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952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952A
KR20210046952A KR1020190130400A KR20190130400A KR20210046952A KR 20210046952 A KR20210046952 A KR 20210046952A KR 1020190130400 A KR1020190130400 A KR 1020190130400A KR 20190130400 A KR20190130400 A KR 20190130400A KR 20210046952 A KR20210046952 A KR 20210046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holder
temperature
communication link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3551B1 (ko
Inventor
윤성욱
이승원
한대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90130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55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PCT/KR2020/014417 priority patent/WO2021080321A1/en
Priority to CN202080003901.XA priority patent/CN113015452B/zh
Priority to US17/059,049 priority patent/US11957180B2/en
Priority to CA3210816A priority patent/CA3210816A1/en
Priority to EP20807257.9A priority patent/EP3829353A4/en
Priority to JP2020572533A priority patent/JP7137643B2/ja
Priority to CA3102168A priority patent/CA3102168C/en
Publication of KR20210046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952A/ko
Priority to KR1020220075682A priority patent/KR20220088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551B1/ko
Priority to KR1020240004196A priority patent/KR20240008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크래들은, 홀더와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1 통신 회로, 크래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센서 및 제 1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제 1 제어 회로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을 출력하고,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온도 프로파일을 상기 통신 링크를 통해 홀더에 전달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된 히터는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한다. 균일하게 적절한 수준의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원하는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제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외부의 온도 및 외부의 습도가 달라짐에 따라서 에어로졸의 기화 정도가 불규칙하게 달라져서, 사용자에게 일관적이고 만족스러운 흡연감을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외부의 온도 및 외부의 습도를 고려하여 손쉽게 온도 프로파일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홀더와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1 통신 회로; 상기 크래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센서; 및 상기 제 1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 1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 회로는,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온도 프로파일을 상기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홀더에 전달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크래들과의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2 통신 회로; 및 상기 선택된 온도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는 온도 프로파일을 제어하는 제 2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고, 상기 데이터는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습도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링크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회로; 상기 크래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기지국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크래들에 포함된 디스플레이(display)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통화 정보, 화상 통화 정보 및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기지국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획득한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링크는 제 1 통신 링크에 해당하고,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홀더와의 제 2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홀더 및 상기 크래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고, 상기 데이터는 제 2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2 습도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링크는 제 1 통신 링크에 해당하고,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홀더와의 제 2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홀더 및 상기 크래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고, 상기 데이터는 제 2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2 습도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 링크 및 제 2 통신 링크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1 통신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2 통신 프로토콜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제 2 온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한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하여 온도 보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제 2 습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한 보정을 수행하여 습도 보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온도 보정 데이터, 상기 습도 보정 데이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를 터치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온도 프로파일을 상기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홀더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회로는 제 1 통신 회로이고, 상기 제어 회로는 제 1 제어 회로이고, 상기 홀더는, 상기 크래들과의 상기 제 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2 통신 회로; 및 상기 수신한 온도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는 온도 프로파일을 제어하는 제 2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1 통신 회로; 상기 크래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센서; 및 상기 제 1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 1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 회로는,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를 터치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온도 프로파일을 상기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홀더에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회로; 상기 크래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기지국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크래들에 포함된 디스플레이(display)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의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습도 측정 데이터를 크래들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외부의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습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홀더는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는 온도 프로파일을 제어하므로, 사용자에게 일관적이고 만족스러운 흡연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홀더가 크래들과 결합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홀더가 크래들과 결합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온도 프로파일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용자가 온도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외부 디바이스 및 크래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온도 프로파일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크래들(100) 및 홀더(11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100)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110)가 장착될 수 있다.
