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446A - Steel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detachable lock key unit - Google Patents

Steel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detachable lock key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446A
KR20210051446A KR1020190136735A KR20190136735A KR20210051446A KR 20210051446 A KR20210051446 A KR 20210051446A KR 1020190136735 A KR1020190136735 A KR 1020190136735A KR 20190136735 A KR20190136735 A KR 20190136735A KR 20210051446 A KR20210051446 A KR 20210051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fixed key
key unit
housing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7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8115B1 (en
Inventor
이은기
Original Assignee
이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기 filed Critical 이은기
Priority to KR1020190136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115B1/en
Publication of KR2021005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4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1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coupler used when interconnecting reinforcing bars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coupler including a detachable fixed ke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for fastening a portion of the end of a reinforcing bar with a housing included in the reinforcing bar coupler are configured to form an annular shape to fix the reinforcing bar. Moreover, each of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is configured to separate a plurality of fragments so that the fragments of each fixed key unit are appropriately moved to the arrangement of nodes and rib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bar to form a strong fastening force.

Description

분리형 고정키 유닛을 구비하는 철근 커플러{Steel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detachable lock key unit}Steel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detachable lock key unit

본 발명은 건축물 공사 시에 철근을 상호 연결할 때 사용하는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철근 커플러에 포함되는 하우징에 철근 단부 일부분을 체결시키는 고정키 유닛 복수 개가 환형을 이루며 철근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 각각은 복수 개의 절편을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철근의 외부에 돌출 형성된 마디와 리브의 배열에 각 고정키 유닛의 절편들이 적합하게 이동되어 강력한 체결력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고정키 유닛을 구비하는 철근 커플러에 관한 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coupler used to interconnect reinforcing bars in building construction, and in more detail, a plurality of fixing key units for fastening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end to a housing included in the reinforcing bar coupler form an annular shape to fix the reinforcing bar.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is configured to separate a plurality of segments, so that the segments of each fixed key unit are appropriately moved to the arrangement of nodes and ribs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bar to form a strong fastening force. It is a field related to a reinforced coupler having a detachable fixed key unit.

일반적으로 철근은 건축이나 토목 분야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특히 대형 건축물이나 특수 구조물 그리고 교량과 같은 토목 구조물에는 대량의 철근이 배근 되어 사용된다.In general, reinforcing bars are commonly use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concrete structures by being buried inside concrete when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or civil engineering. A large amount of rebar is laid and used.

하지만, 철근은 일정한 길이로 규격화되어 생산되기 때문에 대형 건축물이나 특수 구조물 그리고, 교량과 같은 토목 구조물의 경우 한정된 길이로 생산된 철근을 연결 이음 해서 사용해야 한다.However, since rebars are standardized and produced with a certain length, in the case of large buildings, special structures, and civil structures such as bridges, rebars produced with a limited length must be connected and used.

이에, 최근에는 철근을 철사가 아닌 다른 수단으로 쉽고 단단하게 연결하기 위한 철근 이음장치(커플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reinforcing bar joints (coupler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easily and firmly connect reinforcing bars by means other than wires.

종래에 개발된 철근 이음장치들의 대부분은 철근을 하우징 내부에 삽입한 후 하우징을 나사로 돌려서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구조적으로 복잡하며 철근의 연결 작업이 어려워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Most of the reinforcing bar joints developed in the past are a method of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into the housing and then screwing the housing to fix it.It is structurally complicated and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 so it takes a lot of time, effort, and cost to work. have.

다음은 철근 커플러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The following is a typical prior art for a reinforcing bar couple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1882호는 원터치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철근이 삽입되는 양측 삽입구측으로부터 점차적으로 확개되는 제 1,2테이퍼부를 가지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부품투입구가 형성된 커플러본체와, 상기 커플러본체의 부품투입구를 통하여 중공부의 제1테이퍼부에 삽입되는 제1조임유닛과, 상기 커플러본체의 부품투입구를 통하여 중공부의 제2테이퍼부에 삽입되는 제2조임유닛과, 상기 커플러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결합되는 철근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상기 커플러본체에 대해 지지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제1,2조임유닛을 각각 외 제 1,2테이퍼부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하였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51882 relates to a one-touch reinforcing bar coupler, wherein a hollow portion having first and second tapered portions gradually expanding from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ort into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s formed, and a coupler body having a component entry por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 A first tightening unit inserted into the first tapered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through the component inlet of the coupler body, a second tightening unit inserted into the second taper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through the part inlet of the coupler body, and the coupler body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nstall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upler, a support member fixing part for fixing the support member with respect to the coupler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tightening units respectively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In addition, a configuration including springs for elastic biasing toward the first and second tapered portions was presented.

