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662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662A
KR20210055662A KR1020210059793A KR20210059793A KR20210055662A KR 20210055662 A KR20210055662 A KR 20210055662A KR 1020210059793 A KR1020210059793 A KR 1020210059793A KR 20210059793 A KR20210059793 A KR 20210059793A KR 20210055662 A KR20210055662 A KR 20210055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camera
storage
uni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7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현
서운규
이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5662A/en
Publication of KR2021005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6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first storage chamber and a second storage chamber storing food; a first door opening the first storage chamber by rotating the first storage chamber; a second door moved to a front side of the second storage chamber to open the second storage chamber; a storage unit moved along the second door to b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chamber and storing food; a camera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capture the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combining a plurality of pictures captured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second door to be corrected into an image indicating the storage unit.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n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to a use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의 구동에 따라 발생된 냉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식품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supplying cold air generated by driving of a refrigeration cycle, and is a device for storing food in a low-temperature state.

종래의 냉장고의 경우, 단순히 식품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기능 만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는 식품 보관 기능외에 추가적인 기능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efrigerator, only the function of storing food in a low-temperature state could be performed. However, in recent years, the need for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food storage function is increasing.

냉장고는 일정 수납물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장치로서,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냉장고 도어를 열어서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 또한 사용자가 시장이나 마트에서 물건을 사려고 할 때에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의 양과 종류에 대해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에 동일한 식품을 중복해서 사거나, 필요한 식품을 사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accommodates and stores certain items, and in order to check the interior, there is no choice but to open the refrigerator door to check the inside. In addition, when a user attempts to buy a product at a market or a mart, when he cannot grasp the amount and type of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he cannot buy the same food repeatedly or buy the necessary food.

따라서 현재는 이러한 사용자의 불편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various studies are currently being conducted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use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food stored in a refrigerator to a use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식품을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in which a user can intuitively and easily recogniz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은 식품이 저장되는 제1저장실 및 제2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제1저장실을 회동해서 개방하는 제1도어; 상기 제2저장실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저장실을 개방하는 제2도어; 상기 제2도어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2저장실에 수납되고,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를 촬영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의 이동에 따라 찍힌 복수 개의 사진을 조합해서, 상기 저장부를 도시하는 이미지로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irst storage compartment and a second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food is stored; A first door that rotates and opens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A second door that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to open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A storage unit that is moved along the second door,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and stores food; And a camera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photograph the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mbine a plurality of pictures take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door and correct it into an image showing the storage unit; do.

또한 상기 이미지는 한 장의 사진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능하다.Also, the image may consist of a single picture.

한편 상기 이미지는 상기 저장부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일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may be viewed from the top of the storage unit.

그리고 상기 카메라는 하방을 향해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can take a picture facing downward.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분리된 공간으로 구분하는 베리어에 설치될 수 있다.The camera may be installed in a barrier that divides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into separate spaces.

그리고 상기 저장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저장부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torage unit.

나아가 상기 저장부의 특정 부위가 설정된 위치를 통과할 때에, 상기 카메라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 상기 특정 부위는 상기 저장부의 일단인 것이 가능하다.Furthermore, when a specific portion of the storage unit passes through a set position, the camera may take a picture, and the specific portion may be one end of the storage unit.

또한 상기 설정된 위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set positions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는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본체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Hall sensor installed at a set position, and a plurality of Hall sensors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body.

물론 상기 저장부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f course, it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특히 상기 저장부가 상기 제2저장실에 인입되도록 이동하면, 상기 카메라는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when the storage unit is moved to enter the second storage room, the camera can take a picture.

그리고 상기 저장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저장부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가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카메라가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loc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storage unit, and the camera may take a picture when the storage unit reaches a set position.

그리고 상기 저장부가 상기 제2저장실에서 인출되도록 이동하면, 상기 카메라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torage unit is moved to be withdrawn from the second storage room, the camera may take a picture.

물론 상기 저장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저장부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가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카메라가 사진을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location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location of the storage unit, and when the storage unit reaches a set position, the camera may take a picture.

특히 상기 제2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may further include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detecting opening/closing of the second door.

그리고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it may further include a timer for measuring the elapsed time.

이때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에서 상기 제2도어가 개방된다고 감지하면, 상기 카메라는 경과된 시간에 따라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or detects that the second door is open, the camera may take a picture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나아가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저장부가 인출된 정도가 변화됨에 따라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amera may take a picture as the degree to which the storage unit is withdrawn is changed.

특히 상기 이미지는 파노라마 사진인 것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image may be a panoramic photo.

그리고 상기 이미지를 외부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to the outside.

물론 상기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도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f course, 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to the user.

이때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 중 어느 하나는 냉장실이고, 다른 하나는 냉동실인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one of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may be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other may be a freezing compartment.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가장 최근에 보정된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mage most recently corrected by the control unit.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된 최신 이미지를 외부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latest image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카메라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도어에 대해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the cameras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ameras may be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second door.

또한 본 발명은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구획하는 선반; 상기 선반의 하부에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마련되고,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드로워; 상기 선반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를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및 상기 드로워의 이동에 따라 찍힌 복수 개의 사진을 조합해서, 상기 저장부를 도시하는 이미지로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food is stored; A shelf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helf so as to be retractable or withdrawn, and hav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food; A camera provided on the shelf and provided to photograph the storage unit; And a controller that combines a plurality of pictures take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awer and corrects it into an image showing the storage unit.

또한 본 발명은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구획하는 선반; 상기 선반의 하부에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마련되고,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드로워; 및 상기 선반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를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드로워가 정지된 상태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food is stored; A shelf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helf so as to be retractable or withdrawn, and hav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food; And a camera provided on the shelf and provided to photograph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camera may take a picture while the drawer is stopped.

한편 상기 카메라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선반의 하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mera may take a picture while the draw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shelf.

그리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선반 하부 공간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를 촬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may photograph the storage unit while the space under the shelf is closed.

나아가 상기 카메라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camera may be arranged to face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이때 상기 카메라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반대편 모서리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camera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pposite edg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또한 상기 카메라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ay be disposed to face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특히 상기 카메라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반대편 모서리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camera may be arranged to face the opposite edg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물론 상기 선반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로워의 일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Of course, the shelf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part of the drawer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그리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저장부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카메라가 사진을 촬영할 때에 상기 광원은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storage unit, and when the camera takes a picture, the light source may irradiate light.

특히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a timer for measuring the elapsed time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camera may take a picture according to a set time interval.

한편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가 제공한 신호를 전달받으면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camera can take a picture when receiving a signal provided by a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open the refrigerator door, information on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can be recogn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집 밖에 있더라도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서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is outside the house, information on th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냉장고를 개방했을 때와 유사한 화면을 사용자가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냉장고 내부의 상태를 인식할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see a screen similar to when the user directly opens the refrigerator,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internal state of the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도어가 개방될 때에 경과된 시간에 따라 촬영하는 형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도어의 이동 방향에 따라 촬영하는 형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
도 9는 복수 개의 사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사진이 보정되어 단말기에 전송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15는 복수 개의 사진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블록도.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간략히 설명한 도면.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진이 단말기에 전송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드로워의 동작에 따라 촬영하는 형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trol flow chart showing a form of 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elapsed time when a second door is open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a form of photographing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of a second doo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plurality of photos.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hoto of FIG. 9 is correc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1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that can be used by a user in the state of FIG. 10;
1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showing a plurality of photographs.
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briefly explain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of a camera in another embodiment.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hoto is transmitted to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1 is a control flow chart showing a form of 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drawer in another embodiment.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realizing the above objec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 냉기 수용 공간인 제1저장실(12)과 제2저장실(18)이 제공되는 본체(2), 상기 제1저장실(12)을 개방하는 제1도어(10) 및 상기 제2저장실(18)을 개방하는 제2도어(20)를 포함한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terior and a body 2 in which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are provided, and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is opened. It includes a first door 10 and a second door 20 that opens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상기 제1도어(10)는 상기 제1저장실(12)을 회동해서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1도어(1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도어(10)가 상기 제1저장실(12)의 측면에 배치되어 양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10)는 상기 본체(2)에 대해 힌지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door 10 may be opened by rotating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doors 10 may be provided, so that each of the first doors 10 1 It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12 and can be rotated to both sides. At this time, the first door 1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2 by a hinge.

