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375A - 물품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물품 성형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6375A KR20210056375A KR1020217009750A KR20217009750A KR20210056375A KR 20210056375 A KR20210056375 A KR 20210056375A KR 1020217009750 A KR1020217009750 A KR 1020217009750A KR 20217009750 A KR20217009750 A KR 20217009750A KR 20210056375 A KR20210056375 A KR 202100563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ticle
- cavity
- forming
- plastic composition
- reg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4604 Blow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group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90 sol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50 cellular structur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7 poly(la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26 poly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27—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the foaming continuing or beginning when the mould is open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B29C44/0407—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by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mould or parts thereof, e.g. cold mould walls inhibiting foaming of an outer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4—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B29C44/0415—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by regulating the pressure of the material during or after filling of the mould, e.g. by local ven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29C44/355—Characteristics of the foam, e.g. having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o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44/38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nto moving mou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44/42—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injection or by vacu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3—Moulds for making articles with cavi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65—Drinking c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4—Corrug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3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of foam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of foam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03—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 B29C45/1704—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the fluid being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jected material which is still in a molten state, e.g. for 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C2045/1722—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the fluid being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jected material which is still in a molten state, e.g. for producing hollow articles injecting fluids containing plastic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5—Opaqu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6—Transpa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9—Transluc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32—Bowls, Cups,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및 물리적 발포제를 포함하는 용융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물품(100)을 성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주입 단계(c) 및 패킹 단계(d) 중, 주입 압력과 패킹 압력 각각은 물리적 발포제가 폴리머 내에 용해되어 있는 가스로 유지되도록 캐비티(8)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32)에서 최소 압력 임계 값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기포가 형성되지 않고, 개방 단계(e) 중에, 용융 플라스틱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최소 압력 임계 값보다 낮은 외부 압력에 노출되어,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팽창 셀룰러 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을 물품 내에 형성하고, 개방 단계(e) 전에, 캐비티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 내의 플라스틱 조성물이 완전히 응고될 수 있도록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균질하고, 고상인 비 팽창 플라스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물품 내에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포 플라스틱 물품 예를 들어 음식용 용기 또는 컵의 성형에 관한 것이다.
포장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컵(예를 들어, 테이크 아웃 커피 컵)은 내부가 플라스틱 재질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으로 라이닝 되어 있는 종이 컵이다. 이들 컵은 분리하기 어렵고 및/또는 분리하는 데에 비용이 많이 드는 2개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재활용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종이 재료가 접합된 컵의 한쪽 아래에 이음새가 있기 때문에, 음료를 마시기 위해 컵을 기울이면 (특히 컵이 음료를 마시기 위해 음료가 통과하는 마우스피스가 있는 뚜껑과 관련하여 사용될 때) 컵 가장자리의 결합 부분에서 액체가 누출될 수 있다.
업계에서는 일회용 폴리프로필렌 컵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기존의 사출 성형에서는 컵에 단열재를 만들기 위해 두꺼운 벽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셀룰러 구조는 단열을 제공하고, 발포제를 열가소성 중합체에 첨가하여 발포 구조를 생성하여 단열을 더욱 향상시키고 발포 벽의 밀도를 감소시킨다.
국제공개공보 WO-A-2017/134181호는 물품이 팽창 및 비 팽창 영역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컵인, 물품 및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팽창된 영역은 해당 영역에서 셀룰러 폼이 형성되는 결과로 반투명해진다. 또한 팽창되지 않은 영역은 그 영역에서 팽창된 셀이 일부 형성되기 때문에 반투명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팽창되지 않은 영역은 투명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러한 영역에서 형성되는 셀룰러 폼의 부재의 결과로 시각적으로 투명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정을 제어하여 투명하거나 시각적으로 깨끗한 비 팽창 영역을 얻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물품에서 반투명 팽창된 셀룰러 폼 영역 및 투명 영역 즉 시각적으로 투명한 비 팽창 영역 모두를 달성하는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물품을 성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의 바람직한 특징은 종속 항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임의의 형상, 형태 또는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물품을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컵, 또는 액체를 담기 위한 임의의 다른 용기 또는 그릇과 같은 중공 물품의 제조에 특히 적용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이 방법에 의해 형성된 물품이 쉽게 재활용 및 재사용 가능하고, 팽창 영역에 의해 제공되는 높은 수준의 강성을 가지며, 또한 팽창 영역에 의해 제공되는 우수한 단열 특성을 가지면서, 물품에 대한 구조적 및/또는 미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비 팽창 영역도 포함한다는 것이다.
