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919A - Tissue removal apparatus - Google Patents

Tissue removal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919A
KR20210046919A KR1020190130232A KR20190130232A KR20210046919A KR 20210046919 A KR20210046919 A KR 20210046919A KR 1020190130232 A KR1020190130232 A KR 1020190130232A KR 20190130232 A KR20190130232 A KR 20190130232A KR 20210046919 A KR20210046919 A KR 20210046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theter
bending
uni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2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0220B1 (en
Inventor
조성윤
추현욱
구종수
Original Assignee
랩앤피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랩앤피플주식회사 filed Critical 랩앤피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220B1/en
Priority to US17/603,950 priority patent/US20220304716A1/en
Priority to EP20790687.6A priority patent/EP3957258A4/en
Priority to PCT/KR2020/005055 priority patent/WO2020213934A1/en
Priority to JP2021559655A priority patent/JP7305788B2/en
Priority to CN202080029281.7A priority patent/CN113692255A/en
Publication of KR20210046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9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2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1Discectom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04Surgical cutting instruments abrasive
    • A61B2017/320008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28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with reciprocating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32Details of the rotating or oscillating shaft, e.g. using a flexibl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2017/320733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with a flexible cutting or scraping element, e.g. with a whip-like distal filament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 catheter extending from the housing and inserted into a patient's body; a bending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bending blocks provided at the tip of the catheter and at least one wir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ending blocks; and a tissue removal unit provided at the tip of the catheter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issue to be removed.

Description

조직 제거장치{TISSUE REMOVAL APPARATUS}Tissue removal device {TISSUE REMOVAL APPARATUS}

본 발명은, 조직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추간공이나 생식기관, 안구 등과 같이 신체 내의 협소 공간이나 관형 공간에 삽입되어 신경을 압박하거나 질병을 유발하는 조직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직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ssue removal apparatus, and in detail,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 narrow space or tubular space in the body such as the intervertebral cavity, reproductive organs, and eyes to easily remove tissues that compress nerves or cause diseases. It relates to a tissue removal device.

각종 수술 과정 중에는 체내에 발생한 비정상 조직이나 뼈 등을 제거해야 하는 때가 많다. 가령, 추간공 협착증, 전립선 비대증, 자궁선근증 등과 같은 수술을 진행할 시에 신체내 연부조직 뿐만 아니라 경조직을 제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During various surgical procedures, it is often necessary to remove abnormal tissues or bones generated in the body. For example, when performing an operation such as stenosis of the intervertebral cavity, enlarged prostate, adenomyosis, etc., there are cases in which not only soft tissues but also hard tissues in the body are removed.

그중, 추간공 협착은 골극(bone spur), 후종인대의 주름(buckling), 후관절(facet joint) 또는 황색인대(ligament flavum) 비후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이다. 즉, 추간공 협착은 의도하지 않은 골조직 또는 연조직의 증식이 척추 신경을 압박함에 따라서 발생되는 질병이라 할 수 있다.Among them, intervertebral stenosis is a degenerative disease caused by bone spur, buckling of the posterior ligament, facet joint, or ligament flavum thickening. That is, intervertebral stenosis can be said to be a disease that occurs as unintended proliferation of bone or soft tissue compresses the spinal nerve.

이러한 질병의 치료를 위하여 풍선 확장술, 척추유합술, 신경성형술, 추간공 확장술과 같은 다양한 시술방식이 사용되고 있다.Various procedures such as balloon dilatation, spinal fusion, neuroplasty, and intervertebral cavity dilatation are used for the treatment of these diseases.

풍선 확장술은 협착된 신경근 통로에 카테터를 이용하여 풍선을 위치시킨 뒤 부풀려 신경근이 지나는 통로를 넓혀주어 유착 상태를 해제시키고 신경의 직접 압박을 완화하기 위한 시술로서, 간편하고 회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으나, 유착 부위의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고 재발율이 높아 주로 경미한 환자들에게 시행되는 한계가 있다.Balloon dilatation is a procedure for releasing adhesion and relieving direct pressure on nerves by placing a balloon in the narrowed nerve root passage using a catheter and then inflating it to widen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nerve root pass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treat fundamentally at the adhesion site, and the recurrence rate is high, so there is a limitation that is mainly applied to mild patients.

척추유합술은 두 척추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두 척추간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수술법이라 할 수 있다. 이 시술은 광역 절개가 일반적이고, 미세침습적인 시술의 경우에도, 최근의 다른 미세침습적인 시술에 비하여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척추체 고정을 위한 임플란트가 삽입되기 때문에 척추체 유합으로 인한 환자의 운동성이 저하되어 장기적으로 인접분절의 불안정성이 증가되고, 많은 비용과 장기간 요양이 요구되는 단점도 있으며, 이에 다른 경제적, 신체적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Spinal fusion can be said to be a surgical method in which the movement between two vertebrae is fixed in order to keep the vertebrae at regular intervals. In this procedure, wide-area incision is common, and even in the case of microinvasive procedures,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takes longer than other microinvasive procedures in recent years. In addition, since an implant for fixing the vertebral body is inserted, the patient's mobility As this decreases, instability of adjacent segments increases in the long term, and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a large cost and long-term medical care are required, and other economical and physical burdens are largely problematic.

신경성형술은, 척추를 통해 길게 형성되는 척추관을 따라 연질의 카테터를 삽입한 후, 통증을 유발하는 병변 부위에 약물을 분사하는 수술법이라 할 수 있다. 이 시술은 미세침습 시술로서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으나 협착을 일으키는 구조적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 아니고 물리적인 치료를 동반하기 어려워 증상개선 효과가 크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Neuroplasty is a surgical method in which a soft catheter is inserted along a spinal canal that is formed through the spine and then a drug is injected into a lesion site that causes pain. Although this procedure is a microinvasive procedure, it has the advantage of quick recovery, but it is not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structural problem that causes stenosis, and it is difficult to accompany physical treatment, so i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symptom improvement effect is not large.

그리고, 추간공 확장술은, 경질의 침투관을 구비한 시술도구로 추간공을 좁게 한 생체 조직 등을 긁어내어 추간공의 신경 통로를 확보하는 수술법이라 할 수 있다. 이 시술은 내시경을 이용해 육안으로 수술부위를 확인하며 수술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추간공의 외측 조직의 제거는 가능하지만, 입체적인 추간공의 내, 외측의 모든 조직을 긁어 내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신경을 압박하는 모든 부위의 조직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 할 뿐 아니라, 시술도구와 내시경이 병변까지 함께 도달해야 하므로 두 방향 이상에서 삽입되어야 하거나 상대적으로 기구의 직경이 커지게 되어 시술을 복잡하게 하고 회복 기간을 증가시키는 등 환자 불편 가중의 원인이 된다.In addition, the intervertebral cavity dilatation can be said to be a surgical method in which a biological tissue or the like that has narrowed the intervertebral cavity is scraped with a surgical tool provided with a hard infiltrating tube to secure the neural passage of the intervertebral cavity. This procedur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surgery by visually checking the surgical site using an endoscope, bu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outer tissues of the intervertebral cavity, but there is a limit to scraping all the tissues inside and outside of the three-dimensional intervertebral cavity. Not only does it not provide a sufficient function to remove the tissues from all the areas under pressure, but also because the surgical tool and the endoscope must reach the lesion together, it must be inserted from two or more directions, or the diameter of the device is relatively large, which complicates the procedure. It is a cause of increased patient discomfort, such as increasing the recovery period and increasing the recovery period.

