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022A - 아기 침대 - Google Patents

아기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022A
KR20210047022A KR1020190130555A KR20190130555A KR20210047022A KR 20210047022 A KR20210047022 A KR 20210047022A KR 1020190130555 A KR1020190130555 A KR 1020190130555A KR 20190130555 A KR20190130555 A KR 20190130555A KR 20210047022 A KR20210047022 A KR 20210047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mattress
crib
module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자희
김형기
원효진
유태우
최여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0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7022A/ko
Publication of KR2021004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3Lighting, radio, telephon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는, 아기가 놓이는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침대 본체; 상기 매트리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매트이동모듈; 상기 매트리스에 있는 아기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아기의 수면 여부를 판단하고, 아기의 수면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매트이동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기 침대{BABY BED}
본 발명은 아기 침대에 관한 것이다.
아기 침대는 아이가 누워서 잠을 자거나 쉬는 기구이다.
아기는 언어능력, 인지능력이 낮아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기에 보호자가 고도의 관심을 가지고 아기를 보살펴야 한다. 아이를 보살피는 과정에서 보호자는 고도의 관심을 가지고 아기를 보살펴야 하기에 피로를 느낀다.
또한, 아기는 자신의 상태를 표현하는 것이 미숙하기에 발열, 오한 등이 발생되어도 표현을 제대로 하지 못해 아기의 건강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아기는 소화능력이 낮아 주변 환경에 의해 아기가 먹은 모유나 분유 등을 역류하여 아기의 건강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최근에는 아기와 보호자의 편의 및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는 아기 침대가 개발되는 추세이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2776(공개일:2019년06월26일)에는 아기자세보정용 스마트 모션 제어형 아기 침대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에는 아이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면서 모션인식 후, 침대 바닥 패널의 제어를 통해 아이가 천장을 보고 바로 누운 정자세, 또는 측면을 바라보고 옆으로 자는 측면자세로 위치를 보정시키는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아기 침대의 경우, 아기의 수면을 유도하기 위한 기능이 제공되지 않아 아기를 재우기 위해서는 많은 노고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아기의 위급상황 발생 시, 보호자가 이를 신속히 확인할 수 없어서 초기대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공개번호 (공개일자) : 10-2019-0072776 (2019년06월2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기의 수면을 돕는 수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아기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기가 잠에서 깨는 경우 아기를 달랠 수 있는 아기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기의 위급상황 발생 시 초기에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는 아기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아기의 수면 여부를 판단하고, 아기의 수면 여부에 기초하여 매트이동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누워있는 아기에게 다양한 모션을 제공할 수 있고, 아기의 수면을 돕는 수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기 침대는 상기 침대 본체에 있는 아기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아기의 수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는 광 섬유 자기센서, 마이크로폰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및 무게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아기가 잠이 들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시각이 설정된 수면시각에 도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시각이 설정된 수면시각에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트리스에 대한 스윙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스윙모드는, 상기 매트리스를 일정시간 동안 왕복운동 또는 진자운동하도록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매트이동모듈은, 상기 매트리스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모듈 및 상기 매트리스를 양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진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윙모드는, 상기 승강 모듈 및 상기 진동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매트리스를 일정시간 동안 왕복운동 또는 진자운동하도록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현재시각이 설정된 수면시각에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트리스에 대한 제 1 스윙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 1 스윙모드가 완료되면, 아기가 수면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윙모드가 완료된 후, 아기가 잠이 들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트리스에 대한 제 2 스윙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스윙모드는, 상기 제 1 스윙모드에 비하여 상기 매트리스의 진동세기, 진동시간 및 이동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증가된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스윙모드가 완료된 후, 아기의 수면 상태를 판단하고, 아기가 잠이 들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트리스의 스윙모드는 중지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의 스윙모드를 중지하는 이유는, 아기를 재우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스윙모드를 수행할 경우, 아기가 멀미를 하거나 구토를 하는 등 건강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윙모드가 일정 시간 또는 일정 횟수 수행된 이후에는, 스윙모드 동작을 중지하고, 아기의 비수면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아기가 잠이 든 것으로 판단되면,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아기가 잠에서 깬 지 여부를 판단하고, 아기가 잠에서 깬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트리스에 대한 스윙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아기가 잠에서 깨더라도 아기를 달래고 아기가 다시 잠에 들도록 도울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기 침대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아기의 호흡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아기의 호흡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매트이동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아기의 호흡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트리스에 대한 스윙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아기의 호흡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아기가 침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아기가 침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트리스에 대한 스윙모드를 수행하고, 아기가 침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아기가 침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유는, 아기의 호흡이 감지되지 않은 이유가 아기가 침대에서 떨어진 경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아기가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호흡이 미감지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간 동안 아기의 상태가 변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시간 동안 아기의 상태가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 장치로 구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아기의 위급상황 발생 시 초기에 대응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아기가 자야할 시간에 매트리스가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반복 이동될 수 있으므로, 아기의 수면을 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아기가 잠에 들 경우 아기의 상태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아기의 수면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아기가 잠에서 깰 경우 즉시 아기를 달랠 수 있고, 아기의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아기의 호흡이 미감지된 경우 자가호흡을 위한 매트리스의 스윙이 이루어지므로, 아기의 위급상황 발생 시 초기 대응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아기 침대에서 필터 커버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B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기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기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 아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아기 침대에서 필터 커버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1)는 몸체를 구성하는 상부 바디(도 5의 10 참조)와 하부 바디(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0)와 상기 하부 바디(2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기 침대(1)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일면이 개구되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0) 및 상기 하부 바디(20)는 내측에 아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0)는 아기가 수용되는 공간의 측면을 정의하고, 상기 하부 바디(20)는 아기가 수용되는 공간의 저면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아기 침대(1)의 내측에는 매트리스(4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47)에 아기가 누워있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매트리스(47)는 상기 상부 바디(10)와 상기 하부 바디(20) 사이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0)는 상기 매트리스(47)에 누워있는 아기의 측방에 위치하여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는 상기 매트리스(47)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매트리스(47)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47)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누워있는 아기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0)는 상부 바디 커버(1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는 직물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는 다공부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가 직물 재질로 구성될 경우에 에어 모듈(도 6의 30 참조)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는 상기 상부 바디(10)로부터 분리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를 상기 상부 바디(10)로부터 분리하여 세척 후 다시 상기 상부 바디(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는 지지대 고정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고정부(203)에는 바닥 