발포되지 않은 영역은 투명하거나 시각적으로 깨끗하다.
본 발명은, 최소 임계 압력과 관련하여 주입 및 패킹 단계 동안의 압력 제어가, 물품이 팽창하여 팽창 영역을 형성하는 중에 예를 들어 대기압과 같은 감소된 압력에 노출된 후 물품의 영역이 팽창되지 않도록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는 본 발명자의 발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한다.
본 발명자는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물품이 그 물품에 사용되는 재료의 양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물품에 요구되는 수준의 강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셀룰러 발포(cellular foamed) 플라스틱 조성물,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과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은 단열 특성으로 인해 서서히 냉각됨에 따라 플라스틱 조성물의 결정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발포 플라스틱 조성물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발포에 의한 제1 및 제2 스킨 사이의 용융 플라스틱 조성물의 팽창은 또한 물품에 우수한 단열 특성을 제공한다.
또한, 전체 용기가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의 단일 층으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즉, 분리할 필요가 있는 다른 재료의 층이 없음), 용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안감 종이컵보다 재활용이 더 쉽다.
또한, 물품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물품에 포함된 액체의 누출이 발생할 수 있는 접합부가 물품에 존재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컵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의 상이한 단계에서 컵의 팽창된 반투명 영역의 외관을 예시하는 도 1의 컵의 제1 부분의 라인 A-A 상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의 상이한 단계에서 컵의 비 팽창 투명 영역의 외관을 예시하는 도 1의 컵의 제2 부분의 라인 B-B 상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컵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의 상이한 단계에서 컵의 팽창된 반투명 영역의 외관을 예시하는 도 1의 컵의 제1 부분의 라인 A-A 상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의 상이한 단계에서 컵의 비 팽창 투명 영역의 외관을 예시하는 도 1의 컵의 제2 부분의 라인 B-B 상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물품 예를 들어 커피 컵과 같은 컵의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컵(100)은 환형 팽창 발포 영역(104) 및 환형 비 팽창 영역(106)을 갖는 환형 측벽(102)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환형"은 "일반적으로 링-형"을 의미하지만, 기하학적으로 원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원형이거나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 예를 들어 타원형, 다각형 등일 수 있는 형상을 포괄한다. 팽창 발포 영역(104)은 일반적으로 두께가 1 내지 4 ㎜, 선택적으로 1 내지 3 ㎜이다. 비 팽창 영역(106)은 일반적으로 두께가 0.25 내지 0.75 ㎜, 선택적으로 0.25 내지 0.5 ㎜이다.
팽창 발포 영역(104)은, 팽창된 셀룰러 폼이 가시광을 반사하는 셀룰러 벽을 갖는 셀을 포함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반투명하게 보인다. 그러나, 안료가 고농도로 열가소성 중합체에 혼입되는 경우, 팽창 발포 영역(104)이 일반적으로 불투명하고 단색으로 보일 수 있다.