크래들(100)은 제 1 통신 회로(101), 제 1 제어 회로(102), 디스플레이(display)(103), 제 1 배터리(104) 및 센서(105)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10)는 제 2 통신 회로(111), 제 2 제어 회로(112), 히터(113) 및 제 2 배터리(1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크래들(100) 및 홀더(110)의 내부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크래들(100) 및 홀더(110)의 설계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홀더(110)는 크래들(100)과 분리 가능하게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2는 홀더가 크래들과 결합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홀더(110)는 크래들(100)에 형성된 내부 공간(200)에 수용된 상태로 크래들(100)과 결합할 수 있다. 내부 공간(200)은 크래들(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내부 공간(200)이 크래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홀더(1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임의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홀더가 크래들과 결합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홀더(110)는 크래들(100)에 형성된 안착용 홈(300)에 안착된 상태로 크래들(100)과 결합할 수 있다. 도 3에는 안착용 홈(300)이 크래들(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홀더(110)가 안착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으로 크래들(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크래들(100)의 제 1 통신 회로(101)는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회로(101)는 홀더(110)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101)는 홀더(110)와의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통신 링크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링크는 USB 통신 케이블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크래들(100)의 제 1 제어 회로(102)는 크래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이다. 제 1 제어 회로(10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 1 제어 회로(102)는 크래들(100)의 모든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 회로(102)는 크래들(100)과 홀더(110)가 결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크래들(100)과 홀더(110)의 결합 또는 분리에 따라 크래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100)과 홀더(110)가 결합되면, 제 1 제어 회로(102)는 제 1 배터리(104)의 전력을 홀더(110)에 공급함으로써, 홀더(110)의 제 2 배터리(114)를 충전하거나 히터(113)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10)의 제 2 배터리(114)의 잔량이 적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크래들(100)과 홀더(110)을 결합하여 연속적으로 흡연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100)은 크래들(100)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103)를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100)의 디스플레이(103)를 통해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3)는 크래들(100) 및 홀더(110)가 결합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온(on)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는 푸쉬, 탭, 터치 앤드 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100)은 센서(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는 크래들(100)이 아닌 홀더(110)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는 크래들(100) 및 홀더(110)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여 외부의 온도 및 외부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 제어 회로(102)는 디스플레이(103)에 표시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크래들(100) 및 홀더(110)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어 회로(102)는 디스플레이(103)에 표시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제 1 배터리(104)(예를 들어, 제 1 배터리(104)의 잔여 용량, 사용 가능 여부 등)와 관련된 정보, 크래들(100)의 리셋(예를 들어, 리셋 시기, 리셋 진행, 리셋 완료 등)과 관련된 정보, 홀더(110)의 청소(예를 들어, 청소 시기, 청소 필요, 청소 진행, 청소 완료 등)와 관련된 정보, 크래들(100)의 충전(예를 들어, 충전 필요, 충전 진행, 충전 완료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3)가 온(on)되는 경우, 제 1 제어 회로(102)는 복수의 기능들 각각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들이 디스플레이(103)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3) 상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능들은 홀더(110)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는 온도 프로파일을 조절하는 기능, 홀더(110)의 히터(113)를 예열하는 기능, 홀더(110) 내의 궐련이 삽입되는 공간을 청소하는 기능, 크래들(100)이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점검하는 기능, 제 1 배터리(104)의 잔량(가용 전력)을 표시하는 기능, 크래들(100)의 리셋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3) 상에 표시된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는 온도 프로파일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센서(105)에서 측정되어 디스플레이(103)에 표시된 외부의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외부의 습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홀더(110)의 내부 온도 및 습도는 외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사용자에게 일관적이고 만족스러운 흡연감을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습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온도 프로파일을 조절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일관적이고 만족스러운 흡연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100)은 사용자가 크래들(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예를 들어, 버튼), 홀더(110)와 결합하는 단자 및/또는 제 1 배터리(104)의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 포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100)의 제 1 배터리(104)는 크래들(100)이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제 1 배터리(104)는 홀더(110)의 제 2 배터리(114)에 전력을 공급하여 제 2 배터리(114)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110)와 크래들(100)이 결합된 경우, 제 1 배터리(104)는 홀더(11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110)의 단자와 크래들(100)의 단자가 결합되면, 제 2 배터리(114)가 방전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홀더(110)는 제 1 배터리(104)가 공급하는 전력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홀더(110)의 제 2 통신 회로(111)는 제 1 통신 회로(101)와 마찬가지로, 다른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회로(111)는 크래들(100)과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 회로(111)는 크래들(100)과의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홀더(110)의 히터(113) 주변으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내부 공간에는 궐련(115)이 삽입될 수 있다. 