지지대(2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고정부(203)는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고정부(203)는 상기 하부 바디(2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고정부(203)에 상기 바닥 지지대(22)가 장착되면, 상기 하부 바디(20)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고정부(203)에서 상기 바닥 지지대(22)를 탈착하면, 상기 지지대 고정부(203)가 바닥면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고정부(203)는 상기 바닥 지지대(22)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삽입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 고정부(203)는 상기 하부 바디(20)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기에 흡입구(261)를 통해 원활하게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의 일측에는 조작부(도 6의 209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09)는 상기 아기 침대(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09)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아기 침대(1)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아기 침대(1)는 감지 모듈(50) 및 모듈 지지대(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모듈(50)은 상기 상부 바디(1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모듈(50)은 상기 매트리스(47)에 누워있는 아기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모듈(50)은 아기에 대한 이미지 정보, 음향 정보, 온도 정보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모듈(50)은 이미지 정보, 음향 정보, 온도 정보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더 감지할 수 있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모듈(50)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단말기 등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지지대(52)는 상기 감지 모듈(50)과 상기 하부 바디(2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에는 상기 모듈 지지대(52)가 설치되는 지지대 설치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지지대(52)는 제1연장부(521)와 제2연장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521)는 상기 하부 바디(2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521)는 상기 하부 바디(2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연장부(521)는 상기 하부 바디(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522)는 상기 제1연장부(521)와 상기 감지 모듈(5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522)는 상기 제1연장부(52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연장부(522)는 상기 제1연장부(52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 모듈(50)은 상기 제1연장부(521) 및 상기 제2연장부(522)에 의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연장부(522)는 상기 감지 모듈(5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듈 지지대(52)는 제1연장부(521)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모듈(50)은 센싱 모듈(50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 모듈(501)은 아기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감지 및 아기에 대한 음향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싱 모듈(501)을 통해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아기 침대(1)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감지 모듈(50)은 광원 모듈(5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 모듈(502)은 상기 매트리스(47)에 누워있는 아기에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 모듈(502)은 아기의 시력 보호를 위해 무드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원 모듈(502)은 아기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광원 모듈(502)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어두운 공간에서 아기에 대한 이미지 정보가 원활하게 감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 모듈(502)은 상기 감지 모듈(5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감지 모듈(50)의 배면은 상기 센싱 모듈(501)이 설치된 전면의 배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광원 모듈(502)에서 광이 조사되면 천장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 모듈(502)는 무드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 바디(20)에는 필터(2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에는 상기 필터(24)가 설치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에 형성되는 개구는 필터 설치홈(201)이라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설치홈(201)은 상기 하부 바디(2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24)는 상기 필터 설치홈(20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에는 필터 커버(2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26)는 상기 하부 바디(20)에 설치된 필터(24)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의 저면에는 상기 필터 커버(26)가 장착되기 위한 커버 삽입홈(20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삽입홈(205)은 상기 하부 바디(20)의 저면이 상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필터 커버(26)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설치홈(201)은 상기 커버 삽입홈(205)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설치홈(201)은 상기 커버 삽입홈(205)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설치홈(201)에는 통기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설치홈(201)에 상기 필터(24)가 설치되면, 상기 필터(24)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통기구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설치홈(201)은 가이드 삽입홈(2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삽입홈(206)은 상기 필터 커버(26)의 삽입 가이드(263)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가이드(263)는 상기 필터 커버(26)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가이드(263)는 상기 필터 커버(26)를 상기 필터 설치홈(201)에 설치 시 상기 필터 커버(26)의 장착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삽입 가이드(263) 및 상기 가이드 삽입홈(206)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 및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26)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흡입구(2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61)는 다수의 개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6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24)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24)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통기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입구(261)는 상기 필터 커버(26)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26)는 손잡이(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62)는 상기 필터 커버(26)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262)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 바디(20)로부터 상기 필터 커버(26)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62)가 개구되어 형성되기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아기 침대(1)의 구성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기 침대(1)는 상부 바디(10)와 하부 바디(20)의 결합에 의해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0)는 상부 바디 커버(1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는 상기 상부 바디(10)를 감싸서 상기 상부 바디(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는 직물 재질로 구성되거나, 다공부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에 제공되는 다공부를 제1다공부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에 제공되는 다공부는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의 일부가 개구되어 다수로 형성되거나,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는 상기 상부 바디(10)를 감싸서 상기 상부 바디(10)와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의 사이에 공기 유동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동 공간의 일측은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가 위치하고, 상기 공기 유동 공간의 타측은 상기 상부 바디(1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동 공간은 에어 모듈(30)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0)는 다공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0)에 제공되는 다공부를 제2다공부라 칭할 수 있다. 상기 다공부(101)는 상기 상부 바디(10)의 일부가 개구되는 다수의 개구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공부(101)는 상기 공기 유동 공간을 통과한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토출되는 통로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기 유동 공간을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에 제공되는 제1다공부를 통해 상기 아기 침대(1)의 내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동 공간을 통과한 공기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상부 바디(10)에 제공되는 제2다공부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에는 탈부착 가능하게 바닥 지지대(2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는 상기 바닥 지지대(22)가 장착되기 위한 지지대 고정부(20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는 상기 상부 바디(10)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바디(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와 상기 상부 바디(1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에는 필터(24)와 상기 필터(24)를 커버하는 필터 커버(2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24) 및 상기 필터 커버(26)는 상기 하부 바디(20)의 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커버(26)에는 다수의 흡입구(2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6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필터(24)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필터(24)가 설치되는 필터 설치부(201)에는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기에 상기 필터(24)에 의해 여과된 공기는 상기 통기구를 통과해서 에어 모듈(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아기 침대(1)는 에어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의 내측에는 상기 에어 모듈(3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모듈(30)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모듈(30)은 팬(31)과, 팬 모터와, 팬 하우징(35)과 에어 덕트(3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모듈(30)은 