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094A - Work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 catalogs for building offshore structures - Google Patents

Work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 catalogs for building offshore structur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094A
KR20210044094A KR1020190127240A KR20190127240A KR20210044094A KR 20210044094 A KR20210044094 A KR 20210044094A KR 1020190127240 A KR1020190127240 A KR 1020190127240A KR 20190127240 A KR20190127240 A KR 20190127240A KR 20210044094 A KR20210044094 A KR 20210044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catalog
person
detailed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2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우열
배형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4094A/en
Publication of KR2021004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0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work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 catalogs for building offshore structures is disclosed. A work management system for catalogs includes: a request verification part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work data generation request for a material catalog received from a user; a person designation part for setting a material catalog item corresponding to a valid work data generation request, and designating a person responsible for each detailed work for the work of the material catalog; and a progress state management part for managing information on the material catalog item and information on the work state for each detailed work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catalog item.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heck the work history.

Description

해양 구조물 제작용 자재의 카탈로그 작업 관리 시스템{Work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 catalogs for building offshore structures}Work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 catalogs for building offshore structures}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 제작용 자재의 카탈로그 작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alog work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s for manufacturing offshore structures.

해양 구조물 제작을 위한 3D 모델링 데이터에서 관련 도면을 추출하고 현장에서 해당 도면을 토대로 제작 설치하는 경우, 자재에 대해 정확한 모델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델링 이전에 각각의 자재 형상에 대한 카탈로그를 작성하고 있다.In the case of extracting related drawings from 3D modeling data for the production of offshore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based on the drawings in the field, catalogs for each material shape are created before modeling to ensure accurate modeling of materials. .

그러나, 일반적으로 자재의 카탈로그 작업에 대한 절차가 적절하게 관리되지 못하고 있으며, 단지 유선상으로 간략히 설명한 후 메일로 작업 요청을 주고 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However, in general, the procedure for the catalog work of materials is not properly managed, and the work request is sent and received by e-mail after briefly explaining it over the wire.

이러한 작업 방식은 메일을 수신한 담당자가 요청 사항을 누락할 가능성이 있고, 설계자가 각 자재별 담당자를 식별하기 어려우며, 업무 진행 상태와 단계별로 담당자의 확인이 어렵고, 카탈로그 작업에 대한 이력(history) 파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this wa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erson in charge who received the e-mail may omit the request, it is difficult for the designer to identify the person in charge for each material,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operation status and step by step, and the history of catalog work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grasp.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7190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71907

본 발명은 자재 카탈로그에 대한 작업이 통합적으로 관리됨으로써 각 자재별 담당자의 식별이 용이하고, 작업 단계별 작업 내용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며, 작업 이력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 제작용 자재의 카탈로그 작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ork on the material catalog is integrated and managed, it is easy to identify the person in charge for each material, it is easy to check the work contents by each work step, and the work of the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offshore structures that can efficiently grasp the work history. To provide a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자재 카탈로그에 대한 작업 상황이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어, 관리자 등이 현재까지의 진행 단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 제작용 자재의 카탈로그 작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talog work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s for production of offshore structures in which a work situation for a material catalog can be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so that a manager or the like can easily check the progress steps to date.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자재 카탈로그에 관한 작업 데이터 생성 요청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요청 검증부; 유효한 작업 데이터 생성 요청에 상응하는 자재 카탈로그 항목을 설정하고, 자재 카탈로그의 작업을 위한 세부 작업별 담당자를 지정하는 담당자 지정부; 및 상기 자재 카탈로그 항목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자재 카탈로그 항목에 해당하는 세부 작업별 작업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진행상태 관리부를 포함하는 카탈로그 작업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quest verification unit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request for generating work data regarding a material catalog received from a user; A person in charge designation unit for setting a material catalog item corresponding to a request for generating valid work data, and designating a person in charge for each detailed operation for work in the material catalog; And a progress status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information on the material catalog item and information on a work status for each detailed job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catalog item.

