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883A - a shampoo chair for an infant - Google Patents

a shampoo chair for an inf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883A
KR20210048883A KR1020190133119A KR20190133119A KR20210048883A KR 20210048883 A KR20210048883 A KR 20210048883A KR 1020190133119 A KR1020190133119 A KR 1020190133119A KR 20190133119 A KR20190133119 A KR 20190133119A KR 20210048883 A KR20210048883 A KR 20210048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infants
auxiliary
shampoo chai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7381B1 (en
Inventor
김형섭
Original Assignee
김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섭 filed Critical 김형섭
Priority to KR1020190133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381B1/en
Publication of KR20210048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8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3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6Children's chairs dismountable

Landscapes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mpoo chair for infants, and more specifically, to a shampoo chair for infants, which can be used as a general chair as well as allowing an infant to wash hair while sitting on the chair, and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s the height thereof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use. To achieve the purp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mpoo chair for infants comprises a leg part for supporting a lower part, and a seat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the leg part. A rotating shaft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a seat installation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g part. Rotation holes into which the rotating shaft is inserted are formed in both sides of the sheet. In the seat installation member, a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rotating shaft to protrude inward. In the sheet,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in an arc shape on an upper part of the rotation hole.

Description

유아용 샴푸 의자{a shampoo chair for an infant}Shampoo chair for an infant {a shampoo chair for an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샴푸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를 의자에 앉힌 상태로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평소에는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환경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유아용 샴푸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mpoo chair for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not only allows infants to wash their hair while seated in a chair, but also can be used as a general chair,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It relates to a baby shampoo chair that can be used.

어린아이가 스스로 목욕하고 머리감기까지는 어느 정도 성장했을 때부터 가능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1~7세 정도의 유아는 보호자가 목욕 및 샴푸를 해주게 되는데, 그 동안 이처럼 육아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목욕 및 샴푸를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왔다.Since children can bathe themselves and wash their hair to some extent, usually infants aged 1 to 7 years old are given bathing and shampooing. In the meantime, bathing and shampooing, which occupy a large part of parenting, are used. There have been many difficulties in doing it.

이에 따라 유아를 목욕시키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각종 목욕의자 등이 개발되어 왔다.Accordingly, various bath chairs and the lik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bathing infants have been developed.

그러나, 사실상 몸을 씻기는 목욕보다는 머리를 감기는 샴푸가 훨씬 힘이 들고 어려운 일이다.However, in fact, washing your body is a lot more difficult and difficult to wash your hair with a shampoo than a bath.

즉, 유아의 머리를 감기려고 할 때는, 아기를 손으로 안고 뒤로 눕힌 채 머리를 감겨야 했고, 좀 더 성장한 유아의 경우에는 쪼그려 앉아 머리를 숙이게 한 후 머리를 감기는게 일반적이었다.In other words, when trying to wash an infant's head, he had to wrap his/her head while holding the baby in his hand and lying on his back, and in the case of a more mature infant, it was common to sit down and curl his head before washing his/her head.

그러나, 두 손으로 안고 머리를 감기는 경우에는 한 손으로 유아를 안고 다른 한 손으로 머리를 감겨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이 들고 팔이 아프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유아의 목 등이 다치지 않도록 하고 비눗물 등이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신경을 써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holding the child with both hands and washing his head, it takes a lot of power and hurts his arm because he has to hug the infant with one hand and wrap his head with the other hand. In addition,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injury to the infant's neck and the like and to prevent soapy water from entering the eyes, there are disadvantages such as a lot of care.

