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132A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132A
KR20210044132A KR1020190139893A KR20190139893A KR20210044132A KR 20210044132 A KR20210044132 A KR 20210044132A KR 1020190139893 A KR1020190139893 A KR 1020190139893A KR 20190139893 A KR20190139893 A KR 20190139893A KR 20210044132 A KR20210044132 A KR 20210044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extrusion
crushing
pip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483B1 (ko
Inventor
김규태
Original Assignee
(주)비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바 filed Critical (주)비바
Publication of KR2021004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물과 음식물쓰레기를 투입받아서 분쇄하는 분쇄부; 내측에 상기 분쇄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분쇄부를 보호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프레임;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분쇄부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분쇄부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탈수 또는 압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출부; 를 포함하므로 고형의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키고 압출하면서 물을 제거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대폭 감축시킬 수 있으므로 쓰레기 처리능률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 처리 환경을 좀 더 깨끗한 환경을 유지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An Appratus for Disposal of Food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고형물이 있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하여 수분을 제거하면서 고형물을 분쇄시켜주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환경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감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처리에 관한 기술 또한 연구개발되고 있다. 중소형 음식점 등과 같이 음식물쓰레기가 꾸준히 발생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에 섞인 각종 고형물의 크기가 제각각이므로 이를 잘게 분쇄하여 주어야 한다. 분쇄되지 않은 음식물쓰레기는 음식물쓰레기봉투의 훼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중요하다.
또 음식물 쓰레기는 물기를 제거가 중요하다. 물기를 제거시킴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감축시킬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 부피가 감소되면 음식물쓰레기의 처리효율이 증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에서 수분을 일정 수준 이상 제거시켜주면서 고형물을 분쇄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51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85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고형물이 있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하여 수분을 제거하면서 고형물을 분쇄시켜주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물과 음식물쓰레기를 투입받아서 분쇄하는 분쇄부; 내측에 상기 분쇄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분쇄부를 보호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프레임;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분쇄부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분쇄부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탈수 또는 압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기 위하여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수조; 상기 분쇄수조 내에 수용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회전하는 블레이드디스크; 상기 블레이드디스크의 중심에 회전축이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디스크를 회전시켜주는 분쇄모터; 상기 분쇄수조와 상기 분쇄모터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분쇄수조의 내측과 연통될 수 있도록 입구가 상기 분쇄수조에 결합되고, 입구측에 상기 블레이드디스크가 배치되며, 상기 분쇄수조 내에 수용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는 분쇄유입관; 상기 분쇄유입관과 상기 분쇄모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유입관 및 상기 분쇄모터와 결합되며, 상기 분쇄유입관을 통해 유입되어 오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키면서 상기 압출부 측으로 전달하는 분쇄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출부는, 상기 분쇄유니트 측으로부터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전달받는 압출유니트: 후측단이 상기 압출유니트에 결합되고, 전측단이 상기 바디프레임의 벽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압출유니트를 거쳐오는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압출관; 상기 압출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압출관 내에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압출되면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압출스크류; 상기 압출유니트의 후측에 결합되고, 상기 압출스크류를 회전시켜주는 압출모터; 상기 압출관의 전측단에 위치하며, 상기 압출스크류에 의해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밀려서 이동되는 힘에 대한 저항력으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압착되도록 버티는 압착디스크; 및 상기 압착디스크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압착디스크가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밀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버틸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착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출부의 상기 압출관에는, 압출관의 전측단에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압착디스크 및 상기 압착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압출관의 압출구를 통해 압출되어 나오는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사방으로 튀는 것을 예방하면서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하측 일부 부분이 개방된 형태를 갖춘 압출구커버가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출관의 표면에는, 상기 압출관 내에서 이동되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출부는, 상기 압출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압출관에서 낙하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쇄수조와 연통되는 압출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분쇄유니트와 상기 압출유니트에 연통가능하도록 양 단이 각기 결합되고, 상기 분쇄유니트를 지나온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압출유니트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토스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프레임의 상측면에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투입받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의 