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639A -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639A
KR20210056639A KR1020190143340A KR20190143340A KR20210056639A KR 20210056639 A KR20210056639 A KR 20210056639A KR 1020190143340 A KR1020190143340 A KR 1020190143340A KR 20190143340 A KR20190143340 A KR 20190143340A KR 20210056639 A KR20210056639 A KR 20210056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e wave
period
axis
peak
axis s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9443B1 (ko
Inventor
김경택
김태왕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3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4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74Measurement control, e.g. setting measurement rate or calibrating of sensors; Further processing of measured values, e.g. filtering, compensating or slope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86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omprising additional sensors in the wheel or tyre mounted monitoring device, e.g. movement sensors, microphones or earth magnetic field sensors
    • B60C23/0488Movement sensor, e.g. for sensing angular speed, acceleration or centripet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6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deformation of the tyre, e.g. tyre mounted deformation sensors or indirect determination of tyre deformation based on wheel speed, wheel-centre to ground distance or inclination of wheel axle
    • B60C23/061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deformation of the tyre, e.g. tyre mounted deformation sensors or indirect determination of tyre deformation based on wheel speed, wheel-centre to ground distance or inclination of wheel axle by monitoring whee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는, 차량의 타이어 압력을 검출하도록 타이어에 장착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를 샘플링하는 가속도 샘플링부, 상기 샘플링에 따라 생성된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하는 최대 피크 감지부, 상기 샘플링에 따라 생성된 사인파의 최소 피크를 감지하는 최소 피크 감지부, 및 상기 타이어의 회전 속도 구간별로 설정된 기준 최대 피크 범위 또는 기준 최소 피크 범위에 따라, 감지된 상기 최대 피크와 상기 최소 피크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피크 유효성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WITH ROTATION CYCLE MEASUREMENT FUNCTION AND ROTATION CYCL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에 적용되는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 저하를 검출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이 장착되고 있다.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으면 차량이 쉽게 미끄러져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고, 연료 소모량이 많아져 연비가 악화되며, 타이어 수명이 짧아질 뿐 아니라, 승차감과 제동력도 많이 떨어진다.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PMS)은 타이어의 압력 강하를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타이어의 압력 상태를 점검하여 이러한 문제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한다.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은, 크게 직접 방식과 간접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간접 방식은 타이어의 회전 정보로부터 타이어 공기압을 추정하는 방법이고, 직접 방식은 타이어에 TPMS 센서를 설치하여 타이어의 공기압을 직접 측정하는 방식이다.
직접 방식의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에서는, 타이어에 장착되는 TPMS 센서로부터 측정된 타이어 압력 등을 무선으로 전송받아 타이어의 압력 저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선행적으로 직접 방식의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은 각 타이어에 설치된 TPMS 센서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센서의 송신 방식이 사전에 수신부와 약속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직접 방식의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에서는, 타이어의 회전 중에 TPMS 센서가 어떤 각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고하면, TPMS 센서(10)가 특정 위치에서 위치 정보를 RF 신호 형태로 지속적으로 송신하고, ABS/ESC(Anti-lock Brake system/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시스템(20)이 타이어의 회전 위치 정보를 송신한다면, 차량 내의 제어부(30)가 이러한 정보들을 전달받아 TPMS 센서(10)의 위치를 역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도로의 상태는 비포장로, 아스팔트, 및 경사로 등 다양한 상태에 놓여 있다. 이러한 도로 조건에서는 각종 차량 센서에 감지되는 가속도 값에 큰 변동이 발생하여 TPMS 센서(10)의 위치 판단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각종 차량 센서는 어떠한 조건에서도 수신부와 약속된 송신 방식을 지킬 수 있어야 하며, 감지 결과에 대한 오류 판단이 명확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종 차량 센서에서는, 내부의 제어부를 통해 여러 단계의 신호 처리 과정을 거쳐 최종 판단을 도출하는 과정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170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타이어에 장착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TPMS)에서 회전 주기를 측정함에 있어서, 도로의 상태 및 주행 가속 또는 감속에 따라 회전 주기에 편차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편차로부터 회전 주기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는, 차량의 타이어 압력을 검출하도록 타이어에 장착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를 샘플링하는 가속도 샘플링부; 상기 샘플링에 따라 생성된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하는 최대 피크 감지부; 상기 샘플링에 따라 생성된 사인파의 최소 피크를 감지하는 최소 피크 감지부; 및 상기 타이어의 회전 속도 구간별로 설정된 기준 최대 피크 범위 및 기준 최소 피크 범위에 따라, 감지된 상기 최대 피크와 상기 최소 피크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피크 유효성 판단부;를 포함한다.