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100A - 커버 윈도우 글라스 및 이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커버 윈도우 글라스 및 이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100A
KR20210056100A KR1020190142780A KR20190142780A KR20210056100A KR 20210056100 A KR20210056100 A KR 20210056100A KR 1020190142780 A KR1020190142780 A KR 1020190142780A KR 20190142780 A KR20190142780 A KR 20190142780A KR 20210056100 A KR20210056100 A KR 20210056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ndow
folding
foldable display
display device
empt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규
Original Assignee
(주) 엔피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엔피홀딩스 filed Critical (주) 엔피홀딩스
Priority to KR102019014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6100A/ko
Publication of KR20210056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883Mirrors with a refractive index gradi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고, 접힘 가능한(foldabl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하는 그리고 유리(Glass)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비접힘부와 상기 비접힘부의 두께보다 얇은 접힘부로 정의되며, 상기 접힘부에는 상기 영상이 상기 접힙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영상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왜곡 보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 윈도우 글라스 및 이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COVER WINDOW GLASS, FORDABLE DISPLAY DEVICE WITH COVER WINDOW GL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 글라스 및 이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히거나 만곡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두루마리처럼 말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 장치, 종이처럼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장치 및 크기를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는 스트레처블(Stretchable)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접으면 휴대가 용이하고, 화면을 펼치면 대면적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용화될 경우 가장 큰 변화 중 하나가 OLED 패널의 접힘과 표면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Cover window)이다. 기존의 커버 윈도우는 강성 확보를 위하여 0.4~0.7mm 두께의 유리(Glass)를 사용하는데 이는 일정각도 이상 굽힘(Bending)이 불가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사용이 어렵다.
이에,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 소재로서 CPI(Colorless Polyimide) 소재가 채택되었다. 그러나, CPI는 기존 글라스(Glass) 대비 고급스러움이 떨어지고, 탄성 때문에 한번 생긴 접힌 자국을 없애기 어렵다. 또한 필름이 들뜨거나 터치(Touch) 감도 및 시인성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완성도 향상을 위해서는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유리 소재의 커버 윈도우 개발 노력이 요구된다.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 10-2017-0122554(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커버 윈도우의 접히는 부분만 국부적으로 얇게 가공하여, 이를 통해 커버 윈도우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 유연성을 부여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커버 윈도우는 국부적으로 얇은 부분에서 이미지 왜곡 형상이 발생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7-0122554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커버 윈도우의 소재로 유리(Glass)를 사용, 강도 저하 없이 우수한 유연성을 가지면서 이미지 왜곡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커버 윈도우 글라스 및 이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을 표시하고, 접힘 가능한(foldabl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하는 그리고 유리(Glass)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비접힘부와 상기 비접힘부의 두께보다 얇은 접힘부로 정의되며, 상기 접힘부에는 상기 영상이 상기 접힙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영상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왜곡 보정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왜곡 보정부재는 상기 비접힘부와의 갭 차이만큼 상기 접힘부의 폴딩 갭에 채워지는 폴딩 갭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왜곡 보정부재는 상기 비접힘부와의 갭 차이만큼 상기 접힘부의 폴딩 갭에 삽입되는 폴딩 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 갭 부재는 상기 커버 윈도우와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 갭 부재와 상기 접힘부의 두께는 상기 비접힘부의 두께보다 얇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리(Glass) 재질로 형성되고, 비접힘부와 상기 비접힘부의 두께보다 얇고 오목한 빈공간을 갖는 접힘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한 빈공간에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상이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영상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오목한 빈공을 채우는 왜곡 보정부재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왜곡 보정부재는 상기 오목한 빈공간에 채워지는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왜곡 보정부재는 상기 오목한 빈공간에 삽입되는 그리고 상기 커버 윈도우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폴딩 갭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접힘부에 오목한 빈 공간이 형성된 커버 윈도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오목한 빈 공간을 왜곡 보정부재로 채우는 단계;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왜곡 보정부재가 채워진 상기 커버 윈도우의 일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왜곡 보정부재로 채우는 단계는 상기 오목한 빈 공간이 위를 향하도록 상기 커버 윈도우를 위치한 상태에서 광학투명성 접착재를 상기 오목한 빈 공간에 채워넣되; 상기 광학투명성 접착재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부착될 상기 커버 윈도우 일면에도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왜곡 보정부재로 채우는 단계는 상기 오목한 빈 공간이 위를 향하도록 상기 커버 윈도우를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오목한 빈 공간에 광학투명성 접착재를 이용하여 폴딩 갭 부재를 삽입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부착될 상기 커버 윈도우 일면에 광학투명성 접착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 갭 부재는 상기 커버 윈도우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한 빈 공간에는 상기 광학투명성 접착재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왜곡 보정부재가 접힘부의 폴딩 갭에 위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제공되는 영상(화상)이 접힙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영상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쳐진 상태 및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형태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쳐진 상태 및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고, 접힘 가능한(foldable) 디스플레이부(100) 그리고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프레임(300)은 합성 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류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에 위치하여 이미지(영상)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유저의 시각에 의해 인식 가능한 정지 화상, 동영상 등의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는 폴딩선(FL)을 기준으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폴딩선(FL)을 기준으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좌우 대칭으로 접힌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가 비대칭으로 접힐 수도 있다.
