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775A -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 Google Patents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775A
KR20210045775A KR1020190129208A KR20190129208A KR20210045775A KR 20210045775 A KR20210045775 A KR 20210045775A KR 1020190129208 A KR1020190129208 A KR 1020190129208A KR 20190129208 A KR20190129208 A KR 20190129208A KR 20210045775 A KR20210045775 A KR 20210045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supply
supply passage
amount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2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신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신우
Priority to KR102019012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5775A/en
Priority to PCT/KR2020/006924 priority patent/WO2021075659A1/en
Publication of KR2021004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7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carbon dioxide to enable a user to check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supplied in real-time, and to easily control the appropriate amount of carbon dioxide supply, which must be changed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mprises: a bubble checking tube formed in a form of a transparent tube, having liquid accommodated therein, and allowing carbon dioxide introduced to the lower end thereof to move upward in the form of bubbles and be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at the upper end thereof; a supply amount checking unit including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number of the bubbles moving along the bubble checking tube; and a valve assembly including a valve housing which has a supply passage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bubble checking tube, an inlet through which the carbon dioxide is introduced through the supply passage, a needle valve which is provided on the supply passage to control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flowing into the bubble checking tube, and a motor which moves the needle valv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Description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Control device for supplying carbon dioxide}Control device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측정하면서 공급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device capable of precisely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while measuring th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가정이나 업소에서는 관상용으로 색채가 아름답고 형태가 예쁘게 생긴 물고기인 관상어(觀賞魚)를 어항에서 키우고 있으며, 이처럼 어항에 관상어를 키우는 것을 인테리어로 여김에 따라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At homes and businesses, ornamental fish, which are beautifully colored and beautifully shaped fish, are raised in fish tanks for ornamental purposes.

통상 어항에 관상어만을 넣어 키우기보다는 어항 내부를 꾸미기 위하여 바닥재를 깔기도 하고, 수초를 넣어 관상어가 함께 키운다. 수초가 구비된 어항의 경우 적정량의 광량과 온도, 이산화탄소, 비료의 공급이 필요하다. 특히, 어항 내부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적절하지 못하면 수초는 효율적으로 광합성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Usually, rather than putting only ornamental fish in a fish tank, flooring is laid to decorate the inside of the fish tank, and ornamental fish are raised with water plants. In the case of a fish tank equipped with aquatic plants, an appropriate amount of light, temperature, carbon dioxide, and fertilizer need to be supplied. In particular, i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side the fish tank is not appropriate, the aquatic plants cannot efficiently perform photosynthesis.

따라서, 어항에 적정량의 이산화탄소를 공급해주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8232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Accordingly, a device for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carbon dioxide to a fish tank is required, and an example of thi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8232 (hereinafter referred to as'cited invention').

인용발명은 이산화탄소가 압축 저장되어 있는 가스통의 출구측에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의 개폐 여부에 따라 이산화탄소가 공급호스를 통해 어항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In the cited invention, a user-controllable valve is installed at the outlet side of a gas cylinder in which carbon dioxide is compressed and stored, and carbon dioxide is supplied into the fish tank through a supply hose according to whether the valve is opened or closed.

그러나, 인용발명은 이산화탄소의 공급시 실시간으로 공급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적정 공급량의 보정을 위한 수단이 없어 어항의 내부 요인이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변화되어야 하는 이산화탄소의 적정 공급량을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cited invention does not provide a means to determine the supply status in real time when carbon dioxide is supplied, and there is no means for correcting the appropriate supply amount, so the appropriat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that must be changed due to internal or external factors in the fish tank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tch.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8232호 '수족관용 이산화탄소 정량 공급장치'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8232'Quantitative supply of carbon dioxide for aquariu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시간으로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내외부 요인으로 인해 변화되어야 하는 이산화탄소의 적정 공급량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device that can check th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in real time and can easily control an appropriat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to be changed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는 투명한 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며 하단으로 유입된 이산화탄소가 기포 형태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단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기포확인관과, 상기 기포확인관을 따라 이동하는 기포의 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공급량확인부; 및 상기 기포확인관의 하단과 연통하도록 내부에 공급유로가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공급유로로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급유로 상에 구비되어 기포확인관으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하는 니들밸브와, 상기 니들밸브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밸브조립체;를 포함한다.The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a transparent tube shape, a liquid is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carbon dioxide introduced to the bottom moves upward in the form of bubbles and is discharged to the outlet at the top; A supply amount check unit including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number of bubbles moving along the bubble check tube; And a valve housing having a supply passage formed therei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bubble check pipe, an inlet through which carbon dioxide flows into the supply passage, and an amount of carbon dioxide flowing into the bubble check pipe provided on the supply passage. It includes; a needle valve and a valve assembly including a motor for moving the needle val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상기 공급유로는 유입구가 일단에 구비되는 제1 공급유로와, 상기 제1 공급유로 및 기포확인관의 하단과 연통되는 제2 공급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니들밸브는 일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테이퍼지며 일단이 제1 공급유로 상에 위치하고 타단이 제2 공급유로 상에 위치하는 니들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 공급유로와 제2 공급유로가 연통되는 지점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니들의 타단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ly passage includes a first supply passage having an inlet at one end, and a second supply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ly passage and the bubble check pipe, and the needle valve gradually has an outer diameter toward one end. It is tapered to decrease and includes a needle having one end on the first supply channel and the other end on the second supply channel, while the point at which the first supply channel and the second supply channel are communicated is protruding inwardly so that the needle It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other end of the.

