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184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184A
KR20210052184A KR1020200093354A KR20200093354A KR20210052184A KR 20210052184 A KR20210052184 A KR 20210052184A KR 1020200093354 A KR1020200093354 A KR 1020200093354A KR 20200093354 A KR20200093354 A KR 20200093354A KR 20210052184 A KR20210052184 A KR 20210052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oller
filter sheet
ai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현병
오윤주
김현주
허희정
현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021,01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865485B2/en
Priority to US17/021,057 priority patent/US11772027B2/en
Priority to US17/021,040 priority patent/US11654389B2/en
Priority to US17/020,995 priority patent/US11826686B2/en
Priority to US17/020,975 priority patent/US20210121811A1/en
Publication of KR20210052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8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공기청정기는 케이스, 공기입구, 공기출구, 공기 중의 오일방울을 거르도록 상기 공기입구를 커버하는 그릴, 상기 공기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출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팬, 오일 미스트를 거르기 위해 상기 그릴과 상기 팬 사이에 위치되는 롤필터, 그리고 상기 롤필터를 절단하기 위한 필터절단기를 포함한다. 상기 롤필터는 롤러 그리고 상기 롤러를 둘러 감겨진 필터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시트는 상기 그릴의 뒤로 연장되도록 풀려질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가 더러워지면, 상기 롤러필터는 깨끗한 부분이 상기 그릴의 뒤에 위치하도록 더 풀려지고, 또 상기 필터절단기는 상기 더러운 부분을 절단해 낼 수 있다. 절단 중에, 클램프가 상기 필터시트를 아래로 눌러 유지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필터시트의 더러운 부분이 폐기를 위해 통과하는 슬릿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0003) 요리는 종종 연기, 오일미스트, 또는 다른 오염물질과 같은 유해오염물질 및 발암물질의 방출을 초래한다. 많은 주방은 스토브 또는 쿡탑 위에 주방후드가 설치되어 잔류오염물을 외부로 불어낸다. 하지만, 주방후드는 대체로 제대로 유지 관리되지 않아 효율성이 떨어진다. 오일, 먼지, 연기 그리고 다른 오염물질은 요리 후에 공기중에 남아 있을 수 있고, 캐비넷, 조리대 또는 다른 표면에 달라붙어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포도상구균(staph), 대장균(:E. coli") 그리고 진폐포도상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수막염, 폐렴, 부비동염 및 기타 감염을 일으킬 수 있음)과 같은 박테리아의 번식지가 될 수 있다. 요리 중에 발생하는 다른 유해한 물질로는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포름 알데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 그을음(black carbon), 및 다환식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s hydrocarbon)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0004) 굽거나 튀기는 동안 발생하는 대부분의 미세먼지는 오일 미스트의 형태인데, 일반적인 공기정화기 또는 주방 후드에 부착되고 덩어리질 수 있다. 상기 오일 미스트는 오염된 공기가 공기정화기나 공기청정기의 흡입그릴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공기 청정기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만약 오일 미스트가 공기 정화기 또는 공기청정기의 배출 그릴 근처에 부착되면, 상기 오일은 내부 공간으로 전체적으로 더 퍼지게 되어, 오염을 증가시킨다.
(0005)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05-0007482는 한쌍의 타공판 사이에 자외선램프가 배치되고 타공판에 광촉매가 코팅되어 자외선에서 나오는 광에 의해 광촉매가 활성화되어 공기의 살균과 탈취 효과를 높인 것이다. 하지만 광촉매 상에 오염물질이 퇴적되면 제거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0006)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82006은 미세연기(예를 들면, 담배 연기)를 거르기 위한 테이블용 공기정화기를 개시한다. 상기 테이블용 공기정화기는 정면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좌측과 우측의 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고, 상기 공기를 전방을 향해 다시 밀어낸다. 이런 공기유동은 파괴적이거나 주변의 사용자를 성가시게 하고, 또 배출된 정화된 공기 또한 오염된 공기와 다시 섞이고 재순환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용 공기정화기의 내부에 있는 필터는 쉽게 교체할 수 없고, 또 상기 테이블용 공기정화기는 벽의 콘센트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000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4435는 부착가능한 작은 공기청정기를 개시한다. 상기 부착가능한 작은 공기청정기는 쉽게 청소되지 않고 청소되기 위해서는 분해되어야만 한다.
(0008) 상기 인용문헌들은,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세부사항, 특징 및/또는 기술적 배경의 적절한 교시를 위해 적절한 경우 이 명세서에 참조로서 일체로 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5-0007482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8200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4435
(0046) 본 발명의 목적은 요리 후에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휴대형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사용자가 쉽게 상기 공기청정기를 바닥에서 조리대 또는 조리대에서 테이블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가벼운 무게일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주방 후드가 설치될 수 없는, 쿡탑 근처의 조리대에서의 사용에 적합할 수 있고, 또는 보조적인 주방후드로서 역할을 할 수 있고, 또는 보조적인 주방이나 시어머니 공간(mother-in-law suite)에서의 사용을 위해 적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여행에 적합할 수 있으며, 리조트나 호텔에 가져갈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이동식 주택이나 트레일러에 적합할 수 있다.
(0047) 본 발명의 목적은 뜯어낼 수 있는 롤 필터를 가져서 상기 필터의 더러워진 부분을 폐기할 수 있고 상기 필터의 깨끗한 부분에 의해 교체되도록 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롤 필터는 종이수건이 교체되는 방식과 유사하게 교체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필터가 오염되고 필터커터가 자동적으로 롤로부터 폐기를 위해 필터를 잘라 내었을 때, 상기 필터를 자동적으로 풀어낼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롤 필터는 직물 또는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 상기 공기청정기의 케이스나 하우징의 내외부로 슬라이드되는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0048)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의 롤 필터로 부터 큰 오일 방울과 오물을 막고 그리고 식기세척기에서 세척될 수 있는 분리가능한 금속 프리-필터를 가지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0049)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한 교체, 청소, 또는 수리를 위한 쉽게 분리가능한 필터를 가지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필터의 오염도, 요리 주기, 또는 시간을 모니터할 수 있고 또 상기 필터의 수리 또는 청소를 위한 시기를 제안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필터의 오염수준, 시간, 또는 요리 주기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감기고 절단되는 롤 필터를 가질 수 있다.
(0050)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청정기의 위치가 제한되지 않도록 충전패드를 통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가지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0051) 본 발명의 목적은 연기, 오일, 먼지, 그리고 냄새를 모니터하고, 그리고 공기청정기의 다양한 필터들이 연기, 오일, 먼지, 그리고 냄새 감지에 근거하여 교체될 필요가 있는 시기를 표시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0052)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청정기가 설치되는 공간을 미적으로 기분 좋게 만들기 위해 날렵하고, 현대적이며, 아름다운 디자인을 가지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0053)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1개구 및 제2개구를 가지는 외부케이스, 상기 제1개구를 덮기 위해 상기 외부케이스에 결합되고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개구를 가지는 그릴, 상기 그릴 뒤에 위치되고 롤러와 상기 롤러 주위에 감아지는 필터시트를 가지며 상기 필터시트의 제1 풀려진 부분은 상기 롤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그릴과 마주보는 롤 필터, 그리고 상기 롤 필터의 뒤에 위치되고 또 상기 그릴의 개구를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제2개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팬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로서 실시될 수 있다.
(0054) 상기 그릴은 제1크기의 공기중에 떠다니는 오일방울을 거를 수 있고 또 상기 필터시트의 제1 풀려나온 부분은 상기 제1크기보다 작은 제2크기의 오일 미스트를 거를 수 있다. 제2필터가 상기 롤 필터와 상기 팬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또 상기 제2크기보다 더 작은 제3크기를 가지는 이물질을 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는 냄새를 거르기 위한 카본필터일 수 있다.
(0055) 상기 그릴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 상기 롤 필터는 섬유질 물질 또는 다공성 물질중 적어도 하나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섬유질 물질은 종이, 직물, 또는 나노섬유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물질은 초 미세 공을 가질 수 있다.
(0056) 상기 롤 필터는 필터 카트리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 내외부로 상기 필터 카트리지의 삽입과 분리를 위한 상부 개구를 가질 수 있다.
(0057) 내부지지대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프레임이 상기 내부지지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프레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내부지지대 또는 프레임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0058) 상기 롤러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시트의 제1 풀려진 부분은 상기 롤러로 부터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시트의 일부는 상기 팬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0059) 제1롤러와 제2롤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의 제1 풀려진 부분은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필터시트의 제2 풀려진 부분이 그릴과 마주하도록 롤러로부터 당겨질 때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0060) 상기 커버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와 제2롤러는 상기 필터 시트의 제1 풀려진 부분의 단부가 상기 슬릿을 통과할 때까지 회전될 수 있다.
(0061) 클램프가 상기 필터 시트의 제1 및 제2 풀려진 부분 사이의 상기 필터시트의 일부를 파지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커버와 상기 제1 및 제2롤러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절단기는 상기 필터시트로부터 상기 제1 풀려진 부분을 분리하는 블레이드를 가질 수 있다.
(0062)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제2필터의 오염수준, 흡입된 공기와 배출된 공기의 공기 유동에서의 차이, 또는 배출된 공기의 공기질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것을 표시할 수 있다.
(0063)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공기입구와 공기출구를 가지는 외부케이스, 상기 공기입구를 덮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에 결합되고 공기가 흡입될 수 있으며 제1크기의 공기중의 오일방울을 걸러주도록 구성된 그릴, 상기 그릴의 뒤에 위치되고 상기 제1크기보다 더 작은 제2크기의 입자를 포함하는 오일 미스트를 걸러주도록 구성될 수 있는 섬유질 물질 또는 다공성 물질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의 뒤에 위치되고 냄새를 걸러주도록 구성되는 제2필터, 그리고 상기 그릴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상기 제2필터 뒤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출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팬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로서 실시될 수 있다.
(0064) 상기 커버는 공기출구로서 역할을 하는 개구와 슬릿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된 롤러와 필터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의 제2부분은 상기 팬의 상부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아래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롤러가 풀려질 때, 상기 제1부분은 상기 그릴과 마주볼 수 있고 상기 필터시트의 제2부분은 상기 팬 위로 지나갈 수 있고 상기 슬릿을 통과할 수 있다.
(0065)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공기입구에 직교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는 프레임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필터를 새로운 제1필터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를 통해 분리가능할 수 있다.
(0066)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 상기 제1필터, 그리고 상기 제2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필터 또는 제2필터중 적어도 하나의 교체를 허용하도록 상기 그릴을 분리함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0067)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좌측면, 상기 좌측면에 반대되는 우측면, 정면개구, 상기 정면개구에 반대되는 배면개구, 상부개구, 그리고 평평한 바닥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바닥을 가지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정화기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우측면에서 좌측면까지의 좌우길이는 상기 정면개구에서 배면개구까지의 전후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배면커버가 상기 배면개구를 덮을 수 있고 공기가 배출되는 다수개의 배출개구를 가질 수 있다. 그릴이 상기 제1개구를 덮도록 외부케이스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외부케이스로부터 당겨져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은 공기가 흡입되는 다수개의 흡입개구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이 외부케이스에 위치될 수 있고 또 상기 외부케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정렬되는 좌측면과 우측면을 가질 수 있다. 팬은 상기 프레임 내에 수납되고 상기 그릴을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배면커버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터카트리지가 상기 외부케이스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정렬되는 좌측면과 우측면 그리고 상기 상부개구를 닫도록 구성된 상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카트리지는 상기 프레임과 그릴의 사이의 외부케이스 내에 탄성력을 가지고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상부개구를 통해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68)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휴대형 공기청정기와 충전패드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휴대형 공기청정기는 하부에 위치된 베이스, 공기입구, 그리고 공기출구를 가지는 외부케이스, 상기 베이스에 구비된 배터리와 무선전원수신기, 상기 공기입구를 덮고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흡입개구를 가지는 그릴, 상기 그릴 뒤의 상기 외부케이스 내부에 위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수납되고 상기 그릴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출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팬, 그리고 상기 그릴과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된 제1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패드는 상기 베이스가 상기 충전패드에 안착되었을 때 휴대형 공기청정기의 무선전원수신기로 무선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무선전원전송기를 가지는 베이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0069)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션감지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의 동작은 상기 모션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팬의 속도, 상기 필터의 오염수준, 또는 감지된 공기질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0070) 상기 필터는 롤러 주위에 감겨진 시트를 가지는 롤 필터일 수 있다. 제1모터는 상기 시트의 새로운 부분이 상기 그릴과 팬 사이에 위치되도록 미리 정해진 양 만큼 상기 시트를 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는 상기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71) 필터절단기는 블레이드를 가질 수 있고 또 제2모터는 풀려나와서 상기 그릴과 팬 사이에 더 이상 있지 않은 상기 시트의 부분을 절단하도록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시트를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모터는 상기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72) 클램프가 상기 시트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미리 정해진 위치에 상기 시트를 누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제3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0073)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상기 필터시트가 풀려지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커버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공급되도록 상기 필터시트를 잡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제1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0074)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상기 필터의 오염수준, 상기 필터 시트에 있는 표시, 또는 상기 제1모터의 동작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도록 상기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것, 시간의 경과, 요리 빈도, 또는 사용자 입력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해서 동작될 수 있다.
(0075) 제2필터는 상기 제1필터 뒤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는 오일 미스트를 거를 수 있고 또 상기 제2필터는 냄새를 거를 수 있다.
(0076)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좌측면, 상기 좌측면에 반대되는 우측면, 공기입구, 공기출구, 바닥면, 그리고 상면을 가지고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은 상기 바닥면과 상면에 직교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공기입구를 덮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에 결합되고 공기가 흡입되며 제1크기의 공기중의 오일 방울을 거르도록 구성되는 그릴, 상기 그릴 뒤에 위치되고 상기 제1크기보다 작은 제2크기의 입자를 함유하는 오일 미스트를 거르도록 구성될 수 있는 섬유질 물질 또는 다공성 물질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 뒤에 위치되고 냄새를 거르도록 구성된 카본필터인 제2필터, 그리고 상기 그릴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출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2필터의 뒤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하며 요리도구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휴대형 공기청정기로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휴대형 공기청정기의 길이는 요리도구의 깊이 또는 폭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0077) 상기 휴대형 공기청정기의 길이는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24에서 26인치일 수 있다. 상기 공기입구와 공기출구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폭은 6인치 또는 그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상면부터 바닥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되는 높이는 12인치 또는 그 이하일 수 있다.
(0078) 배터리가 상기 팬을 구동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는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송을 위해 손잡이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의 총무게는 충전패드를 포함하지 않고 10파운드(lbs) 또는 그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청정기의 무게는 4.5kg(9.9파운드(pounds))일 수 있다.
(0079) 프레임이 상기 제1필터, 제2필터, 또는 상기 팬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은 상기 길이를 따라 서로 인접한 제1축류팬과 제2축류팬을 포함할 수 있다.
(0080) 상기 필터는 제1롤러 주위에 감아지는 필터시트를 가지는 롤 필터일 수 있다. 상기 제1롤러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면 또는 바닥면중 하나에 인접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롤러가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면과 바닥면의 다른 쪽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1롤러로부터 필터시트를 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 또는 그릴은 탄성부재의 복원력으로 상기 외부케이스로부터 배출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에 탄성력을 가지고 장착될 수 있다.
(0081)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요리도구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된 휴대형 공기청정기로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휴대형 공기청정기는 좌측면, 상기 좌측면에 반대되는 우측면, 공기입구, 공기출구, 바닥면, 그리고 상면을 가지고, 상기 좌측과 우측면은 상기 바닥면과 상면에 대해 직교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공기입구를 덮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에 결합되고 공기가 흡입될 수 있고 제1크기의 공기중의 오일 방울을 거르도록 구성되는 그릴, 상기 그릴 뒤에 위치되고 상기 제1크기보다 작은 제2크기의 입자를 함유하는 오일 미스트를 거르도록 구성될 수 있는 섬유질 또는 다공성 물질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의 뒤에 위치되고 냄새를 거르도록 구성되는 카본 필터인 제2필터, 그리고 상기 그릴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출구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2필터의 뒤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한다. 휴대형 공기청정기의 길이는 18인치보다 더 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휴대형 공기청정기의 상기 길이는 상기 공기입구와 공기출구 사이의 거리로서 정의될 수 있고 또 적어도 12인치와 같을 수 있다.
(0082) 상기 그릴은 레치 또는 자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외부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는 롤러와 상기 롤러 주위에 감겨지는 시트를 가지는 롤 필터일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로부터 분리되게 구성될 수 있다.
(0083)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공기입구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기출구를 가지는 외부케이스, 상기 공기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출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팬, 그리고 필터롤러와 상기 필터롤러 주위에 감겨진 다수개의 부분을 가지는 필터시트를 포함하는 필터카트리지를 포함하고, 각각의 필터시트의 부분은 흡입된 공기에서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상기 필터 롤러로부터 풀려나오도록 구성되어 상기 필터시트의 모든 부분들이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나왔을 때 상기 필터시트 또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중 적어도 하나가 교체될 수 있도록 되는 공기청정기로서 실시될 수 있다.
(00084) 해당되는 부분이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에 도달했을 때, 상기 필터 롤러는 상기 흡입된 공기에 인접한 부분을 노출하도록 풀려질 수 있고, 상기 해당되는 부분은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고 또 그 이후에 상기 필터시트로부터 분리된다.
(0085) 풀림롤러가 상기 외부케이스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필터롤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필터시트를 당겨서 상기 필터롤러로부터 필터 시트를 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풀림롤러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2롤러, 그리고 상기 제2롤러를 회전하도록 구성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가 구동될 때, 상기 필터시트는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필터시트가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나올 수 있다.
(0086) 필터절단기는 상기 필터시트의 해당 부분을 분리하도록 상기 필터 시트를 가로질러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절단기는 상기 필터시트를 절단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된 블레이드 하우징, 상기 외부케이스의 제1측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제2측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제1측에 밀접한 제1단부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제2측에 밀접한 제2단부를 가지는 랙,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랙의 제1단부와 제2단부 사이에서 상기 랙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랙과 결합되게 구성된 기어, 그리고 상기 랙을 가로질러 블레이드 하우징을 이동하도록 상기 기어를 회전하게 구성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가 동작될 때,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필터시트로부터 해당되는 부분을 절단하기 위해 상기 필터시트를 가로질러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필터 시트의 해당되는 부분은 상기 필터시트를 추가로 풀어냄 없이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87) 클램프가 상기 필터시트를 아래로 파지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0088) 상기 클램프는 바닥표면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제1측으로부터 상기 내부프레임의 제2측으로 아래로 경사질 수 있는 상부표면을 가지는 유지블럭(또는, 다르게는, 블럭의 상부에 결합되는 웨지)), 상기 유지블럭의 상부에 위치되고 평면이거나 평평한(level) 상부표면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제1측으로부터 상기 제2측을 향해 아래로 경사질 수 있는 하부표면을 가지는 상부웨지 또는 블럭, 그리고 제1방향으로 상기 상부웨지가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웨지의 제2측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지블럭이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며 억제된 필터시트의 일부를 향하는 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은 상기 필터의 롤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89)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좌측벽, 상기 좌측벽에 반대인 우측벽,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반대에 위치되는 상부, 선단개구, 그리고 상기 선단개구에 대해 반대에 위치되는 후단개구를 가지며 상기 우측벽과 좌측벽은 상기 선단개구와 후단개구에 직교하며 좌우방향이 상기 우측벽과 좌측벽 사이로 연장되고, 그리고 수직방향이 상기 상부와 바닥부 사이로 연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선단개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후단개구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팬, 상기 선단개구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그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부터 분리되고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롤러, 그리고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구성되고 상기 필터 롤러 주위에 감겨져서, 풀려질 수 있을 때, 그 제1부분이 상기 팬의 흡입구를 덮고 상기 선단개구를 통해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필터롤러 사이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필터시트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로서 실시될 수 있다.
(0090) 필터 카트리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또 상기 케이스의 좌측벽과 우측벽에 정렬되는 좌측벽과 우측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롤러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의 좌측벽과 우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또 상기 필터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상부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롤러조립체는 상기 필터롤러로부터 상기 필터시트를 더 풀어내도록 상기 필터 카트리지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그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롤러조립체를 통해 상기 필터시트의 제1부분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롤러조립체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의 위에 위치되고 또 상기 제1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제1롤러가 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제2롤러, 그리고 상기 제1롤러를 회전하도록 구성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의 제1부분은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로 공급될 수 있어서 상기 모터가 상기 제1롤러를 회전할 때 상기 필터시트의 제1부분은 상기 그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또 상기 필터시트의 제2부분은 상기 팬의 흡입구를 덮고 또 상기 선단개구를 통해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와 상기 롤러필터 사이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필터롤러로부터 풀려질 수 있다.
(0091) 프레임이 상기 팬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케이스의 좌측벽 및 우측벽과 정렬되는 좌측벽과 우측벽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가 풀려질 때, 상기 필터시트의 일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이동될 수 있다. 필터절단기와 클램프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카트리지와 후단개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필터시트의 일부를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절단기는 좌우방향으로 상기 필터시트의 부분을 가로질러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92) 상기 필터절단기는 좌측면과 우측면을 가지고,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필터시트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에 결합된 블레이드하우징, 상기 블레이드하우징과 함께 이동가능한 기어, 상기 프레임의 좌측벽과 우측벽 사이로 연장하고 또 상기 기어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랙, 그리고 상기 기어를 회전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가 제1방향으로 상기 기어를 회전하게 동작될 때,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은 상기 프레임의 우측벽을 향해 상기 프레임의 좌측벽으로부터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기 기어를 회전하도록 동작될 때,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은 상기 프레임의 우측벽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좌측벽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는 상기 기어가 상기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중 적어도 하나로 회전될 때 절단될 수 있다.
(0093) 내부지지대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좌측벽과 우측벽에 결합되는 좌측벽과 우측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지지대는 상기 그릴을 상기 외부케이스로부터 해제하도록 구성된 레치조립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팬과 롤러필터는 프레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내부지지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내부지지대의 좌측벽과 우측벽에 각각 정렬하는 좌측벽과 우측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아래로 연장하는 롤러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부지지대는 홈을 포함한다. 상기 롤러지지대 또는 필터롤러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부지지대의 홈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필터롤러의 위에 있는 프레임에 위치될 수 있다.
