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619A -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619A
KR20210057619A KR1020190144602A KR20190144602A KR20210057619A KR 20210057619 A KR20210057619 A KR 20210057619A KR 1020190144602 A KR1020190144602 A KR 1020190144602A KR 20190144602 A KR20190144602 A KR 20190144602A KR 20210057619 A KR20210057619 A KR 20210057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controller
vehicle
memory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규
정혁상
이동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4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7619A/ko
Priority to US17/035,039 priority patent/US20210141634A1/en
Priority to DE102020213219.4A priority patent/DE102020213219A1/de
Priority to CN202011150198.3A priority patent/CN112860299A/zh
Publication of KR2021005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06F8/656Updates while ru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52Erasing, e.g. deleting, data cleaning, moving of data to a wastebask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8Controller construc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9Command handling arrangements, e.g. command buffers, queues, command 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06F8/654Updates using techniques specially adapted for alterable solid state memories, e.g. for EEPROM or flash mem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06F8/658Incremental updates; Differential 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06F8/66Updates of program code stored in read-only memory [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차량 소프트웨어의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선 업데이트를 위해 제어기별 롬(ROM)과 업데이트 방식을 구별하여 저장하고, 차량의 안전 상태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방식별로 구별된 진단명령어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OVER THE AIR UPDAT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기능별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진단 명령어와 시퀀스 정의 및 그를 적용한 업데이트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 운송 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이 발전하고,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3G, LTE, 5G, NR SYSTEM 등)이 가능한 차량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에서 다른 차량이나 인프라와 같은 외부 개체와의 통신도 보편화되고 있다.
또한, 차량내의 전자 제어기(ECU: Electronic Control Units)는 소비자 요구 및 부가되는 기능들에 의해 그 숫자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자 제어기의 구조 및 기능이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해당 전자 제어기 내부의 소프트웨어 모듈 또한 버그 픽스, 성능 향상, 보안성 향상 등의 이유로 차량 내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한 업데이트가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술 발전 및 산업적 서비스 환경을 고려하여, 18년 4월 UN 산하 유럽경제위원회(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UNECE) OTA(Over the air update) TF(task force)에서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Software Update) 형식 승인 실시를 위해 유럽 및 일본과 같이 일부 국가에서 법규 초안 최종안을 확정하였고, 한편, 국내에는 KATRI(Korea Automobile Testing & Research Institute)에서, 제어기의 OTA에 대한 OEM 및 차량기능의 의무사항들을 법규화(’20.2 발효 예상됨)을 결정하고 있는 상태이다. 일 예로, ※ 3.2항 “The vehicle manufacturer shall demonstrate to the Approval Authority the following aspects:”… 3.4항 “The vehicle shall have the following functionality with regards to software updates:”등을 참고할 수 있다.
이러한, 국내외 실정을 고려할 때, 표준 사항을 고려한 최적화된 OTA 기술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진단 명령어 및 그를 위한 전송 방안에 관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진단 명령어 및 이를 위한 최적화된 시퀀스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방식별로 안전성과 강건성을 보장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새로운 기능 및 최적화를 위한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를 위해 기술별 적응적 명령어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차량 소프트웨어의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선 업데이트를 위해 제어기별 롬(ROM)과 업데이트 방식을 구별하여 저장하고, 차량의 안전 상태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방식별로 구별된 진단명령어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의 방식을 판단하는 방식 판단부와, 판단된 방식에 따라 구별된 시퀀스로 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마스터 로직을 포함하는 관리 제어기; 및 상기 관리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제어기별로 정해진 방식에 따라 진단명령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안전한 상태에서 무선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정해진 조건을 기준으로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안전(Safe)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 판단부는 상기 관리 제어기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폴드(Default, 일반) 방식, 차분 방식, 메모리 이중화 방식, 및 차분 방식과 메모리 이중화 방식의 조합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고려하여 구별된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폴드(Default, 일반) 방식, 차분 방식, 메모리 이중화 방식, 및 차분 방식과 메모리 이중화 방식의 조합된 방식 별로 데이터를 구별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관리 제어기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는, 디폴드(Default, 일반) 방식, 차분 방식, 메모리 이중화 방식, 및 차분 방식과 메모리 이중화 방식의 조합된 방식 별로 구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 제어기는 상기 방식에 대응하여 구별된 업데이트 수행 로직과 메모리를 