따라서, 본 출원인은, 기존 시술기의 장점은 강화하면서 위에서 설명된 시술방식들의 단점은 최소화할 수 있는 조직 제거장치를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2453호의 '추간공인대절제술에 의한 경피적 추간공 확장시술방법 및 그에 이용되는 시술도구'가 있다.Therefore,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tissue removal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disadvantages of the above-described treatment methods while enhancing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procedure. As a related prior art documen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02453 There is a'percutaneous intervertebral cavity expansion procedure by intervertebral ligament resection and surgical tools used there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체 내에서 신경을 압박하거나 질병을 유발하는 조직을 긁어낼 시에, 이 조직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선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는 조직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scraping a tissue that compresses a nerve or causes a disease in the body, the tip of the tissue can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cation of the tissu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신경을 압박하는 조직을 직접적으로 긁어내는 스크레이퍼가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선단부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되는 조직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ssue removal apparatus in which a scraper for directly scraping a tissue compressing a nerve is linearly reciprocated on a distal end by manipulation of a practitioner.

또한, 본 발명은, 스크레이퍼가 조직을 긁어내는 과정에서 또 다른 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직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ssue removal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other nerve from being damaged in the process of scraping the tissue by the scraper.

또한, 본 발명은, 시술자가 파지하기 쉬운 하우징 형태를 제공함과 동시에 시술자의 간단한 손가락 움직임만으로 선단부가 밴딩되고, 더불어, 스크레이퍼가 직선 왕복 운동될 수 있는 조직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ssue removal apparatus in which the front end is bent only by simple finger movement of the operator while providing a housing shape that is easy for the operator to grasp, and in addition, the scraper can be linearly reciprocated.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연장되며, 환자의 신체로 삽입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밴딩블록과, 상기 밴딩블록들의 운동방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밴딩유닛; 및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과 접촉되는 조직 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A catheter extending from the housing and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A bend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bending block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and at least one wir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ending blocks; And a tissue removal unit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and in contact with the tissue to be removed.

또한, 상기 밴딩유닛은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서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ding unit may be bent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또한, 상기 조직 제거유닛은, 상기 밴딩유닛이 구부러지면, 상기 밴딩유닛 상에서 노출되어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과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ssue removal unit, when the bending unit is bent, may be exposed on the bending uni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tissue to be scraped.

또한, 상기 밴딩유닛은, 상기 밴딩블록들을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서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와이어; 상기 밴딩블록들이 구부러질 수 있는 장력을 제공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밴딩블록들 중에서 최선단 측에 배치된 밴딩블록과 연결되며,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경유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nding unit may include: a first wire for maintaining the banding blocks in an aligned state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A second wire providing a tension capable of bending the bending blocks; And a cap connected to the bending block disposed at the most end of the bending blocks,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또한, 상기 캡이 상기 제2와이어에 의해 당겨져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 상에서 선회되면 상기 밴딩블록들은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p is pulled by the second wire and rotated on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he bending blocks may be bent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또한, 상기 캡은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 상에서 0도~90도의 각도를 가진 채 선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 may be pivoted while having an angle of 0° to 90° on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또한, 상기 조직 제거유닛은, 상기 카테터의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되고, 그 선단부는 상기 밴딩블록들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ssue removal unit, the shaft forward or backward in the interior of the catheter, the tip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bending blocks; And a blade provided at the tip of the shaft.

또한, 상기 제2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는 다이얼; 및 상기 다이얼에 마련된 채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ncludes a tension adjustment unit for providing tension to the second wire, wherein the tension adjustment unit includes a dial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while being rotatably provided in the housing; And a knob provided on the dial and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다이얼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이얼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리는 래치가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핀이 마련되는 회동 플레이트;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채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comprises a stopper module for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dial, the stopper module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latch formed in the dial engaged with a gear i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 rotation plate provided with a rotation pin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A pressing member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pos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pivoting plate.

또한, 상기 샤프트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샤프트의 기단부와 연결되는 이송 블록;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송 블록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n operation unit for moving the shaft forward or backward, the operation unit is provided to be linearly reciprocating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the transfer block connected to the base end of the shaft; A trigger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housing and for moving the transfer block forward or backward; And a restoring means for returning the trigger to its original state.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보조 치료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member into which an auxiliary treatment means can be inserted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and one side of the guide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exposed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된 보조 치료수단은 상기 카테터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캡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treatment means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may be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ap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atheter.

