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029A - 겨드랑이 지지대가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겨드랑이 지지대가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5029A KR20210055029A KR1020210052744A KR20210052744A KR20210055029A KR 20210055029 A KR20210055029 A KR 20210055029A KR 1020210052744 A KR1020210052744 A KR 1020210052744A KR 20210052744 A KR20210052744 A KR 20210052744A KR 20210055029 A KR20210055029 A KR 202100550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armpit support
- armpit
- chair
- back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991 scapul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horizontal dir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2—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shell-shape seat and back-rest unit, e.g. having arm res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장시간 앉아 있어도 허리가 편안한 의자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좌판과 등판을 구비한 본체; 상기 등판의 배면 좌측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홀더; 상기 등판의 배면 우측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결합되는 제1 겨드랑이 지지대; 및 상기 제2 홀더에 결합되는 제2 겨드랑이 지지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좌판과 등판을 구비한 본체; 상기 등판의 배면 좌측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홀더; 상기 등판의 배면 우측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결합되는 제1 겨드랑이 지지대; 및 상기 제2 홀더에 결합되는 제2 겨드랑이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The Present Disclosure)는 의자와 관련된다.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어렵다. 자세가 흐트러지면 허리에 큰 부담이 갈 수 있다.
그에 따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039006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몇몇 의자에는 척추가 바로 세워지는데 도움을 주는 겨드랑이 지지대가 구비되기도 한다.
장시간 앉아 있어도 허리가 편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좌판과 등판을 구비한 본체; 상기 등판의 배면 좌측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홀더; 상기 등판의 배면 우측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결합되는 제1 겨드랑이 지지대; 및 상기 제2 홀더에 결합되는 제2 겨드랑이 지지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상기 등판의 좌측 가장자리에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겨드랑이 지지대를 수용하는 제3 홀더; 및 상기 등판의 우측 가장자리에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겨드랑이 지지대를 수용하는 제4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 각각은, 지름이 동일한 복수 개의 실린더가 계단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겨드랑이 지지대 및 상기 제2 겨드랑이 지지대 각각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1 마디; 상기 제1 마디의 상단에 구비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구비되고,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마디; 및 상기 제2 마디의 상단에 구비되고,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상기 제1 홀더, 상기 제2 홀더는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 사출 성형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앉을 경우,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대에 의하여, 허리가 세워지므로, 시간이 경과하더라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아 허리가 편안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대가 상체에 움임에 따라, 적절히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착석감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대가 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체중 이동에 따른 제1 겨드랑이 지지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변형 예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체중 이동에 따른 제1 겨드랑이 지지대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변형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의자(100)[이하 '의자(100)'라 한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의자(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각 방향의 정의) 구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전면', '배면', '좌(측)', '우(측)' 등]은 [도 1]을 기준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0)는 본체(110), 제1 홀더(120), 제2 홀더(130), 제1 겨드랑이 지지대(140) 및 제2 겨드랑이 지지대(15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110a)과,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110b)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합성수지 재질, 원목 재질, 금속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좌판(110a)과 등판(110b)은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제1 홀더(120)는 등판(110b)의 배면 좌측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된다.
제2 홀더(130)는 등판(110b)의 배면 우측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며, 등판(110b)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홀더(120)와 대칭을 이룬다.
제1 홀더(120)와 제2 홀더(130)는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때, 제1 홀더(120)와 제2 홀더(130)는 본체(1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1 겨드랑이 지지대(140)는 소정 길이를 갖고, 제1 홀더(12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좌측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2 겨드랑이 지지대(150)는 소정 길이를 갖고, 제2 홀더(13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우측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1 겨드랑이 지지대(140)와 제2 겨드랑이 지지대(150)는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겨드랑이 지지대(140)와 제2 겨드랑이 지지대(150)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제1 홀더(120)는 지름이 동일한 복수 개의 실린더(120a, 120b, 120c)가 계단 구조[등판(110b)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시작하여 등판(100b)의 중심을 향할수록 구비되는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고, 제2 홀더(130)는 지름이 동일한 복수 개의 실린더(130a, 130b, 130c)가 계단 구조[등판(110b)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시작하여 등판(100b)의 중심을 향할수록 구비되는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i) 사용자의 어깨가 넓고 키가 크면(예 : 성인), 제1 겨드랑이 지지대(140)와 제2 겨드랑이 지지대(150)를 최외측 실린더(120a, 130a)에 결합하면 되고, ii) 사용자의 어깨가 좁고 키가 작으면(예 : 아동), 제1 겨드랑이 지지대(140)와 제2 겨드랑이 지지대(150)를 최내측 실린더(120c, 130c)에 결합하면 된다.
