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331A - 착용부 내부의 최적 착용환경 조성을 위한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 - Google Patents

착용부 내부의 최적 착용환경 조성을 위한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331A
KR20210055331A KR1020190141647A KR20190141647A KR20210055331A KR 20210055331 A KR20210055331 A KR 20210055331A KR 1020190141647 A KR1020190141647 A KR 1020190141647A KR 20190141647 A KR20190141647 A KR 20190141647A KR 20210055331 A KR20210055331 A KR 20210055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space
genitals
humidity
excrement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상
이호상
최성필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라코
Priority to KR1020190141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5331A/ko
Publication of KR2021005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6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 내부의 최적 착용환경 조성을 위한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은,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의 굴곡에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받는 처리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처리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처리공간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상기 처리공간 내의 환경조건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처리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유닛, 상기 처리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유닛 및 상기 센서부의 센서값을 전달받아, 상기 처리공간의 환경조건이 기준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유닛 및 상기 습도조절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용부 내부의 최적 착용환경 조성을 위한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Excrement Care Robot With Precision Control Function of Adjacent Region to the Genitals for Making Optimal Environment of Inside of Wearing Part}
본 발명은 인체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배설물을 처리하는 배설돌봄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부 내부 환경을 최적 착용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 노인 등 거동이 불편하거나 하체를 의지대로 움직이기 어려운 사람들은 스스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없어 항상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주변에 상주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배설물을 수거하는 배설물 처리기가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설물 처리기는 사용자의 배설물을 받아 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사용자 주변에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상주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현재까지 개발된 종래의 배설물 처리기들은 배설물의 처리 기능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의 신체를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어, 사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배설물이 배설되는 둔부, 또는 성기 주변은 굴곡이 심해 배설물 처리기가 밀착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배설물이 인체와 배설물 처리기 사이로 새어 나오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착용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배설물 처리기의 특성 상 둔부 및 성기 주변의 환경이 습하고 온도가 높은 상태로 방치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와 같은 상태가 지속될 경우 환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373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국부에 인접한 공간인 착용부 내부 환경을 최적 착용환경으로 조성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용부 내부의 최적 착용환경 조성을 위한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은,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의 굴곡에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받는 처리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처리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처리공간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상기 처리공간 내의 환경조건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처리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유닛, 상기 처리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유닛 및 상기 센서부의 센서값을 전달받아, 상기 처리공간의 환경조건이 기준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유닛 및 상기 습도조절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착용부 내부의 최적 착용환경 조성을 위한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은, 국부에 인접한 공간인 착용부 내부 환경을 적정 온도 및 적정 습도를 유지하여 최적 착용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신체가 오물에 의해 오염되어 피부에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돌봄로봇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돌봄로봇을 인체에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돌봄로봇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돌봄로봇(1)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돌봄로봇(1)은, 안착부(100)와 본체부(200)를 포함하는 몸체와, 배출유로(21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100)는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의 굴곡에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받는 처리공간(T1, T2)이 형성된다.
여기서 인체의 성기부라 함은 남녀의 성기 주위 영역을 뜻하며, 둔부는 상기 성기부와 연결되고, 항문의 주위 영역을 뜻한다. 즉 상기 안착부(100)는 인체의 샅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그 굴곡에 대응되도록 곡선 형태의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처리공간(T1, T2)은 소변 및 대변을 포함하는 배설물을 받을 수 있도록 소정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의 처리공간(T1, T2)은 인체의 성기부에 대응되는 소변처리부(T¬2)와, 인체의 둔부에 대응되는 대변처리부(T1)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처리공간(T1, T2)이 남성용 모듈(300)에 의해 구획되어 소변 및 대변을 별도로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여성이 배설돌봄로봇(1)을 사용할 경우, 본 실시예와 달리 남성용 모듈(300) 대신 여성용 모듈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여성용 모듈의 경우 소변처리부와 대변처리부가 서로 구획되지 않고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남성용 모듈(300)과 여성용 모듈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부(200)는 배설돌봄로봇(1)을 착용 시 인체의 다리 사이에 장착되도록 상기 안착부(100)와 연결된다. 즉 사용자는 안착부(100)를 성기부 및 둔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본체부(200)의 양측으로 다리를 뻗어 안정적으로 배설돌봄로봇(1)을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부(20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각종 구성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처리공간(T1, T2)의 개방된 방향 측을 전방으로 정의하며,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또한 소변처리부(T2)가 구비된 방향을 상부로, 반대 방향을 하부로 정의하도록 한다.
배출유로(210)는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처리공간(T1, T2)과 연통되어 상기 처리공간(T1, T2)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200)의 후방에는 외부의 연결관이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과홀(20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은 별도의 흡입장치를 이용하여 배설물을 흡입하도록 연결된 배설물유동관,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유동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배출유로(210)는 배설물유동관과 연결되어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배설돌봄로봇(1)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상기 처리공간 내의 환경조건을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와, 상기 처리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유닛(미도시)과, 상기 처리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유닛(미도시)과,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센서값을 전달받아, 상기 처리공간의 환경조건이 기준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유닛 및 상기 습도조절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동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히터 또는 쿨러일 수 있으며, 상기 습도조절유닛은 흡입팬, 배출팬 또는 세정수 분사모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국부에 인접한 공간인 착용부 내부 환경을 적정 온도 및 적정 습도를 유지하여 최적 착용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신체가 오물에 의해 오염되어 피부에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돌봄로봇(1)을 인체에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침대 등에 누운 상태에서 안착부(100)를 성기부 및 둔부에 밀착시키고, 본체부(200)의 양측으로 다리를 뻗어 안정적으로 배설돌봄로봇(1)을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돌봄로봇(1)은 인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배설돌봄로봇(1)에 맞추어 자세를 무리하게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자연스러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세를 측방 등 다양하게 변경할 경우에도 이탈되지 않고 사용자의 신체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거동할 경우에도 다리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거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설돌봄로봇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에는 안착부(100)의 처리공간(T1, T2)이 보다 자세히 도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처리공간(T1, T2)은 소변처리부(T¬2)와 대변처리부(T1)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공간(T1, T2)에는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는 상기 처리공간(T1, T2)에 노출되어 세정수를 분사하는 구성요소로서,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분사부는 대변처리부(T1) 측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회전노즐(240)과, 보조노즐(334)과,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변처리부(T2) 측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상부노즐을 포함한다.
즉 회전노즐(240)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인체의 둔부 주위를 세정하며, 보조노즐(334)은 대변처리부(T1)의 표면을 세정할 수 있도록 세정수를 살포한다. 또한 상부노즐은 성기부 및 소변처리부(T2)의 표면을 세정할 수 있도록 세정수를 분사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공간(T1, T2)에는 건조풍이 유동되어 분사되는 건조풍분사구(232)가 더 형성되며, 이에 따라 세정 이후 수분을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00)와 본체부를 포함하는 몸체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부의 폭(d1)이 하부의 폭(d2)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인체의 대퇴부 부분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양 다리는 배설물 처리장치(1)의 몸체 양측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는 사용자의 다리 사이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무리하게 다리를 벌리지 않고 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100)의 둘레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110)가 구비된다. 상기 밀착부재(110)는 안착부(100)의 둘레 라인을 따라 띠 모양으로 구비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배설돌봄로봇
100: 안착부
110: 밀착부재
200: 본체부
210: 배출유로