궐련(115)이 홀더(110)에 삽입되면, 홀더(110)는 제 2 배터리(114)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여 히터(113)의 온도가 상승한다. 궐련(115)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히터(113)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홀더(110)의 제 2 제어 회로(112)는 홀더(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이다. 제 2 제어 회로(1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제어 회로(112)는 디스플레이(103) 상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통신 링크를 통해 제 1 제어 회로(102)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제 2 제어 회로(112)는 디스플레이(103) 상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히터(113)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히터(113)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어 회로(112)는 디스플레이(103) 상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히터(113)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13)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 2 제어 회로(112)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113)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센서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는 외부의 온도 및 외부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홀더(110)의 히터(113)는 제 2 제어 회로(112)의 제어에 따라 제 2 배터리(114)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 히터(113)는 제 2 배터리(114)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홀더(110)에 삽입된 궐련(115)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113)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13)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113)는 홀더(11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된 궐련(115)을 가열할 수 있다. 홀더(110)의 수용 공간에 궐련(115)이 수용됨에 따라 히터(113)는 궐련(115)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히터(113)는 궐련(115)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홀더(110)의 제 2 배터리(114)는 홀더(11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제 2 배터리(114)는 히터(113)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배터리(114)는 홀더(11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 구성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 1 배터리(104) 및 제 2 배터리(114)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배터리(104) 및 제 2 배터리(114)는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 산화 리튬 코발트(LiCoO2) 배터리, 리튬 티탄산염 배터리 및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는 크래들(100) 및 홀더(110) 간의 통신 링크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는 온도 프로파일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도 4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문서에서 도 1에 도시된 크래들(100) 및 홀더(110)에 포함되는 구성들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구성들은 도 1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온도 프로파일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10 단계에서 크래들(100)은 홀더(110)와의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크래들(100)의 제 1 통신 회로 및 홀더(110)의 제 2 통신 회로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420 단계에서 크래들(100)은 센서(105)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103)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센서(105)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외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습도 센서는 외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홀더(110) 내 히터(113)가 궐련(115)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 홀더(110)의 내부 온도 및 습도는 외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일관적이고 만족스러운 흡연감을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온도가 높으면 궐련(115) 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탄맛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고, 외부의 습도가 높으면 에어로졸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온도가 낮으면 궐련(115) 내 에어로졸 생성 물질으로부터 충분한 맛을 구현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외부의 습도가 낮으면 에어로졸이 적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크래들(100)의 제 1 제어 회로(102)는 센서(105)를 통해 획득한 외부의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외부의 습도 측정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03)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3) 상에 표시된 외부의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습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조절할 수 있다. 외부의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습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온도 프로파일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일관적이고 만족스러운 흡연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가 온도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크래들(100)의 디스플레이(103) 상에 홀더(110) 및 크래들(100)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습도 측정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3)상에는 '현재 온도는 12˚C입니다','현재 습도는 35% 입니다'와 같은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103)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해당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사용자 입력이 제 1 제어부(102)로 전달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입력에는 푸쉬, 탭, 터치 앤드 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온도 프로파일 설정하기'라는 인디케이터(500)가 디스플레이(103)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온도 프로파일 설정하기'라는 인디케이터(500)를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실행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430 단계에서 크래들(100)은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크래들(100)은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는 외부의 온도 및 외부의 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히터(113)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온도 프로파일이란, 히터의 온도를 어떠한 함수(function)나 패턴(pattern)에 따라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야 