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이용하여 상기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인파의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하며,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인파의 주기를 상기 타이어의 회전 주기로 결정하는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는 상기 타이어의 Z축 가속도와 X축 가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샘플링부는 상기 Z축 가속도를 샘플링하여 Z축 사인파를 생성하고, 상기 X축 가속도를 샘플링하여 X축 사인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최대 피크 감지부는, 상기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상기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하고, 상기 최소 피크 감지부는, 상기 Z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와 상기 X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피크 유효성 판단부는, 상기 기준 최대 피크 범위와 기준 최소 피크 범위를 포함하는 피크-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Z축 사인파 및 상기 X축 사인파 각각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는, 상기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이용하여 Z축 사인파의 주기를 획득하고, 상기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이용하여 X축 사인파의 주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는, 미리 마련된 주기-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Z축 사인파와 상기 X축 사인파 각각의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주기-룩업테이블은, 상기 타이어의 회전 속도 구간별 기준 최소 주기와 기준 최대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는, 상기 Z축 사인파와 상기 X축 사인파 각각의 주기가 상기 기준 최소 주기와 상기 기준 최대 주기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Z축 사인파와 상기 X축 사인파의 주기를 기초로 상기 타이어의 회전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는, 시간 흐름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Z축 사인파 주기와 X축 사인파 주기를 획득하고, 획득한 사인파 주기들에 기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사인파 주기들을 이용하여 상기 타이어의 회전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는, 상기 X축 사인파의 주기보다 높은 가중치를 상기 Z축 사인파의 주기에 적용하고, 상기 Z축 사인파와 상기 X축 사인파 각각의 1차 주기보다 시간 흐름상 나중에 획득한 2차 주기에 높은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은,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에 있어서, 타이어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가속도 데이터 샘플링 단계; 상기 샘플링에 따라 생성된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감지하는 피크 감지 단계; 및 상기 타이어의 회전 속도 구간별로 설정된 기준 최대 피크 범위 및 기준 최소 피크 범위에 따라, 감지된 상기 최대 피크와 상기 최소 피크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피크 유효성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이용하여 상기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하는 주기 감지 단계; 감지된 사인파의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주기 유효성 판단 단계; 및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인파의 주기를 상기 타이어의 회전 주기로 결정하는 회전 주기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는 상기 타이어의 Z축 가속도와 X축 가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데이터 샘플링 단계는, 상기 Z축 가속도를 샘플링하여 Z축 사인파를 생성하고, 상기 X축 가속도를 샘플링하여 X축 사인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Z축 사인파는 시간 흐름에 따라 1차 Z축 사인파, 2차 Z축 사인파, 및 3차 Z축 사인파를 포함하고, 상기 X축 사인파는 시간 흐름에 따라 1차 X축 사인파, 2차 X축 사인파, 및 3차 X축 사인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크 감지 단계는, 상기 1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1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하고, 상기 1차 Z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와 상기 1차 X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를 감지하는 제1 피크 감지 단계, 상기 2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2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하는 제2 피크 감지 단계, 상기 2차 Z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와 상기 2차 X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를 감지하는 제3 피크 감지 단계, 및 상기 3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3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하는 제4 피크 감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크 유효성 판단 단계는, 상기 1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 및 상기 1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미리 마련된 피크-룩업테이블과 비교하여 피크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1 피크 유효성 판단 단계, 및 상기 2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 및 상기 2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상기 피크-룩업테이블과 비교하여 피크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2 피크 유효성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기 감지 단계는, 상기 1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상기 2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 사이의 샘플링 횟수를 