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958A - 인공 지능 서버 - Google Patents

인공 지능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958A
KR20210052958A KR1020190138636A KR20190138636A KR20210052958A KR 20210052958 A KR20210052958 A KR 20210052958A KR 1020190138636 A KR1020190138636 A KR 1020190138636A KR 20190138636 A KR20190138636 A KR 20190138636A KR 20210052958 A KR20210052958 A KR 20210052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keywords
natural language
language processing
ra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부순
방수라
장보미
정우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8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2958A/ko
Priority to US16/712,309 priority patent/US11676012B2/en
Publication of KR20210052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F40/216Parsing using statistical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4Lexical analysis, e.g. tokenisation or collo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natural language modell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른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고, 키워드의 랭킹에 따라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생성하여 자연어 처리 모델을 학습시키는 인공 지능 서버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인공 지능 서버{AN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본 개시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키워드를 수집하고, 키워드의 랭킹에 따라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연어 처리 모델을 재 트레이닝 할 수 있는 인공지능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딥 러닝이 주목을 받으면서, 자연어 처리는 인공 지능 장치에게 인간의 언어를 이해시킨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는 인간의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석 방법을 통해 기계적인 형태로 변환하는 기술 및 인간이 해석할 수 있는 형태소로 만드는 기술을 포함한다. 이때 자연어(Natural Language)는 인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해 온 한국어, 영어 등과 같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의미한다.
자연어 처리의 과정으로, 입력된 문장을 자연어 처리를 위한 단어의 최소 단위인 형태소로 분리하고, 형태소를 구문 해석에 의해 문법적으로 타당한 단어의 나열인지 분석한다. 이후 형태소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 중 가장 적합한 형태의 품사를 부착(tagging)하여 구문 분석을 수행한다. 상기 분석 결과를 통하여 자연어 처리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키워드를 수집하고, 키워드의 랭킹에 따라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연어 처리 모델을 트레이닝 할 수 있는 인공지능 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 서버는, 사용자 딕셔너리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고,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에 따라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생성하여 자연어 처리 모델을 학습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 중 특정 랭킹 이상의 키워드를 자연어 처리 모델에 학습시킴으로써 자연어 처리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고, 용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서버를(200)의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시스템(1)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I 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서버를(500)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에 따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에 따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어 처리 모델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 지능은 인공적인 지능 또는 이를 만들 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하는 분야를 의미하며, 머신 러닝(기계 학습, Machine Learning)은 인공 지능 분야에서 다루는 다양한 문제를 정의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론을 연구하는 분야를 의미한다. 머신 러닝은 어떠한 작업에 대하여 꾸준한 경험을 통해 그 작업에 대한 성능을 높이는 알고리즘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인공 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은 머신 러닝에서 사용되는 모델로써, 시냅스의 결합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한 인공 뉴런(노드)들로 구성되는,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는 모델 전반을 의미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다른 레이어의 뉴런들 사이의 연결 패턴, 모델 파라미터를 갱신하는 학습 과정, 출력값을 생성하는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입력층(Input Layer), 출력층(Output Layer), 그리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은닉층(Hidden 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층은 하나 이상의 뉴런을 포함하고, 인공 신경망은 뉴런과 뉴런을 연결하는 시냅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에서 각 뉴런은 시냅스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들, 가중치, 편향에 대한 활성 함수의 함숫값을 출력할 수 있다.
모델 파라미터는 학습을 통해 결정되는 파라미터를 의미하며, 시냅스 연결의 가중치와 뉴런의 편향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하이퍼파라미터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서 학습 전에 설정되어야 하는 파라미터를 의미하며, 학습률(Learning Rate), 반복 횟수, 미니 배치 크기, 초기화 함수 등이 포함된다.
인공 신경망의 학습의 목적은 손실 함수를 최소화하는 모델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손실 함수는 인공 신경망의 학습 과정에서 최적의 모델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머신 러닝은 학습 방식에 따라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도 학습은 학습 데이터에 대한 레이블(label)이 주어진 상태에서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방법을 의미하며, 레이블이란 학습 데이터가 인공 신경망에 입력되는 경우 인공 신경망이 추론해 내야 하는 정답(또는 결과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비지도 학습은 학습 데이터에 대한 레이블이 주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강화 학습은 어떤 환경 안에서 정의된 에이전트가 각 상태에서 누적 보상을 최대화하는 행동 혹은 행동 순서를 선택하도록 학습시키는 학습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 중에서 복수의 은닉층을 포함하는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으로 구현되는 머신 러닝을 딥 러닝(심층 학습, Deep Learning)이라 부르기도 하며, 딥 러닝은 머신 러닝의 일부이다. 이하에서, 머신 러닝은 딥 러닝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로봇(Robot)>
로봇은 스스로 보유한 능력에 의해 주어진 일을 자동으로 처리하거나 작동하는 기계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 로봇을 지능형 로봇이라 칭할 수 있다.
로봇은 사용 목적이나 분야에 따라 산업용, 의료용, 가정용, 군사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로봇은 액츄에이터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구비하여 로봇 관절을 움직이는 등의 다양한 물리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로봇은 구동부에 휠, 브레이크, 프로펠러 등이 포함되어, 구동부를 통해 지상에서 주행하거나 공중에서 비행할 수 있다.
<자율 주행(Self-Driving)>
자율 주행은 스스로 주행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자율 주행 차량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 또는 사용자의 최소한의 조작으로 주행하는 차량(Vehicle)을 의미한다.
