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011A -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011A
KR20210053011A KR1020190138756A KR20190138756A KR20210053011A KR 20210053011 A KR20210053011 A KR 20210053011A KR 1020190138756 A KR1020190138756 A KR 1020190138756A KR 20190138756 A KR20190138756 A KR 20190138756A KR 20210053011 A KR20210053011 A KR 20210053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anagement
management server
user terminal
inform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더봄프로젝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봄프로젝트 (주) filed Critical 더봄프로젝트 (주)
Priority to KR1020190138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3011A/ko
Publication of KR2021005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유튜브(Youtube) 등 다양한 소셜 채널의 콘텐츠를 통합 관리가 가능하여 마테팅을 위한 컨텐츠를 제작하고 복수의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여 효과적인 타깃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ement Online Contents}
본 발명은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유튜브(Youtube) 등 다양한 소셜 채널의 콘텐츠를 통합 관리가 가능하여 마테팅을 위한 컨텐츠를 제작하고 복수의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여 효과적인 타깃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현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는 하나의 트렌드가 아닌 패러다임의 변화로 다가오고 있다. 종래에 검색이 주요했던 때의 홈페이지나 포털의 미니홈피/블로그 등과 같이 각 패러다임을 대표하는 매체(Media)들이 있었으나, 현재 소셜 네트워크 시대에는 아직 패러다임을 대표하는 매체 없이 몇몇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인프라 사업자들의 서비스에만 종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기존 메시지의 전달을 위한 이메일(e-mail) 서비스는 각종 스팸(Spam)화로 인한 사용자들의 메시지 과부하에 시달리고, 메일의 전달력과 소비력이 약해지고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 달리 다양한 사용자의 참여와 공유가 불가하다는 등의 한계가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출현 이후에 메시지 소비의 중심이 이동되고 있고, 이메일(e-mail)은 기록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빠른 전달성으로 역할이 분담되어 사용자 메시지 채널의 중심이 이동되고 있다. 또한, 정보 소비자의 변화로서 실시간성, 참여, 공유 등 정보소비패턴의 변화와 모발일 환경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효율성으로 방문이나 유입 등의 방식이 아닌 자연적인 확산 및 공유와, 이메일과는 비교할 수 없는 소통 능력과, 듣기/반응에서 개선으로 다시 개입과 측정이라는 선순환 구조에 따른 고객관계 프로세서의 혁신을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 선호도에서 이메일은 하락하고 있고, 전달방식이 1:N 방식이며, 노이즈(스팸) 메시지에 전달력이 떨어지고, 조회/미조회와 같이 단순 고객 반응 측정의 한계가 있으며, 오랜 피드백과 더불어 주소록 및 제한된 회원DB 등의 확산성이 있다. 이에 반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준거 메시징 도구로 N:N 방식의 전달과, 친구 기반의 명확한 타깃 전달력, 공감(좋아요), 공유, 댓글 등 풍부한 반응 측정성, 실시간, 개방성 및 자연확산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 시장에서는 다양하고 새로운 단말기들이 수도 없이 쏟아지고 있어 정보기술(IT) 업체들조차 시장의 흐름을 따라가기 힘든 상태이고, 대부분의 이슈는 하나의 콘텐츠(Contents)를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굴절 없이 활용할 수 있어야 하지만 인터페이스, 화면크기 등이 제각각이어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05109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유튜브(Youtube) 등 다양한 소셜 채널의 콘텐츠를 통합 관리가 가능하여 마테팅을 위한 컨텐츠를 제작하고 복수의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여 효과적인 타깃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소셜 채널의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 및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는, 디바이스별 화면 사이즈 정보를 정의하는 컨트롤러 매니저; 디바이스별 UI 형태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속성 및 기능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프레임워크; 및 뉴스, 블로그(Blog), 위키(Wiki), 이미지/포토(Image/Photo), 무비(Movie)를 쉽게 미디어 콘텐츠 제작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콘텐츠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 또는 다른 사용자단말과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되는 통신부;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해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마련되는 키입력부; 상기 사용자단말에 입력된 정보를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 또는 다른 사용자단말에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정보제공부; 및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 또는 다른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되는 정보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유튜브(Youtube) 등 다양한 소셜 채널의 통합 관리와 배포를 통한 효율성 및 생산성이 증대되고, 풍부한 고객 반응 수집에 의한 체계적 고객관계의 수립이 가능하며, 실시간 스트림에 의한 고객 변화의 빠른 수용과 대응을 할 수 있고, 웹 기반의 통합 통계와 리포팅을 통한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유튜브(Youtube) 등 다양한 소셜 채널의 콘텐츠를 통합 관리가 가능하여 마테팅을 위한 컨텐츠를 제작하고 복수의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여 효과적인 타깃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빔 프로젝터 광고 시스템은 사용자단말(200)과 웹 및 멀티디바이스 또는 iOS가 설치된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텐츠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가 웹 및 멀티디바이스 또는 iOS가 설치된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접속하게 되며, 컨트롤러 매니저(110), 통합 프레임워크(120), 제작 툴(130), 외부 콘텐츠 관리시스템(140) 및 데이터베이스(150)을 포함한다.
