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039A -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039A
KR20210044039A KR1020190127115A KR20190127115A KR20210044039A KR 20210044039 A KR20210044039 A KR 20210044039A KR 1020190127115 A KR1020190127115 A KR 1020190127115A KR 20190127115 A KR20190127115 A KR 20190127115A KR 20210044039 A KR20210044039 A KR 20210044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body frame
main body
unit
tra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592B1 (ko
Inventor
김현옥
Original Assignee
김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옥 filed Critical 김현옥
Priority to KR1020190127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5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01B59/04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supported at three points, e.g. by quick-releas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1Sludge spreaders, e.g. liquid manure spreaders
    • A01C23/003Distributing devices, e.g. for rotating, thr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62D53/005Combinations with at least three axles and comprising two or more articul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는: 외관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프레임 부재들로 구비된 본체 프레임; 트랙터와 삼각형의 형태로 3개의 지점에서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된 3점 링크 유닛;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측에 힌지 연결되며, 트랙터에서 공급되는 유공압 입력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이 트랙터에 대해 덤핑 또는 수평 배치되게 하는 덤핑 실린더 유닛;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구비되는 답압 롤러 유닛;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답압 롤러 유닛의 상부 전방에 구비된 살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농자재 등 각종 화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트랙터에 3점 연결되며, 덤핑과 클램핑 기능을 가지고, 보리 냉해 방지를 위한 답압 기능과 비료 등의 살포 기능 및 농지 정리, 평탄 및 제설 등의 다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 {multifunctional trailer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자재 등 각종 화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트랙터에 3점 연결되며, 덤핑과 클램핑 기능을 가지고, 보리 냉해 방지를 위한 답압 기능과 비료 등의 살포 기능 및 농지 정리, 평탄 및 제설 등의 다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용 트레일러는 농자재, 농산물 등 각종 화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트랙터는 농사에 필요한 다양한 작업기와 함께 트레일러가 물건의 적재 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후방에 트레일러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트랙터용 트레일러는 통상적으로 전방에 트랙터의 후방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견인부가 하부 프레임의 전방에 제공되고, 후방에는 트레일러의 바퀴가 설치된다. 그러므로, 트레일러는 사용되지 않을 때엔 하부 프레임에 제공된 지지대를 이용하여 전방이 지지 되고, 이러한 지지대는 스크류 바아를 이용하는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트레일러가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될 때엔 견인부가 트랙터에 연결된 후에 지지대는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를 돌리는 것에 의하여 지지대의 하단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트랙터용 트레일러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08757호(2000년10월18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트랙터용 트레일러는 덤핑 기능이 부족하기 때문에 적은 무게의 물품을 이동시키는 등의 단순용도로 밖에는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랙터에 일축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덤핑 기능을 갖게 되더라도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되어 좁은 공간에서의 운행이 어려워지고 후진이 어려워지는 등 기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08757호(2000년10월18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농자재 등 각종 화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트랙터에 3점 연결되며, 덤핑과 클램핑 기능을 가지고, 보리 냉해 방지를 위한 답압 기능과 비료 등의 살포 기능 및 농지 정리, 평탄 및 제설 등의 다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는: 외관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프레임 부재들로 구비된 본체 프레임; 트랙터와 삼각형의 형태로 3개의 지점에서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된 3점 링크 유닛;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측에 힌지 연결되며, 트랙터에서 공급되는 유공압 입력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이 트랙터에 대해 덤핑 또는 수평 배치되게 하는 덤핑 실린더 유닛;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구비되는 답압 롤러 유닛;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답압 롤러 유닛의 상부 전방에 구비된 살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 상측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이 덤핑 또는 수평 배치된 상태가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수동 