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547A - Cup lid - Google Patents

Cup l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547A
KR20210053547A KR1020190139278A KR20190139278A KR20210053547A KR 20210053547 A KR20210053547 A KR 20210053547A KR 1020190139278 A KR1020190139278 A KR 1020190139278A KR 20190139278 A KR20190139278 A KR 20190139278A KR 20210053547 A KR20210053547 A KR 20210053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everage
discharge hole
marble
guid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2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3350B1 (en
Inventor
정재국
Original Assignee
정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국 filed Critical 정재국
Priority to KR102019013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350B1/en
Publication of KR20210053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5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3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ical objective is to provide a cup lid which can prevent a beverage of a cup from being spilled to the outside even if the cup is overturned. To this end, the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up lid for opening/closing an opening of the cup comprising: a lid body; a beverage outlet hole formed in a part of the lid body; a guide path having an end part communicating with the beverage outlet hole; a marbl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guide path a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beverage outlet hole; and a marble movement allowing part provided in the guide path and selectively allowing movement of the marble.

Description

컵 뚜껑{Cup lid}Cup lid

본 발명은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lid.

일반적으로, 컵 뚜껑은, 물 등의 음료가 채워진 컵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컵 뚜껑은, 음료의 보냉 기능, 음료의 넘침 방지 기능, 이물질 유입 방지 기능 등을 수행한다.In general, the cup lid i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op opening of a cup filled with a beverage such as water. Such a cup lid performs a function of cooling a beverage, a function of preventing overflow of a beverage, and a function of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도 1은 기존의 컵 뚜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기존의 컵 뚜껑을 장착한 컵이 넘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cup lid,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with the existing cup lid is toppled over.

기존의 컵 뚜껑(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몸체(21)와, 뚜껑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는 음료 배출공(22)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10)을 잡고 음료 배출공(22)이 입을 향하도록 컵(10)을 들어 기울이면, 컵(10)의 음료가 음료 배출공(2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conventional cup lid 20, as shown in FIG. 1, includes a lid body 21 and a beverage discharge hole 22 formed in a part of the lid body. Accordingly, when the user holds the cup 10 and lifts and tilts the cup 10 so that the beverage discharge hole 22 faces the mouth, the beverage in the cup 1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hole 22.

하지만, 기존의 컵 뚜껑(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컵(10)이 테이블 등에 넘어지면 컵 뚜껑(20)의 음료 배출공(22)을 통해 컵(20)의 음료가 그대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up lid 20, as shown in Fig. 2, when the cup 10 falls over a table or the like due to a user's mistake, the cup 20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hole 22 of the cup lid 20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everage is discharged as it i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음료를 마실 때에는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 컵이 넘어질 경우에는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막을 수 있는 컵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lid capable of allowing the beverage to be discharged from the cup to the outside when a user drinks a beverage, and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cup to the outside when the cup fall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은, 컵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컵 뚜껑으로, 뚜껑 몸체; 상기 뚜껑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는 음료 배출공; 상기 음료 배출공에 선단부가 연통되는 안내로; 상기 안내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음료 배출공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구슬; 및 상기 안내로에 구비되며 상기 구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구슬 이동 허여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up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p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cup, the lid body; A beverage discharge hole formed in a part of the lid body; A guide path through which a tip portion is communicated with the beverage discharge hole; Bead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guide path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beverage outlet hole; And it is provided in the guide path and selectively allows the movement of the beads to allow the movement of the beads; includes.

상기 안내로는, 상기 음료 배출공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guide path may have a downwardly inclined shape as it moves away from the beverage discharge hole.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는, 상기 안내로의 말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슬이 수직 방향으로 들리면서 상기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구슬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구슬이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음료 배출공을 향해 상기 구슬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The marble movement allowance par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guide path, and when the marble is lif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higher than the beverage discharge hole, the movement of the marble is blocked, and the drink discharge hole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When it is higher, it is possible to allow the movement of the beads toward the beverage discharge hole.