(0094) 롤러조립체는 상기 필터시트의 제1부분을 더 풀어내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클램프는 상기 필터시트의 부분을 잡아 유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필터절단기는 상기 필터시트로부터 제1부분을 제거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상기 필터시트를 절단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0095) 상기 레치조립체는 레치, 상기 레치에 결합된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레치에 결합되고 해제되도록 구성된 잠금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도록 아래로 눌러질 때, 상기 레치는 눌러질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구는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레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잠금구가 상기 레치로부터 해제되었을 때,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그릴의 상부를 분리하도록 상부로 레치를 밀 수 있다.
(0096)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공기청정기로부터 분리가능하고 공기청정기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롤러, 그리고 필터롤러 주위에 감겨지는 제1에서 n번째 부분을 가지는 필터시트를 포함하는 필터카트리지로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는 오일 미스트를 거르도록 구성된 섬유질 물질 또는 다공성 물질중 적어도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는 오염물을 거르기 위해 필터롤러로부터 n번째 부분을 당겨내도록 풀어질 수 있다. 상기 n번째 부분이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필터시트는 오염물을 거르기 위해 상기 필터롤러로부터 n-1번째 부분을 당겨내어 더 풀어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n-1번째 부분은 상기 n번째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첫번째 부분이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에 도달했을 때, 상기 필터시트 또는 상기 필터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교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97) 클램프는 상기 필터시트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필터시트의 연속되는 부분 사이에서 상기 필터시터의 부분을 아래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개의 풀림롤러가 상기 필터시트를 더 풀어내도록 되어, 상기 다수개의 풀림롤러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필터시트의 n번째 부분은 다수개의 풀림롤러 사이로 공급될 수 있고 또 상기 필터시트의 n-1번째 부분은 상기 필터롤러와 상기 다수개의 풀림롤러 사이로 연장하도록 상기 필터톨러로부터 풀어질 수 있다. 필터절단기는 상기 필터시트로부터 n번째 부분을 제거하도록 상기 필터시트를 절단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0098)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입구,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출구, 배출슬릿, 그리고 상기 입구를 덮는 그릴을 가지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상기 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출구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프레임 내에 수납되는 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필터롤러와 상기 필터롤러의 주위에 감아진 다수개의 부분을 가지는 필터시트를 가지는 롤필터, 풀려졌을 때 상기 외부케이스와 프레임 사이에서 이동된 필터시트의 해당부분을 절단하도록 구성된 필터절단기, 상기 롤필터로부터 필터시트를 풀어내도록 구성된 제1모터, 그리고 상기 제1모터를 통해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필터시트가 풀어진 후에 상기 필터시트로부터 해당 부분을 절단하도록 상기 필터절단기를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로서 실시될 수 있다.
(0099)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롤필터의 해당 부분을 절단하는 지시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램프는 해당 부분과 인접부분 사이의 상기 필터시트의 부분을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롤필터의 해당 부분을 절단하는 지시를 입력하였을 때, 상기 제1모터는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필터시트를 풀어내도록 구동될 수 있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필터시트의 부분을 아래로 누르도록 구동될 수 있고, 또 상기 제2모터는 상기 필터절단기가 인접하는 부분으로부터 해당 부분을 절단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필터시트의 상기 부분의 중심을 따라 상기 필터절단기가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0100) 상기 필터절단기는 상기 프레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랙, 상부단부 하부단부 그리고 상기 상부단부와 하부단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단부는 상기 필터시트 위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단부는 상기 필터시트의 해당 부분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날카로운 가장자리는 상기 필터시트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하단부에 결합된 블레이드 하우징,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하부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랙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는 상기 기어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기어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기어는 상기 필터시트를 가로질러 제1직선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를 이동하도록 상기 랙을 가로질러서 제1직선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날카로운 가장자리가 상기 필터시트를 절단한다.
(0101)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상부단부와 하부단부 사이에 위치된 제2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가 상기 제1회전방향에 반대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기어는 상기 필터시트를 가로질러 제2직선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를 이동하도록 상기 랙을 가로지르는 제1직선방향에 반대되는 제2직선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상기 블레이드의 제2 날카로운 가장자리는 상기 필터시트를 절단한다.
(0102) 상기 제1모터는 오염수준센서에 의해 감지된 필터시트의 오염수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입력된 사용자 지시,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공기유동에서의 차이, 시간의 경과, 또는 상기 팬의 동작 주기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켜질 수 있다. 상기 제1모터는 모터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1모터의 동작에 근거해 결정된 미리 정해진 양만큼의 필터시트의 이동, 필터시트 상에 있는 표시와 표시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하여 결정된 미리 정해진 양만큼의 상기 필터시트의 이동, 시간의 경과,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입력된 사용자 지시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꺼질 수 있다.
(0103) 클램프는 절단 중에 상기 필터시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는 상기 클램프의 하방향 이동,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입력된 사용자 지시, 또는 상기 제1모터가 꺼진 후 시간의 경과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0104) 커버는 공급슬릿을 가질 수 있다. 제1롤러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롤러는 제1롤러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또 상기 제1롤러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롤러가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롤러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는 상기 제1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는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롤러가 회전할 때, 상기 필터시트가 풀려나와서 상기 공급슬릿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0105) 클램프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 아래로 이동하는 상기 필터시트의 해당 부분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공급슬릿과 제1 및 제2롤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0106)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시트의 해당 부분이 위치되어 상기 제1롤러 및 제2롤러에 의해 안내되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1턱과 제2턱, 상기 제1턱과 제2턱 각각의 위에 위치되는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을 가지고 상기 상부부분은 외부로 돌출되는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지도록 상기 하부부분보다 더 길고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는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 위에 위치되며 그리고 상기 하부부분은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압축되었을 때, 상기 필터시트 또는 상기 필터시트와 함께 상기 프레임의 평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평면하부표면을 가지는 유지블럭, 하부표면과 상부표면을 가지고 상기 하부표면은 상기 유지블럭의 상부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표면은 제1측에서 제2측으로 하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제1측의 높이가 제2측의 높이보다 더 크게 되는 하부웨지, 상부표면과 상기 하부웨지의 상부표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하부표면을 가지고 상기 하부표면은 제1측에서 제2측으로 하방향으로 경사져서 제2측의 높이가 제1측의 높이보다 더 크게 되는 상부웨지, 그리고 상기 상부웨지의 제2측을 하부웨지의 제1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필터시트가 상기 프레임의 평면과 유지블럭의 사이에서 안내된 후에, 상기 유지블럭이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 및 상기 필터시트를 하방향으로 압축하도록 이동되도록 하는 제3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0107) 상기 상부웨지의 상부표면은 치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모터는 상기 치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기어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기어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기어는 상기 하부웨지의 제1측을 향해 상기 상부웨지의 제2측을 이동하고 그리고 상기 하부웨지와 유지블럭은 상기 유지블럭이 상기 필터시트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를 압축하도록 아래로 눌러질 수 있다. 상기 기어가 상기 제1회전방향에 반대되는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기어는 상기 하부웨지의 제1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상부웨지의 제2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의 복원력은 상기 유지블럭의 하부부분과 상기 프레임의 평면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상부로 상기 유지블럭과 하부웨지를 밀 수 있다.
(0108) 상기 필터절단기는 상기 프레임의 평면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평면은 제1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블럭의 하부부분은 상기 제1슬롯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제2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절단기는 상기 필터시트를 절단하도록 상기 제1슬롯과 제2슬롯을 통해 돌출된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0109) 상기 필터롤러는 상기 롤필터 카트리지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롤필터 카트리지와 출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롤러는 상기 롤필터 카트리지의 상부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와 필터절단기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0110)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필터롤러가 위치될 수 있는 롤러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필터롤러 상부의 상기 프레임의 상부 부분에 위치될 수 있고, 또 상기 제1 및 제2롤러, 상기 클램프, 그리고 상기 필터절단기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된다.
(0111)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롤러와 상기 롤러 주위에 감아지는 필터시트를 가지는 필터, 상기 롤러로부터 상기 필터시트를 풀어내도록 상기 필터시트의 단부를 당기도록 구성된 필터가이드, 그리고 상기 필터시트의 2개의 인접하는 풀려나온 부분 사이를 절단하도록 구성된 필터절단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용 필터조립체로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필터절단기는 상기 필터시트를 절단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절단가장자리를 가지는 블레이드, 상기 필터시트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랙, 상기 랙과 결합하도로 구성된 기어,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되고 상기 기어와 함께 이동가능하여 상기 기어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기어 그리고 블레이드와 함께 제1직선방향으로 상기 랙을 가로질러 이동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절단가장자리가 상기 필터시트의 인접한 풀려나온 부분 사이를 절단하도록 하는 블레이드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가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기어, 블레이드하우징, 그리고 블레이드는 상기 제1직선방향과 반대인 제2직선방향으로 상기 랙을 가로질러 이동될 수 있다.
(0112) 클램프는 상기 필터시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랙은 상기 필터시트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하부는 상기 필터시트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는 상기 필터시트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필터시트 위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지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필터시트를 잡도록 상기 유지블럭에 아랫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클램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모터는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필터시트가 풀려나온 후에 자동적으로 켜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13) 상기 필터절단기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절단기의 모터는 상기 클램프모터가 상기 필터시트의 부분을 유지하도록 유지블럭을 하강한 후에 자동적으로 켜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14)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가 상기 클램프를 지지할 수 있는데 상기 유지블럭이 눌러졌을 때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될 수 있고 상기 유지블럭에 가해지는 하방향 힘이 그쳤을 때, 상기 필터시트의 풀려나온 부분의 가장자리가 안내될 수 있는 틈새를 형성하도록 상기 유지블럭을 상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이 밀어줄 수 있다.
(0115)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롤러와 상기 롤러 주위에 감겨진 필터시트를 가지는 필터, 상기 필터시트가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나왔을 때 평면상에 상기 필터시트를 안내하는 필터가이드, 그리고 상기 필터시트의 풀려나온 부분을 선택적으로 아래로 누르도록 구성된 클램프를 포함하는 필터조립체로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제1표면과 제2표면을 가지는 빔(beam)을 가지고, 상기 제1표면에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필터시트의 풀려나온 부분은 상기 제1표면과 상기 평면 사이에 파지될 수 있다. 필터절단기는 상기 풀려나온 부분을 상기 클램프가 파지하였을 때 상기 풀려나온 부분을 절단하는 절단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다.
(0116) 상기 클램프는 상기 빔 위에 위치된 상부웨지를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 상부웨지가 이동될 때, 상기 빔은 상기 풀려나온 부분 상으로 아랫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0117) 상기 클램프는 상기 평면 상부에 위치된 제1턱과 제2턱, 각각 상기 제1턱과 제2턱 위에 위치된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빔과 상부웨지 사이에 위치된 하부웨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은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상부부분은 외부로 돌출되는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지도록 하부부분보다 더 길고, 상기 하부부분은 상기 필터시트 또는 상기 평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평평한 하부표면을 가지고, 또 상기 제1단부와 제2단부는 각각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 위에 위치된다. 상기 하부웨지는 하부표면과 상부표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하부표면은 상기 빔의 상부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표면은 제1측으로부터 제2측으로 아랫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하부웨지의 제1측의 높이가 상기 하부웨지의 제2측의 높이보다 더 크게 될 수 있다. 상기 상부웨지는 상부표면과 상기 하부웨지의 상부표면 상에 안착된 하부표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하부표면은 제1측으로부터 제2측으로 아랫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상부웨지의 제2측의 높이가 상기 상부웨지의 제1측의 높이보다 더 크게 될 수 있다.
(0118) 상기 클램프는 상기 상부웨지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웨지와 하부웨지 및 상기 빔이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턱 및 제2턱이 내부에 단차진 부분으로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제2측에서 상부웨지의 상부 표면에 형성된 치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기어, 그리고 상기 기어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가 제1회전방향으로 상기 기어를 회전할 때, 상기 상부웨지는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를 압축하도록 상기 평면을 향해 아랫쪽으로 상기 하부웨지와 빔을 밀도록 상기 하부웨지에 대해 제1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모터가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인 제2회전방향으로 상기 기어를 회전할 때, 상기 상부웨지는 상기 제1수평방향과 반대인 제2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의 복원력은 상기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방향으로 상기 하부웨지와 빔을 민다.
(0119) 상기 필터절단기는 절단 가장자리를 가지는 블레이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풀려나온 부분의 양측 사이에서 이동가능하여 상기 절단 가장자리가 상기 필터시트로부터 상기 풀려나온 부분을 분리한다.
(0120) 상기 필터절단기는 상기 평면 아래에 위치된 랙, 상기 평면에 형성된 제1슬롯, 상기 필터시트를 절단하도록 상기 평면의 제1슬롯을 통해 돌출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된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함께 이동가능하고 상기 필터시트를 가로질러 상기 블레이드를 이동하도록 상기 랙과 결합되게 구성되는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121) 상기 랙은 상기 클램프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빔의 하부부분은 상기 평면의 제1슬롯과 정렬된 제2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또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필터시트를 절단하도록 상기 빔의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제1슬롯과 제2슬롯을 통해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0122)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입구와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입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출구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팬, 롤러와 상기 롤러 주위에 감겨진 필터시트를 포함하는 롤필터와, 상기 롤러로부터 상기 필터시트를 풀어내도록 구성되는 필터가이드, 상기 필터시트를 선택적으로 눌러주도록 구성되는 클램프, 상기 필터시트의 나머지로부터 상기 필터시트의 부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필터시트가 상기 필터가이드에 의해 안내되어 오는 필터절단기,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제스쳐(gesture)를 감지하기 위한 모션센서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로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팬의 속도는 상기 모션센서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0123) 상기 모션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입구는 상기 케이스의 선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출구는 상기 선단의 반대인 상기 케이스의 후단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릴이 상기 입구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그릴은 자석 또는 레치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분리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0124) 제1모터는 상기 팬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팬이 꺼지고 상기 모션센서가 상기 모센센서를 가로지르는 손짓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제1모터는 제1속도로 상기 팬을 회전하도록 켜질 수 있다.
(0125) 상기 팬이 제1속도로 회전하고 상기 모션센서가 상기 모션센서를 가로지르는 손짓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제1모터는 상기 제1속도보다 큰 제2속도로 상기 팬을 회전할 수 있다.
(0126) 상기 필터가이드가 상기 필터롤러로부터 상기 필터시트를 풀어내도록 안내하기 전에, 상기 클램프는 해제될 수 있다. 상기 필터롤러로부터 상기 필터가이드가 상기 필터시트를 풀어낼 때, 상기 필터시트의 풀어내어진 제1부분은 상기 팬과 입구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필터시트의 풀어내어진 제2부분은 상기 필터가이드를 통과한다. 상기 필터가이드가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필터시트를 풀어낸 후에,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필터시트를 눌러 유지하고 상기 필터절단기는 상기 필터시트로부터 상기 풀어내어진 제2부분을 분리할 수 있다.
(0127) 센서가 상기 필터시트의 풀어내어진 제1부분의 오염수준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터치센서가 사용자의 입력을 허용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된다. 제2모터는 상기 필터가이드를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센서가 상기 필터시트의 풀어내어진 제1부분이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이라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버튼이 눌러졌을 때, 상기 클램프는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제2모터는 상기 필터가이드가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롤러 필터를 풀어내도록 동작될 수 있고, 또 미리 상기 롤러의 주위에 감겨진 상기 필터시트의 부분은 상기 풀어내어진 제1부분으로 된다. 상기 미리 정해진 양은 상기 풀어내어진 제1부분이 상기 풀어내어진 제2부분이 되도록 상기 필터가이드를 통과하는 양을 반영할 수 있다.
(0128) 제3모터는 상기 필터절단기를 동작할 수 있고 제4모터는 상기 클램프를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4모터는 제2모터가 동작 후 정지되고, 상기 롤필터가 미리 정해진 양만큼 풀어내어지고,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버튼이 눌러지는 것중 적어도 하나일 때 상기 필터시트를 상기 클램프가 눌러 유지하도록 자동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3모터는 상기 제4모터가 동작 후 정지되었을 때, 동작 후에 제2모터가 정지된 후에 소정의 시간이 지났을 때,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롤 필터가 풀어내어진 후 소정 시간이 지났을 때, 또는 손짓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모션센서에 의해 감지되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버튼이 눌러졌을 때, 상기 풀어내어진 제2부분을 분리하도록 상기 필터시트를 가로질러 상기 필터 절단기를 이동하도록 자동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0129) 상기 팬의 동작은 상기 필터가이드의 동작 또는 상기 필터절단기가 시작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필터 오염수준, 공기 질, 팬 속도, 또는 풀어내어진 롤 필터의 양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0130)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좌측벽, 상기 좌측벽에 반대되는 우측벽, 상기 좌측벽과 우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정면, 상기 정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입구, 상기 정면에 반대되고 상기 좌측벽과 우측벽 사이로 연장되는 배면, 상면, 상기 상면에 반대되고 평면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그리고 배면, 좌측벽, 우측벽 또는 상면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공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공기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출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팬,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일 미스트를 거르도록 상기 팬과 공기입구 사이에 위치되는 필터, 그리고 상기 공기입구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팬과 필터에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그릴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로서 실시될 수 있다.
(013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패널, 상기 패널 상에 팬속도, 필터의 오염수준, 그리고 상기 필터의 교체통지를 표시하도록 위치되는 다수개의 통지, 상기 통지를 선택적으로 조명하기 위한 다수개의 엘이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제스쳐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모션센서, 그리고 누름을 감지하는 버튼 또는 터치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팬의 속도는 상기 모션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패널을 가로지르는 손짓의 횟수에 근거하여 증가될 수 있다.
(0132) 상기 그릴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치는 누름을 감지하는 버튼 또는 터치센서에 근거하여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그릴을 해제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상기 그릴을 상기 케이스에 자력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그릴 또는 케이스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0133) 상기 공기입구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은 정면부분과 상기 정면부분으로부터 굽어져 상기 그릴이 전체 공기입구를 덮도록 하는 상부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0136) 상기 베이스는 상기 좌측벽과 우측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정면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릴은 정면부분과 상기 정면부분으로부터 굽어지고 상기 베이스의 정면부분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 하부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0137) 상기 필터는 롤러와 상기 롤러 주위에 감아진 필터시트를 가지는 롤필터일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는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나올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의 부분은 상기 필터시트가 상기 팬과 공기 입구 사이에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향해 상기 롤러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부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는 상기 공기개구의 폭과 같거나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필터시트와 공기입구의 폭은 상기 좌측벽으로부터 우측벽으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필터의 풀어내기는 상기 모션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손 제스쳐 또는 상기 버튼 또는 터치센서에 의해 감지된 누름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0138) 슬릿이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가이드는 상기 롤러로부터 필터시트를 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터절단기는 상기 슬릿을 통과한 필터시트의 부분이 폐기되도록 상기 필터시트의 나머지로부터 상기 필터시트의 일부를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39)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정면과 상기 정면에 반대인 배면, 상기 정면에 형성된 입구, 출구, 그리고 평면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하면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정면과 배면 사이에 위치되는 프레임, 상기 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출구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위치되는 팬,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일미스트를 거르도록 상기 팬과 입구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일부를 가지는 필터, 상기 오일미스트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는 오일 방울을 거르고 상기 입구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그릴,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필터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그릴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레치, 그리고 상기 팬을 켜고 상기 팬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그리고 상기 그릴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레치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지시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로서 실시될 수 있다.
(0140)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의 속도는 상기 모센센서가 미리 정해진 제1 제스쳐를 감지할 때 미리 정해진 속도량 만큼 증가될 수 있다.
(0141) 필터센서는 상기 필터의 오염수준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롤러 주위에 감겨진 필터시트를 가지는 롤 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는 상기 필터센서가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 또는 그 이상을 감지했을 때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롤러를 풀어내라는 사용자 지시를 감지했을 때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나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례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정면 사시도.
도 2a는 프리필터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정면 분해사시도.
도 2b는 롤필터를 보이는 정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측방향에서 보인 후단으로부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측방향에서 보인 선단으로부터의 분해사시단면도.
도 5는 롤러조립체의 사시도.
도 6a는 필터커터의 사시도.
도 6b는 개방된 상태에서 클램프의 정면도.
도 6c는 닫힌 상태에서 클램프의 정면도.
도 7은 클램프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필터절단기의 클램프와 모터와 랙의 사시도.
도 9a는 필터절단기의 클램프, 모터, 그리고 랙의 확대 사시도.
도 9b는 필터절단기의 클램프, 모터, 랙 그리고 블레이드하우징의 사시도.
도 10a는 선단으로부터 프레임없이 클램프와 필터절단기를 보인 확대사시도.
도 10b는 후단으로부터 클램프, 랙, 블레이드하우징, 블레이드, 그리고 클램프의 슬롯을 보인 확대사시도.
도 11은 선단으로부터 블레이드를 보이는 필터절단기의 확대도.
도 12는 도 1의 공기청정기의 상부를 절단하여 보인 사시도.
도 13은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14a는 도 13의 공기청정기의 정면도.
도 14b는 도 13의 공기청정기의 측면도.
도 15a는 도 13의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 15b는 도 13의 공기청정기와 충전패드를 보인 사시도.
도 16a는 사용자인터페이스와 모션센서를 보인 도 13의 공기청정기의 상부사시도.
도 16b에서 도 16h는 사용자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통지를 보인 도면.
도 16i는 상기 통지의 가능한 구현례를 설명하는 표.
도 17은 도 13의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
도 18a는 외부케이스에 장착된 프리필터를 함께 보인 측방향 사시도.
도 18b는 외부케이스에 프리필터가 상승된 상태로 보인 측방향 사시도.
도 19는 프리필터가 분리된 상태에서 공기청정기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외부케이스와 롤필터프레임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1a는 롤필터프레임에 장착된 프리필터와 레치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21b는 롤필터프레임으로부터 상승된 프리필터와 레치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22는 롤필터프레임의 내측면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23은 롤러조립체의 확대 사시도.