상기 담당자 지정부는 상기 작업 데이터 생성 요청에 포함된 자재 그룹 정보와 상기 자재 그룹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매핑된 담당자 정보를 이용하여 세부 작업별 담당자를 지정할 수 있다.The person in charge designation unit may designate a person in charge for each detailed task by using material group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ork data generation request and person in charge information mapped in advance to correspond to the material group information.

상기 진행상태 관리부는 세부 작업별 담당자에게 세부 작업의 작업 상태(Status)를 등록하기 위한 카탈로그 작업 관리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카탈로그 작업 관리 화면의 일 영역에는 상기 자재 카탈로그에 대한 세부 작업들이 순서화되어 도시된 플로우 차트가 표시되며, 상기 카탈로그 작업 관리 화면을 이용하여 상기 자재 카탈로그에 대한 현재 작업 단계에 대한 확인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진행상태 관리부는 상기 자재 카탈로그에 대해 현재 진행되는 세부 작업이 식별가능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플로우 차트를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progress status management unit provides a catalog job management screen for registering the job status of the detailed job to the person in charge of each detailed job, and detailed jobs for the material catalog are ordered and shown in an area of the catalog job management screen. The flow chart is displayed, and when a confirmation request for the current work step for the material catalog is input using the catalog work management screen, the progress status management unit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the detailed work currently in progress for the material catalog. The flow chart can be updated to be displayed.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재 카탈로그에 대한 작업이 통합적으로 관리됨으로써 각 자재별 담당자의 식별이 용이하고, 작업 단계별 작업 내용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며, 작업 이력을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ork on the material catalog is integratedly managed, it is easy to identify the person in charge for each material, it is easy to check the work content for each work step, and the effect of allowing the work history to be efficiently identified. have.

또한, 자재 카탈로그에 대한 작업 상황이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어, 관리자 등이 현재까지의 진행 단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ork situation for the material catalog can be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nager or the like can easily check the progression steps up to the present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탈로그 작업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탈로그 작업 관리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탈로그 작업 관리 프로세스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탈로그 작업 단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예시도.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atalog job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talog task managemen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atalog job manage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visually representing a catalog opera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탈로그 작업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탈로그 작업 관리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탈로그 작업 관리 프로세스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탈로그 작업 단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예시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atalog job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talog job managemen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atalog operation manage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visually expressing a catalog opera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위해 자재 카탈로그에 관한 작업 정보를 관리하는 카탈로그 작업 관리 시스템(100)은 요청 검증부(110), 담당자 지정부(120), 진행상태 관리부(130) 및 작업 지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발주처의 작업자, 협력사(외주업체)의 작업자 등일 수 있다.1 to 5, a catalog job management system 100 for managing job information on a material catalog for a plurality of users accessing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request verification unit 110, a person in charge designation unit 120, A progress status management unit 130 and a job support unit 140 may be included. Here, the user may be, for example, a worker of an ordering party, a worker of a partner company (outsourcing company), or the like.

요청 검증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자재 카탈로그에 관한 작업 데이터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작업 데이터 생성 요청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The request verification unit 110 receives a request for generating work data regarding a material catalog from a user who has access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received request for generating work data.

작업 데이터 생성을 위한 요청 양식은 예를 들어 엑셀 프로그램에서 이용되는 폼 시트(form sheet) 형태로 미리 규정될 수 있으며, 스펙 이름(SpecName)과 자재 코드(MaterialCode) 등과 같이 미리 지정된 필수 입력 데이터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quest form for generating work data can be predefined in the form of a form sheet used in, for example, an Excel program, and required input data items specified in advance, such as SpecName and MaterialCode, etc. Can include.