상기 안내로는, 상기 음료 배출공에 일단이 연통되며 상기 구슬의 이동을 안내하는 메인 안내부; 및 상기 메인 안내부의 타단에서 각 일단이 좌우로 분지되고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의 좌우측에 각 타단이 연통되며 상기 구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path, one end communicates with the beverage discharge hole and a main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arble; And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guides, each end of which is branched from the other end of the main guide to the left and right, each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rble movement allowable part,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marble.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는, 상기 구슬이 수직으로 들리면서 상기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 상기 구슬이 걸리도록 상기 음료 배출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요입된 정지홈을 가질 수 있다.The movement allowance part may have a stop groove recessed in a direction toward the beverage discharge hole so that when the ball is lifted vertically and is higher than the beverage discharge hole, the ball is caught.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는, 상기 구슬보다 직경이 큰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movement allowance portion of the bead may have a sphe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bead.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는, 상기 음료 배출공과 상기 뚜껑 몸체의 중심을 잇는 가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marble movement permitting part may be disposed o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beverage discharging hole and the center of the lid body.

상기 메인 안내부, 상기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 그리고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는, 상기 음료 배출공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guide part,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guide parts, and the marble movement allowance part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everage discharge hole.

상기 메인 안내부는, 상기 가상선의 길이 방향으로 길다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는, 상기 메인 안내부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벌어지다가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에 인접할수록 점점 가까워지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main guide may have an elongated linea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rtual line,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guides gradually open as they move away from the main guide and become closer as they are adjacent to the allowable movement of the marbles. Losing can have a curved shap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은, 상기 안내로 중 가장 낮은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로로 유입된 음료를 회수시키는 음료 회수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up l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beverage recovery hole formed at the lowest portion of the guide path and recovering the beverage introduced into the guide path.

상기 음료 배출공은, 상기 뚜껑 몸체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beverage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lid body.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는, 상기 뚜껑 몸체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The bead movement permitting part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lid body.

