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416A - The smart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quality and screening for plant - Google Patents

The smart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quality and screening for 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416A
KR20210054416A KR1020190140547A KR20190140547A KR20210054416A KR 20210054416 A KR20210054416 A KR 20210054416A KR 1020190140547 A KR1020190140547 A KR 1020190140547A KR 20190140547 A KR20190140547 A KR 20190140547A KR 20210054416 A KR20210054416 A KR 20210054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unit
image
smart
quality de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0963B1 (en
Inventor
안세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90140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963B1/en
Publication of KR2021005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4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9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5Objects on a convey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66Investigation of vegetal material, e.g. leaves, plants, fruits

Landscapes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A device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and selecting a quality of a smart 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shape analysis part that derives an external quality of a plant through scanning of the plant; a spectral analysis part that derives an internal quality of the plant by using a spectral image of the plant; and a plant body identification part wherein a grade information for the plant is discriminated based on the external and internal qualities of the plan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aving an effect of classifying plants.

Description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의 장치 및 방법{THE SMART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QUALITY AND SCREENING FOR PLANT}Device and method of smart plant quality judgment and selection {THE SMART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QUALITY AND SCREENING FOR PLANT}

본 발명은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묘를 통해 길러진 식물체의 내적 소질 및 외적 소질을 도출함으로써 식물체의 등급정보가 판별되는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lant quality discri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plant quality discri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in which the grade information of the plant is determined by deriv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properties of the plant grown through the seedling.

육묘는 농작물 생산의 전초 단계로 생산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하며, 육묘산업은 발전가능성이 매우 큰 미래 성장 동력 산업으로서 육묘와 재배의 분업화·전문화를 유도할 수 있는 원천사업인 동시에 발아, 접목·활착, 생장조절 및 병해충관리 등 재배관련 기술이 집대성되는 정밀산업이다.Seedling is an outpost of crop production and is important enough to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production, and the seedling industry is a future growth engine industry with very high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well as a source business that can induce division of labor and specialization of seedlings and cultivation, as well as germination, grafting and It is a precision industry in which cultivation-related technologies such as survival, growth control, and pest management are accumulated.

육묘는 국내 공정육묘장의 면적은 1997년 약 20ha에서 2010년 159ha로 약 8배 정도로 확대되었으며, 향후 면적은 2015년 187ha, 2020년 224ha로 크게 증가할 전망이므로 육묘시장 확대로 인한 우량묘 생산관리가 매우 중요하다.As for the seedling, the area of the domestic process nursery has expanded from about 20 ha in 1997 to 159 ha in 2010, about 8 times, and the area is expected to increase significantly to 187 ha in 2015 and 224 ha in 2020. very important.

그러나, 기후변화, 인건비 및 농자재 값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와 농촌 고령화에 따른 인력 수급의 어려움과 네덜란드 등 선진국 대비 육묘 생산 자동화 기술 부족 및 낙후된 육묘설비는 육묘산업 발전의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으며, 현재 당면한 육묘산업의 문제점 해결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의적용을 통한 육묘 생산성 및 자동화 향상이 가능한 지능형 스마트 육묘 기술 개발 필요하다.However, the increase in production costs due to climate change, rising labor costs and agricultural material prices, difficulties in the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due to the aging of rural areas, and the lack of automation technology for seedling production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Netherlands and lagging seedling facilities are acting as a major obstacle to the development of the seedling industry.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lligent smart seedling technology that can improve seedling productivity and auto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r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eedling industry at present and to continue development.

최대 2개월의 기간 내에 파종, 발아, 접목·활착, 생육조절, 병해충 관리, 저장, 수송 등 재배관련 모든 기술이 공장화된 일련의 프로세스로 집대성된 종합적 정밀산업으로 4차 산업의 주요 키워드인 ICBM과 AI, 로봇 적용의 가용성이 매우 높으며, 개별 스마트 육묘 요소 기술 개발 및 종합 검증을 위한 육묘 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육묘 과정에서 획득되는 데이터들을 축적함으로써 형성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식물의 표현형을 조사하는 표현체학(phenomics)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상 식물에 대한 개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ICBM is a comprehensive precision industry in which all technologies related to cultivation, such as sowing, germination, grafting and sedimentation, growth control, pest management, storage, and transport within a period of up to two months, are integrated through a series of factory-installed processes. The availability of application of AI and robots is very high, and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eedling management system for individual smart seedling element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mprehensive verification is continuously required.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phenomics, which investigates the phenotype of plants by analyzing big data formed by accumulating data acquired during the seedling process, individual analysis of target plants is required.

즉, 육묘 과정에서 식물의 내적 소질과 외적 소질을 분석하여 식물의 품질을 판별함으로써 우량묘를 선별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에는 식물을 사용자가 직접 관찰함으로써 식물의 소질을 판단하였다. 그러나, 사용자의 위와 같은 주관적 요소가 가미된 판단으로 식물을 선별하는 경우 사용자의 판단기준에 따른 차이로 인하여 분류된 식물이 실제로는 우량모가 아닐 수 있는 문제가 존재한다. In other words, it is an important factor to select good seedlings by determining the quality of plants by analyz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during the seedling process. In the past, the quality of plants was judged by directly observing plants. However, when the user selects plants with the above subjective factors ad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assified plants may not actually be good hair because of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user's determination criteria.

