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823A - 신장 질환자를 위한 조언 캐릭터와 유저 아바타를 통한 지속적인 식습관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신장 질환자를 위한 조언 캐릭터와 유저 아바타를 통한 지속적인 식습관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823A
KR20210052823A KR1020190138265A KR20190138265A KR20210052823A KR 20210052823 A KR20210052823 A KR 20210052823A KR 1020190138265 A KR1020190138265 A KR 1020190138265A KR 20190138265 A KR20190138265 A KR 20190138265A KR 20210052823 A KR20210052823 A KR 20210052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ating habits
present
avatar
kidney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민
Original Assignee
이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민 filed Critical 이혜민
Priority to KR102019013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2823A/ko
Publication of KR20210052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장 질환자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신장 질환자를 위한 조언 캐릭터와 유저 아바타를 통한 지속적인 식습관 개선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언 캐릭터와 아바타를 활용하여 식습관에 대한 시각적이며, 사용자 친화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행동을 교정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저연령대 환자는 식습관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기가 쉽지 않지만, 본 발명은 식습관에 대한 결과를 직접 대화하는 듯한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하므로, 저연령대의 환자가 스스로 식습관을 관리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장 질환자를 위한 조언 캐릭터와 유저 아바타를 통한 지속적인 식습관 개선 방법{METHOD TO IMPROVE EATING HABITS FOR PERSONS RECEIVING RENAL DIALYSIS WITH USER AVATAR AND ADVICE CHARACTER}
본 발명은 신장 질환자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신장 질환자를 위한 조언 캐릭터와 유저 아바타를 통한 지속적인 식습관 개선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단 관리가 필요한 병력이 있는 환자의 경우 건강 관리를 위해 환자의 식단에서 환자의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된 재료를 제외시켜 식단을 계획한다. 특히, 신장병 환자와 같이 식이요법의 중요성이 높은 환자의 경우 식단을 계획하는 데 있어서 재료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환자에게 성분을 제외한 식단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섭취할 수 있는 재료가 제한되므로, 환자에게 유익하고 건강 유지에 필요한 영양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재료 역시 환자의 질병을 악화시키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제외되어 환자가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반복된 식단에 의해 환자가 피로감이나 싫증을 느낄 수 있다. 더하여, 식단을 작성하는 작성자 입장에서도 재료 이용에 한계가 있어 식단을 구성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여 이미 구성된 주문형 식단에서 환자의 병력을 고려하여 환자의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한 재료에서 해당 성분을 감소시켜 이용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환자에 대하여 다양한 맞춤형 식단을 구성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다양한 영양 성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0-1652944호에는, 환자에 대한 고객정보와 식단정보를 기초로 환자의 식단에서 신기능 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한이 필요한 성분을 분석하고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공정을 지원하여 환자의 건강이 관리되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공정 과정에서 제한이 필요한 성분과 함께 감소되는 영양 성분을 보충하여 신장병 환자에게 최적화되며 다양한 식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식단 관리가 필요한 환자를 위한 주문형 식단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지만, 신장환자가 스스로 섭취하는 음식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저연령대의 신장병 환자인 경우에는 의지박약으로 인하여 제시된 식단을 지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선행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652944호, 식단 관리가 필요한 환자를 위한 주문형 식단 제조 시스템 및 방법 선행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959762호, 인공 지능 기반 영상 및 음성 인식 영양 평가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신장병 환자 스스로 식단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는 것으로, 특히 저연령대의 신장병 환자의 식단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S1) 사용자의 섭취 식품의 영양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S2)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수집된 섭취 식품의 영양정보를 분석하여 식습관을 평가하는 단계; 및 (S3) 상기 평가된 식습관을 반영하여 사용자 아바타의 외형의 변화가 이루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자의 식습관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식습관 평가 결과를 조언 캐릭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질환자의 식습관 개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환자 등급 및 컨디션을 기초로 예측되는 건강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질환자의 식습관 개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언 캐릭터와 아바타를 활용하여 식습관에 대한 시각적이며, 사용자 친화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행동을 교정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저연령대 환자는 식습관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기가 쉽지 않지만, 본 발명은 식습관에 대한 결과를 직접 대화하는 듯한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하므로, 저연령대의 환자가 스스로 식습관을 관리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질환자의 식습관 개선 방법에 따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장 질환자의 식습관 개선 방법을 앱으로 구현한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S1) 사용자의 섭취 식품의 영양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S2)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수집된 섭취 식품의 영양정보를 분석하여 식습관을 평가하는 단계; 및 (S3) 상기 평가된 식습관을 반영하여 사용자 아바타의 외형의 변화가 이루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자의 식습관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S4) 상기 식습관 평가 결과를 조언 캐릭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질환자의 식습관 개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언 캐릭터와 아바타를 활용하여 식습관에 대한 시각적이며, 사용자 친화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행동을 교정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저연령대 환자는 식습관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기가 쉽지 않지만, 본 발명은 식습관에 대한 결과를 직접 대화하는 듯한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하므로, 저연령대의 환자가 스스로 식습관을 관리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의 섭취 식품의 영양정보를 수집한다(S1 단계).
식품의 영양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텍스트의 검색이나 카테고리에 따른 검색을 통하여 식품의 영양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를 활용한 이미지 정보를 통하여 식품의 영양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영양정보의 상세한 정보는 미리 준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매칭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수집된 섭취 식품의 영양정보를 분석하여 식습관을 평가 한다(S2 단계).
사용자의 건강상태는 기입력된 사용자의 연령, 성별 환자 등급 및 사용자의 컨디션 등을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예측될 수 있다.
섭취된 식품의 영양정보의 분석은 일일 섭취 염분량이나 기타 섭취 영양성분을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섭취된 영양성분의 양이 적절한지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평가된 식습관을 반영하여 사용자 아바타의 외형의 변화가 일어난다(S3 단계).
상기 평가된 식습관 평가값이 일정기간 단위로 축적되어 긍정적인 방향 또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아바타의 외형의 변화에 반영된다.
즉, 과도한 칼로리의 섭취가 상당기간 이루어진다면, 아바타의 체중이 증가하는 외형으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극단적인 경우로 높은 수준의 염분의 섭취가 지속된다면 아바타가 기력이 다하여 기절하는 상황을 연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와 동일시 할 수 있는 아바타의 변화를 통하여 식습관의 결과를 간접적으로 체험하도록 하여 좋은 식습관의 중요성을 사용자가 느끼도록 할 수 있으며, 게임에 익숙한 저연령대의 신장 질환자에게는 더욱 효과적인 체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식습관 평가 결과를 조언 캐릭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4 단계).
사용자 친화적인 조언 캐릭터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상기 식습관 평가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자칫 어려워질 수 있는 식습관 평가 결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조언 캐릭터는 좋은 식습관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사용자의 컨디션에 따른 식품을 추천해주거나 사용자의 컨디션을 상담해 줄 수도 있다.