도 2는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디스플레이부(100) 상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특성의 손실 없이 휘거나, 접거나, 말 수 있는 유연한 기판 상에 제작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또는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폴딩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디스플레이 특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커버 윈도우(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 상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커버하도록 마련된다. 커버 윈도우(20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가장 바깥 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보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윈도우(200)는 강도가 향상된 화학강화 유리(Glas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유리 재질의 커버 윈도우를 사용할 경우, 커버 윈도우의 강성 확보를 위해 주로 0.4 ~ 0.7 mm 두께의 유리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두께의 유리는 일정각도 이상 굽힘(Bending)이 불가하여 폴더블(foldable) 또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로 사용이 어려웠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서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 윈도우를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으나, 유리에 비하여 내스크래치성, 투과율 및 내열성 등의 기능 면에서 부족하고, 유리 소재에 비해 감성적인 부분에서도 한계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커버 윈도우(200)는 강도가 향상된 화학강화 유리(Glass)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한 유리 소재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유연성을 가져 굽힘(Bending) 또는 접힘(Folding)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200)는 비접힘부(210)와 비접힘부(210)의 두께보다 얇은 접힘부(220)로 정의될 수 있다. 접힘부(220)는 커버 윈도우(200)에서 비접힘부(210)보다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은 부분일 수 있다. 비접힘부(210)에서 커버 윈도우의 두께는 일정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접힘부(220)에서 커버 윈도우의 두께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비접힘부(210)는 편평하게 마련되고, 접힘부(220)는 비접힘부(210)보다 두께가 얇아지도록 오목한 빈 공간(이하 폴딩 갭이라고 함)(230)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부(210)의 두께는 폴딩선(FL)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얇아질 수 있다. 폴딩선(FL)은 커버 윈도우(200)의 실제 구성요소는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한 가상의 선으로서, 커버 윈도우(200)의 두께가 최소가 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 윈도우(200)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마련되는 접힘부(220)를 포함함으로써 펼쳐지거나 접힘(Folding)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 두께 이하의 유리(Glass)는 휘거나 접힘이 가능하고, 접힘부(220)는 휘거나 접힘이 가능한 두께의 영역을 포함하므로 커버 윈도우(200)는 폴딩선(FL)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이 때, 커버 윈도우(200)가 접히는 방향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커버 윈도우가 서로 맞닿게 접힐 수 있고, 이와 다르게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서로 맞닿게 접힐 수도 있다.
한편, 접힘부(220)의 폴딩 갭(230)에는 왜곡 보정부재(240)가 제공될 수 있다. 왜곡 보정부재(240)는 디스플레이 패널(101)로부터 제공되는 영상(화상)이 접힙부(220)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영상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왜곡 보정부재(240)는 접힘 영역(220)의 폴딩 갭(230)에 채워지는 폴딩 갭 접착재(241)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 갭 접착재(241)는 광학투명성 접착제일 수 있으며, 폴딩 갭 접착재(241)는 비접힘부의 굴절률 및 접힘부의 굴절률에서 최소한의 차이를 제공한다.
