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011A - Copolyester film - Google Patents

Copolyester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011A
KR20210057011A KR1020217004093A KR20217004093A KR20210057011A KR 20210057011 A KR20210057011 A KR 20210057011A KR 1020217004093 A KR1020217004093 A KR 1020217004093A KR 20217004093 A KR20217004093 A KR 20217004093A KR 20210057011 A KR20210057011 A KR 20210057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layer
mol
dicarboxylic aci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0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모히로 스즈키
히로유키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57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0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보다 유연하며, 보다 잘 휘어지며, 그런데도, 신도, 강도 및 내열성을 겸비한 새로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를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을 구비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는, 테레프탈산 및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 및 「그 밖의 알코올 성분」과의 공중합체이며, 당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 디카르본산 성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비율은 5mol% 이상 20mol% 이하이며, 알코올 성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의 비율은 1mol% 이상 25mol% 미만이고, 25℃의 저장 탄성률이 2500MPa 이하이며, 또한, 120℃의 저장 탄성률이 1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안한다.Co-polyester film with a co-polyester layer (layer I) containing co-polyester A as a main component resin as a new co-polyester film that is more flexible, more flexible, and yet has both elongation,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As, the said copolymerized polyester A is a copolymer of terephthalic acid and a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ethylene glycol and "other alcohol component", and occupied in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 the said copolymerized polyester The ratio of the "external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5 mol% or more and 20 mol% or less, the ratio of the "other alcohol component" to the alcohol component is 1 mol% or more and less than 25 mol%, and the storage modulus at 25°C is 2500 MPa or less, and It proposes a copolymer polyester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modulus at 120° C. is 10 MPa or more.

Description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Copolyester film

본 발명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을 구비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olymer polyester film provided with a copolymer polyester layer containing a copolymer polyester as a main component resin.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대표적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특히 2축 연신 PET 필름은, 투명성, 기계 강도, 내열성, 유연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공업 재료, 광학 재료, 전자 부품 재료, 전지용 포장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which is a typical polyester film, especially biaxially stretched PET film, has excellent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heat resistance, flexibility, etc., and thus various fields such as industrial materials, optical materials, electronic parts materials, battery packaging materials, etc. It is being used for.

이 종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있어서,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없는 연질성을 발현하여, 비교적 저온도 및 저압력하에서 성형성이 우수한 연질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필름의 탄성률 E'가 120℃에 있어서 20MPa 이하이고, 또한 180℃에 있어서 5MPa 이하이며, 필름 헤이즈가 1.0% 이하이고, 디올 구성 성분으로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를 29~32몰% 함유하고, 디카르본산 구성 성분으로서 이소프탈산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질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고 있다.Regarding this kind of polyester film,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it is a softened polyester film that exhibits softness not found in conventional polyester films, and is excellent in moldability under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The elastic modulus E'of the film is 20 MPa or less at 120°C, 5 MPa or less at 180°C, and the film haze is 1.0% or less, and 29 to 32 mol% of 1,4-cyclohexanedimethanol units as a diol component. A softened polyester film, which contains and does not contain an isophthalic acid unit as a dicarboxylic acid constituent component, has been proposed.

또한, 특허 문헌 2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공중합율이 5~30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으로 이루어지는 수상층(受像層)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감열 전사용 수상 시트가 제안되고 있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an image-receiving sheet for thermal transfer is proposed in which an image-receiving layer made of a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having a copolymerization ratio of 5 to 30 mol%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ide of a polyester film. .

또한, 특허 문헌 3에 있어서, 평균 입경 0.1~2.5㎛, 세공 용적이 0.05~2.5ml/g, 비표면적 50~600m2/g 및 내압축력이 1~100MPa인 활제를 0.05~5.0중량%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2축 배향 필름으로서, 당해 2축 배향 필름이, 고유 점도가 0.50~0.80dl/g, 유리 전이점이 70℃ 이상, 융점이 210~250℃이며, 또한 당해 2축 배향 필름 중의 입경 20㎛ 이상의 상기 활제의 조대(粗大) 입자가 최대 10개/mm2밖에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첩합(貼合) 성형 가공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고 있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3, containing 0.05 to 5.0% by weight of a lubricant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1 to 2.5 μm, a pore volume of 0.05 to 2.5 ml/g, a specific surface area of 50 to 600 m 2 /g, and a compressive strength of 1 to 100 MPa As a biaxially oriented film composed of a copolymerized polyester, the biaxially oriented film has an intrinsic viscosity of 0.50 to 0.80 dl/g, a glass transition point of 70° C. or higher, and a melting point of 210 to 250° C., A polyester film for metal plate bonding molding processing has been proposed, wherein the lubricant contains only a maximum of 10 particles/mm 2 of the lubricant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0 μm or more.

게다가, 특허 문헌 4에 있어서는, 지방족 디카르본산 성분을 전(全) 산 성분에 대하여 1~20mol%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150℃의 분위기하, 100% 신장 시의 필름 강도 F100이 0.5~5kg/mm2이며, 또한 당해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고 있다. 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4, the film strength F 100 at 100% elongation in an atmosphere of 150°C, which is made of a copolymer polyester containing 1 to 20 mol% of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total acid component. The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for mo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0.5 to 5 kg/mm 2 and the thickness non-uniformity of the film is 40% or less, has been proposed.

또한, 특허 문헌 5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A)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A)층의 적어도 편면에, 폴리에스테르 (B)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B)층이 적층된 적층 필름으로서, 당해 적층 필름의 23℃ 분위기하에서의 탄성률이 20~1000MPa, 120℃ 분위기하에서의 탄성률이 10~200MPa, 또한 실질적으로 무배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고 있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5, as a laminated film in which a polyester (B) layer containing polyester (B) as a main component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ide of a polyester (A) layer containing polyester (A) as a main component, A laminated polyester film is proposed, wherein the laminated film has an elastic modulus of 20 to 1000 MPa in an atmosphere of 23°C, an elastic modulus of 10 to 200 MPa in an atmosphere of 120°C, and substantially no orientation.

최근, 화상 표시 장치로서, 휴대 단말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에 의해 신체에 장착 가능한 사이즈로 소형화된 컴퓨터(웨어러블 컴퓨터)가 주목 받고 있다.BACKGROUND ART Recently, as an image display device, a computer (wearable computer) miniaturized to a size that can be attached to a body is attracting attention due to miniaturization and high performance of portable terminals.

웨어러블 컴퓨터에 사용되는 전자 디바이스(웨어러블 단말)는, 손목 시계와 같은 인체의 소지품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이상적이다(특허 문헌 6).Ideally, an electronic device (wearable terminal) used in a wearable computer is provided in a personal belongings such as a wrist watch (Patent Document 6).

그 외에도, 차세대의 화상 표시 장치로서, 자유 자재로 굴곡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주목을 받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유기 EL) 디스플레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as a next-generation image display device, a flexible display capable of flexing freely is attracting attention. For flexible displays, organic electroluminescent (organic EL) displays are mainly us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는, 얇은 유리 기판이나 플라스틱 기판이 이용되는 점에서, 이들 화상 표시 장치용 부재에 이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종래의 평면 형상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필요로 하는 광학 특성이나 내구성에 더해, 굴곡 시험을 해도 꺾임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Since a thin glass substrate or a plastic substrate is used for a flexible display, in addition to the opt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required in the conventional flat display panel, the polyester film used for these image display device members is subjected to a bending test. Even if it is, it is required that no breakage or the like occurs.

일본공개특허 특개2014-169371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4-169371 일본공개특허 특개평04-086293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Hei 04-086293 일본공개특허 특개2000-001552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001552 일본공개특허 특개평03-067629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Hei 03-067629 국제공개 제09/078304호 공보International Publication No. 09/078304 일본공개특허 특개2014-134903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4-134903

상기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단말이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하는 것을 생각하면,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비해, 단순히 유연할 뿐만 아니라, 보다 잘 휘어지고, 그런데도, 신도(伸度) 및 강도를 가지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가열되었을 때에 수축하지 않는 내열성도 필요했다.As described above, when considering using a polyester film for a wearable terminal or a flexible display, it is not only flexible, but also bends bett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ly generally used polyester film, and yet, elongation and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 polyester film having strength. In addition, heat resistance that does not shrink when heated was also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비해, 보다 유연하며, 보다 잘 휘어지고, 그런데도, 신도, 강도 및 내열성을 겸비한 새로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that is more flexible and bends better than a polyester film generally used in the past, and yet has both elongation,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본 발명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를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을 구비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copolymer polyester film provided with a copolymer polyester layer (layer I) containing copolymer polyester A as a main component resin,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는, 테레프탈산 및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 및 「그 밖의 알코올 성분」과의 공중합체이며, 당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 디카르본산 성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비율은 5mol% 이상 20mol% 이하이며, 알코올 성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의 비율은 1mol% 이상 25mol% 미만이고,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is a copolymer of terephthalic acid and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and ethylene glycol and ``other alcohol components'', and the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occupied by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The ratio of ``rebonic acid component'' is 5 mol% or more and 20 mol% or less, and the ratio of ``other alcohol components'' to the alcohol component is 1 mol% or more and less than 25 mol%,

25℃의 저장 탄성률이 2500MPa 이하이며, 또한, 120℃의 저장 탄성률이 1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안한다.It proposes a copolymer polyester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5°C is 2500 MPa or less,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120°C is 10 MPa or more.

본 발명은 또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을 구비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copolymer polyester film provided with a copolymer polyester layer (layer I) containing one or two or more types of polyester,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에 포함되는 전(全)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 디카르본산 성분의 함유량 합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함유량 합계의 비율은 5mol% 이상 20mol% 이하이며, 알코올 성분의 함유량 합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의 함유량 합계의 비율은 1mol% 이상 25mol% 미만이고,In all polyesters contained i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the ratio of the total content of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to the total content of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is 5 mol% or more and 20 mol% or less. , The ratio of the total content of "other alcohol components" to the total content of alcohol components is 1 mol% or more and less than 25 mol%,

25℃의 저장 탄성률이 2500MPa 이하이며, 또한, 120℃의 저장 탄성률이 1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안한다.It proposes a copolymer polyester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5°C is 2500 MPa or less,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120°C is 10 MPa or more.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온에서 유연성이 우수하고, 단순히 유연할 뿐만 아니라, 보다 잘 휘어지며, 그런데도, 신도 및 강도를 가지고 있고, 나아가서는 실용상 충분한 내열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예를 들면 전지용 포장재, 화상 표시용 부재,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나 웨어러블 단말 등의 구성 부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 copolymer polyester fil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flexibility at room temperature, is not only flexible, but also bends more easily, yet has elongation and strength, and may further have sufficient heat resistance for practical use. Accordingly, the copolymer polyester film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as, for example, a battery packaging material, an image display member, and particularly as a constituent member such as a flexible display or a wearable terminal.