따라서, 식물의 엽면적 등과 같은 외적 소질 및 분광데이터에 기초한 내적소질 등 식물체의 품질을 구분하여 등급분류를 위한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technology for classification by classifying the quality of plants, such as external quality such as leaf area of plants, and internal quality based on spectral data.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98368호 (공개일자: 2001.11.0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98368 (Publication date: 2001.11.0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대한 일 대응방안으로써, 육묘를 거친 식물체에 대하여 외적 소질과 내적 소질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식물체를 분류할 수 있는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plant quality discri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capable of classifying plants by accurately determin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properties of plants that have undergone seedling, as a countermeasure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는 식물체에 대한 스캐닝을 통해 식물체의 외적 소질이 도출되는 형상분석부, 식물체에 대한 분광영상을 이용하여 식물체의 내적 소질이 도출되는 분광분석부 및 식물체의 외적 소질 및 내적 소질에 기초하여 식물체에 대한 등급정보가 판별되는 식물체판별부가 포함될 수 있다.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ape analysis unit in which the external quality of the plant is derived through scanning of the plant, and a spectral analysis in which the internal quality of the plant is derived using a spectral image of the plant. A plant discrimination unit may be included in which grade information for a pla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external and internal properties of the wealth and the plan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에는 형상분석부로 식물체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부, 식물체판별부에서 등급정보가 판별된 식물체를 분류하여 포장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투입부를 통해 공급된 식물체를 배출부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모듈이 구비된 이송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unit for supplying plants to the shape analysis unit, a discharge unit for classifying and discharging the plants whose grade information is determined in the plant body determination unit to the packaging unit, and an input unit. A transfer unit provided with a moving module for moving the plant supplied through to the discharge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에 있어서, 형상분석부에는 식물체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부, 식물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식별하기 위한 검출부 및 식별된 결과 획득된 점 군(point cloud)에 기초하여 식물체의 형상정보가 도출되는 형상분석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analysis unit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plant, a detection unit for identifying light reflected from the plant, and a point group obtained as a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A shape analysis module from which shape information of a plant is derived based on (point cloud)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에 있어서, 분광분석부에는 식물체에 대한 분광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분광센서 및 분광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파장대역 별 분광반사율에 기초하여 식물체의 정규화식생지수가 산출되는 분광분석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smart plant quality discri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troscopic analyzer includes a spectral sensor for obtaining a spectral image of the plant and a spectral reflectance for each wavelength band extracted from the spectral image to normalize the plant. A spectroscopic analysis module for calculating the vegetation index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방법은, 상기 초분광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스펙트럼의 평균으로부터 분광 라이브러리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reparing a spectral library from the average of the spectrum obtained from the hyperspectral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방법은, 상기 분광 라이브러리를 제작한 이후, 상기 식물체와 상기 육묘 과정을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matching the plant with the seedling process and transmitting it to a database after producing the spectral librar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육묘를 거친 식물체에 대하여 외적 소질과 내적 소질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식물체를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classifying the plant by accurately determining the external quality and the internal quality of a plant that has undergone seedl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장치에 있어서, 형상분석부에서 식물체의 외적 소질이 도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장치에 있어서, 분광분석부에서 식물체의 내적 소질이 도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nd selecting the quality of a smart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an external quality of a plant is derived from a shape analysis unit in a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internal quality of a plant is derived by a spectroscopic analysis unit in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selected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possible while taking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considera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of the ter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a simpl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10 may be provided.

본 명세서에서 식물체(50)란 그 자체는 물론, 식물체의 일부, 식물 조직 또는 식물 세포를 포함하며, 육묘과정에서의 모종 등 재배를 위한 식물 및 나무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재배의 유형에도 관계없는데 예를 들면 분화재배에 따른 분화식물도 상기 식물체에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lant 50 includes not only a part of the plant itself, a plant tissue, or a plant cell, and all plants and trees for cultivation such as seedlings in a seedling process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type of cultivation is also irrelevant. For example, differentiated plants according to differentiation cultivation may be included in the plant.

뿐만 아니라, 재배를 위한 목적이 아니라도 관계없이 식물체에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더불어, 상기 식물체는 형질 전환 등의 인공적 조작에 의해 만들어진 식물로 자연계에 원래 존재하지 않는 식물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included in the plant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cultivation. In addition, the plant is a plant produced by artificial manipulation such as transformation, and may include plants that do not exist originally in the natural worl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10)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1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10)는 식물체(50)에 대한 스캐닝을 통해 식물체(50)의 외적 소질이 도출되는 형상분석부(100), 식물체(50)에 대한 분광영상(212)을 이용하여 식물체(50)의 내적 소질이 도출되는 분광분석부(200) 및 식물체(50)의 외적 소질 및 내적 소질에 기초하여 식물체(50)에 대한 등급정보가 판별되는 식물체판별부(300)가 포함될 수 있다.1 and 2,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ape analysis unit in which the external quality of the plant 50 is derived through scanning of the plant 50 (100), using the spectral image 212 of the plant 50, based on the spectral analysis unit 200 and the internal quality of the plant 50, the internal quality of the plant 50 is derived, and the plant ( 50) may be included in the plant determination unit 300 for determining the grade informa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10)는 파종과정, 생육과정, 접목과정, 활착과정 등의 소정의 기간 동안 육묘과정을 거쳐 옮겨 심기에 적합한 묘 또는 모의 외적 소질과 내적 소질을 고려하여 우량묘를 선별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That is,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seedling or simulated external product for transplanting through a seedling proces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uch as a sowing process, a growth process, a grafting process, and a cultivation process. It refers to a device that selects good seedlings in consideration of quality and inner quality.

상기 식물체(50)는 옮겨심기 위하여 가꾼 씨앗의 싹으로 묘 혹은 모를 지칭하며, 씨앗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The plant 50 refers to a seedling or a seedling as a bud of a seed cultivated for transplantation,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seed.

