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371A -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371A
KR20210052371A KR1020200144065A KR20200144065A KR20210052371A KR 20210052371 A KR20210052371 A KR 20210052371A KR 1020200144065 A KR1020200144065 A KR 1020200144065A KR 20200144065 A KR20200144065 A KR 20200144065A KR 20210052371 A KR20210052371 A KR 20210052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store management
iot
sensor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0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4133B1 (en
Inventor
권기성
Original Assignee
(주)영진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진이엘 filed Critical (주)영진이엘
Publication of KR20210052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3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1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A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oT controller connected to each of the sensor and IoT device to control power on/off and additional functions; a gateway communicating with the IoT controller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and a store management terminal receiving sensing data collected by the sensor and IoT device from the IoT controller in conjunction with the gateway, and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sensor and IoT device in an integrated manner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data. The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can provide a one-stop smart store solution to a retail store.

Description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SMART STORE MANAGEMENT SYSTEM}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매장 관리의 데이터 구축 지원 및 매장 주요 설비(장비 포함) 관리 통합을 통해 리테일 매장에 원스톱 스마트 스토어(One-Stop Smart Store)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One-Stop Smart Store solution to a retail store through store management data construction support and store main facility (including equipment) management integration. will be.

일반 벽 스위치를 사용한 조명 제어는 항상 매장에서 직접 조작이 필요하고, 연계성이 없으며, 매장 위치별 온/습도 등의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각각의 전용 리모콘을 찾아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Lighting control using a general wall switch always requires direct operation at the store, there is no connection, and it is difficult to manage temperature/humidity by store location. In addition, there is a hassle of finding and operating each dedicated remote control.

매장의 각 공간에 대한 개별 온/습도 관리의 필요성이 있으며, 항상 켜져 있는 조명의 경우 매장에 손님이 없어도 항상 켜져 있는 상태이므로 손님이 왔을 때마다 켜기에도 불편함이 따른다.There is a need for individual temperature/humidity management for each space in the store, and the always-on lighting is always on even if there are no customers in the store, so it is inconvenient to turn it on every time a customer comes.

매장에 설치된 조명, 에어컨 등의 장비의 고장 시 고장 관리 및 개별(기기) 제어의 불편함이 있으며, 간판/조명 등의 고장 판단을 위해 직접 눈으로 확인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When equipment such as lighting and air conditioners installed in stores is broken, there is inconvenience in managing failures and controlling individual (devices), and it is difficult to check with your own eyes to determine failures such as signs/lights.

통신사 및 시중의 IoT 솔루션들은 상업용 매장을 위한 맞춤형이 아니다. 상업용 매장의 IoT 솔루션은 인터넷 장애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 해야 하며, 기축 시설(매장)에도 적용이 가능해야 한다. 유럽 등의 해외 솔루션은 매장에 적용하기에 시스템 비용이 높고 무겁다.Telecom and commercial IoT solutions are not tailored for commercial stores. The IoT solution for commercial stores should be able to be used even in an Internet-failed environment, and should be applicable to existing facilities (stores). Overseas solutions such as Europe are expensive and heavy to apply to stores.

