니즘은 보다 최적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구성 및 제어 방법, 장치, 단말, 기지국 및 저장매체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에서 단말이 여전히 설정된 주기시각에 PDCCH 블라인드 검출을 일정 시간 수행하도록 웨이크업 되어야 하기에 소모되는 에너지가 발생하고, 아울러, 슬립 기간 동안의 공개 메시지 수신에 대하여서도 명확한 제한이 없어, DRX 성능이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구성 방법을 제공하고, 해당 방법은,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
검출 결과에 따라 DRX 동작(operation)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DRX 주기는 활성 구간 및 비활성 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고, 해당 방법은,
지시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여기서, 지시정보의 송신 상황은 단말이 DRX 동작을 결정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됨-;
단말이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검출한 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송신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DRX 주기는 활성 구간 및 비활성 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구성 장치를 더 제공하고, 해당 장치는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DRX 동작을 결정하기 위한 전략 결정 모듈을 포함하며, DRX 주기는 활성 구간 및 비활성 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제어 장치를 더 제공하고, 해당 장치는,
단말에 지시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여기서, 지시정보의 송신 상황은 단말이 DRX 동작을 결정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됨-;
단말이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검출한 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송신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을 포함하되, DRX 주기는 활성 구간 및 비활성 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고, 해당 단말은, 제1 프로세서, 제1 메모리 및 제1 통신 버스를 포함하되,
제1 통신 버스는 제1 프로세서와 제1 메모리 간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며,
제1 프로세서는 제1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임의의 수신 구성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하며, 해당 기지국은 제2 프로세서, 제2 메모리 및 제2 통신 버스를 포함하되;
제2 통신 버스는 제2 프로세서와 제2 메모리 간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며,
제2 프로세서는 제2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임의의 수신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더 제공하고,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은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여, 상기 임의의 수신 구성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상기 임의의 수신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구성 및 제어 방법, 장치, 단말, 기지국 및 저장매체를 제공하되,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을 결정하며; DRX 동작에 따라 DRX 구성을 수행하며, 여기서, DRX 주기는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을 포함한다. 지시정보를 도입하는 정황 하에, 지시정보를 검출하여 DRX를 구성하는 것을 통해, DRX 성능의 최적화를 구현한다.
도 1은 관련 기술에서 제공하는 DRX 설정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수신 구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첫 번째 종류의 DRX 설정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두 번째 종류의 DRX 설정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세 번째 종류의 DRX 설정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네번째 종류의 DRX 설정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다섯 번째 종류의 DRX 설정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여섯 번째 종류의 DRX 설정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 2에서 제공하는 수신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 3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 3에서 제공하는 수신 구성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 3에서 제공하는 수신 제어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 4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 4에서 제공하는 기지국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 기술의 LTE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소모되는 에너지를 감소하기 위해 DRX 메커니즘을 도입하였다. 즉 단말이 연결 상태에 놓일 때, 기지국의 제어 채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이 간헐적으로 모니터링하면 된다. 여기서, 활성 구간(On Duration)은 단말이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시간대를 표시하고, 활성 구간을 제외한 기타 시간은 비활성 구간(Off Duration)으로, 단말은 절전 상태에 놓이게 되고, 단말의 알에프(Radio Frequency)_ 링크는 클로즈 된다. 단말은 설정된 DRX 주기 시작측의 활성 구간에서 연속적인 PDCCH 검출을 수행하도록 웨이크업 되나, 비활성 구간에서는 PDCCH 검출을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DRX 주기는 긴주기(Long DRX Cycle), 또는 짧은주기(Short DRX Cycle)를 포함할 수 있고, On Duration은 짧은주기 내에서 긴주기보다 더 빈번하게 나타나며, 해당 단말 전용 PDCCH가 검출된 후, 해당 UE는 웨이크업 된다. 상기 단말 전용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이 검출되지 않고, DRX on 타이머(drx-on DurationTimer)도 타임아웃되면, 해당 단말은 계속하여 휴지 상태(dormancy state)에 진입하고; 또는 상기 단말 전용 PDCCH가 검출되고 활성 타이머(drx-InactivityTimer)가 시작/재시작 되면, 해당 단말은 활성 타이머가 타임아웃 되거나 DRX 명령(Command),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를 수신할 때, 해당 단말은 휴지 상태에 진입하게 된다.
단말은 DRX 구성된 주기시각에 여전히 PDCCH 블라인드 검출을 일정 시간동안 수행하도록 웨이크업되고, 아울러 슬립 기간에 공개 메시지의 수신에 대하여서도 명확한 제한이 없으므로, 단말의 에너지절약을 향상시키기 위한 DRX 메커니즘 향상 방법이 시급히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구체적 실시형태와 첨부된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서술된 구체적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함이며, 본 출원을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1
관련 기술에서, 단말이 여전히 DRX 구성된 주기시각에 PDCCH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도록 웨이크업 되어야 하기에 소모되는 에너지가 발생하고, 아울러 슬립 기간의 공개 메시지 수신에 대하여도 명확한 제한이 없어, DRX 성능이 제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비연속적 수신(DRX) 구성 방법을 제공하며, 도 2에 도시된 수신 구성 방법의 흐름도를 참조하도록 한다.
단계(S201),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지시정보는 물리 계층 지시정보일 수 있으며, 단말은 DRX 웨이크업 상태와 DRX 휴지 상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고, 여기서, DRX 웨이크업 상태는 즉 활성 구간(On Duration)에서 연속적인 PDCCH 블라인드 검출을 실행하는 것이며, DRX 휴지 상태는 비활성 구간(Off Duration)에서 비연속적인 PDCCH 블라인드 검출을 실행하는 것이거나, 또는 지시정보 수신을 제외한 나머지 신호 또는 채널을 수신하지 않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지시정보는 상태 전환 채널 또는 상태 전환 신호를 포함하고, 상태 전환 채널 또는 상태 전환 신호가 단방향 상태 전환 채널 또는 단방향 상태 전환 신호인 경우, 그중 한 가지 형태는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WUS/WUP, Wake Up Signal/Wake Up PDCCH)일 수 있으며, 웨이크업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태 전환 채널 또는 상태 전환 신호가 단/양방향 상태 전환 채널 또는 단/양방향 상태 전환 신호인 경우, 그중 한 가지 형태는 L1 신호 및/또는 L1 채널을 포함하는 L1 명령일 수 있으며, 적어도 휴지 상태로 전환(go to sleep)하도록 지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본 실시예 중의 DRX 주기는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시간 길이는 지시정보의 검출 시간 길이며, 이는 DRX 주기의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 중의 임의의 하나의 구간 내에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상기 두 개의 구간 내에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는 단말이 지시정보를 수신하였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단계(S202), 검출 결과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을 결정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DRX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시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대응하는 DRX 동작을 트리거링 하여 DRX 성능을 향상시킨다.