상기 하부 바디(2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31)은 상기 팬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35)은 상기 팬(31)과 상기 팬 모터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35)의 내측에 상기 팬(31)과 상기 팬 모터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35)은 상기 하부 바디(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35)은 상기 통기구와 연통되며, 상기 통기구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35)과 상기 하부 바디(20) 사이에 상기 팬(31)과 상기 팬 모터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35)을 상기 하부 바디(20)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팬(31) 및 상기 팬 모터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351)는 상기 팬 하우징(35)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351)는 상기 팬 하우징(35)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351)는 상기 팬 하우징(35)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351)의 일부는 상기 팬 하우징(35)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팬 하우징(35)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에어 덕트(351)의 다른 일부는 상기 상부 바디(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 하우징(35)으로 유입되고, 상기 팬 하우징(35)과 연통된 에어 덕트(351)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모듈(30)은 여과된 공기의 온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 조절부는 열 교환기, 열전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팬 하우징(35), 상기 에어 덕트(351)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0)와 상기 하부 바디(20)의 사이에는 중간 바디(4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바디(40)는 상기 하부 바디(2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10)와 상기 하부 바디(20)가 결합되면, 상기 중간 바디(40)는 상기 상부 바디(10)와 상기 하부 바디(20)의 내측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중간 바디(40)는 상기 하부 바디(2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바디(40)가 끼움 결합된 하부 바디(20)의 상부에 상기 상부 바디(1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바디(40)는 내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바디(40)의 개구된 내측에 상기 에어 모듈(3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바디(40)의 개구된 내측에 이동 모듈(60, 65)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바디(40)의 개구된 내측에 매트리스(47)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바디(40)에는 토출구(41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411)는 상기 에어 모듈(30)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411)는 상기 하부 바디(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에어 모듈(30)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개구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411)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 유동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바디(40)에는 광원부(38)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38)는 상기 중간 바디(40)의 개구된 내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38)는 상기 중간 바디(40)의 개구된 내측 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38)는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설치되는 광원 설치부(381)와,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을 확산하기 위한 확산판(3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설치부(381)는 상기 중간 바디(4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광원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광원 설치부(381)의 내부에 상기 광원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설치부(381)의 개구된 일부에 상기 확산판(382)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은 상기 확산판(382)을 통과한 후 외부로 확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광원부(38)는 상기 매트리스(47)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이 아기의 눈으로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아기 침대(1)는 이동 모듈(60, 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60, 65)은 매트리스(47)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60, 65)은 상기 하부 바디(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60, 65)은 상기 매트리스(47)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60, 65)은 상기 에어 모듈(3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모듈(60, 65)은 상기 에어 모듈(30)의 에어 덕트(351)의 상방에 지지되고, 상기 매트리스(47)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아기 침대(1)는 매트리스(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47)는 아기가 놓이는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47)는 매트리스 지지부(4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5)에 상기 이동 모듈(60, 65)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5)는 복수의 지지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판은 힌지부(451)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판은 제1지지판(45a) 및 제2지지판(45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부(451)에 의해 상기 제1지지판(45a)은 제2지지판(45b)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5)는 상기 이동 모듈(60, 65)에 의해 상기 제1지지판(45a)이 상기 제2지지판(45b)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이동 모듈(60, 65)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6의 B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모듈(60, 65)은 승강 모듈(60)과 진동 모듈(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은 상기 매트리스(47)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65)은 상기 매트리스(47)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모듈(65)은 상기 매트리스(47)가 진자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매트리스(47)를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진동 모듈(65)은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65)은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5)를 통해 상기 매트리스(47)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은 상기 진동 모듈(65)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은 상기 진동 모듈(65)의 일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에 의해 상기 진동 모듈(65)의 일부가 승강되면,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5)의 일부가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은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5)의 제1지지판(45a) 및 제2지지판(45b) 중 어느 하나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은 승강 구동부(6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구동부(601)는 상기 승강 모듈(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구동부(601)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구동부(601)는 승강 구동부 하우징(60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구동부 하우징(602)은 상기 승강 구동부(601)를 상기 에어 모듈(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 구동부 하우징(602)은 상기 에어 덕트(35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구동부(601)에는 승강 기어(603)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기어(60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 모듈(60)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은 승강 래크(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래크(61)는 상기 승강 기어(60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래크(61)는 상기 승강 기어(603)의 회전 운동에 의해 직선운동 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래크(61)는 상기 승강 기어(603)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 덕트(351)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래크(61)는 승강 래크 가이드(611)에 의해 상기 에어 덕트(351)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래크 가이드(611)는 직선 운동하는 승강 래크(61)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 래크(61)는 상기 승강 래크 가이드(611)에 의해 Z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은 승강 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부재(62)는 상기 승강 래크(61)와 후술할 승강 브라켓(64)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부재(62)는 제1승강 링크(621)와 상기 제2승강 링크(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부재(62)는 상기 승강 래크(61)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승강 브라켓(64)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승강 링크(621)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 래크(61)가 연결되고, 상기 제1승강 링크(621)의 타측에는 상기 승강 브라켓(6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승강 링크(622)의 일측에는 가이드 래크(613)가 연결되고, 상기 제2승강 링크(622)의 타측에는 상기 승강 브라켓(6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브라켓(64)에 연결되는 상기 제1승강 링크(621)의 타측과 상기 제2승강 링크(622)의 타측은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래크(613)는 상기 에어 덕트(351)에 래크 가이드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래크(613)는 상기 승강 래크 가이드(611)에 의해 Z 축 방향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 링크(621)와 상기 제2승강 링크(622)는 상기 승강 래크(61) 및 상기 가이드 래크(613)의 좌우 이동에 의해 상기 승강 브라켓(64)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래크(61)는 상기 승강 기어(603)에 의해 좌우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 래크(613)는 상기 제1승강 링크(621)와 연동되는 제2승강 링크(622)에 의해 좌우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은 승강 가이드(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63)는 상기 승강 부재(62)가 상하 이동되도록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승강 가이드(63)는 상기 승강 부재(62)의 일측과 타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63)에는 상기 승강 부재(62)가 상하 이동되도록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 링크(621)와 상기 제2승강 