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665A - 운동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운동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665A
KR20210051665A KR1020190137220A KR20190137220A KR20210051665A KR 20210051665 A KR20210051665 A KR 20210051665A KR 1020190137220 A KR1020190137220 A KR 1020190137220A KR 20190137220 A KR20190137220 A KR 20190137220A KR 20210051665 A KR20210051665 A KR 20210051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umbbell
exercise
cov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보
Original Assignee
노승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승보 filed Critical 노승보
Priority to KR1020190137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1665A/ko
Publication of KR2021005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축봉과 중량체를 구비한 덤벨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덤벨의 봉이 결합되도록 개폐되는 덮개와 하우징으로 구성된 본체; 상기 덮개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를 회전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를 회전시킨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힌지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덤벨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덤벨에 장착하여 케틀벨로 사용될 수 있거나 랙, 바벨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홈트레이닝, 피트니스클럽, 필라테스 클럽에서 최소한의 공간으로 다양한 운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의 효과도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보조기구{Exercise Assist Apparatus}
본 발명은 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덤벨, 랙, 바벨 등에 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벨은 짧은 축봉의 양단에 중량체가 형성되어 이두근, 삼두근의 단련에 주로 사용되는 운동기구이다.
덤벨의 축봉과 중량체가 분리 가능한 구조이거나 또는 축봉과 중량체가 일체로 주조된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대개는 덤벨은 중량별로 다수 종류가 제공되고 있다.
한편 케틀벨은 근래들어 각광받고 있는 중량 운동기구이며, 주조 성형된 금속재의 중량체와, 중량체의 상부에 고리 형상으로 된 파지부로 이루어진다.
케틀벨은 바벨이나 덤벨과는 달리 무게 중심이 손 바깥에 있어 같은 무게라도 신체에 걸리는 부하의 포인트가 전혀 다른 것은 물론, 원심력을 이용하여 몸 전체를 사용하는 운동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느껴지는 압력이 무게에 비해 높고, 기구 하나로 전신을 단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무산소 운동과 유산소 운동으로 따로 구분하여 시행하는 기존의 웨이트 트레이닝에 비해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대개의 경우는 덤벨과 케틀벨을 각기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이들을 보관하는 장소도 필요하게 된다.
한국 실용신안출원 20-2000-0004827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덤벨에 장착하여 케틀벨로 사용되거나 랙, 바벨에 장착하여 그립 서포터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축봉과 중량체를 구비한 덤벨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덤벨의 봉이 결합되도록 개폐되는 덮개와 하우징으로 구성된 본체; 상기 덮개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운동보조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를 회전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를 회전시킨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힌지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관통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핀와, 복수의 걸림핀 상부에 부착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핀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도록 본체의 상부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는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후크와, 상기 덮개에 형성되며 상하로 승강되면서 상기 고정후크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걸림후크와, 덮개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후크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가속도센서와, 상기 가속도센서에 연결되어 스윙 동작을 숫자로 계산하는 카운터부를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출하는 무선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송신부와 연동되어 횟수, 시간, 소비 열량을 산출하여 표시하는 액정표시부가 구비된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덤벨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덤벨에 장착하여 케틀벨로 사용될 수 있거나 랙, 바벨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홈트레이닝과 피트니스센터 등에서 최소한의 공간으로 다양한 운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비용 절감의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를 덤벨에 장착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의 힌지고정부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대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핸들부를 본체에 대해 90도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를 랙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를 바벨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를 덤벨에 장착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의 힌지고정부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대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핸들부를 본체에 대해 90도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를 랙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를 바벨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A)는, 축봉(120)과 중량체를 구비한 덤벨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덤벨의 봉(120)이 결합되도록 개폐되는 덮개(22)와 하우징(24)으로 구성된 본체(2); 덮개(22)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부(4); 상기 본체(2)의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는 덮개(22)와 하우징(24)이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덤벨의 봉(120)이 삽입되도록 각 덮개(22)와 하우징(24)에는 반원형의 요홈(251,252)이 대칭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22)와 하우징(24)을 서로 맞대어 결합시킴으로써 본체(2)가 조립되고, 각기 요홈(251,252)이 맞대어져 원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요홈(251,252)이 맞대어져 형성된 결합공(25)은 덤벨의 봉(120)의 직경 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견고한 결합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요홈(251,252)의 내주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또는 패드가 더 부착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록킹부(4)는 하우징(24)에 형성된 고정후크(42)와, 상기 덮개(22)에 형성되며 상하로 승강되면서 상기 고정후크(42)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걸림후크(44)와, 덮개(22)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후크(44)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는 노브(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브(46)를 상부로 밀면 걸림후크(44)가 상승하게 되어 고정후크(42)와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됨으로써 덮개(22)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덮개(22)를 닫은 후 노브(46)를 하강하면 걸림후크(44)가 하강하게 되어 고정후크(42)와 맞물림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덮개(22)는 노브(46)를 조작하기 전에는 어떠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절대 열리지 않는다.
또한 핸들부(6)를 회전시키는 힌지부(7)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6)를 회전시킨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힌지고정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고정부(8)는 본체(2)의 상부에 관통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핀(82)과, 복수의 걸림핀(82)의 상부에 부착된 레버(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버(84)는 걸림핀(82)의 상단에 형성되어 대략 'T'자 형상이 된다.
걸림핀(82)의 외주면에 스프링(83)이 결합되어 신축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핀(82)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도록 본체(2)의 상부에 결합공(27a,27b)이 형성된다.
결합공(27a,27b)의 본체(2)의 상부에 대략 4개가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다.
각 결합공(27a,27b)은 90도 간격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열 형성된다(도 3 및 도 4 참조).
따라서 힌지고정부(8)의 레버(84)를 상부로 당기면 2개의 걸림핀(82)이 결합공(27a)( 이들 결합공(27a)은 본체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들임)으로부터 이탈되어 해제된 상태가 될 수 있고, 이렇게 해제된 상태에서 핸들부(6)를 회전시키면 힌지부(7)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90도 회전시켜 레버(84)를 놓으면 스프링(83)의 탄성에 의해 걸림핀(82)이 하강하여 다른 결합공(27b)에 끼움결합되어 회전된 각도로 고정 유지될 수 있다(도 4 및 도 6 참조).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A)를 2개 또는 복수개를 랙(200)에 장착하여 턱걸이를 할 수 있고, 핸들부(6)의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근육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어 턱걸이 운동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보조기구(A)를 바벨봉(300)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데드리프트 또는 바벨 로우 운동시 핸들부(6)의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근육을 사용할 수 있어 운동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2)에 구비되는 가속도센서(미도시)와, 가속도센서에 연결되어 스윙 동작을 숫자로 계산하는 카운터부(미도시)를 구비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출하는 무선송신부;가 구비된다.
무선송신부는 와이파이, 지그비 등의 각종 무선 송출 수단을 적용하는 것으로, 카운팅된 횟수를 외부로 송출하게 된다.
한편 무선송신부와 연동되어 횟수, 시간, 소비 열량을 산출하여 표시하는 액정표시부가 구비된 단말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스마트워치,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따라서 케틀벨 운동을 하는 동안 자신의 운동시간, 소비열량, 횟수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어 운동 효과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본체 4 : 록킹부
6 : 핸들부 7 : 힌지부
8 : 힌지고정부 22 : 덮개
24 : 하우징 25 : 결합공
42 : 고정후크 44 : 걸림후크
46 : 노브

