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874A - Dns 쿼리-응답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Dns 쿼리-응답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874A
KR20210050874A KR1020190135412A KR20190135412A KR20210050874A KR 20210050874 A KR20210050874 A KR 20210050874A KR 1020190135412 A KR1020190135412 A KR 1020190135412A KR 20190135412 A KR20190135412 A KR 20190135412A KR 20210050874 A KR20210050874 A KR 20210050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electronic device
ipv6
server
ipv4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상
서성기
이미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5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0874A/ko
Priority to PCT/KR2020/013677 priority patent/WO2021085884A1/ko
Publication of KR2021005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87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1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between different IP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H04L61/3025Domain name generation or assignment
    • H04L61/305
    • H04L61/6004
    • H04L61/605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04L2101/35Types of network names containing special prefi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04Address structures or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59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add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IPv6 주소를 가지는지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IPv6 주소를 가지는 경우, 서버에게 IPv6 주소를 요청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IPv6 주소에 웰노운 프리픽스(well-known prefi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IPv6 주소로부터 IPv4 주소를 획득하고, IPv6 주소를 포함하는 제1 구조체와, 상기 획득한 IPv4 주소를 기반으로 형성한 제2 구조체를 연결하여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DNS 쿼리-응답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Method for Reducing Query-Response Time and the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는 DNS 쿼리-응답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자열의 웹 주소(ex: www.XXX.com)를 IP주소로 변경하는 DNS(Domain Name System)는 전세계 어디서든, 인터넷 주소를 가지는 디바이스라면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모바일 장치는 최초 망에 접속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DNS 서버를 부여 받고 이를 목적지(destination)로 어플리케이션이 요청하는 주소를 쿼리(query)하는 방식으로 DNS를 사용하고 있다.
모바일 장치가 확산됨에 따라 IPv6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IPv4 - IPv6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IPv6주소를 가진 모바일 장치가 아직 IPv4 주소만 지원하고 있는 서버로 DNS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즉, 아직 IPv6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IPv4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위해서는 IPv4주소를 획득하여 제공해 주어야 한다.
모바일 장치는 접속하려는 서버에 DNS를 이용하여 주소를 쿼리하기 위한 레코드로 2가지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가지는 AAAA Type으로 AAAA 레코드의 값은 콜론으로 구분된 16진법 형식의 IPv6 주소를 의미한다(ex: 2001:0db8:85a3:0:0:8a2e:0370:7334). 즉, 서버는 AAAA Type의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의 IPv6 주소를 모바일 장치에게 전송한다.
다른 한가지는 A Type으로 A 레코드의 값은 점이 있는 십진법으로 된 IPv4 주소를 의미한다(ex: 192.0.2.1). 즉, 서버는 A Type의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의 IPv4 주소를 모바일 장치에게 전송한다. AAAA 레코드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며, 차이점은 IP 주소 유형이다. 모바일 장치에서는 우선순위에 따라 AAAA 타입의 쿼리를 먼저, 그 다음으로 A 타입의 쿼리 순으로 총 두번의 쿼리를 서버로 전송하고 각각의 쿼리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중복된 쿼리를 제거하여 DNS의 응답속도를 향상하고 자원을 절약하며, 사용자의 인터넷 접속 속도를 향상시킨 전자 장치 및 이러한 전자 장치의 작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IPv6 주소를 가지는지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IPv6 주소를 가지는 경우, 서버에게 IPv6 주소를 요청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IPv6 주소에 웰노운 프리픽스(well-known prefi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IPv6 주소로부터 IPv4 주소를 획득하고, IPv6 주소를 포함하는 제1 구조체와, 상기 획득한 IPv4 주소를 기반으로 형성한 제2 구조체를 연결하여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한 IPv4 주소를 큐(queue)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에게 IPv6 주소를 요청할 때, AAAA 타입의 DNS(domain name system) 메시지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가 IPv4 주소만 제공하는 서버인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IPv6 주소에 상기 웰 노운 프리픽스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IPv6 주소에서 상기 웰 노운 프리 픽스를 제거하고 남은 부분을 10진수로 변환하여 상기 IPv4 주소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구조체 뒤에 상기 제2 구조체를 연결하여 상기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복수의 IPv6 주소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IPv6 주소를 기반으로 복수의 IPv4 주소를 획득하며, 획득한 복수의 IPv4 주소를 획득한 순서대로 큐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큐에 저장된 순서대로 IPv4 주소를 큐로부터 출력하여 상기 출력한 IPv4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제2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복수의 IPv6 주소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IPv6 주소에 대한 복수의 제1 구조체를 연결한 후, 상기 복수의 IPv6 주소를 기반으로 획득한 상기 복수의 IPv4 주소에 대한 복수의 제2 구조체를 상기 연결된 복수의 제1 구조체 뒤에 연결하여 상기 리스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IPv6 주소를 가지는지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IPv6 주소를 가지는 경우, 서버에게 IPv6 주소를 요청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IPv6 주소에 웰노운 프리픽스(well-known prefi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IPv6 주소로부터 IPv4 주소를 획득하고, IPv6 주소를 포함하는 제1 구조체와, 상기 획득한 IPv4 주소를 기반으로 형성한 제2 구조체를 연결하여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한다.