요청 검증부(110)는 예를 들어 스펙 이름(SpecName) 항목에 텍스트 입력 내용이 존재하면 유효한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고, 자재 코드(MaterialCode) 항목에 입력된 내용은 저장부(도시되지 않음)에 미리 저장된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데이터를 조회하여 유효성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 PLM 데이터는 예를 들어 선박에 실제 투입되는 자재 물량과 자재 물량의 소요비용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The request verification unit 110, for example, may determine that the text input content exists in the specification name (SpecName) as valid, and the content input in the material code (MaterialCode) is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not shown). Validity can be verified by inquiring stored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data. Here, the PLM data may be data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amount of material actually input to the ship and the required cost of the amount of material.

요청 검증부(110)는 미리 지정된 폼 시트에서 지정된 필수 입력 데이터 항목에 입력된 내용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작업 데이터 생성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request verification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content input to the required input data item designated in the pre-designated form sheet is appropriate, it may determine that the request to generate the work data is valid.

담당자 지정부(120)는 유효한 것으로 검증된 작업 데이터 생성 요청에 대해, 요청번호(RequestNo)를 부여하여 자재 카탈로그 항목을 설정하고, 해당 자재 카탈로그의 작업을 위한 담당자를 지정한다. The person in charge designation unit 120 sets a material catalog item by assigning a request number (RequestNo) to a request for generating work data verified to be valid, and designates a person in charge for the work of the material catalog.

작업 데이터 생성을 요청하기 위한 폼 시트의 자재 코드 항목에는 자재 그룹(MaterialGroup) 정보가 입력된다. 자재 그룹 정보는 미리 지정된 자재 분류 체계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자재 그룹 정보에 상응하도록 지정될 수 있는 담당자들이 매핑되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Material Group information is entered in the material code item of the form sheet for requesting creation of work data. The material group information may be set according to a pre-designated material classification system, and personnel who may be designated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group information may be mapped and set in advance.

작업 데이터 생성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검증되면, 담당자 지정부(120)는 자재 코드 항목에 포함된 자재 그룹 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매핑되도록 설정된 담당자가 해당 자재 카탈로그의 작업을 위한 담당자로 지정할 수 있다. When the request for generating work data is verified to be valid, the person in charge designation unit 120 may designate a person in charge set to be mapped in advance by referring to the material group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aterial code item as the person in charge for the work of the material catalog.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재 카탈로그에 관한 작업은 형상 유무 확인, 도면 검토, 2D 도면 작성, 심볼 개발 등과 같이 다수의 세부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As illustrated in FIGS. 3 and 4, in the material catalog operation, a number of detailed operations are sequentially performed, such as checking the existence of a shape, reviewing drawings, creating 2D drawings, and developing symbols.

담당자 지정부(120)는 각 세부 작업에 대한 담당자를 자동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세부 작업별 담당자에 관한 정보는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물론, 퇴사, 부서 이동 등의 사유로 해당 세부 작업의 담당자로 적절하지 않은 경우, 자동 지정된 세부 작업의 담당자가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person in charge designation unit 120 may automatically designate a person in charge for each detailed task, and information on a person in charge for each designated detailed task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course, if it is not appropriate to be the person in charge of the detailed task due to reasons such as resignation or moving to a department, it is natural that the person in charge of the automatically designated detailed task may be modified or changed.

담당자 지정부(120)는 요청된 자재 카탈로그에 관한 세부 작업별 담당자 지정을 위한 요청번호(RequestNo)에 대해 메인요청번호(MainReqeustNo)와 서브요청번호(SubRequestNo)를 부여할 수 있다. The person in charge designation unit 120 may assign a main request number (MainReqeustNo) and a sub request number (SubRequestNo) to a request number (RequestNo) for designating a person in charge for each detailed job related to the requested material catalog.

메인요청번호는 해당 자재 카탈로그 작업에 관한 모든 데이터가 조회될 수 있도록 할당되고, 서브요청번호는 각 세부 작업별 담당자가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만 조회되도록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담당자는 서브요청번호를 기준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세부 작업만을 선택적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 이를 기준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The main request number can be assigned so that all data related to the material catalog job can be searched, and the sub request number can be assigned so that only the data that the person in charge of each detailed job needs to process can be searched. Therefore, each person in charge can selectively inquire only detailed tasks assigned to them based on the sub-request number, and can proceed with the task based on this.