또한, 상기 보조 치료수단은, 약물 전달용 튜브, 내시경, 전기 소작기의 전류 인가부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treatment means may include any one of a drug delivery tube, an endoscope, and a current applying member of an electric cauterizer.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연장되며, 시술자의 손바닥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상부에는 상기 노브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측부에는 상기 누름부재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includes a receiving member having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gripping member extending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from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and gripped by the palm of the operator, wherein an opening exposing the knob to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opening exposing the pressing member to the outside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카테터의 삽입 위치 또는 삽입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카테터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상키 캡의 관통구멍으로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connector detachably coupled to the cap, the connector, the guide wire for guiding the insertion position or insertion path of the catheter can be guid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top cap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atheter. .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캡이 삽입되는 제1삽입구; 및 상기 제1삽입구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캡의 관통구멍이 배치된 방향을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제2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the first insertion port into which the cap is inserted; And a second insertion hole that is connected so as to b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has an inner diameter gradually narrowing toward a direc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 of the cap is disposed.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는, 신체 내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이 배치된 방향으로 블레이드를 안내하여 조직 상에 밀착시키는 구성을 가지므로, 신체 내의 협소한 공간 형태의 의해 도달하기 어려웠던 병변 부위의 조직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tissu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lade is gui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ssue to be removed from within the body is placed and adheres to the tissue, so the tissue at the lesion site that was difficult to reach due to the narrow space in the body Can be removed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는, 블레이드가 조직을 긁어내기 위하여 진퇴운동 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가 좌/우측으로 흔들림없이 직선 방향으로만 왕복운동되도록 가이드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만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the blade to reciprocate only in a linear direction without shaking to the left/right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blade forward and backward to scrape the tissue so that only the tissue to be removed can be effectively removed.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는, 블레이드가 조직을 긁어내기 위하여 진퇴운동 되는 과정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 이외의 주변 신경이나 기타 조직 등을 긁어내지 않도록 밴딩유닛의 밴딩블록들이 주변 신경이나 기타 조직을 보호하여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ing blocks of the banding unit are used to prevent scraping of surrounding nerves or other tissues other than the tissue to be removed in the process of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blade to scrape the tissue. To prevent further damage from occurr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는, 밴딩블록들의 저부가 신체 내의 관형 구조 내에서 구부러지면서 조직 제거유닛을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이 배치된 방향으로 밀어줌과 동시에, 관형 구조의 일면과 접촉되어 조직 제거유닛의 진퇴 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체 기능도 수행하므로, 블레이드와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간의 밀착력을 더욱 상승시켜 조직 제거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of the banding blocks is bent in the tubular structure in the body, pushing the tissue removal uni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ssue to be scraped is dispos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tubular structure to remove Since it also performs a support function that enables the unit's advancing and retreating movements to be stably perform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issue removal rate by further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blade and the tissue to be rem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는, 약물 전달 튜브, 내시경, 전기 소작기와 같은 보조 치료수단이 경유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조직을 제거하는 과정과 병변 부위를 확인하고 별도로 치료하는 과정이 동시에 수행되어 수술 시간 및 수술 횟수를 단축시키고, 이에 따른, 환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be passed through auxiliary treatment means such as a drug delivery tube, an endoscope, and an electric cauterizer, so that the process of removing the tissue and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lesion site and treating the lesion separately It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o shorten the operation time and the number of operations, thereby reducing the physical burden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는, 시술자가 밴딩유닛을 구부리는 조작과정과 조직 제거유닛을 진퇴 운동 시키는 조작과정이 하우징의 구조에 의해 간편하게 수행되도록 하여 시술자가 간단한 손가락 동작 만으로도 수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perator to bend the bending unit and the manipulation process of moving the tissue removal unit forward and backward by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so that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operation with only a simple finger operation. To be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직 제거장치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직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밴딩유닛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유닛이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유닛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의 밴딩유닛이 관형 구조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부러진 모습을 보여주는 참고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텍터가 캡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텍터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ssu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ior view of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tissue removal device shown in Figure 2;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rea A of FIG. 1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a be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 bending unit in a ben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be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ference photograph showing a bending unit of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while inserted into a tubular struct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ap.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8;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Hereinafter, a tissu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직 제거장치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직 제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밴딩유닛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유닛이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유닛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의 밴딩유닛이 관형 구조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부러진 모습을 보여주는 참고사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ssu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ior view of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shown in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rea A of FIG. 1 to show the configuration of a be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en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 7 is a bent view of the bending unit of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ed into the tubular structure. This is a reference photo to show.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에서 연장되며, 환자의 신체로 삽입되는 카테터(300); 상기 카테터(300)의 선단부에 마련되며,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구부러지는 밴딩유닛(400); 및 상기 밴딩유닛(400) 상에서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되어 조직을 긁어내는 조직 제거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200; A catheter 300 extending from the housing 200 and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A bending unit 400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300 and bent by an operator's manipulation; And a tissue removal unit 500 for scraping the tissue by linearly reciprocating motion on the bending unit 400 by the manipulation of the operator.

상기 하우징(200)은 시술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전체적으로 건(gun) 타입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후술할 각종 구성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다.The housing 200 may have a gun-type shape as a whole to facilitate gripping by a practitioner, and a space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various configurations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00.

상기 카테터(300)는, 중공의 관 형태를 가지며, 그 길이방향 일단은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나머지 길이방향 부위는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된다.The catheter 300 has a hollow tube shape, and one end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00, and the remaining longitudinal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00.

상기 밴딩유닛(4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300)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밴딩블록(410); 상기 밴딩블록(410)들을 상기 카테터(300)의 선단부에서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와이어(w1); 상기 밴딩블록(410)들이 구부러질 수 있는 장력을 제공하는 제2와이어(w2); 및 상기 다수개의 밴딩블록(410) 중에서 최선단 측에 배치된 밴딩블록(410)과 연결되며 상기 제1와이어(w1) 및 상기 제2와이어(w2)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결되는 캡(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ending unit 400, as shown in Figs. 2 to 4, a plurality of bending blocks 410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300; A first wire (w1) for maintaining the bending blocks 410 in an aligned state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300; A second wire (w2) providing tension through which the bending blocks 410 can be bent; And a cap 420 connected to the bending block 410 disposed at the most end of the plurality of bending blocks 410 and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wire w1 and the second wire w2. May include;

상기 밴딩블록(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U'자의 단면 형태를 가지는 블록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밴딩블록(410)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라 할 수 있으며, 그 내측에는 후술할 조직 제거유닛(500)의 샤프트(510) 및 블레이드(52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The bending block 410 may be referred to as a block body having an overall'U' cross-sectional shape, as shown in FIG. 4. Accordingly, the upper portion of the bending block 410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state, and a space in which the shaft 510 and the blade 520 of the tissue removal unit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inside the bending block 410.

이러한 밴딩블록(41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반원 형태의 돌출부재(411)가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에는 돌출부재(411)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의 홈(412)이 형성될 있다. 이에 따라, 다수개의 밴딩블록(410)은 서로 이웃한 밴딩블록(410)에 형성된 홈(412)과 돌출부재(411)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상호 간에 회동이 가능하다.A semicircular protruding member 4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ending block 4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roove 41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ding member 411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bending blocks 410 can rotate with each other as the grooves 412 and the protruding members 411 formed in the adjacent bending blocks 410 are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밴딩블록(410)에는 후술할 보조 치료수단(t)이 통과되는 관통구멍(413)과 상기 제1와이어(w1)가 통과되는 관통구멍(41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413 through which an auxiliary treatment means t to be described later passes and a through hole 414 through which the first wire w1 passes may be formed in the bending block 410, respectively.

상기 제1와이어(w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밴딩블록(410)이 카테터(300)의 선단부에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wire w1 may provide tension so that the plurality of bending blocks 410 are aligned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300.

제1와이어(w1)의 길이방향 일단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마련된 텐션 유지수단(230)에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다수개의 밴딩블록(410)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414)과 캡(420)에 형성된 관통구멍(422)을 경유한 뒤 텐션 유지수단(23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와이어(w1)의 길이방향 타단은 카테터(3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밴딩블록(410) 및 캡(420)과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wire w1 is connected to the tension holding means 23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00,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rough-holes 414 respectively formed in the plurality of bending blocks 410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422 formed in the cap 420, it may be connected to the tension holding means 230. Here, it can be said th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w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atheter 300 and is connected to the bending block 410 and the cap 420.

텐션 유지수단(230)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방향 일단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재와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제1와이어(w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텐션 유지수단(230)에 의하여 제1와이어(w1)는 팽팽한 긴장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개의 밴딩블록(410)도 일체로 정렬되어 팽팽한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tension holding means 230 may be composed of a coil spring, and one end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onnected to a fixing member formed inside the housing 200,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wire w1. The first wire w1 is in a tight tension state by the tension maintaining means 230, and accordingly, a plurality of bending blocks 410 are also integrally aligned to maintain a tight tension state.

상기 제2와이어(w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밴딩블록(410)이 카테터(200)의 선단부에서 구부러질 수 있는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wire w2 may provide a tension that allows the plurality of bending blocks 410 to be bent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200.