단계(S203), DRX 동작에 따라 DRX 구성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DRX 동작은,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 비활성 구간의 DRX 휴지 상태 동작 및 DRX 웨이크업 상태에서 DRX 휴지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DRX 동작이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인 경우,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N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N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DRX 주기의 활성 구간 내에 제1 시간 길이를 설정하고,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며, 제1 시간 길이의 시작 시각은 DRX 주기와 동일하고, 제1 지시정보는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웨이크업 상태 지시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일 수 있다. 따라서, 검출 결과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는, 검출 결과가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이 검출된 것인 경우,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N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임을 결정하고; 검출 결과가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이 검출되지 않은 것인 경우,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N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3을 참조하며, 도 3에서의 DRX 주기는 긴주기(Long DRX Cycle)를 사용하고, 여기서, T0은 제1 시간 길이를 나타내며, T0 내에서 WUS/WUP가 먼저 검출된 경우에만 On Duration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고,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시간 길이는 활성 구간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계속하여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일 예시로,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과 같은 제1 지시정보의 구성 주기는 DRX 주기와 동일하며, 즉, 두 개의 T0마다의 동일한 기준 시각 사이의 시간 길이는 두 개의 DRX 주기마다의 동일한 기준 시각 사이의 시간 길이와 동일하다. 물론, 기타 실시형태에서, 제1 지시정보의 구성 주기는 DRX 주기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으며, 이는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에 따라 유연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T0을 구성할 때, DRX 구성 시의 일부 파라미터(예를 들어, 주기, 오프셋 등)를 공유할 수 있으며, 부분 파라미터만 별도로 구성하면 된다.
더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시간 길이는, 제1 지시정보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길이, 휴지 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간 길이 및 제1 지시정보의 응답 피드백 시간 길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DRX 동작이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인 경우,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유지하는 것;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 내에 제1 시간 길이를 설정하고,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며, 제1 시간 길이는 비활성 구간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고, 제1 지시정보는 단말이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웨이크업 상태 지시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일 수 있다. 따라서, 검출 결과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는: 검출 결과가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이 검출된 것인 경우,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임을 결정하고; 검출 결과가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이 검출되지 않은 것인 경우,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4를 참조하며, 도 4에서의 DRX 주기는 긴주기(Long DRX Cycle)를 사용하고, 여기서 T0은 제1 시간 길이를 표시하며, T0 내에서 WUS/WUP가 먼저 검출된 경우에만, 다음 DRX 주기의 on duration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고,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지시정보의 구성 주기는 DRX 주기와 동일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오프셋 값에 따라 제1 지시정보가 위치하는 제1 시간 길이의 시작 시각이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프셋 값은 DRX 주기의 길이와 제1 시간 길이의 길이의 차이 값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즉, 제1 시간 길이의 종료 시각과 다음 DRX 주기의 시작 시각이 동일함을 이해해야 한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제1 시간 길이의 종료 시각과 다음 DRX 주기의 시작 시각 사이에 특정 시간 길이만큼의 간격이 존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시정보와 DRX 주기를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즉, T0와 DRX 주기는 별개인 두 세트의 구성이고, 도 4와 상이한 점은, 본 실시예에서 T0의 종료 시각과 다음 DRX 주기의 시작 시각 사이에는 특정 시간 길이만큼의 간격이 존재하고, 제1 지시정보의 구성 주기가 DRX 주기보다 작은 경우, 하나의 DRX 주기에는 다수의 T0가 나타날 수 있고 T0의 설정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0 내에서 전송되는 하나의 WUS/WUP는 하나의 DRX 주기의 웨이크업에 대응되며, 물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WUS/WUP는 추후의 N개의 DRX 주기의 웨이크업에 대응될 수 있으며, 즉 단말에 추후의 X개 DRX 주기의 on duration에서의 PDCCH 검출 수행해야 하는지를 지시하고, 여기서, X는 기설정된 값이거나, 구성된 값, 또는 동적으로 지시된 값이고, 도 5에 도시된 X는 2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제1 시간 길이의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은 각각 상이한 DRX 주기 내에 위치하고, 즉 정보지시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시간 길이는 현재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과 다음 DRX 주기의 활성 구간 내에 동시에 놓이며, 따라서 제1 시간 길이의 시작 시각은 현재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에 놓이고, 다음 DRX 주기의 활성 구간까지 계속하여 연속되며, 제1 시간 길이의 종료 시각은 해당 활성 구간 내에 설정되고,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며, 이 경우 제1 지시정보에는 웨이크업 상태 지시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검출 결과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는: 검출 결과가 현재 DRX 주기의 비연속적 검출 구간에서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과 같은 제1 지시정보가 검출된 것인 경우,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임을 결정하고; 검출 결과가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이 검출되지 않은 것인 경우,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결정하며; 검출 결과가 다음 DRX 주기의 연속적 검출 구간에서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과 같은 제1 지시정보가 검출된 것인 경우,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임을 결정하고; 검출 결과가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이 검출되지 않은 것인 경우,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 내에 제1 시간 길이를 설정하고, 제1 시간 길이는 비활성 구간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제2 지시정보는 단말이 휴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휴지 상태 지시정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L1신 