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932A -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932A
KR20210055932A KR1020190142324A KR20190142324A KR20210055932A KR 20210055932 A KR20210055932 A KR 20210055932A KR 1020190142324 A KR1020190142324 A KR 1020190142324A KR 20190142324 A KR20190142324 A KR 20190142324A KR 20210055932 A KR20210055932 A KR 20210055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quality
unit
dust
index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민
윤성준
이상배
Original Assignee
정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민 filed Critical 정재민
Priority to KR1020190142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5932A/ko
Publication of KR20210055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질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 유니트; 상기 공기질 측정 유니트와 통신하고, 통신 제어부와 데이터 저장부가 마련되는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고 실내 공기 오염도를 확인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 유니트는,
공기중에 분포된 각종 유해가스의 종류와 함유량을 측정하는 가스검출센서,
가스 측정장소의 일반먼지 및 미세먼지를 각각 측정하는 먼지측정센서,
검출된 검출가스와 그 함유량 및 일반 먼지 및 미세 먼지의 주위 환경에 따른 대기중의 공기질 상태를 취합하고 판단하여 측정값을 도출하는 공기질 판단부,
상기 공기질 판단부를 통해 도출된 공기질의 측정값을 통신 시설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공기질 통신부,
상기 공기질 판단부에서 도출된 공기질의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외부로 위험 여부를 알려주는 알림부,
상기 측정된 실내 공기의 오염도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기 지수를 산출하는 환기지수 산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Air quality measuring system}
본 발명은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 오염에 의한 인체 영향이 실외의 대기오염 보다 더욱 심각하다는 사실을 거의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실내 오염 물질의 성질과 농도에 대해서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실내 환경 검출 장치는, 센서가 검출한 검출값이 각 항목의 임계값을 초과하였을 경우,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경보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또한 실내 거주자가 스스로 위험을 인지한 경우에만 그에 따른 조치가 가능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4-001367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 여러 공간 또는 특정 공간의 실내 공기질을 공간별로 세분하여 검출할 수 있는 공기질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 유니트; 상기 공기질 측정 유니트와 통신하고, 통신 제어부와 데이터 저장부가 마련되는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고 실내 공기 오염도를 확인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 유니트는,
공기중에 분포된 각종 유해가스의 종류와 함유량을 측정하는 가스검출센서,
가스 측정장소의 일반먼지 및 미세먼지를 각각 측정하는 먼지측정센서,
검출된 검출가스와 그 함유량 및 일반 먼지 및 미세 먼지의 주위 환경에 따른 대기중의 공기질 상태를 취합하고 판단하여 측정값을 도출하는 공기질 판단부,
상기 공기질 판단부를 통해 도출된 공기질의 측정값을 통신 시설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공기질 통신부,
상기 공기질 판단부에서 도출된 공기질의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외부로 위험 여부를 알려주는 알림부,
상기 측정된 실내 공기의 오염도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기 지수를 산출하는 환기지수 산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 여러 공간 또는 특정 공간에 가스검출 센서와 먼지측정센서를 구비하여 실내 공기질을 공간 영역별로 세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부 공간 영역별로 가스검출센서와 먼지측정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서값에 가중치를 설정함으로써, 실내 여러 공간 또는 특정 공간의 오염도를 공간 특성에 적합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정 장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질 측정 유니트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관리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정 장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질 측정 장치는 공기질 측정 유니트(100), 공기질 측정 유니트(100)와 통신하는 관리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기질 측정 유니트(100)는 공기중에 분포된 각종 유해가스의 종류와 함유량을 측정하는 가스검출센서(110), 가스 측정장소의 일반먼지 및 미세먼지 등을 각각 측정하는 먼지측정센서(120), 검출된 검출가스와 그 함유량 및 일반 먼지 및 미세 먼지 등의 주위 환경에 따른 대기중의 공기질 상태를 취합하고 판단하여 측정값을 도출하는 공기질 판단부(130), 공기질 판단부(130)을 통해 도출된 공기질의 측정값을 통신 시설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공기질 통신부(140), 공기질 판단부(130)에서 도출된 공기질의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외부로 위험 여부를 알려주는 알림부(150), 상기 측정된 실내 공기의 오염도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기 지수를 산출하는 환기지수 산출부(1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검출센서(110)는 실내의 공기 중의 가스(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 농도를 측정하여 가스농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먼지측정센서(120)는 실내의 공기 중의 일반 먼지 및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먼지 농도 측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스검출센서(110)를 통해 공기중에 분포된 유해가스와 특정한 물질을 통해 발생하는 유독가스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유해가스를 측정함과 동시에, 환경측정센서(120)를 통해 유해가스가 검출된 장소의 온도와 습도 및 미세 먼지 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인체에 유해한 각종 유해가스는 대기중에 분포하는 함유량도 중요하지만 주위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게 되므로,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대처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필히 적용하여야할 구성임을 알 수 있다.