상기 구슬은, 음료 아래로 가라 앉을 수 있도록 쇠구슬일 수 있다.The beads may be iron beads so as to sink under the drink.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up li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컵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컵 뚜껑으로, 뚜껑 몸체와, 음료 배출공과, 안내로와, 구슬과, 그리고 구슬 이동 허여부를 포함하고, 구슬은 안내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음료 배출공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그리고 구슬 이동 허여부는 구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컵을 기울여 음료를 마실 때에는 구슬 이동 허여부에 의해 구슬이 음료 배출공에서 멀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 컵이 테이블 등에 넘어질 경우에는 구슬 이동 허여부에 의해 구슬의 이동이 허용되면서 구슬이 음료 배출공을 막을 수 있어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막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p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cup, including a lid body, a beverage discharge hole, a guide path, a marble, and a marble movement allowance, and the marble is movable in the guide path. It is provided and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beverage outlet hole, and the marble movement allowable section provides a technology configuration that selectively allows the movement of the marbles. Therefore, when the user drinks a beverage by tilting the cup, the marbles are discharged by the marble movement allowance. Because it can keep away from the ball, it is possible to allow the beverage to be discharged from the cup outside. If the cup falls over a table, etc., the movement of the beads is allowed by the allowance of movement of the beads, and the beads can block the beverage discharge hole. Can prevent the discharge of beverages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내로는 음료 배출공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컵이 테이블 등에 서 있을 경우에는 구슬이 경사진 안내로를 따라 후퇴되어 음료 배출공에서 멀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컵을 테이블 등에 세우는 것으로 구슬의 위치를 초기 상태(즉, 안내로의 말단부에 위치된 상태)로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 배출공이 개방된 상태가 되어 음료 배출공을 통해 나오는 음료의 향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uide path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having a downwardly inclined shape as it moves away from the beverage discharge hole, when the cup is standing on a table or the like, the marble is retracted along the inclined guide path. Sin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away from the beverage outlet, not only can the position of the marble be made to the initial state (i.e., the state located at the end of the guide path) by placing the cup on a table, etc., as well as the beverage outlet opening in an open state. The user can feel the aroma of the beverage coming out through the discharge ho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슬 이동 허여부는 구슬이 수직 방향으로 들리면서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구슬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구슬이 좌우로 이동되면서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음료 배출공을 향해 구슬의 이동을 허용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컵을 수직 방향으로 기울여 음료를 마실 때에는 구슬이 안내로의 말단부에 그대로 유지되면서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 컵이 테이블 등에 넘어질 경우에는 컵에 수용된 음료의 요동에 의해 컵이 좌우로 기우뚱 거리면서 "오뚝이"의 원리와 같이 음료 배출공이 항상 아래를 향하게 되고 구슬이 음료 배출공을 향해 이동되어 음료 배출공을 막아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allowance part blocks the movement of the beads when the beads are lif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higher than the beverage discharge hole, and when the beads ar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and is higher than the beverage discharge hole, the beverage Since a technology configuration that allows movement of the beads toward the discharge hole is provided, when a user drinks a beverage by tilting the cup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eads remain at the distal end of the guide path while allowing the beverage to be discharged from the cup outside. When the cup falls over the table, the cup is tilted from side to side due to the fluctu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and the beverage discharge hole always faces downward, and the marbles move toward the beverage discharge hole as the principle of "sticker". You can prevent the beverage from draining out of the cup.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구슬 이동 허여부는 구슬이 수직으로 들리면서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 구슬이 걸리도록 음료 배출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요입된 정지홈을 가지는 기술구성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컵을 수직 방향으로 기울여 음료를 마실 때에는 구슬이 정지홈에 걸려 안내로의 말단부에 구슬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 컵이 테이블 등에 넘어질 경우에는 컵에 수용된 음료의 요동에 의해 컵이 좌우로 기우뚱 거리면서 구슬이 정지홈에서 이탈된 후 음료 배출공을 향해 이동되어 음료 배출공을 막아 컵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allowance unit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having a stop groove concav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beverage discharge hole so that when the ball is lifted vertically and is higher than the beverage discharge hole, the user When drinking a beverage by tilting the cup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eads are caught in the stop groove, and the beads remain intact at the end of the guideway, allowing the beverage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f the cup falls down on a table, etc., it is stored in the cup. As the cup tilts from side to side due to the fluctuation of the beverage, the marble is moved toward the beverage outlet hole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stop groove to block the beverage outlet hole, thereby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cup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내로 중 가장 낮은 부분에 형성되며 안내로로 유입된 음료를 회수시키는 음료 회수공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음료 배출공을 통해 안내로로 유입된 음료가 안내로에 고이지 않고 원활하게 컵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어, 안내로에서의 구슬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안내로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formed in the lowest part of the guide path and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beverage recovery hole for recovering beverages flowing into the guide path, Beverages can be smoothly recovered into the cup without accumulating in the guide path, so that the beads can be smoothly moved in the guide path, and the guide path can be easily cleaned.

도 1은 기존의 컵 뚜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기존의 컵 뚜껑을 장착한 컵이 넘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컵 뚜껑을 IV-I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컵 뚜껑을 V-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컵 뚜껑을 장착한 컵이 넘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cup lid.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p to which a conventional cup lid is mounted is toppled.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p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of the cup lid of FIG. 3 cut along the line IV-IV.
5 is a view of the cup lid of FIG. 3 cut along the line VV.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to which the cup lid of FIG. 3 is mounted is toppl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컵 뚜껑을 IV-I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컵 뚜껑을 V-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컵 뚜껑을 장착한 컵이 넘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p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of the cup lid of Figure 3 cut along the line IV-IV, and Figure 5 is the cup lid of Figure 3 VV It is a drawing cut with a line.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to which the cup lid of FIG. 3 is mounted is topp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10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0)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컵 뚜껑으로, 뚜껑 몸체(110)와, 음료 배출공(120)과, 안내로(130)와, 구슬(140)과, 그리고 구슬 이동 허여부(150)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cup li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p lid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cup 10, as shown in FIGS. 3 to 6, and includes a lid body 110 and a beverage discharge hole ( 120) and, the guide path 130, the marble 140, and includes a marble movement allowance portion 150.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뚜껑 몸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컵 뚜껑(100)의 몸체의 이루며 컵(10)의 상부 개방부를 실질적으로 덮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뚜껑 몸체(110)는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lid body 110 is a component of the body of the cup li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bstantially covers the upper opening of the cup 10. The lid body 110 may be made of plastic or ceramic.