상기 획득한 IPv4 주소는 큐(queue)에 저장하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서버에게 IPv6 주소를 요청할 때, AAAA 타입의 쿼리를 사용하여 요청 하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가 IPv4 주소만 제공하는 서버인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IPv6 주소에 상기 웰 노운 프리픽스가 포함되어 있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IPv6 주소에서 상기 웰 노운 프리 픽스를 제거하고 남은 부분을 10진수로 변환하여 상기 IPv4 주소를 획득하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조체 뒤에 상기 제2 구조체를 연결하여 상기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로부터 복수의 IPv6 주소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IPv6 주소를 기반으로 복수의 IPv4 주소를 획득하며, 획득한 복수의 IPv4 주소를 획득한 순서대로 큐에 저장하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큐에 저장된 순서대로 IPv4 주소를 큐로부터 출력하여 상기 출력한 IPv4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제2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로부터 복수의 IPv6 주소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IPv6 주소에 대한 복수의 제1 구조체를 연결한 후, 상기 복수의 IPv6 주소를 기반으로 획득한 상기 복수의 IPv4 주소에 대한 복수의 제2 구조체를 상기 연결된 복수의 제1 구조체 뒤에 연결하여 상기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복된 쿼리를 제거하여 DNS의 응답속도를 향상하고 자원을 절약하며, 사용자의 인터넷 접속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송수신하는 DNS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송수신하는 DNS 메시지의 Answer 섹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조체 및 제2 구조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형성한 리스트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쿼리-응답 시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 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200)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송수신하는 DNS 메시지의 포맷(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송수신하는 DNS 메시지의 Answer 섹션(4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조체 및 제2 구조체의 예시(5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예: 도 1 의 101)는 전자 장치가 IPv6주소를 가지는지 판단할 수 있다(201). 전자 장치가 IPv6주소를 가지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본 개시에 따른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202).
전자 장치가 IPv6주소를 가지는 경우, 전자 장치는 서버로 DNS를 이용하여 주소를 요청하기 위한 쿼리를 형성할 수 있다(203).
전자 장치는 형성된 쿼리가 AAAA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04). 형성된 쿼리가 AAAA 타입이 아닌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가 IPv6 주소를 가지는지 여부 판단으로 돌아갈 수 있다(201).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쿼리를 형성하고(203), 쿼리가 AAAA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204)하는 동작을 통합하여 전자 장치가 IPv6 주소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201) AAAA 타입의 쿼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형성한 쿼리가 AAAA 타입인 경우(204) 전자 장치는 서버로 AAAA 타입의 쿼리를 전송할 수 있다. AAAA 타입 쿼리의 전송은 인터넷국제표준화기구(IETF)에서 제정한 RFC(Request for Comments) 표준에서 정의하는 DNS request의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RFC 표준에서 정의하는 DNS request message의 포맷(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DNS request message는 Header(311), Question(312), Answer(313), Authority(314) 및 Additional(315)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Question(312) 섹션은 QNAME(321), QTYPE(322), QCLASS(323)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QNAME(321) 섹션은 DNS 서버로 쿼리를 원하는 웹의 문자열 주소(ex: ipv4.XXX.com)를 포함할 수 있다.
QTYPE(322) 섹션은 x’0001(1)~x’00FF(255)로 표현되며, 총 10가지로 쿼리의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TYPE(322) 섹션이 x'0001(1)를 나타내는 경우 DNS request message는 A 타입의 쿼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QTYPE(322) 섹션이 x'001C(28)를 나타내는 경우 DNS request message는 AAAA 타입의 쿼리를 포함할 수 있다.
