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300A - 온라인 광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광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300A
KR20210055300A KR1020190141584A KR20190141584A KR20210055300A KR 20210055300 A KR20210055300 A KR 20210055300A KR 1020190141584 A KR1020190141584 A KR 1020190141584A KR 20190141584 A KR20190141584 A KR 20190141584A KR 20210055300 A KR20210055300 A KR 20210055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web page
user
advertiser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범
Original Assignee
조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범 filed Critical 조재범
Priority to KR1020190141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5300A/ko
Publication of KR2021005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광고대행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제공하는 광고대행 서버, 광고주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제공하는 광고주 서버,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로 링크되는 배너 또는 텍스트 형식의 제1 광고를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서 노출하고 상기 제1 광고에 연동하는 제2 광고를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서 노출하는 서비스 서버, 및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상기 제1 광고를 클릭하여 상기 제1 광고에 링크되는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여, 광고대행 웹 페이지의 광고와 광고주 웹 페이지의 광고를 서로 연동시켜 인터넷 사용자의 관심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광고 시스템 {ON-LINE ADVERTISING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를 랜딩페이지로 유도한 이후에도 소비자의 관심을 유지시킬 수 있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의 보급이 급증하고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이 활성화되면서, 오프라인상의 광고방법에 비하여 비용이 적게 들고 지속적인 광고가 가능한 인터넷 광고가 새로운 흐름으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인터넷 광고는 지역적 한계를 넘어서 수많은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그 자리에서 소비자들이나 이용자들의 구매 행위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기존의 TV나 지면 등을 이용한 오프라인 광고에 비해 탁월한 광고 효과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인터넷 광고 기법이 개발되어 실행되고 있으며, 특히 검색 광고 방식이 인터넷 광고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여기서 검색 광고 방식이란, 인터넷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 검색어를 포털의 검색창에 입력하면, 포털이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에 해당 광고 검색어에 관련된 여러 광고들이 나열되고, 인터넷 사용자가 나열된 광고들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광고에 링크된 광고주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광고 방식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사용자들이 접속하는 각종 인터넷 포털 등의 광고 대행사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는 다양한 정보들이 제공되고 있고, 일부 지면을 할애하여 광고들도 배너 형식으로 일부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존 온라인 광고는 배너를 클릭하면 랜딩페이지로 연결되는데, 이렇게 연결된 랜딩페이지에서는 인터넷 사용자의 주의를 끌어 클릭을 유도했던 배너를 잘 설명하지 못하거나, 연관성이 떨어지는 다른 내용이 나오는 경우에는 인터넷 사용자가 랜딩페이지를 닫아버린다. 그 결과 많은 노력 및 비용을 들여 가져온 인터넷 사용자의 트래픽을 허무하게 잃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배너나 여러 방식으로 유입되는 트래픽이 발생하였을 경우, 랜딩페이지에서 트래픽을 유도한 광고 대행 웹 페이지의 배너와 연관성 및 연속성을 부여하여 인터넷 사용자의 관심을 유지시킬 수 있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인터넷 사용자의 관심을 유지시킴으로써 인터넷 사용자의 관심을 파악하여, 타겟팅 함으로써 인터넷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광고를 광고 대행 웹 페이지에 노출시키는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57817호(2011.08.1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온라인 광고 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배너 등의 광고를 통하여 유발된 인터넷 사용자의 관심을 랜딩 페이지에서도 유지시킬 수 있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은, 광고대행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제공하는 광고대행 서버, 광고주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제공하는 광고주 서버,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로 링크되는 배너 또는 텍스트 형식의 제1 광고를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서 노출하고 상기 제1 광고에 연동하는 제2 광고를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서 노출하는 서비스 서버, 및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상기 제1 광고를 클릭하여 상기 제1 광고에 링크되는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1 광고를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서 노출하는 제1 광고 노출부, 상기 제2 광고를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서 노출하는 제2 광고 노출부, 및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 및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 링크되고 상기 제1 광고와 상기 제2 광고가 저장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광고 DB)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1 광고와 상기 제2 광고를 서로 연동시키고,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서 상기 제1 광고가 클릭될 경우, 상기 제1 광고에 연동된 상기 제2 광고를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2 광고 노출부에 명령하는 제2 광고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조건에 