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189A - 처리된 채널 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처리된 채널 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189A
KR20210053189A KR1020200131870A KR20200131870A KR20210053189A KR 20210053189 A KR20210053189 A KR 20210053189A KR 1020200131870 A KR1020200131870 A KR 1020200131870A KR 20200131870 A KR20200131870 A KR 20200131870A KR 20210053189 A KR20210053189 A KR 20210053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user terminal
pusch
pdsch
cou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미드 세이버
박정민
배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5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12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채널 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에 대한 슬롯당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채널 수를 카운트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결정하기 위해 슬롯당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수를 카운트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송수신기 및 하기 예외 1 내지 3을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 또는 PUSCH를 각각 카운트하고, 예외 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하는 경우,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CG(configured grant) PU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DG(dynamic grant)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예외 2: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심볼 i로 끝나는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HPN(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number: HARQ process number)를 위해 상기 서빙 셀에서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심볼 j에서 시작하는 동일한 HPN으로 상기 CG PUSCH를 전송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또는, 예외 3: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심볼 i로 끝나는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MCS(modulation and coding)-C-RNTI로 상기 동일한 서빙 셀의 상기 심볼 j에서 시작하는 구성된(configured)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 PD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SPS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그리고, 상기 카운트된 슬롯당 PDSCH 또는 PUSCH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처리된 채널 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E CAPABILITY BASED ON NUMBER OF PROCESSED CHANNELS}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채널 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대한 슬롯당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채널 수를 카운트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릴리즈(release)-16의 경우, eURLLC(enhanced 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OoO HARQ(out-of-orde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및 두 개의 유니캐스트(unicast)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두 개의 다른 PDU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충돌 처리에 대한 논의가 진행중이다.
3GPP NR(new radio) TR(technical report) 38.824는 OoO HARQ 및 두 개의 유니캐스트 PDSCH 또는 두 개의 다른 PUSCH간의 충돌 처리를 포함하는 OoO 동작을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릴리즈-16에서 인트라 사용자 단말이 시간 대역 또는 주파수 대역에서 PDSCH 또는 PUSCH가 오버랩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나, 릴리즈-15에서는 이러한 시나리오는 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어, 이러한 오버랩 시나리오는 매우 안정적인 uRLLC 애플리케이션에 유용할 수 있다. 두 채널이 시간 대역에서만 오버랩되는 제1 시나리오와 두 채널이 시간 대역 및 주파수 대역 모두에서 오버랩되는 제2 시나리오가 정의될 수 있다.
도 1은 두 개의 유니캐스트 PUSCH가 시간 대역 및 주파수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간 대역에서 제1 업링크 그랜트의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PUSCH의 마지막 4개의 슬롯(제8 슬롯 내지 제11 슬롯) 및 제2 업링크 그랜트의 uRLLC PUSCH의 첫 4개 슬롯(제1 슬롯 내지 제4 슬롯) 사이에 충돌이 발생한다.
충돌 이벤트는 uRLLC에 대한 높은 우선 순위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의 도달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오버랩된 채널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capability)가 정의될 수 있다. 가능한 캐퍼빌리티 중 하나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지시된 우선 순위에 따라 채널 중 하나의 처리를 폐기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예를 들어, eMBB와 같이 일반적으로 더 낮은 우선 순위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는 제1 PDSCH 또는 제1 PUSCH에 대한 처리를 폐기한다.
폐기는 항상 또는 일정 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되거나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의해 업링크 전송이 중단될 수 있는 또 다른 시나리오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사용자 단말의 서로 다른 업링크 전송이 충돌하는 경우, 즉 사용자 단말간 충돌이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일반적으로, 업링크 전송 중 하나는 더 높은 우선 순위 서비스 유형(예를 들어, uRLLC)에 대응하고, 다른 하나는 eMBB에 대응한다.
추가적으로, 동일한 사용자 단말의 두 개의 업링크 전송이 서로 충돌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더 높은 우선 순위 채널은 이전에 스케줄링된 업링크 전송과 오버랩되도록 기지국(예를 들어, gNB(g-nodeB))에 의해 스케줄링된다.
이러한 시나리오 중 하나에서, 특정 스케줄링 조건 또는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로, 사용자 단말은 더 낮은 우선 순위 채널에 대한 처리를 중지할 수 있다. 다운링크 스케줄링과 유사하게, 사용자 단말은 다른 전송과 오버랩되지 않더라도 전송을 폐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채널이 시간 대역 또는 주파수 대역에서 오버랩되지 않으나, 여전히 시간 영역에서 너무 근접하여 사용자 단말이 두 채널을 적절하게 처리하기 너무 어려운 경우에도 폐기가 수행될 수 있다.
업링크 채널의 폐기는 릴리즈-15에서 이미 정의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이 업링크 채널 전송 또는 다운링크 채널 수신을 폐기하는 조건이 있다. 이러한 조건은 이후의 SFI(slot format indicator)가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flexible)로 지시하는 심볼에서 업링크 CG(configured grant)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이후의 SFI가 업링크 또는 플렉서블로 지시하는 심볼에서 다운링크 CG가 발생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다른 시나리오는 캐퍼빌리티(processing capability) 2 처리 서빙 셀에서 PDSCH가 136개 이상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으로 스케줄링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캐퍼빌리티 1로 기본 설정되며 캐퍼빌리티 2로 스케줄링된 PDSCH가 시작되기 전 10개 심볼 내에 PDSCH의 마지막 심볼이 있으면 PDSCH 디코딩을 생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3GPP 릴리즈-15는 다음을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이 심볼 셋에서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또는 PDSCH를 수신하도록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되고 사용자 단말이 업링크 또는 플렉서블 심볼 셋으로부터 심볼의 서브 셋을 갖는 슬롯 포맷을 지시하는 255이외의 슬롯 포맷 값을 갖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2_0을 검출하거나, 사용자 단말이 심볼 셋의 적어도 하나의 심볼에서 PUSCH, PUCCH,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전송할 것을 지시하는 DCI 포맷 0_0, DCI 포맷 0_1, DCI 포맷 1-1 또는 DCI 포맷 2-3을 검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심볼 셋에서의 CSI-RS 수신을 취소하거나 슬롯에서의 PDSCH 수신을 취소한다.