진행상태 관리부(130)는 요청 검증부(110)와 담당자 지정부(120)에 의해 작업 데이터가 생성되고 각 세부 작업별 담당자가 지정된 자재 카탈로그 항목들에 대한 정보와 각 항목의 세부 작업별 작업 상태를 관리한다. The progress status management unit 130 generates work data by the request verification unit 110 and the person in charge designation unit 120, and the information on the material catalog items designated by the person in charge for each detailed operation, and the work status for each detailed operation of each item. Manage.

도 2에는 각 사용자가 카탈로그 작업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자재 카탈로그에 작업에 관한 정보를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는 카탈로그 작업 관리 화면(200)이 예시되어 있다. FIG. 2 illustrates a catalog work management screen 200 through which each user accesses the catalog work management system 100 to inquire and manage information on work in a material catalog.

카탈로그 작업 관리 화면(200)은 작업될 자재 카탈로그 항목들이 나열되는 목록 영역(210), 각 자재 카탈로그 항목들에 대한 플로우 차트가 표시되는 진행 단계 표시 영역(220) 및 첨부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한 파일 등록 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talog work management screen 200 includes a list area 210 in which material catalog items to be worked are listed, a progress stage display area 220 in which a flow chart for each material catalog item is displayed, and a file registration for uploading an attached file. The region 230 may be included.

목록 영역(210)에 포함된 임의의 자재 카탈로그 항목을 선택하면, 목록 영역(210)에는 선택된 자재 카탈로그 항목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되는 목록 상세 영역(215)이 표시된다. When an arbitrary material catalog item included in the list area 210 is selected, a list detail area 215 in which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material catalog item is displayed is displayed in the list area 210.

목록 상세 영역(215) 등에는 각 자재 카탈로그 항목에 대한 세부 작업별 현재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Status) 속성이 존재한다. In the list detail area 215, etc., there is a Status attribute indicating the current work status for each detailed work for each material catalog item.

특정 세부 작업에 대해 지정된 작업자는 해당 자재 카탈로그 항목을 선택하여 표시된 목록 상세 영역(215)에서 응답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선택한 후 해당 세부 작업에 대한 상태 속성을 변경(예를 들어 '진행중'에서 '완료'로 변경)할 수 있다. The operator assigned for a specific detailed job selects the corresponding material catalog entry, selects the reply button (not shown) in the displayed list detail area 215, and then changes the status attribute for that detailed job (e.g. from'In Progress'). It can be changed to'complete').

진행상태 관리부(130)는 임의의 세부 작업에 대한 상태 속성이 완료로 변경되면, 후속하는 세부 작업이 현재 진행되는 단계인 것으로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When the status attribute for a specific detailed job is changed to completion, the progress status management unit 130 may manage the status information as a stage in which a subsequent detailed job is currently in progress.

진행 단계 표시 영역(220)에는 자재 카탈로그 항목에 따른 작업 순서가 플로우 차트로 도시되며, 임의의 작업자가 목록 상세 영역(215)에서 미리 지정된 필드(예를 들어, 서브요청번호)를 선택하면 현재 진행되는 세부 작업이 식별되도록 플로우 차트가 갱신되어 표시될 수 있다(도 5 참조). In the progress stage display area 220, the work sequence according to the material catalog item is shown as a flow chart, and when an arbitrary operator selects a predefined field (eg, subrequest number) in the list detail area 215, the current progress The flow chart may be updated and displayed to identify detailed tasks to be performed (see FIG. 5).

또한 이와 유사한 표현 방식으로, 작업자가 목록 상세 영역(215)에서 미리 지정된 필드(예를 들어, Worker Name)를 선택하면, 해당 작업자가 담당하는 세부 작업이 식별되도록 플로우 차트가 갱신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a similar expression method, when a worker selects a field (for example, Worker Name) previously designated in the list detail area 215, the flow chart may be updated and displayed to identify the detailed work that the worker is responsible for. .