클램핑 고정 유닛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는 제설 스크레이퍼 유닛이 돌출 연장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농자재 등 각종 화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트랙터에 3점 연결되며, 덤핑과 클램핑 기능을 가지고, 보리 냉해 방지를 위한 답압 기능과 비료 등의 살포 기능 및 농지 정리, 평탄 및 제설 등의 다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가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가 수평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가 덤핑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클램핑 고정 유닛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프레임 부재들로 구비된 본체 프레임(100)과, 트랙터(10)와 전면에 삼각형의 형태로 3개의 지점에서 연결되도록 본체 프레임(100)의 전방에 구비된 3점 링크 유닛(200)과, 본체 프레임(100)의 전방 하측에 힌지 연결되며 트랙터(10)에서 공급되는 유공압 입력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되어 본체 프레임(100)이 트랙터(10)에 대해 덤핑 또는 수평 배치되게 하는 덤핑 실린더 유닛(300)과, 본체 프레임(100)의 후방 하부에 구비되는 답압 롤러 유닛(400)과,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에서 답압 롤러 유닛(400)의 상부 전방에 구비된 살포 유닛(50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트랙터(10)에 연결된 상태가 3점 링크 유닛(2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덤핑 실린더 유닛(300)에 의해 덤핑과 수평 배치가 자유자재로 용이하게 이뤄지며, 겨울철 보리 냉해 방지를 위한 답압 기능과 비료 등의 살포 기능을 함께 갖는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본체 프레임(100)은 외관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프레임 부재들로 구비되며,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농자재, 농산물, 농기계류 등과 같은 각종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의 전방 상측에는 본체 프레임(100)이 덤핑 또는 수평 배치된 상태가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수동 클램핑 고정 유닛(11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가 주행(특히, 장거리 주행) 중에 수평 배치된 상태에서 오작동에 의해 갑자기 덤핑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수동 클램핑 고정 유닛(11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주행 중에는 본체 프레임(100)이 트랙터(10)에 대해 수평 배치된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고정하거나 본체 프레임(100)이 트랙터(10)에 대해 기울어지게 덤핑 된 상태에서 오작동에 의해 갑자기 수평 배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수동 클램핑 고정 유닛(11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본체 프레임(100)이 트랙터(10)에 대해 덤핑 된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수동 클램핑 고정 유닛(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대략 ‘S’자를 눕혀 놓은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되며, 전방에 구비되어 전방 일측이 후방 타측에 대해 회동 조작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는 클램핑 레버(111)와, 클램핑 레버(111)가 연결되며 하부에 걸림 돌부(115)가 맞물려 본체 프레임(100)의 덤핑 또는 수평 배치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후크(113)와, 3점 링크 유닛(200)들 중 상부 중앙에 구비된 3점 링크 유닛(200)의 측면으로 돌출 연장되며 고정 후크(113)에 맞물려 고정되는 걸림 돌부(115)와, 수동 클램핑 고정 유닛(110)의 판면에 형성된 핀 끼움공에 끼워져 수동 클램핑 고정 유닛(110)에 의한 고정 상태가 더욱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는 수동 안전 핀(117)과, 고정 후크(113)의 후방에서 고정 후크(113)를 눌러주어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 후크(113)가 걸림 돌부(115)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 복귀부(119)를 포함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의 후방 하부에는 답압 롤러 유닛(400)의 용량에 따라 체결 위치가 조절되게 수직으로 복수의 롤러 체결 공(121)들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유닛 체결부(120)가 구비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의 전방 하부에는 본체 프레임(100)이 트랙터(10)에 연결되어 견인시 주행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바퀴부(130)가 구비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점 링크 유닛(200)은 본체 프레임(100)의 전면에서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도록 상부 중앙에 한 개, 하부 양측에 두 개로 구비되며, 각각에는 연결되는 트랙터(10)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연결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다수의 링크 조절 공(210)이 형성된다.
덤핑 실린더 유닛(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10)에 구비된 유압 조작 레버(11)의 조작에 의해 유압의 공급이 조절되면 이에 연동 되어 피스톤이 신장 또는 수축되도록 하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는 각각 유압 호스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덤핑 실린더 유닛(300)에 의해 본체 프레임(100)의 덤핑과 수평 배치 동작이 트랙터(10)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덤핑시 물건의 하역이나 답압 롤러 유닛(400)에 의한 답압 기능, 후술할 제설 스크레이퍼 유닛(600)에 의한 제설 기능 등이 더욱 잘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덤핑 실린더 유닛(300)의 피스톤이 신장 되면 본체 프레임(100)은 트랙터(10)에 대해 전방이 후방보다 상승 되는 덤핑(dumping) 상태가 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덤핑 실린더 유닛(300)의 피스톤이 수축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면 본체 프레임(100)은 트랙터(10)에 대해 다시 수평 해지게 된다.