각각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서버는 제어기별 롬(ROM)과 업데이트 방식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작 중인 메모리 영역을 읽도록 제어하는 명령어(ReadActiveArea), 동작 중이지 않은 메모리 영역을 지우도록 제어하는 명령어(EraseTargetArea), 동작 중인 메모리 영역을 동작 중이지 않은 메모리 영역에 복사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CopyActiveAreaTo), 및 델타(Delta)를 기반으로 제어기 내부에서 롬(ROM)을 만들도록 제어하는 명령어(WriteDeltaPatch)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 부하, 차량 전원 상태, 배터리 상태, 잔여 롬 데이터 전송 예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백그라운드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업데이트 이후 제어기의 소프트웨어 버전(SW) 버전을 읽도록 제어하는 명령어(ReadDataByIdentifier)를 통해 리프로그래밍을 완료한 후, 상기 서버에 업데이트 성공을 보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방법은, 외부의 서버로부터 차량 소프트웨어의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업데이트를 위해 제어기별 롬(ROM)과 업데이트 방식을 구별하여 저장하고, 차량의 안전 상태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방식별로 구별된 진단명령어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업데이트 대상을 위한 방식을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방식에 따라 구별된 시퀀스로 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롬 데이터를 기준으로 정해진 방식에 따라 진단명령어를 사용하여 무선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안전한 상태에서 무선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정해진 조건을 기준으로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폴드(Default, 일반) 방식, 차분 방식, 메모리 이중화 방식, 및 차분 방식과 메모리 이중화 방식의 조합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고려하여 구별된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폴드(Default, 일반) 방식, 차분 방식, 메모리 이중화 방식, 및 차분 방식과 메모리 이중화 방식의 조합된 방식 별로 데이터를 구별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디폴드(Default, 일반) 방식, 차분 방식, 메모리 이중화 방식, 및 차분 방식과 메모리 이중화 방식의 조합된 방식 별로, 구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 제어기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 제어기별로 해당 방식에 따른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어기별 롬(ROM)과 업데이트 방식을 구별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 중인 메모리 영역을 읽도록 제어하는 명령어(ReadActiveArea), 동작 중이지 않은 메모리 영역을 지우도록 제어하는 명령어(EraseTargetArea), 동작 중인 메모리 영역을 동작 중이지 않은 메모리 영역에 복사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CopyActiveAreaTo), 및 델타(Delta)를 기반으로 제어기 내부에서 롬(ROM)을 만들도록 제어하는 명령어(WriteDeltaPatch)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부하, 차량 전원 상태, 배터리 상태, 잔여 롬 데이터 전송 예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백그라운드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업데이트 이후, 제어기의 소프트웨어 버전(SW) 버전을 읽도록 제어하는 명령어(ReadDataByIdentifier)를 통해 리프로그래밍을 완료한 후, 상기 서버에 업데이트 성공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기능을 위한 진단 명령어와 안전하고 시스템 강건성을 지원하는 시퀀스를 제시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업데이트 되는 기능에 따른 기술별 장단점을 판단하여, 제어기에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함에 따라, 업데이트 향상성 및 상품 향상성을 제공한다.
또한, 업데이트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보고함으로써, 시스템의 오동작 및 정상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기 OTA를 양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차량의 상품성 향상을 최대한 보장한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시스템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디폴트(Default, 일반) 기능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분 기능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메모리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분 기능과 메모리 이중화 기능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OTA 기능에 따라 구별된 OTA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신호흐름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차량 무선 업데이트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실시하는 4가지 기술에 대한 실제적인 구현을 위해, 필요한 새로운 진단 명령어와 OTA를 안전하고 강건하게 진행하기 위한 시퀀스를 제시한다. 제어기에 적용 가능하도록 시퀀스와 명령어를 통하여 4가지 기술의 장단점을 판단하여 필요한 경우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적용한다. 또한, 제어기 내 메모리가 비정상 동작을 하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체크 시퀀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100)는 차량 외부의 서버(20)로부터 차량의 소프트웨어(software)의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의 백그라운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100)는 네트워크 부하, 차량 전원 상태, 배터리 상태, 잔여 롬데이터 전송 예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백그라운드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100)은 디폴트(일반)/ 차분/ 메모리 이중화/ 차분+메모리 이중화 중 1개의 방식을 적용하여 무선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각 업데이트를 위한 각 기능에 따른 명령어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업데이트 성공 후, SW 버전을 읽고, 정상 리프로그래밍 완료를 확인하여, 보고하도록 제어할 있다.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제어부(140), 및 알람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다양한 전자 회로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캔(CAN) 통신, 린(LIN) 통신, 이더넷 통신 등을 통해 차량 내 통신을 수행하며, 차량 외부의 서버(20) 등과의 통신을 위해 이동통신 유닛, DMB 모듈이나 DVB-H 모듈과 같은 방송수신 유닛, 블루투스 모듈인 지그비 모듈 또는 NEC 모듈과 같은 근거리 통신 유닛, 와이파이 통신 유닛 등 다양한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차량 무선 업데이트를 위해 다운로드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제어부(140)에 의해 판단된 네트워크 부하, 차량 전원 상태, 배터리 상태, 잔여 롬데이터 전송 예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폴트(일반)/ 차분/ 메모리 이중화/ 차분+메모리 이중화 중 1개의 방식에 따른 제어기 별 ROM과 OTA 방식을 저장한다. 