QCLASS(323) 섹션은 인터넷 클래스(Internet Class)를 정의하는 섹션으로 'IN'을 의미하는 1가지 값만 존재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AAAA 타입의 쿼리를 포함하는 DNS request message를 서버에게 전송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로부터 콜론으로 구분된 16진법 형식의 IPv6 주소를 포함하는 DNS response message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RFC 표준에서 정의하는 DNS response message의 Answer 섹션(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DNS response message는 16진수로 구성되어있으며, 도 3의 DNS request message와 포맷이 동일하여 도 3과 같이 Header, Question, Answer, Authority 및 Additional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DNS response message의 Answer 섹션(400)는 NAME(411), TYPE(412), CLASS(413), TTL(414), RLENGTH(415), RDATA(416)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NAME(411) 섹션은 DNS 서버로 요청했던 웹의 문자열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TYPE(412) 섹션은 DNS 서버로 전송한 쿼리의 Type을 나타낼 수 있으며, IPv6의 경우 AAAA Type, IPv4의 경우 A Type을 가질 수 있다. CLASS(413) 섹션은 프로토콜 패밀리를 의미하며,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x’0001의 IN Class를 가질 수 있다. TTL(414) 섹션은 자원 레코드의 유효 시간, 즉, DNS 서버의 캐쉬에 데이터가 얼마나 오랫동안 저장될 것인지를 나타내는 시간(Time To Live)를 의미하며, DNS 서버는 캐쉬를 우선 참조 후 쿼리를 전송할 수 있다. RDLENGTH(415) 섹션은 RDATA(416) 섹션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DNS response message가 웰 노운 프리픽스(Well-Known Prefix)를 포함하는 주소를 포함하는 경우 RDLENGTH(415) 섹션은 16bytes를 나타낼 수 있다. RDATA(416) 섹션은 레코드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웹 페이지의 주소를 요청하는 쿼리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경우 RDATA(416) 섹션은 웹 페이지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IPv6 주소를 가지는 전자 장치가 IPv4 주소만 지원하는 서버로 DNS 기술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의 주소를 쿼리하는 경우, 서버는 웹 페이지의 IPv4 주소를 포함하는 IPv6 주소를 16진수로 응답할 수 있다. IPv6 주소는 16진수로 표현된 IPv4 주소 앞에 웰 노운 프리픽스를 붙인 주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웰 노운 프리픽스는 '64:ff9b::/96'일 수 있으며 RFC(Request for Comments) 표준의 정의를 따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DNS 응답 메시지에 웰 노운 프리픽스가 포함된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205). 상술한 바와 같이 IPv6 주소를 가지는 전자 장치가 IPv4 주소만 지원하는 서버로 DNS 기술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의 주소를 쿼리하는 경우, 서버가 응답하는 주소는 웰 노운 프리픽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주소 정보에 웰 노운 프리픽스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205), 전자 장치가 IPv6 주소를 가지는지 여부 판단으로 돌아갈 수 있다(201).
전자 장치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주소 정보에 웰 노운 프리픽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서버로부터 수신한 주소 정보로부터 IPv4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206).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AAAA 타입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로부터 웰 노운 프리픽스가 포함된 IPv6 주소를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IPv6 주소에서 웰 노운 프리픽스를 제거하고 남은 부분을 십진법으로 변환하여 IPv4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획득한 IPv4 주소를 큐(queue)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NS를 이용하여 AAAA 타입으로 웹 페이지의 주소를 쿼리하여 그 응답으로, 64:ff9b::d259:a812 주소를 서버로부터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는 64:ff9b::d259:a812 주소에서 웰 노운 프리픽스인 ‘64:ff9b::'를 제거하고 남은 'd259:a812' 부분을 16진수에서 10 진수로 변환하여 IPv4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즉 'd2'를 10진수로 변환한 '210', '59'를 10진수로 변환한 '89', 'a8'을 10진수로 변환한 '168', '12'를 10진수로 변환한 '18'을 연결한 '210.89.168.18'의 IPv4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웹 페이지에 대한 IPv6 주소를 요청하는 쿼리를 서버에게 하나 이상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쿼리 각각에 대하여 IPv6 주소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하나 이상의 IPv6 주소 각각으로부터 IPv4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획득한 하나 이상의 IPv4 주소를 획득 순서대로 큐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수신한 IPv6 주소를 포함하는 제1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IPv6 주소를 포함하는 제1 구조체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획득된 IPv4 주소를 포함하는 제2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207).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구조체 및 제2 구조체는 RFC(Request for Comments) 표준(예: RFC 3493)에서 정의하는 addrinfo() 구조체일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addrinfo() 구조체(510, 520)는 ai_flags, ai_familiy, ai_socktype, ai_protocol, ai_addrlen, ai_addr, ai_next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섹션의 정의는 RFC(Request for Comments) 표준(예: RFC 3493)을 따를 수 있다. addrinfo() 구조체(510, 520)가 포함하는 ai_addr(511, 521) 필드는 socket 주소를 포함하는 구조체(512, 522)의 포인터일 수 있다.