또한, 상기 외적 소질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식물체(50)의 형상에 관한 특징으로, 외적 소질에는 식물체(50)의 엽면적, 초장, 마디 수, 옆폭, 옆장 등이 포함되며, 내적 소질은 식물체(50)의 활력 정도와 같은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특징으로, 내적 소질에는 식물체(50)의 분광반사율, 정규화식생지수, 병충해 정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quality is a feature related to the shape of the plant body 50 as described later, and the external quality includes the leaf area, plant height, number of nodes, side width, side length, etc. of the plant body 50, and the inner quality is the plant body 50 ), such as the degree of vitality, and the internal quality may include the spectral reflectance of the plant 50, the normalized vegetation index, and the degree of pest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10)에는 형상분석부(100)로 식물체(50)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부, 식물체판별부(300)에서 등급정보가 판별된 식물체(50)를 분류하여 포장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투입부를 통해 공급된 식물체(50)를 배출부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모듈이 구비된 이송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for supplying the plant body 50 to the shape analysis unit 100, and the grade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the plant body determination unit 300 A discharging unit for classifying and discharging the plant 50 to the packaging unit, and a transfer unit having a moving module for moving the plant 50 supplied through the input unit to the discharging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투입부에서는 일정한 방향으로 상기 식물체(50)가 이송모듈로 공급될 수 있다. 즉, 투입부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식물체(50) 혹은 식물체(50)가 담겨진 식물체포트가 이송모듈로 투입되도록 정렬되어 이동될 수 있다.The plant 50 may be supplied to the transfer modu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rom the input unit. That is, in the input unit, the plant body 50 or the plant body port containing the plant body 50 may be aligned and moved to be introduced into the transfer modul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상기 배출부에서는 식물체판별부(300)에서 등급정보가 판별된 식물체(50)를 분류하여 포장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배출부에서는 식물체(50)의 외적 소질 및 내적 소질을 고려하여 분류된 식물체(50)가 복수개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며 각각의 수거소로 이송될 수 있다. In the discharge unit, the plant body 50 whose grade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the plant body determination unit 300 may be classified and discharged to the packaging unit. That is, in the discharge unit, the plants 50 class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50 form a plurality of movement paths and may be transferred to each collection point.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등급으로 분류된 식물체(50)는 A등급 수거소(510)로, B등급으로 분류된 식물체(50)는 B등급 수거소(520)로, C등급으로 분류된 식물체(50)는 C등급 수거소(530)로 각각 개별적인 경로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상기 A, B, C와 같은 등급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다양한 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1, plants 50 classified as A grade are classified as A grade collection stations 510, plants 50 classified as B grade are classified as B grade collection stations 520, C The plants 50 classified into grades may be moved to the C grade collection points 530 through individual routes. However, the grades A, B, and C are merely exemplary and may be set to various grades.

상기 이송부에는 이동모듈 뿐 아니라, 이동모듈을 동작시키도록 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 및 상기 이동모듈 및 구동모듈이 구비되는 이송구조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모듈은 컨베이어(conveyor) 방식으로 구동되는 이송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모듈에는 컨베이어의 동작을 위한 복수의 풀리 및 벨트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moving module, the transf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e module providing power to operate the moving module, and a transfer structure including the moving module and the drive module. The moving module may correspond to a conveying device driven by a conveyor method. That is, the mov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ulleys and belts for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이하 상술한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10)를 이용하여 식물 품질을 판별 및 선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determining and selecting plant quality using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1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3 shows a flow chart of a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방법은, 상기 식물체(50)를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의 움직임이 시작되는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S10); 상기 식물체(50)에 대한 외적 소질이 저장된 듀얼 라이다 데이터 또는 내적 소질이 저장된 초분광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20); 및 상기 듀얼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3D 메쉬를 산출하거나, 상기 초분광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상기 식물체(50)에 대한 육묘 과정을 분석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method, the step of recording the start time of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plant (50) (S10); Obtaining dual lidar data in which external traits for the plant 50 are stored or hyperspectral images in which inner traits are stored (S20); And calculating a 3D mesh from the dual lidar data or analyzing a spectrum obtained from the hyperspectral image to analyze a seedling process for the plant 50 (S30).

상기 식물체(50)를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의 움직임이 시작되는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S10)는, 이송 컨베이어가 대기 상태에서 작동이 이루어지는 시점부터 시간을 기록하는 과정이다. 이송 컨베이어는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며, 시간과 속도를 바탕으로 스캔되는 식물체(50)를 확인할 수 있다.The step (S10) of recording the time at which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plant 50 starts (S10) is a process of recording the time from the point at which the transport conveyor operates in a standby state. The transfer conveyor moves at a constant speed, and the scanned plant 50 can be checked based on time and speed.

상기 식물체(50)에 대한 외적 소질이 저장된 듀얼 라이다 데이터 또는 내적 소질이 저장된 초분광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20)는, 식물의 엽면적 등과 같은 외적 소질 및 분광데이터에 기초한 내적소질 등 식물체(50)의 품질을 구분하는 과정이다. The step (S20) of acquiring dual lidar data in which the external trait is stored for the plant 50 or a hyperspectral image in which the inner trait is stored (S20) includes an external trait such as a leaf area of a plant, and an inner trait based on spectral data. This is the process of classifying the quality of ).

상기 듀얼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3D 메쉬를 산출하거나, 상기 초분광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상기 식물체(50)에 대한 육묘 과정을 분석하는 단계는, 측정된 초분광 반사광 및 형상 정보를 분석하여 우량 식물체(50)를 판별하고, 진단 결과 데이터를 출력 또는 전송하는 과정이다. The step of calculating a 3D mesh from the dual lidar data or analyzing the spectrum obtained from the hyperspectral image to analyze the seedling process for the plant 50 may include analyzing the measured hyperspectral reflected light and shape information to provide a superior plant body. This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50) and outputting or transmitting the diagnosis result data.

이 과정에서, 상기 초분광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스펙트럼의 평균으로부터 분광 라이브러리를 제작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광 라이브러리를 제작한 이후, 상기 식물체(50)와 상기 육묘 과정을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it may include the step (S30) of producing a spectral library from the average of the spectrum obtained from the hyperspectral image. After the production of the spectral library, the step of matching the plant 50 and the seedling process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o a database.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형상분석부(100)와 분광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4 및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is reg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ape analysis unit 100 and a spectroscopic analysis unit may be included, and ea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10)에 있어서, 형상분석부(100)에서 식물체(50)의 외적 소질이 도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external quality of the plant 50 is derived by the shape analysis unit 100 in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10)에 있어서, 형상분석부(100)에는 식물체(50)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부(110), 식물체(50)로부터 반사된 광을 식별하기 위한 검출부(120) 및 식별된 결과 획득된 점 군(point cloud)에 기초하여 식물체(50)의 형상정보가 도출되는 형상분석모듈(130)이 포함될 수 있다.4, in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analysis unit 100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110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plant 50, A detection unit 120 for identify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plant 50 and a shape analysis module 130 for deriving shape information of the plant 50 based on the point cloud obtained as a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may be included. have.

