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400A -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 - Google Patents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400A
KR20210051400A KR1020190136633A KR20190136633A KR20210051400A KR 20210051400 A KR20210051400 A KR 20210051400A KR 1020190136633 A KR1020190136633 A KR 1020190136633A KR 20190136633 A KR20190136633 A KR 20190136633A KR 20210051400 A KR20210051400 A KR 20210051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detection system
detection unit
fire detection
automatic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6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10052B1 (en
Inventor
김창용
양정모
심영복
Original Assignee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6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052B1/en
Publication of KR20210051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4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0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IoT-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which continues operation even when an error such as poor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ccurs, precisely specifies a point where the error occurs, and prevents loss of measured data. The system includes: a detection unit including a sensor modul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for fire detection;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data detected from the detection unit. In the detection unit,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are linked to each other as a proximity communication network to form a mesh network.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

본 발명의 화재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자동으로 화재를 탐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that automatically detects fire more precisely and accurately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국가 화재안전 기준(NFSC)은 소방시설에 관한 규격을 정해놓은 규정집으로서, 이중 NFSC 203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의하면 건축물의 자동화재 탐지설비가 갖추어야 한다. NFSC 203에 따르면, 감지기는 화재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그 정보를 수신기로 발신하는 장치이다. 수신기는 다양한 형식이 있으며, 감지기 또는 송신기로부터 발해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해 공통신호로서 수신하고 경보를 발하는 수신기이다. 예컨대, R형 및 GR형 수신기는 다수의 감지기 또는 P형 송신기에서 발신된 고유신호를 수신하고 경보를 관계자에게 통보한다. 특히, 대형건물에 설치한 감지기들과 송신기들을 직접 수신기에 연결하기 어려우므로, 중계기가 감지기들 및 송신기들의 경보신호를 받아 수신기 등으로 발신한다.National Fire Safety Standards (NFSC) is a collection of regulations that stipulate standards for firefighting facilities, and according to the fire safety standards of NFSC 203 automated fire detection facilities, a building's automated fire detection facilities must be equipped. According to NFSC 203, a detector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detects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receiver. Receivers come in a variety of formats, and are receivers that receive signals from a detector or transmitter as a common signal directly or through a repeater and generate an alarm. For example, R-type and GR-type receivers receive unique signals from multiple detectors or P-type transmitters and notify the relevant person of the alarm. In particular, since it is difficult to directly connect the detectors and transmitters installed in a large building to the receiver, the repeater receives the alarm signals from the detectors and transmitters and transmits them to the receiver.