제1 구조체(510)가 포함하는 ai_addr(511)필드는 sockaddr_in6(512)를 가리킬 수 있다. sockaddr_in6(512)는 전자 장치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IPv6 주소(ex: 64:ff9b::d259:a0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조체(520)가 포함하는 ai_addr(521)필드는 sockaddr_in(522)를 가리킬 수 있다. sockaddr_in(522)는 전자 장치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IPv6 주소(ex: 64:ff9b::d259:a05a)로부터 획득한 IPv4 주소(ex: 210.89.144.8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IPv6 주소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 자체 내에서 제2 구조체(520)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서버로부터 복수의 IPv6 주소들을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는 복수의 IPv6 주소들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IPv4 주소들을 획득한 순서대로 큐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큐에 저장한 순서대로 IPv4를 출력하여 IPv4 주소(522)를 포함하는 제2 구조체(520)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큐에 복수의 IPv4 주소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복수의 IPv4 주소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제2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IPv6 주소를 포함하는 제1 구조체와 IPv4 주소를 포함하는 제2 구조체를 연결하여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208). 전자 장치는 리스트를 형성할 때 제2 구조체를 제1 구조체의 뒤에 연결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복수의 제1 구조체들 및 복수의 제2 구조체들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제1 구조체들을 먼저 연결한 후, 연결된 복수의 제1 구조체들의 뒤에 복수의 제2 구조체들을 연결하여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형성한 리스트(600)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예: 도 1 의 101)는 서버에게 웹 페이지에 대한 IPv6 주소를 요청하는 AAAA타입의 제1 쿼리, 제2 쿼리, 제3 쿼리, 제4 쿼리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1 쿼리, 제2 쿼리, 제3 쿼리, 제4 쿼리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로부터 제1 IPv6 주소(64:ff9b::3455:7649), 제2 Pv6 주소(64:ff9b::3455:7632), 제3 IPv6 주소(64:ff9b::3455:762d), 제4 IPv6 주소(64:ff9b::3455:760f)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1 IPv6 주소(64:ff9b::3455:7649)로부터 제1 IPv4 주소(52.85.118.73)를 획득하고, 제2 Pv6 주소(64:ff9b::3455:7632)로부터 제2 IPv4 주소(52.85.118.50)를 획득하고, 제3 IPv6 주소(64:ff9b::3455:762d)로부터 제3 IPv4 주소(52.85.118.45)를 획득하고, 제4 IPv6 주소(64:ff9b::3455:760f)로부터 제4 IPv4 주소(52.85.118.15)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1 IPv6 주소(64:ff9b::3455:7649)를 포함하는 제1 구조체A(611), 제2 Pv6 주소(64:ff9b::3455:7632)를 포함하는 제1 구조체B(612), 제3 IPv6 주소(64:ff9b::3455:762d)를 포함하는 제1 구조체C(613), 제4 IPv6 주소(64:ff9b::3455:760f)를 포함하는 제1 구조체D(614)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1 IPv6 주소(64:ff9b::3455:7649), 제2 Pv6 주소(64:ff9b::3455:7632), 제3 IPv6 주소(64:ff9b::3455:762d), 제4 IPv6 주소(64:ff9b::3455:760f) 각각을 제1 구조체A(611), 제1 구조체B(612), 제1 구조체C(613), 제1 구조체D(614)의 형태로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획득한 제1 IPv4 주소(52.85.118.73), 제2 IPv4 주소(52.85.118.50), 제3 IPv4 주소(52.85.118.45), 제4 IPv4 주소(52.85.118.15)를 획득한 순서대로 큐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큐에 가장 먼저 저장한 제1 IPv4 주소(52.85.118.73)를 큐로부터 출력하여 제1 IPv4 주소(52.85.118.73)를 포함하는 제2 구조체A(621)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1 IPv4 주소(52.85.118.73) 다음으로 큐에 저장한 제2 IPv4 주소(52.85.118.50)를 출력하여 제2 IPv4 주소(52.85.118.50)를 포함하는 제2 구조체B(622)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2 