또한, 상기 공급량확인부와 밸브조립체가 내측에 구비되는 본체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커버는 기포확인관이 구비된 부분이 개방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기포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main body cover provided with the supply amount check unit and the valve assembly therein, wherein the main body cover is a portion provided with a bubble check tube is open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occurrence of bubbles.

또한, 상기 감지부로부터 기포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기설정된 이산화탄소의 공급량과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에 따라 니들밸브가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판;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ntrol panel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n bubbles from the sens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match a predetermined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and to move the needle valve according to th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input from the user; And a touch panel that displays a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and inputs a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desired by a user.

또한, 상기 본체커버는 pH 측정 프로브가 연결될 수 있는 프로브연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판은 상기 pH 측정 프로브에 의해 측정된 pH 센싱값을 보정하기 위한 가변저항이 구비되며, 상기 터치패널은 보정된 pH 센싱값을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cover is provided with a probe connector to which a pH measuring probe can be connected, the control panel is provided with a variable resistance for correcting a pH sensing value measured by the pH measuring probe, and the touch panel is The sensing value can be displayed.

본 발명에 따르면, 기포확인관을 따라 이동하는 기포의 수를 감지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니들밸브를 조절함으로써 내외부 요인으로 인해 변화되어야 하는 이산화탄소의 적정 공급량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in real time by detecting the number of bubbles moving along the bubble check pipe, and by adjusting the needle valv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appropriat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to be changed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

또한, 사용자가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급량을 정확한 수치로 확인하면서 원하는 공급량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어항의 pH 값도 확인할 수 있어 관상어와 더불어 수초를 키울 수 있는 어항의 적정 환경을 효과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not only visually check the supply of carbon dioxide, but also control the supply amount as desired while checking the supply amount with an accurate value, and the pH value of the fish tank can also be checked. Can be prepared effective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의 외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의 내부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에 적용되는 밸브조립체의 내부 단면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a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valve assembly applied to the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으로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내외부 요인으로 인해 변화되어야 하는 이산화탄소의 적정 공급량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투명한 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며 하단으로 유입된 이산화탄소가 기포 형태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단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기포확인관과, 상기 기포확인관을 따라 이동하는 기포의 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공급량확인부; 및 상기 기포확인관의 하단과 연통하도록 내부에 공급유로가 형성된 밸브하우징과, 상기 공급유로로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급유로 상에 구비되어 기포확인관으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하는 니들밸브와, 상기 니들밸브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밸브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를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in real time, and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tube so that the appropriat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to be changed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an be easily controlled. A supply amount check unit including a bubble check pipe that moves upward and is discharged to an upper outlet of the furnace, and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number of bubbles moving along the bubble check pipe; And a valve housing having a supply passage formed therei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bubble check pipe, an inlet through which carbon dioxide flows into the supply passage, and an amount of carbon dioxide flowing into the bubble check pipe provided on the supply passage. It proposes a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a needle valve and a valve assembly including a motor for moving the needle val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bon dioxide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본 발명인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공급량확인부(100)와 밸브조립체(200)를 포함한다.The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supply amount check unit 100 and a valve assembly 200 as shown in FIGS. 1 to 4.