이때, 각 기능에 따른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어,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승인 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클러스터, AVN(Audio Video Navigation)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CD),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반투명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서 마련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표시부(130)은 리프로그래밍 완료 및 버전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알람부(15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명령을 실행하는 전기 회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술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네트워크 부하, 차량 전원 상태, 배터리 상태, 잔여 롬데이터 전송 예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백그라운드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폴드(Default, 일반)/ 차분/ 메모리 이중화/ 차분 + 메모리 이중화 기능에 따라 무선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차량 모드가 다운로드 모드인지 업데이트 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차량 모드가 다운로드 모드인 경우, 차량이 주행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이 이그니션 오프 상태인 경우, 차량 네트워크 부하가 임계치보다 큰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 네트워크가 부하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연속 프레임 사이의 시간 간격은 크게 설정하고 단위 전송 크기를 작게 설정하고, 차량 네트워크 부하가 임계치 이하이면 연속 프레임 사이의 시간 간격은 작게 설정하고 단위 전송 크기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 네트워크 부하에 따라 백그라운드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백그라운드 전송이 완료되면 차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 상태가 이그니션 오프 상태이면 백그라운드 전송을 완료하고, 차량 상태가 이그니션 온 상태이면 차량 상태가 이그니션 오프로 천이될 때 무선 업데이트에 대한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받아 무선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이 이그니션 온 상태인 경우, 잔여 롬데이터 전송 예상시간을 계산하고, 현재 배터리 상태가 잔여 롬데이터 전송 예상시간동안 백그라운드 전송이 가능한 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백그라운드 전송이 가능한 경우, 네트워크 부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의 전원 상태가 천이되더라도, 백그라운드 전송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어부(140)는 디폴드(Default, 일반)/ 차분/ 메모리이중화/ 차분+메모리이중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OTA(진단포함) 명령어 시퀀스를 제시하여, 각 기능별로 OTA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OTA 수행을 위해서 신규로 추가한 진단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 ReadActiveArea: A/B 메모리 중 현재 동작(부팅)중인 메모리 영역을 읽는 명령어,
ⓑ EraseTargetArea: A/B 메모리 중 한쪽을 지우는 명령어 [NOR 플래시가 아닌경우 제외가능] 이는, OTA에서는 현재 동작 중이지 않은 메모리를 지우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는 명령어,
ⓒ CopyActiveAreaTo: A→B 또는 B→A로 메모리 내용을 복사하는 명령어로, OTA에서는 현재 동작 중인 영역의 메모리를 동작 중이지 않은 메모리에 복사하는 명령어,
ⓓ WriteDeltaPatch: 실제 ROM의 전송이 아닌 Delta를 기반으로 제어기 내부에서 ROM을 만들도록 제어하는 명령어
알람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130)에 표시할 때 사용자에게 승인을 위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무선 업데이트 시 각 기능에 따른 명령어를 통해 업데이트 향상성을 지원하고 해당 기능시 백그라운드 업데이트를 지원하여 전송시 연속성을 보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는 OTA 관리 제어기(200) 및 OTA 대상 제어기(250)을 포함한다.
OTA 관리 제어기(200)는 OTA(Over the air update) 업데이트를 주관하는 제어기로서 서버로부터 롬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 수행제어기로 롬 데이터를 전송하여 리프로그래밍을 실행하는 주체가 된다. OTA 관리 제어기(200)는 OTA 마스터(210), ROLL BACK 로직(220), 및 업데이트 메모리(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OTA 마스터(210)은 리프로그램밍을 위한 디폴트/ 차분 방식/ 메모리 이중화 방식들을 적용하여 무선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네트워크 부하율, 롬 부하율을 판단하여 업데이트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업데이트 및 백그라운드 전송 등 주요한 OTA 기능 작동을 제어한다.
OTA 대상 제어기(250)는 OTA 수행로직(260)과, 메모리(270)을 구비하여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업데이트(Write)동작을 수행한다. OTA 수행로직(260)는 디폴트/ 차분 방식/ 메모리 이중화 방식들을 수행하며, 제어기 메모리(270)은 해당 기능에 따라 롬 데이터 및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일 예로 4가지 OTA 수행 기술을 설명하고자 하며, 이는 상황에 따라 각 기술 별 조합된 형태의 OTA 수행도 가능하게 존재할 수 있다. 각 기술에는 장단점이 있어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프로그램 마스터 로직은 OTA 대상 제어기별로 적합한 기술을 차량의 안전성 및 시스템 효율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제어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4가지 OTA 수행시 해당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진단 명령어 및 시퀀스를 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OTA 서버(390)는 차량과 OTA 통신을 수행하는 OTA 통신부(392), 제어기 ROM 및 그 제어기의 OTA 방식을 저장하는 OTA용 데이터 저장부(394), OTA대상 제어기의 ROM을 등록하는 ROM 등록 UI(396)와, OTA의 실시 여부 및 과거 이력을 관리하는 OTA 이력 관리부(398)를 구비할 수 있다.
ROM 등록자는, OTA 대상 제어기용 ROM을 등록하며, 그 제어기의 OTA 방식을 입력한다.
차량 내 OTA 장치는 OTA 관리 제어기와 OTA 대상 제어기를 구비할 수 있다.
OTA 관리 제어기(300)는 서버와 OTA 통신을 수행 통신부(305), 리프로그램 마스터 로직(310), 및 메모리(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리프르그램 마스터 로직(310)은 방식 판단부(312)을 구비하여 OTA 대상 제어기의 방식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Safe 판단부(314)를 구비하여, 차량이 안전한 상태에서 OTA를 시작할 수 있도록 정해진 조건이 만족하였는지 판단하여 OTA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메모리(330)은 제어기별 롬+방식을 기준으로, 각 제어기 별 ROM과 OTA 방식을 저장한다. 상기 리프로그램 마스터 로직(310)은 판단된 방식에 맞는 시퀀스로 롬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설명한 바와 같이, OTA 관리 제어기(300)은 OTA 방식별로 다른 시퀀스/진단명령어 사용하여 롬 전송을 수행한다.