이용하여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하고, 상기 1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상기 2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 사이의 샘플링 횟수를 이용하여 1차 X축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하는 제1 주기 감지 단계, 및 상기 2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상기 3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 사이의 샘플링 횟수를 이용하여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하고, 상기 2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상기 3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 사이의 샘플링 횟수를 이용하여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하는 제2 주기 감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기 유효성 판단 단계는, 상기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와 미리 마련된 주기-룩업테이블을 비교하고, 1차 X축 사인파의 주기와 상기 주기-룩업테이블을 비교하여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1 주기 유효성 판단 단계, 상기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와 상기 주기-룩업테이블을 비교하고,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와 상기 주기-룩업테이블을 비교하여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2 주기 유효성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주기 결정 단계는, 상기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 상기 1차 X축 사인파의 주기, 상기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 및 상기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타이어의 회전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에 의하면, 도로의 상태 및 주행 가속 또는 감속에 따라 회전 주기에 편차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편차로부터 회전 주기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타이어에 장착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에서 측정되는 Z축 가속도와 X축 가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의 이상적인 출력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출력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데이터 샘플링과 노이즈 제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로부터 측정한 회전 주기의 편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의 제1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의 제2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10)(TPMS 센서)는 압력 센서(11), 온도 센서(12), 가속도 센서(13), 제어부(14), 통신부(15), 및 배터리(16)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11)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측정한다. 온도 센서(12)는 타이어의 온도를 측정한다. 가속도 센서(13)는 타이어의 가속도를 측정한다. 가속도 센서(13)는 Z축 또는 X축 가속도를 측정하는 2축 가속도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압력 센서(11), 온도 센서(12) 및 가속도 센서(13)에서 각 파라미터 측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가속도 센서(13)에서 측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회전 주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통신부(15)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5)는 압력 센서(11), 온도 센서(12) 및 가속도 센서(13)에서 측정한 값 및 아이디 정보(TPMS 센서(10) 각각의 고유 식별자)를 송신할 수 있다. 배터리(16)는 TPMS 센서(10)의 동작 전력을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10)는, 도로의 상태 및 주행 가속 또는 감속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여 타이어의 회전 주기를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가속도 샘플링부(110), 데이터 필터링부(120), 최대 피크 감지부(130), 최소 피크 감지부(140), 피크 유효성 판단부(150), 및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를 포함하여 제어부(14)를 구성할 수 있다.
가속도 샘플링부(110)는 가속도 센서(13)로부터 타이어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가속도 데이터는 Z축 가속도와 X축 가속도(도 4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Z축 가속도는 차량의 세로 방향(중력 방향)에 대한 가속도이고, X축 가속도는 차량의 진행 방향에 대한 가속도를 의미한다. 이때 Z축 가속도와 X축 가속도는 ±90°의 위상차를 갖는다.
가속도 샘플링부(110)는 전달받은 가속도 데이터를 샘플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샘플링은 가속도 센서(13)에서 측정한 가속도 데이터의 정확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작업이다. 가속도 샘플링부(110)는 배터리 소모를 절약하기 위해 타이어의 구심력 방향의 절대값 평균을 통해 대략적인 휠의 속도를 파악하고 샘플링 속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가속도 샘플링부(110)는 샘플링에 따라 사인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가속도 샘플링부(110)는 Z축 가속도에 따라 Z축 사인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가속도 샘플링부(110)는 X축 가속도에 따라 X축 사인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가속도 샘플링부(110)는 Z축 사인파 신호와 X축 사인파 신호를 데이터 필터링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필터링부(120)는 일종의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일 수 있다. 데이터 필터링부(120)는 사인파 신호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데이터 필터링부(120)는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사인파 신호를 최대 피크 감지부(130)와 최소 피크 감지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인파 신호의 노이즈 성분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이며 이후 신호 처리 단계를 통해 노이즈 성분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하다.
최대 피크 감지부(130)는 사인파 신호의 최대 피크를 감지할 수 있다. 최대 피크 감지부(130)는 Z축 사인파 신호의 최대 피크와 X축 사인파 신호의 최대 피크를 감지할 수 있다.