상기 광원부(110) 및 검출부(120)는 대상체를 스캔하기 위한 스캔센서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원부(110)와 검출부(120)는 라이다 센서에 해당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unit 110 and the detection unit 120 may correspond to scan sensors for scanning an object.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110 and the detection unit 120 may correspond to a lidar sensor.

라이다 센서는 빛을 대상체에 비춤으로써 대상체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지칭한다. 즉, 상기 광원부(110) 및 검출부(120)는 2차원 라이다 센서 또는 3차원 라이다 센서에 해당될 수 있다. The lidar sensor refers to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distance, direction, speed, temperature, material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to the object by shining light on the object. That is, the light source unit 110 and the detection unit 120 may correspond to a two-dimensional lidar sensor or a three-dimensional lidar sensor.

본 발명의 스마트 육묘 선별 장치에서 상기 광원부(110) 및 검출부(120)는 식물체(50)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3차원 라이다 센서임이 바람직하다.In the smart seedling s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unit 110 and the detection unit 120 are preferably 3D lidar sensors for acquiring 3D shape information for the plant 50.

즉, 라이다 센서를 통해 상기 광원부(110)로부터 조사된 광이 식물체(50)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되어 점 군(point cloud)에 해당되는 스캔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캔정보는 하나의 라이다 센서에 의한 개별적인 스캐닝을 통하거나 복수개의 라이다 센서를 통해 취득된 데이터가 조합된 데이터에 해당될 수 있다. That i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10 through the lidar sensor is reflected from the plant 50 and detected, so that sca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int cloud may be obtained. In addition, the scan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data in which data obtained through individual scanning by one lidar sensor or data acquired through a plurality of lidar sensors are combined.

즉, 상기 스캔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이다 센서에 의한 스캐닝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That is, the sca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scanning by at least one lidar sensor.

상기 스캔센서로 라이다 센서를 대신하여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형광센서, 열화상센서, 적외선센서, 근적외선센서, CCD 이미지센서, 초음파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Various sensors may be used in place of the lidar sensor as the scan sensor. For example, a fluorescence sensor, a thermal image sensor, an infrared sensor, a near infrared sensor, a CCD image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the like can be used.

즉, 상기 형광센서, 열화상센서, 적외선센서, 근적외선센서, CCD 이미지센서, 초음파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식물체(50)의 형상을 추출할 수도 있다.That is, the shape of the plant 50 may be extracted using at least one of the fluorescence sensor, thermal image sensor, infrared sensor, near infrared sensor, CCD image sensor, and ultrasonic sensor.

3차원 스캐닝을 통한 점 군이 획득된 이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록 껍질(convex hull)이 추출되고, 상기 볼록 껍질로부터 형상모델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볼록 껍질은 유클리드 공간 상에서 점이나 영역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볼록 집합(convex set)을 지칭한다. 또한, 상기 형상모델(135)은 3차원 메쉬(mesh) 구조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메쉬는 하나의 객체(Ex. 식물체(50))를 점, 선,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3차원으로 표현하기 위한 단위를 지칭한다.After the point group is acquired through 3D scanning, at least one convex hull may be extracted, and a shape model may be generated from the convex hull. The convex hull refers to the smallest convex set including points or regions in Euclidean space. In addition, the shape model 135 may be generated in a three-dimensional mesh structure. The mesh refers to a unit for expressing one object (Ex. plant 50) in three dimensions based on at least one of a point, a line, and a plane.

상기와 같이 생성된 형상모델(135)을 이용하여 식물체(50)의 형상정보가 도출(S130)될 수 있다. 상기 형상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식물체(50)의 초장, 잎장, 잎폭 및 엽면적, 마디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plant 50 may be derived (S130) using the shape model 135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and leaf area, and number of nodes of the plant body 50.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과정에 따라 도출된 식물체(50)의 초장, 잎장, 잎폭, 엽면적, 마디 수와 같은 형상데이터(100)를 이용하여 식물체(50)의 외적 소질을 파악할 수 있다.The user can grasp the external quality of the plant 50 by using shape data 100 such as the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leaf area, and number of nodes of the plant body 50 derived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상기 형상분석부(100)에는 제 1 하우징(1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하우징(170)의 소정의 위치에는 광원부(110) 및 검출부(12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170)은 상기 이동모듈의 특정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hape analysis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housing 170. As shown in FIG. 1, a light source unit 110 and a detection unit 120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housing 170, and the first housing 170 surrounds a specific portion of the moving module. It can be formed in a shape.

즉, 상기 제 1 하우징(170)은 이동모듈의 상단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식물체(50)가 이동모듈을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로가 제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단면에 광원부(110) 및 검출부(120)가 하우징의 하단을 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housing 170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moving module to provide a passage for allowing the plant 50 to be moved through the moving modul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light source unit 110 and the detection unit 120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o as to face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형상분석부(100)에는 제 1 수거소(190)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형상분석부(100)에서 도출된 식물체(50)의 외적 소질에 대하여 소정의 기준형상정보를 충족하지 못하는 식물체(50)는 제 1 수거소(190)로 분리되어 수거될 수 있다. 즉, 식물체(50)가 기형인 경우 제 1 수거소(190)로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ollection point 19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shape analysis unit 100. Plants 50 that do not meet predetermined reference shape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quality of the plant 50 derived from the shape analysis unit 100 may be separated and collected by a first collection point 190. That is, when the plant body 50 is deformed, it may be separated into the first collection point 190.

예를 들면, 형상분석모듈(130)을 통해 초장, 엽면적, 마디 수가 도출된 식물체(50)에 대하여, 기준형상정보(Ex. 기준 초장 범위, 기준 엽면적 범위 및 기준 마디 범위)를 충족하는지 여부가 추가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plant 50 from which the plant height, leaf area, and number of nodes are derived through the shape analysis module 130, whether or not it satisfies the reference shape information (Ex. It can be judged additionally.

만약 식물체(50) a의 초장, 엽면적, 마디 수가 기준 초장 범위, 기준 엽면적 범위 및 기준 마디 범위를 모두 벗어나는 경우 상기 식물체(50) a는 기형으로 분리되어 제 1 수거소(190)로 이동될 수 있다. If the plant 50, a leaf area, and the number of nodes are out of the reference plant length range, the reference leaf area range, and the reference node range, the plant body 50 a may be separated into a deformity and moved to the first collection point 190. have.