파일 등록 영역(230)은 예를 들어 각 세부 작업의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적용하고, 용도별 파일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탭(예를 들어, Vendor Drawing, 2D Symbol Drawings, Part Data, Spec Data, ETC Files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file registration area 230 is divid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type of each detailed operation, for example, and a plurality of tabs (e.g., Vendor Drawing, 2D Symbol Drawings, Part Data, Spec Data) are used to separate and store files for each purpose. , ETC Files, etc.).

작업자는 각 용도별 탭 중 세부 작업에 부합하는 탭을 선택한 후, 드래그앤드롭 방식 등으로 첨부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다. 첨부파일이 저장될 때, 저장부에는 선택된 탭을 나타내는 타입네임(TypeName) 속성과 해당 첨부파일의 파일 경로가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특정 탭을 선택하면, 해당 탭에 대해 저장된 첨부파일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The operator can select a tab corresponding to a detailed task among tabs for each purpose, and then upload an attached file by using a drag-and-drop method or the like. When an attached file is stored, a typename attribute indicating a selected tab and a file path of the attached fil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f the user selects a specific tab, a list of attached files stored for the tab may be displayed.

작업 지원부(140)는 자재 카탈로그에 관한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각 작업자의 작업에 관한 지원 기능을 수행한다. The job support unit 140 performs a support function for each worker's job in progressing the job on the material catalog.

예를 들어, 작업 지원부(140)는 작업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작업자가 완료한 세부 작업과 현재 진행중인 세부 작업의 리스트를 리포트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job support unit 140 may generate and provide a list of detailed jobs completed by the corresponding worker and detailed jobs currently in progress as a repor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worker.

또한, 임의의 작업자가 특정의 데이터(예를 들어, 다른 자재 카탈로그에 관한 데이터 등)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검색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작업자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a certain worker wants to search for specific data (eg, data related to another material catalog), a search request may be received and the search result may be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worker.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 제작용 자재의 카탈로그 작업 관리 시스템은 자재 카탈로그에 대한 작업이 통합적으로 관리됨으로써 각 자재별 담당자의 식별이 용이하고, 작업 단계별 작업 내용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며, 작업 이력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talog work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s for manufacturing offshore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work on the material catalog is integrated, it is easy to identify the person in charge for each material, and it is easy to check the work contents by each work step.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ectively grasp the work history.

또한, 자재 카탈로그에 대한 작업 상황이 통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어, 관리자 등이 현재까지의 진행 단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ork situation for the material catalog can be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a manager or the like can easily check the progression steps to dat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100 : 작업 관리 시스템 110 : 요청 검증부
120 : 담당자 지정부 130 : 진행상태 관리부
140 : 작업 지원부 200 : 카탈로그 작업 관리 화면
210 : 목록 영역 215 : 목록 상세 영역
220 : 진행 단계 표시 영역 230 : 파일 등록 영역
100: work management system 110: request verification unit
120: Assignee designation unit 130: Progress management unit
140: job support unit 200: catalog job management screen
210: list area 215: list detail area
220: progress stage display area 230: file registration area