대조적으로, 비 팽창 영역(106)은 셀이 없거나, 또는 예를 들어 저 농도로 셀이 존재하는 경우, 셀 크기가 일반적으로 0.5 미크론 미만이므로 육안으로 볼 수 없으며, 그 결과로 비 팽창 영역(106)은 육안으로 투명하게 보인다. 비 팽창 영역(106)은, 물품을 제조하는 중에 발포제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CO2 가스가 중합체, 본 실시형태에서 폴리프로필렌에 용액에 체류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투명하게 보인다. 용융된 중합체가 응고된 후에는 발포제의 작용으로 인해 셀이 형성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반투명의 팽창 발포 영역(104) 및 투명한 비 팽창 영역(106) 모두를 포함하는 물품의 신뢰할 수 있는 제조에 관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는 본 발명 방법의 상이한 단계에서 팽창된 영역(104)의 외관을 예시하는 라인 A-A 상에서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거리가 과장되어 있다.
도 2의 좌측을 참조하면, 물품의 팽창 영역(104)은, 제1 환형 외부 파트(12) 및 제2 환형 내부 파트(14)를 갖는 몰드(2)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제1 및 제2 파트(12, 14)는 각각 제1 및 제2 캐비티-형성 면(22a, 24a)을 구비한다. 몰드의 외부 파트(12)의 제1 캐비티-형성 면(22a)은 주름(25)을 포함하고, 제1 캐비티-형성 면(22a)의 주름(25)은 예를 들어 사인파 형태의 피크 및 골(trough)을 갖는다. 사인파는 피크와 골의 모양과 형태와 관련하여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캐비티-형성 면(24a)은 바람직하게는 매끄럽고 기복(undulation)이 없다.
몰드(2)는 폐쇄되어 제1 및 제2 캐비티-형성 면(22a, 24a) 사이에 캐비티(8)의 제1 영역(30)을 획정한다. 중합체 및 물리적 발포제를 포함하는 용융 플라스틱 조성물(50)이 캐비티(8) 내로 주입된다. 물리적 발포제는 중합체에 용해된 가스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플라스틱 조성물의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또는 복수의 폴리올레핀, 선택적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블렌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선택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락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용융 유동 지수(MFI: Melt Flow Index)가 10 내지 120인 폴리프로필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체의 용융 유동 지수는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발포제는 용융 플라스틱 조성물에 용해되는 기체 형태의 물리적 발포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스는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는 선택적으로 소비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팽창 후 중합체 물질에 존재하는 방향제 조성물(즉, 향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발포제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면, 사출 성형기의 압출기에서 발포제에 의해 CO2 가스가 생성되고, 이 CO2 가스는 사출 단계(일반적으로 300 ~ 500 바)에서 용액으로 들어가는데, 이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 내 용액으로 CO2를 강제하는 데 필요한 압력(일반적으로 75 바보다 큰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고압이 재료에 가해지기 때문이다.
용융된 플라스틱 조성물은 사출 압력 P주입으로 사출된다. 일반적으로 사출 압력 P주입은 적어도 150 바이다.
주입 단계 후, 패킹 압력 P패킹이 패킹 단계에서 캐비티(8)에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패킹 압력 P패킹은 적어도 150 바이다.
주입 단계(c) 및 패킹 단계(d)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모두 동안, 제1 및 제2 캐비티-형성 면(22a, 24a)과 접촉하는 주입된 플라스틱 조성물(50)이 냉각되어 각각 제1 및 제2 캐비티-형성 면(22a, 24a)에 인접하고 접촉하는 제1 및 제2 고형 스킨(4, 6)을 각각 형성한다.
캐비티(8)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30)에서 패킹 단계(d) 후에, 제1 및 제2 고형 스킨(4, 6) 사이의 플라스틱 조성물 중 적어도 일부는 용융된 상태로 유지된다.
주입 단계(c) 및 패킹 단계(d) 동안, 주입 압력 P주입 및 패킹 압력 P패킹은 각각 캐비티(8)의 제1 영역(30)에서의 최소 압력 임계 값 P임계를 상회한다. 일반적으로 최소 압력 임계 값 P임계는 75 바(bar)이다. 이는, 제1 영역(30)에서, 물리적 발포제가 폴리머 내의 용액에서 부분적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주입 단계(c) 및 패킹 단계(d) 동안 제1 영역(30)에 셀룰러 기포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도 2의 우측을 참조하면, 그 후, 제1 및 제2 고형 스킨(4, 6) 사이의 용융 플라스틱 조성물이 캐비티(8)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30)에서 응고되기 전에 몰드(2)가 개방된다.