도 1은 실시예에서 행한 휨 측정법의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a warpage measurement method performed in an example.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와 관련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라고 칭함)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를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을 구비한 단층 또는 적층의 필름이다.Co-polyester film (referred to as ``this co-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gle layer or laminate with a co-polyester layer (layer I) containing co-polyester A as a main component resin It's a film.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무연신 필름(시트)이어도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중에서도, 1축 방향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된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역학 특성의 밸런스나 평면성이 우수한 점에서, 2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이와 같은 연신 필름이면, 120℃의 저장 탄성률을 10MPa 이상으로 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경향이 있다.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may be a non-stretched film (sheet) or a stretched film.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stretched film stretched in a uniaxial direction or a biaxial direction.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biaxially stretched film from the viewpoint of excellent balance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flatness. If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is such a stretched film, there exists a tendency for it to become easy to make 120 degreeC storage modulus 10 MPa or more.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Copolymer polyester layer (I layer)>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를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층이다.The co-polyester layer (I layer) is a layer containing co-polyester A as a main component resin.

여기서, 상기 「주성분 수지」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을 구성하는 수지 중 가장 함유 비율이 많은 수지의 의미이다. 당해 주성분 수지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을 구성하는 수지 중 30질량% 이상, 중에서도 50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80질량% 이상(100질량%를 포함함)을 차지하는 경우가 있다.Here, the "main component resin" is the meaning of the resin with the largest content ratio among the resins constituting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The said main component resin may occupy 30 mass% or more, especially 50 mass% or more, especially 80 mass% or more (including 100 mass %) of the resin which comprises a copolymerization polyester layer (I layer).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은, 구성하는 수지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만이어도 되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 이외의 수지 B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As for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the resin constituting may be only copolymerized polyester A or may include resin B other than copolymerized polyester A.

이 때, 수지 B로서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와 상용(相溶)하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resin B,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resin compatible with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와, 이와 상용하는 수지 B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case where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contains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and the resin B compatible with it will be described later.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Copolymer Polyester A)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는, 테레프탈산 및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 및 그 밖의 알코올 성분과의 공중합체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is a copolymerized polyester which is a copolymer of terephthalic acid and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and ethylene glycol and other alcohol components.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는, 결정성(結晶性)이어도, 비정성(非晶性)이어도 된다.Copolyester A may be crystalline or amorphou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또한, 결정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일반적으로 결정 융해 피크 온도(융점)가 존재한다고 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가리키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JIS K7121(1987)에 준거하여 행하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있어서 융점이 관측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이른바 반결정성의 상태의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DSC에 있어서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를 「비정성」이라고 칭한다. 결정성의 폴리에스테르란, 일반적으로 결정 융해 피크 온도(융점)가 존재한다고 하는 폴리에스테르를 가리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JIS K7121(1987)에 준거하여 행하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있어서 융점이 관측되는 폴리에스테르로서, 이른바 반결정성의 상태의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refers to a polyester resin that is generally said to have a crystal melting peak temperature (melting point), and more specifically, differential scanning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JIS K7121 (1987). As a polyester resin whose melting point is observed in calorimetry (DSC), a so-called semi-crystalline state is included. Conversely, a thermoplastic resin whose melting point is not observed in DSC is referred to as "amorphous". The crystalline polyester generally refers to a polyester that is said to have a crystal melting peak temperature (melting point). More specifically, as a polyester whose melting point is observed in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JIS K7121 (1987), a so-called semi-crystalline state is included.

반대로, DSC에 있어서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를 「비정성」이라고 칭한다.Conversely, a thermoplastic resin whose melting point is not observed in DSC is referred to as "amorphous".

상기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으로서는, 방향족 디카르본산, 지환족 디카르본산, 지방족 디카르본산, 다관능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은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2종 이상을 병용함으로써,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연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정 구조를 보지(保持)시킬 수 있어, 내열성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Examples of the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include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licyclic dicarboxylic acids,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and polyfunctional acids. In addition, two or more types of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may be used in combination. By using two or more kinds in combination in this way, not only ca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be more effectively flexible, but also the crystal structure can be retained, and heat resistance may be obtained.

중에서도,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유연화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디페닐디카르본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본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도데칸이산, 에이코산 및 그들의 유도체 등의 지방족 디카르본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1,2-시클로펜탄디카르본산, 시클로옥탄디카르본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본산, 또는, 다이머산이 바람직하다. 중에서도, 지방족 디카르본산 또는 다이머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mo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easy to soften, examples of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include arom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isophthalic acid, 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and diphenyldicarboxylic acid, an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dipic acid, sebacic acid, dodecanedioic acid, eicon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alicyclic rings such as 1,4-cyclohexanedicarboxylic acid, 1,2-cyclopentanedicarboxylic acid, and cyclooctanedicarboxylic acid Group dicarboxylic acid or dimer acid is preferable.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contain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or dimer acid.

지방족 디카르본산 중에서도, 유리 전이 온도를 보다 낮출 수 있는 관점에서, 탄소수 20~80, 중에서도 30 이상 혹은 60 이하, 그 중에서도 36 이상 혹은 48 이하의 지방족 디카르본산이 특히 바람직하다.Among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having 20 to 80 carbon atoms, particularly 30 or more or 60 or less, and especially 36 or more or 48 or less, are particularly preferred from the viewpoint of lower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상기 다이머산으로서는, 불포화 지방산의 2량체로 이루어지는 디카르본산으로서 불포화 지방산의 탄소수가 1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다이머산의 예로서, 올레산, 엘라이딘산, 세톨레산, 에루크산, 브라시드산, 리놀산(CLA), 리놀렌산 등으로부터 선택된 서로 상이한 또는 동일한 불포화 지방산을 이용하여 이량화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2량화 후에 수소 첨가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머산은 방향족환이나 지환족 단환 및 지환족 다환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As the dimer acid, it is preferable that the unsaturated fatty acid has 18 or more carbon atoms as a dicarboxylic acid composed of a dimer of an unsaturated fatty acid. Examples of such dimer acids include those obtained by dimerization using different or identical unsaturated fatty acids selected from oleic acid, elaidic acid, cetoleic acid, erucic acid, brassidic acid, linoleic acid (CLA), linolenic acid, etc. have. Further, hydrogenated ones after such dimerization can also be used. In addition, the dimer acid may contain an aromatic ring, an alicyclic monocyclic ring, and an alicyclic polycyclic ring.

이와 같은 다이머산 중에서도, 유리 전이 온도를 보다 낮출 수 있는 관점에서, 탄소수 20~80, 중에서도 26 이상 혹은 60 이하, 그 중에서도 30 이상 혹은 50 이하의 다이머산이 바람직하다.Among such dimer acids, from the viewpoint of lower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 dimer acid having 20 to 80 carbon atoms, particularly 26 or more or 60 or less, and particularly 30 or more or 50 or less, is preferable.

상기한 바와 같이,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중에서도, 방향족 디카르본산으로부터 1종 이상을 선택하고, 지방족 디카르본산, 지환족 디카르본산, 다이머산으로부터 1종 이상을 선택하여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에서도, 이소프탈산, 지방족 디카르본산 및 다이머산 중 2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특히, 이소프탈산, 탄소수가 20~80의 지방족 디카르본산 및 다이머산 중 2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can be selected arbitrarily.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o select one or more types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to select and use one or more types from aliphatic dicarboxylic acid, alicyclic dicarboxylic acid, and dimer acid. Among them, those containing two or more of isophthalic acid, aliphatic dicarboxylic acid and dimer acid are particularly preferred, and in particular, those containing two or more of isophthalic acid, aliphatic dicarboxylic acid having 20 to 80 carbon atoms, and dimer acid. It is particularly preferred.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으로서 방향족 디카르본산을 이용하면, 강도 및 내열성을 유지하면서 필름을 유연화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한편,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으로서 지방족 디카르본산, 지환족 디카르본산, 다이머산으로부터 선택하여 이용하면, 신도(파단 신도)를 유지하면서, 보다 소량의 함유 비율로 필름을 유연화할 수 있는 경향이 있으며, 중에서도, 다이머산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따라서,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을 상기한 바와 같이 조합하여 병용함으로써, 강도, 내열성, 신도, 유연성을 양호하게 겸비한 필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is used as the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film can be softened while maintaining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On the other hand, if the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selected from aliphatic dicarboxylic acid, alicyclic dicarboxylic acid, and dimer acid, the film can be softened with a smaller content ratio while maintaining elongation (elongation at break). There is a tendency to have, and among them, the use of dimer acid is the most effective. Therefore, by combining and using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as described above, it becomes possible to obtain a film having good strength, heat resistance, elongation, and flexibility.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에 있어서, 디카르본산 성분, 즉 테레프탈산 및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합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비율은, 5~20mol%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8mol% 이상 혹은 18mol% 이하, 그 중에서도 10mol% 이상 혹은 15mol%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을 2종 이상 병용하는 경우는, 그들의 합계량을 의미한다.I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the ratio of the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to the total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hat is, terephthalic acid and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is preferably 5 to 20 mol%, especially 8 mol. % Or more or 18 mol% or less, more preferably 10 mol% or more or 15 mol% or less. Here, when two or more types of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are used in combination, the total amount thereof is meant.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비율이 상기 범위이면,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양호한 신도, 강도 및 내열성을 가지면서, 효과적으로 유연화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When the ratio of the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present copolymer polyester film tends to be effectively flexible while having good elongation,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상기 「그 밖의 알코올 성분(디올 성분)」으로서는,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비스페놀 및 그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중에서도, 유연성의 관점에서는 디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고, 내열성 및 강도의 관점에서는 1,4-부탄디올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other alcohol component (diol component)'' include 1,4-butanediol, 1,6-hexanediol, diethylene glycol, trimeth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1,4-cyclohexanedimethanol, bisphenol, and And derivatives. Among them, diethylene glycol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flexibility, and 1,4-butanediol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heat resistance and strength.