사용자 단말이 심볼 셋에서 SRS, PUCCH, PUSCH 또는 PRACH를 전송하도록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되고, 사용자 단말이 심볼 셋으로부터 심볼의 서브 셋을 갖는 슬롯 포맷을 다운링크 또는 플렉서블로 표시하는 255이외의 슬롯 포맷 값을 갖는 DCI 포맷 2_0을 검출하거나, 사용자 단말이 심볼의 서브 셋으로부터 CSI-RS 또는 PDSCH를 수신하도록 사용자 단말에 지시하는 DCI 포맷 1_0, DCI 포맷 1_1 또는 DCI 포맷 0_1을 검출하고, 사용자 단말이 여기서 PUSCH 처리 능력에 대한 PUSCH 준비 시간(T_(proc, 2))보다 적은 수의 심볼 이후에 DCI 포맷 2_0 또는 DCI 포맷 1_0 또는 DCI 포맷 1_1 또는 DCI 포맷 0_1을 검출하는 CORESET(control resource set)의 마지막 심볼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심볼의 서브 셋에서 심볼의 전송을 취소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
μ = 1인 경우에 스케줄링 제한이 있는 사용자 단말 처리 캐퍼빌리티 2의 경우, 스케줄링된 자원 블록 할당이 136개의 자원 블록을 초과하면 사용자 단말은 캐퍼빌리티 1 처리 시간으로 기본 설정된다. PUSCH 중 하나가 30kHz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으로 136개 이상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으로 스케줄링되고, 캐퍼빌리티 1 처리 시간을 따르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캐퍼빌리티 2를 따르도록 스케줄링된 PDSCH가 시작되기 전에 10개 심볼 내에 마지막 심볼이 있는 다수의 PDSCH를 디코딩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특징 그룹(feature group: FG) 5-11, 512 및 5-13과 같은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특징 그룹은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처리할 수 있는 PDSCH 또는 PUSCH의 수를 정의한다. 그러나, 처리된 채널을 카운트하는 방법은 정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취소된 업링크 채널이 이러한 캐퍼빌리티로 카운트되어야 하는지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를 결정하기 위해 슬롯당 PDSCH 또는 PUSCH의 수를 카운트하는 특정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과제는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채널 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에 대한 슬롯당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채널 수를 카운트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과제는 취소된, 스케줄링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기된 또는 구성된 그랜트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전송으로 카운트되는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에 대해 슬롯당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채널 수를 카운트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과제는 PHY(physical) 계층 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의 관점에서 즉, 채널이 전송 블록(transmission block)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채널을 카운트하는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에 대해 슬롯당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채널 수를 카운트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결정하기 위해 슬롯당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수를 카운트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장치는, 송수신기 및 하기 예외 1 내지 3을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 또는 PUSCH를 각각 카운트하고, 예외 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하는 경우,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CG(configured grant) PU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DG(dynamic grant)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예외 2: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심볼 i로 끝나는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HPN(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number: HARQ process number)를 위해 상기 서빙 셀에서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심볼 j에서 시작하는 동일한 HPN으로 상기 CG PUSCH를 전송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또는, 예외 3: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심볼 i로 끝나는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MCS(modulation and coding)-C-RNTI로 상기 동일한 서빙 셀의 상기 심볼 j에서 시작하는 구성된(configured)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 PD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SPS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그리고, 상기 카운트된 슬롯당 PDSCH 또는 PUSCH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예외 1 또는 상기 예외 2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CG PUSCH보다 상기 DG PUSCH를 우선 순위로 지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예외 3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구성된 SPS PDSCH보다 상기 DG PDSCH를 우선 순위로 지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되는 상기 PDSCH 또는 상기 PUSCH를 모두 카운트하도록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 블록을 포함하지 않는 채널을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되는 상기 PDSCH 또는 상기 PUSCH를 모두 카운트하도록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기 표를 기반으로, 제1 방법 내지 제4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상기 PDSCH 또는 상기 PUSCH를 카운트 하도록 더 구성된다.
Figure pat00001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를 결정하기 위해 슬롯당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수를 카운트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방법은, 하기 예외 1 내지 예외 3을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 또는 PUSCH를 각각 카운트하는 것, 예외 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하는 경우,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CG PU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DG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예외 2: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HPN(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number: HARQ process number)를 위해 상기 서빙 셀에서 상기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심볼 j에서 시작하는 동일한 상기 HPN으로 상기 CG PUSCH를 전송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또는, 예외 3: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MCS(modulation and coding)-C-RNTI로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구성된(configured)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 PD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SPS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그리고, 상기 카운트된 슬롯당 PDSCH 또는 PUSCH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예외 1 또는 상기 예외 2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CG PUSCH 보다 상기 DG PUSCH를 우선 순위로 지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예외 3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구성된 SPS PDSCH보다 상기 DG PDSCH를 우선 순위로 지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결정하기 위해 슬롯당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수를 카운트하는 기지국의 장치는, 송수신기 및 하기 예외 1 내지 3을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 또는 PUSCH를 각각 카운트하고, 예외 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하는 경우,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CG(configured grant) PU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DG(dynamic grant)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예외 2: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심볼 i로 끝나는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HPN(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number: HARQ process number)를 위해 상기 서빙 셀에서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심볼 j에서 시작하는 동일한 HPN으로 상기 CG PUSCH를 전송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또는, 예외 3: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심볼 i로 끝나는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MCS(modulation and coding)-C-RNTI로 상기 동일한 서빙 셀의 상기 심볼 j에서 시작하는 구성된(configured)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 PD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SPS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그리고, 상기 카운트된 슬롯당 PDSCH 또는 PUSCH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도록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예외 1 또는 상기 예외 2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CG PUSCH보다 상기 DG PUSCH를 우선 순위로 지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예외 3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구성된 SPS PDSCH보다 상기 DG PDSCH를 우선 순위로 지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되는 상기 PDSCH 또는 상기 PUSCH를 모두 카운트하도록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 블록을 포함하지 않는 채널을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되는 상기 PDSCH 또는 상기 PUSCH를 모두 카운트하도록 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기 표를 기반으로, 제1 방법 내지 제4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상기 PDSCH 또는 상기 PUSCH를 카운트 하도록 더 구성된다.