상기 제2도어(20)는 상기 제2저장실(18)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저장실(18)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도어(20)의 양 측에는 레일(22)이 마련되어서, 상기 제2도어(2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도어(20)는 상기 제2저장실(18)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있다.The second door 20 may be moved forward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to open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At this time, rails 2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door 2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econd door 20. In addition, the second door 20 may be moved by sli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상기 제1저장실(12)에는 증발기를 통과한 냉기가 제1저장실(12)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냉기 덕트(9)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냉기 덕트(9)를 통해서 증발기를 통과한 냉기의 일부가 상기 제1저장실(12)로 공급될 수 있다.The first storage chamber 12 is provided with a cold air duct 9 through which the cool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is supplied into the first storage chamber 12. In detail, part of the cool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through the cool air duct 9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storage chamber 12.

또한, 상기 제1저장실(12) 내부에는 음식물이 얹혀지는 복수 개의 선반(1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선반(14)에는 다양한 식품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선반(14)는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선반(14)의 일부는 하부가 개방된 공간을 이룰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helves 14 on which food is plac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Various food items may be seated on the plurality of shelves 14. The plurality of shelves 14 may b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shelves 14 may form a space with an open lower part.

상기 선반(14)의 하부에 마련된 공간에는 드로워(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로워(40)는 상기 선반(14)에 의해서 구획된 하부 공간에 식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 공간에 대해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A drawer 40 may be provided in a space provided under the shelf 14. At this time, the drawer 40 allows food to be stored in a lower space partitioned by the shelf 14 and may be brought in or withdrawn from the lower space.

한편 상기 드로워(4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선반(14)에 의해 구획된 하부 공간을 복수 개로 나누어서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drawers 4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ower space partitioned by the shelf 14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used individually.

상기 제1저장실(12)에는 빛을 조사하는 광원(86)이 마련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10)를 개방한 경우에 상기 제1저장실(12)에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A light source 86 that irradiates light is provided i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so that light can be irradiated to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when the user opens the first door 10.

상기 제1저장실(12)과 상기 제2저장실(18)은 서로 다른 내부 온도를 갖는 저장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저장실(12) 또는 상기 제2저장실(18) 중에 어느 하나가 냉장실인 경우에는 다른 하나는 냉동실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may constitute storage spaces having different internal temperatures. In particular, when one of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or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is a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other may constitute a freezing compartment.

상기 본체(2)에는 상기 제1저장실(12)과 상기 제2저장실(18)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베리어(6)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리어(6)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베리어(6)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상기 제1저장실(12)이 형성되고, 하측으로 상기 제2저장실(18)이 형성되도록 한다. A barrier 6 for physically separating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2. At this time, the barrier 6 is provided t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storage chamber 1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rrier 6 and the second storage chamber 18 is formed on the lower side.

또한 상기 베리어(6)는 소정 두께를 갖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제1저장실(12)과 상기 제2저장실(18) 내부의 온도차이에 대한 차이를 견딜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rrier 6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is possible to withstand a difference in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도어(20)의 일측에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부(30)가 마련된다. 상기 저장부(30)는 상기 제2도어(20)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2저장실(18)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0)는 상측이 개방된 바스켓과 같은 형태를 이루는 것이 가능해서, 사용자는 상기 제2도어(20)를 인출한 후에 상기 저장부(30)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unit 30 for storing foo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door 20. The storage unit 30 may be moved along the second door 20 to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orage chamber 18. Since the storage unit 30 may have a shape like a basket with an open upper side, the user may access the storage unit 30 after pulling out the second door 20.

상기 제2저장실(18)에는 상기 저장부(30)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1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본체(2), 즉 상기 베리어(6)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A camera 100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storage unit 30 is installed in the second storage room 18. At this time, the camera 100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body 2, that is, the barrier 6.

상기 카메라(100)는 하방을 향해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어서,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은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30)를 내려다본 것 같은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amera 100 may be provided so as to take a picture facing downward, so that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100 may provide an image as if the user looked down at the storage unit 30.

그리고 상기 제2저장실(18)에는 상기 제2저장실(18)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86)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86)은 사용자가 상기 제2저장실(18)을 개방한 경우, 즉 상기 제2도어(20)가 인출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부(30)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In addition, a light source 86 capable of irradiating light to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86 may irradiate light onto the storage unit 30 to the user when the user opens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that is, when the second door 20 is pulled out.

한편 상기 광원(86)은 상기 카메라(100)가 사진을 촬영할 때에 상기 카메라(100)가 찍는 부분에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Meanwhile, when the camera 100 takes a picture, the light source 86 may irradiate light onto a portion taken by the camera 100.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제1도어(10)에는 디스플레이부(120)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 등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다른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display unit 12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door 1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20 may provide a user with various information such as food stored in a refrigerator, and transmi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another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구체적으로 보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에 의하여 소정의 명령이 입력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입력과 표시가 입력과 표시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input a predetermined command by a touch.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unit 120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n which input and display can be simultaneously implemented.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는 상기 제1도어(10)의 전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냉장고에 부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0 may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10 or provided detachably, so that the display unit 120 may be attached to or removed from the refrigerator as required by the user.

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도시된 소정의 정보는 냉장고(100)와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 단말기(2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냉장고에 설치되지 않고, 냉장고와 별도로 구비되는 스마트폰의 형태를 가져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냉장고가 설치되지 않은 원격지로도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redetermined information shown on the display unit 12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frigerator 100 and the terminal 200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he terminal 200 is not installed in a refrigerator, but has the form of a smartphon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refrigerator, so that the user can carry it and move to a remote location where the refrigerator is not installed.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200)를 소지한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에 접근하지 않더라도 냉장고 내부에 관한 정보 특히 상기 저장부(30)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information about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particularly information about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even if the user does not access the refrigerator while in possession of the terminal 200.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말기(200)는, 단말기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단말기 출력부(240), 메모리(250), 인터페이스부(260), RFID 리더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기(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a terminal 20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an audio/video (A/V) input unit 220, a user input unit 230, a terminal output unit 240, and a memory. 250, an interface unit 260, an RFID reader unit 270, a control unit 280, a power supply unit 290, and the like.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a terminal 200 having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단말기 통신부(210)는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기(200)가 위치한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인터넷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Internet use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in an Internet network in which the terminal 200 is located.

예를 들어, 단말기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인터넷 모듈(213) 및 근거리 통신 모듈(2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2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an Internet module 2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211)은 단말기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41)에 재생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80 and reproduces the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on the display module 241.

이동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reception of a voice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multimedia message.

인터넷 모듈(213)은 유선/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Internet module 2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d/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the like may be used.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V (Audio/Video) input unit 2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module 221 and a microphone 222.

카메라 모듈(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정보를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정보는 디스플레이 모듈(241)에 표시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221 processes image information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picture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241.

카메라 모듈(221)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250)에 저장되거나 단말기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Image data processed by the camera module 2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5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Two or more camera modules 2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마이크(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The microphone 2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방향키,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2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200.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a direction key, a dome switch, a touch pad (positive pressure/power failur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단말기 출력부(240)는 시각 또는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41) 및 음향 출력 모듈(242)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terminal output unit 240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ual or audio, and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241 and an audio output module 242.

디스플레이 모듈(241)은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The display module 24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rminal 20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41)은 단말기(200)와 냉장고(100)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경우, 상기 냉장고(100)의 내부 상태를 상기 단말기(200)에 도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rminal 200 and the refrigerator 100, the display module 241 may show the internal state of the refrigerator 100 on the terminal 200.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2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module 24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디스플레이 모듈(24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 모듈(24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module 241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mo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touch screen'), the display module 241 is used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have a shape such as,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nd a touch pad.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24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4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24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24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a touched position and area, but also a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 모듈(24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a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is transmitted to a touch controller (not shown).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280. As a result, the controller 2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module 241 has been touched.

음향 출력 모듈(242)은 메모리(250)에 구비된 오디오가 포함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또는, 냉장고(100)와 관련된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음향을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242 outputs data including audio included in the memory 250 or outputs sound for informing a user of an operation state related to the refrigerator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메모리(250)는 제어부(2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냉장고 내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25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280 or may include information on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또한, 메모리(250)는 상기 각종 메세지 및 정보를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각적인 효과로 제공하는 그래픽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In addition, the memory 250 stores graphic data that provides the various messages and information to a user with various visual effects.

상기와 같은, 메모리(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mory 250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인터페이스부(260)는 냉장고용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The interface unit 260 serves as a passage for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refrigerator terminal 200. The interface unit 26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terminal 200, or transmits data inside the terminal 200 to an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260)에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to connect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 video input/output (I/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260.

단말기 제어부(controller)(2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terminal controller 28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200.