Claims (3)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자재 카탈로그에 관한 작업 데이터 생성 요청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요청 검증부;
유효한 작업 데이터 생성 요청에 상응하는 자재 카탈로그 항목을 설정하고, 자재 카탈로그의 작업을 위한 세부 작업별 담당자를 지정하는 담당자 지정부; 및
상기 자재 카탈로그 항목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자재 카탈로그 항목에 해당하는 세부 작업별 작업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진행상태 관리부를 포함하는 카탈로그 작업 관리 시스템.
A request verification unit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a request for generating work data regarding a material catalog received from a user;
A person in charge designation unit for setting a material catalog item corresponding to a request for generating valid work data, and designating a person in charge for each detailed operation for work in the material catalog; And
A catalog work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progress status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information on the material catalog item and information on a work status for each detailed work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catalog i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당자 지정부는 상기 작업 데이터 생성 요청에 포함된 자재 그룹 정보와 상기 자재 그룹 정보에 상응하도록 미리 매핑된 담당자 정보를 이용하여 세부 작업별 담당자를 지정하는, 카탈로그 작업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atalog work management system, wherein the person in charge designating unit designates a person in charge for each detailed task using material group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ork data generation request and person in charge information mapped in advance to correspond to the material group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상태 관리부는 세부 작업별 담당자에게 세부 작업의 작업 상태(Status)를 등록하기 위한 카탈로그 작업 관리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카탈로그 작업 관리 화면의 일 영역에는 상기 자재 카탈로그에 대한 세부 작업들이 순서화되어 도시된 플로우 차트가 표시되며,
상기 카탈로그 작업 관리 화면을 이용하여 상기 자재 카탈로그에 대한 현재 작업 단계에 대한 확인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진행상태 관리부는 상기 자재 카탈로그에 대해 현재 진행되는 세부 작업이 식별가능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플로우 차트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카탈로그 작업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gress status management unit provides a catalog job management screen for registering a job status of a detailed job to a person in charge of each detailed job,
In one area of the catalog work management screen, a flow chart showing detailed tasks for the material catalog is displayed in order,
When a confirmation request for the current work step for the material catalog is input using the catalog work management screen, the progress status management unit updates the flow chart so that the detailed work currently in progress for the material catalog is identifiably displayed. Displayed by, catalog work management system.
KR1020190127240A 2019-10-14 2019-10-14 Work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 catalogs for building offshore structures KR202100440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240A KR20210044094A (en) 2019-10-14 2019-10-14 Work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 catalogs for building offshore structu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240A KR20210044094A (en) 2019-10-14 2019-10-14 Work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 catalogs for building offshore struct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094A true KR20210044094A (en) 2021-04-22

Family

ID=7573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240A KR20210044094A (en) 2019-10-14 2019-10-14 Work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 catalogs for building offshore structur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409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907A (en) 2011-12-21 2013-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etting method of for materials catalog for ocen pl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907A (en) 2011-12-21 2013-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etting method of for materials catalog for ocen pl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80289A1 (en) Graphical project management tool
US20180059910A1 (en) Collaborative network-based graphical progress management
US11531945B2 (en) Point-in-time requirement tracking methods and apparatus
US103805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and comprehensive product configuration and searching
JP2007094467A (en) Progress management system
US11237803B2 (en) Tool for generating event case management applications
US20240028991A1 (en) Flexible Work Breakdown Structure
US111385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ng construction project specifications and related submittal documentation
US11532141B1 (en) AR/VR interface for client/contractor communication platform
US11868325B2 (en) Data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417672B2 (en) Medium for creating standardized shared service offerings with template for custom unique prices
WO2018141012A1 (en) Workplace task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
KR20210044094A (en) Work management system for material catalogs for building offshore structures
JP6758167B2 (en) Data processing equipment,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program
US20140279132A1 (en) Buyer assignment for requisitions lines
JP2018180809A (en) Work entrustment support system and method thereof
JP5716108B2 (en) ONLINE SYSTEM, PROGRAM GENERATION DEVICE, AND SCREEN CONTROL PROGRAM GENERATION DEVICE
KR20210128228A (en) Interior brokerage service device that provides virtual three dimensional drawing
WO20200414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mproved construction design software with location specific selections
JPWO2020178942A1 (en) Information sharing support device and information sharing support system
KR20180024723A (en) Software development and design system base on online-outsourcing
US20220358574A1 (en) System for generating a request for pricing and a method for its use
JP7286216B1 (en) Design support system and design support method
US20240037468A1 (en) Method of monitoring project process and outcome
US11797147B2 (en) Mobile viewer object statu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