링크(622)는 일점에서 서로 교차되며, 상기 제1승강 링크(621)와 상기 제2승강 링크(622)가 교차되는 일점에는 가이드 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 링크(621)와 상기 제2승강 링크(622)는 상기 가이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축은 상기 가이드 홀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홀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은 승강 브라켓(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브라켓(64)은 상기 승강 부재(62)에 의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브라켓(64)은 상기 승강 부재(62)가 연결되는 일부와, 상기 승강 부재(62)가 연결되는 일부로부터 연장되는 기어 하우징 결합부(6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부재(62)가 연결되는 일부는 브라켓 지지부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 결합부(641)는 상기 브라켓 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 결합부(641)는 상기 브라켓 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일부가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 결합부(641)가 상기 브라켓 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기에 후술할 기어 하우징(69)이 상기 브라켓 지지부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 결합부(641)에는 후술할 기어 하우징(69)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어 하우징 결합부(641)와 상기 기어 하우징(69)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은 기어 하우징(6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69)은 상기 기어 하우징 결합부(64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 하우징(69)과 상기 승강 브라켓(64)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69)은 제2피니언 기어(6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피니언 기어(691)는 후술할 진동 모듈(65)의 제2래크(68)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래크(68)는 상기 제2피니언 기어(691)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기어 하우징(69)은 상기 제2피니언 기어(691)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피니언 기어(691)는 상기 기어 하우징(69)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 모듈(60)은 상기 제2피니언 기어(691)에 의해 상기 진동 모듈(65)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은 상기 제2피니언 기어(691)에 의해 연결된 진동 모듈(65)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65)은 상기 승강 모듈(60)에 의해 승강 가능한 상태에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65)은 진동 구동부(6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구동부(651)는 상기 진동 모듈(65)에 작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진동 구동부(651)는 모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진동 구동부(651)는 진동 구동부 하우징(65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진동 구동부 하우징(652)은 상기 진동 구동부(651)를 상기 에어 덕트(351)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진동 구동부 하우징(652)은 상기 진동 구동부(651)의 일부를 감싸서 상기 에어 덕트(351)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진동 구동부 하우징(652)은 후술할 회전축(654)의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회전축(654)의 일부를 상기 에어 덕트(351)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진동 구동부(651)에는 회전축(6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 구동부(651)의 회전축(654)에는 제1피니언 기어(65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54)은 상기 제1피니언 기어(653)로 원활하게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평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654)은 반원,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피니언 기어(653)는 상기 회전축(654)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 또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654)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65)은 제1래크(66) 및 제2래크(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래크(66)와 상기 제2래크(68)는 서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래크(66) 및 제2래크(68)는 일면에 다수의 기어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래크(66)에 제공되는 다수의 기어는 상기 제1피니언 기어(653)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래크(68)에 제공되는 다수의 기어는 상기 승강 모듈(60)의 제2피니언 기어(691)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래크(66)는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5)의 제1지지판(45a) 및 제2지지판(45b) 중 어느 하나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래크(68)는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5)의 제1지지판(45a) 및 제2지지판(45b) 중 나머지 하나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래크(66)는 상기 제1지지판(45a)을 지지하고, 상기 제2래크(68)는 상기 제2지지판(45b)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래크(66)에는 제1받침부(66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받침부(661)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받침부(661)는 상기 제1래크(66)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받침부(661)는 상기 제1지지판(45a)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래크(68)에는 제2받침부(68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받침부(681)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받침부(681)는 상기 제2래크(68)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받침부(681)는 상기 제2지지판(45b)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받침부(661) 및 상기 제2받침부(681)는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5)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받침부(681)는 상기 제2래크(6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65)은 길이 조절부(6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668)는 상기 제1래크(66)와 상기 제2래크(68)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668)는 상기 제1래크(66) 및 상기 제2래크(68)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668)는 상기 제1래크(66)와 상기 제2래크(68)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길이 조절부(668)는 제1길이 조절부와, 상기 제1길이 조절부에 끼워 맞춰지는 제2길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길이 조절부가 상기 제1길이 조절부에 삽입되는 길이의 변화에 의해 상기 제1래크(66)와 제2래크(68)의 사이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래크(66)와 상기 제2래크(68)는 상기 길이 조절부(66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래크(66)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래크(68)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65)은 지지 가이드(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가이드(67)는 상기 제1래크(66)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가이드(67)는 상기 제1래크(66)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가이드(67)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 가이드(67)는 상기 제1피니언 기어(653)의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피니언 기어(653)와 상기 복수의 지지 가이드(67)는 Z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 가이드(67)는 상기 제1래크(66)가 Z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래크(66)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래크(66)는 상기 제1피니언 기어(653)에 의해 Z 방향으로 반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가이드(67)는 상부 가이드(671)와 하부 가이드(6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671)는 상기 제1래크(66)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675)는 상기 제1래크(66)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671)와 상기 하부 가이드(675)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671)와 상기 하부 가이드(675)의 사이에 상기 제1래크(66)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671)는 상부 롤러(6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롤러(672)는 상기 제1래크(66)에 접촉되어, 상기 제1래크(66)의 Z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래크(66)의 저면 중 일부에는 다수의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래크(66)의 저면 중 다른 일부에는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래크(66)의 상면은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롤러(672)는 상기 제1래크(66)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래크(66)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675)는 상기 제1래크(66)의 하방에서 상기 제1래크(66)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675)는 하부 롤러(6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롤러(676)는 상기 제1래크(66)에 접촉되어, 상기 제1래크(66)의 Z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롤러(676)는 상기 제1래크(66)의 저면 중 평면을 가지는 다른 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롤러(676)는 상기 제1래크(66)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675)는 측방 롤러(67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방 롤러(679)는 상기 하부 가이드(675)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상부 가이드(671)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측방 롤러(679)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측방 롤러(679)는 상기 제1래크(66)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측방 롤러(679)는 X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측방 롤러(679)는 상기 제1래크(66)의 일 측면과 타 측면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측방 롤러(679)는 상기 제1래크(66)가 X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롤러(672) 및 하부 롤러(676)에 의해 상기 제1래크(66)는 Z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방 롤러(679)에 의해 상기 제1래크(66)는 X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래크(66)는 Z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래크(68)는 상기 진동 모듈(65)의 제2피니언 기어(691)와 연결되고, 상기 길이 조절부(668)에 의해 상기 제1래크(66)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래크(66)에 의해 상기 제2래크(68)가 양측 방향(Z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피니언 