전원 공급부(290)는 단말기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공급된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90 receives external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260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2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단말기 제어부(2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the terminal controller 28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250)에 저장되고, 단말기 제어부(2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The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with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n appropriat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50 and executed by the terminal controller 28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3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메라(100)에 찍힌 복수 개의 사진을 조합해서, 상기 저장부(30)를 도시하는 이미지로 보정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80 that combines a plurality of pictures taken by the camera 100 and corrects the storage unit 30 into an image.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 찍힌 복수 개의 사진을 한 장의 이미지로 보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 찍힌 한 장의 사진을 상기 카메라(100)로부터 외부, 즉 상기 단말기(200) 등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80 may correct a plurality of photos taken by the camera 100 into a single image. Of course, the controller 80 may transmit a singl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100 from the camera 100 to the outside, that is, to the terminal 200 or the like.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카메라(100)에서 찍힌 사진을 조합해서 사용자가 쉽게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복수 개의 사진을 조합하고, 보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복수 개의 사진을 조합하는 것은 상기 제어부(80)가 아닌 상기 냉장고의 외부에 마련된 제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troller 80 may provide a user with an image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intuitively recognize by combining the pictures taken by the camera 10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80 may combine and correct a plurality of photos. Meanwhile, combining a plurality of photos may be performed by a control device provided outside the refrigerator, not by the control unit 8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저장부(3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는 상기 저장부(30)가 이동된 상태인지, 이동되었다면 어느 부분에 위치하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orage unit location detection unit 130 capable of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storage unit 30. The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storage unit 30 is in a moved state and, if so, in which part it is located.

한편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에서 상기 저장부(30)가 정해진 위치에 도달했다고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80)에 관련 신호를 전달해서, 상기 카메라(100)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orage unit location detection unit 130 detects that the storage unit 30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it transmits a relat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80 to instruct the camera 100 to take a picture. It is possible.

이때 상기 저장부(30)에 관해서 설정된 위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저장부(30)에 대해서 복수 개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positions set with respect to the storage unit 30 are formed, and the camera 100 may take a plurality of pictures with respect to the storage unit 30.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는 홀 효과를 이용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홀 센서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자기장을 걸어 주면 전류와 자기장에 수직 방향으로 전압이 발생하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알아낼 수 있다. The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 130 may include a Hall sensor using a Hall effect. The Hall sensor can determine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using the Hall effect, in which a voltag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urrent and the magnetic field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a conductor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간의 경과를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이머(140)는 일반적인 시간의 경과도 측정할 수 있지만, 특히 상기 저장부(30)가 이동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imer 140 capable of measuring the elapse of time. In this case, the timer 140 may measure the lapse of a general time, but in particular, the time during which the storage unit 30 is moved may be measured.

상기 타이머(140)에 의해서 측정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타이머(140)는 상기 제어부(80)에 관련 신호를 제공해서 상기 제어부(80)에서 상기 카메라(100)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predetermined time measured by the timer 140 elapses, the timer 140 provides a related signal to the controller 80 and instructs the controller 80 to take a picture with the camera 100 It is possible to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도어 개폐 감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150)는 상기 제2도어(20)가 상기 본체(2)로부터 접촉이 해제되어 있는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50 capable of sensing opening/closing of the second door 20 may be included. 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whether or not the second door 20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main body 2.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150)는 도어의 개폐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80)에 전달할 수 있다.The door open/close detection unit 15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whether the door is open or closed to the control unit 8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부(3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는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를 복수 개 구비해서 그에 따라 상기 저장부(3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for detecting a movement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30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s 130 to detect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30 accordingly.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는 상기 저장부(3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80)에 관련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에 의해서 상기 저장부(3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may detect a movement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30 and provide a relat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80. That is, the control unit 80 may detect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30 by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즉 상기 저장부(30)는 상기 제2저장실(18)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제2저장실(18)로 인입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는 상기 저장부(3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지 후방으로 이동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storage unit 30 can be withdrawn from the second storage room 18 or introduced into the second storage room 18,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is the storage unit 30 It can detect whether is moving forward or backw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어부(80)에 의해서 보정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저장부(82)는 상기 제어부(80)에 의해서 보정된 이미지를 모두 저장해서, 이전에 보정된 이미지는 물론 가장 최근에 보정된 이미지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storage unit 82 that stores an image corrected by the control unit 80. The image storage unit 82 may store all of the images corrected by the control unit 80 and thus store not only the previously corrected image but also the most recently corrected image.

상기 이미지 저장부(82)에 저장된 이미지는 상기 단말기(20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20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서 냉장고 내부에 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The image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82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or the display unit 120, and the user may use the terminal 200 or the display unit 120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Can be recogn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냉장고에 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12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일체로 마련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서 명령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122 through which a user can input a command for a refrigerator. At this time, the input unit 122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unit 120, so that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상기 입력부(122)는 냉장고의 제어에 관한 일반적인 명령도 입력받을 수 있고, 상기 카메라(100)의 제어에 관한 명령도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The input unit 122 may receive a genera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and may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camera 100.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80)에 의해서 보정된 이미지를 외부로 전달하는 통신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84)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단말기 통신부(210)에 보정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84 for transmitting the image corrected by the control unit 80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84 may transmit the corrected image to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shown in FIG. 2.

특히 상기 통신부(84)는 상기 이미지 저장부(82)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상기 제어부(80)에 의해서 보정된 이미지 등을 냉장고의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84 may transmit an image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82 or an image corrected by the control unit 80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한편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카메라(100)가 사진을 촬영하는 순간에는 상기 광원(86)을 통해서 상기 저장부(30)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80 may irradiate light to the storage unit 30 through the light source 86 when the camera 100 takes a pictur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우선 도 4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상기 제2저장실(18)의 상측에는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는 상기 베리어(6)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홀 센서(92, 9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는 상기 저장부(30)의 일측에 구비되는 자석(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90)은 상기 저장부(30)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 개의 홀 센서(92, 94)에 각각 영향을 발생시켜서, 상기 홀 센서(92, 94)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3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자석(90)이 각각의 홀 센서(92, 94)에 영향을 발생시키면, 상기 저장부(30)가 상기 홀 센서(9, 94)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이동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 130 may be installed above the second storage chamber 18.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all sensors 92 and 94 installed on the barrier 6.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 130 may include a magnet 9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30. The magnet 90, while moving together with the storage unit 30, generates an effect on the plurality of Hall sensors 92 and 94, respectively, so that the storage unit 30 through the Hall sensors 92 and 94 You can determine the location. That is, when the magnet 90 affects each of the Hall sensors 92 and 94,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torage unit 30 has mov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all sensors 9 and 94.

상기 자석(90)은 상기 저장부(30)의 일단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자석(90)은 상기 저장부(3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magnet 90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storage unit 30. Of course, the magnet 9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of the storage unit 30.

이때 상기 복수 개의 홀 센서(92, 94)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배치되어서, 상기 저장부(30)의 이동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복수 개의 홀 센서(92, 94)는 두 개보다 많이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30)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Hall sensors 92 and 94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moving position of the storage unit 30 may be sensed. Of course, the plurality of Hall sensors 92 and 94 are provided more than two, so that the location of the storage unit 30 can be more accurately determined.

상기 복수 개의 홀 센서(92, 94)가 두 개 마련되면, 각각은 상기 제2저장실(18)을 3개로 분할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 센서가 복수 개를 이룰 경우에는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wo of the plurality of Hall sensors 92 and 94 are provided, each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storage chamber 18 is divided into three.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Hall sensors are formed, they are preferably arranged to have the same distance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베리어(6)에는 상기 카메라(100)와 상기 광원(86)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제2도어(20)와 상기 베리어(6)가 만나는 부분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본체(2)에 대해 상기 제2도어(20)에 치우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제2도어(20)의 이동과 무관하게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amera 100 and the light source 86 may be installed on the barrier 6. In this case, the camera 10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a portion where the second door 20 and the barrier 6 meet. That is, the camera 100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biased toward the second door 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 The camera 100 maintains a stopped state irrespective of the movement of the second door 20.

또한 상기 광원(86)은 상기 저장부(30)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광원(86)도 하방을 향해서 빛을 조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86 may be provided to irradiate light to the storage unit 30. That is, the light source 86 may also irradiate light downward.