Figure pat00002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결정하기 위해 슬롯당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수를 카운트하는 기지국의 방법은, 하기 예외 1 내지 예외 3을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 또는 PUSCH를 각각 카운트하는 것, 예외 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하는 경우,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CG PU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DG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예외 2: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HPN(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number: HARQ process number)를 위해 상기 서빙 셀에서 상기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심볼 j에서 시작하는 동일한 상기 HPN으로 상기 CG PUSCH를 전송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또는, 예외 3: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MCS(modulation and coding)-C-RNTI로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구성된(configured)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 PD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SPS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그리고, 상기 카운트된 슬롯당 PDSCH 또는 PUSCH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사용자 캐퍼빌리티 정보를 기초로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에 대한 슬롯당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채널 수를 카운트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채널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두 개의 유니캐스트 PUSCH가 시간 대역 및 주파수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시나리오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G PUSCH가 CG PUSCH보다 우선되는 케이스 A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G PUSCH가 CG PUSCH보다 우선하는 케이스 B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G PUSCH가 구성된 SPS PUSCH보다 우선하는 케이스 C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PDSCH 또는 PUSCH의 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PDSCH 또는 PUSCH의 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서로 다른 도면에 도시되었지만 동일한 참조 번호로 지정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구성요소와 같은 특정 세부 사항은 단지 본 개시의 실시 예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 사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습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용어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중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모든 변형물, 등가물 및 대체물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지만, 구조적 요소는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 용어는 한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는 데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조적 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구조적 요소는 또한 제1 구조적 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의 임의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형은 문맥상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갖는다"라는 용어는 특징, 번호, 단계, 동작, 구조적 요소, 부분 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를 나타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작업, 구조적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추가의 존재 또는 확률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해당 분야의 문맥상 의미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 중 하나 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휴대용 통신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컴퓨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장치,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제품을 포함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해당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물,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첨부된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하거나 관련된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될 수 있다. 항목에 해당하는 명사의 단수 형태는 관련 문맥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사물을 포함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 된 바와 같이, "A 또는 B", "A 및 B 중 하나 이상", "A 또는 B 중 하나 이상", "A, B 또는 C", "A, B 및 C 중 하나 이상"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해당 문구 중 하나에서 함께 열거된 항목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와 같은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다른 측면(예를 들어, 중요도 또는 순서)에서 구성요소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구성요소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가 "작동 가능하게"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의 유무에 관계없이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제 2 구성요소)에 "연결된" 또는 "결합된"으로 지칭되는 경우, 이는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예를 들어,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요소를 통해 연결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단위를 포함할 수 있고, "로직", "로직 블록", "부품" 및 "회로"와 같은 다른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일 통합 구성요소, 최소 단위 또는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3GPP 사양(specification)에서, 특징 그룹(feature group: FG) 5-11부터 특징 그룹 5-13은 슬롯당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채널을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를 의미한다. 또한, 3GPP 사양은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전송을 취소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정의한다. 그러나 3GPP 사양은 취소된 채널을 연산하는 방법 또는 채널 연산이 PHY(physical) 계층 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을 기반으로 해야 하는지 여부를 지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채널 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에 대한 슬롯당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채널 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에 대한 슬롯당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채널 수를 카운트하는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임의의 취소된, 스케줄링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폐기된, 구성된 그랜트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전송이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에 대해 카운트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채널이 전송 블록(transmission block: TB)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채널이 PHY(physical) 계층 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관점(point of view)을 형성하는 것을 카운트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처리 복잡도가 감소된다. 즉, 취소된 채널은 캐퍼빌리티로 카운트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의 복잡도 및 부담이 증가한다.