OTA 대상 제어기(350)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기술 별로 구별된 유닛으로 구성되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디폴드(Default, 일반)/ 차분/ 메모리이중화/ 차분+메모리이중화 기능 중 1개의 방식기능을 고려하여 구별된 4개의 OTA 대상 제어기(350, 352, 354, 356)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환경 및 전자 제어기의 구비에 따라 또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버전 등을 고려하여 각 기술별 OTA 대상 제어기가 추가/ 감소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OTA 수행로직(360)은 OTA 관리 제어기(300)로부터 받은 ROM을 메모리에 업데이트(Write) 진행하며, 이때, 각 기능 별 진단명령어 대응하여 업데이트(Write)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디폴드(Default, 일반)/ 차분/ 메모리이중화/ 차분+메모리이중화 기능 에 따라 구별된 4개의 OTA 수행로직(360, 362, 364, 366)을 구비하여 OTA 방식별로 다른 시퀀스 /진단명령어 사용하여 업데이트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370)은 롬 데이터를 저장하며, 본 발명에 따라 디폴드(Default, 일반)/ 차분/ 메모리이중화/ 차분+메모리이중화 기능에 따라 구별된 4개의 메모리(370, 372, 374, 376)을 구비하여 OTA 방식별로 다른 시퀀스 /진단명령어 사용하여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OTA 시스템은, 디폴드(Default, 일반)/ 차분/ 메모리이중화/ 차분+메모리이중화 기능에 따라 즉, OTA 방식별로 ⓐ ReadActiveArea, EraseTargetArea, CopyActiveAreaTo, WriteDeltaPatch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구별된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 진단기를 활용한 제어기 리프로그래밍의 경우 운전자가 서비스센터를 반드시 방문하여야 하는 등 기존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즉 ROM 등록자에 의해 대상 제어기용 ROM을 등록하고, 그에 따른 OTA 방식을 입력함에 따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예로, Tesla의 차량들은 새로운 기능이나 최적화를 OTA를 통해서 수행하며, 이미 제어기 OTA는 소비자의 차량 주요 구매 포인트로 인식되는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OTA 기능은 소비자로 하여금 매력적인 장점으로 적용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명령어 및 시퀀스를 통해 OTA를 수행하는 경우, 기존의 진단 사양(UDS, KWP2000)등은 OTA를 위한 신기술 기반 리프로그래밍(차분/메모리이중화)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없는 단점을 해결하게 된다. 즉, OTA를 위해서 새로운 진단 명령어 및 최적화된 시퀀스를 개발하게 된 장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OTA 기능은 차량이 안전한 상태에서 OTA를 시작할수 있도록 정해진 조건이 만족하였는지 판단한 후, 리프로그래밍을 수행함에 따라 안전성과 강건성이 확보하게 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디폴드(Default, 일반)/ 차분/ 메모리이중화/ 차분+메모리이중화 기능의 업데이트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용이를 위하여 개별된 각 기능의 명령어 및 시퀀스를 설명하나, 필요에 따라 조합된 형태의 기능에 따라 조합된 형태의 명령어 및 시퀀스가 제안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설명하는 각 기능에 따라 명령어 및 시퀀스가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형태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디폴드(Default, 일반)을 기능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OTA 대상 제어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ROM과 방식은 서버를 통해서 관리제어기에 저장된 상태이다.
410 단계에서 차량내의 제어부는 무선 통신 기반으로 차량 정보를 업데이트하는데, 이러한 업데이트 실행 시 안정성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이 주행 중 또는 이그니션 오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은 이그니션 온 상태이면 차량 상태가 이그니션 오프로 천이될 때 무선 업데이트에 대한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받아 무선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그니션 오프(IG off) 상태에서 ASIL 등급이 있는 제어기(안전 유관 제어기) 즉, 이그니션 온에서 제어기가 지켜야 할 법규, ASIL 등급을 배제하기 위한 조치등을 고려하여 이그니션(IG on) → 이그니션 오프(IG off)를 확인한다.
420 단계에서 차량내의 제어부는 안정 상태(Safe-Status)를 확인한다. 이는 사용자 승인을 포함해서 차량이 OTA하기 안전한지 확인한다.
430 단계에서 제어부는 리프로그래밍 사전 절차를 수행한다. 즉, 진단기를 통한 UDS 리프로그래밍과 동일한 사전 절차하며, OTA에 필요한 협조제어기는 Enable Normal MSG로 통신 가능하게 하도록 제어한다.
440 단계에서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한다. 진단기를 통한 UDS 리프로그래밍과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되, ReadDataByIdentifier를 통해 리프로그래밍 이후 제어기의 RTSW에서 SW 버전을 읽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제어기의 정상 리프로그래밍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정상 동작시 서버에 OTA 성공으로 보고한다. 이때, 신규로 생성한 명령어에 대한 Detail한 Protocol은 필요시 제공 가능하다.