이와 같이 매장의 주요 설비 및 제품을 개별 컨트롤러 및 관련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조작해야 하는 관리상의 비효율이 있으며, 매장의 컨디션(환경) 관리에 가맹점주 또는 매니저의 감각에 의존하는 기존의 아날로그적 관리로는 매장 관리에 한계가 있다.As such, there is a management inefficiency in that major facilities and products of the store must be operated using individual controllers and related switches, and the existing analog management relies on the sense of the franchisee or manager to manage the condition (environment) of the store. Has limitations in store management.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19398호(발명의 명칭: 지능형 매장관리 통합 솔루션, 공개일자: 2020.10.20.)가 있다.As a related prior art, there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19398 (invention title: intelligent store management integrated solution, publication date: October 20, 20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매장 관리의 데이터 구축 지원 및 매장 주요 설비(장비 포함) 관리 통합을 통해 리테일 매장에 원스톱 스마트 스토어(One-Stop Smart Store)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ovide a One-Stop Smart Store solution to a retail store through store management data construction support and store main facility (including equipment) management integration. to provi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an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은 센서 및 IoT 장비 각각에 연결되는 IoT 컨트롤러;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IoT 컨트롤러와 통신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동하여 상기 센서 및 IoT 장비에 의해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IoT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센서 및 IoT 장비를 통합적으로 제어 관리하는 매장 관리 단말을 포함한다.A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oT controller connected to each of a sensor and an IoT device; A gateway communicating with the IoT controller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And a store management terminal that receives the sensing data collected by the sensor and the IoT device from the IoT controller in connection with the gateway, and controls and manages the sensor and the IoT device in an integrated manner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data. .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은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매장에 설치된 상기 센서 및 IoT 장비와 각각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센서 및 IoT 장비로부터 수신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매장의 관리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센서 및 IoT 장비를 통합적으로 제어 관리하는 매장 통합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 and IoT equipment installed in the store throug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network, respectively; And a store integrated management unit that integrally controls and manages the sensor and IoT equipment in consideration of the managemen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tore, based on the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and IoT equipment through data communication b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모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implemented as a Bluetooth Low Energy (BLE) module.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은 상기 매장의 관리와 관련하여 누적된 빅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빅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빅데이터를 상기 센서 및 IoT 장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여 해당 센서 및 IoT 장비가 상기 매장의 관리 환경적 특성에 대응하여 맞춤형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게이트웨이 기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receives the big data from a control server that stores big data accumulated in relation to the store management, and transmits the received big data to at least one of the sensor and the IoT device, and The Io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ateway function for customiz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managemen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tore.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은 인터넷 및 서버 장애가 발생한 상황에서도 단독 운영으로 매장 관리가 가능하도록, 이동 단말, 매장에 비치된 POS 단말 및 고정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bile terminal, a POS terminal installed in the store, and a fixed terminal to enable store management by independent operation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Internet and server failures occu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IoT 컨트롤러에 탑재된 전력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센서 및 IoT 장비의 소비 전력이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센서 및 IoT 장비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는 장비 진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nsor and the IoT device, measured by a power measuring unit mounted on the IoT controller, is outside a preset normal rang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n equipment diagnosis unit that performs diagnosis on the IoT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진단의 결과 고장인 경우 상기 센서 및 IoT 장비에 관한 고장 진단 알림을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매장 관리 어플리케이션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알림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failure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the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failure diagnosis notification regarding the sensor and IoT equipment on the screen of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in real time or provides a store management application in real time. It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providing unit.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은 각 매장별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조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실행을 명령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또는 상기 조명 모드의 설정 변경을 위해 상기 프로그램과 사용자 간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includes a memory unit for storing a program for commanding execution of any one of a plurality of lighting modes preset for each store; And a user interface unit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program and the user to execute the program or change the setting of the lighting mode.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한 사용자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조작에 의해 선택 또는 변경된 조명 모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해당 조명 또는 간판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executes the program according to a user input operation by the user interface, and controls the corresponding lighting or sign according to an execution command of the lighting mode selected or changed by the user input oper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It may further include a lighting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조명 모드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것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모드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바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커스텀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ustom switch configured to immediately execute at least one lighting mode selected a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modes. I ca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 관리의 데이터 구축 지원 및 매장 주요 설비(장비 포함) 관리 통합을 통해 리테일 매장에 원스톱 스마트 스토어(One-Stop Smart Store)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One-Stop Smart Store solution to a retail store through store management data construction support and store main facility (including equipment) management integ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매장 관리 단말의 상세 구성에 관한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매장 관리 단말의 상세 구성에 관한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매장 관리 단말의 상세 구성에 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온/습도 모니터링 및 관리에 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매장 내 쇼케이스 물통의 누수 및 매장 화재(연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주방 주요 설비 관리/연동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매장 내 직사광선으로 인한 상품 품질 저하(상품 변질 및 손질) 및 고객 만족감(아늑함) 감소(매장 실내 및 상품의 조명 효과 감소) 등과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매장 관리 단말을 이용하여 매장에 설치된 어닝을 제어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of FIG. 1.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of FIG. 1.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emperature/humidity monitoring and management.
6 and 7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real-time monitoring of water leakage and store fire (smoke) in a showcase bucket in a sto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ain kitchen equipment management/interlock.
9 is a diagram illustrating existing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product quality (product deterioration and care) and a decrease in customer satisfaction (comfort) due to direct sunlight in a store (decrease in lighting effect of a store interior and a product).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an awning installed in a store using a store management terminal.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implemented below is already provided in each system function configuration in order to efficiently describe the techn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or system functions commonly provid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If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previously used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that are not shown below and are omitted, the configurations omitted as described ab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constituent elem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ransmission", "communication", "transmission", "receive" of signals or information and other terms with similar meanings refer to direct transmiss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Not only that, but it includes things that are transmitted through other components. In particular, "transmitting" or "transmitting" a signal or information to a component indicate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 signal or information and does not mean a direct destination. The same is true for "reception" of signals or informa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통신사 및 시중의 IoT 솔루션들은 상업용 매장을 위한 맞춤형이 아니다. 유럽 등의 해외 솔루션은 매장에 적용하기에 시스템 비용이 높고, 무겁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넷 장애 환경에서도 독립 운용 가능한 스마트 솔루션을 통해 사용이 가능할 필요가 있으며(MUST WORK 중요), 시스템 비용의 절감을 위해 기축 시설(매장)에도 적용이 가능할 필요가 있다.Telecom and commercial IoT solutions are not tailored for commercial stores. Overseas solutions such as Europe are expensive and heavy to apply to stores.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use it through a smart solution that can be independently operated even in an Internet failure environment (MUST WORK is important), and it is necessary to be applicable to existing facilities (stores) in order to reduce system cost.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매장의 벽 스위치를 대체하여, 매장 관리 단말 및 이와 연동하는 매장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함으로써 장소 제한없이 원하는 시간에 매장에 설치된 IoT 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편의 기능 제공).To this e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tore management terminal and a store management application linked thereto by replacing the wall switch of the st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oT equipment installed in the store at a desired time without place restrictions (convenience Function provided).

예컨대, 타이머(자동)와 매장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매장 조명, 간판 및 외부 인테리어 벽 등을 타이머 기능으로 지정된(설정) 시간에 자동으로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알람 설정처럼 쉽고 빠름).For example, through a timer (automatic) and a store management application, store lighting, signboards, and exterior interior walls can be automatically and freely controlled at a specified (set) time with a timer function (easy and fast like an alarm setting).

