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919A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3919A KR20210043919A KR1020190126837A KR20190126837A KR20210043919A KR 20210043919 A KR20210043919 A KR 20210043919A KR 1020190126837 A KR1020190126837 A KR 1020190126837A KR 20190126837 A KR20190126837 A KR 20190126837A KR 20210043919 A KR20210043919 A KR 202100439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unit
- user
- physical activity
- wearable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에 따른 상체균형 및 신체활동 정보가 분석되는 정보 분석부, 상체균형 및 신체활동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기초로 상체균형 및 신체활동 정보에 관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척추 관련 질환이 젊은 사람들에게도 많이 발병되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일상 생활에서의 나쁜 자세로 인해 발생된다. 사람의 그릇된 자세를 취하는 경우 근골격계에 불균형한 부하가 걸리게 되며, 이러한 그릇된 자세를 바로잡지 않으면 척추 관절의 변형 등으로 인한 척추 관련 질환을 야기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개인의 자세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다가 특정 조치를 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현대인의 운동 부족, 수명 연장에 따른 고령화, 과도한 운동 등의 이유로 무릎관절 관련 질환이나 사고의 발생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무릎관절 관련 질환이나 손상이 발생하면 수술적 혹은 비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고, 의학적 치료가 이루어진 후에는 효율적인 재활 프로그램이 시행되어야 한다. 이때, 무릎관절은 폄 운동과 굽힘 운동에 관여하므로 재활 과정에서도 무릎관절의 굽힘 각도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에,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기초로 상체균형 정보 및 신체활동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체균형 정보 및 신체활동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체균형 및 신체활동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맞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에 따른 상체균형 및 신체활동 정보가 분석되는 정보 분석부, 상체균형 및 신체활동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를 이용하여 제2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분석부는 제1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COP(center of pressure)를 산출하고, 산출된 COP 위치 및 COP 이동 궤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체균형을 분석하는 제1 정보 분석부 및 제2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무릎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무릎각도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활동을 분석하는 제2정보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 및 넌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와 넌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는 동시 구동시 서로 다른 정보가 각각의 기기에 선택적으로 미러링 되는 데이터 미러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복수의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체균형 및 신체활동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맞는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에 상체균형 및 신체활동 정보에 관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COP의 측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1의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현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분석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딥러닝 신경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에 상체균형 및 신체활동 정보에 관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COP의 측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1의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현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분석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딥러닝 신경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 로봇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구조, 사용, 응용 방식을 한정하려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이해할 수 있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위, 아래, 수평, 수직, 평행, 상측, 하측, 상부, 하부, 상방, 하방 등의 용어는 첨부된 도면에 보이는 방향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용어들은 구체 적인 지시가 없는 한 본 발명이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부착, 연결, 이음, 고정, 체결 등의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직접적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를 의미하거나, 별개의 매개체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상호 부착, 고정 또는 연결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때,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구성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구성(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구성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구성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구성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0)은 사용자 단말(100) 및 복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200, 300)이 네트워크(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은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포함한다.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제1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고,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를 이용하여 제2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측정한다. 복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300)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0)은 복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200, 300) 각각에서 측정한 복수의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들을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0)은 네트워크(5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복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들(200, 300)이 분석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50)는 유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네트워크(5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300) 간,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300) 및 분석 서버(400) 간, 또는 사용자 단말(100) 및 분석 서버(400) 간, 또는 사용자 단말(10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300), 분석 서버(400) 3자 간에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에 상체균형 및 신체활동 정보에 관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사용자의 COP(center of pressure) 및 무릎각도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기초로 평가된 상체균형 및 신체활동에 관한 콘텐츠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HTML, XML 등 웹 페이지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넷스케이프, 인터넷 익스프로러, 크롬 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 2G/3G/4G/5G, 와이브로 무선망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등 네크워크(5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으며, IEEE 802.11 무선 랜 네트워크 카드 등의 무선랜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이동통신 단말 이외에 컴퓨터, 노트북 등의 정보 통신 기기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단말 통신부(110), 정보 수신부(120), 정보 제어부(130), 정보 분석부(140), 정보 제공부(150) 및 정보 저장부(160) 등을 포함한다.