취소된 채널에 대해 자원이 소비되기 때문에, 취소된 채널을 처리된 채널로 연산하는 것도 기저대역 관점에서 중요하다. 예를 들어, 복조기(demodulator), 채널 추정기(channel estimator) 및 디코더(decoder) 등과 같은 처리 구성요소는 취소된 채널에 대해 부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취소된 채널을 카운트함으로써, 사용자 단말 복잡도가 완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취소되지 않은 다른 채널을 처리하는 데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구현 관점에서, 사용자 단말이 채널을 폐기하면 파이프라인(pipeline) 및 처리 구성요소(예를 들어, 채널 추정, FFT(fast Fourier transform), 복조 및 디코딩 등)를 종종 비울 수 있기 때문에, 채널을 완전히 처리하고 채널을 폐기(dropping)하는 것은 정확히 동일한 시간이 걸리지 않거나, 동일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자원을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전송 또는 수신이 진행 중인 이미 스케줄링된 채널을 폐기하는 것은 여전히 사용자 단말 송수신 칩 셋에서 상당한 양의 처리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릴리즈(release)-15에서, 사용자 단말 특징 셋의 일부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는 사용자 단말이 서빙 셀 당 하나의 슬롯에서 처리할 수 있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최대 수를 나타내도록 정의된다. 표 1 및 표 2는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처리할 수 있는 PDSCH 또는 PUSCH의 최대 수를 나타내는 TR(technical report) 38.822 및 TS(technical specification) 38.306의 관련 NR(new radio) 사용자 단말 특징 중 일부를 나타낸다.
특징
(feature)
색인
(index)
특징 그룹
(feature group)
구성요소
(Components)
5. 스케줄링/HARQ 동작 5-11 사용자 단말 처리 시간 캐퍼빌리티 1에 대해 다른 전송 블록에 대한 CC당 슬롯당 최대 2개의 유니캐스트 PDSCH 캐퍼빌리티 1에 대해 지원되는 TDM에서만 CC당 슬롯당 최대 2개의 유니캐스트 PDSCH

1) Msg. 4에 대한 PDSCH가 포함됨
5-11a 사용자 단말 처리 시간 캐퍼빌리티 1에 대해 다른 전송 블록에 대한 CC당 슬롯당 최대 7개의 유니캐스트 PDSCH 캐퍼빌리티 1에 대해 지원되는 TDM에서만 CC당 슬롯당 최대 7개의 유니캐스트 PDSCH

1) Msg. 4에 대한 PDSCH가 포함됨
5-11b 사용자 단말 처리 시간 캐퍼빌리티 1에 대해 다른 전송 블록에 대한 CC당 슬롯당 최대 4개의 유니캐스트 PDSCH 캐퍼빌리티 1에 대해 지원되는 TDM에서만 CC당 슬롯당 최대 4개의 유니캐스트 PDSCH
1) Msg. 4에 대한 PDSCH가 포함됨
5-12 사용자 단말 처리 시간 캐퍼빌리티 1에 대해 다른 전송 블록에 대한 CC당 슬롯당 최대 2개의 PUSCH 캐퍼빌리티 1에 대해 지원되는 TDM에서만 CC당 슬롯당 최대 2개의 유니캐스트 PUSCH
5-12a 사용자 단말 처리 시간 캐퍼빌리티 1에 대해 다른 전송 블록에 대한 CC당 슬롯당 최대 7개의 PDSCH 캐퍼빌리티 1에 대해 지원되는 TDM에서만 CC당 슬롯당 최대 7개의 유니캐스트 PUSCH
5-12b 사용자 단말 처리 시간 캐퍼빌리티 1에 대해 다른 전송 블록에 대한 CC당 슬롯당 최대 4개의 PUSCH 캐퍼빌리티 1에 대해 지원되는 TDM에서만 CC당 슬롯당 최대 4개의 유니캐스트 PUSCH
5-13 사용자 단말 처리 시간 캐퍼빌리티 2에 대해 다른 전송 블록에 대한 CC당 슬롯당 최대 2개의 유니캐스트 PDSCH 캐퍼빌리티 2에 대해 지원되는 TDM에서만 CC당 슬롯당 최대 2개의 유니캐스트 PDSCH
사용자 단말은 'X'값을 보고 할 수 있으며 모든 반송파가 자체적으로 스케줄링되고 단일 대역의 모든 Capability # 2 반송파가 동일한 뉴머놀로지(numerology)를 갖는 경우에만 다음 작업을 지원
- X DL CC 이하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processingType2Enabled가 구성되고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모든 구성된 서빙 셀에서 Capability # 2를 사용하여 슬롯당 최대 2 개의 PDSCH로 스케줄링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2) 스케줄링 제한 없음
3) {15, 30, 60} kHz에서 주어진 SCS에 대한 TS 38.214의 표 5.3-2에 기초한 N1
5-13a 사용자 단말 처리 시간 캐퍼빌리티 2에 대해 다른 전송 블록에 대한 CC당 슬롯당 최대 7개의 유니캐스트 PDSCH 캐퍼빌리티 2에 대해 지원되는 TDM에서만 CC당 슬롯당 최대 7개의 유니캐스트 PDSCH
사용자 단말은 'X'값을 보고 할 수 있으며 모든 반송파가 자체적으로 스케줄링되고 단일 대역의 모든 캐퍼빌리티 #2 반송파가 동일한 뉴머놀로지를 갖는 경우에만 다음 작업을 지원
- X DL CC 이하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processingType2Enabled가 구성되고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모든 구성된 서빙 셀에서 Capability # 2를 사용하여 슬롯당 최대 7 개의 PDSCH로 스케줄링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2) 스케줄링 제한 없음
3) {15, 30, 60} kHz에서 주어진 SCS에 대한 TS 38.214의 표 5.3-2에 기초한 N1
5-13c 사용자 단말 처리 시간 캐퍼빌리티 2에 대해 다른 전송 블록에 대한 CC당 슬롯당 최대 4개의 유니캐스트 PDSCH 캐퍼빌리티 2에 대해 지원되는 TDM에서만 CC당 슬롯당 최대 4개의 유니캐스트 PDSCH
사용자 단말은 'X'값을 보고 할 수 있으며 모든 반송파가 자체적으로 스케줄링되고 단일 대역의 모든 캐퍼빌리티 #2 반송파가 동일한 뉴머놀로지를 갖는 경우에만 다음 작업을 지원
- X DL CC 이하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processingType2Enabled가 구성되고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모든 구성된 서빙 셀에서 캐퍼빌리티 #2를 사용하여 슬롯당 최대 4 개의 PDSCH로 스케줄링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2) 스케줄링 제한 없음
3) {15, 30, 60} kHz에서 주어진 SCS에 대한 TS 38.214의 표 5.3-2에 기초한 N1
5-13d 사용자 단말 처리 시간 캐퍼빌리티 2에 대해 다른 전송 블록에 대한 CC당 슬롯당 최대 2개의 PUSCH 캐퍼빌리티 2에 대해 지원되는 TDM에서만 CC당 슬롯당 최대 2개의 유니캐스트 PUSCH
사용자 단말은 'X'값을 보고 할 수 있으며 모든 반송파가 자체적으로 스케줄링되고 단일 대역의 모든 캐퍼빌리티 # 2 반송파가 동일한 뉴머놀로지를 갖는 경우에만 다음 작업을 지원
- X UL CC 이하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processingType2Enabled가 구성되고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모든 구성된 서빙 셀에서 캐퍼빌리티 #2를 사용하여 슬롯당 최대 2 개의 PUSCH로 스케줄링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2) {15, 30, 60} kHz에서 주어진 SCS에 대한 TS 38.214의 표 6.4-2에 기초한 N2
5-13e 사용자 단말 처리 시간 캐퍼빌리티 2에 대해 다른 전송 블록에 대한 CC당 슬롯당 최대 7개의 PUSCH 캐퍼빌리티 2에 대해 지원되는 TDM에서만 CC당 슬롯당 최대 7개의 유니캐스트 PUSCH

사용자 단말은 'X'값을 보고 할 수 있으며 모든 반송파가 자체적으로 스케줄링되고 단일 대역의 모든 캐퍼빌리티 # 2 반송파가 동일한 뉴머놀로지를 갖는 경우에만 다음 작업을 지원
- X UL CC 이하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processingType2Enabled가 구성되고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모든 구성된 서빙 셀에서 캐퍼빌리티 #2를 사용하여 슬롯당 최대 7 개의 PUSCH로 스케줄링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2) {15, 30, 60} kHz에서 주어진 SCS에 대한 TS 38.214의 표 6.4-2에 기초한 N2
5-13f 사용자 단말 처리 시간 캐퍼빌리티 2에 대해 다른 전송 블록에 대한 CC당 슬롯당 최대 4개의 PUSCH 캐퍼빌리티 2에 대해 지원되는 TDM에서만 CC당 슬롯당 최대 4개의 유니캐스트 PDSCH
사용자 단말은 'X'값을 보고 할 수 있으며 모든 반송파가 자체적으로 스케줄링되고 단일 대역의 모든 캐퍼빌리티 # 2 반송파가 동일한 뉴머놀로지를 갖는 경우에만 다음 작업을 지원
- X UL CC 이하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 단말은 processingType2Enabled가 구성되고 활성화되도록 설정된 모든 구성된 서빙 셀에서 캐퍼빌리티 #2를 사용하여 슬롯당 최대 4 개의 PUSCH로 스케줄링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2) {15, 30, 60} kHz에서 주어진 SCS에 대한 TS 38.214의 표 6.4-2에 기초한 N2
파라미터에 대한 정의 Per M FDD-TDD
DIFF
FR1-FR2
DIFF
pdsch-ProcessingType1-DifferentTB-PerSlot시간 캐퍼빌리티 1을 처리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이 TDLM에서만 동일한 슬롯 내에서 적용 가능한 각각의 DL CC에서 C-RNTI, TC-RNTI 또는 CS-RNTI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된 PDSCH가 있는 여러 전송 블록에 대해 최대 2, 4 또는 7개의 PDSCH 수신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정의한다. Msg. 4에 대한 PDSCH가 포함되어 있음을 참조한다. FS No No No
pdsch-ProcessingType2사용자 단말이 PDSCH 캐퍼빌리티 2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사용자 단말은 모든 서빙 셀이 자체적으로 스케줄링되고, 네트워크가 pdsch-ProcessingType2를 구성한 단일 대역의 모든 서빙 셀이 동일한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이를 지원한다. 상기 캐퍼빌리티 시그널링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부반송파 간격에 대한 다음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 fallback은 서로 다른 TB-PerSlot의 보고된 값에 대해 구성된 캐리어의 수가 numberOfCarriers보다 큰 경우 사용자 단말이 PDSCH 처리 캐퍼빌리티 2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 Fallback= 'sc'인 경우, 사용자 단말은 값이 보고된 대역에서 구성된 반송파 중 가장 낮은 셀 인덱스에 대해 캐퍼빌리티 2 처리 시간을 지원하고, fallback='cap-only'인 경우, 사용자 단말은 값이 보고되는 대역에서 캐퍼빌리티 1만을 지원한다.

- 다른 TB-PerSlot은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1, 2, 4 및/또는 7 개의 전송 블록에 대해 처리 유형 2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이 해당 수의 TB를 지원하는 CA 서빙 셀의 수까지 지시한다.