또한 상기 구성의 철근 커플러는 커플러 본체를 단일의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두 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에 비하여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커플러본체에 철근을 주되게 고정시키는 제1조임유닛이 단일체의 것으로 구성되어, 철근의 외부에 엇갈려져 돌출 형성된 리브와 마디에 제1조임유닛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rebar coupler of the above configuration realize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tructural strength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wo members combined by forming the coupler body in a single structure, but it is the first tightening that mainly fixes the rebar to the coupler body. Since the unit is composed of a single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rst tightening unit is not firmly fixed to the ribs and nodes formed by staggering and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bar, and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is required to solve this problem.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1882호(2019.02.1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51882 (2019.02.1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1104호(2018.04.1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51104 (2018.04.1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2531호(2011.12.28.)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02531 (2011.12.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2993호(2018.01.2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42993 (2018.01.22.)

본 발명은 철근 커플러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철근 커플러는 커플러의 본체에 해당하는 하우징에 주되게 철근을 고정시키는 고정키가 단일체로 구성되거나, 복수 개로 구성되지만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일체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철근에 리브 또는 마디에 고정키가 불완전 걸림을 형성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conceiv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ebar coupler, in the conventional rebar coupler, a fixing key mainly for fixing the reinforcing bar to a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of the coupler is composed of a single body or a plurality of housings. Since it is configured in an integrated for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xing key is incompletely caught on the ribs or nodes on the reinforcing bar;

그 결과 고정키에 의한 철근의 체결력이 저하되어, 하우징에서 철근이 쉽게 빠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fastening force of the reinforcing bar by the fixing key is lowered, and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reinforcing bar is easily removed from the housing, and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solution to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the desired object as described above,

한 쌍의 철근 단부 일부분을 하우징에 내입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철근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철근 커플러는 철근 단부 일부분을 하우징에 고정시키되,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환형을 이루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키 유닛은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되, 길이가 복수 개의 절편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분리형 고정키 유닛을 구비하는 철근 커플러를 제시한다.In the reinforcing bar coupler which inserts a pair of reinforcing bar end portions into a housing and connects them to each other, the reinforcing bar coupler fixes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ends to the housing,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key units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Is composed of; The fixed key unit has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provides a reinforced coupler having a detachable fixed key unit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커플러는 철근을 하우징에 주되게 고정시키는 고정키 유닛이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절편으로 분리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철근의 리브 또는 마디의 배열에 적합하게 절편들이 이동 배열되어 고정키 유닛과 철근 간의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In the rebar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as above, since the fixing key unit that mainly fixes the reinforcing bar to the housing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it is suitable for the arrangement of the ribs or nodes of the reinforcing bar. They are arranged to move to obtai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fixed key unit and the reinforcing bar;

상기 환형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을 탄성부재로 위치 고정시키는 구성을 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절편 각각의 이동은 원활하게 확보시킴과 동시에 절편들의 지지성 역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as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arranged in the annular shape are fixed in position with an elastic member, the effect of ensuring smooth movem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and securing the supportability of the segments can be obtained. hav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러에 철근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러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러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러의 고정키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러의 고정키 유닛이 복수 개의 절편을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러의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이 탄성부재에 내입되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러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에 철근 단부 일부분이 내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러의 탄성부재에서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철근 커플러에 철근을 체결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bar is fixed to a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key unit of a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key unit of the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a plurality of sections.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of a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upported by being embedded in an elastic member.
Figure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of the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ixing key units are separated from the elastic member of the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process of fastening a reinforcing bar to a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건축물 공사 시에 철근(60)을 상호 연결할 때 사용하는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철근(60) 단부 일부분을 하우징(10)에 내입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철근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철근 커플러는 철근(60) 단부 일부분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키되,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에서 환형을 이루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키 유닛(20)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되, 길이가 복수 개의 절편(21)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분리형 고정키 유닛을 구비하는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coupler used to interconnect the reinforcing bars 60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and in the reinforcing bar coupler for connecting the ends of a pair of reinforcing bars 60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m into the housing 10, the reinforcing bar The coupl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which are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in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to fix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to the housing 10; The fixed key unit 20 has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but relates to a reinforced coupler having a detachable fixed key unit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21 in length.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c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C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철근 커플러(이하, "커플러"라 칭함.)는 도 1과 같이 철근(6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한 쌍의 철근(60)들을 상호 연결시켜, 철근(60)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First, the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upler”) is to interconnect a pair of reinforcing bars 6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as shown in FIG. 1, and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 60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extending i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커플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철근(60)의 단부 일부분은 철근(60)의 길이방향 말단 일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인 철근(60)의 단부에 해당할 수 있고, 별도의 단부 가공처리가 되거나 되지 않은 상태이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longitudinal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and may correspond to the end of the general reinforcing bar 60, and a separate end It is in the state of being processed or not.

즉, 상기 철근(60)의 단부 일부분의 외주에는 하기 고정키 유닛(2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절편(21)의 내측과 철근(60) 단부 일부분 간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요철 또는 나사산이 더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상기 요철 또는 나사산이 미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That is, the outer periphery of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is further formed with irregularities or threads in order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21 included in the following fixing key unit 20 and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The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or the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rregularities or threads are not formed.