설명한 바와 같이, 디폴드 기능에 따른 업데이트 수행시 차량 내 OTA 관리제어기는 방식판단부를 통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입력된 OTA 방식을 확인하고, Safe 판단부를 통해 이그니션 오/오프 상태를 확인하여 제어기가 지켜야할 상황 및 ASIL 등급을 고려하여 OTA 업데이트를 제어한다. 또한, OTA에 필요한 협조제어기는 Enable Normal MSG로 통신 가능하게 함으로써, 리프로그램밍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ReadDataByIdentifier를 통해 정상적으로 수행된 리프로그래밍에 대한 완료 보고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진단 리프로그래밍 (UDS)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게 되며, OTA 관리 제어기가 진단기 역할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제어기 부트로더에서 리프로그래밍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기마다 리프로그래밍 절차가 상이함에 따른 표준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디폴트 OTA 수행시 ROM 전송과 리프로그래밍이 동시에 수행된다. 이 경우, 전송 소요시간 동안 제어기 동작이 불가하며, 일 예로, EMS 최대 20분 정도 소요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OTA 수행시 H/W 변경이 없으며, S/W 의 경우, ReadDataByIdentifier(명령어)를 통한 리프로그래밍 완료 및 버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분 기능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분 기능은, 업데이트에 필요한 롬 데이터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방식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0 단계에서 제어부는 무선다운로드를 완료한 상태로, OTA 대상 제어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ROM과 기능(방식)이 관리제어기에 저장된 상태이다.
510 단계에서 제어부는 백그라운드 전송 절차를 통해 관리제어기에서 대상제어기로 롬을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상기 무선 업데이트를 위해 네트워크 부하, 차량 전원 상태, 배터리 상태, 잔여 롬 데이터 전송 예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백그라운드 전송을 제어하며 네트워크 부하에 따라 전송 레이트를 설정하고, 설정된 전송 레이트 및 차량 상태에 따라 상기 백그라운드 전송을 제어하는 관리 제어기; 및 상기 관리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수행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520 단계에서 제어부는 이그니션 온에서 제어기가 지켜야 할 법규, ASIL 등급을 배제하기 위한 조치등을 고려하여 이그니션(IG on) → 이그니션 오프(IG off)를 확인한다.
530 단계에서 차량내의 제어부는 안정 상태(Safe-Status)를 확인한다. 이는 사용자 승인을 포함해서 차량이 OTA하기 안전한지 확인한다.
540 단계에서 제어부는 리프로그래밍 사전 절차를 수행한다. 즉, 진단기를 통한 UDS 리프로그래밍과 동일한 사전 절차하며, OTA에 필요한 협조제어기는 Enable Normal MSG로 통신 가능하게 하도록 제어한다.
550 단계에서 제어부는 업데이트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 Programming세션 천이 후 보안 검사를 위해서 Security Access를 수행하고, ⓑ WriteDeltaPatch라는 명령어를 추가로 생성하여, 실제 ROM의 전송이 아닌 Delta를 기반으로 제어기 내부에서 ROM을 만들도록 제어한다. 이후 CheckProgramming Dependency, ECU Reset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ReadDataByIdentifier를 통해 리프로그래밍 이후 제어기의 RTSW에서 SW 버전을 읽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제어기의 정상 리프로그래밍 완료를 확인토록 한다. 이를 통해 정상 동작시 서버에 OTA 성공으로 보고한다. 여기서, 신규로 생성한 명령어에 대한 Detail한 Protocol은 필요시 제공 가능하다.
설명한 바와 같이, 차분 기능을 통해 동작 중 ROM을 백그라운드로 전송받아 저장한 후, 추후 재부팅 시 리프로그래밍 수행 가능함에 따라, 소요시간이 단축(수십 sec)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어기 1개당 라이선스 비용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분 기능은, 기존 ROM 대비 변경 부분만 전송 일 예로, 15% 미만인 경우에 적용 가능하거나, 또는 기존 ROM과 변경 부분을 조합하여 리프로그래밍 실시 가능하다. 이에, S/W 관점에서 부트로더에 차분 솔루션 적용함에 따라, 별도 ROM 전송 프로토콜 필요하며, H/W 관점에서 Flash 추가 용량, 일 예로 약 15% 필요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메모리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0 단계에서 제어부는 무선다운로드를 완료한 상태로, OTA대상제어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ROM과 방식이 관리제어기에 저장된 상태이다.
610 단계에서 백그라운드 전송 절차시, 관리제어기에서 대상제어기로 롬을 전송하는 과정이며 3가지 진단명령어를 추가할 수 있다.
ⓐ ReadActiveArea: A/B 메모리 중 현재 동작(부팅)중인 메모리 영역을 읽는 명령어, ⓑ EraseTargetArea: A/B 메모리 중 한쪽을 지우는 명령어 [NOR플래시가 아닌경우 제외가능] 이는, OTA에서는 현재 동작 중이지 않은 메모리를 지우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 CopyActiveAreaTo: A→B 또는 B→A로 메모리 내용을 복사하는 명령어로, OTA에서는 현재 동작 중인 영역의 메모리를 동작 중이지 않은 메모리에 복사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제어기 메모기에 여러 개의 영역(Partition)이 있는 경우, OTA 해당 영역이 아닌 메모리를 최신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CopyActiveAreaTo명령이 필요하다.