FS No No FR1 only
pusch-ProcessingType1-DifferentTB-PerSlot시간 캐퍼빌리티 1을 처리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이 TDM에서만 동일한 슬롯 내에서 적용 가능한 UL CC 각각의 여러 전송 블록에 대해 최대 2, 4 또는 7 개의 PUSCH의 전송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FS No No No
pusch-ProcessingType2사용자 단말이 PUSCH 처리 캐퍼빌리티 2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사용자 단말은 모든 서빙 셀이 자체적으로 스케줄링되고 네트워크가 processingType2를 구성한 단일 대역의 모든 서빙 셀이 동일한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이를 지원한다. 상기 캐퍼빌리티 시그널링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부반송파 간격에 대한 다음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 fallback은 서로 다른 TB-PerSlot의 보고된 값에 대해 구성된 캐리어의 수가 numberOfCarriers보다 큰 경우, 사용자 단말이 PUSCH 처리 캐퍼빌리티 2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fallback= 'sc'이면 사용자 단말은 값이 보고된 대역에서 구성된 반송파 중 가장 낮은 셀 인덱스에 대해 캐퍼빌리티 2 처리 시간을 지원하고, fallback='cap1-only'이면 사용자 단말은 값이 보고된 대역에서 캐퍼빌리티 1 만을 지원한다.

- differentTB-PerSlot은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1, 2, 4 및/또는 7 개의 전송 블록에 대해 처리 유형 2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이 해당 수의 TB를 지원하는 CA 서빙 셀의 수까지 지시한다.
FS No No FR1 only
위에서 설명되고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이 더 낮은 우선 순위 채널을 폐기할 수 있으나, 폐기된 PDSCH/PUSCH 채널을 카운트하는 방법은 명확하지 않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2 개의 PUSCH를 처리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시나리오가 발생하면, gNB(gNodeB)가 폐기된 PUSCH를 하나의 채널로 카운트하면 전체적으로 2 개의 PUSCH를 카운트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해 동일한 슬롯에 있는 다른 채널을 스케줄링하지 않는다. 그러나, 폐기된 채널이 카운트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두 개의 PUSCH를 처리할 수 있어, gNB는 다른 채널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PUSCH 및/또는 PDSCH를 폐기하는 것은 여전히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및/또는 상당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자원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폐기된 채널은 채널 처리가 시작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위의 사용자 단말 특징 목록에서 하나의 처리된 채널로 카운트된다.
I. 채널 폐기 및 DG(dynamic grant) 및 CG(configured grant) 상호 작용
CG PU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DG PUSCH의 경우,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PD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임의의 유형 또는 DG PDSCH의 경우, CG PUSCH 또는 SPS PDSCH는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로 카운트하지 않는다. 이는 동적(dynamic) PUSCH/PDSCH를 스케줄링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의 끝점과 CG PUSCH/SPS PDSCH의 시작점 사이에 사용자 단말이 CG PUSCH/SPS PDSCH의 전송/수신을 중단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 간격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기초로 한다.
즉,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라는 문구는 3GPP TR 38.822에서 특징 그룹 5-1, 5-11, 5-12 또는 5-13을 지칭할 수 있거나, 사용자 단말이 처리할 수 있는 슬롯당 PUSCH 또는 PDSCH의 수를 보고하는 임의의 다른 캐퍼빌리티를 지칭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전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PUSCH는 다음 3 가지 케이스를 제외하고 동적으로 발생하는 폐기/취소/생략(skip) 디코딩에 관계없이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의 목적을 위해 카운트된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 DG PUSCH는 CG PUSCH보다 우선하고, DG PDSCH는 구성된 SPS PDSCH에 우선하며 폐기된 채널은 카운트되지 않는다.
케이스 A: 심볼 j의 시작점이 심볼 i의 끝점 이후에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가 되도록 사용자 단말이 심볼 i에서 끝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여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CG-PU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DG-PUSCH를 스케줄링한다.
케이스 B: 심볼 j의 시작점이 심볼 i의 끝점 이후에 적어도 N_2 개의 심볼이 지난 후가 되도록 사용자 단말은 심볼 i에서 끝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고, HPN(HARQ process number)에 대해 서빙 셀에서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사용자 단말은 심볼 j에서 시작하는 동일한 HPN으로 CG를 전송하도록 허용된다.
케이스 C: 심볼 j의 시작점이 심볼 i의 끝점 이후에 적어도 N_2 개의 심볼이 지난 후가 되도록 사용자 단말이 심볼 i에서 끝나는 PDCCH를 수신하고,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MCS(modulation and coding)-C-RNTI로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PDSCH를 스케줄링한다.
상기 케이스의 경우, 사용자 단말은 CG PUSCH/PDSCH를 취소하고 DG PUSCH/PDSCH의 우선 순위를 정할 충분한 시간을 갖는다. 따라서, CG 채널은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로 카운트되지 않는다 전술한 타임라인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는 오류 케이스로 간주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G PUSCH가 CG PUSCH보다 우선되는 케이스 A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심볼 i에서 끝나는 PDCCH를 수신하고,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CG PU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DG PUSCH를 스케줄링하는 DCI를 포함한다. 심볼 j의 시작점은 심볼 i의 끝점 이후 N_2개 이상의 심볼이 지난 후이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은 CG PUSCH를 취소하고 DG PUSCH의 우선 순위를 정할 충분한 시간을 갖는다. 여기서 N_2의 값은 사용자 단말이 CG PUSCH를 취소하고 DG PUSCH의 우선 순위를 정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G PUSCH가 CG PUSCH보다 우선하는 케이스 B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심볼 i에서 끝나고, 주어진 HPN에 대해 서빙 셀에서 DG-PUSCH를 스케줄링하는 DCI를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하는 반면, 사용자 단말은 심볼 j에서 시작하는 동일한 HPN을 사용하여 CG PUSCH를 전송하도록 허용된다. 심볼 j의 시작점은 심볼 i의 끝점 이후 N_2개 이상의 심볼이 지난 후이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은 CG PUSCH를 취소하고 DG PUSCH의 우선 순위를 정할 충분한 시간을 갖는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G PUSCH가 구성된 SPS PUSCH보다 우선하는 케이스 C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심볼 i에서 끝나는 PDCCH를 수신하고,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SPS PD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C-RNTI 또는 MCS-C-RNTI로 DG-PDSCH를 스케줄링하는 DCI를 포함한다. 심볼 j의 시작점은 심볼 i의 끝점 이후 N_2개 이상의 심볼이 지난 후이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은 CG PUSCH를 취소하고 DG PUSCH의 우선 순위를 정할 충분한 시간을 갖는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PDSCH 또는 PUSCH의 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전술한 케이스 A, B 또는 C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하고, 사용자 단말이 전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PUSCH를 카운트한다(S501). 사용자 단말은 슬롯당 PDSCH 또는 PUSCH가 카운트된 수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생성한다(S503). 사용자 단말은 생성된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505).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PDSCH 또는 PUSCH의 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전술한 케이스 A, B 또는 C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하고, 사용자 단말이 전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PUSCH를 카운트한다(S601). 서빙 기지국은 PDSCH 또는 PUSCH가 카운트된 수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생성한다(S603). 서빙 기지국은 생성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기초로 단말에 자원을 할당한다(S605). 실시예 2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전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PUSCH는 동적으로 발생하는 폐기/취소/생략 디코딩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의 목적을 위해 카운트된다. 예를 들어, SPS PDSCH/CG PUSCH 및 DG PDSCH/PUSCH가 오버랩되는 경우, SPS PDSCH/CG PUSCH 및 DG PDSCH/PUSCH 모두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로 카운트된다.