이처럼 매장의 IoT 장비를 매장 관리 단말과 매장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함으로써 매장의 시설 부분의 원스톱 통합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매장 관리의 데이터 구축을 지원할 수 있으며 매장 주요 설비(장비 포함)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this way, by controlling the IoT equipment of the store through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and the store management application, one-stop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facility part of the store can be performed,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store management data and Energy efficiency can be max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100)은 IoT 컨트롤러(110), 게이트웨이(120), 무선 공유기(130), 및 매장 관리 단말(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oT controller 110, a gateway 120, a wireless router 130, and a store management terminal 140. Can be.

상기 IoT 컨트롤러(110)는 매장에 설치된 센서(101) 및 IoT 장비(102) 각각에 연결되어 전원 온/오프 및 부가 기능을 컨트롤할 수 있다.The IoT controller 11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sensors 101 and IoT equipment 102 installed in the store to control power on/off and additional functions.

즉, 상기 IoT 컨트롤러(110)에는 전력계, 온도 센서, 화재 센서, 가스 센서, 침입 감지 센서 등의 센서(101)와, 조명, 간판, 식품 보관 케이스, 블라인드/어닝, 냉난방 장치 등의 IoT 장비(102)가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IoT controller 110 includes sensors 101 such as power meters, temperature sensors, fire sensors, gas sensors, intrusion detection sensors, and IoT equipment such as lighting, signboards, food storage cases, blinds/awnings, and air conditioning devices ( 102) can be connected.

여기서, 상기 부가 기능은 단계별로 밝기 제어가 가능한 디밍(dimming) 기능, 색온도를 변환할 수 있는 기능 등 상기 전원 온/오프 이외의 모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dditional function may include all functions other than the power on/off, such as a dimming function capable of controlling brightness in stages and a function of converting color temperature.

상기 게이트웨이(120)는 블루투스(BLE)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IoT 컨트롤러(110)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The gateway 12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IoT controller 110 through a local are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BLE).

상기 무선 공유기(130)는 상기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상기 IoT 컨트롤러(110)에 접속할 수 있다.The wireless router 130 may access the IoT controller 110 through the gateway 120.

상기 매장 관리 단말(140)은 상기 게이트웨이(120) 및 상기 무선 공유기(130)와 연동하여 상기 센서(101) 및 IoT 장비(102)에 의해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IoT 컨트롤러(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매장 관리 단말(140)은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센서(101) 및 IoT 장비(102)를 통합적으로 제어 관리할 수 있다.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140 interworks with the gateway 120 and the wireless router 130 to receive the sensing data collected by the sensor 101 and the IoT device 102 from the IoT controller 110. I can.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140 may integrally control and manage the sensor 101 and the IoT device 102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data.

상기 매장 관리 단말(140)은 인터넷 및 서버 장애가 발생한 상황에서도 단독 운영으로 매장 관리가 가능하도록, 매장에 비치된 POS 단말, 고정 단말, 이동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140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POS terminal, a fixed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provided in the store so that the store management can be independently operated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Internet and server failures occur.

이를 위해, 상기 매장 관리 단말(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210), 매장 통합 관리부(220), 게이트웨이 기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는 도 1의 매장 관리 단말(140)의 상세 구성에 관한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To this end,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1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0, an integrated store management unit 220, a gateway function unit 230, and a control unit 240 as shown in FIG. 2. have. For reference,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140 of FIG. 1.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0)은 상기 블루투스(BLE) 등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매장에 설치된 상기 센서(101) 및 IoT 장비(102)와 각각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 101 and the IoT device 102 installed in the store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BLE), respectively.

이를 위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implemented as a Bluetooth Low Energy (BLE) module.

상기 매장 통합 관리부(220)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0)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센서(101) 및 IoT 장비(102)로부터 수신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매장의 관리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센서(101) 및 IoT 장비(102)를 통합적으로 제어 관리할 수 있다.The integrated store management unit 220 determines the managemen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tore based on the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101 and the IoT device 102 through data communication b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0.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the sensor 101 and the IoT device 102 can be controlled and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상기 게이트웨이 기능부(230)는 상기 매장의 관리와 관련하여 누적된 빅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관제 서버(미도시)로부터 상기 빅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 기능부(230)는 상기 수신된 빅데이터를 상기 센서(101) 및 IoT 장비(102)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여 해당 센서(101) 및 IoT 장비(102)가 상기 매장의 관리 환경적 특성에 대응하여 맞춤형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The gateway function unit 230 may receive the big data from a control server (not shown) that stores big data accumulated in connection with the management of the store. The gateway function unit 230 transmits the received big data to at least one of the sensor 101 and the IoT device 102 so that the sensor 101 and the IoT device 102 are manag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tore. In response to, it can be customized to operate.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매장 관리 단말(140), 즉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0), 상기 매장 통합 관리부(220), 상기 게이트웨이 기능부(23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40 may generally control operations of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140, that i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0, the store integrated management unit 220, and the gateway function unit 230.