호 및/또는 L1 채널을 포함하는 L1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 결과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는, 검출 결과가 단말이 휴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L1 시그널링이 검출된 것인 경우,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결정하고; 검출 결과가 해당 L1 시그널링이 검출되지 않은 것인 경우,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6을 참조하며, 도 6에서의 DRX 주기는 긴주기(Long DRX Cycle)를 사용하고, 여기서 L1이 나타내는 위치는 제1 시간 길이를 표시하며, 정보 검출 시간 길이 내에서 단말이 휴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L1 시그널링이 먼저 검출되어야만, 휴지 상태로 진입함을 표시하고, 다음번에 L1이 검출되기 전까지, 모두 휴지 상태를 유지하고 PDCCH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6은 L1 시그널링의 검출 시간 길이를 DRX 주기와 동일하게 지시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경우, 검출 시간 길이에 대해 상이한 오프셋 값을 구성하거나 또는 다음 DRX 주기의 시작 시각과의 Gap 값을 구성하되, Gap은 0보다 크거나 같으며, 이때 각각의 DRX 주기 시작 전에 유일하게 하나의 L1 신호 및/또는 L1 채널에만 대응된다. 기타 실시예에서, 도 7 및 도 8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L1 시그널링의 검출 시간 길이는 각각 DRX 주기보다 크거나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일 예시에서, 휴지 상태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제2 지시정보의 구성 주기가 DRX 주기보다 작은 경우, DRX 주기 내에 설정된 다수의 제1 시간 길이 내의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한 후, 마지막 검출 결과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을 결정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8을 다시 참조하되, DRX 주기마다 두 개의 제1 시간 길이가 구성되고, 이때 앞측의 시간 길이에서 단말이 휴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제2 지시정보가 검출되고, 뒤측의 시간 길이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2 지시정보가 검출된 앞측 시간 길이의 검출 결과에 따라 DRX 동작을 결정한다. 기타 경우에, 상기 지시정보가 뒤측의 시간 길이에서 검출되었다면, 앞측의 시간 길이에서의 상기 지시정보 검출여부와 상관없이 뒤측의 시간 길이에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 DRX 동작을 결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일 예시에서, 지시정보는 활성 구간의 길이 지시정보를 더 포함하고;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은, 활성 구간의 길이 지시 전략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경우, 지시정보는 전환될 상태를 지시하는 것 외에도 활성 구간의 길이에 대해 지시할 수도 있으며, WUS/WUP 또는 웨이크업 지시 기능을 구비하는 L1 신호 및/또는 채널은 웨이크업 시간 길이를 지시하거나, 또는 웨이크업 타이머의 임계값을 지시하며, 이때 웨이크업 상태인 시간 길이는 WUS/WUP 또는 웨이크업 지시 기능을 구비하는 L1 신호 및/또는 L1 채널이 지시하는 웨이크업 시간 길이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WUS/WUP 또는 웨이크업 지시 기능을 구비하는 L1 신호 및/또는 L1 채널이 지시하는 웨이크업 타이머의 타임아웃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일 실시형태로 단말은 전용 PDCCH를 성공적으로 검출한 후 웨이크업 타이머를 재시작한다. 즉, 이때 새로 지시되는 웨이크업 시간 길이 또는 웨이크업 타이머는 전에 구성된 활성 타이머를 대체한다. 또한 상기 WUS/WUP는 부분 대역폭(BandWidth Part, BWP) 스위칭/슬롯 포맷 지시(Slot Format Indication, SFI) 등 정보를 더 지시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DRX 동작이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인 경우, DRX 주기 내 제1 시간 길이 내의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한 후,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가 수신되지 않았는지를 결정하고; 지시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DRX 주기 내에 제2 시간 길이를 설정하여 누락 검출 보상 시간 길이로 하고; 해당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 검출을 재수행한다.
실제 응용에서, 기지국이 제1 시간 길이 내에 지시정보를 송신하였으나, 단말의 ACK/NACK 응답 피드백을 수신하지 못하였거나, 또는 추후 스케줄링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ACK/NACK 응답 피드백을 받지 못하는 경우, 단말과 기지국 간의 상이한 이해를 방지하기 위해, 기지국은 단말의 DRX 주기 내에 기설정/구성된 주기 위치에서 단말이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지시정보를 재전송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이 제1 시간 길이 내에 해당 지시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은 DRX 주기 내에서 기설정/구성된 주기에 지시정보를 수신하려고 재시도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를 검출하거나, 또는 DRX 주기 내에서 지시정보를 다시 검출하는 경우, DRX 주기 내에서 지시정보를 계속하여 검출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의 일 예시에서,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단말이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지시정보 검출을 수행한 후,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가 검출되면, 활성 구간의 시작 시각을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가 검출된 시각으로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DRX 웨이크업 상태를 최적화하여, 서비스 전송 요구가 없을 때에는, 단말이 DRX 주기마다 PDCCH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기 위해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단말의 에너지절약 효과를 향상시키고, 단말이 저에너지 소비로 작동하도록 확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DRX 동작이 비활성 구간의 DRX 휴지 상태 동작인 경우, 비활성 구간의 DRX 휴지 상태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M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M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본 실시예의 일 예시에서, DRX 주기 내의 비활성 구간 내에 설정된 기설정 시간 길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고;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고, 제1 시간 길이는 비활성 구간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제1 지시정보는 웨이크업 상태 지시정보를 포함하고; 검출 결과가 해당 제1 지시정보가 검출된 것인 경우,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M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임을 결정하고; 검출 결과가 해당 제1 지시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것인 경우,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M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결정한다.
그중 한 가지 구현 방식으로는, 단지 DRX off 기간에만 WUS/WUP 검출을 수행하는 WUS/WUP 주기를 단독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Off Duration 기간 동안, WUS/WUP 주기시각에서 WUS/WUP가 검출되기만 하면, 단말은 계속하여 PDCCH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며, 수행 시간 길이는 DRX on duration 타이머의 임계값일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단지 DRX off 기간에만 WUS/WUP 검출을 수행하는 WUS/WUP 주기를 단독으로 구성하며, 예를 들어, DRX 주기 구성과 동일하고 오직 DRX off의 시작 위치에서 구성된다.
기타 구현 방식으로는, DRX off 기간 동안, L1 시그널링 주기시각에 웨이크업 상태 지시정보를 구비하는 L1 시그널링이 검출되면, 단말은 계속하여 PDCCH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고, 수행 시간 길이는 DRX on duration 타이머의 임계값이다.
상기 실시예는 DRX 휴지 상태를 최적화하여, 단말이 DRX 휴지 상태에서 웨이크업 기회를 가지도록 하여, 저지연 고신뢰성과 에너지절약 사이의 절충(compromise)을 구현한다.