최소 피크 감지부(140)는 사인파 신호의 최소 피크를 감지할 수 있다. 최소 피크 감지부(140)는 Z축 사인파 신호의 최소 피크와 X축 사인파 신호의 최소 피크를 감지할 수 있다.
피크 유효성 판단부(150)는 사인파 신호의 최대 피크에서 최소 피크까지의 반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 피크 유효성 판단부(150)는 미리 마련된 피크-룩업테이블(PEAK-LUT: Look Up Table)을 이용하여 감지된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피크-룩업테이블(PEAK-LUT)은 타이어의 회전 속도 구간별로 설정된 기준 최대 피크 범위와 기준 최소 피크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최대 피크 범위와 기준 최소 피크 범위는 사전에 설정된 것으로서, 시뮬레이션 또는 실제 시험을 통해 획득하여 마련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피크 유효성 판단부(150)는 Z축 사인파 신호의 반주기와 X축 사인파 신호의 반주기의 편차를 이용하여 센서 측정값의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피크 유효성 판단부(150)는 피크 유효성 판단시, ±90°위상차가 나는 Z축 사인파 신호와 X축 사인파 신호 모두를 사용하므로 속도 변화에 강건한 판단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피크 유효성 판단부(150)에 의해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이용하여 사인파의 주기를 획득할 수 있다.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사인파의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통해 타이어의 회전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시간 흐름에 따라 감지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이용하여 Z축 사인파 신호 및 X축 사인파 신호 각각의 1차 주기와 2차 주기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주기 판단은 1차 주기와 2차 주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수의 주기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타이어의 회전 주기의 변화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회전 주기의 변화는 비포장 도로나, 주행 감속 또는 가속시에 발생되는 조건이므로, 해당 판단이 없다면 실제 동작에서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미리 마련된 주기-룩업테이블(PERIOD-LUT)을 이용하여 1차 주기와 2차 주기가 유효한지 판단할 수 있다. 주기-룩업테이블(PERIOD-LUT)은 휠의 회전 속도 구간별 기준 최소 주기와 기준 최대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최소 주기와 기준 최대 주기는 사전에 설정된 것으로서, 시뮬레이션 또는 실제 시험을 통해 획득하여 마련한 것일 수 있다.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1차 주기와 2차 주기의 차이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타이어의 회전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10)는 부정확한 센서 측정 결과를 사전에 걸러내어 센서동작의 성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타이어에 장착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에서 측정되는 Z축 가속도와 X축 가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10)는 타이어의 Z축 방향 최대(Max) 위치와 최소(Min) 위치에서 타이어의 회전에 따른 Z축 가속도와 X축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10)는 비포장 도로 등의 주행환경과 주행 감속 또는 가속에 따른 회전 주기의 변화를 고려하여 Z축 가속도와 X축 가속도로부터 타이어의 회전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의 이상적인 출력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타이어의 회전에 따른 이상적인 사인파 신호의 1차 주기와 2차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사인파 신호의 1차 주기는 1차 최대 피크(1차 Max), 1차 최소 피크(1차 Min), 및 2차 최대 피크(2차 Max)를 포함한다. 사인파 신호의 2차 주기는 2차 최대 피크(2차 Max), 2차 최소 피크(2차 Min), 및 3차 최대 피크(3차 Max)를 포함한다. Z축 가속도(Accel Z)와 X축 가속도(Accel X) 데이터에 따른 사인파 신호는 ±90°위상차를 가진다.