이와는 달리, 식물체(50) b의 초장, 엽면적은 기준 초장 범위 및 기준 엽면적 범위를 충족하나 마디 수가 기준 마디 범위만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기형으로 분류되지 않아 제 1 수거소(190)로 분리되지 않고 후술하는 내적 소질을 판단하기 위한 분광분석부(200)로 이동될 수 있다. On the contrary, if the plant 50 and leaf area b meets the standard plant length range and the reference leaf area range, but the number of nodes does not meet only the reference node range, it is not classified as a deformity and is not separated into the first collection point 190. It may be moved to the spectroscopic analysis unit 200 for determining the inner quality to be described later.

다만, 전술한 식물체(50)의 기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식물체(50)의 기형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lant body 50 is deformed is merely exemplary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ther or not the plant body 50 is deformed may be determined by various methods.

예를 들면, 상기 형상분석부(100)에는 기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 1 영상센서(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하우징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상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MOS Image Sensor)와 같은 이미지센서를 이용하는 촬영장치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shape analysis unit 100 may additionally include a first image sensor (not show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de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The first image sensor may be a photographing device using an image sensor such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MOS image sensor (CIS).

상기 형상분석부(100)에서는 상기 제 1 영상센서를 통해 획득된 식물체(50)의 제 1 영상에 대하여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에서 식물체(50)의 픽셀 수를 도출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개의 영역 별 상기 픽셀 수의 비율에 따라 기형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The shape analysis unit 100 divides the first image of the plant 50 obtained through the first image sensor into a plurality of regions, derives the number of pixels of the plant 50 from the divided regions, and Whether or not it is deform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ratio of the number of pixels for each of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즉, 제 1 영상센서를 통해 획득된 제 1 영상의 식물체(50)에 대한 픽셀 수에 기초하여 기형 여부가 판단됨으로써 제 1 수거소로 분리될 식물체(50)가 결정될 수 있다.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lant is deformed based on the number of pixels of the plant 50 of the first image acquired through the first image sensor, so that the plant 50 to be separated into the first collection point may be determin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에 있어서, 분광분석부에서 식물체(50)의 내적 소질이 도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of deriving the inner quality of the plant 50 by the spectroscopic analysis unit in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10)에 있어서, 분광분석부(200)에는 식물체(50)에 대한 분광영상(212)을 획득하기 위한 분광센서(210) 및 분광영상(212)으로부터 추출된 파장대역 별 분광반사율에 기초하여 식물체(50)의 정규화식생지수가 산출되는 분광분석모듈(220)이 포함될 수 있다.5, in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troscopic analysis unit 200 includes a spectroscopic image for obtaining a spectroscopic image 212 of the plant 50. A spectroscopic analysis module 220 for calculating the normalized vegetation index of the plant 50 based on the spectral reflectance for each wavelength band extracted from the sensor 210 and the spectral image 212 may be included.

상기 분광센서(210)에는 다분광 영상센서(multispectral sensor), 초분광 영상센서(hyperspectral sens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장치(10)에서 상기 분광센서(210)는 초분광 영상센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spectral sensor 210 may include a multispectral sensor, a hyperspectral sensor, and the like. However, in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tral sensor 210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hyperspectral image sensor.

상기 초분광 영상센서는 전자기파로 대상물에 반사되거나 대상물이 방사되는 전자기파를 수백개 이상의 연속된 분광파장으로 기록하는 센서를 지칭한다. 또한, 상기 초분광 영상센서로 얻어지는 연속된 분광파장의 자료는 지표와 식생의 다양한 대상물의 탐지에 활용될 수 있다.The hyperspectral image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records an electromagnetic wave reflected by an object as an electromagnetic wave or radiated from an object as a continuous spectral wavelength of several hundred or more. In addition, data of a continuous spectral wavelength obtained by the hyperspectral image sensor can be used for detection of various objects of land and vegetation.

상기 분광영상 대신에 다양한 영상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영상데이터에는 형광영상, 열화상영상, 적외선영상, 근적외선영상, CCD영상, 초음파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식물체(50)의 내적 소질을 판단하기 위하여 형광영상, 열화상영상, 적외선영상, 근적외선영상, CCD영상, 초음파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Various image data may be used instead of the spectral image. The image data may include a fluorescent image, a thermal image, an infrared image, a near infrared image, a CCD image, an ultrasonic image, and the like. That is, at least one of a fluorescence image, a thermal image, an infrared image, a near infrared image, a CCD image, and an ultrasonic image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inner quality of the plant 50.

상기와 같은 분광센서(210)를 통해 획득되는 분광영상(212)은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식물체(50)의 연속적인 분광반사율가 저장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과정에서 획득된 형상정보도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The spectroscopic image 212 obtained through the spectroscopic sensor 210 a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in a database (not shown). That is, the continuous spectral reflectance of the plant 50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In addition, the shape information obtained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also be stored in the database.

즉, 상기 분광영상(212)이란 초분광 영상센서(hyperspectral sensor)와 같은 분광 영상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을 지칭한다. 다시 말하면, 초분광 영상센서를 이용하여 식물체(50)에 대한 분광영상(212)이 획득될 수 있고, 상기 분광영상(212)은 식물체(50)에 대한 복수의 파장대역 별 분광반사율에 기초하여 생성된 영상에 해당될 수 있다. That is, the spectroscopic image 212 refers to an image acquired using a spectroscopic image sensor such as a hyperspectral sensor. In other words, a spectral image 212 of the plant 50 may be obtained using the hyperspectral image sensor, and the spectral image 212 is based on the spectral reflectance of the plant 50 for each of a plurality of wavelength bands. It may correspond to the generated image.

상기 파장대역에는 가시광선 영역의 Red 파장대역(600nm ~ 700nm), Blue 파장대역(400nm ~ 500nm), Green 파장대역(500nm ~ 600nm), 근적외선(NIR) 파장영역(750nm ~ 900n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wavelength band may include a red wavelength band (600nm ~ 700nm), a blue wavelength band (400nm ~ 500nm), a green wavelength band (500nm ~ 600nm), a near-infrared (NIR) wavelength range (750nm ~ 900nm), etc. have.