한편, 국내등록특허 제10-0979173호는 대형건물에 적용하기 위하여,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광케이블, 상향신호 경로, 하향신호 경로, 입출력 포트 및 R/GR형 수신기 등을 구비한 광변환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광통신 방식은 신뢰도는 높으나, 단가가 비싸며 광전변환을 해야 하고 복잡한 과정으로 광섬유를 접속하는 등과 같이 매우 정밀하게 작업이 필요하다. 그런데, 광통신이 아닌 통상적인 통신선로는 상향 또는 하향 신호경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접속불량, 단선, 신호왜곡 등과 같은 오류가 자주 일어난다. 종래의 방식은 상기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오류가 일어난 지점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가 없어서, 상기 오류를 해소하기 어렵다. 나아가, 종래의 방식은 감지된 데이터가 유선으로 전달되는 1:1 통신이어서, 측정된 데이터의 유실이 발생하면, 화재탐지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Meanwhi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79173 proposes an optical converter equipped with an optical cable connected in a daisy chain method, an upstream signal path, a downlink signal path, an input/output port, and an R/GR-type receiver for application to large buildings. have. However, the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has high reliability, but is expensive, requires photoelectric conversion, and requires very precise work such as connecting optical fibers in a complicated process. However, in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line other than optical communication, errors such as poor connection, disconnection, and signal distortion often occur in at least one of the uplink or downlink signal paths. In the conventional method, even if the error occurs,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specify the point where the error occurs, and thus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error. Furthermore, since the conventional method is 1:1 communication in which sensed data is transmitted by wire, if the measured data is lost, there is a concern that fire detection may not operate properl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속불량, 단선 등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여도 동작은 지속되고, 오류가 일어난 지점이 정확하게 특정되며, 측정된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T-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that maintains operation even when an error such as poor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ccurs, the point where the error occurs is accurately specified, and prevents loss of measured data. I have to.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은 화재 감지를 위한 다수개의 센서가 장착된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탐지부 및 상기 탐지부로부터 탐지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탐지부는 상기 다수개의 센서모듈이 근접통신망으로서 서로 링크되어 메시 네트워크를 이룬다.An IoT-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or including a sensor modul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for fire detection,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data detected from the detector. In this case, the detection unit forms a mesh network by linking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to each other as a proximity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탐지부 및 수신기 사이에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통신선로로 연결된 중계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선로는 상기 탐지부에 기인한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기를 거쳐 상기 수신기로 전달하는 상향 신호경로 및 상기 수신기에 기인한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기를 거쳐 상기 탐지부로 전달하는 하향 신호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or and the receiver include a repeater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an electric signal, and the communication line transmits a control signal due to the detection unit to the receiver via the repeate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uplink signal path and a downlink signal path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caused by the receiver to the detection unit through the repea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근접통신망으로 링크되고, 상기 근접통신망으로 게이트웨이에 링크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근접 또는 원격통신망으로 제어부에 링크된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하나 건너의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근접통신망으로 링크될 수 있다. 상기 근접통신망들은 블루투스(bluetooth), 로라(Lora), LTE-A, 5G 또는 Wifi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중계기는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계기는 2-웨이 변환기일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에는 무선통신을 위한 IP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 preferre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odule is linked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network, the gateway is linked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gateway is linked to the control unit via a proximity or remote communication network. The gateway may be linked to one or more of the gateways and the proximity network. The proximity networks may be any one of Bluetooth, Lora, LTE-A, 5G, or Wifi. The repeater may be connected in a daisy chain manner. The repeater may be a two-way converter. IP distribu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sensor module.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에 의하면, 사물인터넷을 활용함으로써, 접속불량, 단선 등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여도 동작은 지속되고, 오류가 일어나 지점을 정확하게 특정하며, 측정된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한다.According to the IoT-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tilizing the Internet of Things, operation continues even when an error such as poor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ccurs, an error occurs, and a point is accurately specified, and loss of measured data is detected. prev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탐지부에 적용된 무선 메시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reless mesh network applied to the detection unit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물인터넷을 활용함으로써, 자동으로 접속불량, 단선 등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여도 동작은 지속되고, 오류가 일어나 지점을 정확하게 특정하며, 측정된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하는 화재탐지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을 활용하여 화재탐지를 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알아보고, 특히 화재탐지를 하는 데 있어서 발생하는 오류를 차단하고, 오류를 발생한 지점을 정확하게 특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덧붙여, 측정된 데이터를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물인터넷 및 메시 네트워크의 통신방법을 적용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 detection system that uses the Internet of Things to automatically continue operation even when an error such as poor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ccurs, accurately specifies a point where an error occurs, and prevents loss of measured data. Present. To this end, the process of detecting fir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will be examined in detail, and in particular, a method of blocking an error that occurs in detecting a fire and accurately specifying the point where the error has occurr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we will look at how to prevent loss of measured data in detail. To this e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a mesh network.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는 산업과 기업의 인프라로서 기존 상품과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끊임없이 만들어 내고 있다. 상기 IoT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인간과 인간 사이의 연결뿐만 아니라 인간과 사물의 연결, 사물과 사물의 연결도 가능하게 하여 발전가능성이 무한하다. 상기 IoT의 핵심 중이 하나인 무선통신은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넘어서 언제 어디서나 연결되고 소통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메시 네트워크는 측정한 데이터는 네트워크로 공유되어, 공유된 데이터는 1;1 방식이 아닌 1:n의 방식으로 전송된다. The Internet of Thing (IoT) is an infrastructure of industries and companies, and it is advancing existing products and services and constantly creating new products and services. The IoT is the co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as infinite potential for development by enabling not only the connection between humans and humans, but also the connection between humans and objects, and between objects and objects. Wireless communication, which is one of the core of the IoT, is able to connect and communicate anytime, anywhere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In the mesh network, the measured data is shared by the network, and the shared data is transmitted in a 1:n method instead of a 1;1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재탐지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e detec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rawings are not expressed in a strict sense, and there may be components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에 의하면, 화재탐지 시스템(100)은 수신기(10), 통신선로(20), 중계기(30), 게이트웨이(40), 탐지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통신선로(20)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어부(60)는 수신기(10)에 내부에 위치한다. 탐지부(50)는 화재탐지 및 소방방재를 위한 장치, 각종 센서 및 송신기를 구비한다. 수신기(10)는 굳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P형, R형, M형, GP형, GR형의 5가지 형식이 있다. 상기 R형 및 GR형 수신기는 다수의 감지기 또는 P형 송신기에서 발신된 고유신호를 수신하고, 경보를 관계자에게 통보하도록 한다. R형 및 GR형 수신기는 해당 센서나 송신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고, 각 센서 또는 송신기에 고유의 식별부호를 부여한다. 여기서는 R형 및 GR형 수신기(1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fire detection system 100 includes a receiver 10, a communication line 20, a repeater 30, a gateway 40, a detection unit 50, and a control unit 60. The communication line 20 serves to transmit an electric signal.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60 is located inside the receiver 10. The detection unit 50 is provided with a device for fire detection and fire prevention, various sensors, and transmitters. The receiver 1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but there are five types of P-type, R-type, M-type, GP-type, and GR-type. The R-type and GR-type receivers receive intrinsic signals from a plurality of detectors or P-type transmitters, and notify a related person of an alarm. R-type and GR-type receivers can easi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sensor or transmitter, and each sensor or transmitter is assigned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Here, a description will be made focusing on the R-type and GR-type receivers 10.