재2와이어(w2)의 길이방향 일단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마련된 다이얼(431)과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카테터(200)의 내부와 캡(420)을 경유한 뒤 다이얼(431)과 연결될 수 있다.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wire w2 is connected to the dial 431 provided in the housing 200,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theter 200 and the cap 420, and then the dial 431 ) Can be connected.

상기 캡(420)은 환자의 신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태를 가진 채로 다수개의 밴딩블록(410) 중 최선단에 배치된 밴딩블록(410)과 연결되는 것으로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다.The cap 420 may have a shape tha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and 6, a plurality of bending blocks while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It is shown on the drawing as being connected to the bending block 410 disposed at the foremost of the 410.

캡(420)에도 보조 치료수단(t)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구멍(421)과 제1와이어(w1)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구멍(422)이 밴딩블록(410)에 형성된 관통구멍(413, 414)과 각각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고, 또한, 제2와이어(w2)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구멍(423)이 더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421 through which the auxiliary treatment means t can pass through the cap 420 and a through hole 422 through which the first wire w1 can pass are formed in the bending block 410. A through hole 423 through which the second wire w2 can pass may be further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밴딩유닛(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가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이 배치된 방향으로 선회되면, 상기 선단부를 제외한 밴딩유닛(400)의 길이방향 부위는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질 수 있다. 즉, 밴딩유닛(400)의 캡(420)이 제2와이어(w2)에 의해 당겨지면서 조직이 배치된 방향으로 약 0도에서 90도의 각도 범위를 가진 채로 선회되면 다수개의 밴딩블록(410)들은 조직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질 수 있다.When the banding unit 4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ssue to be scraped off is disposed, as shown in FIG. 5, the longitudinal portion of the banding unit 400 excluding the tip is scraped off. It can be bent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toward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ssue is placed. That is, when the cap 420 of the banding unit 400 is pulled by the second wire w2 and rotated with an angular range of about 0° to 9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ssue is arranged, the plurality of bending blocks 410 It can be bent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toward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ssue is placed.

상기 조직 제거유닛(500)은, 카테터(200)의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되되 그 선단부는 다수개의 밴딩블록(4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샤프트(510); 및 상기 샤프트(510)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블레이드(5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ssue removal unit 500, a shaft 510 which is forward or backward in the interior of the catheter 200, but its tip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a plurality of bending blocks 410; And a blade 520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haft 510.

샤프트(510)의 길이방향 일단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장착된 후술할 조작부(530)와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카테터(30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밴딩유닛(400)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510)의 선단부, 즉, 길이방향 타단부는 밴딩블록(410)에 의해 구획된 내측공간에 안착되고, 나머지 길이방향 부위는 카테터(300)의 내부공간 및 하우징(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510 is connected to an operation unit 530 that will be described later mounted inside the housing 200,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atheter 300 so that the bending unit 400 is disposed. Can be extended in any direction. Here, the front end of the shaft 510, that is,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partitioned by the bending block 410, and the remaining longitudinal parts are the inner space of the catheter 300 and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00. Can be placed in space.

상기 블레이드(520)는, 밴딩유닛(400) 상에서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51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블레이드(520)가 서로 간격을 두고서 샤프트(510)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다.The blade 520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510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bending unit 400. For referen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in the drawing that the two blades 520 are provided on the shaft 510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블레이드(520)는, 공지의 다양한 접합방식으로 샤프트(510)의 선단부에 장착될 수 있으나, 단단한 조직을 긁어낼 시에 샤프트(510)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용접방식으로 샤프트(51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lade 52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shaft 510 by various known bonding methods, but it is recommended that the blade 520 be mounted on the shaft 510 by a welding metho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shaft 510 when scraping off a hard tissue. desirable.

또한, 블레이드(520)에는, 제2와이어(w2)가 후술할 장력 조절부(430)에 의해 당겨지거나 원상태로 복귀되어 밴딩유닛(400)을 구부리거나 펼 시에, 제2와이어(w2)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구멍(521)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lade 520, when the second wire w2 is pulled or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tension adjusting unit 430 to be described later to bend or unfold the bending unit 400, the second wire w2 is A through hole 521 through which it can pass may be formed.

이 관통구멍(521)은, 샤프트(510)가 전진 되거나 후진됨에 따라서 블레이드(520)가 직선 왕복 운동될 시에, 블레이드(520)가 제2와이어(w2)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샤프트(510)와 블레이드(520)는 제2와이어(w2)에 의해 가이드되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직선 방향으로만 진퇴 운동될 수 있다. This through hole 521 prevents the blade 520 from interfering with the second wire w2 when the blade 520 is linearly reciprocated as the shaft 510 is advanced or reversed. Further, the shaft 510 and the blade 520 are guided by the second wire w2 so that they do not flo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may move forward and backward only in a linear dir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직 제거유닛(5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딩유닛(400)이 구부러지면, 밴딩유닛(400) 상에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채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이 배치된 방향으로 노출되어 직선 왕복 운동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밴딩블록(41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서 샤프트(510)와 블레이드(520)가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이 배치된 방향으로 노출되며, 이때 샤프트(510)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소정의 각도를 가진 채 구부러질 수 있다.The tissue removal unit 5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5, is a direction in which the tissue to be scraped off while being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banding unit 400 is arranged when the bending unit 400 is bent. It can be exposed as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at is,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plurality of bending blocks 410, the shaft 510 and the blade 520 are expo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ssue to be scraped is dispose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510 Can be bent at an angle.

위와 같은 상태에서 샤프트(510)가 전진 또는 후진되면 블레이드(520)가 직선 왕복 운동되면서 조직을 긁어낼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shaft 510 moves forward or backward in the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blade 520 is capable of scraping the tissue while linearly reciprocating.

다시 말해, 밴딩유닛(400)의 밴딩블록(410)이 구부러지기 전까지는 밴딩블록(410) 상에서 외부로 거의 노출되지 않지만, 밴딩블록(410)이 일 방향으로 선회되어 구부러지면 밴딩블록(410)이 형성하는 내측공간에서 샤프트(510)의 선단부와 그 선단부에 장착된 블레이드(520)가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In other words, until the bending block 410 of the bending unit 400 is bent, it is hardly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bending block 410, but when the bending block 41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bent, the bending block 410 In the inner space formed therein, the front end of the shaft 510 and the blade 520 mounted on the front end may be completely exposed.

이에 따라, 조직 제거유닛(500)은 신체 내의 병변 부위까지 용이하게 접근하여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issue removal unit 50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tissue to be scraped by easily accessing the lesion site in the body.

한편, 밴딩유닛(400)은,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을 향해 선회되어 조직 제거유닛(500)이 조직과 마주하게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에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banding unit 400 is not limited to the role of guiding the tissue removal unit 500 to be disposed facing the tissue by turning toward the tissue to be scraped.

즉, 밴딩유닛(400)은, 조직 제거유닛(500)이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되어 조직을 긁어낼 시에 블레이드(520)가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 이외의 주변 신경이나 기타 조직 등을 긁어내어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프로텍터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banding unit 400, when the tissue removal unit 500 is repeatedly reciprocated and scraped the tissue, the blade 520 scratches and damages surrounding nerves or other tissues other than the tissue to be scraped. It can also function as a preventive protector.