예컨대, 자율 주행에는 주행중인 차선을 유지하는 기술,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같이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술, 정해진 경로를 따라 자동으로 주행하는 기술, 목적지가 설정되면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하여 주행하는 기술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은 내연 기관만을 구비하는 차량, 내연 기관과 전기 모터를 함께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그리고 전기 모터만을 구비하는 전기 차량을 모두 포괄하며, 자동차뿐만 아니라 기차, 오토바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율 주행 차량은 자율 주행 기능을 가진 로봇으로 볼 수 있다.
<확장 현실(XR: eXtended Reality)>
확장 현실은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혼합 현실(MR: Mixed Reality)을 총칭한다. VR 기술은 현실 세계의 객체나 배경 등을 CG 영상으로만 제공하고, AR 기술은 실제 사물 영상 위에 가상으로 만들어진 CG 영상을 함께 제공하며, MR 기술은 현실 세계에 가상 객체들을 섞고 결합시켜서 제공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다.
MR 기술은 현실 객체와 가상 객체를 함께 보여준다는 점에서 AR 기술과 유사하다. 그러나, AR 기술에서는 가상 객체가 현실 객체를 보완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반면, MR 기술에서는 가상 객체와 현실 객체가 동등한 성격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XR 기술은 HMD(Head-Mount Display), HUD(Head-Up Display),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데스크탑, TV, 디지털 사이니지 등에 적용될 수 있고, XR 기술이 적용된 장치를 XR 장치(XR Device)라 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장치(100)를 나타낸다.
AI 장치(100)는 TV, 프로젝터, 휴대폰, 스마트폰,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셋톱박스(STB), DMB 수신기, 라디오, 세탁기, 냉장고,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로봇, 차량 등과 같은, 고정형 기기 또는 이동 가능한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러닝 프로세서(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70) 및 프로세서(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AI 장치(100a 내지 100e)나 AI 서버(200) 등의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들과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학습 모델, 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다.
입력부(120)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을 센서로 취급하여,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센싱 데이터 또는 센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모델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및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출력을 획득할 때 사용될 입력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가공되지 않은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프로세서(18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로써 입력 특징점(input feature)을 추출할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130)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학습 모델이라 칭할 수 있다. 학습 모델은 학습 데이터가 아닌 새로운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결과 값을 추론해 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추론된 값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판단의 기초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러닝 프로세서(130)는 AI 서버(200)의 러닝 프로세서(240)과 함께 AI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러닝 프로세서(130)는 AI 장치(100)에 통합되거나 구현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 AI 장치(100)에 직접 결합된 외부 메모리 또는 외부 장치에서 유지되는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센싱부(140)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AI 장치(100) 내부 정보, AI 장치(100)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140)에 포함되는 센서에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라이다, 레이더 등이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출력부(150)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AI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70)는 입력부(120)에서 획득한 입력 데이터, 학습 데이터, 학습 모델, 학습 히스토리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AI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AI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80)는 러닝 프로세서(130) 또는 메모리(17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AI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80)는 결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 해당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의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의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80)는 음성 입력을 문자열로 변환하기 위한 STT(Speech To Text) 엔진 또는 자연어의 의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의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일부가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된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러닝 프로세서(130)에 의해 학습된 것이나, AI 서버(200)의 러닝 프로세서(240)에 의해 학습된 것이거나, 또는 이들의 분산 처리에 의해 학습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AI 장치(100)의 동작 내용이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17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에 저장하거나, AI 서버(200)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수집된 이력 정보는 학습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AI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AI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서버(200)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AI 서버(200)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거나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AI 서버(200)는 복수의 서버들로 구성되어 분산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5G 네트워크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AI 서버(200)는 AI 장치(100)의 일부의 구성으로 포함되어, AI 프로세싱 중 적어도 일부를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AI 서버(200)는 통신부(210), 메모리(230), 러닝 프로세서(240) 및 프로세서(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AI 장치(100) 등의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모델 저장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모델 저장부(231)는 러닝 프로세서(240)을 통하여 학습 중인 또는 학습된 모델(또는 인공 신경망, 231a)을 저장할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240)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231a)을 학습시킬 수 있다. 학습 모델은 인공 신경망의 AI 서버(200)에 탑재된 상태에서 이용되거나, AI 장치(100) 등의 외부 장치에 탑재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학습 모델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학습 모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학습 모델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instruction)는 메모리(23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새로운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결과 값을 추론하고, 추론한 결과 값에 기초한 응답이나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시스템(1)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AI 시스템(1)은 AI 서버(200), 로봇(100a), 자율 주행 차량(100b), XR 장치(100c), 스마트폰(100d) 또는 가전(100e)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클라우드 네트워크(10)와 연결된다. 여기서, AI 기술이 적용된 로봇(100a), 자율 주행 차량(100b), XR 장치(100c), 스마트폰(100d) 또는 가전(100e) 등을 AI 장치(100a 내지 100e)라 칭할 수 있다.
클라우드 네트워크(10)는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안에 존재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네트워크(10)는 3G 네트워크, 4G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또는 5G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AI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장치들(100a 내지 100e, 200)은 클라우드 네트워크(1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각 장치들(100a 내지 100e, 200)은 기지국을 통해서 서로 통신할 수도 있지만,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직접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AI 서버(200)는 AI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서버와 빅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AI 서버(200)는 AI 시스템(1)을 구성하는 AI 장치들인 로봇(100a), 자율 주행 차량(100b), XR 장치(100c), 스마트폰(100d) 또는 가전(100e)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과 클라우드 네트워크(10)을 통하여 연결되고, 연결된 AI 장치들(100a 내지 100e)의 AI 프로세싱을 적어도 일부를 도울 수 있다.
