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239A - 존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존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239A
KR20210052239A KR1020200131848A KR20200131848A KR20210052239A KR 20210052239 A KR20210052239 A KR 20210052239A KR 1020200131848 A KR1020200131848 A KR 1020200131848A KR 20200131848 A KR20200131848 A KR 20200131848A KR 20210052239 A KR20210052239 A KR 2021005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resource
sci
transmitting terminal
zon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형
김선애
김일규
노고산
정희상
조대순
최성우
최승남
최정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1005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수신 단말의 동작 방법은 송신 단말로부터 SCI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단말이 위치한 존(zone)이 속한 존 그룹(zone group)의 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존 그룹 ID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단말이 속한 존과 상기 송신 단말이 속한 존 그룹의 중심점 간의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SCI에 포함된 자원 할당/예약 정보에서 지시하는 자원에 대한 자원 센싱 또는 자원 선택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자원 센싱 또는 자원 선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존 그룹의 ID는 상기 수신된 SCI가 전송되는 PSCCH의 시간/주파수 위치,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SSB의 시간/주파수 위치, 또는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SSB의 PBCH-DMRS의 시간/주파수 위치 중 하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존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Zone-based sidelink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환경에서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환경에서 존(zone)에 기반한 자원 할당에 따른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V2X는 vehicle to everything의 약자로 운전 중, 유/무선망을 통하여 다른 차량 및 도로 등 인프라가 구축된 사물과 교통정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기술이다.
한편, 3GPP LTE를 포함한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V2X 서비스와 기타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노드를 통과하지 않고 단말 간 직접 통신하는 방식인 device-to-device (D2D) 통신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3GPP의 경우, 단말 간의 직접 통신 링크를 사이드 링크(sidelink)라고 부른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환경에서 존에 기반한 자원 할당 방법 및 이를 활용하여 사이드링크 자원 센싱 및 자원 선택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수신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송신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를 수신하고, 송신 단말이 위치한 존(zone)이 속한 존 그룹(zone group)의 식별자(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존 그룹 ID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단말이 속한 존과 상기 송신 단말이 속한 존 그룹의 중심점 간의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SCI에 포함된 자원 할당/예약 정보에서 지시하는 자원에 대한 자원 센싱 또는 자원 선택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자원 센싱 또는 자원 선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존 그룹의 ID는 상기 수신된 SCI가 전송되는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의 시간/주파수 위치,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시간/주파수 위치, 또는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SSB의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시간/주파수 위치 중 하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이 위치한 존(zone)에 따라 자원 할당을 다르게 함으로써 수신 단말이 간접적으로 송신 단말의 존 그룹 ID 또는 존 ID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사이드링크 자원 센싱 및 자원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존 그룹 ID 또는 존 ID를 전달하기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고 사이드링크 통신에 필요한 자원 센싱과 자원 선택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V2X 통신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2단계 SCI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존(zone) 구분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존 식별자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존 그룹 ID 및/또는 존 ID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존 그룹 ID 및/또는 존 ID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원 센싱 및 선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원 센싱 및 선택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시스템(system)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셀룰러 무선 통신망은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들을 포함하는 셀로 구성된다. 기지국은 한 개 또는 다수의 송수신지점(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TRP와 다수의 단말들 간, 다수의 TRP들과 하나의 단말 간, 또는 다수의 TRP들과 다수의 단말들 간에 링크(들)이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까지의 정보 전송은 하향링크(downlink)를 통해 전달되며, 단말로부터 기지국까지의 정보 전송은 상향링크(uplink)를 통해 전달된다. 