단말 통신부(110)는 네트워크(50)를 통해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및 분석 서버(400)와 통신한다. 단말 통신부(110)는 각종 정보,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통신한다.
정보 수신부(120)는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사용자의 COP(center of pressure)에 관한 제1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전송받고,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사용자의 무릎각도에 관한 제2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또한, 정보 수신부(110)는 사용자의 신체 지수 및 체지방 지수를 포함한 신체 정보를 측정한 외부의 측정 기기(미도시), 예를 들어 체중 감지 센서, 체지방 감지 센서 등으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고, 이러한 신체 정보를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또는 분석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제어부(130)는 단말 통신부(110), 정보 수신부(120), 정보 분석부(140), 정보 제공부(150) 및 정보 저장부(160) 등을 제어한다.
정보 분석부(140)는 제1 및 제2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들에 따른 상체균형 정보 및 신체활동 정보가 분석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분석부(140)는 제1 정보 분석부(142) 및 제2 정보 분석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보 분석부(142)는 COP 위치 및 COP 이동 궤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체균형 정보가 분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정보 분석부(142)는 제1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COP(center of pressure)를 산출하고, COP의 이동에 따른 궤적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체균형 능력 등을 평가할 수 있다. 제2 정보 분석부(144)는 제2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무릎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무릎각도를 기초로 사용자의 신체활동 능력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분석부(140)는 복수의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체균형 능력 및 신체활동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50)는 상체균형 정보 및 신체활동 정보가 활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 서비스를 시각화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모듈(미도시)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150)는 COP의 이동 궤적에 따른 상체균형 지수 또는 무릎각도 변화에 따른 신체활동 지수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부(150)는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155)에 COP 이동 궤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무게 중심의 분포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모듈은 LCD, PDP, LED 또는 OLED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모듈은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터치 패널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이 출력 및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부(150)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미도시) 및 넌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동통신 단말,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넌모바일 디바이스는 컴퓨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와 넌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는 서로 각각 다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는 상체균형에 관한 콘텐츠 서비스(이하, 상체균형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넌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는 신체활동에 관한 콘텐츠 서비스(이하, 신체활동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는 신체활동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넌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는 상체균형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 및 넌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 각각은 데이터 미러링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데이터 미러링부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와 넌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가 동시 구동시 서로 다른 정보가 각각의 기기에 선택적으로 미러링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넌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받고 있는 복수의 신체활동 콘텐츠 서비스들 중에서 신체활동 콘텐츠 서비스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넌모바일 디바이스 정보 제공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부 신체활동 콘텐츠 서비스를 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체균형 콘텐츠 서비스와 함께 일부 신체활동 콘텐츠 서비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255)을 통해 상체균형 콘텐츠 서비스 및 신체활동 콘텐츠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a에서 사용자는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하여 주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검색함으로써 자동 연결시키고, [상체균형 측정하기] 또는 [신체활동 측정하기]를 클릭하면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상체균형 또는 신체활동 각각에 관한 평가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0)은 요일별 막대형 그래프, 상체균형에 따른 분포도, 신체활동별 원형 누적 그래프, 종합 상체균형(자세균형) 점수, 종합 신체활동 점수 등 다양한 형태로 상체균형과 신체활동에 관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3b는 신체활동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사용자의 무릎각도 측정 결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막대그래프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그래프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그래프에 대한 수치와 무릎각도 원형 그래프를 표시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255)을 통해 자신이 하루동안 또는 특정 기간동안 어떤 활동을 자주 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3c은 상체균형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사용자가 착좌시 발생하는 압력(무게)에 따라 그래프 위에 누적 표시하여 제공하고, 상체균형 측정 결과를 밀집도에 따라 색상을 상이하게 표시하여 제공한다.