IPv4 주소(52.85.118.50) 다음으로 큐에 저장한 제3 IPv4 주소(52.85.118.45)를 출력하여 제3 IPv4 주소(52.85.118.45)를 포함하는 제2 구조체C(623)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3 IPv4 주소(52.85.118.45) 다음으로 큐에 저장한 제4 IPv4 주소(52.85.118.15)를 출력하여 제4 IPv4 주소(52.85.118.15)를 포함하는 제2 구조체D(624)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구조체A(611), 제1 구조체B(612), 제1 구조체C(613), 제1 구조체D(614)를 순서대로 연결하고 그 뒤에 제2 구조체A(621), 제2 구조체B(622), 제2 구조체C(623), 제2 구조체D(624)를 순서대로 연결하여 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IPv6 주소를 포함하는 제1 구조체A(611), 제1 구조체B(612), 제1 구조체C(613), 제1 구조체D(614)를 먼저 모두 연결한 뒤, 연결된 복수의 제1 구조체 뒤에 IPv4 주소를 포함하는 제2 구조체A(621), 제2 구조체B(622), 제2 구조체C(623), 제2 구조체D(624)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복수의 제1 구조체들을 연결할 때 가장 먼저 제1 IPv6 주소(64:ff9b::3455:7649)가 포함된 제1 구조체A(611)를 두고, 제1 구조체A(611) 뒤에 제2 Pv6 주소(64:ff9b::3455:7632)가 포함된 제1 구조체B(612)를 연결하고, 제1 구조체B(612) 뒤에 제3 IPv6 주소(64:ff9b::3455:762d)가 포함된 제1 구조체C(613)를 연결하고, 제1 구조체C(613) 뒤에 제4 IPv6 주소(64:ff9b::3455:760f)가 포함된 제1 구조체D(614)를 연결하였다면, 제1 구조체D(614) 뒤에 제2 구조체를 연결할 때, 연결된 복수의 제1 구조체들 중 가장 먼저 앞에 위치하는 제1 IPv6 주소(64:ff9b::3455:7649)에 대응하는 제1 IPv4 주소(52.85.118.73)를 포함하는 제2 구조체A(621)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2 구조체A(621) 뒤에, 연결된 복수의 제1 구조체들 중 두번째 위치하는 제2 Pv6 주소(64:ff9b::3455:7632)에 대응하는 제2 IPv4 주소(52.85.118.50)를 포함하는 제2 구조체B(622)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2 구조체B(622) 뒤에, 연결된 복수의 제1 구조체들 중 세번째 위치하는 제3 IPv6 주소(64:ff9b::3455:762d)에 대응하는 제3 IPv4 주소(52.85.118.45)를 포함하는 제2 구조체C(623)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2 구조체C(623) 뒤에, 연결된 복수의 제1 구조체들 중 네번째 위치하는 제4 IPv6 주소(64:ff9b::3455:760f)에 대응하는 제4 IPv4 주소(52.85.118.15)를 포함하는 제2 구조체D(624)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리스트를 형성할 때 연결된 복수의 제1 구조체들의 순서와 연결된 복수의 제2 구조체들의 순서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700)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쿼리-응답 시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표(800)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IPv6 주소를 가지는 전자 장치(710)는 IPv4 주소만 지원하는 서버(720)에게 웹 페이지(ipv4.xxx.com)에 대한 주소를 쿼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710)는 먼저 AAAA 타입의 쿼리를 서버(720)에게 전송할 수 있다(701). 서버(720)는 IPv4 주소만 지원하므로 AAAA 타입의 쿼리를 수신한 경우 웰 노운 프리 픽스(ex: 64:ff9b::)를 포함하는 IPv6 주소(ex: 64:ff9b::acd9:1fee)를 전자 장치(710)에게 응답할 수 있다. 전자 장치(710)는 AAAA 타입의 쿼리에 대한 응답인 AAAA 응답을 수신하여(702) AAAA 응답에 포함된 IPv6 주소에 웰 노운 프리픽스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한 IPv6 주소에 웰 노운 프리픽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710)는 IPv6 주소로부터 IPv4 주소(ex: 172.217.31.238)를 획득할 수 있다(703). 따라서 전자 장치(710)는 별도로 A 타입의 쿼리를 서버(720)에 전송하여 IPv4 주소를 수신하는 동작의 생략이 가능하다(704).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쿼리-응답 시간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표(800)이다. 도 8의 표에서 Server/Result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으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가 쿼리를 전송한 5개의 서버(801, 802, 803, 804, 805)를 나타낸다. 도 8의 표에서 Before는 전자 장치가 서버에게 AAAA 타입 쿼리 및 A 타입의 쿼리를 전송한 경우의 총 쿼리-응답 시간을 나타내며 단위는 초(s)이다. 도 8의 표에서 After는 전자 장치가 서버에게 AAAA 타입 쿼리를 전송하고 이를 기반으로 A 타입의 쿼리 전송을 생략한 경우의 쿼리-응답 시간을 나타내며 단위는 초(s)이다. Effect Ratio는 쿼리-응답 시간이 감축된 비율을 나타낸다.