한편, 기지국과 단말 사이가 아닌 단말과 단말 사이의 정보 전송에는 사이드링크(sidelink)가 사용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는 단말 대 단말(device-to-device; D2D) 통신으로 이루어지는 특성 상 차량 대 차량(vehicle-to-vehicle; V2V) 통신, 차량 대 인프라(vehicle-to-infrastructure; V2I) 통신, 또는 차량 대 보행자(vehicle-to-pedestrian; V2P) 통신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일정한 주파수 및 시간 영역 내에 정의되는 자원 풀(resource pool)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자원 풀은 연속된 주파수 영역에서 정의된 동일한 뉴머놀러지(numerology)를 가지는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 내에 정의될 수 있고, 자원 풀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들로 구성되는 연속된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원 풀은 시간 영역에서 연속된 최대 14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는 슬롯(slot)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자원 풀 내에서는 뉴머놀러지 외에도 상향링크, 하향링크, 사이드링크 간 구성, 주파수 및 시간 영역에서의 PSCCH 할당 크기, 참조 신호 설정,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HARQ) 설정 등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채널들의 예로는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한 물리 계층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CCH), 사이드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물리 계층 사이드링크 데이터 채널(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SCH), 및 사이드링크 피드백 정보 전송을 위한 물리 계층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 PSFC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링크 관련 시스템 정보 등의 전송을 위한 물리 계층 사이드링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SBCH)와 동기 획득을 위한 신호인 사이드링크 1차 동기 신호(sidelink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PSS)와 사이드링크 2차 동기 신호(sidelink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S)가 사이드링크 전송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링크 채널들 중 PSCCH 및 PSSCH에는 사이드링크 전송에 필요한 제어 정보인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가 포함될 수 있다. SCI는 PSSCH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인 스케쥴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를 포함한 다수의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도 1은 V2X 통신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V2X는 유/무선망을 통하여 다른 차량 및 도로 등 인프라가 구축된 사물과 교통정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기술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V2X는 V2V(vehicle to vehicle) 통신, V2I/N(vehicle to infrastructure/network) 통신, V2P(vehicle to pedestria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의 일 예로 일정 범위 내에 있는 자동차들이 V2V 통신을 통해 각자의 위치/속도 정보와 주변 교통상황 정보 등을 주고 받음으로써 갑작스러운 교통사고를 예방하거나 V2V 통신으로 연결된 복수의 차량이 고속도로에서 줄지어 주행하는 군집주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V2I/N 통신을 통해 차량에 고속의 무선백홀 서비스 제공하여 차량 내 사용자가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고 V2I/N 무선망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차량을 주행/제어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3GPP LTE를 포함한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V2X 서비스와 기타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노드를 통과하지 않고 단말 간 직접 통신하는 방식인 device-to-device (D2D) 통신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3GPP의 경우, 단말 간의 직접 통신 링크를 사이드 링크(sidelink)라고 부른다. LTE의 경우,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사이드 링크를 통한 단말 간의 통신이 가능하고 LTE 사이드 링크는 LTE Release 12에서 D2D 통신 용도로 처음 표준화 되었다. 그 후, 3GPP에서는 사이드 링크를 V2X 통신에 적합하게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표준화 노력이 있었다.
2018년 6월 3GPP는 5G New Radio (NR) Rel-15 규격을 완성하였고 2018년 8월 RAN1#94 회의부터 3GPP V2X phase 3인 NR V2X 표준화를 시작하였다. NR V2X는 기존의 LTE 기반 V2X 서비스 외에도 향상된 V2X 서비스를 지원하고 LTE V2X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대체하는 형태가 아닌 LTE V2X 서비스를 보완하고 LTE V2X와 연동함으로써 향상된 V2X 서비스를 지원하고자 하기 때문에 LTE V2X 보다 높은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현재 NR V2X 표준화는 우선적으로 사이드링크 설계에 초점을 맞춰 진행 중에 있다.
사이드링크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단말 간에 직접 데이터 패킷을 교환할 수 있는 통신 링크로서 도 1에서와 같이 V2V, V2P 링크를 포함하고 차량과 단말 기능을 지원하는 인프라(예컨대, RSU (road side unit))와의 V2I 링크의 경우에도 사이드링크에 해당한다. 또한, NR V2X에서는 LTE V2X에서 주로 제공하는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기반의 사이드 링크 통신 외에도 보다 다양한 V2X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유니캐스트(unicast) 및 그룹캐스트(groupcast) 기반의 사이드링크 통신을 도입하였다. 예를 들어, NR V2X 시스템은 유니캐스트 통신을 통해 단말과 RSU 간 또는 2 개의 단말들 간에 직접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으며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된 단말들에게 그룹 내 혹은 그룹 외 단말이 그룹캐스트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NR V2X 표준화 회의에서 사이드링크 설계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논의 중인 주제들 중 하나는 기지국의 제어 없이 사이드링크 만을 통해 통신하는 방식인 모드(Mode 2)에 관한 것이다. Mode 2 지원에 있어 가장 핵심이 되는 기술은 단말에 할당된 사이드링크 자원에 대한 자원 센싱(resource sensing)과 자원 선택(resource selection) 방법이다. 또한, 보다 효율적으로 단말이 자원 센싱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2 단계 SCI(2-stage SCI)가 도입되었다. SCI는 sidelink control information의 약자이다.