도 6은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출력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10)에서 측정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출력 파형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가속도 출력 파형은 노이즈 성분이 포함되어 이상적인 사인파 형태로 나타나지 않는다. 1차 최대 피크(1차 Max)와 1차 최소 피크(1차 Min) 사이의 최대-최소 피크 범위와 2차 최대 피크(2차 Max)와 2차 최소 피크(2차 Min) 사이의 최대-최소 피크 범위는 이상적인 사인파 신호의 최대-최소 피크 범위를 벗어나게 나타난다,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10)의 피크 유효성 판단부(150)는, 샘플링과 피크-룩업테이블(PEAK-LUT)을 이용하여 가속도 출력 파형의 최대-최소 피크 범위가 유효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데이터의 샘플링과 노이즈 제거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a)는 가속도 데이터의 샘플링과 노이즈 제거 전 신호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의(b)는 가속도 데이터의 샘플링과 노이즈 제거 후 사인파 신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10)는 도 7의(b)의 신호 파형에 대한 최대-최소 피크 범위의 유효성 판단 및 주기의 유효성 판단을 수행한 이후에 타이어의 회전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위치 판정 결과에 따른 에러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센서의 송신 위치 판정 결과에 따른 에러율을 보여준다. 도 8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위치 판정 결과에 따른 에러율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위치 판정 로직은,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의 조향 정보, 차량의 주행 정보 및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10)에서 송신하는 가속도 정보를 수신하여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10)의 장착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의(b)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위치 판정 로직의 에러율은 종래 기술 대비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의 제1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의 제2 순서도이다.
도 2, 도 3, 도 5,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은, S910 단계에서 S1060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한 회전 주기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필요에 따라 더욱 많은 단계가 포함될 수도 있다.
먼저, 가속도 데이터 측정 단계(S910)에서, 가속도 센서(13)는 타이어의 Z축 가속도와 X축 가속도를 포함하는 가속도 데이터를 측정한다.
그런 다음, 가속도 데이터 샘플링 주기 결정 단계(S920)에서, 가속도 샘플링부(110)는 미리 소정 시간 동안 1회 측정된 사전 가속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샘플링 속도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가속도 데이터 샘플링 단계(S930)에서, 가속도 샘플링부(110)는 미리 결정된 샘플링 속도에 맞춰 가속도 센서(13)로부터 전달받은 가속도 데이터에 대해 샘플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속도 샘플링부(110)는 Z축 가속도와 X축 가속도 각각에 대해 샘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가속도 샘플링부(110)는 샘플링을 통해 가속도 데이터의 사인파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데이터 필터링 단계(S940)에서, 데이터 필터링부(120)는 로우 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샘플링된 사인파 신호의 노이즈를 저감한다.
한편, S930단계와 S940 단계는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노이즈가 저감된 복수의 사인파 신호가 획득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1 피크 감지 단계(S950)에서, 최대 피크 감지부(130)는 1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1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한다. 이때 최소 피크 감지부(140)는 1차 Z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와 1차 X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를 감지한다.
그런 다음, 제1 피크 유효성 판단 단계(S960)에서, 피크 유효성 판단부(150)는 감지된 1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 및 1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미리 마련된 피크-룩업테이블(PEAK-LUT)의 기준 최소 피크 범위 및 기준 최대 피크 범위와 비교하여 피크 유효성을 판단한다.
피크-룩업테이블(PEAK-LUT)은 하기 표 1과 표 2와 같이 나타난다.
휠의 회전 속도 Z축 기준 최소 피크 범위 Z축 기준 최대 피크 범위
Offset 0 100 ~ 110 180 ~ 190
Offset 1 200 ~ 210 280 ~ 290
Offset 2 300 ~ 310 380 ~ 390
표 1은 Z축 사인파의 피크 유효성 판단에 이용되는 Z축 피크-룩업테이블(PEAK-LUT)이다. 표 1의 Z축 피크-룩업테이블(PEAK-LUT)은 타이어(휠)의 회전 속도 구간(Offset 0, Offset 1, Offset 2) 별로 Z축 기준 최소 피크 범위와 Z축 기준 최대 피크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Z축 기준 최소 피크 범위와 Z축 기준 최대 피크 범위는 차량 속도, 도로 상태, 및 센서 특성이 반영된 실제 시험 결과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휠의 회전 속도 X축 기준 최소 피크 범위 X축 기준 최대 피크 범위
모든 속도 100~110 180~190
표 2는 X축 사인파의 피크 유효성 판단에 이용되는 X축 피크-룩업테이블(PEAK-LUT)이다. 표 2의 X축 피크-룩업테이블(PEAK-LUT)은 X축에 대한 가속도 성분이 없으므로, 휠의 회전 속도와 관계없이 고정된 X축 기준 최소 피크 범위와 X축 기준 최대 피크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2 피크 감지 단계(S970)에서, 1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가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1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가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최대 피크 감지부(130)는 2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하고, 2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한다.
