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354A - Rechargeable Battery Device for digital doorlock - Google Patents

Rechargeable Battery Device for digital door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354A
KR20210049354A KR1020190133566A KR20190133566A KR20210049354A KR 20210049354 A KR20210049354 A KR 20210049354A KR 1020190133566 A KR1020190133566 A KR 1020190133566A KR 20190133566 A KR20190133566 A KR 20190133566A KR 20210049354 A KR20210049354 A KR 20210049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oor lock
digital door
unit
batt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5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8777B1 (en
Inventor
권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테크
Priority to KR1020190133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777B1/en
Publication of KR2021004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3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7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7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cluding means for monitoring voltage, e.g. for indicating low battery st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which supplies power to the digital door lock having an operating power supply unit. The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comprises: a first battery unit having a rechargeabl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and connected to an operating power supply unit of a digital door lock to supply power; and a second battery unit having a rechargeabl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attery unit to supply the power to the first battery unit, wherein the second battery uni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attery unit to be charged, and the second battery unit is formed to have a charging capacity larger than a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battery unit.

Description

재충전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Rechargeable Battery Device for digital doorlock}Rechargeable Battery Device for digital door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이루어지는 제 1 배터리부 및 제 2 배터리부를 구비하며 어느 하나가 방전되어 충전이 필요하거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디지털 도어록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nd more particularly, a first battery part and a second battery part made of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even when one of them is discharged and needs to be charged or replaced, the digital door lock It relates to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that enables use.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장치의 전원 용량의 증대 경향에 대응할 수 있으며, 재충전이 불가능한 일회용 건전지의 사용에 따른 환경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responding to an increase in power capacity of a battery device and reducing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non-rechargeable disposable batteries.

도어록은 가족 또는 다수의 사람들이 주거 또는 활동하는 곳(아파트, 단독주택, 오피스텔, 빌딩 등)에 인가되지 않은 외부인이 출입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도어에 설치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도어록은 열쇠에 의한 개폐방식, 다이얼에 의한 개폐 방식뿐만 아니라, 기계와 전자 분야 기술이 결합된 디지털 도어록의 방식이 존재한다. Door locks are installed and used on doors to restrict unauthorized outsiders from entering places where family members or many people live or do activities (apartments, detached houses, officetels, buildings, etc.). The door lock includes a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by a key, a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by a dial, as well as a method of a digital door lock combining mechanical and electronic technologies.

이중에서 디지털 도어록은 기존의 기계식 도어록을 이용시 발생하는 열쇠 소지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과 제 3 자에 의한 열쇠 도난 및 복제에 따른 범죄 가능성과 같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어서 사용이 점점 증가되는 추세이다.Among them, digital door locks are increasingly used as they can overcome disadvantages such as the user's inconvenience caused by the possession of a key and the possibility of a crime caused by theft and duplication of the key by a third party when using the existing mechanical door lock.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키 입력부를 통한 비밀 번호 입력 방식, 마그네틱 띠를 입힌 마그네틱 카드 방식, RF(Radio Frequency) 카드 방식, IC(Intergrated Circuit) 카드 방식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도어에 형성되며 전기 신호에 의해 데드 볼트를 브래킷 쪽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브래킷으로부터 후퇴시키는 구동부와, 도어 개폐 명령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 및 구동부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작동 전원부 및 도어 프레임에 형성되며 데드 볼트가 본체로부터 인출되어 삽입되는 브래킷등을 포함한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digital door locks, such as a password input method through a key input unit, a magnetic card method with a magnetic strip, a radio frequency (RF) card method, and an integrated circuit (IC) card method. Typically, the digital door lock is formed on a door, and a driving unit that moves the dead bolt toward or retracts from the bracket by an electric signal,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a door open/close command, and su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and the driving unit It is formed on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and the door frame, and includes a bracket, etc. into which the dead bolt is drawn out and inserted from the main body.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전원부를 도시한다.1 shows an operation power supply of a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100)은,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102)에 일회용 건전지가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100)은 재충전이 안되는 일회용 건전지를 독립 전원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일회용 건전지 소모 시기에 맞춰서 주기적으로 교환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호텔, 여관, 사물함, 물건 보관함등에 장착되는 디지털 도어록은 사용 빈도가 높아 일회용 건전지를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 등 유지 관리비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회용 건전지는 환경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알칼리 전지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폐건전지의 회수를 위한 별도의 비용이 필요하다.In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100, referring to FIG. 1, a disposable battery is mainly used for the power supply unit 102. Since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100 uses a disposable battery that cannot be recharged as an independent power sourc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periodically replacing the disposable battery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time of the disposable battery. In particular, digital door locks installed in hotels, inns, lockers, storage boxes, etc. have a problem in that maintenance costs such as labor and maintenance costs increase because disposable batteries must be frequently replaced due to high frequency of use. In addition, since an alkaline battery that can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is used as a disposable battery, a separate cost is required for the recovery of the waste battery.

한편, 최근에는 디지털 도어록에 대한 원격 제어 기술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집(Home)에 방문자가 있을 경우, 집 주인이 디지털 도어록에 기 등록된 자신의 스마트 폰을 통해 원격으로 디지털 도어록의 잠금 설정을 해제하여 방문자가 집에 출입할 수 있도록 원격으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디지털 도어록에 지문 인식, 안면 인식 등의 생체 인식을 도입하여 사용자를 인식하는 기술도 소개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remote control technology for digital door locks is becoming more active. For example, if there is a visitor in the home, the owner of the house remotely unlocks the digital door lock through his/her smart phone registered in the digital door lock so that the visitor can enter the house remotely.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s being developed. On the other hand, technologies for recognizing users by introducing biometrics such as fingerprint recognition and facial recognition to digital door locks are also being introduced.

이러한 새로운 경향에 따라 디지털 도어록의 전원 용량의 증대가 요청되고 있다. 일회용 건전지는 전원 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전원부는 이러한 경향에 대응하도록 보다 많은 수의 건전지가 설치되는 제품도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새로운 경향에 대응하여 전원 용량 증가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According to this new trend, an increase in the power capacity of the digital door lock is required. Disposable batteries have a relatively small power capacity, and thus, products in which a larger number of batteries are installed to respond to this trend are also being introduced in the digital door lock operating power supply unit. Therefore, the digital door lock needs to solve the problem of increasing power capacity in response to a new trend.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492963호(2015년02월13일)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Patent No. 10-1492963 (February 13, 2015)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966600호(2019년04월05일)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Patent No. 10-1966600 (April 5, 2019)

본 발명은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이루어지는 제 1 배터리부 및 제 2 배터리부를 구비하며, 충전을 위하여 어느 하나의 배터리를 분리하거나, 배터리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디지털 도어록의 연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ttery unit and a second battery unit comprising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enables continuous use of a digital door lock even when any one battery is separated for charging or a battery replacement is require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또한,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용량의 증대 경향에 대응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responding to an increase in power supply capacity.