이하, 본 발명은 외주에 리브(61)와 마디(62)가 형성된 일반적인 철근(60)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철근(60)은 철근(6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철근(6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리브(61)가 형성되고, 철근(6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반원형태의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마디(62)가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a general reinforcing bar 60 having ribs 61 and nodes 6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hat is, the reinforcing bar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and has one or more ribs 61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60, and A plurality of nodes 62 having a length of a semicircle shape ar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본 발명에 의한 커플러는 거시적으로, 하우징(10), 각각이 복수 개의 절편(21)으로 분리되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croscopically configured to include a housing 10 and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each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21.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은 길이방향으로 내부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1)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 각각에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이 각각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Specifically, the housing 10 has an inner space 1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re respectively internally insert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inner space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 중앙에는 어느 하나의 철근(60) 단부의 일부분이 내부공간(11)의 일측에서 타측(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과도하게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내부공간 분리 격벽(12)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a portion of the end of any one reinforcing bar 60 is not excessively pushed from one side of the inner space 11 to the other side (or from the other side to one side). The separation partition wall 12 may be formed.

즉, 상기 하우징(10)은 복수 개로 나뉘어져 구성되지 않고, 단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에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 철근(60) 단부 일부분이 내부공간(11)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순차적으로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That is, the housing 10 is no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bu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ingle body, and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includes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nd a part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The internal space 11 is configured to be sequentially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으로 내입된 철근(60) 단부 일부분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도 2와 같이 하우징(10) 내부공간(11)의 길이방향 일측에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 한세트가 내입되고, 타측에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 다른 한세트가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fix a portion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to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10) One set of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is insert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11, and another set of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is inserted on the other side.

아울러 상기 고정키 유닛(20)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에서 복수 개가 환형을 이루며 내입되는 구성을 하여,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외부를 각각의 고정키 유닛(20)이 균일하게 가압하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xed key unit 2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e fixed key units 20 form an annular shape and are inserted in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so that each fixed key unit 20 is uniformly located outside a part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It pressurizes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더불어 본 발명의 고정키 유닛(20)은 도 4, 5와과 같이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되, 길이가 복수 개의 절편(21)으로 분리되어 하나의 고정키 유닛(20)이 형성되는 구성을 한다.In addition, the fixed key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the length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21 to form one fixed key unit 20. ) Is formed.

즉, 상기 고정키 유닛(20)이 단일체의 것으로 구성되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으로 내입되는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외주에 형성된 엇갈린 형태의 리브(61)와 마디(62)가 단일체의 고정키 유닛(20)을 서로 다른 부분을 간섭시키고, 그 결과, 고정키 유닛(20)의 어느 한 부분은 철근(60) 단부 일부분에 형성된 리브(61), 마디(62) 또는 외주면에 걸림(가압)을 형성시킬 수 있지만, 다른 일부분은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걸림(가압)을 형성시키지 못하는 우려가 있다.That is, when the fixed key unit 20 is configured as a single body, the ribs 61 and the nodes 62 of the staggered shap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 Interferes with different parts of the fixed key unit 20 of a single body, and as a result, any one part of the fixed key unit 20 has a rib 61, a node 62 or a portion formed at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Although it is possible to form a locking (pressuriza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 is a concern that another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to form a locking (pressurization).

이에, 본 발명에 의한 고정키 유닛(20)은 길이가 복수 개의 절편(21)으로 분리된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으로 철근(60) 단부 일부분이 내입될 때,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61) 또는 마디(62)가 고정키 유닛(20)의 각 절편(21)의 내측과 간섭되면, 도 6b와 같이 고정키 유닛(20)을 형성시키는 복수 개의 절편(21) 각각은 간섭되는 리브(61) 또는 마디(62)의 간섭력에 의하여 철근(60)의 길이방향 또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또는 회전)되며 철근(60)의 리브(61), 마디(62) 또는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외주면 중 어느 한 부분 이상과 모두 걸림(가압)을 형성시켜, 철근(60)이 커플러에 강하게 고정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since the fixed key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state separated by a plurality of segments 21 in length,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in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is When internally inserted, when a plurality of ribs 61 or nodes 6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interfere with the inside of each segment 21 of the fixed key unit 20, the fixed key as shown in FIG. 6B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21 forming the unit 20 is moved (or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by the interference force of the ribs 61 or nodes 62 interfering. ), the rib 61, the joint 62 of the reinforcing bar 60, or at least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a portion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is engaged (pressurized), so that the reinforcing bar 60 is strongly fixed and fastened to the coupler. To be able to be.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 각각은 하우징(10) 내부공간(11)에 내입된 상태로 고정키 유닛(20)의 외측은 하우징(10) 내부공간(11)의 내부면에 압착되고, 하우징(10) 내부공간(11)임과 동시에 환형을 이루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 내측으로 인입된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리브(61), 마디(62) 또는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철근(60)이 커플러에 강하게 고정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and the outer side of the fixed key unit 20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The housing 10 is an inner space 11 and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that form an annular shape, and a rib 61, a node 62, or a reinforcing bar 60 at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reinforcing bar 60 By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rtion of the end, the reinforcing bar 60 is strongly fixed to the coupler.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고정키 유닛(20)을 형성시키는 복수 개의 절편(21)은 외측은 하우징(10) 내부공간(11) 내주면에 압착되어 고정되고, 내측은 철근(60) 단부 일부분에 걸림(가압)을 형성하여, 하우징(10) 내부공간(11)으로 내입된 철근(60) 단부 일부분이 하우징(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면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일실시예로는 복수 개의 절편(21) 각각의 내측에는 철근(60) 단부 일부분에 형성된 리브(61), 마디(62) 또는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외주면에 걸림을 형성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랙(22)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plurality of segments 21 forming the fixing key unit 20 are fixed by pressing the outer sid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inner space 11, and the inner side is caught by a part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When (pressurized)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and the inner space 11 is configured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i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nd in one embodiment One or more protruding racks 22 capable of forming a hook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on the inn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21 This can be formed.