따라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 광고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제1 광고를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1 광고 노출부에 명령하는 제1 광고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 단말이 클릭한 상기 제1 광고 또는 상기 서비스 단말이 클릭한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의 내용을 통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광고가 더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2 광고가 소정 시간 이상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서 노출된 후, 상기 사용자 분석부가 분석한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추가 광고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추가 광고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2 광고 노출부에 명령하는 추가 광고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서 노출되는 상기 제1 광고의 상기 사용자 단말 화면 상에서의 모양과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서 노출되는 상기 제2 광고의 사용자 단말 화면 상에서의 모양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
이때, 상기 제1 광고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 접속한 기록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분석부가 분석한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 광고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광고 선택부는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 내의 복수 개의 상기 제1 광고 중에서 시간 정보를 포함한 상기 제1 광고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광고의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시기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에는 추출된 상기 제1 광고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광고 시스템에 의하면, 광고대행 웹 페이지의 광고와 광고주 웹 페이지의 광고를 서로 연동시켜 인터넷 사용자의 관심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넷 사용자의 접속 정보를 통하여 인터넷 사용자의 관심을 파악함으로써 광고 대행 웹 페이지에서 인터넷 사용자의 관심을 더욱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고주의 이벤트와 연관된 특정 기간에 인터넷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광고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시스템의 광고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DB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시스템의 진행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시스템에서 광고 및 데이터의 흐름을 표현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시스템에서 렌딩페이지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시스템에서 광고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에 대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광고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광고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광고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광고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10), 광고대행 서버(20), 광고주 서버(30) 및 사용자 단말(40)을 포함한다.
이때, 광고대행 서버(20)는 광고대행 웹 페이지(21)를 온라인(On-line) 상에 제공하고, 광고주 서버(30)는 광고주 웹 페이지(31)를 온라인 상에 제공하며, 서비스 서버(10)는 광고주 웹 페이지(31)로 링크되는 배너 또는 텍스트 형식의 제1 광고(A1)를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서 노출하고, 배너 또는 텍스트 형식의 제2 광고(A2)를 광고주 웹 페이지(31)에서 노출시킨다. 또한, 사용자 단말(40)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접속하고,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서 제공하는 제1 광고(A1)를 클릭하여 제1 광고(A1)에 링크되는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접속한다.
여기서, 광고대행 서버(20)는, 야후나 구글과 같이 검색, 전자 메일, 인터넷 쇼핑 등의 각종 서비스를 온라인상에서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인터넷 포털 서버, 온라인상에서 웹 페이지를 통해 각종 뉴스 정보를 제공하는 언론 매체 서버, 그리고 온라인상에서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을 제공하는 특정 개인이나 회사 서버 등을 포함하는데, 즉 일부 지면을 할애하여 배너 또는 텍스트 형식의 광고가 삽입되는 광고대행 웹 페이지(21)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괄하여 나타낸다.
또한, 광고대행 서버(20)는 인터넷 환경을 이용하여 자동적,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에 배너 또는 텍스트를 밀어 넣는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광고주 서버(30)는 아마존, 11번가, G마켓, 다나와, 쿠팡 등과 같이 인터넷 쇼핑, 온라인 서비스, 온라인 상에서 웹 페이지를 통해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서버, 그리고 온라인 상에서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을 제공하는 특정 개인이나 회사 서버 등을 포함하는데, 즉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유상 또는 무상으로 상품, 서비스 등의 정보 제공 및 홍보를 제공하며, 그와 함께 일부 지면을 할애하여 배너 또는 텍스트 형식의 광고가 삽입되는 광고주 웹 페이지(31)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괄하여 나타낸다. 이때, 광고주 웹 페이지(31)는 광고주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서비스 등의 정보 제공 및 홍보를 위한 웹 페이지로서 통상적으로 광고주에 의해 직접 관리된다.
제1 광고(A1)는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노출되어 광고주 웹 페이지(31)로 링크되는 배너 또는 텍스트 형식의 일반적인 온라인 광고로서 서비스 서버(10)에 의해 관리되고, 제2 광고(A2)는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노출되는 배너 또는 텍스트 형식의 일반적인 온라인 광고로서 서비스 서버(10)에 의해 관리된다. 즉, 광고 대행 웹 페이지(21) 및 광고주 웹 페이지(31)에는 서비스 서버(10)와 연결되는 스크립트(script)가 심어져 있어, 제1 광고(A1)와 제2 광고(A2) 및 추가 광고(A3)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광고(A1)와 제2 광고(A2)는 내용 및 사용자 단말 화면 상에 표시되는 디자인 면에서 서로 연동된다.
