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919A - Mask and adhesive tape applied to the same - Google Patents

Mask and adhesive tape applied to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919A
KR20210044919A KR1020190127405A KR20190127405A KR20210044919A KR 20210044919 A KR20210044919 A KR 20210044919A KR 1020190127405 A KR1020190127405 A KR 1020190127405A KR 20190127405 A KR20190127405 A KR 20190127405A KR 20210044919 A KR20210044919 A KR 20210044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ask
crosslinking agent
acrylate
hydrox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4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8382B1 (en
Inventor
김혁한
장승준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382B1/en
Publication of KR20210044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9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41D13/1169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sk which comprises a mask body, and an adhesive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sk body, wherein the adhesive part contains a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in an adhesive bas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dhesive tape which includes a sheet, a first adhesive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heet, and a second adhesive part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wherein the first adhesive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is included in the adhesive base.

Description

마스크 및 이에 적용되는 접착테이프{MASK AND ADHESIVE TAPE APPLIED TO THE SAME}Mask and adhesive tape applied to it {MASK AND ADHESIVE TAPE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마스크 및 이에 적용되는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면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접착기능을 갖는 마스크 및 이에 적용되는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and an adhesive tape applied thereto,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sk having an adhesive function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a face, and an adhesive tape applied thereto.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보건 위생상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는 것으로 주로 거즈나 면소재로 만든다. 최근들어 황사, 자동차의 매연, 미세먼지 등으로 인해 마스크를 일상에서 사용할 일이 더욱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Masks are generally made of gauze or cotton to cover the nose and mouth to prevent inhalation and scattering of germs and dust for health and hygiene. Recently, the use of masks in daily life is increasing due to yellow dust, automobile exhaust, and fine dust.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분진, 먼지, 악취, 유독가스 등 작업자에게 유해한 요소들이 많이 발생하고 이를 호흡기로 들이마시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어 작업자들은 방진마스크를 착용하게 된다. 미세먼지의 잦은 출현 및 건강에 대한 우려로 인해 작업자가 아닌 일반인들도 방진마스크에 준하는 혹은 보다 더 좋은 효율의 마스크를 일상에서 사용할 일이 많아지고 있다. In general, in industrial sites, there are many elements harmful to workers such as dust, dust, odor, and toxic gas, and inhaling them with a respirator may adversely affect health, so workers wear dust masks. Due to the frequent appearance of fine dust and concerns about health, ordinary people, not workers, are increasingly using masks with equivalent or better efficiency than the dust mask in daily life.

종래의 마스크는 마스크 몸체에 귀, 머리, 목 등에 고정하도록 끈이나 고무줄 등의 고정수단이 달려 있고 이것을 사용자가 사용할 때는 사용자 얼굴 크기에 따라 각자 고정수단의 길이 및 조임을 조정해서 사용하고 있다. Conventional masks have fastening means such as strings or rubber bands attached to the mask body to fix the ears, head, neck, etc., and when a user uses this, the length and tightening of the fixing means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face.

이러한 기존 고정수단은 고정수단 적용부위에 따라 또는 사용자에 따라 매번 길이를 조절해야 함으로써 그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고, 착용 후 얼마 안되어 끈이 느슨해지거나 마스크가 헐거워져 마스크의 차단기능이 저하되었으며, 고무줄이 부착된 마스크는 이를 고정하는 귀, 뒤통수, 뒷목 등이 당겨지는 조임으로 인하여 통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를 착용하여도 안면부와 밀착이 높지않아 유해한 외부물질이 코나 입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날숨이 안면부와 마스크 사이의 공간으로 새어나가면 안경착용자의 경우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겨 특히 안경착용자가 마스크 착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These existing fixing means were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y had to adjust the length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art of the fixing means or depending on the user, and shortly after wearing the straps loosened or the mask became loose, the blocking function of the mask was degraded. The attached mask has a problem in that pain occurs due to the tightening of the ears, the back of the head, and the back of the neck that fix it. In addition, even when wearing a mask, there is a problem in that harmful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into the nose or mouth because the close contact with the face is not high. In addition, when exhalation leaks into the space between the face part and the mask, fogging occurs in the glasses in the case of spectacle wearers, and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spectacle wearers are reluctant to wear the mask.