즉, 상기 돌출랙(22)은 복수 개의 절편(21) 각각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철근(60) 단부 일부분에 형성된 리브(61), 마디(62) 또는 외주면에 걸림을 형성하거나, 파고들어가서, 철근(60) 단부 일부분이 고정키 유닛(20)에 강하게 고정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That is, the protruding rack 22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21 to form a hook or break in the rib 61, the node 62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t a portion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ffect of allowing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to be strongly fixedly fastened to the fixed key unit 20.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은 철근(60)에 당김력이 작용하더라도 하우징(10) 내부공간(11)에 내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 하우징(10)의 일부분 또는 별도의 부속물을 통하여 하우징(10) 내부공간(11)에 내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일실시예로는 가압캡(30)에 의하여 하우징(10) 내부공간(11)에 내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re provided through a part of the housing 10 or a separate accessory if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even if a pulling force acts on the reinforcing bar 6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t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and in one embodiment,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by the pressure cap 30 may be maintained.

보다 상세하면, 상기 고정키 유닛(20)은 외측이 경사진 상태를 가지도록 복수 개의 절편(21) 각각이 경사진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과 하우징(10) 내부공간(11)의 사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절편(21)의 외측과 대응하는 경사진 내부면이 형성된 중공(32)을 가지는 가압캡(30)이 더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fixed key unit 20 is configured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21 has an inclined state so that the outer side has an inclined state, and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nd the housing 10 ) Between the inner spaces 11, the pressure cap 30 having a hollow 32 formed with an inclined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21 may be further disposed.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캡(30)은 도 4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과 하우징(10) 내부공간(11)의 사이에 위치되는 구성을 하고, 가압캡(30)의 외측은 하우징(10)의 길이방향 말단 일부분에 해당하는 내부공간(11)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가압캡(3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32, 하우징(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됨.)에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이 환형을 이루며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Specifically, the pressure cap 30 is configured to be located between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nd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4, and the outer side of the pressure cap 30 is a housing It is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pace 11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longitudinal end of (10), the hollow 32 formed in the inside of the pressure cap 30, the length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form an annular shape.

이때, 상기 가압캡(30)의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우징(10) 내부공간(11)의 길이방향 말단 일부분에는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구성을 하여, 하우징(10) 내부공간(11)에 대한 가압캡(30)의 고정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 screw thread is formed outside of the pressure cap 30, and a screw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is formed at a part of the longitudinal end of the housing 10 internal space 11,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It is possible to form a fixing force of the pressure cap 30 to the space (11).

더불어 상기 가압캡(30)의 길이방향 말단에는 가압캡(3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각형의 헤드(31)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31)를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10) 내부공간(11)에 대한 가압캡(30)의 내입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 polygonal head 31 having a diameter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essure cap 30 is provided a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pressure cap 30, and by rotating the head 31 using a tool, the housing (10)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pressure cap 30 to the inner space 11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와 같이 가압캡(30)이 하우징(10)에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하는 경우, 상기 고정키 유닛(20)은 도 4와 같이 절편(21) 각각의 외측이 하우징(10)의 길이방향 말단쪽이 더 낮은 위상을 가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캡(30)의 중공(32)의 내부면은 상기 고정키 유닛(20)의 경사진 외측과 대응하는 경사진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sure cap 30 is further provided in the housing 10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key unit 20 is provided with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sections 21 as shown in FIG.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It is configured in an inclined shape so that the distal end has a lower phas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32 of the pressure cap 30 is configured in an inclined stat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outer side of the fixing key unit 20 Can be.

보다 상세하면, 상기 구성의 커플러는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에 상기 가압캡(30)이 내입되고, 상기 가압캡(30)의 중공(32)에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이 내입되는 구성을 하며, 환형을 이루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의 안쪽으로 내입된 철근(60) 단부 일부분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의 내측에 고정되는 구성을 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coupler of the configuration, the pressure cap 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and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re in the hollow 32 of the pressure cap 30. In this internal configuration,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forming an annular shape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이때, 작업자는 가압캡(30)을 회전시켜 가압캡(30)이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으로 더욱 깊게 내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압캡(30)의 경사진 상태의 내부면을 가지는 중공(32)에 내입된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이 철근(60) 단부 일부분을 더욱 강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커플러에 대한 철근(60)의 고정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or rotates the pressure cap 30 so that the pressure cap 30 can be inserted deeper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inclined inner surface of the pressure cap 30 is Branches can further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reinforcing bar 60 to the coupler by allowing the plurality of fixing key units 20 inserted into the hollow 32 to press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more strongly.