도 3은 도 1의 매장 관리 단말(140)의 상세 구성에 관한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140 of FIG. 1.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매장 관리 단말(140)은 장비 진단부(310), 데이터베이스부(320), 알림 제공부(330), 고장 대응 처리부(34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3,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140 includes an equipment diagnosis unit 310, a database unit 320, a notification providing unit 330, a failure response processing unit 340, and a control unit 240.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장비 진단부(310)는 서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 달리 상기 게이트웨이(1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장비 진단부(31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장 관리 단말(140)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equipment diagnosis unit 310 may be installed on a server, or alternatively, may be installed on the gateway 120. However, the equipment diagnosis unit 3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in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140 as shown in FIG. 3.

상기 장비 진단부(310)는 상기 IoT 컨트롤러(110)에 탑재된 전력 측정부(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의 소비 전력이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즉, 상기 장비 진단부(310)는 상기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가 연결된 각각의 IoT 컨트롤러(110)별로 측정된 소비 전력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가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The equipment diagnosis unit 310 may determine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nsor 101 or the IoT device 102, measured by a power measurement unit (not shown) mounted on the IoT controller 110, is outside a preset normal range. You can check whether or not. That is, the device diagnosis unit 310 compares the measured power consumption value for each IoT controller 110 to which the sensor 101 or the IoT device 102 is connected with a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e normal range in which the difference is preset. You can check whether it is out of place.

상기 장비 진단부(310)는 상기 체크 결과에 따라 상기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 각각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장비 진단부(310)는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상기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device diagnosis unit 310 may perform diagnosis on each of the sensor 101 or the IoT device 102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For example, the device diagnosis unit 310 determines that the sensor 101 or the IoT device 102 is normal if the check result does not exceed the normal range, and if it is out of the normal range, the sensor 101 Alternatively,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IoT device 102 is malfunctioning.

이때, 상기 장비 진단부(310)는 고장 지속 시간 및 오차율(오차 범위)을 고려하여 상기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의 이상 레벨을 1단계(점검)와 2단계(고장)로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quipment diagnosis unit 310 divides the abnormal level of the sensor 101 or the IoT device 102 into a first step (check) and a second step (failure) in consideration of the failure duration and error rate (error range). Can be judged.

다시 말해, 상기 장비 진단부(310)는 상기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의 소비 전력 비교에 따른 차이 값이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 즉 상기 오차 범위(오차율) 내인 경우, 상기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의 고장 지속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의 이상 레벨을 상기 1단계(점검)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반면에, 초과하면 상기 2단계(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dif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comparison of the sensor 101 or the IoT device 102 is out of the normal range, that is, within the error range (error rate), the device diagnosis unit 310 (101) Or, if the duration of failure of the IoT device 102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time, the abnormal level of the sensor 101 or the IoT device 102 can be determined as the first step (check), while exceeding If so, it can be determined as the second step (breakdown).

이러한 경우, 상기 알림 제공부(330)는 상기 이상 레벨의 단계별로 구분하여 상기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에 관한 고장 진단 알림(점검 또는 고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otification providing unit 330 may provide a failure diagnosis notification (check or failure) regarding the sensor 101 or the IoT device 102 by dividing the abnormal level into stages.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20)는 상기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 각각에 연결되어 전원 온/오프 및 부가 기능을 컨트롤하는 IoT 컨트롤러(110)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해당 IoT 컨트롤러(110) 각각이 설치된 구역(zone)과 동일 그룹으로 매칭시켜 그룹 매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그룹 매칭 정보를 매칭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unit 320 stor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IoT controllers 110 connected to each of the sensors 101 or the IoT equipment 102 to control power on/off and additional functions, and the corresponding IoT controller 110 Group match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matching each installed zone with the same group, and the generated group match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matching table.

이에 따라, 상기 장비 진단부(310)는 상기 매칭 테이블에 저장된 그룹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고장인 것으로 진단된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에 연결된 해당 IoT 컨트롤러(110)의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그룹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그룹에 해당하는 구역을 고장 구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vice diagnosis unit 310 uses the group match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atching table, the sensor 101 diagnosed as a failure, or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controller 110 connected to the IoT device 102 A group matching to may be searched, and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group may be determined as a failure area.

상기 알림 제공부(330)는 상기 장비 진단부(310)에 의한 진단의 결과 고장인 경우, 해당 매장의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에 관한 고장 진단 알림을 상기 매장 관리 단말(140)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매장 관리자는 매장 내 센서(101) 및 IoT 장비(102)의 고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failure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by the equipment diagnosis unit 310, the notification providing unit 330 sends a failure diagnosis notification regarding the sensor 101 or the IoT equipment 102 of the corresponding store to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140 It can be provided on the screen of, whereby the store manager can check the failure status of the sensor 101 and the IoT device 102 in the store in real time.

여기서, 상기 매장 관리 단말(140)은 이동 단말(스마트폰 등), 매장 내에 배치된 고정 단말(터치 패널 등) 및 POS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 fixed terminal (such as a touch panel) and a POS terminal disposed in the store.

상기 고장 대응 처리부(340)는 상기 장비 판단부(310)에 의해 고장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본사나 서비스 제공 업체와 연계하여 해당 매장에 설치된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의 고장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failure response processing unit 340 is diagnosed as a failure by the equipment determination unit 310, the failure of the sensor 101 or the IoT equipment 102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store in connection with the head office or service provider It can be made to respond quickly.