몰드 캐비티(8)의 이 제1 영역(30)은 두껍고, 이에 따라 용융된 중합체 수지가 냉각 및 응고되기 위해서는 사출 및 패킹 단계에서 보다 긴 시간,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 제1 영역(30)은 외부 히터에 의해 추가로 가열되어 폴리머 수지가 용융된 액체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개방 단계(e) 동안, 용융 플라스틱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는 최소 압력 임계 값보다 낮은 외부 압력, 예를 들어 대기압에 노출되어 물품 내에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팽창 셀룰러 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을 형성한다.
이 개방 단계는 이에 의해 제1 및 제2 고형 스킨(4, 6) 사이의 용융 플라스틱 조성물이 발포에 의해 팽창하여 팽창 셀룰러 폼(20)을 형성하게 한다. 개방 단계는 몰드(2)의 제1 파트(12)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여, 제1 고형 스킨(4)은 더 이상 제1 캐비티-형성 면(22a)과 접촉하지 않게 하는 한편 제2 고형 스킨(6)은 제2 캐비티-형성 면(24a)과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이 개방은 몰드(2)의 외부 파트(12)를 제거하고, 제1 스킨(4)을 대기압에 노출시키고, 내부 파트(14) 상에 제2 스킨(6)을 남겨둠으로써 달성된다. 그러나 몰드를 개방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구성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의 우측은 제1 고형 스킨(4), 제2 고형 스킨(6) 및 제1 및 제2 고형 스킨(4, 6) 사이의 플라스틱 조성물(50)을 보여 주는데, 플라스틱 조성물(10)은 발포에 의해 팽창하여 고형 기지(40) 내에서 셀(18)을 형성한 후 응고되었다. 도 2의 우측에서, 몰드의 외부 파트(12)가 물품으로부터 제거되고, 물품은 내부 파트(14) 또는 코어 위에 남아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팽창은 완성된 물품(28)의 제1 및 제2 고형 스킨(4, 6) 사이의 거리가 원주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도록 제1 고형 스킨(4)에 형성된 영역을 "부풀려(blown out)" 발생시켰다. 폴리머의 용액에서 발포 가스가 빠져나와 팽창 셀룰러 폼을 형성한다.
압력은 제1, 외부, 고형 스킨(4)을 제2, 내부, 고형 스킨(6)으로부터 밀어 내지도록 작용한다. 제1 및 제2 스킨(4, 6)을 밀어 멀어지게 하는 것은, 용액에서 나와 팽창되는 고농도의 발포제를 보유한 영역에서 일어난다. 팽창된 측벽은 국제공개공보 WO-A-2017/134181호에 개시된 리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대응하는 단계에서 비 팽창 영역(106)의 외관을 예시하는 라인 B-B 상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도 3의 좌측을 참조하면, 제1 환형 외부 파트(12) 및 제2 환형 내부 파트(14)를 구비하는 몰드(2)를 사용하여 물품의 비 팽창 영역(106)이 형성된다.
몰드(2)가 폐쇄되어 제1 및 제2 캐비티-형성 면(22b, 24b) 사이에 캐비티(8)의 제2 영역(32)을 획정한다. 제1 및 제2 캐비티-형성 면(22b, 24b)은 좁은 캐비티 영역(32)을 형성하고, 매끄럽고 기복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 단계(c) 및 패킹 단계(d) 중에, 주입 압력 및 패킹 압력 각각은 캐비티(8)의 제2 영역(32)에서 최소 압력 임계 값을 상회하는 값으로 유지되어, 물리적 발포제를 폴리머 내에 용해되어 있는 가스로 유지함으로써, 제2 영역(32)에 실질적으로 기포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개방 단계(e) 전에, 캐비티(8)의 제2 영역(32)에 있는 플라스틱 조성물은 완전히 고형화 되도록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균질한 고체상의 비 팽창 플라스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 팽창 영역(106)을 물품에 형성하게 된다.