이때, AI 서버(200)는 AI 장치(100a 내지 100e)를 대신하여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따라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고, 학습 모델을 직접 저장하거나 AI 장치(100a 내지 100e)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AI 서버(200)는 AI 장치(100a 내지 100e)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수신한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결과 값을 추론하고, 추론한 결과 값에 기초한 응답이나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AI 장치(100a 내지 100e)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AI 장치(100a 내지 100e)는 직접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결과 값을 추론하고, 추론한 결과 값에 기초한 응답이나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기술이 적용되는 AI 장치(100a 내지 100e)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AI 장치(100a 내지 100e)는 도 1에 도시된 AI 장치(100)의 구체적인 실시 예로 볼 수 있다.
<AI+로봇>
로봇(100a)은 AI 기술이 적용되어, 안내 로봇, 운반 로봇, 청소 로봇, 웨어러블 로봇, 엔터테인먼트 로봇, 펫 로봇, 무인 비행 로봇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로봇(100a)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로봇 제어 모듈은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를 하드웨어로 구현한 칩을 의미할 수 있다.
로봇(100a)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로부터 획득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로봇(100a)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거나, 주변 환경 및 객체를 검출(인식)하거나, 맵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이동 경로 및 주행 계획을 결정하거나, 사용자 상호작용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거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로봇(100a)은 이동 경로 및 주행 계획을 결정하기 위하여,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획득한 센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로봇(100a)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로봇(100a)은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 및 객체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주변 환경 정보 또는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모델은 로봇(100a)에서 직접 학습되거나, AI 서버(200) 등의 외부 장치에서 학습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로봇(100a)은 직접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과를 생성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AI 서버(200) 등의 외부 장치에 센서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생성된 결과를 수신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로봇(100a)은 맵 데이터, 센서 정보로부터 검출한 객체 정보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객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와 주행 계획을 결정하고, 구동부를 제어하여 결정된 이동 경로와 주행 계획에 따라 로봇(100a)을 주행시킬 수 있다.
맵 데이터에는 로봇(100a)이 이동하는 공간에 배치된 다양한 객체들에 대한 객체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맵 데이터에는 벽, 문 등의 고정 객체들과 화분, 책상 등의 이동 가능한 객체들에 대한 객체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객체 식별 정보에는 명칭, 종류, 거리,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로봇(100a)은 사용자의 제어/상호작용에 기초하여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동작을 수행하거나 주행할 수 있다. 이때, 로봇(100a)은 사용자의 동작이나 음성 발화에 따른 상호작용의 의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의도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을 결정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I+자율주행>
자율 주행 차량(100b)은 AI 기술이 적용되어, 이동형 로봇, 차량, 무인 비행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100b)은 자율 주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자율 주행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자율 주행 제어 모듈은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를 하드웨어로 구현한 칩을 의미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제어 모듈은 자율 주행 차량(100b)의 구성으로써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지만, 자율 주행 차량(100b)의 외부에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자율 주행 차량(100b)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로부터 획득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자율 주행 차량(100b)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거나, 주변 환경 및 객체를 검출(인식)하거나, 맵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이동 경로 및 주행 계획을 결정하거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율 주행 차량(100b)은 이동 경로 및 주행 계획을 결정하기 위하여, 로봇(100a)과 마찬가지로,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획득한 센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자율 주행 차량(100b)은 시야가 가려지는 영역이나 일정 거리 이상의 영역에 대한 환경이나 객체는 외부 장치들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인식하거나, 외부 장치들로부터 직접 인식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100b)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자율 주행 차량(100b)은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 및 객체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주변 환경 정보 또는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동선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모델은 자율 주행 차량(100b)에서 직접 학습되거나, AI 서버(200) 등의 외부 장치에서 학습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자율 주행 차량(100b)은 직접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과를 생성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AI 서버(200) 등의 외부 장치에 센서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생성된 결과를 수신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자율 주행 차량(100b)은 맵 데이터, 센서 정보로부터 검출한 객체 정보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객체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와 주행 계획을 결정하고, 구동부를 제어하여 결정된 이동 경로와 주행 계획에 따라 자율 주행 차량(100b)을 주행시킬 수 있다.
맵 데이터에는 자율 주행 차량(100b)이 주행하는 공간(예컨대, 도로)에 배치된 다양한 객체들에 대한 객체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맵 데이터에는 가로등, 바위, 건물 등의 고정 객체들과 차량, 보행자 등의 이동 가능한 객체들에 대한 객체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객체 식별 정보에는 명칭, 종류, 거리,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자율 주행 차량(100b)은 사용자의 제어/상호작용에 기초하여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동작을 수행하거나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자율 주행 차량(100b)은 사용자의 동작이나 음성 발화에 따른 상호작용의 의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의도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을 결정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I+XR>
XR 장치(100c)는 AI 기술이 적용되어, HMD(Head-Mount Display), 차량에 구비된 HUD(Head-Up Display), 텔레비전, 휴대폰, 스마트 폰,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전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 차량, 고정형 로봇이나 이동형 로봇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XR 장치(100c)는 다양한 센서들을 통해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한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3차원 포인트들에 대한 위치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주변 공간 또는 현실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출력할 XR 객체를 렌더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XR 장치(100c)는 인식된 물체에 대한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XR 객체를 해당 인식된 물체에 대응시켜 출력할 수 있다.