검출된 각종 가스와 그 함유량 및 온도와 습도에 따른 대기중의 공기질 상태를 판단하여 측정값을 도출하는 공기질 판단부(130)는, 공기질 측정 유니트(100)의 핵심 구성으로 통합 제어보드와 신호 처리기로 구성하는 하드웨어와 가스 측정 알고리즘과 공기질 판단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가스검출센서(110)를 통해 검출된 각각의 유해가스와 함께 측정한 온도와 습도 및 미세먼지 등을 대입함은 물론, 가스검출센서(110)를 통해 검출된 모든 유해가스를 한꺼번에 대입하여 유해가스의 종류와 농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도출하며, 도출된 결과값을 공기질을 판단 알고리즘을 통해 공기질을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공기질 통신부(140)는 공기질 판단부(130)를 통해 도출된 공기질의 측정값을 통상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 시설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50)는 상기 공기질 판단부(130)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 메시지에 상응하는 내용을 실내 거주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환기지수 산출부(160)는 공기질 측정 유니트(100)에서 생성된 실내공기 오염도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내공기 환기지수를 산출할 수 있고, 실내공기 환기지수는 먼지, 생활가스 또는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오염물질에 의한 공기의 오염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오염정도, 예컨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라 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환기지수 산출부(160)는 먼지측정센서(120)에서 측정한 먼지농도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지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가스검출센서(110)에서 측정한 가스농도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스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먼지지수, 가스지수 및 이산화탄소지수는 각각 실내 공기 중의 먼지농도, 가스농도 또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0부터 10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세먼지지수, 가스지수 및 이산화탄소지수는, 하기의 표 1 에서와 같이 각각 기 설정된 크기범위에 따른 복수의 구간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구간은 기 설정된 범위의 농도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지수구간(등급)
농도구간
0-25(좋음) 25-50(보통) 50-75(나쁨) 75-100(매우나쁨)
먼지 농도
(㎍/m3)
0-30 30-80 80-150 15-500
가스 농도
(표준화 값)
0-55 55-78 78-87 87-100
이산화탄소 농도
(ppm)
0-450 450-1000 1000-3000 3000-5000
상기 환기지수 산출부(160)는 상기 미세먼지지수, 가스지수, 이산화탄소지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지수들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제1 수치와 상기 지수의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제2 수치를 승산하여 미세먼지환기지수, 가스환기지수 및 이산화탄소환기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미세먼지환기지수, 가스환기지수 및 이산화탄소환기지수를 합산하여 상기 실내공기 환기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미세먼지지수는 다음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A는 미세먼지지수, B는 미세먼지지수 산출계수, C는 먼지농도, D는 상기 먼지농도 구간에서의 먼지 농도 최소값, E는 미세먼지지수 구간에서의 미세먼지지수 최소값을 의미할 수 있다.
미세먼지 산출계수는 다음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B는 미세먼지지수 산출계수이고, F는 미세먼지지수 구간의 크기이며, G는 먼지농도 구간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먼지측정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먼지농도가 50 ㎍/m3 인 경우, 상기 먼지농도가 포함되는 먼지농도 구간의 크기는 50(상기 구간의 최대값인 80과 최소값인 30의 차)이 되며, 상기 먼지농도 구간에 대응되는 미세먼지지수 구간의 크기는 25(상기 미세먼지지수 구간의 최대값인 50과 최소값인 25의 차)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미세먼지지수 산출계수는 25/50 즉, 0.5일 수 있다.