아울러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가압캡(30)을 회전시켜 하우징(10) 내부공간(11)으로 더욱 깊게 밀어넣으면, 철근(60) 단부 일부분에 내측이 위치 고정된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의 경사진 상태의 외측을 가압하며 하우징(10) 내부공간(11) 안쪽으로 들어가고, 그 결과 철근(60)에 대한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의 가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pressure cap 30 and pushes it deeper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as described above, Pressing the outside of the inclined state and entering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as a result of which the pressing force of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to the reinforcing bar 60 can be increased.

더불어 상기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 각각은 복수 개의 절편(21)으로 분리된 상태를 가지는데,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절편(21)들은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 또는 가압캡(30)의 중공(32))에 환형을 이루며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들이 일정의 간격을 가지며 내입되는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has a stat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21, wherein the plurality of segments 21 are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or a pressure cap (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formed in an annular shape in the hollow 32) of 3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re configured to have an internal state.

보다 상세하면, 상기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은 중통(41) 형태의 탄성부재(40)에 일부분이 내입되며 상호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r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40 in the shape of the middle cylinder 41 and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gap therebetween.

즉, 상기 탄성부재(40)는 하우징(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 또는 가압캡(30)의 중공(32))에 내입되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철근(60) 단부 일부분을 내입시킬 수 있는 중통(41)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이 환형을 이루며 일부분이 내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elastic member 40 has a length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or the hollow 32 of the pressure cap 30, Inside, a middle cylinder 41 capable of inserting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nd the plurality of fixing key units 20 form an annular shape and a portion thereof can be inserted.

이때, 상기 탄성부재(40)는 일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4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synthetic resin, or silicone having a certain elastic force.

아울러 당업자는 탄성부재(40)에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의 일부분을 다양한 방식으로 내입시켜, 철근(60) 단부 일부분이 커플러에 체결되기 이전에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이 하우징(10) 내부공간(11)에 환형 상태를 이루며 내입되도록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inser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into the elastic member 40 in various ways, so that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before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is fastened to the coupler. 10) It is possible to fix the position so as to form an annular state in the inner space (11) and to be inserted inside.

이때,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써 상기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을 환형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40)를 성형 제작하는 방식으로 탄성부재(40)에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의 일부분을 내입시켜 위치고정시킬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써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의 일부분이 환형으로 내입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40)에 내입홈을 형성시킨 이후에, 상기 내입홈에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을 꽂는 방식으로 탄성부재(40)에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 일부분을 내입시켜 위치고정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re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and the elastic member 40 is molded and manufactured, so that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 A part of 20)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position; In another embodiment, after forming an internal groove in the elastic member 40 so that a part of the plurality of fixing key units 20 can be inserted in an annular shape, a method of inserting a plurality of fixing key units 20 into the internal groove As a resul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ixing key units 20 may be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40 to fix the position.

더불어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40)에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이 내입된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은 철근(60) 단부 일부분이 탄성부재(40)의 중통(41)으로 내입되기 이전에는, 탄성부재(40)에 위치고정된 상태로 환형 배열된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when configured to have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re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40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have a reinforcing bar 60 at an end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40 Prior to being inserted into the middle tube 41 of the, the annular arrangement is maintained in a position fixed to the elastic member 40.

또한 철근(60) 단부 일부분이 탄성부재(40)의 중통(41)으로 내입되는 과정에서는, 도 8b와 같이 철근(60) 단부 일부분(리브(61), 마디(62), 외주면)이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에 걸림되기 때문에 탄성부재(40)가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확장되며 하우징(10) 중앙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돌출랙(22)이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리브(61), 마디(62), 외주면에 크게 간섭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고정키 유닛(20)의 절편(21)은 돌출랙(22)이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리브(61), 마디(62),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걸림 형성될 수 있는 부분으로 이동(철근(60)의 길이방향 또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하며 철근(60) 단부 일부분과 견고한 고정력을 형성시킨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in which a part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is inserted into the middle tube 41 of the elastic member 40, a part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rib 61, node 62,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ince it is caught by the fixed key unit 20, the elastic member 40 partially expands outward and moves toward the center of the housing 10, and the protruding rack 22 is a rib 61 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The nodes 62 and the segments 21 of any one or more fixed key units 20 that greatly interfere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e a protruding rack 22 on the ribs 61, the nodes 6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It moves to a part that can be stably engaged (a longitudinal direction or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and forms a solid fixing force with a portion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이후, 도 8c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가압캡(30)을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으로 깊게 들어가도록 회전시키면, 가압캡(30)의 점진적인 내입력에 의하여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며 철근(60) 단부 일부분을 더욱 가압하게 되고, 이때, 탄성부재(40)에 내입된 상태를 가지는 고정키 유닛(20)의 복수 개의 절편(21)들은 철근(60) 단부 일부분(리브(61), 마디(62), 외주면)과의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이동(철근(60)의 길이방향 또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하며 위치 재배열되어 철근(60) 단부 일부분과의 고정력을 더욱 증대시킨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8C,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pressure cap 30 to deeply enter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 Is push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further presses a portion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an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egments 21 of the fixed key unit 20 having a state embedded in the elastic member 40 are reinforcing bars 60 ) Move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end portions (ribs 61, joints 62,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lengthwise or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and rearranged to place a portion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It further increases the fixing power of the family.