정보 저장부(160)는 정보 수신부(120)에 의하여 전송받은 복수의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들 및 신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정보 분석부(140)에 의하여 분석된 상체균형 정보 및 신체활동 정보 등을 저장한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COP의 측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가 착좌하는 사각 등 특정 형상의 포스 플레이트모듈(210), 사용자가 포스 플레이트모듈(210)에 착좌 시 사용자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포스 플레이트모듈(210)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모듈(220), 압력 센서모듈(220)에서 감지된 압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COP(center of pressure)를 산출하는 자세균형 산출모듈(230), 산출된 COP를 외부로 전송하는 자세균형 통신모듈(240)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압력 센서모듈(220)에서 감지된 압력을 증폭하는 자세균형 증폭모듈(250), 제1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자세균형 저장모듈(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스 플레이트모듈(210)은 사용자가 착좌하는 곳으로, 특정 형상일 수 있다. 여기에서, 포스 플레이트모듈(210)의 특정 형상은 사각 형상, 둥근 사각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서, 포스 플레이트모듈(210)이 사각 형상이 되어 압력 센서모듈(220)이 포스 플레이트모듈(210)의 네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모듈(220)은 포스 플레이트모듈(21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압력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압력 센서모듈(220)은 포스 플레이트모듈(210)의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4개의 로드셀(Load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로드셀(Load Cell)은 전후좌우 방향으로 대칭으로 설치하는 것이 사용자의 중심이나 이동 방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례로, 포스 플레이트모듈(210)에 4개의 로드셀(Load Cell)이 정사각형 모양을 이루어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포스 플레이트모듈(2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면 다른 형태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FSR(Force Sensing Resistor)은 표면에 힘을 증가시킬 때 감소하는 저항이 발생하는 폴리머 필름(Polymer Film)으로 자체의 저항 값을 가지고 있는 데 이 저 항 값은 활동 영역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반비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균형 산출모듈(230)은 사용자의 압력을 기초로 COP를 산출한다. 이를 통해, 체중 이동(Weight shift)에 따른 COP의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포스 플레이트모듈(210)에 4개의 로드셀이 설치되어 각각의 로드셀에 힘을 Foo, Foy, Fxy, Fxo라 할 때, 힘은 z축 방향이며 힘의 합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된다.
그리고, 무게의 이동을 측정하기 위한 좌표값은 다음의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4와 같다.
상기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압력을 기초로 COP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체중 이동(Weight shift)에 따른 COP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세균형 산출모듈(230)은 COP를 산출하는 산출 프로그램 등 여러 프로그램을 내장하기 위한 메모리가 구비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oer Unit)일 수 있다. 즉, MCU가 두뇌 역할을 하며,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자세균형 산출모듈(230)은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세균형 산출모듈(230)은 압력 데이터, COP에 관련된 데이터 등 자세균형 저장모듈(260)에 저장할 수 있다.
자세균형 통신모듈(240)은 사용자 단말(100) 등과 통신하여 산출된 COP를 외부로 전송한다. 자세균형 통신모듈(24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 분석 서버(400) 등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브리(Wibree) 중 하나일 수 있다. 물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만 제한되지 않고,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채택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자세균형 증폭모듈(250)은 압력 센서모듈(220)에서 감지된 압력을 증폭한다. 예를 들어, 자세균형 증폭모듈(250)은 로드셀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ADC Amplifier(HX711)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자세균형 저장모듈(260)은 압력 센서모듈(220), 자세균형 산출모듈(230), 자세균형 통신모듈(240), 자세균형 증폭모듈(250) 등 여러 모듈에서 생성 또는 전송되는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자세균형 저장모듈(260)은 저장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의 검색,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데이터 및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화여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1의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현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6를 참조하면,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는 제1 지지부(310), 제2 지지부(320), 신체활동 연산부(330), 신체활동 통신부(340) 및 표시부(350)를 포함한다. 다만, 일 실시예에서는 신체활동 연산부(330), 신체활동 통신부(340) 및 표시부(350)의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신체활동 연산부(330) 및 표시부(350)의 구성이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가 아닌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되어,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의 신체활동 통신부(340)를 통해 전달된 제2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 내에서 무릎 관절의 회전각을 산출하거나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신체활동 연산부(330), 신체활동 통신부(340) 및 표시부(350)가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 내에 구비된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지지부(310)는 연결부(311), 상단 프레임(312-1) 및 하단 프레임(312-2)을 포함한다.