먼지측정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먼지농도가 50 ㎍/m3인 경우, 상기 산출한 미세먼지 산출계수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미세먼지지수를 계산해 볼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먼지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먼지농도가 50 ㎍/m3인 경우, 상기 먼지농도를 포함하는 먼지농도 구간에서의 먼지농도 최소값은 30 ㎍/m3이고, 상기 먼지농도 구간에 대응되는 미세먼지지수 구간에서의 미세먼지지수 최소값은 25이다.
이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면, A = 0.5×(50-30)+25가 되므로, 먼지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먼지농도가 50㎍/m3인 경우의 미세먼지지수는 35가 된다.
가스지수는 다음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H는 가스지수, I는 가스지수 산출계수, J는 가스농도, K는 가스농도 구간에서의 가스농도 최소값, L은 가스지수 구간에서의 가스지수 최소값이다.
여기서, 가스지수 산출계수는 가스검출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가스농도가 포함되는 가스농도 구간의 크기와 상기 농도구간에 대응되는 가스지수 구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지수 산출계수는 하기의 수학식 4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M은 가스지수 산출계수, N은 가스지수 구간의 크기, O는 가스농도 구간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스검출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가스농도(일산화탄소)가 65인 경우, 상기 가스농도가 포함되는 가스농도 구간의 크기는 23(상기 구간의 최대값인 78과 최소값인 55의 차)이 되며, 상기 가스농도 구간에 대응되는 가스지수 구간의 크기는 25(상기 가스지수 구간의 최대값인 50과 최소값인 25의 차)가 된다.
따라서, 이 경우, 가스지수 산출계수는 25/23일 수 있다.
가스검출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가스농도가 65인 경우, 상기 산출한 가스지수 산출계수를 상기 수학식 3에 대입하여 가스지수를 계산해 볼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가스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가스농도가 65인 경우, 상기 가스농도를 포함하는 가스농도 구간에서의 먼지농도 최소값은 55이고, 상기 가스농도 구간에 대응되는 가스지수 구간에서의 가스지수 최소값은 25이다.
이를 상기 수학식 3에 대입하면, H=25/23×(65-55)+25가 되므로, 가스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가스농도가 65인 경우의 가스지수는 36이 된다.
이산화탄소 지수도 마찬가지로 될 수 있다.
환기지수 산출부(160)는 상기 미세먼지지수, 가스지수 및 이산화탄소지수를 이용하여 실내공기 환기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세먼지지수, 가스지수 및 이산화탄소지수는 각각 지수의 크기범위에 따른 복수개의 등급(예컨대,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으로 구별될 수 있다.
여기서, 환기지수 산출부(160)는 상기 지수 각각에 대하여, 지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제1 수치와 지수의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제2 수치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환기지수 산출부(160)는 상기 미세먼지지수, 가스지수 및 이산화탄소지수 각각에 대하여 추출된 제1 수치와 제2 수치를 승산함으로써, 미세먼지 환기지수, 가스환기지수 및 이산화탄소환기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환기지수 산출부(300)는 상기 산출한 미세먼지환기지수, 가스환기지수 및 이산화탄소환기지수를 합산하여 실내공기 환기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수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제1 수치는, 미세먼지지수의 경우, 10 에서 30 사이 값을 가질 수 있으며, 가스지수의 경우, 10 에서 2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이산화탄소지수의 경우 20 에서 4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외공기 오염지수의 경우, 10 에서 3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수의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제2 수치는 좋음의 경우, 0 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고, 보통의 경우, 1 에서 2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나쁨의 경우 2 에서 4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고, 매우나쁨의 경우, 4 에서 10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수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제1 수치가 각각 미세먼지지수의 경우 12, 가스지수의 경우 10, 이산화탄소지수의 경우 11, 실외공기 오염지수의 경우 12이며, 지수의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제2 수치가 각각 좋음의 경우 0, 보통의 경우 1, 나쁨의 경우 2, 매우나쁨의 경우 4 일 때, 환기지수 산출부(300)에 의해 산출된 미세먼지지수의 등급이 보통, 가스지수의 등급이 좋음, 이산화탄소지수의 등급이 나쁨, 실외공기 오염지수의 등급이 보통인 경우, 미세먼지지수의 지수의 종류에 따른 제1 수치는 12, 등급에 따른 제2 수치는 1이 되므로, 미세먼지환기지수는 12가 된다.