바닥면은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분쇄수조 내측으로 이동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분쇄수조 내측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출유니트와 상기 투입구 사이에는 회수관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토스관을 통해 상기 압출유니트로 유입된 물은 상기 회수관을 통해 상기 투입구로 이동되고, 상기 압출유니트로 유입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압출관으로 이동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분쇄수조와 상기 압출수조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되, 상기 분쇄수조와 상기 압출수조 사이에는 격벽이 배치 되어있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분쇄수조와 상기 압출수조 사이에 물이 유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출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압출수조 내측 또는 상기 분쇄수조의 내측에 물이 과다하게 저수되어 범람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위조절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분쇄수조 내측면에는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식기구가 상기 분쇄유입관으로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보호플레이트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디스크에는, 상기 분쇄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디스크에서 상기 분쇄수조의 내측을 향하여 일정한 크기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분쇄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분쇄수조에서 상기 분쇄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고형의 음식물쓰레기가 잘라질 수 있도록 상기 분쇄수조에 결합된 상기 분쇄유입관의 테두리 부분에 다수개의 사이드블레이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분쇄수조의 내측 바닥면 상측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일정 크기 이상의 고형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분쇄수조의 내측 바닥면으로 가라앉는 것을 억제시켜주는 메쉬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프레임에는 컨트롤패널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상기 분쇄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분쇄모터작동스위치 및 상기 압출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압출모터작동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는 고형의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키고 압출하면서 물을 제거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대폭 감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쓰레기 처리능률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 처리 환경을 좀 더 깨끗한 환경을 유지 관리하는데 도움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평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우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좌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측에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후측에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압출구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좌측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평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우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좌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측에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바디프레임(100), 분쇄부 및 압출부를 포함한다.
바디프레임(100)은 내부에 분쇄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분쇄부와 압출부를 보호하는 몸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바디프레임(100)은 전체적으로 6면체와 같은 형상으로써 상측면에 일부 개방된 부분이 마련되고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몸체 역할을 한다.
분쇄부는 바디프레임(100)의 내측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물과 음식물쓰레기를 투입받아서 분쇄한다. 분쇄부는 분쇄수조(310), 블레이드디스크(340), 분쇄모터(330), 분쇄유입관(346) 및 분쇄유니트(320)를 포함하며, 토스관(360) 또는 메쉬플레이트(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출부는 바디프레임(100)의 내측공간에서 분쇄부의 주변에 배치되며, 분쇄부에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부로부터 전달받아서 음식물쓰레기를 탈수 또는 압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압출부는 압출유니트(520), 압출관(540), 압출스크류(545), 압출모터(530), 압착디스크(570) 및 압착스프링(573)을 포함하며, 압출수조(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프레임(100), 분쇄부 및 압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바디프레임(100)부터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바디프레임(100)의 상측면에는 음식물쓰레기를 투입받기 위한 투입구(110)가 마련되어 있다. 투입구(110)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된다.
투입구(110)에는 외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이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분쇄수조(3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급수관(113)과 연결된 급수구(115)가 마련되어 있다. 분쇄수조(310)는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기 위하여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급수구(115)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음식물쓰레기가 잘게 분쇄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도 한다고 할 수 있다. 급수관(113)에 마련된 급수밸브(114)는 급수를 선택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개폐동작을 한다.
투입구(110)의 바닥면(111)은 분쇄수조(310) 측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투입구(110)의 바닥면(111)이 분쇄수조(310)의 내측을 향해 기울여져 있으므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원활하게 분쇄수조(310)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투입구(110)의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투입구(110)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켜줄 수 있는 투입구커버(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마련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투입구(110)을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켜주기 위하여 음식물쓰레기와 물이 함께 수용되는 분쇄수조(310)가 바디프레임(100)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도면에서 분쇄수조(310)의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분쇄수조(310)의 상측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는 분쇄수조커버(미도시)가 바디프레임(100)의 상측에 마련된 것도 가능하다.