Ⅱ.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이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로 카운트된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지 여부
전술한 실시예에서, 슬롯에서의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전송은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전송/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전송 블록이 없는 PUSCH/PDSCH 또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로 카운트될 수 있다.
실시예 3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전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PUSCH는 동적으로 발생하는 폐기/취소/생략 디코딩 및 PDSCH/PUSCH가 전송 블록을 전달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의 목적을 위해 카운트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가 없는 PUSCH(예를 들어, UL SCH(uplink shared channel))은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로 카운트된다. 비주기적 CSI 보고(report)를 전송하기 위해 트리거되는 PUSCH가 이러한 PUSCH의 예시이다.
실시예 4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전송/수신 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USCH/PUSCH는 동적으로 발생하는 폐기/취소/스킵 디코딩에 관계없이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의 목적을 위해 카운트된다. 그러나 전송 블록이 없는 채널은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로 카운트되지 않는다.
Ⅲ. MAC 기반 또는 PHY 기반 카운트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에 대한 PDSCH 또는 PUSCH의 카운트는 MAC 계층 또는 PHY 계층의 관점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CG PUSCH가 DG PUSCH와 오버랩되고(도 2의 케이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G PUSCH가 데이터 없이 비주기적 CSI 보고를 수행하도록 예정된 경우, DG PUSCH는 전송 블록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PHY 계층 관점에서 DG PUSCH는 데이터 포함 여부에 관계없이 PHY 계층 전송이므로 DG PUSCH는 카운트되어야 한다. 그러나, PHY 계층의 관점에서 보면 MAC 계층이 CG PUSCH에 대한 전송 블록을 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채널을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로 카운트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PHY 기반 카운트: PHY 기반 카운트에서, PHY 계층이 인식하는 PDSCH/PUSCH가 카운트된다. 즉, PDSCH/PUSCH는, 전송 블록 유무에 관계없이, PHY 계층이 이를 인식하는 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로 카운트된다.
MAC 기반 카운트: MAC 기반 카운트에서, MAC 계층이 인식하는 PDSCH/PUSCH가 카운트된다. 즉, PUSCH 또는 PDSCH에 대응하는 전송 블록이 PHY 계층으로 전달되면, 해당 PUSCH 또는 PDSCH는 UE 캐퍼빌리티로 카운트된다. 실시예 5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전송/수신 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PUSCH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CG 또는 SPS 채널인지 여부 및/또는 아래 표 3에 따라 PDSCH/PUSCH가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의 목적을 위해 카운트된다.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트는 가능한 4가지 방법 중 하나에 의해 수행된다.
Figure pat00003
표 3에서, 제1 방법은 MAC 계층 관점에 따라 카운트 된다. 즉, CG PUSCH 또는 SPS PDSCH에 대해 전송 블록이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채널은 카운트되지 않는다. 또한, 물리적(physical) 채널에 전송 블록이 없으면, 상기 채널은 카운트되지 않는다.
제2 방법은, CG PUSCH/SPS PDSCH가 CG PUSCH 및 SPS PDSCH에 대해 PHY 계층으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PHY 계층의 관점에서 카운트가 수행된다. 또한, PHY 계층의 관점에서 채널에 전송 블록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제3 방법 및 제4 방법에서는 PHY 또는 MAC 계층에서 사용되는 자원의 양에 따라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에 대해 다른 카운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전자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700) 내의 제1 전자 장치(701)는 제1 네트워크(798)(예를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전자 장치(702)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거나, 제2 네트워크(799)(예를 들어, 장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3 전자 장치(704) 또는 서버(708)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701)는 서버(708)를 통해 제3 전자 장치(704)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701)는 프로세서(720), 메모리(730), 입력 장치(750), 음향 출력 장치(755), 디스플레이 장치(760), 오디오 모듈(770), 센서 모듈(776), 인터페이스(777), 햅틱 모듈(779), 카메라 모듈(780), 전원 관리 모듈(788), 배터리(789), 통신 모듈(790), 가입자 식별 모듈(796)(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또는 안테나 모듈(79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760) 또는 카메라 모듈(780)은 제1 전자 장치(701)로부터 생략될 수 있고, 제1 전자 장치(701)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성요소 중 일부는 단일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776)(예를 들어, 지문 센서, 홍체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디스플레이 장치(760)(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20)는 프로세서(720)와 결합된 제1 전자 장치(7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프로그램(740))를 실행하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720)는 휘발성 메모리(732)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센서 모듈(776) 또는 통신 모듈(7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로드할 수 있으며, 휘발성 메모리(7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 휘발성 메모리(734)에 저장한다. 프로세서(720)는 메인 프로세서(721)(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메인 프로세서(721)와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작동할 수 있는 보조 프로세서(723)(예를 들어,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 센서 허브 프로세서(sensor hub processor),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보조 프로세서(723)는 메인 프로세서(721)보다 적은 전력을 소비하거나, 또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723)는 메인 프로세서(721)와 별개로 구현될 수 있고, 메인 프로세서(721)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723)는 메인 프로세서(721)가 비활성(예를 들어, 슬립) 상태인 동안에 메인 프로세서(721) 대신에, 또는 메인 프로세서(721)가 활성(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721)와 함께, 제1 전자 장치(701)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760), 센서 모듈(776) 또는 통신 모듈(7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예를 들어,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 또는 통신 프로세서)는 보조 프로세서(723)와 기능적으로 관련된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780) 또는 통신 모듈(790))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1 전자 장치(7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프로세서(720) 또는 센서 모듈(776))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프로그램(740)) 및 데이터에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휘발성 메모리(732)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7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740)은 소프트웨어로서 메모리(7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 742), 미들웨어(middleware, 744) 또는 애플리케이션(7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750)는 제1 전자 장치(701)의 외부(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제1 전자 장치(701)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프로세서(720))가 사용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755)는 제1 전자 장치(701)의 외부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755)는 예를 들어, 스피커 또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과 같은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수신기는 전화를 수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기는 스피커와 분리되거나 스피커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760)는 제1 전자 장치(701)의 외부에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76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중 하나에 대응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760)는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회로 또는 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힘의 강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센서 회로(예를 들어,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770)은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역으로 변환할 수 잇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770)은 입력 장치(7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소리 출력 장치(755) 또는 헤드폰을 통해 소리를 제1 전자 장치(701)에 직접(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제2 전자 장치(702)에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776)은 제1 전자 장치(701)의 동작 상태(예를 들어, 전원 또는 온도) 또는 제1 전자 장치(701) 외부의 환경 상태(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776)은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대기압 센서,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적외선 센서, 생체 인식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777)는 제1 전자 장치(701)가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702), 제3 전자 장치(704) 또는 서버(708))와 직접(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777)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778)는 제1 전자 장치(701)가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702), 제3 전자 장치(704) 또는 서버(708))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778)는 예를 들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를 들어,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779)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자극(예를 들어,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촉감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전기적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잇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779)은 예를 들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기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780)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7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788)은 제1 전자 장치(7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788)은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집적 회로(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의 적어도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789)는 제1 전자 장치(7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르면, 배터리(789)는 예를 들어, 충전이 불가능한 1차 전지,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790)은 제1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702), 제3 전자 장치(704) 또는 서버(708)) 간의 직접(예를 들어,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 설정을 지원할 수 있고,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790)은 프로세서(720)(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직접(예를 들어,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중앙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790)은 무선 통신 모듈(792)(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794)(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중 