기어(691)가 상기 기어 하우징(69)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의 승강 브라켓(64)에 의해 상기 제2피니언 기어(691)가 상하 방향(Y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래크(68)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래크(68)가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제2래크(68)는 상기 제1래크(66)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래크(68)가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길이 조절부(668)는 X 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래크(66) 및 제2래크(68)는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래크(66) 및 제2래크(68)가 수평으로 형성될 경우에, 상기 매트리스(47)는 Z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래크(66) 및 제2래크(68)가 곡선으로 형성될 경우에, 상기 매트리스(47)는 Z 방향으로 진자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래크(66) 및 상기 제2래크(68)는 아래로 볼록한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래크(66) 및 제2래크(68)의 형상에 의해 상기 매트리스(47)의 진동 방향이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47)는 상기 진동 모듈(65)의 제1래크(66) 및 제2래크(68)에 의해 양측 방향(Z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47)의 일부는 상기 승강 모듈(60)에 연결된 제2래크(68)에 의해 상하 방향(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래크(68)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래크(68)는 상기 제1래크(66)에 대해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래크(68)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매트리스(47)의 일부는 틸팅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기 침대(1)의 매트리스(47)에 아기가 놓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 커버(12) 및 상기 상부 바디(10)는 아기의 주변을 감싸서 아기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47)는 상기 이동 모듈(60, 6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이동 모듈(60, 65)에 의해 진동 및 승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매트리스(47)와 상기 이동 모듈(60, 65)의 사이에는 매트리스 지지부(45)가 개입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60, 65)은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5)에 연결되고, 상기 매트리스(47)는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5)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20)는 상기 매트리스(47)를 지지하는 이동 모듈(60, 65)을 지지하고, 바닥에 놓일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47)에 아기는 길이 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60, 65)은 상기 승강 모듈(60)과 상기 진동 모듈(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65)은 상기 매트리스(47)를 양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은 상기 매트리스(47)의 일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에 의해 상기 매트리스(47)의 일부가 승강되면, 상기 매트리스(47)의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하는 방향을 정의한다. 상기 양측 방향은 Z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길이 방향은 X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상하 방향은 Y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매트리스(47)에 아기가 X 방향으로 놓인 상태에서 상기 진동 모듈(65)에 의해 Z 방향으로 상기 매트리스(47)가 이동하며, 상기 매트리스(47)에 놓인 아기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65)은 Z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매트리스(47)가 일측과 타측을 향해 반복하여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65)은 반복 이동을 통해 상기 매트리스(47)에 놓인 아기를 달래거나, 아기의 수면을 도울 수 있다.
상기 매트리스(47)에 아기가 X 방향으로 놓인 상태에서 상기 승강 모듈(60)에 의해 Y 방향으로 상기 매트리스(47)의 일부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트리스(47)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상기 매트리스(47)의 틸팅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에 의해 Y 방향으로 이동되는 매트리스(47)의 일부에는 아기의 상반신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 모듈(60)에 의해 아기의 상반신이 지지되는 매트리스(47)의 일부가 틸팅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듈(60)은 승강 이동을 통해 상기 매트리스(47)에 놓인 아기의 소화를 도울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모듈(60)과 상기 진동 모듈(65)이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65)에 의해 양측 방향으로 반복 이동하는 상기 매트리스(47)의 일부가 상기 승강 모듈(6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아기 침대(1)는 카메라 모듈(110), 매트이동모듈(120), 통신부(130), 마이크로폰(140), 무게센서(150), 생체신호 감지센서(160) 및 제어부(17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110)은 상기 매트리스(47)에 있는 아기를 촬영하여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10)은 상기 감지 모듈(5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10)은 후술될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촬영된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17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매트이동모듈(120)은 상기 매트리스(47)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매트이동모듈(120)은 상기 매트리스(47)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모듈(60)과, 상기 매트리스(47)에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진동 모듈(6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매트이동모듈(120)에 의해서 상기 매트리스(47)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양측 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이동모듈(120)에 의해서 상기 매트리스(47)의 일부가 틸팅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아기 침대(1)를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장치는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 노트북, PC 등 다양한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외부 장치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140)은 외부로부터 음향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마이크로폰(140)은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140)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아기 침대(1)와 통신 연결된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폰(140)은 상기 상부 바디(10) 또는 상기 하부 바디(20)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140)은 상기 감지 모듈(5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 모듈(50)의 구성에 의하여, 아기의 표정, 자세, 움직임, 호흡상태, 울음소리 및 외부소리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무게 센서(150)는, 물체의 무게 또는 인가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상기 무게 센서(150)는 상기 매트리스(47)에 있는 아기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무게 센서(150)는 상기 매트리스(47) 또는 상기 하부 바디(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160)는, 상기 매트리스(47)에 있는 아기의 생체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160)는 아기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신호는 움직임에 관련된 신호, 수면에 관련된 신호, 호흡에 관련된 신호 및 심장박동수에 관련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160)는, 광 섬유 자기센서, 움직임 감지센서, 압력 센서 및 심박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섬유 자기센서는 섬유 전극과 인체 간의 거리에 의한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여, 아기의 자세 및 호흡수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광 섬유 자기 센서는 상기 매트리스(47)에 장착되어 아기의 움직임 상태 또는 호흡 상태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각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상기 매트리스(47)에 장착되어 아기의 움직임 상태 또는 자세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아기 침대(1)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 마이크로폰(140) 및 생체신호 감지센서(1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트이동모듈(12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단말기와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기 침대(1)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을 구동하여 상기 매트리스(47)에 있는 아기를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110)은 아기의 얼굴뿐 아니라, 팔, 다리, 복부 및 침대 주변의 영상을 모두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기의 표정, 자세, 움직임, 수면여부 및 침대 주변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단계 S12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얼굴이 보이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기 침대(1)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로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아기의 얼굴이 정확히 보이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아기 침대(1)는 촬영된 영상에서 아기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얼굴이 정확히 보이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촬영된 영상에서 아기의 눈, 코, 입 등의 이미지를 결정하고, 이를 미리 저장된 얼굴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얼굴 이미지가 일정 비율이상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촬영된 영상에서 아기의 얼굴이 보이지 않을 경우, 단계 S13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의 얼굴이 가려진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단계 S28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 단말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단말기, PC, 노트북,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촬영된 영상에서 아기의 얼굴이 보이는 경우, 단계 S14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표정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기 침대(1)는 촬영된 영상에서 일정시간 동안 아기의 표정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기가 현재 자고 있는지, 깨어있는지 또는 배냇짓하는지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만일, 촬영된 영상에서 아기의 표정에 변화가 없는 경우, 단계 S15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의 움직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아기 침대(1)는 촬영된 영상에서 일정시간 동안 아기의 움직임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아기의 움직임은 아기의 머리, 고개, 팔 또는 다리에 대한 움직임을 의미할 수 있다.