더불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유닛(400)이 신체 내부에서 관 형태를 가지는 협소 공간에 삽입되어 조직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a) of FIG. 7, the banding unit 400 may be inserted into a narrow space having a tubular shape inside the body to remove tissue.

참고로, 도 7은, 본 발명의 카테터(300) 및 밴딩유닛(400)이 신체 내부의 관 형태 구조에 삽입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이해하기 쉽도록 보여주기 위한 참고도면이며, 투명 소재의 파이프(P) 내부에 상기 카테터(300) 및 상기 밴딩유닛(400)이 삽입되어 있다For reference, FIG. 7 is a reference drawing to show for easy understanding how the catheter 300 and the banding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erted and operated in a tubular structure inside the body, and a pip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 P) The catheter 300 and the banding unit 400 are inserted inside

여기서, 밴딩블록(410)들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협소 공간 내에서 구부러지면서 파이프(P)의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캡(420)은 파이프(P)의 천장면과 접촉될 수 있다.Here, the bending blocks 410 ma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pipe P while being bent in the narrow space of the pipe P, as shown in FIG. 7B. In addition, the cap 420 may contact the ceiling surface of the pipe P.

그러면, 밴딩유닛(400)이 관 형태의 구조 내에서 2점 지지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조직 제거유닛(500)의 진퇴 운동이 신체의 관형 구조 내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될 뿐만 아니라, 조직 제거유닛(500)과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 간의 밀착력이 증가되어 조직을 더욱 쉽게 제거할 수 있다.Then, because the banding unit 400 is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by two points in the tubular structure, the advancing and retreating movement of the tissue removing unit 500 is performed more stably within the tubular structure of the body, as well as the tissue removing unit The adhesion between the 500 and the tissue to be scraped is increased, so that the tissue can be removed more easily.

참고로, 샤프트(510)는 그 선단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 구부러졌다가 다시 직선 형태로 회복될 수 있는 가요성이 우수한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밴딩유닛(400)의 밴딩블록(410)도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졌다가 원상태로 회복될 수 있는 가요성이 우수한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shaft 5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or a plastic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can be bent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n restored to a straight shape. Similarly, the bending block 410 of the bending unit 40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or a plastic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can be bent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then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상기 밴딩블록을 구부리는 장력 조절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nsion adjusting unit 430 that bends the bending block.

상기 장력 조절부(4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제2와이어(w2)와 연결되는 다이얼(431); 및 상기 다이얼(431)에 마련된 채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로 노출되는 노브(4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nsion adjusting part 430 may include a dial 431 rotatably provided in the housing 200 and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w2,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a knob 432 provided on the dial 431 and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상기 다이얼(431)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를 가지며, 하우징(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그 일측에는 제2와이어(w2)의 길이방향 단부가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dial 431 may have a semicircular shape as a whole, and may be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housing 200. In addition, an end portion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wire w2 may be fixedly connected to one side thereof.

그리고, 다이얼(431)의 저부에는 기어(g1)가 다이얼(431)의 외면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기어는 후술할 스토퍼 모듈(440)과 결합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a gear g1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ial 43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al 431. This gear may be referred to as a component coupled to the stopper module 44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노브(432)는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어 다이얼(431)을 회동시키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기어(g1)가 배치되지 않은 다이얼(431)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노브(43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하우징(432)의 외부로 노출된다.The knob 432 may be referred to as a component that rotates the dial 431 by being manipulated by the operator, and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al 431 on which the gear g1 is not disposed. At this time, the knob 43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432 so that it can be manipulated by the operator, as shown in FIGS. 1 to 3.

따라서, 시술자가 노브(432)를 자신을 향해 손가락으로 당기면 다이얼(431)이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연동하여 다이얼(431)의 일측과 연결된 제2와이어(w2)가 이동되면서 밴딩유닛(420)의 캡(420)을 상향으로 선회 시킬수 있다. 그러면, 제1와이어(w1)와 매개로 연결된 다수개의 밴딩블록(410)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질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operator pulls the knob 432 toward him with a finger, the dial 431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wire w2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ial 431 is moved in conjunction with this, and the bending unit 420 The cap 420 of can be rotated upward. Then, a plurality of bending blocks 410 connected to the first wire w1 may be bent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한편,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된 다이얼(431)은 스토퍼 모듈(440)에 의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al 431 rotated by the operator's manipulation may be maintained in a stopped state by the stopper module 440.

상기 스토퍼 모듈(4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이얼(431)에 형성된 기어(g1)와 맞물리는 래치(441a)가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하우징(2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핀(441b)이 마련되는 회동 플레이트(441); 상기 회동 플레이트(441)의 폭방향 일측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20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누름부재(442); 및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마련된 채 상기 회동 플레이트(441)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er module 44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0,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has a length of a latch 441a engaged with a gear g1 formed on the dial 431. A rotation plate 441 provided on one side in the direction and provided with a rotation pin 441b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200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ressing member 442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on plate 441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pos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200; And an elastic member 443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rotating plate 441 while being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00.

먼저, 상기 회동 플레이트(441)는, 다이얼(43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길이방향 일단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얼(431)에 형성된 기어(g1)와 치합될 수 있는 래치(441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 플레이트(441)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하우징(200)의 내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핀(441b)이 마련되어 있다.First, the rotating plate 441 may be disposed under the dial 431, and at one end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latch 441a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gear g1 formed on the dial 431 as described above. Is prepared. Further, a rotation pin 441b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plate 44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상기 누름부재(442)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441)의 폭방향 일측에서 수직 상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일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442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a plat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one side of the rotation plate 441 in the width direction, and 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200 may be operated by a practitioner. It can be exposed to one side.

상기 탄성부재(443)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채 회동 플레이트(441)의 저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443)의 하단은 하우징(200)의 내면과 접촉되고 그 상단은 회동 플레이트(441)의 저면과 접촉된다.The elastic member 443 may be implemented as a compression spring, and may elastically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441 while being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housing 200.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443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and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member 443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441.

따라서, 시술자가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부재(442)를 누르게 되면, 회동 플레이트(441)의 길이방향 일측이 하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연동하여 탄성부재(443)가 압축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pressing member 44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00,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plate 441 is rotated downward, and the elastic member 443 may be compressed in connection therewith. .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회동 플레이트(441)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된 래치(441a)는 다이얼(431)의 기어(g1)와 비접촉되고, 이에 따라, 다이얼(431)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In the above state, the latch 441a provid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441 does not contact the gear g1 of the dial 431, and accordingly, the dial 431 may be in a rotatable state. .