예를 들면, 제1 광고(A1)에서 '1+1=?' 이라는 배너를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노출시키는 경우 광고주 웹 페이지(31)에는 제2 광고(A2)는 '정답은 2' 라는 배너를 노출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화면 상에 표시되는 제1 광고(A1)의 디자인(모양)은 사용자가 제1 광고(A1)를 클릭하여 광고주 웹 페이지(31)로 랜딩된 후 표시되는 제2 광고(A2)의 디자인(모양)과 동일하며, 제1 광고(A1)와 제2 광고(A2)의 사용자 단말 화면 상에 표시되는 위치도 동일하다. 즉,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노출되는 제1 광고(A1)은 사용자의 클릭에 의하여 광고주 웹 페이지(31)로 랜딩되며, 광고주 웹 페이지(31)에는 제1 광고(A1)와 동일 위치에 동일한 디자인을 가지며 제1 광고(A1)와 내용 면에서 서로 연결되는 제2 광고(A2)가 노출된다.
광고는 인터넷 사용자들의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고, 이러한 광고는 서비스 서버(10)에 의해 제작되거나, 또는 광고주에 의해 직접 제작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40)은, 인터넷 사용자가 유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광고대행 웹 페이지(21) 및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유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PC, 노트북, PDA,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인터넷 사용자는 유무선 인터넷 접속 가능한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접속하고,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서 제공하는 제1 광고(A1)를 클릭하여 해당 제1 광고(A1)에 링크된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접속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는 제1 광고 노출부(11), 제2 광고 노출부(12), 제1 광고 선택부(13), 제2 광고 선택부(14), 사용자 분석부(15), 추가 광고 선택부(16), 광고 데이터베이스(17)(이하, '광고 DB' 라고 한다.) 및 사용자 DB(18)를 포함한다. 이때, 광고 DB(17)에는 복수 개의 서로 연관되는 제1 광고(A1)와 제2 광고(A2)가 저장되고, 광고주 웹 페이지(31)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정보가 포함된 제3 광고(A3)도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 DB(18)에는 사용자가 서비스 단말(40)을 통하여 접속한 기록 내역 및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내용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된다.
이때, 서비스 서버(10)에는 광고 DB(17)를 입력할 수 있는 관리자 사이트가 더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광고(A1)와 함께 제1 광고(A1)의 관련 사용자 데이터(D11), 관련 시간 데이터(D12), 관련 URL 데이터(D13) 등이 광고 DB(17)에 저장된다. 또한 제2 광고(A2)와 함께 제2 광고(A2)와 연동되는 제1 광고(A1)의 정보가 기록된 제1 광고 데이터(D21)가 광고 DB(17)에 저장된다. 또한 추가 광고(A3)와 함께 추가 광고(A3)의 관련 사용자 데이터(D31)가 광고 DB(17)에 저장된다.
이때, 관련 사용자 데이터(D11, D31)은 사용자 DB(18)와 연동되는 데이터이고, 관련 시간 데이터(D12)는 해당 제1 광고(A1)가 특정 시간 범위 내에 광고주 웹 페이지(31)에서 진행되는 행사(이벤트)와 관련된 경우 그 시간 범위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관련 URL 데이터(D13)는 특정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다. 제1 광고 데이터(D21)는 해당 제2 광고(A2)가 연동되는 제1 광고(A1)의 정보가 기록된다.
사용자 DB(18)에는 사용자 정보(UI)가 저장된다. 즉, 사용자 DB(18)에는 각각 사용자에 대한 관심 상품 데이터(D41), 관심 서비스 데이터(D42), 관심 키워드 데이터(D43), 접속 시간 데이터(D44), 접속 URL 데이터(D45) 및 사용자 분석 결과 데이터(D46) 등이 저장된다.
제1 광고 노출부(11)는 제1 광고(A1)를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노출시키고, 제2 광고 노출부(12)는 제2 광고(A2) 또는 추가 광고(A3)를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노출시킨다.
