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118A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118A
KR20210044118A KR1020190127315A KR20190127315A KR20210044118A KR 20210044118 A KR20210044118 A KR 20210044118A KR 1020190127315 A KR1020190127315 A KR 1020190127315A KR 20190127315 A KR20190127315 A KR 20190127315A KR 20210044118 A KR20210044118 A KR 20210044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ircumferential surface
skirt
secondary battery
gear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2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4118A/ko
Publication of KR2021004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은 바닥면으로 폐쇄되고 타측은 개구된 캔 및 상기 캔의 개구된 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캔에 결합되는 탑캡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개구된 쪽의 끝단에서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제1나사가 형성된 캔; 및 상기 캔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스커트를 갖는 탑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커트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제2나사가 형성되되, 상기 제1나사가 캔의 외주면에 형성되면 상기 제2나사는 스커트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가 캔의 내주면에 형성되면 상기 제2나사는 스커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나사와 제2나사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탑캡부와 상기 캔의 체결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상기 스커트의 내측에서 둘레를 따라 더 작은 내경을 갖도록 서브스커트가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와 서브스커트 사이로 캔의 상단이 진입가능하며, 상기 제1나사와 제2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되, 역방향 회전은 제한하는 풀림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캔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면 상기 캔의 상단을 탑캡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탑캡부가 더 용이하게 캔 상단에 체결되어 생산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디지털 기기 및 차량과 같은 운송수단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이차전지는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효율을 증대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서 또는 전극조립체의 재질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나,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분류하면 원통형, 각형, 파우치형이 가장 널리 제조되고 있다.
이 중, 원통형 이차전지는 상측은 개구되고 하측은 폐쇄된 속이 빈 원통형 캔의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고 전해액이 주액되면 상기 캔의 상단에 탑캡부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캔은 하단에서 전극조립체와 음극탭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탑캡부는 전극조립체의 양극과 연결된다. 상기 탑캡부는 이차전지의 양극단자가 되는 탑캡과 상기 탑캡 아래로 적층되어 캔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면 파단되어 가스를 배출하는 안전벤트 등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원반형 모양을 갖는다.
종래의 클램핑 방식으로 캔과 탑캡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모습이 나타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캡부(2)는 가스켓 등과 함께 캔(1)의 상단에 안착되면, 상기 캔의 상단이 클램핑(clamping)되어 결합이 이뤄졌다.
그러나, 이와 같은 클램핑 공정은 캔(1)의 상단을 변형시켜 이뤄지는 공정으로써, 과도한 압력에 의해 가스켓이 손상될 수 있었고, 주기적으로 공정장치들의 교환 및 교체가 요구되며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캔과 탑캡부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신속하게 캔과 탑캡부의 체결이 이뤄져서 생산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은 바닥면으로 폐쇄되고 타측은 개구된 캔 및 상기 캔의 개구된 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캔에 결합되는 탑캡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개구된 쪽의 끝단에서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제1나사가 형성된 캔; 및 상기 캔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스커트를 갖는 탑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커트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제2나사가 형성되되, 상기 제1나사가 캔의 외주면에 형성되면 상기 제2나사는 스커트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가 캔의 내주면에 형성되면 상기 제2나사는 스커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나사와 제2나사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탑캡부와 상기 캔의 체결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나사는 캔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는 스커트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의 내측에서 둘레를 따라 더 작은 내경을 갖도록 서브스커트가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와 서브스커트 사이로 캔의 상단이 진입가능하며, 상기 제1나사와 제2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되, 역방향 회전은 제한하는 풀림방지부를 더 포함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상기 풀림방지부는, 캔의 내주면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일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면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기어치들; 및 서브스커트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치들에 맞닿게 되고, 제1나사와 제2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는 각각의 기어치들의 경사면을 타고 활주되되, 역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할 때에는 기어치의 수직면에 걸려 회전을 제한하는 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풀림방지부는, 서브스커트의 외주면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일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면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기어치들; 및 캔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치들에 맞닿게 되고, 제1나사와 제2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는 각각의 기어치들의 경사면을 타고 활주되되, 역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할 때에는 기어치의 수직면에 걸려 회전을 제한하는 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은 기어치들의 경사면을 타고 활주될 때는 상기 기어치들과 치합이 안되고, 상기 기어치들의 수직면에 걸릴 때는 상기 기어치들과 치합이 이뤄지는 걸림기어치가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기어치는 각각의 폴 마다 적어도 두 개 이상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부와 캔 사이, 상기 스커트와 캔 사이, 또는 서브스커트와 캔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서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가스켓이 장착된다. 상기 가스켓은 제1나사와 제2나사의 나사결합이 이뤄질 때 탄성압축이 이뤄져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캔과 탑캡부가 제1나사와 제2나사의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이 이뤄지므로 종래의 클램핑을 통한 체결구조 보다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속도를 높여서 생산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풀림방지부가 추가적으로 제공되므로 탑캡부의 풀림에 의한 전해액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풀림방지부에 포함된 폴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탑캡부와 캔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억제력(풀림에 대항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클램핑 방식으로 캔과 탑캡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모습이 나타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캔의 상단 외주면에 제1나사가 형성되고 스커트의 내주면에 제2나사가 형성된 단면모습이 나타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캔의 상단 내주면에 제1나사가 형성되고 스커트의 외주면에 제2나사가 형성된 단면모습이 나타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서브스커트의 외주면에 폴이 형성되고, 캔의 내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단면모습이 나타난 도면.