또한, 본 발명은 재충전이 불가능한 일회용 건전지의 사용에 따른 환경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capable of solving the environmental problem caused by the use of non-rechargeable disposable batterie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는 작동 전원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전원을 공급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이며, 재충전이 가능한 제 1 이차전지셀을 구비하며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전원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배터리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제 2 이차전지셀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배터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배터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배터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배터리부는 상기 제 1 배터리부와 분리되어 충전되며, 상기 제 2 배터리부는 상기 제 1 배터리부보다 충전 용량이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that supplies power to a digital door lock having an operation power supply, and has a rechargeabl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A second battery comprising a first battery unit connected to an operating power supply to supply power and a second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cell,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attery unit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battery unit And a part, wherein the second battery part is charged separately from the first battery part, and the second battery part is formed to have a larger charging capacity than the first battery part.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부와 제 2 배터리부는 사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 2 이차전지셀의 방전 전압이 점진적 또는 계단식으로 하강하거나, 상기 제 1 이차전지셀과 제 2 이차전지셀의 셀 전압을 감지하여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충전 알림 신호를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voltage of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gradually or stepwise decreases as the use time of the first battery part and the second battery part increases, or the cell voltage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and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nd generate a charging notification signal when charging is necessary.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부와 제 2 배터리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배터리부는 접속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attery part and the second battery part are located outside the digital door lock, and the first battery par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peration power supply of the digital door lock by a connection cable.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부와 제 2 배터리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battery part and the second battery part may be located inside the digital door lock.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배터리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배터리부와 제 2 배터리부는 접속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attery part may be located inside the digital door lock, the second battery part may be located outside the digital door lock, and the first battery part and the second battery part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on cable.

또한, 상기 제 2 배터리부와 상기 제 1 배터리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작동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attery unit and the first battery unit may be formed to selectively supply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또한, 상기 접속 케이블은 연성 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cable may be formed of a flexible cable.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부와 제 2 배터리부는 USB 단자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attery unit and the second battery unit may be connected through a USB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는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이루어지는 제 1 배터리부와 제 2 배터리부를 구비하므로 충전을 위하여 어느 하나의 배터리를 분리하거나, 배터리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디지털 도어록의 연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ttery part and a second battery part made of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so even when any one battery is separated for charging or a battery replacement is required, the digital door lock is continuously operated. You can make it possible to use it.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는 제 1 배터리와 제 2 배터리가 상대적으로 전원 용량이 큰 이차전지로 형성되므로 전원 공급 용량의 증대 경향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are formed of secondary batteries having a relatively large power capacity, the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spond to an increase in power supply capacity.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는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사용하므로 일회용 건전지의 사용에 따른 환경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device for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disposable batteries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의 작동 전원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스마트폰에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제어 형태와 지문 인식형 디지털 도어록의 사용예에 대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의 정면도와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 1 배터리부 및 제 2 배터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 2 회로기판의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와 디지털 도어록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와 디지털 도어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의 방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압 및 방전 회로의 동작 특성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와 디지털 도어록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와 디지털 도어록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ration power supply unit in a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2 is a photograph of a control type of a digital door lock by a smartphone and an example of using a fingerprint recognition type digital door lock.
3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battery unit and a second battery unit constituting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circuit board constituting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schematic circuit diagrams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and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nd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graph showing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graphs show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boosting and dis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nd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nd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의 정면도와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 1 배터리부 및 제 2 배터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 2 회로기판의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와 디지털 도어록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와 디지털 도어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3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battery unit and a second battery unit constituting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circuit board constituting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schematic circuit diagrams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and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nd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a)는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고, (b)는 제 2 배터리부(230)가 제 1 배터리부(2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가 디지털 도어록(100)과 별개로 형성되며, 디지털 도어록(100)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접속 케이블(250)을 포함할 수 있다. (A) of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re combined, and (b)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attery unit 210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Referring to FIG. 3, a battery device 200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ttery unit 210 and a second battery unit 230. In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re formed separately from the digital door lock 100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gital door lock 100. Can be used in combination. In this case,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may include a connection cable 250.

또한, 도 3과 함께 도 4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는 제 1 결속 수단(212c)과 제 2 결속 수단(232c)에 의해 기계적으로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는 기계적으로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4 and 6 to 9 along with FIG. 3,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nclude a first binding means 212c and a second binding means 232c. It can be mechanically bond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means of. In addition,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may be mechanically coup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 1 배터리부(210)는 제 1 이차전지셀(216)과 제 1 회로기판(2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배터리부(230)는 제 2 이차전지셀(236)과 제 2 회로 기판(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차전지셀(216)과 제 2 이차전지셀(236)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는 리튬 이차전지와 같은 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차전지셀(216)과 제 2 이차전지셀(236)은 충전되는 전원을 디지털 도어록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battery unit 210 may include a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and a first circuit board 222. In addition, the second battery unit 230 may include a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and a second circuit board 242.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and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may be formed of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formed of a battery such a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and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may supply charged power to a digital door lock.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가 결합되어 있을 때,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은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이차전지셀(23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충전된다.When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re combined,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is a second secondary battery unit of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t is charged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236.

한편, 상기 제 2 배터리부(230)는 제 1 배터리부(210)로부터 분리된 후에, 별도의 충전 장치(미도시)에 결합되어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 장치는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일 수 있다.Meanwhile, after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attery unit 210, it may be charged by being coupled to a separate charging device (not shown). For example, the charging device may be a charging device for a smartphone.

상기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이차전지셀(236)의 충전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의 충전 용량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은 제 2 배터리부(230)에 의하여 원활하게 충전할 수 있다.The charging capacity of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of the second battery unit 230 may preferably be greater than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Accordingly,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can be smoothly charged by the second battery unit 230.

상기 제 1 배터리부(210)는 제 1 충방전 단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충방전 단자(220)는, 도 6을 참조하면, 제 1 회로 기판(216)에서 "D11, D12"와 “C11, C12"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충방전 단자(220)는 USB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충방전 단자는 USB 메일(male) 단자 또는 USB 피메일(female)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충방전 단자(220)는 제 1 배터리부(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충방전 단자(220)는 제 1 배터리부(2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충방전 단자(220)는 스마트폰의 충전 단자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핀 단자 또는 C 타입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attery unit 210 may include a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The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may be indicated as “D11, D12” and “C11, C12” on the first circuit board 216,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 May be formed as a USB terminal The first charging/discharging terminal may be formed as a USB male terminal or a USB female terminal The first charging/discharging terminal 220 is a first battery It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part 210. In addition, the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battery part 210. In addition, the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 220) may be formed of a 5-pin terminal or a C-type terminal generally used for a charging terminal of a smartphone.