또한, 통상, 에틸렌글리콜을 원료의 하나로서 폴리에스테르를 제조(중축합)하는 경우, 에틸렌글리콜의 일부는 변성하여 디에틸렌글리콜이 되어 폴리에스테르 골격에 도입된다. 이 디에틸렌글리콜을 부생(副生) 디에틸렌글리콜이라고 칭하고, 그 부생량은, 중축합의 양식(에스테르 교환법, 직접 중축합)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에틸렌글리콜 중 1~5몰% 정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에틸렌글리콜로부터 부생되는 디에틸렌글리콜도 공중합 성분으로서 취급하고, 「그 밖의 알코올 성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in general, when polyester is produced (polycondensation) using ethylene glycol as one of the raw materials, a part of ethylene glycol is modified to become diethylene glycol, and is introduced into the polyester skeleton. This diethylene glycol is referred to as by-product diethylene glycol, and the amount of by-product varies depending on the mode of polycondensation (transesterification method, direct polycondensation), etc., but is about 1 to 5 mol% in ethylene glycol. In the present invention, diethylene glycol obtained by-producing from ethylene glycol in this way is also treated as a copolymerization component, and is included in "other alcohol components".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에 있어서, 알코올 성분(디올 성분), 즉 에틸렌글리콜 및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의 합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알코올 성분(디올 성분)」의 비율은 1mol% 이상 25mol%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2mol% 이상 혹은 20mol% 이하, 그 중에서도 3mol% 이상 혹은 18mol%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을 2종 이상 병용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합계량을 의미한다.I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the ratio of the ``other alcohol component (diol component)'' to the total of the alcohol component (diol component), that is, ethylene glycol and the ``other alcohol component'' is preferably 1 mol% or more and less than 25 mol%,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y 2 mol% or more or 20 mol%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 mol% or more or 18 mol% or less. Here, when two or more types of "other alcohol components" are used in combination, the total amount thereof is meant.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의 비율이 상기 범위이면,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양호한 신도, 강도 및 내열성을 가지면서, 효과적으로 유연화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When the ratio of the "other alcohol component"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present copolymer polyester film can be effectively softened while having good elongation,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또한,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은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2종 이상을 병용함으로써,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연화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types of "other alcohol components" may be used in combination. By using two or more types together, the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may be more effectively softened.

또한,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과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을 합계하여, 3종 이상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 성분을 복수 병용함으로써, 보다 소량의 함유 비율로 필름을 유연화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공중합 성분의 종류가 지나치게 많으면, 필름의 특성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과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은, 합계하여 3~5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3종 또는 4종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combine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and "other alcohol components" and use three or more kinds in combination. By using a plurality of copolymerization components together,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film can be softened with a smaller content ratio. In addition, when there are too many kinds of copolymerization components, it may be difficult to stabilize the properties of the film, so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and ``other alcohol components'' are 3 to 5 types in total,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hat it is 3 types or 4 types.

상기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로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지방족 디카르본산 혹은 다이머산과, 에틸렌글리콜 및 디에틸렌글리콜과의 공중합체이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카르본산 성분에서 차지하는 이소프탈산, 지방족 디카르본산 혹은 다이머산의 비율이 5mol% 이상 20mol% 이하이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알코올 성분에서 차지하는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율이 1mol% 이상 25mol% 미만이며, 결정성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a를 들 수 있다.Among the above, particularly preferred copolymerized polyester A is a copolymer of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and aliphatic dicarboxylic acid or dimer acid with ethylene glycol and diethylene glycol, and isophthalic acid occupied in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polymerized polyester, The proportion of aliphatic dicarboxylic acid or dimer acid is 5 mol% or more and 20 mol% or less, and the proportion of diethylene glycol in the alcohol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polymer polyester is 1 mol% or more and less than 25 mol%, and crystalline copolymer polyester Aa is mentioned. I can.

통상,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탄성률을 낮추기 위해 공중합 성분의 비율을 높이면 결정성이 저하되고, 또한 그 비율을 높이면 비정성이 된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a는 공중합 성분 비율이 높아, 낮은 탄성률을 실현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정성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연신 후의 열 처리에 의해 열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a는 잘 휘어지며, 그런데도, 신도, 강도가 양호하고, 또한, 열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Usually, in order to lower the modulus of elasticity, the copolyester generally decreases crystallinity when the ratio of the copolymerization component is increased, and becomes amorphous when the ratio is increased. Although the copolymerization polyester Aa has a high copolymerization component ratio and a low elastic modulus can be achieved, since it maintains crystallinity, it can be thermally fixed by heat treatment after stretching. As a result, the copolymer polyester Aa bends well, and yet, elongation and strength are good, and thermal contraction can be suppressed.

(수지 B)(Resin B)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와, 이것과 상용하는 수지 B를 포함하는 층이어도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polymer polyester layer (layer I) may be a layer containing a copolymer polyester A and a resin B compatible with it.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용」이란, 혼합한 2종류 이상의 수지가 분자 레벨로 완전히 서로 섞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 때, 분자 레벨로 서로 섞여 있는 비결정 영역은 단일의 상으로 간주할 수 있고, 마이크로브라운 운동도 단일의 온도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2종류 이상의 수지가 상용하는 경우, 당해 2종류 이상의 수지의 혼합 수지의 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는 단일이 되며, 주분산의 피크도 단일이 된다. 따라서, 반대로 말하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에 상용하는 수지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에 혼합하였을 때,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의 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수지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commercial use" means a state in which two or more kinds of mixed resins are completely mixed with each other at a molecular level. At this time, the amorphous regions mixed with each other at the molecular level can be regarded as a single phase, and micro-Brown motion also occurs at a single temperature. Therefore, when two or more types of resins are compatible, the melting point o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ixed resin of the two or more types of resins is single, and the peak of the main dispersion is also single. Therefore, in other words, the resin compatible with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can also be defined as a resin capable of changing the melting point o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when mixed with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또한, 이 때의 유리 전이 온도란, 예를 들면 변형 0.1%, 주파수 10Hz, 승온 속도 3℃/분의 조건에서 동적 점탄성의 온도 분산 측정(JIS K7244법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였을 때의, 손실 정접(tanδ)의 주분산의 피크의 온도이다.In addi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t this time is, for example, when the dynamic viscoelasticity temperature dispersion measurement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by JIS K7244 method)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0.1% strain, 10 Hz frequency, and 3°C/min heating rate, It is the temperature of the peak of the main variance of the loss tangent (tan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 및 수지 B를 포함하는 층인 경우, 수지 B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와 상용하는 수지로서, 융점이 270℃ 이하, 혹은, 비정성이며, 유리 전이 온도가 30~120℃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지 B를 선택함으로써,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의 유리 전이 온도를 높게 할 수 있어, 내열성을 높일 수 있다. 수지 B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를 선택함으로써, 치수 안정성,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Whe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is a layer containing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and the resin B, the resin B is a resin compatible with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and has a melting point of 270°C or less, or amorphous, and glass A resin having a transition temperature of 30 to 120°C is preferred. By selecting such resin B,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I layer) can be made high, and heat resistance can be improved. As resin B, dimensional stability and heat resistance can be imparted by selecting polyester,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or example.

또한, 유연성과 내열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수지 B로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당해 폴리에스테르(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함)는, 디카르본산 성분인 테레프탈산 및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과, 알코올 성분인 에틸렌글리콜 및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을 포함하고, 디카르본산 성분의 합계 함유량(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 폴리에스테르에 포함되는 디카르본산 성분의 합계)에 대한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합계 함유량의 비율이 5mol% 이상 20mol% 이하,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8mol% 이상 혹은 18mol% 이하,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10mol% 이상 혹은 15mol% 이하이며, 알코올 성분의 합계 함유량(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 폴리에스테르에 포함되는 알코올 성분의 합계)에 대한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의 합계 함유량의 비율이 1mol% 이상 25mol% 미만,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2mol% 이상 혹은 20mol% 이하,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3mol% 이상 혹은 18m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achieving both flexibility and heat resistance, as resin B, one or two or more types of polyester are included, and the polyester (including one or two or more types of polyester) is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erephthalic acid and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ethylene glycol as alcohol components and ``other alcohol components'' are included, and the total content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when two or more types of polyester are included, each polyester The ratio of the total content of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to the total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contained in) is 5 mol% or more and 20 mol%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8 mol% or more or 18 mol%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0 mol% or more or 15 mol% or less, and the ratio of the total content of ``other alcohol components'' to the total content of alcohol components (in the case of containing two or more types of polyester, the sum of alcohol components contained in each polyester) This is 1 mol% or more and less than 25 mol%, particularly preferably 2 mol% or more or 20 mol%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3 mol% or more or 18 mol% or less.

또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와, 이것과 상용하지 않는 수지 D를 포함하는 층이어도 된다. 수지 D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may be a layer containing a copolymerized polyester A and a resin D incompatible therewith. As resin D, polyolefin, polystyrene, acrylic resin, urethane resin,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에 있어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와 수지 B의 질량 비율은 98:2~5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95:5~60:40, 그 중에서도 90:10~65:3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the mass ratio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and the resin B is preferably 98:2 to 50:50, especially 95:5 to 60:40, especially 90:10 to 65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5.

또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에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 전체의 성분 비율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와 마찬가지의 성분 비율이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를 주성분 수지로서 포함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In addition, if the component ratio of the whole polyester contained i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the same effect as in the case of containing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as the main component resin can be obtained. I think there is.