Claims (6)

  1. 축봉과 중량체를 구비한 덤벨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덤벨의 봉에 결합되며, 개폐되는 덮개와 하우징으로 구성된 본체;
    상기 덮개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를 회전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를 회전시킨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힌지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관통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핀과, 복수의 걸림핀 상부에 부착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핀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도록 본체의 상부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후크;
    상기 덮개에 형성되며 상하로 승강되면서 상기 고정후크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걸림후크;
    덮개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후크의 승강작동을 제어하는 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가속도센서와, 상기 가속도센서에 연결되어 스윙 동작을 숫자로 계산하는 카운터부를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송출하는 무선송신부;
    상기 무선송신부와 연동되어 횟수, 시간, 소비 열량을 산출하여 표시하는 액정표시부가 구비된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보조기구.


KR1020190137220A 2019-10-31 2019-10-31 운동보조기구 KR20210051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220A KR20210051665A (ko) 2019-10-31 2019-10-31 운동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220A KR20210051665A (ko) 2019-10-31 2019-10-31 운동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665A true KR20210051665A (ko) 2021-05-10

Family

ID=7591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220A KR20210051665A (ko) 2019-10-31 2019-10-31 운동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16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345A1 (ko) 2021-04-21 2022-10-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용접 검사 장치
KR102594418B1 (ko) * 2022-06-23 2023-10-26 신종선 중량을 팔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근력운동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827U (ko) 1998-08-17 2000-03-15 양우현 지상변압기용 순간압력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827U (ko) 1998-08-17 2000-03-15 양우현 지상변압기용 순간압력 저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345A1 (ko) 2021-04-21 2022-10-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용접 검사 장치
KR102594418B1 (ko) * 2022-06-23 2023-10-26 신종선 중량을 팔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근력운동기구
WO2023249173A1 (ko) * 2022-06-23 2023-12-28 신종선 중량을 팔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근력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9140B2 (en) Wrist and forearm exercise device
US8702570B1 (en) Portable multi-purpose exercise device
US4880229A (en) Weight plate for exercise device
US4231569A (en) Exercising device
AU583279B2 (en) Weight exercising apparatus
US7862486B1 (en) Exercise apparatus with rotational grips
US7238147B2 (en) Exercise device with removable weight
US20050003931A1 (en) Exercise device, method of fabricating exercise device, and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on with an exercise device
US20140087927A1 (en) Balance Board Exercise Apparatus
US20110287909A1 (en) Variable resistance fitness chamber for rotational torque
KR20210051665A (ko) 운동보조기구
US20110287914A1 (en) Tri-circular exercise device with variable rotation resistance
CN204050832U (zh) 可调式拉力健身器
US980025A (en) Dumb-bell.
US20050176561A1 (en) Club-weight(s)
WO2006115822A3 (en) Exercise device
CN213049162U (zh) 一种可调节哑铃
CN207024567U (zh) 一种训练型武术棍
US984721A (en) Adjustable dumb-bell.
US5593155A (en) Training device for racket sports
CN204134135U (zh) 手部锻炼器
US20110190100A1 (en) Dumbbell Having Adjustable Inertial Resistance Load Characteristic
CN107998590B (zh) 可调整配重的壶铃
CN201912695U (zh) 可调整重量的运动健身器具
KR200243359Y1 (ko) 조립식 다기능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