도 24는 롤필터프레임, 카본필터, 프레임, 그리고 롤러조립체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25는 롤필터프레임, 프레임, 그리고 롤러조립체를 보이는 확대 분해사시도.
(0142) 도 1에서 도 4를 참고하면,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정화기(1)는 외부케이스 또는 하우징(100),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배면에 결합된 배면커버 또는 배면케이스(400),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정면개구를 덮는 프리필터 또는 흡입그릴(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는 세정을 위해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쉽게 들어올려져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1)의 내부는 상기 프리필터(500)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롤필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필터(600)는 상기 롤 필터(600)의 깨끗한 부분을 노출하도록 주기적으로 풀려질 수 있고, 오래된, 오염된 부분은 상기 배면케이스(400)로부터 당겨내어지고 폐기되도록 필터절단기(700)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0143)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직사각형의 정면개구와 배면개구를 정의하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직육면체 케이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는 공기청정기(1)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무게일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1)의 총 무게는, 충전패드(2)(도 15b)를 포함하지 않고 10파운드(lbs) 또는 그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청정기(1)의 무게는 4.5kg(9.9파운드)일 수 있다. 상기 배면커버(4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를 덮을 수 있고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압입 및/또는 스냅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면커버(400)는 나사, 볼트, 접착물질 등으로 추가적으로 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무선충전을 위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10)가 무선충전패드에 안착되었을 때 충전되도록 구성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0144)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정면개구는 흡입된 공기가 들어가는 개구일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는 다수개의 개구를 가질 수 있고 또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일의 큰 방울 또는 오염물의 큰 입자를 걸러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와 같거나 유사한 재질(예를 들어, 금속, 스텐레스 스틸, 또는 플라스틱)로 만들어질 수 있고 세척과, 예를 들어 상기 롤 필터(600)의 시각적 검사 또는 상기 롤 필터(600)의 교체를 위한 롤 필터(600)에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당겨지거나 들어올려져서 상기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는 식기세척기에서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배면커버(400)도 식기세척기에서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0145) 상기 프리필터(5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정면개구에 압입결합 또는 마찰결합될 수 있고, 또 상기 프리필터(500)는 추가적인 자석결합을 통해 상기 외부케이스에 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이 상기 프리필터(500)의 상부부분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적어도 상부가 강자성물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프리필터(500)에 있는 자석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자석을 가질 수 있다.
(0146) 상기 외부케이스(100), 프리필터(500), 그리고 배면커버(400)는 상기 공기청정기(1)의 내부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1)의 내부에, 팬(310)을 수납하는 프레임(300)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위치될 수 있다. 롤 필터 카트리지(200)가 상기 프리필터(500)의 뒤와 상기 팬(31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롤 필터(600)는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고 또 상기 프리필터(500)보다 더 미세한 오일 미스트와 입자를 거를 수 있다.
(0147) 상기 롤 필터(600)와 상기 프레임(300)의 사이에 추가적인 카본 필터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카본필터는 상기 롤 필터(600)와 함께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의 뒤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롤 필터(600)는 오일 미스트를 거르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카본필터는 냄새를 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로, 상기 롤 필터(600)는 오일 미스트 필터와 냄새 필터 모두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카본을 포함할 수 있다.
(0148) 상기 배면커버(400)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개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개구(410)는 상기 배면커버(400)의 후면에 위치될 수 있고, 또 상기 팬(310)은 상기 프리필터(50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배출개구(410)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축류팬일 수 있다.
(0149) 상기 롤 필터(600)는 롤러(620) 주위에 감겨지거나 덮어싸여진 필터 시트(61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는 부드럽거나 절단가능한 섬유질 또는 다공질 물질(직물, 섬유질, 종이, 판지, 비섬유(nonfiber) 등)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는 상기 롤러(620)로부터 풀려나오도록 당겨질 수 있어서 상기 필터시트(610)가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에 의해 정의된 개구를 덮고 상기 프리필터(500) 및 팬(310)과 정렬된다. 상기 필터시트(610)의 단부는 상기 롤러(620)에 장착(예를 들어 접착)될 수 있고, 상기 롤러(620)는 상기 필터 시트(610)가 풀어내어지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롤러(620)는 탄성기구를 가진 텐션로드로서 구현될 수 있어서 상기 필터시트(610)는 자유롭게 풀어내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 너무 많은 필터 시트(610)가 풀어내어진다면, 상기 필터시트(610)의 일부는 다시 감아질 수 있다.
(0150) 다른 예로서, 상기 필터시트(610)는 상기 롤러(620)에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롤러(620)는 상기 필터시트(610)가 풀려나올 때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의 하부는 상기 롤러(62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롤러(620)의 축이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에 고정되도록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0151)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시트(610)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일 미스트 또는 미세먼지를 거르도록 구성된 섬유질 또는 다공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시트(610)는 100nm 또는 5~6 ㎛ 크기를 가지는 나노섬유, 셀룰로오스 또는 목재 펄프 또는 섬유, 카드보드(card board) 또는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상기 필터시트(610)는 냄새를 거르도록 구성된 섬유질 또는 다공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 시트(610)는 부직포 활성탄소 또는 초미세 다공성 활성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0152) 상기 필터시트(610) 또는 그 적어도 일부는 오염수준에 근거하여 색상이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프리필터(500)의 개구를 통해 또는 상기 배면커버(400) 외부로 매달려 있는 필터시트(610)의 부분으로부터 색상변경부분을 볼 수 있다. 다수개의 센서카드가 상기 필터시트(610)의 부분에 장착(예를 들어, 접착 또는 수놓아져)될 수 있고, 또 상기 센서카드는 상기 오일 또는 가스에 노출된 것에 근거하여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필터시트(610)는 오일 또는 가스(예를 들면, 염화수소 또는 암모니아)에 노출된 것에 근거하여 색상이 변하는 색상변경섬유, 실 또는 원사(yarn)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색상변경실은 상기 필터시트(610)의 부분으로 짜여질 수 있고, 또는 전체 필터시트(610)가 상기 색상변경실로 짜여질 수 있다.
(0153) 상기 프리필터(500)와 정렬되어 있는 필터시트(610)의 부분이 오염되었을 때, 상기 롤 필터(600)는 상기 필터시트(610)의 깨끗한 부분이 상기 프리필터(500)와 정렬하도록 풀려나올 수 있다.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는 상기 필터시트(610)를 당겨서 풀어내는 기어조립체 또는 롤러조립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조립체(220)는 상기 프리필터(500)와 정렬된 필터시트(610)의 부분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의 상부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조립체(220)는 도 5를 참고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0155) 사용되어 오염된 부분은 상기 프레임(300)에 있는 개구(예를 들어 슬릿 또는 슬롯)(320)와 상기 배면커버(400)에 있는 개구(예를 들어 슬릿 또는 슬롯)를 통과할 수 있다. 필터절단기(700)는 사용되어 오염된 부분을 절단해 내도록 상기 프레임(300)에 결합될 수 있는데, 오염된 부분은 폐기되도록 상기 프레임(300)과 배면커버(400)에 있는 슬릿(320,420)의 외부로 당겨질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가 상기 롤러(620)로부터 완전히 풀려나왔을 때, 상기 롤 필터(600)는 새로운 롤 필터(600)로 교체될 수 있고 또 오래된 롤러(620)와 남은 필터시트(610)는, 종이수건의 교체와 유사하게, 폐기될 수 있다.
(0156)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는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의 상부가 노출되는 상부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는 지지대(250)와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 내에 상기 롤 필터(600)를 고정하도록 상기 지지대(25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선단프레임 또는 선단커버(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선단커버(210)는 상기 지지대(250)의 배면 하부 가장자리에 힌지결합될 수 있고 상기 지지대(250)의 상부 부분 상에 스냅결합 또는 압입결합되도록 구성된 상부부분을 가질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선단커버(210)의 상부부분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고 또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로, 상기 롤 필터(600)를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손잡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선단커버(210)의 상부부분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부분의 경사와 대응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0157)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은 상기 지지대(250)의 레치와 결합하는 레치와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 내에 탄성력을 가진 채 장착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고 또 상기 레치는 상기 지지대(25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와 레치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 개구로 슬라이드될 때,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될 수 있고 상기 지지대(25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선단커버(210)의 상부에 하방향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지지대(25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잠금해제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은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를 약간 상방향으로 밀수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를 분리하도록 상기 선단커버(210)의 상부를 쉽게 잡을 수 있고 상기 롤 필터(600)를 제거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0158)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선단커버(2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일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스크린, 액정디스플레이(LCD)일 수 있고, 및/또는 정전식 터치센서와 상기 선단커버(210) 및/또는 외부케이스(100)의 표면에 식각된 다수개의 통공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통지 또는 표시기의 뒤에 있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위치된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광센서 또는 모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예를 들어, 상기 팬(310)의 속도 증가 또는 감소, 상기 팬(310)의 온과 오프, 또는 상기 롤 필터(600)를 풀어내거나 절단)
(0159) 상기 공기청정기(1)는 상기 공기청정기(1) 주위의 공기에 있는 먼지, 오일, 냄새, 또는 다른 유해한 가스(예를 들어, 일산화탄소)의 수준을 모니터하기 위한 센서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 상기 공기청정기(1)는 언제 상기 프리필터(500)가 세척이 필요한 지 및/또는 상기 롤 필터(600)가 풀어내어지고 절단되는 것이 필요한 지를 결정하기 위해 흡입된 공기의 유량과 배출된 공기의 유량을 비교하기 위한 센서를 가질 수 있다. 여전히 다르게는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필터시트(610)는 교체되어야 할 때 색상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배면커버(400)의 슬릿(420)을 통해 노출된 필터시트(610)의 매달린 부분이 특정한 색상(예를 들어, 보라, 노랑, 갈색 등)인 지를 사용자가 보았을 때 상기 공기청정기(1)를 제어하여 상기 롤러(620)가 풀어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센서조립체로부터 감지된 오염수준을 표시할 수 있다.
(0160)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기어조립체(220)는 다수개의 기어와 다수개의 롤러를 통해 상기 필터절단기(700)(도 4)를 향해 상기 필터 시트(610)의 원활한 공급을 보장할 수 있고, 상기 기어조립체(220)는, 다르게는 필터가이드 또는 공급조립체로서 언급될 수 있다.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의 지지대(250)는 상기 상부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상부부분 또는 프레임(20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부분(204)은 상부 또는 제1롤러(225)를 수납할 수 있다. 제1브라켓(203)은 통공을 가지는 측면부분을 제공하도록 상기 상부부분(204)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고, 또 상기 상부롤러(225)의 축(223)은 상기 제1브라켓(203)의 통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03)의 하부는 상기 상부롤러(225)의 하부가 노출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250)의 상부부분(204)은 상기 상부롤러(225)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03)은 추가적인 지지와 상기 제1브라켓(203)에 대한 강성도를 제공하도록 추가의 선단부분 또는 벽(203b)을 가질 수 있다.
(0161) 제2브라켓(202)은 하부 또는 제2롤러(224)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브라켓(203)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03)과 같이, 상기 제2브라켓(202)은 통홀을 가지는 측면부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하부롤러(224)의 축은 상기 제2브라켓(202)의 통공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202)의 상부는 상기 하부롤러(224)의 상부가 노출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202)은 제2브라켓(202)에 추가의 지지와 강성을 제공하도록 추가의 선단부분 또는 벽(202b)을 가질 수 있다.
(0162) 상기 하부롤러(224)의 축은 상기 롤러기어(222)에 연결될 수 있다. 롤러모터(221)는 상기 롤러기어(222)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의 측벽(20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롤러모터(221)는 내부기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롤러모터(221)는 상기 하부롤러(224)를 회전하는 내부기어를 통해 상기 롤러기어(222)를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63) 상기 상부롤러(225)와 하부롤러(224)는 서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필터 시트(610)는 상기 상부롤러(225)와 하부롤러(224)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롤러모터(221)가 켜졌을 때, 상기 롤러기어(222)는 상기 필터시트(610)를 상기 후단커버(400)를 향해 공급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도 5에서 시계방향) 상기 상부롤러(225)는 상기 롤러모터(221)에 의해 구동되지 않을 수 있고 또 대신에 하부롤러(224)에 의해 상기 필터 시트(610)가 이동될 때 마찰을 통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롤러(225)는 일차적으로 상기 필터시트(610)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역할을 하고 상기 필터시트(610)가 하부롤러(224)로부터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르게는, 상기 상부롤러(225)는 별도의 기어와 모터 구성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하부롤러(224)를 구동하는 롤러기어(222) 및 롤러모터(221)와 동기화될 수 있다.
(0164) 상기 지지대(250)의 배면은 상기 필터절단기(700)를 향해 상기 필터시트(610)가 통과하는 개구(예를 들어 슬릿 또는 슬롯)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50)의 배면의 슬릿을 통과한 후에, 상기 필터시트(610)는 상기 프레임(300)의 슬릿(320)을 통과할 수 있다.
(0165) 상기 롤러모터(221) 또는 롤러기어(222) 내에는 상기 롤러모터(221)의 동작 및/또는 내부기어 또는 롤러 기어(222)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어센서가 있을 수 있다. 제어기는 상기 기어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롤러모터(221) 및/또는 내부기어 또는 롤러기어(222)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상기 상부롤러(225)와 하부롤러(224)를 통해 공급된 필터시트(610)의 양이 얼마나 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롤러모터(221)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필터시트(610)의 미리 정해진 양이 상기 상부롤러(225)와 하부롤러(224)를 통해 공급되었다고 결정했을 때 자동적으로 꺼질 수 있는데, 즉 상기 롤러모터(221), 내부모터, 또는 롤러기어(222)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정해진 회전수를 달성했을 때이다. 상기 필터시트(610)의 미리 정해진 양 및/또는 미리 정해진 회전수는 상기 케이스의 선단개구의 높이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0166) 다르게는 또는 이에 추가로, 상기 필터시트(610)는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표시 또는 돌기를 가질 수 있고, 표시센서(예를 들어, 광 또는 레이저센서)는 상기 표시 또는 돌기가 상기 센서를 통과했을 때 감지하도록 상기 제1브라켓(203) 또는 제2브라켓(202)중 하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롤러(225)와 하부롤러(224)를 통해 공급된 필터시트(610)의 미리 정해진 양은 상기 센서를 통과한 표시 또는 돌기의 미리 정해진 숫자에 근거해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롤러모터(221)는 미리 정해진 숫자의 표시가 상기 센서를 통과한 후에 자동적으로 꺼질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가 절단점선을 가지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필터절단기(700)의 블레이드(701)(도 11)는 생략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필터절단기(700)의 클램프(750)는 사용자가 폐기를 위해 필터시트(610)를 뜯어낼 수 있도록 남아 있을 수 있다. 상기 필터절단기(700)의 상세한 것은 도 6a에서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0167) 도 6a에서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필터절단기(700)는 상기 프레임(300)의 슬릿(320)(도 4)을 통해 공급된 후에 상기 필터시트(610)를 절단하도록 상기 프레임(300)의 후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절단기(700)는 상기 필터시트(610)를 절단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300)의 양측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된 블레이드(701)와 또한 절단 과정에서 상기 필터시트(610)를 눌러 유지하는 클램프(750)를 포함할 수 있다.
(0168) 상기 프레임(300)의 배면은 상기 필터시트(610)가 공급되는 평면을 제공하도록 턱(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턱(330)은 상기 필터시트(610)를 절단하도록 상기 블레이드(701)가 삽입되는 개구(예를 들어 슬릿 또는 슬롯)(330a)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모터(702)는 상기 턱(33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블레이드 하우징(704)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클램프(750)의 부분은 상기 블레이드(701)의 위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절단 중에 상기 블레이드(701)의 양측(즉, 선단측과 후단측)에 상기 필터시트(610')를 눌러 유지하도록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701)와 블레이드 모터(702)의 구성과 상기 블레이드(701)의 동작의 상세한 것은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0169) 상기 프레임(300)은 상기 팬(310)으로부터 상기 필터절단기(700)를 분리하고 지지하기 위한 빔(350)을 포함할 수 있다. V자형 돌출부(360)가 상기 필터절단기(740)로부터 상기 팬(310)을 보호하고 더 지지하기 위해 상기 빔(350)의 하부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0170) 상기 클램프(750)는 상기 프레임(300)의 양측 사이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클램프 커버 또는 하우징(740)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윤곽의 제1, 제2, 및, 제3층(710,720,730)은 상기 클램프커버(74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층(710)은 상부층 일 수 있고, 제2층(720)은 중간층일 수 있고, 상기 제3층(730)은 상기 클램프(750)의 하부개구를 통해 상기 필터시트(610) 및/또는 상기 턱(330)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하부층일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클램프커버(740)의 하부는 상기 필터시트(610) 및/또는 상기 턱(330)에 접촉하도록 밀접될 수 있고 또 상기 제3층(730)은 상기 클램프커버(740)의 하부에 접촉할 수 있다.
(0171) 제1층(710)과 제2층(720)은 직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서로의 상부 상에 적층되어 쐐기결합될 수 있고, 또 제1 및 제2(즉, 상부 및 하부)웨지로 불리울 수 있다. 상기 제2층(720)의 하면은 상대적으로 평평할 수 있고 또 상기 제3층(730)의 평평한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층(730)은 상기 필터시트(610')를 눌러유지하는 유지블럭일 수 있다. 상기 제3층(730)은 상면을 가지는 상부부분과 상기 필터시트(610)를 파지하도록 구성된 바닥면을 가지는 하부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층(710)은 상기 제2층(720)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거나 또는 슬라이드가능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제3층(730)은 상기 제2층(720)에 고정(예를 들어, 접착 또는 홈과 돌기를 통한 압입)될 수 있다. 대안적인 예로서, 상기 제2와 제3층(720,730)은 하나의 통합된 유지블럭을 형성하도록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영원히 고정될 수 있다.
(0172) 상기 제3층(730)의 하면은 상기 프레임(300)의 턱(330)의 슬릿(330a)과 정렬된 개구(예를 들어, 슬릿 또는 슬롯)(730a)(도 1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701)는 상기 턱(330)과 제3층(730)의 슬릿(330a,730a)을 통해 각각 돌출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제3층(730)의 하면은 상기 클램프(750)의 상태에 의존하여 상기 필터시트(610)를 클램프 또는 언클램프하도록 승강이동할 수 있다.
(0173) 제2층(720)의 상면은 상기 프레임(300)의 제1측(즉, 도 6b의 우측)으로부터 상기 프레임(300)의 제2측(즉, 도 6b의 좌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어서 제1측에서 상기 제2층(720)의 두께는 제2측에서 상기 제2층(720)의 두께보다 더 크다. 상기 제1층(710)의 하면은 상기 프레임(300)의 제1측에서부터 상기 프레임(300)의 제2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어서 상기 제2측에서의 상기 제1층(710)의 두께는 상기 제1측에서 상기 제1층(710)의 두께보다 더 크다.
(0174) 상기 클램프(750)는 클램핑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턱(755)과 판스프링(7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턱(755)은 상기 클램프커버(740)의 내측에 단차진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하지만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턱(755)은 다르게는 상기 프레임(300)의 턱(330)의 상면에 결합(예를 들어, 접착 또는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제3층(730)의 상부부분은 하부부분을 지나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즉, 우측과 좌측)단부를 가지도록 하부부분보다 더 길 수 있다. 제1 및 제2(즉, 우측과 좌측)턱이 각각 상기 제3층(730)의 제1 및 제2단부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즉, 우측 및 좌측) 판스프링(760)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턱(755)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거나, 다르게는 상기 제1 및 제2 턱(755) 위의 위치에서 상기 제3층(730)의 상부부분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3층(730)의 제1 및 제2 단부의 하부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판스프링(760)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판스프링(760)은 상기 턱(755)과 제3층(730) 사이에 위치된다.
(0175) 상기 제3층의 하부부분은 상기 턱(330)을 향해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커버(740)의 양측은 상기 프레임(300)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고, 또 상기 제3층(760)의 하부부분은 상기 클램프커버(740)의 하부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만약 상기 턱(755)이 상기 클램프커버(740) 대신에 상기 프레임(300)의 턱(330)에 형성된다면, 상기 클램프커버(740)는 상기 제3층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바닥면을 가질 수 있어서 제3층(730)이 아닌, 상기 클램프커버(740)가 상기 판스프링(760)과 필터시트(610)에 접촉한다.
(0176) 클램프모터(741)가 켜졌을 때, 상기 클램프기어(742)는 상기 치(711)와 그에 의해 상기 제2층(72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1층(710)을 밀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층(710)의 하면과 상기 제2층(720)의 상면의 경사 때문에, 상기 제2층과 제3층(720,730)은 상기 블레이드(701)가 돌출되는 슬릿(330a,730a)의 전방과 후방에 있는 필터시트(610)의 부분에서 필터시트(610)에 하방향으로 눌러질 수 있다. 블레이드(701)에 의한 절단이 상기 필터시트(610)가 상기 턱(330) 상에 아래로 파지되어 있을 때 더 효과적이다. 파지동작의 보다 더 자세한 설명은 도 6b와 도 6c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0178) 도 6b와 도 6c는 공기청정기(1)의 정면측으로부터 보인 도면이고, 반면에 도 7과 도 8은 공기청정기(1)의 배면으로부터 보인 것이다. 도 6b와 도 6c는 상기 클램프커버(740)를 생략한다. 상기 클램프(750)의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소문자는 변수를 표시하고, 반면에 대문자는 상수 또는 고정된 값을 표시할 것이다. 도 6b와 도 6c의 각도, 경사, 크기 그리고 비율중 일부는 상기 제2층(720)에 대한 제1층(710)의 운동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0179) 도 6b를 참고하면, 클램프(750)의 초기 또는 개방 상태는 상기 프레임(300)의 턱(330)과 제3층(730)의 바닥 사이에 틈새(g)를 둘 수 있다. 상기 틈새(g)는 상기 프레임(300)의 정면에 형성된 슬릿(320)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기어조립체(220)(도 4)는 절단 전에 상기 슬릿(320)과 틈새(g)를 통해 상기 필터시트(610)를 공급할 수 있다.
