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033A -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033A
KR20210044033A KR1020190127098A KR20190127098A KR20210044033A KR 20210044033 A KR20210044033 A KR 20210044033A KR 1020190127098 A KR1020190127098 A KR 1020190127098A KR 20190127098 A KR20190127098 A KR 20190127098A KR 20210044033 A KR20210044033 A KR 20210044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yment
unit
smart car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구
김윤석
이나예
천유진
장수현
손현정
이영현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4033A/ko
Publication of KR2021004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53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56Energy recu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96Identification of the cart or merchandise, e.g. by barcodes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andcar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트 구동시 바퀴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실시간 배터리부 충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 저장된 배터리 충전량의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판독수단을 통해 해당 상품별 상품 상세 정보의 제공은 물론 구매 예정 상품 리스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형성되는 결제부를 통한 직접 결제가 이루어져 편리하고 신속한 쇼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하우징과; 상기 수용하우징 하부측에 연결되어 수용하우징의 이동성을 부여하는 바퀴부와; 상기 수용하우징을 밀거나 당기기 용이하도록 수용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바퀴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는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사용자에게 설정 또는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탑재되어 상품에 표시되는 RFID 태그 또는 QR코드를 포함하는 식별표시수단을 판독하여 해당 상품 정보를 불러오는 판독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광고 정보, 상품 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제어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Smart cart with self-generation and payment and pay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트 구동시 바퀴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실시간 배터리부 충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 저장된 배터리 충전량의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판독수단을 통해 해당 상품별 상품 상세 정보의 제공은 물론 구매 예정 상품 리스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형성되는 결제부를 통한 직접 결제가 이루어져 편리하고 신속한 쇼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트, 푸시카트(push cart) 혹은 쇼핑카트(shopping cart)라 함은 대형 할인점, 백화점, 슈퍼마켓, 공방 또는 면세점 등에서 화물을 운반하거나 여러 가지 물품을 구입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운반 기구를 말한다.
상기 쇼핑카트는 그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frame)의 상부에는 핸들이 제공되고, 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동용 캐스터(caster)가 장착되며, 프레임의 중앙부에 화물이나 물품을 담을 수 있는 바스켓(basket)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최근에, 쇼핑카트는 물품 또는 화물의 운반이라는 고유한 목적 이외에도 카트의 프레임이나 핸들 또는 바스켓에 광고, 선전 또는 홍보 등을 목적으로 하는 광고판을 부착함으로써, 효과적인 광고 매체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특히 쇼핑카트의 전면에 광고판 등을 부착하는 쇼핑카트 광고가 각광받고 있으며, 이러한 쇼핑카트 광고는 대형 슈퍼마켓이나 할인점 등의 성장과 함께 낮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광고를 할 수 있는 광고 매체로서 주목 받고 있다.
이와 같이 쇼핑카트에 광고 기능을 부가하여 광고 매체로서 이용한 예로서, 국내 공개특허 제2001-69656호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메모리칩이 장착된 카트가 개시되어 있으며, 국내 공개특허 제1998-703437호에는 쇼핑트롤리의 핸들에 브래킷을 이용하여 정보, 광고를 전달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1998-57911호에는 카트에 장착하여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카트용 광고판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러한 광고판이 부착된 종래의 쇼핑카트에 있어서, 쇼핑카트의 전면에 한 가지 혹은 몇 가지 정도의 광고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광고 패널을 부착하기 때문에 원하는 광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다른 광고나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매번 광고판 본체로부터 광고 패널을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광고 패널을 통해서는 사용자가 물품을 구입하는 동안 상품이나 기타 필요한 정보를 찾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객이 알고 싶어 하는 상품 정보, 매장 점보 및 생활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전달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0375호에서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양방향 통신 방식으로 상품에 대한 광고를 고객에게 전달하거나 고객이 요구하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광고 및 정보 전달 기능을 구비하는 카트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쇼핑카트에 이러한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부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전력이 충전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카트의 충전장치에 하나하나 전력을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그 보관의 어려움 및 관리의 어려움이 매우 크다. 특히, 카트를 개별적으로 충전하면서 보관하는 경우에 충전하는 과정에서 종래보다 훨씬 넓은 공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매장관리 측면에서 상당한 불편함이 초래하게 된다.