아울러 상기 고정키 유닛(20)의 절편(21)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23)이 측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40)의 일부분은 상기 통공(23)에 내입되어 각각의 절편(21)을 위치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sections 21 of the fixed key unit 20 is configured such that one or more through holes 23 are formed on the sides thereof, and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23 so that each section ( 21) can be configured to fix the position.

즉, 상기 통공(23)은 고정키 유닛(2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절편(21) 각각을 탄성부재(40)에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절편(21)의 일측부에서 타측부를 관통하는 형태(고정키 유닛(2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로 형성되어, 탄성부재(40)의 일부가 통공(23)에 내입된 상태를 가져, 복수 개의 절편(21)을 탄성부재(40)에 위치 고정시키는 구성이다.That is, the through hole 23 is a configuration for positioning each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21 included in the fixing key unit 20 to the elastic member 40, through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of the segment 21 It is formed in a shap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key unit 20), and has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3, so that a plurality of segments 21 are formed in the elastic member ( It is a configuration to fix the position at 40).

보다 상세하면, 탄성부재(40)에 고정키 유닛(20) 복수 개를 환형으로 내입시키는 방식을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을 환형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40)를 성형 제작하는 방식으로 채택한 경우, 용융되어 유동성을 가지는 탄성부재(40) 원료가 상기 통공(23)으로도 유동되어 경화됨으로써, 복수 개의 절편(21)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탄성부재(40)에 위치 배열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method of inserting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into the elastic member 40 in an annular shape is used to mold and manufacture the elastic member 40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re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When adopted by the method, the raw material of the elastic member 40 that is melted and has fluidity flows into the through hole 23 and is hardened, so that the plurality of fragments 21 are positioned on the elastic member 40 in a more stable fixed state.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be arranged can be realized.

또한 상기 탄성부재(40)는 두께(42)가 상기 고정키 유닛(20)의 높이(24)보다 낮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키 유닛(20)의 외측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면에 압착 고정되고, 상기 고정키 유닛(20)의 내측은 상기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외부면을 압착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hickness 42 is lower than the height 24 of the fixed key unit 20, and the outer side of the fixed key unit 20 i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It is crimped and fixed, and the inner side of the fixing key unit 20 may be configured to press and fix the outer surface of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즉, 상기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은 탄성부재(40)에 전체 또는 일부분이 내입된 상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때 탄성부재(40)의 두께(42)가 도 2, 6a와 같이 고정키 유닛(20)의 높이(24)보다 더 낮도록 구성되고, 고정키 유닛(20)의 내측과 외측 일부분 각각은 탄성부재(40)의 외측 및 중통(41)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하우징(10) 내부면(또는 가압캡(30) 중공(32) 내부면) 및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외부면에 대한 고정키 유닛(20)의 압착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may have a state in which all or part of the elastic member 40 is inserted, and at this time, the thickness 42 of the elastic member 40 is a fixed key as shown in FIGS. 2 and 6A. It is configur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24 of the unit 20, and each of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of the fixed key unit 20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er and middle cylinders 41 of the elastic member 40, and thus the housing (1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mpression fixing force of the fixing key unit 20 to the inner surface (or the pressure cap 30, the hollow 32,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보다 상세하면, 고정키 유닛(20)의 내측은 철근(60) 단부 일부분과 압착 고정을 형성하는 부분이고, 외측은 하우징(10) 내부공간(11)의 내부면 또는 가압캡(30)의 중공(32) 내부면과 압착 고정을 형성시키는 부분이기 때문에, 고정키 유닛(20)의 내측과 외측 일부분은 탄성부재(40)에서 노출된 상태로 구성되는 것은 커플러에 대한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inner side of the fixing key unit 20 is a part that forms a compression fixing with a part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and the outer side is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or the hollow of the pressure cap 30 (32) Since it is a part that forms a compression fixing with the inner surface,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of the fixing key unit 20 are configured in a state exposed from the elastic member 40, which is part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for the coupler. Tightening force can be increased.

더불어 상기 환형을 이루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의 외측과 상기 가압캡(30)의 중공(32) 사이에는, 내측과 외측이 경사진 상태를 가지는 관형의 슬리브부재(50)가 더 배치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 tubular sleeve member 50 having an inclined inner and outer side is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forming the annular shape and the hollow 32 of the pressure cap 30 You can configure it.