하는지 여부를 수치화한 정보를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사용자 입력이 제 1 제어부(102)로 전달되는 경우, 크래들(100)은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510)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510)은 온도 프로파일 A, 온도 프로파일 B 및 온도 프로파일 C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습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온도 프로파일 A, 온도 프로파일 B 및 온도 프로파일 C 중 어느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온도 프로파일 A, 온도 프로파일 B 및 온도 프로파일 C는 외부의 온도 및 외부의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일관적이고 만족스러운 흡연감을 제공하기 위해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의 개수는 상술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온도 프로파일 A, 온도 프로파일 B, 온도 프로파일 C 각각은 외부가 고온 고습 환경인 경우의 온도 프로파일, 외부가 상온 중습 환경인 경우의 온도 프로파일 및 외부가 저온 저습 환경인 경우의 온도 프로파일에 해당할 수 있다. 외부 온도가 40℃ 이상이고 외부 습도가 40% 내지 90%인 경우 고온 고습 환경으로, 외부 온도가 -20℃ 내지 26℃ 인이고 외부 습도가 0% 내지 40%인 경우 상온 중습 환경으로, 외부 온도가 -20℃ 이하이고 외부 습도가 0% 이하인 경우 저온 저습 환경으로 분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분류 기준에 따를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440 단계에서 크래들(100)은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온도 프로파일을 통신 링크를 통해 홀더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래들(100)은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을 디스플레이(103)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한 제 2 사용자 입력이 제 1 제어부(102)로 전달되는 경우, 제 1 제어부(102)는 선택된 온도 프로파일을 통신 링크를 통해 홀더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입력에는 푸쉬, 탭, 터치 앤드 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현재 외부의 온도가 12˚C이고 습도가 35%인 경우, 상온 중습 환경에 대응되는 온도 프로파일 B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103)상에서 온도 프로파일 B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제 1 제어 회로(102)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100)의 제 1 제어 회로(102)는 통신 링크를 통해 홀더(110)의 제 2 제어 회로(112)로 온도 프로파일 B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450 단계에서 홀더(110)는 온도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는 온도 프로파일을 제어할 수 있다.
홀더(110)의 제 2 제어 회로(112)는 크래들(100)의 제 1 제어 회로(102)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프로파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히터(113)의 온도가 해당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조절되도록 히터(113)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기 저장된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은 외부의 온도 및 습도 환경에 관계 없이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이 적절히 생성될 수 있도록 설정된 것인 바, 사용자에게 일관된 흡연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외부 디바이스 및 크래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외부 디바이스(600)은 다른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 단말로서, 휴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6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외부 디바이스(600)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크래들(100)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110)가 장착될 수 있다. 크래들(100)은 제 1 통신 회로(101), 제 1 제어 회로(102), 디스플레이(display)(103), 제 1 배터리(104) 및 센서(105)를 포함할 수 있다.
크래들(100)의 제 1 통신 회로(101)는 외부 디바이스(400)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 회로(101)는 외부 디바이스(400)와의 제 1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통신 링크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링크는 USB 통신 케이블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크래들(100)의 제 1 제어 회로(102)는 기지국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외부 디바이스(400)가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제 1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외부 디바이스(4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통화 정보, 화상 통화 정보 및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데이터는 기지국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외부 디바이스(400)가 획득한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은 외부의 온도를 측정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고,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는 외부의 습도를 측정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는 외부 디바이스(400)가 획득한 웹 사이트(website) 상의 날씨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는 외부 디바이스(400)가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저장된 날씨 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크래들(100)의 제 1 제어 회로(102)는 수신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03)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제어 회로(102)는 디스플레이(103)에 표시될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4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통화 정보, 화상 통화 정보,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흡연 중에 외부 디바이스(400)를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크래들(100)의 디스플레이(103)를 통해 음성 통화 정보, 화상 통화 정보,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100)의 제 1 제어 회로(102)는 외부 디바이스(400)로부터 수신한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03)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3) 상에 표시된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조절할 수 있다. 외부의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외부의 습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온도 프로파일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일관적이고 만족스러운 흡연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온도 프로파일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0 단계에서 크래들(100)은 외부 디바이스(400)와의 제 1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크래들(100)의 제 1 통신 회로는 홀더(110)의 제 2 통신 회로(111)와의 제 2 통신 링크를 형성한 상태일 수 있다. 제 1 통신 링크 및 제 2 통신 링크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1 통신 프로토콜 및 제 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2 통신 프로토콜은 서로 다를 수 있다.