따라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이,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경우에 있어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에 포함되는 전 폴리에스테르의 성분량 합계에 있어서, 디카르본산 성분의 함유량 합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함유량 합계의 비율은 5mol% 이상 20mol% 이하이며, 알코올 성분의 함유량 합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의 함유량 합계의 비율은 1mol% 이상 25mol% 미만이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를 주성분 수지로서 포함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contains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of polyester, in the total amount of the components of all polyesters contained i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dicarboxylic acid The ratio of the total content of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to the total content of the components is 5 mol% or more and 20 mol% or less, and the ratio of the total content of ``other alcohol components'' to the total content of alcohol components is 1 mol% or more If it is less than 25 mol%, the same effect as in the case of containing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as a main component resin can be obtained.

이 때, 디카르본산 성분의 함유량 합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함유량 합계의 비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에 있어서의, 디카르본산 성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비율의 바람직한 범위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알코올 성분의 함유량 합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의 함유량 합계의 비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에 있어서의, 알코올 성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의 비율의 바람직한 범위와 마찬가지이다.In this case, the preferred range of the ratio of the total content of the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to the total content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is the "other dicarboxylic acids occupied by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It is the same as the preferable range of the ratio of "component". In addition, the preferable range of the ratio of the total content of the "other alcohol components" occupied by the total content of the alcohol component is the same as the preferable range of the proportion of the "other alcohol components" occupied by the alcohol component i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to be.

<적층 구성의 경우><In the case of a laminated configuration>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과 다른 층을 구비한 적층 필름이어도 된다.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may be a laminated film provided with a layer different from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의 표리 양측에, 폴리에스테르 C를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II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적층 필름을 들 수 있다.For example, a laminated film having a configuration obtained by laminating a polyester layer (layer II) containing polyester C as a main component resin on both front and back sides of a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is exemplified.

이 때, 당해 폴리에스테르 C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가 결정성인 경우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가 비정성인 경우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의 유리 전이점보다 높은 온도의 융점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olyester C is preferably a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whe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is crystalline, and whe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is amorphous, the copolymerized polyest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polyester which has a melting point of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point of A.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C를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II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적층 필름이면, 폴리에스테르층(II층)/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폴리에스테르층(II층)이 되도록 원료 수지 조성물을 공압출 등에 의해 적층하고, 연신한 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의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높은 온도에서 열 고정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의 단층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레벨로 유연화할 수 있거나, 내열성을 올리거나, 열수축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거나 한다.If it is a laminated film having a configuration formed by laminating a polyester layer (layer II) containing such polyester C as a main component resin, a polyester layer (II layer)/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I layer)/polyester layer Since the raw resin composition can be laminated by coextrusion or the like so as to become (layer II), stretched, and then heat-fixed at a higher temperature compared to the case of a single layer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the copolymer polyester The layer (layer I) can be softened to a level that cannot be achieved with a single layer, or it is possible to increase heat resistance, or to further prevent heat shrinkage.

구체적으로는,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300~2500MPa, 중에서도 500MPa 이상 혹은 2000MPa 이하로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5°C of the present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can be 300 to 2500 MPa, especially 500 MPa or more or 2000 MPa or less.

상기 적층 필름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층(II층)의 각 층 두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의 두께의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laminated film, the thickness of each layer of the polyester layer (II layer) is preferably 1 to 20% of the thickness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폴리에스테르층(II층)의 각 층 두께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의 두께의 1% 이상이면 생산성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고 제막이 가능하며, 20% 이하이면 요구되는 유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If the thickness of each layer of the polyester layer (layer II) is 1% or more of the thickness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film formation is possible without significantly impairing productivity, and if it is less than 20%, the required flexibility will be sufficiently secured. It is desirable because it can.

이러한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층(II층)의 각 층 두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의 두께의 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3% 이상 혹은 15% 이하, 그 중에서도 5% 이상 혹은 12%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From this point of view, the thickness of each layer of the polyester layer (layer II) is preferably 1 to 20% of the thickness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particularly 3% or more or 15% or less, especially 5%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more than or 12% or less.

또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의 표리 양측에 존재하는 폴리에스테르층(II층)의 두께는, 표리에서 상이해도 되고, 동일해도 된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polyester layer (II layer) present on both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may be different from the front and back, or may be the same.

폴리에스테르 C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가 결정성인 경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의 융점보다 10~100℃ 높은, 중에서도 20℃ 이상 혹은 90℃ 이하 높은, 그 중에서도 40℃ 이상 혹은 70℃ 이하 높은 융점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가 비정성인 경우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의 유리 전이점보다 120~260℃ 높은, 중에서도 140℃ 이상 혹은 230℃ 이하 높은, 그 중에서도 160℃ 이상 혹은 200℃ 이하 높은 융점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Polyester C, when copolymerized polyester A is crystalline, has a melting point 10 to 100°C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copolymerized polyester A, particularly 20°C or more or 90°C or less, especially 40°C or more or 70°C or les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polyest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is amorphous, 120 to 260°C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particularly 140°C or more or 230°C or less, especially 160°C or more, or It is preferably a polyester having a high melting point of 200°C or less.

또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의 표리 양측에 존재하는 폴리에스테르층(II층)의 주성분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C는, 표리에서 상이해도 되고 동일해도 된다. 중에서도, 표리의 폴리에스테르 C의 융점이 크게 상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표리 양측에 존재하는 폴리에스테르층(II층)의 융점의 차이가 80℃ 이하, 중에서도 60℃ 이하, 그 중에서도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polyester C serving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polyester layer (II layer) present on both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may be different or the same in the front and back.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ester C on the front and the back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erence in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ester layer (II layer)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back is 80°C or less, particularly 60°C or less, and particularly 40°C or less.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 A의 표리 양측에 존재하는 폴리에스테르층(II층) 중의 폴리에스테르 C가 동일하면, 2종 3층의 공압출 성형이 가능해지므로, 이 양태도 바람직하다.If the polyester C in the polyester layer (II layer) present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A is the same, since coextrusion molding of two or three layers is possible, this aspect is also preferable.

폴리에스테르 C로서는, 예를 들면, 디카르본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을 포함하고, 알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호모폴리에스테르 혹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polyester C, for example, a homopolyester or copolymer polyester containing terephthalic acid as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ethylene glycol as an alcohol component can be suitably us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폴리에스테르 C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경우에는, 테레프탈산 이외의 디카르본산 성분으로서는, 방향족 디카르본산, 지환족 디카르본산, 지방족 디카르본산, 다관능 산 등을 들 수 있다.When polyester C is a copolymerized polyester, examples of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other than terephthalic acid include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licyclic dicarboxylic acids,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and polyfunctional acids.

폴리에스테르 C에 있어서, 디카르본산 성분에서 차지하는 「테레프탈산 이외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비율은, 1~30mol%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5mol% 이상 혹은 25mol% 이하, 그 중에서도 10mol% 이상 혹은 20mol%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polyester C, the ratio of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other than terephthalic acid'' to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preferably 1 to 30 mol%, particularly 5 mol% or more or 25 mol% or less, particularly 10 mol% or more or 20 mol It is more preferred that it is less than or equal to %.

폴리에스테르 C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경우에는, 에틸렌글리콜 이외의 알코올 성분으로서는,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비스페놀 및 그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When polyester C is a copolymerized polyester, examples of alcohol components other than ethylene glycol include 1,4-butanediol, 1,6-hexanediol, diethylene glycol, trimeth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and 1,4-cyclohexane. Dimethanol, bisphenol, and derivatives thereof.

폴리에스테르 C에 있어서, 알코올 성분에서 차지하는 「에틸렌글리콜 이외의 알코올 성분」의 비율은, 1~100mol%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5mol% 이상 혹은 95mol% 이하, 그 중에서도 10mol% 이상 혹은 90mol%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polyester C, the ratio of ``an alcohol component other than ethylene glycol'' to the alcohol component is preferably 1 to 100 mol%, particularly 5 mol% or more or 95 mol% or less, particularly 10 mol% or more or 90 mol% or less. More preferable.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Thickness of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용도에 따라 적절한 두께를 선택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resent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 appropriate thickness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중에서도,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징을 보다 발휘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필름의 전체 두께가 20㎛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mong them,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lm exceeds 20 µm from the viewpoint of more exer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필름의 강직성의 강도는 두께의 삼승에 비례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0㎛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지고 있어도, 강직성이 약하고 잘 휜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이익을 보다 한층 누릴 수 있다.It is known that the stiffness strength of a film is proportional to the third power of the thickness. However, even if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has a thickness exceeding 20 micrometers, it has the feature of weak rigidity and it is good to bend, and the benefit of this invention can be further enjoyed.

이러한 관점에서,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체 두께는 20㎛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23㎛ 이상, 그 중에서도 3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thickness of the present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exceeds 20 µm, more preferably 23 µ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30 µm or more.

한편,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체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500㎛ 이하, 그 중에서도 250㎛ 이하, 그 중에서도 1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total thickness of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y 1000 µm or less, particularly 500 µm or less, particularly 250 µ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00 µm or less.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물성><Physical properties of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5℃의 저장 탄성률이 250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at 25 degreeC of 2500 MPa or less.

25℃ 즉 상온 시의 저장 탄성률이 2500MPa 이하임으로써, 예를 들면 웨어러블 단말을 장착 시에 있어서, 피부에 충분히 추종할 수 있다.Since the storage modulus at 25° C., that is, at room temperature is 2500 MPa or less, for example, when a wearable terminal is mounted, it can sufficiently follow the skin.

이러한 관점에서,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5℃의 저장 탄성률이 250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2000MPa 이하, 그 중에서도 1200MPa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From such a viewpoint, the storage modulus of the present copolymer polyester film at 25° C. is preferably 2500 MPa or less, more preferably 2000 MPa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200 MPa or less.

당해 25℃의 저장 탄성률은, 공정에 있어서의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300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500MPa 이상, 그 중에서도 700MPa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storage modulus at 25°C is preferably 300 MPa or more, particularly 500 MPa or more, and more preferably 700 MPa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handling properties in the process.