수신기(10)는 관제센터(MC)와 접속된다. 수신기(10)는 인터페이스(11), 표시부(12) 및 입출력포트(13)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1), 표시부(12) 및 입출력포트(13)는 제어부(60)에 접속된다. 제어부(60)는 제어신호의 수신 및 통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 중계기(30)와 탐지부(50) 식별, 관제센터(MC)와의 통신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0)는 수신기(10)에 연결된 각 중계기(30)들과 회선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는 수신기(1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 탐지부(50)에서 감지된 데이터, 중계기(30)를 포함한 각종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탐지부(50)에서 중계기(30)를 거쳐 관제센터(MC)로 전달되는 모든 신호를 말한다. 인터페이스(11)는 관제센터(MC)와 사이의 접속을 구현한다. 표시부(12)는 디스플레이, LED 램프, 스피커 등을 포함하며, 경보상태, 동작상태 등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한다. The receiver 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center MC. The receiver 10 includes an interface 11, a display unit 12 and an input/output port 13. The interface 11, the display unit 12, and the input/output port 13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0.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operations such as reception and control of control signals, identification of the repeater 30 and detection unit 50 that generated the control signal, and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center MC.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checks whether the repeaters 30 connected to the receiver 10 and the line operate normally. Here,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10, data sensed by the detection unit 50,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arious facilities including the repeater 30, and the like. The control signal refers to all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detection unit 50 to the control center MC through the repeater 30. The interface 11 implements a connection with the control center MC. The display unit 12 includes a display, an LED lamp, a speaker, and the like, and visually or audibly displays an alarm state, an operation state, and the like.