음식물쓰레기가 투입구(110)로 투입될 때 실수로 식기구가 함께 투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식기구가 분쇄유입관(346)으로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보호프레이트(211)가 분쇄수조(310)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수로 투입구(110)로 들어간 식기구는 보호플레이트(211)에 의해 분쇄유입관(346)의 입구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로 낙하된다. 따라서 식기구가 분쇄유입관(346)으로 유입됨에 따른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분쇄수조(310)의 바닥에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분쇄압출 처리 후 분쇄수조(31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구(312)가 마련되어 있다. 배수구(312)는 후술할 배수관(162)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배수관(162)에는 배수밸브 (164)가 마련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분쇄수조(310) 또는 압출수조(550)) 내의 물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배수구(312)가 마련된 분쇄수조(310)의 바닥면(212)의 상측에는 메쉬플레이트(213)이 배치될 수 있다. 메쉬플레이트(213)는 분쇄수조(310)의 바닥면(212)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배치되거나 분쇄수조(310)의 외측으로 반출될 수 있다.
메쉬플레이트(213)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메쉬플레이트(213)에 형성된 홀은 분쇄수조(310) 내의 물은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으나, 일정 크기 이상의 고형 음식물 쓰레기가 바닥으로 가라앉는 것을 억제시켜준다.
바디프레임(100)의 내측에는 분쇄수조(310)와 압출수조(550))가 마련되어 있다. 분쇄수조(310)와 압출수조(550)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되, 분쇄수조와 압출수조 사이에는 격벽(140)이 배치 되어있다. 즉, 분쇄수조(310)와 압출수조(550))는 격벽(14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격벽(140)에는 일정한 크기의 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격벽(140)에 마련된 다수의 홀은 일정 크기 이상의 고형 음식물쓰레기가 압출수조(55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며 물이 분쇄수조(310)와 압출수조(550) 사이를 자유로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분쇄수조(310) 내에 있는 음식물쓰레기와 물은 분쇄유입관(346)으로 유입된다.
분쇄유입관(346)은 입구부분이 분쇄수조(310)의 내측과 연통될 수 있도록 분쇄수조(310)에 결합되어 있다.
즉, 분쇄유입관(346)은 분쇄수조(310)와 분쇄모터(330) 사이에 배치되되, 분쇄수조(310)의 내측과 연통될 수 있도록 입구가 분쇄수조(310)에 결합된다. 그리고, 분쇄유입관(346)의 입구측에 블레이드디스크(340)가 배치되며, 분쇄수조(310) 내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유입관(346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분쇄수조(310)에 결합된 분쇄유입관(346)의 테두리 부분에는 다수개의 사이드블레이드(348)이 마련되어 있다. 사이드 블레이드(348)는 분쇄수조(310)에서 분쇄유입관(346)으로 유입되는 고형 음식물쓰레기를 잘라주는 역할을 한다.
분쇄유입관(346)의 입구 측에는 블레이드디스크(340)이 마련되어 있다.
블레이드디스크(340)는 분쇄수조(310) 내에 수용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회전한다.
블레이드디스크(340)는 분쇄모터(330)에 의해 회전된다. 분쇄모터(330)는 블레이드디스크(340)의 중심에 회전축이 결합되며, 블레이드디스크(340)를 회전시켜준다.
블레이드디스크(340)에는 분쇄돌기(342)와 분쇄헤머(344)가 마련되어 있다.
분쇄돌기(342)는, 분쇄유입관(346)으로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하여, 블레이드디스크(340)에서 분쇄수조(310)의 내측을 향하여 일정한 크기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 마련되어 있다.
블레이드디스크(340)가 분쇄모터(33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다수개의 분쇄돌기(342) 또한 함께 회전된다. 회전하는 분쇄돌기(342)는 고형의 음식물쓰레기와 부딪히게 되며, 고형의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된다.
분쇄해머(344)도 블레이드디스크(340)와 함께 회전된다. 분쇄해머(344)는 블레이드디스크(340)의 표면에 장착되되 블레이드디스크(340) 표면상에서 회전운동 또는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결합핀에 의해 블레이드디스크(340)에 결합되어 있다.