도 5 는 제3실시예에 따른 탑캡부가 캔에 상단에 결합될 때 상기 탑캡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폴이 기어치를 타고 넘어가는 모습과 폴이 기어치에 치합하는 모습이 나타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서브스커트의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캔의 내주면에 폴이 형성된 모습으로써, 탑캡부가 캔에 상단에 결합될 때 상기 탑캡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폴이 기어치를 타고 넘어가는 모습과 폴이 기어치에 치합하는 모습이 나타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하측은 바닥면으로 폐쇄되고 상측은 개구된 캔 및 상기 캔의 개구된 상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캔에 결합되는 탑캡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써,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캔(10)의 상단 외주면에 제1나사(11)가 형성되고 스커트(20b)의 내주면에 제2나사(21)가 형성된 단면모습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상기 캔(10)은 아랫쪽은 바닥면으로 폐쇄되며 윗쪽은 개구된 원통형 파이프 모양을 갖는다. 그리고, 개구된 윗쪽의 끝단에서 외주면에 제1나사(11)가 형성된다.
상기 탑캡부(20)는 상기 캔(10)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원판형 커버부(20a) 및 상기 커버부(20a)의 둘레를 따라 수직 아랫쪽으로 연장된 스커트(20b)를 갖는다(가령, 상기 탑캡부는 페트리디쉬(Petri dish)와 같은 모양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20b)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11)와 나사결합 가능한 제2나사(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상기 탑캡부(20)는 캔(10)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이 이뤄지면 제1나사(11)와 제2나사(21)의 나사결합에 의해 캔(10)과 탑캡부(20)의 체결이 이뤄진다.
제2실시예
도 3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캔(10)의 상단 내주면에 제1나사(11)가 형성되고 스커트(20b)의 외주면에 제2나사(21)가 형성된 단면모습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제1나사(11)와 제2나사(21)는 제1실시예와 달리 내주면과 외주면에서 형성되는 위치가 반대가 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 제1나사(11)는 캔(1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탑캡부(20)의 스커트(20b)는 캔(10)의 상단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는 크기로 제조되며 상기 스커트(20b)는 내주면이 아니라 외주면에 제2나사(21)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나사(11)와 제2나사(21)의 나사결합에 의해 캔(10)과 탑캡부(20)의 체결이 이뤄지되, 이 실시예에서는 제1나사(11)와 제2나사(21)의 나사결합이 이뤄질 때, 탑캡부(20)가 파지될 수 있도록(또는 체결장치나 체결공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나사(21)가 형성된 부분 위로 일정크기만큼 나사산이 미형성된 부분이 마련된다.
제3실시예
도 4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서브스커트(20c)의 외주면에 폴(22)이 형성되고, 캔(10)의 내주면에 기어치(12)가 형성된 단면모습이 나타난 도면이며, 도 5 는 제3실시예에 따른 탑캡부(20)가 캔(10)에 상단에 결합될 때 상기 탑캡부(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폴(22)이 기어치(12)를 타고 넘어가는 모습과 폴(22)이 기어치(12)에 치합하는 모습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구성에서 탑캡부(20)의 스커트(20b) 내측에서 서브스커트(20c)가 추가적으로 더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서브스커트(20c)와 캔(10)의 상단 내주면에는 풀림방지부가 마련된다.