또한, DRX 동작이 DRX 웨이크업 상태에서 DRX 휴지 상태로 동적으로 전환하는 동작인 경우,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 설정된 기설정 시간 길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제3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고;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며, 제1 시간 길이는 활성 구간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제3 지시정보는 휴지 상태 지시정보와 웨이크업 상태 지시정보를 동시에 포함하되, 예를 들어, 휴지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웨이크업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양방향 상태 전환 지시 기능을 구비하는 L1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검출 결과가 해당 L1 시그널링이 검출된 것인 경우,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복수 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결정한다. On Duration 기간 동안 L1 시그널링 주기시각에서 L1 시그널링이 검출되기만 하고 휴지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하면, 단말은 휴지 상태 또는 딥 휴지 상태(딥 휴지 상태는 L1 시그널링을 검출하는 능력만 보류)로 진입한다. 또한, 해당 L1 시그널링은 T 시간 간격 후에 휴지 상태로 진입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으며, T 값은 기설정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값 중의 하나의 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기타 예시에서, DRX 주기의 활성 구간 내에 설정된 기설정 시간 길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제4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고; 제1 시간 길이는 활성 구간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제4 지시정보는 유니캐스트 트래픽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정보에 웨이크업 상태를 추가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고; 검출 결과가 DCI가 검출된 것인 경우,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복수 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결정한다. 해당 제4 지시정보는 유니캐스트 트래픽을 스케줄링하는 DCI에 1bit를 도입하는 것을 통해 추후 PDCCH를 수신 및 검출할 필요가 없음을 지시한다. 이때 DRX on 기간 동안, 유니캐스트 트래픽을 스케줄링하는 DCI에서 해당 1bit가 지시하는, 추후 PDCCH를 수신 및 검출할 필요가 없다는 지시가 검출되기만 하면, On Duration에서 Off Duration으로 전환된다.
상기 실시예는 DRX 웨이크업 상태에서 DRX 휴지 상태로의 동적 전환 최적화를 지원하여, 단말이 단지 L1 시그널링을 수신 및 검출하는 것만을 통해 DRX 휴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절약을 보다 유연하게 구현한다.
또한, 더 설명해야 할 것은,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WUS/WUP)과 같은 웨이크업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지시정보와 DRX가 동시에 구성될 때, 우선순위 규칙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방법 1: 웨이크업 신호 WUS와 DRX가 동시에 구성되는 경우, WUS가 위치하는 BWP가 PDCCH 전송을 지원할 수 없을 때, WUS 우선순위가 높으면, DRX는 휴지 상태로 진입하여도 여전히 WUS를 통한 웨이크업을 허용하며; DRX 우선순위가 높으면, WUS 모니터링 기간에 위치하는 BWP가 PDCCH 전송을 지원할 수 없고, DRX를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여 수행할 수 없거나, 또는 디폴트(default) BWP로 전환하여 DRX 웨이크업 상태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지 못하며, DRX 휴지 상태 기간에 WUS를 통해 단말을 웨이크업할 수 없다. WUS가 위치하는 BWP가 PDCCH 전송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 WUS의 우선순위가 높으면, DRX는 휴지 상태로 진입하여도 여전히 WUS를 통한 웨이크업을 허용하고; DRX 우선순위가 높으면, WUS 검출 기간에 놓이나 WUS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여전히 DRX 웨이크업 상태 기간에 웨이크업되어 PDCCH 검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DRX 휴지 상태 기간에는 WUS를 통해 단말을 웨이크업할 수 없다.
방법 2: 웨이크업 채널 WUP와 DRX가 동시에 구성되는 경우, WUP 우선순위가 높으면, DRX가 휴지 상태로 진입하여도 여전히 WUP를 통한 웨이크업을 허용하고; DRX 우선순위가 높으면, WUP 검출 기간에 놓이나 WUP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여전히 DRX 웨이크업을 수행하여 PDCCH를 검출하며, DRX 휴지 상태 기간에 WUP를 통해 단말을 웨이크업할 수 없다.
방법 3: WUS/WUP와 DRX가 동시에 구성되는 경우, WUS가 위치하는 BWP가 PDCCH 전송을 지원할 수 없는 경우, WUS/WUP 우선순위가 높으면, DRX가 휴지 상태로 진입하여도 여전히 WUS/WUP를 통한 웨이크업을 허용하고; DRX 우선순위가 높으면, WUP 검출 기간에 놓이나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여전히 DRX 웨이크업을 수행하여 PDCCH를 검출할 수 있으며, DRX 휴지 상태 기간에서는 WUP를 통해 단말을 웨이크업할 수 없게 된다. WUS 모니터링 기간에 위치하는 BWP가 PDCCH 전송을 지원할 수 없으면, DRX는 주기적으로 웨이크업되어 수행될 수 없거나, 또는 default BWP로 전환되어 DRX 웨이크업 상태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며, DRX 휴지 상태 기간에는 WUS를 통해 단말을 웨이크업할 수 없다. WUS가 위치하는 BWP가 PDCCH 전송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 WUS/WUP 우선순위가 높으면, DRX는 휴지 상태로 진입하여도 WUS/WUP를 통한 웨이크업을 허용하고; DRX 우선순위가 높으면, WUS/WUP 검출 기간에 놓이나 검출되지 않는 경우, 여전히 DRX 웨이크업 상태 기간에서 워이크업되어 PDCCH 검출을 수행할 수 있으며, DRX 휴지 상태 기간에는 WUS/WUP를 통해 단말을 웨이크업할 수 없다.
상이한 에너지절약 메커니즘의 우선순위를 결정함으로써, 단말과 기지국의 상이한 이해를 방지하여, 상이한 에너지절약 메커니즘의 공존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수신 구성 방법을 통해,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함으로써, 검출 결과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을 결정하고; DRX 동작에 따라 DRX 구성을 수행하며, 여기서, DRX 주기는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을 포함한다. 지시정보가 도입된 상황하에, 지시정보에 대해 검출을 수행하여 DRX를 구성함으로써, DRX 성능의 최적화를 구현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수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도 9에 도시된 수신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참조한다.