또한, 쪼그려 앉힌 후 머리를 감기는 경우에는 유아의 눈에 비눗물이 들어갈 우려가 많고, 아이가 오랫동안 쪼그려 앉아 있게 되어 매우 불편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washing the head after squatting, there is a high risk of soapy water entering the eyes of the infant, and it is very uncomfortable because the child is squatted for a long time.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유아의 머리를 감기는 일은 유아나 머리를 감 겨주는 사람에게 모두 힘든 일이다.Due to this problem, washing the head of an infant is difficult for both infants and those who wash their hair.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4452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유아의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부(11)와 상기 목받침부(11)의 하부로 유아의 등이 안착되도록 신체 곡면에 따라 형성된 등안착부(12)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는 의자다리(30)로 이루어진 유아용 샴푸의자에 있어서, 유아의 키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에는 높이에 따라 소정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결합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4)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구비된 받침대(2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샤워기를 걸 수 있는 샤워기 걸이부(15)가 형성되고, 상기 등안착부(12)에는 다수의 돌기(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echnique describ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4452 as shown in Fig. 1 has been proposed, and the technical features are the neck support 11 and the neck that support the child's neck. A shampoo chair for infants consisting of a body 10 comprising a back seating portion 12 formed along a curved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infant's back can be seated under the support portion 11 and a chair leg 30 supporting the body 10 In the main body 10 to enable height adjustmen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fant,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4 having predetermined intervals according to the height are formed, and the coupling grooves 14 are inser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It includes a pedestal 20 provided with an additional, and a shower hanger 15 for hanging a shower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3 are formed on the back seat 12 It is characterized by that.

그런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4452호에 기재된 기술은 유아를 의자에 앉힌 상태로 머리를 감겨주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유아의 머리를 감겨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의자의 등받이가 뒤로 넘어간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샴푸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고, 의자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바닥에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감겨주어야 하므로 여전히 불편한 점이 있고, 일반적인 세면대와 같은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0374452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wind the infant's head by allowing the infant to wind the head while seated in a chair. Since it is fixed, it can be used only for shampoo, and since the height of the chair is formed low, there is still an inconvenience because the user has to wash his or her hair while lying on the floo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used in places such as a general sink.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74452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445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리부와 다리부의 상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시트부로 이루어져 필요시에 샴푸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유아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샴푸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eat portion provided to allow angle adjustment on the leg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portion,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hampoo chair when necessary, as well as when necessary. Accordingly, it is to provide a shampoo chair for infants that can be used as a general infant chair.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리부의 상부에 시트부가 설치되는 시트 설치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시트 설치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인 세면대와 같은 곳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샴푸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ampoo chair for infants that can be easily used in a place such as a general wash basin by providing a seat mounting member on which a seat par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g, and the height of the seat mounting member can be adjusted. It is to do.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problem is;

하부를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시트 설치부재의 내측에는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시트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onsists of a leg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and a sheet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portion, wherein a rotation shaft is formed protruding inside the sheet mount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portion, and the rotation shaft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she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jor is formed.

여기서, 상기 시트 설치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지지돌부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시트는 상기 회전공의 상부에 상기 지지돌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heet moun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to protrude inward, and the sheet is formed in an arc shape with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is inser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hole.

그리고, 상기 시트의 등받이 전면에는 보조 등받이가 더 구비되되, 상기 시트의 하면에는 상기 보조 등받이의 하부가 삽입되는 설치공이 상하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auxiliary backrest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backrest of the seat, and an installation hole in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ckrest is inserted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on a lower surface of the seat.

이때, 상기 보조 등받이의 후면에는 상기 등받이의 상단에 지지되는 지지턱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a support jaw supported on an upper end of the backrest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backrest.

한편, 상기 보조 등받이의 상단에는 머리 받침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머리 받침부재의 하면에는 고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등받이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headrest member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backrest, a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rest member, and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backrest. .

여기서, 상기 머리 받침부재의 양측에는 샴푸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물튐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splash prevention par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eadrest member to prevent splashing of water during shampooing.