상기 서브스커트(20c)는 스커트(20b)의 내측(즉, 커버부의 중앙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며 스커트(20b) 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커트(20b)와의 사이에서 캔(10)의 상단이 진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 풀림방지부는 서브스커트(20c)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폴(22)과 캔(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기어치들(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풀림방지부는 제1나사(11)와 제2나사(21)가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되, 역방향 회전은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도 5 에 보다 더 상세히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풀림방지부를 구성하는 기어치(12)는 캔(10)의 내주면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기어치(12)는 일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수직으로 형성된 톱니형 기어(또는 래칫기어[ratchet gear ])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폴(22)은 서브스커트(20c)의 외주면에서 상기 기어치들(12)에 맞닿게 형성된다. 상기 폴(22)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외에도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어 외력이 가해질 때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 및 복원이 이뤄질 수 있게 제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폴(22)이 기어치(12)에 맞닿은 상태에서 제1나사(11)와 제2나사(12)가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 탑캡부(20)가(또는 탑캡부가 고정된 상태로 캔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폴(22)은 각각의 기어치들(12)의 경사면을 타고 활주가 가능하다.
반대로, 제1나사(11)와 제2나사(21)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폴(22)은 기어치(12)의 수직면에 맞물리게 되어 탑캡부(20)와 캔(10) 사이의 회전은 억제된다.
폴(22)은 서브스커트(20c)의 외주면에 설치되는데, 이때, 폴은 서브스커트(20c)의 외주면에서 일정 부분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폴(22)과 기어치(12)가 맞물려 회전을 억제시키는 힘이 탑캡부(20) 전체에서 균일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기어치(12)는 캔(10)의 내주면 전체를 따라 연속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폴(22)은 서브스커트(20c)의 외주면에서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폴(22)의 끝단은 상기 기어치(12)에 더 견고하게 맞물릴 수 있게 걸림기어치(2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기어치(23)는 상기 기어치(12)와 같이 일측면은 경사면이고 타측면은 직각을 갖는 톱니형 형상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걸림기어치(23)는 탑캡부(20)가 체결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기어치들(12)과 치합되지 않고 기어치들(12)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가능하며 탑캡부(20)가 풀림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할 때 상기 기어치들(12)의 수직면에 걸려 치합이 이뤄질 수 있는 형상이라면 크기 및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걸림기어치(23)는 탑캡부(20)의 풀림 방향회전을 더 강건하고 신속히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어치(12)에 정확하게 맞물리는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폴(22) 마다 적어도 두 개 이상씩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 실시예에서는 탑캡부(20)와 캔(10)의 체결이 이뤄질 때, 캔(10) 내부의 전해액 누액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스켓(30)이 추가될 수 있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20a)와 캔(10) 사이, 상기 스커트(20b)와 캔(10) 사이, 또는 서브스커트(20c)와 캔(1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서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가스켓(30)이 장착된다. 상기 가스켓(30)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어 제1나사(11)와 제2나사(21)의 나사결합이 이뤄질 때 탄성압축이 이뤄짐으로써 수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6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서브스커트(20c)의 외주면에 기어치(12)가 형성되고 캔(10)의 내주면에 폴(22)이 형성된 모습으로써, 탑캡부(20)가 캔(10)에 상단에 결합될 때 상기 탑캡부(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폴(22)이 기어치(12)를 타고 넘어가는 모습과 폴(22)이 기어치(12)에 치합하는 모습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6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되, 풀림방지부를 구성하는 기어치(12)와 폴(22)이 서로 반대 위치로 변경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폴(22)은 캔(1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어치(12)는 서브스커트(20c)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도 풀림방지부를 구성하는 기어치(12)와 폴(22)은 제1나사(11)와 제2나사(12)가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되, 역방향 회전은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캔(10)과 탑캡부(20)가 제1나사(11)와 제2나사(12)의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이 이뤄지므로 종래의 클램핑을 통한 체결구조 보다 생산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풀림방지부가 추가적으로 제공되므로 탑캡부(20)의 풀림에 의한 전해액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풀림방지부에 포함된 폴(22)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탑캡부(20)와 캔(1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억제력(풀림에 대항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 : 캔
11 : 제1나사
12 : 기어치
20 : 탑캡부(20a: 커버부, 20b: 스커트, 20c: 서브스커트)
21 : 제2나사
22 : 폴