단계(S901), 지시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며, 지시정보의 송신 상황은 단말이 DRX 동작을 결정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단계(S902), 단말이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검출한 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송신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며; DRX 주기는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예시에서, 기지국은 지시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며, 여기서,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WUS/WUP, Wake Up Signal/Wake Up PDCCH)은 웨이크업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L1 시그널링은 L1 신호 및/또는 채널을 포함하며, 적어도 휴지 상태(go to sleep)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단말은 DRX 주기 내에 설정된 제1 시간 길이 내에 해당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지시정보에 따라 DRX 동작에 대응되는 결정을 수행하며, 이후 단말은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기지국으로 반환하며, 이때서야 기지국은 대응되는 PDCCH 송신 전략을 제정하고, 단말의 활성 구간(On Duration)에서 단말의 유니캐스트 트래픽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의 송신 여부 또는 송신 시기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지시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이후, 단말에 의해 송신된 응답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단말의 DRX 주기 내의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계속하여 단말에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예시에서, 기지국이 제1 시간 길이 내에 지시정보를 송신하였으나, 단말의 ACK/NACK 응답 피드백을 수신하지 못하였거나, 또는 추후 스케줄링하는 물리적 다운 링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의 ACK/NACK 응답 피드백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과 기지국 간의 상이한 이해를 방지하기 위해, 기지국은 단말의 DRX 주기 내에 기설정/구성된 주기적 위치에서 WUS/WUP를 재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이 제1 시간 길이 내에 지시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은 DRX 주기 내에서 기설정/구성된 주기로 지시정보를 수신하려고 다시 시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수신 제어 방법을 통해, 지시정보가 도입되는 상황에서, 기지국을 통해 해당 지시정보를 단말로 송신하여 단말이 지시정보에 따라 DRX를 구성하도록 제어하고, 단말 DRX 웨이크업 상태를 최적화함으로써, 서비스 전송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단말이 DRX 주기마다 웨이크업 하여 PDCCH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단말의 에너지절약 효과를 향상시키고, 단말이 저에너지 소비로 작동하도록 확보한다.
실시예 3
도 10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조 개략도이다. 해당 통신 시스템은 수신 구성 장치(110) 및 수신 제어 장치(120)를 포함하되, 수신 구성 장치(110) 및 수신 제어 장치(120)는 지시정보의 상호 작용을 수행하고, PDCCH의 스케줄링 및 검출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수신 구성 장치(110)의 구조 개략도이며, 이는 단말에 적용되고, 해당 장치는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DRX 동작을 결정하는 전략 결정 모듈(1101)을 포함하며, DRX 주기는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지시정보는 상태 전환 채널 또는 상태 전환 신호를 포함하고, 상태 전환 채널 또는 상태 전환 신호가 단방향 상태 전환 채널 또는 단방향 상태 전환 신호인 경우, 그중 한 가지 형태는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WUS/WUP, Wake Up Signal/Wake Up PDCCH)일 수 있으며, 웨이크업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상태 전환 채널 또는 상태 전환 신호가 단/양방향 상태 전환 채널 또는 단/양방향 상태 전환 신호인 경우, 그중 한 가지 형태는 L1 신호 및/또는 L1 채널을 포함하는 L1 명령일 수 있으며, 적어도 에너지 절약 상태(go to sleep)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본 실시예에서의 DRX 주기는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시간 길이는 지시정보의 검출 시간 길이며, 이는 DRX 주기의 활성 구간과 비활성 구간 중의 임의의 하나의 구간 내에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상기 두 개의 구간 내에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는 지시정보 수신 여부를 단말에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DRX 동작은,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 비활성 구간의 DRX 휴지 상태 동작 및 DRX 웨이크업 상태가 DRX 휴지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DRX 동작이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인 경우,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N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N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 을 포함하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DRX 주기의 활성 구간 내에 제1 시간 길이를 설정하고,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며, 제1 시간 길이의 시작 시각은 DRX 주기와 동일하고, 제1 지시정보는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웨이크업 상태 지시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일 수 있다. 따라서, 검출 결과가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이 검출된 것인 경우, 전략 결정 모듈(1101)은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N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임을 결정하고; 검출 결과가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이 검출되지 않은 것인 경우, 전략 결정 모듈(1101)은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N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의 일 예시로서, 제1 지시정보의 구성 주기는 DRX 주기와 동일하고, 즉, 두 개의 T0마다의 동일한 기준 시각 사이의 시간 길이는 두 개의 DRX 주기마다의 동일한 기준 시각 사이의 시간 길이와 동일하다. 물론, 기타 실시형태에서, 제1 지시정보의 구성 주기는 DRX 주기보다 크거나 또는 작을 수 있으며, 이는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에 따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T0을 구성할 때, DRX 구성 시의 일부 파라미터(예를 들어, 주기, 오프셋 등)를 공유할 수 있으며, 부분 파라미터만 별도로 구성하면 된다.
더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시간 길이는, 제1 지시정보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길이, 휴지 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간 길이 및 제1 지시정보의 응답 피드백 시간 길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DRX 동작이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설정 전략인 경우,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유지하는 것;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 내에 제1 시간 길이를 설정하고,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며, 제1 시간 길이는 비활성 구간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고, 제1 지시정보는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도록 단말을 지시하기 위한 웨이크업 상태 지시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일 수 있다. 따라서, 검출 결과가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이 검출된 것인 경우, 전략 결정 모듈(1101)은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임을 결정하고; 검출 결과가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이 검출되지 않은 것인 경우, 전략 결정 모듈(1101)은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결정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 주기와 DRX 주기를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즉, T0와 DRX 주기는 별개인 두 세트의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 내에 제1 시간 길이를 설정하고, 제1 시간 길이는 비활성 구간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고, 제2 지시정보는 단말이 휴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휴지 상태 지시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L1 신호 및/또는 채널을 포함하는 L1 시그널링일 수 있다. 따라서, 검출 결과가 단말이 휴지 상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L1 시그널링이 검출된 것인 경우, 전략 결정 모듈(1101)은,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결정하고; 검출 결과가 L1 시그널링이 검출되지 않은 것인 경우, 전략 결정 모듈(1101)은,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임을 결정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휴지 상태 지시정보를 구비하는 지시정보의 구성 주기가 DRX 주기보다 작은 경우, 전략 결정 모듈(1101)은 DRX 주기 내에 설정된 복수의 기설정 시간 길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한 후, 전략 결정 모듈(1101)은 마지막 검출 결과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을 결정한다.
