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503A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503A
KR20210050503A KR1020210054227A KR20210054227A KR20210050503A KR 20210050503 A KR20210050503 A KR 20210050503A KR 1020210054227 A KR1020210054227 A KR 1020210054227A KR 20210054227 A KR20210054227 A KR 20210054227A KR 20210050503 A KR20210050503 A KR 20210050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hromic
electrode
driving
conta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2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현
김병동
최윤철
유상우
김철환
Original Assignee
립하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립하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립하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4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0503A/en
Publication of KR2021005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503A/en
Priority to KR1020210187967A priority patent/KR20220000885A/en
Priority to KR1020220186134A priority patent/KR202300050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09G3/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19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electrochromic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63Operation of electrochromic cells, e.g. electrodeposition cells; Circuit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 driving module capable of being efficiently arranged in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chromic device comprises: an electrochromic element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electrochromic layer, where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cludes at least one exposed area through which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is exposed; an electrical connection unit including a base and first and second conductors recessed into the base and coming in contact with the electrochromic element; a distribution unit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line and a second conductive line and com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and a driving substrate generating driving power for controlling an optical st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e first conductor forms a first conductive path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in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or forms a second conductive path between the second conductive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Description

전기접속부 및 전기변색 장치{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Electrical connection and electrochromic device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본 출원은 전기변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트렌치구조가 형성된 전기변색소자에 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 driving module for applying driving power to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trench structure.

전기변색이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유발되는 산화 환원 반응에 기초하여 색이 변경되는 현상이다. 상기 전기변색될 수 있는 물질은 전기변색물질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색을 띠지 않고 있다 전원이 인가되면 색을 띠게 되거나, 반대로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색을 띠고 있다 전원이 인가되면 색을 소멸하는 특성을 갖는다.Electrochromic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color changes based on a redox reaction caused by an applied power source. The electrochromic material may be defined as an electrochromic material. The electrochromic material does not have a color when power is not applied from the outside. When power is applied, it has a color. Conversely, when power is not applied from the outside, it has a color. Has characteristics.

상기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는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왔다. 상기 전기변색장치는 건축용 창유리나 자동차 유리의 광투과도 또는 반사도를 조절하는 용도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상기 전기변색장치는 차량에 사용되는 후방 미러(Rear View Mirror) 용도로 이용되어, 주야간에 자동차 후방미러를 통해 반사되는 후방차량의 강한 불빛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용되어 왔다.Electrochromic devices including the electrochromic material have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The electrochromic device has been used to control light transmittance or reflectivity of architectural window glass or automobile glass. In particular,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used for a rear view mirror used in a vehicle, and has been used to prevent the strong light of a rear vehicle reflected through the vehicle rear mirror from interfering with the driver's view during the day and night.

그런데, 상기 전기변색장치 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모듈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구동모듈이 상기 전기변색장치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되지 못해 전기변색장치의 내부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최근 구동모듈이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전기변색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대해왔다.However, when a driving module for supplying power is dispos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insid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complicated because the driving module is not efficiently disposed within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an electrochromic device in which the driving module can be efficiently disposed has increased.

본 출원의 일 과제는, 일측에서 전기변색을 위한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소정의 구조를 갖는 전기변색소자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structure so that power for electrochromic may be supplied from one side.

본 출원의 다른 과제는 전기변색소자에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 driving module that can be efficiently disposed in an electrochromic device.

본 출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컨택부를 포함하는 제1 전극, 패드부를 포함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함입되고, 제1 전도체 및 제2 전도체를 포함하는 전도체;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광학적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구동전원 - 상기 구동전원은 제1 구동전원 및 제2 구동전원을 포함함 - 을 생성하는 구동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전기변색층, 전해질층, 및 이온저장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함입된 상기 전도체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접촉되되, 상기 제1 전도체는 상기 패드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2 전도체는 상기 컨택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1 전도체는 상기 패드부에 상기 제1 구동전원을 전달하고, 상기 제2 전도체는 상기 컨택부에 상기 제2 구동전원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including a contact portion, a second electrode including a pad portion, and an intermedia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base disposed to contact the electrochromic element; A conductor embedded in the base and including a first conductor and a second conductor; And a driving substrate disposed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generating a driving power for changing an optical st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e driving power including a first driving power and a second driving power. And, the intermediate layer includes an electrochromic layer, an electrolyte layer, and an ion storage layer, the conductor embedded in the base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e first conductor is in contact with the pad, and the first 2 conductors contact the contact portion, the first conductor transfers the first driving power to the pad portion, and the second conductor transfers the second driving power to the contact portion A color changing device may be provided.

본 출원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함입되고, 제1 전도체 및 제2 전도체를 포함하는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함입된 상기 전도체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접촉되되, 상기 제1 전도체는 상기 제1 전극에 접촉하고, 상기 제2 전도체는 상기 제2 전극에 접촉하며 상기 전극은 상기 전도체를 통해 제1 구동전원 및 제2 구동전원을 포함하는 구동전원을 인가받되,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전도체를 통해 제1 구동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전도체를 통해 제2 구동전원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d an intermedia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base disposed to contact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a conductor embedded in the base and including a first conductor and a second conductor, wherein the conductor embedded in the base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the first conductor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or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electrode receives driving power including a first driving power and a second driving power through the conductor, and the first electrode is applied through the first conductor.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the first driving power is applied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pplied with the second driving power through the second conductor.

본 출원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도체에 배치되는 이방성전도체로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도전필름; 및 상기 도전필름과 접촉하는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도체는 상기 제1 영역에만 접촉하는 제1 전도체, 상기 제2 영역에만 접촉하는 제2 전도체, 및 상기 제3 영역에만 접촉하는 제3 전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에 제1 구동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제2 구동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전도체는 상기 제1 구동전원에 기초한 제1 전위를 갖고, 상기 제2 전도체는 상기 제2 구동전원에 기초한 제2 전위를 가지되, 상기 제3 전도체는 전기적으로 절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부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an anisotropic conductor disposed on a conductor, a conductive film includ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And a conductor contacting the conductive film, wherein the third area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the conductor is a first conductor contacting only the first area, and only the second area A second conductor in contact, and a third conductor in contact only with the third region, and when a first driving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region and a second driving power is applied to the second region, the second Electric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ductor has a first potential based on the first driving power source, the second conductor has a second potential based on the second driving power source, and the third conductor is electrically insulated. Connections may be provided.

본 출원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함몰부를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며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여 이온의 이동에 의해 광학적 특성이 변경되고, 제2 함몰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층;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에 위치하며 이온의 이동에 의해 광학적 특성이 변경되며, 제3 함몰부를 포함하는 이온저장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이온저장층 사이에 위치하여 이온을 전달하며 제4 함몰부를 포함하는 전해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함몰부, 상기 제2 함몰부, 제3 함몰부, 및 제4 함몰부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돌출면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면은 상기 제1 전극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돌출면은 전도체에 접촉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first electrode including a first depression; A first electrode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change optical properties by movement of ions, and including a second depression; An ion storag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the optical properties of which are changed by the movement of ions, and including a third depression; And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to transfer ions and including a fourth depression,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the first depression, the second depression, and the third depression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a protruding surface in an upward direction by a portion and a fourth depression, the protruding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rotruding surface contacting a conductor.

본 출원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means of the su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olution means, and solution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 will be able to.

본 출원에 의하면, 일측에서 전기변색을 위한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소정의 구조를 갖는 전기변색소자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n electrochromic element having a predetermined structure may be provided so that power for electrochromic may be supplied from one side.

본 출원에 의하면, 전기변색소자에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 driving module that can be efficiently dispos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can be provided.

본 출원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활성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활성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활성모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구조가 형성된 전기활성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구조가 형성된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구조가 형성된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및 절연성을 갖는 이방성전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와 구동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 전기접속부, 및 구동기판을 나타내는 측면도면이다.
도 15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공정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 형성된 실효전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2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영역의 형성을 위한 구동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내지 2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영역의 형성을 위해 구현된 전기접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경사를 가진 트렌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경사를 가진 트렌치구조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경사를 가진 트렌치구조의 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내지 28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영역의 형성을 형성하기 위해 구현된 구동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내지 30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영역의 형성을 형성하기 위해 구현된 전기접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를 더 구비하는 구동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를 더 구비하는 구동모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를 더 구비하는 전기변색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전기변색소자와 구동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an electroa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 view showing a driv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4 is a view showing an electroa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activ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active device in which a trench structure is form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trench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trench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1 is a view showing an anisotropic conductor having conductivity and ins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part and a driving substr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n electrical connection part, and a driving substr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sequence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7 is a diagram showing an effective voltage formed in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electrochromic discolo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pplication.
19 to 20 are views illustrating a driving substrate for forming a buffer reg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1 to 22 are diagrams illustrating electrical connections implemented to form a buffer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3 is a view showing a conductio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ench structure having an inclination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5 is a view showing an upper portion of a trench structure having an inclination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6 is a view showing a side portion of a trench structure having an inclination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7 to 28 are views illustrating a driving substrate implemented to form a buffer reg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9 to 30 are views illustrating electrical connections implemented to form a buffer reg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1 is a view showing a conductio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2 is a view showing a driving module further including a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3 is a side view showing a driving module further including a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module further including a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element and a driving modul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clearly expla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as general terms currently widely us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varies according to the intention, custom,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 can. However, if a specific term is defined and used in an arbitrary meaning unlike this, the meaning of the term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and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not a simple name of the term.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asy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displayed as necessary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necessary.

본 출원의 일 양상에 따르면, 컨택부를 포함하는 제1 전극, 패드부를 포함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함입되고, 제1 전도체 및 제2 전도체를 포함하는 전도체; 및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광학적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구동전원 - 상기 구동전원은 제1 구동전원 및 제2 구동전원을 포함함 - 을 생성하는 구동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전기변색층, 전해질층, 및 이온저장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함입된 상기 전도체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접촉되되, 상기 제1 전도체는 상기 패드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2 전도체는 상기 컨택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1 전도체는 상기 패드부에 상기 제1 구동전원을 전달하고, 상기 제2 전도체는 상기 컨택부에 상기 제2 구동전원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including a contact portion, a second electrode including a pad portion, and an intermedia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base disposed to contact the electrochromic element; A conductor embedded in the base and including a first conductor and a second conductor; And a driving substrate disposed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generating a driving power for changing an optical st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e driving power including a first driving power and a second driving power. And, the intermediate layer includes an electrochromic layer, an electrolyte layer, and an ion storage layer, the conductor embedded in the base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e first conductor is in contact with the pad, and the first 2 conductors contact the contact portion, the first conductor transfers the first driving power to the pad portion, and the second conductor transfers the second driving power to the contact portion A color changing device may be provided.

본 출원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함입되고, 제1 전도체 및 제2 전도체를 포함하는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 함입된 상기 전도체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접촉되되, 상기 제1 전도체는 상기 제1 전극에 접촉하고, 상기 제2 전도체는 상기 제2 전극에 접촉하며 상기 전극은 상기 전도체를 통해 제1 구동전원 및 제2 구동전원을 포함하는 구동전원을 인가받되,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전도체를 통해 제1 구동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전도체를 통해 제2 구동전원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d an intermedia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base disposed to contact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a conductor embedded in the base and including a first conductor and a second conductor, wherein the conductor embedded in the base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the first conductor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or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electrode receives driving power including a first driving power and a second driving power through the conductor, and the first electrode is applied through the first conductor.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the first driving power is applied and the second electrode is applied with the second driving power through the second conductor.

또, 상기 중간층은 전기변색층, 전해질층, 및 이온저장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산화환원반응에 의하여 전기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the intermediate layer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layer, an electrolyte layer, and an ion storage layer,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chrom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electrochromic by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또,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부와 인접한 영역에는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상기 제2 전극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트렌치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트렌치구조는 상기 컨택부 및 상기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부는 상기 트렌치구조가 포함하는 제1 전극의 일부 영역이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노출된 상기 제2 전극의 일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trench structure exposing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e trench structure including the contact portion and the pad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the trench structure is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ad portion is a partial region of the exposed second electrode.

또, 상기 제1 전도체는 상기 패드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2 전도체는 상기 컨택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the first conductor contacts the pad portion and the second conductor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또, 상기 트렌치구조는 함몰부 및 상기 인접한 함몰부 사이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가 상기 제1 전극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1 전극, 및 중간층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ench structure includes a recessed portion and a protrusion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recessed portions, and the recessed portion remove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intermediate layer so that the pad portion is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또, 상기 함몰부에 상기 베이스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베이스는 상기 패드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the base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inserted base contacts the pad portion.

또, 상기 전기변색소자를 전기변색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판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driving substrate comprising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 driving power for electrochromiz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further comprising, the driving substrate is provided to b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 can.

또, 상기 구동기판에는 상기 구동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driving substrate, wherein a connection part for outputting the driving power is provided, and the connection part is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또, 상기 구동전원은 제1 구동전원 및 제2 구동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구동전원을 출력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구동전원을 출력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구동전원이 상기 제1 전도체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구동전원이 상기 제2 전도체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power includes a first driving power and a second driving power, and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outputting the first driving power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outputting the second driving power, and the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allows the first driving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llows the second driving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ductor. .

또, 상기 제1 전도체의 상기 제1 구동전원은 상기 패드부에 전달되고, 상기 제2 전도체의 상기 제2 구동전원은 상기 컨택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the first driving power of the first conductor is transmitted to the pad unit,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of the second conductor is transmitted to the contact unit.

또, 상기 제1 구동전원과 상기 제2 구동전원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에 실효전압이 형성되고, 상기 실효전압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전기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may be provided an electrochrom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effective voltage is form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by the first driving power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electrochromic by the effective voltage. have.

또, 상기 베이스는 복수의 상기 제1 전도체와 복수의 상기 제2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전도체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접촉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전도체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includes a plurality of the first conductors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conductors,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ors contac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nductors contact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provided.

또, 상기 베이스에는 구동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도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도경로는 제1 전도경로 및 제2 전도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전도체에 의해 제1 전도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전도체에 의해 제2 전도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duction path for transmitting driving power is formed in the base, the conduction path includes a first conduction path and a second conduction path, and a first conduction path is formed by the plurality of first conductors, and the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conduction path is formed by a plurality of second conductors.

또, 상기 제1 구동전원은 상기 제1 전도경로를 통해 상기 패드부에 전달되고, 상기 제2 구동전원은 상기 제2 전도경로를 통해 상기 컨택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chrom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riving power is transmitted to the pad unit through the first conduction path,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ontact unit through the second conduction path. Can be.

또, 상기 베이스는 절연성을 가지고, 상기 제1 전동경로와 상기 제2 전도경로 사이는 상기 베이스에 의해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the base has insulating properties, and the first transmission path and the second conduction path are insulated by the base.

또, 상기 제1 전도경로와 상기 제2 전도경로 사이에는 서로 접촉되지 않는 상기 전도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the conductors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exist between the first conduction path and the second conduction path.

본 출원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도체에 배치되는 이방성전도체로서,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도전필름; 및 상기 도전필름과 접촉하는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도체는 상기 제1 영역에만 접촉하는 제1 전도체, 상기 제2 영역에만 접촉하는 제2 전도체, 및 상기 제3 영역에만 접촉하는 제3 전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에 제1 구동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제2 구동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전도체는 상기 제1 구동전원에 기초한 제1 전위를 갖고, 상기 제2 전도체는 상기 제2 구동전원에 기초한 제2 전위를 가지되, 상기 제3 전도체는 전기적으로 절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부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an anisotropic conductor disposed on a conductor, a conductive film including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And a conductor contacting the conductive film, wherein the third area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the conductor is a first conductor contacting only the first area, and only the second area A second conductor in contact, and a third conductor in contact only with the third region, and when a first driving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region and a second driving power is applied to the second region, the second Electric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ductor has a first potential based on the first driving power source, the second conductor has a second potential based on the second driving power source, and the third conductor is electrically insulated. Connections may be provided.

또, 상기 컨택부와 상기 패드부 사이의 전기변색소자의 영역에 버퍼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버퍼영역은 상기 구동전원이 전달되지 않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a buffer region is formed in a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between the contact part and the pad part, and the buffer region is a region to which the driving power is not transmitted.

또, 상기 전도체는 상기 버퍼영역에 접촉되는 제3 전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전도체는 전기적으로 절연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ucto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nductor contacting the buffer region, and the third conductor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chromic device, wherein the third conductor is electrically insulated.

또, 상기 버퍼영역에 대응되는 베이스의 영역은 전기적으로 절연상태이며, 상기 제3 전도체는 상기 버퍼영역에 대응되는 베이스의 영역에 함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a region of the base corresponding to the buffer region is electrically insulated, and the third conductor is embedded in a region of the base corresponding to the buffer region.

또, 상기 버퍼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연결부는 전기적으로 절연상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ffer region is electrically insulated.

또,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버퍼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연결부에 상기 구동전원을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the driving unit does not transmit the driving power to a connection unit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ffer area.

본 출원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함몰부를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며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여 이온의 이동에 의해 광학적 특성이 변경되고, 제2 함몰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층;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전기변색층 사이에 위치하며 이온의 이동에 의해 광학적 특성이 변경되며, 제3 함몰부를 포함하는 이온저장층; 및 상기 전기변색층과 상기 이온저장층 사이에 위치하여 이온을 전달하며 제4 함몰부를 포함하는 전해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함몰부, 상기 제2 함몰부, 제3 함몰부, 및 제4 함몰부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돌출면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면은 상기 제1 전극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돌출면은 전도체에 접촉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first electrode including a first depression; A first electrode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o change optical properties by movement of ions, and including a second depression; An ion storag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the optical properties of which are changed by the movement of ions, and including a third depression; And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and the ion storage layer to transfer ions and including a fourth depression,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the first depression, the second depression, and the third depression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a protruding surface in an upward direction by a portion and a fourth depression, the protruding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protruding surface contacting a conductor.

또, 상기 트렌치구조는 상기 패드부와 상기 컨택부를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면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ench structure includes a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pad part and the contact part, and the connection surface ha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 can.

또, 상기 연결면은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erein the connection surface is exposed in an upward direction.

또, 상기 구동기판과 상기 베이스가 포함하는 상기 전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chrom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istribution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riving substrate and the conductor included in the base may be provided.

또, 상기 분배부는 제1 분배부 및 제2 분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전도체에 상기 제1 구동전원이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분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전도체에 상기 제2 구동전원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ribution unit includes a first distribution unit and a second distribution unit, and the first distribu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so that the first driving pow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nductor, and the second distribution unit An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provided,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to transmit the second driving power to the second conductor.

이하에서는 전기활성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electroactive device will be described.

<제1 실시예><First Example>

전기활성장치(1)는 활성 될 수 있다. 상기 전기활성장치(1)는 구동 될 수 있다.The electroactive device 1 can be activated. The electroactive device 1 can be driven.

상기 활성과 구동은 상기 전기활성장치(1)의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상태는 전기적 상태, 또는 광학적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tivation and driving means that the state of the electroactive device 1 is changed. The sta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lectrical state and an optical state.

상기 전기활성장치(1)는 소정의 전기적 프로세스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The electroactive device 1 may be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lectrical process.

상기 전기적 프로세스는 전원의 생성, 생성된 전원의 전달, 전달된 전원에 의한 상태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al process may include generating power, transferring the generated power, and changing a state by the transmitted power.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활성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an electroact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활성장치(1)는 전원공급부(100) 및 전기활성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활성모듈(200)은 구동모듈(1000) 및 전기활성소자(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활성장치(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갖는 전기활성장치(1)가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an electroactiv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00 and an electroactive module 200.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may include a driving module 1000 and an electroactive device 2000. The electroactive device 1 may also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shown in the drawings.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nd an electroactive device 1 having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상기 전원공급부(100)는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00 may generate power.

상기 전기활성모듈(200)은 전원공급부(100)로부터 활성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될 수 있다.The electroactive module 200 may be driven by receiving act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상기 전원공급부(100)는 상기 전기활성모듈(200)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활성모듈(200)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은 활성전원으로 정의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00 may generate power for driving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Power for driving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may be defined as an active power source.

상기 활성전원은 전기활성모듈(2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활성전원의 전달을 위하여, 전원공급부(100)와 전기활성모듈(200) 사이에 소정의 전기적 연결체가 구비될 수 있다.The active power may be delivered to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In order to transmit the active power, a predetermined electrical connecto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ower supply unit 100 and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상기 전원공급부(100)의 종류는 i) 자체 저장된 전원을 전기활성모듈(200)로 공급하는 저장전원공급부, 또는 ii) 외부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동력을 전기활성모듈(200)이 이용할 수 있는 종류의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원을 전기활성모듈(200)에 전달하는 변환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ype of the power supply unit 100 is i) a storage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self-stored power to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or ii)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power can be used by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It may include a conversion power supply for converting the type of power and transferring the power to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공급부(100)는 저장전원공급부(100)의 일종인 차량용배터리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100 may be a vehicle battery, which is a kind of the storage power supply unit 100.

상기 전기활성모듈(200)은 활성전원을 공급받아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활성모듈(200)은 구동모듈(1000) 및 전기활성소자(20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te of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may be changed by receiving active power.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may include a driving module 1000 and an electroactive device 2000.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활성모듈(200)이 포함하는 구동모듈(1000) 및 전기활성소자(20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구동모듈(1000)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driving module 1000 and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included in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First, the function of the driving module 1000 will be described.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 )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The driving module 1000 may drive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change the state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상기 구동모듈(1000)은 전원공급부(100)로부터 활성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The driving module 1000 may receive act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활성전원에 기초하여 구동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원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원에 의해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1000 may generate driving power based on the active power. The driving power source may be defined as a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The state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may be changed by the driving power.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듈(10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odule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듈(1000)은 구동부(1300), 및 전기접속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갖는 구동모듈(1000)이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riving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driving unit 1300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and the driving module 1000 having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상기 구동부(1300)는 상기 구동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300 may generate the driving power.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상기 구동전원을 전기활성소자(20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transmit the driving power to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모듈(1000)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driving module 10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구동부(13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First, the driving unit 1300 will be described.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300)는 활성전원을 인가받아 구동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구동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원은 상기 구동부(1300)에 의해 다양한 크기와 극성의 전원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전원은 0V일 수 있다.The driving unit 13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generate driving power by receiving active power, and output the driving power. The driving power may be selected by the driving unit 1300 as power having various sizes and polarities. For example, the driving power may be 0V.

상기 구동부(1300)는 소정의 전자 회로, 칩(chip)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적 형태, 또는 소정의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river 1300 may be implemented in a hardware form including a predetermined electronic circuit or a chip, or in a software form including a predetermined program.