블레이드디스크(340)가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원심력과 관성력에 의해 분쇄해머(344)는 결합핀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거나 일정 범위 내에서 흔들리며 유동된다. 이러한 분쇄해머(344)의 움직임에 의해 고형의 음식물이 분쇄된다.
블레이드디스크(340)가 회전하는 힘에 의해 물과 음식물쓰레기는 소용돌이처럼 유동되면서 분쇄유입관(346)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분쇄해머(344), 분쇄돌기(342), 블레이드디스크(340) 또는 사이드블레이드(348)에 의해 분쇄된다.
분쇄유입관(346)의 내측면과 블레이드디스크(340) 사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된 틈이 있다. 회전하는 블레이드디스크(340)와 분쇄유입관(346)의 내측면 사이를 음식물 쓰레기가 지나가면서 분쇄될 수 있다.
분쇄유니트(320)는 분쇄유입관(346)과 분쇄모터(330) 사이에 배치되어 분쇄유입관(346) 및 분쇄모터(330)와 결합되며, 분쇄유입관(346)을 통해 유입되어 오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키면서 압출부의 압출유니트(520)측으로 전달한다.
분쇄유입관(346)의 전측입구가 분쇄수조(310)에 결합되어 있고, 분쇄유입관(346)의 후측은 분쇄유니트(320)와 결합되어 있다. 분쇄유입관(346)으로 유입된 물과 음식물쓰레기는 분쇄유니트(320) 내로 이동된다. 그리고 분쇄유니트(320) 내에서도 음식물쓰레기는 분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쇄유니트(320) 내에는 분쇄스크류(미도시)가 마련된 것도 가능하다.
전측이 분쇄유입관(346)과 결합된 분쇄유니트(320)는 후측에서 분쇄모터(330)와 결합되어 있다. 분쇄모터(330)의 회전축은 앞서 설명한 블레이드디스크(340)의 회전의 중심축이 되며, 블레이드디스크(340)와 분쇄모터(330)의 회전축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을 더 참조하여 설명을 이어가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후측에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6을 함께 더 참조하면, 분쇄유니트(320)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와 물은 분쇄유니트(320)을 지나 토스관(360)으로 유입된다.
토스관(360)은, 분쇄유니트(320)와 압출유니트(520) 사이에 연통가능하도록 양 단이 각기 분쇄유니트(320)와 압출유니트(520)에 결합되고, 분쇄유니트(320)를 지나온 음식물쓰레기가 압출유니트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한다.
즉, 토스관(360)의 전측은 분쇄유니트(320)와 연결되어 있다. 토스관(360)의 후측은 압출유니트(520)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물과 음식물쓰레기는 분쇄유니트(320)에서 토스관(360)으로 유입되고, 토스관(360)을 지나 압출유니트(520)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압출유니트(520)는 분쇄유니트(320) 측으로부터 음식물쓰레기를 전달받는다.
압출유니트(520)의 후측에는 압출모터(530)가 결합되어 있다. 압출유니트(520)의 전측에는 압출관(540)이 결합되어 있으며, 압출관(540)의 내측에는 압출스크류(545)가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압출모터(530)는 압출스크류(545)를 회전시켜준다.
압출유니트(520)는 회수관(510)의 하측단과 결합되어 있다. 회수관(510)의 전측단은 투입구(111)에 결합되어 있다. 압출유니트(520)와 투입구(111) 사이에 회수관이(510)이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토스관(360)을 통해 압출유니트(520)로 유입된 물과 음식물쓰레기는 압출유니트(520) 내로 유입되고, 압출유니트(520)에서 물은 회수관(510)으로 보내진다. 회수관(510)으로 유입된 물은 투입구(111)로 이동되며, 투입구(111)에서 다시 분쇄수조(310)로 이동된다.
압출유니트(520)으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는 압출관(540)으로 이동된다. 압출모터(530)의 회전에 의하여 압출유니트(520) 내에서 물이 회수관(510)으로 보내지고, 음식물쓰레기는 압출관(540)으로 이동된다.