입출력포트(13)는 탐지부(5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를 통신선로(20)를 통해 전기신호 형태로 수신하여 제어부(60)로 전달한다. 입출력포트(13)는 관제센터(MC)로부터 각 탐지부(50)로 전달되도록 제공된 제어신호를 제어부(60)로부터 전달받아 통신선로(2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입출력포트(13)는 종래와 같이 RS485/422 입출력 포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입출력포트(13)는 예컨대 별도의 장치인 단일포트 변환기로 구성되어, R형/GR형 수신기(10)의 외부에서 RS485/422 입출력포트에 연결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전기신호를 RS485/422 신호로 변환하여 R형/GR형 수신기(10)에 전달하거나, R형/GR형 수신기(10)로부터 출력된 RS485/422 차동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메모리(도시되지 않음)가 부가되어 동작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input/output port 13 receive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detection unit 50 in the form of an electric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2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60. The input/output port 13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provided to b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center MC to each detection unit 50 from the control unit 60 and transmit it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20. The input/output port 13 may be an RS485/422 input/output port as in the related art. In this case, the input/output port 13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separate device, a single port converter, and may be mounted to be connected to the RS485/422 input/output port from the outside of the R-type/GR-type receiver 10. In addition, the electric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n RS485/422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R-type/GR-type receiver 10, or the RS485/422 differential signal output from the R-type/GR-type receiver 10 may be transmitted. In some cases, a memory (not shown) may be added to accumulate and store operation information.

통신선로(20)는 수신기(10)로 향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매체이고, 통신선로(20)는 수신기(1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매체이다. 여기서는, 통신선로(20)는 물리적으로 별개의 케이블로 예시되어 있지만, 통신선로(20)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통신선로 내에 위치한 서로 다른 신호선들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상향(upstream) 신호경로(21)는 탐지부(50)의 센서 또는 송신기에서 기인한 각종 제어신호를 중계기(30)를 거쳐 수신기(10)로 전파하는 경로이다. 하향(downstream) 신호경로(22)는 수신기(10)에서 기인한 제어신호를 각 중계기(30)를 거쳐 탐지부(50)까지 전파하는 경로이다. The communication line 20 is a medium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directed to the receiver 10, and the communication line 20 is a medium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receiver 10. Here, the communication line 20 is exemplified as a physically separate cable, but the communication line 20 may be implemented as different signal lines physically located within one communication line. The upstream signal path 21 is a path through which various control signals originating from a sensor or a transmitter of the detection unit 50 are propagated to the receiver 10 through the repeater 30. The downstream signal path 22 is a path for propagating the control signal originating from the receiver 10 through each repeater 30 to the detection unit 50.

중계기(30)는 서로 통신선로(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탐지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계기(30)는 수신한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중계기(30)는 각종 센서, 소화전, 스프링클러, 할로겐 소화기 등의 소방설비, 댐퍼, 방화문, 방화 셔터, 배연창과 같은 제연설비, 그 밖에 피난 유도등과 같은 기타 장치를 포함하는 탐지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탐지부(50)는 예를 들어 건물 내의 하나의 업무구획, 하나의 층 등으로 그룹화되어, 하나의 중계기(30)에 대해 단순한 직류 신호선 또는 RS485/422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The repeaters 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20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tection unit 50. The repeater 30 outputs the received electric signal. The repeater 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tection unit 50 including various sensors, fire hydrants, sprinklers, firefighting facilities such as halogen fire extinguishers, dampers, fire doors, smoke shutters, smoke-removing facilities such as smoke windows, and other devices such as evacuation guidance lights. It is connected by The detection unit 50 may be grouped into, for example, one business division, one floor, etc. in a building, and may be connected to one repeater 30 by a simple DC signal line or an RS485/422 wire.