공급량확인부(100)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어 기포가 이동하는 기포확인관(110)과, 상기 기포확인관(110)을 따라 이동하는 기포의 수를 감지하는 감지부(120)를 포함한다. The supply amount check unit 100 is formed in a tube shape and contains a liquid therein and a bubble check pipe 110 in which bubbles move, and a sensing unit that detects the number of bubbles moving along the bubble check pipe 110 ( 120).

기포확인관(110)은 투명한 관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기포의 발생과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하단에 기포생성구(112)가 구비되고 상단에 배출구(111)가 구비된다. 따라서, 기포확인관(110)의 하단으로 유입된 이산화탄소는 기포생성구(112)에 의해 기포 형태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단의 배출구(111)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111)에는 어항의 내부로 연결되는 호스가 연결되어, 배출구(111)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공급호스를 통해 어항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 bubble confirmation tube 110 is formed in a transparent tube shape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generation and movement of bubbles with the naked eye, and a bubble generation port 112 is provided at the bottom and an outlet port 111 is provided at the top. Accordingly, the carbon dioxide introduced to the lower end of the bubble check pipe 110 moves upward in the form of bubbles by the bubble generating port 112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11 at the upper end. A hos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ish tank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11, so that carbon dioxid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1 may be supplied to the fish tank through a supply hose.

감지부(120)는 공급량확인부(100)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발광다이오드(121)와 광센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121)에 의해 발광된 빛을 광센서(122)가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기포가 기포확인관(110)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 발광다이오드(121)가 구비된 지점을 지나게 되면, 광센서(122)에 의해 감지되는 값의 변화가 발생되므로, 이를 통해 기포의 크기와 수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121)와 광센서(122)는 기포확인관(1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sensing unit 12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supply amount checking unit 100 and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121 and an optical sensor 122. The photosensor 122 detects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emitting diode 121. While the bubbles are moving along the bubble check tube 110, when passing through the point where the light-emitting diode 121 is provided, the light Since a change in the value sensed by the sensor 122 occurs, the size and number of bubbles can be measured through thi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diode 121 and the optical sensor 122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bubble check tube 110.

밸브조립체(200)는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밸브하우징(210)과, 밸브하우징(2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유입구(230)와, 밸브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니들밸브(240)와, 밸브하우징(210)의 타측에 구비되어 니들밸브(24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250)를 포함한다. The valve assembly 200 includes a valve housing 21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 inlet 23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valve housing 210, a needle valve 240 provided inside the valve housing 210, and , It includes a motor 25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valve housing 210 to move the needle valve 24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밸브하우징(210)에는 기포확인관(110)의 하단과 연통하도록 내부에 공급유로(220)가 형성되어, 유입구(230)를 통해 유입된 이산화탄소는 공급유로(220)를 거쳐 기포확인관(110)으로 공급된다. 유입구(230)에는 이산화탄소가 기체 형태로 수용된 탱크(가스통)과 연결되는 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In the valve housing 210, a supply passage 220 is formed therei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bubble confirmation pipe 110, and the carbon dioxid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30 passes through the supply passage 220 and the bubble confirmation pipe 110 ). A hose connected to a tank (gas cylinder) in which carbon dioxide is accommodated in a gaseous form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230.

공급유로(220)는 유입구(230)가 일단에 구비되는 제1 공급유로(221)와, 제1 공급유로와 기포확인관(110)의 하단과 연통되는 제2 공급유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니들밸브(240)는 공급유로(220) 상에 구비되어 기포확인관(110)으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러한 니들밸브(240)는 일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테이퍼지며, 일단이 제1 공급유로(221) 상에 위치하고 타단이 제2 공급유로(222) 상에 위치하는 니들(24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ly passage 220 includes a first supply passage 221 having an inlet 230 at one end, and a second supply passage 222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ly passage and the bubble check pipe 110. I can. At this time, the needle valve 240 is provided on the supply passage 220 to control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flowing into the bubble check pipe 110, and the needle valve 240 is taper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one end. And a needle 241 having one end positioned on the first supply passage 221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on the second supply passage 222.