(0180) 상기 클램프(750)의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판스프링(760)은 압축되지 않아서 각각이 최초에 L1과 같은 높이 hs 를 가진다. 상기 틈새(g)의 높이 hg는 초기에는 G1과 같을 수 있다. 상기 턱(330)으로부터 상기 제1층(710)의 상면까지의 높이 h1 은 H1과 같을 수 있다. 그 가장 두꺼운 포인트에서 상기 턱(330)으로부터 상기 제2층(720)의 상면까지의 높이 h2 는 초기에는 H1과 같을 수 있다. 중앙 수직 축(c)에서 상기 제1층(710)의 두께 t1c는 초기에는 D1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축(c)에서 상기 제2층(720)의 두께 t2c 는 D2와 같을 수 있다.
(0181) 도 6c를 참고하면, 상기 클램프기어(742)는 제1회전방향(예를 들어, 도 6c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기어(742)는 상기 제1층(710)에 형성된 치(711)와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제1층(710)은 상기 제1측(즉, 우측)을 향해 밀려질 수 있다. 상기 제1층(710)이 우측으로 밀려짐에 따라, 상기 축(c)에서 상기 제1층(710)의 두께 t1c는 D1보다 더 크게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층(720)이 이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2층(720)의 두께 t2c는 D2의 두께에 일정하게 남아 있을 수 있다.
(0182) 상기 클램프커버(740)는 상기 제1층(710)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상기 제1층(710)의 상면을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층(710)이 상승하는 대신에, 상기 제2층(720)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커버(740)는 상기 제1층(710)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제1층(710)의 수평방향길이보다 더 긴 수평(즉 좌우)방향 길이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층(710)의 증가된 두께 t1c 때문에, 상기 제2층(720)은 아래로 밀어질 수 있고 상기 턱(330)에서부터 상기 제2층(720)의 상면까지의 높이 h2 는 H1보다 낮아지게 감소한다. 상기 턱(330)으로부터 제2층(720)의 높이 h2에서의 변화(Δh2)는 상기 제1층(710)의 두께 t1c 에서의 변화(Δt1c)와 같다.
(0183) 상기 제2층(720)은 상기 제3층(730)을 상기 판스프링(760)을 압축하도록 아래로 밀 수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760)의 높이 hs 가 L1보다 작게 감소한다. 상기 판스프링(760)의 높이 hs 에서의 변화(Δhs)는 두께 t1c 에서의 변화(Δt1c)와 같을 수 있고 그러므로 상기 제2층(720)의 높이 h2 에서의 변화(Δh2)와도 같을 수 있다.
(0184) 상기 제3층(730)이 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3층(730)의 바닥부분은 상기 턱(330)으로 접근할 수 있어서 상기 틈새(g)의 높이 hg는 G1보다 작아지게 감소한다. 상기 틈새(g)의 높이 hg의 변화(Δhg)는 두께 t1c 에서의 변화(Δt1c),제2층(720)의 높이 h2 에서의 변화(Δh2),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760)의 높이 hs 에서의 변화(Δhs)와 같을 수 있다.
(0185) 그러므로, 상기 클램프(750)의 이동동안에, Δt1c = Δh2 = Δhs = Δhg. 반면에 상기 턱(330)에서부터 제1층(710)의 상면까지의 높이 h1은 H1에 일정하게 남아 있고, 추가로 제2층(720)의 수평방향 위치와 두께 t2c 도 그렇다. 상기 제3층(730)의 수평방향 위치와 축 c에서의 제3층(730)의 두께도 일정하게 남아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층(710)의 수평방향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2층(720)과 제3층(730)의 수직위치가 변하고, 반면에 상기 제1층(710)의 수직 높이는 동일하게 남아 있다. 상기 제1층(710)이 하강되지 않으므로, 상기 치(711)는 상기 클램프기어(742)와 결합된 채 남아 있을 수 있어서 상기 제1층(710)은 상기 제2측(즉, 좌측)을 향해 슬라이드되는 것이 방지된다.
(0186) 제2층(720)의 제1측(즉 우측)에 가해지는 하방향 힘은 상기 제2층(720)의 제2측(즉, 좌측)에 가해지는 하방향 힘보다 약간 더 클 수 있으므로, 상기 제3층(730)의 바닥면은 상기 필터시트(610) 상에 하방향 힘이 균등하게 되도록 평평할 수 있다. 완전히 압축되었을 때 제3층(730)의 바닥부분의 길이는 상기 턱(755)의 높이와 판스프링(760)의 높이(hs)의 합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제3층(730)의 바닥부분은 최종적으로 또는 클램프(760)의 닫힌 상태에서 틈새(g)를 폐쇄하도록 상기 프레임(300)의 턱(330)에 접촉할 수 있다.
(0187) 상기 클램프(760)의 최종 또는 폐쇄상태에서, 상기 틈새(g)는 상기 틈새의 높이(hg)가 0과 같도록 폐쇄될 것이다. 그런 상태에서, 상기 제1층(710)의 축 c에서의 두께 t1c 는 D3와 같을 수 있고, 이는 D1보다 크다. 상기 판스프링(760)의 높이 hs 는 L2와 같을 수 있는데, 이는 L1보다 작다. L2는 제3층(730)의 바닥 부분의 길이에 따라, 부분적으로 압축된 상태 또는 완전히 압축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턱(330)으로부터 상기 제2층(720)의 상면까지의 높이 h2는 H2와 같을 수 있고, 이는 H1보다 작다. Δt1c = Δh2 = Δhs = Δhg 이므로, 따라서 |(D3-D1)| = |(H2 - H1)| = |(L2 - L1)| = G1 이다.
(0188) 절단은 상기 클램프(76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 가장 용이할 수 있고, 반면에 필터시트(610)의 공급은 상기 클램프(750)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 가장 용이할 수 있다. 상기 필터(600)의 공급은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에 새로운 롤러(620)의 설치에 따라 일어날 수 있고, 상기 필터시트(610)가 오염되고 절단될 필요가 있을 때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의 오염된 부분의 절단 후 즉시, 상기 클램프(750)는 상기 필터시트(610)의 선단의 절단되지 않은 가장자리를 눌러 유지하고 상기 프리필터(500)와 마주하는 상기 필터시트(610)의 깨끗한 부분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폐쇄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클램프(750)는 개방될 수 있고, 상기 필터시트(610)는 일차적으로 상기 상부롤러(225)와 하부롤러(224)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클램프(750)가 개방된 후, 상기 필터시트(610)가 공기청정기(1)의 동작 동안 클램프되도록 필터시트(610)의 충분한 양(예를 들면, 1인치)을 당겨내도록 상기 제1롤러(225)와 제2롤러(224)에 의해 약간 풀어내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가 약간 풀려나온 후, 상기 클램프(750)는 폐쇄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0189) 상기 틈새(g)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기어(742)는 상기 제1회전방향에 반대되는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즉 도 6b와 도 6c에서 시계방향) 상기 축(c)에서 상기 제1층(710)의 두께 t1c는 상기 판스프링(760)에 가해지는 하방향 힘을 줄이면서, D1에 접근하도록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760)의 복원력은 상기 판스프링(760)이 팽창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판스프링(760)의 높이 hs 는 L1에 접근하도록 증가한다. 상기 제3층(730)은 상기 판스프링(760)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밀어질 수 있고, 상기 제2층(720)은 상방향으로 밀어져서 상기 턱(330)으로부터 상기 제2층(720)의 상면까지의 높이 h2 는 H1에 접근하도록 증가된다. 상기 제3층(720)이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틈새(g)는 개방되어 상기 틈새(g)의 높이 hg는 G1에 접근한다. 상기 판스프링(760)은 다르게는 다른 형태의 스프링 또는 탄성물질(예를 들어, 코일스프링)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턱(755)은 생략될 수 있고, 상기 판스프링(760)의 길이는 증가될 수 있고 및/또는 제3층(730)의 하부부분의 길이는 그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그런 대안에서, 상기 제3층(730)의 하부 부분의 길이는 완전히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760)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0190) 도 7에서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블레이드모터(702)와 블레이드하우징(704)은 상기 턱(330)과 클램프(750)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모터(702)는 상기 블레이드하우징(704)의 내부에 있거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701)는 베이스(701a)와 캡 또는 커버(701b) 사이에 위치된 금속블레이드 또는 금속날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701a)는 상기 블레이드하우징(704)의 상부표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701)는 상기 턱(330)에 있는 슬릿(330a)과 상기 클램프(750)의 제3층(730)을 위한 슬릿(730a)을 통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캡(701b)은, 상기 블레이드(701)의 교체 동안 의도치 않은 손가락의 절단을 방지하도록 상기 블레이드(701)의 상부를 덮을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701)의 제1측과 제2측(즉, 좌측과 우측)이 상기 필터시트(710)를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701b)은 상기 제3층(730)의 슬릿(730a)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블레이드(701)의 높이는 상기 블레이드(701)의 측면이 상기 필터시트(610)와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300)의 턱(330)에 안착될 수 있다.
(0191) 랙(340)이 상기 턱(330)과 빔(350) 사이에 있는 프레임(30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랙(340)은 상기 프레임(300)의 측면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랙(340)의 하부표면은 상기 블레이드모터(702)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상기 블레이드기어(703)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치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 모터(702)가 켜졌을 때, 상기 블레이드기어(703)는 상기 프레임(300)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블레이드모터(702), 블레이드 하우징(704), 그리고 블레이드(701)를 이동하도록 상기 랙(3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릿(330a, 730a)은 상기 랙(340)의 좌우길이보다 짧거나 같은 좌우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701)는 상기 클램프(750)의 턱(330)과 제3층(730)의 슬릿(330a, 730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0192) 블레이드 하우징(704)의 일부는 상기 블레이드하우징(704)에 추가된 지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랙(34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전방으로 단차지거나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랙(340)의 상면은 상기 랙(340)을 따른 블레이드기어(703)의 이동 중에 상기 블레이드하우징(704)과 상기 랙(34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물질로 추가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0193) 상기 블레이드기어(703)는 상기 블레이드(701)의 제2측이 상기 필터시트(610)를 절단하도록 상기 팬하우징(300)의 제1측에서 제2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가 다시 절단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블레이드 기어(703)는 상기 블레이드(701)의 제1측이 상기 필터시트(610)를 절단하도록 상기 팬하우징(300)의 제2측으로부터 상기 팬하우징(300)의 제1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기어(703)는 절단 시마다 일 회 상기 랙(340)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블레이드(701)는 보존될 수 있다. 비록 상기 도면들은 상기 랙(340)의 치가 바닥표면에 형성된 것으로 보이지만, 다르게는, 상기 랙(340)의 치는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0194) 도 4와 도 9a에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750)는 상기 프레임(300)의 배면에 접촉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704)은 상기 프레임(300)의 배면에 인접할 수 있지만, 이동중의 마찰을 줄이도록 상기 프레임(300)의 배면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블레이드하우징(704)과 상기 프레임(300)의 배면은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 미끄러운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0195) 도 9a에서 도 10b를 참고하면,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704)은 상기 클램프(75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턱(330)의 슬릿(330a)을 통해 상기 제3층(730)의 슬릿(730a)을 통해 상기 클램프(750)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750)의 제3층(730)에 형성된 상기 슬릿(730a)은 상기 블레이드(701)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릿(730a)의 좌우길이는 상기 필터시트(610)의 제1길이보다 더 길 수 있어서 상기 필터시트(610)는 상기 블레이드(701)의 최좌측위치와 상기 블레이드(701)의 최우측 위치에 있도록 상기 턱(330) 상으로 공급될 수 있다.
(0196) 상기 클램프조립체(750)로 삽입되는 상기 블레이드(701)에 대한 대안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슬릿(730a)은 생략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701)는 상기 클램프(750)의 일측 또는 가장자리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블레이드(701)는 상기 블레이드(701)가 상기 클램프(750)와 기어조립체(220) 사이의 긴장된 부분에서 상기 필터시트(610)를 절단하도록 상기 클램프(750)와 상기 프레임(300)의 배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런 대안적인 실시례에서, 상기 클램프(750)는 상기 프레임(300)의 배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하우징(704)은 상기 프레임(300)의 배면에 인접하게 유지된다. 상기 슬릿(330a)은 상기 클램프(750)와 상기 프레임(300)의 배면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턱(330)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701)와 캡(701b)은 상기 슬릿(330a)을 통해 돌출될 수 있고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는 상기 상부롤러(225) 및 하부롤러(224)(도 5)와 상기 클램프(750) 사이에서 인장되어 있을 수 있고 또 상기 블레이드(701)는 상기 필터시트(610)의 인장된 부분을 절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는 상기 팬(310)의 동작중에 상기 상부롤러(225) 및 하부롤러(224) 사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클램프(750)는 사용자가 폐기를 위해 상기 배면커버(400)의 외부로 상기 필터시트(610)를 쉽게 당길 수 있도록 절단 후에 개방될 수 있다.
(0197) 다른 대안적인 예로서, 상기 블레이드(701)가 상기 클램프(750)로 삽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블레이드(701)는 상기 필터시트(610)의 일부를 절단하도록 가능한 한 상기 클램프에 근접하게 상기 클램프 조립체(750)의 배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런 대안적인 실시례에서, 상기 클램프(750)는 상기 프레임(300)의 배면에 인접하여 있을 수 있고, 반면에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704)과 랙(340)은 상기 필터시트(610)가 상기 클램프(750)를 통해 공급된 후에 상기 필터시트(610)가 효과적으로 절단되도록 상기 블레이드(701)가 상기 클램프(750)의 배면에 매우 인접(그 것을 관통하는 대신에)하도록 되게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런 실시례에서, 상기 필터시트(610)가 절단된 후에, 상기 클램프(750)는 상기 공기청정기(1)의 동작 동안에 상기 프리필터와 마주보는 필터시트(610)의 깨끗한 부분이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폐쇄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상기 클램프(750), 롤러(225,224) 및 블레이드(701)의 이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0198) 도 7에서 도 11을 다시 참고하면, 필터절단기(700)의 동작은 상기 기어조립체(220)의 동작이 완료된 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 동작될 수 있고, 이 시간은 상기 기어모터(221)의 회전수에 근거하거나 상기 기어조립체(220)를 통과하는 표시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클램프(750)가 상기 필터시트(610)을 눌러 파지하기에 필요한 시간으로 설명할 수 있다.
(0199)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상기 필터절단기(700)의 동작은 상기 클램프(750)의 하강 후에 자동적으로 시작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750)는 상기 클램프기어(742)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또 상기 클램프기어(742)가 회전을 정지했을 때, 상기 블레이드모터(702)는 상기 필터시트(610)를 절단하기 위해 동작될 수 있다.
(0200) 상기 필터절단기(700)의 제어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블레이드모터(702)는 기어센서가 상기 클램프기어(742)의 미리 정해진 회전수를 감지하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회전수는 상기 틈새(g)를 폐쇄하고 상기 필터시트(610)를 눌러 파지하기에 충분한 거리를 상기 제1층(710)이 이동하는데 필요한 클램프기어(742)의 회전수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표시센서는 상기 필터시트(610) 상의 표시 또는 절단점선을 감지하도록 상기 블레이드(701)의 베이스(701a)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모터(702)의 동작은 상기 클램프기어(642)가 회전하는 것을 정지하고 상기 블레이드(701)의 표시센서가 상기 필터시트(610) 상의 표시를 감지할 때까지는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0201) 상기 블레이드(701)의 이동의 경로를 유지하기 위해, 모터 또는 기어 센서는 상기 블레이드모터(702) 또는 블레이드 기어(703)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모터(702)는 상기 기어센서가 상기 블레이드 모터(702) 또는 블레이드 기어(703)의 미리 정해진 회전수를 감지할 때까지 꺼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회전수는 상기 필터시트(610)를 완전히 가로질러 이동되는 블레이드 하우징(704)에 대응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만약 상기 표시센서가 상기 블레이드(701)의 상기 베이스(701a)에 위치된다면, 상기 표시센서는 상기 블레이드(701)가 통과한 표시 또는 절단점선의 숫자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블레이드모터(702)는 미리 정해진 표시의 숫자를 상기 표시센서가 감지했을 때 꺼질 수 있고, 이는 상기 필터시트(610)를 가로질러 위치된 표시의 숫자와 같을 수 있다.
(0202) 사용자는 상기 필터시트(610)를 절단하는 때를 지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모터(70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필터시트(610)의 소진에 임박했을 때를 예측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필터시트가 절단되었는지를 상기 기어조립체(220)에서 기어센서 또는 모터센서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0) 및/또는 롤러 필터케이스(200)상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상기 롤 필터(600)가 교체되어야 할 때를 표시할 수 있다.
(0203) 도 4에서 도 11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하부에 상기 롤러(620)를 위치시키고 상기 필터시트(610)를 상방으로 풀어냄에 의해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에 롤 필터(60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는 기어조립체(220)의 상부 및 하부 롤러(225,224)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의 단부는 상기 팬(310)이 공기를 흡입할 때 상기 필터시트(610)가 고정된 채 남아 있도록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225,224)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의 단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팬(310)의 동작동안 상기 클램프(750) 하에 더 고정되도록 상기 기어조립체(220)에 의해 틈새(g)와 슬릿(320)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선단커버(210)는 상기 필터시트(610)를 제 위치에 더 고정하도록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의 지지대(250) 상에 압입될 수 있다.
(0204) 상기 필터시트(610)는 오일미스트와 미세먼지를 수집할 수 있다. 오일미스트를 모으기 위한 일반 필터는 청소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상기 필터시트(610)는 단순하게 폐기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필터시트(610)가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 또는 그 이상에 도달했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롤러모터(221)를 동작하고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모터(702)를 동작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0205) 상기 제어기에 의한 오염수준의 결정은 다양한 센서의 실시에 근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시트(610)의 전방에 위치된 공기유동센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필터시트(610)의 뒤에 위치된 다른 공기유동센서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는 측정값을 비교할 수 있다. 감지된 공기유동에 있어서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양보다 더 클 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필터시트(610)가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 또는 그 이상에 도달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공기질(예를 들어, 오일 수준, 먼지수준, 이산화탄소 또는 연기수준, 일산화탄소 수준, 또는 냄새수준)을 감지하도록 공기질센서가 상기 롤 필터 케이스(2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또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기질센서에 의한 감지값에 근거하여 상기 필터시트(610)가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 또는 그 이상임을 결정할 수 있다.
(0206) 다른 예로서, 상기 필터시트(610)는 상기 필터시트(610)가 미리 정해진 양의 오일 또는 먼지를 흡수했을 때 또는 필터시트(610)의 중량에 근거하여 색상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지시를 입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필터시트(610)의 색상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어기에 알리도록 구성된 광센서 또는 다른 센서가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요리 빈도가 상기 팬(310)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에 근거하여 또는 사용자 지시를 추적하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고, 요리빈도가 미리 정해진 횟수 또는 그 이상에 도달했을 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필터시트(610)가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에 도달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0207) 제어기가 상기 필터시트(610)가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에 도달했다고 결정하였을 때, 상기 클램프모터(741)는 상기 클램프(750)가 오픈되도록 켜질 수 있고, 상기 롤러모터(621)는 상기 프레임(300)의 슬릿(320)과 상기 클램프조립체(750)의 틈새(g)를 통해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225,224) 사이로 상기 필터시트(610)를 공급하도록 켜질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필터시트(610)가 공급되었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양만큼 풀어내어졌을 때, 상기 롤러모터(621)를 자동적으로 정지할 수 있는데,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는 상기 롤러기어(222)의 회전수, 표시센서, 등에 근거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가 풀어내어짐에 따라, 상기 필터시트(610)의 새로운, 깨끗한 부분은 상기 롤러(620)와 상기 롤 필터 카트리지(200)의 상면 사이로 연장될 수 있고, 반면에 오염된 부분의 일부는 상기 배면커버(400)의 슬릿(420)의 외부에 매달려 질 수 있다.
(0208) 상기 필터시트(610)가 미리 정해진 양만큼 풀어내어 졌을 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클램프(650)를 닫도록 상기 클램프모터(74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모터(741), 기어조립체(220), 상기 기어조립체(220) 또는 블레이드(701)의 베이스(701a)에 있는 표시센서의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블레이드모터(702)를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필터시트(610)가 배면커버(400)의 슬릿(420) 외부로 매달려 있는 것을 사용자가 보았을 때, 상기 필터시트(610)를 절단하도록 지시를 입력할 수도 있다.
(0209) 상기 제어기는 상기 블레이드모터(702)의 동작에 근거하여 또는 상기 블레이드(701)의 베이스(701a)에 위치된 표시센서에 근거하여 상기 필터시트(610)를 가로질러(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300)의 제1측에서부터 상기 프레임(300)의 제2측까지) 절단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701)는 좌측과 우측 모두로 절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블레이드(701)가 상기 필터시트(610)를 가로질러 절단하였을 때, 상기 제어기는 다음 번에 상기 필터시트(610)가 절단될 때까지 상기 블레이드기어(703)의 역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모터(702)를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블레이드(701)는 일측으로부터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블레이드기어(703)의 역방향으로 상기 블레이드모터(704)를 동작할 수 있고 또 상기 프레임(300)의 제1측으로 다시 상기 블레이드(701)가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필터시트(610)의 잘라내어진 부분을 폐기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의 풀어냄과 절단을 상기 제어기가 제어하는 방법의 구현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0210)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프리필터(500)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의 큰 입자를 거르도록 아코디온 형상 또는 다수개의 곡선 및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는 제1 또는 선단그릴(500a), 제2 또는 후단그릴(500b),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그릴(500a, 500b) 사이에 위치된 제3 또는 내부 그릴(500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그릴(500a)은 지그재그 패턴, 아코디온 패턴, 또는 직사각형 모양의 교차형 굴곡, C-굴곡,┗┛-굴곡, U-굴곡 패턴의 슬랫(slats)을 가질 수 있다. 개구가 상기 굴곡의 최후단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굴곡의 내측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그릴(500b)은 다수개의 개구를 가지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제2그릴(500b)에 있는 다수개의 개구는 상기 제1그릴(500a)의 통공과 정렬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상기 제1그릴(500a)의 개구와 연속될 수 있다. 상기 제3그릴(500c)은 상기 제1그릴(500a)의 슬랫에 대응되는 굴곡 또는 곡선인 다수개의 슬랫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그릴(500c)의 슬랫은 상기 제1그릴(500a)의 개구 또는 대부분의 배면과 정렬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정렬될 수 있다.