다만, 전술한 파장대역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파장대역에 기초하여 분광영상(212)이 생성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wavelength band is merely exempl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pectroscopic image 212 may be generated based on various wavelength bands according to a user's purpose and use.

또한, 상기 분광영상(212)은 색공간 변환, 이진화 처리, 마스킹 처리 등과 같은 전/후처리가 부가적으로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즉, 분광영상(212)에 대하여 색공간 변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ectral image 212 may additionally perform pre/post processing such as color space conversion, binarization processing, masking processing, and the like. That is, a color space conversion process may be performed on the spectral image 212.

상기 획득된 분광영상(212)으로부터 빛의 특성을 이용해 색상을 표현하는 RGB 색공간에 관련된 정보가 획득될 수 있고, 상기 RGB 데이터에 대하여 영상 처리를 주목적으로 하는 HSL 색공간으로 변환될 수 있다. Information related to an RGB color space expressing colors using light characteristics may be obtained from the obtained spectral image 212, and the RGB data may be converted into an HSL color space for the purpose of image processing.

즉, 상기 색공간 변환 과정을 거쳐 RGB 픽셀 데이터로부터 색상(Hue), 채도(Saturation) 및 명도(Lightness)에 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That is, information on hue, saturation, and lightness may be obtained from RGB pixel data through the color space conversion process.

상기 색공간 변환에 따라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분광영상(212)의 이진화가 수행될 수 있다. 영상 이진화와 관련하여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츠 방법(Otsu method)에 따라 획득된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분광영상(212)이 이진화될 수 있다. 상기 오츠 방법은 이미지 히스토그램에 대하여 이미지를 두 개의 클래스로 가장 적합하게 분할할 수 있는 임계값을 찾기 위한 방법을 지칭한다. The binarization of the spectral image 212 may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obtained according to the color space conversion. Various known methods can be applied in relation to image binarization. For example, the spectral image 212 may be binarized based on a threshold value obtained according to the Otsu method. The Otsu method refers to a method for finding a threshold value for optimally dividing an image into two classes for an image histogram.

즉, 임계값 T를 기준으로 영상정보 데이터(Ex. 픽셀 값, 명도 등)에 대하여 두 개의 클래스로 분류하였을 때, 두 개의 클래스 간 분산(between-class variance) 값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임계값 T를 찾는 방법을 지칭한다. That is, when the image information data (ex. pixel value, brightness, etc.) is classified into two classes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T, the threshold value T that maximizes the value of the between-class variance. Refers to how to find.

전술한 오츠 방법을 이용하여 분류를 위한 임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분광영상(212)이 이진화됨에 따라 이진화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As the spectral image 212 is binarized based on a threshold for classification using the aforementioned Otsu method, a binarized image may be generated.

이후에는, 상기 생성된 이진화영상에 대하여 영상 마스킹이 수행됨에 따라 마스킹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영상 마스킹(masking)과 관련하여 공지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진화영상에서 식물체(50)만이 표현되도록 마스킹이 수행됨에 따라 마스킹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Thereafter, as image masking is performed on the generated binarized image, a masked image may be generated. A known method may be applied in relation to image masking, and a masking image may be obtained as masking is performed so that only the plant 50 is represented in the binarized image.

즉, 분광영상(212)에 대하여 식생 부분만 추출하고, 나머지 부분(Ex. 배경 등)은 숨겨지도록 마스킹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That is, a masking process may be performed so that only vegetation portions are extracted from the spectroscopic image 212 and the remaining portions (Ex. background, etc.) are hidden.

다음으로, 분광영상(212)에 대하여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정규화식생지수(NDVI)가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정규화식생지수는 근적외선(NIR) 영역과 가시광선 영역 사이에 발생되는 분광 차이에 기초하여 식물체(50)에 대한 식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지수에 해당된다. Next, the normalized vegetation index (NDVI) may be derived through spectrum analysis of the spectral image 212. The normalized vegetation index corresponds to an index for grasping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50 based on the spectral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near-infrared (NIR) region and the visible ray region.

상기 정규화식생지수는 식물체(50)에 대한 식생 활력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지수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획득된 정규화식생지수를 이용하여 식물체(50)의 활력 정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분광영상(212)에 대하여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병충해 감염 여부가 도출될 수 있다.The normalized vegetation index may be used as an index to indicate the degree of vegetation vitality for the plant 50. That is, the user may acqui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gree of vitality of the plant 50 by using the obtained normalized vegetation index.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rive whether the spectral image 212 is infected with a pest or not through spectrum analysis.

또한, 상기 분광분석부(200)에는 제 2 하우징(2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하우징(270)의 소정의 위치에는 분광센서(21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하우징(270)은 상기 이동모듈의 특정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housing 27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spectroscopic analysis unit 200. As shown in FIG. 1, a spectroscopic sensor 210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cond housing 270, and the second housing 270 may be formed to surround a specific portion of the moving module. I can.

상기 제 2 하우징(270)은 이동모듈의 상단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식물체(50)가 이동모듈을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로가 제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단면에 분광센서(210)는 물론 추가적인 조명부가 하우징의 하단을 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The second housing 270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oving module to provide a passage for allowing the plant 50 to be moved through the moving modul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 spectroscopic sensor 210 as well as an additional lighting unit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o as to face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상기 조명부(205)는 상기 분광센서(210)을 이용하여 분광영상(212)을 촬영함에 있어서 광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조명부(205)에는 LED램프, krypton램프와 같은 조명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The lighting unit 205 serves as a light source in photographing the spectral image 212 using the spectral sensor 210, and the lighting unit 205 may include lighting devices such as an LED lamp and a krypton lamp.

또한, 상기 분광분석부(200)에는 제 2 수거소(290)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분광분석부(200)에는 제 2 영상센서(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상기 제 2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collection station 29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spectroscopic analysis unit 200. To this end, a second image senso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spectroscopic analyzer 200 inside the second housing.