중계기(30)는 데이지 체인(daisy chain) 형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계기(30)는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면, 후속의 중계기(30)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또는 수신된 제어신호들을 결합하여 이전의 중계기(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30)는 수신기(10)에서 전달된 제어신호 또는 이전의 중계기(30)를 통해 전달된 제어신호를 그 제어신호가 목적하는 탐지부(50)에 전달하거나, 또는 후속의 중계기(30)로 전달한다. 중계기(30)의 내부에는 탐지부(50)와 근접통신을 이루는 게이트웨이(40)가 내장된다. 중계기(30)는 이미 알려진 2-웨이 변환기가 채택될 수 있으며, 전기신호를 중계하는 모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repeater 30 is preferably connected in a daisy chain. When the repeater 30 is connected in a daisy chain method,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ubsequent repeater 30 may be selectively or combined with the received control signals to be transmitted to the previous repeater 30. In addition, the repeater 3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10 or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previous repeater 30 to the detection unit 50 for which the control signal is targeted, or a subsequent repeater ( 30). A gateway 40 that makes proximity communication with the detector 50 is built into the repeater 30. As for the repeater 30, a known 2-way converter may be adopted, and any method of relaying an electric signal may be applied.

탐지부(50)는 화재탐지 및 소방방재를 위한 장치, 각종 센서, 수신기 및 송신기 등을 구비한다. 상기 센서, 송신기 등은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켜 중계기(3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또는 송신기들은 예컨대 RS485/422에서 규정된 차동신호의 형태로 신호를 발생시키고, 중계기(30)는 RS485/422 입출력 포트를 갖추고 이를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또는 송신기들은 예컨대 DC 24V의 싱글엔디드 직류 신호의 형태로 신호를 발생시키고, 중계기(30)는 직류 입출력포트를 갖추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etection unit 50 includes a device for fire detection and fire prevention, various sensors, a receiver, and a transmitter. The sensor, transmitter, etc. may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repeater 30. The sensors or transmitters generate a signal in the form of a differential signal defined in, for example, RS485/422, and the repeater 30 is equipped with an RS485/422 input/output port and can receive a signal through it. In addition, the sensors or transmitters generate a signal in the form of, for example, a single-ended DC signal of DC 24V, and the repeater 30 may be equipped with a DC input/output port to receive a signal.

제어부(60)는 통신선로(20)에 의한 제어신호의 수신 및 통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 중계기(30)와 탐지부(50) 식별, 관제센터(MC)와 사이의 통신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탐지부(50)는 센서, 소방설비, 제연설비, 기타 장비들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는 중계기(30) 내의 게이트웨이(40) 및 제어부(60)와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센서에 의한 화재탐지는 메시 네트워크 방식으로 통신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2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60 controls operations such as reception and control of the control signal by the communication line 20, identification of the repeater 30 and the detection unit 50 that generated the control signal, and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center (MC). do. The detection unit 50 includes sensors, firefighting equipment, ventilation equipment, and other equipment, and in particular, data sensed by the sensor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gateway 40 and the control unit 60 in the repeater 30. Fire detection by the sensor communicates in a mesh network metho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FIG. 2.