대응하는 모듈은 제1 네트워크(798)(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WI-FI 다이렉트(wireless-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표준과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799)(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LAN 또는 WAN(wide area network))와 같은 장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통신 모듈은 단일 구성요소(예를 들어, 단일 집적회로)로 구현되거나 서로 분리된 여러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792)은 가입자 식별 모듈(7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를 들어,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신원 확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798) 또는 제2 네트워크(7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1 전자 장치(701)를 식별하고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797)은 제1 전자 장치(701)의 외부(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와 신호 또는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7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798) 또는 제2 네트워크(7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어, 통신 모듈(790)(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792))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통신 모듈(790)과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702), 제3 전자 장치(704) 및 서버(708)) 사이에 신호 또는 전력이 송수신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상호 연결되어 주변 장치간 통신 방식(예를 들어, 버스(bus), 범용 입력 출력(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GIPO), 직렬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또는 모바일 산업 프로세서 인터페이스(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을 통해 상호 간에 신호(예를 들어, 명령 또는 데이터)에 대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799)와 연결된 서버(708)를 통해 제1 전자 장치(701)와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702), 제3 전자 장치(704) 또는 서버(708) 간에 송수신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702) 및 제3 전자 장치(704) 각각은 제1 전자 장치(701)와 동일한 유형 또는 다른 유형의 장치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701)에서 실행될 동작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702), 제3 전자 장치(704) 또는 서버(708)) 중 하나 이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701)가 자동으로 기능 또는 서비스를 수행해야 하거나,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제1 전자 장치(701)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대신 또는 추가적으로 수행해야하는 경우,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기계(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701))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를 들어, 내부 메모리(736) 또는 외부 메모리(7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프로그램(740))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701)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중 하나 이상을 읽고,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읽힌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계가 동작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비 일시적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비 일시적"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가 유형의 장치이며 신호(예를 들어, 전자파)를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하나, 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위치와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위치를 구별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gNB와 같은 기지국은 송수신기(810), 제어기(820)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제어기(820)는 회로, ASIC 또는 프로세서로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기(810)는 신호를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entity)와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810)는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고, 동기화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810)는 초기 액세스 동작, 랜덤 액세스 동작 및 핸드 오버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820)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820)는 전술한 도 6의 흐름도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송수신기(8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 제어기(820)를 통해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830)는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 또는 설정된 PDSCH/PUSCH가 카운트된 수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통신 프로세서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및 구성 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8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 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 메모리(예를 들어, SD 메모리 또는 XD(extreme digital) 메모리),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820)는 메모리(830)에 저장된 다양한 프로그램, 컨텐츠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에 상품으로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예를 들어, play store)를 통하거나 두 사용자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사이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를 들어,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으로 배포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업체 서버의 메모리,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릴레이 서버와 같은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일시적으로 생성되거나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 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일 엔티티 또는 다중 엔티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모듈 또는 프로그램)이 단일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합된 컴포넌트는 통합 이전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복수의 구성요소 각각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여전히 수행할 수 있다.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순차적으로, 병렬로, 반복적으로 또는 경험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하나 이상의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슬롯당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채널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캐퍼빌리티에 대한 슬롯당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채널의 수를 카운트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발명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 된 실시 예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701: 제1 전자 장치 702: 제2 전자 장치
704: 제3 전자 장치 708: 서버
720: 프로세서 721: 메인 메모리
723: 보조 메모리 730: 메모리
732: 휘발성 메모리 734: 비 휘발성 메모리
736: 내부 메모리 738: 외부 메모리
740: 프로그램 742: 운영 체제
744: 미들웨어 746: 애플리케이션
750: 입력 장치 755: 음향 출력 장치
760: 디스플레이 장치 770: 오디오 모듈
776: 센서 모듈 777: 인터페이스
778: 연결 단자 779: 햅틱 모듈
780: 카메라 모듈 788: 전원 관리 모듈
789: 배터리 790: 통신 모듈
792: 무선 통신 모듈 794: 유선 통신 모듈
796: 가입자 식별 모듈 797: 안테나 모듈
798: 제1 네트워크 799: 제2 네트워크
800: 기지국 810: 송수신기
820: 제어기 830: 메모리

Claims (20)

  1.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결정하기 위해 슬롯당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수를 카운트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송수신기; 및
    하기 예외 1 내지 3을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 또는 PUSCH를 각각 카운트하고;
    예외 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하는 경우,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CG(configured grant) PU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DG(dynamic grant)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예외 2: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심볼 i로 끝나는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HPN(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number: HARQ process number)를 위해 상기 서빙 셀에서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심볼 j에서 시작하는 동일한 HPN으로 상기 CG PUSCH를 전송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또는,
    예외 3: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심볼 i로 끝나는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MCS(modulation and coding)-C-RNTI로 상기 동일한 서빙 셀의 상기 심볼 j에서 시작하는 구성된(configured)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 PD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SPS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그리고,
    상기 카운트된 슬롯당 PDSCH 또는 PUSCH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예외 1 또는 상기 예외 2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CG PUSCH보다 상기 DG PUSCH를 우선 순위로 지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예외 3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구성된 SPS PDSCH보다 상기 DG PDSCH를 우선 순위로 지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되는 상기 PDSCH 또는 상기 PUSCH를 모두 카운트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 블록을 포함하지 않는 채널을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되는 상기 PDSCH 또는 상기 PUSCH를 모두 카운트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하기 표를 기반으로, 제1 방법 내지 제4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상기 PDSCH 또는 상기 PUSCH를 카운트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Figure pat00004
  8.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를 결정하기 위해 슬롯당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수를 카운트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하기 예외 1 내지 예외 3을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 또는 PUSCH를 각각 카운트하는 것;
    예외 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하는 경우,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CG PU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DG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예외 2: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HPN(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number: HARQ process number)를 위해 상기 서빙 셀에서 상기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심볼 j에서 시작하는 동일한 상기 HPN으로 상기 CG PUSCH를 전송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또는,
    예외 3: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MCS(modulation and coding)-C-RNTI로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구성된(configured)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 PD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SPS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그리고,상기 카운트된 슬롯당 PDSCH 또는 PUSCH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 1 또는 상기 예외 2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CG PUSCH 보다 상기 DG PUSCH를 우선 순위로 지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외 3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구성된 SPS PDSCH보다 상기 DG PDSCH를 우선 순위로 지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결정하기 위해 슬롯당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수를 카운트하는 기지국의 장치로, 상기 장치는,