상기 접속 케이블(250)은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속 케이블은 일측이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의 내부에서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회로 기판(222)과 연결되고 타측이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 케이블(250)을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를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접속 케이블(250)은 일측이 제 1 배터리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케이블(250)은 연성 케이블 또는 연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케이블(250)은 단부에 악어 클립 혹은 모형 건전지 형태의 접속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케이블(250)은 디지털 도어록(100)의 홈 혹은 틈새를 통해 작동 전원부(102)에 접속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cable 250 may be formed to extend outside the battery device 200 for a digital door lock. More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connection cable is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222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inside the battery device 200 for digital door lock, and the other side is the battery device 200 for digital door lock. It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 of. Accordingly, the connection cable 2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with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That is, one side of the connection cable 2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other sid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The connection cable 25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cable or a flexible substrate. The connection cable 250 may have a connection terminal in the form of an alligator clip or a model battery at an end thereof. The connection cable 250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102 through a groove or a gap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상기 제 2 배터리부(230)는 제 2 충방전 단자(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충방전 단자(240)는, 도 6을 참조하면, 제 2 회로 기판(236)에서 "D21, D22"와 “C21, C22"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충방전 단자(240)는 USB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충방전 단자(240)는 USB 메일(male) 단자 또는 USB 피메일(female)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충방전 단자(220)는 제 1 충방전 단자(220)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충방전 단자가 USB 메일 단자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 2 충방전 단자(220)는 USB 피메일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충방전 단자(240)는 제 2 배터리부(23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충방전 단자(220)는 제 2 배터리부(2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충방전 단자(240)는 스마트폰의 충전 단자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핀 단자 또는 C 타입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attery unit 230 may include a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240. The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240 may be displayed as “D21, D22” and “C21, C22” on the second circuit board 236, 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240 ) May be formed as a USB terminal The second charging/discharging terminal 240 may be formed as a USB male terminal or a USB female terminal. It may be formed in a form coupled to the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For example, when the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is formed as a USB male terminal, the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is a USB female terminal The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240 may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battery unit 230. The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is outside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n addition, the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240 may be formed of a 5-pin terminal or a C-type terminal generally used for a charging terminal of a smartphone.

도 4의 (a)는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의 각각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nd FIG. 4B is a view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each.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배터리부(210)는 제 1 케이스(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212)는 제 1 케이스 본체(212a) 및 제 1 케이스 커버(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 본체(212a)는 제 1 이차전지셀(216)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수용 공간(21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스 커버(212b)는 제 1 케이스 본체(212a)를 커버하여 제 1 수용 공간(214)을 차폐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battery unit 210 may include a first case 212. The first case 212 may include a first case body 212a and a first case cover 212b. The first case body 212a may form a first accommodation space 214 for accommodating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The first case cover 212b may cover the first case body 212a to shield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214.

상기 제 1 케이스(212)는 제 1 이차전지셀(216)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수용 공간(214)이 형성된 제 1 케이스 본체(212a) 및 상기 제 1 케이스 본체(212a)를 커버하기 위한 제 1 케이스 커버(212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수용 공간(214)에는 제 1 이차전지셀(216)과 제 1 회로기판(222)이 수용된다. 상기 제 1 수용 공간(214)의 외측 상방으로 제 1 충방전 단자(220)가 설치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케이스(212)는 충전 알림 오디오 출력부 및 LED 잔량 표시부가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case 212 includes a first case body 212a in which a first accommodation space 214 for accommodating a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is formed, and a first case body 212a for covering the first case body 212a. Includes 1 case cover 212b. A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and a first circuit board 222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214. A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is installed above the out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214. Meanwhile,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first case 212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notification audio output unit and an LED remaining amount display unit.

상기 제 1 케이스(212)는 후면에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를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수단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접착제층, 자석 필름 또는 벨크로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수단은 제 1 케이스(212)의 후면에 소정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이 접착제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접착제층의 표면에는 접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를 도어에 부착시킬 때는 이형 필름을 제거한 후, 도어의 적당한 위치에 부착시키게 된다. The first case 212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battery device for digital door lock to the door at the rear side.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fixing means may be formed of an adhesive layer, a magnetic film, or a Velcro tape. The fixing means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ase 212. In addition, when the fixing means is formed of an adhesive layer, a release film for protecting the adhesive layer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In addition, when attaching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to the door, the release film is removed and then attached to a suitable position on the door.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배터리부(230)는 제 2 케이스(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케이스(232)는 제 2 케이스 본체(232a) 및 제 2 케이스 커버(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 본체(232a)는 제 2 이차전지셀(236)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수용 공간(23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케이스 커버(232b)는 제 2 케이스 본체(232a)를 커버하여 제 2 수용 공간(234)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 2 수용 공간(234)에는 제 2 이차전지셀(236)과 제 2 회로기판(242)이 수용된다. 상기 제 2 수용 공간(234)의 외측 하방으로 제 2 충방전 단자(240)가 설치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 2 케이스(232)는 충전 알림 오디오 출력부 및 LED 잔량 표시부가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battery unit 230 may include a second case 232. The second case 232 may include a second case body 232a and a second case cover 232b. The second case body 232a may form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234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The second case cover 232b may cover the second case body 232a to shiel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234. A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and a second circuit board 242 are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234. A second charging/discharging terminal 240 is installed below the out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234. Meanwhile,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second case 232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notification audio output unit and an LED remaining amount display unit.

상기 제 1 결속 수단(212c)과 제 2 결속 수단(232c)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케이스(212)와 제 2 케이스(232)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 홈과 삽입 돌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결속 수단(212c)과 제 2 결속 수단(232c)은 각각 제 1 케이스(212)의 일면과 제 2 케이스(232)의 타면에 형성되며,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가 접촉될 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결속 수단(212c)과 제 2 결속 수단(232c)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케이스(212)와 제 2 케이스(232)를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충전 단자(220)와 제 2 충전 단자(240)가 USB 단자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USB 단자의 결합력에 의하여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 1 결속 수단(212c)과 제 2 결속 수단(232c)은 생략될 수 있다. The first binding means 212c and the second binding means 232c,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insertion grooves and insertion protrusions respectively formed in the first case 212 and the second case 232 Can be. At this time, the first binding means 212c and the second binding means 232c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case 212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232, respectively. 2 When the battery unit 230 is in contact, they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However, the first binding means 212c and the second binding means 232c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capable of coupling the first case 212 and the second case 232. . Meanwhile, whe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220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240 are formed as USB terminals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re formed by the coupling force of the USB terminals. Can be combined. Therefore, in this case, the first binding means 212c and the second binding means 232c may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를 구성하는 제 1 회로 기판과 제 2 회로기판의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circuit board and a second circuit board constituting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회로기판(242)에는 제 2 이차전지셀(236)의 충전 제어를 위한 제 2 충전 회로부(242a), 제 2 이차전지셀(236)의 보호를 위한 제 2 보호 회로부(242b), 승압을 위한 제 2 승압 회로부(232c), 방전 제어를 위한 제 2 방전 회로부(242d)와 제 2 충전 여부 감지부(242e)를 포함하고, 제 2 충방전 단자(2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충전 여부 감지부(242e)는 제 2 이차전지셀(236)의 셀 전압(또는 방전 전압)을 감지하여 충전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충전 여부 감지부(242e)는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충전 신호를 생성하여 제 2 케이스(232)에 형성되는 충전 알림 오디오 출력부 및 LED 잔량 표시부에 전송할 수 있다.5, the second circuit board 242 includes a second charging circuit part 242a for controlling charging of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and a second charging circuit part 242a for protecting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A protection circuit part 242b, a second booster circuit part 232c for boosting, a second discharge circuit part 242d for discharging control, and a second charge detection part 242e, and a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24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second charging status detection unit 242e may determine whether charging is necessary by sensing a cell voltage (or a discharge voltage) of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When it is determined that charging is necessary, the second charging detection unit 242e may generate a charging signal and transmit a charging notification audio output unit and an LED remaining amount display unit formed in the second case 232.

상기 제 1 시그널 단자(S1, S2)는 제 1 충방전 단자(220)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충방전 단자(220)가 USB 단자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 1 시그널 단자(S1, S2)도 USB 단자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시그널 단자(S1, S2)는 제 1 충방전 단자(220)와 분리되어 별도의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ignal terminals S1 and S2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That is, when the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is formed as a USB terminal, the first signal terminals S1 and S2 may also be formed on the USB terminal. In addition, the first signal terminals S1 and S2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harging/discharging terminal 220 and formed as separate terminals.