710 단계에서, 외부 디바이스(400)는 기지국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를 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는 외부 디바이스(400)가 획득한 웹 사이트(website) 상의 날씨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는 외부 디바이스(400)가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저장된 날씨 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7에서는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 중 어느 하나만을 수신할 수도 있다.
720 단계에서, 홀더(110)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으로부터 제 2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2 습도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 2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2 습도 측정 데이터는 외부의 온도 및 외부의 습도를 측정한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홀더(110)가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 2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2 습도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도 있다.
730 단계에서, 크래들(100)은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제 2 온도 측정 데이터,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 및 제 2 습도 측정 데이터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100)은 제 1 통신 링크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400)로부터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크래들(100)은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홀더(110)로부터 제 2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2 습도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크래들(100)은 홀더(110)로부터 제 2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2 습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크래들(100)에 포함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으로부터 제 2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2 습도 측정 데이터를 직접 획득할 수도 있다.
740 단계에서, 크래들(100)은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2 온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한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하여 온도 보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100)은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온도 값 및 제 2 온도 측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온도 값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온도 보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의 온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750 단계에서, 크래들(100)은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 및 제 2 습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한 보정을 수행하여 습도 보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100)은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습도 값 및 제 2 습도 측정 데이터에 해당하는 습도 값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습도 보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의 습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760 단계에서, 크래들(100)은 온도 보정 데이터, 습도 보정 데이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외부의 온도 보정 데이터 및 습도 보정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03)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온도 보정 데이터 및 습도 보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온도 프로파일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크래들(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103)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해당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사용자 입력이 제 1 제어부(102)로 전달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실행될 수 있다.
770 단계에서, 크래들(100)은 인디케이터를 터치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을 출력할 수 있다.
크래들(100)의 메모리에는 외부의 온도 및 외부의 습도에 대응하여 히터(113)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은 외부가 고온 고습, 상온 중습 및 저온 저습 환경인 경우 각각에 대하여 설정된 온도 프로파일들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사용자 입력이 제 1 제어부(102)로 전달되는 경우, 크래들(100)은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을 출력할 수 있다.
780 단계에서, 크래들(100)은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온도 프로파일을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홀더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온도 프로파일들 중 어느 하나의 온도 프로 파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때 디스플레이(103)상에서 해당 온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제 1 제어 회로(102)로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는 푸쉬, 탭, 터치 앤드 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크래들(100)의 제 1 제어 회로(102)는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홀더(110)의 제 2 제어 회로(112)로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 프로파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790 단계에서, 홀더(110)는 수신한 온도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는 온도 프로파일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제어 회로(112)는 크래들(100)의 제 1 제어 회로(102)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프로파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히터(113)의 온도가 해당 온도 프로파일에 따라 조절되도록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홀더와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1 통신 회로;
    상기 크래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센서; 및
    상기 제 1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 1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 회로는,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에 대한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온도 프로파일을 상기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홀더에 전달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크래들과의 상기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2 통신 회로; 및
    상기 선택된 온도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는 온도 프로파일을 제어하는 제 2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고,
    상기 데이터는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습도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회로;
    상기 크래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기지국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크래들에 포함된 디스플레이(display) 상에 표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통화 정보, 화상 통화 정보 및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기지국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획득한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는 제 1 통신 링크에 해당하고,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홀더와의 제 2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홀더 및 상기 크래들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고,
    상기 데이터는 제 2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제 2 습도 측정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링크 및 제 2 통신 링크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1 통신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2 통신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온도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제 2 온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한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하여 온도 보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습도 측정 데이터 및 상기 제 2 습도 측정 데이터에 기초한 보정을 수행하여 습도 보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온도 보정 데이터, 상기 습도 보정 데이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를 터치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온도 프로파일을 상기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홀더에 전달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는 제 1 통신 회로이고,
    상기 제어 회로는 제 1 제어 회로이고,
    상기 홀더는,
    상기 크래들과의 상기 제 2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2 통신 회로; 및
    상기 수신한 온도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는 온도 프로파일을 제어하는 제 2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3.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제 1 통신 회로;
    상기 크래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센서; 및
    상기 제 1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 1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 회로는,
    상기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를 터치하는 제 1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을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기 저장된 온도 프로파일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2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온도 프로파일을 상기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홀더에 전달하는 크래들.