예컨대, 비접힘부(210)와 접힘부(220)는 두께 및 편평한 면과 오목한 면 등의 차이로 인해 비접힘부(210)를 통과하는 영상의 굴절률과 접힘부(220)를 통과하는 영상의 굴절률에서 큰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폴딩 갭(230)에 광학투명성 접착제인 폴딩 갭 접착제(241)를 채워넣음으로써 그 굴절률 차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참고로, 커버 윈도우(200)는 두께가 100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초박형 유리이고, 접힘부(220)의 두께는 100 마이크로미터 미만일 수 있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은 크게 접힘부(220)에 폴딩 갭(230)이 형성된 커버 윈도우(200)를 준비하는 단계와, 폴딩 갭(230)을 왜곡 보정부재(240)로 채우는 단계 그리고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왜곡 보정부재(240)가 채워진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200)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접힘부(220)는 기계가공, 블라스팅, 화학에칭, 레이저가공 중 적어도 하나를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즉, 기계가공, 블라스팅, 화학에칭, 레이저가공의 단일공정 또는 복합공정을 통해 접힘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기계가공은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커버 윈도우(200)를 절삭하거나, 압연기,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커버 윈도우(200)를 압축하는 가공방법이다.
블라스팅은 모래(샌드 블라스팅) 등의 경도가 큰 소립자를 고속으로 커버 윈도우(200)에 분사하는 가공방법이다.
화학에칭은 커버 윈도우(200)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약액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이다.
레이저 가공은 커버 윈도우(200)의 표면 일부 또는 전부를 레이저를 사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커버 윈도우를 가공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한 가공방법 외에도 다양한 가공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접힘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기계가공, 블라스팅, 화학에칭 등의 가공방법을 통해 접힘부(220)를 형성한 후, 접힘부(220)의 투과율 및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적으로 폴리싱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윈도우(200)의 모재인 유리(Glass)의 강도 향상을 위해 화학강화 또는 화학에칭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왜곡 보정부재(240)로 채우는 단계는 폴딩 갭(230)이 위를 향하도록 커버 윈도우(200)를 위치한 상태에서 폴딩 갭 접착제(241)를 폴딩 갭(230)에 채워넣는다. 이때, 광학투명성 접착제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101)이 부착될 커버 윈도우(200) 일면에도 도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00a)는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디스플레이 패널(101) 상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200a)를 포함하며, 이들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101) 및 커버 윈도우(200) 대체로 유사한 구성과 기능으로 제공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다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변형예에서, 커버 윈도우(200a)의 왜곡 보정부재(250)는 폴딩 갭(230)에 삽입되는 폴딩 갭 부재(252)를 포함한다는데 그 차이점이 있다. 폴딩 갭 부재(252)는 커버 윈도우(200)와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폴딩 갭 부재(252)는 광학투명성 접착재(241)에 의해 폴딩 갭(230)에 고정될 수 있다. 폴딩 갭 부재(252)와 접힘부(220)의 전체 두께는 비접힘부(210)의 두께보다 얇거나 같을 수 있다. 폴딩 갭 부재(252)는 비접힘부의 굴절률과 접힘부 간의 굴절률 차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은 크게 접힘부(220)에 폴딩 갭(230)이 형성된 커버 윈도우(200)를 준비하는 단계와, 폴딩 갭(230)을 왜곡 보정부재(240)로 채우는 단계 그리고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101)을 왜곡 보정부재(240)가 채워진 커버 윈도우(200)의 일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200)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접힘부(220)는 기계가공, 블라스팅, 화학에칭, 레이저가공 중 적어도 하나를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왜곡 보정부재(240)로 채우는 단계는 폴딩 갭(230)이 위를 향하도록 커버 윈도우(200)를 위치한 상태에서 폴딩 갭에 광학투명성 접착재를 이용하여 폴딩 갭 부재를 삽입 고정한 후,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부착될 커버 윈도우 일면에 광학투명성 접착제를 도포한다.