연결부(311)는 사용자의 무릎 상에 위치한다. 연결부(311)는 상단 프레임(312-1)의 일단과 하단 프레임(312-2)의 일단이 연결된다. 연결부(311)는 사용자의 무릎 관절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연결부(311)는 중심축(Ax)에 동축으로 연결된 고정부재와 회전부재로 구성되고, 회전부재가 고정부재에 대하여 중심축(A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단 프레임(312-1)의 일단은 연결부(311)에 연결되고, 하단 프레임(312-2)의 일단도 연결부(311)에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부(311)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상단 프레임(312-1)과 하단 프레임(312-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311)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와 회전부재로 이루어졌다면 고정부재에는 상단 프레임(312-1)의 일단이 연결되고 회전부재에는 하단 프레임(312-2)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무릎 관절이 굽혀지면 상단 프레임(312-1)은 제 위치를 유지하고 하단 프레임(312-2)은 중심축(Ax)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하단 프레임(312-2)이 회전한 각도에 기초하여 무릎 관절의 회전각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단 프레임(312-1)은 사용자의 다리를 따르는 길이 방향의 부재로 대퇴부 상에 위치하게 된다. 하단 프레임(312-2)은 사용자의 다리를 따르는 길이 방향의 부재로 하퇴부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단 프레임(312-1)은 연결부(311)를 기준으로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단 프레임(312-1)의 일단이 연결부(311) 내로 진입하거나 또는 연결부(311)의 내부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하단 프레임(312-2)은 연결부(311)를 기준으로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단 프레임(312-2)의 일단이 연결부(311) 내로 진입하거나 또는 연결부(311)의 내부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상단 프레임(312-1) 및 하단 프레임(312-2)의 수축 및 연장에 의하여 환자의 체형에 맞게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2 지지부(320)는 연결부(321), 상단 프레임(322-1) 및 하단 프레임(322-2)을 포함한다. 연결부(321)는 사용자의 무릎 상에 위치한다. 연결부(321)는 상단 프레임(322-1)의 일단과 하단 프레임(322-2)의 일단이 연결된다. 연결부(321)는 사용자의 무릎 관절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연결부(321)는 중심축(Ax)에 동축으로 연결된 고정부재와 회전부재로 구성되고, 회전부재가 고정부재에 대하여 중심축(A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단 프레임(322-1)의 일단은 연결부(321)에 연결되고, 하단 프레임(322-2)의 일단도 연결부(321)에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부(321)의 중심축(Ax)을 기준으로 상단 프레임(322-1)과 하단 프레임(322-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연결부(321)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와 회전부재로 이루어졌다면 고정부재에는 상단 프레임(322-1)의 일단이 연결되고 회전부재에는 하단 프레임(322-2)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무릎 관절이 굽혀지면 상단 프레임(322-1)은 제 위치를 유지하고 하단 프레임(322-2)은 중심축(Ax)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하단 프레임(322-2)이 회전한 각도에 기초하여 무릎 관절의 회전각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단 프레임(322-1)은 사용자의 다리를 따르는 길이 방향의 부재로 대퇴부 상에 위치하게 된다. 하단 프레임(322-2)은 사용자의 다리를 따르는 길이 방향의 부재로 하퇴부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단 프레임(322-1)은 연결부(321)를 기준으로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단 프레임(322-1)의 일단이 연결부(321) 내로 진입하거나 또는 연결부(321)의 내부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하단 프레임(322-2)은 연결부(321)를 기준으로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단 프레임(322-2)의 일단이 연결부(321) 내로 진입하거나 또는 연결부(321)의 내부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상단 프레임(322-1) 및 하단 프레임(322-2)의 수축 및 연장에 의하여 환자의 체형에 맞게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지지부(310) 및 제2 지지부(320) 사이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대퇴부 및 하퇴부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를 사용자의 다리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제1 지지부(310) 및 제2 지지부(320)의 상단 프레임(312-1, 322-1) 및 하단 프레임(312-2, 32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가 구비된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310)의 상단 프레임(321-1)에 2개의 체결부(313-1, 313-2)가 구비되고, 제1 지지부(310)의 하단 프레임(312-2)에 2개의 체결부(313-3, 313-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2 지지부(320)의 상단 프레임(322-1)에 2개의 체결부(323-1, 323-2)가 구비되고, 제2 지지부(320)의 하단 프레임(322-2)에 2개의 체결부(323-3, 323-4)가 구비되어 있다.