압출관(540)의 후측단이 압출유니트(520)에 결합되고, 압출관(540)의 전측단이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바디프레임(100)의 벽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압출관(540)은 압출유니트(520)를 거쳐오는 음식물쓰레기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압출스크류(545)는 압출관(540)의 내측에 배치되어 압출관(540) 내에서 음식물쓰레기가 압출되면서 이동되도록 회전한다. 즉, 압출모터(530)의 회전에 의하여 압출관(540) 내에 마련된 압출스크류(545)는 회전을 한다. 따라서, 압출관(540) 내에서 압출스크류(545)가 회전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는 압출구(565) 측으로 이동된다.
압출관(545)의 표면에는 압출관(545) 내에서 이동되는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홀을 통하여 물이 압출관의 하측에 배치된 압출수조(550)의 내측으로 낙하되어 수용된다. 따라서 압출관(545) 내에서 압출되며 이동되는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물이 제거되어진다.
압출수조(550)의 내측에는, 압출수조(550) 내측 또는 분쇄수조(310)의 내측에 물이 과다하게 저수되어 범람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위조절관(166)이 마련되어 있다. 수위조절관(166)은 하측에서 배수관(162)과 연결되어 있다.
수위조절관(166)의 상측은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격벽(140)에는 물이 유동될 수 있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출수조(550)와 분쇄수조(310) 내의 수위는 같게 되며, 압출수조(550) 내에서의 수위조절관(166)의 상측단의 높이만큼만 물이 저수될 수 있게 된다.
수위가 수위조절관(166)보다 높아지면 수위조절관(166)의 상측단을 통해 수위조절관(166) 내로 물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수되어 지게 된다. 따라서 수위조절관(166)에 의해 물이 과다하게 분쇄수조(310) 또는 압출수조(550) 내에 저수되어 범람되는 것이 억제된다.
압출관(545) 내에서 압출되며 이동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물이 제거되면서 전측단으로 이동된다. 압출관(540)의 전측단에는 압출구커버(560)가 장착되어 있다.
압출구커버(560)는 압출관(540)의 전측단에 결합되되, 내측에 압착디스크(570) 및 압착스프링(553)이 배치되고, 압출관(540)의 압출구(565)를 통해 압출되어 나오는 음식물쓰레기가 사방으로 튀는 것을 예방하면서, 음식물쓰레기가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하측의 일부 부분이 개방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도 7을 더 참조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압출구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함께 더 참조하면, 압출관(540)의 전측단에는 압출구커버(560), 압착디스크(570) 및 압착스프링(553)이 배치되어 있다. 압출관(540)의 전측단에 압출구커버(560)가 결합되어 있으며, 압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막아준다. 압출구커버(560)는 하측으로 일부 부분이 개방된 압출구(565)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압출구커버(560)의 압출구(565)를 통해 압출된 음식물쓰레기가 압출된다.
압출관의 전측단에서 압출구커버(560)의 내측에는 압착디스크(570)와 압착스프링(553)이 마련되어 있다.
압착디스크(570)는 압출스크류(545)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밀려서 이동되는 힘에 대한 저항력으로 음식물쓰레기가 압착되도록 버틴다. 압착스프링(573)은 압착디스크의 일측에 위치하며, 압착디스크(570)가 음식물쓰레기에 밀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버틸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압출스크류(545)의 회전중심축(543)이 압출구커버(56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중심축(543)을 중심으로 하여 도 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압착디스크(570)와 압착스프링(573)이 장착되어 있다.
압출스크류(545)에 의해 밀려오는 음식물 쓰레기는 압착디스크(570)에 눌리면서 압착된다. 그리고 압출구(565)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된다. 압착스프링(573)은 압착디스크(570)을 밀어줌으로써 압착디스크(570)가 음식물쓰레기에 의해 밀려나는 것을 억제하면서 압착디스크(570)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압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압착된 음식물쓰레기는 물기가 대폭 제거되고 잘게 분쇄되어 압출구(565)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좌측에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바디프레임(100)에는 컨트롤패널(180)이 마련되어 있다. 컨트롤패널(180)에는 배수밸브작동스위치(189)와 급수밸브작동스위치(187)가 마련되어 있다.