한편, 상기 제 1 회로 기판(222)은, 도 5를 참조하면, 제 2 회로 기판(242)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회로 기판(222)은 제 1 충전 회로부(222a), 제 1 이차전지셀(216)의 보호를 위한 제 1 보호 회로부(222b), 승압을 위한 제 1 승압 회로부(222c), 방전 제어를 위한 제 1 방전 회로부(222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회로 기판(222)은 제 1 충전 여부 감지부(222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로 기판(222)은 제 1 충방전 단자(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충전 여부 감지부(222e)는 제 1 이차전지셀(216)의 셀 전압을 감지하여 충전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충전 여부 감지부(222e)는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충전 신호를 생성하여 제 1 케이스(212)에 형성되는 충전 알림 오디오 출력부 및 LED 잔량 표시부에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이차전지셀(216)은 제 2 이차전지셀(236)에서 공급되는 전압에 의하여 충전되므로 제 1 이차전지셀(216)의 충전 필요 여부보다는 제 2 이차전지셀(236)의 충전 필요 여부가 우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회로기판(222)은 제 1 충전 여부 감지부(222e)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회로 기판(22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을 제 2 회로기판(242)의 설명과 중복될 수 있어 생략한다. 단, 상기 제 1 회로기판(222)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스위칭부(222f) 또는 작동 다이오드(222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222f)는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가 결합되어 있을 때 제 1 충방전 단자(220)를 제 1 이차전지셀(216)의 방전 회로 또는 제 2 이차전지셀(236)의 방전 회로로 변경하여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배터리부(230)가 제 1 배터리부(210)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는 제 1 충방전 단자(220)는 제 1 이차전지셀(216)의 방전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circuit board 222 may be formed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ircuit board 242. That is, the first circuit board 222 includes a first charging circuit part 222a, a first protection circuit part 222b for protecting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a first boosting circuit part 222c for boosting, A first discharge circuit part 222d for discharge control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first circuit board 222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harging detection unit 222e. The first circuit board 2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The first charging detection unit 222e may determine whether charging is necessary by sensing a cell voltage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When it is determined that charging is necessary, the first charging detection unit 222e may generate a charging signal and transmit a charging notification audio output unit and an LED remaining amount display unit formed in the first case 212. However, since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is charged by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does not need to be charged. Whether or not charging is necessary may be prioritized. Accordingly, the first charging detection unit 222e may not be formed on the first circuit board 222.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irst circuit board 222 may be duplicat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circuit board 242 and will be omitted. However, the first circuit board 222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222f or an operation diode 222g shown in FIGS. 7 and 8. When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re coupled, the switching unit 222f connects the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to the discharge circuit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r the second It can be connected by changing to a discharge circuit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236. Meanwhile, when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attery unit 210, the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circuit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와 디지털 도어록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회로도이다.6 to 8 are schematic circuit diagrams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and 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은 접속 케이블(250)을 통하여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이차전지셀(236)은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의 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역할할 수 있다. 3 and 6,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through a connection cable 250 to supply power. Can supply. In addition,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of the second battery unit 230 may serve as a power source for charging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과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이차전지셀(236)은 스위치(222f)의 작용에 의해 선택적으로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이차전지셀(236)은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으로 역할하면서 동시에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에 대한 충전 전원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first battery part 210 and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of the second battery part 230 depend on the action of the switch 222f. As a result, i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to supply power. At this time,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of the second battery unit 230 serves as an operating power source for the digital door lock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is It can serve as a charging power source.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과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이차전지셀(236)은 작동 다이오드(222g)와 접속 케이블(250)을 통하여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이차전지셀(236)의 셀 전압이 작동 전원부의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제 2 이차전지셀(236)의 전원이 작동 전원부(102)로 공급되고, 제 2 이차전지셀(236)의 셀 전압이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작동 다이오드(222g)의 작용에 의해 제 1 이차전지셀(216)의 전원이 작동 전원부(10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다이오드(222g)는 쇼트키 다이오드일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first battery part 210 and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of the second battery part 230 a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diode 222g. It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through a cable 250. For example, when the cell voltage of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of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the power of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is supplied to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102, and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When the cell voltage of 236 falls below the set value, power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may be supplied to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102 by the action of the operation diode 222g. The operating diode 222g may be a Schottky diode.

상기 제 1 회로기판(222)은 제 1 이차전지셀(216)의 전압값을 디지털 도어록(100)에 제공할 수 있는 제 1 시그널 단자(S1, S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시그널 단자(S1, S2)는 접속 케이블(250)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속 케이블이 연성 케이블로 형성되는 경우에 연성 케이블에 별도의 회선과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시그널 단자(S1, S2)는 접속 케이블(250)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100)은 제 1 시그널 단자(S1, S2)를 통하여 제공되는 제 1 이차전지셀(216)의 셀 전압을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하여 내장된 음성부를 통하여 충전 필요 여부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도어록(100)은 제 1 시그널 단자(S1, S2)를 통하여 제공되는 제 2 이차전지셀(236)의 셀 전압을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하여 내장된 음성부를 통하여 충전 필요 여부를 알릴 수 있다.The first circuit board 222 may further include first signal terminals S1 and S2 capable of providing a voltage value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to the digital door lock 100. The first signal terminals S1 and S2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cable 250. That is, when the connection cable is formed as a flexible cable, it may be formed as a separate line and a terminal on the flexible cable. In addition, the first signal terminals S1 and S2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nection cable 250. The digital door lock 100 may detect the cell voltage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provided through the first signal terminals S1 and S2 through a sensing unit, and notify whether charging is necessary through a built-in voice unit. In addition, the digital door lock 100 can detect the cell voltage of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provided through the first signal terminals S1 and S2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notify whether charging is necessary through the built-in voice unit. have.

또한, 상기 제 1 회로기판(222)과 제 2 회로 기판(242)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시그널 단자(S1, S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시그널 단자(S1, S2)는 제 1 회로기판(222)과 제 2 회로 기판(242)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시그널 단자(S1, S2)는 제 1 충방전 단자(220)와 제 2 충방전 단자(240)에 각각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충방전 단자(220)와 제 2 충방전 단자(240)가 USB 단자, 5핀 단자 또는 C형 단자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 2 시그널 단자(S1, S2)는 USB 단자, 5핀 단자 또는 C형 단자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시그널 단자(S1, S2)는 제 1 충방전 단자(220)와 제 2 충방전 단자(240)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ircuit board 222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242 further include second signal terminals S1 and S2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referring to FIGS. 6 to 8. can do. That is, the second signal terminals S1 and S2 are formed on the first circuit board 222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242, respectively,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transmit/receive necessary signals. The second signal terminals S1 and S2 may be formed together on the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and the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240, respectively. For example, when the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and the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240 are formed of a USB terminal, a 5-pin terminal, or a C-type terminal, the second signal terminals S1 and S2 are USB terminals. , May be formed together on a 5-pin terminal or a C-type terminal. In addition, the second signal terminals S1 and S2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and the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240.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도어록(100)은 제 1 시그널 단자(S1, S2)를 통하여 제 1 배터리부(210) 또는 제 2 배터리부(230)의 충전이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내장된 음성부를 통하여 충전 신호 또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충전이 필요한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를 구성하는 리튬 이차전지는 이차전지셀에 추가로 보호, 승압 및 충방전 회로가 형성된 회로 모듈이 부가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로 모듈은 보호, 승압, 충방전 등 기능을 가진 IC와 추가적인 부품이 추가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IC에는 각각이 이차전지셀의 셀 전압을 측정하는 감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digital door lock 10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battery unit 210 or the second battery unit 230 needs to be charged through the first signal terminals S1 and S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a charging signal or a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built-in voice unit to indicate that charging is required.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stituting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s formed by adding a circuit module with protection, boosting, and charging/discharging circuits to the secondary battery cell. The circuit module may be formed by adding an IC having functions such as protection, boosting, charging and discharging, and additional components. Each of the ICs may be provided with a sensing unit that measures a cell voltage of a secondary battery cell.