음료 배출공(120)은, 사용자가 음료를 마실 때 컵의 음료를 실질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음료 배출공(12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몸체(110)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배출공(12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몸체(110)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is a component for substantially discharging the beverage from the cup when the user drinks the beverage.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lid body 110, as shown in FIGS. 3 to 6. For example,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lid body 110, as shown in FIGS. 3 to 6.

안내로(130)는, 음료 배출공(120)을 향하거나 그 반대를 향해 구슬(14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안내로(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배출공(120)에 그 선단부가 연통될 수 있다. 특히, 컵(10)의 음료가 안내로(130)를 거쳐 음료 배출공(120)을 배출되도록, 안내로(130)의 선단부에는 음료 배출공(120)에 대응되게 보조 음료 배출공(130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path 130 is a componen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eads 140 toward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or vice versa. This guide path 130, as shown in Figure 4,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its front end. In particular, so that the beverage in the cup 10 is discharged through the guide path 130 and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the tip of the guide path 130 has an auxiliary beverage discharge hole 130a corresponding to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Can be formed.

구슬(140)은, 안내로(130)를 따라 음료 배출공(120)을 향해 이동되어 음료 배출공(120)을 닫거나 그 반대를 향해 이동되어 음료 배출공(120)을 열기 위한 마개의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구슬(14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로(13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음료 배출공(120)을 통해 빠지지 않도록 음료 배출공(120) 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beads 140 are moved toward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along the guide path 130 to close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or move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to serve as a stopper for opening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It is a component that does. These beads 140, as shown in Figures 4 to 6,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guide path 130, and a diameter larger than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so as not to fall out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Can have.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구슬(14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로(130)에 구비될 수 있다.The marble movement allowance unit 150 is a component for selectively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marble 140. The marble movement allowance unit 150 may be provided in the guide path 130, as shown in FIG. 5.

따라서,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컵(10)을 기울여 음료를 마실 때에는 구슬 이동 허여부(150)에 의해 구슬(140)이 음료 배출공(120)에서 멀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컵(10)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도 5 참조), 컵(10)이 테이블 등에 넘어질 경우에는 구슬 이동 허여부(150)에 의해 구슬(140)의 이동이 허용되면서 구슬(140)이 음료 배출공(120)을 막을 수 있어 컵(10)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막을 수 있다(도 6 참조).Therefore, since the above components are provided, when the user drinks a beverage by tilting the cup 10, the beads 140 can be kept away from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by the movement allowance unit 150, and thus the cup It is possible to allow the external discharge of the beverage of (10) (see Fig. 5), and when the cup 10 falls over a table or the like, the movement of the beads 140 is allowed by the movement allowance 150 of the beads, and the beads ( 140) can block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ternal discharge of the beverage from the cup 10 (see FIG. 6).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계속 참조하여, 안내로(130)와 구슬 이동 허여부(1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continued reference to FIGS. 4 to 5, the guide path 130 and the marble movement allowance unit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안내로(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배출공(120)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컵(10)이 테이블 등에 서 있을 경우에는 구슬(140)이 경사진 안내로(130)를 따라 후퇴되어 음료 배출공(120)에서 멀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컵(10)을 테이블 등에 세우는 것으로 구슬(140)의 위치를 초기 상태[즉, 안내로(130)의 말단부에 위치된 상태]로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료 배출공(120)이 개방된 상태가 되어 음료 배출공(120)을 통해 나오는 음료의 향을 사용자가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guide path 130 may have a downwardly inclined shape as it moves away from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Therefore, when the cup 10 is standing on a table or the like, the beads 140 are retracted along the inclined guide path 130 to maintain a state away from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so that the cup 10 is placed on a table or the like. By erecting, not only can the position of the beads 140 be made to an initial state (that is, a state located at the end of the guide path 130), but also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is in an open state, so that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It is possible to allow the user to sufficiently feel the aroma of the beverage that comes out through.