상기 제2도어(20)와 상기 저장부(30)는 상기 레일(22)에 의해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22)은 복수 개의 나사산이 형성된 형태를 이룰 수 있고, 상기 저장부(30)는 나사산을 따라 이동가능한 기어(2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도어(20)와 상기 저장부(30)가 상기 제2저장실(18)에 대해서 인출되게 되면, 상기 기어(24)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도어(20)와 상기 저장부(30)가 상기 제2저장실(18)로 인입되면, 상기 기어(2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second door 20 and the storage unit 30 may be withdrawn or drawn in by the rail 22. At this time, the rail 22 may have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threads are formed, and the storage unit 30 may include a gear 24 that is movable along the threads. That is, when the second door 20 and the storage unit 30 are withdrawn from the second storage chamber 18, the gear 24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door 20 and the storage unit 30 are brought into the second storage chamber 18, the gear 24 may be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이때 상기 기어(24)에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는 상기 기어(2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저장부(3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may be provided in the gear 24. That is,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may detect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3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ear 24.

즉 상기 기어(24)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30)를 인출시키고, 상기 기어(2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30)를 인입시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는 상기 저장부(3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다른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gear 24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user pulls out the storage unit 30, and when the gear 24 rotates clockwis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pulls in the storage unit 30. I can. Of course,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may be transformed into another shape for detect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30.

상기 본체(2)에는 상기 제2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도어 개폐 감지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150)는 상기 본체(2)에 구비되어, 상기 제2도어(20)가 상기 제2저장실(18)을 폐쇄하는 위치, 즉 상기 제2도어(20)와 상기 본체(2)가 접촉되면 가압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도어(20)가 상기 제2저장실(18)을 개방하는 위치, 즉 상기 제2도어(20)가 상기 본체(2)로부터 이격되면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150)는 상기 제2도어(20)에 의해서 가압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저장실(18)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The main body 2 may be provided with a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50 capable of sensing opening/closing of the second door 20.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5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2, and the second door 20 closes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that is, the second door 20 and the main body ( If 2) comes into contact, it can be pressuriz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door 20 opens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that is, when the second door 20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2, the pressurization may be released. That is,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econd door 20 is pressed.

한편 상기 카메라(1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때 복수 개의 카메라는 상기 제2도어(20)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0)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100)의 촬영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30)가 촬영되지 않는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a plurality of cameras 100 may be provided, an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cameras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econd door 20. When the width of the storage unit 30 is wide, it may be out of the shooting range of the camera 100.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plurality of cameras in order to remove the portion where the storage unit 30 is not photographed.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150)는 상기 제2도어(20)가 상기 제2저장실(18)을 개방하는지 또는 닫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150)에서 상기 제2도어(20)가 상기 제2저장실(18)을 밀폐하고 있다가, 상기 제2도어(20)의 개방하는 순간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150)가 상기 제2도어(20)에 의해서 계속 가압되다가,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150)의 가압이 해제되면 해당되는 순간이라고 인지할 수 있다.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whether the second door 20 is opening or closing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Accordingly,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the moment when the second door 20 is sealing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and then the second door 20 is opened. That is, when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50 is continuously pressed by the second door 20 and the pressurization of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50 is released, it may be recognized as a corresponding moment.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150)에서 개방하는 순간을 감지하면, 상기 카메라(100)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When 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50 detects an opening moment, the camera 100 may take a picture.

그리고 상기 저장부(3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자석(90)이 상기 홀 센서(92, 94)에 영향을 가해서, 상기 저장부(30)의 위치가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이 상기 홀 센서(92, 94)에 영향을 주는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100)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storage unit 30 moves, the magnet 90 affects the hall sensors 92 and 94, so that the location of the storage unit 30 may be determined. Accordingly, the camera 100 can take a picture at a position where the magnet affects the hall sensors 92 and 94.

즉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제2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완전히 개방되는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총 세 장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획득된 사진들은 도 9에 도시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That is, the camera 100 may take a total of three pictures until the second door 20 is moved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fully open position. At this time, the acquired photos may have the shape shown in FIG. 9.

한편 상기 카메라(100)가 사진을 촬영할 때에는 상기 광원(86)이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카메라(100)가 사진을 촬영할 정도로 충분히 밝다면 상기 광원(86)은 빛을 조사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when the camera 100 takes a picture, the light source 86 may irradiate light. Of course, if the camera 100 is bright enough to take a picture, the light source 86 may not irradiate ligh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도어가 개방될 때에 경과된 시간에 따라 촬영하는 형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7 is a control flowchart showing a form of photographing according to elapsed time when a second door is open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상기 도어 개폐 감지부(150)가 상기 제2도어(20)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다(S10).The doo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the opening of the second door 20 (S10).

상기 제2도어(20)가 개방된 순간부터 상기 타이머(140)는 경과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S12).The timer 140 may measure the elapsed time from the moment the second door 20 is opened (S12).

이때 상기 타이머(140)에 의해서 측정된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저장부(30)에 대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S14).In this case, the camera 100 may take a picture of the storage unit 30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measured by the timer 140 (S14).

경과 시간은 일반적인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20)를 이동시키는 평균 속도에 의해서 산출될 수 있다. 즉 통상적인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20)를 이동시키면서, 삼등분점을 통과할 때마다 상기 카메라(100)에서 상기 저장부(30)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elapsed time may be calculated by an average speed at which a general user moves the second door 20.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for a typical user to take a picture of the storage unit 30 in the camera 100 whenever the second door 20 is moved and passes through a third division point.

한편 경과된 시간은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20)를 완전히 인출시킬 때까지 걸리는 시간의 두 개의 삼등분점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he elapsed time may mean two thirds of a time taken until the user completely withdraws the second door 20.

그리고 경과된 시간이 종료했는지 판단한다(S16). 즉 경과된 시간이 종료했다는 것은 상기 제2도어(20)가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서 사진을 찍을 필요가 없는 위치까지 인출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lapsed time has ended (S16). That is, when the elapsed time has ended, it may mean that the second door 20 has been pulled out by the camera 100 to a position where it is not necessary to take a picture.

상기 카메라(100)는 복수 개의 사진을 촬영했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80)는 복수 개의 사진을 하나의 이미지로 서로 조합할 수 있다(S18).Since the camera 100 has taken a plurality of pictures, the controller 80 may combine the plurality of pictures into a single image (S18).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복수 개의 사진을 하나의 이미지로 보정하고, 상기 카메라(100)가 아닌 다른 곳으로 전송할 수 있다(S20). In addition, the controller 80 may correct the plurality of photos into one image and transmit the photos to a location other than the camera 100 (S20).

한편 상기 카메라(100)가 촬영한 복수 개의 사진은 도 9의 형태를 이루고, 최종적으로 상기 단말기(200)에 전송된 형태는 도 10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하나의 이미지에 의해서 상기 저장부(30)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photos taken by the camera 100 may form the form of FIG. 9, and the form fin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may form the form of FIG. 10. The user can intuitively and easily recognize information on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by one image shown in FIG. 1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도어의 이동 방향에 따라 촬영하는 형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8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form of photographing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of a second doo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는 상기 제2도어(20) 또는 상기 저장부(3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한다(S22). 상기 저장부(30)는 상기 제2도어(20)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서, 상기 저장부(30)와 상기 제2도어(200는 함께 이동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는 상기 제2도어(20) 또는 상기 저장부(30)가 상기 제2저장실(18)을 향해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지를 감지할 수 있다.First,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detect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door 20 or the storage unit 30 (S22). This is because the storage unit 30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second door 20, so that the storage unit 30 and the second door 200 move together. That is,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 May detect whether the second door 20 or the storage unit 30 is pulled in or pulled out towar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에서 인입 또는 인출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저장부(30)에 대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When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detects an inflow or withdrawal, the camera 100 may take a picture of the storage unit 30.

그리고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에 의해서 상기 저장부(30)가 정해진 위치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 상기 카메라(100)는 해당 위치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S24).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age unit 30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 130, the camera 100 may take a pictur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S24).

상기 저장부(30)가 정해진 위치에 모두 도달했다고 판단하면(S26), 상기 카메라(100)는 복수 개의 사진을 촬영했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80)는 복수 개의 사진을 서로 조합할 수 있다(S18).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age unit 30 has reached all the predetermined positions (S26), since the camera 100 has taken a plurality of pictures, the controller 80 can combine the plurality of pictures with each other (S18). ).

반면에 상기 저장부(30)가 정해진 위치에 모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S26), 상기 카메라(100)는 계속해서 사진을 촬영할 준비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rage unit 30 has not reached all the predetermined positions (S26), the camera 100 may continue to prepare to take a picture.