상기 구동부(1300)는 구동기판(1310)에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구동기판(1310)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기판(1310)은 상기 구동부(1300)가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에도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300 may be implemented on the driving substrate 1310. Meanwhile, the illustrated driving substrate 131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The driving substrate 1310 is not limited to any shape as long as the driving unit 1300 can be formed,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상기 구동부(1300)는 소정의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300 may include a component having a predetermined function.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3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unit 13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1300)는 입력/조정유닛(1301), 생성유닛(1303), 및 출력유닛(1305), 및 제어유닛(130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갖는 구동부(1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1300)의 구성요소는 구동부(1300)의 기능별로 분류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riving unit 1300 may include an input/adjustment unit 1301, a generating unit 1303, an output unit 1305, and a control unit 1307.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re not essential, and the driving unit 1300 having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he components of the driving unit 1300 may be components classified by function of the driving unit 1300.

상기 입력/조정유닛(1301)은 전원공급부(100)로부터 활성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The input/adjustment unit 1301 may receive act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상기 입력/조정유닛(1301)은 상기 활성전원을 내부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내부전원은 구동부(1300)에 이용될 수 있는 전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내부전원은 상기 각 구성요소에 의해 쓰일 수 있다. 상기 내부전원은 구동부(1300)의 각 구성요소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내부전원은 상기 생성유닛(1303), 출력유닛(1305), 및 제어유닛(1307)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생성유닛(1303), 출력유닛(1305), 및 제어유닛(1307)에서 쓰일 수 있다.The input/adjustment unit 1301 may convert the active power into internal power. The internal power may be defined as power that can be used for the driving unit 1300. The internal power may be used by each of the components. The internal power may be delivered to each component of the driving unit 1300. The internal power may be delivered to the generation unit 1303, the output unit 1305, and the control unit 1307. It may be used in the generation unit 1303, the output unit 1305, and the control unit 1307.

상기 입력/조정유닛(1301)은 상기 활성전원 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내부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조정유닛(1301)은 상기 활성전원을 강하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전원은 상기 활성전원 보다 전원의 값이 작을 수 있다. 상기 활성전원의 크기의 강하를 위하여, 입력/조정유닛(1301)에는 소정의 전압강하기가 구비될 수 있다. The input/adjustment unit 1301 may generate an internal power source having a value smaller than that of the active power source. The input/adjustment unit 1301 may lower the active power. The internal power source may have a power value smaller than that of the active power source. In order to decrease the size of the active power, the input/adjustment unit 1301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voltage drop.

상기 입력/조정유닛(1301)은 활성전원 보다 안정화된 내부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조정유닛(1301)은 상기 활성전원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전원은 상기 활성전원 보다 안정적인 전원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활성전원은 크기가 변하는 전원일 수 있는데, 상기 내부전원은 크기가 유지되는 정전원일 수 있다. 상기 활성전원의 안정화를 위하여, 상기 입력/조정유닛(1301)에는 소정의 레귤레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의 종류로는 i) 공급받은 전원을 직접적으로 조정하는 형식의 리니어레귤레이터(linear regulator), 및 ii) 공급받은 전원에 기초하여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펄스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정밀하게 조정된 전압을 출력하는 스위칭레귤레이터(switching regu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조정유닛(1301)은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전원의 크기를 강하시키고, 상기 전원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랑용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은 구동부(1300)가 이용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환될 수 있다.The input/adjustment unit 1301 may generate internal power that is more stable than active power. The input/adjustment unit 1301 may stabilize the active power source. The internal power source may be a more stable power source than the active power source. For example, the active power source may be a power source that changes in size, and the internal power source may be a power source that maintains the size. In order to stabilize the active power, a predetermined regulator may be provided in the input/adjustment unit 1301. Types of the regulator include i) a linear regulator that directly regulates the supplied power, and ii) precisely adjusted by generating a pulse based on the supplied power and adjusting the amount of the pulse. It may include a switching regulator that outputs a voltage. Specifically, the input/adjustment unit 1301 may receive power output from a vehicle battery, decrease the size of the power, and stabilize the power. Accordingly, power output from the vehicle battery may be converted into power that can be used by the driving unit 1300.

상기 생성유닛(1303)은 구동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유닛(1303)은 내부전원을 인가받아 구동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The generating unit 1303 may generate driving power. The generating unit 1303 may generate driving power by receiving internal power.

생성유닛(1303)은 서로 다른 속성을 가지는 복수의 구동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동전원은 서로 크기, 또는 극성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The generation unit 1303 may generate a plurality of driving power source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The plurality of driving power sources may have at least one of different sizes or polarities.

상기 생성유닛(1303)은 상기 구동전원을 출력유닛(1305)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generating unit 1303 may transmit the driving power to the output unit 1305.

상기 출력유닛(1305)은 구동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원은 출력유닛(1305)을 통해서 구동부(130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5 may output driving power, and the driving power may be output from the driving unit 1300 through the output unit 1305.

상기 출력유닛(1305)은 구동전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0)의 출력유닛(1305)는 상기 생성유닛(1303)로부터 전달받은 다수의 구동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유닛(1305)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속성은 구동전원의 속성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속성은 크기, 또는 극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유닛(1305)은 구동전원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5 may control the output of driving power. The output unit 1305 of the driving unit 1300 may selectively output a plurality of dr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generating unit 1303. The attribute of the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305 may be different from the attribute of the driving power. The attribu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ze or polarity.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305 may not output driving power.

상기 출력유닛(1305)은 상기 구동전원을 전기접속부(15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5 may transmit the driving power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상기 제어유닛(1307)은 구동부(13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307)은 상기 입력/조정 유닛(1301), 생성유닛(1303) 및 출력유닛(1305)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7 may generally control the driving unit 1300. The control unit 1307 may control the input/adjustment unit 1301, the generation unit 1303, and the output unit 1305.

상기 제어유닛(1307)은 내부전원의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7 may control generation of internal power.

상기 제어유닛(1307)은 상기 구동전원의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307)은 상기 생성유닛(1303)이 복수의 구동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7 may control generation of the driving power. The control unit 1307 may cause the generating unit 1303 to generat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driving power sources.

상기 제어유닛(1307)은 상기 구동전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307)은 상기 출력유닛(1305)이 구동전원과 다른 속성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7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driving power. The control unit 1307 may cause the output unit 1305 to output power having a property different from that of the driving power source.

상기 제어유닛(1307)은 구동부(1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307)은 상기 입력/조정유닛(1301), 생성유닛(1303) 및 출력유닛(1305)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1307)은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CPU 칩 등의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상기 하드웨어적인 제어유닛(1307)을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유닛(1307)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7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300. The control unit 1307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put/adjustment unit 1301, the generation unit 1303, and the output unit 1305. In terms of hardware, the control unit 1307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circuit such as a CPU chip that performs a control function by processing an electrical signal, and in software, a program that drives the hardware-type control unit 1307 It can be provided in a form.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7 may be provided as a microprocessor.

한편, 상기 구동부(1300)에는 별도로 피드백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separate feedback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1300.

상기 피드백유닛은 전기활성소자(2000)의 오동작을 방지 할 수 있다. 즉, 상기 피드백유닛은 전기활성소자(2000)가 정상상태(normal state)를 유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feedback unit may prevent malfunction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That is, the feedback unit may operate so that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maintains a normal state.

상기 피드백유닛은 소정의 피드백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피드백메커니즘은 전기활성소자(2000)의 현재상태(current state)를 측정하고,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드백유닛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전압값 혹은 전류값을 반환 받을 수 있다. 상기 전압값, 또는 전압값에 기초하여 전기활성소자(2000)의 현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유닛은 측정된 현재 상태를 상기 제어유닛(1307)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유닛은 측정된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유닛(1307)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307)은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유닛(1305)을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307)은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유닛(1305)을 통해 출력되는 전원의 레벨을 변경하여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가 정상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feedback unit may have a predetermined feedback mechanism. The feedback mechanism may measure a current state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and drive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based on the current state. For example, the feedback unit may receive a voltage value or a current value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The current state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may be measured based on the voltage value or the voltage value. The feedback unit may transmit the measured current state to the control unit 1307. The feedback unit may generate a feedback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current stat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307. The control unit 1307 may change power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5 based on the feedback signal. The control unit 1307 may control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to maintain a normal state by changing the level of the power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5 based on the feedback signal.

또는 상기 피드백 유닛은 상기 제어유닛(1307)과는 별도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유닛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현재상태에 기초하여 출력유닛(1305)으로부터 출력된 전원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정상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feedback unit may operate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307. The feedback unit is connect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changes the power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305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o change the normal st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000. Can be maintained.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현재 상태가 정상상태(normal state)가 아닌 경우, 상기 피드백유닛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가 정상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유닛은 전기변색소자(2200)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만들기 위한 구동전원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동부(13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current st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s not in a normal state, the feedback unit may drive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so that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becomes a normal state. have. The feedback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300 as a whole to generate driving power for mak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nto a normal state.

이상에서는 구동모듈(1000)이 포함하는 구동부(1300)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구동모듈(1000)이 포함하는 전기접속부(15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driving unit 1300 included in the driving module 1000 has been described, and hereinafter,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included in the driving module 1000 will be described.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1500)는 상기 구동부(1300)와 전기활성소자(20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300 and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상기 구동부(130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may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300.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전기활성소자(2000)로 구동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에 의해 구동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transmit driving power to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may receive driving power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이상에서는 구동모듈(1000)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기활성소자(2000)를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driving module 1000 have been described. Hereinafter,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활성소자(2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active device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활성소자(2000)는 상기 구동전원을 전달받아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는 구동모듈(1000)의 전기접속부(150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change its state by receiving the driving power.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may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of the driving module 1000.

도 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활성소자(2000)는 전극층(2010, 2050), 및 중간층(20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전기활성소자(2000)의 층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그보다 많은 층으로 구성되거나 그보다 적은 층으로 구성되는 전기활성소자(2000)가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electrode layers 2010 and 2050 and an intermediate layer 2030. However, the layers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shown in FIG. 4 are not essential, and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configured with more or fewer layers may be implemented.

상기 전극층은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de layer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2010 and a second electrode 2050.

상기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은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010) 및 상기 제2 전극(2050)으로 전술한 구동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have conductivity.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above-described driving power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상기 구동전원은 전압 또는 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은 소정의 전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전류에 의해 상기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은 소정의 전위를 가질 수 있다.The driving power source may include voltage or current.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have a predetermined potential. When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have a predetermined potential by the current.

상기 중간층(2030)은 상기 제1 전극(2010)과 상기 제2 전극(20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layer 20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상기 중간층(2030)은 상기 제1 전극(2010)과 상기 제2 전극(2050)에 접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layer 2030 may contact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상기 중간층(2030)은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층이다. 상기 중간층(2030)은 상기 제1 전극(2010) 및/또는 상기 제2 전극(2050)에 형성된 구동전원에 기초하여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층이다.The intermediate layer 2030 is a layer whose state can be changed. The intermediate layer 2030 is a layer whose state can be changed based on driving power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2010 and/or the second electrode 2050.

상기 전극층, 및 중간층(2030)은 평판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electrode layer and the intermediate layer 2030 may be implemented in a flat plate shape.

상기 전극층, 및 중간층(2030)은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de layer and the intermediate layer 20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gions.

이상에서는 전기활성모듈(200)이 포함하는 구동모듈(1000) 및 전기변색소자(2200)에 대해서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기활성모듈(200)이 포함하는 각 구성의 형상, 각 구성의 위치관계, 및 각 구성의 연결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In the above, the driving module 1000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ncluded in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have been described focusing on functions. Hereinafter, a shape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a positional relationship of each component,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배치", "연결", 또는 "접촉" 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배치", "연결", 또는 "접촉"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referring to one component such as a film, region, or substrate to be “arranged”, “connected”, or “contacted” another component, the single component directly refers to the other component “arranged”. It may be construed that there may be ", "connected," or "contacted", or other elements interposed therebetween. Identical symbo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corresponding listed items.

또한, "상부", "측부", 및 "하부"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부"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부" 및 "상부"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Also, relative terms such as “top”, “side”, and “bottom” may be used herein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certain elements to other elements as illustrated in the figures. It can be understood that relative terms are intended to include other orientations of the device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depicted in the figures. For example, if an element is turned over in the figures, elements depicted as being on the top side of other elements will have orientation on the bottom side of the other elements. Therefore, the term “upper” as an example may include both “lower” and “upper” directions depending on the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drawing. If the device is oriented in a different direction (rotated b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ther direction), the relative descriptions used herein can be interpreted accordingly.

또한, 외측방향은 중심축에서 "측부"를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이고, 내측방향은 "측부"에서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toward the "side", and the inner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from the "side" toward the central axi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but these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are limited by these terms. It is self-evident.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활성모듈(200)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5를 참조하면, 특유의 구조를 가지는 전기활성소자(2000)에 구동모듈(1000)이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driving module 1000 may be disposed in an electroactive device 2000 having a unique structure.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는 트렌치구조(210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제1 전극(2010)의 일부 영역과 중간층(2030)의 일부 영역이 제거되어, 제2 전극(2050)의 복수의 영역 중 일부 영역이 제1 전극(2010)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may have a trench structure 2100. In the trench structure 2100,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a partial reg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2030 are removed, so that a partial region of the plurality of regions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electrode 2010. It may be a structure that allows it to be exposed.

이하에서는 전기활성소자(2000)의 트렌치구조(2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trench structure 2100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구조가 형성된 전기활성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active device in which a trench structure is form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전기활성소자(2000)의 측부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be form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side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제2 전극(2050)의 일 영역이 노출되도록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전기활성소자(2000)의 전기변색소자(2200)의 제1 전극(2010) 및 중간층(203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됨에 따라, 제1 전극(2010)의 일부 영역과 중간층(2030)은 제거될 수 있다.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intermediate layer 203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so that one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is exposed. have. As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intermediate layer 2030 may be removed.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측부에 연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측부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side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and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측부에 연하여 형성되는 경우,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전기활성소자(2000)의 측부면의 일부가 삭마(제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제1 전극(2010)의 측부의 일영역, 중간층(2030)의 측부의 일영역이 제거된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극(2010)의 일부 단면 및 중간층(2030)의 일부 단면이 외측방향으로 노출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a),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adjacent to the side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It may be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ablation (removal).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in which one region of the side of the first electrode 201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one region of the side of the intermediate layer 2030 are removed. Accordingly, a partial cross-s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a partial cross-sect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2030 may be exposed in an outward direction.

상기와 같이 트렌치구조(2100)가 전기활성소자(2000)의 측부에 연하여 형성되는 경우 공정적으로 간이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측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트렌치구조(2100)의 시작점부터 끝점까지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되도록, 공정의 시작점과 끝점이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반해,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측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 단순히 트렌치구조(2100)의 시작점만을 설정하여 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공정이 간이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process are designed so that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from the start point to the end point of the trench structure 2100.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the process can be performed simply by setting only the starting point of the trench structure 2100, so that the process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process. I can.

또한,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전기활성소자(2000)의 측부에 연하여 형성되는 경우, 전기활성소자(2000)의 활용 영역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측부면이 제거되지 않는 트렌치구조(2100)의 경우,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위치하는 전기활성소자(2000)의 영역은 구동될 수 없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측부가 삭마되도록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되는 경우 전기활성소자(2000)에 비구동영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동일한 크기의 측부가 삭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트렌치구조(2100)에 비하여, 측부가 삭마되도록 형성되는 트렌치구조(2100)의 경우에 전기변색소자(2200)의 구동되는 영역의 크기가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전기활성소자(2000)의 측부에 연하여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전기활성소자(2000)의 활용 영역이 극대화 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adjacent to the side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it may have an effect of maximizing the area of use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In the case of the trench structure 2100 in which the side surface is not removed, a region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positioned outward from the region in which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may be a region that cannot be driven.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so that the side portion is ablated, the non-driving region is not formed in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Therefore, compared to the trench structure 2100 in which the side portions of the same size are not ablated, the size of the driving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larger in the case of the trench structure 2100 in which the side portions are ablated. have. Accordingly,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has a structure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side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the area of use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may be maximized.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측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트렌치구조(2100)에 의해 전기활성소자(2000)의 측부와 이격되어 내측방향으로 제1 전극(2010) 및 중간층(2030)이 제거될 수 있다.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portion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the first electrode 2010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portion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by the trench structure 2100 in an inward direction. ) And the intermediate layer 2030 may be removed.

상기와 같이 측부로부터 이격되어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됨에 따라, 본 출원은 전기활성소자(2000)가 안정적으로 구동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측부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전기활성소자(2000)에 형성되는 경우, 트렌치구조에 배치된 구동모듈(1000)이 개방된 측부면을 통해 전기활성소자(20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트렌치구조(2100)가 측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 이격된 거리만큼 남아 있는 전기활성소자(2000)의 영역에 의해 구동모듈(1000)이 지지될 수 있고,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단단하게 결합된 구동모듈(1000)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로 구동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As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sid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n effect that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can stably receive driving power.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in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so that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side, the driving module 1000 disposed in the trench structure can be separated from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through an open side surface. hav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supported by the region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remaining by the spaced distance, and may be tightly coupled. have. The hardly coupled driving module 1000 can stably supply driving power to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도 6 (a)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측부에 인접한 제1 전극(2010)의 일부 영역, 측부에 인접한 중간층(2030)의 일부 영역, 및 측부에 인접한 제2 전극(205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제1 전극(2010), 중간층(2030), 및 제2 전극(2050)의 측부의 인접한 영역에 돌출부(2130), 함몰부(2110)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6A, the trench structure 2100 includes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adjacent to the side, a partial reg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2030 adjacent to the side,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adjacent to the side. ) May include some areas.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have a protrusion 2130 and a depression 2110 in regions adjacent to the side portions of the first electrode 2010, the intermediate layer 203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상기 함몰부(2110)는 상기 제1 전극(2010)의 일부 영역과 상기 중간층(2030)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130)는 상기 인접한 함몰부(2110)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depression 2110 may be defined as a region in which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a partial reg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2030 are removed. The protrusion 2130 may be defined as an area positioned between the adjacent recessed portions 2110.

상기 함몰부(2110)는 제2 전극(2050)의 상부면이 제1 전극(2010)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2050)의 상부면은 상기 함몰부(2110)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The depression 2110 may allow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to be exposed toward the first electrode 2010.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be exposed through the depression 2110.

상기 함몰부(2110)는 상부에서 관측된 전기활성소자(2000)의 제1 전극(2010) 및 중간층(2030)의 일 영역이 함몰되어 보일 수 있게 한다.The recessed portion 2110 allows the first electrode 2010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and a reg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2030 observed from the top to be seen to be recessed.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컨택부(2150) 및 패드부(2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2150 and a pad portion 2140.

상기 패드부(2140)는 제2 전극(2050)의 일부 영역 중 복수의 함몰부(2110)에 의해 노출된 제2 전극(2050)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컨택부(2150)는 제1 전극(2010)의 돌출부(2130)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컨택부(2150)는 상기 제1 돌출부(2131)로 정의될 수 있다.The pad part 2140 may be defined as an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exposed by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2110 among some areas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The contact part 2150 may be defined as a protrusion 2130 of the first electrode 2010. The contact part 2150 may be defined as the first protrusion 2131.

상기 패드부(2140)의 상부면은 상부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2140)의 상부면은 상기 제1 전극(2010)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pad part 2140 may be exposed up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part 2140 may be exposed toward the first electrode 2010.

이하에서는 전기활성소자(2000)에 배치되는 구동모듈(10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driving module 1000 disposed in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will be described.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일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측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외곽 일부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disposed in a region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located in a partial area outside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일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측부에 인접한 상부를 덮으며 위치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1000 may cover a partial area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positioned to cover an upper portion adjacent to the side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트렌치구조(2100)를 덮을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The driving module 1000 may cover the trench structure 21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located in a region in which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에 배치되는 구동모듈(1000)과 전술한 전기활성소자(20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1000 disposed in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and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described abov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측부에 인접한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The driving module 1000 may contact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contact a region adjacent to the side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의 트렌치구조(210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포함하는 전기활성소자(2000)의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The driving module 1000 may contact the trench structure 2100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contact a region of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included in the trench structure 2100.

상기 구동모듈(1000)은 트렌치구조(2100)가 포함하는 컨택부(2150), 패드부(2140)에 접촉될 수 있다. The driving module 1000 may contact the contact portion 2150 and the pad portion 2140 included in the trench structure 2100.

상기 구동모듈(1000)은 제1 전극(2010)방향으로 노출된 제2 전극(2050)의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컨택부(2150)의 상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상기 함몰부(2110)를 통해 상기 패드부(2140)에 접촉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1000 may contact a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ex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contact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unit 215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contact the pad part 2140 through the recessed part 2110.

상기 구동모듈(1000)은 패드부(2140)의 상부면에 접촉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1000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part 2140.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는 상기 구동모듈(1000)과 접촉한 전기활성소자(2000)의 영역을 통해 구동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may receive driving power through an area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in contact with the driving module 1000.

상기 전기활성소자(2000)는 트렌치구조(2100)에 접촉된 구동모듈(100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트렌치구조(2100)에 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may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dule 1000 in contact with the trench structure 21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apply driving power to the trench structure 2100.

상기 컨택부(2150), 및 패드부(2140)는 구동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컨택부(2150), 및 패드부(2140)를 통해 구동전원을 전기활성소자(20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contact unit 2150 and the pad unit 2140 may receive driving power. The driving module 1000 may transmit driving power to the electroactive device 2000 through the contact unit 2150 and the pad unit 2140.

이상에서는 전기활성장치(1)가 포함하는 전기활성모듈(2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In the above,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included in the electroactive device 1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활성장치(1)의 일 예인 전기변색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lectrochromic device that is an example of the electroactive device 1 will be described.

상기 전기변색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광학적 상태가 변경되는 장치이다.The electrochromic device is a device whose optical state is changed by receiving power.

상기 전기변색장치가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변색될 수 있다. 상기 변색은 착색, 및 탈색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supplied with power,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be discolored. The discoloration may include coloring and discoloration.

전원의 공급에 따라, 상기 전기변색장치의 빛에 대한 투과도, 흡수도가 변경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supply of power, the transmittance and absorption of light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changed.

상기 전기변색장치는 광투과도 또는 광반사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차량룸미러, 또는 스마트윈도우에 이용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used in a vehicle room mirror or a smart window in which light transmittance or light reflectivity needs to be adjusted.

상기 전기변색장치는 전기활성모듈(200)의 일 예인 전기변색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module that is an example of the electroactive module 200.