제1 공급유로(221)와 제2 공급유로(222)가 연통되는 지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니들(241)의 타단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를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니들밸브(240)가 모터(250)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여 니들(241)의 타단이 제1 공급유로(221)와 제2 공급유로(222)가 연통되는 지점에 위치하면 기포확인관(110)으로의 이산화탄소 이동이 차단되고, 니들밸브(240)가 모터(250)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니들(241)의 타단이 제1 공급유로(221)와 제2 공급유로(222)가 연통되는 지점으로부터 벗어나면 제1 공급유로(221)와 제2 공급유로(222)는 연통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기포확인관(110)으로 이산화탄소가 이동하게 된다. A point at which the first supply passage 221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222 are communicated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other end of the needle 241 by protruding inward as shown in FIG. 4. Accordingly, the needle valve 240 moves to the right by the motor 250 based on the bars shown in FIGS. 3 and 4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needle 241 is connected to the first supply passage 221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222. ) Is located at the communication point, the movement of carbon dioxide to the bubble check pipe 110 is blocked, and the needle valve 240 moves to the left by the motor 250,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needle 241 becomes the first supply passage ( When the first supply passage 221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222 are deviated from the point where 221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222 are communicated, the first supply passage 221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222 are in a connected state, so that carbon dioxide moves to the bubble confirmation pipe 110 do.

이때, 니들(241)은 일단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태를 이루는바, 기포확인관(110)으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며, 일 예로 분당 cc 단위, sccm 단위 또는 cc/m 단위로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eedle 241 forms a tapered shape toward one end, and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flowing into the bubble check pipe 110 can be finely adjusted, for example, in cc units per minute, sccm units, or cc/m units. Can be adjusted with

모터(250)와 니들밸브(240)는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하우징(242)과 클러치(260)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니들(241)의 이동이 미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모터(250)의 회전축에는 클러치(260)가 결합될 수 있으며, 클러치(260)는 내측에 니들밸브(240)가 구비된 니들하우징(242)과 결합될 수 있다.Although the motor 250 and the needle valve 240 may be directly connected, as shown in FIGS. 2 to 4, the needle housing 242 and the clutch 260 are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ovement of the needle 241 is fin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do so. For example, the clutch 260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250, and the clutch 260 may be coupled to a needle housing 242 having a needle valve 240 disposed therei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포확인관(110)을 따라 이동하는 기포의 수를 감지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니들밸브(240)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내부 요인 또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변화되어야 하는 어항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이산화탄소의 적정 공급량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in real time by detecting the number of bubbles moving along the bubble check pipe 110, and by finely adjusting the needle valve 240, due to internal or external factors.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appropriate amount of carbon dioxide supplied to the fish tank to be changed.

한편, 본 발명인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량확인부(110)와 밸브조립체(200)가 내측에 구비되는 본체커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supply of carbon diox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ody cover 300 having a supply amount checking unit 110 and a valve assembly 200 disposed therein, as shown in FIGS. 1 to 3.

이때, 본체커버(300)는 기포확인관(110)이 구비된 부분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기포의 발생과 기포확인관(110)을 통해 이동되는 기포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사용자가 손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main body cover 300 is formed so that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bubble check tube 110 is open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generation of bubbles and the bubbles moving through the bubble check tube 110 Do. This is to allow a user to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ing properly.

그리고, 본 발명은 감지부(120)로부터 기포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기설정된 이산화탄소의 공급량과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에 따라 니들밸브(240)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판(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information about bubbles from the sensing unit 120,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matches a predetermined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and controls the needle valve 240 to move according to th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input from the user.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panel 400.

구체적으로, 제어판(400)은 광센서(122)로부터 측정된 기포의 크기와 수 등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고, 일정시간 동안의 측정정보와 기설정된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비교하여 적정량이 공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판(4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에 따라 모터(250)를 구동시켜 니들밸브(24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센서(122)로부터 기포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이산화탄소가 적정량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panel 40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ize and number of bubbles measured from the optical sensor 122, and compar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ith a preset amount of carbon dioxide to check whether an appropriate amount is being supplied. I can.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400 controls the needle valve 240 to move to the left or right by driving the motor 250 according to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supplied by the user, and By receiv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pply of carbon dioxide in an appropriate amount.

한편, 본 발명은 감지부(120)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패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500)은 광센서(122)로부터 측정되어 생성된 기포에 대한 정보를 제어판(400)으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수치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입력시, 이를 제어판(400)으로 전송하여 제어판(400)에서 니들밸브(2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nel 500 capable of displaying th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120 and inputting th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desired by the user. Specifically, the touch panel 50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bubbles generated by measuring from the optical sensor 122 from the control panel 400 and display them as numerical values. When the user inputs th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the control panel It may be transmitted to 400 so that the control panel 400 can control the needle valve 240.