도 2는 2단계 SCI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 단계 SCI의 장점은 자원 센싱을 수행하는 단말의 복잡도 감소와 다수의 집성 레벨(aggregation level)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에 대한 필요성 제거 등이 있을 수 있다. 2 단계 SCI는 첫번째 SCI(1st SCI)와 두번째 SCI(2nd SCI)로 나뉠 수 있고 첫번째 SCI는 두번째 SCI의 복조를 위한 정보와 사이드링크 데이터채널인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전송에 사용되거나 PSSCH 전송을 위해 예약된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자원 센싱을 수행하는 단말들은 첫번째 SCI만 복조함으로써 자원 센싱을 수행할 수 있어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첫번째 SCI는 사이드링크 제어채널인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로 전달되며 두번째 SCI는 PSSCH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pre-)configured) 자원 풀(resource pool)은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에 상관없이 모두 활용할 수 있다고 합의되었으며 어떤 cast 방식이 (미리) 설정된 자원 풀 내 어느 자원을 사용하는지에 대해 알려주기 위한 (pre-)configuration 방식은 도입하지 않기로 합의되었다. 이는 동일한 자원 풀 내에서 다양한 cast 방식(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브로드캐스트)의 사이드링크 통신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이로 인해 단말이 자신에게 설정된 자원 풀에 대해 수행하는 자원 센싱 및 자원 선택의 복잡도가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SCI에 송신 단말의 위치 정보(단말의 위치 좌표를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면 경도, 위도) 또는 송신 단말이 위치하여 있는 존(zone)의 ID를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도 3은 존(zone) 구분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존 구분 방법에 의해 특정 구역을 세부 존들로 분할할 수 있고 각 존은 하나의 ID를 가질 수 있다. 수신 단말은 SCI를 수신함으로써 송신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송신 단말이 위치하여 있는 존의 ID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해당 송신 단말과 자신 간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추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PSSCH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정보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 지표면 상의 좌표 값을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존 ID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 존의 크기 또는 배치 패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존 ID의 비트 수를 무한정 크게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도 3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존 ID들은 일정 구역 범위 내에서 반복되게 된다. 이 경우, 존 ID 간 충돌 현상이 일어나 잘못된 거리 값을 추정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존 ID 12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해 있는 수신 단말이 수신한 SCI에서 송신 단말의 존 ID로 0를 획득한 경우, 송신 단말이 존 ID 0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고 알 수 있지만,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과의 거리를 1로 추정할 수도 있고 3으로 추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존 식별자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존(zone)들을 존 그룹(zone group)으로 묶어서 배치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접한 복수 개의 존 ID들은 하나의 존 그룹에 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존 그룹 0, 1, 2, 및 3 각각은 존 ID 0 내지 15를 가질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모든 존 그룹들이 동일한 개수의 존 ID들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존 그룹들이 가지는 존 ID들의 개수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송신 단말은 자신이 위치한 지점에 대응되는 존(zone) ID 뿐만 아니라 자신이 위치한 지점에 대응되는 존이 속한 존 그룹(zone group)에 대한 정보(예컨대, 식별자(ID))까지 수신 단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로부터 데이터(PSSCH)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송신 단말의 존 ID 및 존 그룹 ID와 상기 수신 단말의 존 ID 및 존 그룹 ID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송신 단말이 자신의 존 그룹 ID와 존 ID를 수신 단말들에게 알려주는 방법들이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 단말은 존 그룹 ID에 대한 정보를 SCI 또는 상위 제어정보(예컨대, MAC CE(control element) 메시지 또는 RRC 메시지)를 통해 수신 단말에게 알려주는 대신 자원 풀 내에 존 그룹 별 PSCCH 자원 구역을 설정하고 자신이 위치한 존 그룹에 대응하는 PSCCH 자원 위치에서 SCI를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수신 단말이 송신 단말의 존 그룹 ID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존 그룹을 알려주기 위한 추가적인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존 그룹 ID 및/또는 존 ID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 단말이 존 그룹 1에 위치해 있다면 이에 해당하는 자원 위치(410)에서 SCI를 포함한 PSCCH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2 