23 : 걸림기어치
30 : 가스켓

Claims (10)

  1. 일측은 바닥면으로 폐쇄되고 타측은 개구된 캔 및 상기 캔의 개구된 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캔에 결합되는 탑캡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개구된 쪽의 끝단에서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제1나사가 형성된 캔; 및
    상기 캔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스커트를 갖는 탑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커트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제2나사가 형성되되, 상기 제1나사가 캔의 외주면에 형성되면 상기 제2나사는 스커트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가 캔의 내주면에 형성되면 상기 제2나사는 스커트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나사와 제2나사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탑캡부와 상기 캔의 체결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는 캔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는 스커트의 내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의 내측에서 둘레를 따라 더 작은 내경을 갖도록 서브스커트가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와 서브스커트 사이로 캔의 상단이 진입가능하며,
    상기 제1나사와 제2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되, 역방향 회전은 제한하는 풀림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부는,
    캔의 내주면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일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면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기어치들; 및
    서브스커트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치들에 맞닿게 되고, 제1나사와 제2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는 각각의 기어치들의 경사면을 타고 활주되되, 역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할 때에는 기어치의 수직면에 걸려 회전을 제한하는 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부는,
    서브스커트의 외주면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일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수직면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기어치들; 및
    캔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어치들에 맞닿게 되고, 제1나사와 제2나사가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 시에는 각각의 기어치들의 경사면을 타고 활주되되, 역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할 때에는 기어치의 수직면에 걸려 회전을 제한하는 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기어치들의 경사면을 타고 활주될 때는 상기 기어치들과 치합이 안되고, 상기 기어치들의 수직면에 걸릴 때는 상기 기어치들과 치합이 이뤄지는 걸림기어치가 끝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기어치는 각각의 폴 마다 적어도 두 개 이상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와 캔 사이, 상기 스커트와 캔 사이, 또는 서브스커트와 캔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서 수밀성이 확보되도록 가스켓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제1나사와 제2나사의 나사결합이 이뤄질 때 탄성압축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190127315A 2019-10-14 2019-10-14 이차전지 KR20210044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315A KR20210044118A (ko) 2019-10-14 2019-10-14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315A KR20210044118A (ko) 2019-10-14 2019-10-14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118A true KR20210044118A (ko) 2021-04-22

Family

ID=7573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315A KR20210044118A (ko) 2019-10-14 2019-10-14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41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8833A (zh) * 2022-06-10 2022-10-21 深圳市恒天伟焱科技股份有限公司 激光测距仪的电池腔制作方法、电池腔及激光测距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8833A (zh) * 2022-06-10 2022-10-21 深圳市恒天伟焱科技股份有限公司 激光测距仪的电池腔制作方法、电池腔及激光测距仪
CN115218833B (zh) * 2022-06-10 2024-04-02 深圳市恒天伟焱科技股份有限公司 激光测距仪的电池腔制作方法、电池腔及激光测距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35326U (zh) 一种煤矿仪表用防水电池仓
CA2478524A1 (en) Synthetic resin cap and closing device for a beverage-filled container
KR20210044118A (ko) 이차전지
KR100494360B1 (ko) 전지용 벤트 캡
US4156756A (en) Battery terminals
US4146681A (en) Seal closure for a galvanic cell
US20110003184A1 (en) Battery having closing plug
CA2367421A1 (en) Cylindrical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3131742A (en) Sealing and locking washer for sheet metal nut
US3661650A (en) Storage battery with closure seal and vent means
US20130183557A1 (en) Lead-acid safety battery capping device v-2
CN205791991U (zh) 一种新型防震电机端盖
CN203774536U (zh) 一种带有台阶式密封垫圈的太阳能交流连接器
CN209991778U (zh) 一种工业炉锁紧圈保护结构
CN203375084U (zh) 螺纹密封套
CN219428868U (zh) 一种具有复合盖体的抗爆容器
CN112093265A (zh) 一种防止儿童开启的瓶盖结构
CN202203006U (zh) 一种汽油机的油箱盖
CN208570752U (zh) 一种蓄电池负极线束搭铁片定位结构
JP4699743B2 (ja) 電池パック
CN214336853U (zh) 一种蓄电池安全阀
CN219284130U (zh) 一种抗爆容器的复合盖合结构
CN220817434U (zh) 一种螺纹阀门气瓶盖
CN213017195U (zh) 一种内置爆炸螺丝的防松动固定螺栓
CN218160114U (zh) 密封结构及旋转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