또한, 25℃의 저장 탄성률은, 후술의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In additio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25 degreeC is a value obtained by the measurement method described in Examples mentioned later.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25℃의 저장 탄성률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의 공중합 성분의 종류와 함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In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in order to make the storage modulus of 25 degreeC into the said range, it can achieve by adjusting the kind and content of the copolymerization component of the copolymerization polyester A, for exampl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의 표리 양측에, 폴리에스테르 C를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II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적층 필름으로 함으로써도,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lso by forming a laminated film having a configuration formed by laminating a polyester layer (layer II) containing polyester C as a main component resin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Can be adjusted.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할 때의 연신 조건 및 그 후의 열 고정 조건에 의해서도, 조정할 수 있다.Furthermore, it can also be adjusted by the stretching conditions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copolymer polyester film of this invention, and the heat setting conditions after that.

단, 이러한 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method.

또한,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20℃의 저장 탄성률이 10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is 10 MPa or more at 120 degreeC.

이와 같이 고온 시의 저장 탄성률이 10MPa 이상임으로써, 충분한 내열성을 가지고, 가공 시에 있어서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orage modulus at high temperature is 10 MPa or more, it has sufficient heat resistance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wrinkles during processing.

이러한 관점에서,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20℃의 저장 탄성률이 10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30MPa 이상, 그 중에서도 50MPa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From such a viewpoint,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at 120 degreeC is 10 MPa or more, especially 30 MPa or more, Especial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50 MPa or more.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가공 시에 필요로 되는 열량을 억제할 수 있는 관점에서, 120℃의 저장 탄성률이 50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400MPa 이하, 그 중에서도 300MPa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present copolymer polyester film preferably has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500 MPa or less at 120° C., more preferably 400 MPa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00 MPa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amount of heat required during processing.

또한, 120℃의 저장 탄성률은, 후술의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In addition, the storage modulus of 120 degreeC is a value obtained by the measuring method described in Examples mentioned later.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120℃의 저장 탄성률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은, 25℃의 저장 탄성률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한 수단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연신 조건 및 그 후의 열 고정 조건을 조정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단, 이 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the method for adjusting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120°C to the above range is a method for adjusting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5°C, for example, a method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means. Among these, a method of adjusting the stretching conditions and subsequent heat setting conditions is particularly effectiv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method.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5℃의 손실 정접(tanδ)이 0.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has a loss tangent (tan δ) of 0.02 or more at 25°C.

25℃ 즉 상온 시의 손실 정접이 0.02 이상임으로써, 예를 들면 웨어러블 단말을 장착 시에 있어서, 피부에 충분히 추종할 수 있다.Since the loss tangent at 25°C, that is, at room temperature is 0.02 or more, for example, when a wearable terminal is mounted, it can sufficiently follow the skin.

이러한 관점에서,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5℃의 손실 정접이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0.08 이상, 그 중에서도 0.1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From such a viewpoint, it is preferable that the loss tangent at 25°C is 0.05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08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10 or more.

또한, 당해 25℃의 손실 정접(tanδ)은, 공정에 있어서의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1.0 이하, 그 중에서도 0.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25°C loss tangent (tan?) is preferably 1.5 or less, particularly 1.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5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handling properties in the process.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25℃의 손실 정접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은, 25℃의 저장 탄성률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한 수단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의 공중합 성분의 종류와 함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단, 이 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copolymer polyester film, the method for adjusting the loss tangent at 25°C to the above range includes a method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means as a method for adjusting the storage modulus at 25°C. Among these, in particular, the method of adjusting by adjusting the kind and content of the copolymerization component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is effectiv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method.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가 결정성인 경우, 결정 융해 엔탈피 ΔHm은 3.0J/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5.0J/g 이상, 그 중에서도 7.0J/g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ΔHm은 결정화도의 지표가 되는 것이며, 3.0J/g 이상임으로써, 충분한 내열성이 얻어져, 열수축성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whe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is crystalline, the enthalpy of crystal fusion ΔHm is preferably 3.0 J/g or more, more preferably 5.0 J/g or more, and more preferably 7.0 J/g or more. ΔHm serves as an index of the degree of crystallinity, and when it is 3.0 J/g or more, sufficient heat resistance can be obtained and heat shrinkage can be suppressed.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후술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휨 측정법에 의해 측정되는 「잘 휘어짐(강직성)」 즉, 수직 방향으로 내려간 길이를 (a),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길이를 (b)로 하였을 때, (a)와 (b)와의 비의 값((a)/(b))은 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0.5 이상, 그 중에서도 1.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is ``good warp (stiffness)'' measured by the warpage measurement method described in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length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 and the length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 When set to, the value ((a)/(b)) of the ratio between (a) and (b) is preferably 0.3 or more, more preferably 0.5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0 or more.

상기 (a)/(b)가 0.3 이상임으로써, 필름이 충분한 잘 휘어짐을 가지는 것이 시사된다.When (a)/(b) is 0.3 or more, it is suggested that the film has sufficient warpness.

한편, 상기 (a)/(b)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공정에 있어서의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에서도 10.0 이하, 그 중에서도 6.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limit of (a)/(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handling properties in the process, it is preferably 15.0 or less, particularly 10.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6.0 or less.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a)/(b)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름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다음으로, 동일한 필름 두께에 있어서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의 공중합 성분의 종류와 함유량을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단, 이 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in order to adjust (a)/(b) to the above range, it is important to first adjust the thickness of the film, and next, in the same film thickness, the copolymerization component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It can be achieved by adjusting the type and content of.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method.

이러한 관점에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의 공중합 성분은, 상기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이 지방족 디카르본산 혹은 다이머산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함유량은 5mol% 이상 20m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이 디에틸렌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함유량은 1mol% 이상 25mol%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From such a viewpoint, as for the copolymerization component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or dimer acid, and the content thereof is preferably 5 mol% or more and 20 mol% or less.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other alcohol component" is diethylene glycol,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is 1 mol% or more and less than 25 mol%.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Production method of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2축 연신 필름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여기서 설명하는 제조 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s an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the case where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is a biaxially stretched film is demonstrat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here.

우선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원료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칩을 용융 압출 장치에 공급하고, 각각의 폴리머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 폴리머를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회전 냉각 드럼상에서 폴리머의 유리 전이점 이하의 온도가 되도록 냉각 고화하여, 실질적으로 비정 상태의 미배향 시트를 얻도록 하면 된다.First, by a known method, a raw material, such as polyester chips, is supplied to a melt-extrusion apparatus, heated above the melting point of each polymer, and extruded the molten polymer from the die, and the glass transfer of the polymer on a rotary cooling drum. It is good to cool and solidify so that it may become a temperature below this point, and to obtain a substantially amorphous unoriented sheet.

이어서, 당해 미배향 시트를, 일 방향으로 롤 또는 텐터 방식의 연신기에 의해 연신한다. 이 때, 연신 온도는, 통상 25~120℃, 바람직하게는 35~100℃이며, 연신 배율은 통상 2.5~7배, 바람직하게는 2.8~6배이다.Next, the unoriented sheet is stretched in one direction by a stretching machine of a roll or tenter system. In this case,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usually 25 to 120°C, preferably 35 to 100°C, and the stretching ratio is usually 2.5 to 7 times, preferably 2.8 to 6 times.

이어서, 1단째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한다. 이 때, 연신 온도는 통상 50~140℃이며, 연신 배율은 통상 3.0~7배, 바람직하게는 3.5~6배이다.Subsequently, it stretch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 direction of the 1st stage. At this time,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usually 50 to 140°C, and the stretching ratio is usually 3.0 to 7 times, preferably 3.5 to 6 times.

그리고, 계속해서 130~270℃의 온도에서 긴장하 또는 30% 이내의 이완하에서 열 고정 처리를 행하여, 2축 배향 필름으로서의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다.Then, heat setting treatment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30 to 270° C. under tension or under 30% relaxation to obtain the present copolymer polyester film as a biaxially oriented film.

또한, 상기 연신에 있어서는, 일 방향의 연신을 2단계 이상으로 행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Further, in the above stretching, a method of performing stretching in one direction in two or more steps may be employed.

상기 열 고정 처리(「열 처리」라고도 칭함)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의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의 융점보다 10~70℃ 낮은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 setting treatment (also referred to as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10 to 70°C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when it is formed of a single layer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과 폴리에스테르층(II층)과의 적층 구성을 구비하는 경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 및 폴리에스테르층(II층)은 공압출한 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일체의 필름으로서, 연신 및 열 고정 처리를 행하면 된다.When the present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has a laminated configuration of a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I layer) and a polyester layer (II layer),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I layer) and polyester layer (II layer) are coextruded. After that, as described above, stretching and heat sett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as an integral film.

이 때의 열 고정 처리는, 폴리에스테르 C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하여 열 고정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가 결정성인 경우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 고정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온도에서 열 고정 처리함으로써,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의 단층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레벨로 유연화할 수 있다.The heat setting treatment at this time is preferably heat set by heating to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polyester C. In addition, whe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is crystallin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heat setting treatment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By heat setting treatment at such a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soften it to a level that cannot be achieved with a single layer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이것은, 폴리에스테르 C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 고정함으로써, 표층의 연신 배향이 고정되기 때문에, 신도, 강도 및 내열성(열수축성)이 양호해지는 한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열 고정함으로써, 중간층의 연신 배향이나 변형이 완화되기 때문에, 보다 한층 잘 휘어지는 필름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y heat fixing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polyester C, since the stretching orientation of the surface layer is fixed, the elongation,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heat shrinkage) become good, while heat fixing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By doing so, since the stretching orientation and de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are alleviat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film that can be more easily bent.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Use of this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온에서 유연성이 우수하며, 단순히 유연할 뿐만 아니라, 강직성이 거의 없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한편, 그런데도 실용상의 충분한 내열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지용 포장재, 표면 보호 필름, 화상 표시용 부재,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단말 등의 구성 부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copolymer polyester film is excellent in flexibility at room temperature, and has characteristics that it is not only flexible, but also has almost no rigidity, and yet can exhibit sufficient heat resistance for practical use. Therefore, for example, it can be suitably used as a battery packaging material, a surface protective film, a member for image display, particularly as a constituent member such as a flexible display and a wearable terminal.

또한, 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용도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각종 포장용 재료, 건재(建材), 문구, 자동차 부재, 그 밖의 구조 부재 등에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 of the present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can be used, for example, for various packaging materials, building materials, stationery, automobile members, and other structural members.