그리고, 상기 시트의 전부에는 메인 받침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시트의 전부 양측에는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받침대의 후부 양측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ain pedestal is further provided on all of the sheet, and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eet, and coupling grooves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inserte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pedestal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protrudes rearwar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또한, 상기 다리부는 상부에 상기 시트 설치부재가 구비되는 메인 다리와, 상기 메인 다리의 후부 중심부에 연결되는 보조 다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leg is provided with the sheet mounting member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auxiliary leg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leg.

이때, 상기 메인 다리의 중심부에는 보조 다리 결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보조 다리 결합부의 후부에는 보조 다리의 상단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후부에는 보조 다리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회전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an auxiliary leg coupl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main leg, and a hinge portion is formed at a rear portion of the auxiliary leg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leg is hinged, and the auxiliary leg is not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t the rear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first rotation bump is formed.

한편, 상기 시트 설치부재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 다리의 상부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다리에는 일정 간격으로 제1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 설치부재에는 상기 제1조절공에 대응되도록 제2조절공이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시트 설치부재에는 제1조절공과 제2조절공에 삽입되는 조절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heet mounting member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to form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leg is inserted, the main leg is formed with a first adjustment hole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sheet mounting member has the first adjustment hole The second control hole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so as to correspond, and the seat moun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ontrol pin inserted into the first control hole and the second control hol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리부와 다리부의 상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시트부로 이루어져 필요시에 샴푸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유아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leg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leg part are composed of a seat part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angle, and can be used as a shampoo chair when necessary, as well 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as a general infant chair if necessary. have.

그리고, 본 발명은 다리부의 상부에 시트부가 설치되는 시트 설치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시트 설치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인 세면대와 같은 곳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at mounting memb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 seat mounting member can be adjusted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in a place such as a general sink.

도 1은 종래의 유아용 샴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의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의자의 시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의자의 메인 받침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의자의 보조 다리 결합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의자의 보조 다리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샴푸 의자의 시트 설치부재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aby shampoo chai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ant shampoo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fant shampoo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of the baby shampoo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ase of the shampoo chair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leg coupling portion of the shampoo chair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xiliary leg coupling portion of the shampoo chair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at mounting member of a shampoo chair for an inf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elements ar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number of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의자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의자의 시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의자의 메인 받침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의자의 보조 다리 결합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의자의 보조 다리 결합부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샴푸 의자의 시트 설치부재의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ampoo chair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hampoo chair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of the shampoo chair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edestal of the infant shampoo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leg coupling portion of the infant shampoo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xiliary leg coupling portion of the infant shampoo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at mounting member of the baby shampoo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유아용 샴푸 의자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하부를 지지하는 다리부(200)와 상기 다리부(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10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mpoo chair for infants, and as shown in FIGS. 2 to 7,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leg portion 200 supporting a lower portion and a seat 10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portion 200.

여기서, 상기 다리부(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시트 설치부재(220)의 내측에는 회전축(22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시트(100)의 양측에는 회전공(101)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22)이 삽입되어 시트(10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Here, a rotation shaft 222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sheet mounting member 22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part 200, and rotation holes 10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eet 100 to form the rotation shaft ( 222) is inserted so that the sheet 100 can be easily rotated.

이때, 상기 시트 설치부재(220)는 상기 회전축(222)의 상부에 지지돌부(224)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시트(100)는 상기 회전공(101)의 상부에 가이드홈(103)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홈(103)은 상기 회전공(101)을 기준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부(224)가 삽입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at mounting member 220 has a support protrusion 224 protruding inward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222, and the seat 100 has a guide groove 103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hole 101 There is formed, the guide groove 103 is formed in an arc shap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hole 101 and the support protrusion 224 is inserted.

그래서, 상기 회전축(222)을 기준으로 시트(100)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홈(103)에 삽입된 지지돌부(224)에 의해 시트(100)가 일정 각도로 뒤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시트(100)가 정상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So, the sheet 100 rotates based on the rotation shaft 222, and the sheet 100 remains rotated backward at a certain angle by the support protrusion 224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03, or The sheet 100 is maintained in a normal state.