    송수신기; 및
    하기 예외 1 내지 3을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 또는 PUSCH를 각각 카운트하고;
    예외 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하는 경우,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CG(configured grant) PU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DG(dynamic grant)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예외 2: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심볼 i로 끝나는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HPN(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number: HARQ process number)를 위해 상기 서빙 셀에서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심볼 j에서 시작하는 동일한 HPN으로 상기 CG PUSCH를 전송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또는,
    예외 3: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심볼 i로 끝나는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MCS(modulation and coding)-C-RNTI로 상기 동일한 서빙 셀의 상기 심볼 j에서 시작하는 구성된(configured)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 PD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SPS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그리고,
    상기 카운트된 슬롯당 PDSCH 또는 PUSCH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예외 1 또는 상기 예외 2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CG PUSCH보다 상기 DG PUSCH를 우선 순위로 지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예외 3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구성된 SPS PDSCH보다 상기 DG PDSCH를 우선 순위로 지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되는 상기 PDSCH 또는 상기 PUSCH를 모두 카운트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 블록을 포함하지 않는 채널을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되는 상기 PDSCH 또는 상기 PUSCH를 모두 카운트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기 표를 기반으로, 제1 방법 내지 제4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상기 PDSCH 또는 상기 PUSCH를 카운트 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Figure pat00005
  19.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capability)를 결정하기 위해 슬롯당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수를 카운트하는 기지국의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하기 예외 1 내지 예외 3을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송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거나 구성된 모든 PDSCH 또는 PUSCH를 각각 카운트하는 것;
    예외 1: 상기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수신하는 경우,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CG PU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DG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예외 2: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HPN(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number: HARQ process number)를 위해 상기 서빙 셀에서 상기 PUSCH를 스케줄링하고,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심볼 j에서 시작하는 동일한 상기 HPN으로 상기 CG PUSCH를 전송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CG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또는,
    예외 3: 사용자 단말이 심볼 i로 끝나는 PDCCH를 수신하는 경우,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MCS(modulation and coding)-C-RNTI로 동일한 서빙 셀의 심볼 j에서 시작하는 구성된(configured)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 PDSCH와 시간 대역에서 오버랩되는 PDSCH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심볼 j의 시작점은 상기 심볼 i의 끝점 이후 적어도, N_2 심볼이 지난 후이며, 상기 SPS PUSCH는 카운트되지 않음; 그리고,
    상기 카운트된 슬롯당 PDSCH 또는 PUSCH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사용자 캐퍼빌리티 정보를 기초로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00131870A 2019-11-01 2020-10-13 처리된 채널 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531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29643P 2019-11-01 2019-11-01
US62/929,643 2019-11-01
US201962945693P 2019-12-09 2019-12-09
US62/945,693 2019-12-09
US17/014,499 2020-09-08
US17/014,499 US11228900B2 (en) 2019-11-01 2020-09-08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E capability based on number of processed channe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189A true KR20210053189A (ko) 2021-05-11

Family

ID=7304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870A KR20210053189A (ko) 2019-11-01 2020-10-13 처리된 채널 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228900B2 (ko)
EP (1) EP3817419A1 (ko)
KR (1) KR20210053189A (ko)
CN (1) CN112788589B (ko)
TW (1) TW2021198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6770B2 (en) * 2020-03-02 2023-07-18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PHY) layer and media access control (MAC) layer operations following uplink cancellation indication (ULCI)
WO2021221431A1 (ko) * 2020-04-27 202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 사용자기기, 프로세싱 장치,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그리고 하향링크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및 기지국
WO2021228140A1 (en) * 2020-05-12 2021-11-1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of perform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half-duplex frequency-division duplexing operation and related device
US20220046658A1 (en) * 2020-08-07 2022-02-10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y based decision for configured transmission cancellation by dynamic grant
US11985683B2 (en) 2021-09-29 2024-05-14 Qualcomm Incorporated Conditions for simultaneous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transmissio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88480B (zh) * 2011-07-14 2017-04-05 Lg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设置控制信道和数据信道的方法和装置
US10361757B2 (en) 2015-04-10 2019-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168141B1 (ko) * 2016-05-20 2020-10-20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다수의 서브프레임들의 스케줄링
EP3556161A4 (en) 2016-12-13 2020-06-24 Sharp Kabushiki Kaisha BASE STATIONS, USER DEVICES AND RELATED COMMUNICATION PROCEDURES
WO2018127370A1 (en) * 2017-01-09 2018-07-12 Nokia Technologies Oy Flexible indication of transmission timing
WO2019083278A1 (ko) * 2017-10-24 2019-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587552B (zh) * 2017-11-10 2023-04-21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承载sr的pucch的方法及其设备
WO2019160660A1 (en) * 2018-02-15 2019-08-2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US11096043B2 (en) 2018-02-16 2021-08-17 Apple Inc.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mat for ultra-reliabl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CA3070553C (en) * 2018-04-05 2023-03-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data channel and apparatus therefor
US10863511B2 (en) * 2018-04-10 2020-12-0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s and related devices for performing cross-carrier scheduling with beam operations
US10813116B2 (en) 2018-05-11 2020-10-20 Apple Inc. Support of advanced user equipment (UE) minimum processing times in new radio (NR) systems
US11411690B2 (en) * 2018-11-21 2022-08-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hannel based on a plurality of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s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EP3780882A1 (en) * 2019-08-15 2021-02-1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delink communications
US11736933B2 (en) * 2019-08-26 2023-08-22 Qualcomm Incorporated Capability signaling for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repet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36565A1 (en) 2021-05-06
TW202119858A (zh) 2021-05-16
US20220086626A1 (en) 2022-03-17
US11589215B2 (en) 2023-02-21
EP3817419A1 (en) 2021-05-05
CN112788589A (zh) 2021-05-11
US11228900B2 (en) 2022-01-18
CN112788589B (zh) 202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3189A (ko) 처리된 채널 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 캐퍼빌리티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97207A (ko)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9248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PDCCH repetition in multi-TRP system
US119977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monitoring
KR20220071929A (ko) 반 영구 스케줄링된 릴리스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사용자 장치
JP2021019356A (ja) サービング・セル毎にモニタリング・オケージョン毎に複数の有効ユニキャスト・ダウンリンク制御情報(dci)と共にダイナミック・ハイブリッド自動再送要求(harq)コードブック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20047524A (ko) 다중 다중 송수신 지점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반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3603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rate matching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US202101052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user equipment to process overlapping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s
TW202143765A (zh) 用於管理多傳輸及接收點通訊的方法
US117585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ision handling with cross carrier scheduling
US115469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channel dropping during handover for user equipment
EP40843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rate matching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EP41457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block determination for multicast and broadcast transmissions
KR20210044694A (ko)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202209912A (zh) 控制使用者設備的能力傳訊的方法、電子裝置及基地台
KR20220149420A (ko) 물리적 다운링크 체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