마찬가지로, 가스지수의 지수의 종류에 따른 제1 수치는 10이고, 등급에 따른 제2 수치는 0이므로, 가스환기지수는 0이 된다.
또한, 이산화탄소지수의 지수의 종류에 따른 제1 수치는 11이고, 등급에 따른 제2 수치는 2이므로, 이산화탄소환기지수는 22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질 측정 유니트(100)에는 가중치 설정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 설정부(170)는 특정 영역 또는 여러 영역으로 세분된 실내 영역 각각의 환경 특성이나 오염 발생 가능성에 따라 상기 센서 검출값 각각에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실내 여러 공간 또는 특정 공간의 실내 공기질을 공간별로 세분하고, 공간별로 가중치를 설정함으로써, 실내 여러 공간 또는 특정 공간의 오염도를 공간 특성에 적합하게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 판단부(130)는 가스검출센서(110)와 먼지측정센서(120)로부터 검출된 센서 검출값을 가중치가 반영된 센서 검출값으로 출력하고, 이러한 센서 검출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출력해줄 수 있다.
가중치가 반영된 센서 검출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경보 신호를 알림부(150)를 출력할 수 있다.
부여되는 가중치의 예를 들면, 일반 주택의 거실의 경우, 거주자의 출입이 잦고, 창문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미세 먼지 등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미세 먼지 및 기류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침실의 경우, 거주자가 수면을 취하는 곳이므로,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에 대해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부엌의 경우, 요리 등을 해야 하는 곳이므로, 미세 먼지 및 일산화탄소에 대해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화장실의 경우, 상대습도 및 일산화탄소에 대해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사무실인 경우에는 사무실 공간 면적 대비 직원들의 수에 따라 공기의 오염도가 상당한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 부여는 특정 영역 또는 여러 영역으로 세분된 실내 영역 각각의 환경 특성이나 오염 발생 가능성에 따라 상기 센서 검출값 각각에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이므로, 거주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10)는 가중치가 반영된 센서 검출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50)는 상기 공기질 판단부(130)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 메시지에 상응하는 내용을 실내 거주자에게 알릴 수 있는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표시되는 공기의 상태가 특정 기준 이상이거나, 거주자가 설정한 공기의 상태보다 나빠지면 경고 알람, 음성, 조명 효과 및 기타 수단으로 실내 거주자에게 알려주어, 실내 환기를 하거나 하는 등의 방법으로 실내 공기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200)는 공기질 통신부(140)에 통신을 접속하여 공기질 측정값을 수신하는 통신 제어부(210), 각종 유해가스의 특성과 공기중 함유량에 따른 유해정도와 검출된 장소에 따른 대처 방법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한 데이터 저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200)는 공기질 측정 앱을 관리할 수 있다.
각종 유해가스의 특성과 공기중 함유량에 따른 유해정도와 검출된 장소에 따른 대처방법을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부(220)는, 인체에 유해한 각종 유해가스에 대한 종류를 구분하고, 구분된 각각의 유해가스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의 데이터를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보관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확인하며, 실 계측한 공기질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해가스의 함유량(농도)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구체적인 내용까지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실계측한 유해가스의 함유량에 따른 대응방안을 알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10), 음향 표시부(320), 앱 조작부(3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10)는 공기질 측정앱을 통해 취합한 공기질 측정값과 그에 따른 각각의 상황 설명 및 대처 방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표시부(320)는 공기질 측정값과 그에 따른 각각의 상황 설명 및 대처 방안을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앱 조작부(33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에 관리 서버(200)로부터 다운 받아 설치한 공기질 측정앱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가스검출센서(110), 환경측정센서(120)를 실내의 여러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실내에 비치된 각종 시설물(책상, 가구 등)에 상기 가스검출센서(110)와 환경측정센서(120)를 탑재할 수 있다.