(0211) 상기 프리필터(500)의 상부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자석 또는 강자성물질에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프리필터(500)의 측면 또는 바닥은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선단개구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또 상기 프리필터(500)는 강자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0212) 도 13에서 도 15b는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공기청정기(1')를 도시한다. 기능면에서, 상기 공기청정기(1')는 도 1에서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된 공기청정기(1)와 매우 유사하고, 주로 차이점들이 설명될 것이다. 상기 공기청정기(1')는 프리필터(500')가 고정되는 정면개구를 가지는 외부케이스(100')를 가질 수 있다. 배면커버(4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배면개구에 고정될 수 있다.
(213) 도 17과 도 20을 간단하게 참고하면, 프리필터(500')와 배면커버(400')의 사이에는, 롤필터(600')가 오일미스트를 거르도록 프리필터(500') 뒤에 위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팬(310')을 지지하는 프레임(300')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롤필터(600') 뒤에 위치할 수 있고, 그리고 선택적인 카본필터(800)가 상기 롤필터(600')와 프레임(300') 사이에 흡입된 공기를 더 정화하기 위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롤필터(600')는 도 1에서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된 롤필터(6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상기 프레임(300')은 도 1에서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된 필터절단기(7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필터절단기(700')(도 23)를 유사하게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필터(600')는 오일미스트와 냄새 모두를 거르도록 탄소와 섬유 모두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초미세먼지는 상기 카본필터(800)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0214) 도 13에서 도 15b를 다시 참고하면,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금속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브러쉬드(brushed)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프리필터(500')는 유사 금속물질 또는 도장된 금속물질(예를 들어, 블랙메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는 다수개의 수직 슬랫과 흡입된 공기가 들어갈 수 있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0215) 상기 프리필터(500')의 슬랫들의 상부는 곡선으로 되어 상기 프리필터(500')는 상부부분(504)을 가지고,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정면개구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곡선으로 된 상부표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표면은 상기 프리필터(500')의 상부부분(504)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의 슬랫들의 하부는 곡선으로 되어 상기 프리필터(500')가 하부부분(503)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정면개구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부분 또는 곡선으로 된 하부표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표면은 상기 프리필터(500')의 하부부분(503)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리필터(500')의 형상과 결합에 대한 더 상세한 것은 도 17에서도 19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0216) 상기 공기청정기(1')는 조리대의 표준치수, 가전제품의 표준치수, 또는 요리도구의 표준치수에 근거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주방조리대의 표준 깊이는 24~26인치(예를 들면, 25.5인치)이고,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제1측(즉 좌측)으로부터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제2측(즉, 우측)까지의 길이는 23~26인치(예를 들어, 25.5~25.6인치, 또는 647~650mm)범위일 수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1')는 상기 프리필터(500')가 쿡탑 또는 스토브탑을 향하도록 상기 조리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높이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지만(예를 들어 11.2인치 또는 285mm),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서, 높이에 대한 길이의 비율은 1.25 ~ 1.26일 수 있고,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높이는 길이가 650mm일 때 508mm ~ 516mm일 수 있다. 정면에서부터 배면까지로 정의된 두께 또는 폭은 가장 좁은 지점에서 76mm일 수 있고, 이 것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0217) 다른 예로서, 미국에서 몇몇 요리도구는 12~18인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또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길이는 12~18인치(예를 들어, 14.4인치 또는 365mm)범위여서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조리대상에서 스토브탑 옆에 안착될 수 있어서 상기 프리필터(500')는 상기 스토브탑 상의 조리도구를 향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높이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길이(예를 들어, 11.2인치 또는 285mm)보다 짧을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사한 예에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작은 요리도구에 대응하는 300mm 길이와 240mm 높이 일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0')(도 1에서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된 외부케이스(100)와 함께)는 평균적인 쿡탑의 길이 및/또는 폭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0218) 상기 공기청정기(1')는 필요 시에 다른 요리기구(예를 들어 전자레인지, 토스터오븐, 에어프라이어, 밥솥, 등) 근처에 있도록 들어올려서 이동될 수 있다. 비록 상기 공기청정기(1')가 조리대 크기 또는 요리도구 크기에 근거하여 설계되었지만, 상기 공기청정기(1')는 더 휴대가 좋거나 더 작은 공간(예를 들어, 쿡탑 뒤의 턱 위, 캐비넷의 상부, 토스토오븐과 벽 사이, 등)에 맞도록 더 날씬하게 되도록 훨씬 더 작게(예를 들어, 6인치 또는 152mm 높이) 설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공기청정기(1')는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하도록 조금 더 크게(예를 들어, 36 인치 또는 900mm)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0219) 중앙부분(502)이 상기 프리필터(500')의 상부부분과 하부부분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의 슬랫들 사이의 개구들은 상기 프리필터(500')의 중앙부분(502)에 형성된 중앙개구(501)로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리필터(500')의 상부부분과 하부부분(504,503)은 개구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채워진 표면은, 상기 중앙부분(502)의 측면과 상부 및 하부에 더하여, 상기 상부부분(504)과 하부부분(503)에 있는 슬랫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흡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것이 허락되도록 중앙개구(501)의 뒤에는 표면이 없을 수 있다.
(0220)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배면커버 또는 케이스(400')에 위치된 배면개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면커버(400')는 상기 프리필터(500')와 유사하거나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외부케이스(100')와 유사하거나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배면커버(400')는 공기가 배출되는 다수개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 배면은 곡선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배면커버(400')는 판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배면개구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배면과 같은 평면으로 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배면커버(400')의 하부부분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곡률과 대응되게 굴곡될 수 있다. 이런 구성에서, 상기 외부케이스(100') 및/또는 내부지지대(200')의 하부 배면은 상기 배면커버(400')의 굽어진 하부 부분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 또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면커버(400')의 상세한 것은 도 17에서 도 19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0221)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이송과 휴대성을 촉진하기 위해 손잡이(120)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2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측면으로부터 약간 경사지게 상방향으로 그리고 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20)는 상기 손잡이(120)와 외부케이스(100')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손잡이(120)의 실시례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222) 베이스(11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균일성과 세련된 외관을 제공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무선충전패드(2)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형상의 상세한 것은 도 17과 도 1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0223) 상기 무선충전패드(2)는 외부 또는 상업적 전원(예를 들어, 벽에 있는 소켓)에 결합될 수 있고 또 무선전력송신기 또는 무선전력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배터리와 상기 무선충전패드(2)에 있는 무선전력송수신기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무선전력송신기 또는 무선전력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의 배터리는 상기 충전패드(2)를 통해서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고 또 상기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패드(2)는 모바일 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다른 휴대형 장치를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외부 전원 또는 상업적인 전원(예를 들어, 벽에 있는 소켓)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추가적인 터미널 또는 소켓 및/또는 전원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패드(2)는 상기 베이스(110')가 외부의 상업적 전원에 직접 연결된다면 선택적일 수 있다.
(0225) 사용자 인터페이스(130)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공기청정기(1')의 동작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또 사용자가 지시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0226) 도 16a를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공기청정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지(131)를 가지는 패널 또는 스트랩(133)을 가질 수 있고, 사용자 지시를 감지하기 위한 모션센서(132)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통지(131)는 상기 패널(133)의 상부표면을 통해 형성된(예를 들면, 표면 식각된) 다수개의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패널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상기 패널(133)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또 상기 통지(131)의 관통공을 통해 조명되도록 상기 통지(131)의 관통공의 뒤에 다수개의 엘이디(LEDs)가 위치될 수 있다.
(0227) 상기 모션센서(132)는 수동 적외선(PIR) 센서, 광 또는 레이저 센서, 포토센서, 또는 초음파센서일 수 있는데,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상기 모션센서(132)의 구현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상기 모션센서(132)를 상기 공기청정기(1')를 켜고 및/또는 끄고 그리고 상기 팬(310)의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지시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공기청정기(1')를 물리적으로 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공기청정기(1')의 외부는 조리 도중에 깨끗한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 상기 통지(131)를 제공하는 정전터치센서가 있을 수 있고, 사용자는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특정한 통지(131)를 터치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131)는 터치스크린 및/또는 액정디스플레이트(LCD)로서 구현될 수 있다.
(0228) 상기 통지(131)의 관통공은 다양한 디자인, 문자, 및/또는 숫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지(131)는 추가적으로 터치버튼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a에서 도 16h를 참고하면, 상기 통지(131)는 상기 공기청정기(1')가 동작하고 있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동작상태 또는 전원 통지(131A), 충전양 또는 상기 베이스(110')에서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배터리 통지(131B), 상기 팬(310)의 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팬 속도 또는 공기유동 통지(131C), 롤 필터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롤 필터 통지(131F), 카본필터(800)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카본 필터 통지(131G), 필터(예를 들어 롤필터(600') 또는 카본 필터(800))중 하나의 교체 시기를 표시하는 교체 통지(131E), 그리고 사용자가 교체과정동안 안내될 수 있도록 교체 또는 세정을 위한 프리필터(500')의 분리 또는 잠금해제를 위한 시기를 표시하기 위한 개방 통지(13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통지(131D)와 교체통지(131E)는 탄성부재를 통해 구현된 푸시버튼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롤 필터 통지(131F) 및 카본 필터 통지(131G)는 상기 푸시버튼 위의 엘이디 또는 터치 통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것으로, 일부 또는 모든 통지(131)는 세련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물리적 푸시버튼 대신에 정전터치 센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0229)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 추가적인 프리필터 통지(131) 또는 경고가 세척이나 세정을 위한 프리필터(500')의 교체 시기를 표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필터절단 통지 또는 버튼이 상기 필터절단기(700')를 통해 상기 롤 필터(600')를 절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0230) 상기 전원통지(131A)와 배터리통지(131B)는 상기 패널(133)의 제1측(예를 들어, 도 16a에서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개방, 교체, 롤 필터, 및 카본 필터 통지(131D ~ 131G)는 상기 패널(133)의 제2측(예를 들어, 도 16a에서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팬속도 통지(131C)는 상기 모션센서(132) 근처의 상기 패널(133)의 중앙 부분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다른 통지(131)에 인접하도록 상기 패널(133)의 제1측 또는 제2측에 위치될 수 있다.
(0231) 도 16a에서 도 16i를 참고하면, 상기 전원통지(131A)는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표준 60417-5009에 대응되는 국제표준 대기기호와 닮을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공기청정기(1')를 켜기 위해 제1방향(예를 들어, 좌에서 우)으로 상기 모션센서(132)를 가로지르는 제스쳐 또는 스치는 동작을 할 수 있고, 상기 전원통지(131A)는 조명이 들어오게 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1')는 미리 정해진 제1팬속도로 켜질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1')를 끄기 위해,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제1 팬속도로 상기 팬(310')이 동작될 때 제2방향(예를 들어, 우에서 좌)으로 상기 모션센서(132)를 가로지르는 제스쳐 또는 스치는 동작(스와이프 동작)을 할 수 있다.
(0232) 상기 배터리 통지(131B)는 충전수준과 유사한 윤곽선의 안에 수직선을 가진 배터리 윤곽선과 유사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배터리 통지(131B)는 저충전량, 적당한 충전량, 그리고 완전충전량을 표시하기 위한 3개의 수직 선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 다른 색상이 다른 충전량을 표시할 수 있다.(예를 들어, 빨강은 저충전, 빨강과 깜박임은 매우 낮은 충전, 노랑 또는 오렌지는 적당한 충전, 그리고 녹색은 완전충전) 상기 배터리 통지(131B)는 충전중(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의 플러그가 전원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충전패널(2)에 위치되었을 때) 다른 색상(예를 들어, 흰색 또는 자주색)으로 전환되거나 깜박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0233) 상기 팬 속도 통지(131C)는 속도수준을 표시하기 위해 좌측과 우측에 수직선을 가진 팬 기호(예를 들어, 국제기구표준(International Standard for Organization) 또는 ISO 7000-0089)와 닮을 수 있다. 예로서, 팬 기호의 좌측에 3개의 수직선이 있을 수 있고 또 팬 기호의 우측에 3개의 수직선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팬(310')이 낮은 속도로 동작할 때, 상기 팬 기호에 좌측으로 가장 근접한 수직선과 상기 팬 기호에 우측으로 가장 인접한 수직선이 조명될 수 있다. 상기 팬(310')이 정상 속도로 동작할 때, 상기 팬 기호에 좌측으로 가장 근접한 2개의 수직선과 상기 팬 기호에 우측으로 가장 인접한 2개의 수직선이 조명될 수 있다. 상기 팬(310')이 고속으로 동작될 때, 모든 수직선과 추가적으로 상기 팬이 조명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팬(310')이 저속에서, 좌측에 있는 미리 정해진 다수의 수직선이 조명될 수 있다. 중간 속도에서, 상기 팬 기호가 조명될 수 있고,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 좌측에 있는 수직선이 조명될 수 있다. 고속에서, 우측에 있는 미리 정해진 숫자의 수직선이 조명될 수 있고,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 상기 팬 기호 및/또는 좌측에 있는 수직선이 조명될 수 있다. 팬 속도를 표시하기 위해 색상이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고속을 빨강 저속을 파랑으로)
(0234) 상기 팬(310')이 미리 정해진 제1팬 속도로 동작할 때,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제2팬속도로 상기 팬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제1방향으로 상기 모션센서(132)를 가로질러 스치는 동작을 할 수 있고, 상기 팬 속도 통지(131C)는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2팬속도에서, 사용자는 팬 속도를 미리 정해진 제3속도로 증가시키기 위해 제1방향으로 상기 모션센서(132)를 가로질러 스치는 동작을 할 수 있고, 또는 사용자는 상기 팬속도를 미리 정해진 제1 팬 속도로 줄이기 위해 제2방향으로 상기 모션센서(132)를 가로질러 스치는 동작을 할 수 있고, 상기 팬 속도 통지(131C)는 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3 팬 속도에서,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제2 팬속도로 다시 팬 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2방향으로 상기 모션센서(132)를 가로질러 스치는 동작을 할 수 있고, 상기 팬속도 통지(131C)는 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팬(310')이 미리 정해진 제3팬속도로 동작하고 있을 때 제1방향으로 사용자가 스치는 동작을 했을 때, 상기 공기청정기(1')가 꺼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전원 통지(131A)가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0235) 롤 필터 통지(131F)는, 상기 롤 필터(600')가 미세한 오일 미스트를 거를 수 있으므로, 필터와 오일 방울을 표시하도록 원에 부분적으로 있는 방울과 그리드 선을 가진 원과 유사할 수 있다. 상기 롤 필터 통지(131F)는 깨끗한 필터 시트(610')를 보이도록 롤 필터(600')가 풀려나올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조명될 수 있다. 상기 교체 통지(131E)는 상기 롤 필터통지(131F)와 관련해서 추가적으로 조명될 수 있다. 상기 롤 필터 통지(131F)는 상기 필터시트(610')가 대부분 풀렸다는 것과 상기 롤러(620')를 교체하고 새로운 롤 필터(600')를 설치할 시간이라는 것을 표시하도록 조명(예를 들어, 다른 색상 또는 깜빡임으로)될 수 있다. 상기 개방 통지(131D)는 교체과정을 통해 사용자를 안내하도록 추가적으로 조명될 수 있는데,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상기 롤 필터 통지(131F)는 상기 필터시트(610')의 오염 수준에 따라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예를 들어 깨끗하면 흰색, 파랑, 또는 초록, 오염되었으면 노랑 또는 오렌지, 그리고 매우 오염되었으면 빨강 또는 갈색)
(0236) 상기 카본 필터 통지(131G)는 그리드선을 가진 원과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카본 필터 통지(131G)는 카본 필터(800)가 교체될 필요를 표시하도록 조명될 수 있다. 상기 개방 통지(131D)는 상기 카본 필터 통지(131G)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조명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상기 카본 필터 통지(131G)는 상기 카본 필터(800)의 오염 수준에 따라 색상을 달리 할 수 있다.(예를 들어, 깨끗하면, 흰색, 파랑, 또는 초록, 오염되었으면 노랑 또는 오렌지, 그리고 매우 오염되었으면 빨강 또는 갈색)
(0237) 상기 교체통지(131E)는 상기 롤러(620')로부터 상기 필터시트(610')가 풀려나올 시간인 때에 조명될 수 있다. 상기 교체 통지(131E)는 풀려나오는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해 조명될 수 있다. 사용자가 교체 통지(131E)가 위치된 버튼을 눌렀을 때, 상기 클램프(750')는 개방되고 기어조립체(220')는 상기 기어조립체(220')와 상기 프레임(300)의 슬릿(320)을 통해 상기 필터시트(610')를 공급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750')는 상기 필터시트(610')가 일단 미리 정해진 양만큼 풀려나오면 자동적으로 닫혀질 수 있고, 상기 필터절단기(700')는 상기 클램프(750')가 닫혀지면 상기 필터시트(610')를 자동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데,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모션센서(132)를 가로질러 스치는 동작을 통해 상기 필터시트(610')를 절단하도록 상기 필터절단기(700')에 수동으로 지시할 수 있다.
(0238) 상기 개방 통지(131D)는 다른 평행사변형 상에 부분적으로 적용된 평행사변형과 유사할 수 있는데,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개방 통지(131D)가 있는 버튼을 사용자가 눌렀을 때, 상기 프리필터(500')는 도 20과 관련해서 이후에 설명될 레치조립체(230)를 통해 잠금해제될 수 있다. 상기 카본 필터(800)가 미리 정해진 오염 수준 또는 그 이상에 도달했을 때, 상기 카본 필터 통지(131G)는, 상기 개방 통지(131D)가 조명되는 것 없이 또는 함께 조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개방 통지(131D)가 위치된 버튼을 누를 수 있고, 또 상기 프리필터(500')는 잠금해제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750')는 이전에 이미 닫혔다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카본필터(800)에 접근하도록 상기 프리필터(500')를 외부케이스(100')와 롤 필터(6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0239) 상기 필터 시트(610')가 조금 남아 있거나 소진되어서 새로운 롤 필터(600')가 장착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롤 필터 통지(131F)는, 필터시트(610')를 교환하여 상기 롤 필터(600')가 풀려나올 필요가 있는 경우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개방 통지(131D)와 함께, 조명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롤 필터 통지(131F)는 상기 롤 필터(600')가 풀려나올 필요가 있다는 것을 롤 필터 통지(131F)가 표시하고 있을 때로 부터 구별하도록 깜빡임 또는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개방 통지(131D)가 있는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는 잠금해제될 수 있고 또 상기 클램프(750')는 만약 이전에 이미 닫혔다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롤 필터(600')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상기 프리필터(500')를 분리할 수 있다.
(0240) 상기 공기청정기(1')의 제어기는 모바일 장치 또는 컴퓨터에 있는 웹어플리케이션 또는 리모컨을 통해 원격으로 지시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와이파이 모듈 및/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통신모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다양한 센서(예를 들어, 공기질 센서, 필터 센서, 공기유동 센서, 온도센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된 정보)로부터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도 가질 수 있고 또 자동적으로 상기 팬(310')의 속도 또는 상기 롤 필터(600')의 풀림 및 절단을 제어할 수 있다.
(0241) 상기 공기청정기(1')의 동작과 상기 팬(310)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실시의 예로서, 상기 공기청정기(1')가 꺼졌을 때, 사용자는 상기 공기청정기(1')를 켜기 위해 상기 공기청정기(1')의 상부를 가로질러 손을 물결치듯하거나 스칠 수 있다. 상기 모션센서(132)는 사용자의 스침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전원 통지(131A)는 조명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전원 통지(131A)는 제1색상(예를 들어 빨강)의 조명광으로부터 제2색상(예를 들어 초록)의 조명광으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공기청정기(1')가 켜졌다는 것을 상기 전원 통지(131A)의 표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하나의 팬(310')은 미리 정해진 제1속도에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1')가 켜져있을 때, 사용자는 상기 팬(310')의 속도 및/또는 미리 정해진 속도로 사이클을 다시 증가시키도록 손을 물결치듯하거나 스칠 수 있다.
(0242) 제2 스침의 상기 모션센서(132)에 의해 감지에 따라, 상기 팬(310')의 속도는 미리 정해진 제2속도로 동작될 수 있다. 대략 저속, 중속, 그리고 고속과 상관관계가 있는 3개의 미리 설정되거나 미리 정해진 팬 속도가 있을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 상기 팬(130')의 속도는 공기질 센서조립체에 의해 감지된 연기, 냄새, 및/또는 오일 수준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고, 또는 흡입된 공기의 공기유동과 배출된 공기의 공기유동을 비교함에 의해 계산된 미리 정해진 공기유동 차이로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0243)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110')가 표면에 안착되지 않았을 때를 감지하기 위한 안착센서를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손잡이(120)는 상기 손잡이(120)가 잡혔을 때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예를 들면, 온도센서 또는 광센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기청정기(1')가 들어올려진 것을 안착센서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고, 또 상기 팬(310')은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프리필터(500')에 있는 자석으로부터 자력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 근처에 위치된 홀센서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필터(500')의 무게의 변경을 감지하는 무게센서에 근거하여, 또는 상기 프리필터(500')의 분리에 따른 광의 증가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필터(500')가 분리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가 상기 프리필터(500')가 분리되었다고 결정하였을 때, 상기 팬(310')은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0244) 상기 롤필터(600')의 풀림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실시의 예로서, 상기 롤 필터 통지(131F)는 상기 롤필터(610')가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 또는 그 이상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제어기가 결정하였을 때 조명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롤 필터 통지(131F)는 제1색상(예를 들어, 흰색, 파랑, 또는 초록)의 조명광으로부터 제2색상(예를 들어, 보라, 오렌지, 또는 갈색)의 조명광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롤 필터 통지(131)는 없을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필터 시트(610')의 색상을 근거로 롤 필터(600')가 풀려나와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배면커버(400')에 있는 슬릿 또는 개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0245) 사용자가 상기 롤 필터(600')(예를 들어, 요리 후에)를 풀어낼 준비가 되었을 때, 사용자는 상기 롤 필터(600')가 풀려야 할 요구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상의 버튼 또는 터치센서(예를 들어 상기 교체 통지(131E)가 위치된 상기 버튼)를 누를 수 있다. 상기 팬(310')이 동작 중일 때, 상기 팬(310')의 동작은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눌렀을 때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상기 롤 필터(600')는 미리 정해진 양만큼 풀려져서 상기 필터시트(610')의 일부가 상기 배면커버(400')의 슬릿 외부로 이동될 것이다. 다르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가 상기 롤 필터(600')를 풀어내기 위해 상기 모션센서(132)를 가로질러 스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246) 일단 상기 팬(310')이 정지하면, 상기 롤 필터(600')는 풀기를 정지하고, 상기 클램프(750')는 닫혀지고, 상기 롤 필터(600')는 자동적으로 절단될 수 있다. 다르게는, 통지(131)가 상기 롤 필터(600')가 절단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예를 들어, 교체 통지(131E)를 깜빡임, "필터 절단" 통지(131)를 조명함, 및/또는 소리 경고를 함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상의 버튼 또는 터치 센서를 누를 수 있고, 상기 필터 시트(610')는 상기 필터절단기(700')(도 23)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필터 시트(610')의 잘라내어진 부분을 폐기할 수 있다.