아울러 불특정 광고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 정보 또는 제품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그칠 뿐 소비자가 제품 구매 시 필요한 다양한 기능 및 서비스 제공에는 아직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품 검색시 네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구매 상품 정보 및 위치 안내가 용이하고,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통한 광고 노출이 가능하며, 바퀴를 이용한 발전부를 통해 배터리 유지 시간을 증대시켜 전력 이용 효율을 증대시키며 카드리더기를 통한 별도의 결제 데스크 결제 과정 없이 결제가 가능한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부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하우징과; 상기 수용하우징 하부측에 연결되어 수용하우징의 이동성을 부여하는 바퀴부와; 상기 수용하우징을 밀거나 당기기 용이하도록 수용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바퀴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는 발전부와; 상기 발전부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사용자에게 설정 또는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탑재되어 상품에 표시되는 RFID 태그 또는 QR코드를 포함하는 식별표시수단을 판독하여 해당 상품 정보를 불러오는 판독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광고 정보, 상품 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제어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기(60)의 일측에 형성되어 IC 카드 또는 자기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리더기(91)가 구비되며, 상기 판독수단(70)을 통해 불러온 상품 정보 리스트를 외부 서버와 연결되어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90)가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기(60)로 설정에 따라 특정 광고 정보를 출력하며, 특정 광고 정보가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수단(61)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상품의 상품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상품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단말기(6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의 내측으로 배터리부(50)가 탑재되고, 상기 배터리부(50)는 발전부(40)와 축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은 상품에 부착된 식별표시수단(71)을 판독하는 판독수단(70)을 통하여 구매 상품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며 IC 카드 또는 자기 카드를 판독가능한 카드리더기(91)를 통해 구매 상품 리스트 정보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스마트 카트(100)와; 상기 스마트 카트(100)와 BLE 통신 또는 WI-FI 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스마트 카트(100)로부터 구매 상품 리스트 정보와 카드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구매 상품 리스트 정보에 따른 가격 정보를 산출하여 해당 카드 정보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시스템(1000)은 스마트 카트(100)와 결제 서버(300) 간에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20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스마트 카트(100)는 BLE 통신 또는 WI-FI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95)를 통해 스마트 카트(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단말기(400)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11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품 검색시 네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구매 상품 정보 및 위치 안내가 용이하고,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통한 광고 노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바퀴를 이용한 발전부를 통해 배터리 유지 시간을 증대시켜 전력 이용 효율을 증대시키며 카드리더기를 통한 별도의 결제 데스크 결제 과정 없이 결제가 가능하여 시간 절약 및 인건비 감소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의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부 및 발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의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부 및 발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100)는 상부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하우징(10)과, 상기 수용하우징(10) 하부측에 연결되어 수용하우징(10)의 이동성을 부여하는 바퀴부(20)와, 상기 수용하우징(10)을 밀거나 당기기 용이하도록 수용하우징(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바퀴부(2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는 발전부(40)와, 상기 발전부(40)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부(50)와, 상기 배터리부(5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사용자에게 설정 또는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단말기(60)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기(60)에 탑재되어 상품에 표시되는 RFID 태그 또는 QR코드를 포함하는 식별표시수단(71)을 판독하여 해당 상품 정보를 불러오는 판독수단(7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기(60)에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수단(61)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단말기(60)의 디스플레이부(62)로 광고 정보, 상품 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제어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하우징(10)은 구매 물품을 적재하도록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하우징(10)의 하부측에는 스마트 카트(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부(20)가 설치되고, 상기 수용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는 사용자가 목적 방향으로 스마트 카트(100)를 밀거나 당기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30)가 형성된다.
상기 바퀴부(20)는 4개소의 바퀴(20a)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각 바퀴(20a) 또는 특정 바퀴(20a)에는 바퀴의 회전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부(40)가 결합된다.
이러한 발전부(40)는 바퀴(20a)의 중앙에 삽입되며 N-S극이 교호로 분할 형성된 링형상의 영구자석(41a)으로 된 회전자(41)가 끼워지고, 바퀴 브라켓의 영구자석 대응위치에는 영구자석(41a)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코어(42a)에 코일(42b)이 감긴 고정자(42)가 설치되어 바퀴(20a)의 회전에 따라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발전부(40)로부터 유도된 전기에너지는 손잡이부(30) 내측에 수용되는 배터리부(50)로 전달되어 축전되고, 후술할 디스플레이 단말기(60)는 상기 배터리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게 된다.