XR 장치(100c)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XR 장치(100c)는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현실 객체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한 현실 객체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모델은 XR 장치(100c)에서 직접 학습되거나, AI 서버(200) 등의 외부 장치에서 학습된 것일 수 있다.
이때, XR 장치(100c)는 직접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결과를 생성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AI 서버(200) 등의 외부 장치에 센서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생성된 결과를 수신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I+로봇+자율주행>
로봇(100a)은 AI 기술 및 자율 주행 기술이 적용되어, 안내 로봇, 운반 로봇, 청소 로봇, 웨어러블 로봇, 엔터테인먼트 로봇, 펫 로봇, 무인 비행 로봇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AI 기술과 자율 주행 기술이 적용된 로봇(100a)은 자율 주행 기능을 가진 로봇 자체나, 자율 주행 차량(100b)과 상호작용하는 로봇(100a)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자율 주행 기능을 가진 로봇(100a)은 사용자의 제어 없이도 주어진 동선에 따라 스스로 움직이거나, 동선을 스스로 결정하여 움직이는 장치들을 통칭할 수 있다.
자율 주행 기능을 가진 로봇(100a) 및 자율 주행 차량(100b)은 이동 경로 또는 주행 계획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기 위해 공통적인 센싱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기능을 가진 로봇(100a) 및 자율 주행 차량(100b)은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를 통해 센싱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 또는 주행 계획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할 수 있다.
자율 주행 차량(100b)과 상호작용하는 로봇(100a)은 자율 주행 차량(100b)과 별개로 존재하면서, 자율 주행 차량(100b)의 내부에서 자율 주행 기능에 연계되거나, 자율 주행 차량(100b)에 탑승한 사용자와 연계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자율 주행 차량(100b)과 상호작용하는 로봇(100a)은 자율 주행 차량(100b)을 대신하여 센서 정보를 획득하여 자율 주행 차량(100b)에 제공하거나, 센서 정보를 획득하고 주변 환경 정보 또는 객체 정보를 생성하여 자율 주행 차량(100b)에 제공함으로써, 자율 주행 차량(100b)의 자율 주행 기능을 제어하거나 보조할 수 있다.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b)과 상호작용하는 로봇(100a)은 자율 주행 차량(100b)에 탑승한 사용자를 모니터링하거나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율 주행 차량(100b)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로봇(100a)은 운전자가 졸음 상태인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b)의 자율 주행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자율 주행 차량(100b)의 구동부의 제어를 보조할 수 있다. 여기서, 로봇(100a)이 제어하는 자율 주행 차량(100b)의 기능에는 단순히 자율 주행 기능뿐만 아니라, 자율 주행 차량(100b)의 내부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이나 오디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기능도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자율 주행 차량(100b)과 상호작용하는 로봇(100a)은 자율 주행 차량(100b)의 외부에서 자율 주행 차량(100b)에 정보를 제공하거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다. 예컨대, 로봇(100a)은 스마트 신호등과 같이 자율 주행 차량(100b)에 신호 정보 등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전기 차량의 자동 전기 충전기와 같이 자율 주행 차량(100b)과 상호작용하여 충전구에 전기 충전기를 자동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AI+로봇+XR>
로봇(100a)은 AI 기술 및 XR 기술이 적용되어, 안내 로봇, 운반 로봇, 청소 로봇, 웨어러블 로봇, 엔터테인먼트 로봇, 펫 로봇, 무인 비행 로봇, 드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XR 기술이 적용된 로봇(100a)은 XR 영상 내에서의 제어/상호작용의 대상이 되는 로봇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100a)은 XR 장치(100c)와 구분되며 서로 연동될 수 있다.
XR 영상 내에서의 제어/상호작용의 대상이 되는 로봇(100a)은 카메라를 포함하는 센서들로부터 센서 정보를 획득하면, 로봇(100a) 또는 XR 장치(100c)는 센서 정보에 기초한 XR 영상을 생성하고, XR 장치(100c)는 생성된 XR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로봇(100a)은 XR 장치(100c)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XR 장치(100c) 등의 외부 장치를 통해 원격으로 연동된 로봇(100a)의 시점에 상응하는 XR 영상을 확인할 수 있고, 상호작용을 통하여 로봇(100a)의 자율 주행 경로를 조정하거나, 동작 또는 주행을 제어하거나, 주변 객체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I+자율주행+XR>
자율 주행 차량(100b)은 AI 기술 및 XR 기술이 적용되어, 이동형 로봇, 차량, 무인 비행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XR 기술이 적용된 자율 주행 차량(100b)은 XR 영상을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한 자율 주행 차량이나, XR 영상 내에서의 제어/상호작용의 대상이 되는 자율 주행 차량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XR 영상 내에서의 제어/상호작용의 대상이 되는 자율 주행 차량(100b)은 XR 장치(100c)와 구분되며 서로 연동될 수 있다.
XR 영상을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한 자율 주행 차량(100b)은 카메라를 포함하는 센서들로부터 센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XR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자율 주행 차량(100b)은 HUD를 구비하여 XR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탑승자에게 현실 객체 또는 화면 속의 객체에 대응되는 XR 객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XR 객체가 HUD에 출력되는 경우에는 XR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탑승자의 시선이 향하는 실제 객체에 오버랩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반면, XR 객체가 자율 주행 차량(100b)의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경우에는 XR 객체의 적어도 일부가 화면 속의 객체에 오버랩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자율 주행 차량(100b)은 차로, 타 차량, 신호등, 교통 표지판, 이륜차, 보행자, 건물 등과 같은 객체와 대응되는 XR 객체들을 출력할 수 있다.