그런 다음, 제1 주기 감지 단계(S980)에서,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1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구한 시점부터 2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구한 시점까지의 샘플링 횟수를 비교하여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한다. 또한,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1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구한 시점부터 2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구한 시점까지의 샘플링 횟수를 비교하여 1차 X축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한다.
그런 다음, 제1 주기 유효성 판단 단계(S990)에서,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와 미리 설정된 주기-룩업테이블(PERIOD-LUT)을 비교하여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또한,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1차 X축 사인파의 주기와 미리 설정된 주기-룩업테이블(PERIOD-LUT)을 비교하여 1차 X축 사인파의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주기-룩업테이블(PERIOD-LUT)의 기준 최소 주기 및 기준 최대 주기 사이에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와 1차 X축 사인파의 주기가 존재하면,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와 1차 X축 사인파의 주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주기-룩업테이블(PERIOD-LUT)은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난다.
휠의 회전 속도 기준 최소 주기(Hz) 기준 최대 주기(Hz)
Offset 0 3.2 4.4
Offset 1 4.2 5.4
Offset 2 5.2 6.4
표 3은 Z축 사인파의 주기와 X축 사인파의 주기의 유효성 판단에 이용되는 주기-룩업테이블(PERIOD-LUT)이다. 표 3의 주기-룩업테이블(PEAK-LUT)은 타이어(휠)의 회전 속도 구간(Offset 0, Offset 1, Offset 2) 별로 기준 최소 주기와 기준 최대 주기가 설정될 수 있다. 기준 최소 주기와 기준 최대 주기는 차량 속도, 도로 상태, 및 센서 특성이 반영된 실험 결과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3 피크 감지 단계(S1000)에서,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와 1차 X축 사인파의 주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최소 피크 감지부(140)는 2차 Z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와 2차 X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를 감지한다.
그런 다음, 제2 피크 유효성 판단 단계(S1010)에서, 피크 유효성 판단부(150)는 2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2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제2 피크 유효성 판단 단계(S1010)는 제1 피크 유효성 판단 단계(S960)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4 피크 감지 단계(S1020)에서, 2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의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2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의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최대 피크 감지부(130)는 3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하고, 3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한다.
그런 다음, 제2 주기 감지 단계(S1030)에서,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2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구한 시점부터 3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구한 시점까지의 샘플링 횟수를 비교하여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한다. 또한,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2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구한 시점부터 3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구한 시점까지의 샘플링 횟수를 비교하여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를 획득한다.
그런 다음, 제2 주기 유효성 판단 단계(S1040)에서,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와 미리 설정된 주기-룩업테이블(PERIOD-LUT)을 비교하여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또한,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와 미리 설정된 주기-룩업테이블(PERIOD-LUT)을 비교하여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주기-룩업테이블(PERIOD-LUT)의 기준 최소 주기 및 기준 최대 주기 사이에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와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가 존재하면,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와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주기 유사성 판단 단계(S1050)에서,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와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각종 사인파의 주기들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가 허용 오차 범위 이내 인지를 판단한다. 허용 오차 범위는 차량 제원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회전 주기 결정 단계(S1060)에서,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 1차 X축 사인파의 주기,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와,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가 모두 유효한 경우,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가중치 계산을 통해 최종 타이어의 회전 주기를 결정한다. 가중치는 Z축 사인파의 주기가 X축 사인파의 주기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가중치는 시간 흐름상 1차 사인파의 주기보다 최근에 획득한 2차 사인파의 주기에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에는 가중치 A값이 적용되고, 1차 X축 사인파의 주기에는 가중치 B값이 적용되고,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에는 가중치 C값이 적용되고,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에는 가중치 D값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 A, B, C, D의 총합은 1일 수 있다.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160)는 가중치가 적용된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 1X축 사인파의 회전주기,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 및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를 합하여 최종 타이어의 회전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다른 순서로, 또는 병렬적으로, 또는 다른 에포크(epoch) 등을 위해 다른 실시 예들에서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 프로그램, 상호작용 데이터 구조(interactive data structure), 클라이언트 및/또는 서버를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사용하여 적어도 일부가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예시적으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모듈"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또는 그것들의 어떠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11: 압력 센서