또한, 안내로(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안내부(131)와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132a)(132b)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안내부(131)는 음료 배출공(120)에 그 일단이 연통될 수 있으며 구슬(14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132a)(132b)는 이의 각 일단이 메인 안내부(131)의 타단에서 좌우로 각각 분지될 수 있고 이의 각 타단이 구슬 이동 허여부(150)의 좌우측에 각각 연통될 수 있으며 구슬(14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컵(10)이 넘어질 경우, 안내로(130)의 말단부에 위치된 구슬(140)은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132a)(132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이동되고 메인 안내부(131)를 거쳐 음료 배출공(120)을 닫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ath 130 may include a main guide 131 and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guides 132a and 132b, as shown in FIG. 5. The main guide part 131 may have one end communicated to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and guide the movement of the beads 140.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guides 132a and 132b may be branched from the other end of the main guide 131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guides 132a and 132b are respectively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marble movement allowance unit 150. It can communicate and guide the movement of the marble (140). Therefore, when the cup 10 falls, the beads 140 located at the distal ends of the guide path 130 are mov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guides 132a and 132b, and the main guide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may be closed through 131.

한편,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로(130)의 말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구슬(140)이 수직 방향으로 들리면서 음료 배출공(120)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구슬(140)의 이동을 차단시킬 수 있고, 구슬(140)이 좌우로 이동되면서 음료 배출공(120)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음료 배출공(120)을 향해 구슬(140)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rble movement allowance portion 150 may be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guide path 130, as shown in FIG. 5. In particular, when the bead 140 is lif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higher than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the movement allowance portion 150 may block the movement of the bead 140, and the bead 140 moves left and right. As it becomes higher than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the movement allowance portion 150 of the beads may allow the movement of the beads 140 toward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따라서, 사용자가 컵(10)을 수직 방향으로 기울여 음료를 마실 때에는 구슬(140)이 안내로(130)의 말단부에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5 참조) 컵(10)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 컵(10)이 테이블 등에 넘어질 경우에는 컵(10)에 수용된 음료의 요동에 의해 컵(10)이 좌우로 기우뚱 거리면서 "오뚝이"의 원리와 같이 음료 배출공(120)이 항상 아래를 향하게 되고 구슬이 음료 배출공(120)을 향해 이동되어 음료 배출공(120)을 막아 컵(10)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막을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Therefore, when the user drinks the beverage by tilting the cup 10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eads 140 remain intact at the distal end of the guide path 130 (see FIG. 5), while allowing the beverage to be discharged from the cup 10 to the outside. If the cup 10 falls over a table, etc., the cup 10 is tilted left and right due to the vibr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10, and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is always It is directed downward and the marble is moved toward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to block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cup 10 to the outside (see FIGS. 5 and 6 ).