제1 겨드랑이 지지대(140)는 제1 마디(141), 스프링(142), 제2 마디(143) 및 바(14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마디(141)는 소정 길이를 갖고, 실린더(130a, 130b, 130c)에 삽입되는 소경부(141a)와, 실린더(130a, 130b, 130c)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갖는 대경부(141b)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142)은 소정 길이를 갖고, 제1 마디(141)의 상단에 구비된다.
제2 마디(143)는 스프링(142)의 상단에 구비되며,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나의 예로서, 제2 마디(143)는 아우터 파이프(143a)와, 아우터 파이프(143a)의 내부에 구비되되 아우터 파이터(143a)의 상부로 인출 가능한 이너 파이프(143b) 및 아우터 파이프(143a)의 상부 둘레에 구비되고 아우터 파이프(143a)를 조여 이너 파이프(143b)가 아우터 파이프(143a)에서 소정 길이 인출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조임구(143c)로 구성될 수 있다.
바(144)는 제2 마디(143)의 상단에 구비되며, 좌판(100a)과 수평을 이룬다. 바(14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공학적인 곡선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직선 형태로 구성되어도 좋다.
제2 겨드랑이 지지대(150)도 제1 겨드랑이 지지대(140)와 동일하게, 제1 마디, 스프링, 제2 마디 및 바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의 체중 이동에 따른 제1 겨드랑이 지지대(140)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겨드랑이가 제1 겨드랑이 지지대(140)에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체를 앞으로 숙이면, 스프링(142)도 자연스럽게 휘어져, 바(144)가 겨드랑이에 계속적으로 밀착된다.
앞서 설명된 의자(100)에 앉을 경우,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대(140, 150)에 의하여, 허리가 세워지므로, 시간이 경과하더라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아 허리가 편안하다.
또한 의자(100)는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대(140, 15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대(140, 150)가 상체에 움임에 따라, 적절히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착석감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의자(100)는 한 쌍의 겨드랑이 지지대(140, 150)가 본체(110)에서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다.
도 4는 의자(100)의 변형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0)는 제3 홀더(160)와 제4 홀더(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홀더(160)는 등판(100b)의 좌측 가장자리에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며, 제1 겨드랑이 지지대(140)의 하부 일부분을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제4 홀더(170)는 등판(100b)의 우측 가장자리에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며, 제2 겨등랑이 지지대(150)의 하부 일부분을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제1 겨드랑이 지지대(140)[또는 제2 겨드랑이 지지대(150)]의 제2 마디(143)와 바(144)는 핀(145)에 의해 결합되어, 바(144)는 제2 마디(143)를 기준으로 틸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의자(100)의 사용자는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겨드랑이 지지대(140)와 제2 겨드랑이 지지대(150)를 제3 홀더(160)와 제4 홀더(170)에 결합한 후, 등을 스트레칭 하는 용도[특히 견갑골의 뭉침을 풀어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144)를 지면 방향으로 틸팅하여, 제1 겨드랑이 지지대(140)와 제2 겨드랑이 지지대(150)를 팔걸이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를 설명할 때 사용된 각종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은 본 개시의 본질적 기술사상을 독자에게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기 위한 도구적 목적으로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개시의 실시예(들)를 바탕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와 본질적 기술사상은 동일하지만 외관상으로는 차이가 있는 변형 실시예들을 무수히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기재된 일부 표현들에 의해 제한되어선 안 되고, 본 개시의 본질적 기술사상에 의거하여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00... 의자
110... 본체 / 100a... 좌판 / 100b... 등판
120... 제1 홀더
130... 제2 홀더
140... 제1 겨드랑이 지지대
150... 제2 겨드랑이 지지대
160... 제3 홀더
170... 제4 홀더
110... 본체 / 100a... 좌판 / 100b... 등판
120... 제1 홀더
130... 제2 홀더
140... 제1 겨드랑이 지지대
150... 제2 겨드랑이 지지대