[선행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10164[Prior literature] Korean Patent Registration 10-0510164

종래기술에 따른 선행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10164호)에는 상하 절곡된 주름부가 펼쳐지며 착용자의 코부분 및 아랫턱을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게 하고, 필터지 양측단의 마감부가 절곡되지 않아 착용자의 양볼에 밀착되며, 마감부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부분적인 길이변경을 하도록 삽입된 걸이밴드가 있는 방진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주름부와 같이 간단한 구조로는 방진마스크가 얼굴에 완벽하게 밀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코부분이 밀착되지 않을 경우 안경 또는 보호안경과 같은 장비를 착용하였을 때 김이 서리거나 마스크의 움직임에 의해 안경이 쉽게 움직여 시야가 불편한 문제점 등이 있다. Prior litera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10164) shows that the folds bent up and down are spread and the nose and lower jaws of the wearer are more closely adhered, and the finishes of both sides of the filter paper are not bent, so that the folds of the filter paper are not bent. There is disclosed a dust mask with a hanging band that is closely attached and inserted so that the user partially changes the length inside the finished part. However, with a simple structure such as the wrinkled part of the patent, it is difficult for the dust mask to adhere perfectly to the face. In particular, if the nose part is not in close contact, fogging may occur when wearing equipment such as glasses or goggl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ision is uncomfortable because the glasses move easily due to the movement of the mask.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피부에 밀착되는 점착부를 갖는 마스크 및 이에 적용되는 접착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에 밀착되는 점착부에 의한 피부자극을 줄이기 위해 기존 점착제 가교재인 카르복실기(-COOH)를 대체하는 수산기(-OH)(혹은 알콜기)를 점착부에 사용한 마스크 및 이에 적용되는 접착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ask having an adhesive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and an adhesive tape applied thereto, and more specifically, an existing adhesive to reduce skin irritation caused by the adhesive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sk using a hydroxyl group (-OH) (or an alcohol group) replacing the carboxyl group (-COOH) as a crosslinking material on the adhesive portion, and an adhesive tape applied thereto.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마스크 몸체와 상기 마스크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점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부는 기존 아크릴계 성분을 점착제 베이스를 갖고 수산기(-OH) 가교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k body and an adhesive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sk body, wherein the adhesive portion includes an existing acrylic component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and a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is included. Can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점착부, 및 상기 시트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점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점착부는, 점착제 베이스에 수산기(-OH) 가교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eet, a first adhesive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heet, and a second adhesive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wherein the first adhesive portion comprises a hydroxyl group (- OH) can provide an adhesive ta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 crosslinking agent.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마스크와 안면부 사이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점착부에 의한 피부자극을 줄일 수 있어 안경착용시 김서림이 방지되고, 분진포집 효율을 증가시키는 착용감이 좋은 마스크 및 이에 적용되는 접착테이프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mask and the face part, reduce skin irritation by the adhesion part, thereby preventing fogging when wearing glasses, and a mask having a good fit that increases dust collection efficiency,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pplied adhesive tap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마스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테이프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테이프의 구조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example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을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of the degree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at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specific to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order to avoid unreasonable use by unscrupulous infringers of the stated disclosures, either exact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step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마스크의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100)는 마스크 몸체(110) 및 점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ask body 110 and an adhesive part 120.