더불어, 본체커버(300)는 어항 내 pH(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pH 측정 프로브가 연결될 수 있는 프로브연결구(3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판(400)은 상기 pH 측정 프로브에 의해 측정된 pH 센싱값을 보정하기 위한 가변저항(4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터치패널(500)은 보정된 pH 센싱값을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cov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probe connector 310 to which a pH measuring probe capable of measuring pH (hydrogen ion concentration) in the fish tank can be connected. In this case, the control panel 400 may be provided with a variable resistor 410 for correcting the pH sensing value measured by the pH measuring probe, and the touch panel 500 may display the corrected pH sensing value.

이처럼 사용자는 본 발명을 통해, 이산화탄소의 공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정확한 수치로 확인하면서 원하는 공급량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어항의 pH 값도 확인할 수 있어 관상어와 더불어 수초를 키울 수 있는 어항의 적정 환경을 효과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Thus,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not only check the supply of carbon dioxide with the naked eye, but also control the supply amount to the desired supply while checking th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with an accurate numerical valu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pare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a fish tank that can be used.

100 : 공급량확인부 110 : 기포확인관
111 : 배출구 112 : 기포생성구
120 : 감지부 121 : 발광다이오드
122 : 광센서
200 : 밸브조립체 210 : 밸브하우징
220 : 공급유로 221 : 제1 공급유로
222 : 제2 공급유로 230 : 유입구
240 : 니들밸브 241 : 니들
242 : 니들하우징 250 : 모터
260 : 클러치
300 : 본체커버 310 : 프로브연결구
400 : 제어판 410 : 가변저항
500 : 터치패널
100: supply quantity check unit 110: bubble check pipe
111: outlet 112: bubble generation port
120: sensing unit 121: light-emitting diode
122: optical sensor
200: valve assembly 210: valve housing
220: supply flow 221: first supply flow
222: second supply channel 230: inlet
240: needle valve 241: needle
242: needle housing 250: motor
260: clutch
300: body cover 310: probe connector
400: control panel 410: variable resistor
500: touch panel

Claims (5)

투명한 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며 하단으로 유입된 이산화탄소가 기포 형태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단의 배출구(111)로 배출되는 기포확인관(110)과, 상기 기포확인관(110)을 따라 이동하는 기포의 수를 감지하는 감지부(120)를 포함하는 공급량확인부(100); 및
상기 기포확인관(110)의 하단과 연통하도록 내부에 공급유로(220)가 형성된 밸브하우징(210)과, 상기 공급유로(220)로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유입구(230)와, 상기 공급유로(220) 상에 구비되어 기포확인관(110)으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하는 니들밸브(240)와, 상기 니들밸브(24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250)를 포함하는 밸브조립체(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
Forme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tube, the liquid is accommodated therein, and the carbon dioxide introduced to the bottom moves upward in the form of bubbles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1 at the top, and Supply amount checking unit 100 including a detection unit 120 for detecting the number of bubbles moving along; And
A valve housing 210 having a supply passage 220 formed therei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of the bubble check pipe 110, an inlet 230 through which carbon dioxide flows into the supply passage 220, and the supply passage 220 ), a valve assembly 200 including a needle valve 240 for adjust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introduced into the bubble check pipe 110 and a motor 250 for moving the needle valve 24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로(220)는 유입구(230)가 일단에 구비되는 제1 공급유로(221)와, 상기 제1 공급유로(221) 및 기포확인관(110)의 하단과 연통되는 제2 공급유로(222)를 포함하되,
상기 니들밸브(240)는 일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테이퍼지며 일단이 제1 공급유로(221) 상에 위치하고 타단이 제2 공급유로(222) 상에 위치하는 니들(241)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1 공급유로(221)와 제2 공급유로(222)가 연통되는 지점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니들(241)의 타단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ly passage 220 includes a first supply passage 221 having an inlet 230 at one end, and a second supply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ly passage 221 and the bubble check pipe 110 ( 222),
The needle valve 240 is taper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one end, and includes a needle 241 having one end positioned on the first supply passage 221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on the second feed passage 222 ,
The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int at which the first supply passage 221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22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protrudes inwar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other end of the needle 2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확인부(100)와 밸브조립체(200)가 내측에 구비되는 본체커버(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커버(300)는 기포확인관(110)이 구비된 부분이 개방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기포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ly amount check unit 100 and the valve assembly 200 further comprises a body cover 300 provided inside,
The body cover 300 is a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bubble check pipe 110 is open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occurrence of bubbl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20)로부터 기포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기설정된 이산화탄소의 공급량과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에 따라 니들밸브(240)가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판(400); 및
상기 감지부(120)에 의해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패널(5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control panel 400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on bubbles from the sensing unit 12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match a predetermined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and to move the needle valve 240 according to the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input from the user; And
A touch panel 500 capable of displaying a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120 and inputting a supply amount of carbon dioxide desired by a user;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버(300)는 pH 측정 프로브가 연결될 수 있는 프로브연결구(31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판(400)은 상기 pH 측정 프로브에 의해 측정된 pH 센싱값을 보정하기 위한 가변저항(410)이 구비되며,
상기 터치패널(500)은 보정된 pH 센싱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공급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body cover 300 is provided with a probe connector 310 to which a pH measuring probe can be connected,
The control panel 400 is provided with a variable resistor 410 for correcting the pH sensing value measured by the pH measuring probe,
The touch panel 500 is a carbon dioxide supply control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corrected pH sensing value.
KR1020190129208A 2019-10-17 2019-10-17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KR2021004577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208A KR20210045775A (en) 2019-10-17 2019-10-17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PCT/KR2020/006924 WO2021075659A1 (en) 2019-10-17 2020-05-28 Device for controlling supply of carbon diox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208A KR20210045775A (en) 2019-10-17 2019-10-17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775A true KR20210045775A (en) 2021-04-27