그리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복수 개의 사진을 하나의 사진으로 보정하고, 상기 카메라(100)가 아닌 다른 곳으로 전송할 수 있다(S20). In addition, the controller 80 may correct the plurality of photos into a single photo and transmit it to a location other than the camera 100 (S20).

한편 상기 카메라(100)가 촬영한 복수 개의 사진은 도 9의 형태를 이루고, 최종적으로 상기 단말기(200)에 전송된 형태는 도 10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photos taken by the camera 100 may form the form of FIG. 9, and the form final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may form the form of FIG. 10.

이때 상기 저장부(30)가 상기 제2저장실(18)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서 사진을 촬영해서, 상기 제어부(80)에서 사진을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storage unit 30 is moved in a direction leading to the second storage room 18, it is preferable to take a picture by the camera 100 and combine the pictures in the controller 80.

왜냐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2도어(20)를 이동시켜, 상기 저장부(30)로부터 식품을 꺼내거나, 상기 저장부(30)에 새로운 식품을 저장한 후에 상기 제2도어(20)를 이동시켜 상기 제2저장실(18)을 폐쇄한다.Because, the user moves the second door 20 to take out food from the storage unit 30 or store new food in the storage unit 30 and then move the second door 20 The second storage chamber 18 is closed.

즉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30)에 접근을 한 후에 원하는 일을 마치면, 상기 저장부(30)를 상기 제2저장실(18)에 인입시키고, 이러한 상황이 발생될 때에 상기 저장부(30)에 대한 최신 정보가 획득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at is, when a user accesses the storage unit 30 and finishes a desired job, the storage unit 30 is brought into the second storage room 18, and when such a situation occurs, the storage unit 30 is This is because the latest information about can be obtained.

도 9는 복수 개의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photographs.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카메라(100)는 도 9와 같이 복수 개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The camera 100 may take a plurality of pictures as shown in FIG. 9.

이때 촬영된 사진은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30)를 내려다보는 것과 동일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카메라(100)가 사진을 촬영하는 방향이 하방을 향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photographed picture may provide the same image as the user looking down on the storage unit 30. This is becau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mera 100 takes a picture faces downward.

한편 상기 카메라(100)는 각각 3개가 아닌 4개 이상의 사진을 촬영하거나 2개 이하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카메라(100)의 촬영 횟수 및 촬영 범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카메라(100)에 의한 사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camera 100 may take 4 or more photos or 2 or less photos instead of 3, respectively.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icture by the camera 100 by adjusting the number of times the camera 100 is photographed and the shooting range.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100)의 1회 촬영에 의한 촬영 범위가 늘어날 수 있다면, 상기 카메라(100)의 촬영 횟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if the shooting range by the one-time shooting by the camera 100 can be increas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shooting by the camera 100.

반면에 상기 카메라(100)의 1회 촬영에 의한 촬영 범위가 감소한다면, 상기 카메라(100)의 촬영 횟수를 증가시켜, 상기 저장부(30)에 대한 전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f the shooting range by the one-time shooting of the camera 100 decreases,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shooting by the camera 100 to obtain the entire image for the storage unit 30.

한편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본체(2)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제2도어(20) 또는 상기 저장부(30)는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100)가 정지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저장부(30)가 인출된 정도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100)가 촬영하는 부분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저장부(30)가 인출된 정도가 변화함에 따라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amera 100 is fixed to the main body 2, and the second door 20 or the storage unit 30 can be moved. Therefore, even if the camera 100 is stopped, the portion that the camera 100 photographs changes as the degree to which the storage unit 30 is withdrawn is changed. The camera 100 may take a picture as the degree to which the storage unit 30 is withdrawn is changed.

도 10은 도 9의 사진이 보정되어 단말기에 전송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hoto of FIG. 9 is correc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은 상기 단말기(200)에 도시된 형태지만, 동일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전송되어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10 is a form shown in the terminal 200, but the sam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20 and provided to the user.

이때 상기 이미지는 상기 저장부(30)의 내부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다. 즉 상기 이미지는 상기 저장부(30)을 전체적으로 도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image includes contents related to the interior of the storage unit 30. That is, the image may show the storage unit 30 as a whole.

또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저장부(30)가 사용자에게 충분히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30)의 내부를 내려다 보는 것과 유사한 화면을 제공해서, 상기 이미지에 대해서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is sufficiently exposed to the user by the storage unit 30 to provide a screen similar to that of the user looking down on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30, so that the image can be intuitively and easily recognized.

한편 상기 이미지는 파노라마 사진이고, 한 장의 사진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능하다. 즉 한 장의 사진으로 구성되어서 사용자에게 전달될 때에 사진에 대한 용량이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mage is a panoramic picture, and it is possible to consist of a single picture.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pacity of the photo from being unnecessarily increased when it is composed of one photo and transmitted to the user.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를 보는 것만으로도 상기 저장부(30) 내부에 보관된 식품의 상태와 종류 및 수량 등에 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도어를 수시로 개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어 개방으로 인한 상기 제2저장실(18)의 냉기 유출을 막을 수 있어서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The user can recognize information on the condition, type and quantity of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simply by viewing the image. Therefor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op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from time to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cold air from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18 due to the door opening, thereby saving energy.

또한 사용자가 시장이나 마트와 같은 외부에 있을 때에 상기 이미지를 이용해서 구매해야할 필요가 있는 식품과 구매할 필요가 없는 식품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 구매에 의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필요한 식품을 구매하지 못해 불편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s outside such as a market or a mart, the image can be used to determine foods that need to be purchased and foods that do not need to be purchased. Accordingly, waste due to duplicate purchase can be prevented, and inconvenience due to failure to purchase necessary food can be prevented.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that can be used by a user in the state of FIG. 10.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도 10에서 제공된 상기 이미지를 가공해서, 사용자가 시장이나 마트에서 구매해야할 쇼핑 목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by processing the image provided in FIG. 10,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shopping list that the user should purchase at a market or a mart.

상기 이미지에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직접 추출하거나, 사용자가 식품에 과한 정보를 추출해서 별도로 정보를 입력해서 관리하는 과정 등을 이용해서, 사용자의 쇼핑 목록을 생성,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It is possible to create and manage a user's shopping list by directly extracting information on food from the image, or by using a process in which the user extracts excess information on the food and separately input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1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1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은 형태의 냉장고 형태에, 추가로 적용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측에 있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나,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가 모두 회동에 의해서 저장실을 개폐하는 일반적인 냉장고 형태에도 적용가능하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itionally applicable to a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Of cours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r to a general refrigerator in which the storage compartment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both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nd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생략한다. 설명이 생략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or similar contents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ortions where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선반(14)의 하부에 마련된 드로워(40)에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부(30, 도 14에 구체적으로 도시)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드로워(40)는 상기 선반(14)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drawer 40 provided under the shelf 14 is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30 (specifically shown in FIG. 14) in which food is stored. In this case, the drawer 40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inserted into or withdrawn into a space formed under the shelf 14.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선반(14)에 구비되어, 상기 선반(14)의 하부 공간, 즉 상기 저장부(30)를 촬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camera 100 may be provided on the shelf 14 and may be disposed to photograph the lower space of the shelf 14, that is, the storage unit 30.

한편 상기 드로워(40)는 상기 선반(14)의 하부에 충분이 인입되면, 상기 선반(14)의 하부 공간, 즉 상기 저장부(30)가 밀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저장부(30)에는 야채 등의 식품이 보관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when the drawer 40 is sufficiently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elf 14, the lower space of the shelf 14, that is, the storage unit 30 may be sealed. Food such as vegetable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상기 드로워(40)는 상기 본체(2)의 폭을 두 개로 분할할 수 있도록 두 개가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드로워(40)가 구비되면 상기 카메라(100)는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드로워(40)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카메라(100)는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드로워(40)의 저장부(30)를 촬영할 수 있다. Two drawers 40 may be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width of the main body 2 can be divided into two. If the drawer 40 is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wo or more cameras 100 are provided. That is, the camera 100 is preferabl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drawers 40. That is, the camera 100 may photograph the storage unit 30 of the drawers 4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드로워(40)가 복수 개 구비되면, 상기 드로워(40)는 각각 독립적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드로워(40)의 각각에 대응되는 카메라(100)가 구비되면, 각각의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사진은 각각의 드로워(40)에 마련된 저장부(30)에 저장된 식품을 촬영하게 된다.When a plurality of drawers 40 are provided, each drawer 40 can be independently drawn in or withdrawn. Likewise, when a camera 10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rawers 40 is provided, the pictures taken by each camera 100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provided in each drawer 40. I will shoot.