상기 점착부(120)는 마스크 몸체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했을 때 안면과 접촉하는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점착부를 형성 함으로서 마스크 몸체와 안면 사이에 생긴 공간을 메꾸어 마스크 들뜸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점착부(120)를 통해 마스크와 안면 사이의 들뜸 현상을 줄이면, 마스크 착용시 날숨이 틈새로 새어 나오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안경 착용자의 경우, 마스크 착용시 날숨이 새어 나와 안경에 김서림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하게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The adhesive part 12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sk body. Preferably, when the mask is worn on the face, it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ace. By forming an adhesive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mask body, a space created between the mask body and the face may be filled, thereby reducing the mask lifting phenomenon. As such, by reducing the lifting phenomenon between the mask and the face through the adhesive part 12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akage of exhalation through the gap when the mask is worn.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wearer of the glass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ogging in the glasses due to leakage of exhalation when wearing the mask, so that the mask can be worn more comfortably.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점착부(120)가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띠 형상으로 점착부(120)를 형성하면 마스크와 안면부 사이의 틈새를 최대한 막을 수 있어 들숨과 날숨이 마스크 몸체를 통해 출입 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 본연의 필터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part 120 may be formed in a strip shape on one surface of the mask body. When the adhesive portion 120 is formed in a strip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gap between the mask and the face portion can be block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inhalation and exhalation can be entered and exited through the mask bod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aithfully perform the role of the original filter of the mask.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점착부(120)가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점착부는 일부 영역이 단절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 착용시 안면의 굴곡에 따라 접혀지는 영역이 생기므로 이처럼 띠 형상의 점착부에서 일부 영역을 단절된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접혀지는 영역에서의 점착부 접힘에 의한 공간 들뜸 현상을 줄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hesive portion 120 is formed in a strip shape on one surface of the mask body, but the adhesive portion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some regions are cut off. When the mask is worn, a folded area is created according to the curve of the face, so when a part of the area in the band-shaped adhesive portion is formed in a disconnected form, the phenomenon of space lifting due to the folding of the adhesive portion in the folded area can be reduced.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점착부(120)는 아크릴계(혹은 메타 아크릴계) 점착제 베이스에 수산기(-OH) 가교제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는 실리콘 계열, 핫멜트 계열 및 아크릴 계열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아크릴계를 주 원료로 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탄소사슬 1~17개까지 보유한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2~8개의 탄소사슬을 가진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의 경우 500 ~ 1,000 gf/inch2의 접착력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part 120 may include a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in an acrylic (or metaacrylic) adhesive ba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may be selected from silicone-based, hot-melt-based, and acrylic-based, and acrylic-based may be used as a main raw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a monomer having 1 to 17 carbon chains for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particular, a monomer having 2 to 8 carbon chains is preferred. In the cas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implemented to have an adhesive strength of 500 to 1,000 g f /inch 2.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일반형과 메타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단일 공중합체, 이원공중합체, 3원, 4원, 5원 공중합체가 가능하다. 고분자의 가교 반응을 고려하여 전체 단량체에 0.5 ~10% 중량부 이내에서 산(Acid), 에폭시(Epoxy), 하이드록시 또는 아민기를 갖는 관능기를 보유한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하다.As the acrylic monomer, it is possible to use a general type and a methacrylate-based monomer. At this time, a single copolymer, a binary copolymer, a ternary, a quaternary, and a 5-membered copolymer are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crosslinking reaction of the polymer, it is possible to copolymerize with a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having an acid, epoxy, hydroxy or amine group within 0.5 to 10%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점착제는 수산기(-OH)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점착제의 가교제로서는 카르복실기(-COOH)가 사용되지만, 인체와 직접 접촉되는 점착제에 카르복실기(-COOH)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 낮은 pH, 즉 산가 성분에 의한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산기(-OH) 가교제를 사용 함으로서 점착제가 피부와 접촉하더라도 피부자극을 줄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include a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In general, a carboxyl group (-COOH) is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of an adhesive, but when a carboxyl group (-COOH) crosslinking agent is used in an adhesive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human body, it may cause skin irritation due to a low pH, that is, an acid value component. In this embodiment, by using a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skin irritation can be reduced even i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cts the skin.

상기 수산기 가교제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HEMA),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 부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렌 글리콜 (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글리콜 (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EMA), 비닐아크릴레이트모노머 (VAM),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IOA), 2-에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BMA)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Examples of the hydroxyl crosslinking agent includ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2-hydroxy propyl (meth) acrylate, 4-hydroxy butyl (meth) acrylate, 6-hydroxy hexyl methacrylate, 2-hydroxy 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2-hydroxy propyl glycol (meth) acrylate, ethyl methacrylate (EMA), vinyl acrylate monomer (VAM), isooctyl acrylate (IOA), 2-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ombination of ethyl hexyl (meth)acrylate, and butyl methacrylate (BMA) may be included.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아크릴계(혹은 메타아크릴계) 점착제 베이스와 수산기(-OH)를 갖는 가교제의 중량비는 95:5 내지 97:3 사이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eight ratio of the acrylic (or meth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and the crosslinking agent having a hydroxyl group (-OH) may be between 95:5 and 97:3.

일실시예로, 상기 수산기 가교제로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를 아크릴계 점착제 베이스에 첨가 함으로서 점착제의 재박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수산기 가교제를 사용하면 산업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카르복실기(-COOH) 가교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점착성이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점착성을 보완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HPMA), 하이드록시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HBMA), 및/또는 하이드록시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HHM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베이스: 2-HEMA : HPMA 의 중량비는 95 : 4 : 1 내지 97 : 2 : 1 사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수산기 가교제의 중량비를 3~5%로 유지하고, 그 중 일부를 HPMA, HBMA 및/또는 HHMA로 첨가한 경우에는 아크릴계 점착제 베이스의 가교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점착성이 약해지는 점을 보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by adding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as the hydroxyl group crosslinking agent to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peel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hen the hydroxyl group crosslinking agent used in this embodiment is used, the adhesiveness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case where a carboxyl group (-COOH) crosslinking agent generally used for industrial purposes is us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dhesiveness, in this embodiment, hydroxy propyl methacrylate (HPMA), hydroxy butyl methacrylate (HBMA), and/or hydroxy hexyl methacrylate (HHMA)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is embodiment, the weight ratio of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2-HEMA: HPMA may be between 95:4:1 to 97:2:1. As in this example, when the weight ratio of the hydroxyl group crosslinking agent is maintained at 3 to 5%, and some of them are added as HPMA, HBMA, and/or HHMA, it can sufficiently perform the role of a crosslinking agent of the acrylic adhesive base and at the same time, the adhesiveness is You can compensate for the weakness.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에서, 상기 점착부는 우레탄 계열의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계열의 경화제를 첨가 함으로서 점착부의 열적 안정성및 생체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 I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hesiv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urethane-based curing agent. By adding the urethane-based curing ag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hermal stability and biocompatibility of the adhesive.