일 예로, A1, A2(동작 중)와 B1, B2가 존재하고, 1번영역만 OTA 대상일 경우 A2→B2로 복사하고, B1은 OTA로 업데이트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B1, B2 모두 최신의 롬상태를 유지 가능하다.
620 단계에서 제어부는 이그니션 온에서 제어기가 지켜야 할 법규, ASIL 등급을 배제하기 위한 조치등을 고려하여 이그니션(IG on) → 이그니션 오프(IG off)를 확인한다.
630 단계에서 차량내의 제어부는 안정 상태(Safe-Status)를 확인한다. 이는 사용자 승인을 포함해서 차량이 OTA하기 안전한지 확인한다.
640 단계에서 제어부는 리프로그래밍 사전 절차를 수행한다. 즉, 진단기를 통한 UDS 리프로그래밍과 동일한 사전 절차하며, OTA에 필요한 협조제어기는 Enable Normal MSG로 통신 가능하게 하도록 제어한다.
650 단계에서 제어부는 업데이트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메모리 이중화 기능을 위해, ⓐ 메모리이중화 OTA 대상 제어기의 정상동작을 확보하기 위해 Programming세션으로 천이하지 않도록 동작한다. 이는 Extended Diagnostic세션에서 동작할 수 있다. ⓑ CheckProgramming Dependency를 미리함으로써, Valid하지 않은 메모리로 Swap을 방지한다. ⓒ SwapActiveArea라는 명령어를 신규로 추가하여, 동작(부팅) 메모리 영역을 바꾸도록 제어한다.
이후, ECU Reset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ReadDataByIdentifier를 통해 리프로그래밍 이후 제어기의 RTSW에서 SW 버전을 읽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제어기의 정상 리프로그래밍 완료를 확인토록 한다. 이를 통해 정상 동작시 서버에 OTA 성공으로 보고한다. 여기서, 신규로 생성한 명령어에 대한 Detail한 Protocol은 필요시 제공 가능하다.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이중화 기능을 통해, 내부 Flash 메모리에 원본 + 사본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원본 동작 중 사본 영역을 업데이트하고, 다음 리셋 시점에 업데이트 영역으로 동작을 수행토록 한다.
이때, 제어기 동작 불가시간 최소화 일 예로, 1sec 미만을 지원하며, 업데이트 Fail시 즉시 복구 가능하여 별도의 CCU 내 롤백 불필요하게 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Unit, MCU)의 원가 상승(메모리 2배)을 고려할 때, 구비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분 기능에 조합된 메모리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0 단계에서 제어부는 무선다운로드를 완료한 상태로, OTA대상제어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ROM과 방식이 관리제어기에 저장된 상태이다.
710 단계에서 백그라운드 전송 절차시, 관리제어기에서 대상제어기로 롬을 전송하는 과정이며 4가지 진단명령어를 추가할 수 있다. ⓐ ReadActiveArea: A/B 메모리 중 현재 동작(부팅)중인 메모리 영역을 읽는 명령어, ⓑ EraseTargetArea: A/B 메모리 중 한쪽을 지우는 명령어 [NOR플래시가 아닌경우 제외가능] 이는, OTA에서는 현재 동작 중이지 않은 메모리를 지우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 CopyActiveAreaTo: A→B 또는 B→A로 메모리 내용을 복사하는 명령어로, OTA에서는 현재 동작 중인 영역의 메모리를 동작 중이지 않은 메모리에 복사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제어기 메모기에 여러 개의 영역(Partition)이 있는 경우, OTA 해당 영역이 아닌 메모리를 최신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CopyActiveAreaTo명령이 필요하다. 일 예로, A1, A2(동작 중)와 B1, B2가 존재 하고, 1번영역만 OTA 대상일 경우 A2→B2로 복사하고, B1은 OTA로 업데이트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B1, B2 모두 최신의 롬상태를 유지 가능하다. 그리고, ⓓWriteDeltaPatch: 실제 ROM의 전송이 아닌 Delta를 기반으로 제어기 내부에서 ROM 만든다.
720 단계에서 제어부는 이그니션 온에서 제어기가 지켜야 할 법규, ASIL 등급을 배제하기 위한 조치등을 고려하여 이그니션(IG on) → 이그니션 오프(IG off)를 확인한다.
730 단계에서 차량내의 제어부는 안정 상태(Safe-Status)를 확인한다. 이는 사용자 승인을 포함해서 차량이 OTA하기 안전한지 확인한다.
740 단계에서 제어부는 리프로그래밍 사전 절차를 수행한다. 즉, 진단기를 통한 UDS 리프로그래밍과 동일한 사전 절차하며, OTA에 필요한 협조제어기는 Enable Normal MSG로 통신 가능하게 하도록 제어한다.
750 단계에서 제어부는 업데이트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메모리 이중화 기능을 위해, ⓐ 메모리이중화 OTA 대상 제어기의 정상동작을 확보하기 위해 Programming세션으로 천이하지 않도록 동작한다. 이는 Extended Diagnostic세션에서 동작할 수 있다. ⓑ CheckProgramming Dependency를 미리함으로써, Valid하지 않은 메모리로 Swap을 방지한다. ⓒ SwapActiveArea라는 명령어를 신규로 추가하여, 동작(부팅) 메모리 영역을 바꾸도록 제어한다.