상기 가스검출센서(110)와 환경측정센서(120)가 탑재되는 시설물은 실내 전체 영역에서 몇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설정된 세부 영역별에 포함되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실내가 넓은 곳인 경우에는 여러 곳에 비치된 가스검출센서(110), 환경측정센서(120)에 의해 그 영역에서의 공기질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위치간의 측정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100 : 공기질 측정 유니트 110 : 가스검출센서
120 : 환경측정센서 130 : 공기질 판단부
140 : 공기질 통신부 150 : 알림부
200 : 관리 서버 210 : 통신 제어부
220 : 데이터 저장부 300 : 사용자 단말기
310 : 디스플레이부 320 : 음향 표시부
330 : 앱 조작부

Claims (3)

  1.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질 측정 유니트;
    상기 공기질 측정 유니트와 통신하고, 통신 제어부와 데이터 저장부가 마련되는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고 실내 공기 오염도를 확인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 유니트는,
    공기중에 분포된 각종 유해가스의 종류와 함유량을 측정하는 가스검출센서,
    가스 측정장소의 일반먼지 및 미세먼지를 각각 측정하는 먼지측정센서,
    검출된 검출가스와 그 함유량 및 일반 먼지 및 미세 먼지의 주위 환경에 따른 대기중의 공기질 상태를 취합하고 판단하여 측정값을 도출하는 공기질 판단부,
    상기 공기질 판단부를 통해 도출된 공기질의 측정값을 통신 시설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공기질 통신부,
    상기 공기질 판단부에서 도출된 공기질의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으로 측정될 경우 외부로 위험 여부를 알려주는 알림부,
    상기 측정된 실내 공기의 오염도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기 지수를 산출하는 환기지수 산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측정 유니트는 특정 영역 또는 여러 영역으로 세분된 실내 영역 각각의 환경 특성이나 오염 발생 가능성에 따라 상기 가스검출센서와 먼지측정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 각각에 가중치를 반영하는 가중치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검출센서와 먼지측정센서는 실내에 비치된 각각의 시설물에 탑재되고,
    상기 가스검출센서와 환경측정센서가 탑재되는 시설물은 실내 전체 영역에서 나뉘어진 세부 영역별에 포함되는 하나의 시설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질 측정장치.
KR1020190142324A 2019-11-08 2019-11-08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 KR20210055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324A KR20210055932A (ko) 2019-11-08 2019-11-08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324A KR20210055932A (ko) 2019-11-08 2019-11-08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932A true KR20210055932A (ko) 2021-05-18

Family

ID=7615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324A KR20210055932A (ko) 2019-11-08 2019-11-08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59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856B1 (ko) * 2021-02-15 2022-06-10 윤영현 친환경 공기청정을 위한 센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679A (ko) 2002-08-08 2004-02-14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실내 공기 상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679A (ko) 2002-08-08 2004-02-14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실내 공기 상태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856B1 (ko) * 2021-02-15 2022-06-10 윤영현 친환경 공기청정을 위한 센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174B1 (ko) 공기질측정장치와 무선단말기를 연동한 공기질 알림장치 및 그 공기질 알림방법
Wong et al. A statistical model for characterizing common air pollutants in air-conditioned offices
AU2011223601B2 (en) Aspirating environmental sensor with webserver and email notification
KR102189049B1 (ko) 실내 및 실외에서의 오염물질 노출량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Esfahani et al. Smart city battery operated IoT based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CA3120445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facility compliance with infectious disease guidance
KR101608386B1 (ko) 실시간 교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67061B1 (ko) 공기질 평가 장치 및 공기질 평가 시스템
KR102523414B1 (ko) 환기 알림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공기 청정 시스템
US11378485B2 (en) Structural monitoring system
KR102156121B1 (ko) 실내 공간에 대한 환기 알림 장치
KR20160085033A (ko) 학습형 다중센서 재난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60049558A (ko)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He et al. Evaluation of two low-cost PM monitors under different laboratory and indoor conditions
KR20210055932A (ko) 실내 공기질 측정장치
KR20190121570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7438A (ko)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3592A (ko)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38163A (ko) 환기 알림 장치 및 환기 알림 방법
Chen et al. Development of Earthquak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Based on Sensors.
KR102331431B1 (ko) 공기청정기, 공기청정기 제어 시스템 및 공기청정기 제어 방법
KR102317549B1 (ko) 공기청정기, 공기청정기 관리 시스템 및 공기청정기 제어 방법
Burke et al. Nitrous oxide as a tracer gas in the ASHRAE 110-1995 Standard
KR102327296B1 (ko) 공기질정보를 출력하는 인디케이션 시스템
KR20210063688A (ko) 공기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ai 공기질 관리 서비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