이하에서는 전기변색장치가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lectrochromic module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은 전기변색소자(2200) 및 구동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device 2200 and a driving module 1000.

상기 전기변색모듈은 전원공급부(100)로부터 활성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모듈은 전기활성소자(2000)의 일예인 전기변색소자(2200)와 전술한 구동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driven by receiving act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The electrochromic module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element 2200 which is an example of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and the driving module 1000 described above.

전기변색모듈이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2200)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will be described first.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device 2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구동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전기변색소자(2200)의 광학적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When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optical st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changed.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산화/환원 반응에 기초하여 광학적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change its optical state based on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상기 산화/환원 반응에는 소정의 전기변색물질, 전자, 및 전기변색이온이 참여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전기변색물질, 전자, 및 전기변색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A predetermined electrochromic material, electrons, and electrochromic ions may participate in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material, electrons, and electrochromic ions.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서 광학적성질이 변경되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이온은 상기 산화/환원 반응을 유발하는 이온일 수 있다. 상기 전자는 상기 전기변색이온을 상기 전기변색물질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electrochromic material may be a material whose optical properties are changed through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he electrochromic ions may be ions that cause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he electrons may move the electrochromic ions to the electrochromic material.

도 7을 참조하면, 전기변색소자(2200)는 전극층(2010, 2050) 및 중간층(2030)을 포함하고, 트렌치구조(2100)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층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그보다 많은 층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층을 갖는 전기변색소자(2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includes electrode layers 2010 and 2050 and an intermediate layer 2030, and may have a trench structure 2100. However, the layers shown in FIG. 7 are not essential, and an electrochromic device 2200 having more or less layers may be implemented.

상기 전극층은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de layer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2010 and a second electrode 2050.

상기 중간층(2030)은 상기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2030)은 전기변색층(2031), 전해질층(2032), 및 이온저장층(20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layer 20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The intermediate layer 2030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layer 2031, an electrolyte layer 2032, and an ion storage layer 2033.

상기 전기변색층(2031)은 제1 전극(2010)에 접하고 상기 전해질층(2032)에 접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may contact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may contact the electrolyte layer 2032.

상기 전해질층(2032)은 제1 전극(2010)에 접하고, 상기 이온저장층(2033)에 접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layer 2032 may contact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may contact the ion storage layer 2033.

상기 이온저장층(2033)은 상기 전해질층(2032)에 접하고 상기 제2 전극(2050)에 접할 수 있다.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contact the electrolyte layer 2032 and may contact the second electrode 2050.

상기 전기변색층(2031)과 상기 이온저장층(2033)은 도시된 층 순서에 국한되지 않고, 서로 뒤바뀐(reversed) 순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2031)은 전해질층(2032)에 접하고 제2 전극(2050)에 접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layer order, and may be formed in a reversed order. For example,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may contact the electrolyte layer 2032 and may contact the second electrode 2050.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전극층의 물성과 중간층(2030)의 물성은 고체상태일 수 있다.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de laye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ntermediate layer 2030 may be in a solid state.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전극층 및 중간층(203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lectrode layer and the intermediate layer 203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200)의 전극층은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7, the electrode laye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2010 and a second electrode 2050.

상기 제1 전극(2010) 및/또는 제2 전극(2050)은 평판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2010 and/or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be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상기 제1 전극(2010) 및/또는 제2 전극(2050)을 통해 전자가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전극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상기 전극에는 전위가 발생할 수 있다.Electrons may be transferred through the first electrode 2010 and/or the second electrode 2050. Accordingly, by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de, a current may flow through the electrode, and a potential may be generated in the electrode.

상기 전극층은 소정의 광학적 성질을 가질 수 있다.The electrode layer may have predetermined optical properties.

상기 제1 전극(2010) 및/또는 제2 전극(2050)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즉, 각 전극은 투명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제1 전극(2010)이 투명전극인 경우, 제2 전극(2050) 또한 투명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입사되는 빛은 제1 전극(2010) 및/또는 제2 전극(2050)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학적 성질을 가지는 전극층이 구비된 전기변색소자(2200)는 스마트윈도우의 구현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2010 and/or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transmit light. That is, each electrode may be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For example, when the first electrode 201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s a transparen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Accordingly, light incident o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pass through the first electrode 2010 and/or the second electrode 2050.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provided with an electrode layer having the optical properties may be used to implement a smart window.

상기와 같이 전극층이 투명 전극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전극의 구현소재로는 인듐(indium), 주석(tin), 아연(zinc), 및/또는 옥사이드(oxide) 중 적어도 하나가 도핑된(doped) 금속(metal)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 전극의 구현소재는 ITO(indium tin oxide), ZnO(zinc oxide)가 선택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de layer is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of indium, tin, zinc, and/or oxide is doped as an implementation material of the electrode. Metal may be selected. For example, as the material for implementing the transparent electrode, indium tin oxide (ITO) or zinc oxide (ZnO) may be selected.

또는, 상기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 중 하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 중 하나는 반사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제1 전극(2010)이 투명전극인 경우, 제2 전극(2050)은 반사층으로 구현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입사되는 빛이 상기 제2 전극(2050)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전극(2050)이 투명전극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2 전극(2050)은 반사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물체가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를 통해 시인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을 포함하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스마트미러의 구현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Alternatively, one of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reflecting light. That is, one of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be implemented as a reflective layer. When the first electrode 201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s a transparen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2050 is implemented as a reflective layer, so that light incident o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electrode 2050. ) Can be reflected. Alternatively, when the second electrode 2050 is implement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be implemented as a reflective layer. Accordingly, an object disposed to face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visually recognized through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including the reflective layer may be used to implement a smart mirror.

이 경우 상기 제1 전극(210)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210)은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금(Au), 은(Ag) 및 텅스텐(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250)은 투명도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21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ivity. The first electrode 210 is at least one of aluminum (Al), copper (Cu), molybdenum (Mo), chromium (Cr), titanium (Ti), gold (Au), silver (Ag), and tungsten (W). It may include. The second electrode 25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한편,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200)는 플렉서블(flexible)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전극층 또한 플렉서블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극층 또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to be flexible. Correspondingly, the electrode layer may also be flexibly implemented. Alternatively,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ly, the electrode layer may also have a curvature.

이하에서는 전기변색소자(2200)의 중간층(203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intermediate layer 203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will be described.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200)의 중간층(2030)은 전기변색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layer 203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electrochromic.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중간층(2030)은 전기변색층(2031), 전해질층(2032), 및 이온저장층(203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7, the intermediate layer 2030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layer 2031, an electrolyte layer 2032, and an ion storage layer 2033.

상기 전기변색층(2031) 및 상기 이온저장층(2033)은 전기변색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be electrochromic.

상기 전기변색층(2031), 또는 상기 이온저장층(2033) 중 하나에 전자가 주입되고, 상기 전자가 주입되지 않은 나머지 층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전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기변색층(2031) 및 이온저장층(2033)에는 산화환원반응이 유발될 수 있다. Electrons may be injected into on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or the ion storage layer 2033, and electrons may be emitted from the other layer to which the electrons are not injected. As the electrons move,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may be induc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상기 전자의 이동에 따라, 전기변색이온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자가 전기변색층(2031), 및/또는 이온저장층(2033)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로 H+, Li+, 또는 OH- 등의 캐소딕(cathodic), 어노딕(anodic) 이온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이온이 출/입(intect/eject)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전기변색이온과 상기 전기변색층(2031), 및/또는 이온저장층(2033)이 산화/환원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층(2031), 및/또는 이온저장층(2033)이 변색된다.As the electrons move, electrochromic ions may move with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s the electrons are provided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or the ion storage layer 2033,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s used as a cathodic, anodic, such as H+, Li+, or OH-. ) Electrochromic ions including ions can be intected/ejected, and the electrochromic ions,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or the ion storage layer 2033 are oxidized/reduced.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or the ion storage layer 2033 are discolored.

상기 산화환원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변색층(2031)의 광학적성질이 변경될 수 있다.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may be changed based on the redox reaction.

전기변색층(2031) 및 이온저장층(2033)은 변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031) 및 상기 이온저장층(2033)의 빛의 투과율 및 빛의 흡수도가 변경될 수 있다.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be discolored. Light transmittance and light absorp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be changed.

상기 전기변색층(2031)과 이온저장층(2033)에서 발생하는 산화환원반응은 서로 다른 반응일 수 있다.Redox reactions occurring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be different reactions.

즉, 상기 전기변색층(2031)이 산화되는 경우, 이온저장층(2033)이 환원되며, 상기 전기변색층(2031)이 환원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033)이 산화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is oxidized, the ion storage layer 2033 is reduced, an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is reduced,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be oxidized.

이에 따라, 상기 이온저장층(2033)은 상기 전기변색층(2031)의 대향전극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function as a counter electrode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상기 이온저장층(2033)과 상기 전기변색층(2031)에는 서로 대응되는 상태변경이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온저장층(2033)이 산화착색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031)도 환원착색되고, 상기 이온저장층(2033)이 환원탈색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031)도 산화탈색될 수 있다. The ion storage layer 2033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may cause a state chang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ion storage layer 2033 is oxidatively colored,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is also reduced-colored, and when the ion storage layer 2033 is reduced and decolored,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is also oxidatively bleached. Can be.

또는, 상기 이온저장층(2033)에서 상기 전기변색층(2031)의 전기변색반응에 서로 반대되는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2031)이 산화착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033)은 환원탈색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변색층(2031)이 환원탈색되는 경우, 상기 이온저장층(2033)은 산화착색될 수 있다. 상기의 이온저장층(2033)과 전기변색층(2031)의 서로 반대되는 반응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투과도과 조절될 수 있다.Alternatively, rea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may occur in the ion storage layer 2033 to the electrochromic reaction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For example,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is oxidized and 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be reduced and decolored, and when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is reduced and decolored, the ion storage layer 2033 ) Can be oxidatively colore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adjusted by opposite reactions of the ion storage layer 2033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상기 전기변색층(2031) 및 이온저장층(2033)은 전기변색 가능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031)은 TiO, V2O5, Nb2O5, Cr2O3, MnO2, FeO2, CoO2, NiO2, RhO2, Ta2O5, IrO2, WO3 등의 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033)은 IrO2, NiO2, MnO2, CoO2, iridium-magnesium oxide, nickel-magnesium oxide and/or titanium-vanadium oxide 등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material.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xides such as TiO, V2O5, Nb2O5, Cr2O3, MnO2, FeO2, CoO2, NiO2, RhO2, Ta2O5, IrO2, and WO3.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xides such as IrO2, NiO2, MnO2, CoO2, iridium-magnesium oxide, nickel-magnesium oxide and/or titanium-vanadium oxide.

상기 전해질층(2032)은 상기 전기변색층(2031)과 상기 이온저장층(20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032)은 상기 전기변색층(2031)과 상기 이온저장층(2033) 사이의 이온의 이동통로일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031)과 상기 이온저장층(2033)은 상기 전해질층(2032)을 통해 이온을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032)은 이온전달층 역할을 할 수 있고, 전자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031)과 상기 이온저장층(2033)이 서로 절연되되, 이온전도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해질층(2032)은 상기 전해질층(2032)을 가로지르는 전자의 이동을 금지(prohibit)하되, 이온의 이동은 허가(permit)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layer 203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The electrolyte layer 2032 may be a passage for ions between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exchange ions through the electrolyte layer 2032. The electrolyte layer 2032 may serve as an ion transport layer and may block electron transfer.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but may be disposed o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o conduct ion conduction. That is, the electrolyte layer 2032 may inhibit the movement of electrons across the electrolyte layer 2032, but permit the movement of ions.

상기 전해질층(2032)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해질층(2032)은 SiO2, Al2O3, Nb2O3, Ta2O5, LiTaO3, LiNbO3, SiO2, Al2O3, Nb2O3, Ta2O5, LiTaO3, LiNbO3, La2TiO7, La2TiO7, SrZrO3, ZrO2, Y2O3, Nb2O5, La2Ti2O7, LaTiO3, HfO2 La2TiO7, La2TiO7, SrZrO3, ZrO2, Y2O3, Nb2O5, La2Ti2O7, LaTiO3, 및 HfO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lyte layer 2032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electrolyte layer 2032 is SiO2, Al2O3, Nb2O3, Ta2O5, LiTaO3, LiNbO3, SiO2, Al2O3, Nb2O3, Ta2O5, LiTaO3, LiNbO3, La2TiO7, La2TiO7, SrO7, La2TiO3, ZrO2, La2TiO3 , HfO2 La2TiO7, La2TiO7, SrZrO3, ZrO2, Y2O3, Nb2O5, La2Ti2O7, LaTiO3, and at least one of HfO2 may be included.

이상에서는 전기변색소자(2200)가 포함하는 전극층 및 중간층(2030)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기변색소자(2200)에 형성되는 트렌치구조(2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electrode layer and the intermediate layer 203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have been described. Hereinafter, the trench structure 2100 form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will be described.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가 구동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전기변색소자(22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에 의해 전기변색소자(2200)의 제2 전극(2050)의 일부 영역이 노출될 수 있다.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be form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so that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can receive driving power.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exposed by the trench structure 2100.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상기 트렌치구조(2100)를 통해 상기 구동모듈(10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를 통해 구동전원이 전기변색소자(22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module 1000 through the trench structure 2100. Driving power may be deliver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rough the trench structure 2100.

전기변색소자(2200)의 트렌치구조(2100)가 포함하는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에는 구동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제1 전극(2010)과 제2 전극(2050)에 전자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극으로 공급된 전자는 중간층(203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공된 전자는 전기변색층(2031), 이온저장층(2033)에서 산화환원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산화환원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전기변색될 수 있다.Driving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included in the trench structure 210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When the driving power is supplied, electrons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Electrons supplied to the electrode may be provided to the intermediate layer 2030. The provided electrons may cause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be electrochromic based on the redox reaction.

전기변색소자(2200)에 형성되는 상기 트렌치구조(2100)의 형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shape of the trench structure 2100 form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구조가 형성된 전기변색소자(2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device 2200 having a trench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구조가 형성된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trench structur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200)의 측부와 인접한 영역에는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전기변색소자(2200)의 측부에 연하여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A trench structure 2100 may be form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to be adjacent to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됨에 따라, 전기변색소자(2200)는 다수의 돌출부(2130) 및 함몰부(2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측부에 인접한 제1 전극(2010), 전기변색층(2031), 전해질층(2032), 이온저장층(2033), 및 제2 전극(2050)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010), 전기변색층(2031), 전해질층(2032), 및 이온저장층(2033)의 측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함몰부(2110), 복수의 돌출부(2130)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s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30 and depressions 2110.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include regions of a first electrode 2010, an electrochromic layer 2031, an electrolyte layer 2032, an ion storage layer 2033, and a second electrode 2050 adjacent to the side. have.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2110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30 are form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side of the first electrode 2010,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the electrolyte layer 2032,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Can be.

상기 함몰부(2110)는 제1 함몰부(2111), 제2 함몰부(2113), 제3 함몰부(2115), 및 제4 함몰부(2117)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2130)는 상기 제1 돌출부(2131), 제2 돌출부(2133), 제3 돌출부(2135), 및 제4 돌출부(2137)로 구성될 수 있다.The depression 2110 may be composed of a first depression 2111, a second depression 2113, a third depression 2115, and a fourth depression 2117, and the projection 2130 May be composed of the first protrusion 2131, the second protrusion 2133, the third protrusion 2135, and the fourth protrusion 2137.

상기 제1 전극(2010)은 제1 돌출부(2131) 및 제1 함몰부(2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2031)은 제2 돌출부(2133) 및 제2 함몰부(2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층(2032)은 제3 돌출부(2135) 및 제3 함몰부(211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온저장층(2033)은 제4 돌출부(2137) 및 제4 함몰부(21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201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2131 and a first depression 2111.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2133 and a second depression 2113. The electrolyte layer 2032 may include a third protrusion 2135 and a third depression 2115,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includes a fourth protrusion 2137 and a fourth depression 2117. Can include.

상기 함몰부(2110)를 통해 제2 전극(2050)의 일영역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2050)은 상기 함몰부(2110)를 통해 제1 전극(2010)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2050)은 전기변색소자(2200)에 배치되는 구동모듈(1000)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A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be exposed through the depression 2110.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be exposed toward the first electrode 2010 through the depression 2110.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be exposed toward the driving module 1000 disposed o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돌출부(2130)는 상기 인접한 함몰부(2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protrusion 2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recessed portions 2110.

상기 함몰부(2110) 및 상기 돌출부(2130)에 의해 트렌치구조(2100)가 정의될 수 있다.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be defined by the depression 2110 and the protrusion 2130.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복수의 패드부(2140) 및 복수의 컨택부(2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d portions 2140 and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2150.

상기 패드부(2140)는 복수의 함몰부(2110)에 의해 노출되는 제2 전극(2050)의 일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2140)의 상부면은 상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2140)는 제1 전극(2010)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pad part 2140 may be defined as a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exposed by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2110.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part 2140 may be exposed upward. The pad part 2140 may be exposed in a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상기 컨택부(2150)의 상부면은 상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컨택부(2150)는 상기 제1 전극(2010)의 돌출부(2130)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컨택부(2150)는 제1 돌출부(2131)일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art 2150 may be exposed upward. The contact part 2150 may be defined as a protrusion 2130 of the first electrode 2010. The contact part 2150 may be a first protrusion 2131.

상기 함몰부(2110), 돌출부(2130)는 소정의 면을 가질 수 있다.The recessed portion 2110 and the protruding portion 2130 may have a predetermined surface.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복수의 함몰면(2160), 복수의 돌출면, 및 복수의 연결면(2170)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cessed surfaces 2160, a plurality of protruding surfaces,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surfaces 2170.

상기 함몰면(2160)은 함몰부(2110)를 통해 Y축 방향으로 노출된 전기변색소자(2200)의 측부면으로 정의 될 수 있다.The depression surface 2160 may be defined as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exposed in the Y-axis direction through the depression portion 2110.

상기 돌출면은 돌출부(2130)의 측부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면은 트렌치 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측부면과 동일한 면일 수 있다. 상기 돌출면은 X방향과 평행하는 면일 수 있다.The protruding surface may be defined as a side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2130. The protruding surface may be the same surface as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on which the trench structure is not formed. The protruding surface may be a surface parallel to the X direction.

상기 연결면(2170)은 상기 돌출면과 상기 함몰면(2160)을 연결하는 돌출부(2130)의 면일 수 있다. 상기 연결면(2170)은 상기 패드부(2140)와 상기 컨택부(2160)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연결면(2170)은 상기 돌출면과 상기 함몰면(2160)을 연결하는 Y축과 평행하는 면일 수 있다. The connecting surface 2170 may be a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2130 connecting the protruding surface and the depressed surface 2160. The connection surface 2170 may be a surface connecting the pad part 2140 and the contact part 2160. The connecting surface 2170 may be a surface parallel to the Y axis connecting the protruding surface and the depressed surface 2160.

상기 복수의 함몰면(2160), 돌출면, 및 상기 연결면(2170)은 트렌치구조(2100)의 외적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epressions 2160, protrusions, and connection surfaces 2170 may define an external shape of the trench structure 2100.

상기 함몰면(2160)은 함몰부를 통해 외측방향으로 노출되는 제1 전극(2010), 전기변색층(2031), 전해질층(2032), 및 이온저장층(2033)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함몰면(2160)에 의해 상기 제1 전극(2010), 전기변색층(2031), 전해질층(2032), 및 이온저장층(2033)의 단면이 외측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depression surface 2160 may be a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the electrolyte layer 2032,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epression. Cross-sections of the first electrode 2010,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the electrolyte layer 2032,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be exposed outwardly by the recessed surface 2160.

상기 돌출면은 상기 제1 전극(2010), 전기변색층(2031), 전해질층(2032) 및 이온저장층(2033)의 최외곽의 측부면일 수 있다. 인접한 돌출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할 수 있다.The protruding surface may be an outermost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2010,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the electrolyte layer 2032,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Adjacent protruding surfaces may face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상기 연결면(2170)은 상기 돌출면과 상기 함몰면(2160)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변색소자(2200)의 각층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면(2170)은 상기 패드부(2140)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이온저장층(2033)의 연결면(2170)은 상기 패드부(2140)에 접할 수 있다.The connection surface 2170 may expose each layer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positioned between the protruding surface and the depressed surface 2160. The connection surface 2170 may contact the pad part 2140. The connection surface 2170 of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contact the pad part 2140.

돌출부(2130)의 돌출면은 제2 전극(2050)의 측부면과 서로 동일한 면을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2131) 내지 제4 돌출부(2117)의 돌출면은 상기 제2 전극(2050)의 측부면과 동일한 면을 가질 수 있다.The protrusion surface of the protrusion 2130 may be positioned to have the same surface as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The protrusion surfaces of the first to fourth protrusions 2131 to 2117 may have the same surface as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한편, 상기 복수의 함몰부(2110), 및 복수의 돌출부(2130)는 다양한 설계 사양(스펙)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함몰부(2110), 및 돌출부(2130)의 크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2110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30 may be designed with various design specifications (specs). Hereinafter, the sizes of the recessed portion 2110 and the protruding portion 2130 will be described.

도 9를 참조하면, 함몰부, 및 돌출부는 소정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함몰부와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있을 수 있다. 연결면, 함몰면, 및 돌출면은 소정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depression and the protrusion may have a predetermined size. There may be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The connecting surface, the depression surface, and the protruding surface may have a predetermined size.

상기 연결면은 내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면의 길이는 제1 길이(t1)일 수 있고, 제2 연결면의 길이는 제2 길이(t2)일 수 있다. The connection surface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inner and outer direction.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surface may be a first length t1,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on surface may be a second length t2.

상기 함몰면과 상기 돌출면은 소정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The recessed surface and the protruding surface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상기 함몰부는 인접한 함몰부와 소정의 간격(d)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인접한 돌출부와 소정의 간격(d)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depression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an adjacent depress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In addition,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djacent protrus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전술한 트렌치구조가 포함하는 영역의 크기는 구현목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 및 돌출부(2130)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 트렌치구조의 연결면, 함몰면, 돌출면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The size of the region included in the trench structure described abov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implementation. The sizes of the depressions and protrusions 2130 may be changed. The size of the connecting surface, the depression surface, and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trench structure can be changed.

연결면의 길이는 변경될 수 있다. 제1 연결면의 길이는 제1 길이(t1) 상기 제2 연결면의 길이는 제2 길이(t2)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길이와 상기 제2 길이는 서로 같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구현 목적에 따라 상기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The length of the connecting surface can be changed.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surface may be set to a first length (t1)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connection surface may be set to a second length (t2). The first length and the second length may be set to be the same, but the lengths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mplementation.

