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472A - 창문 부착형 lcd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창문 부착형 lcd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472A
KR20210053472A KR1020190139100A KR20190139100A KR20210053472A KR 20210053472 A KR20210053472 A KR 20210053472A KR 1020190139100 A KR1020190139100 A KR 1020190139100A KR 20190139100 A KR20190139100 A KR 20190139100A KR 20210053472 A KR20210053472 A KR 20210053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display
window
display
attach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권
Original Assignee
김종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권 filed Critical 김종권
Priority to KR102019013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3472A/ko
Publication of KR20210053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부착형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창문 부착형 디스플레이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LCD디스플레이(100) 상기 LCD디스플레이(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LCD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하는 본체(200) 및 상기 본체(200)를 벽(창문 등)에 탈부착 할 수 있도록하는 흡착부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문 부착형 LCD디스플레이{WINDOW ATTACHABLE DISPLAY}
본 발명은 LCD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더욱상세하게는 후면이 투영되며 기온, 날씨 등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창문 부착형 LCD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정보화 시대에서 디스플레이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더 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주요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저소비전력화, 박형화, 경량화, 고화질화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장치로서, 기존의 브라운관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도 같은 화면크기의 브라운관에 비해 작을 뿐만아니라 발열량도 작기 때문에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하,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화소들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화소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서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이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에는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된다.
상기 액정패널은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갭(cell gap)이 유지되도록 합착된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hin filmtransistor array) 기판과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사이의 셀갭 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이 합착된 액정패널에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공통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제어하게 되면, 상기 액정층의 액정은 상기 공통전극과 화소전극 사이의 전계에 따라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화소별로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켜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최근 들어 후방의 객체가 보이는 동시에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응용 가능성은 폭발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전술한 액정표시장치는 자체적으로 독립된 표시장치로만 개발되어 있을 뿐, 투명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지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는 발광형의 유기전계발광소자나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등에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9096호는 창문에 거치, 또는 부착되기가 어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7600호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현재 유리창, 매장용 냉장고 등 설치공간과 사용용도가 매우 제한적이고 유리창과 불투명유리창, 디지털 커튼, 전자 칠판 및 미러 디스플레이를 새로 설치하는 데에는 비용이 상당히 고가인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9096호(2012.10.0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7600호(2013.04.16.)
본 발명은 새로운 스마트 윈도우 디스플레이로 창문을 교체하지 않고 기존 창문의 임의의 위치 또는 흡착판으로 붙을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부착하여 스마트 윈도우 디스플레이와 유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문 부착형 디스플레이는, LCD디스플레이(100), 본체(200), 흡착부재(3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LCD디스플레이(100)는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로 태양광이 LCD디스플레이(100) 후면에서 조사되면 이를 광원(백라이트)로 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한다. 사용되는 LCD패널은 TFT패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체(200)는 LCD디스플레이(100)의 일측부분에 위치하여 박스의 형상을 하고 있고 LCD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하는 미도시된 영상입력제어부는 내장 동영상 플레이어,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무선 영상 입력기(크롬캐스트) 등을 내장하여 시각정보 입력소스로 사용하여도, 날씨, 시간, 영상 등 시각정보를 LCD디스플레이(1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작동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흡착부재(300)는 본체(200) 후면에 부착되어 본체(200)가 유리창 등 흡착판으로 부착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부착하여 LCD디스플레이(100)로 시각정보를 출력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흡착부재(300)는 본체 후면에 부착되어 벽면과 접촉되는 흡착판(310)과 일측에 상기 흡착판(310)이 부착되고 타측은 본체(200)와 결합하는 메인 프레임(320)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320)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판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당길 수 있는 레버(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레버(330)를 통해 흡착판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당기면 흡착판(310)의 흡착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부착형 디스플레이는, 새로운 스마트 윈도우 디스플레이로 창문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기존 창문에, 임의의 위치 또는 흡착판으로 붙을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부착하여 스마트 윈도우 디스플레이와 유사한 기능을 사용할 수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부착형 디스플레이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부착형 디스플레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에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하는 후면 흡착부재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부착형 디스플레이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부착형 디스플레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면에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하는 후면 흡착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문부착형 디스플레이는, LCD디스플레이(100), 본체(200), 흡착부재(30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흡착부재(300)는 추후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LCD디스플레이(100)는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로 태양광이 LCD디스플레이(100) 후면에서 조사되면 이를 광원(백라이트)로 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한다. 광원(백라이트)으로 태양광을 사용하면 전력 사용량이 LED를 광원(백라이트)으로 사용할 때보다 줄어 배터리 사용기간이 길어진다. 또한 창문을 투영하여 창문 밖의 모습을 볼 수 있다. LCD디스플레이(100)에 사용되는 LCD패널은 TFT패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체(200)는 LCD디스플레이(100)의 일측부분에 위치하여 박스의 형상을 하고 있고 LCD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하는 미도시된 영상입력제어부는 내장 동영상 플레이어,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무선 영상 입력기(크롬캐스트) 등을 내장하여 시각정보 입력소스로 사용하여도, 날씨, 시간, 영상 등 시각정보를 LCD디스플레이(1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작동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한 전원부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착부재(300)는 본체(200) 후면에 부착되어 본체(200)가 유리창 등 흡착판으로 부착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부착하여 LCD디스플레이(100)로 시각정보를 출력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착부재(300)는 본체 후면에 부착되어 벽면과 접촉되는 흡착판(310)과 일측에 상기 흡착판(310)이 부착되고 타측은 본체(200)와 결합하는 메인 프레임(320)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320)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판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당길 수 있는 레버(330)를 포함한다.
레버(330)를 통해 흡착판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당기면 흡착판(310)의 흡착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100 : LCD디스플레이
200 : 본체
300 : 흡착부재
310 : 흡착판
320 : 메인프레임
330 : 레버