그러면, 시술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력 조절부(430)를 이용하여 밴딩유닛(400)의 밴딩블록(410)을 원하고자 하는 각도로 구부릴 수 있다.Then, the operator can bend the bending block 410 of the bending unit 400 to a desired angle by using the tension adjusting unit 430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시술자가 누름부재(442)를 가압 해제하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443)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회동 플레이트(441)의 저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회동 플레이트(441)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러면, 회동 플레이트(441)의 래치(441a)가 다이얼(431)에 마련된 기어(g1)와 치합되며, 이에 따라, 다이얼(431)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nd, when the operator releases the pressing member 442, the compressed elastic member 443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bottom of the rotating plate 441 is pressed, and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441 is interlocked therewith. Can be rotated upwards. Then, the latch 441a of the rotating plate 441 is engaged with the gear g1 provided on the dial 431, and accordingly, the dial 431 can be maintained in a stopped stat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샤프트(510)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조작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nipulation unit 530 for moving the shaft 510 forward or backward.

상기 조작부(5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샤프트(510)의 기단부와 연결되는 이송 블록(531); 상기 하우징(200)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송 블록(531)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트리거(532); 및 상기 트리거(531)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원수단(5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530 may include a transfer block 531 connected to the base end of the shaft 510 while being provided to be linearly reciprocated within the housing 200 as shown in FIGS. 2 and 3; A trigger 532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housing 200 and for moving the transfer block 531 forward or backward; And a restoration means 533 for returning the trigger 531 to its original state.

상기 이송 블록(531)은, 하우징(200)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샤프트(510)의 길이방향 타단부와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transfer block 531 may be mounted in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and may be fixed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haft 5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트리거(532)는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그 상측 부위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길이방향 부위는 하우징(200)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된 트리거(532)의 상측 부위에는 기어(g2)가 형성되며, 이 기어(g2)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피니언 기어(g3)와 치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피니언 기어(g3)는 이송 블록(531)의 저면에 형성된 렉기어(g4)와 치합될 수 있다.The trigger 532 may be referred to as a component operated by a practitioner,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0 and the remaining longitudinal portion may be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A gear g2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igger 532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0, and the gear g2 meshes with a pinion gear g3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00. Can be. In addition, the pinion gear g3 may be engaged with the rack gear g4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fer block 531.

상기 복원수단(533)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길이방향 일단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된 트리거(532)의 상측 부위와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하우징(200)의 내면과 연결될 수 있다.The restoration means 533 may be implemented as a coil spring, and one end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trigger 532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0,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Can be connected with.

따라서, 시술자가 하우징(200)의 하부로 노출된 트리거(532)의 길이방향 부위를 자신을 향해 당기게 되면 트리거(532)에 형성된 기어(g2)가 피니언 기어(g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이송 블록(531)이 후진될 수 있다. 그러면, 이송 블록(531)과 연결된 샤프트(510)가 이송 블록(531)의 이동 거리만큼 후진 된다. 이때, 복원수단(533)으로 구현된 코일 스프링은 늘어난 상태가 된다.Therefore, when the operator pulls the longitudinal portion of the trigger 532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toward himself, the gear g2 formed on the trigger 532 rotates the pinion gear g3 in one direction, thereby Interlockingly, the transfer block 531 may be moved backward. Then, the shaft 510 connected to the transfer block 531 is moved backward by the moving distance of the transfer block 531. At this time, the coil spring implemented by the restoration means 533 is in an extended state.

반대로, 시술자가 트리거(532)를 손에서 놓게 되면, 복원수단(533)이 압축되면서 트리거(532)의 상측 부위를 당기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하우징(200)의 하부로 노출된 트리거(532)의 길이방향 부위가 시술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operator releases the trigger 532 from the hand, the restoration means 533 is compressed and pulls the upper portion of the trigger 532,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trigger 532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The longitudinal part of the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rator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그러면, 트리거(532)에 형성된 기어(g2)가 피니언 기어(g3)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이송 블록(531)과 샤프트(510)가 전진 될 수 있다.Then, the gear g2 formed on the trigger 532 rotates the pinion gear g3 in the other direction, and the transfer block 531 and the shaft 510 may move forward in connection therewith.

위와 같이 시술자가 트리거(532)를 파지하여 당기는 과정과 손에서 트리거(532)를 놓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블레이드(520)가 장착된 샤프트(510)의 선단부가 밴딩유닛(400) 상에서 반복적으로 진퇴 운동되면서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을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actitioner repeatedly performs the process of gripping and pulling the trigger 532 and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trigger 532 in the hand, the tip of the shaft 510 on which the blade 520 is mounted is repeatedly performed on the bending unit 400. You can remove the tissue you want to scrape whil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신체 내의 병변 부위에서 통증의 원인이 되는 조직을 제거함과 동시에 그 병변 부위에 부가적인 치료를 수행하기 위하여, 보조 치료수단(t)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move the tissue causing pain from the lesion site in the body and at the same time perform additional treatment on the lesion site, auxiliary treatment means (t ) May further include a guide member 600 into which it can be inserted.

여기서, 보조 치료수단(t)은, 신체 내의 병변 부위로 치료 약물을 전달(주입)하는 관형의 약물 전달용 튜브일 수 있고, 또는, 신체 내의 병변 부위를 시술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관형의 내시경일 수도 있다. 또한, 전기 자극발생장치 또는 전기 소작기에 마련되는 전류 인가부재일 수도 있다. 즉, 보조 치료수단(t)은 병변에 부가적인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공지의 수술기기 중에서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된 관형의 부재라 할 수 있다.Here, the auxiliary treatment means (t) may be a tubular drug delivery tube that delivers (injects) a therapeutic drug to a lesion site in the body, or a tubular drug delivery tube that allows a practitioner to visually check the lesion site in the body. It could be an endoscope. In addition, it may be an electric stimulation generating device or a current applying member provided in the electric cauterization machine. That is, the auxiliary treatment means (t) may be regarded as a tubular memb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mong known surgical devices used for additional treatment to a lesion.

상기 가이드 부재(600)는, 보조 치료수단(t)이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은 하우징(200)의 후방 측으로 노출되어 시술자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600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uxiliary treatment means t is inserted, and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0,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housing ( It may be exposed to the rear side of 200) and disposed to face the operator.

가이드 부재(600)의 관통 구멍으로 삽입된 보조 치료수단(t)은 카테터(300)의 내부를 경유하여 캡(420)에 형성된 관통 구멍(421)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auxiliary treatment means 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guide member 600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21 formed in the cap 420 through the inside of the catheter 300.

참고로, 가이드 부재(600)에 삽입된 보조 치료수단(t)이 카테터(300)를 경유하여 캡(420)의 관통 구멍(421)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하우징(200)의 내부에 마련된 각종 구성요소들에 간섭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장력 조절부(430)의 다이얼(431)과 조작부(530)의 이송 블록(531)에는 가이드 부재(600)로 삽입된 보조 치료수단(t)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 구멍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For reference, various configuration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00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auxiliary treatment means (t)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600 into the through hole 421 of the cap 420 via the catheter 300 It is important not to interfere with the elements. Therefore, the dial 431 of the tension control unit 430 and the transfer block 531 of the operation unit 530 have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auxiliary treatment means t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600 can pass. I can.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밴딩유닛(400)의 선단부, 정확하게는, 캡(420)에 형성된 관통 구멍(421)에 보조 치료수단(t)의 선단부가 위치될 수 있으므로, 조직을 제거하는 과정과 기타 부가적인 치료를 실시하는 과정이 동시에 수행되어 환자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front end of the banding unit 400, precisely,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treatment means (t) can be located in the through hole 421 formed in the cap 420, the process of removing the tissue and other The process of performing additional treatments can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patient can be effectively trea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0)은, 시술자가 장력 조절부(430)와 조작부(530) 및 스토퍼 모듈(440)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조적 형태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al shape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manipulate the tension adjusting unit 430, the operation unit 530, and the stopper module 440.