돌출너비의 너비는 변경될 수 있다. 함몰너비의 너비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너비(w1)과 상기 제2 너비(w2)는 변경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protruding width can be changed. The width of the depression width can be changed. The first width w1 and the second width w2 may be changed.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몰부 사이의 간격(d)는 변경될 수 있다.The distance 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depression may be changed.

이상에서는 전기변색소자(2200)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구동모듈(10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the driving module 1000 will be described.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듈(10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구동전원을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generate driving power for driv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may transmit the driv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구동모듈(1000)은 구동부(1300)와 전기접속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1000 may include a driving unit 1300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상기 구동부(1300)는 구동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300 may generate driving power.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구동전원을 전기변색소자(22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may transmit driv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상기 구동부(1300)에서 생성된 구동전원을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may transmit driving power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1300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이하에서는 구동모듈(10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전기접속부(15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module 1000 will be described. First,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이 포함하는 전기접속부(1500)는 도전성을 가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region having conductivity.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일방향으로는 전도성을 가지되, 일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는 절연성을 가지는 전도체(1530)일 수 있다. 즉, 전기접속부(1500)는 일종의 이방성전도체(1530)(ACF, Anistropic Conducting Film)일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a conductor 1530 having conductivity in one direction, but insulating in a direction other than one direction. That is,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may be a kind of anisotropic conductor 1530 (ACF, Anistropic Conducting Film).

도 10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1500)는 베이스(1510) 및, 다수의 전도체(1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를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갖는 전기접속부(1500)가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base 1510 and a plurality of conductors 1530. The constituent elements shown in FIG. 10 are not essential,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having more or less constituent elements may be implemented.

상기 전도체(1530)는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The conductor 1530 may have conductivity.

상기 베이스(1510)는 전기접속부(1500)의 외적 형상을 정의하며, 상기 베이스(1510)에는 상기 전도체(1530)가 함입될 수 있다. The base 1510 defines an external shap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and the conductor 1530 may be embedded in the base 1510.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전도체(1530)는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도체(1530)를 통하여 구동전원이 전기변색소자(2200)에 전달될 수 있다.The conductor 1530 may have conductivity. Driving power may be deliver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rough the conductor 1530.

상기 전도체(1530)에는 일방향으로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성질이 존재하며, 일방향이 아닌 타방향으로는 전기적으로 전도되는 성질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전도체(1530)는 제1 방향으로는 도전성을 가지고, 제2 방향으로는 절연성을 가진다. 상기 제2 방향은 제1 방향이 아닌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수직일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외력이 인가되는 방향일 수 있다.The conductor 1530 may have a property of being electrically insulated in one direction, and a property of being electrically conducted in a direction other than one direction. The conductor 1530 has conductivity in a first direction and insulation in a second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other tha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direction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상기 전도체(1530)은 표면(1531) 및 내부(1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1531)과 상기 내부(1532)의 구현물질은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전도체의 크기가 같게 도시된 것은 도시된 예에 불과할 뿐 서로 다른 크기일 수 있다.The conductor 1530 may include a surface 1531 and an interior 1532. Materials for the surface 1531 and the interior 153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same size of the illustrated conductors is only an example, and may have different sizes.

상기 전도체(1530)는 상기 표면(1531)과 상기 내부(1532)의 구현물질에 따라 분류될수 있다.The conductor 1530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implemented on the surface 1531 and the interior 1532.

상기 전도체(1530)의 종류로는 i) 도전성을 가지는 도전표면(1541)과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내부(1542)를 가지는 전도코팅전도체(1540)와 ii)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표면(1546)과 도전성을 가지는 도전내부(1547)를 가지는 절연코팅전도체(1545)을 포함할 수 있다.The types of the conductor 1530 include i) a conductive coated conductor 1540 having a conductive surface 1541 and an insulating inner portion 1542 having an insulating property, and ii) an insulating surface 1546 having an insulating property and conductivity. The branch may include an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having a conductive inner portion 1547.

상기 전도코팅전도체(1535)의 상기 도전표면(1541)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표면(1531)이고, 상기 절연내부(1542)는 절연성 물질로 형성되는 내부(1532)일 수 있다.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절연표면(1546)은 절연성 물질로 형성되는 표면(1531)이고, 상기 도전내부(1547)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내부(1532)일 수 있다.The conductive surface 1541 of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35 may be a surface 1531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insulating inner portion 1542 may be an interior 1532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insulating surface 1546 of 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may be a surface 1531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conductive inner portion 1547 may be an interior 1532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전도성 물질은 금, 은, 니켈 및 구리 등의 물질일 수 있고, 상기 절연성 물질은 절연성 유기고분자 등의 물질일 수 있다.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a material such as gold, silver, nickel, and copper, and the insulating material may be a material such as an insulating organic polymer.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도체(1530)의 형상은 구형 형상일 수 있으나, 구형 형상에 국한되지 않은 형상으로 상기 전도체(1530)의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현 목적에 따라 상기 전도체(1530)의 사이즈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0, the shape of the conductor 1530 may be a spherical shape, but the shape of the conductor 1530 may be implemented in a shape not limited to the spherical shape. In addition, the size of the conductor 1530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implementation.

상기 베이스(1510)는 전기활성소자(2000)와 구동부(1300)에 접촉될 수 있다.The base 1510 may contact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and the driving unit 1300.

상기 베이스(1510)는 전기접속부(1500)의 외적형상을 정의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는 일종의 충진재일 수 있다. The base 1510 may define an external shap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The base 1510 may be a type of filler.

상기 베이스(1510)는 필름형상, 또는 외적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소정의 겔(gel)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베이스(1510)는 필름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의 외적형상은 외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1510)의 부피는 외력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The base 1510 may be implemented in a film shape or a predetermined gel whose external shape can be deformed. Hereinafter, the base 1510 will be described as being a film. That is,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implemented as a film. The external shape of the base 1510 may be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That is, the volume of the base 1510 may be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다수의 전도체(1530)는 상기 베이스(1510)에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전도체(1530)는 상기 베이스(1510)에 균질하게 위치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ductors 1530 may be randomly disposed on the base 1510.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conductors 1530 may be uniformly positioned on the base 1510.

상기 베이스(1510)는 상기 전도체(1530)가 구동부(1300) 및 전기활성소자(2000)와 소정의 위치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도체(15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base 1510 may fix the position of the conductor 1530 so that the conductor 1530 may maintain a predetermined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driving unit 1300 and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상기 베이스(1510)는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는 상기 구동부(1300)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의 하면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510)의 상면은 상기 구동부(1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The base 1510 may have adhesiveness. The base 1510 may be adhered to the driving unit 1300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51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51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riving part 1300.

상기 베이스(1510)의 적어도 일부영역에는 별도의 접착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접착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물질에 의해 상기 베이스(1510)의 상면은 상기 구동부(130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의 하면에 도포된 접착물질에 의해 상기 베이스(1510)의 하면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A separate adhesive material may be appli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base 1510. An adhesive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1510.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510 may be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riving part 1300 by an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510.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510 may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by an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510.

상기 베이스(1510)가 상기 구동부(1300) 및 전기변색소자(2200)에 접착됨으로, 상기 베이스(1510) 내부의 적어도 일부의 전도체(1530)와 상기 구동부(1300)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510) 내부의 적어도 일부의 전도체(1530)와 상기 전기변색층(2031)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의 접착성에 의해 상기 전기변색모듈의 전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base 1510 is adhered to the driving unit 1300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t least a part of the conductor 1530 and the driving unit 1300 in the base 1510 may be maintained. . In addition, an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or 1530 inside the base 1510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may be maintained. Electrical stability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improved by the adhesiveness of the base 1510.

또한, 동시에 상기 베이스(1510)는 절연성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는 전도체(1530)가 함입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절연성질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same time, the base 1510 may have insulating properties. The base 1510 may have insulating properties in a region other than a region in which the conductor 1530 is recessed.

즉, 상기 베이스(1510)는 구동부(1300), 전기활성소자(2000), 및 전도체(1530)가 접촉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전도체(1530)를 포함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킴으로써 전기접속부(1500)의 전기적이방성(anistropic property)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base 1510 allows the driving unit 1300, the electroactive element 2000, and the conductor 1530 to contact and at the same time electrically insulates a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including the conductor 1530, thereby mak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lectrical anisotropy (anistropic property) of (1500).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가 가지는 전도성 및 절연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ductivity and insulating properties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및 절연성을 갖는 이방성전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n anisotropic conductor having conductivity and ins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전도성은 외력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전도체(1530)는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력은 압력일 수 있다.Conductivity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imparted by an external force. The conductor 1530 may have conductivity in one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The external force may be pressure.

동시에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절연성은 상기 전도성을 가지는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insulating property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one direction having the conductivity.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외력을 인가 받아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력에 의해 베이스(1510)의 외적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즉, 베이스(1510)는 압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의 변형에 의해 상기 베이스(1510) 내부의 전도체(1530)의 밀도가 달라질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have conductivity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e external shape of the base 1510 may be changed by the external force. That is, the base 1510 may be compressed. The density of the conductor 1530 inside the base 1510 may be changed by the deformation of the base 1510.

도 11 (a)를 참조하면, 상기 전도체(1530)가 전도코팅전도체(1540)인 경우,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일방향으로 외력을 받아 전도성 및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상기 제1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는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A, when the conductor 1530 is a conductive coated conductor 1540,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have conductivity and insulation by receiving an external force in one direction.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have conductivity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have insulating properties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상기 전기접속부(1500)에 제1 방향애 대응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전도코팅전도체(1540)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베이스(1510)에 포함된 전도코팅전도체(1540)가 베이스(1510)의 형상이 변경됨에 따라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다만, 여전히 접촉되지 않은 전도코팅전도체(1540)가 존재할 수 있다.A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may contact each other.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included in the base 1510 may contact each other as the shape of the base 1510 is changed. However, there may still be a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that is not in contact.

상기 외력에 의해 전도코팅전도체(1540)가 접촉됨에 따라, 접촉된 전도코팅전도체(1540)의 도전표면(1541)을 따라서 구동전원이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전표면(1541)을 따라 전도경로(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경로(C)는 복수의 전도체(1530)가 서로 접촉되고, 상기 서로 접촉된 복수의 전도체(1530)가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에 접촉됨으로써 생기는 전도경로(C)일 수 있다. 상기 전도경로(C)는 일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is contacted by the external force, driving power may be transmitted along the conductive surface 1541 of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in contact. That is, a conduction path C may be formed along the conductive surface 1541. The conduction path (C) is a conduction path (C) generated when a plurality of conductors 1530 contact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conductors 1530 in contact with each other contact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 Can be. The conduction path C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one direction.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는 절연될 수 있다. 서로 접촉되지 않고 인접한 전도코팅전도체(1540) 사이에는 베이스(1510)가 존재할 수 있다. 베이스(1510)에 의해 서로 접촉되지 않고 인접한 전도코팅전도체(1540)는 서로 절연될 수 있다.It can be insul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The base 1510 may exist between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adjacent to each other without contacting each other.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adjacent to each other without contacting each other by the base 1510 may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도 1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도체(1530)가 절연코팅전도체(1545)인 경우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외력이 인가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이격된 절연표면(1546)을 통해 도전내부(1547)가 노출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노출된 도전내부(1547)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접촉된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도전내부(1547)를 따라서 전도경로(C)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전원은 상기 접촉된 도전내부(1547)를 따라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도경로(C)는 외력이 인가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B, when the conductor 1530 is an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have conductivity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conductive inner part 1547 may be exposed through the separated insulating surface 1546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At the same time, 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may be in contact. The exposed conductive inner portions 1547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may contact each other. A conductive path C may be formed along the conductive inner portion 1547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in contact. The driving power may be transmitted along the contacted conductive inner portion 1547. The conduction path C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전기접속부(1500)는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으로는 절연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절연표면(1546)의 절연물질에 의해 서로 절연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insulated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s 1545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an insulating material of the insulating surface 1546.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접속부(1500)가 포함하는 전도체(1530)는 "절연코팅전도체(1545)"인 것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ductor 1530 included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is a “insulation coated conductor 1545”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scription.

이상에서는 전기변색모듈의 구동모듈(1000)이 포함하는 전기접속부(1500)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구동부(1300)와 구동기판(131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electrical connection 1500 included in the driving module 1000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the driving unit 13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와 구동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part and a driving substr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300)는 구동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원은 전기변색소자(22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0)는 상기 구동전원을 전기접속부(1500)에 인가할 수 있고,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구동전원을 전기변색소자(22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3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generate driving power. The driving power may be deliver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driving unit 1300 may apply the driving power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may transmit driv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전기변색모듈이 포함하는 구동부(1300)는 소정의 구동기판(13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0)는 구동기판(1310)에 구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30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provided on a predetermined driving substrate 1310. The driving unit 1300 may be implemented on the driving substrate 1310.

상기 구동기판(1310)에는 다수의 연결부(1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는 상기 구동부(1300)와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는 상기 구동전원을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로 출력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는 구동부(1300)로부터 구동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는 구동부(1300)의 출력유닛(1305)으로부터 구동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다.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330 may be provided on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driving part 1300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output the driv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driving part 1300.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output unit 1305 of the driving part 1300.

상기 다수의 연결부(1330)는 연결부별로 출력하는 구동전원의 속성이 다를 수 있다. 제1 연결부(1331)을 통해 제1 구동전원이 출력되고, 제2 연결부(1333)을 통해 제2 구동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의 구동전원출력은 상기 구동부(1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전원은 각각의 연결부(1330)의 서로 다른 전기적 속성에 의해 연결부(1330)별로 달리 출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결부(1331)의 저항과 상기 제2 연결부(1333)의 저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연결부(1331)를 통해 출력되는 제1 구동전원은 제1 전압으로 제어되고, 상기 제2 연결부(1333)를 통해 출력되는 제2 구동전원은 제2 전압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nection units 1330 may have different attributes of driving power output for each connection unit. The first driving power may be output through the first connector 1331,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may be output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1333. The driving power output of the connection unit 1330 may be controlled by the driving unit 1300. Alternatively, the driving power may be output differently for each connection unit 1330 according to different electrical properties of each connection unit 1330. That is, the resistan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resistan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first driving power output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may be controlled as a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output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may be controlled as a second voltage. .

상기 다수의 연결부(133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133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다수의 연결부(1330)는 상기 구동기판(131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1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수의 연결부(1330)는 상기 구동부(1300)와 상기 구동기판(1310)의 상면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연결부(1330)는 상기 구동기판(1310)을 관통하는 비아홀을 통해 상기 구동기판(1310)의 상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330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to be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1300.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33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1300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1330 may also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rough a via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driving substrate 1310.

상기 연결부(1330)는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1330)는 구리 등의 금속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330 may be implemented with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be implemented with a metal material such as copper.

이상에서는 전기변색모듈의 구동모듈(10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기접속부(1500)와 구동부(1300)의 전기적 연결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each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module 1000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n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and the driving unit 1300 will be described.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부(1500)와 구동기판(13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15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전기접속부(1500)의 상부에는 구동기판(1310)이 배치될 수 있다. A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disposed on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도 12 (a)를 참조하면, 구동기판(1310)은 전기접속부(150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상기 구동기판(1310)은 베이스(1510)의 상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A,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completel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510.

도 12 (b)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510)의 상면에는 연결부(1330)가 접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B,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510.

상기 베이스(1510)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는 제1 베이스영역(1511) 및 제2 베이스영역(1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판(1310)은 복수의 연결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는 제1 연결부(1331), 및 제2 연결부(1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영역(1511)은 상기 제1 연결부(1331)와 접촉되고, 상기 제2 베이스영역(1512)은 제2 연결부(1333)와 접촉될 수 있다.The base 15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gions. The base 1510 may include a first base region 1511 and a second base region 1512.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330.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333. The first base region 1511 may contact the first connector 1331, and the second base region 1512 may contact the second connector 1333.

각각의 베이스 영역에는 다수의 연결부(1330)가 위치할 수 있다. 전기접속부(1500)의 영역별로 배치되는 연결부(1330)의 수는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영역(1511)에는 복수의 제1 연결부(1331)가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베이스영역(1512)에는 복수의 제2 연결부(1333)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영역(1511)에 놓이는 제1 연결부(1331)의 수와 상기 제2 베이스영역(1512)에 놓이는 제2 연결부(1333)의 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330 may be located in each base region. The number of connection parts 1330 arranged for each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adjusted.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rts 1331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base region 1511,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rts 1333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region 1512. The number of first connecting portions 1331 placed on the first base area 1511 and the number of second connecting portions 1333 placed on the second base area 151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베이스(1510)에 함유된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상기 구동부(1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제1 절연코팅전도체(1533) 및 제2 절연코팅전도체(15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코팅전도체(1533)는 상기 제1 연결부(1331)에 접촉하고, 상기 제2 절연코팅전도체(1534)는 제2 연결부(1333)에 접촉될 수 있다.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included in the base 15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300. 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may include a first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33 and a second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34. The first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33 may contac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31, and the second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34 may contact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333.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가 구동기판의 연결부에 접촉되도록, 소정의 외력이 전기접속부(1500)로 제공될 수 있다.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may be provid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so that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contacts the connection part of the driving substrate.

상기 구동부(1300)은 전기접속부(1500)에 구동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0)는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를 통해 전기접속부(1500)의 전달영역에 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원은 제1 구동전원, 및 제2 구동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300 may transmit driving power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The driving unit 1300 may apply driving power to a transmission reg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driving power may include a first driving power and a second driving power.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영역별로 전기변색소자(2200)에 구동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제1 구동전원을 상기 제1 베이스영역(1511)을 통해 전기변색소자(2200)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부는 제2 구동전원을 상기 제2 베이스영역(1512)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apply driv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for each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The driving unit may transmit a first driv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rough the first base region 1511, and the driving unit may transmit a second driving power through the second base region 1512.

상기 구동전원은 상기 전기접속부(1500)를 통해 전기변색소자(22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과 전기변색소자(22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전원이 전기변색소자(2200)에 인가 될 수 있다.The driving power may be deliver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The driving module 1000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so that the driving power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이상에서는 구동모듈(1000)의 각 구성간 연결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driving module 1000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는 전기변색소자(2200)와 전술한 구동모듈(1000)의 각 구성과의 연결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each component of the above-described driving module 1000 will be described.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 전기접속부, 및 구동기판을 나타내는 측부도면이다.1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n electrical connection part, and a driving substr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에서는 도 13,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200)와 전술한 구동모듈(100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2200)와 구동모듈(1000)은 전도경로를 가질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above-described driving module 10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and the driving module 1000 may have a conduction path.

상기 구동모듈(1000)은 전기변색소자(22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전술한 구동모듈(10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측부에 인접한 상부의 영역에 구동모듈(10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전기변색소자(2200)의 트렌치구조(21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트렌치구조(2100)에 포함된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의 상부에 구동모듈(1000)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above-described driving module 1000 may be disposed on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disposed in an upper region adjacent to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disposed in the trench structure 210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 region included in the trench structure 21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disposed on the trench structure 2100.

상기 구동모듈(1000)은 전기접속부(1500)와 구동기판(1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전기변색소자(2200)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구동기판(1310)은 상기 전깁접속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와 상기 구동기판(1310) 사이에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기판(1310)이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1000 may include an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and a driving substrate 1310.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contact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contact the electric cast connection part.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disposed on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상기 구동모듈(1000)의 전기접속부(1500)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접촉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of the driving module 1000 may contact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전기변색소자(2200)의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트렌치구조(2100)의 제1 전극(2010)의 영역 및 제2 전극(2050)의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트렌치구조(2100)의 함몰부(2110)와 돌출부(213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제1 전극(2010)의 컨택부(2150), 및 제2 전극(2050)의 패드부(2140)에 접촉될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connected to a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a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of the trench structure 21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contact the recessed portion 2110 and the protruding portion 2130 of the trench structure 21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contact the contact portion 2150 of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pad portion 2140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베이스(1510)는 전기변색소자(2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베이스(1510)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는 트렌치구조(21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는 트렌치구조(2100)가 포함하는 제1 전극(2010)의 컨택부(2150) 및 제2 전극(2050)의 패드부(2140)에 접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base 1510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disposed above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base 1510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base 1510 may be disposed in the trench structure 2100. The base 1510 may contact the contact portion 2150 of the first electrode 2010 included in the trench structure 2100 and the pad portion 2140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상기 베이스(1510)는 트렌치구조(2100)의 함몰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에 삽입된 베이스(1510)는 전기변색소자(2200)의 각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The base 151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trench structure 2100. The base 1510 inserted in the depression may contact each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베이스(1510)는 함몰부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된 베이스(1510)는 전기변색소자(2200)의 각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The base 1510 may be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The inserted base 1510 may contact each area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베이스(1510)는 트렌치구조(2100)에 의해 노출된 전기변색소자(2200)의 각 층에 접촉될 수 있다.The base 1510 may contact each layer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exposed by the trench structure 2100.

상기 베이스(1510)는 서로 대향하는 전기변색소자(2200)의 층의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는 연결면(217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는 인접한 연결면(217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base 1510 may contact regions of layers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s 2200 facing each other. The base 1510 may contact the connection surface 2170. The base 1510 may be positioned between adjacent connection surfaces 2170.

상기 베이스(1510)는 상부방향으로 노출된 제2 전극(205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는 제1 전극(2010)방향으로 노출된 상부면을 갖는 제2 전극(205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는 패드부(2140)에 접촉될 수 있다.The base 1510 may contact the second electrode 2050 exposed upward. The base 1510 may contact a second electrode 2050 having an upper surface exposed in a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The base 1510 may contact the pad part 2140.