<어구의 설명 등><Explanation of phrases, etc.>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referred to as "film", "sheet" is included, and when referred to as "sheet", "film" is also included.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보호 패널 등과 같이 「패널」이라고 표현하는 경우, 판체, 시트 및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expressing "panel" like an image display panel, a protective panel, etc., it includes a plate body, a sheet, and a film.

본 발명에 있어서, 「X~Y」(X, Y는 임의의 숫자)라고 기재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의 뜻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큰」 혹은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은」의 뜻도 포함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scribed as "X to Y" (X and Y are arbitrary number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ogether with the meaning of "X or more and Y or less", "preferably greater than X" or " It also includes the meaning of "preferably smaller than Y".

또한, 「X 이상」(X는 임의의 숫자)으로 기재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큰」의 뜻을 포함하고, 「Y 이하」(Y는 임의의 숫자)로 기재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은」의 뜻도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X or more'' (X is an arbitrary numb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meaning of ``preferably greater than X'' is included, and described as ``Y or less'' (Y is an arbitrary number). In one case, it also includes the meaning of "preferably less than Y" unless otherwise noted.

실시예Example

이어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xamples described below.

<평가 방법><Evaluation method>

이하에 있어서, 다양한 물성 등의 측정 및 평가는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하였다.In the following,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various physical properties and the like were performed as follows.

(1) 저장 탄성률 E', 정접 손실 tanδ(1) Storage modulus E', tangent loss tanδ

JIS K 7244에 의거하여, IT 계측 제어(주)제(製)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DVA-200을 이용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의 폭 방향(TD)에 대하여, 진동 주파수 10Hz, 변형 0.1%, 승온 속도 1℃/분으로 -100℃에서부터 200℃까지 측정하고,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25℃ 및 120℃에서의 저장 탄성률 E'와, 25℃에서의 정접 손실 tanδ를 얻었다.According to JIS K 7244, using the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apparatus DVA-200 manufactured by IT Measurement Control Co., Ltd.,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TD)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sample), the vibration frequency is 10 Hz, and the strain is 0.1. % And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1°C/min, from -100°C to 200°C were measured, and from the obtained data, the storage modulus E'at 25°C and 120°C, and tangent loss tanδ at 25°C were obtained.

(2) 결정 융해 엔탈피 ΔHm(2) Crystal melting enthalpy ΔHm

JIS K7141-2(2006년)에 의거하여, 측정 샘플의 시차 주사 열량계(DSC) 측정을 행하였다. 30℃에서부터 280℃까지 10℃/분으로 승온 후, 1분간 보지하고, 이어서 280℃에서부터 30℃까지 10℃/분으로 강온 후, 1분간 보지하고, 추가로 30℃에서부터 280℃까지 10℃/분으로 재승온시켰다. 이 때 재승온 과정에 있어서의 결정 융해 피크 면적으로부터 결정 융해 엔탈피(ΔHm)을 산출했다.According to JIS K7141-2 (2006),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measurement of the measurement sample was performed. After raising the temperature from 30°C to 280°C at 10°C/min, it is held for 1 minute, and then lowered from 280°C to 30°C at 10°C/min, then held for 1 minute, and further 10°C/from 30°C to 280°C It was heated again in minutes. At this time, the crystal melting enthalpy (ΔHm) was calculated from the crystal melting peak area in the reheating process.

또한, 단층의 경우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측정 샘플로 하고, 적층의 경우에는 중간층을 측정 샘플로 했다.In the case of a single layer, the copolymer polyester film was used as a measurement sample, and in the case of lamination, the intermediate layer was used as a measurement sample.

(3) 영률(3) Young's modulus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에 대하여, 인장력 시험기((주)인테스코제, 인테스코 모델 2001형(型))을 이용하여 온도 23℃, 습도 50% RH로 조절된 실내에 있어서, 길이 300㎜, 폭 20㎜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을 10%/분의 변형 속도로 인장하여, 인장 응력-변형 곡선의 처음 직선 부분을 이용하여 다음 식에 의해 계산했다.For the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sample)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temperature was controlled at 23°C and humidity 50% RH using a tensile tester (manufactured by Intesco Co., Ltd., Intesco Model 2001 type). In the room, a copolyester film (sample) having a length of 300 mm and a width of 20 mm was stretched at a strain rate of 10%/min, and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using the first straight portion of the tensile stress-strain curve.

E=Δσ/ΔεE=Δσ/Δε

(상기 식 중, E는 영률(GPa), Δσ는 직선의 2점간의 원래의 평균 단면적에 의한 응력차(GPa), Δε은 동일 2점간의 변형 차/초기 길이임)(In the above formula, E is the Young's modulus (GPa), Δσ is the stress difference (GPa) based on the original average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wo points of a straight line, and Δε is the deformation difference/initial length between the same two points)

(4) 인장 파단 강도(4) tensile breaking strength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에 대하여, 인장력 시험기((주)인테스코제, 인테스코 모델 2001형)를 이용하여 온도 23℃, 습도 50% RH로 조절된 실내에 있어서, 폭 15㎜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을 척간 50㎜가 되도록 시험기에 세팅하여, 200㎜/분의 변형 속도로, 필름의 길이 방향(MD) 또는 폭 방향(TD)으로 인장하여, 하기 식에 의해 인장 파단 강도를 구했다.With respect to the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sample)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n a room controlled at a temperature of 23°C and a humidity of 50% RH using a tensile strength tester (manufactured by Intesco Co., Ltd., Intesco Model 2001 type). , A co-polyester film (sample) having a width of 15 mm was set in a tester so that the interchuck was 50 mm, and at a strain rate of 200 mm/min, the film wa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r the width direction (TD), and the following Tensile breaking strength was calculated|required by the formula.

인장 파단 강도(MPa)=F/ATensile breaking strength (MPa) = F/A

단, 상기 식 중, F는 파단 시에 있어서의 하중(N)이며, A는 시험편의 원래의 단면적(㎜2)이다.However, in the above formula, F is the load (N) at the time of fracture, and A is the original cross-sectional area (mm 2 ) of the test piece.

(5) 인장 파단 신도(5) tensile breaking elongation

상기 인장 파단 강도와 마찬가지의 시험을 행하여,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에 대하여, 하기 식에 의해 인장 파단 신도를 구했다.The same test as the above tensile breaking strength was performed, and the tensile breaking elongation of the copolymer polyester film (sample)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인장 파단 신도(%)=100×(L-L0)/L0Tensile elongation at break (%)=100×(L-L0)/L0

단, 상기 식 중, L은 파단 시의 표점간 거리(㎜)이며, L0은 원래의 표점간 거리(㎜)이다.However, in the above formula, L is the distance between gages at the time of fracture (mm), and L0 is the original distance between gages (mm).

(6) 가열 수축률(6) heating shrinkage rate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을 무장력 상태에서 120℃로 유지한 오븐 중에서 5분간 정치하고, 그 전후의 시료의 길이를 측정하여 다음 식에 의해, 필름의 길이 방향(MD) 및 폭 방향(TD) 각각의 가열 수축률을 산출했다.The copolymer polyester film (sample)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allowed to stand for 5 minutes in an oven maintained at 120° C. in a tension-free state, and the length of the sample before and after it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MD ) And the respective heating shrinkage rates in the width direction (TD) were calculated.

가열 수축률(%)={(L0-L1)/L0}×100Heating shrinkage rate (%)={(L0-L1)/L0}×100

(상기 식 중, L0은 가열 처리 전의 샘플 길이, L1은 가열 처리 후의 샘플 길이)(In the above formula, L0 is the sample length before heat treatment, and L1 is the sample length after heat treatment)

필름의 길이 방향(MD)과 폭 방향(TD)에 5점씩 측정하고, 각각에 대하여 평균값을 구했다.Five points were measured in the length direction (MD) and width direction (TD) of the film, and the average value was calculated for each.

(7) 잘 휘어짐(강직성)의 평가(휨 측정법)(7) Evaluation of good warpage (stiffness) (warpage measurement method)

시료 샘플은,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을 23℃, 50% RH 분위기하에서 24시간 정치한 후에, 길이 150㎜, 폭 50㎜의 사이즈로 잘라 내어 제작했다.Samples Samples were prepared by cutting the co-polyester film (sample)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nto a size of 150 mm in length and 50 mm in width, after standing for 24 hours in an atmosphere of 23°C and 50% RH.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을, 23℃의 환경하, 테이블의 가장자리로부터 길이 50㎜ 밖으로 튀어 나오도록 테이블 상에 재치함과 함께, 테이블 상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 상에 200g의 추를 두고 고정하여, 테이블의 가장자리로부터 튀어 나온 샘플의 선단측을 자중(自重)에 의해 하방향으로 휘게 했다. 3분 후, 테이블의 가장자리로부터 튀어 나온 샘플의 선단부가 수직 하방으로 휘어 아래로 늘어진 길이 (a)와, 당해 선단부가 테이블의 가장자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튀어 나온 길이 (b)를 측정했다.As shown in Fig. 1, a copolymer polyester film (sample) was placed on a table so as to protrude out from the edge of the table 50 mm in length under an environment of 23°C, and a copolymer polyester film (sample) on the table A 200 g weight was placed on the top and fixed, and the tip side of the sample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table was bent downward by its own weight. After 3 minutes, the length (a) in which the tip of the sample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table was bent vertically downward and stretched downward (a), and the length (b) that the tip of the sample protruded from the edge of the 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as measured.

그리고, 수평 방향으로 튀어 나온 길이 (b)에 대한 휘어 아래로 늘어진 길이 (a)의 비율((a)/(b))을 계산하고, 0.30 이상이면 「합격」, 0.30 미만이면 「불합격」으로 평가했다.Then, calculate the ratio ((a)/(b)) of the length (a) stretched down the bend to the length (b)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f it is 0.30 or more, it is ``passed'', and if it is less than 0.30, it is ``failed''. Evaluated.