구체적으로, 상기 장비 판단부(310)에 의해 고장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고장 대응 처리부(340)는 본사나 서비스 제공 업체에 고장 사실을 전송함으로써, 본사나 서비스 제공 업체와 연관된 관리자가 해당 매장에 출동해서 해당 센서(101) 또는 IoT 장비(102)의 고장을 신속하게 수리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it is diagnosed as a failure by the equipment determination unit 310, the failure response processing unit 340 transmits the failure fact to the head office or service provider, so that the manager associated with the head office or service provider It is possible to promptly repair the failure of the sensor 101 or the IoT device 102 by dispatching to.

도 4는 도 1의 매장 관리 단말(140)의 상세 구성에 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140 of FIG. 1.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매장 관리 단말(140)은 메모리부(410), 유저 인터페이스부(420), 조명 제어부(4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4,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140 may include a memory unit 410, a user interface unit 420, a lighting control unit 430, and a control unit 240.

상기 메모리부(410)는 각 매장별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조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실행을 명령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 모드는 조명의 밝기, 조도, 색온도, 타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모드는 상기 조명의 연출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410 may store a program for commanding execution of any one of a plurality of lighting modes preset for each store. Here, the lighting mode may include brightness, illuminance, color temperature, and a timer. In addition, the lighting mode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ng pattern of the lighting.

상기 조명의 연출 패턴은 상기 조명의 밝기, 조도, 색온도, 타이머 등의 설정값을 하나 또는 그 이상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명의 밝기를 75%, 색온도를 4000K로 조합하여 상기 조명의 연출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조명은 간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lighting pattern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one or more set values such as brightness, illuminance, color temperature, and timer of the lighting. For example, by combin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at 75% and the color temperature at 4000K, the directing pattern of the lighting may be implemented. For reference, the lighting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signboard.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420)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또는 상기 조명 모드의 설정 변경을 위해 상기 프로그램과 사용자 간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420)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상기 조명 모드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입력 메뉴와 연동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 메뉴의 조작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상기 조명 모드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420 may provide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program and the user to execute the program or change the setting of the lighting mode. That is, the user interface unit 420 is implemented to be linked with an input menu capable of executing the program or changing the setting of the lighting mode, so that the user executes the program through manipulation of the input menu or the lighting mode You can change the settings of

상기 조명 제어부(430)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420)에 의한 사용자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조작에 의해 선택 또는 변경된 조명 모드의 실행 명령을 해당 조명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조명 디바이스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 디바이스는 상기 조명 또는 간판 내에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ing control unit 430 executes the program according to a user input operation by the user interface unit 420, and displays an execution command of the lighting mode selected or changed by the user input oper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to control the lighting of the lighting device.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ing device is mounted in the lighting or signboard.

상기 조명 제어부(430)는 매장의 주변 또는 내부에 설치된 모션 감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된 경우, 조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사람의 일정 반경 내에 설치된 조명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When a person is detected by a mo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installed around or inside the store, the lighting control unit 430 uses an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of the lighting device installed within a certain radius of the sensed person. You can control the operation.

구체적으로, 상기 모션 감지 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된 경우,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주변 조도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조명 제어부(430)는 그 주변의 일정 반경 내에 설치된 조명 디바이스를 탐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명 디바이스 각각에는 고유 식별 정보가 할당될 수 있으며,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는 해당 조명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person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f the ambient illumination measured by the illumination sensor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430 searches for a lighting device installed within a certain radius around the can do. To this e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ssigned to each of the lighting devices, and each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matched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lighting device and stored.

이에 따라, 상기 모션 감지 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된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고유 식별 정보의 검색을 통해, 상기 조명 제어부(430)는 감지된 사람의 일정 반경 내에 설치된 조명 디바이스를 탐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ing controller 430 may search for a lighting device installed within a certain radius of the detected person by searching for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erson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상기 조명 제어부(430)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420)에 의한 해당 조명 모드의 실행 명령을 상기 탐색된 조명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상기 매장에 설치된 조명 또는 간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unit 430 may transmit an execution command of a corresponding lighting mode by the user interface unit 420 to the searched lighting devic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or signboard installed in the store.

한편, 상기 조명 제어부(430)는 상기 모션 감지 센서에 의해 침입자가 감지된 경우, 방범 및 보안 서비스 업체와 연동하여 상기 조명 디바이스의 동작을 점멸 제어하거나 상기 조명 디바이스를 온(ON) 상태로 유지하여 CCTV 촬영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션 감지 센서에 의한 침입자 감지 이벤트는 해당 매장의 도어락이 잠긴 상태에서 감지된 경우, 해당 매장의 영업 외 시간에 감지된 경우 등과 같은 때에 상기 모션 감지 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면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n intruder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the lighting control unit 430 blink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in connection with a security and security service company, or maintains the lighting device in an ON state. It can be controlled to enable CCTV shooting. Here, the intruder detection event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may occur when a person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at a time such as when the door lock of the corresponding store is detected while the door lock is locked, or when the store is detected outside business hours.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100)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커스텀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ustom switch.

상기 커스텀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조명 모드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것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모드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바로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스텀 스위치는 버튼 등의 물리적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 달리 터치 패널 등의 화면에 가상으로 구현되는 논리적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ustom switch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one lighting mode selected to be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modes is immediately executed by the user's manipulation. In this case, the custom switch may be composed of a physical switch such as a button, or alternatively may be composed of a logical switch that is virtually implemented on a screen such as a touch pane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IoT 장비 각각을 통합 제어하는 방법(스마트 매장 솔루션)에 대해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integrated control of each of the IoT devices (smart store 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0.