아기의 움직임이 존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20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움직임이 잦은 빈도로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일정시간 동안 머리, 고개 팔 또는 다리에 대한 움직임이 기준횟수 이상 발생한 경우, 움직임이 잦은 빈도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움직임이 잦은 빈도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21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깨어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28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만일, 움직임이 잦은 빈도로 지속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22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자면서 뒤척이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28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아기의 움직임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16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복부의 움직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아기 침대(1)는 촬영된 영상에서 일정시간 동안 복부의 움직임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복부의 움직임을 통하여 현재 아기가 숨을 쉬고 있는지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복부의 움직임이 존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17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잠이 든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28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만일, 복부의 움직임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18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복부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이상 멈춘지 여부를 판단한다.
복부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이상 멈춘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19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수면 무호흡인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28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단계 S14에서 아기의 표정에 변화가 있는 경우, 단계 S23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우는 표정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기 침대(1)는 촬영된 영상에서 아기의 얼굴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아기의 표정이 우는 표정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기 침대(1)는 촬영된 영상에서 아기의 눈 또는 입 이미지를 미리 저장된 이미지(예: 우는 표정의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아기가 울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기의 표정이 우는 표정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24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우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28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만일, 아기의 표정이 우는 표정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25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표정변화가 잦은 빈도로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일정시간 동안 얼굴의 표정변화가 기준횟수 이상 발생한 경우, 표정변화가 잦은 빈도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표정변화가 잦은 빈도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26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깨어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28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만일, 표정변화가 잦은 빈도로 지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27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배냇짓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28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배냇짓하고 있는 경우 아기의 얼굴을 촬영하여 이를 외부 단말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아기 침대(1)는 촬영된 아기의 얼굴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아기 침대(1)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아기의 다양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카메라를 통해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신속하게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위급상황 등이 발생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기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계 S31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소리 또는 음향신호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기 침대(1)는 상기 마이크로폰(140)을 구동하여 침대 주변 소음(음향신호)을 감지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매트리스(47)에 아기가 있을 경우, 아기의 숨소리, 울음소리, 옹알이 등이 상기 마이크로폰(140)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아기 침대(1)의 메모리에는, 아기의 숨소리, 울음소리, 옹알이에 대응하는 음향신호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기 침대(1)는 감지된 음향신호를 메모리에 저장된 음향신호와 비교하여, 아기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2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숨소리가 규칙적으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아기 침대(1)는 상기 마이크로폰(140)으로 감지된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숨소리가 일정시간 동안 규칙적으로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숨소리가 규칙적으로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33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잠이 든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42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 단말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단말기, PC, 노트북,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숨소리가 규칙적으로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34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울음소리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울음소리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35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우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42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만일, 울음소리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36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옹알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옹알이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37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옹알이가 잦은 빈도로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아기 침대(1)는 일정시간 동안 기준횟수 이상 옹알이가 감지된 경우, 옹알이가 잦은 빈도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옹알이가 잦은 빈도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38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깨어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42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옹알이가 잦은 빈도로 지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39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자면서 뒤척이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42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옹알이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40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숨소리가 일정시간 이상 미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의 숨소리가 20초 이상 미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숨소리가 일정시간 이상 미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41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수면 무호흡인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42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만일, 숨소리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아기 침대(1)는 단계 S31로 진입하여 소리를 다시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아기 침대(1)는 마이크로폰으로 감지된 음향신호를 통하여 아기의 다양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신속하게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위급상황 등이 발생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기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계 S51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생체신호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기 침대(1)는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160)를 구동하여 아기의 생체신호를 감지한다.
여기서, 생체신호는 인체의 움직임에 관련된 신호, 수면에 관련된 신호, 호흡에 관련된 신호 및 심장박동수에 관련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160)는, 광 섬유 자기센서, 움직임 감지센서, 압력 센서, 심박 센서 및 무게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섬유 자기센서는 섬유 전극과 인체 간의 거리에 의한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여, 아기의 자세 및 호흡수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광 섬유 자기 센서는 상기 매트리스(47)에 장착되어 아기의 움직임 상태 또는 호흡 상태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각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는 상기 매트리스(47)에 장착되어 아기의 움직임 상태 또는 자세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계 S52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아기 침대(1)는 광 섬유 자기센서로 입력된 신호를 통하여 아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아기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53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호흡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아기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고 호흡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54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잠이 든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61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 단말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단말기, PC, 노트북,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아기의 움직임 및 호흡이 모두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55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호흡이 일정시간 이상 미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호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20초 이상 미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호흡이 일정시간 이상 미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56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수면 무호흡인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61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만일, 호흡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아기 침대(1)는 단계 S53에 진입하여 호흡을 다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아기의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57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움직임이 잦은 빈도로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일정시간 동안 머리, 고개 팔 또는 다리에 대한 움직임이 기준횟수 이상 발생한 경우, 움직임이 잦은 빈도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움직임이 잦은 빈도로 지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58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자면서 뒤척이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61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만일, 움직임이 잦은 빈도로 지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59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심장박동수가 각성 상태 수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각성 상태 수준의 심작박동수는, 일반적으로 아기가 깨어 있는 상태에서 감지되는 정상적인 심장박동수를 의미할 수 있다.
판단결과 감지된 심장박동수가 각성 상태 수준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58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자면서 뒤척이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62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만일, 감지된 심장박동수가 각성 상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60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깨어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62에서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이처럼 상기 아기 침대(1)는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통하여 아기의 다양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센서를 통해 판단된 아기의 상태를 신속하게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위급상황 등이 발생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 아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계 S71에서 상기 아기 침대(1)의 전원이 온(ON) 된다.
상기 아기 침대(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전원이 온 되거나 오프될 수 있다. 또는 아기가 상기 매트리스(47)에 놓일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아기 침대(1)의 전원이 온 될 수 있다.