도 8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가 ipv4.xxx.com(801)에게 쿼리를 전송한 경우, AAAA 타입 쿼리 및 A 타입의 쿼리를 전송한 경우 대비 AAAA 타입 쿼리를 전송하고 이를 기반으로 A 타입의 쿼리 전송을 생략한 경우 쿼리-응답 시간이 감축된 비율은 38.6%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가 ipv4.AAA.se(802)에게 쿼리를 전송한 경우, AAAA 타입 쿼리 및 A 타입의 쿼리를 전송한 경우 대비 AAAA 타입 쿼리를 전송하고 이를 기반으로 A 타입의 쿼리 전송을 생략한 경우 쿼리-응답 시간이 감축된 비율은 약 31.4%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가 ipv4c.AAA.se(803)에게 쿼리를 전송한 경우, AAAA 타입 쿼리 및 A 타입의 쿼리를 전송한 경우 대비 AAAA 타입 쿼리를 전송하고 이를 기반으로 A 타입의 쿼리 전송을 생략한 경우 쿼리-응답 시간이 감축된 비율은 약 33.1%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가 www.BBB.com(804)에게 쿼리를 전송한 경우, AAAA 타입 쿼리 및 A 타입의 쿼리를 전송한 경우 대비 AAAA 타입 쿼리를 전송하고 이를 기반으로 A 타입의 쿼리 전송을 생략한 경우 쿼리-응답 시간이 감축된 비율은 약 30.8%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가 www.CCC.net(805)에게 쿼리를 전송한 경우, AAAA 타입 쿼리 및 A 타입의 쿼리를 전송한 경우 대비 AAAA 타입 쿼리를 전송하고 이를 기반으로 A 타입의 쿼리 전송을 생략한 경우 쿼리-응답 시간이 감축된 비율은 약 29.6%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DNS 쿼리-응답의 속도가 평균(Average) 32%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중복된 쿼리를 제거하여 DNS의 응답속도를 향상하고 불필요하게 유실되고 있는 자원을 절약하며,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인터넷 접속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IPv6 주소를 가지는지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IPv6 주소를 가지는 경우, 서버에게 IPv6 주소를 요청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IPv6 주소에 웰노운 프리픽스(well-known prefi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IPv6 주소로부터 IPv4 주소를 획득하고,
    IPv6 주소를 포함하는 제1 구조체와, 상기 획득한 IPv4 주소를 기반으로 형성한 제2 구조체를 연결하여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한 IPv4 주소를 큐(queue)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서버에게 IPv6 주소를 요청할 때, AAAA 타입의 DNS(domain name system) 메시지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IPv4 주소만 제공하는 서버인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IPv6 주소에 상기 웰 노운 프리픽스가 포함되어 있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IPv6 주소에서 상기 웰 노운 프리 픽스를 제거하고 남은 부분을 10진수로 변환하여 상기 IPv4 주소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구조체 뒤에 상기 제2 구조체를 연결하여 상기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복수의 IPv6 주소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IPv6 주소를 기반으로 복수의 IPv4 주소를 획득하며, 획득한 복수의 IPv4 주소를 획득한 순서대로 큐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큐에 저장된 순서대로 IPv4 주소를 큐로부터 출력하여 상기 출력한 IPv4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제2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복수의 IPv6 주소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IPv6 주소에 대한 복수의 제1 구조체를 연결한 후, 상기 복수의 IPv6 주소를 기반으로 획득한 상기 복수의 IPv4 주소에 대한 복수의 제2 구조체를 상기 연결된 복수의 제1 구조체 뒤에 연결하여 상기 리스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IPv6 주소를 가지는지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IPv6 주소를 가지는 경우, 서버에게 IPv6 주소를 요청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IPv6 주소에 웰노운 프리픽스(well-known prefix)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IPv6 주소로부터 IPv4 주소를 획득하고,
    IPv6 주소를 포함하는 제1 구조체와, 상기 획득한 IPv4 주소를 기반으로 형성한 제2 구조체를 연결하여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IPv4 주소는 큐(queue)에 저장하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서버에게 IPv6 주소를 요청할 때, AAAA 타입의 쿼리를 사용하여 요청 하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IPv4 주소만 제공하는 서버인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IPv6 주소에 상기 웰 노운 프리픽스가 포함되어 있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IPv6 주소에서 상기 웰 노운 프리 픽스를 제거하고 남은 부분을 10진수로 변환하여 상기 IPv4 주소를 획득하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체 뒤에 상기 제2 구조체를 연결하여 상기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복수의 IPv6 주소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IPv6 주소를 기반으로 복수의 IPv4 주소를 획득하며, 획득한 복수의 IPv4 주소를 획득한 순서대로 큐에 저장하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큐에 저장된 순서대로 IPv4 주소를 큐로부터 출력하여 상기 출력한 IPv4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제2 