상기 카메라(100)는 하나의 상기 드로워(40)의 폭에 대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카메라가 하나의 드로워를 촬영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드로워(40)와 달리 이동이 되지 않도록 상기 선반(14)에 배치되어, 하방을 향해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The camera 10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one drawer 40. That is, it is possible that one camera is arranged to shoot one drawer. In addition, unlike the drawer 40, the camera 100 is disposed on the shelf 14 so that it does not move, so that a picture can be taken downward.

한편 상기 제1저장실(12)에는 상기 제1저장실(12)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8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원(86)은 상기 제1도어(10)가 개방된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제1저장실(12) 내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저장실(12)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Meanwhile, a light source 86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When the first door 10 is opened, the light source 86 may irradiate light to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so that the user can perceive the interior of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한편 상기 선반(14)과 상기 드로워(40)의 일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광원(86)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상기 선반(14)과 상기 드로워(40)를 통해서 상기 저장부(30)로 쉽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서 상기 카메라(100)가 상기 저장부(30)의 사진을 촬영할 때에 충분한 조도를 확보할 수 있다.Meanwhile, a part of the shelf 14 and the drawer 4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is, it is to allow the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source 86 to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storage unit 30 through the shelf 14 and the drawer 40. Due to this feature, when the camera 100 takes a picture of the storage unit 30, sufficient illumination can be secured.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도 1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3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100)에 찍힌 복수 개의 사진을 조합해서, 상기 저장부(30)를 도시하는 이미지로 보정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80 for combining a plurality of photos taken by the camera 100 and correcting the storage unit 30 into an image.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 찍힌 복수 개의 사진을 한 장의 이미지로 보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 찍힌 한 장의 사진을 상기 카메라(100)로부터 외부, 즉 상기 단말기(200) 등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80 may correct a plurality of photos taken by the camera 100 into a single image. Of course, the controller 80 may transmit a singl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100 from the camera 100 to the outside, that is, to the terminal 200 or the like.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카메라(100)에서 찍힌 사진을 조합해서 사용자가 쉽게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복수 개의 사진을 조합하고, 각각을 보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복수 개의 사진을 조합하는 것은 상기 제어부(80)가 아닌 상기 냉장고의 외부에 마련된 제어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troller 80 may provide a user with an image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intuitively recognize by combining the pictures taken by the camera 10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80 may combine a plurality of photos and correct each of them. Meanwhile, combining a plurality of photos may be performed by a control device provided outside the refrigerator, not by the control unit 8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저장부(3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는 상기 저장부(30)가 이동된 상태인지, 이동되었다면 어느 부분에 위치하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orage unit location detection unit 130 capable of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storage unit 30. The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storage unit 30 is in a moved state and, if so, in which part it is located.

한편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에서 상기 저장부(30)가 정해진 위치에 도달했다고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80)에 관련 신호를 전달해서, 상기 카메라(100)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orage unit location detection unit 130 detects that the storage unit 30 has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it transmits a relat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80 to instruct the camera 100 to take a picture. It is possible.

이때 상기 저장부(30)에 관해서 설정된 위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저장부(30)에 대해서 복수 개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positions set with respect to the storage unit 30 are formed, and the camera 100 may take a plurality of pictures with respect to the storage unit 30.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는 홀 효과를 이용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홀 센서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자기장을 걸어 주면 전류와 자기장에 수직 방향으로 전압이 발생하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방향과 크기를 알아낼 수 있다. The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 130 may include a Hall sensor using a Hall effect. The Hall sensor can determine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magnetic field using the Hall effect, in which a voltag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urrent and the magnetic field when a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a conductor through which a current flow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시간의 경과를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이머(140)는 일반적인 시간의 경과도 측정할 수 있지만, 특히 상기 저장부(30)가 이동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imer 140 capable of measuring the elapse of time. In this case, the timer 140 may measure the lapse of a general time, but in particular, the time during which the storage unit 30 is moved may be measured.

상기 타이머(140)에 의해서 측정된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타이머(140)는 상기 제어부(80)에 관련 신호를 제공해서 상기 제어부(80)에서 상기 카메라(100)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predetermined time measured by the timer 140 elapses, the timer 140 provides a related signal to the controller 80 and instructs the controller 80 to take a picture with the camera 100 It is possible to d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로워(4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드로워 개폐 감지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개폐 감지부(350)는 상기 드로워(40)가 상기 선반(14)으로부터 접촉이 해제되어 있는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we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50 capable of sensing opening/closing of the drawer 40 may be included. The drawe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50 may detect whether the drawer 40 has been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shelf 14.

상기 드로워 개폐 감지부(350)는 드로워의 개폐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8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개폐 감지부(350)는 상기 드로워(40) 각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드로워(40)가 복수 개 마련되면 상기 드로워(40)는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The drawe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5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whether the drawer is opened or closed to the control unit 80.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50 is provided in each of the drawers 40. This is because when a plurality of drawers 40 are provided, the drawers 40 can be moved individually and independent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부(3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는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를 복수 개 구비해서 그에 따라 상기 저장부(3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for detecting a movement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30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s 130 to detect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30 accordingly.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는 상기 저장부(3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80)에 관련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에 의해서 상기 저장부(3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may detect a movement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30 and provide a relat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80. That is, the control unit 80 may detect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30 by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즉 상기 저장부(30)는 상기 선반(14)의 하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선반(14)의 하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는 상기 저장부(3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지 후방으로 이동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storage unit 30 can be withdrawn from the lower space of the shelf 14 or drawn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helf 14,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is used as the storage unit ( 30) can detect whether it moves forward or backwar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어부(80)에 의해서 보정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저장부(82)는 상기 제어부(80)에 의해서 보정된 이미지를 모두 저장해서, 이전에 보정된 이미지는 물론 가장 최근에 보정된 이미지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storage unit 82 that stores an image corrected by the control unit 80. The image storage unit 82 may store all of the images corrected by the control unit 80 and thus store not only the previously corrected image but also the most recently corrected image.

상기 이미지 저장부(82)에 저장된 이미지는 상기 단말기(20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200)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서 냉장고 내부에 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The image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82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or the display unit 120, and the user may use the terminal 200 or the display unit 120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Can be recogniz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냉장고에 대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12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일체로 마련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서 명령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put unit 122 through which a user can input a command for a refrigerator. At this time, the input unit 122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unit 120, so that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80)에 의해서 보정된 이미지를 외부로 전달하는 통신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84)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단말기 통신부(210)에 보정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84 for transmitting the image corrected by the control unit 80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84 may transmit the corrected image to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shown in FIG. 2.

특히 상기 통신부(84)는 상기 저장부(82)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상기 제어부(80)에 의해서 보정된 이미지 등을 냉장고의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84 may transmit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82 or an image corrected by the control unit 80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한편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카메라(100)가 사진을 촬영하는 순간에는 상기 광원(86)을 통해서 상기 저장부(30)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80 may irradiate light to the storage unit 30 through the light source 86 when the camera 100 takes a picture.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5는 복수 개의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lurality of photographs.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100)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방식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taking a picture by the camera 100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즉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 상기 타이머(140)에 의해서 감지된 시점 또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100)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100)가 사진을 촬영하는 동일한 방식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at is, the camera 100 takes a picture from the camera 100 according to the time point or position detected by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the storage unit location detection unit 130, and the timer 140. You can have them filme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part a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same methods in which the camera 100 takes a picture will be omitted.

특히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130), 상기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되고 구현되며, 그러한 구체적인 형태는 도 4를 통해서 충분히 유추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4에서는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 130 and the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160 are installed and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a specific form is illustrated in FIG. 4. Since it can be sufficiently inferred through the above, detailed illustration is omitted in FIG. 14.

한편 상기 드로워 개폐 감지부(350)는 상기 드로워(40)와 상기 선반(14)이 만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 개폐 감지부(350)는 상기 선반(14)에 설치되어서, 상기 드로워(40)가 상기 드로워 개폐 감지부(350)를 가압하면 상기 저장부(30)가 밀폐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드로워 개폐 감지부(350)가 상기 드로워(40)에 의해 가압되지 않으면 상기 드로워(40)가 인출되어서, 상기 저장부(30)가 밀폐되지 않은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rawe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5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drawer 40 and the shelf 14 meet. That is, the drawe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50 is installed on the shelf 14, so that when the drawer 40 presses the drawe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50, it is recognized that the storage unit 30 is sealed. can do. On the other hand, if the drawe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50 is not pressed by the drawer 40, the drawer 40 is pulled out,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storage unit 30 is not sealed.