상기 하우징(2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수용부재(210); 및 상기 수용부재(210)에서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하향 연장되며, 시술자의 손바닥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200, as shown in Figs. 1 to 3, the receiving member 210 having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gripping member 2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ceiving member 210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gripped by the palm of the operator.

수용부재(210)에는 전술한 각종 구성 요소들이 내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다.The receiving member 210 is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various components may be embedded.

그리고, 수용부재(210)의 길이방향 타측 상부에는 장력 조절부(430)의 노브(43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재(210)의 길이방향 타측이라 함은, 시술자의 손바닥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재(220)와 근접하게 배치된 수용부재(210)의 길이방향 부위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ning for exposing the knob 432 of the tension adjusting part 430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210. Here,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member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lengthwise portion of the receiving member 210 disposed adjacent to the gripping member 220 held by the palm of the operator.

마찬가지로, 수용부재(210)의 길이방향 타측 측면에는 스토퍼 모듈(440)의 누름부재(44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Likewise, an opening exposing the pressing member 442 of the stopper module 440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member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위와 같이, 파지부재(220)와 근접하게 배치된 수용부재(220)의 길이방향 타측에 장력 조절부(430)의 노브(432)와 스토퍼 모듈(440)의 누름부재(442)가 각각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시술자가 파지부재(22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간단한 손가락 동작만으로 장력 조절부(430)와 스토퍼 모듈(440)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파지부재(220)를 손바닥으로 감싼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이나 집게손가락으로 장력 조절부(430) 또는 스토퍼 모듈(440)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s above, the knob 432 of the tension adjusting part 430 and the pressing member 442 of the stopper module 440 are expos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ing member 220 disposed close to the gripping member 220. The reason for forming the opening to enable the operator to easily operate the tension control unit 430 and the stopper module 440 only with a simple finger motion while holding the gripping member 220. In other words, the purpose is to allow the user to easily operate the tension control unit 430 or the stopper module 440 with the thumb or forefinger while the gripping member 220 is wrapped with the palm of the hand.

그리고, 수용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하부에는 상기 트리거(53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지부재(220)를 파지한 시술자가 자신의 집게손가락 또는 중지손가락으로 용이하게 트리거(532)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n opening exposing the trigger 532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and thus, the operator who holds the gripping member 220 can easily use his forefinger or middle finger. Trigger 532 can be activa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700 as shown in FIGS. 8 and 9.

상기 커넥터(700)는, 캡(4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시술자가 가이드 와이어를 캡(420)에 형성된 관통구멍(421)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The connector 7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p 420 and serves as a guide to allow the operator to easily insert the guide wire into the through hole 421 formed in the cap 420.

가이드 와이어는, 앞서 설명되었던 보조 치료수단(t)과는 다르게, 카테터(300)가 신체에 삽입되기 이전에 캡(410)에 1차적으로 삽입된 후 샤프트(510)를 경유하여 카테터(300)로 삽입될 수 있다.The guide wire, unlike the auxiliary treatment means (t) described above, is first inserted into the cap 410 before the catheter 300 is inserted into the body, and then the catheter 300 is passed through the shaft 510. Can be inserted into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는, 카테터의 삽입 위치 또는 삽입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카테터(300)가 신체의 내부로 삽입되기 이전에 시술자에 의하여 카터테(3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캡(410)에 형성된 관통구멍(421)의 직경은 1cm 이하의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시술자가 상기 관통구멍(421)으로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기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700)가 캡(420)에 결합되어 시술자에 의한 가이드 와이어의 삽입과정을 수월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guide wire serves to guide the insertion position or insertion path of the catheter, it is preferable to be inserted into the catheter 300 by the operator before the catheter 300 is inserted into the body. However, since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421 formed in the cap 410 is less than 1 cm,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operator to insert the guide wire into the through hole 421. Accordingly, the connector 700 is coupled to the cap 420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guide wire by the operator.

상기 커넥터(7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410)이 삽입되는 제1삽입구(710) 및 상기 제1삽입구(71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캡(420)의 관통구멍(421)이 배치된 방향을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제2삽입구(7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connector 700 is connect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insertion hole 710 and the first insertion hole 710 into which the cap 410 is inserted, and the cap 420 penetrates It may include a second insertion hole 720 having a form in which the inner diameter gradually narrows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e 421 is disposed.

따라서, 시술자가 커넥터(700)의 제1삽입구(710)에 캡(420)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가이드 와이어를 제2삽입구(720)로 삽입하면, 가이드 와이어의 단부가 제2삽입구(720)를 형성하는 내면에 안내를 받으면서 캡(420)에 형성된 관통구멍(420)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와이어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캡(420)으로부터 커넥터(700)를 분리하면 된다.Therefore, when the operator inserts the guide wire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 720 while inserting the cap 420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 710 of the connector 700, the end of the guide wire passes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port 720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20 formed in the cap 420 while being guided to the inner surface to be formed. Then, when the guide wire is completely inserted, the connector 700 may be separated from the cap 420.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specific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being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조직 제거장치 200 : 하우징
210 : 수용부재 220 : 파지부재
230 : 텐션 유지수단 300 : 카테터
400 : 밴딩유닛 410 : 밴딩블록
420 : 캡 430 : 장력 조절부
431 : 다이얼 432 : 노브
440 : 스토퍼 모듈 441 : 회동 플레이트
442 : 누름부재 443 : 탄성부재
500 : 조직 제거유닛 510 : 샤프트
520 : 블레이드 530 : 조작부
531 : 이송 블록 532 : 트리거
533 : 복원수단 600 : 가이드 부재
w1 : 제1와이어 w2 : 제2와이어
100: tissue removal device 200: housing
210: receiving member 220: holding member
230: tension maintenance means 300: catheter
400: bending unit 410: bending block
420: cap 430: tension control unit
431: dial 432: knob
440: stopper module 441: rotating plate
442: pressing member 443: elastic member
500: tissue removal unit 510: shaft
520: blade 530: control unit
531: traversing block 532: trigger
533: restoration means 600: guide member
w1: first wire w2: second wire