배수밸브작동스위치(189)를 통해 배수밸브(164)의 개폐동작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배수밸브(164)가 오픈되면 배수밸브오픈램프(190)가 점등된다.
아울러, 급수밸브작동스위치(187)를 통해 급수밸브(114)의 개폐동작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급수밸브(114)가 오픈되면 급수밸브오픈램프(188)가 점등된다.
컨트롤패널(180)에는 분쇄모터(3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분쇄모터작동스위치(183)와 압출모터(5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압출모터작동스위치(185)가 마련되어 있다.
분쇄모터작동스위치(183)을 통해 분쇄모터(330)가 작동되면 분쇄모터작동램프(184)가 점등된다. 압출모터작동스위치(185)을 통해 압출모터(530)가 작동되면 압쇄모터작동램프(184)가 점등된다.
그리고 비상시 모든 작동을 긴급히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스위치(181)도 컨트롤패널(180)에 마련되어 있다. 비상정지스위치(181)를 통해 모든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비상정지시 비상정지등(182)가 점등된다.
이와 같은 컨트롤패널(180)을 통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고형의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키고 압출하면서 물을 제거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대폭 감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쓰레기 처리능률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 처리 환경을 좀 더 깨끗한 환경을 유지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바디프레임 310 : 분쇄수조
330 : 분쇄모터 340 : 블레이드디스크
530 : 압출모터 540 : 압출관
545 : 압출스크류 550 : 압출수조

Claims (15)

  1. 외부로부터 물과 음식물쓰레기를 투입받아서 분쇄하는 분쇄부;
    내측에 상기 분쇄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분쇄부를 보호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프레임;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분쇄부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분쇄부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탈수 또는 압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기 위하여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분쇄수조;
    상기 분쇄수조 내에 수용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회전하는 블레이드디스크;
    상기 블레이드디스크의 중심에 회전축이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디스크를 회전시켜주는 분쇄모터;
    상기 분쇄수조와 상기 분쇄모터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분쇄수조의 내측과 연통될 수 있도록 입구가 상기 분쇄수조에 결합되고, 입구측에 상기 블레이드디스크가 배치되며, 상기 분쇄수조 내에 수용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는 분쇄유입관; 및
    상기 분쇄유입관과 상기 분쇄모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유입관 및 상기 분쇄모터와 결합되며, 상기 분쇄유입관을 통해 유입되어 오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압출부 측으로 전달하는 분쇄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는,
    상기 분쇄유니트 측으로부터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전달받는 압출유니트:
    후측단이 상기 압출유니트에 결합되고, 전측단이 상기 바디프레임의 벽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압출유니트를 거쳐오는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압출관;
    상기 압출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압출관 내에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압출되면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압출스크류;
    상기 압출유니트의 후측에 결합되고, 상기 압출스크류를 회전시켜주는 압출모터;
    상기 압출관의 전측단에 배치되며, 상기 압출스크류에 의해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밀려서 이동되는 힘에 대한 저항력으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압착되도록 버티는 압착디스크; 및
    상기 압착디스크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압착디스크가 상기 음식물쓰레기에 밀리는 것을 억제하면서 버틸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착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의 상기 압출관에는,
    압출관의 전측단에 결합되되, 내측에 상기 압착디스크 및 상기 압착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압출관의 압출구를 통해 압출되어 나오는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사방으로 튀는 것을 예방하면서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하측 일부 부분이 개방된 형태를 갖춘 압출구커버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관의 표면에는,
    상기 압출관 내에서 이동되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홀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출부는,
    상기 압출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압출관에서 낙하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분쇄수조와 연통되는 압출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분쇄유니트와 상기 압출유니트 사이에 연통가능하도록 양 단이 각기 결합되고, 상기 분쇄유니트를 지나온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압출유니트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토스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의 상측면에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투입받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의 바닥면은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분쇄수조 내측으로 이동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분쇄수조 내측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유니트와 상기 투입구 사이에는 회수관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토스관을 통해 상기 압출유니트로 유입된 물은 상기 회수관을 통해 상기 투입구로 이동되고, 상기 압출유니트로 유입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압출관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수조와 상기 압출수조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되, 상기 분쇄수조와 상기 압출수조 사이에는 격벽이 배치 되어있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분쇄수조와 상기 압출수조 사이에 물이 유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압출수조 내측 또는 상기 분쇄수조의 내측에 물이 과다하게 저수되어 범람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수위조절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수조 내측면에는,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식기구가 상기 분쇄유입관으로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보호플레이트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디스크에는,