구조체를 형성하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복수의 IPv6 주소를 수신한 경우, 상기 복수의 IPv6 주소에 대한 복수의 제1 구조체를 연결한 후, 상기 복수의 IPv6 주소를 기반으로 획득한 상기 복수의 IPv4 주소에 대한 복수의 제2 구조체를 상기 연결된 복수의 제1 구조체 뒤에 연결하여 상기 리스트를 형성하는, DNS 주소 리스트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190135412A 2019-10-29 2019-10-29 Dns 쿼리-응답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eased KR20210050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412A KR20210050874A (ko) 2019-10-29 2019-10-29 Dns 쿼리-응답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CT/KR2020/013677 WO2021085884A1 (ko) 2019-10-29 2020-10-07 Dns 쿼리-응답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412A KR20210050874A (ko) 2019-10-29 2019-10-29 Dns 쿼리-응답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874A true KR20210050874A (ko) 2021-05-10

Family

ID=7571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412A Ceased KR20210050874A (ko) 2019-10-29 2019-10-29 Dns 쿼리-응답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50874A (ko)
WO (1) WO20210858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66613B1 (en) * 2001-03-08 2008-09-24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Address translator and address translation method
KR20050030288A (ko) * 2003-09-25 2005-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Ip 패킷의 버전을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
US9917928B2 (en) * 2014-11-24 2018-03-13 Fortinet, Inc. Network address translation
KR102112317B1 (ko) * 2015-08-17 2020-05-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패킷 변환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884A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7302A (ko) 블루투스 저전력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11691B1 (ko)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2479642B1 (ko) Ieee 802.11 표준에 정의된 tdls 세션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전자 장치
US11290888B2 (en) Electronic device for discover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200106741A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CN110830933B (zh) 电子设备及其通信中继方法
US11392523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N111699750A (zh) 基于连接信息与外部装置连接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KR102710601B1 (ko) 네트워크 패킷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N113853754A (zh) 在蓝牙tm网络环境中显示外部电子设备查询列表的电子设备和方法
KR102780108B1 (ko) 패킷 전달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038216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eir packet in bluetooth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related thereto
US20200163154A1 (en) Electronic device for scheduling wireless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applic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200358634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WO2023024382A1 (zh) 网络共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595902B2 (en) Electronic device for filtering packet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210050874A (ko) Dns 쿼리-응답 시간 단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220150092A1 (en) Method for sharing channel information in bluetooth network,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00079081A (ko) 콘텐트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57007B1 (ko) 리치 통신 스위트 서비스를 통한 비디오 공유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10129498A (ko)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809976B1 (ko)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10041927A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669446B1 (ko) 억세스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작동 방법
KR20200039053A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0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50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