또한, 더 구체적으로, 지시정보는 활성 구간에서의 길이 지시정보를 더 포함하며;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은, 활성 구간의 길이 지시 전략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경우, 지시정보는 전환될 상태를 지시하는 것 외에도 활성 구간의 길이에 대해 지시할 수도 있으며, WUS/WUP 또는 웨이크업 지시 기능을 구비하는 L1 신호 및/또는 L1 채널은 웨이크업 시간 길이를 지시하거나, 또는 웨이크업 타이머의 임계값을 지시하며, 이때 웨이크업 상태인 시간 길이는 WUS/WUP 또는 웨이크업 지시 기능을 구비하는 L1 신호 및/또는 L1 채널이 지시하는 웨이크업 시간 길이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WUS/WUP 또는 웨이크업 지시 기능을 구비하는 L1 신호 및/또는 L1 채널이 지시하는 웨이크업 타이머의 타임아웃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일 실시형태로 단말은 전용 PDCCH를 성공적으로 검출한 후 웨이크업 타이머를 재시작 한다. 즉, 이때 새로 지시되는 웨이크업 시간 길이 또는 웨이크업 타이머는 전에 구성된 활성 타이머를 대체한다. 또한 상기 WUS/WUP는 BWP 스위칭/SFI 등 정보를 더 지시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시간 길이에서 지시정보가 수신되지 않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지시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DRX 주기 내에 제2 시간 길이를 설정하여 누락 검출 보상 시간 길이로 하며, 해당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 검출을 다시 수행하는 누락 검출 보상 모듈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활성 구간의 시작 시각을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가 검출된 시각으로 조정하는 활성 구간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DRX 웨이크업 상태를 최적화하여, 서비스 전송 요구가 없을 때에는, 단말이 DRX 주기마다 PDCCH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하기 위해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단말의 에너지절약 효과를 향상시키고 단말이 저에너지 소비로 작동하도록 확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DRX 동작이 비활성 구간의 DRX 휴지 상태 동작인 경우, 비활성 구간의 DRX 휴지 상태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M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고, 및/또는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M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며,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본 출원의 일부 예시에서, 전략 결정 모듈(1101)은 DRX 주기 내의 비활성 구간 내에 설정된 기설정 시간 길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고;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며, 제1 시간 길이는 비활성 구간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고, 제1 지시정보는 웨이크업 상태 지시정보를 포함하며; 검출 결과가 해당 제1 지시정보가 검출된 것인 경우, 전략 결정 모듈(1101)은,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M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임을 결정하고; 검출 결과가 제1 지시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것인 경우, 전략 결정 모듈(1101)은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M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결정한다.
상기 실시예는 DRX 휴지 상태를 최적화함으로써, 단말이 DRX 휴지 상태에서 웨이크업 기회를 갖도록 하여, 저지연 고신뢰성과 에너지절약 사이의 절충을 구현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전략 결정 모듈(1101)은 DRX 주기의 활성 구간 내에 설정된 기설정 시간 길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고;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며, 제1 시간 길이는 활성 구간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고, 제3 지시정보는 휴지 상태 지시정보와 웨이크업 상태 지시정보를 동시에 포함하며, 예를 들어, 휴지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웨이크업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양방향 상태 전환 지시 기능을 구비하는 L1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검출 결과가 해당 L1 시그널링이 검출되는 것인 경우, 전략 결정 모듈(1101)은,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복수 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결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기타 예시에서, DRX 동작이 DRX 웨이크업 상태에서 DRX 휴지 상태로 동적으로 전환하는 동작인 경우, 전략 결정 모듈(1101)은 DRX 주기의 활성 구간 내에 설정된 기설정 시간 길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고; 제 1 시간 길이는 활성 구간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며, 제4 지시정보는 유니캐스트 트래픽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DCI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정보에 웨이크업 상태를 추가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며; 검출 결과가 DCI가 검출된 것인 경우, 전략 결정 모듈(1101)은,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로부터 이후의 복수 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결정한다.
상기 실시예는 DRX 웨이크업 상태에서 DRX 휴지 상태로의 동적 전환 최적화를 지원하여, 단말이 단지 L1 시그널링을 수신 및 검출하는 것 만을 통해 DRX 휴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절약을 보다 유연하게 구현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수신 제어 장치(120)의 구조 개략도이고, 해당 장치는 기지국에 적용되며,
단말에 지시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모듈(1201)-여기서, 지시정보의 전송 상황은 단말이 DRX 동작을 결정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됨-;
단말이 DRX 주기 내에 기설정된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검출된 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송신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수신 모듈(1202); 을 포함하되, DRX 주기는 활성 구간 및 비활성 구간을 포함한다.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송신 모듈(1201)은 지시정보를 단말에 송신하고, 여기서, 웨이크업 신호 및/또는 웨이크업 채널(WUS/WUP, Wake Up Signal/Wake Up PDCCH)은 웨이크업 상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L1 시그널링은 L1 신호 및/또는 L1 채널을 포함하고, 적어도 휴지 상태(go to sleep)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단말은 DRX 주기 내에 설정된 기설정 시간 길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해당 지시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지시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DRX 동작을 결정하고, 이후 단말은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수신 모듈(1202)로 반환하며, 이때서야 기지국은 대응되는 PDCCH 송신 전략을 제정하고, 단말의 활성 구간(On Duration)에서 단말의 유니캐스트 트래픽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PDCCH의 송신 여부 또는 송신 시기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예시에서, 송신 모듈(1201)은 지시정보를 단말에 송신한 후, 단말에 의해 송신된 응답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의 DRX 주기 내에 기설정된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계속하여 단말에 지시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이 단말로 지시정보를 송신하고, 단말이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를 검출한 후, 단말이 검출 결과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DRX 동작을 결정하고 DRX 구성을 수행하며, 기지국은 단말이 DRX 동작에 따라 피드백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면, 기지국은 응답 정보에 따라 PDCCH 송신 전략을 결정한다. 단말의 DRX 웨이크업 상태에 대한 최적화를 통해, 서비스 전송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단말이 DRX 주기마다 워이크업 하여 PDCCH 블라인드 검출을 수행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단말의 에너지절약 효과를 향상시키고, 단말이 저에너지 소비로 작동하도록 확보한다.