상기 제 1 배터리부(210) 및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1 이차전지셀(216)과 제 2 이차전지셀(236)의 잔량에 따라 디지털 도어록 본체(104)의 음성부를 이용하여 배터리 교체 알림을 진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 1 배터리부(210) 및 제 2 배터리부(230)는 제 1 이차전지셀(216)과 제 2 이차전지셀(236)의 셀 전압을 각각 시그널 단자를 통해서 디지털 도어록(100)의 제어부(미도시)로 보내고 제어부 본체(104)에서 음성부를 통하여 충전 알림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기존의 도어록 음성출력을 이용하여 건전지 교체 알림을 하는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기존의 도어록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and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 battery using the voice part of the digital door lock body 104 is used. It can be formed to proceed with the replacement notification. In this case,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each receive the cell voltages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and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through a signal terminal. 100) by sending it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and controlling the control body 104 to output a charging notification signal through the voice unit. The system can be used.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device 200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디지털 도어록(100)에 인접하여 도어에 부착되며 접속 케이블(250)을 통하여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와 연결되면서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 또는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이차전지셀(236)로부터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의 전원을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제 1 배터리부(210)의 이상 작동 또는 방전과 같은 경우에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이차전지셀(236)의 전원을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에 공급할 수 있다. The battery device 200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door adjacent to the digital door lock 10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through a connection cable 250.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or the second battery unit 230. 2 The operation power is supplied from the secondary battery cell 236 to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Preferably,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may supply power from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to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In addition,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turns on the power of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of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n case of abnormal operation or dischar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100) can be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2.

또한, 상기 제 2 배터리부(230)는 제 1 배터리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이차전지셀(236)에 충전된 전원을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은 내장된 제 1 회로기판(222)의 작동에 의하여 제 1 충방전단자(2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제 2 이차전지셀(236)의 전원에 의해 제 1 이차전지셀(216)을 충전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power charged in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of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s supplied to the first battery unit ( It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210). The first battery unit 210 is a first secondary battery by power of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supplied through the first charging/discharging terminal 220 by the operation of the built-in first circuit board 222. The cell 216 is charg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와 디지털 도어록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의 접속 케이블(250)은 악어 클립에 의하여 디지털 도어록(100)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의 접속 케이블(250)은 모형 건전지 형태의 접속 단자에 의하여 디지털 도어록(100)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nd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 of FIG. 9, the connection cable 250 of the battery device 200 for the digital door lock may be fixed to and connected to the digital door lock 100 by an alligator clip.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9, the connection cable 250 of the battery device 200 for the digital door lock may be fixed to and connected to the digital door lock 100 by a connection terminal in the form of a model battery.

도 10은 종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의 방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의 (a)는 일회용 건전지의 방전 특성을 보이는 그래프이고, (b)는 이차 전지(리튬 이온 전지)의 방전 특성을 보이는 그래프이고, (c)는 이차전지의 승압 및 정전압에 의한 방전 특성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10 is a graph showing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a) of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 disposable battery, (b) is a graph showing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 secondary battery (lithium ion battery), and (c) is a voltage boosting and This is a graph showing discharge characteristics by constant voltage.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록은 장착된 배터리가 다 소모되어 정지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출입자가 출입할 수 없는 중대한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통상 디지털 도어록은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개폐될 때마다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여 배터리 잔량을 산정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배터리의 잔존 전압이 설정된 전압 이하로 하강되었을 때 음성부에서 멜로디와 같은 오디오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배터리 교체를 위한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general, digital door locks do not operate normally when the installed battery is exhausted and stop, resulting in a serious problem that no person can enter or exit.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measur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every time it is opened and closed to calculat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n addition, the digital door lock may generate a notification signal for battery replacement to a user by outputting audio such as a melody from an audio unit when the remaining voltage of the battery falls below a set voltage.

일반적인 디지털 도어록의 배터리 장치는 작동 전압이 6V이며, 1.5V 건전지 4개가 직렬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에서 사용되는 일회용 건전지의 사용 시간에 따른 방전 전압 그래프가 보여진다.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의 배터리 장치는 1.5V에서 시작하며 사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방전 전압이 점진적으로 하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의 배터리 장치는 4개의 배터리가 직렬로 연결되는 초기의 전압이 6V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하강한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이 개폐될 때마다 감지부에서 배터리의 방전 전압을 측정하게 되고 방전 전압이 설정전압 (통상 4.5V~5V)이 되면 음성부에서 교체 알림 신호(통상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다. The battery device of a general digital door lock has an operating voltage of 6V and can be formed by connecting four 1.5V batteries in series. Referring to FIG. 10A, a graph of a discharge voltage according to a usage time of a disposable battery used in a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is shown. The battery device of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starts at 1.5V and the discharge voltage gradually decreases as the usage time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in the battery device of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the initial voltage at which four batteries are connected in series starts at 6V and gradually decreases. Whenever the digital door lock is opened or closed, the sensing unit measures the discharge voltage of the battery, and when the discharge voltage reaches a set voltage (usually 4.5V to 5V), the voice unit may output a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usually a melody).