제 2 영상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MOS Image Sensor)와 같은 이미지센서를 이용하는 촬영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상센서를 통해 획득된 제 2 영상은 식물체(50)의 지상부 영상으로, 상기 분광분석부(200)에서는 미리 생성된 지하부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식물체(50)의 지하부(地下部)의 형태가 예측될 수 있다. The second image sensor may be a photographing device using an image sensor such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or a CMOS image sensor (CIS). The second image acquired through the second image sensor is an above-ground image of the plant body 50, and the spectroscopic analysis unit 200 uses a pre-generated underground portion prediction model to determine the underground portion of the plant body 50. The shape of can be predicted.

상기 지하부는 식물조직이 지하에 있는 뿌리와 같은 부분을 지칭한다. 즉, 분광분석부(200)에서는 제 2 영상센서를 통해 획득된 식물체(50)의 지상부 영상에 기초하여 식물체(50)의 지하부의 형태가 예측될 수 있다.The basement part refers to a part of the plant tissue, such as a root in the basement. That is, the spectroscopic analysis unit 200 may predict the shape of the underground part of the plant 50 based on the above-ground image of the plant 50 acquired through the second image sensor.

상기 지하부예측모델은 미리 획득된 식물체(50)의 품종 별 지상부 영상과 지하부 영상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딥러닝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학습된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The underground part prediction model may be generated based on a result of learning based on a deep learning algorithm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bove-ground image and the underground image for each variety of the plant 50 obtained in advance.

상기 딥러닝 알고리즘에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변형 오토인코더(VAE: Variational Autoencod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딥러닝 알고리즘만이 이용가능한 것이 아니라, 베이지안 망(Bayesian network), 서포트벡터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과 같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물론 회귀분석 방법 등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The deep learning algorithm may include a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a variational autoencoder (VAE), and the like. However, not only the deep learning algorithm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but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such a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ch as Bayesian network and support vector machine (SVM) as well as regression analysis methods can be used. have.

즉, 분광분석부(200)에서는 전술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지상부 영상으로부터 식물체(50)의 지하부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지하부 영상으로부터 2차적으로 식물체(50)를 분리할 수 있다. That is, the spectral analysis unit 200 may generate an underground image of the plant 50 from the above-described image using various methods described above, and may secondaryly separate the plant 50 from the generated underground image.

예를 들면, 상기 생성된 지하부 영상에서의 뿌리의 분포, 뿌리의 개수, 뿌리의 길이 등에 기초하여 분리되어야 할 식물체(50)를 선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2차적으로 분리된 식물체(50)는 상기 제 2 수거소로 분리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ant 50 to be separated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roots, the number of roots, and the length of the roots in the generated underground image. Accordingly, the secondly separated plant 50 may be separated into the second collection point.

전술한 과정을 거쳐 제 1 수거소 및 제 2 수거소에서 분리되어 수거되지 않은 식물체(50)는 상기 (300)에서 식물체(50)의 내적 소질 및 외적 소질에 기초하여 등급정보가 판별될 수 있다. 상기 등급정보는 내적 소질 및 외적 소질에 대하여 각각 정량화된 결과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 있다. For the plants 50 that have not been separated and collected at the first collection point and the second collection point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grade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properties of the plant 50 in the above (300). . The grade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based on the quantified results for the inner trait and the outer trait,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식물체(50)의 품종 별 발육특성 차이를 고려하여 품종에 따라 내적 소질 및 외적 소질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가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물체(50)의 품종에 따라 식물체(50)의 초장보다는 엽면적의 비중이 큰 경우에는 식물체(50)의 초장, 마디 수는 고려하지 않고 엽면적만으로 내적 소질이 정량화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i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for each cultivar of the plant 50,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ultivar. For example, if the proportion of the leaf area of the plant 50 is larger than the plant height according to the variety of the plant 50, the inner quality can be quantified only with the leaf area without considering the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nodes of the plant 50.

또는, 내적 소질의 품종 별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가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엽면적에 대하여 0.7의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고, 초장 및 마디 수에 대하여 각각 0.15의 가중치가 부여되어 내적 소질이 정량화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weight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each variety of the inner trait.For example, a weight of 0.7 may be assigned to the leaf area, and a weight of 0.15 may be assigned to each plant length and number of nodes to quantify the inner trait. Can be.

식물체(50)의 외적 소질에 대하여도 전술한 바와 같이 품종에 따라 정규화식생지수 혹은 병충해 지수 등의 정보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가 부여됨에 따라 외적 소질이 정량화될 수 있다. 즉, 식물체판별부(300)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정량화된 식물체(50)의 내적 소질 및 외적 소질에 기초하여 식물체(50)의 등급이 분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ternal quality of the plant 50 may be quantified as different weights are given according to information such as a normalized vegetation index or a disease and pest index according to the variety as described above. That is, in the plant determining unit 300, the grade of the plant 50 may be classified based on the inner and outer traits of the plant 50 quantified by the above metho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
50: 식물체
100: 형상분석부
110: 광원부(110) 120: 검출부
130: 형상분석모듈 135: 형상모델
138: 형상정보
200: 분광분석부 205: 조명부
210: 분광센서 212: 분광영상
220: 분광분석모듈 222: 외적 소질
300: 식물체판별부
10: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orting device
50: plant
100: shape analysis unit
110: light source unit 110, 120: detection unit
130: shape analysis module 135: shape model
138: shape information
200: spectroscopic analysis unit 205: lighting unit
210: spectral sensor 212: spectral image
220: spectral analysis module 222: external quality
300: Plant identification unit