XR 영상 내에서의 제어/상호작용의 대상이 되는 자율 주행 차량(100b)은 카메라를 포함하는 센서들로부터 센서 정보를 획득하면, 자율 주행 차량(100b) 또는 XR 장치(100c)는 센서 정보에 기초한 XR 영상을 생성하고, XR 장치(100c)는 생성된 XR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율 주행 차량(100b)은 XR 장치(100c) 등의 외부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I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서, 인공 지능 장치(100)는 엣지 디바이스(edge device)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Camera, 12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Unit, 12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AI 장치(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들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AI 장치(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AI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컨대, AI 장치(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40)는 센서부라고 칭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151), 음향 출력부(Sound Output Unit, 152),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3), 광 출력부(Optical Output Unit, 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AI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51)는 AI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AI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AI 장치(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AI 장치(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지능 서버를(500) 나타낸다.
이하 도 5의 인공 지능 서버(500)은 도 1 및 도 4의 구성을 포함하고, 인공 지능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인공 지능 서버(500)는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모바일 기기, IoT 및 통신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510)가 수신하는 데이터에는 외부 장치에서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 및 사용자 딕셔너리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프로파일(User Profile)은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른 사용자 딕셔너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딕셔너리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외부 장치를 통해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소스(source)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류엔진(미도시)을 통해 수집된 소스 데이터들을 정의된 카테고리 별로 군집화(clustering)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프로파일은 사용자의 검색이력, 문자 수신 이력, 블루투스 접속 이력 등을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결혼여부, 반려동물 유무, 주 교통수단, 선호 브랜드, 취미 및 운동 등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사용자 딕셔너리(User Dictionary)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외부 장치에 축적된 데이터로서, 기존의 자연어 처리 모델에 학습되지 않았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연어 처리 모델은 러닝 프로세서(130)에 의해 학습된 것이나, AI 서버(200)의 러닝 프로세서(240)에 의해 학습된 것이거나, 또는 이들의 분산 처리에 의해 학습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자연어 처리 엔진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딕셔너리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되지 않은 단어인 상기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다이'라는 단어가 자연어 처리 모델에 학습되지 않았던 경우, 자연어 처리 모델은 '제다이'라는 단어는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다. 이때,'제다이'는 사용자 딕셔너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딕셔너리는 상기 복수의 키워드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된 제1 단어 및 제2 단어의 조합인 제3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켓 몬스터' 라는 단어가 자연어 처리 모델에 학습되지 않았던 경우, 자연어 처리 모델은 제1 단어'포켓', 제2 단어'몬스터'로 각각 인식할 수 있으며 제3 단어'포켓 몬스터'는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다. 이때, '포켓 몬스터'는 사용자 딕셔너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딕셔너리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되지 않은 제1 단어 및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된 제2 단어의 조합인 제3 단어를 키워드로 획득하여 생성된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라 모델'이라는 단어가 자연어 처리 모델에 학습되지 않았던 경우, 자연어 처리 모델은 제3 단어'프라 모델'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다. 한편, 자연어 처리 모델은 제1 단어'프라'는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고, 제2 단어'모델'은 인식할 수 있다. 이때,'프라 모델'은 사용자 딕셔너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는 군집화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라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면, 수신한 음성을 자연어 처리 모델에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되지 않은 단어를 사용자 딕셔너리에 저장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상기 인공 지능 서버(500)와의 통신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및 사용자 딕셔너리를 인공 지능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510)가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른 사용자 딕셔너리를 수신하면 프로세서(520)는 통신부(51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통신부(51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20)는 통신부(510)를 통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20)는 획득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분류하는 프로파일 분류부(52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 분류부(5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동일한 사용자 프로파일 별로 분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동일한 사용자 프로파일에 해당하는 복수의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를 수집하고,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20)는 랭킹 계산부(522)를 이용하여 수집된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랭킹 계산부(522)에서 계산된 키워드의 랭킹을 획득하여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 생성부(523)는 상기 복수의 키워드 중 특정 랭킹 이상의 키워드를 획득하여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 생성부(523)에서 생성된 딕셔너리를 이용하여 자연어 처리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업데이트부(524)는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이용하여 자연어 처리 모델을 학습시켜 자연어 처리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향상된 자연어 처리 모델을 송신하기 위하여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6에서 본 개시의 순서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인공 지능 서버(500)의 통신부(510)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딕셔너리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딕셔너리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른 사용자 딕셔너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인공 지능 서버(500)의 프로세서(520)는 통신부(5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10).
이때, 획득된 정보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프로파일 및 상기 프로파일에 따른 사용자 딕셔너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장치 등을 통해 사용자 정보와 관련된 소스(source)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류엔진(미도시)을 통해 수집된 소스 데이터들을 정의된 카테고리 별로 군집화(clustering)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딕셔너리(User Dictionary)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외부 장치에 축적된 데이터로서, 기존의 자연어 처리 모델에 학습되지 않았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획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동일한 사용자 프로파일 별로 각각 분류할 수 있다(S620). 구체적으로 통신부(510)는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딕셔너리를 수신하고, 프로세서(520)는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획득한 경우, 동일한 사용자 프로파일 별로 각각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20)는 동일한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딕셔너리를 취합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수집된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획득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할 수 있다(S63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20)는 동일한 사용자 프로파일에서 획득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 내에서 많이 검출되는 키워드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획득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에 따라 자연어 처리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S640). 이때, 자연어 처리 모델은 사용자 프로파일 각각에 대응하여 생성된 복수의 자연어 처리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합된 하나의 자연어 처리 모델일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상기 과정을 통하여 업데이트된 자연어 처리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상기 업데이트된 자연어 처리 모델을 외부 장치로 송신하기 위하여 통신부(510)를 제어할 수 있다(S650).