따라서, 유아의 머리를 감기기 위해서는 상기 시트(100)를 후방으로 회전한 상태로 하여 머리를 용이하게 감기게 되고, 평상시에는 시트(100)를 정상상태로 유지하여 일반 유아용 시트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wind the infant's head, the head is easily wound by rotating the seat 100 backward, and the seat 100 can be maintained in a normal state to be used as a general infant seat.

이때, 상기 시트(100)는 각도 조절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유아의 신체조건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고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eat 100 may be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ing device (not shown) and may be fixed at an arbitrary angle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infant.

그리고, 상기 시트(100)는 버켓 형태로 형성되어 후부에는 등받이(102)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팔걸이(104)가 형성되는데, 상기 등받이(102)의 전면에는 보조 등받이(120)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eat 100 is formed in a bucket shape so that a backrest 102 is formed at the rear portion and armrests 104 are formed at both sides, and an auxiliary backrest 120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ckrest 102.

여기서, 상기 보조 등받이(12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시트(100)의 하면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설치공(106)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 등받이(120)의 하부가 삽입되며, 상기 보조 등받이(120)의 후면은 상기 등받이(102)의 전면과 밀착되게 된다.Here, the auxiliary backrest 1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n installation hole 106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100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ckrest 120 is inserted, and the auxiliary backrest ( The rear side of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ide of the backrest 102.

이때, 상기 보조 등받이(120)의 후면에는 지지턱(122)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102)의 상단에 지지되게 됨으로써, 보조 등받이(120)가 일정 이상 하부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등받이(102)의 전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At this time, at the rear of the auxiliary backrest 120, the support jaw 122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and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102, so that the auxiliary backrest 120 does not move downward for a certain amount or more. It will be firmly fixed to the front of (102).

한편, 상기 보조 등받이(120)의 상단에는 머리 받침부재(13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머리 받침부재(130)는 시트(100)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머리를 감겨줄 때, 유아의 머리를 받쳐주어 보다 용이하게 머리를 감겨줄 수 있게 된다.Meanwhile, a headrest member 130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backrest 120, and the headrest member 130 supports the infant's head when rotating the seat 100 to the rear to wind the head. So that you can wash your hair more easily.

여기서, 상기 머리 받침부재(130)의 하면 양측에는 고정돌부(132)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조 등받이(120)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돌부(132)가 삽입되는 고정홈(124)이 형성는데, 상기 고정돌부(132) 및 고정홈(124)는 한 쌍이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Here, fixing protrusions 132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rest member 130, and fixing grooves 124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s 132 are inserted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backrest 120. In the formation, the fixing protrusion 132 and the fixing groove 124 may be formed in a pair, or one or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32 and 124 may be formed.

이때, 상기 머리 받침부재(130)의 양측에는 물튐 방지부(134)가 형성되는데, 상기 물튐 방지부(134)는 유아의 머리를 감겨주는 과정에서 유아의 머리에 샤워기로 물을 분사하는 과정에서 물이 측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머리를 감겨주는 과정에서 비누 등이 튀어 사용자가 젖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a splash prevention part 13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eadrest member 130, and the splash prevention part 134 sprays water on the infant's head with a shower in the process of winding the infant's head. Not only does it prevent water from splashing to the side, but also prevents the user from getting wet due to splashing of soap or the like during the process of washing the hair.

한편, 상기 머리 받침부재(130)의 상면 일측에는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 목 받침부(136)이 돌출 형성되어 샴푸시에 유아가 머리를 뒤로 젖힐 때, 목을 지지하여 줌으로써, 보다 편안한 상태로 머리를 감길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rest member 130, a neck support part 136 for supporting the neck of the infant is protruded so that when the infant tilts the head back during shampooing, it supports the neck, thereby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state. You will be able to wash your hair.