상기 베이스(1510)의 측부면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측부면과 동일한 면일 수 있다.The side surface of the base 1510 may be the same as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또는, 상기 베이스(1510)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base 1510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와 구동모듈(1000)이 접촉되도록 소정의 외력이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와 구동모듈(1000)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외력에 의해 전기변색소자(2200)와 전기접속부(1500)는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베이스(1510)는 상기 외력에 의해 전기변색소자(220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는 외적형상이 변형되며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접촉될 수 있다.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the driving module 1000 so that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the driving module 1000 contact each other.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1500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external force. The base 1510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contact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by the external force. The base 1510 may have an external shape deformed and may contact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베이스(1510)의 외적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함몰부(2110)에 삽입된 베이스(1510)는 전기변색소자(2200)의 외측방향으로 일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가 전기변색소자(22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구동기판(1310)과의 전기적 접속 신뢰성이 형성된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가 돌출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상기 돌출된 베이스(1510)는 구동기판(1310)과 접촉되는 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접촉되는 영역이 넓어짐에 따라 상기 베이스(1510)가 구동전원을 인가받는 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의 구동전원을 인가받는 영역이 넓어짐에 따라 접촉저항이 감소되며, 전압왜곡이 줄어들고, 소비전력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the external shape of the base 1510 is deformed, the base 1510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2110 may partially protrude outward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s the base 1510 protrudes outward from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reliability of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form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base 1510 does not protrude, the protruding base 1510 may have a wider area in contact with the driving substrate 1310. As the contact area is widened, the area to which the base 1510 is applied with driving power may be widened. As the area to which the driving power of the base 1510 is applied is widened, contact resistance is reduced, voltage distortion is reduced, and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또한, 상기 베이스(1510)는 접착성에 의해, 접촉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상기 베이스(1510)가 구동기판(1310)이 단단하게 접착될 수 있다. 단단하게 접착됨에 따라 베이스(1510)는 구동전원을 안정되게 인가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은 향상된 전기적 접속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ontact area of the base 1510 increases due to adhesiveness, the base 1510 may be firmly adhered to the driving substrate 1310. As it is firmly bonded, the base 1510 can stably receive driving power.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tion may have improved electrical connection reliability.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에 포함된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접촉될 수 있다.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contact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included in the base 1510 may contact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 중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트렌치구조의 전극층에 접촉될 수 있다.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 중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트렌치구조(2100)에 위치하는 제1 전극(2010) 또는 제2 전극(2050)에 접촉될 수 있다.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 중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패드부(2140), 또는 컨택부(2150)에 접촉될 수 있다.Some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contact the electrode layer having a trench structure. Some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contact the first electrode 2010 or the second electrode 2050 located in the trench structure 2100. Some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contact the pad portion 2140 or the contact portion 2150.

상기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상기 제1 전극(2010) 또는 제2 전극(2050)에 접촉되는 도전내부(1547)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상기 패드부, 또는 컨택부에 접촉되는 도전내부(1547)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제1 전극(2010) 또는 제2 전극(2050)에 접촉되는 노출된 도전내부(1547)를 가질 수 있다.The part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may have a conductive inner portion 1547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2010 or the second electrode 2050. The part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may have a conductive inner part 1547 in contact with the pad part or the contact part. The part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may have an exposed conductive inner portion 1547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2010 or the second electrode 2050.

상기 제1 연결부(1331)와 상기 컨택부(2150) 사이에는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경로를 만들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331)와 상기 컨택부(2150)는 상기 전도경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0)의 구동전압은 상기 제1 연결부(1331), 전도경로, 컨택부(2150)를 통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로 인가될 수 있다.A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contact part 2150.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form at least one conduction path.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contact part 2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onduction path. The driving voltage of the driving unit 1300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1331, a conduction path, and a contact unit 2150.

상기 전도경로는 상기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도전내부(1547)가 서로 접촉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경로는 상기 제1 전극(2010) 또는 제2 전극(2050)에 접촉하는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도전내부(1547)가 서로 접촉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경로는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노출된 도전내부(1547)가 서로 접촉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conduction path may be formed by contacting the conductive inner portions 1547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with each other. The conduction path may be formed by contacting the conductive inner portions 1547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contacting the first electrode 2010 or the second electrode 2050 with each other. The conductive path may be formed by contacting the exposed conductive inner portions 1547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with each other.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컨택부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들 중에는 전도경로를 형성하지 못하는 절연코팅전도체(1545)가 존재할 수도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contact part, an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that cannot form a conduction path may be present.

전기변색소자(2200)가 포함하는 각 층의 함몰부에는 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절연코팅전도체가 위치할 수 있다.A base and at least on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may be positioned in the depression of each layer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상기 제2 연결부(1333)와 상기 패드부(2140) 사이에는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경로를 만들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1333)와 상기 패드부(2140)는 상기 전도경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0)로부터의 구동전압은 상기 제2 연결부(1333), 전도경로, 패드부(2140)를 통해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로 인가될 수 있다.A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and the pad part 2140. Some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form at least one conduction path.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and the pad part 2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onduction path. The driving voltage from the driving unit 1300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1333, the conduction path, and the pad unit 2140.

서로 다른 전도경로는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전도경로 사이에 존재하는 절연코팅전도체(1545)들은 전도경로를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들은 서로 접촉되더라도, 전도경로를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절연코팅전도체(1545)가 접촉되더라도 전기적으로는 절연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2140) 또는 컨택부(2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서로접촉되더라도 전도경로를 형성할 수 없다. The different conduction paths can be electrically isolated.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existing between the conduction paths may not form a conduction path. Even i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conduction path may not be formed. Even if different insulating coating conductors 1545 are in contact, they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which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d portion 2140 or the contact portion 2150, cannot form a conduction path even though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베이스(1510)는 상기 전도경로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인접한 전도경로 사이에는 베이스(1510)에 의해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없다. 상기 베이스(1510)는 상기 전도경로를 형성한 복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와 상기 전도경로를 형성하지 못한 절연코팅전도체(154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1510 may insulate between the conduction paths. A conduction path cannot be formed by the base 1510 between the adjacent conduction paths. The base 1510 may be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forming the conduction path and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not forming the conduction path.

상기 서로 다른 전도경로는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절연표면(1546)에 의해 서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전도경로의 사이에는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절연표면(1546)이 위치할 수 있다.The different conduction paths may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by the insulating surface 1546 of 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An insulating surface 1546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ifferent conduction paths.

한편,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트렌치구조의 중간층(203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가 함몰부(2110)로 삽입됨에 따라,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전기변색층(2031), 전해질층(2032), 이온저장층(2033)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함몰면, 또는 연결면(217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절연표면(1546)은 상기 함몰면, 또는 연결면(2170)에 접촉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may contact the intermediate layer 2030 having a trench structure. As the base 1510 is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2110, some of 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may contact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the electrolyte layer 2032,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Some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come into contact with a recessed surface or a connection surface 2170. The insulating surface 1546 of 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may contact the recessed surface or the connection surface 2170.

이상에서는 전기접속부(1500)와 전기변색소자(2200)의 연결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전기접속부(1500)와 구동기판(1310)의 연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has been described, and herein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will be described.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상부에 접촉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는 베이스(1510)의 영역 또는 트렌치구조(2100)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는 컨택부(2150) 또는 패드부(2140)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는 컨택부(2150) 또는 패드부(214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는 컨택부(2150) 또는 패드부(2140)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egion of the base 1510 or the trench structure 2100.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ntact part 2150 or the pad part 2140.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art 2150 or the pad part 2140.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contact part 2150 or the pad part 2140.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는 상기 베이스(1510)가 함유하는 절연코팅전도체(1545)에 접촉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contact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contained in the base 1510.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 중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구동전원이 출력되는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도전내부(1547)는 상기 연결부에 접촉될 수 있다.Some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contact the connection part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from which driving power is output. The conductive inner part 1547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may contact the connection part.

상기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 중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제1 연결부(1331)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 중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제2 연결부(1333)에 접촉될 수 있다.Some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contact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some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The second connector 1333 may be contacted.

전술한 전기변색소자(2200), 전기접속부(1500), 및 구동기판(1310) 간 접촉에 따라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구동부(1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300 according to the contact betwe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electric connection unit 15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described above.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와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 사이에는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판(1310)과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 사이에 배치된 절연코팅전도체(1545)에 의해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와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접촉하는 절연코팅전도체(1545)에 의해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 중 서로 접촉하는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가 제1 연결부(1331)와 상기 패드부(214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1331)와 상기 패드 부(2140) 사이에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 중 서로 접촉하는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가 제2 연결부(1333)와 상기 컨택부(215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2 연결부(1333)와 상기 컨택부(2150) 사이에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A conduction path may be form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the connection part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A conduction path may be formed by 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substrate 1310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 conductive path may be formed by the connection portion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and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in contact with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Some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in contact with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contact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pad part 2140,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pad A conduction path may be formed between the parts 2140. Some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in contact with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contact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and the contact part 2150,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and the contact part ( 2150)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duction path.

상기 구동기판(1310)과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 사이에 배치된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전도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와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접촉하는 절연코팅전도체(1545)에 의해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substrate 1310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form a conduction path. A conductive path may be formed by the connection portion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and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in contact with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 전기접속부(1500), 및 구동기판(1310)의 전기적 연결에 따라, 구동전원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로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driving power may be deliver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구동기판(1310)에서 발생된 구동전원은 상기 전기접속부(1500)로 전달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원은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를 통해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판(1310)의 구동전원은 상기 복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구동전원을 전기변색소자(22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서로 접촉되는 도전내부(1547)를 통하여 구동전원을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인가할 수 있다.The driving power generated from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driving power may be output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driving power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transmit driv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apply driv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rough the conductive inner portions 1547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연결부(1330)에 접촉되는 도전내부(1547)를 통하여 구동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전극층에 접촉되는 도전내부(1547)를 통하여 구동전원을 전기변색소자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패드부(2140) 또는 컨택부(2150)에 접촉되는 도전내부(1547)를 통하여 구동전원을 전기변색소자에 전달할 수 있다.Some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receive driving power through the conductive inner portion 1547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330. The part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may transmit driv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rough the conductive inner portion 1547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layer. The part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may transmit driv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rough the pad portion 2140 or the conductive inner portion 1547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2150.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절연표면(1546)을 통해서는 구동전원을 전달할 수 없다. 상기 절연표면(1546)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구동전원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접촉되는 절연표면(1546)은 구동전원을 전기변색소자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cannot transmit driving power through the insulating surface 1546. The insulating surface 1546 may prevent driving powe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insulating surface 1546 in contact with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not transmit driving power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 중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절연표면(1546)은 전기변색소자(220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절연표면(1546)은 상기 연결면(2170) 또는 함몰면에 접촉될 수 있다.The insulating surface 1546 of some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contact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insulating surface 1546 may contact the connection surface 2170 or the recessed surface.

다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 중 일부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서로 접촉되는 절연표면(1546)을 가질 수 있다.Some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among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have insulating surfaces 1546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상기 구동모듈(1000)로부터 구동전원을 인가 받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광학적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receives dr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dule 1000, the optical st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changed.

상기 구동전원은 전기변색소자(2200)의 영역별로 인가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331)에 연결된 다수의 제1 절연코팅전도체(1533)에는 제1 구동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1 구동전원은 제1 전극(2010)의 컨택부(2150)에 전달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333)에 연결된 다수의 제2 절연코팅전도체(1534)에는 제2 구동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1 구동전원은 제2 전극(2050)의 패드부(2140)에 전달될 수 있다.The driving power may be applied for each area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 first driving power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first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33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first driving power may be delivered to the contact part 2150 of the first electrode 2010. . A second driving power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34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and the first driving power may be delivered to the pad part 2140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

상기 구동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광학적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압에 의해 전기변색소자(2200)에 포함된 전기변색이온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이온이 이동됨에 따라 전기변색층(2031) 및 이온저장층(2033)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산화환원반응이 유발됨에 따라,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광투과도, 광흡수도는 변경될 수 있다.Based on the driving voltage,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change its optical state. Electrochromic ions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moved by the driving voltage. As the electrochromic ions are moved,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may occur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As the redox reaction is induced, the light transmittance and the light absorb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be changed.

한편, 상기 제1 전극(2010)에 인가되는 제1 구동전원, 또는 제2 전극(2050)에 인가되는 구동전원 중 적어도 하나는 기준이되는 그라운드 전압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전압을 기준으로 전기변색소자(2200)에 형성된 전위가 측정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first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010 or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be selected as a reference ground voltage. A potential form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measured based on the ground voltage.

한편, 전술하였듯이 전기접속부(1500)는 소정의 압력을 받아 전기변색소자(22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에 의해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소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접속부(1500)가 포함하는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배치가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기접속부(1500)의 소정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may be disposed o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pressure. Due to the pressure,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have a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ly, the arrangement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included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modified. Hereinafter, a predetermined shap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will be described.

이방성전도필름의 상면은 굴곡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굴곡형상은 상기 트렌치구조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굴곡형상은 상기 트렌치 구조의 돌출부 및 함몰부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굴곡형상은 컨택부(2150) 및 상기 패드부(2140)와 대응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may have a curved shape. The curved shape may correspond to the trench structure. The curved shape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and depression of the trench structure. As a result, the curved shape may correspond to the contact portion 2150 and the pad portion 2140.

한편, 상기 구동부(1300)가 생성한 구동전원과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인가되는 구동전원의 속성은 다를 수 있다. 즉, 전기변색소자(2200)에 전달되는 과정동안 상기 구동부(1300)가 생성한 구동전원에는 소정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강하현상에 따라 상기 구동전원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Meanwhile, the driving power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1300 and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have different attributes. That is, during the process of being deliver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 predetermined deformation may occur in the driving power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1300. For example, the size of the driving power source may be reduced according to the voltage drop phenomenon.

한편, 전술한 전기변색소자(2200)의 전기변색층(2031)과 이온저장층(2033)의 적층 순서는 뒤바뀔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변색층(2031)과 이온저장층(2033)과 관련한 설명은 서로 뒤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변색층(2031)이 제1 전극(2010)과 접하고, 이온저장층(2033)이 제2 전극(2050)과 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적층 순서가 뒤바뀌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층(2031)이 제2 전극(2050)과 접하고, 이온저장층(2033)이 제1 전극(2010)과 접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tacking order of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described above may be reversed. Accordingly, descriptions relating to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b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2050, but when the stacking order is reversed, the electrochromic layer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be contacted by 2031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be contacted with the first electrode 2010.

한편, 상기 구동전원이 전기변색소자(2200)의 컨택부(2150)와 패드부(2140)로 전달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구동전원은 패드부(2140) 및 컨택부(2150)가 아닌 제1 전극(2010)의 영역에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컨택부(2150)가 아닌 제1 전극(2010)의 영역은 트렌치구조(2100)로부터 내측방향에 위치하는 제1 전극(2010)의 영역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driving power is transmitted to the contact part 2150 and the pad part 214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but the driving power is the first electrode other than the pad part 2140 and the contact part 2150. (2010). An area of the first electrode 2010 other than the contact part 2150 may be an area of the first electrode 2010 positioned inward from the trench structure 2100.

이상에서는 전기변색모듈의 각 구성과 각 구성간 연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기활성장치(1) 제작을 위한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above, each component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and connection between each component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electroactive device 1 will be described.

전기활성장치(1)는 전기변색장치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The electroactive device 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electrochromic device.

도 15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의 공정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sequence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5을 참조하면, 상기 공정의 단계는 전기변색소자제작(S1510), 레이저(laser)공정(S1520), 구동부배치(S1530), 압착/압열(S1540), 패키징(S15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510 내지 단계 S1550은 모두 수행될 수도 있지만, 항상 단계 S1510 내지 단계 S1550이 모두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단계 S1510 내지 단계 S1550 중 일부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step of the process may include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S1510), a laser process (S1520), arranging a driving unit (S1530), compression/pressing (S1540), packaging (S1550), and the like. have. Steps S1510 to S1550 may all be performed, but not all steps S1510 to S1550 should always be performed, and some of steps S1510 to S1550 may be omitted.

전기변색소자제작(S1510)단계에서는 전기변색소자(22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구현할 스펙, 목적에 기초하여 전기변색소자(2200)를 이루는 제1 전극(2010), 전기변색층(2031), 전해질층(2032), 이온저장층(2033), 및 제2 전극(2050)이 소정의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tep of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device (S1510), an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be formed. In the above step, based on the specification and purpose to be implemented, the first electrode 2010,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the electrolyte layer 2032, the ion storage layer 2033, and the second electrode ( 2050) may be formed by a predetermined sputtering process.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트렌치구조(2100) 형성을 위하여 소정의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제1 전극(2010), 전기변색층(2031), 전해질층(2032), 이온저장층(2033)을 삭마시키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제2 전극(2050)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를 형성시키는 공정은 삭마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삭마 공정에는 i)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전기변색소자(2200)의 각 층을 제거하는 접촉공정 ii)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접촉되는 기구의 사용없이 각 층을 제거하는 비접촉공정이 있을 수 있다.A predetermined process may be performed to form the trench structure 210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In order to form the trench structure 2100, a process of ablat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the electrolyte layer 2032,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Can be done. A process of exp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performed. The process of forming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be referred to as an ablation process. In the ablation process, i) a contact process of removing each layer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using a mechanism that directly contacts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i) a mechanism in contact with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re may be a non-contact process that removes each layer without use.

이하에서는 상기 삭마공정 중 비접촉공정의 일 예인 레이저공정(S1520)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laser process (S1520), which is an example of a non-contact process among the ablation processes, will be described.

상기 레이저공정(S1520)은 구현 목적에 따라 설계된 함몰부의 사이즈, 형상, 오프닝 형상 간의 간격에 기초하여 진행될 수 있다.The laser process (S1520) may be performed based on a gap between the size, shape, and opening shape of the depression desig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implementation.

상기 레이저공정(S1520)은 레이져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일 영역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상기 가열/용융된 일 영역을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여 불어내어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로부터 제거하는 공정일 수 있다.In the laser process (S1520), a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s heated and melted using a laser, and the heated/melted region is blown out using a high-pressure gas,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t may be a process of removing from.

상기 레이져는 전기변색소자(2200)의 제2 전극(2050)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제1 전극(2010), 전기변색층(2031), 전해질층(2032), 및 이온저장층(2033)을 가열하여 용융시켜 제거할 수 있다.The laser comprises a first electrode 2010, an electrochromic layer 2031, an electrolyte layer 2032, and an ion storage layer 2033 so that the top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s exposed. It can be removed by heating and melting.

구동부배치단계(S1530)에서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듈(1000)이 전기변색소자(22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된 영역을 통해 제어신호가 전기변색소자(22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듈(1000)이 배치될 수 있다. In the driver arrangement step S1530, a driving module 1000 for driv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disposed o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disposed so that a control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rough a region in which the trench structure 210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s formed.

상기 구동모듈(1000)이 포함하는 전기접속부(1530)가 전기변색소자(2200)의 트렌치구조에 배치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30 included in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disposed in a trench structur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구동부(1300)가 구현된 구동기판(1310)이 전기변색소자(2200)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전기변색장치가 전기변색거울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구동기판(1310)는 전기변색소자(2200)의 반사면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가 전기변색윈도우로 구현되는 경우, 전기변색소자(2200)를 투과하는 빛의 경로에 영향주지 않도록 상기 구동기판(1310)이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substrate 1310 on which the driving unit 1300 is implemented may be disposed arou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implemented as an electrochromic mirror,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lternatively,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s implemented as an electrochromic window,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affect a path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압착/가열 단계(S1540)에서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구동모듈(1000)이 고착되도록 상기 구동모듈(1000)을 가압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구동모듈(1000)이 고착됨으로써, 전기변색모듈이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sing/heating step (S1540 ), a process of pressing the driving module 1000 so that the driving module 1000 is fix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performed. When the driving module 1000 is fix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implemented.

상기 구동모듈(1000)이 고착되도록 상기 구동모듈(1000)을 가압하는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압의 방향은 전기변색소자(2200)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A process of pressing the driving module 1000 so that the driving module 1000 is fixed may be performed. The pressing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wer por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압착공정에 따라 전기변색소자(2200)에 배치된 이방성전도필름이 고착될 수 있다.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disposed o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fixed according to the pressing process.

압착공정에 의해 상기 이방성전도필름의 접착필름은 전기변색소자(2200)의 트렌치구조(2100)가 포함하는 함몰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제1 전극(2010)의 상부와 노출된 제2 전극(2050)의 상부에는 상기 접착필름이 접착될 수 있다. The adhesive film of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may be inserted into a depression included in the trench structure 210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by a pressing process. The adhesive film may be adher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exposed second electrode 2050.

또한, 상기 압착공정에 의해 구동부(1300)와 전기변색소자(2200) 사이에 위치하는 전도체(1530)들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경로(path)는 가압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의 경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conductors 1530 positioned between the driving unit 1300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pressing process, thereby forming a conduction path. The conduction path may be formed as a path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pressing direction.

또한, 압착공정에 의해 상기 고착된 이방성전도필름이 포함하는 전도체(1530)는 제1 전극(2010)과 구동부(1300), 제2 전극(2050)과 구동부(13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전도체(1530)는 제1 전극(2010) 및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에 접촉될 수 있으며, 제2 전극(2050) 및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전도경로를 따라 구동부(1300)와 전기접속부(13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ductor 1530 included in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fixed by the pressing process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driving unit 1300, the second electrode 2050 and the driving unit 1300. have. The conductor 1530 may contact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connection portion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and may contact the second electrode 2050 and the connection portion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have.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130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3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long the above-described conduction path.

한편, 상기 가압하는 공정에 추가적으로 소정의 열을 가하는 가열 공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가열 공정에 따라 접착필름이 물리/화학적으로 전기변색소자(2200)에 더 잘 고착될 수 있다.Meanwhile, a heating process of applying a predetermined heat in addition to the pressing process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additionally performed heating process, the adhesive film may be better adher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physically/chemically.

패키징 단계(S1550)에서는 전술한 단계에서 구현된 전기변색모듈을 전기변색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패키징 단계에서, 구현/설계 목적에 기초하여 구현된 전기변색모듈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이 전기변색모듈에 결합될 수 있다.In the packaging step S1550, the electrochromic module implemented in the above-described step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chromic device. In the packaging step, a housing for protect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implemented based on the implementation/design purpose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may be coupled to the electrochromic module.

상술한 본 출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 공정에 있어서,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따라서 각 실시예는 상술한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단계는 반드시 설명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나중에 설명된 단계가 먼저 설명된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각 단계는 동작하는 동안 어느 한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electrochromic device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the step of configuring each embodiment is not essential, and therefore, each embodiment may selectively include the above-described steps. In addition, each step constituting each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in the order described, and the steps described later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teps described earlier. It is also possible for each step to be repeatedly performed during the operation.

이하에서는 전기변색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lectrochromic process will be described.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전기변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변색장치의 전기변색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electrochromic. Hereinafter, the electrochromic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전기변색방법의 단계는 구동전원 생성/전달(S1610), 실효전압형성(S1620), 전기변색(S16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610 내지 단계 S1630은 모두 수행될 수도 있지만, 항상 단계 S1610 내지 단계 S1630이 모두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단계 S1610 내지 단계 S1630 중 적어도 하나만이 수행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step of the electrochromic method may include generating/transferring driving power (S1610), forming an effective voltage (S1620), electrochromic (S1630), and the like. Steps S1610 to S1630 may all be performed, but not all steps S1610 to S1630 should always be performed, and only at least one of steps S1610 to S1630 may be performed.