나아가,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슬(140)이 수직으로 들리면서 음료 배출공(120)보다 높아질 경우 구슬(140)이 걸리도록 음료 배출공(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요입된 정지홈(151)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10)을 수직 방향으로 기울여 음료를 마실 때에는 구슬(140)이 정지홈(151)에 걸려 안내로(130)의 말단부[즉, 구슬 이동 허여부(150)]에 구슬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컵(10)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허용할 수 있고(도 5 참조), 컵(10)이 테이블 등에 넘어질 경우에는 컵(10)에 수용된 음료의 요동에 의해 컵(10)이 좌우로 기우뚱 거리면서 구슬(140)이 정지홈(151)에서 이탈된 후 음료 배출공(120)을 향해 이동되어 음료 배출공(120)을 막아 컵(10)의 음료의 외부 배출을 막을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Further, as shown in FIG. 5, the marble movement allowance part 150 is a beverage discharge hole 120 so that the bead 140 is caught when the bead 140 is lifted vertically and is higher than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It may have a stop groove 151 concave in the direction toward. Therefore, when the user drinks a beverage by tilting the cup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eads 140 are caught in the stop groove 151 and the beads are placed in the distal end of the guide path 130 (ie, the movement allowing beads 150). While being maintained as it is, it is possible to allow the beverage to be discharged from the cup 10 to the outside (refer to FIG. 5), and when the cup 10 falls over a table or the like, the cup 10 is moved by the fluctuation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10. While tilting left and right, the marble 140 is moved toward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stop groove 151 to block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cup 10 to the outside. (See Figs. 5 and 6).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구슬(140)보다 직경이 큰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marble movement allowance portion 150 may have a sphe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marble 140.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음료 배출공(120)과 뚜껑 몸체(110)의 중심(C10)을 잇는 가상선(L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안내부(131),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132a)(132b), 그리고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음료 배출공(1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the movement allowance portion 150 may be disposed on an imaginary line L10 connecting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and the center C10 of the lid body 110.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the main guide part 131,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guide parts 132a and 132b, and the marble movement allowance part 150 ar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It can be placed sequentially.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안내부(131)는 가상선(L10)의 길이 방향으로 길다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및 제2 중간 안내부(132a)(132b)는 메인 안내부(131)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벌어지다가 구슬 이동 허여부(150)에 인접할수록 점점 가까워지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150)는, 뚜껑 몸체(110)의 중심(C10)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the main guide part 131 may have an elongated linear shap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virtual line L10,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guide parts 132a and 132b are the main guide parts. It may have a curved shape that gradually widens as the distance from 131 increases, and becomes closer as it is closer to the marble movement allowance unit 150.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the movement allowance portion 15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C10 of the lid body 110.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회수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회수공(160)은 안내로(130) 중 가장 낮은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안내로(130)로 유입된 음료를 회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음료의 보다 원활한 회수를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회수공(160)은, 안내로(130)의 가장 낮은 부분을 포함하여 안내로(130)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p li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everage recovery hole 160 as shown in FIG. 4. The beverage recovery hole 160 may be formed at the lowest portion of the guide path 130 and may recover the beverage that has flowed into the guide path 130. Further, for a more smooth collection of beverages,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beverage recovery hole 160 includes the lowest part of the guide path 130 along the length of the guide path 130. A plurality of spaces may be provided.

따라서, 음료 배출공(120)을 통해 안내로(130)로 유입된 음료가 안내로(130)에 고이지 않고 원활하게 컵(10)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어, 안내로(130)에서의 구슬(14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안내로(130)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Therefore, the beverage flowing into the guide path 130 through the beverage discharge hole 120 can be smoothly recovered into the cup 10 without being collected in the guide path 130, so that the beads in the guide path 130 The movement of the 140 may be made smoothly and the guide passage 130 may be easily clean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esent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of

10: 컵 100: 컵 뚜껑
110: 뚜껑 몸체 120: 음료 배출공
130: 안내로 131: 메인 안내부
132a: 제1 중간 안내부 132b: 제2 중간 안내부
140: 구슬 150: 구슬 이동 허여부
151: 정지홈 160: 음료 회수공
10: cup 100: cup lid
110: lid body 120: beverage outlet
130: guideway 131: main guide
132a: first intermediate guide 132b: second intermediate guide
140: marble 150: whether or not to move the marble
151: stop groove 160: beverage recovery hole

Claims (3)