단계 S72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침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아기 침대(1)는 앞서 설명된 카메라 모듈(110), 마이크로폰(140) 및 생체신호 감지센서(1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아기가 상기 매트리스(47)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기가 침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73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의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아기 침대(1)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 마이크로폰(140) 및 생체신호 감지센서(1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아기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의 수면여부, 울음여부, 호흡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74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깨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아기가 잠이 든 상태에서 아기를 상기 매트리스(47)에 눕힐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사용자는 아기가 잠이 들지 않은 상태에서 아기를 상기 매트리스(47)에 눕힐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아기가 깨어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75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현재시각이 설정된 수면시각에 도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아기의 수면시각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아기 침대(1)의 메모리에는 아기의 수면시각 또는 기상시각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설정된 수면시각이 도래한 경우, 단계 S76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제 1 스윙모드로 매트를 제어한다.
여기서, 매트의 스윙모드라 함은, 상기 승강 모듈(60) 및/또는 상기 진동 모듈(65)에 의하여 상기 매트리스(47)가 일정시간 동안 왕복운동 또는 진자운동을 수행하는 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스윙모드는 설정된 수면시간이 도래할 경우, 아기를 재우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모드일 수 있다.
매트의 스윙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승강 모듈(60)의 승강 구동부(601) 및 상기 진동 모듈(65)의 진동 구동부(651)가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 구동부(601) 및 상기 진동 구동부(651)는 스윙모드의 각 단계에 따라 정해진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수면시각이 도래하여 매트의 스윙모드가 시작되면, 상기 매트리스(47)는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하거나, 또는 포물선을 따라 진자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윙모드가 완료된 후, 단계 S77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깨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스윙모드가 일정시간 동안 수행된 이후,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여전히 깨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아기가 여전히 깨어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78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제 2 스윙모드로 매트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스윙모드는, 상기 제 1 스윙모드에 비하여 스윙 정도(세기)가 증가된 모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스윙모드는 상기 제 1 스윙모드에 비하여 상기 매트리스(47)의 진동세기, 진동시간 및 이동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증가된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제 2 스윙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승강 구동부(601) 및 상기 진동 구동부(651)는 상기 제 1 스윙모드 시의 상기 승강 구동부(601) 및 상기 진동 구동부(651)의 회전수보다 높은 회전수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스윙모드를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기가 깨어있는 경우, 상기 아기 침대(1)는 스윙 정도가 증가된 상기 제 2 스윙모드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스윙모드가 완료된 후, 단계 S79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깨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스윙모드가 일정시간 동안 수행된 이후,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여전히 깨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아기가 여전히 깨어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80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제 3 스윙모드로 매트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스윙모드는, 상기 제 2 스윙모드에 비하여 스윙 정도(세기)가 증가된 모드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스윙모드는 상기 제 2 스윙모드에 비하여 상기 매트리스(47)의 진동세기, 진동시간 및 이동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증가된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제 3 스윙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승강 구동부(601) 및 상기 진동 구동부(651)는 상기 제 2 스윙모드 시의 상기 승강 구동부(601) 및 상기 진동 구동부(651)의 회전수보다 높은 회전수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스윙모드를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기가 깨어있는 경우, 상기 아기 침대(1)는 스윙 정도가 증가된 상기 제 3 스윙모드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3 스윙모드가 완료된 후, 단계 S81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깨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스윙모드가 일정시간 동안 수행된 이후,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여전히 깨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아기가 여전히 깨어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82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매트의 스윙모드를 정지하고, 단계 S83에서 외부 단말로 아기의 상태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매트의 스윙모드를 다수 회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기가 잠에 들지 않는 경우, 상기 아기 침대(1)는 매트의 스윙모드를 중지하고, 아기가 잠에 들지 않는다는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매트의 스윙모드를 중지하는 이유는, 아기를 재우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스윙모드를 수행할 경우, 아기가 멀미하거나 구토하는 등 건강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윙모드가 일정 시간 또는 일정 횟수 수행된 이후에는, 스윙모드 동작을 중지하고, 아기의 비수면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기 침대(1)는 통신 연결된 이동단말기(70)로 아기의 상태정보(71)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71)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110)로 촬영된 아기의 영상(72) 및 긴급구조연락을 위한 긴급 버튼(73)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상태정보(71)를 통해 아기의 현재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긴급 버튼(73)을 통해 긴급구조를 위한 연락을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77, S79, S81에서 아기가 잠이 든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84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조명을 오프하고 단계 S85에서 외부 단말로 아기의 상태를 전송한다.
즉, 상기 제 1 스윙모드, 제 2 스윙모드 또는 제 3 스윙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아기가 잠이 들 경우, 조명을 오프하여 수면을 도울 수 있다. 이때, 매트의 스윙모드는 중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의 수면 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단계 S86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잠에서 깨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아기가 선잠을 자거나 또는 외부소음 등에 의하여 잠에서 깰 경우, 아기를 다시 재워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아기가 잠에서 깰 경우, 단계 S87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조명을 온 시키고 단계 S88에서 제 1 스윙모드로 매트를 제어한다.
그리고 단계 S83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잠에서 깨었다는 것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매트의 스윙모드가 3개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매트의 스윙모드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4개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스윙모드가 완료된 이후, 스윙모드가 중지되고 아기의 상태가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매트의 스윙모드 동작순서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스윙모드가 먼저 동작한 이후 제 2 스윙모드가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제 1 스윙모드가 먼저 동작한 이후 제 3 스윙모드가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기 침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계 S91에서 상기 아기 침대(1)의 전원이 온(ON) 된다.
상기 아기 침대(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전원이 온 되거나 오프될 수 있다. 또는 아기가 상기 매트리스(47)에 놓일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아기 침대(1)의 전원이 온 될 수 있다.
단계 S92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단계 S93에서 아기의 상태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기 침대(1)는 앞서 설명된 카메라 모듈(110), 마이크로폰(140) 및 생체신호 감지센서(1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아기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의 수면여부, 울음여부, 호흡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94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의 호흡이 미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의 숨소리가 20초 이상 미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아기의 호흡이 감지되었으면,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정상적으로 숨을 쉬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92으로 진입하여 아기에 대한 모니터링을 반복 수행한다.
만일, 아기의 호흡이 감지되지 않았으면, 단계 S95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침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아기가 침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유는, 아기의 호흡이 감지되지 않은 이유가 아기가 침대에서 떨어진 경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아기가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호흡이 미감지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만일, 아기가 침대에 존재하는 경우, 단계 S96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긴급 스윙모드로 매트를 제어한다.