(0247) 상기 롤 필터(600')의 교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실시의 예로서, 상기 롤 필터 통지(131F)와 상기 "개방" 통지(131D)가 조명되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롤 필터 통지(131)는 제1색상(예를 들어, 흰색, 파랑, 또는 초록)의 조명광으로부터 제2색상(예를 들면, 빨강 또는 깜빡이는 빨강)의 조명광으로 변경될 수 있고 또는 소리 경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롤 필터(600')의 풀림을 추적하는 롤 모터 센서에 근거하거나 상기 필터절단기(700')(도 23)의 동작을 추적하는 필터절단기(700') 내의 센서에 근거하여 이런 통지(131F 및/또는 131D)를 조명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롤 필터(600')의 풀기를 지시한 후에 상기 배면커버(400')의 외부로 상기 필터 시트(610')의 늘어진 적은 양에 근거하여 필터 시트(610')가 교체되어야 할 필요를 수동으로도 결정할 수 있다.
(0248) 사용자는 상기 롤 필터(600') 교체에 대한 요구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버튼 또는 터치센서(예를 들면, 개방 통지(131D)가 위치된 버튼)를 누를 수 있다. 만약 상기 팬(310')이 동작 중이면, 상기 팬(310')의 동작은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눌렀을 때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클램프(750')가 닫혀있다면, 상기 클램프(750')는 상기 틈새(g))(도 6b)를 통한 오래된 필터시트(610')의 배출과 새로운 필터시트(610')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는 도 20에서 도 21b를 참고하여 설명된 레치조립체(230)를 통해 상기 내부 지지대(20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0249) 추가의 "프리필터 분리" 통지(131) 또는 경보가 분리과정 동안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해 조명되거나 소리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롤 필터(600')에 접근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100')로부터 프리필터(500')를 분리할 수 있다. 추가의 "롤 필터 분리" 통지(131) 또는 경보가 분리과정 동안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해 이 시점에서 조명되거나 소리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롤러(620')를 분리할 수 있고 상기 롤러(620')와 남아 있는 필터 시트(610')를 폐기할 수 있다.
(0250) 추가의 "롤 필터 교체" 통지(131) 또는 경보가 상기 롤러(620')가 일단 분리되면 조명되거나 소리날 수 있고(이 것은 예를 들어, 무게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공기청정기(1)의 내부 공간으로 새로운 필터시트(610')를 가진 새로운 롤러(620')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새로운 필터 시트(610')를 풀어내어서 상기 필터시트(610')의 상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프레임(300')을 통해 상기 필터시트(610')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새로운 롤 필터(600')가 장착된 것을 무게센서 또는 상기 필터절단기(700') 및/또는 상기 프레임(300') 내에 있는 센서를 통해 결정할 수 있고, 상기 클램프(750')는 닫힐 수 있다.
(0251) 추가의 "프리필터 교체" 통지(131) 또는 경보가 조명되거나 소리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프리필터(500')를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선단에 다시 놓을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를 상기 외부케이스(100')와 내부 지지대(200')에 결합하는 방법의 상세한 것은 이 후에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1) 상의 버튼 또는 터치 센서를 터치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용자는 과정을 시작하기 위해서 및/또는 특정한 단계의 완성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모션센서(132) 위를 스침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롤 필터(600')의 교체 과정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0252) 상기 카본필터(800)의 교체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실시의 예로서, 상기 카본 필터 통지(131G)와 추가적인 상기 개방 및/또는 교체 통지(131D 및/또는 131E)가 조명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카본 필터 통지(131G)는 제1색상(예를 들어, 파랑 또는 초록)의 조명광으로부터 제2색상(예를 들어, 빨강, 오렌지, 깜빡이는 빨강, 또는 깜빡이는 오렌지)의 조명광으로 변경될 수 있고 및/또는 소리경보가 제공될 수 있다.
(0253) 상기 제어기는 상기 카본필터(800)로 들어가는 흡입된 공기의 공기유동과 상기 카본필터(800)를 떠나는 공기의 공기유동을 감지하는 센서에 근거하거나 또는 다르게는 요리빈도, 시간의 경과, 상기 카본 필터(800)의 먼지 또는 오염 수준을 감지하는 오염수준 센서, 또는 카본필터(800)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센서에 근거하여 상기 카본 필터 통지(131G)를 조명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또한 상기 카본필터(800)가 상기 배면커버(4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질에 근거하여 교체될 필요를 결정할 수 있다.
(0254) 사용자는 상기 카본 필터(800) 교체 요구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 상의 버튼 또는 터치센서(예를 들어, 상기 개방 통지(131D)가 위치된 상기 버튼)를 누를 수 있다. 만약 상기 팬(310')이 동작중이면, 상기 팬(310')의 동작은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른 후에 정지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는 상기 내부 지지대(20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0255) 추가의 "프리필터 분리" 통지(131) 또는 경보는 상기 분리동작 동안 사용자를 안내하도록 조명되거나 소리내어 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상기 프리필터(500')를 분리할 수 있다. 추가의 "롤 필터 분리" 통지(131) 또는 경보는 조명되거나 소리내어 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임시로 상기 롤 필터(600')를 분리할 수 있다. 추가의 " 카본 필터 분리" 통지(131) 또는 경보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롤필터(600')가 분리되었다는 것을 결정할 때 조명되거나 소리내어 질 수 있고, 또 사용자는 상기 카본필터(800)를 분리할 수 있고 또 상기 카본 필터(800)를 폐기할 수 있다.
(0256) "카본 필터 교체" 통지(131) 또는 경보가 상기 제어기가 상기 카본 필터(800)가 분리되어졌다고 결정할 때 조명되거나 또는 소리내어 질 수 있고, 또 사용자는 상기 공기청정기(1')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새로운 카본 필터(800)를 삽입할 수 있다. 추가의 "롤 필터 교체" 통지(131) 또는 경보가 조명되거나 소리내어 질 수있는데, 사용자는 상기 롤 필터(600)를 다시 설치할 수 있다. 추가의 "롤 필터 교체" 통지(131) 또는 경보가 상기 제어기가 상기 롤 필터(600')가 적절하게 설치되었음을 상기 필터절단기(700') 및/또는 프레임(300')내에 있는 센서 또는 무게센서를 통해 결정할 때 동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선단에 상기 프리필터(500')를 다시 놓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 있는 버튼 또는 터치센서를 터치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용자는 과정을 시작하거나 및/또는 특정한 단계의 완성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모션센서(132) 상을 스침에 의해 상기 카본 필터(800)를 교체하는 위에서 설명된 과정을 통해서 진행할 수도 있다. 추가로, 상기 제어기는 다르게는 상기 롤 필터(600')가 교체될 필요가 있는 다음 번까지 상기 카본 필터(800)를 교체하도록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기다릴 수 있어서 사용자는 하나의 단계에서 모두를 교체할 수 있다.
(0257) 상기 배터리 통지(131b) 및/또는 청각적 통지는 상기 베이스(110) 내의 배터리의 충전 또는 충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배터리 통지(131)는 배터리 형상 또는 외곽선의 내부의 선들에 의해 충전의 수준을 보이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이 미리 정해진 제1충전수준이거나 그 아래일 때, 상기 배터리 통지(131)는 빨강광에 의해 조명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제1충전 수준보다 낮은 미리 정해진 제2충전수준이거나 그 아래일 때, 상기 배터리 통지(131)는 사용자에게 상기 공기청정기(1')에 전원을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충전패드(2)(도 15b)에 공기청정기(1')를 위치하게 알리도록 깜빡이는 빨강 광에 의해 조명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제1충전수준, 미리 정해진 제2충전수준, 또는 상기 미리 정해진 제1 및 제2 충전 수준 사이의 미리 정해진 제3충전수준중 적어도 하나에서, 전력 절약을 위해 동작되는 경우 상기 팬(310')은 정지되거나 느려질 수 있다.
(0258)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프리필터(500')의 세정 동안 사용자를 안내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 통지(131D) 및/또는 추가의 프리필터 통지(131) 또는 경보는 조명되거나 소리내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프리필터 통지(131)는 제1색상(예를 들어, 흰색, 파랑, 또는 초록)의 조명광으로부터 제2색상(예를 들어, 빨강, 오렌지, 깜빡이는 빨강, 또는 깜빡이는 오렌지)의 조명광으로 변경될 수 있고, 및/또는 청각적 통지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프리필터 청소"통지(131)가 조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프리필터(500') 청소 요구를 표시하도록 버튼 또는 터치센서를 누를 수 있다.(예를 들어, 상기 개방통지(131D)가 위치된 버튼) 만약 상기 팬(310')이 동작중이면, 상기 팬(310')의 동작은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눌렀을 때 정지될 수 있다.
(0259) 상기 프리필터(500')는 이후에 설명될 레치조립체(230)를 통해 잠금해제될 수 있다. 추가적인 "프리필터 분리" 통지(131) 또는 경보는 조명되거나 또는 소리내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프리필터(500')를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프리필터(500')를 식기세척기에 위치시킴에 의해 이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팬(310')은 상기 외부케이스(100')로부터 프리필터(500')가 분리되었을 동안 오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청소 동안, 추가의 "프리필터 교체" 통지(131) 또는 경보가 조명되거나 또는 소리내어질 수 있고, 다르게는, 상기 공기청정기(1')는 꺼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상기 프리필터(500')를 다시 장착하였을 때, 상기 팬(310')의 동작은 재개될 수 있고, 다르게는 상기 공기청정기(1')는 다시 스탠바이 상태로 켜질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공기청정기(1')는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를 켜기를 원할 때까지 꺼진 채 남아 있을 수 있다.
(0260) 사용자 지시의 입력, 공기청정기(1')의 켜고 끔, 그리고, 상기 롤 필터(600') 풀기에서 사용자 안내, 상기 롤 필터(600')의 교체, 그리고 프리필터(500') 세정 과정을 포함하는 통지(131)의 실시는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제어기에 의한 결정은 다양한 센서(예를 들어, 공기질 센서, 무게센서, 적외선 센서, 광 또는 레이저 센서, 포토센서, 또는 공기유동센서)의 실시에 근거할 수 있고 제한되지 않는다.
(0261) 도 17에서 도 20을 참고하면, 상기 프리필터(5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선단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배면커버(4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100'), 배면커버(400') 그리고 프리필터(500')는 상기 내부지지대(200'), 프레임(300'), 카본필터(800), 그리고 롤 필터(600')가 위치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 배면케이스(500'), 프리필터(500'), 프레임(300'), 내부지지대(200'), 카본 필터(800), 그리고 롤 필터(600')를 지지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배터리, 상기 제어기(다르게는 상부에 위치될 수 있는), 그리고 무선 전력 송수신기 또는 수신기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는 전선(플러그에 결합되는)을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상기 베이스(110')가 상기 충전패드(2)를 통하는 대신에 외부 또는 상업전원으로부터 직접 전원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10')는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0262) 상기 내부지지대(2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윤곽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지지대(200')는 오목한 곡률을 가지는 선단 하부 부분(206)과 오목한 곡률을 가지는 후단 하부 부분(20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지지대(200')의 상세한 것은 도 20에서 도 21b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0263) 제1측 또는 제2측(즉, 좌측면 또는 우측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프리필터(500')의 단면은 앞뒤가 바뀐 ∫, 앞뒤가 바뀐 S, 또는
Figure pat00001
와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분(502)은 평평하거나 직선일 수 있고, 상기 상부부분(504)과 하부부분(503)은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굴곡질 수 있다. 상기 상부부분(504)은 후방으로 연장하게 굴곡질 수 있고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상방향으로 약간 경사를 가지도록 될 수 있다. 상기 하부부분(503)은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굴곡질 수 있다.
(0264) 좌측 또는 우측면으로부터 보여진 외부케이스(100')의 단면은
Figure pat00002
-형상, 역 τ 형상,교수대 형상, 또는 손잡이(120)가 생략되면
Figure pat00003
형상이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 선단부분은 상기 프리필터(500')의 하부부분(503)의 측면 곡률에 대응되도록 굴곡진 선단하부부분(10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의 하부부분(503)의 곡률은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선단 하부부분(206)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선단하부부분(206)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선단하부부분(103)의 측면들로부터 아래로 또는 내측으로 들어간 약간의 홈으로 될 수 있고, 상기 프리필터(500')의 하부부분(503)은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선단하부부분(206)으로 압입결합 또는 마찰결합될 수 있다.
(0265)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선단부분은 상기 프리필터(500')의 굴곡진 상부부분(504)에 대응되도록 굴곡진 상부부분(10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의 상부부분(504)의 곡률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부분(104)의 외부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의 상부부분(504)은 상기 롤필터(600')의 상부를 둘러 감쌀 수 있고,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레치조립체(230)(도 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는 상기 롤필터 케이스(200')로 탄성장착될 수 있고 복원력에 의해 돌출 또는 상기 레치조립체(230)의 잠금해제될 수 있다. 상기 레치조립체(230)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레치조립체(230)의 상세한 것들은 도 20에서도 도 20b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0266) 상기 프리필터(500')의 상부부분(504)은 자석 결합을 통해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부분(104)에 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상기 프리필터(500')의 상부부분(504)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외부케이스(100')(또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적어도 상부부분(104))은 강자성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부분(104)은 상기 프리필터(500')의 상부부분(504)에 위치된 자석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을 가진 자석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자석이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부분(104)에 위치되고, 상기 프리필터(500')(또는 상기 프리필터(500')의 적어도 상부부분(504))가 강자성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 다른 대안 또는 이에 더해, 상기 프리필터(500')의 하부부분(503)은 자석결합을 통해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선단 하부부분(103)(또는 다르게는,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선단하부부분(206))에 더 고정될 수 있다. 자석결합의 실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리필터(500') 및/또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측면들이 자석을 가질 수 있다.
(0267)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 후단부분은 상기 선단 하부부분(103)으로부터 반대로 연장되게 굴곡진 후단 하부부분(10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후단하부부분(105)과 선단하부부분(103)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수직축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후단하부부분(205)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후단 하부부분(105) 내에 결합할 수 있다.
(0268) 상기 배면커버(400')와 프리필터(500')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정의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폭은 150mm 또는 그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후단하부부분(105)과 선단하부부분(103) 사이로 정의된 상기 베이스(110')의 하부 폭은 중앙 부분에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우측 또는 좌측의 길이를 나타내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중앙 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 폭은 상기 손잡이(120)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부분(104) 사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 폭은, 예를 들면, 대략 130mm 또는 0.4 피트 일 수 있는데,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중앙 폭은 대략 76mm 또는 대략 3인치일 수 있는데,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앙 폭에 대한 길이(또는 다르게는, 높이)의 비율은 3.0~4.0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폭은 낮은 무게중심을 유지하도록 하부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상부 폭은 더 큰 손잡이(120)를 가지도록 하부 폭과 같거나 더 클 수 있다.
(0269) 상기 롤 필터(600')는 내부 탄성부재, 포올, 래칫, 그리고 핀을 가지는 스프링장력롤러(620') 주위에 감겨진 필터 시트(61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의 중앙부분(502)은 주로 직선이거나 평평해서 상기 카본필터(800) 및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와 상기 롤러(620') 사이에서 연장하는 필터시트(610')의 부분과 정렬하도록 한다. 상기 중앙개구(501)는 카본필터(800)와 정렬될 수 있다.
(0270) 상기 카본필터(800)는 상기 롤 필터(600') 뒤인 상기 프레임(300')과 프리필터(500') 사이의 공기청정기(1')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카본필터(800)의 프레임은 상기 프리필터(500')와 필터시트(610')를 이미 통과한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 입자를 거르기 위한 활성탄을 함유하는 카본시트 또는 카본패드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는 제1크기(예를 들어 큰 오일방울과 큰 먼지 입자)를 가지는 이물질 입자를 거르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필터시트(610')는 상기 제1크기보다 더 작은 제2크기(예를 들어, 오일 미스트, 수증기, 및/또는 미세먼지)를 가지는 이물질 입자를 거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카본필터(800)는 상기 제2크기보다 작은 제3크기(예를 들어, 냄새 또는 초 미세먼지 또는 오일)를 가지는 이물질 입자를 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본필터(800)는 선택적일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 다른 필터(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과 자외선광을 가지는 광촉매탈취제, 금속 또는 메시스트레이너, 헤파필터, 또는 판지 아코디온 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0271) 프레임(300')은 상기 배면커버(400')에 인접하도록 외부케이스(1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0')은 상기 내부지지대(200') 내에 위치될 수 있고, 도 20에서 도 21b를 참고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프레임(300')은 하나의 팬(310') 또는 상기 공기청정기(1')의 흡입력을 증가시키도록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팬(310')을 수용할 수 있다.
(0272)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에 근거하여 또는 감지된 공기질에 대한 제어기의 결정에 근거하여, 상기 2개의 팬(310')이 다양한 속도의 조합에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연기, 냄새, 그리고 오일 수준이 미리 정해진 제1수준보다 낮으면, 하나의 팬(310')이 동작될 수 있고, 또는 모든 팬(310')이 미리 정해진 제1팬속도 또는 그 이하에서 동작될 수 있다. 만약 연기, 냄새, 그리고 오일 수준이 미리 정해진 제2수준 이상이면, 모든 팬(310')이 미리 정해진 제2속도 또는 그 이상에서 동작될 수 있다. 만약 연기, 냄새, 그리고 오일 수준이 미리 정해진 제1 및 제2 수준 사이의 미리 정해진 제3수준보다 낮으면, 상기 팬(310')의 속도는 평균 팬 속도가 미리 정해진 제3속도이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팬(310')의 제어의 실시는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팬(310')의 갯수 또는 상기 팬(310')의 배치도 제한되지 않는다.
(0273) 상기 배면커버(4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배면에 형성된 배면개구 내에 결합하는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면커버(400')는 상기 팬(310')의 세정 및/또는 수리를 위해 상기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쉽게 당겨져서 분리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배면에 마찰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면커버(4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더 고정되도록 추가적인 자석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배면커버(400')는 증강된 고정성을 위해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나사체결되거나 또는 외부케이스(10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배면커버(400')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다수개의 배출개구와 상기 필터시트(610')의 부분이 통과할 수 있어서 상기 필터 시트(610')를 절단하거나 또는 당겨서 뜯어낸 후에 사용자가 상기 필터시트(610')를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0274) 도 20에서 도 21b를 특히 참고하면, 상기 프레임(300')과 내부지지대(200')의 구성은 도 1에서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된 롤 필터카트리지(200)와 프레임(300)의 구성과 다를 수 있다. 상기 내부지지대(200')는 상기 프리필터(500')를 상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외부케이스(100')로부터 프리필터(500')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레치조립체(23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0')은 상기 필터시트(610')를 풀어내고 또 상기 필터절단기(700')(도 23)와 상기 배면커버(400')의 외부로 필터시트(610')를 공급하는 기어 또는 롤러 조립체(380)를 포함할 수 있다.
(0275) 상기 내부지지대(200')는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보았을 때 손잡이(120)이 없는 외부케이스(100')의 단면과 유사하도록
Figure pat00004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하부 선단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선단 하부부분(103)의 내측에 결합되는 굴곡진 선단 하부부분(206)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하부 후단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후단 하부부분(105)의 내측에 결합되는 굴곡진 후단 하부부분(20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외면은 다수개의 돌출부 및/또는 홈들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면은 상기 내부 지지대(200')의 돌출부 및/또는 홈들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홈들 및/또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내부지지대(2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압입결합되거나 슬라이드되어 들어갈 수 있다.
(0276) 상기 프레임(300'), 상기 카본필터(800), 그리고 롤 필터(600')는 상기 내부지지대(2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0')은 상기 롤필터(600')의 롤러(620')를 지지하는 롤러 부분 또는 지지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620')는 상기 롤러 지지대(37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 지지대(370)의 내측은 상기 롤러(62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홀(622)(도 22)에 삽입되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지지대(370)는 상기 프레임(300')의 선단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또 아랫방향 전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롤러 지지대(370)의 하부는 상기 롤러(620')의 상부부분 주위에 맞도록 곡면으로 될 수 있다.
(0277) 상기 선단 하부부분(206)의 뒤 및/또는 위의 상기 롤 필터프레임(600')의 하부부분은 상기 롤러 지지대(370)와 롤러(62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62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지지대(370)의 외부 곡률은 상기 공간(620a)의 내부 곡률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내측은 측면 홈 또는 측면 공간(621a)을 포함할 수 있고, 또 상기 롤러 지지대(370)의 외부 측면은 상기 측면공간(621a)에 압입결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6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621)는 상기 롤러 지지대(370)의 평평한 핀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0278) 상기 롤러 지지대(370)는 고정된 채 있을 수 있고, 상기 롤러(620')는 축과 홀(622)을 통해 상기 롤러 지지대(370)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롤러 지지대(370)는 측면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돌출부(621)는 상기 롤러(620')의 평평한 핀으로서 역할을 하도록 상기 롤러(62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런 대안에서, 상기 롤러(620') 그 자체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필터시트(610')는 상기 롤러(620')에 장착되지 않을 수 있고 풀려나올 때 상기 롤러(620')의 주위를 자유롭게 슬라이드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0279) 상기 카본필터(800)는 상기 롤리 지지대(370) 위의 부분에서 상기 프레임(300')의 선단에 고정(예를 들어, 압입결합, 스냅결합, 또는 자석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0')은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후단 하부 표면에 의해 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카본필터(800)의 하부는 상기 롤러(620')의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헤드 또는 상부 및 하부 빔(810a,810b)은 상기 카본필터(800')를 지지하도록 상기 프레임(300')의 선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헤드(810b)는 상기 롤러(720')의 회전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인 상기 롤러(610')의 위에 돌출될 수 있다.