Family

ID=7553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208A KR20210045775A (en) 2019-10-17 2019-10-17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45775A (en)
WO (1) WO202107565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4900A1 (en) * 2021-05-18 2022-11-24 주식회사 이신우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ga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232B1 (en) 2010-05-17 2012-10-09 심윤경 CO2 suppl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2612A (en) * 1976-05-25 1978-02-07 Daniel William H Aerator for bodies of water
JPH08172976A (en) * 1994-12-25 1996-07-09 Fuakuto:Kk Device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water tank
KR101589447B1 (en) * 2015-03-13 2016-01-28 주식회사 이신우 Gas Sensing Device
KR20170018121A (en) * 2015-08-05 2017-02-16 (주) 임베디드 솔루션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quariu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232B1 (en) 2010-05-17 2012-10-09 심윤경 CO2 suppl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4900A1 (en) * 2021-05-18 2022-11-24 주식회사 이신우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g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75659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38475A (en) Tap with automatic filling feature
MX2012004462A (en) Light enhanced flow tube.
KR20210045775A (en)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US10830469B2 (en) Humidifier measurement and control
US6907771B2 (en) Leak detector
JP2007271258A (en) Burner system having stepwise fuel injection mea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2369054A (en) Fluid mixing device, medical fluid testing device, and endoscope processing device
KR20180050963A (en) Indication type level indicator using total reflection prism
EP2130901A1 (en) Culture apparatus
KR102035839B1 (en) Controll device of supplying nutrient solution and controll method of the same
KR20130134499A (en) Nutrient solution auto supply control system
US10172330B2 (en) Gas sensing device
US20240003126A1 (en) Water conditioning unit for a washing device, and dispensing unit
KR101635010B1 (en) nutrient solution auto control supply apparatus
CN112083026A (en) Spontaneous combustion test device
CN109084849A (en) A kind of accurate device of volumetric method cumulative measurement
CN104225747A (en) Anesthesia machine and mechanical control electronic display flowmeter assembly thereof
KR20180086824A (en) Portable air stor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JP4594788B2 (en) Disinfection water production equipment
AU2016202058A1 (en) Gas Treatment System
CN203315490U (en) Anaesthesia machine and mechanical control electronic display flowmeter assembly thereof
KR20150069327A (en) Nutrient solution supply system venturi tube
CN206362756U (en) A kind of Intelligent oxygen index tester
KR102107758B1 (en) Flow meter capable of confirming the standard flow rate and liquid fertilizer feeder having the same
KR100577358B1 (en) Straight type a welding to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