이하 S630의 키워드의 랭킹 계산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520)는 획득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할 수 있다(S63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20)는 복수의 키워드 각각에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S710). 이때 프로세서는, 사용자 딕셔너리 내에서 많이 검출되는 키워드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여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딕셔너리 내에서 적게 검출되는 키워드에 적은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키워드는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를 포함하고, 사용자 딕셔너리 내에서 제1 키워드가 제2 키워드에 비해 더 많이 검출되는 경우 제1 키워드의 점수는 제2 키워드의 점수보다 높을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복수의 키워드 각각에 점수를 부여하고 높은 점수 순서로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계산된 복수의 키워드 중 특정 랭킹 이상의 키워드를 획득하여, 랭킹에 따른 키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S720). 이때, 특정 랭킹은 기 설정된 랭킹 값일 수 있다. 또한 특정 랭킹은 기 설정된 점수 이상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른 키워드가 'A = 90점', 'B = 80점', 'C = 70점'및 'D = 60점'등이라고 가정하자. 특정 랭킹이 기 설정된 랭킹 값인 경우 상기 랭킹 값이 '3위'로 설정되면 랭킹에 따른 키워드는 A,B 및 C일 수 있다.
또한 특정 랭킹이 기 설정된 점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점수가 '60점 이상'으로 설정되면 랭킹에 따른 키워드는 A,B,C 및 D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상기 복수의 키워드 중 특정 랭킹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상기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생성할 수 있다(S730).
프로세서(520)는 생성한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이용하여 자연어 처리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S640).
이하 구체적인 시나리오에 대하여 도8 내지 도 1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파일에 따른 예시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인공 지능 서버(820,920)는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각각의 외부 장치(811,812,813,814)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510)가 수신하는 데이터는 각각의 외부 장치(811,812,813,814)에서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로서 '취미/프라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10)가 수신하는 데이터는'취미/프라모델'프로파일에 따른 사용자 딕셔너리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장치(811)의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키워드는 '건담', '유니콘 건담', '자쿠', '씨드 건담', '피규어', '덴덴타운' 등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통신부(510)가 수신하는 데이터는 각각의 외부 장치(911,912,913,914)에서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로서 '운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10)가 수신하는 데이터는 '운동'프로파일에 따른 사용자 딕셔너리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장치 (911)의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키워드는 '크로스 핏', '버핏', '스쿼트', '체지방', '점프박스', '로잉머신', '단백질 파우더', '무산소 운동', '나이키' 등 일 수 있다.
상기 예시와 같이,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는 군집화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라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통신부(51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20)는 '취미/프라모델' 및 '운동' 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획득하고, 획득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동일한 사용자 프로파일 별로 각각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20) 획득한 사용자 프로파일을 '취미/프라모델' 프로파일(외부 장치 811 내지 814) 및 '운동' 프로파일(외부 장치 911 내지 914)로 분류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동일한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를 취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미/프라모델' 프로파일에서 프로세서는 각각의 사용자의 외부 장치(811 내지 814)가 갖는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를 수집한 집합(821)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 프로파일에서 프로세서는 각각의 사용자의 외무 장치(911 내지 914)가 갖는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를 수집한 집합(921)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집한 집합(821,921)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키워드가 많이 검출될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높은 점수 순서로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미/프라모델'의 프로파일에서 수집한 집합(821)의 경우 외부 장치(811 내지 814)에서 많이 검출된 순서로 나열된 복수의 키워드 랭킹은 1) 피규어, 2) 덴덴타운, 3)건담, 세일러문, 4)피카츄, 포켓몬스터 등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로써, 프로세서는 '취미/프라모델'프로파일의 랭킹 집합(822)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의 프로파일에서 수집한 집합(921)의 경우 외부 장치(911 내지 914)에서 많이 검출된 순서로 나열된 복수의 키워드 랭킹은 1) 무산소 운동, 2) 체지방, 3) 레깅스, 4)나이키, 5)단백질 파우더 등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로써, 프로세서는 '운동'프로파일의 랭킹 집합(922)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생성하기 위하여 계산된 키워드의 랭킹 중 특정 랭킹 이상의 키워드를 획득하여, 랭킹에 따른 키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특정 랭킹은 기 설정된 랭킹 값일 수 있다. 또한 특정 랭킹은 기 설정된 점수 이상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미/프라모델' 프로파일에 따른 키워드가 '피규어 = 90점', '덴덴타운 = 80점', '건담, 세일러문 = 70점'및 '피카츄, 포켓 몬스터 = 60점'등이라고 가정하자. 특정 랭킹이 기 설정된 랭킹값인 경우 상기 랭킹 값이 '3위'로 설정되면 랭킹에 따른 키워드는 피규어, 덴덴타운, 건담, 세일러문, 피카츄 및 포켓 몬스터 일 수 있다. 또한 특정 랭킹이 기 설정된 점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점수가 '70점 이상'으로 설정되면 랭킹에 따른 키워드는 피규어, 덴덴타운, 건담 및 세일러문 일 수 있다. 이는 '운동' 프로파일에도 같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520)는 특정 랭킹에 따른 키워드를 획득하여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830,930)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미/프라모델' 프로파일에서 특정 랭킹값이 '4위'로 설정 되면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830)는 피규어, 덴덴타운, 건담, 세일러문, 피카츄 및 포켓몬스터를 구성원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운동' 프로파일에서 특정 랭킹값이 '5위'로 설정되면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930)는 무산소 운동, 체지방, 레깅스, 나이키 및 단백질 파우더를 구성원으로 생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생성된 사용자 딕셔너리를 이용하여 자연어 처리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520)는 통신부(510)를 제어하여 향상된 자연어 처리 모델을 동일한 프로파일을 갖는 사용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미/프라모델' 프로파일에서 생성된 사용자 딕셔너리(830)에 포함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자연어 처리 모델을 학습시키고, 향상된 자연어 처리 모델을 '취미/프라모델'프로파일을 갖는 사용자의 외부 장치(840)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 프로파일에서 생성된 사용자 딕셔너리(930)에 포함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자연어 처리 모델을 학습시키고, 향상된 자연어 처리 모델을 '운동' 프로파일을 갖는 사용자의 외부 장치(94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어 처리 모델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존의 자연어 처리 결과와 '취미/프라모델' 또는 '운동'프로파일에 의하여 향상된 자연어 처리 모델을 수신한 사용자의 외부 장치(840,940)에서의 자연어 처리결과이다.