단계 SCI 전송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첫번째 SCI(1st SCI)만 존 그룹 ID에 의해 결정된 자원 위치(410)에서 전달되도록 하고 두번째 SCI(2nd SCI)를 전달하는 PSSCH의 자원 위치 정보는 첫번째 SCI(1st SCI)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두번째 SCI(2nd SCI) 또한 존 그룹 별로 분리된 PSCCH 자원에 할당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PSCCH 자원의 위치가 존 그룹 단위가 아닌 존 단위로 정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송신 단말은 사이드링크 동기 신호 블록(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과 SSB 내 DMRS(SSB내의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복조하기 위한 PBCH-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활용하여 수신 단말이 송신 단말의 존 그룹 ID 또는 존 ID를 간접적으로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존 그룹 ID 및/또는 존 ID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송신 단말이 위치한 존 그룹에 따라 SSB가 할당되는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존 ID까지 SSB를 통해 수신 단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 송신 단말이 위치한 존의 ID에 따라 PBCH-DMRS 자원 위치를 다르게 할당한다. 또는, 존 그룹 ID를 SSB내의 PBCH-DMRS 자원 위치를 이용하여 전달하거나, 존 ID를 SSB가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를 이용하여 전달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수신 단말이 센싱을 수행하기 전인 송신 단말과의 동기화 단계에서 송신 단말의 존 그룹 ID 또는 존 ID를 수신 단말이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된 첫번째 실시예과 두번째 실시예를 조합하여 존 그룹 ID와 존 ID를 알려주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SB(또는, PBCH-DMRS)의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를 이용하여 존 그룹 ID를 알려주고 PSCCH의 자원 위치를 이용하여 존 ID를 알려주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SSB(또는, PBCH-DMRS)의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를 이용하여 존 ID를 알려주고 PSCCH의 자원 위치를 이용하여 존 그룹 ID를 알려주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존 그룹 ID와 존 ID를 바탕으로 자원 센싱과 자원 선택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자원 센싱과 자원 선택의 우선 순위를 정해주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제안된 방법들을 이용하면, 수신 단말은 자원 센싱을 수행하기 이전에 수신할 SCI가 어느 존 그룹 또는 정확하게 어느 존 그룹 내 존에 위치한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지를 미리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원 센싱 및 선택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이 다른 단말들의 존 그룹 ID만 알 수 있는 경우, 단말은 자신이 위치한 존(예컨대, 도 7의 존 그룹 0의 존 6)과 수신된 SCI를 전송한 단말의 존 그룹의 중심점 간의 거리를 추정하여 자원 센싱과 자원 선택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서 예시된 경우를 참조하면, 단말은 4개의 존 그룹들에 위치한 5개의 단말들로부터 SCI들을 수신할 수 있고, 단말은 이들 단말들의 존 그룹 ID들을 앞서 설명된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경우에서, 단말이 위치한 존과 존 그룹 3의 중심점 간의 거리가 가장 멀기 때문에, 단말은 존 그룹 3에 위치한 2개의 단말들로부터 송신되는 2개의 SCI들을 가장 우선 복조하고 복조된 내용을 기초하여 자원 센싱과 자원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한 단말들이 사용하거나 예약하는 자원들은 해당 단말이 사용/예약할 자원과의 충돌 가능성이 낮으므로, 해당 단말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한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SCI들에 포함된 자원 할당/예약 정보를 우선적으로 참조하여 충돌 가능성이 낮은 자원들(즉, 해당 자원 할당/예약 정보에서 지시하는 자원들)에 대한 자원 센싱 및 선택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동일한 존 그룹에 속한 단말들(예컨대, 존 그룹 3에 위치한 SCI를 송신하는 2개의 단말들)의 존 ID를 알지는 못하는 상태이므로, 동일한 존 그룹에 위치한 단말들과의 거리를 구별할 수 없으므로, 동일한 존 그룹에 위치한 단말들에 대한 순서(즉, 자원 센싱 및 선택을 위한 SCI의 참조 순서)는 랜덤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원 센싱 및 선택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와 달리 SCI를 전송하는 단말들의 존 그룹 ID 뿐만 아니라 존 ID까지 획득 가능한 경우, 단말은 자신이 속한 존과 각각의 단말들(SCI를 전송하는 단말들) 간의 실제 거리를 추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먼 거리에 위치한 단말의 SCI 정보를 우선적으로 참조하여 자원 센싱 및 자원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SCI가 2단계 SCI 방식으로 구성된 경우, 존 그룹 ID는 도 5 또는 도 6을 통해서 설명된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반면, 존 ID는 첫번째 SCI(1st SCI)에 포함되어 수신되므로 센싱이 완료된 후에야 존 ID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말은 도 7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우선 순위를 정하여 자원 센싱을 수행하고 존 ID까지 획득한 후이후에 도 8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우선 순위를 정하여 자원 선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에서 예시된 통신 노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송신 단말 또는 수신 