(원료)(Raw material)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다음 원료를 사용했다.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following raw materials were used.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1(「공(共)PS1」): 산 성분이 테레프탈산 88몰%, 탄소수 36의 수첨(水添) 다이머산 7몰% 및 이소프탈산 5몰%로 이루어지고, 디올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90몰% 및 디에틸렌글리콜 10몰%로 이루어지는 결정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융점 208℃, 고유 점도 0.68dl/g.Copolyester 1 ("Co-PS1"): The acid component is composed of 88 mol% terephthalic acid, 7 mol% hydrogenated dimer acid having 36 carbon atoms, and 5 mol% isophthalic acid, and the diol component is ethylene glycol Crystalline copolymer polyester comprising 90 mol% and diethylene glycol 10 mol%. Melting point 208°C, intrinsic viscosity 0.68 dl/g.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2(「공PS2」): 산 성분이 테레프탈산 88몰% 및 탄소수 36의 수소화 다이머산 12몰%로 이루어지고, 디올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67몰% 및 1,4-부탄디올 33몰%(부생 디에틸렌글리콜 0.1mol% 미만)로 이루어지는 결정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융점 200℃, 고유 점도 0.72dl/g.Copolyester 2 (``Co-PS2''): The acid component is composed of 88 mol% terephthalic acid and 12 mol% of hydrogenated dimer acid having 36 carbon atoms, and the diol component is 67 mol% ethylene glycol and 33 mol% 1,4-butanediol ( Crystalline copolymer polyester comprising less than 0.1 mol% of by-product diethylene glycol). Melting point 200°C, intrinsic viscosity 0.72 dl/g.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3(「공PS3」): 산 성분이 테레프탈산 78몰% 및 이소프탈산 22몰%로 이루어지고, 디올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98mol% 및 부생 디에틸렌글리콜 2mol%로 이루어지는 결정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융점 198℃, 고유 점도 0.70dl/g.Copolyester 3 ("Co-PS3"): A crystalline copolymer polyester composed of 78 mol% terephthalic acid and 22 mol% isophthalic acid as an acid component, and 98 mol% ethylene glycol and 2 mol% by-product diethylene glycol as a diol component. Melting point 198 deg. C, intrinsic viscosity 0.70 dl/g.

폴리에스테르(「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부생 디에틸렌글리콜: 2mol%). 융점 250℃, 고유 점도 0.64dl/g.Polyester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by-product diethylene glycol: 2 mol%). Melting point 250° C., intrinsic viscosity 0.64 dl/g.

[실시예 1][Example 1]

표층 및 중간층으로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1(공PS1)의 칩을 280℃로 설정한 벤트를 가지는 압출기로 보내고, 기어 펌프, 필터를 통하여, 압출기의 구금(口金)으로부터 압출하고, 정전 인가 밀착법을 이용하여 표면 온도를 30℃로 설정한 냉각 롤 상에서 급냉 고화시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As a surface layer and an intermediate layer, a chip of copolymerized polyester 1 (coated PS1) is sent to an extruder having a vent set at 280°C, and through a gear pump and a filter, it is extruded from the cap of the extruder, and the electrostatic application adhesion method is performed. It was quenched and solidified on a cooling roll in which the surface temperature was set to 30 degreeC by using, and the unstretched sheet was obtained.

이어서, 얻어진 미연신 시트를, 길이 방향(MD)으로 50℃에서 3.3배 연신한 후, 텐터에 유도하고, 이어서 폭 방향(TD)으로 80℃에서 4.2배로 연신한 후, 200℃에서 10초간 열 처리를 실시하고, 폭 방향(TD)으로 10% 이완하여, 실질적으로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25㎛의 2축 연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을 얻었다.Subsequently, the obtained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3.3 times at 50° 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guided to a tenter, and then stretched 4.2 times at 80° C. in the width direction (TD), and then heated at 200° C. for 10 seconds. The treatment was performed, and 10% relaxation was per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TD) to obtain a 25 µm-thick biaxially stretched copolymer polyester film (sample) substantially composed of a single layer.

[실시예 2][Example 2]

중간층으로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1(공PS1)의 칩을 280℃로 설정한 메인 벤트를 가지는 2축 압출기로 보냈다.As an intermediate layer, chips of copolymerized polyester 1 (coated PS1) were sent to a twin-screw extruder having a main vent set at 280°C.

또한 표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PET)의 칩을 280℃로 설정한 서브 벤트를 가지는 2축 압출기로 보냈다.In addition, as the surface layer, polyester (PET) chips were sent to a twin-screw extruder having a sub vent set at 280°C.

기어 펌프, 필터를 통하여, 메인 압출기로부터의 폴리머가 중간층, 서브 압출기로부터의 폴리머가 표층이 되도록 2종 3층(표층/중간층/표층)의 층 구성으로 공압출하여 구금으로부터 압출하고, 정전 인가 밀착법을 이용하여 표면 온도를 30℃로 설정한 냉각 롤 상에서 급냉 고화시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Through a gear pump and filter, the polymer from the main extruder is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polymer from the sub-extruder is co-extruded in a layered configuration of two or three layers (surface layer/intermediate layer/surface layer), extruded from the cleft, and electrostatically applied. By using the method, it was rapidly cooled and solidified on a cooling roll in which the surface temperature was set to 30°C to obtain an unstretched sheet.

이어서, 얻어진 미연신 시트를, 길이 방향(MD)으로 80℃에서 3.2배 연신한 후, 텐터에 유도하고, 이어서 폭 방향(TD)으로 100℃에서 4.0배로 연신한 후, 200℃에서 10초간 열 처리를 실시하고, 폭 방향(TD)으로 10% 이완하여, 1㎛(표층)/23㎛(중간층)/1㎛(표층)의 두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25㎛의 2축 연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을 얻었다.Subsequently, the obtained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3.2 times at 80°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guided to a tenter, and then stretched 4.0 times at 100°C in the width direction (TD), and then heated at 200°C for 10 seconds. Treatment was carried out, and it was relaxed by 10% in the width direction (TD), and a biaxially stretched copolymer polyester film having a thickness of 25 μm ( Sample) was obtained.

[실시예 3~5][Examples 3 to 5]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건을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2축 연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을 얻었다.Except having changed the conditions as shown in Table 1,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2, and obtained the biaxially stretched copolymer polyester film (sample).

또한, 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실시예 3의 「공PS1/PET=80/20」이란, 공PS1을 80질량부와, PET를 20질량부를 혼합했다고 하는 의미이며,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질량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in the table, for example, "empty PS1/PET=80/20" in Example 3 means that 80 parts by mass of empty PS1 and 20 parts by mass of PET are mixed, and similarly to other examples. It shows the mass ratio.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폴리에스테르(PET)의 칩을 280℃로 설정한 벤트를 가지는 압출기로 보내어, 기어 펌프, 필터를 통하여, 압출기의 구금으로부터 압출하고, 정전 인가 밀착법을 이용하여 표면 온도를 30℃로 설정한 냉각 롤 상에서 급냉 고화시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The polyester (PET) chips are sent to an extruder with a vent set at 280°C, extruded from the cap of the extruder through a gear pump and filter, and cooled by setting the surface temperature to 30°C using an electrostatic application adhesion method. It was quenched and solidified on a roll, and the unstretched sheet was obtained.

이어서, 얻어진 미연신 시트를, 길이 방향(MD)으로 86℃에서 3.5배 연신한 후, 텐터에 유도하고, 이어서 폭 방향(TD)으로 110℃에서 4.3배로 연신한 후, 235℃에서 10초간 열 처리를 실시하고, 폭 방향(TD)으로 10% 이완하여, 두께 50㎛의 2축 연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을 얻었다.Subsequently, the obtained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3.5 times at 86° 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guided to a tenter, and then stretched 4.3 times at 110° C. in the width direction (TD), and then heated at 235° C. for 10 seconds. The treatment was performed, and 10% of relaxation was per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TD) to obtain a 50 µm-thick biaxially stretched copolymer polyester film (sampl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공PS3의 칩 85질량부와, PET의 칩 15질량부를 혼합한 것을 280℃로 설정한 벤트를 가지는 압출기로 보내고, 기어 펌프, 필터를 통하여, 압출기의 구금으로부터 압출하고, 정전 인가 밀착법을 이용하여 표면 온도를 30℃로 설정한 냉각 롤 상에서 급냉 고화시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The mixture of 85 parts by mass of empty PS3 chips and 15 parts by mass of PET chips is sent to an extruder having a vent set at 280°C, and is extruded from the cap of the extruder through a gear pump and filter, and an electrostatic application is used. Then, it was rapidly cooled and solidified on a cooling roll in which the surface temperature was set at 30°C to obtain an undrawn sheet.

이어서, 얻어진 미연신 시트를, 길이 방향(MD)으로 80℃에서 3.4배 연신한 후, 텐터에 유도하고, 이어서 폭 방향(TD)으로 145℃에서 3.9배로 연신한 후, 186℃에서 10초간 열 처리를 실시하고, 폭 방향(TD)으로 10% 이완하여, 두께 50㎛의 2축 연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을 얻었다.Subsequently, the obtained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3.4 times at 80°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guided to a tenter, and then stretched 3.9 times at 145°C in the width direction (TD), and then heated at 186°C for 10 seconds. The treatment was performed, and 10% of relaxation was per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TD) to obtain a 50 µm-thick biaxially stretched copolymer polyester film (sample).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2(공PS2)의 칩을 280℃로 설정한 벤트를 가지는 압출기로 보내고, 기어 펌프, 필터를 통하여, 압출기의 구금으로부터 압출하고, 정전 인가 밀착법을 이용하여 표면 온도를 30℃로 설정한 냉각 롤 상에서 급냉 고화시켜, 두께 200㎛의 미연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샘플)을 얻었다.Send the chip of the copolyester 2 (coated PS2) to an extruder having a vent set at 280°C, and extrude it from the cap of the extruder through a gear pump and filter, and the surface temperature to 30°C using an electrostatic application adhesion method. It was quenched and solidified on a set cooling roll, and the unstretched copolymer polyester film (sample) of 200 micrometers in thickness was obtained.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상기 실시예 및 발명자가 지금까지 행해 온 시험 결과로부터,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를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을 구비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25℃의 저장 탄성률이 2500MPa 이하임으로써, 상온에서 유연성이 우수하고, 단순히 유연할 뿐만 아니라, 보다 잘 휘어지며, 그런데도, 신도 및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120℃의 저장 탄성률이 10MPa 이상임으로써, 실용상 충분한 내열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From the above examples and the results of the tests conducted by the inventors so far, as a copolymer polyester film having a copolymer polyester layer (layer I) containing the copolymer polyester A as a main component resin, the storage modulus at 25°C is 2500 MPa or less. By being, it is excellent in flexibility at room temperature, not only is simply flexible, but also bends better, and yet, it can have elongation and strength.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hen the storage modulus at 120°C was 10 MPa or more, it was possible to have sufficient heat resistance for practical use.