그리고, 상기 시트(100)의 전부에는 메인 받침대(110)가 구비되는데, 상기 메인 받침대(110)는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유아가 밥을 먹거나 의자에 앉은 상태로 장난감 등을 가지고 놀때 시트(100)의 전부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there is a main pedestal 110 is provided on all of the seat 100, the main pedestal 110 is detachably provided so that when an infant eats rice or sits on a chair and plays with a toy, the seat 100 It will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ll of.

여기서, 상기 시트(100)의 전부 양측에는 바 형상의 결합돌부(108)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받침대(110)의 후부 양측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부(112)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112)의 내측에는 후부가 개방되도록 결합홈(114)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108)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Here, bar-shaped coupling protrusions 108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eet 100, and coupling portions 112 are formed to protrude rearward on both sides of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pedestal 110, and the coupling portion ( A coupling groove 114 is formed on the inside of 112) so that the rear portion thereof is opened,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108 is coupled in a sliding manner.

이때, 상기 시트(100)의 전단 하부에는 다리지지대(140)가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leg support 140 is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front end of the sheet 100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nd used as needed.

한편, 상기 다리부(200)는 상기 시트 설치부재(220)가 상부에 구비되는 메인 다리(210)와 상기 메인 다리(210)의 후부 중심부에 연결되는 보조 다리(230)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leg portion 200 includes a main leg 210 on which the sheet mounting member 220 is provided, and an auxiliary leg 230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leg 210.

여기서, 상기 메인 다리(210)의 중심부에는 보조 다리 결합부재(240)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보조 다리 결합부재(240)의 후부에 힌지부(242)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 다리(230)의 상단부가 힌지결합으로 연결되게 된다.Here, the auxiliary leg coupling member 240 is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ain leg 210, and a hinge portion 242 is form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auxiliary leg coupling member 240 to form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leg 230 Is connected by a hinged connection.

이때, 상기 보조 다리 결합부재(240)의 후부에 형성되는 힌지부(242)의 후부에는 제1회전방지턱(244)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 다리(230)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여 시트(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At this time, a first rotation bump 244 is formed at a rear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242 form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auxiliary leg coupling member 240 to support the auxiliary leg 230 so that it does not rotate more than a certain angle, so that the sheet ( 100) will be supported stably.

또한, 상기 보조 다리(230)의 상부 일측에는 제2회전방지턱(234)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 다리 결합부재(240)의 후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회전방지턱(244)과 함께 보조 다리(23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a second rotation bump 23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leg 230 to support the rear portion of the auxiliary leg coupling member 240 from the lower side, thereby assisting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on bump 244. It prevents the leg 230 from rotating more than a certain angle.

여기서, 상기 다리부(200)는 시트(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데, 한 쌍의 보조 다리(230)는 보강대(232)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되고, 상기 메인 다리(210)의 하부에는 발 받침대(214)가 구비되어 양측의 메인 다리(210)를 연결하여 줌으로써, 다리부(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시트(100)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Here, the leg portion 2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100, respectively, a pair of auxiliary legs 2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einforcing bar 232,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leg 210 The pedestal 214 is provided to connect the main legs 210 on both sides, so that the leg portion 200 can support the sheet 100 more stably.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설치부재(220)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관통공(225)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 다리(210)의 상부가 삽입되며, 상기 시트 실치부재(220)는 상기 메인 다리(21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225 is formed in the sheet mounting member 220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leg 210 is inserted, and the sheet mounting member 220 The member 220 is slidable vertically along the main leg 210.

여기서, 상기 메인 다리(2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제1조절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 설치부재(220)에는 상기 제1조절공(212)에 대응되도록 제2조절공(226)이 상기 관통공(225)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Here, a first adjustment hole 212 is formed in the main leg 21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second adjustment hole 212 corresponds to the first adjustment hole 212 in the sheet mounting member 220. (226)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225).