각 체결부(313-1, 313-2, 313-3, 314-4 ; 323-1, 323-2, 323-3, 323-4)는 스트랩이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스트랩이 구비되며, 예를 들어, 제1 스트랩은 제1 지지부(310)의 제1 체결부(313-1)과 제2 지지부(320)의 제1 체결부(323-1)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스트랩은 제1 지지부(310)의 제2 체결부(313-2)과 제2 지지부(320)의 제2 체결부(323-2) 사이에 연결되고, 제3 스트랩은 제1 지지부(310)의 제3 체결부(313-3)과 제2 지지부(320)의 제3 체결부(323-3) 사이에 연결되고, 제4 스트랩은 제1 지지부(310)의 제4 체결부(313-4)과 제2 지지부(320)의 제4 체결부(323-4) 사이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에 고정된다.
제1 지지부(310)의 연결부(311) 및 제2 지지부(320)의 연결부(321)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량을 센싱하는 스트레치 센서(stretch sensor) 또는 회전각도를 센싱하는 IMU 센서(inertia measurement unit sensor)(324)를 구비한다. 도 6a 및 도 6b에는 스트레스 센서 또는 IMU 센서 중 하나를 구비하는 연결부가 제2 지지부(320)의 연결부(321)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부(310)의 연결부(311)에 구비될 수도 있고, 양쪽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IMU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무릎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제1 IMU 센서는 제1 지지부(310)의 제1 체결부(313-1) 및 제2 체결부(313-2) 사이 위치에 고정되고, 제2 IMU 센서는 제3 체결부(313-3) 및 제4 체결부(313-4) 사이 위치에 고정된다. IMU 센서가 고정되는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스트레치 센서는 길이 변형에 따라 자체 저항값이 변화하는 플렉서블 센서로서, 스트레치 센서의 일측 및 타측이 연결부(311)의 각기 다른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연결부(311)의 회전에 따라 스트레치 센서가 늘어남으로써 길이가 변화하고, 이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진다. 한편, 스트레치 센서의 변화된 저항값을 추출하기 위한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분석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분석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각종 정보를 전달받아 딥러닝 신경망에 입력하여 사용자 맞춤형 상체균형 정보 및 신체활동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분석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저장하며, 분석 서버(400)에 저장되는 데이터 패킷은 분석과 평가를 통해 사용자와 관련된 상체균형 정보 및 신체활동 정보가 생성되며, 이러한 상체균형 정보 및 신체활동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것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분석 서버(400)는 서버 인증부(410), 서버 통신부(420), 서버 제어부(430), 서버 저장부(440), 데이터베이스부(450),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60) 등을 포함한다.
서버 인증부(410)은 네트워크(5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을 수행한다. 특히, 사용자에게 상체균형 정보 및 신체활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분석 서버(400)에 개인의 민감한 신체 정보 등이 송수신될 수 있으므로, 보안을 위해 서버 인증부(410)은 사용자 단말(100)이 최초 접속한 경우, 회원 가입을 요청하고,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을 수행한다.