제1 광고 선택부(13)는 광고 DB(17)에 저장된 복수의 제1 광고(A1)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1 광고(A1)를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노출시키도록 제1 광고 노출부(11)에 명령한다.
한편, 제1 광고 선택부(13)는 제1 광고(A1)를 무작위(random)로 선택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 단말(40)이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접속하는 시간, 접속하는 목적, 접속하는 게시물에 표시된 키워드나 해시태그 등의 조건에 따라 제1 광고(A1)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광고 선택부(13)는 관련 URL 데이터(D13)를 통하여 해당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서 노출시키기 적합한 제1 광고(A1)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고 선택부(13)는 사용자가 접속한 현재 시각이 행사(이벤트)와 관련된 특정 시간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행사(이벤트)와 관련된 제1 광고(A1)를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노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광고 선택부(13)는 사용자가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접속하는 시각과 관련된 관련 시간 데이터(D12)를 검색하고, 이와 매칭되는 제1 광고(A1)가 있는 경우, 해당 제1 광고(A1)를 노출시키도록 제1 광고 노출부(11)에 명령한다.
또한 제1 광고 선택부(13)는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자 단말(40)을 통하여 제1 광고(A1)를 클릭한 기록이 있거나,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접속한 기록이 있는 경우에는 그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제1 광고(A1)를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노출시키도록 제1 광고 노출부(11)에 명령한다.
즉, 이전에 사용자가 제1 광고(A1)를 클릭한 기록이 있거나,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접속한 기록이 있는 경우, 제1 광고 선택부(13)는 사용자 DB(18)에서 해당 사용자를 검색하고, 사용자 DB(18)에 연동되는 관련 사용자 데이터(D11)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타겟팅(Targeting)된 제1 광고(A1) 중에서 하나를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노출시키도록 제1 광고 노출부(11)에 명령한다.
제2 광고 선택부(14)는 제1 광고(A1)와 제2 광고(A2)를 매칭시키고,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서 제1 광고(A1)가 클릭될 경우, 제2 광고(A2)를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노출시키도록 제2 광고 노출부(12)에 명령한다.
즉,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서 제1 광고(A1)가 클릭될 경우, 제2 광고 선택부(14)는 클릭된 제1 광고(A1)와 연동되는 제1 광고 데이터(D21)를 광고 DB(17)에서 검색하고, 해당 제1 광고 데이터(D21)를 가지고 있는 제2 광고(A2)를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노출시키도록 제2 광고 노출부(12)에 명령한다.
사용자 분석부(15)는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한다. 이때, 사용자 분석부(15)는 서비스 단말(40)을 통하여 사용자가 클릭한 제1 광고(A1)의 내용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내용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 DB(18)에 저장하며,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내용과 연관된 제1 광고(A1) 및 추가 광고(A3)를 사용자 DB(18)와 연동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 분석부(15)는 제1 광고(A1)의 내용 분석을 위하여, 제1 광고(A1)가 상품에 관한 내용인지 또는 서비스에 관한 내용인지 또는 특정 주제에 대한 키워드인지 등을 미리 분류한다. 또한 각각의 상품, 서비스, 특정 주제별 키워드에 대하여 상품군, 서비스군, 키워드군으로 나누어 미리 분류한다. 그 후, 사용자 분석부(15)는 사용자가 클릭한 제1 광고(A1)에 대하여 분류된 상품군 또는 서비스군 또는 키워드군을 통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내용이 무엇인지 분류하고 이를 관심 상품 데이터(D41) 또는 관심 서비스 데이터(D42) 또는 관심 키워드 데이터(D43)로 사용자 DB(18)에 저장하며, 관심 상품 데이터(D41) 또는 관심 서비스 데이터(D42) 또는 관심 키워드 데이터(D43)가 누적되면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 분석 결과 데이터(D46)를 생성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내용과 연관된 제1 광고(A1) 및 추가 광고(A3)에 사용자 DB(18)와 연동되는 관련 사용자 데이터(D11, D31)를 기록한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분석 결과 데이터(D46)는 계속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분석부(15)는 서비스 단말(40)을 통하여 사용자가 클릭한 광고주 웹 페이지(31)의 내용을 통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내용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 DB(18)에 저장하며,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내용과 연관된 제1 광고(A1) 및 추가 광고(A3)를 사용자 DB(18)와 연동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 분석부(15)는 사용자가 클릭한 광고주 웹 페이지(31)의 내용 분석을 위하여, 사용자가 클릭한 내용이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내용인지, 특정 주제에 대한 키워드인지 등을 미리 분류한다. 또한 각각의 상품, 서비스, 특정 주제별 키워드에 대하여 상품군, 서비스군, 키워드군으로 나누어 미리 분류한다. 그 후, 사용자 분석부(15)는 사용자가 클릭한 광고주 웹 페이지(31)의 내용에 대하여 분류된 상품군 또는 서비스군 또는 키워드군을 통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내용이 무엇인지 분류하고 이를 관심 상품 데이터(D41) 또는 관심 서비스 데이터(D42) 또는 관심 키워드 데이터(D43)로 사용자 DB(18)에 저장하며, 관심 상품 데이터(D41) 또는 관심 서비스 데이터(D42) 또는 관심 키워드 데이터(D43)가 누적되면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 분석 결과 데이터(D46)를 생성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내용과 연관된 제1 광고(A1) 및 추가 광고(A3)에 사용자 DB(18)와 연동되는 관련 사용자 데이터(D11, D31)를 기록한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분석 결과 데이터(D46)는 계속적으로 업데이트 가능하다.