12: 온도 센서
13: 가속도 센서
14: 제어부
110: 가속도 샘플링부
120: 데이터 필터링부
130: 최대 피크 감지부
140: 최소 피크 감지부
150: 피크 유효성 판단부
160: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
15: 통신부
16: 배터리

Claims (21)

  1. 차량의 타이어 압력을 검출하도록 타이어에 장착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를 샘플링하는 가속도 샘플링부;
    상기 샘플링에 따라 생성된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하는 최대 피크 감지부;
    상기 샘플링에 따라 생성된 사인파의 최소 피크를 감지하는 최소 피크 감지부; 및
    상기 타이어의 회전 속도 구간별로 설정된 기준 최대 피크 범위 및 기준 최소 피크 범위에 따라, 감지된 상기 최대 피크와 상기 최소 피크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피크 유효성 판단부;
    를 포함하는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이용하여 상기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인파의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하며,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인파의 주기를 상기 타이어의 회전 주기로 결정하는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
    를 포함하는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는 상기 타이어의 Z축 가속도와 X축 가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샘플링부는 상기 Z축 가속도를 샘플링하여 Z축 사인파를 생성하고, 상기 X축 가속도를 샘플링하여 X축 사인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피크 감지부는, 상기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상기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하고,
    상기 최소 피크 감지부는, 상기 Z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와 상기 X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유효성 판단부는,
    상기 기준 최대 피크 범위와 기준 최소 피크 범위를 포함하는 피크-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Z축 사인파 및 상기 X축 사인파 각각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는,
    상기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이용하여 Z축 사인파의 주기를 획득하고, 상기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이용하여 X축 사인파의 주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는,
    미리 마련된 주기-룩업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Z축 사인파와 상기 X축 사인파 각각의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룩업테이블은, 상기 타이어의 회전 속도 구간별 기준 최소 주기와 기준 최대 주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는, 상기 Z축 사인파와 상기 X축 사인파 각각의 주기가 상기 기준 최소 주기와 상기 기준 최대 주기 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Z축 사인파와 상기 X축 사인파의 주기를 기초로 상기 타이어의 회전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는,
    시간 흐름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Z축 사인파 주기와 X축 사인파 주기를 획득하고, 획득한 사인파 주기들에 기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사인파 주기들을 이용하여 상기 타이어의 회전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주기 유효성 판단부는,
    상기 X축 사인파의 주기보다 높은 가중치를 상기 Z축 사인파의 주기에 적용하고, 상기 Z축 사인파와 상기 X축 사인파 각각의 1차 주기보다 시간 흐름상 나중에 획득한 2차 주기에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13.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에 있어서,
    타이어의 회전에 따른 가속도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가속도 데이터 샘플링 단계;
    상기 샘플링에 따라 생성된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감지하는 피크 감지 단계; 및
    상기 타이어의 회전 속도 구간별로 설정된 기준 최대 피크 범위 및 기준 최소 피크 범위에 따라, 감지된 상기 최대 피크와 상기 최소 피크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피크 유효성 판단 단계;
    를 포함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이용하여 상기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하는 주기 감지 단계;
    감지된 사인파의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주기 유효성 판단 단계; 및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인파의 주기를 상기 타이어의 회전 주기로 결정하는 회전 주기 결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는 상기 타이어의 Z축 가속도와 X축 가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데이터 샘플링 단계는, 상기 Z축 가속도를 샘플링하여 Z축 사인파를 생성하고, 상기 X축 가속도를 샘플링하여 X축 사인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Z축 사인파는 시간 흐름에 따라 1차 Z축 사인파, 2차 Z축 사인파, 및 3차 Z축 사인파를 포함하고,
    상기 X축 사인파는 시간 흐름에 따라 1차 X축 사인파, 2차 X축 사인파, 및 3차 X축 사인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감지 단계는,
    상기 1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1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하고, 상기 1차 Z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와 상기 1차 X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를 감지하는 제1 피크 감지 단계,
    상기 2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2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하는 제2 피크 감지 단계,
    상기 2차 Z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와 상기 2차 X축 사인파의 최소 피크를 감지하는 제3 피크 감지 단계, 및
    상기 3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3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를 감지하는 제4 피크 감지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 유효성 판단 단계는,
    상기 1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 및 상기 1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미리 마련된 피크-룩업테이블과 비교하여 피크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1 피크 유효성 판단 단계, 및
    상기 2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 및 상기 2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를 상기 피크-룩업테이블과 비교하여 피크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2 피크 유효성 판단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감지 단계는,