본 실시형태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마스크의 착용성을 높이기 위해 마스크를 귀에 걸기 위한 착용줄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용줄은 마스크 몸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wearability of the mask, a wearing line for attaching the mask to the ear may be additionally formed. The wearing line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sk body, respectively.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200)의 구조도이다.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ask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200)는 마스크 몸체(210), 점착부(220) 및 착용줄(2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sk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mask body 210, an adhesive part 220, and a wearing line 230.

상기 점착부(220)는 마스크 몸체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했을 때 안면과 접촉하는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면에 점착부를 형성 함으로서 마스크 몸체와 안면 사이에 생긴 공간을 메꾸어 마스크 들뜸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점착부(220)를 통해 마스크와 안면 사이의 들뜸 현상을 줄이면, 마스크 착용시 날숨이 틈새로 새어 나오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안경 착용자의 경우, 마스크 착용시 날숨이 새어 나와 안경에 김서림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하게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220)가 마스크와 안면부 사이의 틈새를 막을 수 있어 들숨과 날숨이 마스크 몸체를 통해 출입 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 본연의 분진 포집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 The adhesive part 22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sk body. Preferably, when the mask is worn on the face, it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ace. By forming an adhesive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mask body, a space created between the mask body and the face may be filled, thereby reducing the mask lifting phenomenon. In this way, by reducing the lifting phenomenon between the mask and the face through the adhesive part 220, it is possible to reduce exhalation leaking through the gap when the mask is worn.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wearer of the glass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ogging in the glasses due to leakage of exhalation when wearing the mask, so that the mask can be worn more comfortably.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part 220 can close a gap between the mask and the face part, inhalation and exhalation can be entered and exited through the mask bod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aithfully perform the role of collecting dust of the mask.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점착부(220)는, 일단이 상부 중앙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하부로 연장된 제1 영역(221) 및 일단이 상기 제1 영역의 일단에 연결되며, 타단이 하부로 연장된 제2 영역(2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일단에 중앙부가 연결되며, 마스크 몸체의 상부에 길게 형성되는 제3 영역(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part 220 has a first region 221 having one end located at the upper center and the other end extending downward, and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region, and the other end extending downward. A second area 222 may be included. In addition, a central por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223 that is elongated above the mask body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점착부의 제1 영역(221) 및 제1 영역(222)은 마스크 착용시 코의 양 옆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존 마스크 착용시에 코의 양 옆 부분이 굴곡으로 인해 마스크와 안면 사이의 들뜸 현상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처럼 들뜸 현상이 나타나는 코의 양 옆 부분을 제1 영역(221) 및 제2 영역(222)의 점착부를 형성 함으로서 마스크와 안면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영역(221)은 마스크의 상부에서 좌하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형태이고 제2 영역(222)은 마스크의 상부에서 우하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The first regions 221 and 222 of the adhesive portion may be formed to cover both sides of the nose when wearing a mask. This is the area where the lifting phenomenon between the mask and the face appears most severely due to the bending of both sides of the nose when wearing the existing mask. In the present embodiment, adhesion between the first region 221 and the second region 22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nose where the lifting phenomenon occurs, so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mask and the face may be improv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gion 221 may be obliquely extended from the top of the mask in the lower left direction, and the second region 222 may be obliquely extended from the upper of the mask to the lower right direction.