물론 상기 배터리부(50)는 별도의 충전회로부 및 충전단자가 형성되어 별도의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도록 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발전부(40)에 의해 바퀴(20a)의 회전에 따른 충전으로 기존 충전된 전력량의 소모 시간을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기(60)는 상기 배터리부(5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사용자에게 설정 또는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단말기(60)는 손잡이부(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30)를 통해 밀거나 당기는 위치에서 쉽게 디스플레이 단말기(60)의 출력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부(30) 내측에 수용되는 배터리부(50)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유도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단말기(60)에는 판독수단(70), 결제부(90), 제어부(80) 및 통신부(95)가 탑재되는데, 상기 판독수단(70)은 사용자가 구매할 제품의 일측에 표시된 식별표시수단(71)을 판독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식별표시수단(71)은 바코드 또는 QR 코드로서 해당 제품의 가격 정보, 생산 정보 및 설명 정보 등이 포함되어 본 발명의 판독수단(70)을 통해 판독이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해당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판독수단(70)을 통해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복수의 상품을 리스트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현재까지 리스트 업된 제품 정보 및 총 가격 정보를 디스플레이 단말기(6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결제부(90)는 디스플레이 단말기(60)의 일측에 형성되어 IC 카드 또는 자기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리더기(91)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판독수단(70)을 통해 불러온 상품 정보 리스트를 외부 결제 서버와 연결되어 결제를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결제부(90)와 외부 결제 서버 간 연결은 통신부(95)를 통해 이루어지며 통신부(95)는 BLE 통신모듈, WI-FI 통신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단말기(60)의 디스플레이부(62)로 광고 정보, 상품 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또는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제어하여 출력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제어부(80)는 설정에 따라 특정 광고 정보들을 순차적 또는 반복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80)는 특정 광고 정보가 출력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단말기(60)의 일측에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수단(61)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상품의 상품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상품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단말기(6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의 제공을 위해 디스플레이 단말기(60) 내에는 별도의 메모리 수단이 탑재되고 해당 메모리 수단 내에 물품 매장 지리 정보와 물품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메모리 수단 내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해당 물품의 위치 정보를 매장 지리 정보와 매칭시켜 해당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1000)은 크게 상품에 부착된 식별표시수단(71)을 판독하는 판독수단(70)을 통하여 구매 상품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며 IC 카드 또는 자기 카드를 판독가능한 카드리더기(91)를 통해 구매 상품 리스트 정보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스마트 카트(100)와, 상기 스마트 카트(100)와 BLE 통신 또는 WI-FI 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스마트 카트(100)로부터 구매 상품 리스트 정보와 카드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구매 상품 리스트 정보에 따른 가격 정보를 산출하여 해당 카드 정보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300)와, 스마트 카트(100)와 결제 서버(300) 간에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200) 및 상기 스마트 카트(100)의 BLE 통신 또는 WI-FI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95)를 통해 스마트 카트와 연결되는 사용자단말기(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카트(100)는 상기 중계기(200)를 통해 결제 서버(300)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판독수단(70)을 통해 리스트화된 구매 상품 리스트 정보를 결제 서버(300)로 전송하고 카드리더기(91)를 포함하는 결제부(90)를 통해 판독된 카드 정보를 결제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결제 서버(300)는 해당 카드 정보와 매칭하여 구매 상품 리스트 정보에 따른 결제를 수행한 후 결제 내역 정보를 상기 스마트 카트(100)로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단말기(400)는 상기 스마트 카트(100)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단말기(60)의 출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거나 구매 내역 정보, 결제 내역 정보 등을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수용하우징 20 : 바퀴부
30 : 손잡이부 40 : 발전부
50 : 배터리부 60 : 디스플레이 단말기
70 : 판독수단 80 : 제어부
90 : 결제부 100 : 스마트 카트
200 : 중계기 300 : 결제 서버
400 : 사용자단말기

Claims (6)

  1. 상부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하우징(10)과;
    상기 수용하우징(10) 하부측에 연결되어 수용하우징(10)의 이동성을 부여하는 바퀴부(20)와;
    상기 수용하우징(10)을 밀거나 당기기 용이하도록 수용하우징(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바퀴부(2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이 이루어지는 발전부(40)와;
    상기 발전부(40)로부터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배터리부(50)와;