컵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컵 뚜껑으로,
뚜껑 몸체;
상기 뚜껑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는 음료 배출공;
상기 음료 배출공에 선단부가 연통되는 안내로;
상기 안내로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음료 배출공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구슬; 및
상기 안내로에 구비되며 상기 구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구슬 이동 허여부;
를 포함하는
컵 뚜껑.
A cup lid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cup,
Lid body;
A beverage discharge hole formed in a part of the lid body;
A guide path through which a tip portion is communicated with the beverage discharge hole;
Bead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guide path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beverage outlet hole; And
A marble movement allowance part provided in the guide path and selectively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marble;
Including
Cup lid.
제1항에서,
상기 안내로는,
상기 음료 배출공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컵 뚜껑.
In claim 1,
As the guide above,
The further away from the beverage discharge hole, the downwardly inclined shape
Cup lid.
제2항에서,
상기 구슬 이동 허여부는,
상기 안내로의 말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슬이 수직 방향으로 들리면서 상기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구슬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구슬이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음료 배출공보다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음료 배출공을 향해 상기 구슬의 이동을 허용하는
컵 뚜껑.
In paragraph 2,
The marble movement allowance unit,
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guide path, and when the marble is lif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higher than the beverage outlet hole, the movement of the marble is blocked.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bead towards the discharge hole
Cup lid.
KR1020190139278A 2019-11-04 2019-11-04 Cup lid KR1023033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278A KR102303350B1 (en) 2019-11-04 2019-11-04 Cup l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278A KR102303350B1 (en) 2019-11-04 2019-11-04 Cup l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547A true KR20210053547A (en) 2021-05-12
KR102303350B1 KR102303350B1 (en) 2021-09-16

Family

ID=7591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278A KR102303350B1 (en) 2019-11-04 2019-11-04 Cup l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35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4930A (en) * 2005-07-07 2008-12-11 シェフン コーポレイション Apparatus and method for magnetically sealing a lid of a beverage container
JP2010215250A (en) * 2009-03-16 2010-09-30 Lion Corp Liquid-measuring and discharging container
KR20130125694A (en) * 2012-05-09 2013-11-19 전필동 Fermentative vessel cover of auto control of gas pressure
KR20170020126A (en) * 2015-08-13 2017-02-22 양정필 Cover the container with a carbonate release prevention feature that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44930A (en) * 2005-07-07 2008-12-11 シェフン コーポレイション Apparatus and method for magnetically sealing a lid of a beverage container
JP2010215250A (en) * 2009-03-16 2010-09-30 Lion Corp Liquid-measuring and discharging container
KR20130125694A (en) * 2012-05-09 2013-11-19 전필동 Fermentative vessel cover of auto control of gas pressure
KR20170020126A (en) * 2015-08-13 2017-02-22 양정필 Cover the container with a carbonate release prevention feature that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350B1 (en)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7306A (en) Cup lid with plug
KR102303350B1 (en) Cup lid
US20130225031A1 (en) Maze-type coin bank
US6439676B1 (en) Cabinet for storing soiled clothes preparatory to washing
ES2902177T3 (en) controlled release bottle
US20110248082A1 (en) A container for fluid
JP6639241B2 (en) Beverage container lid
ES2291872T3 (en) VEGETABLE NOZZLE FOR A CONTAINER THAT INCLUDES A LIQUID, CONTAINER, PROCEDURE AND ITS USE.
KR200492195Y1 (en) Cup lid
JP2008264091A (en) Plug body of liquid container for coffee maker
JP2009011498A (en) Dustpan
KR200462202Y1 (en) Container for drink
JP2020158120A (en) Beverage container
KR101869690B1 (en) Ice machine
KR102181484B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cup caps and their for takeout
JP2003164597A (en) Game machine
JP3660281B2 (en) Pachinko machine
KR101468884B1 (en) Jet pump for preventing overflowing and toilet stool having the same
JPS63298Y2 (en)
CN209025152U (en) A kind of bounce drainage device and hand basin
KR100437129B1 (en) Lid for Powder Container
KR101948680B1 (en) Water hazard golf ball re-collection device using automatic pump
KR200484272Y1 (en) Kye young bae teacup
JP2844267B2 (en) Pachinko machine saucer structure
JP2001096025A (en) Game-board support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