구체적으로, '운동'프로파일에 해당하는 장치(940)에서 검색어로 무산소 운동, 단백질 파우더 및 다이어트가 입력된 경우, 기존의 자연어 처리 모델은 무산소, 운동, 단백질, 및 파우더로 인식(1010)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딕셔너리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되지 않은 단어를 키워드로 생성된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라는 단어가 기존의 자연어 처리 모델에 학습되지 않았던 경우, 자연어 처리 모델은 '다이어트'라는 단어는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다. 이때,'다이어트'는 사용자 딕셔너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딕셔너리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된 제1 단어 및 제2 단어의 조합인 제3 단어를 키워드로 획득하여 생성된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산소 운동' 이라는 단어가 자연어 처리 모델에 학습되지 않았던 경우, 자연어 처리 모델은 제1 단어'무산소', 제2 단어'운동'으로 각각 인식할 수 있으며 제3 단어'무산소 운동'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다. 이때, '무산소 운동'은 사용자 딕셔너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되지 않은 제1 단어 및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된 제2 단어의 조합인 제3 단어를 키워드로 획득하여 생성된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 파우더'라는 단어가 자연어 처리 모델에 학습되지 않았던 경우, 자연어 처리 모델은 제1 단어'파우더'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고, 제2 단어'단백질'을 인식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자연어 처리 모델은 제3 단어'단백질 파우더'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다. 그러므로'단백질 파우더'는 사용자 딕셔너리에 저장될 수 있다.
반면, 향상된 자연어 처리 모델을 수신한 외부장치(840,940)는 '운동'프로파일에서 무산소 운동, 단백질 파우더 및 다이어트를 정확하게 인식(1020)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은 취미/프라모델 프로파일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되어, 향상된 자연어 처리 모델을 수신 받은 외부 장치는 '덴덴타운', '포켓몬스터', '루나' 및 '프라모델'을 정확하게 인식(1040)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사용자 딕셔너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에 따라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사용하여 자연어 처리 모델을 학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연어 처리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 내에서 많이 검출되는 키워드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에 따라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키워드 중 특정 랭킹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상기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생성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딕셔너리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동일한 사용자 프로파일 별로 분류하고, 상기 동일한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딕셔너리를 취합하여, 상기 취합된 복수의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되지 않은 단어인 상기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키워드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된 제1 단어 및 제2 단어의 조합인 제3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키워드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되지 않은 제1 단어 및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된 제2 단어의 조합인 제3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통해 학습된 자연어 처리 모델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연어 처리 방법은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단계는 동작과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단계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으며, 동작의 순서가 바뀌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Claims (16)

  1. 사용자 딕셔너리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고,
    상기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에 따라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생성하여 자연어 처리 모델을 학습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 내에서 많이 검출되는 키워드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는, 인공 지능 서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키워드 중 특정 랭킹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상기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생성하는, 인공 지능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딕셔너리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동일한 사용자 프로파일 별로 분류하고, 상기 동일한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딕셔너리를 취합하고,
    상기 취합된 복수의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는,
    인공 지능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되지 않은 단어인 상기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된 제1 단어 및 제2 단어의 조합인 제3 단어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 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되지 않은 제1 단어 및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된 제2 단어의 조합인 제3 단어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 서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통해 학습된 자연어 처리 모델을 송신하는,
    인공 지능 서버
  9. 사용자 딕셔너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에 따라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사용하여 자연어 처리 모델을 학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 내에서 많이 검출되는 키워드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는,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에 따라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키워드 중 특정 랭킹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상기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생성하는,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를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딕셔너리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동일한 사용자 프로파일 별로 분류하고, 상기 동일한 사용자 프로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 딕셔너리를 취합하여, 상기 취합된 복수의 사용자 딕셔너리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의 랭킹을 계산하는,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딕셔너리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되지 않은 단어인 상기 복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자연어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된 제1 단어 및 제2 단어의 조합인 제3 단어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워드는,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되지 않은 제1 단어 및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인식된 제2 단어의 조합인 제3 단어를 포함하는,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사용자 딕셔너리를 통해 학습된 자연어 처리 모델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공 지능 서버의 동작 방법.