Claims (1)

  1.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의 굴곡에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인체의 성기부 및 둔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을 받는 처리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처리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처리공간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로;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상기 처리공간 내의 환경조건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처리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유닛;
    상기 처리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유닛; 및
    상기 센서부의 센서값을 전달받아, 상기 처리공간의 환경조건이 기준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유닛 및 상기 습도조절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착용부 내부의 최적 착용환경 조성을 위한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
KR1020190141647A 2019-11-07 2019-11-07 착용부 내부의 최적 착용환경 조성을 위한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 KR20210055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647A KR20210055331A (ko) 2019-11-07 2019-11-07 착용부 내부의 최적 착용환경 조성을 위한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647A KR20210055331A (ko) 2019-11-07 2019-11-07 착용부 내부의 최적 착용환경 조성을 위한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331A true KR20210055331A (ko) 2021-05-17

Family

ID=7615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647A KR20210055331A (ko) 2019-11-07 2019-11-07 착용부 내부의 최적 착용환경 조성을 위한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53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733B1 (ko) 2007-09-14 2009-04-17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안전장치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733B1 (ko) 2007-09-14 2009-04-17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안전장치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140B1 (ko)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장치
US10004630B2 (en) Wearable toilet seat
US10799410B2 (en) Excreta disposal apparatus customized to human body
KR101544566B1 (ko)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101622102B1 (ko) 회전노즐이 구비된 배설물 처리장치
EP3254662B1 (en) Excreta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male module
EP3254660B1 (en) Excreta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gender-specific module
KR20210055331A (ko) 착용부 내부의 최적 착용환경 조성을 위한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
KR101544569B1 (ko) 인체 대향 개구부가 형성된 남성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EP3254661B1 (en) Excreta disposal apparatus provided with rotary nozzle
KR102396933B1 (ko) 인체 안착형 처리장치 착용부 내부의 최적 착용환경 조성을 위한 국부 정밀 제어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
KR100829524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1292812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1544572B1 (ko) 회전형 남성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20210055325A (ko) 와상 환자의 동작 및 상태에 대한 통합 분석 기능이 적용된 배설돌봄로봇
KR101605730B1 (ko) 성별전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TW202116279A (zh) 排泄物清理裝置
KR102330008B1 (ko) 공기유로가 형성된 브라켓튜브를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US20240173178A1 (en) Wearable part for wearable flushing device and diaper pad for wearable part
KR101605734B1 (ko) 남성용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KR20210055327A (ko) 진공압력 측정을 통해 사용자 착용상태 정밀 체크가 가능한 배설돌봄로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