  14.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회로;
    상기 크래들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기지국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크래들에 포함된 디스플레이(display) 상에 표시하는 크래들.
KR1020190130400A 2019-10-21 2019-10-21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 KR10241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400A KR102413551B1 (ko) 2019-10-21 2019-10-21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
CN202080003901.XA CN113015452B (zh) 2019-10-21 2020-10-21 气溶胶生成装置和托架
US17/059,049 US11957180B2 (en) 2019-10-21 2020-10-21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A3210816A CA3210816A1 (en) 2019-10-21 2020-10-21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PCT/KR2020/014417 WO2021080321A1 (en) 2019-10-21 2020-10-21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20807257.9A EP3829353A4 (en) 2019-10-21 2020-10-21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20572533A JP7137643B2 (ja) 2019-10-21 2020-10-21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CA3102168A CA3102168C (en) 2019-10-21 2020-10-21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220075682A KR20220088840A (ko) 2019-10-21 2022-06-21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240004196A KR20240008395A (ko) 2019-10-21 2024-01-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400A KR102413551B1 (ko) 2019-10-21 2019-10-21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682A Division KR20220088840A (ko) 2019-10-21 2022-06-21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952A true KR20210046952A (ko) 2021-04-29
KR102413551B1 KR102413551B1 (ko) 2022-06-27

Family

ID=7561932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400A KR102413551B1 (ko) 2019-10-21 2019-10-21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
KR1020220075682A KR20220088840A (ko) 2019-10-21 2022-06-21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240004196A KR20240008395A (ko) 2019-10-21 2024-01-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682A KR20220088840A (ko) 2019-10-21 2022-06-21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240004196A KR20240008395A (ko) 2019-10-21 2024-01-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57180B2 (ko)
EP (1) EP3829353A4 (ko)
JP (1) JP7137643B2 (ko)
KR (3) KR102413551B1 (ko)
CN (1) CN113015452B (ko)
CA (1) CA3210816A1 (ko)
WO (1) WO20210803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874A1 (en) * 2021-11-18 2023-05-25 Kt & 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based on cigarette type
WO2023191239A1 (ko) * 2022-03-30 2023-10-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제어 프로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378A1 (en) * 2021-10-26 2023-05-04 Kt&G Corporatio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30103457A (ko) *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230276859A1 (en) * 2022-03-04 2023-09-07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delivery systems
WO2024053965A1 (en) * 2022-09-05 2024-03-14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4053051A1 (ja) * 2022-09-08 2024-03-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カバー部材及びプログラム
WO2024053052A1 (ja) * 2022-09-08 2024-03-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55495A (ko) *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9139A (ja) * 2015-01-29 2018-04-05 アール・エイ・アイ・ストラテジ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アロゾル送達デバイスのための近接検知
KR20180124739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의 종류별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포함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궐련의 종류별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1994297B1 (ko) * 2018-04-11 2019-06-28 (주)서울전업공사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제어 기반 전자담배장치, 그리고 이의 제어 시스템
KR20190082302A (ko) * 2016-11-18 2019-07-09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에어로졸 송달 장치를 위한 습도 감지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0147B2 (en) * 2006-10-13 2009-01-20 Dell Products L.P. Heat dissipation apparatus utilizing empty component slot
KR101275191B1 (ko) * 2011-03-11 2013-06-18 주식회사 에바코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선택 부재
KR102092285B1 (ko) 2013-01-31 202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와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기기
US10219538B2 (en) 2014-02-28 2019-03-05 Beyond Twenty Ltd. Electronic vaporiser system
GB201413037D0 (en) 2014-02-28 2014-09-03 Beyond Twenty Ltd Beyond 10
KR20160108855A (ko) 2015-03-09 2016-09-21 신동욱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 담배
CN117256966A (zh) * 2015-08-14 2023-12-22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接纳吸烟制品的电操作的吸烟装置