몰드 캐비티(8)의 이 제2 영역(32)은 얇아서, 용융된 폴리머 수지가 냉각 및 응고되는 데에, 주입 및 패킹 단계보다 짧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 제2 영역(32)은 폴리머 수지를 용융된 액상으로부터 고상으로 전이시키기 위해 외부 냉각기에 의해 추가로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입 단계(c)와 개방 단계(e) 사이에서, 캐비티(8)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32)은 냉각 단계(f)를 거쳐 하나 이상의 제2 영역(32)에서 플라스틱 조성물이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32)에서 캐비티(8)의 두께 전체에 걸쳐 플라스틱 조성물의 용융 온도 미만의 온도로 냉각된다.
주입 단계(c) 및 패킹 단계(d)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두 단계 모두 동안에, 캐비티(8)의 제2 영역(32)에서, 제1 및 제2 캐비티-형성 면(22b, 24b)과 접촉하는 주입된 플라스틱 조성물이 냉각되어, 각각이 제1 및 제2 캐비티-형성 면(22b, 24b)에 인접하고 접촉하는 제1 및 제2 고형 스킨(4, 6)뿐만 아니라, 캐비티(8)의 제2 영역(32)의 폭(40)을 가로지르는 두께 전체에 걸쳐 고형 벽(38)을 형성하게 된다.
캐비티(8)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32)에서 패킹 단계(d) 후에, 제1 및 제2 고형 스킨(4, 6) 사이의 플라스틱 조성물의 전체 두께가 응고된다.
도 3의 우측을 참조하면, 그 후, 제1 및 제2 고형 스킨(4, 6) 사이의 용융된 플라스틱 조성물이 캐비티(8)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32)에서 응고된 후에 몰드(2)가 개방된다.
개방 단계 후, 제1 및 제2 고형 스킨(4, 6) 사이의 고체 플라스틱 조성물은 발포에 의해 더 이상 팽창할 수 없으며, 팽창된 셀룰러 폼을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비 팽창 영역(106)은 육안으로 투명하게 보인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측면 모두에서, 물품은 예를 들어 컵 또는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레인지에서 수프를 데울 수 있는 용기 또는 커피 컵일 수 있다. 물품은 일회용이거나 재사용 할 수 있으며, 물품이 단일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어느 경우에나 재활용이 가능하다.