Claims (4)

  1.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LCD디스플레이(100);
    상기 LCD디스플레이(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LCD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하는 본체(200); 및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200)를 벽에 탈부착 할 수 있도록하는 흡착부재(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부착형 LCD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CD디스플레이(100)는 일측면으로 광원이 조사될 경우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부착형 LCD디스플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0)는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하는 영상입력제어부(미도시)와 LCD디스플레이(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창문 부착형 LCD디스플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300)는,
    본체 후면에 부착되어 벽면과 접촉되는 흡착판(310), 일측에 상기 흡착판(310)이 부착되고 타측은 본체(200)와 결합하는 메인 프레임(320), 상기 메인 프레임(320)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판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당길 수 있는 레버(330)를 포함하는 창문 부착형 LCD디스플레이.
KR1020190139100A 2019-11-02 2019-11-02 창문 부착형 lcd디스플레이 KR20210053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100A KR20210053472A (ko) 2019-11-02 2019-11-02 창문 부착형 lcd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100A KR20210053472A (ko) 2019-11-02 2019-11-02 창문 부착형 lcd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472A true KR20210053472A (ko) 2021-05-12

Family

ID=7591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100A KR20210053472A (ko) 2019-11-02 2019-11-02 창문 부착형 lcd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347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9096A (ko) 2011-03-24 2012-10-08 김병준 일반액정디스플레이를 투명액정디스플레이 개조 및 본체 구조
KR20130037600A (ko) 2011-10-06 2013-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 윈도우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9096A (ko) 2011-03-24 2012-10-08 김병준 일반액정디스플레이를 투명액정디스플레이 개조 및 본체 구조
KR20130037600A (ko) 2011-10-06 2013-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 윈도우 디스플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4039C (zh) 显示器件以及使用该显示器件的电子装置
US20140293188A1 (en) Displays with Local Dimming Elements
WO2015119451A1 (en) Display with high transparency
US9349329B2 (en) Displays with light leakage reduction structures
KR20120133669A (ko) 미세 셔터 표시장치
EP2870596A1 (en) Display module and structure with such module
CN108172124B (zh) 柔性显示装置
KR20150015278A (ko) 투명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956979B1 (ko)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KR20070020718A (ko) 인쇄회로기판의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소자
KR20110067881A (ko) 액정표시장치
KR101354648B1 (ko) 전력 절감형 액자 겸용 텔레비전
WO2018059172A1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2012163581A (ja) 表示装置
KR102066088B1 (ko) 투명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10053472A (ko) 창문 부착형 lcd디스플레이
KR102146829B1 (ko) 표시 장치
KR102482552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2183087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633411B1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N114089557B (zh) 显示装置
KR102558842B1 (ko) 표시장치
WO2018193959A1 (ja) 表示装置
KR10062728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219642039U (zh) 一种显示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