도 2는 도 1의 탐지부(50)에 적용된 무선 메시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화재감시 시스템(100)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ireless mesh network applied to the detection unit 50 of FIG. 1. At this time, the fire monitoring system 100 will be referred to FIG. 1.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하나의 중계기(30)에 적어도 하나의 방재기(F) 및 그에 장착된 센서모듈(S)을 포함하는 탐지부(50)가 무선(wireless)으로 링크되어 있다. 여기서는 7개의 방재기(F1, …, F7)를 예로 들었다. 방재기의 개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되는 환경, 규모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방재기(F)는 소화전, 스프링클러, 할로겐 소화기 등의 소방설비, 댐퍼, 방화문, 방화 셔터, 배연창과 같은 제연설비, 그 밖에 피난 유도등과 같은 기타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방재기(F) 각각에는 센서모듈(S)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7개의 방재기(F1, …, F7)에 장착된 7개의 센서모듈(S1, …, S7)을 예로 들었다. 센서모듈(S)은 예컨대, 불꽃 감지, 연기량 감지, 트리거 카운트, 피크점 카운트, 변위, 감지시간에 관련된 적외선과 자외선의 감지, 이미지 감지 등에 의한 센서데이터를 획득한다. 2, in th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ection unit 50 including at least one disaster prevention device F and a sensor module S mounted thereon in one repeater 30 is wirelessly configured. Linked. Here, seven disaster prevention devices (F1, …, F7) are exemplified. The number of disaster prevention devices may b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scale, and the like to which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Disaster prevention devices (F) include fire hydrants, sprinklers, fire fighting facilities such as halogen fire extinguishers, dampers, fire doors, fire shutters, ventilation facilities such as exhaust windows, and other devices such as evacuation guidance lights. In addition, each of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s (F) includes a sensor module (S). Here, the seven sensor modules (S1, …, S7) mounted on the seven disaster prevention devices (F1, …, F7) are exemplified. The sensor module S acquires sensor data by detecting, for example, flame detection, smoke amount detection, trigger count, peak point count, displacement, infrared and ultraviolet rays related to the detection time, and image detection.

다수개의 센서모듈(S) 각각의 센서들은 근접통신망(M)을 통하여 상호 링크된다. 근접통신망(M)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방식,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로라(Lora), LTE-A, 5G, Wifi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센서모듈(S) 각각의 센서들은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를 이룬다. 각각의 센서들이 메시 네트워크를 이룬다면,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한 센서데이터는 서로 공유된다. 기존에는 각각의 센서들에서 측정된 센서데이터를 각각의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제어부에 1:1로 전송되었으나, 본 발명의 센서들이 측정한 센서데이터는 네트워크로 공유되어 공유된 센서데이터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1:n의 메시 네트워크 방식으로 전송된다. 여기서는 1:7의 메시 네트워크 방식이 제시되었다.The sensor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S) are link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network (M). The proximity network (M)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Bluetooth, Lora, LTE-A, 5G, Wifi, and the like. That is, the sensor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S form a mesh network. If each sensor forms a mesh network, sensor data measured by each sensor are shared with each other. In the past, sensor data measured by each sensor was transmitted 1:1 to the control unit through each gateway, but the sensor data measured by the sen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ared through a network, and the shared sensor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 Is transmitted in a 1:n mesh network method. Here, a 1:7 mesh network method is presented.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근접통신망(M)에 의한 메시 네트워크 방식으로 공유된 센서데이터는 게이트웨이(40, G1, …, Gn)를 거쳐 근접 또는 원격통신망(예, LTE)으로 제어부(60)에 전송된다. 게이트웨이(40, 예컨대 G1)는 하나 건너의 게이트웨이(G3)가 상기 근접통신망으로 링크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전송받은 센서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재기(F)를 제어한다. 이러한 원격통신망, 제어부의 기능 및 역할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무선통신을 위한 IP 분배, 시간분할 등은 공지의 방식을 따른다. 다시 말해, 센서모듈(S)의 위치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ensor data shared by the proximity communication network (M) in the mesh network metho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0 via the proximity or remote communication network (eg, LTE) through the gateways 40, G1, ..., Gn. . In the gateway 40 (eg, G1), one or more gateways G3 may be linked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 F using the transmitted sensor data. Since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rol unit are already well known,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herein. At this time, IP distribution and time divis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follow a known method. In other words, the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S is set in advance.