추가 광고 선택부(16)는 제2 광고(A2)가 소정 시간 이상 광고주 웹 페이지(31)에서 노출된 후, 사용자 DB(18)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광고 DB(17)에 저장된 추가 광고(A3)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추가 광고(A3)를 노출시키도록 제2 광고 노출부(12)에 명령한다.
즉,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접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추가 광고 선택부(16)는 사용자 DB(18)에서 해당 사용자를 검색하고, 사용자 DB(18)에 연동되는 관련 사용자 데이터(D31)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타겟팅(Targeting)된 추가 광고(A3) 중에서 하나를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노출시키도록 제2 광고 노출부(12)에 명령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광고 시스템의 수행 과정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을 이용하여,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접속한다(S10).
사용자가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접속하면, 제1 광고 선택부(13)는 광고 DB(17)에 저장된 복수의 제1 광고(A1)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S20).
이때, 서비스 서버(10)의 제1 광고 선택부(13)는 사용자 DB(18)에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UI)가 있는지 검색한다. 이때, 접속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UI)가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관심 상품 데이터(D41), 관심 서비스 데이터(D42), 관심 키워드 데이터(D43), 사용자 분석 결과 데이터(D46) 등을 통하여 연동되는 제1 광고(A1)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제1 광고 선택부(13)는 사용자가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접속하는 시간 정보를 기록하고, 해당 시간 정보와 관련된 관련 시간 데이터(D12)를 검색하며, 이와 매칭되는 제1 광고(A1)가 있는 경우, 해당 제1 광고(A1)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고 선택부(13)는 사용자가 접속한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의 URL을 기록하고, 해당 URL과 관련된 관련 URL 데이터(D13)를 검색하며, 이와 매칭되는 제1 광고(A1)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1 광고 선택부(13)가 선택할 수 있는 제1 광고(A1)가 복수 개일 경우에는 선택의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고, 선택된 복수 개의 제1 광고(A1)를 무작위(random)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광고 선택부(13)가 선택할 수 있는 제1 광고(A1)가 없는 경우에는 광고 DB의 제1 광고(A1) 전체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다.
제1 광고 선택부(13)가 제1 광고(A1)를 선택하면, 제1 광고 노출부(11)가 선택된 제1 광고(A1)를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노출시킨다(S30).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제1 광고(A1)가 노출되면, 사용자의 클릭을 기다리고, 사용자가 소정 시간 동안 클릭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광고 선택부(13)는 제1 광고(A1)를 다시 선택한다(S40).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제1 광고(A1)이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을 이용하여 제1 광고(A1)을 클릭하면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서 광고주 웹 페이지(31)로 랜딩된다(S50).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을 통하여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접속하게 되면, 제2 광고 선택부(14)는 광고 DB(17)에 저장된 제2 광고(A2)를 선택한다(S60). 이때, 제2 광고 선택부(14)는 사용자가 클릭한 제1 광고(A1)와 서로 연동되는 제2 광고(A2)를 선택한다(S60).