구동전원 생성/전달(S1610) 단계에서는 전기변색소자(22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구동전원이 전기변색소자(2200)로 인가될 수 있다. 전술한 구동부(1300)에서 형성된 구동전원은 전기접속부(1500)로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전기접속부(1500)에 인가된 구동전원은 전도체(1530)를 통하여 전기변색소자(2200)의 전극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In the step of generating/transmitting driving power (S1610), driving power for driv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driving power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driving power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driving unit 1300 may be output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and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layer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rough the conductor 1530 Can be.

상기 구동전원은 전술한 구동부(1300)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전원은 전기변색소자(2200)를 변색시키기 위한 전기적 동력으로서, 전기변색소자(2200)를 활성시키기 위한 전압값 혹은 전류값을 가질 수 있다.The driving power may be generated from the driving unit 1300 described above. The driving power is electric power for discolor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may have a voltage value or a current value for activat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생성된 구동전원은 전기접속부(1350)을 통해 전기변색소자(2200)에 전도될 수 있다.The generated driving power may be conduct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350.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200)는 전기접속부(1350)를 통해 구동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구동전원은 전기변색소자(2200)의 구동부(1300) 사이에 형성된 전도경로를 통해 전기변색소자(22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도경로는 전술하였듯이 전도체(1530)가 서로 접촉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receive driving power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350. The driving power may be deliver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rough a conduction path formed between the driving unit 130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s described above, the conduction path may be formed by contacting the conductors 1530 with each other.

실효전압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가 변색되도록 하는 실효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effective voltage forming step, an effective voltage for discolor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formed.

전기변색소자(2200)에 인가된 구동전원에 기초하여 실효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2200)가 포함하는 제1 전극(2010)에 인가된 제1 구동전원과 제2 전극(2050)에 인가된 제2 구동전원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실효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An effective voltage may be formed based on the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effective voltage may be formed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010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2050.

상기 실효전압은 전기변색소자(2200)의 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effective voltage may be formed in the entire area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도 1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 형성된 실효전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7 is a diagram showing an effective voltage formed in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변색소자(2200)의 측부의 일 영역에 이방성전도필름이 배치되는 경우 전기변색소자(2200)의 일방향으로 실효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효전압은 전기적 동력원인 전자가 공급되는 양을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다. 즉, 상기 실효전압이 크면 클수록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로 공급되는 전자의 양은 많아 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7A, when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is disposed in a region of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 effective voltage may be formed in one direc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effective voltage may be an index indicating an amount of supplying electrons as an electric power source. That is, as the effective voltage increases, the amount of electrons su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increase.

도 17 (b)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전 영역에 형성되는 실효전압은 영역별로 서로 다를 수 있다. 일방향으로 야기된 전압강하 현상에 의해 상기 실효전압은 영역별로 다를 수 있다. 즉, 실효전압이 전기변색의 일 방향으로 계속하여 강하된 값을 가지도록,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실효전압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B, effective voltages formed in all regions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different for each region. The effective voltage may be different for each region due to a voltage drop caused in one direction. That is, an effective voltage may be form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so that the effective voltage has a value continuously dropped in one direction of electrochromic.

구체적으로, 전기접속부(1350)가 배치된 전기변색소자(2200)의 측부의 영역에서의 실효전압은 제1 실효전압일 수 있고, 상기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실효전압은 제2 실효전압일 수 있다. 상기 제2 실효전압은 상기 제1 실효전압보다 낮은 전압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effective voltage in the region of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350 is disposed may be the first effective voltage, and the effective voltage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region may be the second effective voltage. have. The second effective voltage may be a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effective voltage.

제1 실효전압은 제1 구동전원과 제2 구동전원의 차이일 수 있으나, 상기 영역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실효전압은 제1 구동전원과 제2 구동전원의 차이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The first effective voltage may be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riving power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but the effective voltage in a region adjacent to the region may be a value small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driving power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전기변색단계에서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투과도/흡수도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색이 변경될 수 있다.In the electrochromic step, the transmittance/absorptivity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changed. The color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be changed.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전술한 실효전압에 기초하여 소정의 전기변색메커니즘에 따라 전기변색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be electrochromic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lectrochromic mechanism based on the above-described effective voltage.

상기 전기변색메커니즘은 전기변색이온이동단계, 및 산화/환원 및 변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mechanism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ion transfer step, and an oxidation/reduction and discoloration step.

상기 전기변색이온이동 단계에서는 전기변색을 위한 전기변색이온이 전기변색소자(2200)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In the electrochromic ion transfer step, electrochromic ions for electrochromic may be moved with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전기변색이온은 전술한 실효전압에 기초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실효전압에 기초하여 전기적 포텐셜이 높게 형성된(전압이 높은) 영역에서 포텐셜이 낮은(전압이 낮은) 영역으로 전기변색이온이 이동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ions may be mov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effective voltage. Electrochromic ions may be moved from a region having a high electrical potential (high voltage) to a region having a low potential (low voltage) based on the effective voltage.

상기 전기변색이온은 전기변색소자(2200)에 공금되는 전자에 기인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자와 전기변색이온 간에 소정의 인력(coulomb’s force)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전기변색이온이 전자가 공급된 전기변색소자(2200)의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ions may be moved due to electrons donated to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As a predetermined coulomb's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ns and the electrochromic ions, the electrochromic ions may move to a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o which electrons are supplied.

상기 산화/환원 반응 및 변색단계에서는 전기변색소자(2200) 내에서 산화/환원 반응이 발생되고, 상기 산화/환원 반응에 기인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가 변색될 수 있다.In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and discoloration step,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occurs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discolored due to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상기 산화/환원 반응 및 변색 반응은 전기변색소자(2200)의 전기변색층(2031), 및/또는 이온저장층(2033)에서 발생할 수 있다.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and color change reaction may occur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or the ion storage layer 2033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상기 전기변색이온이 전기변색층(2031), 및/또는 이온저장층(2033)에 함유된 소정의 전기변색물질과 산화/환원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ions may cause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with a predetermined electrochromic material contained in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and/or the ion storage layer 2033.

도 18은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8 is a view showing electrochromic col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pplication.

도 18을 참조하면, 전기변색소자(2200)의 트렌치구조로부터 전기변색소자(2200)의 광학적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optical st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changed from the trench structur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도 18 (a)를 참조하면, 전기접속부로부터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전기변색이 진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a), electrochromic discoloration may proceed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from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착색은 트렌치구조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탈색은 트렌치구조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다.Coloring can occur inward from the trench structure. Also, discoloration can occur inward from the trench structure.

전기변색소자(2200)의 각 영역의 착색정도, 및/또는 투과도가 균질하게 되는 시간은 다를 수 있다. 전기변색소자(2200)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투과도가 제1 투과도, 제2 영역의 투과도가 제2 투과도인 경우, 상기 제1 투과도의 값과 제2 투과도의 값이 같은 값의 투과도가 되기 위해서는 소정의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제1 시간(t1)이 필요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제2 시간(t2)이 필요할 수 있다.The coloration degree of each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or the time when the transmittance becomes uniform may be different. 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is the first transmittance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is the second transmittance, the value of the first transmittance and the second transmittance A predetermined time may be required for the transmittance value to become the same transmittance value. The first region may require a first time t1, and the second region may require a second time t2.

상기 시간(t)는 전기변색소자의 변색이 균일해지는 임계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임계시간은 전압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보다 긴 시간 동안 전압을 인가하고,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보다 짧은 시간 동안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균질한 변색을 유도할 수 있다.The time (t) may be defined as a critical time at which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becomes uniform. The threshold time may be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Therefore, whe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voltage is relatively large, the voltage is appli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when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voltage is relatively small, the voltage is applied for a shorter period of time to prevent homogeneous discolora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You can induce it.

한편, 도 1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변색소자의 사방의 측부에 전기접속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착색되는 경우, 상기 착색은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중심을 향하여 시간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8 (b), the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disposed on the four sides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In this case,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is colored, the coloring may proceed toward the center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over time.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된 전기변색소자(2200) 및 이방성전도성질을 갖는 전기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의 경우, 구동모듈(1000)의 배치가 간이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모듈의 생산 공정이 간이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n electrochromic module including an electrochromic element 2200 having a trench structure 2100 and an electric connection portion having anisotropic conductivity, the arrangement of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simplified. .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simplified.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구동되기 위해,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으로 구동전원을 인가받아야 한다. In order to be driv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needs to receive driving power through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2010)은 상부방향에 배치된 구동모듈(100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2 전극(2050)은 하부방향에 배치된 구동모듈(100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야 한다. 즉,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구동모듈(1000)이 전기변색소자(2200)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기변색모듈의 구조가 복잡해 질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위치에 구동모듈(1000)이 배치되도록 공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해 질 수 있다.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not formed,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ust receive power from different locations.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2010 receives dr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dule 1000 disposed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is dr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dule 1000 disposed in the lower direction. Must be supplied. That is,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not formed, since the driving module 1000 must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the structure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complicated. Since a process must be additionally performed so that the driving module 1000 is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the process may be complicated.

또는,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되지 않은 전기변색소자(2200)가 같은 방향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기 위해서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서로 다른 면적의 전극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전극(2050)의 면적이 넓게 되어, 상기 제1 전극(2010)의 외부방향으로 제2 전극(2050)이 노출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부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전극(2010) 및 상기 노출된 제2 전극(2050)의 영역은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가 갖는 전극의 면적이 서로 다르게 구현되는 경우, 각각의 전극의 형성을 위한 공정은 서로 동일한 프로세스로 진행될 수 없다. 각각의 전극의 형성을 위한 공정이 별개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전기변색모듈의 생산을 위한 공정이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한 전극이 다른 전극보다 면적이 커야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전기변색소자(2200)는 전기변색모듈의 소형화를 어렵게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제2 전극(2050)의 영역이 전부 덮이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전기적으로 불안정해질 수도 있다.Alternatively, in order for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on which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not formed to receive power from the same directio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ust have electrodes of different areas. For example, since the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is increased, the second electrode 2050 must be exposed in an external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Accordingly, the regions of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exposed second electrode 2050 from the upper direction can receive power. When the electrodes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have different areas, the processes for forming each electrode cannot be performed in the same process. A process for forming each electrode must be performed separately. Accordingly,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not forme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complicated. In addition, since at least one electrode has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other electrode,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having different areas may make it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electrochromic module. In addition, when the exposed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is not entirely covered,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be electrically unstable.

이에 반하여, 트렌치구조(2100)를 갖는 경우, 전기변색모듈의 제작 공정이 간이해지고, 구동모듈(1000)의 배치가 간이해질 수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를 갖는 전기변색소자(2200)는 일방향으로 전극이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일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동모듈(10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일방향에 배치된 구동모듈(1000)을 통해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으로 구동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모듈(1000)은 전기변색소자(2200)의 일방향에만 배치하면 되기 때문에, 구동모듈(1000)을 배치하는 것은 간단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변색모듈의 생산 공정은 간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렌치구조(2100)를 갖는 전기변색소자(2200)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다른 전극에 비하여 넓은 면적을 가져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기변색장치의 소형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렌치구조(2100)를 통해 노출된 각 전극은 전기접속부의 베이스에 의해 덮일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안정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provide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may be simplified, and the arrangement of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simplifi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having the trench structure 2100, an electrode may be exposed in one direction. Accordingly,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direction.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receive driving power to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through the driving module 1000 disposed in one direction. That is, since the driving module 1000 only needs to be arranged in one direc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t can be simplified to arrange the driving module 1000. Accordingly,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since at least one electrode included i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having the trench structure 2100 does not have to have a larger area than other electrodes, it may be helpful for miniaturiza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In addition, since each electrode exposed through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be covered by the bas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it may have an effect of being electrically stable.

<제2 실시예> <Second Example>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200)에는 버퍼영역(11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은 전기변색소자(2200)에 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A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uffer area 1100 may be defined as an area to which driving power is not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버퍼영역(1100)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전도경로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A conduction path may not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uffer region 1100.

한편,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구동을 위한 전기접속부(1500)가 포함하는 전도체(1530)는 전도코팅전도체(1540)일 수 있다. 상기 전도코팅전도체(1540)는 전술한 절연코팅전도체(1545)와 같은 실시예로 전기변색모듈에 배치 또는 전기변색모듈의 각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전술한 전도코팅전도체(1540)는 절연코팅전도체(1545)로 치환되고, 도전표면(1541)은 절연표면(1546)로 치환되고, 절연내부(1542)는 도전내부(1547)로 치환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ductor 1530 included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for driv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a conductive coated conductor 1540.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may be disposed on the electrochromic module or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component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in the same embodiment as 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described above.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That is, the above-described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is replaced with an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the conductive surface 1541 is replaced with the insulating surface 1546, and the insulating interior 1542 is replaced with the conductive interior 1547. I can.

상기 버퍼영역(1100)에 대응되는 베이스(1510)의 영역의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는 전도경로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는 전기적으로 절연상태 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in a region of the base 1510 corresponding to the buffer region 1100 may not form a conduction path.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도 19 내지 2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영역의 형성을 위한 구동기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9 to 20 are views illustrating a driving substrate for forming a buffer reg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에서는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and 20.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연결면(2170)과 상기 제1 전극의 사이각은 직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연결면(2170)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각은 직각일 수 있다. 상기 전기접속부의 전도체는 전도코팅전도체(1540)일 수 있다.An angle between the connection surface 217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the first electrode may be a right angle. In addition, an angle between the connection surface 217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a right angle. The conductor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a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상기 버퍼영역(1100)과 상기 구동기판(1310)의 사이에는 전도경로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A conduction path may not be formed between the buffer region 11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트렌치구조(2100)의 제1 전극(2010)과 노출된 제2 전극(20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은 돌출부(2130)와 함몰부(2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은 패드부(2140)와 컨택부(21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은 연결면, 또는 함몰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buffer region 110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010 of the trench structure 210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the exposed second electrode 2050. 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2130 and the recessed portion 2110. 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etween the pad portion 2140 and the contact portion 2150. The buffer region 1100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connection surface or a depression surface.

상기 전기변색소자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은 제1 전극의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버퍼영역(1100)이고, 상기 제3 영역은 제2 전극의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패드부(2140), 제3 영역은 컨택부(2150), 상기 제2 영역은 버퍼영역(1100)이되, 상기 제2 영역은 연결면, 또는 함몰면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device includes a first region,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the first region is a region of a first electrode, the second region is a buffer region 1100, and the third region May be the area of the second electrode. The first region may be a pad part 2140, a third region may be a contact part 2150,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a buffer region 1100,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a connection surface or a partial region of a depression surface. .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구동기판(1310)에 구비되는 연결부(13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연결부(1330)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연결부(1330)로부터의 구동전원출력을 제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는 제1 연결부(1331), 및 제2 연결부(1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331)는 컨택부(215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연결부(1330)로 정의되고, 상기 제2 연결부(1333)는 패드부(214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연결부(1330)로 정의될 수 있다.The buffer area 1100 may be implemented by a connection part 1330 provided on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buffer area 1100 may be implemented by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connection part 1330 or controlling a driving power output from the connection part 1330.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333.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is defined as a connection part 1330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art 215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is a connection part 1330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ad part 2140 Can be defined as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버퍼영역(1100)에 대응하는 구동기판(1310)의 영역에 연결부(1330)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331)와 상기 제2 연결부(1333) 사이의 구동기판(1310)의 영역에 연결부(1330)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y not forming the connection part 1330 in the area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corresponding to the buffer area 1100.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not be formed in a region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또는, 상기 연결부(1330)는 인접한 연결부(1330)와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의 간격이 조정됨으로써, 상기 버퍼영역(1100)에 대응하는 구동기판(1310)의 영역에 연결부(133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를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버퍼영역(1100)에 대응하는 구동기판(1310)의 위치에 연결부(133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1 연결부(1331)와 상기 제2 연결부(1333)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330 and the adjacent connection part 1330 may be adjust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s 1330 is adjusted,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not be formed in a region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corresponding to the buffer region 1100. By separating the connection part 1330,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not be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corresponding to the buffer area 1100. In order to form the buffer region 1100,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may be adjusted.

상기 버퍼영역(1100)에 접촉되는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는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도코팅전도체(1540)의 도전표면(1541)은 연결부(1330)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contacting the buffer region 1100 may not contact the connection portion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conductive surface 1541 of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may not contact the connection part 1330.

상기 버퍼영역(1100)과 상기 구동기판(13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The buffer region 11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버퍼영역(1100)과 상기 구동기판(1310) 사이는 절연될 수 있다Between the buffer region 11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insulated.

상기 버퍼영역(1100)과 상기 구동기판(1310) 사이에는 전도경로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과 상기 구동기판(1310) 사이의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는 전도경로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과 상기 구동기판(1310) 사이의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는 전극층 또는 중간층에 접촉하되,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에는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의 도전표면(1541)은 전극층, 또는 연결면에 접촉될 수 있으나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에는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A conduction path may not be formed between the buffer region 11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between the buffer region 11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not form a conduction path.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between the buffer region 11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contact an electrode layer or an intermediate layer, but may not contact the connection portion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conductive surfaces 1541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may contact the electrode layer or the connection surface, but may not contact the connection portion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버퍼영역(1100)에 대응하는 위치의 연결부(1330)에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제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은 제1 연결부(1331)와 상기 제2 연결부(1333)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1330)에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제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331)와 상기 제2 연결부(1333)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1330)는 버퍼연결부(1335)로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buffer area 1100 may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connector 133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ffer area 1100. The buffer area 1100 may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driving power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133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The connection part 133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may be defined as a buffer connection part 1335.

상기 연결부(1330)가 구동전원을 출력하지 못하도록, 상기 연결부(13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의 구동전원 출력은 상기 구동부(1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0)는 상기 연결부(1330)가 구동전원을 출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331)와 상기 제2 연결부(1333)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1330)가 구동전원을 출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버퍼연결부(1335)는 구동전원을 출력하지 못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33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connection part 1330 does not output driving power. The driving power output of the connection unit 1330 may be controlled by the driving unit 1300. The driving unit 1300 may prevent the connection unit 1330 from outputting driving power. The connection part 133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may not be able to output driving power. The buffer connector 1335 may not be able to output driving power.

상기 구동부(1300)의 출력유닛(1305)은 상기 연결부(1330)로 구동전원을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출력유닛(1305)이 상기 연결부(1330)로 구동전원을 전달하지 못하도록, 상기 출력유닛(1305)을 제어유닛(1307)이 제어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5 of the driving unit 1300 may not transmit driving power to the connection unit 1330. The control unit 1307 may control the output unit 1305 to prevent the output unit 1305 from transmitting driving power to the connection unit 1330.

한편, 상기 연결부(1330)을 통해 구동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1300)는 상기 구동전원이 출력되지 못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1307)는 상기 구동전원의 출력을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0)가 피드백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피드백유닛은 상기 연결부(1330)의 구동전원출력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유닛은 상기 버퍼영역(1100)의 구동전원 인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유닛은 상기 측정결과를 제어유닛(1307)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전원이 출력, 또는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1307)는 상기 생성유닛(1303), 또는 출력유닛(1305)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driving power is output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330, the driving unit 1300 may prevent the driving power from being output. The control unit 1307 may stop the output of the driving power. When the driving unit 1300 includes a feedback unit, the feedback unit may measure whether the connection unit 1330 outputs driving power. The feedback unit may measure whether driving power is applied to the buffer area 1100. The feedback unit may transmit the measurement result to the control unit 1307.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ing power is output or appli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the control unit 1307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generating unit 1303 and the output unit 1305.

상기 버퍼영역(1100)과 상기 구동기판(13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The buffer region 11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버퍼영역(1100)과 상기 구동기판(1310) 사이는 절연될 수 있다Between the buffer region 11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insulated.

상기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는 전극층과 구동기판(1310)에 접촉하더라도, 전도경로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극층 또는 중간층과 상기 연결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는 구동전원을 인가받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가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는 구동전원을 전달받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버퍼연결부(1335)에 접촉되는 전도코팅전도체(1540)의 도전표면(1541)은 구동전원을 인가받지 못할 수 있다.Even i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contact the electrode layer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a conduction path may not be formed.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contacting the electrode layer or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connection portion may not be applied with driving power. Even i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contac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may not receive driving power. The conductive surface 1541 of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in contact with the buffer connection part 1335 may not receive driving power.

또는,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구동부(1300)와 상기 연결부(1330)의 사이를 절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는 상기 구동부(1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버퍼연결부(1335)는 상기 구동부(1300)와 서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버퍼연결부(1335)는 상기 구동부(1300)로부터 구동전원을 전달받지 못할 수 있다. 즉, 절연은 상기 구동부(1300)와 상기 연결부(1330)를 전기적 연결을 물리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buffer region 1100 may be formed by insulating between the driving part 1300 and the connection part 1330.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1300. The buffer connection part 1335 may be insulated from the driving part 1300 from each other. The buffer connector 1335 may not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300. That is, insulation may be achieved by physically block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riving unit 1300 and the connection unit 1330.

도 21 내지 2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영역의 형성을 위해 구현된 전기접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1 to 22 are diagrams illustrating electrical connections implemented to form a buffer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1 내지 22를 참조하면,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버퍼영역(1100)에 대응하는 전기접속부의 영역의 속성을 제어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속성은 전도체의 배치밀도, 전기적 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에 대응하는 전기접속부(1500)의 영역은 베이스버퍼영역(1513)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은 상기 제1 연결부(1331)에 대응하는 베이스(1510)의 영역과 상기 제2 연결부(1333)에 대응하는 베이스(1510)의 영역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1 to 22, 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y controlling a property of an area of an electrical connection part corresponding to the buffer area 1100. The properties may include arrangement density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conductor. An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corresponding to the buffer area 1100 may be defined as a base buffer area 1513.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be located between a region of the base 15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a region of the base 15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베이스(1510)의 전도코팅전도체(1540)의 배치밀도를 조절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은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전도코팅전도체(1540)의 배치 밀도를 다른 베이스(1510)의 영역의 배치 밀도와 달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the buffer area 1100 may be implemented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density of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of the base 1510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The buffer region 1100 may be formed by varying the arrangement density of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in the base buffer region 1513 from that of the other base regions 1510.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은 전도코팅전도체(1540)의 배치 밀도가 낮거나 혹은 전도코팅전도체(154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전도코팅전도체(1540)의 배치 밀도는 베이스(1510)의 버퍼영역(1100)이 아닌 영역의 전도코팅전도체(1540)의 배치 밀도 보다 낮을 수 있다.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have a low arrangement density of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or may not include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The arrangement density of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in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be lower than the arrangement density of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in a region other than the buffer region 1100 of the base 1510.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는 서로 접촉되되 전도경로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의 일부는 전극층 또는 중간층과 상기 구동기판(1310)에 접촉되되 전도경로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의 도전표면(1541)은 서로 접촉하되, 상기 전극층, 중간층, 또는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contact each other but do not form a conduction path. Some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contact the electrode layer or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but do not form a conduction path. The conductive surfaces 1541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contact each other, but may not contact the electrode layer, the intermediate layer, or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상기 전도코팅전도체(1540)의 배치밀도는 전기접속부(1500)를 생산하는 공정 중에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The arrangement density of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may be adjusted during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베이스 영역의 일 영역과 다른 일 영역 사이에 별개의 층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 영역과 다른 일 영역 사이의 영역은 베이스버퍼영역(1513)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the buffer region 1100 may be formed by disposing a separate layer between one region of the base region and another region. An area between the one area and the other area may be the base buffer area 1513.