메시 네트워크 방식으로 센서데이터를 전송하면, 센서데이터가 통신불량 등으로 유실되지 않고 모두 제어부(60)에 전송된다. 기존과 같이, 개별적인 통신을 한다면, 일부의 방재기(F)에 화재의 위험성이 있거나 개폐(ON/OFF)가 올바르지 않아도, 해당하는 방재기(F)가 통신불량이면 이를 확인할 수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시 네트워크 방식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어떤 방재기(F)가 통신불량이라고 하더라도, 주변의 다른 방재기(F)를 통하여 통신불량인 방재기(F)의 센서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방재기(F) 모두의 센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필요한 조치를 적기에 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메시 네트워크는 통신불량이 발생한 방재기(F)를 쉽게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할 수 있다. When the sensor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mesh network method, all of the sensor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60 without being lost due to communication failure or the like. As in the past, if individual communication is performed, even if there is a risk of fire in some of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s (F) or the opening/closing (ON/OFF) is incorrect, it cannot be confirmed if the corresponding disaster prevention device (F) is poorly communicated. However, sinc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in a mesh network method, even if a certain disaster prevention device F is in communication failure, the sensor data of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 F, which is poor in communication, can be checked through another disaster prevention device F in the vicinity. .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sensor data of all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s F in real time, so that necessary measures can be taken in a timely manner. The wireless mesh network can easily check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 (F) in which communication failure has occurred and take necessary meas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시 네트워크 방식 및 사물인터넷을 활용함으로써, 접속불량, 단선 등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여도 동작은 지속되고, 오류가 일어나 지점을 정확하게 특정하며, 측정된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하는 화재탐지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을 활용하여 화재탐지를 한다. 특히 화재탐지를 하는 데 있어서 발생하는 오류를 차단하고, 오류를 발생한 지점을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시 네트워크에 의한 무선통신을 위한 IP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측정된 데이터가 유실된 센서(S)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sh network method and the Internet of Things, so that the operation continues even if an error such as poor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ccurs, an error occurs, and a fire prevents loss of measured data. We present a detection system. To do this, it detects fire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block errors that occur in fire detection and accurately specify the point where the error occurs. Specifically, since the IP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mesh network is set, the location of the sensor S in which the measured data has been lost can be check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계기(30)를 거쳐 신호전송이 이루어지는 사례를 제시하였으나, 중계기(30)가 없이 수신기(10) 및 탐지부(50)가 상호 무선통신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수신기(10)는 무선통신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탐지부(5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중계기(30)가 없으면, 상향 및 하향 신호경로를 이루는 통신선로(20)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40)는 탐지부(50)의 일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esented a case in which signal transmis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repeater 30, the receiver 10 and the detection unit 50 can be implemented by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without the repeater 30. In this case, the receiver 10 may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detection unit 5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at is, without the repeater 30, the communication line 20 constituting the uplink and downlink signal paths may not be provided. In addition, the gateway 40 may be disposed in a certain area of the detection unit 50.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100; 화재탐지 시스템 10; 수신기
11; 인터페이스 12; 표시부
13; 입출력포트
20; 통신선로
21, 22; 상향 및 하향 신호경로
30; 중계기
40; 게이트웨이 50; 탐지부
60; 제어부
100; Fire detection system 10; receiving set
11; Interface 12; Display
13; I/O port
20; Communication line
21, 22; Upward and Downward Signal Paths
30; Repeater
40; Gateway 50; Detection unit
60; Control unit

Claims (9)