즉, 상기 가압캡(30)은 철근(60) 단부 일부분이 내입된 하우징(10) 내부공간(11)에 내입되어, 내부공간(11)의 길이방향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을 더욱 강하게 가압하고, 그 결과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이 철근(60) 단부 일부분을 더욱 강하게 압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관형의 슬리브부재(50)는 가압캡(30)의 중공(32)에 내입된 상태로 내부에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이 구비된 탄성부재(40)를 내입시키는 구성을 함으로써, 가압캡(30)이 하우징(10) 내부공간(11)의 안쪽으로 들어갈 때 가압캡(30)의 회전에 의하여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구성이다.In other words, the pressure cap 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in which a portion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is inserted, and as it enters the inner space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 Is more strongly pressed, and as a result, a plurality of fixing key units 20 are configured to more strongly press and fix a portion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0, and the tubular sleeve member 50 is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hollow 32, the elastic member 40 having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is inserted therein, so that the pressure cap 30 is It is a configuration that prevents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from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pressure cap 30 when entering the inside.

구체적으로, 상기 슬리브부재(50)는 도 2와 같이 하우징(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관형의 구성으로서, 내측과 외측이 상기 가압캡(30)의 중공(32) 내부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경사진 상태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sleeve member 50 is a tubular configuration having a length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2, and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are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32 of the pressure cap 30 It is configured in an inclined state to have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또한 상기 슬리브부재(50)는 도 8c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가압캡(30)을 회전시켜 가압캡(30)이 하우징(10) 내부공간(11)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갈 때 가압캡(30)과 함께 하우징(10) 내부공간(11)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되, 슬리브부재(50)의 관형 내부면이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의 외측에 의하여 압착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압캡(30)과 함께 회전되지는 않고, 회전되는 가압캡(30)을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을 한다.In addition, the sleeve member 50, as shown in Figure 8c,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pressure cap 30 to push the pressure cap 30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the pressure cap 30 and Together, the housing 10 is pushed into the inner space 11, but the tubular inner surface of the sleeve member 50 is in a state in which the tubular inner surface of the sleeve member 50 is crimped and fixed by the outside of the plurality of fixing key units 20, so the pressure cap 30 It does not rotate with the configuration to slide the rotating pressure cap (30).

그리하여, 가압캡(30)이 하우징(10)에 대한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보다 견고한 체결을 위하여 회전될 때, 상기 슬리브부재(50)에 의하여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은 회전되지 않아, 고정키 유닛(20)의 절편(21)들의 회전으로 인한 절편(21)들과 철근(60) 단부 일부분 간의 체결력이 약화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us, when the pressure cap 30 is rotated for a more robust fastening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to the housing 10,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re not rotated by the sleeve member 50. ,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preventing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segments 21 and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from being weakened due to the rotation of the segments 21 of the fixed key unit 20.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rough the above embodimen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does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hanges in.

10 : 하우징 11 : 내부공간
12 : 내부공간 분리 격벽 20 : 고정키 유닛
21 : 절편 22 : 돌출랙
23 : 통공 24 : 고정키 유닛의 높이
30 : 가압캡 31 : 헤드
32 : 가압캡의 중공 40 : 탄성부재
41 : 중통 42 : 탄성부재의 두께
50 : 슬리브부재 60 : 철근
61 : 리브 62 : 마디
10: housing 11: internal space
12: internal space separation bulkhead 20: fixed key unit
21: section 22: protruding rack
23: through hole 24: height of the fixed key unit
30: pressure cap 31: head
32: hollow of the pressure cap 40: elastic member
41: middle cylinder 42: thickness of the elastic member
50: sleeve member 60: reinforcement
61: rib 62: node

Claims (6)