제2 광고 선택부(14)가 제2 광고(A2)를 선택하면, 제2 광고 노출부(12)가 선택된 제2 광고(A2)를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노출시킨다(S70).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제2 광고(A2)가 노출된 후, 노출된 제2 광고(A2)가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된다(S80).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제2 광고(A2)가 노출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추가 광고 선택부(16)는 광고 DB(17)에서 추가 광고(A3)를 선택한다(S90).
이때, 서비스 서버(10)의 추가 광고 선택부(16)는 사용자 DB(18)에서 현재 접속 중인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UI)를 검색하고, 해당 사용자의 관심 상품 데이터(D41), 관심 서비스 데이터(D42), 관심 키워드 데이터(D43), 사용자 분석 결과 데이터(D46) 등을 통하여 이와 연동되는 추가 광고(A3)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추가 광고 선택부(16)가 추가 광고(A3)를 선택하면, 제2 광고 노출부(12)가 선택된 추가 광고(A3)를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노출시킨다(S100).
한편,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제1 광고(A1)가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0)을 이용하여 제1 광고(A1)을 클릭하면, 사용자 분석부(15)가 사용자를 분석한다(S200).
즉, 사용자 분석부(15)는 사용자가 클릭한 제1 광고(A1) 및 사용자가 광고주 웹 페이지(31)에서 클릭한 내용들을 기초로 사용자 DB(18)에 관심 상품 데이터(D41), 관심 서비스 데이터(D42), 관심 키워드 데이터(D43)를 기록하고, 사용자가 제1 광고(A1)를 클릭한 시간 및 사용자가 접속을 유지하는 시간을 접속 시간 데이터(D44)에 기록하며, 사용자가 접속했던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의 URL을 접속 URL 데이터(D45)에 기록한다. 또한, 사용자 분석부(15)는 관심 상품 데이터(D41), 관심 서비스 데이터(D42), 관심 키워드 데이터(D43), 접속 시간 데이터(D44) 및 접속 URL 데이터(D45)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가 어떤 상품, 서비스, 키워드에 관심을 가지고, 주로 접속하는 시간대가 언제이며, 어떠한 사이트를 통하여 접속하는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해당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광고들을 분석하여 사용자 분석 결과 데이터(D46)에 기록하고, 이를 광고 DB(17)의 관련 사용자 데이터(D11, D31)와 연동시킨다.
또한, 사용자 분석부(15)는 사용자가 광고주 웹 페이지(31)에서 클릭한 내역은 실시간으로 사용자 DB(18)에 업데이트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재분석하여 사용자 분석 결과 데이터(D46)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사용자 분석부(15)에서는 사용자 분석 결과 데이터(D46)를 기초로 URL 주소, 날짜, 기기환경, 시간대 설정, 노출조건 설정 등의 조건을 입력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맞춘 광고를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온라인 광고 시스템에 의하면,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 노출되는 제1 광고(A1)와 광고주 웹 페이지(31)에 노출되는 제2 광고(A2)가 내용 및 외형(디자인) 면에서 서로 연동되어, 제1 광고(A1)을 보고 호기심(관심)이 유발된 인터넷 사용자의 관심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넷 사용자의 접속 정보를 사용자 DB(18)에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 분석부(15)가 분석하여 제1 광고(A1)에 반영함으로써 광고대행 웹 페이지(21)에서 인터넷 사용자의 관심을 더욱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련 시간 데이터(D12)를 기록한 제1 광고(A1)를 광고주의 이벤트와 연관된 특정 기간(시간)에 노출시켜, 인터넷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광고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서비스 서버
11 : 제1 광고 노출부
12 : 제2 광고 노출부
13 : 제1 광고 선택부
14 : 제2 광고 선택부
15 : 사용자 분석부
16 : 추가 광고 선택부
17 : 광고 DB
18 : 사용자 DB
20 : 광고대행 서버
21 : 광고대행 웹 페이지
30 : 광고주 서버
31 : 광고주 웹 페이지
40 : 서비스 단말

Claims (10)

  1. 광고대행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제공하는 광고대행 서버;
    광고주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제공하는 광고주 서버;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로 링크되는 배너 또는 텍스트 형식의 제1 광고를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서 노출하고, 상기 제1 광고에 연동하는 제2 광고를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서 노출하는 서비스 서버; 및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상기 제1 광고를 클릭하여 상기 제1 광고에 링크되는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1 광고를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서 노출하는 제1 광고 노출부;
    상기 제2 광고를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서 노출하는 제2 광고 노출부; 및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 및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 링크되고, 상기 제1 광고와 상기 제2 광고가 저장되는 광고 데이터베이스(광고 D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제1 광고와 상기 제2 광고를 서로 연동시키고,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서 상기 제1 광고가 클릭될 경우, 상기 제1 광고에 연동된 상기 제2 광고를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2 광고 노출부에 명령하는 제2 광고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조건에 따라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 광고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제1 광고를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1 광고 노출부에 명령하는 제1 광고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