(0280) 상기 상부와 하부헤더(810a,810b) 사이에 상기 카본필터(800)가 고정되었을 때, 상기 카본필터(800)의 정면은 상기 필터시트(610')가 연장되는 매끄러운 정면을 제공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헤더(810a,810b)의 정면과 같은 평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의 단부는 상기 롤러 조립체(38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는데, 도 22에서 도 25를 참고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프리필터(500')는 상기 필터시트(610')의 위에 위치될 수 있고, 또 상기 프리필터(500')의 상부는 필터시트(610'), 프레임(300') 그리고 카본 필터(800')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상부 위에 레치결합될 수 있다.
(0281)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상부는 레치조립체(230)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상기 프리필터(500')의 상부부분(504)의 상부의 하부표면 상에 위치된 레치 또는 레치고리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치조립체(230)는 상기 프레임(300') 상에서 회전가능한 기어(231), 상기 기어(231)와 결합하도록 상기 기어(231)의 위에 위치된 내부지지대(200')에 결합된 랙(232), 그리고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상부 측면부분의 홈 또는 통로로 스프링 장착된 상기 랙(232) 위에 위치된 레치(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232)은 상기 레치(233)를 선택적으로 잠금하도록 상기 레치(233)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랙(232)은 제1 및 제2(즉, 폐쇄 및 개방) 랙 위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레치(233)는 상기 제1 및 제2(즉, 폐쇄 및 개방) 레치 위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0282) 상기 레치(233)의 내부 공간은 스프링 또는 탄성부재(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레치(233)의 외면에 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가 상기 레치(233) 상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레치(233)는 아랫방향으로 눌러질 수 있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프리필터(500')상의 하방향 힘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상기 랙(232)은 랙잠금구 또는 랙걸이(232a)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레치(233)가 제1레치 위치에 있도록 상기 레치(233)의 하부 부분(233a)에 형성된 개구 또는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레치(233)가 제1레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랙(232)은 상기 제1랙 위치에서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배면에 더 근접될 수 있다. 상기 랙(232)의 하부는 상기 기어(231)의 치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어(231)가 제1방향(즉, 도 21a 및 도 21b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랙(232)은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후단에서 제1랙 위치로부터 선단을 향해 제2랙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랙걸이(232a)는 상기 레치(233)의 하부 부분(233a)으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다. 상기 레치(233) 내부의 스프링은 제2레치위치로 탄성복원력을 통해 상방향으로 상기 레치(233)를 밀 수 있고, 상기 레치(233)의 상부는 상기 프리필터(500')의 상부부분(504)을 상방향으로 밀 수 있고 또 상기 프리필터(500')를 해제하도록 상기 내부지지대(200')로부터 밀어 분리될 수 있다.
(0284) 상기 프리필터(500')가 상기 레치(233)의 상부에 눌러졌을 때, 상기 레치(233)는 제1레치 위치로 하강할 수 있고, 상기 레치(233) 내부의 스프링은 압축될 수 있다. 상기 기어(231)는 상기 랙(232)이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선단에서 제2랙 위치로부터 상기 후단을 향해 제1랙 위치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제1방향에 반대되는 제2방향(즉, 도 21a 및 21b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랙걸이(232a)는 상기 레치(233)가 제1레치 위치에서 아래로 유지하고 상기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레치의 하부부분(233a)과 결합될 수 있다.
(0285) 도 20에서 도 22를 참고하면,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좌측면 및 우측면 표면은 상기 기어(231), 랙(232) 그리고 레치(233)가 수용되는 공간, 홈, 및/또는 개구의 다양한 조합을 가져서 상기 랙(232)의 전방방향/후방방향 이동과 상기 레치(233)의 수직방향 이동이 상기 외부케이스(100') 내에서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결합과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공간, 홈, 및/또는 개구가 결합되는 방법의 실시는 제한되지 않는다.
(0286) 예로서, 내부지지대(200')의 외측면은 기어홈(231f)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기어베이스(231b)가 상기 기어홈(231f) 내에 안착될 수 있다. 기어잠금구(231a1)가 상기 기어(231)의 내측면(즉, 도 20에서 도 22의 배면)에 형성된 내부 원형 공간 또는 홈에 결합하도록 상기 기어베이스(231b)의 상부부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기어(23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기어잠금구(231a1)는 상기 내부 원형 홈에 남아 있을 수 있다.
(0287) 외부 기어축(231a2)이 상기 기어(231)의 외측면(즉, 도 20에서 도22의 정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면은 기어 및 랙 돌출부(231d)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기어축(231a2)은 상기 기어 및 랙 돌출부(231d)에 형성된 원형홀 또는 홈(231e)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기어(231)는 상기 기어홈(231f)과 기어 및 랙 돌출부(231d)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기어 및 랙 돌출부(231d)는 생략될 수 있고, 또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면은 상기 기어(231)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기어 및 랙 공간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0288) 상기 기어베이스(231b)는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기어공간(231f)은 상기 기어(231)가 회전하도록 추가적인 라운드 또는 곡면부분을 가지는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어베이스(231b) 및/또는 기어 및 랙 돌출부(231d)의 표면들은 매끄럽게 형성되어 상기 기어(231)의 회전을 촉진한다. 상기 기어베이스(231b)와 기어공간(231f)의 형상은 직사각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또 다르게는, 상기 기어베이스(231b)와 기어공간(231f)은 원형일 수 있다.
(0289) L-자형 개구(231c)가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측면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기어공간(231f)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231)는 상기 프레임(300')에 고정될 수 있고 또 상기 기어(231)와 상기 프레임(300')에 결합된 내부 기어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0')의 측면 또는 내면에 상기 기어(231)의 내부 기어축을 회전하도록 모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0')을 상기 내부지지대(200')에 결합할 때, 상기 내부기어축 및/또는 상기 기어(231)의 베이스는 상기 기어잠금구(231a1)가 상기 기어(231)의 내면에 형성된 내부 원형공간 내에 잠금될 때까지 상기 L자형 개구(231c)로 삽입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다.
(0290) 랙공간(232b)이 상기 기어공간(231f)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공간(232b)과 랙(232)은 L자형상을 가질 수 있어서 상기 랙공간(232b)과 상기 랙(232) 각각은 수평부분과 수직부분을 가진다. 상기 랙잠금구(232a)는 상기 랙(232)의 수직 부분으로부터 후방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방향의 돌출부 또는 리브로서 형성될 수 있다.
(0291) 상기 랙공간(232b)의 수평부분은 상기 랙(232)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또 상기 랙공간(232b)의 수직방향부분의 폭 또는 두께는 상기 랙(232)의 폭 또는 두께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랙 공간(232b)의 치수는 상기 랙걸이(232a)를 포함하는, 상기 랙(232)이 상기 랙공간(232b)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랙위치 사이에서 전방방향 및 후방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랙(232)의 수직방향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0292) 제1 및 제2 래치공간(233d,233b)은 상기 래치(233)를 수용하도록 상기 랙공간(232b)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233)는 래치스톱퍼(233c)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래치(233)의 메인몸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방향의 돌출부 또는 리브일 수 있다. 상기 래치(233)의 메인몸체는 상기 제1래치공간(233a)에 수납될 수 있고, 상기 레치스톱퍼(233c)는 상기 제2래치공간(233b)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제1래치공간(233d)의 길이는 상기 래치(233)의 길이보다 더 길어서 상기 래치(233)는 상기 제1 및 제2 래치위치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0293) 상기 제2래치공간(233b)의 길이는 상기 레치스톱퍼(233c)와 레치(233)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치(233)가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밀어졌을 때, 상기 레치스톱퍼(233c)는 상기 제2레치공간(233b)의 상단부에 잡혀질 수 있어서 상기 레치(233)는 상기 내부 지지대(200')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지 않는다.
(0294) 상기 기어와 랙 돌출부(231d)의 형상은 상기 기어공간(231f)과 랙공간(232b)의 형상과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 및 랙 돌출부(231d)는 상기 기어(231)와 랙(232)을 상기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지지대(200') 사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기어공간(231)과 랙공간(232b)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기어 및 랙 돌출부(2312d)는 상기 기어(231)가 회전하고 상기 랙(232)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증가시키고 또 상기 기어(231)와 랙(232)의 이동과 간섭을 방지하거나 줄이기 위해 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0295)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외측면은 추가의 일반적 또는 전체 홈(230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체 홈(230a)은 상기 기어공간(231f), 랙공간(232b),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래치공간(233d,23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체홈(230a)은 상기 기어공간(231f), 랙공간(232b)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래치공간(233d,233b)보다 얕은 홈이어서, 상기 기어공간(231f), 랙공간(232b)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래치공간(233d,233b)은 상기 전체 홈(230a) 내에 형성된 더 깊은 홈이다.
(0296)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측면은 추가의 일반적 또는 전체 돌출부(230b)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체 돌출부(230b)는 상기 기어 및 랙 돌출부(231d)를 포함할 수 있고, 또 상기 기어 및 랙 돌출부(231d)만큼 내측으로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체 돌출부(230a)는 상기 내부지지대(200')를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더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전체 홈(230a)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297) 도 22를 참고하면, 상기 내부지지대(200')는 상기 프레임(300)에 위치된 상기 롤러조립체(38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 홈, 및/또는 개구의 다양한 조합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조립체(380)는 제1기어(381), 제2기어(382), 제3기어(383) 그리고 롤러잠금구 또는 돌출부(3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지지대(200')는 상기 제1기어(381)를 수용하는 제1기어개구(381a), 상기 제2기어(383)를 수용하는 추가적인 제2기어개구(382b)를 가지는 제2기어공간(382a), 그리고 상기 롤러잠금구(384)를 수용하는 잠금홈 또는 잠금공간(384a)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0298) 상기 제1기어개구(381a)는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측면을 관통할 수 있고, 상기 제1기어(381)는 상기 프레임(300')이 상기 내부지지대(2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기어개구(381a)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381)는 상기 제1기어개구(381a)를 관통하지 않으나, 다르게는, 상기 제1기어개구(381a)의 깊이, 위치, 그리고 크기는 상기 제1기어(381)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개구(381a)는 제1레치공간(233d)내에 형성될 수 있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르게는,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내면은 상기 제1기어(381)를 수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제1기어 공간 내에 형성될 수 있고, 또 상기 제1기어개구(381a)는 생략될 수 있다.
(0299) 상기 제1기어개구(381a)는 상기 내부지지대(200')로부터 상기 롤러조립체(380)와 프레임(300')의 분리를 촉진하기 위해 추가의 L-자형 홀 또는 개구(381b)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조립체(380) 및/또는 내부지지대(200')의 내측면은 상기 제1기어개구(381a) 및/또는 상기 L-자형 개구(381b)상에 걸기 위한 추가적인 걸이를 가질 수 있다.
(0300) 도 22를 다시 참고하면,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내측면은 제2기어공간(282a)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공간(382a)은 상기 제2기어(382)가 상기 제2기어공간(382a)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기어(382)의 반경과 같거나 큰 반경을 가지는 원형 또는 반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기어공간(382a)의 내측에 형성된 추가의 제2기어개구 또는 홀(382b)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기어(382)는 상기 제2기어개구(382b)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0301) 롤러잠금구(384)는 상기 프레임(30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또 상기 제3기어(38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상기 롤러잠금구(384)는 상기 제3기어(383) 위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탭과 원형형상을 가지는 노브 또는 록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내부지지대(200')의 내측면은 잠금홈(384a)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롤러잠금구(384)의 노브의 높이 또는 직경과 대응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롤러잠금구(384)의 노브는 상기 내부지지대(200') 내에 상기 프레임(300')의 결합을 촉진하도록 상기 잠금홈(384a) 내로 슬라이드되어 결합될 수 있다.
(0302) 도 23에서 도 25를 참고하면, 상기 롤러조립체(380)는 롤러프레임 또는 롤러턱(388), 제1기어모터(385), 제1롤러(386), 그리고 상기 롤러(620')로부터 필터시트(610')를 당겨내도록 구성된 제2롤러(38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프레임(388)은 상기 프레임(3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고, 또 상기 필터시트(610')가 공급될 수 있는 평평한 상부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
(0303) 상기 제1기어모터(385)는 상기 제1기어(381)를 회전하도록 회전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모터(385)는 상기 프레임(300')의 상부이고 상기 롤러프레임(388)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기어(381)는 상기 제3롤러기어(383)와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롤러에 결합되지는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롤러기어(381)가 제1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3롤러기어(383)는 상기 제1방향에 반대되는 제2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0304) 상기 제3롤러기어(383)는 제2롤러기어(382)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롤러(386)에 결합될 수 있어서 상기 제1롤러(386)가 상기 제3롤러기어(383)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3롤러기어(383)가 제2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롤러기어(382)는 상기 제1롤러기어(381)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0305) 상기 롤러프레임(388)의 상부는 상기 제1롤러(386)를 수용하도록 배면에 위치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롤러(386)가 상기 롤러프레임(388)의 공간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프레임(388)의 상부와 상기 제1롤러(386)의 상부는 같은 표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는 상기 롤러프레임(388)과 제1롤러(386)의 상부 위로 공급될 수 있다.
(0306) 상기 제2롤러(387)는 상기 제1롤러(386)와 접촉하여 제1롤러(386)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386)가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롤러(387)는 제2롤러(387) 및/또는 상기 필터시트(610')에 대한 마찰때문에 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0307) 상기 제2롤러(387)는 필터시트(610')의 공급을 감지하기 위한 추가의 필터시트 센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 센서는 광 또는 레이저센서 또는 무게센서로 실시될 수 있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필터시트 센서가 상기 필터시트(610')가 상기 제1롤러(386) 상에 위치된 것을 감지할 때, 상기 제1기어모터(385)는 상기 제1롤러(386)를 회전하도록 켜져서 상기 제1 및 제2롤러(386,387) 사이로 상기 필터시트(610')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386) 및/또는 제2롤러(387)의 외면은 상기 필터시트(610')를 잡거나 고정하도록 구성된 물질(예를 들어 고무)로 만들어져서 마찰력이 상기 제1롤러(386)와 제2롤러(387)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필터시트(610')를 당길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필터시트(610')의 가장자리 또는 단부를 상기 제2롤러(387)에 접촉하도록 수동으로 위치시킬 수 있고 및/또는 상기 필터시트(610')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도록 제1롤러(386)와 제2롤러(387)의 사이로 상기 필터시트(610')의 가장자리를 삽입할 수 있다.
(0308) 상기 제2롤러(387)는 상기 레치조립체(230)를 통해 상기 프리필터(500')가 해제되었을 때 들어올려지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롤러(387)와 제1롤러(386) 사이에 틈새가 형성될 수 있고 또 상기 필터시트(610')의 단부는 상기 제1롤러(386)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레치(233)는 제3기어(383)와 결합될 수 있고, 이는 상기 필터시트(610')의 공급 동안에 상기 제1롤러(386)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500')가 아래로 눌러지고 상기 레치조립체(230)를 통해 상기 필터프레임(300')에 레치결합되었을 때, 상기 프리필터(500')는 상기 틈새를 닫도록 상기 제2롤러(387) 상에 아래로 눌러질 수 있고 상기 제1롤러(386)와 제2롤러(387) 사이에 상기 필터시트(61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치(233)는 상기 제3기어(383)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서 상기 제1롤러(386)는 상기 제1기어모터(385)와 제1기어(381)를 통해 회전하는 것이 자유롭다.
(0309) 상기 제2롤러(387)의 상승의 실시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롤러(387)는 상기 롤러프레임(388)의 사이드프레임(388a)에 힌지결합된 힌지(387a)를 통해서 상기 롤러프레임(388)에 추가적으로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387a)는 상기 필터시트(610')가 위치하게 상기 제1롤러(386)와 제2롤러(387) 사이의 틈새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롤러(387)를 당겨 올림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2롤러(387)는 상기 틈새를 닫도록 아래로 눌러질 수 있고 상기 제1롤러(386)와 제2롤러(387) 사이에 상기 필터시트(610')를 고정할 수 있다. 추가적인 모터가 상기 사이드프레임(388a)에 대해 상기 힌지(387a)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하여 상기 제2롤러(387)의 들어올림이 필터시트센서에 근거하거나 상기 레치조립체(230)를 통해 상기 프리필터(500')의 해제에 근거하여 제어될 수 있다.
(0310) 다른 예로서, 상기 레치조립체(230)를 통한 프리필터(500')의 결합과 유사하게, 상기 제2롤러(387)는 상기 필터프레임(300')에 레치잠금되고 또 해제되도록 상기 필터프레임(300')의 상부에 탄성력을 가진 채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힌지(387a)는 상기 프리필터(500')가 탄성부재를 압축하도록 닫혔을 때 탄성부재를 아래로 누를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프리필터(500')의 해제 시 또는 해제 후에 풀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힌지(387a)는 생략될 수 있고, 상기 제2롤러(387)는 스프링을 아래로 밀고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을 통해 해제하도록 상기 사이드프레임(388a)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는다.
(0311) 상기 필터절단기(700')는 상기 제1롤러(386)와 제2롤러(387)를 통해 상기 필터시트(610')가 공급된 후에 상기 필터시트(610')를 절단하도록 상기 제2롤러(387)의 하부 후단에 위치될 수 있다. 클램프조립체 또는 프레임(750')은 절단작업 동안에 상기 필터시트(61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필터절단기(700')의 후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조립체(750')는 상기 롤러프레임(388)의 사이드프레임(388a)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램프조립체(750')는 다르게는 상기 프레임(300')의 상부 후단에 결합될 수 있다.
(0312) 상기 클램프조립체(750')는 상기 배면커버(400')에 있는 슬릿을 향해 상기 필터시트(610')가 공급될 수 있는 슬릿(750a)을 가질 수 있다. 필터절단기(700'), 제1 및 제2롤러(386,387), 그리고 클램프조립체(750')의 위치는, 상기 필터시트(610')가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386,387), 상기 롤러프레임(388)과 필터절단기(700') 사이, 그리고 상기 클램프조립체(750')의 슬릿(750a)을 통과해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서, 상기 필터절단기(700')는 상기 제2롤러(387) 또는 상기 힌지(387a)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2롤러(387)가 들어 올려졌을 때, 상기 필터절단기(700')(또는 다르게는 그의 일부)가 들어 올려질 수 있고, 또 상기 필터시트(610')는 상기 필터절단기(700')의 하부(또는 다르게는, 통과해서)로 공급될 수 있고 또 프리필터(500')가 닫히면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0313) 상기 필터절단기(700')는 도 1에서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된 필터절단기(700)와 유사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필터절단기(700')는 상기 필터시트(610')를 절단하기 위한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터절단기(700')는 상기 좌측면과 우측면 사이의 상기 필터시트(610')를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상기 롤러프레임(388)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조립체(750')는 도 1에서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된 클램프(750)와 유사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조립체(750')는 힘의 수평방향 작용 시에 아래방향으로 눌러지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경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필터절단기(700')와 클램프조립체(750')의 실시는 제한이 없다. 다르게는, 상기 필터시트(610')가 뜯어지는 것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천공 또는 작은 절단점선(tears)을 포함하면, 상기 필터절단기(700')는 생략될 수 있다. 이런 실시례에서, 상기 클램프조립체(750')는 절단동안 상기 필터시트(610')를 아래로 누르도록 제공될 수 있고, 또는 다르게는, 종이수건 또는 사란포장(saran wrap)의 조각을 뜯는 것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상기 필터시트(610')를 수동으로 찢거나 다른 지지대(예를 들어 상기 필터시트(610')가 배출될 수 있는 슬롯을 형성한 배면커버(400')의 일부)에 대해 상기 필터시트(610')를 잡을 수 있어서, 상기 클램프조립체(750')가 생략될 수 있다.
(0314) 상기 프레임(300')은 각각의 팬(310')(도 17)을 동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모터(310b)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10b)의 숫자는 상기 팬(310')의 숫자와 같을 수 있고, 또 도 25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모터(310b)가 2개의 팬(310')(도 17)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터(310b)들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300')의 외부를 형성하는 외부케이싱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터(310b)는 상기 팬(310')을 향하는 공기유동이 차단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310b)는 상기 필터시트(610')가 상기 팬하우징(300')의 상부와 상기 케이스(100') 상부의 하부 사이에 있도록 상기 모터(310b) 위로 안내되게 상기 롤러조립체(380)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0315) 도 1에서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된 상기 필터절단기(700)에 대한 대안으로서, 더 간단한 설계는 상기 프레임(300)의 필터절단기(700)를 생략하고 또 대신에 상기 배면커버(400)의 슬릿(420)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된 톱니모양의 면도날 또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톱니모양의 블레이드는 아랫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슬릿(420)의 상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가 풀려나왔을 때, 톱니모양 블레이드를 가지는 판지 박스로부터 알루미늄 호일 또는 플라스틱 랩의 조각을 뜯어 내는 것과 유사하게, 사용자는 상기 슬릿(420)내에 있는 톱니모양 블레이드에 대해 상방으로 상기 필터시트(610)를 당김에 의해 상기 필터시트(610)의 그 부분을 뜯어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필터시트(610)는, 종이수건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간단하게 필터시트(610)를 뜯어내도록 특정한 위치에서 사전 절단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필터시트(610)를 수동으로 잘라내도록 가위 또는 다른 절단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롤러모터(221)에 대한 대안으로서, 더 단순한 설계는 상기 롤러모터(221)를 생략할 수 있고, 또 사용자는 상기 배면커버(400)의 외부로 늘어져 있는 필터시트(610)의 일부를 당김에 의해 상기 필터시트(610)를 수동으로 풀어낼 수 있다.