실시예 2~5와 같이, 중간층의 주성분 수지가 결정성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표층의 주성분 수지로서의 폴리에스테르가,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이면, 상기 중간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의 경우에 비해, 연신 후의 열 처리(열 고정) 온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어, 열 수축성을 더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in Examples 2 to 5, when the main component resin of the intermediate layer is a crystalline copolymer polyester, if the polyester as the main component resin of the surface layer is a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copolymer polyester, a single layer consisting of only the intermediate layer Compared with the case of, it was confirmed that the heat treatment (heat fixation) temperature after stretching could be made higher, and the heat shrinkability could be further suppressed.

또한, 중간층의 주성분 수지가 비정성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인 경우에는, 표층의 주성분 수지로서의 폴리에스테르가,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점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이면, 상기 중간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인 경우에 비해, 연신 후의 열 처리(열 고정) 온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열 수축성을 더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In addition, when the main component resin of the intermediate layer is amorphous copolymerized polyester, the polyester as the main component resin of the surface layer is a polyester having a melting point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if it is a single layer composed of only the intermediate layer. In contrast, since the heat treatment (heat setting) temperature after stretching can be made higher, it is considered that the heat shrinkability can be further suppressed.

Claims (14)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를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을 구비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는, 테레프탈산 및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 및 「그 밖의 알코올 성분」과의 공중합체이며, 당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 디카르본산 성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비율은 5mol% 이상 20mol% 이하이며, 알코올 성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의 비율은 1mol% 이상 25mol% 미만이고,
25℃의 저장 탄성률이 2500MPa 이하이며, 또한, 120℃의 저장 탄성률이 1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As a copolymer polyester film provided with a copolymer polyester layer (layer I) containing copolymer polyester A as a main component resi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is a copolymer of terephthalic acid and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ethylene glycol and ``other alcohol components'', and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occupied by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The ratio of ``rebonic acid component'' is 5 mol% or more and 20 mol% or less, and the ratio of ``other alcohol components'' to the alcohol component is 1 mol% or more and less than 25 mol%,
A copolymer polyester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5°C is 2500 MPa or less,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120°C is 10 MPa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은,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와, 이것과 상용하는 수지 B를 포함하는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The method of claim 1,
The copolymer polyester film (layer I) is a layer containing the copolymer polyester A and a resin B compatible with the copolymer polyester A.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B로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당해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르본산 성분의 합계 함유량에 대한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합계 함유량의 비율이 5mol% 이상 20mol% 이하이며, 알코올 성분의 합계 함유량 에 대한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의 합계 함유량의 비율이 1mol% 이상 25mol%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s the resin B, one or more polyesters are included, and the polyester has a ratio of the total content of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to the total content of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of 5 mol% or more and 20 mol% It is the following, and the ratio of the total content of "other alcohol components" with respect to the total content of alcohol components is 1 mol% or more and less than 25 mol%, The copolymer polyester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1종 또는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을 구비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에 포함되는 전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 디카르본산 성분의 함유량 합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의 함유량 합계의 비율은 5mol% 이상 20mol% 이하이며, 알코올 성분의 함유량 합계에서 차지하는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의 함유량 합계의 비율은 1mol% 이상 25mol% 미만이고,
25℃의 저장 탄성률이 2500MPa 이하이며, 또한, 120℃의 저장 탄성률이 10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As a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provided with a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containing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of polyester,
In all polyesters contained i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the ratio of the total content of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to the total content of dicarboxylic acid components is 5 mol% or more and 20 mol% or less, and alcohol component The ratio of the total content of "other alcohol components" to the total content of is 1 mol% or more and less than 25 mol%,
A copolymer polyester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25°C is 2500 MPa or less, and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120°C is 10 MPa or mor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이, 지방족 디카르본산 또는 다이머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aid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ntains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or dimer acid, The copolymer polyester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이, 이소프탈산, 지방족 디카르본산, 및, 다이머산 중 2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aid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ntains two or more types of isophthalic acid, aliphatic dicarboxylic acid, and dimer acid, The copolymer polyester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 밖의 디카르본산 성분」이, 이소프탈산, 탄소수가 20~80의 지방족 디카르본산, 및, 다이머산 중 2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aid "other dicarboxylic acid component" contains two or more types of isophthalic acid, C20-C80 aliphatic dicarboxylic acid, and dimer acid, The copolymer polyester fil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 밖의 알코올 성분」이 디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copolymer polyester film, wherein the "other alcohol component" contains diethylene glycol.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의 표리 양측에, 폴리에스테르 C를 주성분 수지로서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II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당해 폴리에스테르 C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가 결정성인 경우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이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가 비정성인 경우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A의 유리 전이점보다 높은 온도의 융점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It has a configuration obtained by laminating a polyester layer (II layer) containing polyester C as a main component resin on both front and back sides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The said polyester C is polyester which has a melting point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copolymerized polyester A whe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is crystalline, and when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is amorphous, it is more than the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A Copolymer polyester fil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olyester having a high temperature melting point.
제 9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층(II층)의 각 층 두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층(I층)의 두께의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The method of claim 9,
The thickness of each layer of the polyester layer (layer II) is 1 to 20% of the thickness of the copolymerized polyester layer (layer I).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의 손실 정접(tanδ)이 0.0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 copolymer polyester film having a loss tangent (tanδ) of 0.02 or more at 25°C.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의 전체 두께가 20㎛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Copolyester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lm exceeds 20㎛.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한 표면 보호 필름.A surface protective film using the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한 광학 부재.An optical member using the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KR1020217004093A 2018-09-13 2019-09-05 Copolyester film KR2021005701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71673 2018-09-13
JPJP-P-2018-171673 2018-09-13
PCT/JP2019/035003 WO2020054576A1 (en) 2018-09-13 2019-09-05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011A true KR20210057011A (en) 2021-05-20

Family

ID=6977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093A KR20210057011A (en) 2018-09-13 2019-09-05 Copolyester fil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92869B2 (en)
KR (1) KR20210057011A (en)
CN (1) CN112654664B (en)
TW (1) TWI813769B (en)
WO (1) WO202005457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2923A1 (en) * 2020-01-30 2021-08-05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Copolymerized polyester film, multilayer film and use of these film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629A (en) 1989-08-07 1991-03-22 Diafoil Co Lt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olding
JPH0486293A (en) 1990-07-31 1992-03-18 Diafoil Co Ltd Heat transfer image receiving sheet
JP2000001552A (en) 1998-04-13 2000-01-07 Teijin Ltd Polyester film for metal sheet lamination and production thereof
WO2009078304A1 (en) 2007-12-14 2009-06-25 Toray Industries, Inc. Multilayer polyester film
JP2014134903A (en) 2013-01-08 2014-07-24 Biglobe Inc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and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JP2014169371A (en) 2013-03-02 2014-09-18 Mitsubishi Plastics Inc Softened polyester fil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7461B2 (en) * 1991-12-19 2000-04-04 鐘紡株式会社 Polyester shrink film
JP4386386B2 (en) * 2002-12-24 2009-12-16 三菱樹脂株式会社 Easy tear laminated polyester film
US9375902B2 (en) * 2008-09-30 2016-06-28 Toray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US9776383B2 (en) * 2011-12-28 2017-10-03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olding
KR102296559B1 (en) * 2013-12-18 2021-09-0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Multilayer polyester film and polarizing plate using same
WO2017164190A1 (en) * 2016-03-22 2017-09-28 株式会社クラレ Sealant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WO2018025663A1 (en) * 2016-08-02 2018-02-08 東レ株式会社 White polyester film for molding and white resin molded body
JPWO2018147249A1 (en) * 2017-02-13 2019-02-14 東洋紡株式会社 Copolymerized polyester raw material for amorphous film,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 heat-shrinkable label, and packag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629A (en) 1989-08-07 1991-03-22 Diafoil Co Lt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olding
JPH0486293A (en) 1990-07-31 1992-03-18 Diafoil Co Ltd Heat transfer image receiving sheet
JP2000001552A (en) 1998-04-13 2000-01-07 Teijin Ltd Polyester film for metal sheet lamination and production thereof
WO2009078304A1 (en) 2007-12-14 2009-06-25 Toray Industries, Inc. Multilayer polyester film
JP2014134903A (en) 2013-01-08 2014-07-24 Biglobe Inc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and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JP2014169371A (en) 2013-03-02 2014-09-18 Mitsubishi Plastics Inc Softened polyester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54664A (en) 2021-04-13
JPWO2020054576A1 (en) 2021-09-16
CN112654664B (en) 2023-09-05
JP7192869B2 (en) 2022-12-20
TWI813769B (en) 2023-09-01
TW202024171A (en) 2020-07-01
WO2020054576A1 (en)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0282B (en) Biaxially stretched copolyester film, surface protection film, components for image display, wearable terminal and flexible display
JP6884997B2 (en) Polyester film and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JP6672819B2 (en) Polyester film
JP4661073B2 (en) Laminated film
JP6907519B2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TWI700307B (en) Two-axis orientation polyester film
KR20210057011A (en) Copolyester film
JP7133601B2 (en) Polyester film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920098B1 (en) Laminated body for manufacturing flexible electronic device, biaxially-oriented polyester film used for same,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21066881A (en) Polyester film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6077299B2 (en) Uniaxially stretched multilayer laminated film,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optical memb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391666B2 (en) Biaxially stretched film
KR20210062011A (en) Foldable display
JP2020063399A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7439409B2 (en) polyester film
JP7248092B2 (en) polyester film.
JP2004066617A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2018184508A (en) Polyester film
JP6787080B2 (en) Laminate
JP2020056016A (en) Display film, and foldable display
JP2023014732A (en) polyester film
JP2005171124A (en) Polyester film for use in insert mo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