실시예 4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고, 해당 단말은 제1 프로세서(1301), 제1 메모리(1302) 및 제1 통신 버스(1303)를 포함하며; 제1 통신 버스(1303)는 제1 프로세서(1301)와 제1 메모리(1302) 간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고; 제1 프로세서(1301)는 제1 메모리(1302)에 저장된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수신 구성 방법의 프로세스를 구현하며,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는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고, 해당 단말은 제2 프로세서(1401), 제2 메모리(1402) 및 제2 통신 버스(1403)를 포함하며; 제2 통신 버스(1403)는 제2 프로세서(1401)와 제2 메모리(1402) 간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고; 제2 프로세서(1401)는 제2 메모리(1402)에 저장된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수신 구성 방법의 프로세스를 구현하며,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5
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고,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의 수신 구성 방법을 구현하거나, 또는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의 수신 제어 방법을 구현하며,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물론, 본 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각 모듈 또는 각 단계는 범용 컴퓨팅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일 컴퓨팅 장치에 집중되거나 또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로 조성된 네트워크에 분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 가능하게, 이들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될 수 있고, 따라서, 이들은 컴퓨터 저장매체(판독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켓, 컴팩트 디스크)에 저장되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일부 경우에, 여기서 표시되거나 설명된 단계는 상기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각각의 집적 회로 모듈로 제조되거나, 또는 이들 중의 복수의 모듈 또는 단계는 단일 집적 회로 모듈로 제조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어떠한 특정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내용은 구체적인 실시형태와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이 이러한 설명에 한정된다고 확정할 수 없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몇 가지 간단한 추론 또는 대체도 가능하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35)

  1.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DRX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DRX 주기는 활성 구간 및 비활성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정보는 상태 전환 채널 또는 상태 전환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은, 상기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 상기 비활성 구간의 DRX 휴지 상태 동작 및 DRX 웨이크업 상태가 DRX 휴지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이 상기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인 경우, 상기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 DRX 주기로부터 이후의 N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 상기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 DRX 주기로부터 이후의 N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DRX 주기의 상기 활성 구간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제1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며, 상기 제1 지시정보가 위치하는 제1 시간 길이의 시작 시각은 상기 DRX 주기의 시작 시각과 동일하고, 상기 제1 지시정보는 웨이크업 상태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제1 지시정보가 검출된 것인 경우, 결정된 상기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 DRX 주기로부터 이후의 N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제1 지시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것인 경우, 결정된 상기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 DRX 주기로부터 이후의 N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길이는 상기 활성 구간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정보의 구성 주기는 DRX 주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이 상기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인 경우, 상기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유지하는 것;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길이는 DRX 주기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길이는 DRX 주기 내의 상기 비활성 구간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길이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은 각각 상이한 DRX 주기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고, 상기 제1 지시정보는 웨이크업 상태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제1 지시정보가 검출된 것인 경우, 결정된 상기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의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제1 지시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것인 경우, 결정된 상기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길이의 위치는 상기 제1 지시정보의 구성 주기 및 오프셋 값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정보의 구성 주기는 DRX 주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값은 상기 DRX 주기의 길이와 상기 제1 시간 길이의 길이의 차이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16. 제 5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길이는, 상기 제1 지시정보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간 길이, 휴지 상태에서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시간 길이, 상기 제1 지시정보의 응답 피드백 시간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주기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DRX 주기의 상기 비활성 구간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제2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며, 상기 제2 지시정보는 휴지 상태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제2 지시정보가 검출된 것인 경우, 결정된 상기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이고;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제2 지시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것인 경우, 결정된 상기 DRX 동작은, 추후의 적어도 하나의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DRX 주기의 상기 비활성 구간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제2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DRX 주기의 상기 비활성 구간 내의 복수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제2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정보의 구성 주기는 DRX 주기보다 작으며; 여기서, 상기 DRX 동작은 마지막 검출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20. 제 4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정보는 상기 활성 구간의 길이 지시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DRX 동작은 상기 활성 구간의 길이 지시 전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구간의 길이 지시정보는, 웨이크업 시간 길이 또는 웨이크업 타이머 임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2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이 상기 활성 구간의 DRX 웨이크업 상태 동작인 경우,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지시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것인 경우, 상기 DRX 주기 내의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상기 지시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주기 내의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상기 지시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상기 지시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활성 구간의 시작 시각을 상기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상기 지시정보가 검출된 시각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2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이 상기 비활성 구간의 DRX 휴지 상태 동작인 경우, 상기 비활성 구간의 DRX 휴지 상태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 DRX 주기로부터 이후의 M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 DRX 주기로부터 이후의 M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DRX 주기의 상기 비활성 구간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제1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고, 상기 제1 지시정보는 웨이크업 상태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제1 지시정보가 검출된 것인 경우, 결정된 상기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 DRX 주기로부터 이후의 M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에서 PDCCH 검출을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제1 지시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것인 경우, 결정된 상기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 DRX 주기로부터 이후의 M개 DRX 주기의 비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2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이 DRX 웨이크업 상태에서 DRX 휴지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인 경우,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는,
    DRX 주기의 상기 활성 구간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제3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며, 상기 제3 지시정보는 휴지 상태 지시정보 및 웨이크업 상태 지시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DRX 주기의 상기 활성 구간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제4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길이의 길이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되며, 상기 제4 지시정보는 유니캐스트 트래픽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웨이크업 상태를 추가하는 지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지시정보가 검출된 것인 경우, 결정된 상기 DRX 동작은, 현재 DRX 주기 또는 현재 DRX 주기로부터 이후의 P개 DRX 주기의 활성 구간에서 휴지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이고, 상기 P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방법.
  29. 지시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상기 지시정보는 상기 단말이 비연속적 수신(DRX) 동작을 결정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됨-;
    상기 단말이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검출한 상기 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송신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DRX 주기는 활성 구간 및 비활성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제어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지시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이후,
    상기 응답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DRX 주기 내의 제2 시간 길이 내에서 계속하여 상기 지시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제어 방법.
  31. 비연속적 수신(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지시정보의 검출 결과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DRX 동작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략 결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DRX 주기는 활성 구간 및 비활성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구성 장치.
  32. 단말이 비연속적 수신(DRX) 동작을 결정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지시정보를 단말에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송신 모듈;
    상기 단말이 DRX 주기 내의 제1 시간 길이 내에서 검출한 상기 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송신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수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DRX 주기는 활성 구간 및 비활성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제어 장치.