상기 별개의 층은 절연층일 수 있다. The separate layer may be an insulating layer.

상기 별개의 층은 전도코팅전도체(1540)를 포함하지 않는 층일 수 있다. The separate layer may be a layer not including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에는 전도경로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은 서로 접촉되는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A conduction path may not be formed in the base buffer region 1513.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not include a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인접한 영역에는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가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가 절연층에 구동전원을 인가하더라도,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에는 전도경로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절연층에 상기 전도코팅전도체(1540)의 도전표면(1541)이 접촉되더라도 전도경로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으로 전달되는 구동전원은 전달될 수 없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이 전도코팅전도체(1540)를 포함하지 않는 층인 경우, 상기 구동전원은 전달될 수 없다.A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may be position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base buffer region 1513. However, even i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apply driving power to the insulating layer, a conductive path may not be formed in the base buffer region 1513. Even if the conductive surface 1541 of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is in contact with the insulating layer, a conductive path may not be formed. Driving power delivered to the base buffer region 1513 cannot be delivered. When the base buffer region 1513 is a layer that does not include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the driving power cannot be transmitted.

이에 따라,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으로부터 구동전원을 전달받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buffer area 1100 may not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base buffer area 1513.

또한,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버퍼영역(1100)에 대응하는 전기접속부(1500)의 영역과 상기 구동기판(1310) 사이를 절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과 상기 구동기판(1310)은 서로 절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y insulating the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corresponding to the buffer area 11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base buffer region 1513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상기 베이스버퍼영역과 상기 구동기판(1310) 사이에는 소정의 절연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A predetermined insulating materia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se buffer region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과 상기 구동기판(1310) 사이에는 소정의 절연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상부는 절연처리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상부면에는 절연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상부면에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상부면에 절연필름을 부착할 수 잇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상부는 절연도포될 수 있다.A predetermined insulating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se buffer region 1513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be insulated.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An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An insulating film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be coated with insulation.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복수의 전도코팅전도체(1540) 중 일부 전도체는 절연물질과 접촉될 수 있다.Some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oating conductors 1540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be in contact with an insulating material.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은 상기 구동기판(1310)으로부터 구동전원을 전달받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전도코팅전도체(1540)는 구동기판(1310)으로부터 구동전원을 전달받지 못할 수 있다.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not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0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not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driving substrate 1310.

도 2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3 is a view showing a conductio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버퍼영역(1100)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패드부(2140)를 위한 연결부(1330)에 접촉된 복수의 전도체(1540)는 패드부(2140) 뿐만 아니라 컨택부(2150)에도 접촉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패드부(2140)에 인가되어야 하는 전원이 컨택부(2150)에 인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3, when the buffer region 1100 is not formed, the plurality of conductors 1540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1330 for the pad part 2140 are not only the pad part 2140, but also the contact part ( 2150) may also be contacted. Accordingly, power to be applied to the pad unit 2140 may be applied to the contact unit 2150.

전기변색소자(2200)에 쇼트(short)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버퍼영역(1100)을 형성하는 경우, 패드부(2140) 및 컨택부(2150)의 쇼트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 short phenomenon may occur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On the other hand, when the buffer region 1100 is formed, a short-circuit phenomenon of the pad portion 2140 and the contact portion 2150 can be prevented.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트렌치구조(2100)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경사를 가지는 경우 연결면(2170), 또는 함몰면(2160)에 복수의 전도체(1540)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면(2170), 또는 함몰면(2160)에 구동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전기변색소자(2200)가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버퍼영역(1100)을 형성하는 경우, 연결면(2170), 또는 함몰면(2160)에 전도체(1540)를 통해 직접 구동전압이 인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have an inclination.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has an inclination, a plurality of conductors 1540 may contact the connection surface 2170 or the depression surface 2160. Accordingly, when driving power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surface 2170 or the depression surface 2160,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damag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buffer region 1100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irect application of a driving voltage to the connection surface 2170 or the concave surface 2160 through the conductor 1540.

한편, 도시된 버퍼영역(1100)과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크기는 일 예일 뿐,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sizes of the illustrated buffer area 1100 and the base buffer area 1513 are only examples, and are not limited thereto.

<제3 실시예> <Third Example>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200)의 트렌치구조(2100)는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The trench structure 2100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have a predetermined slope.

도 2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경사를 가진 트렌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ench structure having an inclination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5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경사를 가진 트렌치구조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5 is a view showing an upper portion of a trench structure having a slope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경사를 가진 트렌치구조의 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6 is a view showing a side portion of a trench structure having a slope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에서는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4 to 26.

상기 경사를 가지는 트렌치구조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연결면(2170) 및 함몰면(21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clined trench structure may include a connection surface 2170 and a depression surface 2160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연결면(2170) 및 함몰면(2160)은 전기변색소자(2200)의 각 영역과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surface 2170 and the depression surface 2160 may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each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연결면(2170)은 제1 전극(2010)과 제1 각도(θ1)를 가지고, 제2 전극(2050)과 제2 각도(θ2)를 가질 수 있다. The connection surface 2170 may have a first electrode 2010 and a first angle θ 1 , and may have a second electrode 2050 and a second angle θ 2 .

상기 연결면(2170) 및 상기 함몰면(2160)은 돌출부(2130)의 상부면, 또는 패드부(2140)의 상부면과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surface 2170 and the depression surface 2160 may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2130 or an upper surface of the pad portion 2140.

전술한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angle can be changed.

상기 연결면(2170)과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각 영역 사이의 소정의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2170)과 상기 제1 전극(2010), 또는 제2 전극(2050)과 이루는 소정의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2170)의 영역별로 상기 제1 전극(2010), 또는 제2 전극(2050)과 이루는 각도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2170)의 제1 영역의 각도는 제1 각도(θ1)이고, 상기 연결면(2170)의 제2 영역의 각도는 제2 각도(θ2)일 수 있다.A predetermined angle between the connecting surface 2170 and each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changed. A predetermined angle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surface 2170 and the first electrode 2010 or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be changed.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electrode 2010 or the second electrode 2050 for each region of the connection surface 2170 may be changed. The angle of the first area of the connection surface 2170 may be a first angle (θ 1 ), and the angle of the second area of the connection surface 2170 may be a second angle (θ 2 ).

상기 함몰면(2160)과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각 영역과 이루는 각도 또한 전술한 연결면(2170)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The angle formed by the depression surface 2160 and each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also be changed as in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surface 2170.

트렌치구조(2100)가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2200)의 모든 영역은 상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All regions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included in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be exposed upward.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포함하는 전극층 및 중간층(2030)은 상부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The electrode layer and the intermediate layer 2030 included in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be exposed upward.

상기 연결면(2170) 및 상기 함몰면(2160)은 상부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2170)의 제1 전극(2010), 전기변색층(2031), 전해질층(2032), 및 이온저장층(2033) 및 상기 함몰면(2160)에 포함된 제1 전극(2010), 전기변색층(2031), 전해질층(2032), 및 이온저장층(2033)은 상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surface 2170 and the depression surface 2160 may be exposed upward. The first electrode 2010 of the connection surface 2170,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the electrolyte layer 2032, the ion storage layer 2033, and the first electrode 2010 included in the depression surface 2160 , The electrochromic layer 2031, the electrolyte layer 2032, and the ion storage layer 2033 may be exposed upward.

상기 제2 전극(2050)은 상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2050)의 패드부(2140)는 상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be exposed upward. The pad portion 2140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may be exposed upward.

상기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된 전기변색소자(2200)에는 전기접속부(1500)가 배치될 수 있다.An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disposed in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in which the trench structure 2100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s formed.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연결면(2170) 및 상기 함몰면(2160)에 접촉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contact the connection surface 2170 and the depression surface 216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베이스(1510)는 상기 연결면(2170) 및 상기 함몰면(2160)에 접촉될 수 있다. The base 1510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contact the connection surface 2170 and the depression surface 2160.

상기 베이스(1510)에 포함된 복수의 전도체(1530) 중 일부 전도체(1530)는 상기 연결면(2170) 및 상기 함몰면(216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전도체(1530)이 절연코팅전도체(1545)인 경우,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절연표면(1546)뿐만 아니라, 도전내부(1547)이 상기 연결면(2170), 또는 함몰면(2160)에 접촉될 수 있다.Some of the conductors 1530 of the plurality of conductors 1530 included in the base 1510 may contact the connection surface 2170 and the depression surface 2160. When the conductor 1530 is an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not only the insulating surface 1546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but also the conductive inner portion 1547 is the connection surface 2170 or the recessed surface 2160. Can be contacted.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는 상기 연결면(2170) 및 상기 함몰면(2160)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surface 2170 and the depression surface 2160.

상기 구동기판(1310)과 상기 연결면(2170), 또는 상기 함몰면(2160) 사이에 소정의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A predetermined conduction path may be formed between the driving substrate 1310 and the connection surface 2170 or the depression surface 2160.

상기 연결부(1330)와 연결면(2170)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전도체(1530)에 의해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와 함몰면(2160)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전도체(1530)에 의해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A conduction path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conductors 1530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330 and the connection surface 2170. A conduction path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conductors 1530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1330 and the depression surface 2160.

상기 전도경로에 의해 상기 연결면(2170)과 상기 함몰면(2160)에 포함된 전기변색소자(2200)의 각층은 구동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Each layer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ncluded in the connection surface 2170 and the depression surface 2160 may receive driving power through the conduction path.

한편,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트렌치구조(2100)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버퍼영역(1100)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he electrochromic element may have a buffer region 1100.

상기 버퍼영역(1100)은 전기변색소자(2200)에 구동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buffer area 1100 may be defined as an area to which driving power is not applied to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트렌치구조의 제1 전극과 노출된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은 돌출부와 함몰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은 패드부(2140)과 컨택부(215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은 연결면, 또는 함몰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buffer region 110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of the trench structur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nd the exposed second electrode. 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recessed portion. 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etween the pad portion 2140 and the contact portion 2150. The buffer region 1100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connection surface or a depression surface.

전술한 전도코팅전도체(1535)를 포함하는 전기접속부(1500)가 배치되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상기 버퍼영역(1100)의 형성을 위한 전술한 예들은 상기 소정의 경사를 갖는 전기변색소자(22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above-described examples for the formation of the buffer region 110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n which the electric connection unit 1500 including the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35 is disposed are the electrochromic element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t can also be applied to (2200).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전도체(1350)가 절연코팅전도체(1545)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ase where the conductor 1350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is an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will be described.

상기 버퍼영역(1100)은 구동기판(1310), 구동부(1300), 또는 전기접속부(15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y a driving substrate 1310, a driving unit 1300, or an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구동기판(1310)에 구비되는 연결부(13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연결부(1330)를 적절히 구현하거나, 또는 상기 연결부로(1330)부터의 구동전원출력이 제어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y a connection part 1330 provided on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y properly implementing the connection part 1330, or controlling the driving power output from the connection part 1330,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도전내부(1547)는 상기 버퍼영역(1100)에 접촉되고, 동시에 상기 절연표면(1546)은 상기 버퍼영역(1100)에 접촉될 수 있다.The conductive inner part 1547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may contact the buffer region 1100, and at the same time, the insulating surface 1546 may contact the buffer region 1100.

도 27 내지 28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영역의 형성을 형성하기 위해 구현된 구동기판(13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7 to 28 are views illustrating a driving substrate 1310 implemented to form a buffer reg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버퍼영역(1100)에 대응하는 구동기판(1310)의 영역에 연결부(1330)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331)와 상기 제2 연결부(1333) 사이의 구동기판(1310)의 영역에 연결부(1330)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y not forming the connection part 1330 in the area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corresponding to the buffer area 1100.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not be formed in a region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또는, 상기 연결부(1330)는 인접한 연결부(1330)와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의 간격이 조정됨으로써, 상기 버퍼영역(1100)에 대응하는 구동기판(1310)의 영역에 연결부(133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제1 연결부(1331)와 상기 제2 연결부(1333)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330 and the adjacent connection part 1330 may be adjust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s 1330 is adjusted,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not be formed in a region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corresponding to the buffer region 1100. In order to form the buffer region 1100,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may be adjusted.

상기 버퍼영역(1100)에 접촉되는 복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contacting the buffer region 1100 may not contac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상기 버퍼영역(1100)과 상기 구동부(1300)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The buffer region 1100 and the driver 1300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버퍼영역(1100)과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는 절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330 of the buffer area 11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insulated.

상기 버퍼영역(1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전도경로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이 포함하는 전극층 또는 중간층에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가 접촉되되,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구동기판(1310)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버퍼영역(1100)에 접촉되는 절연코팅전도체의 도전내부(1546)로부터 구동전원을 전달받지 못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positioned above the buffer region 1100 may not form a conduction path. 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may contact the electrode layer or the intermediate layer included in the buffer region 1100, but 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may not contact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buffer region 1100 may not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conductive inner portion 1546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that contacts the buffer region 1100.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도전내부(1547)가 상기 버퍼영역(1100)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도전경로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잇다. 상기 서로 접촉되는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도전내부(1547)는 버퍼영역에 접촉되되, 연결부(1330)에는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Even if the conductive inner portion 1547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contacts the buffer region 1100,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may not form a conductive path. The conductive inner portions 1547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in contact with each oth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buffer region, but no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330.

도 28를 참조하면,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버퍼영역(1100)에 대응하는 위치의 연결부(1330)를 제어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영역(1100)은 제1 연결부(1331)와 상기 제2 연결부(1333)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1330)를 제어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331)와 상기 제2 연결부(1333)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는 버퍼연결부(1335)로 정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8, 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y controlling the connection part 133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ffer area 1100. 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y controlling the connection part 133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A connection par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may be defined as a buffer connection part 1335.

상기 제1 연결부(1331)와 상기 제2 연결부(1333)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1330)가 구동전원을 출력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버퍼연결부(1335)는 구동전원을 출력하지 못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33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may not be able to output driving power. The buffer connector 1335 may not be able to output driving power.

상기 구동부의 생성유닛(1303)는 상기 연결부(1330)로 전달할 구동전원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생성유닛(1303)가 상기 연결부(1330)로 전달할 구동전원을 생성하지 못하도록, 상기 생성유닛(1303)를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다.The generating unit 1303 of the driving unit may not generate driving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unit 1330.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generation unit 1303 to prevent the generation unit 1303 from generating driving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unit 1330.

상기 구동부(1300)의 출력유닛(1305)는 상기 연결부(1330)로 구동전원을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출력유닛(1305)가 상기 연결부(1330)로 구동전원을 전달하지 못하도록, 상기 출력유닛(1305)를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305 of the driving unit 1300 may not transmit driving power to the connection unit 1330.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utput unit 1305 so that the output unit 1305 does not transmit driving power to the connection unit 1330.

한편, 상기 연결부(1330)를 통해 구동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전원이 출력되지 못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37)는 상기 구동전원의 출력을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0)가 피드백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37)의 동작에 상기 피드백유닛이 참여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driving power is output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330, the driving unit may prevent the driving power from being output. The control unit 1337 may stop the output of the driving power. When the driving unit 1300 includes a feedback unit, the feedback unit may participate in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337.

상기 버퍼영역(1100)과 상기 구동기판(13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The buffer region 11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not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버퍼영역(1100)과 상기 구동기판(1310) 사이는 절연될 수 있다Between the buffer region 11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insulated.

상기 복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전극층과 구동기판(1310)에 접촉하더라도, 전도경로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극층 또는 중간층(1230)과 상기 연결부(1330)에 접촉되는 복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구동전원을 인가받지 않을 수 있다. Even i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contact the electrode layer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a conduction path may not be formed.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contacting the electrode layer or the intermediate layer 1230 and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not receive driving power.

상기 버퍼연결부(1335)에 접촉되는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도전내부(1547)는 구동전원을 인가받지 않을 수 있다.The conductive inner part 1547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contacting the buffer connection part 1335 may not be applied with driving power.

도 29 내지 3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영역의 형성을 형성하기 위해 구현된 전기접속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9 to 30 are views illustrating electrical connections implemented to form a buffer reg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9 내지 30을 참조하면,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버퍼영역(1100)에 대응하는 전기접속부(1500)의 영역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영역은 전술한 베이스버퍼영역(1513)으로 정의될 수 있다.29 to 30, 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an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corresponding to the buffer area 1100. The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defined as the base buffer area 1513 described above.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은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배치밀도 조절, 전기적 성질 조절,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be implemented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density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adjusting electrical properties,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베이스(1510)의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배치밀도를 조절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9, the buffer area 1100 may be implemented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density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of the base 1510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은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배치 밀도가 낮거나 혹은 절연코팅전도체(1545)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have a low arrangement density of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or may not include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복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서로 접촉되되 전도경로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복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일부는 전극층 또는 중간층과 상기 구동기판(1310)에 접촉되되 전도경로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복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서로 접촉하되, 상기 전극층, 중간층, 또는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contact each other but do not form a conduction path. Some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contact the electrode layer or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but do not form a conduction path.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contact each other, but may not contact the electrode layer, the intermediate layer, or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베이스 영역의 일 영역과 다른 일 영역 사이에 별개의 층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 영역과 다른 일 영역 사이의 영역은 베이스버퍼영역(1513)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0, the buffer region 1100 may be formed by disposing a separate layer between one region of the base region and another region. An area between the one area and the other area may be the base buffer area 1513.

상기 별개의 층은 절연층일 수 있다. The separate layer may be an insulating layer.

상기 별개의 층은 절연코팅전도체(1545)를 포함하지 않는 층일 수 있다. The separate layer may be a layer not including the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5.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인접한 영역에는 복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가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가 소정의 층에 구동전원을 인가하더라도,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에는 전도경로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A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may be positioned in a region adjacent to the base buffer region 1513. However, even i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apply driving power to a predetermined layer, a conduction path may not be formed in the base buffer region 1513.

또한, 상기 버퍼영역(1100)은 상기 버퍼영역(1100)에 대응하는 전기접속부(1500)의 영역과 상기 구동기판(1310) 사이를 절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과 상기 구동기판(1310)은 서로 절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area 1100 may be formed by insulating the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corresponding to the buffer area 1100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base buffer region 1513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insulated from each other.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과 상기 구동기판(1310) 사이에는 소정의 절연물질(1550)이 배치될 수 있다.A predetermined insulating material 15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se buffer region 1513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과 상기 구동기판(1310) 사이에는 소정의 절연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상부는 절연처리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상부면에는 절연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상부면에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상부면에 절연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상부는 절연도포될 수 있다.A predetermined insulating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se buffer region 1513 and the driving substrate 1310.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be insulated.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An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An insulating film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be coated with insulation.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복수의 절연코팅전도체(1545) 중 일부 전도체는 절연물질과 접촉될 수 있다.Some of the plurality of insulating coated conductors 1545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sulating material.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은 상기 구동기판(1310)으로부터 구동전원을 전달받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절연코팅전도체(1545)는 구동기판(1310)으로부터 구동전원을 전달받지 못할 수 있다.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not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of the base buffer region 1513 may not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driving substrate 1310.

도 3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1 is a view showing a conduction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버퍼영역(1100)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연결면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코팅전도체(1545)의 도전내부(1547)를 통해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전원은 상기 도전경로를 통해 상기 중간층(2030)에 인가되어,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중간층(2030)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퍼영역(1100)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중간층(20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 when the buffer region 1100 is not formed, a conductive path may be formed through a conductive inner portion 1547 of an insulating coated conductor 1545 disposed between a connection surface and the connection portion. Driving power may be applied to the intermediate layer 2030 through the conductive path, thereby damaging the intermediate layer 203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Accordingly, when the buffer region 1100 is formed, damage to the intermediate layer 203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can be prevented.

한편, 도시된 버퍼영역(1100)과 베이스버퍼영역(1513)의 크기는 일 예일 뿐,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sizes of the illustrated buffer area 1100 and the base buffer area 1513 are only examples, and are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전도경로와 도전경로는 혼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duction path and the conduction path may be used interchangeably.

<제4 실시예> <Fourth Example>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장치는 분배부(1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기변색모듈은 분배부(1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1000)은 분배부(1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tribution unit 1700. The electrochromic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distribution unit 1700. The driving module 1000 may further include a distribution unit 1700.

도 3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를 더 구비하는 구동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2 is a view showing a driving module further including a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3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를 더 구비하는 구동모듈을 나타내는 ㅊ도이다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odule further including a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에서는 도 32 및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2 and 33.

상기 분배부(1700)는 상기 구동기판(1310)과 상기 전기접속부(15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unit 17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driving substrate 131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상기 분배부(1700)는 분배베이스(1510), 및 복수의 분배연결부(17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unit 1700 may include a distribution base 1510 and a plurality of distribution connection units 1710.

상기 분배베이스(1510)는 상기 분배부(1700)의 외적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base 1510 may define an external shape of the distribution unit 1700.

상기 분배연결부(1710)는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분배연결부(1710)는 도전성 있는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0 may have conductivity.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0 may be implemen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분배연결부(1710)는 소정의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0 may have a predetermined bent shape.

상기 복수의 분배연결부(1710)는 상기 분배베이스(1510)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connection parts 1710 may be disposed on the distribution base 15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분배연결부(1710)의 분배베이스(1510)의 일측에서의 배치밀도는 상기 분배베이스(1510)의 타측에서의 배치밀도와 다를 수 있다. 분배베이스(1510)의 일측에 배치된 인접한 분배연결부(1710)간의 간격은 타측에 배치된 인접한 분배연결부(1710)간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분배연결부(1710)는 일측에서 제1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일측에 배치된 분배연결부(1710)는 타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측에서의 분배연결부(1710)간 간격은 제2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은 상기 제2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The arrangement density of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0 at one side of the distribution base 1510 may be different from the arrangement density at the other side of the distribution base 1510.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distribution connectors 171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tribution base 1510 may be different from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distribution connectors 1710 disposed on the other side. For example, the distribution connector 1710 is disposed at a first interval from one side, and the distribution connector 1710 disposed on the one side extends in a curved shape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ribution connector 1710 on the other side May be disposed at a second interval. The first interval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interval.