Claims (7)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에 있어서,
식물체에 대한 스캐닝을 통해 상기 식물체의 외적 소질이 도출되는 형상분석부;
상기 식물체에 대한 분광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식물체의 내적 소질이 도출되는 분광분석부; 및
상기 식물체의 외적 소질 및 내적 소질에 기초하여 상기 식물체에 대한 등급정보가 판별되는 식물체판별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
In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A shape analysis unit for deriving an external quality of the plant through the scanning of the plant body;
A spectroscopic analysis unit for deriving the inner quality of the plant by using the spectroscopic image of the plant; And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comprising a plant body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grade information on the plant based on the external and internal properties of the pla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분석부로 상기 식물체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부;
상기 식물체판별부에서 등급정보가 판별된 식물체를 분류하여 포장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및
상기 투입부를 통해 공급된 식물체를 상기 배출부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모듈이 구비된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input unit for supplying the plant to the shape analysis unit;
A discharge unit for classifying the plants whose grade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the plant body determining unit and discharging them to the packaging unit; And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ransfer unit provided with a moving module for moving the plant supplied through the input unit to the discharge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분석부는,
상기 식물체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부;
상기 식물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식별하기 위한 검출부; 및
상기 식별된 결과 획득된 점 군(point cloud)에 기초하여 상기 식물체의 형상정보를 도출하는 형상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hape analysis unit,
A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plant;
A detec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plant; And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hape analysis module for deriving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plant based on the point cloud obtained as a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광분석부는,
상기 식물체에 대한 분광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분광센서; 및
상기 분광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파장대역 별 분광반사율에 기초하여 상기 식물체의 정규화식생지수가 산출되는 분광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ectroscopic analysis unit,
A spectroscopic sensor for acquiring a spectroscopic image of the plant; And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pectroscopic analysis module for calculating the normalized vegetation index of the plant based on the spectral reflectance of each wavelength band extracted from the spectral image.
이송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식물체를 스캐닝하는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를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의 움직임이 시작되는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
상기 식물체에 대한 외적 소질이 저장된 듀얼 라이다 데이터 또는 내적 소질이 저장된 초분광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듀얼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3D 메쉬를 산출하거나, 상기 초분광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상기 식물체에 대한 육묘 과정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방법.
In the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method for scanning plants using a transfer conveyor,
Recording a time at which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conveyor for transferring the plants starts;
Acquiring dual lidar data in which an external trait for the plant is stored or a hyperspectral image in which the inner trait is stored; And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a 3D mesh from the dual lidar data, or analyzing the spectrum obtained from the hyperspectral image to analyze the seedling process for the plan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초분광 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스펙트럼의 평균으로부터 분광 라이브러리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roducing a spectral library from the average of the spectrum obtained from the hyperspectral ima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광 라이브러리를 제작한 이후,
상기 식물체와 상기 육묘 과정을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식물 품질판별 및 선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fter preparing the spectral library,
Smart plant quality determination and sele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atching the plant and the seedling process and transmitting to a database.
KR1020190140547A 2019-11-05 2019-11-05 The smart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quality and screening for plant KR1023209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547A KR102320963B1 (en) 2019-11-05 2019-11-05 The smart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quality and screening for 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547A KR102320963B1 (en) 2019-11-05 2019-11-05 The smart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quality and screening for 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416A true KR20210054416A (en) 2021-05-13
KR102320963B1 KR102320963B1 (en) 2021-11-04

Family

ID=7591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547A KR102320963B1 (en) 2019-11-05 2019-11-05 The smart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quality and screening for 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96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368A (en) 2000-04-21 2001-11-08 야마모토 소이치 Seedling cultivation medium and seedling cultivation medium production system
US20110135161A1 (en) * 2009-11-10 2011-06-09 Koutsky Keith A Apparatus and Methods for Automated Phenotypic Screening of Plant Genotypes
JP2019071802A (en) * 2017-10-13 2019-05-16 有限会社竹内園芸 Seedling data generating system, seedling discriminating system, seedling data generating program, seedling discriminating program, seedling data generating device, and seedling discriminating device
KR20190084149A (en) * 2017-12-19 2019-07-16 전자부품연구원 Plant growth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368A (en) 2000-04-21 2001-11-08 야마모토 소이치 Seedling cultivation medium and seedling cultivation medium production system
US20110135161A1 (en) * 2009-11-10 2011-06-09 Koutsky Keith A Apparatus and Methods for Automated Phenotypic Screening of Plant Genotypes
JP2019071802A (en) * 2017-10-13 2019-05-16 有限会社竹内園芸 Seedling data generating system, seedling discriminating system, seedling data generating program, seedling discriminating program, seedling data generating device, and seedling discriminating device
KR20190084149A (en) * 2017-12-19 2019-07-16 전자부품연구원 Plant growth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963B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887B1 (en) Smart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plant
Nuske et al. Automated visual yield estimation in vineyards
Vibhute et al. Applications of image processing in agriculture: a survey
ES2837552T3 (en) Method to recognize and classify a bare root plant
CN106525732B (en) Rapid nondestructive detection method for internal and external quality of apple based on hyperspectral imaging technology
KR102125780B1 (en) Applaratus for Monitoring Crop Growth through Multispectral Image Histogram Pattern Analysis of Plot Unit
CN102945376A (en) Method for diagnosing crops diseases
CN107132228A (en) A kind of high flux phenotype research system of the full growth period information of rape
CN111199192A (en) Method for detecting integral maturity of field red globe grapes by adopting parallel line sampling
Smirnov et al. Neural network for identifying apple fruits on the crown of a tree
Payne et al. Machine vision in estimation of fruit crop yield
Ruett et al. Hyperspectral imaging for high-throughput vitality monitoring in ornamental plant production
Mayuri et al. ROLE OF IMAGE 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 DISEASE RECOGNITION, DIAGNOSIS AND YIELD PREDICTION OF CROPS: A REVIEW.
Concepcion II et al. Variety classification of Lactuca sativa seeds using single-kernel RGB images and spectro-textural-morphological feature-based machine learning
Ghorai et al. Image processing based detection of diseases and nutrient deficiencies in plants
KR102320963B1 (en) The smart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quality and screening for plant
Chauhan et al. Classification of Nutritional Deficiencies in Cabbage Leave Using Random Forest
Bini et al. Intelligent agrobots for crop yield estimation using computer vision
KR102272462B1 (en) The method for analyzing crop growth status by using multispectral camera and lidar
Behera et al. Yield estimation of pomegranate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Kavitha et al. Deep Learning Framework for Identification of Leaf Diseases in Native Plants of Tamil Nadu Geographical Region
Schmidtke Developing a phone-based imaging tool to inform on fruit volume and potential optimal harvest time
Pavithra et al. A random forest based smart fruit counting
Cao A Low-Cost Depth Imaging Mobile Platform for Canola Phenotyping
Kerfs et al. Machine vision for strawberry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