이후, ECU Reset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ReadDataByIdentifier를 통해 리프로그래밍 이후 제어기의 RTSW에서 SW 버전을 읽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제어기의 정상 리프로그래밍 완료를 확인토록 한다. 이를 통해 정상 동작시 서버에 OTA 성공으로 보고한다. 여기서, 신규로 생성한 명령어에 대한 Detail한 Protocol은 필요시 제공 가능하다.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실시하는 4가지 기술에 대해 실제적인 구현을 위하여 필요한 새로운 진단 명령어와 OTA를 안전하고 강건하게 진행하기 위한 시퀀스를 제시한다. 이는 필요에 따른 4가지 기술의 장단점을 판단하여 제어기에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함에 따라 해당 기능에 따른 시퀀스와 명령어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해진다. 또한, 제어기 내 메모리가 비정상 동작을 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체크 시퀀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제어기 OTA를 양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며 OTA를 통해서는 아래와 같은 차량의 상품성 향상이 가능하다. 즉 OTA 활용 분야로, 고객 운행 중인 판매차에 대한 추가적인 상품성 향상 및 S/W품질 문제 발생 시 상품성 향상을 위해 적용 가능하다.
또한, 향후 고성능 제어기 탑재 시, S/W 추가 가능 등이 예상되는 경우, 현재는 원가를 고려하여 현 기능에 최적화 H/W 구성으로 개발 중이나, 추후, 클러스터, HUD, AVN 등 UX의 통일성 있는 업데이트 또는, ADAS/자율 주행 기능 추가, 고객 성향에 맞는 제어기 성능 업데이트 등을 위해, 품질문제 대처 효율화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S/W 업데이트 편의성 확보로 판매차 업데이트 비용 절감을 통해 서비스 사업부 협업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차량 제어 장치(100)가 도 8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8의 설명에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을 본 발명에 따른 OTA 기능에 따른 구별된 OTA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등록된 OTA 대상 제어기용 ROM 및 해당 제어기의 OTA 방식을 수신한다(S800).
제어부는 제어기별 롬 + 방식을 기준으로, 각 제어기 별 ROM과 OTA 방식을 저장하고(S810), 요청된 OTA에 맞는 롬 데이터를 확인하고(S815), 차량의 안전 상태 및 정해진 조건 백그라운드 조건 등을 확인하여 OTA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820).
이후, 제어부는 OTA 방식별로 다른 시퀀스/진단명령어 사용하여 롬 전송을 수행한다(S825).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디폴드(Default, 일반)/ 차분/ 메모리이중화/ 차분+메모리이중화 기능 중 1개의 방식기능을 고려하여 구별된 4개의 OTA 기능이 구비되며, 이는 서비스 환경 및 전자 제어기의 구비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전송된 ROM을 확인하여 각 기능 별 진단명령어 대응하여 업데이트(Write)동작을 수행한다(S835).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9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외부의 서버로부터 차량 소프트웨어의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선 업데이트를 위해 제어기별 롬(ROM)과 업데이트 방식을 구별하여 저장하고, 차량의 안전 상태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방식별로 구별된 진단명령어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의 방식을 판단하는 방식 판단부와, 판단된 방식에 따라 구별된 시퀀스로 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마스터 로직을 포함하는 관리 제어기; 및
    상기 관리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제어기별로 정해진 방식에 따라 진단명령어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안전한 상태에서 무선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정해진 조건을 기준으로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안전(Safe)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 판단부는 상기 관리 제어기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폴드(Default, 일반) 방식, 차분 방식, 메모리 이중화 방식, 및 차분 방식과 메모리 이중화 방식의 조합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고려하여 구별된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폴드(Default, 일반) 방식, 차분 방식, 메모리 이중화 방식, 및 차분 방식과 메모리 이중화 방식의 조합된 방식 별로 데이터를 구별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관리 제어기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대상 제어기는,
    디폴드(Default, 일반) 방식, 차분 방식, 메모리 이중화 방식, 및 차분 방식과 메모리 이중화 방식의 조합된 방식 별로 구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 제어기는 상기 방식에 대응하여 구별된 업데이트 수행 로직과 메모리를 각각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어기별 롬(ROM)과 업데이트 방식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작 중인 메모리 영역을 읽도록 제어하는 명령어(ReadActiveArea), 동작 중이지 않은 메모리 영역을 지우도록 제어하는 명령어(EraseTargetArea), 동작 중인 메모리 영역을 동작 중이지 않은 메모리 영역에 복사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CopyActiveAreaTo), 및 델타(Delta)를 기반으로 제어기 내부에서 롬(ROM)을 만들도록 제어하는 명령어(WriteDeltaPatch)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트워크 부하, 차량 전원 상태, 배터리 상태, 잔여 롬 데이터 전송 예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백그라운드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업데이트 이후, 제어기의 소프트웨어 버전(SW) 버전을 읽도록 제어하는 명령어(ReadDataByIdentifier)를 통해 리프로그래밍을 완료한 후, 상기 서버에 업데이트 성공을 보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11. 외부의 서버로부터 차량 소프트웨어의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업데이트를 위해 제어기별 롬(ROM)과 업데이트 방식을 구별하여 저장하고, 차량의 안전 상태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방식별로 구별된 진단명령어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업데이트 대상을 위한 방식을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방식에 따라 구별된 시퀀스로 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롬 데이터를 기준으로 정해진 방식에 따라 진단명령어를 사용하여 무선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안전한 상태에서 무선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정해진 조건을 기준으로 업데이트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디폴드(Default, 일반) 방식, 차분 방식, 메모리 이중화 방식, 및 차분 방식과 메모리 이중화 방식의 조합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고려하여 구별된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디폴드(Default, 일반) 방식, 차분 방식, 메모리 이중화 방식, 및 차분 방식과 메모리 이중화 방식의 조합된 방식 별로 데이터를 구별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디폴드(Default, 일반) 방식, 차분 방식, 메모리 이중화 방식, 및 차분 방식과 메모리 