  33. 제1 프로세서, 제1 메모리 및 제1 통신 버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 버스는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상기 제1 메모리 간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설정되어,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신 구성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4. 제2 프로세서, 제2 메모리 및 제2 통신 버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통신 버스는 상기 제2 프로세서와 상기 제2 메모리 간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설정되어,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따른 수신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5.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여,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신 구성 방법을 구현하거나, 또는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따른 수신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217007328A 2018-08-10 2019-08-12 수신 구성 및 제어 방법, 장치, 단말, 기지국 및 저장매체 KR102650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912159.9A CN110536381A (zh) 2018-08-10 2018-08-10 接收配置和控制方法、装置、终端、基站及存储介质
CN201810912159.9 2018-08-10
PCT/CN2019/100183 WO2020030175A1 (zh) 2018-08-10 2019-08-12 接收配置和控制方法、装置、终端、基站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732A true KR20210057732A (ko) 2021-05-21
KR102650292B1 KR102650292B1 (ko) 2024-03-21

Family

ID=6865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328A KR102650292B1 (ko) 2018-08-10 2019-08-12 수신 구성 및 제어 방법, 장치, 단말, 기지국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98115A1 (ko)
EP (1) EP3836636A4 (ko)
KR (1) KR102650292B1 (ko)
CN (1) CN110536381A (ko)
WO (1) WO20200301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0983A1 (ko) * 2022-04-28 2023-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24029945A1 (ko) * 2022-08-04 2024-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웨이크업 수신기를 가진 단말의 파워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3625B (zh) * 2018-08-13 2023-10-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唤醒方法、唤醒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287092A1 (en) * 2019-07-26 2022-09-08 Sony Group Corporation Network configuration for monitoring an open spectrum
CN113163516B (zh) * 2020-01-22 2024-02-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及装置
CN113162726B (zh) * 2020-01-23 2023-03-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Pdcch的检测方法及终端
WO2021217452A1 (zh) * 2020-04-28 2021-11-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2021033A1 (zh) * 2020-07-27 2022-02-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4071793B (zh) * 2020-08-05 2023-10-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处理方法及装置
US11985597B2 (en) * 2021-08-05 2024-05-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periodic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communications
WO2023097473A1 (zh) * 2021-11-30 2023-06-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及通信装置
WO2023173326A1 (en) * 2022-03-16 2023-09-21 Nec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for communication
CN115175284A (zh) * 2022-07-04 2022-10-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号接收方法、装置、终端、芯片、存储介质及程序产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323A (ko) * 2007-02-14 2009-11-25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들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3035984A1 (en) * 2011-09-08 2013-03-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on based on switching discontinuous receptio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70003629A (ko) * 2014-05-08 2017-01-09 알까뗄 루슨트 이중 접속성 시스템에서의 drx 조정 메커니즘
CN108307406A (zh) * 2016-09-30 2018-07-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非连续接收的方法及相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5668A (zh) * 2011-03-02 2012-09-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非连续接收方法及装置
EP2621242A1 (en) * 2012-01-26 2013-07-31 Panasonic Corporation Improved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with additional wake up opportunities
CN103582087B (zh) * 2012-07-20 2017-05-31 华为终端有限公司 非连续接收参数配置方法、数据发送方法及设备
CN103906123B (zh) * 2012-12-28 2018-08-2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终端测量调度方法和装置
US10499451B2 (en) * 2014-06-13 2019-12-03 Apple Inc. Adaptive C-DRX management
US9872252B1 (en) * 2016-09-30 2018-01-16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with multiple-stage wake-up
US10856224B2 (en) * 2014-11-06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discontinuous reception (DRX) over an unlicensed band in cellular networks
PT3257321T (pt) * 2015-03-13 2020-03-06 Huawei Tech Co Ltd Aparelho e métodos numa rede de comunicação sem fios para receção descontínua e receção de dados
CN104812032B (zh) * 2015-04-10 2018-09-0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在非授权频段应用drx的方法及装置
CN108307547A (zh) * 2016-09-30 2018-07-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非连续接收配置信息的方法及装置
CN108235412B (zh) * 2017-12-19 2021-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电能优化的方法、装置、系统及用户设备
US11297674B2 (en) * 2018-02-14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s at a user equipment
WO2019196038A1 (zh) * 2018-04-11 2019-10-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节能信号的传输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323A (ko) * 2007-02-14 2009-11-25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들의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3035984A1 (en) * 2011-09-08 2013-03-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on based on switching discontinuous receptio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70003629A (ko) * 2014-05-08 2017-01-09 알까뗄 루슨트 이중 접속성 시스템에서의 drx 조정 메커니즘
CN108307406A (zh) * 2016-09-30 2018-07-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非连续接收的方法及相关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3542* *
3GPP R2_1707124 *
3GPP R2-1709117*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0983A1 (ko) * 2022-04-28 2023-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24029945A1 (ko) * 2022-08-04 2024-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웨이크업 수신기를 가진 단말의 파워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6636A4 (en) 2022-04-13
EP3836636A1 (en) 2021-06-16
US20210298115A1 (en) 2021-09-23
KR102650292B1 (ko) 2024-03-21
WO2020030175A1 (zh) 2020-02-13
CN110536381A (zh)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0292B1 (ko) 수신 구성 및 제어 방법, 장치, 단말, 기지국 및 저장매체
JP7298792B2 (ja) 移動局、基地局、及び、方法
EP3836634B1 (en) Condition for a terminal to monitor pdcch during drx cycle
CN110546982B (zh) 省电方法、装置、终端、接入网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8923178B2 (en) Managing group messages for LTE wakeup
TWI740473B (zh) 監測實體下行鏈路控制通道的方法及相關裝置
US9491702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dynamic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WO2021027918A1 (zh) 终端的省电方法、省电装置、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TW201902249A (zh) 用於新無線電中的多狀態drx的技術
CN110881208B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WO2021023076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1062612A1 (zh) 通信方法及装置
EP42166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discontinuous reception,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20230104198A1 (en) Power saving pdcch monitoring techniques equipment
KR20230116869A (ko) 절전 처리 방법, 장치 및 단말
EP4199605A1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related device
US10390302B2 (en) Data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CN110574444B (zh) 省电信号的参数动态变更方法、装置、终端和介质
KR20130126403A (ko) 패킷 도착 간격을 고려한 drx 재구성 방법 및 장치
WO2022160289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ownlink notification monitoring
CN111867011B (zh) 一种节能信号的传输方法、网络侧设备及用户设备
KR20230160795A (ko) 차량 사물 통신에서의 전송 자원 선택 방법, 장치 및 단말
CN115334695A (zh) 直通链路非连续接收配置方法、装置及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