1. 온/습도 모니터링 및 관리1. Temperature/humidity monitoring and management

매장의 쇼케이스의 온/습도를 센서에 기반하여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실시간 모니터링). 이러한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은 온/습도 실시간 확인(모바일 푸시 알람), 관리 구간 외 터치 패드 알림, 고장 진단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t provides a function to monitor and manage the temperature/humidity of the store's showcase based on sensors (real-time monitoring). Such a temperature/humidity monitoring system may provide functions such as real-time temperature/humidity check (mobile push alarm), touch pad notification outside the management section, and fault diagnosis.

상기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장의 각 공간별 최적의 쇼핑 환경 조성(유지)을 위한 실시간 온습도 관리를 통해 매장 관리 단말에서 설정한 온/습도 관리 구간(최저-최고 설정)을 벗어나는 경우, 실시간 알림 기능(안심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mperature/humidity monitoring system, as shown in FIG. 5, the temperature/humidity management section set by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through real-time temperature/humidity management for creating (maintaining) the optimal shopping environment for each space in the store (minimum- If it is out of the highest setting), a real-time notification function (safe notification function) can be provided.

2. 누수 및 화재 예방2. Water leakage and fire prevention

매장 내 쇼케이스 물통의 누수 및 매장 화재(연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 센서 및 연기 센서를 활용하여 물통의 수위로 인해 넘침이 예상되는 경우 즉시 알림을 제공하거나(실외측, 비 내림 등 감지(레인 센싱) 활용 가능), 제한 시간 이상 연기 감지 시 자체 경보 및 경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In-store showcase water leaks and store fires (smoke) can be detected in real time. To this end, as shown in Figs. 6 and 7, a leak sensor and a smoke sensor are used to provide an immediate notification when overflow is expected due to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container (outdoor, rain, etc.detection (rain sensing)). Yes), it can provide its own alarm and alarm notification when it detects smoke over the time limit.

즉, 누수 감지의 경우 누수 센서를 이용하여 매장의 쇼케이스 특성, 관리자의 물통 비움 등의 관리가 필요함을 감지하여 물통 비움의 사전 인지를 할 수 있으며, 화재(연기) 감지의 경우 연기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감지를 하되 이때 제한 시간 이상 연기 감지 시 매장 자체 경보를 발생하거나, 원격(모바일) 자동 경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leak detection, the leak sensor can be used to detect the need for management of the store showcase characteristics and the manager's emptying of the bucket, so that the emptying of the bucket can be recognized in advance, and in the case of fire (smoke) detection, the smoke sensor is used. It detects fire, but at this time, when smoke is detected for more than a limited time, the store's own alarm can be generated or remote (mobile) automatic alarm notifications can be provided.

이에 따라, 매장 내 관리적 요소(이벤트) 발생 시 보다 빠른 사전 조치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매장 운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take a quicker precaution when a management factor (event) in the store occurs, and through this, an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of store operation can be expected.

3. 주방 주요 설비 관리/연동3. Kitchen main equipment management/linkage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후드, 제빵 장비, 냉장고 등의 주방의 주요 설비와 연동하여 모션 센서 기반의 주방 설비 자동화 및 연기 센서를 통한 자동 후드(환풍기) 작동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븐, 도우콘 등 제과(제빵) 장비 연동을 통해 과자(빵) 생산 완료 시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오븐 등과 같은 제빵 장비의 예열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매장 직원은 이를 위해 빨리 출근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빵 장비와 연동을 통해 전원을 원격에서 제어하여 미리 동작시킴으로써 예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매장 직원의 출근 시간을 늦을 수 있어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interlocks with major kitchen equipment such as lighting, hood, baking equipment, and refrigerator to automate kitchen equipment based on motion sensors and automatically operate hoods (ventilators) through smoke sensors. Can provid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larm when confectionery (bread) production is completed through interlocking with confectionery (bakery) equipment such as an oven and dough cone. In addition,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to preheat baking equipment such as an oven, there was a problem that store staff had to go to work quickly for thi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preheating by controlling the power remotely through interlocking with the bakery equipment and operating it in advanc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by delay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store staff to go to work. .