본 실시형태에서 제3 영역(223)은 마스크의 상부에서 양 옆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제3 영역이 양 옆으로 길게 연장 됨으로서 입김이 마스크의 상부 영역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추가적으로 막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regions 223 may extend lengthwise from the top of the mask to both sides. As the third region extends long on both sides,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revent breathing from leaking out to the upper region of the mask.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부(220)가 제1 영역(221), 제2 영역(222) 및 제3 영역(223)을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점착부(220)는 상기 제1 영역(221) 및 제2 영역(222)만이 형성된 실시형태 또는 제3 영역(223)만이 형성된 실시형태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part 220 is illustrated in a form including all of the first region 221, the second region 222, and the third region 223, but the adhesive part 220 is the first region 221, the second region 222, and the third region 223. An embodiment in which only 221 and the second region 222 is formed or an embodiment in which only the third region 223 is formed may be any number.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점착부(220)는 점착제 베이스에 수산기(-OH) 가교제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는 실리콘 계열, 핫멜트 계열 및 아크릴 계열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아크릴계를 주 원료로 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탄소사슬 1~17개까지 보유한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2~8개의 탄소사슬을 가진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의 경우 500 ~ 1,000 gf/inch2의 접착력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part 220 may include a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in the adhesive ba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may be selected from silicone-based, hot-melt-based, and acrylic-based, and acrylic-based may be used as a main raw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a monomer having 1 to 17 carbon chains for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particular, a monomer having 2 to 8 carbon chains is preferred. In the cas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implemented to have an adhesive strength of 500 to 1,000 g f /inch 2.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일반형과 메타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단일 공중합체, 이원공중합체, 3원, 4원, 5원 공중합체가 가능하다. 고분자의 가교 반응을 고려하여 전체 단량체에 0.5 ~10% 중량부 이내에서 산(Acid), 에폭시(Epoxy), 하이드록시 또는 아민기를 갖는 관능기를 보유한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하다.As the acrylic monomer, it is possible to use a general type and a methacrylate-based monomer. At this time, a single copolymer, a binary copolymer, a ternary, a quaternary, and a 5-membered copolymer are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crosslinking reaction of the polymer, it is possible to copolymerize with a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having an acid, epoxy, hydroxy or amine group within 0.5 to 10%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점착제는 수산기(-OH)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점착제의 가교제로서는 카르복실기(-COOH)가 사용된다. 하지만, 인체와 접촉되는 점착제에 카르복실기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산기(-OH) 가교제를 사용 함으로서 점착제가 피부와 접촉하더라도 피부자극을 줄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include a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In general, a carboxyl group (-COOH) is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for an adhesive. However, if a carboxyl group crosslinking agent is used in an adhesive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it may cause skin irritation. In this embodiment, by using a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skin irritation can be reduced even i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cts the skin.

상기 수산기 가교제로는,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2-HEMA),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 부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렌 글리콜 (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글리콜 (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EA), 비닐 아크릴레이트 모노머(VAM), 이소 옥틸 아크릴레이트 (IOA),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및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hydroxyl crosslinking agent include 2-hydroxy ethyl methacrylate (2-HEMA), 2-hydroxy propyl (meth) acrylate, 4-hydroxy butyl (meth) acrylate, and 6-hydroxy hexyl methacrylate. , 2-hydroxy 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2-hydroxy propyl glycol (meth) acrylate, ethyl acrylate (EA), vinyl acrylate monomer (VAM), isooctyl acrylate (IOA), 2-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ombination of ethyl hexyl acrylate (2-EHA), and butyl acrylate (BA) may be included.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베이스와 수산기(-OH) 가교제의 중량비는 95:5 내지 97:3 사이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eight ratio of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and the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may be between 95:5 and 97:3.

일실시예로, 상기 수산기 가교제로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HEMA)를 점착제 베이스에 공중합 함으로서 점착제의 재박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수산기(-OH) 가교제를 사용하면 산업용 접착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카르복실기(-COOH) 가교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접착성이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접착성을 보완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HPA), 및/또는 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HB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베이스: 2-HEMA : HPA 의 중량비는 95 : 4 : 1 내지 97 : 2 : 1 사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수산기 가교제의 중량비를 3~5%로 유지하고, 그 중 일부를 HPA 및/또는 HBA로 첨가한 경우에는 아크릴계 점착제 베이스의 가교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점착성이 약해지는 점을 보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by copolymerizing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with the adhesive base as the hydroxyl crosslinking agent, re-peelability of the adhesive may be improved. When the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the adhesiveness may be lower than when the carboxyl group (-COOH) crosslinking agent generally used in industrial adhesives is us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such adhesion,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hydroxy propyl acrylate (HPA), and/or hydroxy butyl acrylate (HBA). In this embodiment, the weight ratio of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2-HEMA: HPA may be between 95:4:1 to 97:2:1. As in this example, when the weight ratio of the hydroxyl group crosslinking agent is maintained at 3 to 5%, and some of it is added as HPA and/or HBA, it can sufficiently perform the role of a crosslinking agent of the acrylic adhesive base and at the same time, the adhesiveness is weakened. You can make up for the point.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에서, 상기 점착부는 우레탄 계열의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계열의 경화제를 첨가 함으로서 점착부의 열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I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hesiv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urethane-based curing agent. By adding the urethane-based curing ag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adhesive.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의 착용성을 높이기 위해 마스크를 귀에 걸기 위한 착용줄(23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용줄은 마스크 몸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용줄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wearability of the mask, a wearing line 230 for attaching the mask to the ear may be additionally formed. The wearing line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sk body, respectively. The wearing line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착테이프(320)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다른 접착테이프(320)는, 시트(301), 상기 시트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점착부(302), 및 상기 시트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점착부(30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점착부는, 점착제 베이스에 수산기(-OH) 가교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dhesive tape 3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adhesive tape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heet 301, a first adhesive portion 302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heet, and a second adhesive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 303), and the first adhesive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is included in the adhesive base.