Claims (3)

  1. (S1) 사용자의 섭취 식품의 영양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S2)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수집된 섭취 식품의 영양 정보를 분석하여 식습관을 평가하는 단계; 및
    (S3) 상기 평가된 식습관을 반영하여 사용자 아바타의 외형의 변화가 이루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장 질환자의 식습관 개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S4) 상기 식습관 평가 결과를 조언 캐릭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질환자의 식습관 개선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환자 등급 및 컨디션을 기초로 예측되는 건강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질환자의 식습관 개선 방법.
KR1020190138265A 2019-11-01 2019-11-01 신장 질환자를 위한 조언 캐릭터와 유저 아바타를 통한 지속적인 식습관 개선 방법 KR20210052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265A KR20210052823A (ko) 2019-11-01 2019-11-01 신장 질환자를 위한 조언 캐릭터와 유저 아바타를 통한 지속적인 식습관 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265A KR20210052823A (ko) 2019-11-01 2019-11-01 신장 질환자를 위한 조언 캐릭터와 유저 아바타를 통한 지속적인 식습관 개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823A true KR20210052823A (ko) 2021-05-11

Family

ID=7591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265A KR20210052823A (ko) 2019-11-01 2019-11-01 신장 질환자를 위한 조언 캐릭터와 유저 아바타를 통한 지속적인 식습관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282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944B1 (ko) 2016-01-28 2016-09-01 현건호 식단 관리가 필요한 환자를 위한 주문형 식단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959762B1 (ko) 2017-04-17 2019-07-0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지능 기반 영상 및 음성 인식 영양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944B1 (ko) 2016-01-28 2016-09-01 현건호 식단 관리가 필요한 환자를 위한 주문형 식단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959762B1 (ko) 2017-04-17 2019-07-0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 지능 기반 영상 및 음성 인식 영양 평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sner Changes in eating behavior during the aging process
AU20222317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specific modulation of nutrient intake
Pettersson et al. The food and weight combat. A problematic fight for the elite combat sports athlete
Smith et al. Social class and body management.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practices related to health and personal body weight
Faiz et al. An integrated approach of diet and exercise recommendations for diabetes patients
Kuehn Heritage diets and culturally appropriate dietary advice may help combat chronic diseases
Cronin et al. Deconstructing consumer discipline: How self-management is experienced in the marketplace
KR20210052122A (ko)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vilai et al. Ontology-driven personalized food and nutrition planning system for the elderly
Shrimal et al. Nutriflow: A Diet Recommendation System
KR20210052823A (ko) 신장 질환자를 위한 조언 캐릭터와 유저 아바타를 통한 지속적인 식습관 개선 방법
JP2004326328A (ja) 生活習慣病指導システム
Liao et al. Learning from mothers' success in breastfeeding maintenance: coping strategies and cues to action
JP200805245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装置、バーチャル装置、携帯型の情報処理端末及び記録メディア
Cipriano-Crespo et al. The denied pleasure of eating: a qualitative study with functionally diverse people in Spain
Giannattasio et al. Crafting a healthier future: exploring the nexus of product design, digital innovations and dynamic marketing for obesity prevention. A literature review
Hanley Exploring the social context of choking and its implications for care
Dunn et al. Building relationships and sustaining dialogue between patients, caregivers and healthcare practitioners: a design evaluation of digital platforms for ventricular assist device users
WO2024060967A1 (en) Meal plan generat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implemented algorithm thereof
Zhang et al. Emotional Design of Dining Processes for Older Adults
KR20170101660A (ko) 건강 정보 제공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건강 정보 제공 방법
Lee et al. Experiences of living with overweight/obesity and early type 2 diabetes in Singapore—a qualitative interview study
Pawar DIET PLANNER USING DEEP LEARNING
MARQUÈSad et al. Diet4You: A Personal Intelligent Recommender for Diets from a Holistic Perspective
Singh Digital Health Design for Improving Treatment Dec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