이중화 방식의 조합된 방식 별로, 구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 제어기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 제어기별로 해당 방식에 따른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어기별 롬(ROM)과 업데이트 방식을 구별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동작 중인 메모리 영역을 읽도록 제어하는 명령어(ReadActiveArea), 동작 중이지 않은 메모리 영역을 지우도록 제어하는 명령어(EraseTargetArea), 동작 중인 메모리 영역을 동작 중이지 않은 메모리 영역에 복사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CopyActiveAreaTo), 및 델타(Delta)를 기반으로 제어기 내부에서 롬(ROM)을 만들도록 제어하는 명령어(WriteDeltaPatch)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부하, 차량 전원 상태, 배터리 상태, 잔여 롬 데이터 전송 예상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 업데이트를 위한 백그라운드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업데이트 이후, 제어기의 소프트웨어 버전(SW) 버전을 읽도록 제어하는 명령어(ReadDataByIdentifier)를 통해 리프로그래밍을 완료한 후, 상기 서버에 업데이트 성공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방법.
KR1020190144602A 2019-11-12 2019-11-12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57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602A KR20210057619A (ko) 2019-11-12 2019-11-12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US17/035,039 US20210141634A1 (en) 2019-11-12 2020-09-28 Device and method for over the air update of vehicle
DE102020213219.4A DE102020213219A1 (de) 2019-11-12 2020-10-20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Over-The-Air-Update eines Fahrzeugs
CN202011150198.3A CN112860299A (zh) 2019-11-12 2020-10-23 车辆无线更新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602A KR20210057619A (ko) 2019-11-12 2019-11-12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619A true KR20210057619A (ko) 2021-05-21

Family

ID=7558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602A KR20210057619A (ko) 2019-11-12 2019-11-12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141634A1 (ko)
KR (1) KR20210057619A (ko)
CN (1) CN112860299A (ko)
DE (1) DE1020202132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46941A1 (en) * 2019-11-15 2021-05-2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ontrol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15204B (zh) * 2022-02-17 2023-09-19 三一汽车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空中下载升级方法、系统及起重机
WO2024011617A1 (zh) * 2022-07-15 2024-0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升级方法及装置
CN115484299A (zh) * 2022-09-09 2022-12-1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整车全局配置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1108A1 (de) * 2016-10-26 2018-04-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ktualisieren einer Software eines Steuergeräts eines Fahrzeug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46941A1 (en) * 2019-11-15 2021-05-2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ontrol apparatus
US11597398B2 (en) * 2019-11-15 2023-03-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ontro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213219A1 (de) 2021-05-12
CN112860299A (zh) 2021-05-28
US20210141634A1 (en)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7619A (ko)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US11099830B2 (en) Software updating apparatus, vehicle, and software updating method
US90869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edictive software upgrades
US10782955B2 (en) Pre-shutdown swap verification
US20180341476A1 (en) Software updating device, software updating system, and software updating method
CN103412561A (zh) 一种汽车控制器的刷新方法及装置
KR20210133599A (ko)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JP2016060407A (ja) 車両制御プログラム書換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書換方法
US11561789B2 (en) Software update device, vehicle, and software update method
US20190114162A1 (en) Control apparatus, program upda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0244958B (zh) 用于更新车辆的标定数据的方法和装置
CN105573787A (zh) 基于车载T-Box实现软件升级的方法及装置
US20230033167A1 (en) Vehicle electronic control system, data initialization method, center device, vehicle master device, storage medium for storing initialization package distribution program, and storage medium storing data initialization program
JP2019003432A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7215888A (ja) 制御装置、プログラム更新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10173634A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program update system
CN115061713A (zh) 升级电子设备的方法及装置
CN112527364A (zh) 用于车辆的空中下载更新的装置及其方法
CN115129025A (zh) 一种整车下线配型方法、系统、可读存储介质及设备
US20230256983A1 (en) Vehicle controller, vehicl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220342653A1 (en) Ota master, center, system, update metho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vehicle
US20240103839A1 (en) Mobile terminal and software distribution system
US11954480B2 (en) Center, OTA master, system, metho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vehicle
US20220405083A1 (en) Ota master, system, metho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vehicle
US20240012634A1 (en) Control system, control device, control program update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