본실시형태에 따른 접착테이프(320)를 마스크의 안쪽면에 부착 함으로서 도 1 또는 도 2의 실시형태와 같은 형태의 마스크를 만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점착부(303)가 마스크의 표면에 접착되며, 제1 점착부(302)가 피부에 닿는 부분일 수 있다.By attaching the adhesive tape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a mask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embodiment of FIG. 1 or 2 can be manufactured.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adhesive portion 303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mask, and the first adhesive portion 302 may be a portion that contacts the skin.

상기 시트(301)는, 제1 점착부 및 제2 점착부를 지지하는 층으로서 PET, 폴리머, 종이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점착부 및 제2 점착부와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폴리머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The sheet 301 is a layer that supports the first adhesive portion and the second adhesive portion,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ET, polymer, and paper.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mer material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with the first adhesive portion and the second adhesive portion.

상기 제1 점착부(302)는, 상기 시트(30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점착부는 점착제 베이스에 수산기(-OH) 가교제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part 302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heet 301. The first adhesive portion may include a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in the adhesive base.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점착부(302)는 점착제 베이스에 수산기(-OH) 가교제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베이스는 실리콘 계열, 핫멜트 계열 및 아크릴 계열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아크릴계를 주 원료로 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탄소사슬 1~17개까지 보유한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2~8개의 탄소사슬을 가진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의 경우 500 ~ 1,000 gf/inch2의 접착력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adhesive portion 302 may include a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in the adhesive ba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may be selected from silicone-based, hot-melt-based, and acrylic-based, and acrylic-based may be used as a main raw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use a monomer having 1 to 17 carbon chains for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particular, a monomer having 2 to 8 carbon chains is preferred. In the cas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implemented to have an adhesive strength of 500 to 1,000 g f /inch 2.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일반형과 메타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단량체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단일 공중합체, 이원공중합체, 3원, 4원, 5원 공중합체가 가능하다. 고분자의 가교 반응을 고려하여 전체 단량체에 0.5 ~10% 중량부 이내에서 산(Acid), 에폭시(Epoxy), 하이드록시 또는 아민기를 갖는 관능기를 보유한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하다.As the acrylic monomer, it is possible to use a general type and a methacrylate-based monomer. At this time, a single copolymer, a binary copolymer, a ternary, a quaternary, and a 5-membered copolymer are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crosslinking reaction of the polymer, it is possible to copolymerize with a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having an acid, epoxy, hydroxy or amine group within 0.5 to 10%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점착제는 수산기(-OH)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점착제의 가교제로서는 카르복실기(-COOH)가 사용된다. 하지만, 인체와 접촉되는 점착제에 카르복실기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산기(-OH) 가교제를 사용 함으로서 점착제가 피부와 접촉하더라도 피부자극을 줄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include a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In general, a carboxyl group (-COOH) is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for an adhesive. However, if a carboxyl group crosslinking agent is used in an adhesive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it may cause skin irritation. In this embodiment, by using a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skin irritation can be reduced even i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cts the skin.

상기 수산기 가교제로는,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2-HEMA), 2-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 부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 헥실 (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에틸렌 글리콜 (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프로필 글리콜 (메타)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EA), 비닐 아크릴레이트 모노머(VAM), 이소 옥틸 아크릴레이트 (IOA),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및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hydroxyl crosslinking agent include 2-hydroxy ethyl meta acrylate (2-HEMA), 2-hydroxy propyl (meth) acrylate, 4-hydroxy butyl (meth) acrylate, and 6-hydroxy hexyl (meth). Acrylate, 2-hydroxy 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2-hydroxy propyl glycol (meth) acrylate, ethyl acrylate (EA), vinyl acrylate monomer (VAM), isooctyl acrylate (IOA),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ombination of 2-ethyl hexyl acrylate (2-EHA), and butyl acrylate (BA) may be included.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베이스와 수산기(-OH) 가교제의 중량비는 95:5 내지 97:3 사이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weight ratio of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and the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may be between 95:5 and 97:3.