화재 감지를 위한 다수개의 센서가 장착된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탐지부; 및
상기 탐지부로부터 탐지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탐지부는 상기 다수개의 센서모듈이 근접통신망으로서 서로 링크되어 메시 네트워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
A detection unit including a sensor modul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fire; And
It includes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data detected from the detection unit,
The detection unit Internet-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are linked to each other as a proximity communication network to form a mesh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부 및 수신기 사이에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통신선로로 연결된 중계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선로는 상기 탐지부에 기인한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기를 거쳐 상기 수신기로 전달하는 상향 신호경로 및 상기 수신기에 기인한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기를 거쳐 상기 탐지부로 전달하는 하향 신호경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peater connected between the detection unit and the receiver by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an electric signal, and the communication line is an upward direction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due to the detection unit to the receiver through the repeater. An IoT-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ing a signal path and a downlink signal path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due to the receiver to the detection unit through the rep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근접통신망으로 링크되고, 상기 근접통신망으로 게이트웨이에 링크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근접 또는 원격통신망으로 제어부에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The IoT-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module is linked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network, the gateway is linked to the proximity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gateway is linked to a control unit via a proximity or remote communication networ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하나 건너의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근접통신망으로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The IoT-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gateway is linked to one or more of the gateways and the proximity communication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통신망들은 블루투스(bluetooth), 로라(Lora), LTE-A, 5G 또는 Wifi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The IoT-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networks are any one of Bluetooth, Lora, LTE-A, 5G, or Wifi.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중계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The IoT-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gateway is mounted on the rep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The IoT-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peater is connected in a daisy chai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2-웨이 변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The IoT-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peater is a 2-way conver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에는 무선통신을 위한 IP 분배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
The IoT-based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P distribu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the sensor module.
KR1020190136633A 2019-10-30 2019-10-30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 KR1023100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33A KR102310052B1 (en) 2019-10-30 2019-10-30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33A KR102310052B1 (en) 2019-10-30 2019-10-30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400A true KR20210051400A (en) 2021-05-10
KR102310052B1 KR102310052B1 (en) 2021-10-07

Family

ID=7591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633A KR102310052B1 (en) 2019-10-30 2019-10-30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0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978B1 (en) * 2021-11-29 2022-05-13 대한민국 Integrated disaster service providing system of existing sensors connected to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846A (en) 2021-12-07 2023-06-14 (주)세드나 Wireless Fire Monitoring System and the Oper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973B1 (en) * 2018-12-07 2019-03-12 (주)리더스테크 Remote fire detection system
KR102022887B1 (en) * 2018-04-09 2019-09-19 김용규 Wireless fire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887B1 (en) * 2018-04-09 2019-09-19 김용규 Wireless fire monitoring system
KR101955973B1 (en) * 2018-12-07 2019-03-12 (주)리더스테크 Remote fire detec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978B1 (en) * 2021-11-29 2022-05-13 대한민국 Integrated disaster service providing system of existing sensors connected to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052B1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0422B2 (en) Optical repeater R and GR receiver systems
KR102310052B1 (e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
KR101935693B1 (en) Earthquake disaster system using iot module and led and its operation method
EP3101951B1 (en) Bidirectional redundant mesh networks
KR101950793B1 (en) A system for detecting fire automatic
KR102310083B1 (en) Automatic fire suppress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
KR102160560B1 (en) system for fire receiver based on IoT
JP7010613B2 (en) Alarm system
KR101068504B1 (en) Type-r and type-gr fire alarm control panel system with optical repeaters
KR100979173B1 (en) Type-r and type-gr fire alarm receiver system with optical repeaters
JP6836862B2 (en) Alarm system
JP6820172B2 (en) Alarm system
KR101120114B1 (en) Wireless network system of fire detector
KR100997659B1 (en) Type-r and type-gr fire alarm receiver system with optical repeaters
KR20120113378A (en) Wire and wireless disaster prevention system of ship
JP6862307B2 (en) Intergroup transfer device for alarm system
KR20120117534A (en) Wire and wireless disaster prevention system of ship with optical temperature sensor
KR20100097995A (en) Automatic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JP6752094B2 (en) Inter-group transfer device for warning system
KR100979175B1 (en) Type-r and type-gr fire alarm receiver system with optical repeaters
US202000845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t least one loudspeaker line
KR101214042B1 (en) Optical analog type fire detector and fire alarm control panel system
JP6964729B2 (en) Intergroup transfer device for alarm system
KR102646188B1 (en) Fire warning system comprising early fire warning and evacuation for multi use facility
JP7340635B2 (en) alar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