(0316) 팬(310, 310')의 숫자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300')의 중앙에 위치된 하나의 팬(310')이 있을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된 2개의 팬(310'), 좌우방향으로 또는 수직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된 3개의 팬(310')이 있을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각각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팬(310')을 가지고 전후방향으로 적층된 2개 또는 그 이상의 프레임(300')이 있을 수 있다.
(0317) 도 17에서 도 19를 참고하여 설명된
Figure pat00005
-형상의 외부케이스(100')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사다리꼴 형상 또는 곡면으로 된 입방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정면은 직사각형 모양의 프리필터(500')를 수용하는 상대적으로 평평하거나 수직방향 정면개구를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또는 이에 더해, 상기 프리필터(500')는 직사각형 그릴과 상기 프리필터(500')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직사각형 그릴로부터 전방 및 외부로 연장하는 외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배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후방으로 경사진 경사진 배면개구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배면커버(4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결합했을 때 바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0318) 공기청정기(1,1')의 상기 베이스(110,110')는 다르게는 전기플러그를 통해 외부의 상업적 전원에 의해 직접 구동될 수 있고, 또 무선충전패드(예를 들어, 무선충전패드(2))는 생략될 수 있다.
(0319) 롤 필터카트리지(200)에서 롤러(620)의 결합의 실시에 대한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롤러(620)는 상기 롤 필터카트리지(200)의 하부에 위치된 케이스 또는 용기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필터시트(610)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 또는 리드에 있는 슬릿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롤러(620)는 상기 케이스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고, 이는 상기 필터시트(610)가 당겨졌을 때 상기 롤러(62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0320) 상기 랙(34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블레이드하우징(704)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기 블레이드하우징(704)의 단차진 부분은, 매우 작은 틈새를 두면서 상기 랙(340)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실시례에서, 상기 단차진 부분은 주로 상기 블레이드하우징(704)의 무게중심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0321) 상기 필터시트(610')의 오염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시간, 요리빈도, 필터색상, 또는 기류 차이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기 롤센서(600)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센서가 있을 수 있고, 상기 무게가 미리 정해진 양 또는 그 이상 증가되었을 때, 상기 제어기는 미리 정해진 오염 수준에 도달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
(0322) 상기 클램프(750)는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하나의 단순한 실시로서, 상기 클램프(750)는 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 형성된 랙 또는 치를 가지는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가 상기 랙과 결합하도록 상기 프레임(300)의 좌측면 및/또는 우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가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블럭은 상기 틈새(g)를 형성하도록 상승될 수 있다. 상기 기어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블럭은 상기 틈새(g)를 닫도록 하강될 수 있다. 이런 클램프(750)는 스프링, 턱, 그리고 특수한 형상을 가지는 유지블럭 또는 웨지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기어는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거나 다르게는 모터를 통해 자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0323) 다른 단순한 예로서, 상기 클램프(750)는 홀펀치와 유사하게 실시될 수 있고 레버와 스프링을 가지는 턱 상에 안착되도록 제3층(730)과 같은 형상으로 된 유지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유지블럭을 하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레버를 누를 수 있다. 닫힘 상태에 유지되도록 레치가 상기 클램프(750)와 참금될 수 있고, 또 틈새(g)를 형성하고 상기 레치가 잠금해제되도록 상기 클램프(750)를 개방하고, 또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이 상기 유지블럭 또는 플레이트를 상방으로 밀 수 있다.
(0324) 다른 예로서, 상기 클램프(750)는 스프링과 턱 상에 안착되는 유지블럭과 상기 유지블럭을 아래로 이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로 균일하게 아랫방향 힘이 가해지도록 2개의 피스톤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이 상기 유지블럭을 아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때,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이 상기 틈새(g)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유지블럭을 상방으로 들 수 있다.
(0325) 유사하게, 상기 클램프(750)는 스프링과 턱상에 안착되는 유지블럭과 상기 유지블럭과 접촉하도록 회전되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은 타원형 또는 편심될 수 있다. 상기 유지블럭의 상부 표면과 평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있는, 캠축이 상기 캠의 일측(즉, 긴 쪽)이 상기 캡의 반대측(즉, 짧은 쪽)보다 길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캠은 회전될 수 있어서 상기 긴 쪽이 상기 유지블럭과 접촉하고 또 상기 유지블럭을 상기 필터시트를 유지하고 상기 틈새(g)를 닫도록 아래로 밀 수 있다. 상기 클램프(750)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긴 쪽이 상기 유지블럭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위치로 상기 캠은 180도 회전될 수 있고, 또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은 상기 캠의 짧은 쪽과 접촉하고 또 상기 틈새(g)를 형성하도록 상방으로 유지블럭을 밀 수 있다. 상기 필터시트(610)에 아랫방향 힘을 균일하고 분산되어 유지하도록 위상이 회전되는 2개의 캠이 제공될 수 있다.
(0326) 아랫방향 운동시에 압축되는 스프링을 가지는 클램프(750)의 실시례는 상기 스프링의 휴식 또는 중립상태에서, 상기 틈새(g)를 형성하도록 개방위치에 남아 있는다. 이러한 실시례에 대한 대안으로서, 스프링과 유지블럭의 위치는 상기 유지블럭이 틈새(g)를 형성하도록 들어올려졌을 때, 상기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나서 상기 틈새(g)를 닫기 위해 상기 유지블럭이 해제되며,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이 상기 틈새(g)를 닫는다. 이런 대안적인 실시례에서, 상기 클램프(750)의 중립 또는 초기 상태는 개방위치 대신에 폐쇄위치일 수 있다.
(0327) 상기 클램프(750)의 다른 구현은 쐐기 같은 형상의 제1 및 제2층(710,720)을 가진 실시와 더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제1층(710)의 치(711)와 결합하는 클램프기어(742)를 가지는 대신에, 제1층(710)의 더 얇은 단부는 무딘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스프링(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1층(710)의 더 두꺼운 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노브, 버튼, 또는 손잡이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부로 돌출하는 제1층(710)의 더 두꺼운 단부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노브, 버튼, 또는 손잡이는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750)를 하강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제1노브를 누를 수 있고, 이는 상기 제1층(7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을 압축한다. 상기 제1층(710)을 그 자리에 잠그는 레치 또는 잠금구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클램프(750)를 상승하도록, 상기 레치는 해제될 수 있고, 또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은, 상기 제3층(730)이 틈새(g)를 형성하도록 상승하면서, 상기 제1층(710)을 그 초기위치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0328) 상기 클램프(750)의 실시례들은 제한되지 않고 유압펌프, 피스톤, 캠, 모터, 랙과 피니언, 기어, 그리고 선형 엑츄에이터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0329) 구성요소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 상에 있는 것으로 설명될 때, 상기 구성요소 또는 층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 상에 직접 있을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을 개재한 상태로 있을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구성요소나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상에 직접적으로 있다고 설명될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나 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하여 나열된 항목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0330) 비록,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용어에 의해 이들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부분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부분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제1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제2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0331) "하부", "상부"와 같은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에 대한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특징의 관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여기서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에 추가해서, 사용상 또는 동작상 그 장치의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의도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장치가 뒤집어지면,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에 대해서 "하부"로서 설명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에 대해서 "상부"로 위치될 것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 "더 낮은(lower)"은 상부 방향 및 하부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다르게 향하도록 위치(90도 회전되거나 다른 방향으로) 될 수 있어 여기서 사용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설명은 다르게 해석된다.
(0332) 여기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할 의도는 아니다. 여기에서 사용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설명되지 않는 항,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특징, 정수, 단계, 연산, 구성요소, 및/또는 구성의 존재를 특정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연산, 구성요소, 및/또는 구성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0333) 개시된 실시례는 이상적인 실시례(및 중간구조)의 도식적 개시인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조기술 및/또는 공차의 결과로서 도시된 형상으로부터의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례는 여기에 개시된 영역의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를 들어 제조에 기인한 형상에 있어서의 변경이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0334)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공통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범위 내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또 여기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은 이상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0335) 이 명세서에서 "일 실시례", "실시례", "예시적인 실시례" 등의 언급은 그 실시례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례에 포함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곳에서 이런 어구가 나타나는 것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례를 모두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어떤 실시례와 관련해서 설명될 때, 실시례들 중의 다른 하나와 관련해서 그런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나타내도록 당업자의 이해의 범위 내에서 제출된다.
(0336) 비록 실시례들이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다른 많은 변경과 실시례들이 이 개시의 원리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도록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개시, 도면 및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조합 구성의 구성요소 및/또는 구성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추가로, 당업자에게 구성요소 부분 및/또는 배열, 대안적인 사용에서 변형 및 수정이 명백할 것이다.
1,1': 공기청정기 2: 충전패드
100: 외부케이스 110: 베이스
120: 손잡이 131: 통지
131A: 전원통지 131B: 배터리통지
131C: 팬 속도 통지 131D: 개방 통지
131E: 교체 통지 131F: 롤 필터 통지
131G: 카본 필터 통지 200: 롤 필터 카트리지
201: 하부롤러 202: 제2브라켓
202b: 벽 203: 제1브라켓
203b: 벽 204: 프레임
210: 선단커버 220: 기어조립체
221: 롤러모터 222: 롤러기어
223: 축 224: 제2롤러(하부롤러)
225: 제1롤러(상부롤러) 230: 레치조립체
230b: 전체 홈 231: 기어
231b: 기어베이스 231c: L자형개구
231a2: 외부기어축 231d: 기어 및 랙 돌출부
231f: 기어공간 232: 랙
232a: 랙걸이 232b: 랙공간
233: 레치 233a: 레치의 하부
233b: 제2레치공간 233c: 레치스톱퍼
233d: 제1레치공간 250: 지지대
300,300': 프레임 310: 팬
320: 개구 330: 턱
330a: 개구 340: 랙
350: 빔 360: 돌출부
380: 롤러조립체 381: 제롤러기어
381a: 제1기어개구 381b: L자형 개구
382: 제2롤러기어 382a: 제2기어공간
382b: 제2기어공간 383: 제3롤러기어
384: 롤러잠금구(돌출부) 384a: 잠금홈
385: 제1기어모터 386: 제1롤러
387: 제2롤러 387a: 힌지
388: 롤러프레임 388a: 사이드프레임
400, 400': 배면커버 410: 배출구
420: 슬릿 500,500': 흡입그릴
501: 중앙개구 502: 중앙부분
503: 하부부분 504: 상부부분
600: 롤 필터 610: 필터시트
700: 필터절단기 701a: 베이스
701b: 캡(커버) 702: 블레이드모터
703: 블레이드기어 704: 블레이드하우징
710: 제1층 711: 치
720: 제2층 730: 제3층
730a: 개구 740: 클램프커버
741: 클램프모터 742: 클램프기어
750: 클램프 755: 턱
760: 판스프링 800,800': 카본필터
810a: 상부헤더 810b: 하부헤더

Claims (21)

  1.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입구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출구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팬;
    롤러와 상기 롤러 주위에 감겨진 필터시트를 포함하는 롤 필터;
    상기 롤러로부터 상기 필터시트를 풀어내도록 구성되는 필터가이드;
    상기 필터시트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클램프;
    상기 필터시트의 나머지로부터 상기 필터시트의 부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필터시트가 상기 필터가이드에 의해 안내되어 오는 필터절단기;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제스쳐(gesture)를 감지하기 위한 모션센서를 가지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팬의 속도는 상기 모션센서에 의해 감지된 것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입구는 상기 케이스의 선단에 위치되며, 상기 출구는 상기 선단에 반대되는 상기 케이스의 후단에 위치되는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상기 입구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그릴은 분리가능하도록 자석이나 레치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고정되는 공기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을 구동하기 위한 제1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이 꺼지고 상기 모션센서가 상기 모션센서를 가로지르는 손짓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제1모터는 상기 팬을 제1속도로 회전하도록 켜지는 공기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이 제1속도로 회전하고 상기 모션센서가 상기 모션센서를 가로지르는 손짓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제1모터는 상기 팬을 상기 제1속도보다 큰 제2속도로 회전하는 공기청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이드가 상기 필터롤러로부터 상기 필터시트를 풀어내도록 안내하기 전에 상기 클램프는 해제되고;
    상기 필터가이드가 상기 필터 롤러로부터 상기 필터시트를 풀어낼 때, 상기 필터시트의 풀어내어진 제1부분은 상기 팬과 입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필터시트의 풀어내어진 제2부분은 상기 필터가이드를 통과하며;
    상기 필터가이드가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필터시트를 풀어낸 후에,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필터시트를 눌러 유지하고 상기 필터절단기는 상기 필터시트로부터 풀려나온 제2부분을 분리하는; 공기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시트의 풀어내어진 제1부분의 오염수준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사용자의 입력을 허용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터치센서;
    상기 필터가이드를 동작하는 제2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필터시트의 풀어내어진 제1부분이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이라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버튼이 눌러졌을 때, 상기 클램프는 해제되고, 상기 제2모터는 상기 필터가이드가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롤러 필터를 풀어내도록 동작하며, 또 미리 상기 롤러의 주위에 감겨진 상기 필터시트의 부분은 풀어내어진 제1부분으로 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양은 상기 풀어내어진 제1부분이 상기 풀어내어진 제2부분이 되도록 상기 필터가이드를 통과하는 양을 반영하는 공기청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절단기를 동작하는 제3모터와 상기 클램프를 동작하는 제4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모터는;
    동작 후에 상기 제2모터가 정지되고;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롤필터가 풀어내어지고;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버튼이 눌러지는 것중 적어도 하나가 이루어졌을 때 상기 필터시트를 상기 클램프가 눌러서 유지하게 자동적으로 동작되며:
    상기 제4모터가 동작 후에 정지되었을 때;
    동작 후에 상기 제2모터가 정지된 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을 때;
    미리 정해진 양만큼 상기 롤필터가 풀어내어진 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 또는
    모션센서에 의해 손짓이 감지되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버튼이 눌러지는 것중 적어도 하나였을 때,
    상기 제3모터는 상기 풀어내어진 제2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필터절단기가 상기 필터시트를 가로질러 이동하도록 자동적으로 동작되는: 공기청정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동작은 상기 필터가이드의 동작 또는 상기 필터절단기가 시작되기 전에 자동적으로 정지되는 공기청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필터 오염수준, 공기질, 팬 속도, 또는 풀어내어진 롤 필터의 양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1. 좌측벽,
    상기 좌측벽에 반대되는 우측벽,
    상기 좌측벽과 우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정면,
    상기 정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공기 입구,
    상기 좌측벽과 우측벽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정면에 반대되는 배면,
    상면,
    상기 상면에 반대되고 평면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배면, 좌측벽, 우측벽, 또는 상면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공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공기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출구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팬;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일 미스트를 거르도록 상기 팬과 공기입구 사이에 위치되는 필터; 그리고
    상기 공기입구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팬과 필터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그릴;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위치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패널,
    상기 패널 상에 팬속도, 필터의 오염수준, 그리고 상기 필터의 교체안내를 표시하도록 위치되는 다수개의 통지;
    상기 통지를 선택적으로 조명하기 위한 다수개의 엘이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제스쳐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모션센서; 그리고
    누름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터치센서;를 가지고, 상기 팬의 속도는 상기 모션센서에 의해 감지된 패널을 가로지르는 손짓의 횟수에 근거하여 증가되는 공기청정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레치는 누름을 감지하는 버튼 또는 터치센서에 근거하여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그릴을 해제하도록 개방되는 공기청정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그릴을 자력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그릴 또는 케이스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입구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릴은 정면부분과 상기 정면부분으로부터 굽어져 상기 그릴이 전체 공기입구를 덮도록 하는 상부부분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좌측벽과 우측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정면부분을 가지고, 상기 그릴은 정면부분과 상기 정면부분으로부터 굽어지고 상기 베이스의 정면부분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된 하부부분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롤러와 상기 롤러 주위에 감아진 필터시트를 가지는 롤필터이고;
    상기 롤러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필터시트는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나오고;
    상기 필터시트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필터시트가 상기 팬과 공기입구 사이에 있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향해 상기 롤러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필터시트는 상기 공기개구의 폭과 같거나 더 큰 폭을 가지고, 상기 필터시트와 공기입구의 폭이 상기 좌측벽으로부터 상기 우측벽으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필터의 풀어내기는 상기 모션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손 제스쳐 또는 상기 버튼 또는 터치센서에 의해 감지된 누름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공기청정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된 슬릿, 상기 롤러로부터 상기 필터시트를 풀어내도록 구성되는 필터가이드, 그리고 상기 슬릿을 통과한 필터시트의 부분이 폐기되도록 상기 필터시트의 나머지로부터 상기 필터시트의 일부를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필터절단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9. 정면과 상기 정면에 반대인 배면, 상기 정면에 형성된 입구, 출구, 그리고 평면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하면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정면과 배면 사이에 위치되는 프레임;
    상기 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출구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위치되는 팬;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일 미스트를 거르도록 상기 팬과 입구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일부를 가지는 필터;
    상기 오일미스트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오일 방울을 거르고 상기 입구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그릴;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필터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그릴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레치; 그리고
    상기 팬을 켜고, 상기 팬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그릴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레치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지시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팬의 속도는 상기 모션센서가 미리 정해진 제1제스쳐를 감지할 때 미리 정해진 속도량 만큼 증가되는 공기청정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오염수준을 감지하기 위한 필터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롤러 주위에 감겨진 필터시트를 가지는 롤필터이고, 또 상기 필터시트는 상기 필터센서가 미리 정해진 오염수준 또는 그 이상을 감지했을 때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롤러를 풀어내라는 사용자 지시를 감지했을 때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상기 롤러로부터 풀려나오는 공기청정기.
KR1020200093354A 2019-10-28 2020-07-27 공기청정기 KR20210052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021,015 US11865485B2 (en) 2019-10-28 2020-09-15 Air cleaner with rollable filter
US17/021,057 US11772027B2 (en) 2019-10-28 2020-09-15 Air cleaner with user interface
US17/021,040 US11654389B2 (en) 2019-10-28 2020-09-15 Air cleaner with cutter
US17/020,995 US11826686B2 (en) 2019-10-28 2020-09-15 Portable air cleaner for kitchen
US17/020,975 US20210121811A1 (en) 2019-10-28 2020-09-15 Air cleaner for oil and other contamin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27088P 2019-10-28 2019-10-28
US62/927,088 2019-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184A true KR20210052184A (ko) 2021-05-10

Family

ID=75916738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356A KR20210052185A (ko) 2019-10-28 2020-07-27 공기청정기
KR1020200093354A KR20210052184A (ko) 2019-10-28 2020-07-27 공기청정기
KR1020200093359A KR20210052186A (ko) 2019-10-28 2020-07-27 공기청정기
KR1020200093367A KR20210050438A (ko) 2019-10-28 2020-07-27 공기청정기
KR1020200093355A KR20210050437A (ko) 2019-10-28 2020-07-27 공기청정기
KR1020200141072A KR20210050477A (ko) 2019-10-28 2020-10-28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356A KR20210052185A (ko) 2019-10-28 2020-07-27 공기청정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359A KR20210052186A (ko) 2019-10-28 2020-07-27 공기청정기
KR1020200093367A KR20210050438A (ko) 2019-10-28 2020-07-27 공기청정기
KR1020200093355A KR20210050437A (ko) 2019-10-28 2020-07-27 공기청정기
KR1020200141072A KR20210050477A (ko) 2019-10-28 2020-10-28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202100521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846B1 (ko) * 2021-06-08 2022-07-28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스마트센싱 유해가스 정화기
KR102496207B1 (ko) * 2021-12-22 2023-02-07 주식회사 지템퍼러쳐 식물필터 및 공기정화를 위한 롤타입 공기정화장치
CN115296165B (zh) * 2022-07-22 2023-09-26 江苏扬天智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散热结构的弱电智能化控制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482A (ko) 2003-07-08 2005-01-19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웨이퍼 상의 파티클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100582006B1 (ko) 2002-08-07 2006-05-23 가부시키가이샤 오덴 탁상 공기 청정기
KR200484435Y1 (ko) 2017-05-08 2017-09-06 이길순 음이온 방출량이 많고 방출되는 음이온의 확산이 빠르며 물세척이 용이한 착탈식 소형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356B1 (ko) 2012-05-10 2014-07-02 심기섭 필터 자동교체 환기 유닛 및 이를 갖는 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006B1 (ko) 2002-08-07 2006-05-23 가부시키가이샤 오덴 탁상 공기 청정기
KR20050007482A (ko) 2003-07-08 2005-01-19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웨이퍼 상의 파티클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200484435Y1 (ko) 2017-05-08 2017-09-06 이길순 음이온 방출량이 많고 방출되는 음이온의 확산이 빠르며 물세척이 용이한 착탈식 소형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186A (ko) 2021-05-10
KR20210050437A (ko) 2021-05-07
KR20210052185A (ko) 2021-05-10
KR20210050477A (ko) 2021-05-07
KR20210050438A (ko)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21808A1 (en) Air cleaner with rollable filter
KR20210050477A (ko)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US11573010B2 (en) Self-cleaning kitchen hood
KR200475439Y1 (ko) 자동 튀김기
CN100510560C (zh) 空气净化装置
KR101611026B1 (ko) 공기 청정기
KR200473034Y1 (ko) 튀김기의 승강유닛
KR20210050429A (ko) 주방용 후드
KR20060111999A (ko) 공기청정기
CN201791433U (zh) 空气净化器
KR102641694B1 (ko) 주방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시스템
KR101076957B1 (ko) 공기청정기
KR20060112491A (ko) 공기청정기
KR200473030Y1 (ko) 자동 튀김기용 필터장치
JP4876590B2 (ja) 空気調和機
KR102116570B1 (ko) 공기 청정기
KR20120050696A (ko) 벽걸이형 장치구조물
EP4092332B1 (en) Portable hood
KR102323338B1 (ko) 가습공기 청정기의 제어장치
KR20070096701A (ko) 공기청정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1689174B1 (ko) 에어워셔의 제어방법
KR101158577B1 (ko) 공기청정기
KR20060112757A (ko) 공기청정기
SE2150592A1 (en) Leg arrangement for table purifier
KR20190088868A (ko) 가습 공기청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