    상기 분쇄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디스크에서 상기 분쇄수조의 내측을 향하여 일정한 크기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분쇄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수조에서 상기 분쇄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고형의 음식물쓰레기가 잘라질 수 있도록 상기 분쇄수조에 결합된 상기 분쇄유입관의 테두리 부분에 다수개의 사이드블레이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분쇄수조의 내측 바닥면 상측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일정 크기 이상의 고형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분쇄수조의 내측 바닥면으로 가라앉는 것을 억제시켜주는 메쉬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에는 컨트롤패널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상기 분쇄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분쇄모터작동스위치 및
    상기 압출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압출모터작동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90139893A 2019-10-14 2019-11-05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446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52 2019-10-14
KR20190126852 2019-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132A true KR20210044132A (ko) 2021-04-22
KR102446483B1 KR102446483B1 (ko) 2022-09-23

Family

ID=7573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893A KR102446483B1 (ko) 2019-10-14 2019-11-05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4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431B1 (ko) 2021-12-23 2022-07-21 주식회사 보강에스티 음식물 처리장치
KR102423438B1 (ko) 2021-12-23 2022-07-21 주식회사 보강에스티 음식물 처리장치
KR20230079559A (ko) 2021-11-29 2023-06-07 (주)에코탄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321A (ko) * 1998-07-23 2000-02-15 장창윤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55569Y1 (ko) * 2001-09-06 2001-12-13 성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394260B1 (ko) * 2013-05-07 2014-05-13 (주)비바 분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1448503B1 (ko) 2013-06-26 2014-10-13 박갑순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75158B1 (ko) 2013-11-07 2014-12-22 이종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71903A (ko) * 2013-12-19 2015-06-29 천정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321A (ko) * 1998-07-23 2000-02-15 장창윤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55569Y1 (ko) * 2001-09-06 2001-12-13 성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394260B1 (ko) * 2013-05-07 2014-05-13 (주)비바 분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1448503B1 (ko) 2013-06-26 2014-10-13 박갑순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75158B1 (ko) 2013-11-07 2014-12-22 이종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71903A (ko) * 2013-12-19 2015-06-29 천정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9559A (ko) 2021-11-29 2023-06-07 (주)에코탄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423431B1 (ko) 2021-12-23 2022-07-21 주식회사 보강에스티 음식물 처리장치
KR102423438B1 (ko) 2021-12-23 2022-07-21 주식회사 보강에스티 음식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483B1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4132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30121B1 (ko) 믹서 기능을 갖는 음식물찌꺼기 처리기
KR100883783B1 (ko) 음식물쓰레기 파쇄 선별기
KR101217227B1 (ko) 음식물 분쇄처리감량기
KR10152971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80112233A (ko) 개수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KR20120134896A (ko) 음식물 분쇄 배수장치
KR101191339B1 (ko) 디스포저
KR10111249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74442A (ko)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99425B1 (ko) 음식물 처리기
KR101691867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장치
KR101277408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이송장치
KR102079541B1 (ko)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KR102388481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870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112919A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102458328B1 (ko) 저소음 회전날부를 이용한 디스포저
CN104801404A (zh) 一种小型垃圾破碎处理器
KR102657016B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장치
KR100320401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CN209074374U (zh) 一种厨房清洗盆
KR102173987B1 (ko)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KR102617038B1 (ko) 쓰레기처리용 분쇄기능을 구비한 쓰레기통
KR102607785B1 (ko) 스크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