답압 롤러 유닛(4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눕혀진 상태로 유닛 체결부(120)에 체결되어 트랙터(10)의 주행에 의한 본체 프레임(100)의 견인시 본체 프레임(100)의 후방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체 프레임(100)이 트랙터(10)에 연결되어 견인 및 주행시 회전되며 경작지를 눌러주어 겨울철 보리 냉해 방지를 위한 답압 기능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덤핑 실린더 유닛(300)의 신장 조작에 의해 본체 프레임(100)이 덤핑 된 상태에서 답압 롤러 유닛(400)이 회전되도록 트랙터(10)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를 견인하며 주행하면 답압 롤러 유닛(400)의 가압력이 더욱 증대되어 답압 기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살포 유닛(5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긴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눕혀진 상태로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에서 답압 롤러 유닛(400)의 상부 전방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유압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축(510)이 구비되고, 회전 축(510)에는 다수의 핀과 같은 돌기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회전 축(510)과 회전 축(510)의 외주면 상에 구비된 다수의 돌기들이 회전 피더(feeder)를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살포 유닛(500)의 내부로 유기질 비료나 퇴비 또는 종자 류 등이 수용된 후 본체 프레임(100)이 트랙터(10)에 의해 견인될 때에 회전 축(510)이 회전되도록 하면 유기질 비료나 퇴비 또는 종자 류 등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러의 이동 중에 지면에 골고루 살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00)의 후방에는 고무판을 포함하는 제설 스크레이퍼 유닛(600)이 돌출 연장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덤핑 실린더 유닛(300)에 의해 본체 프레임(100)이 덤핑 되면 제설 스크레이퍼 유닛(600)에 의해 겨울철 제설 작업 또는 경지 정리 작업, 평탄 작업 등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농자재 등 각종 화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트랙터(10)에 3점 연결되며, 덤핑과 클램핑 기능을 가지고, 보리 냉해 방지를 위한 답압 기능과 비료 등의 살포 기능 및 농지 정리, 평탄 및 제설 등의 다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본체 프레임 110 : 수동 클램핑 고정 유닛
200 : 3점 링크 유닛 300 : 덤핑 실린더 유닛
400 : 답압 롤러 유닛 500 : 살포 유닛
600 : 제설 스크레이퍼 유닛

Claims (3)

  1. 외관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프레임 부재들로 구비된 본체 프레임;
    트랙터와 삼각형의 형태로 3개의 지점에서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된 3점 링크 유닛;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 하측에 힌지 연결되며, 트랙터에서 공급되는 유공압 입력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이 트랙터에 대해 덤핑 또는 수평 배치되게 하는 덤핑 실린더 유닛;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구비되는 답압 롤러 유닛;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답압 롤러 유닛의 상부 전방에 구비된 살포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 상측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이 덤핑 또는 수평 배치된 상태가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수동 클램핑 고정 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에는 제설 스크레이퍼 유닛이 돌출 연장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
KR1020190127115A 2019-10-14 2019-10-14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 KR102417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115A KR102417592B1 (ko) 2019-10-14 2019-10-14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115A KR102417592B1 (ko) 2019-10-14 2019-10-14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039A true KR20210044039A (ko) 2021-04-22
KR102417592B1 KR102417592B1 (ko) 2022-07-05

Family

ID=7573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115A KR102417592B1 (ko) 2019-10-14 2019-10-14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5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495U (ko) * 1987-06-19 1989-03-10 대산프라스틱기계주식회사 래미네이터
KR0132321Y1 (ko) * 1995-10-12 1998-12-01 김완수 트랙터용 그레인호퍼의 적재함 뒷문짝을 이용한 곡물배출장치
KR19990032900U (ko) * 1997-12-29 1999-07-26 이월영 경운기용 덤프식 트레일러의 안전장치
KR200208757Y1 (ko) 1998-05-22 2001-01-15 서영춘 트랙터용 트레일러의 옆문 개폐장치
KR20170055051A (ko) * 2015-11-10 2017-05-19 한국도로공사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495U (ko) * 1987-06-19 1989-03-10 대산프라스틱기계주식회사 래미네이터
KR0132321Y1 (ko) * 1995-10-12 1998-12-01 김완수 트랙터용 그레인호퍼의 적재함 뒷문짝을 이용한 곡물배출장치
KR19990032900U (ko) * 1997-12-29 1999-07-26 이월영 경운기용 덤프식 트레일러의 안전장치
KR200208757Y1 (ko) 1998-05-22 2001-01-15 서영춘 트랙터용 트레일러의 옆문 개폐장치
KR20170055051A (ko) * 2015-11-10 2017-05-19 한국도로공사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592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98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uck frame extender
US3891239A (en) Hydraulically operated hitch for towing and positioning mobile homes
US8235133B2 (en) Agricultural implement having wheels that caster
US5423394A (en) Three point hitch for hummer truck and other vehicles
US6916142B2 (en) Utility vehicles
US3011793A (en) Material spreading and loading apparatus with flail beater and cover
US11872924B2 (en) Agricultural implement and ramp attachment system
US7556466B2 (en) Trailer
US11820272B2 (en) Front-mounted load carrier for motorized vehicles
CA3073428A1 (en) Implement support apparatus
US2978128A (en) Detachable gooseneck hydraulic connector for trailers
US10479283B2 (en) Rack assembly for mower
KR20210044039A (ko)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
US5601303A (en) Combine trailer
US8454046B1 (en) Platform assembly for a towed implement
US2953396A (en) Tractor and low-bed trailer coupling
US2969989A (en) Trailer
CA2852430A1 (en) Belly dump trailer
CN102986325A (zh) 履带式水田运输耕整两用机
US2846267A (en) Tipping body
EP1401254B1 (en) Stand for removable cargo box and method for removing the box from a vehicle
KR200497452Y1 (ko) 농업용 덤프 트레일러
US7547033B1 (en) Convertible hitch
KR101720956B1 (ko) 트랙터 후방에 장착되는 버켓 장치
DE102012015556A1 (de) Sattelauflieger mit einer Kippermul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