160... 제3 홀더
170... 제4 홀더
Claims (5)
- 좌판과 등판을 구비한 본체;
상기 등판의 배면 좌측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홀더;
상기 등판의 배면 우측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홀더;
상기 제1 홀더에 결합되는 제1 겨드랑이 지지대; 및
상기 제2 홀더에 결합되는 제2 겨드랑이 지지대;를 포함하는,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 각각은, 지름이 동일한 복수 개의 실린더가 계단 구조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겨드랑이 지지대 및 상기 제2 겨드랑이 지지대 각각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는 제1 마디;
상기 제1 마디의 상단에 구비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구비되고,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마디; 및
상기 제2 마디의 상단에 구비되고, 겨드랑이를 지지하는 바;를 포함하는, 의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기 제1 홀더, 상기 제2 홀더는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의 좌측 가장자리에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겨드랑이 지지대를 수용하는 제3 홀더; 및
상기 등판의 우측 가장자리에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겨드랑이 지지대를 수용하는 제4 홀더;를 더 포함하는,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2744A KR20210055029A (ko) | 2021-04-23 | 2021-04-23 | 겨드랑이 지지대가 구비된 의자 |
KR1020220050840A KR20220146360A (ko) | 2021-04-23 | 2022-04-25 | 겨드랑이 지지대가 구비된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2744A KR20210055029A (ko) | 2021-04-23 | 2021-04-23 | 겨드랑이 지지대가 구비된 의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5029A true KR20210055029A (ko) | 2021-05-14 |
Family
ID=759154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2744A KR20210055029A (ko) | 2021-04-23 | 2021-04-23 | 겨드랑이 지지대가 구비된 의자 |
KR1020220050840A KR20220146360A (ko) | 2021-04-23 | 2022-04-25 | 겨드랑이 지지대가 구비된 의자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0840A KR20220146360A (ko) | 2021-04-23 | 2022-04-25 | 겨드랑이 지지대가 구비된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1005502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24339A1 (ko) * | 2022-05-16 | 2023-11-23 | 박장형 | 척추 이완용 의료기구 |
-
2021
- 2021-04-23 KR KR1020210052744A patent/KR20210055029A/ko unknown
-
2022
- 2022-04-25 KR KR1020220050840A patent/KR2022014636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24339A1 (ko) * | 2022-05-16 | 2023-11-23 | 박장형 | 척추 이완용 의료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6360A (ko) | 2022-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05934B2 (en) | Portable chair | |
US4948197A (en) | Child shampooing chair | |
AU772266B2 (en) | Chair | |
US8100469B2 (en) | Collapsible chair with curved back support | |
US4660887A (en) | Ergonomic support | |
US10602854B2 (en) | Method and system for footrest stretching device for convertible sofa seating unit | |
CN101410037A (zh) | 人体工学椅 | |
TW310268B (ko) | ||
US5244249A (en) | Lawn chair | |
KR20210055029A (ko) | 겨드랑이 지지대가 구비된 의자 | |
US5667274A (en) | Adjustable chair | |
US4241950A (en) | Folding chair | |
US20190387885A1 (en) | Portable folding seat with cushion attachment | |
JP5606767B2 (ja) | 椅子 | |
KR200464496Y1 (ko) | 다기능 낚시의자 | |
JP6161405B2 (ja) | 椅子 | |
JP2014046160A (ja) | オットマン付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 | |
KR20200000144U (ko) | 낚시의자 | |
KR20230009003A (ko) | 의자 시트 | |
JP6130732B2 (ja) | 椅子 | |
KR200438402Y1 (ko) | 의자 | |
KR20210065360A (ko) | 조립식 의자 | |
GB2141923A (en) | Folding chair | |
US5052755A (en) | Chair,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 |
KR200327969Y1 (ko) |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