물론 상기 드로워 개폐 감지부(350)는 상기 드로워(4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drawe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50 may be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capable of detecting the opening/closing of the drawer 4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4 (a), (b), (c)에서와 같이 상기 드로워(40)가 닫히도록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카메라(100)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ake a picture with the camera 100 while the drawer 40 is moved to close, as shown in FIGS. 14A, 14B, and 14C.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40)를 개방한 후에 상기 저장부(30)에 접근해서 상기 저장부(30)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거나, 상기 저장부(30)에 새로운 식품을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저장부(30)의 접근이 완료된 후에는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40)를 상기 선반(14)의 하부 공간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After opening the drawer 40, the user may access the storage unit 30 to take out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or put new food in the storage unit 30. In addition, after the user's access to the storage unit 30 is completed, the user may lead the drawer 40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helf 14.

즉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40)를 인입시키는 동안에 촬영된 사진에서는 상기 저장부(30)에 대한 최신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That is, the latest information on the storage unit 30 may be obtained from a picture taken while the user inserts the drawer 40.

도 14 (a), (b), (c)와 같은 위치에서 촬영된 사진은 도 15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분할된 사진을 이룰 수 있다.Pictures taken at locations such as (a), (b), and (c) of FIG. 14 may constitute a plurality of divided pictures as shown in FIG. 15.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복수 개의 사진을 조합해서 한 장의 사진으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에 의해서 보정된 사진은 파노라마 사진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80 may combine a plurality of photos and correct them into a single photo. The photo corrected by the controller 80 may form a panoramic photo.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선반(14)에서 상기 저장부(30)를 향하는 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저장부(30)는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저장부(30)의 다양한 위치, 즉 상기 저장부(30)가 인출된 정도가 변화됨에 따라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The camera 100 is installed to be fixed to a surface facing the storage unit 30 from the shelf 14, and the storage unit 30 may be moved. Accordingly, the camera 100 may take a picture according to various positions of the storage unit 30, that is, the degree to which the storage unit 30 is withdraw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활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설명한 내용으로 갈음한다.Since the u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etails are replaced with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비교해서 상기 카메라(100)의 설치위치가 다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드로워(4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30)에 관한 사진을 촬영한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관련 부분을 위주로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mera 10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 picture of the storage unit 30 is taken while the drawer 40 is stopped. Therefore,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mainly for related part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드로워(40)의 폭에 대해 일측에 치우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드로워(40)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드로워(40)의 타측까지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camera 100 is installed to be bias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drawer 40. That is, the camera 100 may be disposed so as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drawer 40 and may be installed so as to photograph the other side of the drawer 40.

상기 광원(86)은 상기 저장부(30) 내부가 아닌 상기 저장부(3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86)은 일반적인 냉장고에서 상기 제1저장실(12)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 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86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storage unit 30, not inside the storage unit 30. That is, the light source 86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an LED that irradiates light into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in a general refrigerator.

상기 선반(14)과 상기 드로워(4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드로워(4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선반(14)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광원(86)에 의해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선반(14)을 관통해서 상기 저장부(30) 내부를 환하게 비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elf 14 and the drawer 4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particular, the shelf 14 disposed above the drawer 4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source 86 penetrates the shelf 14 and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3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illuminate it brightly.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도 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7 is a control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달리 저장부 이동 방향 감지부, 저장부 위치 감지부 및 타이머를 구비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로워 개폐 감지부(350)에 의해서 감지된 신호와 상기 입력부(122)에 의해서 상기 카메라(100)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unit movement direction detection unit, a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 and a timer are not provided. That i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100 may take a picture by the signal sensed by the drawe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50 and the input unit 122.

상기 카메라(100)는 한 장의 사진을 촬영해서 상기 저장부(30)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The camera 100 acquires information on the storage unit 30 by taking a picture.

따라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서 촬영된 복수 개의 사진을 조합하고, 보정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을 상기 이미지 저장부(30)로 전송하거나 상기 통신부(84)를 통해서 외부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controller 80 does not need to combine and correct a plurality of pictures taken by the camera 100. That is, the control unit 80 may transmit a picture taken by the camera 100 to the image storage unit 30 or external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84.

상기 타이머(140)는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서 사진이 촬영된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타이머(140)는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서 가장 최근에 사진을 촬영한 시점부터 경과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80) 또는 상기 카메라(1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timer 140 may measure a time elapsed from a point in time when a picture is taken by the camera 100. That is, the timer 14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a time elapsed from the time when a picture was most recently taken by the camera 100 to the controller 80 or the camera 100.

상기 입력부(122)에서 발생된 신호에 의해서 상기 카메라(100)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100)가 상기 드로워(40)가 정지된 상태에서 사진을 촬영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2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카메라(100)가 상기 저장부(30)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amera 100 may take a picture by a signal generated from the input unit 122.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mera 100 takes a picture while the drawer 40 is stopped, the camera 100 stores the storage by manipulating the input unit 122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part 3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타이머(140)에 의해서 발생된 주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상기 카메라(100)에 의한 촬영이 가능하다.Furth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hotographing by the camera 100 may be performed by a periodic signal generated by the timer 140.

도 17에 도시된 다른 구성 요소는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Other constituent elements shown in FIG. 17 are the same as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간략히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1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8 is a view briefly explaining a photographing direction of a camera in another embodiment.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카메라(100)는 한 번의 촬영으로 상기 저장부(30)의 내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100)는 한 번의 촬영으로 상기 저장부(30)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mera 10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interior of the storage unit 30 to a user with a single photographing.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100 acquires information on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with a single photographing.

즉 상기 카메라(100)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θ1)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카메라(100)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반대편 모서리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카메라(100)는 θ1과 달리 상기 저장부(30)의 내부에 보관된 식품을 잘 촬영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만큼만 수평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θ1은 0도 이상의 각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the camera 10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direction θ1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In this case, the camera 10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pposite edg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course, unlike θ1, the camera 100 may be arranged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nly by an angle sufficient to capture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well. However, it is possible for θ1 to have an angle of 0 degrees or more.

또한 상기 카메라(100)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θ2)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카메라(100)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반대편 모서리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카메라(100)는 θ2과 달리 상기 저장부(30)의 내부에 보관된 식품을 잘 촬영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만큼만 수직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θ2는 0도 이상의 각도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amera 100 may be arranged to face in a direction θ2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In this case, the camera 10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pposite edg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rface. Of course, unlike θ2, the camera 100 may be arranged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only by an angle sufficient to take pictures of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well. However, it is possible for θ2 to have an angle of 0 degrees or mor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한 장의 정지된 사진으로 상기 저장부(30) 내부를 촬영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100)를 비스듬하게 배치해서 더 많은 정보가 획득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카메라(100)가 경사지지 않고 상기 저장부(30)의 한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저장부(30) 내부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1회 촬영으로 획득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ide of the storage unit 30 is photographed with a single still picture, the camera 100 is disposed at an angle so that mor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is is because if the camera 100 is not inclined and is arranged to be parallel to one edge of the storage unit 30, it is difficult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 in one shot. .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1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9 (a)와 도 19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드로워(40)가 상기 저장부(30)를 폐쇄하는 순간에 상기 카메라(100)에서 사진을 촬영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9 (a) and 19 (b), a picture from the camera 100 at the moment when the drawer 40 closes the storage unit 30 Take a picture.

즉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40)를 인출시킨 후에, 상기 저장부(30)에 접근을 완료하고,상기 드로워(40)를 다시 인입시킬 때에 상기 카메라(100)에서 상기 저장부(30)에 대한 사진을 촬영한다. That is, after the user withdraws the drawer 40, access to the storage unit 30 is completed, and when the drawer 40 is retracted, the camera 100 enters the storage unit 30 Take a picture about it.

이때 상기 광원(86)은 상기 저장부(30)에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40)를 인입시키는 동안에는 상기 제1도어(10)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조작없이 상기 광원(86)이 계속 빛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86 may irradiate light to the storage unit 30. Of course, since the first door 10 is open while the user pulls in the drawer 40, it is possible for the light source 86 to continuously irradiate light without a separate manipulation.

상기 드로워 개폐 감지부(350)는 상기 선반(14)에 설치되어, 상기 드로워(40)의 접촉 유무에 따라 상기 드로워(4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40)가 상기 드로워 개폐 감지부(350)를 가압하지 않다가 가압하는 순간은 상기 드로워(40)가 상기 선반(14)의 하부 공간으로 인입되어, 상기 저장부(30)이 밀폐되는 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drawe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50 is installed on the shelf 14 to detect the opening/closing of the drawer 40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rawer 40 is in contact. Therefore, at the moment when the drawer 40 does not press the drawe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50 but presses the drawer 40, the drawer 40 is drawn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helf 14, and the storage unit 30 ) Can be recognized as the moment when it is sealed.