  5. 제2항에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서비스 단말이 클릭한 상기 제1 광고 또는 상기 서비스 단말이 클릭한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의 내용을 통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광고가 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2 광고가 소정 시간 이상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서 노출된 후, 상기 사용자 분석부가 분석한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추가 광고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추가 광고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2 광고 노출부에 명령하는 추가 광고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서 노출되는 상기 제1 광고의 상기 사용자 단말 화면 상에서의 모양과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서 노출되는 상기 제2 광고의 사용자 단말 화면 상에서의 모양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고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주 웹 페이지에 접속한 기록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분석부가 분석한 사용자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제1 광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고 선택부는,
    상기 광고 데이터베이스 내의 복수 개의 상기 제1 광고 중에서 시간 정보를 포함한 상기 제1 광고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광고의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시기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대행 웹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에는 추출된 상기 제1 광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
KR1020190141584A 2019-11-07 2019-11-07 온라인 광고 시스템 KR20210055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584A KR20210055300A (ko) 2019-11-07 2019-11-07 온라인 광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584A KR20210055300A (ko) 2019-11-07 2019-11-07 온라인 광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300A true KR20210055300A (ko) 2021-05-17

Family

ID=7615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584A KR20210055300A (ko) 2019-11-07 2019-11-07 온라인 광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53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803B1 (ko) 2022-01-05 2022-08-02 이정민 광고 및 안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230103134A (ko)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아티젠 Nft를 활용한 온라인 콘텐츠 게시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817B1 (ko) 2009-01-30 2011-08-19 양승무 광고 중인 상품 관련 컨텐츠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817B1 (ko) 2009-01-30 2011-08-19 양승무 광고 중인 상품 관련 컨텐츠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3134A (ko)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아티젠 Nft를 활용한 온라인 콘텐츠 게시방법
KR102427803B1 (ko) 2022-01-05 2022-08-02 이정민 광고 및 안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32660A1 (en) Provision of targeted content
US20170178203A1 (en) Link retrofitting of digital media objects
CN102084387B (zh) 根据在线用户配置文件选择并使用与该配置文件有关的电视节目或频道显示的定向电视广告
US9710436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modified website
US200502624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ual correlation of web document content
US20120331102A1 (en) Targeted Content Delivery for Networks
US201800683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media campaigns
McStay Profiling phorm: an autopoietic approach to the audience-as-commodity
JP4728149B2 (ja) 広告提示システムおよび広告提示方法
US2009028189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Advertising
KR20210055300A (ko) 온라인 광고 시스템
McStay Digital advertising and adtech: programmatic platforms, identity and moments
US8799070B1 (en) Generating synthetic advertisements for an electronic environment
KR101483618B1 (ko) 웹페이지의 쿠키정보 및 리퍼러 기록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26345B1 (ko) 내부 링크 기반 네이티브 광고 방법 및 장치
KR102583204B1 (ko) 핫키 등록을 이용한 광고 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1510A (ko) 빅데이터 기반 광고 플랫폼
Semerádová et al. Calculation of Facebook marketing effectiveness in terms of ROI
US8831977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lementing personalize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KR101812161B1 (ko) 사용자 개개인에게 제공된 광고 저장 서비스를 이용하여 광고 타겟팅을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Ahmed et al. SEARCH ENGINE OPTIMISATION: EVIDENCE FROM PAKISTAN.
Lal et al. An Analytical Study on the Correlation of Content and Placement Targeting: The Contextual Advertising-A Research Based Descriptive Study
KR101817584B1 (ko) 사용자 개개인에게 광고 저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Neethling Search engine optimisation or paid placement systems-user preference.
Sponder et al. Search Engines and the Int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