KR101883262B1 (ko) 2016-03-18 2018-07-30 주식회사 아이다코리아 양방향 무선통신을 통한 전자담배와 사용자단말의 연동시스템
CN109963606B (zh) 2016-05-25 2022-10-14 尤尔实验室有限公司 电子蒸发器的控制
US20180132529A1 (en) * 2016-11-14 2018-05-17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integrated wireless connectivity for temperature monitoring
KR20180070451A (ko)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형성기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시스템
RU2749137C2 (ru) 2016-12-16 2021-06-04 Кей Ти Энд Дж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KR20180114825A (ko)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자 담배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80314296A1 (en) 2017-05-01 2018-11-01 Essential Products, Inc. Mobile docking station for handheld mobile device
WO2019031871A1 (ko) 2017-08-09 2019-02-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자 담배 제어 방법 및 장치
EP3704972A4 (en) 2017-10-30 2021-09-15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HEATING ELEMEN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KR20190051785A (ko)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통해 흡연감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
AU2019228539B2 (en) * 2018-02-27 2024-01-25 Juul Labs, Inc. Mass output controlled vaporizer
WO2019198552A1 (ja) 2018-04-13 2019-10-1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充電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9139A (ja) * 2015-01-29 2018-04-05 アール・エイ・アイ・ストラテジ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アロゾル送達デバイスのための近接検知
KR20190082302A (ko) * 2016-11-18 2019-07-09 레이 스트라티직 홀딩스, 인크. 에어로졸 송달 장치를 위한 습도 감지
KR20180124739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의 종류별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포함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궐련의 종류별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1994297B1 (ko) * 2018-04-11 2019-06-28 (주)서울전업공사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제어 기반 전자담배장치, 그리고 이의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874A1 (en) * 2021-11-18 2023-05-25 Kt & 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erosol based on cigarette type
WO2023191239A1 (ko) * 2022-03-30 2023-10-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제어 프로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57180B2 (en) 2024-04-16
JP2022510060A (ja) 2022-01-26
WO2021080321A1 (en) 2021-04-29
EP3829353A4 (en) 2022-04-06
CA3210816A1 (en) 2021-04-21
CN113015452B (zh) 2023-11-28
KR102413551B1 (ko) 2022-06-27
KR20240008395A (ko) 2024-01-18
US20220295903A1 (en) 2022-09-22
EP3829353A1 (en) 2021-06-09
KR20220088840A (ko) 2022-06-28
JP7137643B2 (ja) 2022-09-14
CN113015452A (zh)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551B1 (ko)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 및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홀더가 장착되는 크래들
EP3677132A1 (en) Electronic cigarett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cigarette
US20190110520A1 (en) Consumable identification
JP7111438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とデータ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3024619A1 (ja) 体動量測定装置
JP6165700B2 (ja) モバイルバッテリーの充電情報を検知し、かつ表示する方法
US20220125123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sensing contact of user to activate hea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849541B2 (en) Portable complex sensor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items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measurement method
CA3102168C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RU279411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содержащее держатель и подставку для держателя
KR20160120001A (ko) 단말기와 연동되는 물리량 측정 장치
KR102361674B1 (ko) 홀더를 수용하는 크래들
KR20210006209A (ko)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US11890075B2 (en) Portable complex sensor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items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measurement method
US20240172939A1 (en) Portable complex sensor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items of biometric information, and measurement method
US20220408830A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determining abnormal operation
TWI815266B (zh) 複合式體溫計及其控制主機
KR10241262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진열 시스템
CN213030634U (zh) 蓝牙耳温枪
EP42277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outputting image for virtual reality
EP4212042A1 (en) Inhal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US202400608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mperature determination
KR2021001401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5568632A (zh) 烟具的温度控制方法及烟具
KR20190038180A (ko) 충전 방법 및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