일례로, 서버 인증부(410)을 통해 사용자 등의 고유 인증 모듈의 색인자 또는 비밀번호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을 인증한다. 서버 인증부(410)은 텍스트파일 인증부(mod_auth), DBM인증부(mod_auth_dbm), Berkeley DB 인증부(mod_auth_db), Anonymous 인증부(mod_auth_anon), PostgreSQL인증부, XNS 인증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게 되나, 이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서버 통신부(420)은 사용자 단말(100),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통신한다. 서버 통신부(420)은 네트워크(50)를 통해 각종 정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체균형 정보 및 신체활동 정보, 특히 척추 건강에 관련된 정보들 및 무릎 건강에 관련된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430)은 서버 인증부(410), 서버 통신부(420), 서버 저장부(440), 데이터베이스부(450),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60) 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430)은 COP의 이동에 따른 궤적을 기초로 사용자의 자세균형 능력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9는 딥러닝 신경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제어부(430)은 각종 정보를 전달받아 딥러닝 신경망(435)에 입력하여 사용자에게 상체균형 정보 및 신체활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COP는 딥러닝 신경망의 입력 데이터가 된다. 여기에서, 서버 제어부(430)은 아다부스트(AdaBoost) 또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등과 같은 학습기(Learning Machine)를 이용하는 방법과 추출된 특징의 벡터 유사도 등을 이용하는 비학습 방법 등 학습 방법과 비학습 방법을 적절히 추가하여 딥러닝 신경망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상체균형 정보 및 신체활동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신체 정보 및 복수의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들이 딥러닝(deep learning) 신경망(435)의 입력값으로 입력층에 입력되며, 입력 데이터가 학습 데이터가 되고, 학습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딥러닝 신경망은 은닉층에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COP를 이용하여 딥러닝 신경망(435)을 기초로 척추에 관련된 상체균형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고, 무릎각도를 이용하여 딥러닝 신경망(435)을 기초로 무릎관절에 관련된 신체활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딥러닝 신경망(435)은 RNN(Recurrent Neural Network)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RNN은 시간에 따라 순차적인 데이터를 학습하기 위한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의 구현 방식 중의 하나로써, 시간 t에서 심층 신경망 내 특정 뉴런의 출력이 시간 t+1에서 다른 뉴런의 입력으로 하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신경망을 형성할 수 있다. RNN을 통해 시계열적으로 입력되는 각 개인의 히스토리 정보(COP 등)에 따른 개인의 건강 상태를 보다 정확히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개인에게 딱 맞는 상체균형 정보 및 신체활동 정보를 딥러닝 신경망을 통해 생성할 수 있다.
딥러닝 신경망(435)은 순차적으로 학습 데이터를 획득할 때마다 가중치를 갱신할 수 있으며, 비용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된 딥러닝 신경망(435)의 출력 에러에 기초하여 가중치를 갱신할 수 있다. 딥러닝 신경망(435)의 출력 에러를 계산하고 가중치를 갱신하는 것은 피드백 과정에 해당한다. 피드 포워드 과정에서는 샘플 데이터를 사용하여 가중치 및 하이퍼볼릭 함수 등 여러 함수를 적용하여 딥러닝 신경망의 출력을 계산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된 정보는 분석 서버(40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서버 저장부(440)은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사용자 단말(100),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서버 저장부(440)에 저장된 데이터, 정보 등은 데이터베이스부(450)에 DB화되어 다시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450)은 사용자 단말(100) 및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통신하여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DB화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300)와 통신하여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DB화하여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부(450)에 저장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의 검색,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부(450)은 사용자 단말용 DB(452),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DB(454),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DB(4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450)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논리적 또는 물리적인 저장 서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오라클(Oracle) 사의 Oracle DBMS,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사의 MS-SQL DBMS, 사이베이스(Sybase) 사의 SYBASE DBMS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60)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각종 요청 및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분석 서버(400)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체균형 정보 및 신체활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46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서 각종 요청 및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100)은 HTML, XML 등 웹페이지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넷스케이프, 인터넷 익스플로러, 크롬 등)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적 매체, CD, DVD 등의 광학적 매체 및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와 같은 형태로 구현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크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모듈'은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또는 '~모듈'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110: 단말 통신부
120: 정보 수신부 130: 정보 제어부
140: 정보 분석부 150: 정보 제공부
160: 정보 저장부
200: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 210: 포스 플레이트모듈
220: 압력 센서모듈 230: 자세균형 산출모듈