따라서 상기 드로워 개폐 감지부(350)에 의해서 감지된 순간에 상기 카메라(100)에서 상기 저장부(30)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amera 100 may take a picture of the storage unit 30 at the moment sensed by the drawer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350.

즉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드로워(40)가 상기 선반(14)의 하부에 인입된 상태, 즉 상기 선반(14)의 하부 공간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30)를 촬영할 수 있다.That is, the camera 100 may photograph the storage unit 30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4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elf 14, that is, the lower space of the shelf 14 is closed. .

상기 통신부(84)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이 상기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A picture taken by the communication unit 84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이때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은 도 20에 도시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사진은 상기 저장부(30)의 위쪽에서 하방을 향해 비스듬히 바라본 형태를 이루게 된다.At this time,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100 has the shape shown in FIG. That is, the photograph taken by the camera 100 is viewed oblique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unit 30 toward the lower side.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드로워의 동작에 따라 촬영하는 형태를 도시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2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21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form of photographing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drawer in another embodiment.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21.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22)를 조작하거나, 상기 타이머(140)에 의해서 소정 시간 간격으로 신호가 발생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S110). 이때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22)를 조작하거나 상기 타이머(140)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발생된 신호에 의해서 사용자가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manipulate the input unit 122 or set the timer 140 to generate a signal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S110). In this case, the user may manipulate the input unit 122 or the user may obtain information on the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by a signal periodically generated by the timer 140.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22)를 조작하거나 상기 타이머(140)에 의해서 신호가 발생될 때에는 상기 제1도어(10)는 상기 제1저장실(12)을 밀폐한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1저장실(12)을 개방하지 않더라도 상기 입력부(122) 또는 상기 타이머(140)에 의해서 상기 카메라(100)에 의한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When a user manipulates the input unit 122 or a signal is generated by the timer 140, the first door 10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12 is sealed. That is, even if the user does not open the first storage room 12, the camera 100 can take a picture by the input unit 122 or the timer 140.

상기 제1저장실(12)이 닫혀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상기 광원(86)은 빛을 조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100)가 사진을 촬영할 수 있을 정도의 빛이 상기 저장부(30)에는 제공되지 않고,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에는 상기 저장부(30)에 관한 충분한 정보가 담겨져 있다고 볼 수 없다.Since the first storage chamber 12 is closed, the light source 86 does not normally irradiate light. Therefore, light enough for the camera 100 to take a picture is not provided to the storage unit 30, and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100 contains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storage unit 30. Can't be seen.

따라서 상기 광원(86)을 작동시킨다(S120). 상기 선반(14) 및 상기 드로워(40)의 일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광원(86)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선반(14) 및 상기 드로워(40)를 관통해서 상기 저장부(30)로 도달할 수 있다. Therefore, the light source 86 is operated (S120). Since a part of the shelf 14 and the drawer 4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86 passes through the shelf 14 and the drawer 40 and passes through the storage unit. It can be reached with (30).

이때 상기 카메라(100)는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진을 1회만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S130). 정지된 상태에서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해서 수 차례 사진을 촬영해도 동일한 사진을 획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At this time, since the camera 100 is in a stopped state, it is possible to take a picture only once (S130). This is because even if you take a picture several times with a single camera in a stationary state, you have no choice but to acquire the same picture.

추후에 상기 제어부(80)에서 상기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된 사진을 상기 이미지 저장부(30)로 전송하거나, 상기 통신부(84)를 통해서 냉장고 외부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Later, the controller 80 may transmit the picture taken by the camera 100 to the image storage unit 30 or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84.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from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도어 12: 제1저장실
18: 제2저장실
14: 선반 20: 제2도어
30: 저장부 40: 드로워
80: 제어부 86: 광원
100: 카메라 200: 단말기
10: first door 12: first storage room
18: second storage room
14: shelf 20: second door
30: storage unit 40: drawer
80: control unit 86: light source
100: camera 200: terminal

Claims (17)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저장실에 수납되고,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저장부 위치 감지부;
상기 저장부 위치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저장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저장부를 촬영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카메라; 및
상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찍힌 복수 개의 사진을 조합해서, 상기 저장부를 도시하는 이미지로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저장실의 상측이나 천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food is stored;
A door that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open the storage compartment;
A storage unit that is moved along the door to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for storing food; And
A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chamber and configured to sense a position of the storage unit;
A camera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photograph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torage unit detected by the storage unit position detection unit;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mbining a plurality of pictures take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oor, and correcting the image showing the storage unit,
The camera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above the storage room or on the ceil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제1저장실 및 제2저장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compartment comprises a first storage compartment and a second storage compartment.
제2항에 있어서,
수평방향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을 분리된 공간으로 구분하는 베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
And a barrier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dividing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into separate spac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베리어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The camera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rri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실은 상기 제1저장실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storage compartment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below the first storage compar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oor opening/closing detector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sensing opening/closing of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도록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카메라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amera to take a picture while the door is moved to close.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구획하는 선반;
상기 선반의 하부에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마련되고,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드로워;
상기 선반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를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 및
상기 드로워의 이동에 따라 찍힌 복수 개의 사진을 조합해서, 상기 저장부를 도시하는 이미지로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저장실의 상측이나 천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food is stored;
A shelf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helf so as to be retractable or withdrawn, and hav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food;
A camera provided on the shelf and provided to photograph the storage unit;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mbining a plurality of pictures take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awer, and correcting the image showing the storage unit,
The camera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above the storage room or on the ceil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선반에서 상기 저장부를 향하는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8,
The camera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a surface facing the storage unit from the shel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개폐를 감지하는 드로워 개폐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8,
And a drawer opening/closing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opening/closing of the draw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저장부 위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8,
And a storage unit position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storage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로워가 닫히도록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카메라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amera to take a picture while the drawer is moved to clos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의 특정 부위가 설정된 위치를 통과할 때에 상기 카메라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amera to take a picture when a specific portion of the storage unit passes through a set position.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구획하는 선반;
상기 선반의 하부에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마련되고,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드로워;
상기 저장부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선반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를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저장부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food is stored;
A shelf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helf so as to be retractable or withdrawn, and hav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food;
A light source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storage unit, and
Includes; a camera provided on the shelf and provided to photograph the storage unit,
The light source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utside the storage uni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4,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lf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드로워가 정지된 상태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amera to take a picture while the drawer is stoppe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4,
The camera is arranged to face in a direction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 vertical surface.

KR1020210059793A 2020-07-06 2021-05-10 Refrigerator KR202100556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93A KR20210055662A (en) 2020-07-06 2021-05-10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974A KR102252514B1 (en) 2020-07-06 2020-07-06 Refrigerator
KR1020210059793A KR20210055662A (en) 2020-07-06 2021-05-10 Refriger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974A Division KR102252514B1 (en) 2020-07-06 2020-07-06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662A true KR20210055662A (en) 2021-05-17

Family

ID=716034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974A KR102252514B1 (en) 2020-07-06 2020-07-06 Refrigerator
KR1020210059793A KR20210055662A (en) 2020-07-06 2021-05-10 Refrigerato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974A KR102252514B1 (en) 2020-07-06 2020-07-06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251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041A (en) * 2020-09-02 2022-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0907B2 (en) * 1994-08-08 2003-09-29 幸次 楠野 Refrigerator with internal status display
JP2002267337A (en) 2001-03-12 2002-09-18 Matsushita Refrig Co Ltd Food material control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479616B1 (en) * 2002-03-09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ation acquisition in refrigerator
JP4196914B2 (en) 2004-09-16 2008-12-17 三菱電機株式会社 refrigerator
KR101071032B1 (en) * 2005-06-01 201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Food keeping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702A (en) 2020-07-15
KR102252514B1 (en)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730B1 (en) Refrigerator
KR102000448B1 (en) Refrigerator
KR102023013B1 (en)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40313331A1 (en)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52514B1 (en) Refrigerator
KR102235182B1 (en) Refrigerator
KR20160089725A (en) Refrigerator and Contor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138537B1 (en) Refrigerator
KR102155565B1 (en) Refrigerator
KR102074290B1 (en) Refrigerator
KR20210036895A (en) Refrigerator
JP2018175706A (en) Refrigerator system and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