    상기 배터리부(5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며 사용자에게 설정 또는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단말기(60)와;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기(60)에 탑재되어 상품에 표시되는 RFID 태그 또는 QR코드를 포함하는 식별표시수단(71)을 판독하여 해당 상품 정보를 불러오는 판독수단(7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기(60)에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수단(61)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단말기(60)의 디스플레이부(62)로 광고 정보, 상품 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제어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기(60)의 일측에 형성되어 IC 카드 또는 자기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리더기(91)가 구비되며, 상기 판독수단(70)을 통해 불러온 상품 정보 리스트를 외부 서버와 연결되어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9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하는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디스플레이 단말기(60)로 설정에 따라 특정 광고 정보를 출력하며, 특정 광고 정보가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수단(61)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상품의 상품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상품 정보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단말기(6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하는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0)의 내측으로 배터리부(50)가 탑재되고, 상기 배터리부(50)는 발전부(40)와 축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의한 스마트 카트를 이용하여 상품 결제가 이루어지는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결제 시스템(1000)은
    상품에 부착된 식별표시수단(71)을 판독하는 판독수단(70)을 통하여 구매 상품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며 IC 카드 또는 자기 카드를 판독가능한 카드리더기(91)를 통해 구매 상품 리스트 정보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스마트 카트(100)와;
    상기 스마트 카트(100)와 BLE 통신 또는 WI-FI 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스마트 카트(100)로부터 구매 상품 리스트 정보와 카드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구매 상품 리스트 정보에 따른 가격 정보를 산출하여 해당 카드 정보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시스템(1000)은
    스마트 카트(100)와 결제 서버(300) 간에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기(20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스마트 카트(100)는 BLE 통신 또는 WI-FI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95)를 통해 스마트 카트(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단말기(400)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KR1020190127098A 2019-10-14 2019-10-14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KR20210044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98A KR20210044033A (ko) 2019-10-14 2019-10-14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98A KR20210044033A (ko) 2019-10-14 2019-10-14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033A true KR20210044033A (ko) 2021-04-22

Family

ID=7573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098A KR20210044033A (ko) 2019-10-14 2019-10-14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40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703B1 (ko) * 2021-04-28 2021-10-07 주식회사 농협유통 스마트 카트
KR102376210B1 (ko) * 2021-04-28 2022-03-17 주식회사 농협유통 스마트 카트 도난 방지 방법 및 도난 방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703B1 (ko) * 2021-04-28 2021-10-07 주식회사 농협유통 스마트 카트
KR102376210B1 (ko) * 2021-04-28 2022-03-17 주식회사 농협유통 스마트 카트 도난 방지 방법 및 도난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3295B2 (en) Media enabled advertising shopping cart system
US20180315011A1 (en) Limited Spatial Digital Directory with Physical Navigation for Optimizing Smart Carts
KR20210044033A (ko) 자가 발전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카트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KR20240065054A (ko) 모바일 결제 소매 시스템 및 매장 내 모바일 충전 솔루션을 위한 모바일 사물 인터넷(IoT) 박스
RU2432285C2 (ru) Тележка для покупок, оснащенная индикацией или рекламной панелью
CN102542420A (zh) 电子货架标签系统
CA2293348A1 (en) Customer information terminal system with a docking member for a data collection device
US20040049960A1 (en) Remote controlled advertising system
KR20090080773A (ko) 지능형 쇼핑 카트, 매장 관리 시스템 및 매장 관리 방법
CN107010095A (zh) 智能购物车
US20140025507A1 (en) Real-time electronic display system
JP2012205461A (ja) 充電システム
Pandita et al. Automatic shopping trolley using sensors
EP2973465B1 (en) Mobile eas deactivator
KR101146773B1 (ko) 카트 자동 충전 시스템 및 자동 충전 카트
KR20150120047A (ko) 자가 발전형 스마트 쇼핑카트
CN202533995U (zh) 电子货架标签系统
Mane et al. Electronic shopping using barcode scanner
GB2344025A (en) Electronic shelf label and shopping system
KR101054667B1 (ko) 코인을 이용한 오디오 광고/안내 기능을 갖는 쇼핑카트와 이를 위한 매장 내 오디오 광고/안내 시스템
CN102706346A (zh) 商场导航系统及其智能终端
CN204432740U (zh) 自助购物推车
RU190446U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ивающее считывание RFID-меток и одновременную фиксацию месторасположения покупателя и/или товара в режиме реального времени
KR20150025681A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충전 시스템
JP2014170281A (ja) 店舗支援システム、携帯端末、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