KR1020190138636A 2019-11-01 2019-11-01 인공 지능 서버 KR20210052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636A KR20210052958A (ko) 2019-11-01 2019-11-01 인공 지능 서버
US16/712,309 US11676012B2 (en) 2019-11-01 2019-12-12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636A KR20210052958A (ko) 2019-11-01 2019-11-01 인공 지능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958A true KR20210052958A (ko) 2021-05-11

Family

ID=7568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636A KR20210052958A (ko) 2019-11-01 2019-11-01 인공 지능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76012B2 (ko)
KR (1) KR202100529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958A (ko) * 2019-11-01 202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7812A (en) * 1992-08-14 1999-02-02 Fujitsu Limited Registration apparatus for compound-word dictionary
JPH10198680A (ja) * 1997-01-07 1998-07-31 Hitachi Ltd 分散辞書管理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機械翻訳方法
US6647383B1 (en) * 2000-09-01 2003-11-11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dialogue and iterative search functions to find information
US7680649B2 (en) * 2002-06-17 2010-03-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program product, and networking use for recognizing words and their parts of speech in one or more natural languages
KR100682897B1 (ko) * 2004-11-09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전 업데이트 방법 및 그 장치
US8160884B2 (en) * 2005-02-03 2012-04-17 Voice Signa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tending the voice vocabulary of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JP4816409B2 (ja) * 2006-01-10 2011-1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認識辞書システムおよびその更新方法
US20100114887A1 (en) * 2008-10-17 2010-05-06 Google Inc. Textual Disambiguation Using Social Connections
WO2011100573A1 (en) * 2010-02-12 2011-08-18 Google Inc. Compound splitting
KR101334096B1 (ko) * 2011-08-26 2013-11-29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아이템을 추천하는 아이템 기반의 추천 엔진
US9330082B2 (en) * 2012-02-14 2016-05-03 Facebook, Inc. User experience with customized user dictionary
US9323739B2 (en) * 2013-02-26 2016-04-26 Lenovo (Singapore) Pte. Ltd. Identifying words for a context
US20140267045A1 (en) * 2013-03-14 2014-09-18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Language Models for Text Predictions
GB2513644A (en) * 2013-05-02 2014-11-05 Rolonews Lp Content distribution
US9161188B2 (en) * 2013-08-22 2015-10-13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uggesting diverse and personalized message completions
US20180253650A9 (en) * 2014-08-06 2018-09-06 Prysm, Inc. Knowledge To User Mapping in Knowledge Automation System
US20160062979A1 (en) * 2014-08-27 2016-03-03 Google Inc. Word classification based on phonetic features
KR20160056983A (ko) * 2014-11-12 2016-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등록어 자동 추출에 기반한 형태소 사전 구축 시스템 및 방법
US10902197B1 (en) * 2015-03-30 2021-01-26 Audible, Inc Vocabulary determination and vocabulary-based content recommendations
EP3107089B1 (en) * 2015-06-18 2021-03-31 Airbus Operations GmbH Speech recognition on board of an aircraft
US10042841B2 (en) * 2015-07-17 2018-08-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based text prediction
US20170024455A1 (en) * 2015-07-24 2017-01-26 Facebook, Inc. Expanding mutually exclusive clusters of users of an online system clustered based on a specified dimension
US20170133015A1 (en) * 2015-11-11 2017-05-11 Bernard P. TOMS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augmented speech recognition
CN107102990A (zh) * 2016-02-19 2017-08-29 株式会社东芝 对语音进行翻译的方法和装置
US10319250B2 (en) * 2016-12-29 2019-06-11 Soundhound, Inc. Pronunciation guided by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KR102019756B1 (ko) * 2017-03-14 2019-09-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조어 자동 인식을 위한 언어 분석에 기반한 온라인 문맥 광고 지능화 장치 및 그 방법
US10986123B2 (en) * 2017-12-29 2021-04-20 Paypal, Inc. Passive and active identity verification for online communications
US10467335B2 (en) * 2018-02-20 2019-11-05 Dropbox, Inc. Automated outline generation of captured meeting audio in a collaborative document context
WO2020241039A1 (ja) * 2019-05-30 2020-12-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210052958A (ko) * 2019-11-01 202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76012B2 (en) 2023-06-13
US20210133560A1 (en)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3516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pparatus and method for upd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KR102281602B1 (ko)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인식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US11295166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pparatus for generating training data f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method thereof
KR20210057611A (ko)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39049A (ko)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KR102339085B1 (ko)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 기록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US11568239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user
KR102245911B1 (ko)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냉장고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10173614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10053036A (ko) 인공지능 서버
KR20210077482A (ko) 복수의 갱신 정보를 융합하여 인공 지능 모델을 갱신하는 인공 지능 서버 및 그 방법
KR20210070623A (ko) 사용자의 관심사를 추출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66207A (ko) 객체를 인식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KR102421488B1 (ko) 복수개의 출력 레이어를 이용한 인공 지능 장치 및 방법
KR20190106905A (ko) 인공지능 전자기기
KR20190107616A (ko) 개체명 테이블을 생성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66328A (ko) 자연어 이해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한 인공 지능 장치
KR102231909B1 (ko) 인공지능 장치
KR102229562B1 (ko)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73252A (ko) 인공 지능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57598A (ko) 알림을 제공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98934A (ko) 인공 지능을 이용하여,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52958A (ko) 인공 지능 서버
US11550328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pparatus for sharing information of stuck area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327441B1 (ko) 인공지능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