예시된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3)
- 물품을 성형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a) 각각이 제1 및 제2 캐비티-형성 면을 구비하는 제1 파트 및 제2 파트를 구비하는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
(b) 몰드를 폐쇄하여 제1 및 제2 캐비티-형성 면 사이에 캐비티를 획정하는 몰드 폐쇄 단계,
(c) 캐비티 내로 폴리머 및 물리적 발포제를 포함하는 용융 플라스틱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로, 물리적 발포제는 폴리머 내에 용해되어 있는 가스이고, 용융 플라스틱 조성물이 주입 압력에서 주입되는, 용융 플라스틱 조성물 주입 단계,
(d) 주입 단계 후에, 패킹 단계에서 캐비티에 패킹 압력을 가하는 단계로, 주입 단계(c) 및 패킹 단계(d)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주입 단계(c) 및 패킹 단계(d) 모두에서, 제1 및 제2 캐비티-형성 면과 접촉하고 있는 주입된 플라스틱 조성물이 냉각되어 각각이 제1 및 제2 캐비티-형성 면에 인접하고 접촉하는 제1 및 제2 고형 스킨을 형성하고, 패킹 단계(d) 후에, 캐비티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에서, 제1 및 제2 고형 스킨 사이의 플라스틱 조성물 중 적어도 일부의 조성물이 용융된 상태로 남아 있는, 패킹 단계,
(e) 제1 및 제2 고형 스킨 사이의 용융 플라스틱 조성물이 캐비티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에서 응고되기 전에 몰드를 개방하여, 제1 및 제2 고형 스킨 사이의 용융 플라스틱 조성물이 발포에 의해 팽창되어 팽창 셀룰러 폼을 형성하는 몰드 개방 단계로, 상기 개방 단계는 몰드의 제1 파트를 제거하여 제1 고형 스킨이 더 이상 제1 캐비티-형성 면과 접촉하지 않는 한편 제2 고형 스킨은 제2 캐비티-형성 면과 접촉하고 있는, 몰드 개방 단계를 포함하고,
주입 단계(c) 및 패킹 단계(d) 중에, 주입 압력과 패킹 압력 각각은 물리적 발포제가 폴리머 내에 용해되어 있는 가스로 유지되도록 캐비티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에서 최소 압력 임계 값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기포가 형성되지 않고, 개방 단계(e) 중에, 용융 플라스틱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최소 압력 임계 값보다 낮은 외부 압력에 노출되어,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팽창 셀룰러 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을 물품 내에 형성하고,
개방 단계(e) 전에, 캐비티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 내의 플라스틱 조성물이 완전히 응고될 수 있도록 냉각되어, 실질적으로 균질하고, 고상인 비 팽창 플라스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물품 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성형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은 가시광에 대해 투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성형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은 가시광에 대해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성형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는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성형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소 압력 임계 값이 75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성형 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이산화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성형 방법.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입 단계(c) 중에, 주입 압력이 적어도 150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성형 방법.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킹 단계(d) 중에, 패킹 압력이 적어도 150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성형 방법.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 단계(e) 중에, 제1 고형 스킨이 대기압에 노출되고, 외부 압력은 대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성형 방법.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입 단계(c)와 개방 단계(e) 사이에서, 캐비티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이 냉각 단계(f)를 거쳐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 내의 플라스틱 조성물을,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에서 캐비티의 두께에 걸쳐 플라스틱 조성물의 용융 온도 미만으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성형 방법.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품이 중공형 물품이고, 제1 및 제2 파트 각각은 제1 및 제2 환형 캐비티-형성 면을 구비하고, 단계(b)에서 캐비티는 제1 및 제2 환형 캐비티-형성 면 사이의 환형 캐비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성형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파트 각각은 중공형 물품의 외부 면과 내부 면을 형성하는 외부 파트 및 내부 파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성형 방법.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중공형 물품이 컵, 머그, 병, 대야, 볼(bowl), 또는 액체를 담기 위한 용기 또는 그릇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성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GB1814355.2A GB2576885B (en) | 2018-09-04 | 2018-09-04 |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
GB1814355.2 | 2018-09-04 | ||