컨트롤러 매니저(110)는 클라이언트(Client)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스패칭(Dispatching), 로그인 체크, 사용자 인증, 브라우저, 디바이스, 화면해상도를 포함하는 리퀘스트 헤더(Request header) 분석과 이를 통해 디바이스별 화면 사이즈 정보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통합 프레임워크(120)는 솔루션에 활용되는 UI(User Interface) 컴포넌트를 디바이스별 1:1 기능 매칭을 통해 디바이스별 UI 형태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속성/기능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포넌트 매니저(Components Manager)와, 디바이스 별, 혹은 동일 디바이스 화면 내에서 확대/축소 등의 레이아웃 변경이 발생하였을 때 화면 깨짐 없이 동적으로 레이아웃이 재조정되도록 하고, PC, Phone, Tablet, TV를 포함하는 기기에서 UX(User Experience)의 특징에 맞도록 레이아웃 패턴을 정의하는 다이내믹 레이아웃 매니저(Dynamic Layout Manager)와, 디바이스별 화면 배율을 동적으로 최적화시키는 해상도 매니저(Resolution Manager)와, 각 디바이스별 동일한 이벤트 속성을 1:1로 매칭시켜 UI형태와 상관없이 동일한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벤트 매니저(Event Manager)를 포함한다. N-스크린 UX 통합 프레임워크(40)는 리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Rich Internet Application) 기술을 이용한 것으로, MXML-ActionScript, HTML5-JQuery의 리치인터넷 어플리케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하나의 콘텐츠가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굴절 없이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PC(Mouse), Phone(Touch), Tablet(Touch) 등 디바이스별 최적화된 통합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로서 유연한 콘텐츠 사용성을 제공한다. 콘텐츠의 위치 값, 배율, 정렬 등을 제어하는 Layout Framework을 통한 굴절 없는 콘텐츠의 이용과 미디어 성격별 템플릿(Template; e-Book, News, Magazine 등) 프레임워크를 통해 다양하게 활용할 있도록 한다.
제작 툴(130)은 일반적인 글자의 표현과 색상, 크기, 볼드 및 서체를 위한 각종 속성을 포함하는 텍스트(Text)와, 편집 레이아웃 설정, 드래그를 통한 동적 설정을 위한 레이아웃(Layout)과, 이미지의 크기, 자르기, 회전, 필터 효과를 위한 각종 속성을 편집하기 위한 이미지(Image)와, 서버에서 FLV 포맷으로 컨버팅된 파일을 구간 자르기, 자막 기능을 직접 편집하여 문서를 삽입하는 무비(Movie)와, 다양한 도형모양, 두께, 선 처리, 글 입력을 위한 도식, 모델링에 활용할 수 있는 다이어그램(Diagram)과, 엑셀 프로그램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수식 처리 가능한 표 기능의 수행을 위한 그리드/데이터그리드(Grid/DataGrid)와,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의 프레젠테이션 모드와 같이 인터넷 문서에 다양한 이펙트 효과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과, 엑셀 프로그램이나 런타임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막대, 도넛, 라인을 포함하는 차트 기능의 구현을 위한 차트(Chart)를 포함한다.
외부 콘텐츠 관리시스템(140)은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매시업 에이전트([0024] Mash-Up Agent)를 통해 뉴스, 블로그(Blog), 위키(Wiki), 이미지/포토(Image/Photo), 무비(Movie)를 쉽게 미디어 콘텐츠 제작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멀티 테넌트(Multi-Tenent) 환경의 SaaS(Service as a Software) 구축과 자바(JAVA) 프레임워크 세트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이외 오브젝트(Object) 기반의 통신 엔진이 적용되며 외부 데이터를 입출력 및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콘텐츠 관리 서버(100)와 연계되는 사용자단말(200)은 통상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인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하기에 따라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일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200)은 통신부(210), 디스플레이(220), 키입력부(230), 정보제공부(240) 및 정보수신부(250)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부들은 스마트폰 등에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것일 수도 있고,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210)는 콘텐츠 관리 서버(100) 또는 다른 사용자단말(200)과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다.
디스플레이(220)는 콘텐츠 관리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키입력부(23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마련된다. 실시하기에 따라 키입력부(230)는 디스플레이(220)와 일체화된 터치스크린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정보제공부(240)는 사용자단말(200)에 입력된 정보를 콘텐츠 관리 서버(100) 또는 다른 사용자단말(200)에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정보수신부(250)는 콘텐츠 관리 서버(100) 또는 다른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활용 예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구글(Google+), 유튜브(Youtube), 플리커(Flicker), 블로그(Bolg) 등의 소셜(SNS) 채널에 회원으로 가입한다.