Claims (16)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연장되며, 환자의 신체로 삽입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밴딩블록과, 상기 밴딩블록들의 운동방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밴딩유닛; 및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과 접촉되는 조직 제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housing;
A catheter extending from the housing and inserted into the patient's body;
A bend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bending block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and at least one wir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ending blocks; And
And a tissue removal unit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and in contact with the tissue to be remov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유닛은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서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ending unit is a tissue remova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bent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제거유닛은, 상기 밴딩유닛이 구부러지면, 상기 밴딩유닛 상에서 노출되어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tissue removal unit, wherein when the bending unit is bent, the tissue removal apparatus is exposed on the bending unit and is in contact with the tissue to be scraped of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유닛은,
상기 밴딩블록들을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서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와이어;
상기 밴딩블록들이 구부러질 수 있는 장력을 제공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밴딩블록들 중에서 최선단 측에 배치된 밴딩블록과 연결되며,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경유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nding unit,
A first wire for maintaining the bending blocks aligned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A second wire providing a tension capable of bending the bending blocks; And
And a cap connected to the bending block disposed at the most end of the bending blocks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제2와이어에 의해 당겨져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 상에서 선회되면 상기 밴딩블록들은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cap is pulled by the second wire and rotated on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he bending blocks are bent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 상에서 0도~90도의 각도를 가진 채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ap is a tissue remova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ivoting with an angle of 0 to 90 degrees on the tip of the cathe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제거유닛은,
상기 카테터의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되고, 그 선단부는 상기 밴딩블록들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issue removal unit,
A shaft that moves forward or backward in the catheter, and has a tip portion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bending blocks; And
And a blade provided at the tip of the shaf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는 다이얼; 및
상기 다이얼에 마련된 채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It includes a tension control unit for providing tension to the second wire,
The tension control unit,
A dial rotatably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And
And a knob provided on the dial and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이얼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리는 래치가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핀이 마련되는 회동 플레이트;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채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module for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dial,
The stopper module,
A rotation pl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latch formed on the dial engaged with the gear provided on one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and a rotation pin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the length direction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A pressing member integr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pos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And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rotating plate while being provided inside the hou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샤프트의 기단부와 연결되는 이송 블록;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송 블록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manipulation unit for moving the shaft forward or backward,
The operation unit,
A transfer block connected to the base end of the shaft while being provided to be linearly reciprocated inside the housing;
A trigger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housing and for moving the transfer block forward or backward; And
And a restoration means for returning the trigger to its original sta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보조 치료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into which an auxiliary treatment means can be inserted,
One side of the guide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exposed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된 보조 치료수단은 상기 카테터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캡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auxiliary treatment means inserted into the guide member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ap through the inside of the cathet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치료수단은,
약물 전달용 튜브, 내시경, 전기 소작기의 전류 인가부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auxiliary treatment means,
A tissue removal device comprising any one of a drug delivery tube, an endoscope, and a current applying member of an electric cauteriz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연장되며, 시술자의 손바닥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상부에는 상기 노브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측부에는 상기 누름부재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housing,
A receiving member having a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nd
It includes; a gripping member extending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from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member and gripped by the palm of the operator,
An opening for exposing the knob to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opening for exposing the pressing member to the outsid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카테터의 삽입 위치 또는 삽입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카테터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상키 캡의 관통구멍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detachably coupled to the cap,
The connector is a tissue remova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guiding the guide wire for guiding the insertion position or the insertion path of the catheter to the through hole of the top cap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athet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캡이 삽입되는 제1삽입구; 및
상기 제1삽입구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캡의 관통구멍이 배치된 방향을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제2삽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nector,
A first insertion port into which the cap is inserted; And
And a second insertion port that is connected to b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insertion port and has an inner diameter gradually narrowing toward a direc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 of the cap is disposed.
KR1020190130232A 2019-04-16 2019-10-18 Tissue removal apparatus KR1023002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232A KR102300220B1 (en) 2019-10-18 2019-10-18 Tissue removal apparatus
US17/603,950 US20220304716A1 (en) 2019-04-16 2020-04-16 Tissue removal device
EP20790687.6A EP3957258A4 (en) 2019-04-16 2020-04-16 Tissue removal device
PCT/KR2020/005055 WO2020213934A1 (en) 2019-04-16 2020-04-16 Tissue removal device
JP2021559655A JP7305788B2 (en) 2019-04-16 2020-04-16 tissue removal device
CN202080029281.7A CN113692255A (en) 2019-04-16 2020-04-16 Tissue remov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232A KR102300220B1 (en) 2019-10-18 2019-10-18 Tissue removal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919A true KR20210046919A (en) 2021-04-29
KR102300220B1 KR102300220B1 (en) 2021-09-10

Family

ID=7572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232A KR102300220B1 (en) 2019-04-16 2019-10-18 Tissue removal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22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500B1 (en) * 2010-10-21 2013-11-29 김현홍 Medical apparatus for dissociation of epidural adhesion and diminution of stenosis in intervertebral foramen
US20150126854A1 (en) * 2011-05-13 2015-05-07 Broncus Med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iagnosing, monitoring, or treating medical conditions through an opening through an airway wall
KR20150132899A (en) * 2014-05-19 2015-11-27 (주)세원메디텍 Tissue in body scraping device for operation
KR20190046396A (en) * 2017-10-26 2019-05-07 쥬베뉴 주식회사 Medical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500B1 (en) * 2010-10-21 2013-11-29 김현홍 Medical apparatus for dissociation of epidural adhesion and diminution of stenosis in intervertebral foramen
US20150126854A1 (en) * 2011-05-13 2015-05-07 Broncus Med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iagnosing, monitoring, or treating medical conditions through an opening through an airway wall
KR20150132899A (en) * 2014-05-19 2015-11-27 (주)세원메디텍 Tissue in body scraping device for operation
KR20190046396A (en) * 2017-10-26 2019-05-07 쥬베뉴 주식회사 Medica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220B1 (en)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3607B2 (en) Flexible surgical device for tissue removal
US9913963B2 (en) Steerable catheter with electrical signal delivered through steering wire
CN103209650B (en) Bushing type cutter
JP4758912B2 (en) Method and instrument for inserting an intervertebral graft and device
JP7218360B2 (en) patient-worn surgical support
CN111343933B (en) Bidirectional spinal endoscopic surgical method and surgical kit therefor
WO2009083276A1 (en) Percutaneous interspinous process spacer
EP2526993A2 (en) Treatment tool
KR20040029278A (en) Novel device for advancing a functional element through tissue
KR20170067848A (en) Anchor/implant deployment device and tissue repair methods related thereto
JP4181599B2 (en) Puncture device
JP7305788B2 (en) tissue removal device
KR102300220B1 (en) Tissue removal apparatus
AU2008268444A1 (en) Spinal rod, inser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KR102289108B1 (en) The foraminal stenosis therapeutic device for spinal disorder
CN107666879A (en) Reusable implant conveying device
KR20170013917A (en) Ablation cannula and kit with insert
JP7267264B2 (en) patient-worn surgical retractor
US20080021312A1 (en) Needle targeting device
EP2343100B1 (en) Bioinjection device
KR101905318B1 (en) Surrical apparatus for performing microscope spine surgery of minimum invasion
US20150272678A1 (en) Laser surgical instrument for spine surgery and method thereof
US20200229702A1 (en) Microsurgical ima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