이때, 상기 시트 설치부재(220)에는 조절핀(227)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1조절공(212)과 제2조절공(226)이 연통되도록 시트 설치부재(22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조절핀(227)을 제1,2조절공(212,226)에 삽입하여 시트 설치부재(22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at installation member 220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pin 227, after positioning the seat installation member 220 so that the first adjustment hole 212 and the second adjustment hole 226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The height of the seat mounting member 220 is adjusted by inserting the adjusting pin 227 into the first and second adjusting holes 212 and 226.

따라서, 사용하는 사용자의 키나 샤워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시트 조절부재(2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유아의 머리를 감길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seat adjustment member 22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user or the position of the shower, so that the infant's head can be wound more easily.

물론, 일반 의자로 사용할 경우에도 유아의 키에 따라 적절하게 시트(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even when used as a general chair, the height of the seat 10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infa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ose that ar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본 발명은 유아용 샴푸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를 의자에 앉힌 상태로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평소에는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환경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유아용 샴푸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mpoo chair for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not only allows infants to wash their hair while seated in a chair, but also can be used as a general chair,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It relates to a baby shampoo chair that can be used.

100 : 시트 110 : 메인 받침대
120 : 보조 등받이 130 : 머리 받침부재
200 : 다리부 210 : 메인 다리
220 : 시트 설치부재 230 : 보조 다리
240 : 보조 다리 결합부재
100: sheet 110: main base
120: auxiliary backrest 130: headrest member
200: leg 210: main leg
220: seat mounting member 230: auxiliary leg
240: auxiliary leg coupling member

Claims (10)

하부를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 의자.
A leg to support the lower part,
Shampoo chair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hee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시트 설치부재의 내측에는 회전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시트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A rotating shaft protrudes inside the seat mount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g,
Shampoo chair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ry ho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 is inserted into the rotary shaf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설치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상부에 지지돌부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시트는 상기 회전공의 상부에 상기 지지돌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 의자.
The method of claim 2,
The sheet installation member has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inwardly on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The seat shampoo chair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i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in an arc shape above the rotation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등받이 전면에는 보조 등받이가 더 구비되되,
상기 시트의 하면에는 상기 보조 등받이의 하부가 삽입되는 설치공이 상하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An auxiliary backrest is further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backrest of the seat,
A shampoo chair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is formed so that an installation hole into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ckrest is inserted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up and dow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등받이의 후면에는 상기 등받이의 상단에 지지되는 지지턱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 의자.
The method of claim 4,
A shampoo chair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jaw supported on an upper end of the backrest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on a rear surface of the auxiliary backres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등받이의 상단에는 머리 받침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머리 받침부재의 하면에는 고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등받이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 의자.
The method of claim 4,
A headrest member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backrest,
A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rest member,
A shampoo chair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backres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전부에는 메인 받침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시트의 전부 양측에는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받침대의 후부 양측에는 상기 결합돌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결합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 의자.
The method of claim 3,
All of the sheets are further provided with a main pedestal,
Engag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all both sides of the sheet,
The shampoo chair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s in which the coupling grooves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inserted are formed are formed to protrude rearward on both sides of the rear portion of the main pedest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부에 상기 시트 설치부재가 구비되는 메인 다리와,
상기 메인 다리의 후부 중심부에 연결되는 보조 다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 의자.
The method of claim 3,
The leg portion is a main leg on which the sheet mounting member is provided,
Shampoo chair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auxiliary leg connected to the rear center of the main le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다리의 중심부에는 보조 다리 결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보조 다리 결합부의 후부에는 보조 다리의 상단이 힌지결합되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후부에는 보조 다리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회전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 의자.
The method of claim 8,
An auxiliary leg coupl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main leg,
A hinge portion is form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auxiliary leg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leg is hinged,
A shampoo chair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rotation bump is formed at a rear portion of the hinge part so that the auxiliary leg does not rotate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설치부재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 다리의 상부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다리에는 일정 간격으로 제1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 설치부재에는 상기 제1조절공에 대응되도록 제2조절공이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시트 설치부재에는 제1조절공과 제2조절공에 삽입되는 조절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 의자.
The method of claim 3,
The sheet mounting member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to form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leg is inserted,
A first adjustment hole is formed in the main leg at regular intervals,
The sheet mounting member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second control hole corresponds to the first control hole,
Shampoo chair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 moun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pin inserted into the first adjustment hole and the second adjustment hole.
KR1020190133119A 2019-10-24 2019-10-24 a shampoo chair for an infant KR1023073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119A KR102307381B1 (en) 2019-10-24 2019-10-24 a shampoo chair for an inf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119A KR102307381B1 (en) 2019-10-24 2019-10-24 a shampoo chair for an inf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883A true KR20210048883A (en) 2021-05-04
KR102307381B1 KR102307381B1 (en) 2021-09-30