PCT/EP2019/073324 WO2020048912A1 (en) | 2018-09-04 | 2019-09-02 |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6375A true KR20210056375A (ko) | 2021-05-18 |
Family
ID=6392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09750A KR20210056375A (ko) | 2018-09-04 | 2019-09-02 | 물품 성형 방법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US (1) | US11446849B2 (ko) |
EP (1) | EP3843968B1 (ko) |
JP (1) | JP7419350B2 (ko) |
KR (1) | KR20210056375A (ko) |
CN (1) | CN112789151B (ko) |
AU (1) | AU2019336308B2 (ko) |
CA (1) | CA3111129A1 (ko) |
ES (1) | ES2993059T3 (ko) |
GB (1) | GB2576885B (ko) |
MX (1) | MX2021002495A (ko) |
SG (1) | SG11202102092RA (ko) |
WO (1) | WO2020048912A1 (ko) |
ZA (1) | ZA20210147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92616B (en) * | 2020-03-03 | 2023-07-19 | Bockatech Ltd |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
GB2597476B (en) | 2020-07-22 | 2022-11-02 | Bockatech Ltd | Tray and manufacture thereof |
GB2614925B (en) | 2022-01-25 | 2024-07-31 | Bockatech Ltd | Moulded polymer article and manufacture thereof |
WO2024239240A1 (zh) * | 2023-05-23 | 2024-11-28 | 成纶企业股份有限公司 | 容器制品制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4629397A (en) * | 1996-10-17 | 1998-05-15 | Coraltech Limited | Injection moulded and foamed article |
JP4456722B2 (ja) * | 2000-04-28 | 2010-04-28 | 住友化学株式会社 | 熱可塑性樹脂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
TW548173B (en) * | 2001-07-10 | 2003-08-21 | Cinpres Gas Injection Ltd | Process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ulding a hollow plastics article |
CN105522675A (zh) * | 2015-12-17 | 2016-04-27 | 华南理工大学 | 一种基于微孔发泡注射成型制备无皮层发泡材料的方法 |
GB2548322B (en) * | 2016-02-03 | 2018-05-09 | Bockatech Ltd |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
CN106584750A (zh) * | 2016-12-13 | 2017-04-26 | 贵州省材料产业技术研究院 | 一种注射发泡的控制方法 |
-
2018
- 2018-09-04 GB GB1814355.2A patent/GB2576885B/en active Active
-
2019
- 2019-09-02 JP JP2021512389A patent/JP7419350B2/ja active Active
- 2019-09-02 SG SG11202102092RA patent/SG11202102092RA/en unknown
- 2019-09-02 AU AU2019336308A patent/AU2019336308B2/en active Active
- 2019-09-02 ES ES19762373T patent/ES2993059T3/es active Active
- 2019-09-02 CN CN201980062240.5A patent/CN112789151B/zh active Active
- 2019-09-02 EP EP19762373.9A patent/EP3843968B1/en active Active
- 2019-09-02 CA CA3111129A patent/CA3111129A1/en active Pending
- 2019-09-02 US US17/272,699 patent/US11446849B2/en active Active
- 2019-09-02 WO PCT/EP2019/073324 patent/WO2020048912A1/en unknown
- 2019-09-02 MX MX2021002495A patent/MX2021002495A/es unknown
- 2019-09-02 KR KR1020217009750A patent/KR202100563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1
- 2021-03-03 ZA ZA2021/01472A patent/ZA202101472B/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X2021002495A (es) | 2021-07-16 |
EP3843968A1 (en) | 2021-07-07 |
US11446849B2 (en) | 2022-09-20 |
GB2576885B (en) | 2020-09-16 |
SG11202102092RA (en) | 2021-04-29 |
AU2019336308A1 (en) | 2021-04-01 |
BR112021004065A2 (pt) | 2021-05-25 |
US20210339439A1 (en) | 2021-11-04 |
CN112789151B (zh) | 2023-05-16 |
AU2019336308B2 (en) | 2024-10-24 |
GB2576885A (en) | 2020-03-11 |
ES2993059T3 (en) | 2024-12-20 |
EP3843968B1 (en) | 2024-09-18 |
WO2020048912A1 (en) | 2020-03-12 |
JP7419350B2 (ja) | 2024-01-22 |
JP2021536385A (ja) | 2021-12-27 |
GB201814355D0 (en) | 2018-10-17 |
CA3111129A1 (en) | 2020-03-12 |
ZA202101472B (en) | 2022-07-27 |
CN112789151A (zh) | 2021-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91319B2 (en) |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 |
EP3843968B1 (en) |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 |
US11673734B2 (en) | Hollow plastic article | |
EP4139215B1 (en) | Tray and manufacture thereof | |
US20230072051A1 (en) |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 |
BR112021004065B1 (pt) | Método para formar um artig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