4. 매장 공조 장치 제어(에어컨, 히터, 공기청정기 등)4. Store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air conditioner, heater, air purifier, etc.)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을 이용하여 매장 공조 장치의 제어를 위한 멀티 IR 리모컨 기능을 제공하되, 주요 에어컨 제조사(LG, 삼성, 캐리어 등) 제품을 모두 지원하는 학습형 멀티 리모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Using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a multi-IR remote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a stor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but a learning-type multi-remote control function that supports all products of major air conditioner manufacturers (LG, Samsung, carrier, etc.) may be provided.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은 에어컨, 히터, 공기청정기 등의 원격(모바일) 제어를 위해 양방향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공조 장치의 상태를 체크하여 확인할 수 있다.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may support bidirectional communication for remote (mobile) control of an air conditioner, heater, and air purifier, and may check and check the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이로써,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을 이용한 일괄 통합 제어를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매장의 에어컨(냉난방, 공기청정), 에어커튼 등 다양한 구성 설비를 통합 제어(범용성)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tegrate and control (general purpose) various constituent facilities such as air conditioners (cooling and heating, air cleaning), air curtains, etc. of a store without being restricted to a location through batch integrated control using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최근 사회적 이슈로 부각된 미세먼지 관련해서 매장의 미세먼지 대책이 부재인 상황이며, 미세먼지는 매장 밖의 문제로만 바라볼 수 없다. 왜냐하면 매장 출입문 개방, 방문 고객 시 매장 내로 유입된 미세먼지는 결국 매장의 공기질과 상품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내외 환경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 차단과 실내 공기 청정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실내 공기청정 솔루션의 도입이 필요하다.With regard to fine dust,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social issue, there is no countermeasure for fine dust in stores, and fine dust cannot be viewed only as a problem outside the store. This is because fine dust that enters the store when the store door is opened or visited customers eventually affects the store's air quality and produ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indoor air cleaning solution in order to simultaneously satisfy indoor air purification and block fine dust entering the room by analyzing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al information.

5. 어닝 제어5. Earning control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매장 내 직사광선으로 인한 상품 품질 저하(상품 변질 및 손질) 및 고객 만족감(아늑함) 감소(매장 실내 및 상품의 조명 효과 감소)를 예방하기 위해 매장 관리 단말을 이용하여 매장에 설치된 어닝을 제어할 수 있다.9 and 10, a store management terminal is used to prevent product quality deterioration (product deterioration and care) and customer satisfaction (comfort) reduction (reduction in lighting effect of the store interior and products) due to direct sunlight in the store. You can control the earnings installed in the store.

어닝/블라인드 제어 연동을 통해 품질/고객 만족도 개선 기회를 제공하고, 외부 일조량을 고려하여 어닝을 자동으로 동작(환경 기반 자동화)함으로써 매장 관리 편의성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An opportunity to improve quality/customer satisfaction is provided through the linkage of awning/blind control, and the awning is automatically operated (environment-based auto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external sunlight, thereby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in store management convenience.

즉, 상품으로의 태양광에 의한 상품 손실 최소화 및 최적의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매장의 조도 균일화 및 상품 조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product loss due to sunlight as a product and maintain an optimal indoor environment, and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maximizing the effect of uniform illumination of the store and product lighting.

6. 매장 보안 시스템 단점 보완6. Complement the shortcomings of the store security system

현행 보안 시스템의 CCTV의 경우, 매장 마감 이후(조명 소등)에 저조도 화질 이슈(적외선 방식을 사용하나 화질 저하 필연)가 있다. 따라서, 매장 마감 후, 실내 이상 움직임 센싱을 통해 매장의 조명을 자동 점등 제어하거나 경고성 깜빡임을 발생하고, 매장에 설치된 보안 카메라의 단점(저조도 화질) 보완하여 이슈 발생 시, 빠른 대응(정확성) 및 도난 발생 최소화에 기여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urrent security system CCTV, there is a low-light image quality issue (infrared ray method is used, but image quality deterioration is inevitable) after the store closes (light turns off). Therefore, after the store closes, the store's lighting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hrough indoor abnormal motion sensing or warning flicker occurs, and when an issue occurs, quick response (accuracy) and It can contribute to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theft.

7. 매장 간판/조명등에 대한 자동 고장 알림7. Automatic failure notification for store signs/lights

간판, 매장 조명의 자동 진단 기능을 통해 자동 고장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매장의 간판은 기업의 브랜드를 알리는 얼굴과 같으며, 조명은 매장과 상품을 고객에 보다 디테일하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자동 고장 알림을 통해 고객 만족을 위한 빠른 대응 처리가 가능하다.Automatic failure notific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the automatic diagnosis function of signboards and store lighting. Since the signboard of the store is like a face that informs the brand of a company, and the lighting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delivers a detailed message to the store and products to customers,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automatic failure notification.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component and a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executed on the operating system. Further,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it is sometimes described that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ocessing device i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configuring the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etc.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1: 센서
102: IoT 장비
110: IoT 컨트롤러
120: 게이트웨이
130: 무선 공유기
140: 매장 관리 APP
210: 근거리 통신 모듈
220: 매장 통합 관리부
230: 게이트웨이 기능부
240: 제어부
101: sensor
102: IoT equipment
110: IoT controller
120: gateway
130: wireless router
140: store management APP
210: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20: Store integrated management department
230: with gateway function
240: control unit

Claims (10)