도 8은 다양한 형태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왜곡보정부재가 적용된 커버 윈도우는 화면이 안으로 접히는 인폴딩 방식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을 바깥으로 접는 아웃폴딩 방식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인폴딩 방식과 아웃폴딩이 접목된 복합 폴딩 방식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폴딩선이 2개인 더블 폴딩 방식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다양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부 200 : 커버 윈도우
300 : 프레임 101 : 디스플레이 패널
210 : 비접힘부 220 : 접힘부
230 : 폴딩 갭 240 : 왜곡 보정부재

Claims (12)

  1. 영상을 표시하고, 접힘 가능한(foldabl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하는 그리고 유리(Glass)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비접힘부와 상기 비접힘부의 두께보다 얇은 접힘부로 정의되며,
    상기 접힘부에는 상기 영상이 상기 접힙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영상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왜곡 보정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부재는
    상기 비접힘부와의 갭 차이만큼 상기 접힘부의 폴딩 갭에 채워지는 폴딩 갭 접착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부재는
    상기 비접힘부와의 갭 차이만큼 상기 접힘부의 폴딩 갭에 삽입되는 폴딩 갭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갭 부재는
    상기 커버 윈도우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갭 부재와 상기 접힘부의 두께는 상기 비접힘부의 두께보다 얇거나 같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6.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커버하는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유리(Glass) 재질로 형성되고,
    비접힘부와 상기 비접힘부의 두께보다 얇고 오목한 빈공간을 갖는 접힘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한 빈공간에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상이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영상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오목한 빈공을 채우는 왜곡 보정부재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부재는
    상기 오목한 빈공간에 채워지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부재는
    상기 오목한 빈공간에 삽입되는 그리고 상기 커버 윈도우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폴딩 갭 부재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9.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접힘부에 오목한 빈 공간이 형성된 커버 윈도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오목한 빈 공간을 왜곡 보정부재로 채우는 단계;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왜곡 보정부재가 채워진 상기 커버 윈도우의 일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부재로 채우는 단계는
    상기 오목한 빈 공간이 위를 향하도록 상기 커버 윈도우를 위치한 상태에서 광학투명성 접착재를 상기 오목한 빈 공간에 채워넣되;
    상기 광학투명성 접착재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부착될 상기 커버 윈도우 일면에도 도포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보정부재로 채우는 단계는
    상기 오목한 빈 공간이 위를 향하도록 상기 커버 윈도우를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오목한 빈 공간에 광학투명성 접착재를 이용하여 폴딩 갭 부재를 삽입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부착될 상기 커버 윈도우 일면에 광학투명성 접착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갭 부재는 상기 커버 윈도우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한 빈 공간에는 상기 광학투명성 접착재에 의해 부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90142780A 2019-11-08 2019-11-08 커버 윈도우 글라스 및 이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56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780A KR20210056100A (ko) 2019-11-08 2019-11-08 커버 윈도우 글라스 및 이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780A KR20210056100A (ko) 2019-11-08 2019-11-08 커버 윈도우 글라스 및 이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100A true KR20210056100A (ko) 2021-05-18

Family

ID=7615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780A KR20210056100A (ko) 2019-11-08 2019-11-08 커버 윈도우 글라스 및 이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61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554A (ko) 2016-04-27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554A (ko) 2016-04-27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486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466479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optical system
KR10247629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81847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08672B1 (ko) 표시 장치
US20160295715A1 (en) Display device having adhesion layer between curved window panel and curved display panel
US11474559B2 (en) Display device
CN112185251B (zh) 柔性盖窗
US2021002839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38087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oldable display device by selectively hardening resin using light irradiation process
JP2009237775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2267144A1 (zh) 柔性显示模组及柔性显示装置
US1143902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having improved folding reliability
KR20210056102A (ko) 커버 윈도우 글라스 및 이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95757B1 (ko)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20210056100A (ko) 커버 윈도우 글라스 및 이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77511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56103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 출력 방법
CN105242434A (zh) 光学式视觉窄边框的触控显示装置
CN212181440U (zh) 一种显示模组及终端
JP2019056718A (ja) 液晶表示装置
US11977417B2 (en) Cover window and display apparatus
CN112397667A (zh) 显示装置
US20220404869A1 (en) Glass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945491A (zh) 笔记本电脑的显示屏外观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