다음으로, 소셜 기반의 계정연동 기능을 활용하여 개별 채널 모두의 승인을 진행하고, 이 과정은 하나의 계정에 각각의 소셜 계정을 매칭하는 프로세스로 한 번의 인증 이후 하나의 계정만으로 모든 SNS채널을 사용한다.
이때, 채널별 담당자가 별도로 있거나 운영 대행을 수행할 경우 통합 계정관리와 권한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SNS도 브랜드/용도별 복수 계정을 생성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계정 담당자는 계정에 따른 권한을 제어함으로써, 배포기능이나 통합통계/설정 등의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후, 메시지, 매거진/소셜 뉴스레터 등의 콘텐츠를 한번 생산하여 다양한 채널을 통해 통합 배포를 수행 하게 된다. 즉 SNS 관리자는 통합 배포도구와 스토리텔링 도구를 이용하여 유튜브 등의 SNS 채널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여 마케팅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소셜 채널에서 맺어진 친구 목록을 통합된 형태의 별도 DB로 관리하여 타깃 마케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소셜 채널에서 일어나는 사용자 반응을 통합된 형태의 통계로 조회하고 관리한다. SNS 관리자는 사용자의 반응을 조회 및 취합한 후에 통합 통계 실행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유튜브(Youtube) 등 다양한 소셜 채널의 통합 관리와 배포를 통한 효율성 및 생산성이 증대되고, 풍부한 고객 반응 수집에 의한 체계적 고객관계의 수립이 가능하며, 실시간 스트림에 의한 고객 변화의 빠른 수용과 대응을 할 수 있고, 웹 기반의 통합 통계와 리포팅을 통한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유튜브(Youtube) 등 다양한 소셜 채널의 콘텐츠를 통합 관리가 가능하여 마테팅을 위한 컨텐츠를 제작하고 복수의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여 효과적인 타깃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콘텐츠 관리 서버
110 : 컨트롤러 매니저
120 : 통합 프레임워크
130 : 제작 툴
140 : 외부 콘텐츠 관리시스템
150 : 데이터베이스
200 : 사용자 단말
210 : 통신부
220 : 디스플레이
230 : 키입력부
240 : 정보제공부
250 : 정보수신부

Claims (3)

  1. 다양한 소셜 채널의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 및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는,
    디바이스별 화면 사이즈 정보를 정의하는 컨트롤러 매니저;
    디바이스별 UI 형태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속성 및 기능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프레임워크; 및
    뉴스, 블로그(Blog), 위키(Wiki), 이미지/포토(Image/Photo), 무비(Movie)를 쉽게 미디어 콘텐츠 제작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콘텐츠 관리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 또는 다른 사용자단말과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되는 통신부;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해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마련되는 키입력부;
    상기 사용자단말에 입력된 정보를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 또는 다른 사용자단말에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정보제공부; 및
    상기 콘텐츠 관리 서버 또는 다른 사용자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되는 정보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1020190138756A 2019-11-01 2019-11-01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 KR20210053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756A KR20210053011A (ko) 2019-11-01 2019-11-01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756A KR20210053011A (ko) 2019-11-01 2019-11-01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011A true KR20210053011A (ko) 2021-05-11

Family

ID=75914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756A KR20210053011A (ko) 2019-11-01 2019-11-01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30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4164B2 (e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a collaborative web-based multimedia contextual dialogue
CN107979632B (zh) 推送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20160344677A1 (en) Unified messaging platform for providing interactive semantic objects
US8073857B2 (en) Semantics-based data transformation over a wire in mashups
US1033176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lating forms to native mobile applications
US10303675B2 (en) Custom lightning connect adapter for google sheets web-based spreadsheet program
US201200896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collaborative form filling
KR101212778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스마트 오피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을 위한 서버 및 운용 방법
JP6215359B2 (ja) 複数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にわたる情報へのアクセスの提供
KR20110100622A (ko)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콘텐츠를 신디케이트하는 기술
US20100235505A1 (en) Syndicated presence and activity feed federated via extended interoperable format
US202101496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external application functionality into a workflow facilitated by a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US20170147547A1 (en) Collaboration cards for communication related to a collaborated document
US201003185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adily updatable media content
US108318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browsing
CN112040428A (zh) 一种5g消息模板库构建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353320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콘텐츠 관리시스템
US20240143266A1 (en) Shared screen tools for collaboration
KR20160070254A (ko) 리얼타임 캔버스 제공 시스템, 리얼타임 캔버스 제공방법, 그 프로그램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N104283921A (zh) 一种微博发布方法及装置
US20110283364A1 (en) Communication method, display apparatus, moderator terminal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2785258A (zh) 一种基于自由配置的门户动态布局方法
US202302088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oftware components as a service
KR20210053011A (ko) 온라인 콘텐츠 관리 시스템
US20230028495A1 (en) Content appearance conversion for remote application sh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