Family

ID=7591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119A KR102307381B1 (en) 2019-10-24 2019-10-24 a shampoo chair for an inf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381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452Y1 (en) 2004-11-12 2005-01-28 안재철 Shampoo chair for infant
US20110062753A1 (en) * 2009-09-11 2011-03-17 Brook Kennedy Child chair
KR20110005913U (en) * 2009-12-08 2011-06-15 김경식 Hair Shampooing Chair with Toilet Bowl for Infant
CN202283142U (en) * 2011-09-29 2012-06-27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High dining chair
KR101479647B1 (en) * 2013-07-05 2015-01-09 김채연 Baby chair for dining table
US20170311733A1 (en) * 2016-04-29 2017-11-02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high chair
US20190231087A1 (en) * 2018-01-26 2019-08-01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nvertible child high-chair and step stool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452Y1 (en) 2004-11-12 2005-01-28 안재철 Shampoo chair for infant
US20110062753A1 (en) * 2009-09-11 2011-03-17 Brook Kennedy Child chair
KR20110005913U (en) * 2009-12-08 2011-06-15 김경식 Hair Shampooing Chair with Toilet Bowl for Infant
CN202283142U (en) * 2011-09-29 2012-06-27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High dining chair
KR101479647B1 (en) * 2013-07-05 2015-01-09 김채연 Baby chair for dining table
US20170311733A1 (en) * 2016-04-29 2017-11-02 Wonderland Switzerland Ag Child high chair
US20190231087A1 (en) * 2018-01-26 2019-08-01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nvertible child high-chair and step s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381B1 (en)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7761B2 (en) Infant bidet
KR101098725B1 (en)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moving type
US20140359932A1 (en) Inclined child bath support
US6318804B1 (en) Child's hair shampooing chair
KR102316711B1 (en) Baby bathtub
KR200462149Y1 (en) Hair Shampooing Chair with Toilet Bowl for Infant
KR20210048883A (en) a shampoo chair for an infant
KR200374452Y1 (en) Shampoo chair for infant
JP3670352B2 (en) Bath chair
KR200399680Y1 (en) Chair for hot half bath having fixing structure with body weight
JP6161976B2 (en) Toilet seat and portable toilet equipped with the toilet seat
JP6198487B2 (en) Toilet seat and portable toilet equipped with the toilet seat
KR20180124255A (en) Shampoo chair for bath
KR200314467Y1 (en) Bathing Table for Children
KR20060020530A (en) A shampoo chair
KR20110009274U (en) Multipurpose bath for infant
KR102177659B1 (en) shampoo headrest
KR20110040398A (en) Chair of multiple for children
KR200226562Y1 (en) Chair for Hair-Wash
KR20100004594A (en) Bath appliance
KR20040077999A (en) Bathing Table for Children
KR200320382Y1 (en) Bowel Evacuator Having Multi-use for Children
KR200314498Y1 (en) Bathing Table for Feeble person
KR20200108741A (en) an infant bath
KR20230019699A (en) Washing auxiliary device for chi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