일실시예로, 상기 수산기 가교제로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HEMA)를 점착제 베이스에 공중합 함으로서 점착제의 재박리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수산기(-OH) 가교제를 사용하면 산업용 접착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카르복실기(-COOH) 가교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접착성이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접착성을 보완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 아크릴레이트(HPA), 하이드록시 부틸 (메타) 아크릴레이트(HBA), 및/또는 하이드록시 헥실 (메타) 아크릴레이트(HH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베이스: 2-HEMA : HPA 의 중량비는 95 : 4 : 1 내지 97 : 2 : 1 사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수산기 가교제의 중량비를 3~5%로 유지하고, 그 중 일부를 HPA, HBA 및/또는 HHA로 첨가한 경우에는 아크릴계 점착제 베이스의 가교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점착성이 약해지는 점을 보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by copolymerizing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 with the adhesive base as the hydroxyl crosslinking agent, re-peelability of the adhesive may be improved. That is, when the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the adhesiveness may be lower than when the carboxyl group (-COOH) crosslinking agent generally used in industrial adhesives is used. To compensate for this adhesion, in this embodiment, hydroxy propyl (meth) acrylate (HPA), hydroxy butyl (meth) acrylate (HBA), and/or hydroxy hexyl (meth) acrylate (HHA) are used. It may contain more. In this embodiment, the weight ratio of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2-HEMA: HPA may be between 95:4:1 to 97:2:1. As in this example, when the weight ratio of the hydroxyl group crosslinking agent is maintained at 3 to 5%, and some of them are added as HPA, HBA, and/or HHA, it can sufficiently perform the role of a crosslinking agent of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and at the same time have adhesiveness. You can compensate for the weakness.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크에서, 상기 점착부는 우레탄 계열의 경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계열의 경화제를 첨가 함으로서 점착부의 열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I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dhesiv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urethane-based curing agent. By adding the urethane-based curing ag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adhesive.

상기 제2 점착부(303)는, 상기 시트(301)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점착부는 상기 제1 점착부의 접착력보다 강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제2 점착부는 상기 제1 점착부와 같이 점착제 베이스에 수산기(-OH) 가교제가 포함된 것일 수도 있으며, 또한 점착제 베이스에 카르복실기(-COOH) 가교제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The second adhesive part 303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heet 301. The second adhesive portion may have an adhesive force stronger than that of the first adhesive portion. The second adhesive portion may include a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in the adhesive base, like the first adhesive portion, and may also include a carboxyl group (-COOH) crosslinking agent in the adhesive base.

본 실시형태에 상기 제2 점착부(303)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테이프(320)를 마스크 일표면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점착부(303)는 제1 점착부의 접착력보다 강한 접착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adhesive portion 303 may serve to attach the adhesive tape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o one surface of the mask. Accordingly, the second adhesive portion 303 may be formed to have an adhesive force stronger than that of the first adhesive portion.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테이프의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접착테이프(420)는 시트(401), 제1 점착부(402), 제2 점착부(403), 제1 커버부(404) 및 제2 커버부(405)를 포함할 수 있다. 4, the adhesive tape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heet 401, a first adhesive portion 402, a second adhesive portion 403, a first cover portion 404, and a second cover portion. (405) may be included.

본 실시형태는 도 3의 실시형태에서 제1 커버부(401) 및 제2 커버부(405)가 추가된 형태이다. This embodiment is a form in which the first cover portion 401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405 are added in the embodiment of FIG. 3.

제1 커버부(404)는 상기 제1 점착부(402)에 부착되어 있고, 제2 커버부(405)는 상기 제2 점착부(403)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접착테이프를 사용시 먼저 제2 커버부(405)를 벗겨내어 제2 점착부(403)를 마스크 안쪽에 부착시킨 후 제 1커버부(404)를 벗겨내고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커버부(404) 및 제2 커버부(405)는 각각 제1 점착부(402) 및 제2 점착부(403) 상에 부착되어 점착부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시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도록 코팅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The first cover part 404 is attached to the first adhesive part 402, and the second cover part 405 is attached to the second adhesive part 403. When using the adhesive tape of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ver portion 405 is first peeled off and the second adhesive portion 403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mask, and then the first cover portion 404 is peeled off and the mask can be worn. As such, the first cover part 404 and the second cover part 405 are attached on the first adhesive part 402 and the second adhesive part 403, respectively,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adhesive part, and are easily used in use. A material coated to be peeled off can be us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점착부의 위치나 형태, 점착부에 포함되는 수산기 가교제의 성분 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For example,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adhesive portion, components of the hydroxyl group crosslinking agent included i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like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These modified implement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마스크 몸체 120 : 점착부
301 : 시트 302 : 제1 점착부
303 : 제2 점착부
110: mask body 120: adhesive part
301: sheet 302: first adhesive portion
303: second adhesive portion