또한, 도 10의 (b)와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에서 사용되는 리튬 이차전지의 사용 시간에 따른 방전 전압 그래프와 교체 알림 시점에 대한 관계가 도시된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방전 전압과 사용 시간에 따른 하강 곡선이 일회용 건전지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방전 전압을 6V 범위로 조정하는 승압 회로를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리튬 이차전지의 방전 전압을 6V 범위로 계속 유지하다가 방전 전압이 정해진 전압이하로 떨어지면 충전 알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In addition, referring to (b) and (c) of FIG. 1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harge voltage graph according to the usage tim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used in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placement notification time point is shown. do. It can be seen that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differs from a disposable battery in a descending curve according to a discharge voltage and a use time.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requires a booster circuit that adjusts the discharge voltage to a 6V range in order to be used in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In addition,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needs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discharge voltag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the 6V range and generate a charging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discharge voltage falls below a predetermined voltage.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압 및 방전 회로의 동작 특성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리튬 이차전지의 셀 전압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방전 전압을 승압시키는 예를 보이는 것이고, 도 12는 설정된 예상 전압에 따라 계단식으로 방전 전압을 승압시키는 예를 보이는 것이다.11 and 12 are graphs show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boosting and discharg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example of boosting the discharge voltage at a constant rate according to the cell voltag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FIG. 12 shows an example of boosting the discharge voltage in a stepwise manner according to the set expected volt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도 11과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도면에서는 제 1 배터리로 기재) 방전 전압을 6V - 5V의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별도의 승압 회로를 이용하여 제 1 배터리부(210)에서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로 공급되는 전압을 6V - 5V의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100)은 4V가 작동 정지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보호 회로(222)와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보호 회로(242)는 제 1 및 제 2 승압 회로부(222c, 242c)를 이용하여 셀 전압을 일정 비율만큼만 승압시킬 수 있다.The battery device 200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1 and 12, includes a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a first battery in the drawing). Described as) The discharge voltage can be controlled in the range of 6V-5V.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can control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first battery unit 210 to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in a range of 6V-5V using a separate booster circuit. have. Here, 4V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may be set as an operation stop voltage.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rotection circuit 222 of the first battery part 210 and the second protection circuit 242 of the second battery part 230 are the first and second booster circuit parts 222c and 242c. The cell voltage can be boosted only by a certain ratio by using.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 및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이차전지셀(236)의 방전 전압이 일정 비율로 승압되도록 승압 회로를 구성할 경우,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 및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이차전지셀(236)의 방전 전압이 점진적으로 하강하며, 6V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하강한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의 사용 시간이 경과하여 셀 전압이 낮아져서 충전 전압에 다다르면 디지털 도어록(100)의 음성부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게 되어 충전 알림 멜로디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 시기를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기존의 일회용 건전지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셀 전압이 낮아지므로 기존의 디지털 도어록에도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configuring a booster circuit so that the discharge voltages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s 216 of the first battery part 210 and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s 236 of the second battery part 230 are boosted by a predetermined ratio, As the usage time elapses, the discharge voltage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of the second battery unit 230 gradually decreases, and at 6V. Start and descend gradually. Accordingly, when the cell voltage is lowered and the charging voltage reaches the charging voltage due to the elapse of the use time of the battery device 200 for the digital door lock, the voice unit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is controlled to operate, and a charging notification melody is output so that the user knows the charging timing. I can. In this case,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the existing digital door lock because the cell voltage is lowered in the same or similar to the existing disposable battery.

상기 제 1 및 제 2 승압 회로부(222c, 242c)는 이차전지셀의 방전 전압을 승압시키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이고 다양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booster circuit units 222c and 242c may be configured with general and various circuits used to boost the discharge voltage of the secondary battery cell.

상기 제 1 회로 기판(222)과 제 2 회로 기판(242)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ltage Detector IC를 추가하여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도면에서는 제 1 배터리 셀로 도시)의 셀 전압을 감지하고,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의 방전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에 다다르기 전의 예상 전압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이차전지셀(236)에 대하여도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회로 기판(222)과 제 2 회로 기판(242)은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 및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이차전지셀(236)의 방전 전압이 예상 전압에 다다르면 FET의 ON/OFF와 분배 저항에 의해 설정 전압에 대해 방전 전압이 계단식으로 하강하게 하도록 제 1 및 제 2 방전회로부(222d, 242d)를 구성할 수 있다. The first circuit board 222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242 are, as shown in Fig. 12 (a), by adding a Voltage Detector IC to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 216) (shown as a first battery cell in the drawing) is sensed, and an expected voltage before the discharge voltage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reaches the discharge end voltage can be set. have. Further,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of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n addition, the first circuit board 222 and the second circuit board 242 are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s 216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s of the second battery unit 230 ( When the discharge voltage of 236 reaches the expected voltage,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circuit units 222d and 242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scharge voltage decreases stepwise with respect to the set voltage by ON/OFF of the FET and the distribution resistance.

또한,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도 1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제 1 배터리부(210)의 방전시에 방전 전압이 계단형으로 감소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회로 기판(222)은,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ET와 분배 저항의 쌍을 다수개로 포함하고, 방전 전압이 방전 종지 전압에 다다르기 전에 다수의 예상 전압을 설정하고 설정된 예상 전압에 다다를 때마다 0.1~0.2V 단위의 다단 계단식으로 하강하게 하도록 제 1 및 제 2 방전 회로부(222d, 242d)를 구현할 수도 있다.따라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의 사용 시간이 경과하여 셀 전압이 낮아져서 충전 전압에 다다르면 디지털 도어록(100)의 음성부가 작동하도록 제어하게 되어 충전 알림 멜로디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 시기를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기존의 일회용 건전지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셀 전압이 낮아지므로 기존의 디지털 도어록에도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로 기판(222)의 이러한 구성은 제 2 회로 기판(24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may be preferably designed to decrease the discharge voltage in a stepwise manner when the first battery unit 210 is discharged, as shown in FIG. 12B. .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ircuit board 222 includes a plurality of pairs of FETs and distribution resistors, as shown in FIG. 12B, and before the discharge voltage reaches the discharge end voltage, a plurality of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ing circuit units 222d and 242d may be implemented to set the expected voltage of, and descend in a multi-step step of 0.1 to 0.2 V each time the set predicted voltage is reached. Accordingly,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When the cell voltage reaches the charging voltage due to the elapse of the use time of 200, the voice unit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is controlled to operate, and a charging notification melody is output, so that the user can know the charging timing. In this case,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the existing digital door lock because the cell voltage is lowered in the same or similar to the existing disposable battery. This configuration of the first circuit board 222 can be applied equally to the second circuit board 242.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방전 전압이 5V이하로 낮아지면 교체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제 1 배터리부(210)의 방전 전압이 5V이하로 낮아지면 제 2 배터리부(230)의 전압을 제 1 배터리부(210)로 공급하여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 셀(216)을 충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는 제 1 이차전지셀(216)과 제 2 이차전지셀(236)의 셀 전압을 감지하여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별도의 알림부를 통하여 충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는 별도의 충전 알림 오디오 출력부 또는 LED 잔량 표시부를 통하여 충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may generate a replacement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discharge voltage is lowered to 5V or less. Alternatively,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supplies the voltage of the second battery unit 230 to the first battery unit 210 when the discharge voltage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decreases to 5V or less.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unit 210 may be charge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detect the cell voltage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and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and when charging is required. A charging signal may be generated through a separate notification unit. In addition,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may generate a charging signal through a separate charging notification audio output unit or an LED remaining amount display unit.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디지털 도어록(100)의 동작 전원부(10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소스를 스위칭부(222f)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위칭부(222f)는 동작 전원부(10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 1 배터리부(210)가 단독으로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222f)는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배터리부(210)가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의 결합이 감지하면, 스위칭부(222f)는 제 2 충방전 단자(240)로 스위칭하여 제 2 배터리부(230)가 동작 전원부(10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배터리부(210)는 방전이 진행되면서 방전 전압이 충전이 필요한 충전 요구 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제 2 배터리부(230)가 작동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222f)는 제 2 배터리부(230)의 방전 전압이 저하되면 다시 제 1 배터리부(210)로 스위칭하여 제 1 배터리부(210)에서 작동 전원부(102)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may select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by the switching unit 222f. For example, the switching unit 222f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first battery unit 210 alone supplies power supplied to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102. In addition, the switching unit 222f may be controlled so that any one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selectively supplies power. For example, when the first battery unit 210 detects a combination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the switching unit 222f switches to the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240 Thus, the second battery unit 230 may supply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102. In this case, the first battery unit 210 may be switched so that the second battery unit 230 supplies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unit when the discharge voltage falls below the required charging voltage as the discharge proceeds. 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voltage of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s lowered, the switching unit 222f switches back to the first battery unit 210 to supply power from the first battery unit 210 to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102. I can. In this case,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상기 제 2 회로기판(242)의 충전 알림 회로부는 제 2 이차전지셀(236)의 방전 전압이 충전이 필요한 충전 요구 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충전 알림 오디오 출력부 및 LED 잔량 표시부를 통하여 충전 알림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 2 배터리부(230)가 제 1 배터리부(210)로부터 분리되면,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이차전지셀(216)에 의해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에 작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시그널 단자(S1, S2)를 통하여 제 1 이차전지셀(21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지털 도어록(100)은 자체적으로 충전이 필요한 상태인 여부를 판단하여 내장된 음성부를 통하여 충전이 필요한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배터리부(230)는 분리된 후에 별도의 충전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제 2 이차전지셀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터리부(230)와 제 1 배터리부(210)는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충방전 단자(240)와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충방전 단자(220)가 서로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harging notification circuit unit of the second circuit board 242 outputs a charging notification signal through the charging notification audio output unit and the LED remaining amount display unit when the discharge voltage of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36 falls below the required charging voltage for charging. It is done. When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attery unit 210,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is applied to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Can supply operating power. The digital door lock 100, which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through the first signal terminals S1 and S2, determines whether it is in a state that needs to be charged, and needs to be charged through the built-in voice unit. You can signal that it is in a state. Meanwhile, after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s separated, it is connected to a separate charging device (not shown) to charge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nd the first battery unit 210 include a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240 of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nd a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0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Is coupled to each other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가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를 포함하며,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가 서로 결합되면서 디지털 도어록(100)의 외부에서 디지털 도어록(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상기 제 1 배터리부(210)는 예비용 배터리로서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부(210)는 제 2 배터리부(230)가 충전을 위하여 분리되었을 때도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battery device 200 for a digital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ttery unit 210 and a second battery unit 230, and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re While being combined,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gital door lock 100 is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gital door lock 100 from the outside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has been described. Here, the first battery unit 210 is a spare battery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In addition, the first battery unit 210 may supply power to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even when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s separated for charging.