240: 자세균형 통신모듈 250: 자세균형 증폭모듈
260: 자세균형 저장모듈
300: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 310: 제1 지지부
320: 제2 지지부 330: 신체활동 연산부
340: 신체활동 통신부 350: 표시부
400: 분석 서버 410: 서버 인증부
420: 서버 통신부 430: 서버 제어부
440: 서버 저장부 450: 데이터베이스부
460: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
100: 사용자 단말 110: 단말 통신부
120: 정보 수신부 130: 정보 제어부
140: 정보 분석부 150: 정보 제공부
160: 정보 저장부
200: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 210: 포스 플레이트모듈
220: 압력 센서모듈 230: 자세균형 산출모듈
240: 자세균형 통신모듈 250: 자세균형 증폭모듈
260: 자세균형 저장모듈
300: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 310: 제1 지지부
320: 제2 지지부 330: 신체활동 연산부
340: 신체활동 통신부 350: 표시부
400: 분석 서버 410: 서버 인증부
420: 서버 통신부 430: 서버 제어부
440: 서버 저장부 450: 데이터베이스부
460: 콘텐츠 서비스 제공부
Claims (5)
-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에 따른 상체균형 및 신체활동 정보가 분석되는 정보 분석부;
상기 상체균형 및 신체활동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1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를 이용하여 제2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측정하는 제2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제1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COP(center of pressure)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COP 위치 및 COP 이동 궤적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체균형을 분석하는 제1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제2 근골격계 생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무릎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무릎각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활동을 분석하는 제2 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 및 넌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와 상기 넌모바일 디바이스용 정보 제공부는 동시 구동시 서로 다른 정보가 각각의 기기에 선택적으로 미러링 되는 데이터 미러링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6837A KR20210043919A (ko) | 2019-10-14 | 2019-10-14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6837A KR20210043919A (ko) | 2019-10-14 | 2019-10-14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3919A true KR20210043919A (ko) | 2021-04-22 |
Family
ID=7573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6837A KR20210043919A (ko) | 2019-10-14 | 2019-10-14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43919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8116B1 (ko) | 2015-11-30 | 2018-05-15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자세균형 훈련 시스템 |
-
2019
- 2019-10-14 KR KR1020190126837A patent/KR202100439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8116B1 (ko) | 2015-11-30 | 2018-05-15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자세균형 훈련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8116B1 (ko) | 자세균형 훈련 시스템 | |
Antwi-Afari et al. | Deep learning-based networks for automated recognition and classification of awkward working postures in construction using wearable insole sensor data | |
US8500604B2 (en) | Wearable system for monitoring strength training | |
KR101834077B1 (ko) | 자세균형 훈련 시스템 | |
Dickerson et al. | The relationship between shoulder torques and the perception of muscular effort in loaded reaches | |
Montoye et al. | Comparison of activity type classification accuracy from accelerometers worn on the hip, wrists, and thigh in young, apparently healthy adults | |
Bessone et al. | Validation of a new inertial measurement unit system based on different dynamic movements for future in-field applications | |
KR20170017564A (ko) | 사용자 움직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 |
US2017018168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Muscle Tone | |
US20160005338A1 (en) | Haptic device and methods for abnormal limb biomechanics | |
KR20160076542A (ko) | 사용자 맞춤형 운동 콘텐츠 제공 방법 | |
CN110974242A (zh) | 一种用于可穿戴式设备的步态异常程度评价方法及该设备 | |
Van Den Bogert et al. | A weighted least squares method for inverse dynamic analysis | |
Thomas et al. | Perceiver as polar planimeter: Direct perception of jumping, reaching, and jump-reaching affordances for the self and others | |
Shirakawa et al. | Gait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on healthy subjects in normal walking | |
Jenkins et al. | Sport-related back injury prevention with a wearable device | |
Andò et al. | Best features selec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a postural sway classification methodology on a wearable node | |
KR20210043919A (ko)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제공 시스템 | |
KR102609551B1 (ko) | 척추 건강을 위한 자세균형 측정 시스템 | |
KR101963624B1 (ko) | 무릎의 운동 능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
KR102538239B1 (ko) | 입체배열 측정센서를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자세교정 시스템 | |
Karanth et al. | IoT based smart posture detector | |
Marin et al. | Research lines to improve access to health instrumentation design | |
Dobrea et al. | A warning wearable system used to identify poor body postures | |
TWI580404B (zh) | 肌肉張力感測方法及系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