여기서, 긴급 스윙모드라 함은, 아기의 호흡이 멈출 시 상기 매트리스(47)를 진동시켜 아기의 자가호흡을 돕는 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긴급 스윙모드는 상기 승강 모듈(60) 및/또는 상기 진동 모듈(65)에 의하여 상기 매트리스(47)가 일정시간 동안 최고의 세기로 왕복운동 또는 진자운동을 수행하는 모드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긴급 스윙모드는 앞서 설명된 상기 제 3 스윙모드에 비하여 상기 매트리스(47)의 진동세기, 진동시간 및 이동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현저히 증가된 모드일 수 있다.
긴급 스윙모드가 수행된 이후, 단계 S97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알람을 발생시키고 외부 단말로 아기의 상태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무호흡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긴급 스윙모드를 수행함과 동시에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알람은 상기 아기 침대(1)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의 상태 즉, 아기가 무호흡 상태라는 것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아기의 위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아기가 침대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아기 침대(1)는 단계 S96을 생략하고, 단계 S97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가 침대에서 사라지거나 떨어진 경우, 긴급 스윙모드를 수행하지 않고 즉시 사용자의 단말기로 아기의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8에서 상기 아기 침대(1)는 아기의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변화가 없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시간 이상 변화가 없는 경우, 단계 S99에서 외부 장치로 긴급구조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아기가 무호흡 상태이거나 또는 아기가 침대에서 떨어진 상황에서는, 알람이 발생하고 사용자의 단말기로 아기의 상태가 전송될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아기를 병원에 데려가거나 또는 침대에서 떨어진 아기를 상기 매트리스(47)에 다시 눕힐 수 있다.
즉, 상기 아기 침대(1)는 무호흡 상태인 아기가 상기 매트리스(47)에서 미감지되거나 또는 상기 매트리스(47)에서 미감지된 아기가 다시 감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위급 상황이 발생한 상태에서, 아기의 상태가 변화되지 않는 경우, 즉 사용자의 조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아기 침대(1)는 응급센터 또는 119로 긴급구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Claims (20)

  1. 아기가 놓이는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침대 본체;
    상기 매트리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매트이동모듈;
    상기 매트리스에 있는 아기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아기의 수면 여부를 판단하고,
    아기의 수면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매트이동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아기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본체에 있는 아기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아기의 수면 상태를 판단하는 아기 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광 섬유 자기센서, 마이크로폰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및 무게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기 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기가 잠이 들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시각이 설정된 수면시각에 도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아기 침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시각이 설정된 수면시각에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트리스에 대한 스윙모드를 수행하는 아기 침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모드는, 상기 매트리스를 일정시간 동안 왕복운동 또는 진자운동하도록 제어하는 모드인 아기 침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이동모듈은,
    상기 매트리스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 모듈; 및
    상기 매트리스를 양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윙모드는, 상기 승강 모듈 및 상기 진동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매트리스를 일정시간 동안 왕복운동 또는 진자운동하도록 제어하는 모드인 아기 침대.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시각이 설정된 수면시각에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트리스에 대한 제 1 스윙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 1 스윙모드가 완료되면, 아기가 수면 상태를 판단하는 아기 침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윙모드가 완료된 후, 아기가 잠이 들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트리스에 대한 제 2 스윙모드를 수행하는 아기 침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윙모드는, 상기 제 1 스윙모드에 비하여 상기 매트리스의 진동세기, 진동시간 및 이동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증가된 모드인 아기 침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스윙모드가 완료된 후, 아기의 수면 상태를 판단하고,
    아기가 잠이 들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아기 침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기가 잠이 든 것으로 판단되면,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아기 침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기가 잠에서 깬 지 여부를 판단하고,
    아기가 잠에서 깬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트리스에 대한 스윙모드를 수행하는 아기 침대.
  14. 아기가 놓이는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침대 본체;
    상기 매트리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매트이동모듈;
    상기 매트리스에 있는 아기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아기의 호흡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아기의 호흡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매트이동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아기 침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본체에 있는 아기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아기의 호흡 상태를 판단하는 아기 침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광 섬유 자기센서, 마이크로폰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및 무게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아기 침대.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기의 호흡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트리스에 대한 스윙모드를 수행하는 아기 침대.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기의 호흡이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아기가 침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아기 침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아기가 침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매트리스에 대한 스윙모드를 수행하고,
    아기가 침대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아기의 상태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아기 침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간 동안 아기의 상태가 변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시간 동안 아기의 상태가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 장치로 긴급구조신호를 전송하는 아기 침대.
KR1020190130555A 2019-10-21 2019-10-21 아기 침대 KR20210047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555A KR20210047022A (ko) 2019-10-21 2019-10-21 아기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555A KR20210047022A (ko) 2019-10-21 2019-10-21 아기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022A true KR20210047022A (ko) 2021-04-29

Family

ID=7572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555A KR20210047022A (ko) 2019-10-21 2019-10-21 아기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70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455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엠마헬스케어 원격 ppg 방식을 이용하여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장치
WO2023128454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엠마헬스케어 원격 ppg 방식을 이용하여 심박수 측정을 하기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776A (ko) 2017-12-18 2019-06-26 김진관 아기자세보정용 스마트 모션 제어형 아기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776A (ko) 2017-12-18 2019-06-26 김진관 아기자세보정용 스마트 모션 제어형 아기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455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엠마헬스케어 원격 ppg 방식을 이용하여 스트레스 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장치
WO2023128454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엠마헬스케어 원격 ppg 방식을 이용하여 심박수 측정을 하기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3515B2 (en) Infant calming/sleep-aid, SIDS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10463168B2 (en) Infant calming/sleep-aid and SIDS prevention device with drive system
AU2020205257B2 (en) Infant calming/sleep-aid device
CA2977390C (en) Infant calming/sleep-aid and sids prevention device with drive system
US20170245555A1 (en) Sleep sack for infant calming/sleep aid
KR20210047022A (ko) 아기 침대
US11497884B2 (en) Sleep aid system including smart power hub
KR200285503Y1 (ko) 베이비 케어 장치
AU2021106977A4 (en) A Smart relaxing platform for babie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vent reflux during feeding or dosing medicine along with behaviour monitoring.
KR20210047026A (ko) 아기 침대
KR20210047023A (ko) 아기용 침대
KR20210053751A (ko) 아기용 침대
KR20210043936A (ko) 아기용 침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