또한, 상기 제 2 배터리부(230)는 제 1 배터리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배터리부(210)의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배터리부(230)는 제 1 배터리부(210)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도어록(100)의 작동 전원부(102)에 작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attery unit 2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unit 21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charging the first battery unit 210. In addition, the second battery unit 230 may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operation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similarly to the first battery unit 210.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가 디지털 도어록(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가 모두 디지털 도어록(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 2 배터리부(230)가 디지털 도어록(100)의 내부에서 제 1 배터리부(210)로부터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하나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device 200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re located inside the digital door lock 100, referring to FIG. 13. have. More specifically, in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both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re located inside the digital door lock 10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attery unit 210 inside the digital door lock 100. In this case,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may be formed to form a single shape while being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는 도 3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의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와 구성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디지털 도어록(100)의 수용 공간에 수납될 수 있도록 외관에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100)은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re configured with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of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according to FIG. 3. It can be formed identically or similarly. However,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may be formed differently in appearance so that it can be accommodated in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To this end, the digital door lock 100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는 수용 공간에 함께 수용되며, 제 2 배터리부(230)는 필요한 경우에 제 1 배터리부(210)와 분리되면서 디지털 도어록(1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터리부(210)는 디지털 도어록(10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제 1 이차전지셀(216)의 교체 또는 제 1 배터리부의 고장과 같이 필요한 경우에만 디지털 도어록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의 제 1 충방전 단자(220)와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충방전 단자(240)는 각각 고정 접촉 단자와 탄성 접촉 단자로 형성되어 제 2 배터리부(230)가 제 1 배터리부(210)에 탄성적으로 접촉되고,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터리부는 제 1 배터리부(210)로부터 분리되어 별도의 충전 장치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The first battery part 210 and the second battery part 230 are accommodated together in an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econd battery part 23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battery part 210 when necessary, and the digital door lock 100 It may leak outside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is fixedly coupled to the digital door lock 100 and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by a digital door lock only when necessary, such as replacement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or a failure of the first battery unit. . The first charging and discharging terminals 220 of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charging and discharging terminals 240 of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re each formed of a fixed contact terminal and an elastic contact terminal, so that the second battery unit The 230 may be formed to be in elastic contact with the first battery part 210 and to be easily separated. The second battery unit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charged by a separate char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배터리부(210)가 디지털 도어록(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 2 배터리부(230)가 디지털 도어록(100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는 제 2 배터리부(230)가 디지털 도어록(100)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접속 케이블(250)에 의하여 제 1 배터리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배터리부(210)는 디지털 도어록(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배터리부(210)는 디지털 도어록(100)의 도어록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외관에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부(210)와 제 2 배터리부(230)는 도 3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200)의 제 1 배터리부(210) 및 제 2 배터리부(230)와 내부 구성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battery device 200 for a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4, the first battery unit 210 is located inside the digital door lock 10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s the digital door lock ( 1000) can be formed to be located outside.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may be formed so that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s located outside the digital door lock 1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battery unit 210 by a connection cable 250. have. In this case, the first battery unit 210 may be accommodated in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digital door lock 100. Accordingly, the first battery unit 210 may be formed differently in appearance to be accommodated in the door lock accommodation space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In addition,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are internally configured with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of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200 according to FIG. 3. These can be formed identically or similarly.

상기 제 1 배터리부(210)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제 2 배터리부(230)는 디지털 도어록(100)의 외부에 위치하며, 재충전과 같이 필요한 경우에 제 1 배터리부(210)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터리부(210)는 디지털 도어록(10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작동 이상 또는 제 1 이차전지셀(216)의 교체와 같이 필요한 경우에만 디지털 도어록(100)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attery unit 21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s located outside the digital door lock 100,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attery unit 210 when necessary, such as recharging. have. In addition, the first battery part 210 is fixedly coupled to the digital door lock 100, and is formed to be separated into the digital door lock 100 only when necessary, such as abnormal operation or replacement of th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16. I can.