단말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9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10), 메모리(9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0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9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9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950), 저장 장치(9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9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9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20) 및 저장 장치(9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920) 및 저장 장치(9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9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

  1.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수신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송신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제어 정보(sidelink control information, SCI)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단말이 위치한 존(zone)이 속한 존 그룹(zone group)의 식별자(ID)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존 그룹 ID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단말이 속한 존과 상기 송신 단말이 속한 존 그룹의 중심점 간의 거리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SCI에 포함된 자원 할당/예약 정보에서 지시하는 자원에 대한 자원 센싱 또는 자원 선택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자원 센싱 또는 자원 선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존 그룹의 ID는 상기 SCI가 전송되는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의 시간/주파수 위치,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시간/주파수 위치, 또는 상기 송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SSB의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의 시간/주파수 위치 중 하나에 의해서 결정되는,
    수신 단말의 동작 방법.
KR1020200131848A 2019-10-29 2020-10-13 존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100522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897 2019-10-29
KR20190135897 2019-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239A true KR20210052239A (ko) 2021-05-10

Family

ID=7591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848A KR20210052239A (ko) 2019-10-29 2020-10-13 존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22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8284B2 (en) User apparatus, base station and notification method
Nabil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sensing-based semi-persistent scheduling in C-V2X networks
JP6663076B2 (ja) 情報送信方法及びユーザ装置
US11864194B2 (en) Ser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US11647418B2 (en) Resource request method and device,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resource request
US20180199364A1 (en)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device and system
JPWO2017051863A1 (ja) ユーザ装置、及び送信方法
CN108886823B (zh) 用于灵活的用户设备标识的系统和方法
US11665674B2 (en) Direct 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0690944B (zh) 信道状态信息的优先级发送、确定方法及装置、存储介质、用户设备
WO2016045568A1 (zh) 一种d2d资源分配方法及装置
WO2017133334A1 (zh) 通信资源的确定方法及装置
US2023009506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2300288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sidelink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133013A1 (zh) 一种传输控制信令的方法及设备
JP2020505886A (ja) サービスデータ伝送方法、第1通信ノード、及び基地局
WO2017028337A1 (zh) 一种传输块类型信令指示方法及系统
KR20210052236A (ko)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자원의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2671421B1 (en) Method for providing a random access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15264A (ko) 무선 네트워크의 분산 접속 방법 및 장치
WO2018133133A1 (zh) 一种资源使用方法、相关装置及系统
KR20220071950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추가 pqi를 사용한 데이터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10052239A (ko) 존 기반 사이드링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012330B (zh) 一种分配资源的方法和设备
CN112771952A (zh) 通信装置和通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410100040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40223

Effective date: 2024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