Claims (9)

시트;
상기 시트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점착부; 및
상기 시트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점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점착부는, 점착제 베이스에 수산기(-OH) 가교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Sheet;
A first adhesive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heet; And
A second adhesive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Including,
The first adhesive portion, an adhesive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xyl group (-OH) crosslinking agent is included in the adhesiv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착부의 접착력이 상기 제1 점착부의 접착력보다 더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The method of claim 1,
Adhesive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second adhesive portion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first adhesiv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2 점착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2 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cover portion formed to cover the first adhesive portion; And
A second cover portion formed to cover the second adhesive portion
Adhesive tap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베이스는,
아크릴계 또는 메타아크릴계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Adhesive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acrylic or meth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가교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HEMA), 에틸아크릴레이트 (EA), 비닐아크릴레이트모노머 (VAM),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IO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및 부틸아크릴레이트(BA)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hydroxyl group crosslinking agent,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ethyl acrylate (EA), vinyl acrylate monomer (VAM), isooctyl acrylate (IOA), 2-ethylhexyl acrylate (2-EHA), and Adhesive tape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ombination of butyl acrylate (B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가교제는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HPA), 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HBA)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The method of claim 5,
The hydroxyl group crosslinking agen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hydroxy propyl acrylate (HPA) and hydroxy butyl acrylate (HB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베이스와 수산기 가교제의 중량비는 95:5 내지 97: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The method of claim 1,
Adhesive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 and the hydroxyl group crosslinking agent is 95:5 to 97: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부는 약 500~1,000 gf/inch2의 접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이프.
The method of claim 1,
Adhesive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dhesive portion has an adhesive force of about 500 ~ 1,000 g f / inch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부는 우레탄계열의 경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이프.
The method of claim 1,
Adhesive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dhesive portion further comprises a urethane-based curing agent.
KR1020190127405A 2019-10-15 2019-10-15 Mask and adhesive tape applied to the same KR1024083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405A KR102408382B1 (en) 2019-10-15 2019-10-15 Mask and adhesive tape applied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405A KR102408382B1 (en) 2019-10-15 2019-10-15 Mask and adhesive tape applied to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919A true KR20210044919A (en) 2021-04-26
KR102408382B1 KR102408382B1 (en) 2022-06-14

Family

ID=7573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405A KR102408382B1 (en) 2019-10-15 2019-10-15 Mask and adhesive tape applied to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38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6670A (en) * 2007-12-12 2011-03-0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KR20110131772A (en) *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케이씨씨 Ultraviolet-curable adhesive resin composition and adhesive tape for dicing or surface-protection comprising the same
KR20190053284A (en) * 2015-07-17 2019-05-17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dhesive resin layer and adhesive resin fil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6670A (en) * 2007-12-12 2011-03-0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KR20110131772A (en) *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케이씨씨 Ultraviolet-curable adhesive resin composition and adhesive tape for dicing or surface-protection comprising the same
KR20190053284A (en) * 2015-07-17 2019-05-17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dhesive resin layer and adhesive resin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8382B1 (en)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732B2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US20060174890A1 (en) Nasal adjuster
US20170113076A1 (en) Clothing with built-in respiratory filter
JP2006288650A (en) Mask
JP2020128613A (en) Sticking material for mask
KR20210044919A (en) Mask and adhesive tape applied to the same
KR20210044918A (en) Mask and adhesive tape applied to the same
CN211348902U (en) Glasses and gauze mask wear simultaneously and prevent lens piece component that hazes
KR20100043682A (en) The face mask which have device attachable something
CN216932004U (en) Medical protective clothing
CN215422947U (en) Novel protective mask
CN212994554U (en) Mask
CN206342772U (en) A kind of nasal trachea cannula fixing band
CN211631878U (en) Airtight mask with adjustable ear belt length
CN212185287U (en) Comfortable mask
CN213370062U (en) Fixing device for mask
CN215124612U (en) Adhesive mask
CN214016127U (en) Medical antifog gauze mask
JP3231806U (en) Nose fitter to be attached to sanitary mask
JP3231415U (en) Mask that does not fog glasses
CN219939783U (en) Anti-ear-tightening surgical mask
CN212233182U (en) Plane mask
CN212911792U (en) Disposable protective mask and disposable DIY protective mask set
CN213848953U (en) Anti-sticking glove
AU2009245816B2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