센서 및 IoT 장비 각각에 연결되는 IoT 컨트롤러;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IoT 컨트롤러와 통신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와 연동하여 상기 센서 및 IoT 장비에 의해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상기 IoT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센서 및 IoT 장비를 통합적으로 제어 관리하는 매장 관리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
IoT controllers connected to sensors and IoT devices, respectively;
A gateway communicating with the IoT controller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And
Store management terminal that receives sensing data collected by the sensor and IoT device from the IoT controller in connection with the gateway, and controls and manages the sensor and IoT device in an integrated manner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data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은
상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매장에 설치된 상기 센서 및 IoT 장비와 각각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센서 및 IoT 장비로부터 수신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매장의 관리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센서 및 IoT 장비를 통합적으로 제어 관리하는 매장 통합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 and IoT equipment installed in the store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respectively; And
Based on the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and IoT equipment through data communication b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 store integrated management unit that controls and manages the sensor and IoT equipment in an integrated manner in consideration of the managemen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store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모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with a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mod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은
상기 매장의 관리와 관련하여 누적된 빅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빅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빅데이터를 상기 센서 및 IoT 장비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여 해당 센서 및 IoT 장비가 상기 매장의 관리 환경적 특성에 대응하여 맞춤형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게이트웨이 기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The big data is received from a control server that stores big data accumulated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of the store, and the received big data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sensor and IoT equipment, so that the sensor and the IoT equipment are used in the store. A gateway function that enables customized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managemen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은
인터넷 및 서버 장애가 발생한 상황에서도 단독 운영으로 매장 관리가 가능하도록, 이동 단말, 매장에 비치된 POS 단말 및 고정 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A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mobile terminal, a POS terminal and a fixed terminal provided in the store, so as to enable store management by independent operation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Internet and server failure occu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oT 컨트롤러에 탑재된 전력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센서 및 IoT 장비의 소비 전력이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센서 및 IoT 장비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는 장비 진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n equipment diagnostic unit that checks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sensor and IoT device, measured by a power measurement unit mounted on the IoT controller, is outside a preset normal range, and performs diagnosis on the sensor and IoT device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의 결과 고장인 경우 상기 센서 및 IoT 장비에 관한 고장 진단 알림을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매장 관리 어플리케이션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알림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In case of a failure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a notification providing unit that displays a failure diagnosis notification about the sensor and IoT equipment on the screen of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in real time or provides a store management application in real time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은
각 매장별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조명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실행을 명령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또는 상기 조명 모드의 설정 변경을 위해 상기 프로그램과 사용자 간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A memory unit for storing a program for commanding execution of any one of a plurality of lighting modes preset for each store; And
User interface unit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program and the user to execute the program or change the setting of the lighting mode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관리 단말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한 사용자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조작에 의해 선택 또는 변경된 조명 모드의 실행 명령에 따라 해당 조명 또는 간판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store management terminal
A lighting control unit that executes the program according to a user input manipulation by the user interface, and controls a corresponding lighting or signboard according to an execution command of a lighting mode selected or changed by the user input manipul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 모드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것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모드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바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커스텀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스토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Custom switch configured to immediately execute at least one lighting mode selected a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lighting modes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200144065A 2019-10-31 2020-11-02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KR10240413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628 2019-10-31
KR20190137628 2019-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371A true KR20210052371A (en) 2021-05-10
KR102404133B1 KR102404133B1 (en) 2022-06-02

Family

ID=7591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065A KR102404133B1 (en) 2019-10-31 2020-11-02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13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850A (en) * 2012-04-13 2013-10-22 남경 주식회사 Light controller for home automation system
KR20150101527A (en) * 2014-02-26 2015-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entral management apparatus, shop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lurality of shops
KR20170118768A (en) * 2014-12-26 2017-10-25 주식회사 큐블릭미디어 Store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KR101849670B1 (en) * 2017-10-23 2018-04-17 (주)경인씨엔에스 System for managing internet of things device using network monitoring
KR20180125780A (en) * 2017-05-16 2018-11-26 (주)일산전자 Method for controlling home IoT by using home gatewa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850A (en) * 2012-04-13 2013-10-22 남경 주식회사 Light controller for home automation system
KR20150101527A (en) * 2014-02-26 2015-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entral management apparatus, shop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lurality of shops
KR20170118768A (en) * 2014-12-26 2017-10-25 주식회사 큐블릭미디어 Store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KR20180125780A (en) * 2017-05-16 2018-11-26 (주)일산전자 Method for controlling home IoT by using home gateway
KR101849670B1 (en) * 2017-10-23 2018-04-17 (주)경인씨엔에스 System for managing internet of things device using network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133B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6105B1 (en)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8357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 sources according to location
US7454269B1 (en) Programmable thermostat with wireless programming module lacking visible indicators
US10563876B2 (en) Setup routine to facilitate user setup of an HVAC controller
US117038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air quality in a building, inclu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working device using a handheld unit having scanning, networking, display and input capability
US20180267701A1 (en) Thermostat with customizable user interfaces
US11790747B2 (en) Building health analysis and management system
US9964347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US20160004231A1 (en) Method of managing electrical device, managing system, electrical device, operation terminal, and program
US20170082309A1 (en) Air-conditioning system
JP65800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air quality in a building, including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work device using a handheld unit having scanning, networking, display, and input capabilities
KR20050094247A (en) Home network system
US8964121B2 (en) Home audio video display device (AVDD) as sensor monitor
KR20210052371A (en)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KR102583786B1 (en) Smart store lighting device control system
KR102583785B1 (en)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KR102600438B1 (en) STORE Light/SIGN FAULT DIAGNOSIS AND NOTIFICATION SYSTEM
KR20230010512A (en) SMART STORE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MMUNICATION NETWORK USING IoT DEVICE
US20140059467A1 (en) Mobile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KR102550355B1 (en) Build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e thereof
KR20230170437A (en) Smart led lighting control system for commercial store
US20220279327A1 (en) Wirel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cuators connected to a wired network
JP2021197603A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WO2023048720A1 (en) Hierarchical mobile application launch
KR1004941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display of home appliance using network T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