상기 접속 케이블(250)은 상기에서 설명한 접속 케이블과 같이 연성 케이블 또는 연성 PCB 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케이블(250)은 단부에 USB 단자, 5핀 단자 또는 C 형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케이블(250)은 제 2 배터리부(230)의 제 2 충방전 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터리부(230)는 제 1 배터리부(210)로부터 분리되어 별도의 충전 장치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터리부(230)가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 2 배터리부(230)는 용량을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배터리부(230)는 별도의 고정 수단에 의하여 도어에 고정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cable 25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cable or a flexible PCB cable like the connection cable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connection cable 250 may have a USB terminal, a 5-pin terminal, or a C-type terminal formed at an end thereof. The connection cable 250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a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not shown) of the second battery unit 230. The second battery unit 230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attery unit 210 and charged by a separate charging device. When the second battery unit 230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battery unit 230 can easily increase the capacity. The second battery unit 230 may be fixed to the door by a separate fixing means.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in detail centering on the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merely illustrative, and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restrictive point of view.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not by the above description, but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디지털 도어록 102: 작동 전원부
104: 디지털 도어록 본체 106: 디지털 도어록 커버
200: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210: 제 1 배터리부 212: 제 1 케이스
212a: 제 1 케이스 본체 212b: 제 1 케이스 커버
212c: 제 1 결속 수단 214: 제 1 수용 공간
216: 제 1 이차전지셀 220: 제 1 충방전 단자
222: 제 1 회로 기판 222a: 제 1 충전 회로부
222b: 제 1 보호 회로부 222c: 제 1 승압 회로부
222d: 제 1 방전 회로부 222e:제 1 충전 여부 감지부
222f: 스위칭부 222g: 다이오드
230: 제 2 배터리부 232: 제 2 케이스
232a: 제 2 케이스 본체 232b: 제 2 케이스 커버
232c: 제 2 결속 수단 234: 제 2 수용 공간
236: 제 2 이차전지셀 240: 제 2 충방전 단자
242: 제 2 회로 기판 242a...제 2 충전 회로부
242b: 제 2 보호 회로부 242c: 제 2 승압 회로부
242d: 제 2 방전 회로부 242e: 제 2 충전 여부 감지부
250: 접속 케이블
100: digital door lock 102: operating power supply
104: digital door lock body 106: digital door lock cover
200: battery device for digital door lock
210: first battery unit 212: first case
212a: first case body 212b: first case cover
212c: first binding means 214: first accommodation space
216: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220: first charge/discharge terminal
222: first circuit board 222a: first charging circuit unit
222b: first protection circuit portion 222c: first booster circuit portion
222d: first discharge circuit unit 222e: first charge detection unit
222f: switching unit 222g: diode
230: second battery unit 232: second case
232a: second case body 232b: second case cover
232c: second binding means 234: second accommodation space
236: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240: second charge/discharge terminal
242: second circuit board 242a... second charging circuit part
242b: second protection circuit portion 242c: second booster circuit portion
242d: second discharge circuit unit 242e: second charging detection unit
250: connection cable

Claims (8)

작동 전원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전원을 공급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이며,
재충전이 가능한 제 1 이차전지셀을 구비하며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전원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배터리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제 2 이차전지셀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배터리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1 배터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배터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배터리부는 상기 제 1 배터리부와 분리되어 충전되며,
상기 제 2 배터리부는 상기 제 1 배터리부보다 충전 용량이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It is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that supplies power to a digital door lock having an operating power supply,
A first battery unit having a rechargeable first secondary battery cell and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of the digital door lock to supply power, and
It includes a second battery unit having a rechargeabl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battery unit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battery unit,
The second battery part is charged separately from the first battery part,
The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attery unit is formed to have a larger charging capacity than the first batter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부와 제 2 배터리부는 사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 2 이차전지셀의 방전 전압이 점진적 또는 계단식으로 하강하거나,
상기 제 1 이차전지셀과 제 2 이차전지셀의 셀 전압을 감지하여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충전 알림 신호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charge voltage of the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 gradually or stepwise decreases as the use tim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parts increases, or
A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generate a charging notification signal when charging is required by sensing cell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secondary battery cel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부와 제 2 배터리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배터리부는 접속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attery part and the second battery part are located outside the digital door lock, and the first battery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peration power supply of the digital door lock by a connection c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부와 제 2 배터리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wherein the first battery unit and the second battery unit are located inside the digital door lo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배터리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배터리부와 제 2 배터리부는 접속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attery part is located inside the digital door lock, the second battery part is located outside the digital door lock, and the first battery part and the second battery part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cable. For battery device.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터리부와 상기 제 1 배터리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작동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second battery unit and the first battery unit are formed to selectively supply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supply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은 연성 케이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The connection cable is a digital door lock batt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flexible cable.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부와 제 2 배터리부는 USB 단자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배터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battery device for a digital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attery part and the second battery part are connected through a USB terminal.
KR1020190133566A 2019-10-25 2019-10-25 Rechargeable Battery Device for digital doorlock KR1023787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566A KR102378777B1 (en) 2019-10-25 2019-10-25 Rechargeable Battery Device for digital door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566A KR102378777B1 (en) 2019-10-25 2019-10-25 Rechargeable Battery Device for digital door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354A true KR20210049354A (en) 2021-05-06
KR102378777B1 KR102378777B1 (en) 2022-04-04

Family

ID=7591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566A KR102378777B1 (en) 2019-10-25 2019-10-25 Rechargeable Battery Device for digital door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77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347U (en) * 2010-03-26 2010-09-28 주진수 Face recognition digital door lock
KR101492963B1 (en) 2013-06-17 2015-02-13 두알산업 주식회사 Ordinary power supply for digital door locking system
KR20160017672A (en) * 2014-07-31 2016-02-17 주식회사 지트론 Door lock charging system with energy saving function
KR20170034170A (en) * 2015-09-18 2017-03-28 한국과학기술원 Door lock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for door lock
KR101912615B1 (en) * 2017-04-20 2018-10-29 이정환 System for monitoring and protecting batteries
KR101966600B1 (en) 2018-11-02 2019-04-05 김길수 Digital door lock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347U (en) * 2010-03-26 2010-09-28 주진수 Face recognition digital door lock
KR101492963B1 (en) 2013-06-17 2015-02-13 두알산업 주식회사 Ordinary power supply for digital door locking system
KR20160017672A (en) * 2014-07-31 2016-02-17 주식회사 지트론 Door lock charging system with energy saving function
KR20170034170A (en) * 2015-09-18 2017-03-28 한국과학기술원 Door lock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for door lock
KR101912615B1 (en) * 2017-04-20 2018-10-29 이정환 System for monitoring and protecting batteries
KR101966600B1 (en) 2018-11-02 2019-04-05 김길수 Digital door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777B1 (en) 202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0951B2 (en) Contactless electronic access control system
CN101743676B (en) Charging device
US8482263B2 (en) Rapid transfer of stored energy
US8922333B1 (en) Contactless electronic access control system
US6172478B1 (en) Power distribution in a portable device
US10148106B2 (en) Power connector with load current sensing
US10559171B2 (en) Electronic system sharing power with doorbell and power-supply method thereof
US20090153236A1 (en) Power control circuit with low power consumption
US11804722B2 (en) Battery pack power supply system and battery pack power supply method
KR200402152Y1 (en) Apparatus for Supplying Digital Door Lock with Emergency Electric Power by Using Electric Power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38657B1 (en) Digital door lock for breaking standby power and method thereof
KR102378777B1 (en) Rechargeable Battery Device for digital doorlock
CN104993548A (en) Intelligent safe sounding mobile power supply
JP2006233622A (en) Power supply device of electronic lock provided in office furniture or the like
CN211319296U (en) Novel intelligent door lock
KR101551184B1 (en) Large capacity type battery case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WO2005122360A1 (en) Portable power supply
CN109386174A (en) Multifunctional lock and intelligent door
CN218783614U (en) Power supply system applied to electronic lock and electronic lock system
JPH118942A (en) Dc power source recognizer, and power switch of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CN219892228U (en)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CN215186028U (en) Electronic device
CN210724297U (en) Power supply system of intelligent door and intelligent door
CN220933524U (en) Electronic door lock
KR200384287Y1 (en) Digital Door Lock Having Device for Supplying Emergent Electric Power Source Using Mobile Phone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