상기 분배부(1700)는 상기 구동기판(1310)과 상기 전기접속부(15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분배부(1700)의 상기 분배연결부(1710)는 상기 구동기판(1310)과 상기 전기접속부(15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분배연결부(1710)에 의해 상기 구동기판(1310)과 상기 전기접속부(1500) 사이에는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unit 17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driving substrate 131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The distribution connection unit 1710 of the distribution unit 17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driving substrate 131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A conduction path may be formed between the driving substrate 131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1500 by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0.

상기 분배부(1700)는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part 1700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connection part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복수의 연결부(1330)가 상기 구동기판(1310)의 하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분배부(1700)는 상기 구동기판(13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1700)의 분배연결부(1710)는 상기 구동기판(1310)의 하면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부(1330)에 접촉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분배연결부(1710)는 분배부(1700)의 하면과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면에 배치된 분배연결부(1710)는 관통홀을 통해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330 ar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distribution unit 170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distribution connecting portion 1710 of the distribution portion 1700 may contact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1330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In this case, the distribution connection unit 171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ion unit 1700. The distribution connector 1710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through a through hole.

복수의 연결부(1330)가 상기 구동기판(131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분배부(1700)는 상기 구동기판(13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1700)의 분배연결부(1710) 상기 구동기판(1310)의 상면에 배치된 복수의 연결부(1330)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배연결부(1710)는 분배부(1700)의 하면에만 배치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330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distribution unit 17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distribution connecting portion 1710 of the distribution portion 1700 may be in contact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133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In this case, the distribution connection unit 1710 may be disposed on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tribution unit 1700.

상기 분배부(1700)의 복수의 분배연결부(1710)는 상기 구동기판(1310)의 복수의 연결부(13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배연결부(1710)는 제1 분배연결부(1711), 및 제2 분배연결부(1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부(1330)는 제1 연결부(1331), 및 상기 제1 연결부(1331)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연결부(13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connection units 1710 of the distribution unit 1700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units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connection parts 1710 may include a first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1 and a second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3.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33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1333 dispose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상기 복수의 분배연결부(1710)와 상기 복수의 연결부(1330)는 서로 대응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connection parts 1710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330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인접한 분배연결부(1710) 간의 간격은 상기 인접한 연결부(1330) 간의 간격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분배연결부(1710)의 수는 상기 연결부(1330)의 수와 같을 수 있다.The spacing between the adjacent distribution connecting portions 1710 may correspond to the spacing between the adjacent connecting portions 1330. The number of distribution and connection parts 1710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connection parts 1330.

상기 제1 분배연결부(1711)는 제1 연결부(133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분배연결부(1713)는 상기 제2 연결부(1333)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second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상기 복수의 분배연결부(1710)와 상기 복수의 연결부(1330)는 서로 대응되지 않을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connection parts 1710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330 may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인접한 분배연결부(1710) 간의 간격은 상기 인접한 연결부(1330) 간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 상기 분배연결부(1710)의 수는 상기 연결부(1330)의 수와 다를 수 있다The spacing between the adjacent distribution connecting parts 1710 may be different from the spacing between the adjacent connecting parts 1330. The number of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arts 1710 may be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parts 1330

상기 제1 분배연결부(1711)는 제1 연결부(133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분배연결부(1713)는 상기 제2 연결부(1333)에 인접한 다른 연결부(1330)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1331, and the second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3 may be connected to another connection part 1330 adjacent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33.

상기 분배연결부(1710)와 상기 연결부(1330)의 접촉에 따라, 상기 분배연결부(1710)와 상기 연결부(13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1700)와 상기 구동부(13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act between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0 and the connection part 1330,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0 and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distribution unit 1700 and the driving unit 1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분배부(1700)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unit 17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상기 분배부(1700)는 상기 접기접속부(15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1700)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상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분배부(1700)베이스(1510)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상부와 접촉할 수있다.The distribution unit 1700 may be disposed above the fold connection unit 1500. The distribution unit 1700 may contact an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The distribution unit 1700 and the base 1510 may contact an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상기 분배부(1700)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베이스(1510)는 상기 분배부(1700)에 의해 상면이 덮일 수 있다.The distribution unit 1700 may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510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be covered by the distribution part 1700.

상기 분배부(1700)의 분배연결부(1710)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상부와 접촉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0 of the distribution part 1700 may contact the upper part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상기 복수의 분배연결부(1710)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베이스(1510)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분배연결부(1710)는 상기 베이스(1510)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connection parts 1710 may contact the base 1510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0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510.

상기 복수의 분배연결부(1710)는 전기접속부(1500)의 복수의 전도체(1530) 중 일부 전도체(1530)에 접촉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connection parts 1710 may contact some of the conductors 1530 of the plurality of conductors 1530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이에 따라, 상기 전기접속부(1500)는 전도경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배연결부(1710)에 접촉된 전도체(1530)들은 구동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전도체(1530)들은 상기 분배연결부(1710)로부터 구동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may have a conduction path. Conductors 1530 in contact with the distribution connector 1710 may receive driving power. The conductors 1530 may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distribution connector 1710.

상기와 같이 분배부(1700)가 구동기판(1310), 및 전기접속부(1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구동기판(1310)으로부터 구동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As the distribution unit 17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substrate 131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driving substrate 1310.

도 3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를 더 구비하는 전기변색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module further including a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4를 참조하면, 상기 분배부(1700)는 상기 구동기판(1310)과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측부에 배치된 전기접속부(1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4, the distribution unit 17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substrate 1310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disposed on the sid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분배연결부(1710)에 연결된 복수의 전도체(1530)들은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에 접촉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ors 1530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connector 1710 may contact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분배연결부(1710)에 연결된 복수의 전도체(1530)들은 트렌치구조(2100)의 제1 전극(2010)의 영역 및 제2 전극(2050)의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전도체(1530)들은 패드부(2140) 및 컨택부(2150)에 접촉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ors 1530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connector 1710 may contact a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a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of the trench structure 2100. The conductors 1530 may contact the pad portion 2140 and the contact portion 2150.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와 상기 분배부(1700) 사이에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잇다. 상기 제1 전극(2010)의 상부 영역 및 상기 제2 전극(2050)의 상부 영역과 상기 분배연결부(1710) 사이에는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패드부(2140)와 분배연결부(1710), 컨택부(2150)와 분배연결부(1710) 사이에는 전도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A conduction path may be formed betwe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and the distribution unit 1700. A conduction path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upper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2050 and the distribution connection part 1710. A conduction path may be formed between the pad portion 2140 and the distribution connecting portion 1710, and the contact portion 2150 and the distribution connecting portion 1710.

이에 따라,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제1 전극(2010) 및 제2 전극(2050)은 구동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상기 분배기로부터 구동전원을 인가 받아 전기 변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20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5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receive driving power.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electrochromic by receiving driving power from the distributor.

상기 분배부(1700)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구동모듈(1000)의 배치가 단순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분배부(170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의 사이즈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전 영역에 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전기접속부(1500)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구현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분배부(1700)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의 사이즈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사이즈에 비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분배부(1700)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1330)의 사이즈가 작게 형성될 수 있어 상기 구동기판(1310)의 배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배부(1700)를 구비하는 경우, 구동모듈(1000)의 배치가 단순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distribution unit 1700 is provided, the arrangement of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simplified. When the distribution unit 1700 is not provided, the size of the connection unit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is equal to the size of the electric connection unit 1500 in order to apply driving power to the entire area of the electric connection unit 1500. It must be implemented in response. However, when the distribution part 1700 is provided, the size of the connection part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When the distribution unit 1700 is provided, the size of the connection unit 1330 may be small, so that the driving substrate 1310 can be efficiently disposed. Accordingly, when the distribution unit 1700 is provided, the arrangement of the driving module 1000 may be simplified.

상기 분배부(1700)는 구동모듈(1000)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분배부(1700)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1510)는 상부에 분배부(1700)를 구비하여 제공될 수 있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distribution unit 1700 is separately provided in the driving module 1000, the distribution unit 1700 may be provided in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For example, the base 1510 may be provided with a distribution unit 1700 thereon.

<제5 실시예> <Fifth Example>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200)는 소정의 외적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have a predetermined external shape.

도 3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5 (a)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평판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타원평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측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최외곽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5A,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be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be provided in an elliptical flat plate shape. The side port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have a curvature.

도 35 (b)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는 사다리꼴 평판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측부는 상변, 하변, 및 상기 상변과 하변을 연결하는 측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변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는 하변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와 다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5B,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be provided in a trapezoidal plate shape. Side portions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include an upper side, a lower side, and a side side connecting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The length of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구조(2100)는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외적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trench structure 2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트렌치구조(210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렌치구조(2100)가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2200)의 영역은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패드부(2140), 돌출부(213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trench structure 2100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may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area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ncluded in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pad portion 2140 and the protrusion portion 2130 may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형상이 사다리꼴 평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상변과 하변에만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is provided in a trapezoidal plate shape, the trench structure 2100 may be formed on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상변과 하변에 형성되는 트렌치구조(2100)의 수가 같은 경우, 인접한 트렌치구조(2100)간 간격은 다를 수 있다. 상기 상변에 형성되는 트렌치구조(2100)의 간격과 상기 하변에 형성되는 트렌치구조(2100)의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변에 형성된 인접한 함몰부(2110) 간의 간격과 돌출부(2130) 간의 간격은 하변에 형성된 인접한 함몰부(2110) 간의 간격과 인접한 돌출부(2130) 간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상변의 돌출부(2130)의 측부의 길이는 상기 하변의 돌출부(2130)의 측부의 길아와 다를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trench structures 2100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s the same,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trench structures 2100 may be different. The spacing of the trench structure 2100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pacing of the trench structure 2100 formed on the lower sid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pacing between the adjacent recessed portions 2110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pacing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s 2130 may be different from the spacing between the adjacent recessed portions 2110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the adjacent protruding portions 2130. The length of the side portion of the upper side protrusion 2130 may be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side portion of the lower side protrusion 2130.

상기 상변과 하변에 형성되는 트렌치구조(2100)의 수가 다른 경우, 상기 전기변새소자의 트렌치구조(2100)간의 간격은 같을 수 있다. 트렌치구조(2100) 간의 간격이 같도록, 상기 트렌치구조(2100)의 수가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trench structures 2100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re different, the spacing between the trench structures 2100 of the electrical toilet device may be the same. The number of trench structures 2100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trench structures 2100 is the same.

한편, 상기 사다리꼴 평판 형상의 전기변색소자(2200)는 상변, 하변, 및 측변에 트렌치구조(210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측변에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된 전기변색소자(2200)는 측변에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보다 전기변색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측변에 트렌치구조(2100)가 배치되는 경우, 측변에 트렌치구조(210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구동전원이 인가되는 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보다 넓은 영역을 통해 구동전원을 인가 받음으로써 전기변색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Meanwhile, the trapezoidal plate-shaped electrochromic device 2200 may have a trench structure 2100 at an upper side, a lower side, and a side side.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in which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formed on the side may have an effect of shortening the electrochromic device 2200 than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not formed on the side.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disposed on the side, the area to which the driving power is applied may be wider than when the trench structure 2100 is not formed on the side. By receiving the driving power through a wider area, the electrochromic time may be shortened.

상기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전기변색소자(2200)를 포함하는 전기변색모듈은 소정의 전기연결체(30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electrochromic module includ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having the predetermined shape may further include a predetermined electric connector 3000.

도 3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전기변색소자와 구동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chromic element and a driving modul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6을 참조하면, 구동기판(1310)은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상부의 일부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판(1310)의 연결부(1330)는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상부의 일부 영역에만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0)는 베이스(1510)의 일부 영역에만 접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6,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be disposed only in a partial area above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The connection part 1330 of the driving substrate 1310 may contact only a partial area of the upper part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part 1500. The connection part 1330 may contact only a partial area of the base 1510.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일부영역은 구동기판(1310)으로부터 구동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1510)의 일부영역은 연결부(1330)를 통해 구동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다.A partial reg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1500 may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driving substrate 1310. A partial region of the base 1510 may receive driving power through the connector 1330.

이에 따라, 상기 전기변색소자(2200)의 일부영역에만 구동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Accordingly, driving power may be applied only to a partial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2200.

상기 전기접속부(1500)의 전 영역에 구동전원이 인가되도록, 소정의 전기연결체(30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부영역에만 인가되는 구동전원은 소정의 전기연결체(3000)를 통해 다른영역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일부영역에만 인가되는 구동전원이 다른영역으로 전달되도록 전기연결체(3000)가 구비될 수 있다.A predetermined electrical connector 3000 may be provided so that driving power is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500. The driving power applied only to the partial region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region through a predetermined electrical connector 3000. An electrical connector 3000 may be provided so that driving power applied only to the partial region is transmitted to another region.

상기 전기연결체(3000)는 소정의 전선(wire), 전도필름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기연결체(3000)는 전기변색모듈의 각 구성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or 3000 may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of a predetermined wire and a conductive film. The electrical connector 3000 may electrically connect each component of the electrochromic module.

상기 전기연결체(3000)는 전기접속부의 일부영역과 일부영역의 다른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or 3000 may electrically connect a partial reg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and another region of the partial region.

또는, 상기 전기연결체(3000)는 상기 일부영역에만 접촉된 구동기판(1310)과 전기접속부(1500)의 다른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기연결체(3000)의 일단은 상기 일부영역에만 접촉된 연결부(1330)에 접촉되고, 타단은 전기접속부(1500)의 다른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electrical connector 30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driving substrate 1310 in contact with only the partial region and another reg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1500. In this case, one end of the electrical connector 30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nector 1330 in contact with only the partial region, and the other end may be in contact with another region of the electrical connector 1500.

또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전기접속부(1500)가 구비되는 경우, 전기연결체(3000)는 상기 복수의 전기접속부(15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로 구비된 전기접속부(1500)의 전부에 구동전원이 인가되도록, 소정의 전기연결체(3000)가 구비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36, when the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ion parts 1500 are provided, the electrical connector 30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ion parts 1500. A predetermined electrical connector 3000 may be provided so that driving power is applied to all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ors 1500.

상기 일 전기접속부(1500)에만 전달되는 구동전원은 전기연결체(3000)를 통해 다른 전기접속부(1500)로 전달될 수 있다. The driving power delivered only to the one electrical connector 1500 may be transferred to the other electrical connector 1500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or 3000.

상기 전기연결체(3000)는 인접한 전기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전기연결체(3000)는 일 전기접속부와 다른 모든 전기접속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전기연결체(3000)의 각각의 일단이 구동기판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각각의 타단이 복수로 구비된 전기접속부의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or 3000 may electrically connect adjacent electrical connectors. Alternatively, the electrical connector 3000 may be provided so that one electrical connector and all other electrical connecto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Alternatively,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ical connectors 3000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ion of the driving substrate, and each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electrical connectors provided in plural.

또는, 복수의 분배부(1700)가 구비되는 경우, 전기연결체(3000)는 상기 복수의 분배부(17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연결체(3000)는 인접한 분배부(17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일 분배부(1700)와 다른 모든 분배부(17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구동기판(1310)에 연결되어 복수로 구비된 분배부(1700) 각각에 구동전원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a plurality of distribution units 1700 are provided, the electrical connector 30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units 1700 to each other.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al connector 3000 electrically connects the adjacent distribution unit 1700, or electrically connects one distribution unit 1700 and all other distribution units 1700, or Driving power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distribution units 1700 connected to the 1310 and provided in plurality.

한편, 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커브드 형태일 수 있다. Meanwhile,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have a curved shape.

상술한 각 실시예들은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는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That is,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부 및 전기변색장치에 있어서,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따라서 각 실시예는 상술한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단계는 반드시 설명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나중에 설명된 단계가 먼저 설명된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각 단계는 동작하는 동안 어느 한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lectrical connection unit and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nfiguring each embodiment is not essential, and therefore, each embodiment may selectively include the above-described steps. In addition, each step constituting each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in the order described, and the steps described later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teps described earlier.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for any one step to be repeatedly performed while each step is operating.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foun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전기활성장치 100: 전원공급부
200: 전기활성모듈 1000: 구동모듈
1100: 버퍼영역 1300: 구동부
1301: 입력/조정유닛 1303: 생성유닛
1305: 출력유닛 1307: 제어유닛
1310: 구동기판 1330: 연결부
1331: 제1 연결부 1333: 제2 연결부
1335: 버퍼연결부
1500: 전기접속부 1510: 베이스
1511: 제1 베이스영역 1512: 제2 베이스영역
1513: 베이스버퍼영역 1530: 전도체
1531: 표면 1532: 내부
1533: 제1 절연코팅전도체 1534: 제2 절연코팅전도체
1540: 전도코팅전도체 1541: 도전표면
1542: 절연내부 1545: 절연코팅전도체
1546: 절연표면 1547: 도전내부
1700: 분배부 1710: 분배연결부
1711: 제1 분배연결부 1713: 제2 분배연결부
2000: 전기활성소자 2010: 제1 전극
2030: 중간층 2031: 전기변색층
2033: 전해질층 2034: 이온저장층
2050: 제2 전극 2100: 트렌치구조
2110: 함몰부 2111: 제1 함몰부
2113: 제2 함몰부 2115: 제3 함몰부
2117: 제4 함몰부 2130: 돌출부
2131: 제1 돌출부 2133: 제2 돌출부
2135: 제3 돌출부 2137: 제4 돌출부
2140: 패드부 2150: 컨택부
2160: 함몰면 2170: 연결면
2200: 전기변색소자 3000: 전기연결체
1: electroactive device 100: power supply
200: electroactive module 1000: drive module
1100: buffer area 1300: driving unit
1301: input/adjustment unit 1303: generating unit
1305: output unit 1307: control unit
1310: drive board 1330: connection
1331: first connecting portion 1333: second connecting portion
1335: buffer connection
1500: electrical connection 1510: base
1511: first base region 1512: second base region
1513: base buffer area 1530: conductor
1531: surface 1532: interior
1533: first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34: second insulating coating conductor
1540: conductive coating conductor 1541: conductive surface
1542: insulation inside 1545: insulation coating conductor
1546: insulating surface 1547: conductive interior
1700: distribution unit 1710: distribution connection
1711: first distribution connection 1713: second distribution connection
2000: electroactive device 2010: first electrode
2030: intermediate layer 2031: electrochromic layer
2033: electrolyte layer 2034: ion storage layer
2050: second electrode 2100: trench structure
2110: depression 2111: first depression
2113: second depression 2115: third depression
2117: fourth depression 2130: protrusion
2131: first protrusion 2133: second protrusion
2135: third protrusion 2137: fourth protrusion
2140: pad portion 2150: contact portion
2160: depression surface 2170: connection surface
2200: electrochromic device 3000: electrical connector

Claims (1)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되는 전기변색층, 상기 전기변색층 상에 위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상기 전기변색소자는 상기 제1 전극의 상부면 중 일부가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노출 영역을 포함함 -;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함입되는 제1 전도체 및 제2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변색소자 상에 접촉되는 전기접속부; 및
제1 도전성 라인 및 제2 도전성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접속부 상에 접촉되는 분배부; 및
상기 전기변색소자의 광학적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생성하는 구동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체는 상기 제1 도전성 라인과 상기 제1 전극 사이의 제1 전도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전도체는 상기 제2 도전성 라인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제2 전도 경로를 형성하는,
전기변색 장치.
An electrochromic element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n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electrochromic layer-the electrochromic element has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exposed Including at least one exposed area;
An electrical connection part including a base and a first conductor and a second conductor inserted into the base and contacting the electrochromic element; And
A distribution unit including a first conductive line and a second conductive line and in contact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unit; And
Including; a driving substrate for generating a driving power for controlling the optical state of the electrochromic element,
The first conductor forms a first conductive path between the first conductive lin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conductor forms a second conductive path between the second conductive line and the second electrode,
Electrochromic device.
KR1020210054227A 2021-04-27 2021-04-27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KR20210050503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27A KR20210050503A (en) 2021-04-27 2021-04-27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KR1020210187967A KR20220000885A (en) 2021-04-27 2021-12-27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KR1020220186134A KR20230005098A (en) 2021-04-27 2022-12-27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227A KR20210050503A (en) 2021-04-27 2021-04-27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606A Division KR102247464B1 (en) 2018-09-28 2018-09-28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967A Division KR20220000885A (en) 2021-04-27 2021-12-27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503A true KR20210050503A (en) 2021-05-07

Family

ID=7591691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227A KR20210050503A (en) 2021-04-27 2021-04-27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KR1020210187967A KR20220000885A (en) 2021-04-27 2021-12-27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KR1020220186134A KR20230005098A (en) 2021-04-27 2022-12-27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967A KR20220000885A (en) 2021-04-27 2021-12-27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KR1020220186134A KR20230005098A (en) 2021-04-27 2022-12-27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10050503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85A (en) 2022-01-04
KR20230005098A (en)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1198B2 (en) Electrochromic element and electrochrom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4799113B2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08830B1 (en) Electrochromic Device
US7116309B1 (en) Photowriting display device and photowriting display unit incorporating the same
US878386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 for electronic spectacles, lens for electronic spectacles, and electronic spectacles
CN110161769A (en) Iris diaphragm structure,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KR20150031917A (en) Electrode Plate and Eletrochomic Plate, Electrochomic Mirro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341630B1 (en) Electrochromic lens and electrochromic sunglasses comprising the same
US9709868B2 (en) Electrochromic device
US20070024801A1 (en) Liquid crystal lens apparatus
JP7146417B2 (en) electrochromic device
CN100380212C (en) Light adjuster and laminated glass
KR20210156269A (en) Electrochromic lens and electrochromic sunglasses comprising the same
KR102056095B1 (en) Electrochromic device
CN115016150A (en) Pixel structure, super su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xel structure
US8373920B2 (en) Display device
KR101906049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KR102247464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KR20210050503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chromic device
JP2004518159A (en) Active matrix electrochromic display
KR102574991B1 (en) Electrochromic elements and electrochromic devices comprising the same
KR20060050873A (en) A shutter integrated with iris in camera module of camera-phone
JPH0862642A (en) Diaphragm unit
JPH0511131U (en) EC anti-glare mirror for automobiles
JP5048252B2 (en) Anti-glare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