한 쌍의 철근(60) 단부 일부분을 하우징(10)에 내입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철근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철근 커플러는,
철근(60) 단부 일부분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키되,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1)에서 환형을 이루며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키 유닛(20)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되, 길이가 복수 개의 절편(21)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정키 유닛을 구비하는 철근 커플러.
In the reinforcing bar coupler for connecting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pair of reinforcing bars 60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m into the housing 10
The reinforcing bar coupler,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is fixed to the housing 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rranged in an annular shape in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The fixed key unit 20,
Reinforced coupler having a detachable fixed key unit,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 the length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s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키 유닛(20)은,
외측이 경사진 상태를 가지도록 복수 개의 절편(21) 각각이 경사진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과 하우징(10) 내부공간(11)의 사이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절편(21)의 외측과 대응하는 경사진 내부면이 형성된 중공(32)을 가지는 가압캡(30)이 더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정키 유닛을 구비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key unit 20,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ions 21 is configured to have an inclined state so that the outside has an inclined state,
Between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nd the inner space 11 of the housing 10, a pressure cap having a hollow 32 formed with an inclined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plurality of fragments 21 ( 30) A rebar coupler having a detachable fixed key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further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은,
중통(41) 형태의 탄성부재(40)에 일부분이 내입되며 상호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정키 유닛을 구비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A reinforced coupler having a detachable fixed key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40 in the form of the middle tube 41 and a gap therebetween is maintain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키 유닛(20)의 절편(21)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23)이 측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40)의 일부분은 상기 통공(23)에 내입되어 각각의 절편(21)을 위치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정키 유닛을 구비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3,
In each of the segments 21 of the fixed key unit 20,
At least one through hole 23 is configured to be formed on the side,
A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3, a reinforced coupler having a detachable fixing key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ix the position of each section (2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0)는,
두께(42)가 상기 고정키 유닛(20)의 높이(24)보다 낮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키 유닛(20)의 외측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면에 압착 고정되고, 상기 고정키 유닛(20)의 내측은 상기 철근(60) 단부 일부분의 외부면을 압착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정키 유닛을 구비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3,
The elastic member 40,
The thickness 42 is configur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24 of the fixed key unit 20, so that the outer side of the fixed key unit 20 is crimp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fixed key unit The inner side of the reinforcing bar (60) is a reinforced coupler having a detachable fixing key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ess-fix the outer surface of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6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을 이루는 복수 개의 고정키 유닛(20)의 외측과 상기 가압캡(30)의 중공(32) 사이에는,
내측과 외측이 경사진 상태를 가지는 관형의 슬리브부재(50)가 더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정키 유닛을 구비하는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2,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plurality of fixed key units 20 forming the annular and the hollow 32 of the pressure cap 30,
A reinforced coupler having a detachable fixed key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ular sleeve member 50 having an inclined inner and outer side is further disposed.
KR1020190136735A 2019-10-30 2019-10-30 Steel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detachable lock key unit KR1022781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735A KR102278115B1 (en) 2019-10-30 2019-10-30 Steel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detachable lock ke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735A KR102278115B1 (en) 2019-10-30 2019-10-30 Steel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detachable lock key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446A true KR20210051446A (en) 2021-05-10
KR102278115B1 KR102278115B1 (en) 2021-07-15

Family

ID=7591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735A KR102278115B1 (en) 2019-10-30 2019-10-30 Steel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detachable lock key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115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314A (en) * 2002-03-20 2003-10-02 Daisen:Kk Strand fixer
JP3890238B2 (en) * 2002-02-28 2007-03-07 住友電工スチールワイヤー株式会社 PC steel fixing wedge
KR101102531B1 (en) 2011-09-07 2012-01-03 김현호 One touch type quick coupler for reinforcement bar connection
KR101827175B1 (en) * 2016-12-14 2018-02-07 주식회사 동신 Coupler for connecting steel wire
KR101851104B1 (en) 2017-07-18 2018-04-20 (주) 유니플로 One-Touch Type Coupler with the durability
KR101951882B1 (en) 2018-06-08 2019-02-25 주식회사 알오씨 One-touch quick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KR101942993B1 (en) 2018-08-06 2019-04-17 주식회사 금화 One-touch coupler unit for re-pressurized steel bar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0238B2 (en) * 2002-02-28 2007-03-07 住友電工スチールワイヤー株式会社 PC steel fixing wedge
JP2003278314A (en) * 2002-03-20 2003-10-02 Daisen:Kk Strand fixer
KR101102531B1 (en) 2011-09-07 2012-01-03 김현호 One touch type quick coupler for reinforcement bar connection
KR101827175B1 (en) * 2016-12-14 2018-02-07 주식회사 동신 Coupler for connecting steel wire
KR101851104B1 (en) 2017-07-18 2018-04-20 (주) 유니플로 One-Touch Type Coupler with the durability
KR101951882B1 (en) 2018-06-08 2019-02-25 주식회사 알오씨 One-touch quick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KR101942993B1 (en) 2018-08-06 2019-04-17 주식회사 금화 One-touch coupler unit for re-pressurized steel ba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115B1 (en)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732B1 (en) Steel Connecting coupler
KR100439305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by just one step
KR101902007B1 (en) Steel wire coupler and concrete fixing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101699B1 (en) Coupling for steel reinforcement connecting
KR20210051446A (en) Steel reinforcing bar coupler with detachable lock key unit
KR101033681B1 (en) Reinforcing bar coupler
KR20220110882A (en) One-touch type reinforced coupler
KR101498662B1 (en) Reinforced seams coupling
KR100724634B1 (en) Steel reinforcement coupler
KR20030023318A (en) Wedge shaped one-touch type steel-frame coupling device
KR100462291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by just one step
KR102392467B1 (en) Key Coupler for Rebar Connection
KR102256914B1 (en) Lock key unit holder of steel reinforcing bar coupler
KR102317467B1 (en) 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
KR100805167B1 (en) Steel bars splicing device
KR200390395Y1 (en) Steel reinforcing coupler
KR100308547B1 (en) reinforcing rod connector
KR200257716Y1 (en) Wedge shaped one-touch type steel-frame coupling device
KR102512093B1 (en) Device for preventing form push
KR101708475B1 (en) A Rebar anchoring device
KR200280037Y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KR102438658B1 (en) A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WO2008088195A1 (en)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KR102106107B1 (en) Distance maintenance apparatus for mold
KR102090571B1 (en) Rebar Conn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