    상기 1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상기 2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 사이의 샘플링 횟수를 이용하여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하고, 상기 1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상기 2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 사이의 샘플링 횟수를 이용하여 1차 X축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하는 제1 주기 감지 단계, 및
    상기 2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상기 3차 Z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 사이의 샘플링 횟수를 이용하여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하고, 상기 2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와 상기 3차 X축 사인파의 최대 피크 사이의 샘플링 횟수를 이용하여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를 감지하는 제2 주기 감지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유효성 판단 단계는,
    상기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와 미리 마련된 주기-룩업테이블을 비교하고, 1차 X축 사인파의 주기와 상기 주기-룩업테이블을 비교하여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1 주기 유효성 판단 단계,
    상기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와 상기 주기-룩업테이블을 비교하고,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와 상기 주기-룩업테이블을 비교하여 주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2 주기 유효성 판단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주기 결정 단계는,
    상기 1차 Z축 사인파의 주기, 상기 1차 X축 사인파의 주기, 상기 2차 Z축 사인파의 주기, 및 상기 2차 X축 사인파의 주기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타이어의 회전 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KR1020190143340A 2019-11-11 2019-11-11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KR10228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340A KR102289443B1 (ko) 2019-11-11 2019-11-11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340A KR102289443B1 (ko) 2019-11-11 2019-11-11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639A true KR20210056639A (ko) 2021-05-20
KR102289443B1 KR102289443B1 (ko) 2021-08-11

Family

ID=7614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340A KR102289443B1 (ko) 2019-11-11 2019-11-11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4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023A (ko) * 2012-08-06 2015-04-15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륜 위치 검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타이어 공기압 검출 장치
KR101601700B1 (ko) 2013-12-20 2016-03-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및 타이어 위치 자동 할당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023A (ko) * 2012-08-06 2015-04-15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륜 위치 검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타이어 공기압 검출 장치
KR101601700B1 (ko) 2013-12-20 2016-03-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및 타이어 위치 자동 할당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443B1 (ko)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0871B2 (en) Method for estimating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s by wheel sensors of a vehicle and system for its application
US1005292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loca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wheels in a vehicle
US8751190B2 (en) Method for ascertaining a rotational direction of a rotating body, and wheel sensor module
EP2740640A1 (en) Tire slip angle estimation system and method
JP2012531360A (ja) ホイールエレクトロニクスユニット、車両ホイール及び車両
JP2003146036A (ja) 車両における空気タイヤの走行トレッドの剥離開始の検出方法
US2010032485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change in the footprint of a tire
US10119985B2 (en) Multi-function speed sensor
US9688107B2 (en) Tire pressure decreas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US9132705B2 (en) Method for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yre air pressure with allocation of wheel positions and system for tyre air pressure measurement
US10629007B2 (en) Method of locating the position of wheels of an automotive vehicle
US11472237B2 (en) Tire damag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7870781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tire condition in vehicles
US9528899B2 (en) Tire pressure decreas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KR101938235B1 (ko)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차륜 속도의 이상 검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89443B1 (ko) 회전 주기 측정 기능을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주기 측정 방법
JP2013103519A (ja) 車輪位置判定装置
US20220260610A1 (en) Safe measurement of tire characteristics
WO2021247016A1 (en) Detecting a condition of a road surface
CN115715257A (zh) 轮胎胎面磨损的增强追踪
GB2519956A (en) Wheel unit for a wheel unit auto-location system
KR101744714B1 (ko) 타이어 공기압 저하 검출 방법 및 장치
RU2760255C2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состояния накачки шин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499879B1 (ko)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EP4217213A1 (en) Adjustment of indirectly determined values of a tire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